You are on page 1of 44

천재(정)

lesson

3 학 년 1 학 기

중 간
빠른 답
고사

책1.indb 1 2022-04-02 오후 12:04:28


단원별 모의고사 회 3학년
중 간 고 사
1학기
실전 모의고사 회 3학년
중 간 고 사
1학기

01 ④ 06 ② 11 ② 16 ④ 01 ③ 06 ② 11 ③ 16 ③ 21 ⑤
02 ③ 07 ③ 12 ③ 17 ③ 02 ⑤ 07 ③ 12 ⑤ 17 ①
03 ⑤ 08 ① 13 ① 18 ③ 03 ④ 08 ④ 13 ③ 18 ③
04 ④ 09 ① 14 ⑤ 19 ② 04 ③ 09 ⑤ 14 ④ 19 ③, ⑤
05 ④ 10 ② 15 ③ 05 ④ 10 ② 15 ⑤ 20 ①

서답형 1 Another form of written laughter is LOL. 서답형 1 knows what it means
서답형 2 which 서답형 2 stands for
서답형 3 expresses our happy feelings more visually 서답형 3 ⓓ, much → more
서답형 4 small picture, to use online, express, various 서답형 4 ⓔ, have become → has become
서답형 5 ⓐ deliver ⓑ using ⓒ Laugh
서답형 6 ⑴ Nobody knows if[whether] she will attend
the meeting.
⑵ Look at the book, which I will give to my
brother.

단원별 모의고사 회 3학년


중 간 고 사
1학기
실전 모의고사 회 3학년
중 간 고 사
1학기

01 ⑤ 06 ④ 11 ④ 16 ② 01 ⑤ 06 ④ 11 ③ 16 ⑤ 21 ②, ④
02 ④ 07 ⑤ 12 ④ 17 ④ 02 ⑤ 07 ⑤ 12 ⑤ 17 ②
03 ③ 08 ⑤ 13 ② 03 ② 08 ⑤ 13 ③ 18 ③
04 ② 09 ④ 14 ② 04 ② 09 ⑤ 14 ② 19 ③
05 ⑤ 10 ③ 15 ④ 05 ③ 10 ④ 15 ⑤ 20 ⑤

서답형 1 put up some posters, had set up the board 서답형 1  I’m sorry to hear that.
서답형 2 ⑴ He was even faster than his brother.  I’m glad to be in the same class as Jane.
⑵ She looks a lot happier than others. 서답형 2 LOL, ROFL
⑶ The boy wants to become much[still/even/ 서답형 3  I had far better things to do.
far/a lot] more popular than other boys.  I bet there are snakes in there, too.
서답형 3 Thank you for suggesting 서답형 4 to see what new flowers are ready to pop up
서답형 4 We were all wondering where to begin.
서답형 5 ⑴F ⑵F ⑶F ⑷T
서답형 6 what a good thing we did!
서답형 7 ⓐ them ⓑ that
서답형 8 much[even/far/still] more

책1.indb 2 2022-04-02 오후 12:04:28


실전 모의고사 회 3학년
중 간 고 사
1학기
고난도 모의고사 회 3학년 1학기
중 간 고 사

01 ⑤ 06 ④ 11 ③ 16 ③ 01 ① 06 ③ 11 ⑤
02 ④ 07 ④ 12 ④ 17 ③ 02 ②, ⑤ 07 ② 12 ③
03 ③ 08 ② 13 ② 18 ③ 03 ④ 08 ②, ⑤ 13 ③
04 ④ 09 ①, ③ 14 ④ 19 ⑤ 04 ④ 09 ② 14 ②, ⑤
05 ④ 10 ② 15 ④, ⑤ 05 ④ 10 ⑤ 15 ③

서답형 1 ⓐ, I had lived there until last month. 서답형 1  had missed
ⓑ, We were sad that someone had stolen our  had got[gotten] up late
bikes. 서답형 2 ⑴ symbol ⑵ Type ⑶ written[writing]
서답형 2 if anything important happens 서답형 3 ⓐ that[which] ⓑ what ⓒ that[which]
서답형 3 ⑴ a word ⑵ an emoticon 서답형 4 I stopped complaining when I found the plants
⑶ more visually than had started popping up
서답형 4  laughing marks  our friends 서답형 5 that → which
서답형 5 ⑴ were making me work has taken → had taken 또는 took
⑵ far[much/still/even/a lot] better things to do very → much[even/far/still/a lot]
서답형 6 ⓒ, pick → picking

실전 모의고사 회 3학년
중 간 고 사
1학기
고난도 모의고사 회 3학년 1학기
중 간 고 사

01 ⑤ 06 ② 11 ③ 16 ③ 01 ④ 06 ① 11 ② 16 ④
02 ② 07 ⑤ 12 ④ 17 ④ 02 ④ 07 ③ 12 ⑤
03 ④ 08 ④ 13 ② 18 ④ 03 ③ 08 ⑤ 13 ④
04 ②, ⑤ 09 ② 14 ② 19 ⑤ 04 ③ 09 ③ 14 ④
05 ⑤ 10 ② 15 ④ 20 ④ 05 ④ 10 ①, ③ 15 ②, ④

서답형 1 우리의 글 속에서조차 웃다 서답형 1 ⑴ clean the place together


서답형 2 ⑴ I wonder how you made the doll. ⑵ put a bench
⑵ Do you know how old Jenny’s sister is? ⑶ put some flower pots
⑶ She went to the Eiffel Tower, which is 서답형 2 feeling → feel
famous for its beauty. which → what
서답형 3 ⑴ 그는 변호사인 아들이 하나 있다. has used → has been used
⑵ 그는 아들이 하나 있는데, 그 아들은 변호사이다. 서답형 3 An emoji is a small picture, which is available
서답형 4 my dad had made me wear gloves to use online so that people can express their
서답형 5 ⓐ had started ⓑ have been laughter in various ways.
서답형 4 ⑴ grew, inch
⑵ doubled in size
⑶ a few days

책1.indb 3 2022-04-02 오후 12:04:29


서술형 모의고사 회 3학년 1학기
중 간 고 사 서술형 모의고사 회 3학년
중 간 고 사
1학기

01 (d)eliver 01  (a)vailable  (c)omplain


02 ⑴ conversation 02 ⑴ tell me where you want to go
⑵ facial ⑵ I don’t[do not] know what I have to do
⑶ neighborhood 03 ⑴ ⓓ ⑵ can it → it can
⑷ admit 04 present
03 ⑴ which is famous 05 ⓐ had bought
⑵ who likes reading ⓑ arrived
04 ⑴ I want to know how many caps you have. ⓒ hadn’t[had not] cleaned
⑵ Can you tell me if[whether] he will come back 06 ⑴ That desk is much[even/far/still/a lot] heavier than
home tonight? this desk.
05  How are you feeling? ⑵ Her speech was much more touching than his
 I’m[I am] glad to have a chance to travel to a new speech.
country. 07 [A] Let’s talk about what we can do for our town.
06 [A] do → don’t [B] can → can’t [B] Why don’t you bring one of your pictures?
07 [A] draw → had drawn 또는 drew 08 who was a soccer player
[B] very → much[still/even/far/a lot] 09 ⓐ laughter ⓑ written
08 ⑴ He found (that) someone had taken his book. 10 ㉠ even ㉡ such as ㉢ as we do
⑵ When we arrived, they had already had lunch. 11 ⓐ 크게 소리 내어 웃기
09 웃음은 인간 고유의 것이다. (인간만이 웃을 수 있다.) ⓑ 바닥을 구르면서 웃기
10 laugh even in our writings ⓒ (입을 벌리고 눈을 질끈 감은 채) 웃는 얼굴
11 Everyone knows what it means. 12 they can be typed quite quickly
12 ⓐ which ⓑ quickly ⓒ closed 13 ⑴ T ⑵ T ⑶ F ⑷ T
ⓓ more visually ⓔ called 14  how much we care for them
13 ⑴ roll ⑵ symbol  how happy we are with them
14 ⑴ 글 속에서 얼굴 표정을 보여준다. 15 ⑴ ⓐ, where to begin
⑵ 이모티콘은 글자나 기호이고 이모지는 작은 그림이다. ⑵ ⓔ, sneeze
15 laughing, available, express, laughter, various 16 ⑴ mess ⑵ assign
16  I had far better things to do. 17 ⓐ 꽃과 채소 씨앗
 I didn’t[did not] understand why we were working ⓑ 상추, 콩, 토마토가 아주 빨리 자란 것
on this place. 18 to see what new flowers are ready to pop up
17 ⓐ was made to work ⓑ was full of 19 pick → picking
18 ⓐ, ⓒ, ⓓ kitchens → kitchen
19 끈을 이용해 그 (더러운) 지역을 네 구역으로 나누고, 각 구역에 20 ⑴ ⓐ which is ⓑ and it is
다섯 명씩 배정했다. ⑵ ⓐ who were ⓑ and they were
20 ⑴ filled fifty trash bags with waste
⑵ pulled wild plants

책1.indb 4 2022-04-02 오후 12:04:29


천재(정)

lesson

3 학 년 1 학 기

중 간 정답 및 설
고사

책1.indb 5 2022-04-02 오후 12:04:29


본문 p. 18 ~ 23
회 3학년 1학기 04 ‘우리는 이제 막 새 학년을 시작했어. 기분이 어떠니?’라는 질문에 대해
단원별 모의고사 중 간 고 사
‘나는 기말고사에서 좋은 점수를 받아서 기뻐.’라고 대답하는 것은 자
연스럽지 않다.

05 ‘Why don’t we make him a photo book as a goodbye


선택형
gift?(우리 이별 선물로 그에게 사진책을 만들어 주는 게 어때?)’와
번호 정답 배점 번호 정답 배점 ‘Great idea.(좋은 생각이야.)’로 보아 두 사람은 지훈이에게 사진책을
01 ④ 11 ② 만들어 줄 것임을 알 수 있다.
02 ③ 12 ③ ① 세호는 언제 지훈이를 처음 만났는가?
03 ⑤ 13 ① ② 어떤 화상 채팅 사이트가 인기 있는가?
③ 지훈이는 왜 이사하기로 결심했는가?
04 ④ 14 ⑤
④ 예나와 세호는 지훈이에게 무엇을 줄 것인가?
05 ④ 4점 15 ③ 4점
⑤ 예나와 세호는 언제 지훈이에게 작별 인사를 할 것인가?
06 ② 공통 16 ④ 공통

07 ③ 17 ③ 06 동사 wonder의 목적어로 쓰인 간접의문문은 「의문사 + 주어 + 동사」


의 어순으로 써야 하므로 how you made the soup이 알맞다.
08 ① 18 ③
09 ① 19 ② 07 ⓒ can → can’t : ‘~을 몹시 기다리다’를 뜻하는 표현은 「can’t
10 ② wait for + 명사(구)」이다.

08 「접속사(and) + 대명사(she)」는 선행사를 부가 설명하는 계속적 용법


의 관계대명사로 바꿔 쓸 수 있다. 선행사가 사람(Amy)이고 빈칸 뒤
서답형
로 동사가 이어지므로 주격 관계대명사 who를 써야 적절하다.
번호 정답 배점
서답형 1 Another form of written laughter is 09 ⓐ such as는 ‘~와 같은’을 뜻하는 전치사구이다.
LOL. ⓑ as는 ‘~하는 것처럼, ~하듯이’를 뜻하는 접속사이다.
서답형 2 which
10 의문문인 ‘What does it mean?(그것은 무엇을 의미하니?)’이 간접
서답형 3 expresses our happy feelings more 의문문으로 쓰여 동사 knows의 목적어 역할을 해야 한다. 의문사가
visually 있는 간접의문문은 「의문사 + 주어 + 동사」의 어순이므로 ‘Everyone
서답형 4 small picture, to use online, express, 4점 knows what it means.’가 되어야 한다.
various 공통
서답형 5 ⓐ deliver ⓑ using ⓒ Laugh 11 ‘We laugh even in our writings’로 보아 사람들은 글 속에서도 웃
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서답형 6 ⑴ Nobody knows if[whether] she will
attend the meeting. 12 ‘XD is not a word. It’s an emoticon ~’으로 보아 XD는 단어가
⑵ Look at the book, which I will give 아니라 이모티콘임을 알 수 있다.
to my brother.
13 ‘Some emojis have grown bigger, and some even move
or make laughing sounds.’로 보아 이모지는 크기가 더 커졌고,
선택형 어떤 이모지는 움직이거나 웃음소리를 내기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01 ⓐ fart와 break wind는 ‘방귀를 뀌다’를 뜻한다. 14 문맥상 ‘우리가 그들과 함께 있어서 얼마나 행복한지’라는 의미가 되도
ⓑ mean과 represent는 ‘의미하다, 나타내다’를 뜻한다. 록 「의문사구 + 주어 + 동사」 어순의 how happy we are with
•식사하는 동안 방귀를 뀌는 것은 무례하다. them으로 써야 알맞다. 의문사구 how happy는 하나의 의문사로
•벽에 있는 그 표시는 무엇을 의미하니? 취급한다.

02 사람들이 언제 화가 나는지 묻는 말에 ‘많은 사람들은 비 오는 날에 버 15 기분이 어떤지 물어봄- 생일 선물을 받아서 기쁘다고 대답함-
스를 놓칠 때 화가 난다.’라고 답하는 것이 가장 자연스럽다. 무슨 선물을 받았는지 물어봄- 드론을 받았고, 할아버지가 보내주
셨다고 함- 드론이 얼마나 높이 날 수 있는지 궁금해함-보여주겠
03 roll은 ‘구르다, 뒹굴다’라는 뜻으로 알맞은 영영풀이는 ‘to move by 다고 하자 고마워함
turning over or from side to side(뒤집거나 좌우로 움직이다)’이
다. ‘국가와 같은 것을 책임지는 사람이 되다’는 rule(지배하다, 다스리 16 기훈이가 민수의 축구팀에 언제 가입할 지는 알 수 없다.
다)의 영영풀이다. ① 새로운 학생의 이름 → 김기훈
① tone(어조)은 ‘한 사람이 지닌 목소리의 성질’을 뜻한다. ② 민수가 정말 신이 난 이유 → 자신의 반에 새로 온 학생이 이전 학
② join(가입하다)은 ‘어떤 단체의 회원이 되다’를 뜻한다. 교의 축구 선수여서
③ various(다양한)는 ‘서로 다른 다수의 특성을 지닌’을 뜻한다. ③ 민수가 기훈이를 그의 팀에 원하는 이유 → 기훈이가 학교 팀의 축
④ symbol(상징)은 ‘다른 무언가를 나타내는 기호나 모양’을 뜻한다. 구 선수였고 민수의 팀은 선수가 필요해서

중간고사 단원별 모의고사

책1.indb 6 2022-04-02 오후 12:04:30


본문 p. 24 ~ 29
⑤ 미소가 기훈이에 관해 희망하는 것 → 민수의 축구팀에 가입하는 것 회 3학년 1학기

17 주어진 문장은 ‘나는 너를 걱정했어.’라는 뜻으로, 윤주가 지훈이의 현


단원별 모의고사 중 간 고 사
재 감정 상태(excited)를 듣고 기쁘다고 한 내용 뒤에 와야 한다. 이어
지는 지훈이의 대답을 보면 사실 본인 역시 슬프다는 말로 윤주의 말
에 동의하고 있으므로 가 가장 알맞다. 선택형
번호 정답 배점 번호 정답 배점
18 ③ that → which :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으로 that은 사용할 수
01 ⑤ 11 ④
없다. 선행사가 앞 문장 전체일 경우 관계대명사는 which를 써야
한다. 02 ④ 12 ④
03 ③ 13 ②
19 ② how Jane’s brother is old → how old Jane’s brother is :
04 ② 14 ②
의문문 ‘How old is Jane’s brother?’이 간접의문문으로 쓰여
동사 know의 목적어 역할을 해야 한다. 의문사구 how old는 하
05 ⑤ 4점 15 ④ 4점

나의 의문사로 취급하므로 「의문사 + 주어 + 동사」의 어순을 살려 06 ④ 공통 16 ② 공통

how old Jane’s brother is로 고쳐야 한다. 07 ⑤ 17 ④


08 ⑤
서답형
09 ④
서답형 1 ‘또 다른 형태의’는 another form of, ‘문자로 된 웃음’은 과거분 10 ③
사 written(문자로 된)을 사용하여 written laughter로 쓴다.

서답형 2 선행사 뒤에 쉼표(,)가 있고 관계사절이 선행사에 대한 부가적인 서답형


설명을 하는 경우 계속적 용법의 관계대명사를 쓴다. 이때 that은 번호 정답 배점
쓸 수 없다.
서답형 1 put up some posters, had set up the
ⓐ 선행사가 ‘ROFL’이므로 which가 알맞다. board
ⓑ 선행사가 ‘an emoticon’이므로 which가 알맞다.
서답형 2 ⑴ He was even faster than his
서답형 3 ‘The emoticon XD expresses our happy feelings more brother.
visually than ha-ha and LOL do.’로 보아 이모티콘 XD는 ⑵ She looks a lot happier than
우리의 행복한 감정을 ha-ha와 LOL보다 더 시각적으로 표현한 others.
다는 것을 알 수 있다. ⑶ The boy wants to become much
[still/even/far/a lot] more popular
서답형 4 이모지는 사람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그들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 4점
than other boys.
도록 온라인에서 사용될 수 있는 작은 그림이다. 공통
서답형 3 Thank you for suggesting
서답형 5 ⓐ our voice tones 를 목적어로 가지는 동사가 필요하다. 서답형 4 We were all wondering where to
represent와 and로 연결되어 병렬구조를 이루도록 동사원 begin.
형인 deliver가 알맞다. 서답형 5 ⑴F ⑵F ⑶F ⑷T
ⓑ by + -ing : ~함으로써 서답형 6 what a good thing we did!
ⓒ 「명령문, and + 주어 + 동사」는 ‘~해라, 그러면 …’라는 뜻의
서답형 7 ⓐ them ⓑ that
구문이다. 이때 명령문은 동사원형으로 시작하므로 Laugh를
서답형 8 much[even/far/still] more
써야 한다.

서답형 6 ⑴ 의문사가 없는 간접의문문은 「if[whether] + 주어 + 동사」의


선택형
어순으로 나타낸다.
⑵ the book과 it이 같은 대상을 가리키므로 관계대명사를 이용 01 ⑤는 ‘이 장소는 학급 반장들 덕분에 훨씬 더 좋다.’라는 의미의 문장이
해 두 문장을 연결한다. 계속적 용법을 써야 하므로 사물 선행 다. thanks to는 ‘~ 덕분에’라는 뜻이다.
사 the book 뒤에 쉼표(,)를 쓴 다음 관계대명사 which를 쓰
고 두 번째 문장의 목적어 it을 제외한 나머지를 이어 쓴다. 02 시계를 샀던 일은 시계를 잃어버렸던 일보다 더 이전에 일어난 일이다.
따라서 관계사절의 동사는 과거완료 (had + 과거분사)인 had
bought로 써야 한다.

03 assign(맡기다, 배정하다)은 ‘누군가에게 업무나 일을 주다’라는 뜻으


로 맞는 설명이다.
① awful(끔찍한)은 good을 bad로 고쳐야 맞는 설명이 된다.
② mess(쓰레기 더미, 혼잡)는 clean을 dirty로 고쳐야 맞는 설명이
된다.

중간고사 단원별 모의고사

책1.indb 7 2022-04-02 오후 12:04:30


④ complain(불평하다)은 right를 wrong으로 고치고 satisfactory 던 것을 멈추었음
앞에 부정어 not을 써야 맞는 설명이 된다. ⑤ 그 지역을 사람들이 좋아하는 곳으로 바꾼 후 ‘나’는 어떤 기분인
⑤ ‘누군가가 당신을 위해 일하게 하고 그것에 대한 대가를 지불하다’ 가? → 자랑스러움
는 volunteer(자원봉사하다)가 아니라 employ(고용하다)에 대한
설명이다.
17 ④ cleaned → had cleaned 또는 과거시제 cleaned, had
helped → helped : 방을 청소한 것이 엄마를 도운 것보다 더 과
04 ‘그림을 좀 거는 게 어때?’라는 질문에 ‘좋은 생각이야.’라고 한 후 ‘벽 거에 일어난 일이므로, cleaned는 과거완료인 had cleaned가
에는 이미 사진이 많이 있어.’라고 대답하는 것은 어색하다. 되어야 하고 had helped는 과거형인 helped가 되어야 한다. 단,
접속사 before 등으로 시간의 전후 관계가 분명히 나타나는 경우
05 는 비교급 easier, 는 비교급 more difficult를 강조하여 비교 먼저 발생한 사건이더라도 과거시제를 쓸 수 있으므로 had
급 앞에서 ‘훨씬’의 뜻을 나타내는 much, still, even, far, a lot 중
cleaned를 cleaned로 쓸 수 있다.
하나를 써야 알맞다.

06 ‘That’ll really help us remember important school events.’ 서답형


는 ‘그것(이번 학년도 계획)은 우리가 중요한 학교 행사를 기억하는 데
서답형 1 표의 제목이 ‘학급 반장들이 지난달에 한 일’이므로 모두 과거에
정말 도움이 될 거야.’라는 뜻이다. 유니가 세호와 준호에게 중요한 학
일어난 일임을 알 수 있다.
교 행사들을 도와달라고 할 것이라는 내용은 언급되어 있지 않다.
•6월 11일에 포스터를 붙인 일은 put의 과거형(put-put-put)을

07 빈칸 앞에서 버스 정류장에 쓰레기가 너무 많다는 말에 동의한다고 했 이용하여 put up some posters로 쓴다.
으므로 빈칸에는 쓰레기를 치우자고 제안하는 말이 들어가야 자연스럽 •6월 10일에 판을 설치한 것이 포스터를 붙인 것보다 더 과거에
다. ‘What do we need for cleaning the place together?’는 일어난 일이므로 과거완료(had + 과거분사)를 이용하여 had
‘우리가 함께 그 장소를 청소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할까?’라는 뜻이므 set up the board로 쓴다.
로 뒤에 이어지는 ‘Good(좋아).’이라는 대답과도 어울리지 않는다.
서답형 2 ⑴ 뒤에 「than + 비교 대상」이 쓰였으므로 fast 의 비교급인

08 ‘I complained the whole day.(나는 온종일 불평했다.)’로 보아 글 faster를 써야 한다.


쓴이는 기분이 좋지 않음(unpleased)을 알 수 있다. ⑵ 비교급을 강조하여 ‘훨씬’을 뜻하는 부사(구)에는 a lot,
•relieved : 안심한, 안도한 much, still, even, far가 있다. a lot of는 ‘많은’을 뜻하는
표현이다.
09 ‘It was full of ~ every other kind of dirty trash ~.’로 보아 그
⑶ very는 비교급을 강조할 수 없다. 비교급을 강조하기 위해서
지역은 다양한 종류의 더러운 쓰레기로 가득했음을 알 수 있다.
는 much, still, even, far, a lot 중 하나를 써야 한다.

10 20명을 다섯 명씩 나누어 각 구역에 배정했으므로 구역은 모두 네 개


서답형 3 「thank A for B」는 ‘A에게 B에 대해 감사하다’를 뜻한다. 전치사
로 나누어졌음을 알 수 있다.
for 다음에 동명사 suggesting을 쓰는 것에 유의한다.
11 ⓓ to sneeze → sneeze : 사역동사 make는 「make + 목적어 + 서답형 4 주어 We 다음에 과거진행형 동사 were all wondering을 쓴다.
동사원형」의 형태로 써야 하므로 ‘재채기하다’라는 뜻의 동사
wondering의 목적어로 「where + to부정사」 형태의 where
sneeze를 동사원형으로 쓴다.
to begin을 써서 문장을 완성한다.
12 ‘We filled fifty trash bags with waste and were ready to
서답형 5 ⑴ 글쓴이는 일이 진행 중이던 점심시간 무렵에 땀을 흘렸다.
pull wild plants. As we pulled and pulled, ~’로 보아 글쓴이 ⑵ 사람들은 쓰레기봉투 50개를 쓰레기로 채웠다.
는 쓰레기를 줍고 잡초를 뽑는 일을 했음을 알 수 있다.
⑶⑷ 사람들이 잡초를 뽑을수록 먼지가 공기를 가득 채웠고, 사
13 ⓑ ‘After about two weeks, I stopped complaining when I 람들은 이로 인해 재채기를 했다.

found the plants had started popping up!(약 2주 뒤, 나는 식 서답형 6 what으로 시작하는 감탄문은 「what + a(n) + 형용사 + 명사 +
물들이 자라나기 시작한 것을 발견했을 때 불평하는 것을 멈추었다!)’
주어 + 동사!」의 어순으로 쓴다.
의 내용으로 보아 기분이 좋지 않았던 글쓴이에게 심경의 변화가 일어
났음을 알 수 있다. 서답형 7 ⓐ some flowers를 가리키는 대명사이므로 복수형인 them이
되어야 한다.
14 의 동사 hit은 ‘(생각 등이 불현듯) 떠오르다’를 의미하므로 ‘갑자기 ⓑ ‘~을 자랑스러워하다’는 「be proud of + 명사(구)」 또는 「be
(~라는) 생각이 떠올랐다’가 해석으로 알맞다.
proud that + 주어 + 동사」 또는 「be proud to + 동사원
15 ⒟ 나는 꽃과 채소 씨앗을 심었다.-⒝ 그 식물들은 매우 빨리 자랐 형」으로 쓸 수 있다. I’m proud 뒤에 주어와 동사(we made)
다.-⒞ 많은 사람들이 그 지역에 가서 즐거운 시간을 보낸다.-⒜ 나 가 있으므로 접속사 that을 써야 한다.
는 양로원에 가져갈 꽃을 딴다.
서답형 8 비교급이 되도록 interesting 앞에 more을 붙인 후 ‘훨씬’이라는

16 사람들이 무슨 꽃을 심었는지는 언급되어 있지 않다. 의미로 비교급을 강조하는 부사 much[even/far/still]를 more


① 채소는 잘 자랐는가? → 상추, 콩, 토마토가 아주 빠르게 자람 interesting 앞에 써야 한다.
③ ‘나’는 요즘 그 지역에 얼마나 자주 가는가? → 매일 감
④ 식물이 자라나기 시작했을 때 ‘나’는 무엇을 멈추었는가? → 불평하

중간고사 단원별 모의고사

책1.indb 8 2022-04-02 오후 12:04:31


본문 p. 32 ~ 37
회 3학년 1학기
04 의문문 ‘How many books does he read a week?(그는 일주일
실전 모의고사 중 간 고 사
에 몇 권의 책을 읽니?)’가 「의문사 + 주어 + 동사」의 어순으로 된 간
접의문문으로 쓰여 동사 wonder의 목적어 역할을 한다. 의문사구
(How many books)는 하나의 의문사로 취급하므로 I wonder 다
음에 ‘how many books he reads a week’를 쓴 ③이 올바른 영
선택형
작이다.
번호 정답 배점 번호 정답 배점
01 ③ 12 ⑤ 05 「Let’s talk about ~」은 ‘~에 대해 말해보자’라는 뜻으로 대화의 주
제를 소개할 때 사용할 수 있는 표현이다.
02 ⑤ 13 ③
03 ④ 14 ④ 06 far는 비교급 faster를 강조하여 ‘훨씬’이라는 의미로 쓰였으므로 ‘더
04 ③ 15 ⑤ 멀리’가 아니라 ‘훨씬’이라고 해석해야 한다.

05 ④ 16 ③
07 nervous는 ‘초조한, 불안해하는, 걱정하는’이라는 뜻이므로, ‘나는 매
4점 4점
06 ② 17 ① 우 초조해. 나는 그 책들을 도서관에 반납했어.’라는 내용의 ③은 자연
공통 공통
07 ③ 18 ③ 스럽지 않다.

08 ④ 19 ③, ⑤
08 ‘What to bring : gloves, trash bags’로 보아 장갑과 쓰레기봉투
09 ⑤ 20 ① 는 직접 가져와야 하는 것들임을 알 수 있다.
10 ② 21 ⑤
09 빈칸 앞에서 우리는 글 속에서조차 웃을 수 있다고 하므로 such
11 ③
as (~와 같은) 뒤에는 글의 종류를 언급해야 한다. 따라서 voice
messages(음성 메시지)는 빈칸에 알맞지 않다.
서답형
10 ‘We laugh out loud when we hear a joke, see something
번호 정답 배점 funny, or feel happy.’로 보아 우리는 우스운 것을 볼 때 웃는다는
서답형 1 knows what it means 것을 알 수 있다.
서답형 2 stands for 4점
11 윗글은 문자로 웃음을 나타내는 LOL, ROFL, XD를 소개하고 그 의
서답형 3 ⓓ, much → more 공통 미를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③의 ‘문자로 된 웃음의 예시와 그것들의
서답형 4 ⓔ, have become → has become 의미’가 주제로 가장 알맞다.
① 문자로 된 웃음의 한계
② 문자로 된 웃음을 전달하는 효과적인 방법
선택형
④ 이모티콘과 컴퓨터 기술의 역사
01 hit은 ‘(생각 등이 불현듯) 떠오르다’라는 뜻이므로 ‘무언가에 대해 생각 ⑤ 문자로 된 웃음 때문에 발생하는 전달 오류
하는 것을 멈추다’라는 영영풀이는 알맞지 않다.
12 XD를 소개한 후 이모티콘이 얼굴 표정을 나타내는 한 무리의 문자나
① ugly(볼품없는)는 ‘바라보기에 불편한’을 뜻한다. 상징이라는 정의를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XD가 이모티콘을 이루는
② mess(쓰레기 더미, 혼잡)는 ‘지저분해보이는 장소나 사물’을 뜻한다. ⓔ ‘한 무리의 문자’에 해당되지 않는다는 설명은 옳지 않다.
④ deliver(전달하다)는 ‘누군가에게 정보나 생각을 주거나 보내다’를
뜻한다. 13 ㉠ 빈칸 앞에 선행사 ROFL과 쉼표(,)가 있고 빈칸 뒤로 ROFL의 의
⑤ symbol(상징)은 ‘다른 것을 나타내기 위해 쓰이는 모양이나 물체’ 미를 설명하고 있으므로, 선행사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을 하는 계
를 뜻한다. 속적 용법의 관계대명사 which를 써야 알맞다. which는 「접속사
+ 대명사」 형태인 and it으로 바꿔 쓸 수 있다.
02 •그는 양로원에서 자원봉사자로 일했다.
㉡ 빈칸 앞 주어 they는 LOL과 ROFL을 가리키는데, 이는 ‘타자로
•그 학생들은 텅 빈 지역을 청소하는 것을 돕기 위해 자원했다.
치는’ 대상이므로 수동태 be typed를 써야 알맞다. 조동사가 있는
수동태는 「조동사 + be + 과거분사」의 형태로 나타낸다.
03 ① that → who :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에서는 that을 쓸 수 없
다. 선행사(two children)가 사람이므로 주격 관계대명사 who를
14 ROFL은 ‘바닥을 구르면서 웃기’를 의미하므로 ‘나는 수학 시험에 통
써야 한다.
과하지 못해서 기분이 좋지 않아.’라는 문장과 함께 사용하기에 알맞지
② who they → who : 주어 they를 대신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않다.
who를 사용했으므로 중복되는 they는 삭제한다.
③ Jenny → which Jenny : 두 문장을 연결할 관계대명사가 필요 15 준호, 미진, 수호가 학급 임원들이 교문의 게시판을 단장해준 것에 대
하다. 따라서 gave의 직접목적어(the violin)를 대신하는 목적격 한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관계대명사 which를 써야 한다.
16 윗글은 웃음 표시를 사용함으로써 글 속에서도 다른 사람들에게 우리
⑤ sent it → sent : 목적어 it을 대신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의 감정을 전달할 수 있다는 내용이므로 ③의 ‘웃음 표시를 사용하는
를 사용했으므로 중복되는 it은 삭제한다.
것의 효과’가 제목으로 가장 알맞다.

중간고사 실전 모의고사

책1.indb 9 2022-04-02 오후 12:04:31


본문 p. 38 ~ 43
17 동사 show의 직접목적어로 쓰인 간접의문문은 「의문사 + 주어 + 동 회 3학년 1학기
사」의 어순으로 쓴다. 실전 모의고사 중 간 고 사
 how much는 하나의 의문사로 취급하여 함께 쓴다.
 how happy는 하나의 의문사로 취급하여 함께 쓴다.

18 의 sneeze는 ‘재채기하다’라는 뜻이므로 ‘무언가를 더 많이 알고 선택형


싶어하다’는 영영풀이로 알맞지 않다. 번호 정답 배점 번호 정답 배점
01 ⑤ 12 ⑤
19 ⓒ 세 번째 문단의 ‘We filled fifty trash bags with waste ~.’로
보아 ‘먼지(dust)’가 아니라 ‘쓰레기(waste)’로 쓰레기봉투를 채 02 ⑤ 13 ③
웠다. 03 ② 14 ②
ⓔ 세 번째 문단의 마지막 문장에서 쓰레기와 잡초를 치운 후 공터가 04 ② 15 ⑤
훨씬 더 나아보인다고 했다. 또한 마지막 문단에서 글쓴이는 식물
05 ③ 16 ⑤
이 자라는 것을 발견했을 때 불평하는 것을 멈췄으며 믿을 수 없을 4점 4점
06 ④ 17 ②
만큼 놀랐다. 따라서 글쓴이의 심경은 ‘무서운’을 뜻하는 scared가 공통 공통
07 ⑤ 18 ③
아니라 ‘만족한’을 뜻하는 satisfied가 되어야 한다.
08 ⑤ 19 ③
20 와 ①의 what은 감탄문을 만드는 데 쓰였다. what으로 시작하는 09 ⑤ 20 ⑤
감탄문은 「what + a(n) + 형용사 + 명사 (+ 주어 + 동사)!」의 어순으
10 ④ 21 ②, ④
로 쓴다. news는 셀 수 없는 명사여서 단수 취급하므로 what 다음에
바로 형용사가 이어진다. 11 ③
② 의문형용사
③④ 관계대명사 서답형
⑤ 의문대명사
번호 정답 배점

21 ‘The vegetables will go to every kitchen in our town.(채소 서답형 1  I’m sorry to hear that.
들은 우리 마을의 모든 부엌으로 갈 것이다.)’로 보아 마을 사람들이 정  I’m glad to be in the same class as
원의 채소들을 먹을 것임을 알 수 있다. Jane.
서답형 2 LOL, ROFL 4점
서답형
서답형 3  I had far better things to do. 공통
서답형 1 대명사 everyone은 단수 취급하므로 동사는 3인칭 현재시제  I bet there are snakes in there, too.
knows를 쓴다. knows의 목적어로 「의문사 + 주어 + 동사」로 서답형 4 to see what new flowers are ready to
된 간접의문문 what it means를 쓴다. pop up

서답형 2 mean은 ‘의미하다’라는 뜻으로, stand for(~을 나타내다, 상징


선택형
하다)와 바꿔 쓸 수 있다.

서답형 3 ⓓ 앞의 a lot은 ‘훨씬’이라는 뜻으로 형용사나 부사의 비교급을 01  ‘무언가 또는 누군가를 보여주거나 묘사하다’를 뜻하는 단어는
represent(나타내다)이다.
강조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많이’라는 뜻으로 쓰인 부사
 ‘호텔 방이나 식당을 이용하기로 (정)하다’를 뜻하는 단어는
much를 비교급 more로 고쳐야 한다.
book(예약하다)이다.
서답형 4 문장의 주어가 3인칭 단수(an ugly and dirty lot)이므로 동사는
3인칭 단수형인 has become이 되어야 한다. 02 학교 축제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기 위해 ‘우리가 축제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말해보자.’라고 하는 것이 가장 자연스럽다. 「Let’s talk
about ~」은 ‘~에 대해 말해보자’라는 뜻이다.

03 의문사가 쓰인 간접의문문으로, 어제 일어난 일을 묻고 있으므로


happen은 과거형인 happened가 되어야 한다.

04 ⓑ Do you think where → Where do you think : think와 같


이 생각이나 추측을 나타내는 동사가 사용된 의문문에 간접의문문
이 포함되는 경우, 간접의문문의 의문사는 문장의 맨 앞에 쓴다.
ⓓ how old is your grandmother → how old your
grandmother is : 간접의문문의 어순은 「의문사 + 주어 +동사」
이다. how old는 하나의 의문사로 취급한다.
ⓕ 관계대명사 that은 앞에 쉼표(,)가 쓰인 계속적 용법으로는 쓸 수
없다.

중간고사 실전 모의고사

10

책1.indb 10 2022-04-02 오후 12:04:32


05 ‘우리 팀에 새 축구 선수가 필요하다’는 말에 ‘내가 너희 팀에 가입해도 19 글쓴이는 먼저 Hernandez 씨가 나눈 구역에 배정되었고 쓰레기봉투
될까?’라고 물어보는 것은 자연스럽다. 를 쓰레기로 채운 다음 잡초를 뽑았다.

06  민수야, 지훈이가 다음 주에 아랍 에미리트의 아부다비로 이사 간 20 사람들과 함께 심은 식물들이 빨리 자라는 것을 보고 글쓴이는 놀랐고


대. 기분이 어떠니?- 슬퍼. 그 애가 많이 보고 싶을 거야.- 나 두 달 후에는 매일 그곳에 가는 것을 즐기게 되었다. 따라서 ‘불평하는
도 슬퍼, 하지만 기쁘기도 해. 우리는 아부다비를 방문할 수 있잖아. 그 것을 멈췄다’는 뜻이 되도록 「stop + 동명사」 형태의 stopped
가 우리를 초대할 거야. 약속했어.- 그거 굉장하다! 새로운 나라로 complaining을 써야 한다.
여행할 기회를 얻게 되어 기뻐. •「keep + 동명사」 : 계속해서 ~하다
•「start + to부정사/동명사」 : ~하는 것을 시작하다
07 밑줄 친 는 ‘우리 동아리실에 대해서 말해 보자.’라는 뜻으로, 「Let’s
•「stop + to부정사」 : ~하기 위해 (하던 것을) 멈추다
talk about ~」은 함께 대화하고자 하는 주제를 소개할 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⑤의 ‘우리 지금 동아리실에 관해 이야기를 시작해 볼 21 글쓴이가 두 번째 날에 한 일과 그가 그 지역에서 가장 좋아하는 식물
까?’와 바꿔 쓸 수 있다. 이 무엇인지는 언급되어 있지 않다.
① 글쓴이에게 가장 힘들었던 날은 언제인가? → 첫 번째 날
08 ⓔ happen → happens : 대명사 anything은 단수 취급하므로 동
③ 씨를 뿌리고 나서 2주 후에 그 지역에는 어떤 일이 생겼는가? →
사 happen을 happens로 써야 한다.
식물들이 자라기 시작했다.
09 셰익스피어가 문자로 된 웃음을 사용한 이유는 언급되어 있지 않다. ⑤ 글쓴이는 그 지역에 어떤 종류의 씨앗을 심었는가? → 꽃과 상추,
토마토, 콩 등의 채소
10 해당 문단은 글속에서 웃음을 표현하는 방법의 하나로 이모티콘 ‘XD’
를 소개하고 있으므로 ‘사람들은 얼굴 표정을 위해 다양한 근육을 사용 서답형
한다.’는 흐름상 자연스럽지 않다.
서답형 1  ‘I’m sorry to hear that.’은 ‘그 말을 들으니 안됐구나.’를 뜻
11 사람들이 언제 ROFL 대신에 LOL을 사용하는지는 언급되어 있지 않다. 하는 표현이다.
① ROFL 은 무엇을 나타내는가? → Rolling On the Floor  be in the same class as는 ‘~와 같은 반이 되다’라는 뜻
Laughing 이다.
② LOL과 ROFL은 왜 인기가 있는가? → 빠르게 타자 칠 수 있어서
④ 이모티콘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 얼굴 표정을 나타내기 위해 사 서답형 2 they는 앞에 나온 LOL과 ROFL을 가리킨다.

용되는 한 무리의 문자나 상징


서답형 3  ‘더 나은’을 뜻하는 형용사의 비교급 better 앞에 비교급 강조
⑤ XD와 LOL 중 무엇이 우리의 감정을 더 시각적으로 잘 보여주는 부사 far를 써서 목적어 far better things를 쓴다. things
가? → XD
뒤에 형용사적 용법으로 명사를 뒤에서 수식하는 to do를 써

12 care for는 ‘~을 좋아하다’ 또는 ‘~을 돌보다’를 뜻한다. 윗글에서는 서 목적어를 완성한다.
‘(그들을) 좋아하다’의 의미로 쓰였다.  ‘~을 확신하다’를 뜻하는 「I bet (that) ~」과 ‘~이 있다’를 뜻
하는 「there is/are ~」를 이용하여 영작한다.
13 ‘Lots of laughing emojis are available to use online, so
people can express their laughter in various ways.’로 보아 서답형 4 ‘~하기 위해’는 to부정사의 부사적 용법을 이용한다. see의 목적

이모지를 이용하여 온라인에서 웃음을 표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어인 ‘어떤 새로운 꽃들이 피어날 준비가 되었는지’는 간접의문문
인 「의문사 + 주어 + 동사」의 어순으로 쓴다. 이때 what new
14 break wind와 fart는 모두 ‘방귀를 뀌다’를 뜻한다. flowers는 의문사구이면서 간접의문문의 주어이므로 뒤에 동사

15 ‘Laughing marks can represent our facial expressions are가 이어진다. ‘~할 준비가 되어 있다’를 의미하는 표현은 「be
and deliver our voice tones.’로 보아 웃음 표시를 사용하면 우리 ready to + 동사원형」이다.
의 목소리 어조를 온라인상에서 전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6 부모님이 시켜서 참가한 프로젝트로 인해 온종일 불평했다고 했으므로


annoyed(화가 난)가 글쓴이의 심경으로 가장 알맞다.
① 질투하는 ② 기쁜 ③ 감사하는 ④ 만족스러운

17 ‘나는 이 끔찍하게 더러운 곳을 청소하여 정원으로 바꿀 수 있다고 생


각하지 않았다.’라는 의미가 되는 것이 자연스러우므로 mess up(지
저분하게 만들다)이 아닌 clean up(청소하다)이 되어야 한다.

18 ⓑ has made → had made : 글쓴이가 더워서 땀을 흘린 것보다


아버지가 장갑을 끼도록 시킨 것이 더 과거에 일어난 일이므로 과
거완료(had + 과거분사)인 had made가 되어야 한다.
ⓓ were filled → filled : 주어 we가 쓰레기봉투를 채우는 주체이므
로 수동형 were filled를 filled로 고쳐야 한다.

중간고사 실전 모의고사

11

책1.indb 11 2022-04-02 오후 12:04:32


본문 p. 44 ~ 49
축구 선수였대.)’으로 보아 기훈이는 전에 다니던 학교의 축구팀에 있
회 3학년 1학기
실전 모의고사 중 간 고 사
었음을 알 수 있다.
•belong to : ~에 속하다, 소속이다

06 미소가 제안한 동아리 회원 목록은 신입 회원들의 이름을 아는 데 도


선택형 움이 될 것이며, Rob이 제안한 이번 학년도 계획은 중요한 학교 행사
번호 정답 배점 번호 정답 배점 를 기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01 ⑤ 11 ③
07 세호는 미소가 제시한 주제에 대해 논의하기를(discuss) 원했고, 미
02 ④ 12 ④ 소와 Rob은 동아리 회원 명단과 이번 학년도 계획을 벽에 붙여야
03 ③ 13 ② (put) 한다고 말했다.
04 ④ 14 ④
08 윗글은 문자로 된 웃음인 ‘ha-ha’를 설명하는 글이므로 ②의 ‘글 속에
05 ④ 4점 15 ④, ⑤ 4점 서 웃는 한 가지 방법’이 제목으로 가장 알맞다.
06 ④ 공통 16 ③ 공통
09 ⓐ to feel → feel : 동사 hear, see와 함께 등위접속사 and로 연결
07 ④ 17 ③
되어 있으므로 주어 we에 대한 현재시제 동사 feel을 써야 한다.
08 ② 18 ③ ⓒ know → knows : ‘모든 사람’을 뜻하는 everyone은 단수 취급
09 ①, ③ 19 ⑤ 하므로 3인칭 단수 현재시제 동사 knows를 써야 한다.
10 ②
10 빈칸 앞에 쉼표(,)가 있고 빈칸 뒤로 선행사 ROFL과 an emoticon
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이 이어지므로 계속적 용법의 관계대명사
서답형 which가 알맞다.

번호 정답 배점 11  ‘웃는 얼굴’이라는 의미를 나타내도록 능동의 현재분사 laughing


서답형 1 ⓐ, I had lived there until last month. 을 써서 명사 face를 수식해야 한다.
ⓑ, We were sad that someone had  ‘(얼굴 표정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의 의미로 앞에 있는 a
stolen our bikes. group of letters or symbols를 수식하는 과거분사 used가
서답형 2 if anything important happens 알맞다. used 앞에 「주격 관계대명사 + be동사」인 which is가
서답형 3 ⑴ a word ⑵ an emoticon 생략된 것으로 볼 수 있다.
4점
⑶ more visually than
공통 12 XD의 부정적인 영향에 대해서는 언급되지 않았다.
서답형 4  laughing marks  our friends ① LOL의 의미 → 크게 소리 내어 웃기
서답형 5 ⑴ were making me work ② ROFL이 인기 있는 이유 → 빠르게 타자를 칠 수 있어서
⑵ far[much /still /even /a lot] better ③ XD가 보여주는 얼굴 표정 → 눈을 질끈 감은 채 웃는 얼굴
things to do ⑤ XD와 ha-ha의 차이점 → XD는 행복한 감정을 ha-ha보다 더 시
서답형 6 ⓒ, pick → picking 각적으로 표현한다.

13 ②의 that은 remember의 명사절 목적어를 이끄는 접속사이고, 


선택형 와 나머지 that은 목적격 관계대명사이다.

01 •나는 마침내 VTS 콘서트 표 네 장을 예매했다. 14  모두 어디서부터 일을 시작할지 모르던 와중에 Hernandez 씨가
•그 책은 두 소년 사이의 우정에 관한 것이었다. 제안을 했다.- Hernandez 씨는 구역을 나누고 사람을 배치했
다.- 쓰레기를 주운 후에 잡초를 뽑을 준비를 했다.- 잡초를 뽑
02 ④의 who는 계속적 용법의 관계대명사이고, <보기>와 나머지 who는
았다.
간접의문문에 쓰인 의문대명사이다.
15 ⓓ finish → begin : 앞에서 필자는 ‘이 끔찍하게 더러운 곳(this
03 Ha-ha는 웃음소리이므로 빈칸에는 ‘웃음’을 뜻하는 laughter가 들어
awful mess)’을 치울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지 않았고, 뒤에서
가야 한다. mark는 ‘기호, 표시’를 뜻한다.
Hernandez 씨가 ‘그것을 할 유일한 방법은 그냥 시작하는 것’이
① 하얀 비둘기는 평화의 상징이다.
라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 모두는 어디서부터 시작
② 그녀의 얼굴 표정이 바뀌었다.
할지 궁금해하고 있었다’라는 의미가 되도록 finish를 begin으로
③ Ha-ha는 웃음소리이다.
고쳐야 한다.
④ TBH는 “To Be Honest”를 나타낸다.
ⓔ deny → admit : 쓰레기를 치우고 잡초를 뽑은 결과 공터가 훨씬
⑤ 나는 내가 이어폰을 끼고 음악을 듣고 있었다는 것을 깨달았다.
보기 좋아졌다는 내용이 되어야 한다. 필자가 이 사실을 인정하는
04  는 아직 정해지지 않은 선수 한 명을 가리키고, 나머지는 Kim 게 맥락상 자연스러우므로 ‘부인하다’를 뜻하는 deny를 admit으
Kihun(김기훈)을 가리킨다. 로 고쳐야 한다.

05 ‘He was a soccer player on his school team.(그는 학교 팀 16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장소를 의미하므로 the lot(그 구역)이 알

중간고사 실전 모의고사

12

책1.indb 12 2022-04-02 오후 12:04:33


맞다. 서답형 4  앞에 나온 laughing marks(웃음 표시)를 가리킨다.
•더러운 지역을 ‘더 나은 공간’으로 변화시킬 수 없을 것이라는 의미가  앞에 나온 our friends(우리의 친구들)를 가리킨다.
되어야 하므로 this awful mess와 대조되는 a garden(정원)이 알
서답형 5 ⑴ ‘~가 …하도록 만들다’는 「make + 목적어 + 동사원형」으로
맞다.
쓴다.
17 ③ how you are going to wait for her long → how long you ⑵ 비교급인 better를 강조하는 부사 far[much/still/even/a
are going to wait for her : 문맥상 ‘네가 그녀를 얼마나 오래 lot]를 써야 한다. to do는 앞에 있는 명사구(better things)
기다릴 것인지’라는 의미의 간접의문문이 되도록 ‘얼마나’라는 뜻의 를 수식하는 형용사적 용법의 to부정사이다.
how 뒤로 부사 long을 써서 의문사구 how long을 완성해야 한
서답형 6 전치사의 목적어로는 명사나 동명사를 써야 한다. 뒤에 목적어
다. 이때 how long은 하나의 의문사로 취급하며 뒤에 주어와 동
사가 이어진다.
flowers가 있으므로, of의 목적어로 쓰이면서 또한 목적어를 가
질 수 있는 동명사 picking을 써야 알맞다.
•optimistic : 긍정적인
•psychology : 심리학
•transfer to : ~로 옮기다

18 와 ③은 ‘(생각 등이) 떠오르다’의 뜻으로 쓰였다. hit은 ‘때리다, 치


다, 부딪치다’ 등의 뜻도 가진다.
① 머리를 부딪치지 않게 조심해라.
② Jack은 정말 화가 나서 벽을 쳤다.
본문 p. 50 ~ 55
③ 갑자기 그 과학자에게 좋은 생각이 떠올랐다.
회 3학년 1학기
④ 그 선수는 야구 배트로 공을 더 세게 쳤다.
⑤ 열차가 그 차에 부딪쳤을 때 아무도 다치지 않았다.
실전 모의고사 중 간 고 사

19 정원에서 기른 채소는 마을의 모든 부엌으로 갈 것이라고 했으나 누가


채소를 부엌으로 배달하는지에 대해서는 언급되지 않았다. 따라서 글 선택형
쓴이가 무엇을 부엌으로 배달하는지 묻는 질문과 이에 대한 대답은 알
번호 정답 배점 번호 정답 배점
맞지 않다.
01 ⑤ 11 ③
① Q : 글쓴이는 왜 매일 그 지역에 가는가?
A : 그는 어떤 새로운 꽃들이 피어날 준비가 되었는지 보고 싶기 때
02 ② 12 ④
문이다. 03 ④ 13 ②
② Q : 많은 사람들은 정원에서 무엇을 하는가? 04 ②, ⑤ 14 ②
A : 그들은 경치를 즐기고 함께 이야기를 나눈다. 05 ⑤ 4점 15 ④ 4점
③ Q : 글쓴이는 프로젝트의 일부였던 것을 어떻게 느끼는가? 06 ② 공통 16 ③ 공통
A : 그는 자랑스럽게 생각한다.
07 ⑤ 17 ④
④ Q : 글쓴이는 양로원을 위해 무엇을 하는가?
08 ④ 18 ④
A : 그는 그곳을 위해 꽃을 딴다.
09 ② 19 ⑤
서답형 10 ② 20 ④

서답형 1 ⓐ have lived → had lived : 과거 시점인 지난달 이전부터 지


난달까지 그곳에 살았으므로 과거완료(had + 과거분사)인 서답형
had lived로 써야 한다. 번호 정답 배점
ⓑ stole → had stolen : 자전거를 훔친 것이 슬픈 것보다 더 서답형 1 우리의 글 속에서조차 웃다
먼저 일어난 일이므로 과거완료(had + 과거분사)인 had
서답형 2 ⑴ I wonder how you made the doll.
stolen으로 써야 한다.
⑵ Do you know how old Jenny’s
서답형 2 -thing 으로 끝나는 부정대명사는 형용사가 뒤에서 수식한다. sister is?
anything은 단수 취급하므로 동사는 3인칭 현재시제 happens ⑶ She went to the Eiffel Tower, which
4점
로 쓴다. happen은 자동사이므로 수동형으로 쓸 수 없음에 유의 is famous for its beauty.
공통
한다. 서답형 3 ⑴ 그는 변호사인 아들이 하나 있다.
⑵ 그는 아들이 하나 있는데, 그 아들은 변호
서답형 3 XD와 LOL의 차이를 묻고 있다. XD는 단어(a word)가 아니라
사이다.
이모티콘(an emoticon)이며, 우리의 행복한 감정을 LOL보다
서답형 4 my dad had made me wear gloves
더 시각적으로(more visually than) 나타낸다.
서답형 5 ⓐ had started ⓑ have been

중간고사 실전 모의고사

13

책1.indb 13 2022-04-02 오후 12:04:33


선택형 장 알맞다.

01 ⑤에는 ‘재채기하다’를 뜻하는 sneeze가 들어가야 한다. 10 윗글에서 우리가 글 속에서조차 웃을 수 있다고 했고 마지막 문장에서

① 그 소년은 자신이 공을 창문으로 던졌다고 인정했다(admitted). ‘함께 알아보자.’라고 했으므로, 문자로 된 웃음의 다양한 형태에 대한

② 아빠가 토마토를 심은 후에 우리는 그것들에 물을 주었다(watered). 내용이 이어지는 것이 자연스럽다.

③ 우리 수학 선생님은 매일 숙제를 내주신다(assigns).


11  ‘하하’는 문자로 된 웃음의 한 형태이다.- 모두가 그것이 무엇
④ 내년에 토마토 가격이 두 배가 될(double) 것 같다. 을 의미하는지 안다.- 실제로 그것은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왔다.-
⑤ 다른 사람들에게 침이 튀지 않도록 재채기할(sneeze) 때 입을 가  셰익스피어조차도 ‘하하’를 자신의 작품에 사용하였다.
려라.
12 ⓓ representing → represent : 과거분사 used는 앞에 있는 명사
02  be full of와 be filled with는 ‘~로 가득 차다’를 의미한다. 구 a group of letters or symbols를 수식하는 형용사 역할을
 stand for와 represent는 ‘~을 나타내다’를 의미한다. 한다. used 뒤의 to 이하는 문맥상 ‘얼굴 표정을 나타내기 위해’라
•그 콘서트홀은 학생들로 가득 찼다.
는 뜻이 되어야 자연스럽다. 따라서 to부정사의 부사적 용법으로
•WHO는 ‘세계보건기구’를 나타낸다. 쓰여 목적을 나타내도록 representing을 동사원형 represent로

03 ⓑ when will the next bus → when the next bus will : 간접 고쳐야 알맞다.

의문문은 「의문사 + 주어 + 동사」의 어순이므로 when the next


13 ‘some even move or make laughing sounds(어떤 것들은 심
bus will come이 되어야 한다. 지어 움직이거나 웃음소리를 내기까지 한다)’로 보아 웃음소리를 내는
ⓔ good → better : than 앞에 good의 비교급인 better를 써야 이모지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다.
ⓕ more → much[still, even, far, a lot] : 비교급(better)을 강조 14 요즘 사람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그들의 감정을 보여주기 위해 이
하는 표현을 써야 한다. 모지를 사용한다.

ⓖ very popular → much more popular : than 앞에 popular


15 주어진 문장은 ‘우리는 모두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궁금해하고 있
의 비교급인 more popular와 비교급 강조 표현(much, still,
었다.’라는 의미이므로, Hernandez 씨가 ‘그냥 시작하는 것’을 언급
even, far, a lot)을 써야 한다. 한 후 구역을 나누고 사람들을 배치했다는 내용 앞인 에 들어가는
04 ② 준호가 ‘I’m very happy but a little worried.’라고 말한 것으 것이 알맞다.
로 보아 그는 기쁘기도 하고 걱정되기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6 dust 는 ‘먼지’를 의미하므로 ⓒ ‘무언가를 보호하기 위해 덮다’는
⑤ 미나가 ‘You’ll be the best soon.’이라고 말한 것으로 보아 준
dust의 뜻으로 알맞지 않다.
호가 곧 최고가 될 것이라고 생각함을 알 수 있다.
① 미나는(→ 준호는) 막 글쓰기 동아리에 가입했다. 17 ‘As we pulled and pulled, dust filled the air and made us
③ 준호는 자신이 잘할 것이라고 확신한다(→ 확신하지 않는다). sneeze.(우리가 뽑으면 뽑을수록, 먼지가 공기를 가득 메워서 재채기
④ 미나와 준호는 함께(→ 준호 혼자) 글쓰기 연습을 했다. 가 나왔다.)’로 보아 글쓴이에게 잡초를 뽑는 일이 쉬웠다는 설명은 글
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다.
05 ⓔ는 ‘우리는 그 지역을 네 구역으로 나눌 것입니다. 5명이 각 구역을
청소할 것입니다.’라는 내용으로, 구역을 나누어 사람을 배정하는 것에 18 프로젝트 첫날, 나는 그 더러운 곳을 어떻게 청소하기(cleaning
대해 설명하고 있으므로 ‘그 지역을 찾는 방법’은 빈칸에 알맞지 않다. up) 시작해야 할지 전혀 알 수가 없었다. 그러나 Hernandez 씨 덕분
에 사람들은 열심히 일했고 결과는 나에게 있어 어느 정도 만족스러
06  감사의 말에 응답하는 표현으로는 ‘천만에요.’를 뜻하는 ‘You’re 웠다(satisfying).
welcome.’, ‘(It’s) My pleasure.’, ‘Don’t mention it.’, ‘Not
at all.’, ‘Never mind.’, ‘No problem.’ 등이 있다. 19 ‘I’m in charge of picking flowers for the nursing home on
 기쁨의 감정을 나타내는 표현으로는 ‘ I am glad[happy, Fourth Street.’로 보아 양로원을 위해 꽃을 따는 일을 담당한다는
pleased, delighted] to hear that.’ 등이 있다. 것을 알 수 있다.
•You can say that again : 당신 말이 맞아요. / 동감이에요.
20 주절의 주어 an ugly and dirty lot은 ‘people didn’t like(사람들이

07 Sarah가 책을 잃어버린 것은 과거의 일이고, 삼촌으로부터 책을 받은 좋아하지 않았던)’의 수식을 받아야 한다. 이때 주절의 주어와 like의 목
것은 그보다 더 이전의 일이다. 따라서 책을 받은 것은 과거완료(had 적어가 동일하므로 관계사절의 목적어를 생략하고, 주어가 사물 명사이
+ 과거분사)인 had received로 써야 한다. 므로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which 또는 that을 써야 알맞다. 관계사절
뒤로 문장의 동사가 이어지는데, 과거에 예쁜 정원이 되어서 현재까지
08 how로 시작하는 감탄문은 「how + 형용사 (+ 주어 + 동사)!」의 어순 영향을 주고 있으므로 현재완료 has become으로 써야 알맞다.
이고, what으로 시작하는 감탄문은 「what + a(n) + 형용사 + 명사 (+
주어 + 동사)!」의 어순이다. ⓓ ‘How cute!’는 ‘What cute emojis 서답형
(they are)!’로 바꿔 쓸 수 있다. emojis가 복수명사이므로 what 뒤
서답형 1 do that은 앞 문장의 ‘laugh even in our writings(우리의 글
에 관사 없이 바로 형용사와 명사가 온다.
속에서조차 웃다)’를 가리킨다.
09 이어지는 문장인 ‘We’re going to have lots of fun!(우리는 정말
서답형 2 ⑴ 간접의문문의 어순은 「의문사 + 주어 + 동사」이므로 did you
재미있을 거야!)’으로 보아 ②의 ‘그 말을 들으니 기쁘다.’가 빈칸에 가

중간고사 실전 모의고사

14

책1.indb 14 2022-04-02 오후 12:04:34


make를 you made로 고쳐야 한다.
⑵ 간접의문문의 어순에 맞게 is Jenny’s sister를 Jenny’s 서답형

sister is로 고쳐야 한다. 번호 정답 배점


⑶ 쉼표(,) 뒤로 선행사를 부가 설명하는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 서답형 1  had missed
법에서 that을 사용할 수 없으므로 that을 which로 바꿔야  had got[gotten] up late
한다. 서답형 2 ⑴ symbol ⑵ Type ⑶ written[writing]
서답형 3 서답형 3 ⓐ that[which] ⓑ what ⓒ that[which]
⑴ 제한적 용법의 관계대명사로, 변호사인 아들 외에 다른 직업을 5점
가진 아들이 더 있을 수도 있다. 서답형 4 I stopped complaining when I found 공통
⑵ 계속적 용법의 관계대명사로, 아들이 한 명 뿐이고 그의 직업 the plants had started popping up
이 변호사라는 뜻이다. 이때 관계사절은 나중에 해석한다. 서답형 5 that → which
has taken → had taken 또는 took
서답형 4 아빠가 ‘나’에게 장갑을 끼도록 한 것이 덥고 땀이 나며 기쁜 상황
very → much[even/far/still/a lot]
보다 더 과거에 일어난 일이므로 과거완료 had made를 쓴다.
또한 「사역동사 make + 목적어 + 동사원형」을 이용하여 ‘(목적
어)에게 ~하도록 하다’라는 뜻이 되도록 영작한다. 선택형

서답형 5 ⓐ 식물이 자라기 시작한 것이 내가 발견한 것보다 더 과거의 일 01 bet은 ‘~이 틀림없다, 확신하다’라는 뜻이다.
이므로 과거완료(had + 과거분사)인 had started가 되어야 •그 상한 음식은 지독한(awful) 냄새가 났다.
한다. •토마토 가격이 두 배가 되었다(doubled).
ⓑ ‘그것의 일부여서’ 자랑스럽다는 뜻의 문장으로, it은 이웃 프로 •사장님은 팀원 중 한 명에게 그 일을 배정할(assign) 것이다.
젝트에 참여하여 공터를 정원으로 바꾼 것을 가리킨다. 과거에 •그 산의 풍경(sight)은 아주 아름다워서 그녀는 거의 울 뻔했다.
프로젝트가 시작되어 현재 정원이 되었고 글쓴이가 과거부터
현재까지 그 프로젝트의 일원이었음을 나타내도록 현재완료 02 <보기>와 ②, ⑤의 if는 ‘~인지 아닌지’의 뜻으로, 나머지는 ‘만약 ~라
면’의 뜻으로 쓰였다. if는 의문사가 없는 간접의문문에 사용되는 접속
(have + 현재분사)인 have been이 되어야 한다.
사로 whether를 대신 쓸 수 있다.

03 ⓓ 길 위에 구멍이 많이 있다고 했으므로 아이들에게 안전해(safe) 보


인다는 말은 자연스럽지 않다. ‘위험한’이라는 뜻의 dangerous를
써야 자연스럽다.

04 쇼가 5시에 끝날 것이라는 말이 이어지므로, 쇼가 언제(when) 끝나는


지 궁금하다고 말하는 것은 자연스럽다.
① ⓐ how long → when ② ⓑ who → how old
③ ⓒ how old → when ⑤ ⓔ why → how many

05 ④ Dave는 영화를 보고 난 후 숙제를 끝냈다.


≠ Dave는 숙제를 끝내고 나서 영화를 봤다.

본문 p. 58 ~ 63 06 ⓑ is made up → is made up of : ‘~으로 구성되다’를 뜻하는 표


회 현은 be made up of이다.
3학년 1학기
고난도 모의고사 중 간 고 사
ⓒ are build → are built : 주어 All the houses가 지어지는 대상
이므로 「be동사 + 과거분사」 형태의 수동태인 are built가 되어야
한다.
선택형 ⓔ much beautiful → much more beautiful : 뒤의 than으로
보아 비교급이 쓰인 문장이므로 beautiful의 비교급에 비교급 강
번호 정답 배점 번호 정답 배점
조 부사를 사용하여 much more beautiful로 쓸 수 있다.
01 ① 09 ②
02 ②, ⑤ 10 ⑤ 07 민수와 윤주는 지훈이가 아부다비로 이사를 가게 되어 슬프다고 했으
므로, 그들이 슬픈 이유는 곧 지훈이와 헤어지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03 ④ 11 ⑤
04 ④ 5점 12 ③ 5점 08 ⓐ -thing 으로 끝나는 부정대명사는 형용사가 뒤에서 수식하므로
05 ④ 공통 13 ③ 공통 something funny가 되어야 한다.
06 ③ 14 ②, ⑤ ⓑ ‘ha-ha’가 오래전부터 현재까지 계속 사용되어왔다는 맥락이므로
현재완료 수동태 has been used는 알맞다.
07 ② 15 ③
ⓒ 앞뒤 문장이 현재시제로 쓰인 것으로 보아, LOL과 ROFL 같은 표
08 ②, ⑤
현은 과거 특정 기간 동안 인기를 ‘얻었던’ 것이 아니라 과거 특정

중간고사 고난도 모의고사

15

책1.indb 15 2022-04-02 오후 12:04:34


시점부터 현재까지 ‘인기를 얻어왔다’는 내용이 되어야 한다. 따라 서답형 2 ⑴ 하트 모양은 사랑의 상징이다.
서 현재완료(have + 과거분사) 형태인 have become이 되어야 ⑵ 너의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Enter 키를 눌러라.
한다. ⑶ 나는 영어 구두 시험은 통과했지만 필기 시험에서는 떨어졌다.
ⓓ LOL과 ROFL 같은 표현은 ‘타자로 치는’ 대상이다. 따라서 조동사
서답형 3 ⓐ 선행사인 the weekends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that
can 뒤로 수동태(be동사 + 과거분사) be typed로 써야 알맞다.
또는 which가 알맞다.
ⓔ ‘…가 ~한 채로’는 「with + 명사 + 형용사/분사」로 나타내므로 전
ⓑ ‘우리가 얼마나 좋은 일을 했는가!’를 뜻하는 감탄문으로,
치사 with는 알맞다.
「what + a(n) + 형용사 + 명사 + 주어 + 동사!」의 형태에 따
09 주어진 문장은 ‘그것은 ‘크게 소리 내어 웃기’를 상징한다.’라는 뜻이므 라 what이 들어가야 한다.
로, ‘크게 소리 내어 웃기’를 뜻하는 LOL이 처음 언급된 문장 바로 뒤 ⓒ 선행사인 an ugly and dirty lot을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
인 에 들어가야 한다. 명사 that 또는 which가 알맞다.

10 ‘The emoticon XD expresses our happy feelings more 서답형 4 주절인 ‘나는 불평하는 것을 멈추었다’는 ‘~하기를 멈추다’라는 뜻
visually than ha-ha and LOL do.(이모티콘 XD는 우리의 행복한 의 「stop + 동명사」를 활용하여 I stopped complaining으로
감정을 ha-ha와 LOL보다 더 시각적으로 표현한다.)’로 보아 XD가 쓴다. 부사절은 ‘~할 때’를 뜻하는 접속사 when으로 시작한다.
예시들 가운데 가장 시각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다. 부사절 동사 found의 목적어로 명사절을 쓰는데, 이때 명사절의
내용에 해당하는 ‘식물이 불쑥 나타나기 시작한 것’이 그것을 ‘발
11 green thumb은 ‘식물 재배의 재능’이라는 뜻의 표현이다. 20명의 사
견한’ 것보다 먼저 발생한 일이다. 따라서 과거완료를 써서 when
람들이 더러운 공터를 정원으로 바꾸는 이웃 프로젝트에 관한 글이므
I found (that) the plants had started popping up으로 나
로 글의 제목 ‘Green Thumbs’는 ⑤ ‘people who are good at
타낸다. 동명사를 두 번 써야 하므로 start의 목적어로 동명사구
growing plants(식물을 잘 기르는 사람들)’를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popping up을 쓴다.
있다.
서답형 5 •관계대명사 앞에 쉼표(,)가 있는 계속적 용법의 관계대명사로는
12  ‘(목적어)가 ~하도록 만들다’는 「make + 목적어 + 동사원형」으로
that을 쓸 수 없다.
나타내므로 동사원형인 work가 알맞다.
•사진을 찍은 것이 디자인을 한 것보다 더 과거에 일어난 일이므
 far (훨씬)는 비교급을 수식하는 표현이므로 뒤에는 비교급인
로 과거완료(had + 과거분사)로 써야 한다. after, before 등을
better가 알맞다.
써서 시간의 전후 관계가 분명히 나타나는 경우에는 사건이 먼
 ‘A를 B로 바꾸다’는 ‘turn A into B’이므로 빈칸에는 into가 알
저 발생했더라도 과거시제를 쓸 수 있다.
맞다.
•비교급을 강조하는 표현으로는 much, still, even, far, a lot
 ‘A를 B로 나누다’는 ‘divide A into B’이므로 빈칸에는 into가
이 있다.
알맞다.

13 본문의 ‘I thought, “I bet there are snakes in there, too.”’로


보아 글쓴이는 그 지역 안에 틀림없이 뱀들도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을
뿐 실제로 뱀이 있었는지는 언급되어 있지 않다.

14 2주 후에 상추가 얼마나 크게 자랐는지, 지금 그 지역에서 어떤 종류의


새로운 꽃들을 볼 수 있는지는 언급되지 않았다.
① 글쓴이는 어떤 식물을 보았는가? → 상추, 콩, 토마토 본문 p. 64 ~ 69
③ 글쓴이는 왜 자신이 자랑스러운가? → 자신이 얼마나 좋은 일을 했 회 3학년 1학기
는지 깨달았기 때문에 고난도 모의고사 중 간 고 사
④ 글쓴이는 양로원을 위해 무슨 일을 하는가? → 꽃을 따는 일

15 를 영작하면 ‘This is a small picture called an “emoji.”’이므


로 6번째로 오는 단어는 called 이다. called 는 명사구 a small 선택형

picture를 수식하는 과거분사로, 앞에 「주격 관계대명사 + be동사」인 번호 정답 배점 번호 정답 배점


which[that] is가 생략되었다. 01 ④ 09 ③
서답형 02 ④ 10 ①, ③
03 ③ 11 ②
서답형 1  버스를 놓쳐서 학교에 늦었다는 문장이 되어야 하며, 버스를
04 ③ 5점 12 ⑤ 5점
놓친 것이 학교에 늦은 것보다 더 과거에 일어난 일이므로 과
거완료(had + 과거분사)인 had missed가 되어야 한다.
05 ④ 공통 13 ④ 공통

 늦게 일어나서 버스를 놓쳤다는 문장이 되어야 하며, 늦게 일 06 ① 14 ④


어난 것이 버스를 놓친 것보다 더 과거에 일어난 일이므로 과 07 ③ 15 ②, ④
거완료(had + 과거분사)인 had got[gotten] up late가 되 08 ⑤ 16 ④
어야 한다.

중간고사 고난도 모의고사

16

책1.indb 16 2022-04-02 오후 12:04:35


06 해당 단락은 우리가 다양한 상황에서 소리 내어 웃고 글 속에서도 웃
서답형
을 수 있다는 내용이므로, ①의 ‘웃음은 인간의 것이다.’가 빈칸에 가장
번호 정답 배점 알맞다. human은 ‘인간의, 인간적인’이라는 의미이다.
서답형 1 ⑴ clean the place together ② 웃음은 전염성이 있다.
⑵ put a bench ③ 웃음은 최고의 약이다.
⑶ put some flower pots ④ 웃음은 당신의 얼굴에 좋다.
서답형 2 feeling → feel ⑤ 지나치게 웃는 것은 위험할 수 있다.
which → what
has used → has been used 5점
07 ⓐ 그것들(LOL, ROFL)은 빠르게 타자를 칠 수 있기 때문에 ‘인기를
얻었다’는 내용이 되도록 popular가 들어가야 한다.
서답형 3 An emoji is a small picture, which is 공통
•convenient : 편리한
available to use online so that people
ⓑ XD가 문자 메시지에서 웃음을 ‘나타낸다’는 내용이 되어야 하므로
can express their laughter in various
represents가 들어가야 한다.
ways.
•remind : 생각나게 하다
서답형 4 ⑴ grew, inch ⑵ doubled in size
ⓒ 뒤에 XD가 얼굴 표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글자나 상징의 모
⑶ a few days
음인 이모티콘이라고 소개하고 있으므로 XD는 ‘단어’가 아니라는
내용이 되도록 word가 들어가야 한다.
선택형
08 XD, ROFL, LOL 모두 문자로 된 웃음을 지칭하므로, ‘방과 후에 병

01 available은 ‘이용할 수 있는’이라는 뜻이므로 ‘사거나 찾을 수 없는’ 원에 입원한 이모를 방문해야 해.’라는 내용과 함께 쓰기에 적절하지
은 알맞은 의미가 아니다. 않다.

① admit(인정하다)은 ‘무언가가 사실이라고 동의하다’를 뜻한다.


09 두 번째 문장은 선행사를 부가적으로 설명하는 계속적 용법의 관계대
② empty(텅 빈)는 ‘무언가의 안에 아무것도 들어있지 않은’을 뜻한다. 명사절로 써야 한다. 선행사가 an emoticon이므로 관계대명사는
③ roll(구르다)은 ‘뒤집어서 다른 곳으로 이동하다’를 뜻한다. which를 쓴다. that은 계속적 용법으로 쓸 수 없다.
⑤ represent(나타내다)는 ‘무언가를 보여주거나 묘사하다’를 뜻한다.
10 ① ‘크게 소리 내어 웃기’는 LOL로 쓸 수 있다.
02 ⓐ 기분이 어때(How)? ② ROFL은 LOL이나 ha-ha보다 더 자주 사용된다. → 언급되지 않음
ⓑ 그게 뭔지(what) 알고 싶어. ③ 사람들은 LOL과 ROFL이 빠르게 타자로 입력될 수 있기 때문에
ⓒ 잡채인데, 그것은(which) 맛있고 건강에 좋아. 그것들을 사용한다.
ⓓ 30분 기다려(wait)! ④ 웃는 얼굴을 보여주는 이모티콘 중의 하나는 LOL(→ XD)이다.
03 동아리실에 무엇이 필요한지 묻는 질문에 벤치를 놓으면 버스를 기다 ⑤ ha-ha는 XD나 LOL보다 덜 시각적인 표현이다. → ha-ha와
리는 어르신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는 대답은 자연스럽지 않다. LOL은 XD보다 덜 시각적이다.

04 ① who did broke the glasses → who broke the glasses : 11 ⓐ 제시된 이모지는 눈물을 흘리며 웃고 있는 얼굴을 보여주므로 어울
의문사 who가 간접의문문의 주어이므로 뒤에 동사 broke와 목적 리는 감정은 기쁨(joy)이다.
어 the glasses의 평서문 어순으로 써야 한다. ⓑ 사람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웃음을 표현할 수 있다고 했으므로, ‘많
② Do you think where I can → Where do you think I can : 은’을 뜻하는 Lots of가 알맞다.

think, guess와 같이 생각이나 추측을 나타내는 동사가 사용된 ⓒ 이모지는 ‘작은 그림’으로 된 이미지이므로, 어떤 이모지는 소리
의문문에 간접의문문이 포함된 경우 간접의문문의 의문사는 문장 (sounds)를 내기도 한다는 내용이 되는 것이 자연스럽다.
의 맨 앞에 써야 한다.
12 ‘~해라, 그러면 …’을 뜻하는 표현은 「명령문, and + 주어 + 동사」이
④ goes → went : did 가 과거시제이므로 동사 go 를 과거형인 므로 접속사를 or가 아닌 and로 써야 한다.
went로 쓴다. •명령문, or + 주어 + 동사 : ~해라, 그렇지 않으면 …
⑤ how many you bought shirts → how many shirts you
bought : how many shirts가 의문사구를 이루므로 how many 13 선행사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을 하는 계속적 용법의 관계대명사를 써

shirts를 하나의 의문사로 취급하고 뒤에 주어와 동사가 온다. 야 한다. ④는 선행사가 사람(Amy)이므로 관계대명사 who가 알맞
고, ①, ②, ⑤는 앞 문장 전체를 가리키는 관계대명사 which, ③은
05 •A : 화분이 무거워 보여요. 도와 드릴까요? 사물 선행사(a new book)를 가리키는 관계대명사 which가 알맞다.
B : 아주 친절하구나. 정말 고마워.
•A : 의자 고치시는 것을 도와 드릴게요. 14 ① 글쓴이는 쓰레기를 공터에 버렸다. → 언급되지 않음
B : 이걸 좀 꽉 잡아 다오. 도와줘서 고맙구나. ② 이웃 프로젝트는 우리 부모님이 만드셨다. → 부모님이 시켜서 참
•A : 드디어 너희 집을 방문하게 되어서 기뻐. 기분이 어떠니? 여했음

B : 나도 신나. ③ 우리 부모님은 내 작업 시간에 대해 불평하셨다. → 불평한 사람은


•A : 오늘 기분이 어떠니? 글쓴이였음

B : 기분이 정말 좋아. 점심이 훌륭해. ④ 내가 일한 공터는 볼품없고 오래되었다.

중간고사 고난도 모의고사

17

책1.indb 17 2022-04-02 오후 12:04:35


본문 p. 72 ~ 76
⑤ 프로젝트를 위한 지역은 Johnny의 가게 바로 옆에(→ 맞은편에) 회 3학년 1학기
있었다. 서술형 모의고사 중 간 고 사

15 ① where should begin → where I should begin : 간접의문문


은 「의문사 + 주어 + 동사」의 어순으로 쓴다. where는 의문부사이 번호 정답 배점
므로 뒤에 완전한 문장이 나와야 한다. 따라서 where 뒤에 주절의 01 (d)eliver 2점
주어와 같은 I를 써야 알맞다. where I should begin은 「의문사
02 ⑴ conversation ⑵ facial
+ to부정사」 형태의 where to begin으로 바꿔 쓸 수 있다. 6점
⑶ neighborhood ⑷ admit
③ whether will they → whether they will : 의문사가 없는 간접
03 ⑴ which is famous ⑵ who likes reading 5점
의문문은 「whether[if] + 주어 + 동사」의 어순으로 쓴다.
04 ⑴ I want to know how many caps you
⑤ walking → walk : 5형식 사역동사 let은 동사원형을 목적격보어
have.
로 쓴다. 6점
⑵ Can you tell me if[whether] he will come
16 ⓐ made, planted와 함께 접속사 and로 연결된 병렬구조이므로 back home tonight?
watered가 알맞다. 이때 water는 ‘물을 주다’라는 뜻의 동사로 05  How are you feeling?
쓰였다.  I’m[I am] glad to have a chance to travel 6점
ⓑ ‘~하던 것을 멈추다’는 「stop + 동명사」이므로 complaining이 to a new country.
알맞다. 06 [A] do → don’t [B] can → can’t 5점
ⓒ ‘~을 시작하다’는 「start + 동명사/to부정사」이므로 popping up 07 [A] draw → had drawn 또는 drew
이 알맞다. 5점
[B] very → much[still/even/far/a lot]
08 ⑴ He found (that) someone had taken his
서답형
book.
6점
서답형 1 학생들은 버스 정류장을 더 좋게 만드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를 나 ⑵ When we arrived, they had already had
누었다. 먼저, 그들은 함께 그 장소를 청소할 것이다(clean the lunch.
place together). 두 번째로, 그들은 어르신들을 위해 벤치를 둘 09 웃음은 인간 고유의 것이다. (인간만이 웃을 수 있다.) 4점
것이다(put a bench). 마지막으로, 그들은 벤치 주변에 몇 개의 10 laugh even in our writings 5점
화분을 둘 것이다(put some flower pots).
11 Everyone knows what it means. 5점
서답형 2 •접속사 and로 동사 hear, see와 연결된 병렬구조이므로 feel 12 ⓐ which ⓑ quickly ⓒ closed
10점
이 되어야 한다. ⓓ more visually ⓔ called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라는 의미가 되어야 하므로 ‘무엇’이 13 ⑴ roll ⑵ symbol 4점
라는 뜻의 의문사 what이 되어야 한다. which는 ‘어느 것’이라 14 ⑴ 글 속에서 얼굴 표정을 보여준다.
는 뜻의 의문사이다. ⑵ 이모티콘은 글자나 기호이고 이모지는 작은 그림 3점
•주어 it은 ha-ha를 가리키며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온’ 대상이므 이다.
로 현재완료 수동태(have /has been + 과거분사)인 has 15 laughing, available, express, laughter,
5점
been used가 되어야 한다. various

서답형 3 선행사를 부가적으로 설명하는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과 목적 16  I had far better things to do.
을 나타내는 「so that + 주어 + 동사」(~하기 위하여)를 이용하여
 I didn’t[did not] understand why we 6점

영작한다.
were working on this place.
17 ⓐ was made to work ⓑ was full of 5점
서답형 4 ⑴ ‘자라다’를 뜻하는 동사는 grow이다.
18 ⓐ, ⓒ, ⓓ 4점
⑵ ‘두 배가 되다’를 뜻하는 동사는 double이다.
19 끈을 이용해 그 (더러운) 지역을 네 구역으로 나누고,
⑶ ‘며칠’은 a few days로 쓸 수 있다. 「a few + 셀 수 있는 명 4점
각 구역에 다섯 명씩 배정했다.
사의 복수형」에 유의한다.
20 ⑴ filled fifty trash bags with waste
4점
⑵ pulled wild plants

01 •우체부가 오늘 오후에 우리 사무실로 편지를 배달할 것이다.


•사람들은 외딴 마을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말을 사용했다.

02 ⑴ 그들은 자녀들의 미래에 대해 긴 대화를 나누었다.


⑵ 이러한 이모티콘은 얼굴 표정을 나타낸다.
⑶ 우리 동네[지역]에 훌륭한 중국 음식점이 있었다.
⑷ 그는 그가 큰 실수를 했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았다.

중간고사 서술형 모의고사

18

책1.indb 18 2022-04-02 오후 12:04:36


03 선행사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을 덧붙일 때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 도록 what it means로 써야 한다. 이때 it이 가리키는 것은 ‘ha-ha’
을 쓰며, 「쉼표(,) + 관계대명사」로 쓴다. 라는 표현이다.
⑴ 선행사 Jeonju를 가리키는 주격 관계대명사 which를 쓴다. 선행
12 ⓐ that → which : that은 앞에 쉼표(,)가 있는 계속적 용법의 관계
사가 고유명사이고 문장이 현재시제이므로 관계사절에 단수동사
대명사로 쓸 수 없다. 선행사가 ROFL이라는 표현이므로 which
is를 쓴 다음 보어로 famous를 써서 문장을 완성한다.
를 써야 알맞다.
•be famous for : ~로 유명하다
ⓑ quick → quickly : 형용사는 명사를 수식하거나 보어로 쓰인다.
⑵ 선행사 my classmate Jane을 가리키는 주격 관계대명사 who 동사구를 수식하기 위해서는 형용사 quick 에 -ly 를 붙인 부사
를 쓴다. 선행사에 수 일치해야 하고 문장이 현재시제이므로 관계
quickly를 써야 알맞다.
사절에 단수동사 likes를 쓴 다음 동명사 목적어 reading을 써서
ⓒ close → closed : 「with + 명사 + 형용사/분사」는 ‘~가 …한 채
문장을 완성한다.
로’라는 뜻으로 동시동작을 나타내는 표현이다. 바로 앞 명사 eyes

04 <보기>와 같이 두 번째 문장이 첫 번째 문장의 동사 know, tell의 목 를 보충 설명하여 ‘눈이 감긴’이라는 의미가 되도록 수동의 과거분
적어가 되도록 간접의문문으로 바꿔 쓴다. 사 closed를 써야 한다. close는 형용사로 쓰일 경우 ‘가까운, 근
⑴ 의문사구(How many caps)는 하나의 의문사로 취급한다. 간접 접한’이라는 뜻이다.
의문문은 「의문사 + 주어 + 동사」의 어순으로 쓴다. ⓓ visually → more visually : 비교 대상 앞에 than이 쓰인 비교급
⑵ 의문사가 없는 간접의문문은 접속사 if나 whether를 이용하여 표현이므로 visually의 비교급인 more visually를 써야 알맞다.
「if[whether] + 주어 + 동사」의 어순으로 쓴다. ⓔ calling → called : ‘~라고 불리는’을 뜻하면서 a small picture
를 수식하는 과거분사 called를 써야 알맞다. 앞에 「주격 관계대명
05  ‘너는 기분이 어떠니?’는 의문사 how를 이용하여 ‘How are you 사 + be동사」인 which[that] is가 생략된 것으로 볼 수 있다.
feeling?’으로 쓴다.
 「I’m glad to + 동사원형 ~」은 ‘~해서 기쁘다’라는 뜻을 나타낸 13 ⑴ ‘뒤집거나 좌우로 돌려서 이동하다’를 뜻하는 단어는 roll(구르다)
다. a chance to travel은 ‘여행할 기회’라는 뜻으로, to부정사(to 이다.
travel)가 앞에 있는 명사(a chance)를 수식하는 형용사적 용법 ⑵ ‘다른 무언가를 보여주기 위해 사용되는 신호나 물건’을 뜻하는 단
으로 쓰였다. 어는 symbol(상징)이다.

06 [A] ‘~하는 게 어때?’를 뜻하는 표현은 「Why don’t you + 동사원형 14 ⑴ to represent a facial expression(이모티콘)과 a face with
~?」이므로 ‘Why don’t you ask her one more time?’이 되 tears of joy(이모지)로 보아 이모티콘과 이모지는 모두 얼굴 표정
어야 한다. 을 보여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B] ‘~을 몹시 기다리다’를 뜻하는 표현은 「can’t wait for + 명사 ⑵ a group of letters or symbols (이모티콘)와 a small
(구)」이므로 ‘I can’t wait for lunch break.’가 되어야 한다. picture(이모지)로 보아 이모티콘은 글자나 기호로 되어 있고 이
모지는 작은 그림임을 알 수 있다.
07 [A] 벽에 꽃을 그린 것이 날개를 그린 것보다 더 과거에 일어난 일이므
로 draw는 과거완료인 had drawn이 되어야 한다. before, 15 많은 웃는 (laughing) 이모지가 온라인에서 사용될 수 있어서
after 등의 접속사를 사용하여 시간의 전후 관계가 분명히 나타나 (available) 사람들은 다양한(various) 방식으로 자신들의 웃음
는 경우 과거완료 대신 과거시제를 쓸 수 있으므로 drew도 답이 (laughter)을 표현할(express) 수 있다.
될 수 있다.
16  far은 비교급을 강조하는 부사이므로 good을 better로 고쳐서
[B] 비교급을 강조하는 표현은 much, still, even, far, a lot 가운데
far better가 things를 수식하도록 바꿔 쓴다.
하나를 사용해야 한다. very는 원급을 강조한다.
 동사 understand와 간접의문문을 이용해 ‘나는 왜 우리가 이곳

08 과거의 특정 시점보다 먼저 일어난 일을 나타낼 때 과거완료(had + 에서 일하고 있어야 하는지 이해하지 못했다’라는 문장으로 바꿔
과거분사)를 쓴다. 쓴다. 기존 문장이 과거시제이므로 주어 I 다음에 동사 didn’t[did
⑴ 누군가 책을 가져간 것이 그 사실을 발견한 것보다 더 과거에 일어 not] understand를 쓴 후 목적어로 「의문사 + 주어 + 동사」 어
난 일이므로 과거완료인 had taken을 쓴다. 순의 간접의문문 why we were working on this place를 이
⑵ 그들이 점심을 먹은 것이 우리가 도착한 것보다 더 과거에 일어난 어 쓴다.
일이므로 과거완료(완료 용법)인 had already had를 쓴다.
17 ⓐ ‘나’는 부모님에 의해 이웃 프로젝트에서 ‘일하게 되었다’는 수동의
09 laughter는 명사로 ‘웃음’, human은 형용사로 ‘인간적인, 인간 고유 의미가 되도록 「be동사 + 과거분사」 형태의 was made가 알맞
의’라는 뜻으로 쓰였다. 다. 능동태에서 사역동사의 목적격보어가 동사원형(work)인 경우
수동태에서는 to부정사가 되므로 to work를 이어서 쓴다.
10 ‘do that’은 앞 문장의 laugh even in our writings를 가리킨다.
ⓑ 프로젝트를 위한 지역(공터)이 잡초와 온갖 더러운 쓰레기로 가득
11 ‘ha-ha’라는 문자로 된 웃음의 형태를 소개하면서 실제로 그것이 오 차 있었다는 내용이므로 ‘~로 가득 차다’를 뜻하는 be full of를
래전부터 사용되어 왔다는 내용이 이어진다. 따라서 ‘모두가 그것이 무 쓴다.
엇을 의미하는지 안다.’라는 문장이 와야 자연스럽다. 대명사
18 ⓐ 공터를 나누어 일할 사람을 배치한 후, 쓰레기를 줍고 잡초를 뽑는
everyone은 단수 취급하므로 동사는 3인칭 단수 현재형 knows를 등 청소를 하고 식물을 심었다는 내용이 이어진다. 따라서 ‘~
쓴다. knows의 목적어는 「의문사 + 주어 + 동사」의 간접의문문이 되
clean up this awful (garden→)mess and turn it into a

중간고사 서술형 모의고사

19

책1.indb 19 2022-04-02 오후 12:04:37


본문 p. 77 ~ 81
(mess→)garden.’이라고 해야 자연스럽다. 회 3학년 1학기
ⓒ 앞에서 쓰레기를 치우고 잡초를 뽑았다고 했으므로 그 결과 ‘At 서술형 모의고사 중 간 고 사
the end of the day, I had to admit the lot looked much
(worse→)better.’라고 해야 자연스럽다.
번호 정답 배점
ⓓ 비록 첫째 날은 가장 힘들었지만 시간이 지나자 믿을 수 없을 정도
로 야채들이 잘 자랐고, 마지막 문단에서는 공터에 가는 걸 즐기게 01  (a)vailable  (c)omplain 4점

되었다고 했다. 따라서 ‘After about two weeks, I (started→) 02 ⑴ tell me where you want to go
6점
stopped complaining ~!’이라고 해야 자연스럽다. ⑵ I don’t[do not] know what I have to do
03 ⑴ ⓓ ⑵ can it → it can 3점
19 ‘Then, he divided the lot into four parts with string and
04 present 3점
assigned five people to each part.’에서 알 수 있다.
05 ⓐ had bought ⓑ arrived
6점
20 ⑴⑵ ‘We filled fifty trash bags with waste and were ready ⓒ hadn’t[had not] cleaned
to pull wild plants. As we pulled and pulled, dust filled 06 ⑴ That desk is much[even/far/still/a lot]
the air and made us sneeze.’로 보아 프로젝트에 참여한 사람들 heavier than this desk.
은 첫날에 쓰레기봉투를 쓰레기로 채우고 잡초를 뽑았음을 알 수 있다.
8점
⑵ Her speech was much more touching
than his speech.
07 [A] Let’s talk about what we can do for our
town. 4점
[B] Why don’t you bring one of your pictures?
08 who was a soccer player 3점
09 ⓐ laughter ⓑ written 4점
10 ㉠ even ㉡ such as ㉢ as we do 6점
11 ⓐ 크게 소리 내어 웃기
ⓑ 바닥을 구르면서 웃기 6점
ⓒ (입을 벌리고 눈을 질끈 감은 채) 웃는 얼굴
12 they can be typed quite quickly 5점
13 ⑴ T ⑵ T ⑶ F ⑷ T 6점
14  how much we care for them
6점
 how happy we are with them
15 ⑴ ⓐ, where to begin ⑵ ⓔ, sneeze 6점
16 ⑴ mess ⑵ assign 4점
17 ⓐ 꽃과 채소 씨앗
4점
ⓑ 상추, 콩, 토마토가 아주 빨리 자란 것
18 to see what new flowers are ready to pop
5점
up
19 pick → picking
5점
kitchens → kitchen
20 ⑴ ⓐ which is ⓑ and it is
6점
⑵ ⓐ who were ⓑ and they were

01  ‘사용되거나 구매될 수 있는’을 뜻하는 단어는 available(이용할


수 있는, 구할 수 있는)이다.
 ‘무언가 마음에 들지 않거나 잘못되었다고 말하다’를 뜻하는 단어
는 complain(불평하다)이다.

02 ⑴ Please 뒤에 tell me를 써서 ‘나에게 말해주세요’를 영작한다. ‘당


신이 어디로 가고 싶은지’는 의문사 where을 이용한 간접의문문
으로 나타낸다. where 뒤에 주어 you, want to go를 이어 써서
tell의 직접목적어로 쓰인 간접의문문을 완성한다.
•tell A B : A에게 B를 말하다
⑵ I don’t[do not] know를 써서 ‘나는 모른다’를 영작한다. ‘내가

중간고사 서술형 모의고사

20

책1.indb 20 2022-04-02 오후 12:04:37


지금 무엇을 해야 하는지’는 의문사 what을 이용한 간접의문문으 13 ⑴ ‘This is a small picture called an “emoji.”’로 보아 이모지
로 나타낸다. what 뒤에 주어 I, 조동사 have to, 본동사 do를 는 작은 그림임을 알 수 있다.
이어 써서 know의 목적어로 쓰인 간접의문문을 완성한다. ⑵ ‘Lots of laughing emojis are available to use online’으
로 보아 웃는 이모지는 온라인에서 찾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03 간접의문문은 「의문사 + 주어 + 동사」의 어순이므로 how high can
⑶ ‘some even move or make laughing sounds’로 보아 어
it fly가 아닌 how high it can fly가 되어야 한다. how high와 같
떤 이모지들은 움직이거나 웃음소리를 내기도 함을 알 수 있다.
은 의문사구는 하나의 의문사로 취급한다.
⑷ ‘Laughing marks can ~ deliver our voice tones.’로 보아
04 present는 ‘참석한; 선물’을 의미한다. 웃음 표시는 우리의 목소리 어조를 전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200명 이상의 사람들이 그들의 결혼식에 참석했다.
•가족과 친구에게 선물을 주는 것은 언제나 재밌다. 14 밑줄 친 , 는 동사 show의 직접목적어로 간접의문문을 써야 한
다. 「의문사 + 주어 + 동사」의 어순이 되도록 는 how much we
05 과거의 시점보다 더 이전에 있었던 일은 과거완료(had + 과거분사)로 care for them, 는 how happy we are with them으로 쓴다.
쓴다. how much와 how happy와 같은 의문사구는 하나의 의문사로 취
ⓐ 부모님이 자전거를 사준 것이 그것을 잃어버린 것보다 더 과거에 급한다.
일어난 일이므로 과거완료인 had bought를 써야 한다.
ⓑ 경찰이 도착한 것이 도둑이 도망간 것보다 더 나중에 일어난 일이 15 ⓐ where began → where to begin : 「의문사 + to부정사」 형태
의 명사구인 where to begin이 되어야 하며 ‘어디서부터 시작해
므로 과거시제인 arrived를 써야 한다.
야 할지’를 뜻한다. where we should begin을 쓸 수도 있다.
ⓒ 방을 청소하지 않아서 더러운 것이므로 부정형으로 써야 한다. 방
ⓔ to sneeze → sneeze : 「make(사역동사) + 목적어 + 동사원형」
을 청소하지 않은 것이 방이 더러운 것보다 더 과거에 일어난 일이
은 ‘~가 …하도록 만들다’를 뜻하므로 동사원형인 sneeze를 써야
므로 과거완료인 hadn’t[had not] cleaned를 써야 한다.
한다.
06 ⑴ heavy의 비교급인 heavier 앞에 비교급 강조 부사 much, still,
even, far, a lot 중 하나를 쓴다.
16 ⑴ ‘더럽거나 어수선해 보이는 것’을 뜻하는 단어는 mess(쓰레기 더
미, 혼잡)이다.
⑵ touching(감동적인)의 비교급인 more touching 앞에 비교급
강조 부사를 쓴다. -ing로 끝나는 단어는 앞에 more를 써서 비교
⑵ ‘누군가에게 일자리나 일을 주다’를 뜻하는 단어는 assign(맡기다,
배정하다)이다.
급을 만든다.

07 [A] 주제를 소개할 때 쓰는 표현인 ‘Let’s talk about ~’ 뒤에 간접의 17 ⓐ them은 and 앞의 flower and vegetable seeds를 가리킨다.
ⓑ it은 앞의 ‘First, the lettuce and then the beans and the
문문 what we can do for our town을 쓴다.
tomatoes. They grew so fast.’를 가리킨다.
[B] ‘~하는 게 어때?’를 뜻하는 「Why don’t you + 동사원형 ~?」
뒤로 「one of + 복수명사」 형태의 one of your pictures를 18 ‘보기 위해’는 to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이 되도록 to see로 쓴다.
쓴다. to see 뒤에 ‘어떤 새로운 꽃들이’는 what new flowers, ‘피어날 준
비가 되었는지’는 are ready to pop up으로 이어 쓴다. what new
08 ‘민수는 새로운 학생인 김기훈이 와서 신이 나는데, 그(김기훈)는 그의
flowers 는 하나의 의문사로 취급하여 간접의문문 what new
학교 축구팀 선수였다.’라는 의미의 문장이다. 선행사에 대한 부가적인
flowers are ready to pop up을 완성한다.
설명을 덧붙일 때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을 「쉼표(,) + 관계대명사」
•be ready to + 동사원형 : ~할 준비가 되다
로 쓴다. 선행사가 사람(Kim Kihun)이므로 관계대명사 who를 쓴 다
•pop up : 불쑥 나타나다
음 was a soccer player를 이어 쓴다.

09 ⓐ ‘사람들이 웃는 소리나 행위’를 뜻하는 단어는 laughter(웃음)이다. 19 •pick → picking : 전치사의 목적어는 명사나 동명사를 쓴다. 뒤에
flowers가 있으므로 목적어를 취할 수 있는 동명사 picking으로 써
ⓑ ‘글로 표현된, 또는 글을 포함하는’을 뜻하는 단어는 written(글로
야 한다.
쓴, 글로 표현된)이다.
•kitchens → kitchen : ‘모든 ~’을 뜻하는 표현은 「every + 단수
10 ㉠ ‘~조차도’를 뜻하는 단어는 even이다. 명사」이므로 kitchen으로 써야 한다.
㉡ ‘~와 같은’을 뜻하는 표현은 such as이다.
㉢ ‘~하는 것처럼, ~하듯이’를 뜻하는 접속사 as를 이용하여 as we 20 선행사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을 덧붙일 때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
을 쓰며, 「쉼표(,) + 관계대명사」로 쓴다. 계속적 용법의 관계대명사는
do로 쓴다.
「접속사 + 대명사」로 바꾸어 쓸 수 있다.
11 ⓐ ‘It stands for “Laughing Out Loud.”’를 참고한다. ⑴ 선행사가 vitamin C이고 관계사절의 주어와 동사 자리가 비어있
ⓑ ‘~ which means “Rolling on the Floor Laughing.”’을 참 으므로 ⓐ에는 which is를 쓴다. 선행사가 셀 수 없는 명사여서
고한다. 단수 취급하고 일반적인 사실을 나타내므로 현재시제 동사 is를 쓰
ⓒ ‘It shows a laughing face ~.’를 참고한다. 는 것에 유의한다. ⓑ which는 and it으로 바꿔 쓸 수 있다.
⑵ 선행사가 two close friends이고 관계사절의 주어와 동사 자리
12 ‘These expressions have become popular because they
가 비어있으므로 ⓐ에는 who were를 쓴다. 선행사가 복수명사
can be typed quite quickly.’로 보아 LOL, ROFL과 같은 표현
이고 과거의 일을 나타내므로 과거시제 동사 were를 쓰는 것에 유
들은 빠르게 타자를 칠 수 있어서 인기를 얻었음을 알 수 있다.
의한다. ⓑ who는 and they로 바꿔 쓸 수 있다.

중간고사 서술형 모의고사

21

책1.indb 21 2022-04-02 오후 12:04:38


책1.indb 22 2022-04-02 오후 12:04:38
천재(정)

lesson

lesson

3 학 년 1 학 기

기말
빠른 답
고사

책1.indb 23 2022-04-02 오후 12:04:38



단원별 모의고사 회 3학년
기 말 고 사
1학기
단원별 모의고사 3학년 1학기
기 말 고 사

01 ③ 06 ④ 11 ② 16 ⑤ 21 ④ 01 ① 04 ④ 07 ① 10 ③, ⑤
02 ② 07 ③ 12 ⑤ 17 ④ 02 ③ 05 ④ 08 ②
03 ③ 08 ⑤ 13 ⑤ 18 ②, ③ 03 ② 06 ④ 09 ②, ⑤
04 ① 09 ③ 14 ④ 19 ③, ④
05 ⑤ 10 ③ 15 ①, ④ 20 ⑤
서답형 1 ⓓ, look like
ⓔ, save
서답형 1 ⑴ He was not only brave but also very nice. 서답형 2 matter
⑵ The ceremony as well as the speeches was 서답형 3 ⑴F ⑵F ⑶T
very interesting. 서답형 4 I know how I should live my life
서답형 2 The man is so tall that he can reach the top 서답형 5 ⓐ smiling ⓑ did ⓒ jumping
shelf.
서답형 3 enough for you to
서답형 4 ceremony 3학년 1학기
실전 모의고사 회
기 말 고 사

01 ④ 06 ④ 11 ② 16 ④
02 ⑤ 07 ③ 12 ② 17 ③
03 ③ 08 ③ 13 ② 18 ④
04 ⑤ 09 ② 14 ④ 19 ③
05 ⑤ 10 ⑤ 15 ⑤

서답형 1 ⑴ eager ⑵ economics ⑶ unusual


서답형 2 ⑴ not only brave but also nice
⑵ both smart and humorous
서답형 3 as well as, makes people laugh
서답형 4 (i)mpressed
서답형 5 Watching this movie
서답형 6 ⓔ, what you act
단원별 모의고사 회 3학년
기 말 고 사
1학기

01 ① 06 ③ 11 ⑤ 16 ④
02 ② 07 ③ 12 ④ 17 ③ 실전 모의고사 회 3학년 1학기
기 말 고 사
03 ③ 08 ② 13 ③ 18 ④
04 ⑤ 09 ④ 14 ⑤ 19 ③ 01 ⑤ 06 ③ 11 ③ 16 ③
05 ④ 10 ③ 15 ② 02 ① 07 ② 12 ② 17 ⑤
03 ③ 08 ④ 13 ④ 18 ⑤
서답형 1 ⑴ If you turn to the left 04 ①, ④ 09 ⑤ 14 ④
⑵ Because she studied hard 05 ④ 10 ④ 15 ⑤
서답형 2 ⑴ wanted to learn
⑵ wasn’t[was not] allowed to go 서답형 1 Not only Marie Curie but also her daughter was
서답형 3 ⓒ, the thing which[that] 또는 what awarded the Nobel Prize.
서답형 4 to break → break 서답형 2 Is that funny enough for you to laugh out loud?
allowed → to allow 서답형 3 ⓓ, eight-year-old
to preparing → to prepare 서답형 4 which is worth less than
서답형 5 ⑴ This book is what I bought yesterday. 서답형 5 what
⑵ We don’t agree with what he said. 서답형 6 ⑴ (c)ourage ⑵ (b)reak down
서답형 6 It raining outside, we decided to stay home. 서답형 7 change

24

책1.indb 24 2022-04-02 오후 12:04:39


실전 모의고사 회 3학년 1학기
기 말 고 사 고난도 모의고사 회 3학년
기 말 고 사
1학기

01 ④ 06 ④ 11 ⑤ 16 ④ 01 ② 06 ⑤ 11 ①, ⑤
02 ③ 07 ②, ④ 12 ③ 17 ⑤ 02 ① 07 ③, ⑤ 12 ③
03 ④ 08 ⑤ 13 ② 18 ② 03 ①, ④ 08 ①, ⑤ 13 ③
04 ④ 09 ④ 14 ⑤ 19 ④ 04 ③ 09 ⑤ 14 ⑤
05 ④ 10 ② 15 ③ 05 ①, ④ 10 ④

서답형 1 Not only you but also he wants to see the 서답형 1 ⑴ competition ⑵ impression ⑶ permission
movie. 서답형 2 ⓐ, do ⓔ, crossed
서답형 2 that[which], make, think 서답형 3 ⑴ Sanders Theater ⑵ Nobel winners
서답형 3 There are a number of interesting things that ⑶ Economics ⑷ an alarm clock
keep people from getting bored. 서답형 4 ⓐ who(m)[that] ⓑ which[that] ⓒ which[that]
서답형 4 ⑴T ⑵T⑶F 서답형 5 ⑴ faced ⑵ leader ⑶ to install
서답형 5 Mary Jackson was the character whom I liked 서답형 6 ⑴ too dark in the basement for me to see
the most of the three. anything
서답형 6 the thing which[that] ⑵ Injured in the accident

실전 모의고사 회 3학년 1학기


기 말 고 사 고난도 모의고사 회 3학년
기 말 고 사
1학기

01 ② 06 ⑤ 11 ① 16 ④ 01 ① 06 ② 11 ④
02 ② 07 ③ 12 ② 17 ③ 02 ⑤ 07 ① 12 ①, ④
03 ③ 08 ② 13 ③ 18 ③ 03 ④, ⑤ 08 ⑤ 13 ③
04 ① 09 ⑤ 14 ③ 19 ② 04 ① 09 ① 14 ⑤
05 ②, ④ 10 ④ 15 ③ 20 ⑤ 05 ③, ④ 10 ②

서답형 1  ceremony  winners 서답형 1 ⑴ Not studying hard


서답형 2 the Ig Nobel Prizes make science a lot more ⑵ It being dark outside
fun 서답형 2 ⓐ, That is not what I have been looking for.
서답형 3 ⓐ were installed ⓑ was asked ⓒ, This question is so easy that she can solve
서답형 4 ⑴ Not only I but also she wants to watch the it.
movie. ⓔ, You can use this not only as an umbrella but
⑵ She as well as I wants to watch the movie. also as a cup holder.
서답형 5 ⓐ jumping ⓑ to go ⓒ running 서답형 3 how he should live his life
서답형 4 ⓔ, keeps → keep
ⓖ, fewer → less
서답형 5 taught FORTRAN, brought
서답형 6 made a mistake, practice more, help

25

책1.indb 25 2022-04-02 오후 12:04:39


서술형 모의고사 회 3학년
기 말 고 사
1학기
서술형 모의고사 회 3학년 1학기
기 말 고 사

01 ⑴ (o)ffer ⑵ (r)ecognized 01 ⑴ (e)nter ⑵ (f)igure ⑶ (h)onor


02 ⑴ stand up for ⑵ get over 02 ⑴ stood up for ⑵ had no choice but to
⑶ give up ⑷ break down 03 ⑴ If you leave now
03 ⑴ He not only cleaned his room but also cooked ⑵ Because we didn’t know what to do
dinner. 04 ⑴ enough to solve
⑵ Neither John nor his friends like fast food. that he can solve
04 ⑴ she could finish the work very early ⑵ to walk
⑵ he couldn’t[could not] answer the phone that we couldn’t walk
05 ⓐ → disappointed, ⓓ → getting 05 ⑴ That’s what I wanted to buy.
06  준수가 요리 대회에서 떨어진 것 ⑵ This is the thing which he received on his
 더 많은 요리 요령들 birthday.
 온라인 요리 영상에서 유용한 조언들을 얻는 것 06  cross → crossed
07  It’s[It is] a bird feeder as well as a cutting board.  to get → to getting
 I’m really looking forward to using it. 07  Why are you disappointed?
08 It is awarded to people who have done great work  It will help your classmates (to) understand you
for the world. better.
09 ⑴ Is this research project good enough to win a 08 ⓐ, Why are → Are
Nobel Prize? ⓒ, I don’t think → I think
⑵ Is this research project so good that it can win a 09 ⑴ ⑵
Nobel Prize? 10 What a fool I’ve[I have] been!
10 one 11 →→→→
11 ⑴ cheer ⑵ humor 12 ⑴ as well as, are ⑵ Neither, nor, was
12 ⑴ making its sailors shout 13 ⓐ㉡ ⓑ㉤ ⓒ㉠
⑵ floating a live frog 14 ⑴T ⑵F ⑶T
13 ⓑ, the number of → a number of 15 유머 감각
ⓓ, calls → called 16 ⑴ It being sunny, they went on a picnic.
14 ⑴ just two words each ⑵ (Being) Written in a hurry, the article had many
⑵ talks for too long errors.
⑶ ten trillion Zimbabwean dollars 17  → what
15 (a)bility  → to be
16 ⑴ When I heard this ⑵ Hearing this 18 case, judge, white
17 ⓐ character ⓑ change ⓒ choice ⓓ cases 19 ⑴ permission ⑵ case
18 The judge was impressed by what she said and 20 ⓐ That was what impressed me most in the movie.
finally gave her permission. ⓑ She wasn’t[was not] afraid of change and used it
19 studied a new programming language, FORTRAN / as a chance.
taught it to her team members
20 ⑴ what I need to learn
⑵ the thing which[that] I need to learn

26

책1.indb 26 2022-04-02 오후 12:04:40


천재(정)

lesson

lesson

3 학 년 1 학 기

기말 정답 및 설
고사

책1.indb 27 2022-04-02 오후 12:04:40


본문 p. 108 ~ 113
회 3학년 1학기 05 ‘행운을 빌어 줄게!’를 뜻하는 표현은 ‘ I’ll keep my fingers
단원별 모의고사 기 말 고 사 crossed (for you)!’이다.

06 ‘A뿐 아니라 B도’를 뜻하는 상관접속사 「not only A but also B」에
서 A, B에는 문법적으로 대등한 어구가 와야 한다. A에 전치사와 동
선택형
명사인 for going up을 썼으므로 B에도 동일한 형태의 for storing
번호 정답 배점 번호 정답 배점 을 써야 한다. 나머지는 모두 기존 표현이 맞다.
01 ③ 12 ⑤
07 주어진 문장은 ‘나의 연기의 한 부분을 보여 줄게.’라는 뜻으로, 선생님
02 ② 13 ⑤
을 흉내 내는 내용의 앞인 에 들어가는 것이 알맞다.
03 ③ 14 ④
04 ① 15 ①, ④ 08 미소가 장기 자랑에서 무엇을 할 것인지는 언급되어 있지 않다.
① 지민이와 미소는 언제 현장 학습을 가는가? → 다음 주 화요일
05 ⑤ 16 ⑤
4점 4점 ② 지민이와 미소는 무엇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가? → 장기 자랑에
06 ④ 17 ④ 서할일
공통 공통
07 ③ 18 ②, ③ ③ 지민이는 장기 자랑에서 무엇을 할 것인가? → 선생님들이 말하는
08 ⑤ 19 ③, ④ 것을 흉내 내고 농담도 할 것이다.
09 ③ 20 ⑤ ④ 미소는 지민이가 장기 자랑에서 잘할 것이라고 생각하는가? → 그
렇다.
10 ③ 21 ④
11 ② 09 ① a pretty girl → pretty 또는 intelligent → an intelligent girl
: 「both A and B」와 같은 상관접속사에서 A, B에는 문법적으로
대등한 어구가 와야 한다.
서답형
② lives → live : ‘A, B 둘 다’를 뜻하는 「both A and B」가 주어로
번호 정답 배점 쓰일 경우 복수 취급한다.
서답형 1 ⑴ He was not only brave but also ④ want → wants : 「not only A but also B」가 주어로 쓰일 경우
very nice. 동사의 수는 B(your brother)에 일치시켜야 한다.
⑵ The ceremony as well as the ⑤ are → is : 「B as well as A」가 주어로 쓰일 경우 동사의 수는
speeches was very interesting. 4점 B(Mina)에 일치시켜야 한다.
서답형 2 The man is so tall that he can reach 공통
the top shelf. 10 ① can → can’t : ‘너무 ~해서 …할 수 없다’는 「so + 형용사/부사
+ that + 주어 + can’t + 동사원형」이다.
서답형 3 enough for you to
② can → could : 문장의 시제가 과거이므로 can 의 과거형인
서답형 4 ceremony
could를 써야 한다.
④ too big → big enough : ‘~할 만큼 충분히 …한/하게’는 「형용
선택형 사/부사 + enough to + 동사원형」으로 쓴다.
⑤ enough strong → strong enough : 「enough to부정사」 구
01 「keep A from + -ing」는 ‘A가 ~하는 것을 막다’라는 뜻으로, ③은 ‘그 문에서 형용사(strong)는 enough의 앞에 쓴다.
안전벨트는 승객들이 넘어지는 것을 막아준다.’라는 의미의 문장이다.
11  이 연구 과제는 노벨상을 받을 정도로 훌륭할까?- 아마도 아닐
02 award는 ‘수여하다’를 뜻하므로 ‘공식적인 결정에 따라 상을 받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그노벨상은 어떤가?- 그는 이 재미있는 연
영영풀이로 알맞지 않다. 구로 2017년에 상을 탔다.
① accept(받아들이다) : 제안된 무언가를 받아들이다
③ bomb(폭탄) : 폭발하는 물질로 만들어진 무기 12 ‘우스꽝스럽고 진지하게 생각할 가치가 없는’을 뜻하는 단어는

④ succeed(성공하다) : 하려고 계획한 것을 성취하다 laughable(웃기는, 터무니없는)이다.


⑤ imaginative(상상력이 풍부한) : 새롭거나 흥미로운 생각을 가지
13 ‘The prizes are presented by real Nobel winners(그 상들은
고 있거나 보여주는 진짜 노벨상 수상자들에 의해 수여된다)’로 보아 ⓔ ‘이그노벨상 수상
자들에 의해 수여됨’은 알맞지 않다.
03  ‘~할 예정이다’를 뜻하는 표현은 「be going to + 동사원형」이므
로 to run이 알맞다.
14 ‘by honoring the unusual and the imaginative(특이하고 창의
 ‘~을 기대하다’를 뜻하는 표현은 「look forward to + 명사/동명 적인 사람들을 높이 평가함으로써)’로 보아 ④의 내용을 알 수 있다.
사」이므로 to seeing이 알맞다.
15 ‘돈을 아끼기 위해, 해군에서는 선원들에게 진짜 폭탄을 사용하는 대신
04  Oh So Sweet상 수상자는 사탕을 받을 거야.- 오, 그 상을 에 “쾅!”이라고 소리치게 했다.’라는 뜻이 자연스러우므로, 목적을 의미
받고 싶다.- 네가 이번에는 그 상을 탈 거라고 확신해.- 정말 를 나타내는 「to + 동사원형」과 「in order to + 동사원형」이 알맞다.
그렇게 생각해?- 물론이야. 행운을 빌어, 지우야!
16 「keep + 동명사」는 ‘계속해서 ~하다’라는 뜻이므로 ⓔ는 ‘계속 도망

기말고사 단원별 모의고사

28

책1.indb 28 2022-04-02 오후 12:04:40


본문 p. 114 ~ 119
치다’가 알맞은 해석이다. 회 3학년 1학기

17 훌륭한 과학자들이 가져야 할 것(유머 감각)에 관하여 말한 사람은


단원별 모의고사 기 말 고 사

Gauri Nanda가 아니고 Andre Geim이다.


① 2000년에는 누가 이그노벨상을 탔는가? → 영국 해군, Andre
선택형
Geim
② 영국 해군은 진짜 폭탄을 사용하는 대신 무엇을 했는가? → 선원들 번호 정답 배점 번호 정답 배점
에게 “쾅!”이라고 소리치게 했다. 01 ① 11 ⑤
③ Andre Geim은 무엇으로 이그노벨상을 받았는가? → 자석을 이 02 ② 12 ④
용하여 개구리를 공중에 띄운 것
03 ③ 13 ③
⑤ Gauri Nanda의 자명종 시계는 무엇이 특별한가? → 잠자는 사
04 ⑤ 14 ⑤
람이 침대 밖으로 나올 때까지 계속 도망 다닌다.
05 ④ 4점 15 ② 4점
18 ⓐ make → makes : 「not only A but also B」가 주어로 쓰일 경우 06 ③ 공통 16 ④ 공통
동사의 수는 B(the ceremony for the Ig Nobel Prizes)에 일치
07 ③ 17 ③
시켜야 하므로, 3인칭 단수형인 makes가 되어야 한다.
ⓓ shout → shouts : 주어가 단수(an eight-year-old girl)이므로
08 ② 18 ④
동사를 3인칭 단수형으로 써야 한다. 09 ④ 19 ③
ⓔ are → is : 동명사구가 주어로 쓰일 경우 단수 취급한다. 10 ③

19 의 뒷부분이 ‘10조의 짐바브웨 달러’를 부연 설명하고 있으므로 계


속적 용법의 주격 관계대명사 which와 be동사가 들어가야 한다. 금 서답형
액의 단위는 단수 취급하므로 be동사는 is를 쓴다. 또한 계속적 용법 번호 정답 배점
의 관계대명사는 「접속사 + 대명사」로 바꿔 쓸 수 있으므로 and it is 서답형 1 ⑴ If you turn to the left
를 쓸 수도 있다. ⑵ Because she studied hard
서답형 2 ⑴ wanted to learn
20 ① 개회사는 “Welcome. Welcome.”이다.
② 폐회사는 “Goodbye. Goodbye.”이다. ⑵ wasn’t[was not] allowed to go
③ Miss Sweetie Poo는 “Please stop! I’m bored.”라고 외친다. 서답형 3 ⓒ, the thing which[that] 또는 what
④ 상금으로 10조의 짐바브웨 달러를 받는다. 서답형 4 to break → break 4점
allowed → to allow 공통
21 윗글의 마지막 문장인 ‘But the Ig Nobel Prizes make science
to preparing → to prepare
a lot more fun!’으로 보아 이그노벨상은 과학을 훨씬 더 재미있게
서답형 5 ⑴ This book is what I bought yesterday.
만드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⑵ We don’t agree with what he said.
서답형 서답형 6 It raining outside, we decided to stay
home.
서답형 1 ⑴ ‘A뿐만 아니라 B도’는 「not only A but also B」로 나타낼 수
있다.
⑵ well을 포함하여 ‘A뿐만 아니라 B도’라는 뜻을 나타내기 위해 선택형
「B as well as A」를 사용한다. 「B as well as A」가 주어로
01 face는 명사로는 ‘얼굴’, 동사로는 ‘직면하다’를 뜻한다.
쓰일 경우 동사의 수를 B(the ceremony)에 일치시켜야 하
•나는 그녀의 슬픈 얼굴을 절대 잊을 수 없다.
므로 단수동사인 was를 쓰는 것에 주의한다.
•그는 어려운 상황을 직면해야 했지만 그것을 극복했다.
서답형 2 ‘~할 만큼 충분히 …한/하게’의 뜻을 나타내는 「형용사/부사 +
02 <보기>와 ②의 what은 선행사를 포함하는 관계대명사로 ‘~하는 것’
enough to + 동사원형」은 「so + 형용사/부사 + that + 주어 + 을 뜻한다.
can + 동사원형」으로 바꿔 쓸 수 있다.
①⑤ ‘무엇’을 뜻하는 의문대명사
서답형 3 ‘~할 만큼 충분히 …한/하게’를 뜻하는 「형용사/부사 + enough ③④ ‘무슨, 어떤’을 뜻하는 의문형용사
to + 동사원형」을 이용하여 문장을 완성해야 한다. to부정사의 의
03  너는 기분이 좋아 보이지 않는구나. 왜 실망하고 있니?- 내 실
미상 주어는 to부정사 앞에 「for + 목적격」의 형태로 쓴다.
수 때문에 우리가 농구 시합에서 졌어.- 괜찮아. 모든 사람은 실수
서답형 4 ‘사회적 또는 종교적 의식에서 행해지는 격식을 갖춘 행사’를 뜻하 하기 마련이야.- 내가 더 연습해야 한다고 생각하니?- 음, 그
는 단어는 ceremony(의식)이다. 래. 너도 알다시피, 연습이 완벽을 만들잖아.

04 ‘~ 덕분에’를 뜻하는 표현은 thanks to이다.

05 ‘내가 더 많은 요리 요령들을 배워야 한다고 생각하니?’라는 준수의 질

기말고사 단원별 모의고사

29

책1.indb 29 2022-04-02 오후 12:04:41


문에 대해 미나가 ‘응. 나는 그게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해.’라고 대답한 의 주어인 I이므로 현재분사 Watching이 알맞다.
것으로 보아 ④가 대화의 내용과 일치한다.
17 세 번째 문단의 ‘She wasn’t afraid of change and used it as
06  부모님이 노래 경연 대회 참가를 허락하지 않는다고 대답했으므로 a chance. That’s what I need to learn from her.’를 통해
‘너는 왜 그렇게 실망하고 있니?’가 빈칸에 알맞다. Dorothy가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고 그것을 기회로 이용한 것이 ‘I’가
 부모님이 열심히 공부해서 의사가 되기를 원하신다고 대답했으므 그녀에게서 배우고자 하는 점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로 ‘왜 그분들은 그것에 반대하시니?’가 빈칸에 알맞다.
 ‘좋아, 시도해 볼게.’라고 대답했으므로, 제안하는 말이 빈칸에 알맞다.
18 Dorothy의 팀원이 몇 명인지는 언급되지 않았다.
① NASA에 IBM 컴퓨터가 설치된 것은 언제인가? → 1961년
07 Ryan이 ‘They want me to study hard and be a doctor.’라고 ② 새로운 프로그래밍 언어의 이름은 무엇이었는가? → 포트란
말했으므로 ③의 ‘Ryan의 부모님이 그가 갖기를 원하는 직업’은 의사 ③ Dorothy는 어떤 요청을 받았는가? → IBM 팀의 리더가 되어달
임을 알 수 있다. 라는 요청
⑤ Dorothy가 제안을 수락하기 위한 조건은 무엇이었는가? → 자신
08 figure(인물, 거물)는 ‘중요하거나 잘 알려진 사람’을 뜻하는 단어이다.
의 팀원들을 데리고 가는 것
① 어떤 것을 잘 할 수 있는 타고난 능력 : talent(재능)
③ 어떤 일을 하는 데 필요한 힘이나 기술 : ability(능력) 19 ⓓ Opened → Opening : 분사구문의 주어가 생략되어 있으므로
④ 오랫동안 하는 일이나 직업 : career(직업) 주절의 주어와 같은 the police임을 알 수 있다. 경찰이 문을 연
⑤ 어떤 분야에서 높은 수준의 지식이나 기술을 가진 사람 : expert(전 것이므로 능동을 나타내는 현재분사 Opening이 되어야 한다.
문가) ⓕ Raising → (Being) Raised : 부사절의 주어가 주절의 주어와
같은 he이므로 raise는 ‘길러지다’라는 뜻의 수동태로 쓰였다는 것
09 주어진 문장은 ‘그러나 나는 그 문제에 대해 상사에게 말한 그녀의 용
을 알 수 있다. 따라서 Being raised에서 Being이 생략되어 과
기를 보고 기뻤다.’라는 뜻이므로 앞에는 이와 반대되는 감정을 나타내
거분사로 시작하는 분사구문이 되어야 한다.
는 내용이 오는 것이 자연스럽다. 따라서 ‘이 말을 듣고서, 나는 그녀가
정말로 안됐다고 느꼈다.’라는 문장 바로 뒤인 에 들어가는 것이 알 서답형
맞다.
서답형 1 ⑴ ‘왼쪽으로 돌면’이라는 뜻의 조건을 나타내는 분사구문이다.
10 ‘이 건물에는 유색 인종 전용 화장실이 없어요. 저는 단지 화장실을 사
접속사 if 다음에 주절과 동일한 주어(you)를 쓰고, 주절의 시
용하기 위해 반 마일을 달려가야 해요.’라는 내용으로 보아, 유색 인종
제에 맞춰 동사를 현재시제로 쓴다.
화장실을 사용하기 위해 먼 곳을 가야 하는 것이 옳지 않다고 생각하
⑵ ‘공부를 열심히 했기 때문에’라는 뜻의 이유를 나타내는 분사
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구문이다. 접속사 because 다음에 주절과 동일한 주어(she)
를 쓰고, 주절의 시제에 맞춰 동사를 과거시제로 쓴다.
11 ‘her manager Al Harrison recognized her ability(그녀의 상사
인 Al Harrison은 그녀의 능력을 알아차렸다)’로 보아 ⑤의 내용은
서답형 2 ⑴ ‘~하기를 원하다’를 뜻하는 표현은 「want to + 동사원형」이다.
알맞지 않다.
⑵ ‘~하는 것이 허락되지 않다’를 뜻하는 표현은 「 be not
12 의 matter는 조동사(will) 뒤에 동사로 쓰여 ‘중요하다’라는 뜻을 allowed to + 동사원형」이다.
나타낸다.
서답형 3 ‘~하는 것’을 뜻하는 관계대명사 what은 선행사를 포함한다. ⓒ
는 선행사 the thing이 있으므로 what을 which나 that으로 쓰거
13 빈칸 ⓑ와 ⓒ가 포함된 문장은 각각 ‘판사는 그녀가 말한 것에 감명을
받았다’와 ‘그것은 영화에서 나를 가장 감동하게 한 것이었다.’를 뜻하므 나 the thing을 삭제하고 관계대명사 what만 써야 한다.
로, 선행사를 포함하고 ‘~하는 것’을 뜻하는 관계대명사 what이 알맞다.
서답형 4 •to break → break : ‘~가 …하도록 만들다’는 「make + 목적

14 ‘Finally, she became the first African-American woman 어 + 동사원형」이다.

engineer at NASA.’로 보아 NASA에서 ‘최연소 여성 공학자’가 아 •allowed → to allow : ‘~가 …하기를 요청하다’는 「ask + 목
닌 ‘최초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여성 공학자’가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적어 + to부정사」이다.
•to preparing → to prepare : 목적을 나타내는 to부정사(to
15  1961년 NASA에 IBM 컴퓨터가 설치되었을 때, 그녀는 ‘인간 컴퓨 + 동사원형)가 되어야 한다.
터’들이 직업을 잃을까 봐 걱정했다.- 그녀는 새로운 프로그래밍
언어인 포트란을 공부했다.- 그녀는 또한 그것을 그녀의 팀원들에 서답형 5 선행사를 포함하고 ‘~하는 것’을 뜻하는 관계대명사 what을 이

게 가르쳤다.- 나중에 그녀가 새 IBM 팀의 리더가 되도록 요청받 용하고 시제에 유의하여 영작한다.
았을 때, 그녀는 제안했다. ⑴ what I bought yesterday : 내가 어제 산 것
⑵ what he said : 그가 말한 것
16 ⓐ ‘그 기계의 프로그램을 짜기 위해서는 많은 사람이 필요하다’라는
내용이 되어야 하므로 목적을 나타내는 to부정사 to program을 서답형 6 부사절을 분사구문으로 바꿀 때는 접속사와 주어를 생략하고 동사

써야 알맞다. 를 현재분사형으로 바꿔 쓴다. 단, 주어진 문장은 부사절의 주어와

ⓑ 주어 She가 목적어 it(= change)을 이용하는 주체에 해당하므로 주절의 주어가 다르므로 it을 생략하지 않고 그대로 쓰는 것에 주
능동태 used를 써야 알맞다. 의한다.

ⓒ ‘이 영화를 보면서’라는 뜻의 분사구문으로 watch의 주체가 주절

기말고사 단원별 모의고사

30

책1.indb 30 2022-04-02 오후 12:04:42


본문 p. 120 ~ 123
회 로 ‘대신에’를 뜻하는 Instead가 가장 알맞다.
3학년 1학기
단원별 모의고사 기 말 고 사
① 게다가 ③ 그러므로 ④ 결과적으로 ⑤ 예를 들면

09 ① 왕자는 요정에게 무엇을 요청하는가? → 자신을 다시 개구리로 바


꿔달라고 요청한다.
선택형 ② 요정은 왜 신데렐라를 만나기를 원하는가? → 알 수 없음
번호 정답 배점 번호 정답 배점 ③ 요정은 왕자를 무엇으로 바꾸는가? → 바퀴
01 ① 5점 06 ④ 8점 ④ 시계가 12시를 치자 어떤 일이 생기는가? → 바퀴가 다시 왕자로
02 ③ 8점 07 ① 5점 바뀐다.
⑤ 왕자는 교훈을 얻은 후 어디로 가는가? → 알 수 없음
03 ② 4점 08 ② 6점
04 ④ 5점 09 ②, ⑤ 8점 10 ‘~을 …하게 만들다’를 뜻하는 표현은 「make + 목적어 + 형용사」이
05 ④ 8점 10 ③, ⑤ 5점 다. ‘훨씬 더 행복하게’는 형용사 happy의 비교급인 happier 앞에 비
교급을 강조하는 표현(much, still, even, far, a lot)을 써야 한다. 따라
서 원급을 강조하는 부사 very와 happily의 비교급인 more happily
서답형 는 쓸 수 없다.
번호 정답 배점
서답형 1 ⓓ, look like 서답형
8점
ⓔ, save
서답형 1 ⓓ ‘~처럼 보이다’를 뜻하는 표현은 「look like + 명사(구)」이다.
서답형 2 matter 6점
ⓔ 사역동사 let은 목적격보어 자리에 동사원형을 쓴다.
서답형 3 ⑴F ⑵F ⑶T 6점
서답형 2 matter는 명사로 ‘문제’, 동사로 ‘중요하다’라는 뜻이다.
서답형 4 I know how I should live my life 9점
•우리는 그 문제를 함께 해결하려고 노력했다.
서답형 5 ⓐ smiling ⓑ did ⓒ jumping 9점
•나는 지각했지만 그것은 중요하지 않아 보였다.

서답형 3 ⑴ 왕자가 자신을 소개하는 것으로 보아 왕자와 마녀 2는 처음 만


선택형 난 사이이다.
⑵ ‘Do you know any children by the name of Hansel
01 장면(scene)으로 구분되고 등장인물의 대사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보아, 윗글은 연극을 공연하기 위해 쓰여진 희곡(play)이다. and Gretel?(Hansel과 Gretel이라는 이름의 어린이들을 알
고 있나요?)’이라는 질문에 마녀 2가 ‘Yes, Prince, I do.’라고
② 시 ③ 소설 ④ 수필 ⑤ 일기
답한 것으로 보아 마녀 2는 그들의 이름을 들어 본 적이 있음
02  문맥상 ‘주변을 뛰어다니지 마세요.’가 되어야 자연스럽다. 「stop 을 알 수 있다.
+ 동명사」는 ‘~하기를 멈추다’라는 뜻이므로 동명사 jumping이 ⑶ 왕자는 마녀 2의 집에 들어가지 않고 도망쳤다.
알맞다. 「stop + to부정사」는 ‘~하기 위해 멈추다’라는 뜻이다.
서답형 4 ‘어떻게 ~해야 하는지’는 「how + 주어 + should + 동사원형」으
 목적을 나타내는 to부정사 to kill과 등위접속사 and로 연결된 병
로 쓸 수 있다.
렬 구조로 save 앞에 to가 생략되었다.
 ‘행복하게 살았다’라는 의미이므로 동사 lived를 수식하는 부사 서답형 5 ⓐ ‘미소를 지으며’라는 뜻이므로, 동시동작을 나타내는 분사구문
happily가 알맞다. 인 smiling이 알맞다.
ⓑ 앞에 나온 believed me를 대신하는 대동사이므로 시제를 일
03 왕자가 ‘I don’t want to go out and kill anything.(나는 밖에 나
치시켜 과거형인 did가 되어야 한다.
가서 아무것도 죽이고 싶지 않아요.)’이라고 말한 것으로 보아 무언가
를 죽이는 것을 원치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서로 손을 잡고 폴짝폴짝 뛰며’라는 뜻이므로, 동시동작을 나
타내는 분사구문인 jumping이 알맞다.
04 ‘I hope you can turn me back into a frog’로 보아 왕자는 마녀
가 자신을 다시 개구리로 바꿔주기를 원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05 ④ 왕자는 사과가 맛없어 보여서(→ 원하는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먹


기를 거절한다.

06 주어진 문장은 ‘저를 초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라는 뜻이므로, ‘내가


당신에게 맛있는 점심을 대접할게요. 들어와요.’라는 초대의 말 바로
뒤인 에 들어가는 것이 자연스럽다.

07 ⓐ be made of : ~으로 만들어지다 (재료의 상태 변화가 없을 때)


ⓑ by the name of : ~라는 이름의

08 앞뒤에 서로 다른 내용의 문장을 연결하는 접속부사가 들어가야 하므

기말고사 단원별 모의고사

31

책1.indb 31 2022-04-02 오후 12:04:42


본문 p. 126 ~ 131
회 crossed (for you)!’이다.
3학년 1학기
실전 모의고사 기 말 고 사
 ‘~을 기대하다’를 뜻하는 표현은 「look forward to + 명사/동명
사」이다.

05 ‘그 천은 저녁 식탁을 덮을 만큼 크다.’라는 뜻으로, ‘~할 만큼 충분히 …


선택형 한/하게’를 뜻하는 표현은 「형용사/부사 + enough to + 동사원형」이다.
번호 정답 배점 번호 정답 배점
06 분사구 Not having money를 「접속사 + 주어 + 동사」로 바꿔야 한
01 ④ 11 ② 다. ‘그녀는 돈이 없었기 때문에’라는 의미이므로 이유를 나타내는 접
02 ⑤ 12 ② 속사 because[as]와 주어 she를 쓰고, 분사 앞의 Not과 주절의 시
03 ③ 13 ② 제를 참고하여 과거시제 부정형인 didn’t have를 쓴다.

04 ⑤ 14 ④
07 ⓒ 부사 first는 ‘먼저, 우선’, and then은 ‘그러고 나서’로 해석한다. 따
05 ⑤ 4점 15 ⑤ 4점 라서 ‘먼저 웃기고 나서 다음에 생각하게 하는’이 알맞은 해석이다.
06 ④ 공통 16 ④ 공통
08 주어진 문장은 ‘하지만 이그노벨상은 어떤가?’라는 뜻이므로, 한지원
07 ③ 17 ③ 학생의 연구가 노벨상을 받을 만큼 훌륭하지 않다는 내용의 문장 다음
08 ③ 18 ④ 인 에 들어가는 것이 알맞다.
09 ② 19 ③
09 ⓐ in 2000
10 ⑤
ⓒ people who don’t have a sense of humor
ⓓⓔ an alarm clock
서답형
10 마지막 문단에서 Gauri Nanda가 도망 다니는 자명종을 발명하여 이
번호 정답 배점 그노벨상을 받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서답형 1 ⑴ eager ⑵ economics ⑶ unusual
서답형 2 ⑴ not only brave but also nice
11 윗글은 이그노벨상 시상식의 특징과 전통을 설명하고 있으므로 ② ‘이
그노벨상 시상식의 전통’이 제목으로 알맞다.
⑵ both smart and humorous
4점
서답형 3 as well as, makes people laugh 12 ⓐ ‘많은 재미있는 것들’이라는 뜻이므로 ‘많은’을 뜻하는 a number
공통 of를 써야 한다.
서답형 4 (i)mpressed
ⓒ ‘~라고 불리는’의 뜻으로 앞에 있는 명사를 수식하는 과거분사
서답형 5 Watching this movie
called를 써야 한다.
서답형 6 ⓔ, what you act
ⓓ ‘각각의 ~’를 뜻하는 「each + 단수명사」는 주어로 쓰일 경우 단수
취급하므로 동사는 receives가 되어야 한다.
ⓔ 비교급 (more fun) 을 강조하는 표현으로는 ‘훨씬’을 뜻하는
선택형 much, still, even, far, a lot을 써야 한다.

01 A : 너는 왜 실망하고(disappointed) 있니? 13 ‘The opening and closing speeches are just two words

B : 나는 발표를 잘하지 못했어. each’로 보아 개회사와 폐회사는 두 단어씩임을 알 수 있다.


A : 괜찮아(Take it easy). 너의 발표는 약간 빨랐지만, 나는 너의 발
14  그녀는 열심히 일했고 수학에서 재능을 보였다.- 그녀의 상사
표가 마음에 들었어.
인 Al Harrison은 그녀의 능력을 알아차렸다.- 어느 날, 그는
B : 너는 내가 더 천천히(slowly) 말해야 한다고 생각하니? Katherine 이 너무 오래 자리를 비웠을 때 화가 났다.- Al 은
A : 응. 그러면 너의 학급 친구들이 네 말을 더 잘(better) 이해하게 될 Katherine에게 어디에 갔었는지 물었고 그녀는 대답했다.
거야.
15 뒷문장인 ‘This made Al Harrison break down the “Colored
02 ‘저는 당신처럼 멋진 마술사가 되고 싶은데, 마술 대회에서 떨어졌어
Ladies Room” sign.’으로 보아 Katherine이 Al Harrison에게
요.’라고 대답했으므로, 기분이 좋지 않은 이유를 묻는 질문이 알맞다. 유색 인종 전용 화장실이 없는 문제에 관해 말했다는 내용이 빈칸에
⑤는 ‘너는 무엇을 하고 싶니?’라는 뜻이다. 알맞다.

03  이것은 흥미로워 보여. 도마니, 아니면 새 모이통이니?- 그것 16 는 판사를 가리키고, 나머지는 모두 Mary Jackson을 가리킨다.
은 도마일 뿐만 아니라 새 모이통이기도 해. 너는 동시에 두 가지를 할
수 있어.- 멋진 아이디어야!- 정말 그렇게 생각하니? - 응. 17 ‘The judge was impressed by what she said and finally
난 그것을 사용해 보는 게 정말 기대가 되는 걸. gave her permission.’으로 보아 Mary Jackson은 판사의 허락
을 받아 백인 학교에 갔음을 알 수 있다.
04  ‘이번이 그것을 처음 해보는 거야.’라는 뜻으로 the first time을
수식하는 형용사적 용법의 to부정사(to try)가 알맞다. 18 ⓓ was → wasn’t : IBM 컴퓨터가 설치되자 Dorothy는 새 프로그
 ‘행운을 빌어 줄게!’를 뜻하는 표현은 ‘I’ll keep my fingers 래밍 언어를 배우고 팀원들에게 그것을 가르쳤고, 그 결과 자신은

기말고사 실전 모의고사

32

책1.indb 32 2022-04-02 오후 12:04:43


IBM 팀의 리더가 되었고, 팀원들은 프로그래머가 되었다. 이를 통
해 Dorothy가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고’ 그것을 기회로 활용했음 서답형
을 알 수 있다. 번호 정답 배점
서답형 1 Not only Marie Curie but also her
19 Dorothy는 IBM 컴퓨터의 도입으로 계산원들이 직업을 잃을까 걱정
하여 그들에게 새로운 프로그래밍 언어를 가르쳤고, IBM 팀의 리더 daughter was awarded the Nobel Prize.
제의를 받았을 때 그들을 함께 데려가기 위해 와 같이 말하고 있다. 서답형 2 Is that funny enough for you to laugh
out loud?
서답형 서답형 3 ⓓ, eight-year-old 4점
공통
서답형 4 which is worth less than
서답형 1 ⑴ 그는 항상 새로운 것을 배우고자 하는 열의가 있다.
⑵ 나는 대학에서 경제학을 공부했다. 서답형 5 what
⑶ 그가 아침 일찍 일어난 것은 이례적인(특이한) 일이었다. 서답형 6 ⑴ (c)ourage ⑵ (b)reak down
서답형 7 change
서답형 2 ⑴ 「not only A but also B」는 ‘A뿐만 아니라 B도’를 뜻하는
상관접속사이다.
⑵ 「both A and B」는 ‘A와 B 둘 다’를 뜻하는 상관접속사이다. 선택형
서답형 3 ‘A뿐만 아니라 B도’를 뜻하는 상관접속사 「not only A but also
01 <보기>와 ⑤는 둘 다 동사와 명사의 관계로, <보기>는 ‘허락하다-허락’
B」는 「B as well as A」로 바꿔 쓸 수 있다. 주어로 쓰일 경우 동 의 뜻이고, ⑤는 ‘발견하다-발견’의 뜻이다.
사의 수는 B에 일치시킨다.
① 형용사-부사 ②③ 형용사-명사 ④ 명사-형용사
서답형 4 ⓐ 판사가 Mary의 말에 감명 받아(impressed) 그녀에게 허락해
02 get over는 ‘~을 극복하다’라는 뜻이다.
주었다. 이때 impressed는 수동태를 구성하는 과거분사이다.
•나는 그녀가 병을 극복하고 곧 건강해 질 수 있다고 믿는다.
ⓑ Mary가 자신과 다른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편에 선 것은 글 •너는 성공하기를 원한다면 그 문제를 극복해야 한다.
쓴이를 감동시켰다(impressed). 이때 impressed는 능동태
과거시제로 쓰였다. 03 너는 왜 실망하고 있니?- 나는 밴드 오디션에서 떨어졌어.- 그
것 참 안됐구나.- 너는 내가 계속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하니? -
서답형 5 부사절을 분사구문으로 바꿔 쓸 때 접속사와 중복되는 주어를 생
 물론이지. 포기하지 마. 너는 다음번에 더 잘할 거야.
략하고 동사를 현재분사로 쓴다.
04  can → can’t : 문맥상 ‘체육 대회가 정말 기다려져요.’라는 뜻이
서답형 6 ⓔ는 ‘당신은 자신이 연기하는 것이 될 수 있습니다.’를 뜻하는 문
되어야 하므로 ‘나는 ~가 정말 기다려져’를 뜻하는 표현인 「I
장이므로, 선행사를 포함하며 ‘~하는 것’을 뜻하는 관계대명사
can’t wait for + 명사(구)」를 써야 한다.
what을 써야 한다.
 won’t → will : 문맥상 ‘나는 실수할까 봐 두려워요.’라는 뜻이 되
어야 하므로 긍정문으로 써야 한다.

05 ‘She won the Nobel Prize because she had fought for
women’s and children’s rights.’로 보아 Malala Yousafzai는
본문 p. 132 ~ 137 여성과 아이들의 인권을 위해 맞서 싸웠기 때문에 노벨상을 받았음을
회 3학년 1학기 알 수 있다.
실전 모의고사 기 말 고 사
06 ③ ‘A뿐 아니라 B도’를 뜻하는 상관접속사 「not only A but also B」
에서 A, B에는 문법적으로 대등한 어구가 와야 한다. A에 형용사
lovely가 쓰였으므로 B에도 nice 등과 같은 형용사를 써야 한다.
선택형
번호 정답 배점 번호 정답 배점 07 부사절을 분사구문으로 바꿔 쓸 때는 접속사와 주어(주절과 같은 경우)

01 ⑤ 10 ④ 를 생략하고 동사를 현재분사(Feeling)로 쓴다. 부사절의 의미를 분명


하게 나타내기 위해 접속사를 그대로 쓰기도 하므로 Because
02 ① 11 ③
feeling sick으로 쓸 수도 있다.
03 ③ 12 ②
04 ①, ④ 13 ④ 08 ⓐ 문맥상 ‘특이하고 창의적인 사람들을 높이 평가함으로써’가 되도록
4점 4점 ‘~함으로써’를 뜻하는 「by + 동명사」를 이용해야 한다.
05 ④ 14 ④
공통 공통 ⓑ 문맥상 ‘돈을 절약하기 위하여’를 뜻하므로 목적을 나타내는 to부
06 ③ 15 ⑤
정사(To save)를 쓸 수 있다.
07 ② 16 ③
08 ④ 17 ⑤ 09 주어진 문장은 ‘그것은 잠자는 사람이 결국 침대 밖으로 나올 때까지
계속 도망을 다닌다.’라는 뜻으로, Gauri Nanda가 자명종을 발명했
09 ⑤ 18 ⑤
다는 문장 다음인 에 들어가는 것이 알맞다.

기말고사 실전 모의고사

33

책1.indb 33 2022-04-02 오후 12:04:43


10 ① 그 해에 세 사람이 상을 탔다. → 알 수 없음 어 다른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의 역할을 할 때, 단위 명사는 반
② 영국 해군은 경제학(→ 평화) 분야에서 상을 탔다. 드시 단수로 써야 한다.
③ Andre Geim은 공중에 자석(→ 살아 있는 개구리)을 띄운 것으로
서답형 4 콤마 뒤의 부분이 ten trillion Zimbabwean dollars에 대한 부
상을 탔다.
연 설명이므로 계속적 용법의 관계대명사를 이용하여 영작할 수
④ Andre Geim은 상을 탄 후에 연설을 했다.
있다. 선행사가 사물이므로 관계대명사 which를 쓰고, ‘~의 가치
⑤ Gauri Nanda는 2000년도(→ 2005년도)의 수상자 중의 한 명이었다.
가 있다’는 be worth로, ‘~보다 적은’은 less than으로 나타낸다.

11 윗글은 이그노벨상 시상식의 재미있는 전통을 설명하고 있으므로, ③


서답형 5 ⓐ와 ⓑ는 각각 ‘그녀가 말한 것’과 ‘나를 가장 감동하게 한 것’이라
‘이그노벨상 수상자들의 연구뿐만 아니라 시상식도 재미있다’는 내용
는 뜻이므로 ‘~하는 것’을 뜻하는 관계대명사 what을 써야 한다.
이 빈칸에 알맞다.
서답형 6 상사에게 그 문제에 대해 말한 Katherine의 용기(courage)는 그가
12 Mary는 로켓 공학을 공부하기 위해 백인 학교에 가고 싶었지만 그 당
‘유색 인종 여성 화장실’ 표지판을 부수게(break down) 만들었다.
시 흑인이 백인 학교에 가는 것은 허락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그녀가
‘최초’가 될 수밖에 없다고 한 것은 ‘백인 학교에 입학한 최초의 흑인 서답형 7 change는 명사로 ‘변화’, 동사로 ‘바꾸다’라는 뜻이다.
학생’이 되겠다는 것을 뜻한다. •카멜레온은 자신의 색을 바꿀 수 있다.
•그녀는 변화를 싫어해서 같은 전화기를 5년 동안 써 왔다.
13 ⓐ which → who : 선행사가 사람이므로 주격 관계대명사는 who
또는 that을 써야 한다.
ⓑ to become → becoming : 전치사 of의 목적어로 명사 또는 동
명사를 쓴다.
ⓒ by → in : ‘수학에 재능을 보였다’는 뜻이므로 ‘(특정 분야)에서’를 본문 p. 138 ~ 143
뜻하는 전치사 in을 써야 한다. 회 3학년 1학기
ⓔ use → to use : ‘사용하기 위해’라는 뜻이므로 목적을 나타내는 실전 모의고사 기 말 고 사
부사적 용법의 to부정사(to use)를 써야 한다.

14 ‘이 말을 들었을 때’는 부사절 When I heard this로 쓰거나, 부사절


선택형
의 접속사와 중복되는 주어를 생략하고 동사를 현재분사로 바꾸어 쓴
분사구문 Hearing this로 쓸 수 있다. 번호 정답 배점 번호 정답 배점
01 ④ 11 ⑤
15 ‘There are no COLORED bathrooms in this building.’으로
02 ③ 12 ③
보아 Katherine이 일했던 건물에는 유색 인종 전용 화장실이 없었음
을 알 수 있다. 03 ④ 13 ②
04 ④ 14 ⑤
16 주어진 문장은 ‘Dorothy 덕분에 그녀의 팀원들은 프로그래머가 될 수
05 ④ 4점 15 ③ 4점
있었다.’라는 뜻이므로, Dorothy가 그녀의 팀원들과 함께 일하겠다고
말한 내용의 바로 뒤인 에 들어가는 것이 알맞다.
06 ④ 공통 16 ④ 공통

07 ②, ④ 17 ⑤
17 ‘~하지 않는다면’은 「if ~ not」으로 쓸 수 있다. 주절인 ‘I’m not
08 ⑤ 18 ②
accepting the offer’는 현재진행형(be동사 + -ing)의 형태로 가까
운 미래의 계획이나 확정된 미래를 나타낸다.
09 ④ 19 ④
10 ②
18 ‘She wasn’t afraid of change and used it as a chance.’로
보아 Dorothy는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고 그것을 기회로 이용했음을
알 수 있다. 서답형
번호 정답 배점
서답형 서답형 1 Not only you but also he wants to see

서답형 1 ‘A뿐만 아니라 B도’를 뜻하는 상관접속사는 「not only A but


the movie.
서답형 2 that[which], make, think
also B」로, 문장의 주어로 쓰일 경우 동사의 수는 B에 일치시킨
다. 「award A B」는 ‘A에게 B를 수여하다’라는 뜻으로, 수동형으 서답형 3 There are a number of interesting
로 쓸 경우 「A be awarded B」가 된다. 위의 문장에서 the things that keep people from getting 4점
Nobel Prize가 B에 해당한다. bored. 공통
서답형 4 ⑴T ⑵T⑶F
서답형 2 ‘~할 만큼 충분히 …한/하게’를 뜻하는 「형용사/부사 + enough
서답형 5 Mary Jackson was the character whom
to + 동사원형」을 이용하여 영작한다. to부정사의 의미상 주어는
I liked the most of the three.
to부정사 앞에 「for + 목적격」의 형태로 쓴다.
서답형 6 the thing which[that]
서답형 3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year)가 형용사 등과 하이픈(-)으로 연결되

기말고사 실전 모의고사

34

책1.indb 34 2022-04-02 오후 12:04:44


선택형 있도록 판사에게 허락을 요청했다.

01 ceremony는 ‘의식, 식’이라는 뜻이고, ‘우승자에게 주는 상이나 상금’ 17 글쓴이는 Dorothy Vaughan으로부터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고 그것

을 뜻하는 단어는 award(상)이다. 을 기회로 이용하는 것을 배웠다.

02 ⓒ practice → to practice : ‘매일 그리기 연습하는 것이 더 중요 18 는 현재분사이고 ②는 동명사이다. 현재분사와 동명사는 둘 다 -ing
해요.’라는 뜻으로, to부정사(구) 주어 자리에 가주어 it을 대신 쓴 의 형태이지만, 동명사는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가 되는 명사의 역

구문이다. 따라서 진주어에 해당하는 practice 는 to 부정사(to 할을 하고, 현재분사는 분사구문, 진행형, 또는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

practice)로 써야 한다. 의 역할을 한다.


①④⑤ 분사구문으로 쓰인 현재분사
03 체육대회에서 경주에 참가하는 딸에게 엄마가 하는 말이므로 빈칸에는 ③ 과거진행형으로 쓰인 현재분사
‘네가 달리는 모습을 보는 것이 기대되는구나.’라는 뜻의 문장이 들어
가야 자연스럽다. 「look forward to + 명사/동명사」는 ‘~을 기대하 19 Dorothy가 얼마 동안 IBM 팀의 리더로 일했는지는 알 수 없다.
다’를 뜻하는 표현이다. ① 1961년에 무엇이 NASA에 설치되었는가? → IBM 컴퓨터
② 새로운 프로그래밍 언어의 이름은 무엇인가? → 포트란
04 ④ enough clean → clean enough : ‘~할 만큼 충분히 …한’은 ③ Dorothy는 누구에게 자신이 공부한 것을 가르쳤는가? → 그녀의
「형용사 + enough to + 동사원형」으로 쓴다. 팀원들
⑤ 영화 속의 세 명의 ‘히든 피겨스(숨겨진 인물들)’는 누구인가? →
05 ‘I have to buy fresh meat and vegetables every day.’로 보
아 매일 신선한 고기와 채소를 산다는 것을 알 수 있다. Katherine, Mary, Dorothy

06 ⓓ great → tough : ‘그것은 힘든 일이지만, 나는 내가 하는 일을 사 서답형


랑한다’가 문맥상 자연스럽다.
서답형 1 주어진 문장은 ‘너뿐만 아니라 그도 영화를 보고 싶어 한다.’는 의
07 부사절을 분사구문으로 바꿔 쓸 때는 접속사와 중복되는 주어를 생략 미의 한 문장으로 영작할 수 있다. ‘A뿐만 아니라 B도’를 뜻하는
하고 동사를 현재분사로 써야 한다. 「not only A but also B」를 사용하여 주어를 영작하고 동사를
① Have → Having B(he)에 수 일치시켜 wants로 쓰는 것에 주의한다.
③ Turned → Turning
서답형 2 ‘먼저 웃기고 나서 다음에 생각하게 만드는’이라는 관계대명사절
⑤ Arrived → Arriving
이 discoveries(발견)라는 선행사를 수식해야 하고, 선행사가 관
08 ⓔ the usual → the unusual : 문맥상 ‘이그노벨상은 특이하고 창 계사절의 주어에 해당하므로 주격 관계대명사 that 또는 which
의적인 사람들을 높이 평가한다’는 내용이 자연스러우므로 를 쓴다. 관계대명사절은 ‘~가 …하게 만들다’라는 뜻의 「make
usual(보통의)이 아니라 unusual(특이한)을 써야 한다. + 목적어 + 동사원형」 구문을 이용하여 「make + 목적어(one) +
laugh/think」의 형태로 쓴다.
09 이그노벨상을 처음 만든 사람이 누구인지는 언급되어 있지 않다.
서답형 3 주어진 문장은 ‘재미있는 것들이 많이 있다 / 사람들이 지루해하지
10 ⓐ 수동태의 행위자를 나타내는 전치사 by
않도록 하는’이라는 두 부분으로 나누어지고 두 번째 절이 ‘재미있
ⓑ be filled with : ~로 가득 차다
는 것들’을 수식하는 관계대명사절이 되어야 한다. 주절은 「There
ⓒ instead of : ~ 대신에
are + 복수명사」 형태로 배열하고, 주격 관계대명사 that과 ‘A가
ⓓ succeed in + -ing : ~하는 데 성공하다
~하지 못하게 하다’라는 뜻의 「keep A from + -ing」를 이용하
11 ‘Gauri Nanda won the Ig Nobel Prize in Economics for 여 관계사절을 완성한다.
inventing an alarm clock.’으로 보아 Gauri Nanda는 이그노벨
서답형 4 ⑴ 개회사와 폐회사는 각각 “ Welcome. Welcome. ”과
평화상이 아닌 경제학상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Goodbye. Goodbye.”로 짧다.
12 ⓒ that → which : that은 계속적 용법의 관계대명사로 쓸 수 없다. ⑵ 누군가가 오랫동안 말을 하면 Miss Sweetie Poo가 말을
선행사가 사물(ten trillion Zimbabwean dollars)인 경우 계속 중단시킨다고 했으므로 수상자가 긴 연설을 하는 것은 어렵다.
적 용법의 주격 관계대명사는 which를 써야 한다. ⑶ 수상자들은 1달러보다 더 적은 돈을 상금으로 받는다.
13 주어진 문장은 ‘그들은 1960년대에 ‘인간 컴퓨터(계산원)’로 일을 시작 서답형 5 ‘whom I liked the most of the three(셋 중에 가장 마음에
했다.’라는 뜻이므로 NASA에서 일했던 영화의 주인공 세 명을 소개 드는)’라는 관계대명사절이 the character(인물)를 수식하도록
한 문장 바로 뒤인 에 들어가는 것이 가장 알맞다. 단어를 배열해야 한다.

14 ‘her manager Al Harrison recognized her ability’로 보아 서답형 6 ‘그것이 내가 그녀로부터 배울 필요가 있는 것이다.’라는 뜻이므로
Katherine의 상사가 그녀의 능력을 알아차렸음을 알 수 있다. ‘~하는 것’을 뜻하는 선행사를 포함하는 관계대명사 what을 쓸
수 있으며, what은 「선행사 + 관계대명사」인 the thing which
15 「have no choice but to + 동사원형」은 ‘~할 수밖에 없다’라는 뜻
[that]로 바꿔 쓸 수 있다.
이므로 ‘최초가 될 수밖에 없어요’가 해석으로 알맞다.

16 Mary Jackson은 로켓 공학을 공부하기 위해 백인 학교에 입학할 수

기말고사 실전 모의고사

35

책1.indb 35 2022-04-02 오후 12:04:44


본문 p. 144 ~ 149
회 ⑤ Going out → His parents going out : 부사절과 주절의 주어
3학년 1학기
실전 모의고사 기 말 고 사
가 다를 경우 부사절의 주어를 그대로 써야 한다.

05 ‘음, 그래. 너도 알다시피, 연습이 완벽을 만들잖아.’라고 대답한 것으로


보아 빈칸에는 ‘내가 연습을 더 많이 해야 할까?’ 또는 ‘너는 내가 더
선택형 연습해야 한다고 생각하니?’가 알맞다. WH 의문문은 Yes/No로 대
번호 정답 배점 번호 정답 배점 답하지 않는다.

01 ② 11 ①
06 엄마, 체육 대회에 오실 거예요?- 물론이지. 나는 ‘Kick a Shoe’
02 ② 12 ② 게임에 참가할 거야. 이번에 처음 해보는 거야.- 걱정하지 마세요.
03 ③ 13 ③ 엄마는 잘하실 거예요. 행운을 빌어 드릴게요!- 고맙다. 나는 다른

04 ① 14 ③ 엄마들과 코믹 댄스도 할 거야.- 재미있겠네요. 무대에 선 엄마 모


습을 보는 것이 기대돼요.
05 ②, ④ 4점 15 ③ 4점
06 ⑤ 공통 16 ④ 공통 07  빈칸의 뒷부분은 이그노벨상에 관한 내용이므로 빈칸에는 an Ig
07 ③ 17 ③ Nobel Prize가 알맞다.

08 ② 18 ③ 08 ⓐ는 한국의 고등학생 한지원이 했던 커피 잔을 들고 뒤고 걸을 때 무


09 ⑤ 19 ② 슨 일이 생기는지에 관한 ‘연구’를 가리키는 것으로, 그 연구를 했던 이
10 ④ 20 ⑤ 유는 언급되어 있지 않다.
① 누가 그것을 했는가? → 한지원
③ 언제 그것을 했는가? → 2015년
서답형
④ 그것의 주제는 무엇이었는가? → 커피 잔을 들고 뒤로 걸을 때 무
번호 정답 배점 슨 일이 생기는가
서답형 1  ceremony  winners ⑤ 그것은 어떤 상을 받았는가? → 이그노벨상
서답형 2 the Ig Nobel Prizes make science a
lot more fun
09 ⓒ 영국 해군은 돈을 아끼기 위해 선원들에게 “쾅!”이라고 소리치게 했
으므로 ‘instead of using real bombs(진짜 폭탄을 사용하는
서답형 3 ⓐ were installed ⓑ was asked
4점 대신에)’가 알맞다.
서답형 4 ⑴ Not only I but also she wants to ⓔ 이그노벨상은 재미있는 연구에 주어지는 상이므로 유머 감각이 없
공통
watch the movie. 다면 ‘they are usually not very good scientists(그들은 대
⑵ She as well as I wants to watch the 개 매우 훌륭한 과학자가 아니다)’가 알맞다.
movie.
서답형 5 ⓐ jumping ⓑ to go ⓒ running 10 ① 누가 이그노벨상을 주는가? → 진짜 노벨상 수상자들
② 어디에서 이그노벨상 시상식이 열리는가? → 하버드 대학의
Sanders 극장
선택형 ③ 누가 2000년에 이그노벨 평화상을 받았는가? → 영국 해군
④ 몇 명의 선원들이 “쾅!”이라고 외쳤는가? → 알 수 없음
01 ⓐ 당신이 실수를 했다고 말하는 데는 용기(courage)가 필요하다.
⑤ 누가 연구에 살아 있는 개구리를 이용했는가? → Andre Geim
ⓑ Mary 의 부모님은 그녀가 주말마다 TV 보는 것을 허락하신다
(allow). 11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뒤의 동사는 선행사에 수 일치한다. 선행사
ⓒ 당시에 유색(colored) 인종들은 많은 차별을 겪었다. (a number of interesting things)가 복수명사구이므로 동사도
ⓓ 그녀는 남자친구가 그녀의 생일을 잊었을 때 매우 실망했다 복수형 keep을 써야 알맞다.
(disappointed). ⓑ ‘~으로 끝나다’를 뜻하는 표현은 end with이다.
ⓒ ‘~같은’을 뜻하는 전치사는 like이다.
02 stand up for는 ‘~을 지지하다, 옹호하다’를 뜻하므로, ②는 ‘그들은
다른 사람들의 권리를 옹호했다.’라는 의미의 문장이다. 12 윗글을 바르게 이해한 사람은 기윤, 태은, 소라이다.
•선미 : 이그노벨상은 노벨상만큼 영광스럽다. → the awards are
03 ③의 what은 ‘무슨’을 뜻하는 의문형용사이고 나머지는 ‘~하는 것’을
not great honors like the Nobel Prizes(노벨상처럼 훌륭한 영
뜻하는 관계대명사이다.
광은 아니다)라고 말하고 있다.

04 ② Works → Working : 부사절을 분사구문으로 바꿔 쓸 때, 접속사 •수진 : 이그노벨상의 각각의 수상자는 미국 달러로 1달러 이상을 받는
와 주어를 생략하고 동사를 현재분사로 써야 한다. 다. → 10조의 짐바브웨 달러를 받는데, 이것은 미국의 1달러보다 가
③ Lefting → Leaving : left는 leave의 과거형이므로 -ing를 붙일 치가 낮다.
수 없다. 원형인 leave에 -ing를 붙인 Leaving으로 써야 한다. •지수 : 만약 사람들이 너무 길게 말한다면, Miss Sweetie Poo가
④ she eating → eating : 주절과 부사절의 주어가 같은 경우 부사 “너무 길어요!”라고 소리친다. → “제발 멈춰요! 지루해요.”라고 소리
절의 주어를 생략한다. 친다.

기말고사 실전 모의고사

36

책1.indb 36 2022-04-02 오후 12:04:45


13 ⓐ Katherine이 자리를 너무 오래 비웠다고 했으므로 그녀의 매니저 서답형 5 ⓐ 문맥상 ‘주변을 그만 뛰어다니세요.’라는 뜻이므로 ‘~하던 것
는 ‘화가 났다(upset)’는 말이 와야 한다. 을 멈추다’를 뜻하는 「stop + -ing」를 써야 한다. 「stop + to
ⓑ 유색 인종 전용 화장실을 사용하기 위해 자리를 비웠다는 부정사」는 ‘~하기 위해 멈추다’라는 뜻이다.
Katherine의 말을 듣고 ‘안됐다(sorry)’고 느끼는 것이 자연스럽다. ⓑ want는 to부정사를 목적어로 취하는 동사이므로 to go가 되
ⓒ Katherine이 매니저에게 말할 용기가 있었다는 것에 대해 ‘기뻤다 어야 한다.
(glad)’고 느끼는 것이 가장 자연스럽다. ⓒ ‘~ 하고 싶다’를 뜻하는 표현은 「feel like + -ing」이므로
running이 되어야 한다.
14 빈칸 다음 문장에서 ‘저는 단지 화장실을 이용하기 위해 반 마일을 달
려가야 해요.’라고 말하고 있고, Katherine의 말을 들은 상사가 ‘유색
인종 여성 화장실’이라는 표지판을 부수었다고 했으므로 에는 ‘이
건물에는 유색 인종 전용 화장실이 없다’는 내용이 들어가야 한다.

15 ⓑ whom → which : 선행사가 사물인 경우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which 또는 that을 써야 한다.
ⓒ which → what : ‘~하는 것’을 뜻하는 선행사를 포함하는 관계대
명사는 what이다.

16 주어진 단어를 배열하면 ‘she wasn’t allowed to go to a white


school’이 되므로 5번째로 오는 것은 go이다.

17 Mary Jackson은 흑인들에게 허락되지 않는 일(백인 학교에 다니는


것)을 판사에게 요청하고 있으므로 ③ ‘저는 최초가 될 수밖에 없어요’
가 빈칸에 알맞다.
본문 p. 152 ~ 157
18 는 새로 만들 IBM 팀을 가리키고, 나머지는 Dorothy Vaughan
회 3학년 1학기
의 팀원들을 가리킨다.
고난도 모의고사 기 말 고 사
19 Dorothy는 새로운 IBM 팀의 리더가 되어 달라는 요청을 받고, 자신
의 팀원들을 데려올 수 없다면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겠다고 대답한 것
이므로 ‘그 제안(the offer)’은 ‘새로운 IBM 팀의 리더가 되는 것’을 선택형
가리킨다.
번호 정답 배점 번호 정답 배점

20 주어진 문장은 ‘수백 가지의 문제가 있어요!’라는 뜻으로, ‘뭐가 문제에 01 ② 08 ①, ⑤


요?’라는 왕자의 질문 이후 공주가 이를 다시 묻고 답하도록 에 들 02 ① 09 ⑤
어가는 것이 가장 알맞다.
03 ①, ④ 10 ④
5점 5점
서답형
04 ③ 11 ①, ⑤
공통 공통
05 ①, ④ 12 ③
서답형 1  빈칸의 뒷부분은 이그노벨상 시상식에 관한 내용이므로 빈칸
06 ⑤ 13 ③
에는 ‘의식, 식’을 뜻하는 ceremony가 알맞다.
07 ③, ⑤ 14 ⑤
 이그노벨 수상자들은 많은 돈을 받지 않는다는 내용이므로 ‘수
상자’를 뜻하는 winners가 알맞다.
서답형
서답형 2 ‘~을 (어떤 상태로) 만들다’를 뜻하는 표현은 「make + 목적어 +
형용사」이다. 형용사 fun의 비교급인 more fun 앞에 ‘훨씬’을 뜻 번호 정답 배점

하는 비교급 강조 표현 a lot을 써야 한다. 서답형 1 ⑴ competition ⑵ impression


⑶ permission
서답형 3 ⓐ 주어 IBM computers는 ‘설치되는’ 대상이므로 동사는 수동
서답형 2 ⓐ, do ⓔ, crossed
태를 써야 한다. 주어가 복수명사이고 과거를 나타내는 부사구
서답형 3 ⑴ Sanders Theater ⑵ Nobel winners
in 1961이 있으므로 were installed를 써야 알맞다.
⑶ Economics ⑷ an alarm clock
ⓑ 주어 She가 ‘요청받는’ 대상이므로 동사는 수동태를 써야 한 5점
서답형 4 ⓐ who(m)[that] ⓑ which[that]
다. 주어가 3인칭 단수이고 과거의 일을 나타내므로 was 공통
ⓒ which[that]
asked를 써야 알맞다.
서답형 5 ⑴ faced ⑵ leader ⑶ to install
서답형 4 ‘A뿐만 아니라 B도’는 「not only A but also B」 또는 「B as 서답형 6 ⑴ too dark in the basement for me to
well as A」로 나타내며, 주어로 쓰일 경우 B에 동사의 수를 일치 see anything
시켜야 한다. 주어진 문장에서 B에 해당하는 것은 she이므로 동 ⑵ Injured in the accident
사가 3인칭 단수형인 wants가 되는 것에 주의하여 영작한다.

기말고사 고난도 모의고사

37

책1.indb 37 2022-04-02 오후 12:04:45


선택형 ① 그 학생은 종이 위에 숫자 3을 썼다.
② 나는 멀리서 키가 큰 두 사람의 형체를 볼 수 있었다.
01 •그 남자는 청력(sense of hearing)이 좋지 않다. ③ 나는 그 문제를 어떻게 풀어야 할지 알 수 없었다.
•그들은 세종 대왕에 대해 알기 위해 조사(research)를 좀 했다. ④ 당신은 전시 중인 인물상들은 만질 수 없습니다.
•그 나라들은 전쟁을 끝내고 평화(peace)를 가져오기를 바랐다. ⑤ 그녀는 그 캠페인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들 중의 하나였다.
•그 소녀는 대회에서 우승함으로써 학교에 명예(honor)를 가져다주
었다. 10 ⓐ ‘열심히’를 뜻하는 부사는 hard이다. hardly는 ‘거의 ~않다’라는
•그 학생은 열대우림을 살리는 것에 대해 멋진 연설(speech)을 했다. 뜻이다.

주어진 단어와 영영풀이가 일치하는 것은 research에 대한 설명으로 ⓑ Al이 질문하는 시점인 과거보다 더 이전의 일을 묻고 있으므로 과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기 위해 하는 어떤 것에 관한 연구’라는 뜻이다. 거완료(had + 과거분사)인 had been이 알맞다.

나머지 영영풀이는 ① speech, ③ navy, ④ worth, ⑤ discovery ⓒ ‘~가 …하도록 만들다’를 뜻하는 표현은 「make + 목적어 + 동사
에 대한 설명이다. 원형」이다.

02 ⓑ that → what : ‘그것은 그들이 먹기를 기대했던 것이 아니었다.’라 11 세 여자가 어디 출신인지와 NASA에서 우주 전문가가 되는 데 얼마나
는 뜻이므로, 선행사를 포함하고 ‘~하는 것’을 뜻하는 관계대명사 오래 걸렸는지는 알 수 없다.

what을 써야 한다. ② Katherine은 왜 반 마일 떨어진 곳의 화장실을 사용했는가? →


ⓒ what → that[which] : 선행사 the thing이 있으므로 선행사를 포 건물에 유색 인종 전용 화장실이 없었기 때문에

함하는 관계대명사 what을 that[which]으로 바꿔야 한다. ③ 글쓴이는 Katherine의 대답을 듣고 무엇을 느꼈는가? → 안됐다
ⓓ are → is : 보어가 ‘the name of the writer’로 단수이므로 동사 고 느꼈다.

는 단수형인 is가 되어야 한다. ④ Al Harrison은 Katherine의 대답을 듣고 무엇을 했는가? → ‘유


색 인종 여성 화장실’ 표지판을 부수었다.
03 ① ‘We’re going on a field trip next Tuesday.’로 보아 두 사람
이 같은 날에 수학여행을 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2  ‘~하는 것이 허락되지 않다’는 「be not allowed to + 동사원형」
④ ‘Let me show you one part of my act.’로 보아 지민이가 장 으로 나타낸다.

기 자랑에서 할 연기의 한 부분을 미소에게 보여준다는 것을 알 수  ‘~하는 것’을 뜻하면서 선행사를 포함하는 관계대명사 what을 쓰
있다. 고 관계대명사절의 동사와 목적어 impressed me를 이어 쓴다.

04 윗글은 ‘먼저 사람들을 웃게 하고 나서 생각하게 하는’ 발견에 수여하 13 「if ~ not」은 같은 뜻의 접속사 unless로 바꿔 쓸 수 있다. unless에
는 이그노벨상에 관한 글이다. 따라서 ‘어떤 위대한 발견은 우연히 이 부정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if I can’t bring은 unless I can
루어져왔다.’라는 뜻의 는 흐름상 자연스럽지 않다. bring으로 바꿔 써야 한다.

05 ① 한지원은 커피를 들고 뒤로 걷는 것에 대해 언제 연구했는가? 14 ⑤ are → is : ‘A뿐 아니라 B도’를 뜻하는 상관접속사 「B as well as
→ 2015년 A」가 문장의 주어로 쓰일 경우 동사의 수는 B에 일치시켜야 한다.
② 한지원은 이그노벨상을 받았을 때 기분이 어땠는가? → 알 수 없음
서답형
③ 어떤 연구가 사람들을 가장 많이 웃게 했는가? → 알 수 없음
④ 이그노벨상은 언제 AIR 잡지에 의해 시작되었는가? → 1991년 서답형 1 ⑴ 그 학생들은 스키 대회를 위해 열심히 연습했다.
⑤ 지금까지 몇 명의 사람들이 이그노벨상을 받았는가? → 알 수 없음 ⑵ 면접에 늦으면 안 좋은 인상을 줄 수 있다.
⑶ 네가 그 여행을 가려면 부모님의 허락이 필요하다.
06  present → are presented : 주어인 ‘상(the prizes)’은 수여되
는 대상이고 전치사 by 뒤에 수여하는 주체 (real Nobel 서답형 2 ⓐ 일반동사 talk를 대신하는 대동사가 와야 하므로 are를 do로
winners)가 나오므로 수동태로 써야 한다. 고쳐야 한다.
 cheering → cheer : ‘~하고 싶어 하다’는 「be eager to + 동 ⓔ 행운을 빌어주는 표현은 ‘keep one’s fingers crossed’이
사원형」으로 나타낸다. 므로 crossing을 과거분사 crossed로 고쳐야 한다.

07 ③ ‘~할 만큼 충분히 …한/하게’를 뜻하는 표현은 「형용사/부사 + 서답형 3 ⑴ 이그노벨상 시상식은 하버드 대학의 샌더스 극장에서 열린다.
enough to + 동사원형」으로, to부정사의 의미상 주어는 to부정 ⑵ 이그노벨상은 노벨상 수상자들에 의해 수여된다.
사 앞에 「for + 목적격」으로 쓴다. ⑶⑷ 2005년 이그노벨상 경제학 부문 수상자는 계속 도망 다니
⑤ 「형용사/부사 + enough to + 동사원형」은 「so + 형용사/부사 + 는 자명종을 발명한 Gauri Nanda이다.
that + 주어 + can + 동사원형」으로 바꿔 쓸 수 있다.
서답형 4 ⓐ 빈칸 뒷부분이 앞에 있는 the character를 수식하면서 liked
08 ① ‘The room is usually filled with people’로 보아 시상식장은 의 목적어가 없는 절이므로 목적격 관계대명사를 써야 한다.
대개 사람들로 가득 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character(등장인물)가 사람을 나타내는 선행사이므로
⑤ Andre Geim은 영국 해군이 이그노벨상을 받은 2000년에 상을 who, whom 또는 that 중 하나를 쓸 수 있다.
받았고, Gauri Nanda는 2005년에 상을 받았다.
ⓑ hear의 목적어가 없고 선행사가 the cases이므로 목적격 관
09 figure는 ‘(중요한) 인물, 숫자, 인물상, (흐릿한) 사람의 형체, 생각하 계대명사 which 또는 that을 써야 한다.
다’ 등을 뜻하며, 본문에서는 ‘인물’의 뜻으로 쓰였다. ⓒ said의 목적어가 없고 선행사가 the thing이므로 목적격 관

기말고사 고난도 모의고사

38

책1.indb 38 2022-04-02 오후 12:04:46


본문 p. 158 ~ 163
계대명사 which 또는 that을 써야 한다. 회 3학년 1학기

서답형 5 ⑴ ‘그 회사는 작년에 많은 어려운 상황에 직면했다.’라는 뜻이므


고난도 모의고사 기 말 고 사
로 동사는 과거형인 faced를 써야 한다.
⑵ ‘그는 캠페인 단체의 지도자로 선출되었다.’라는 뜻이므로
선택형
leader(지도자, 리더)를 써야 한다.
⑶ ‘예전 소프트웨어가 작동하지 않아서, 그는 컴퓨터에 새것을 번호 정답 배점 번호 정답 배점
설치할 수밖에 없었다.’라는 뜻이므로 ‘~할 수밖에 없다’를 뜻 01 ① 08 ⑤
하는 「have no choice but to + 동사원형」의 to install을 02 ⑤ 09 ①
써야 한다.
03 ④, ⑤ 10 ②
5점 5점
서답형 6 ⑴ ‘지하실이 너무 어두워서 나는 아무것도 볼 수 없었다.’라는 뜻 04 ① 11 ④
공통 공통
의 문장이다. ‘너무 ~해서 …할 수 없다’를 뜻하는 「so + 형용 05 ③, ④ 12 ①, ④
사/부사 + that + 주어 + can’t + 동사원형」을 「too + 형용
06 ② 13 ③
사/부사 + to + 동사원형」으로 바꿔 써야 한다. to부정사의
07 ① 14 ⑤
의미상 주어는 to부정사 앞에 「for + 목적격」으로 쓴다.
⑵ 부사절의 접속사 As와 중복되는 주어 he를 삭제하고 동사
was를 현재분사 Being으로 바꿔서 Being injured로 나타 서답형
낸다. 분사 앞의 Being은 주로 생략된다. 번호 정답 배점
서답형 1 ⑴ Not studying hard
⑵ It being dark outside
서답형 2 ⓐ, That is not what I have been
looking for.
ⓒ, This question is so easy that she
can solve it.
ⓔ, You can use this not only as an 5점

umbrella but also as a cup holder. 공통

서답형 3 how he should live his life


서답형 4 ⓔ, keeps → keep
ⓖ, fewer → less
서답형 5 taught FORTRAN, brought
서답형 6 made a mistake, practice more, help

선택형

01 ⓐ 누군가가 당신에게 감탄하도록 하다 : impress(감동을 주다)


ⓑ 중요하거나 일어나는 일에 영향을 주다 : matter(중요하다)
ⓒ 오랫동안 하는 일이나 직업 : career(직업, 경력)
ⓓ 특정 주제에 대해 특별한 지식을 가진 사람 : expert(전문가)

02 ‘~할 만큼 충분히 …한/하게’를 뜻하는 표현은 「형용사/부사 +


enough to + 동사원형」이다. to부정사의 의미상의 주어는 to부정사
앞에 「for + 목적격」으로 쓴다.

03 ⓓ ‘~가 …한 채로’를 뜻하는 표현은 「with + 명사 + 형용사/분사」이


다. 따라서 with her mouth watering 으로 써야 알맞다.
watering은 동사 water(군침이 흐르다)의 현재분사이다.
ⓔ ‘얼마나 ~했는지!’라는 뜻의 감탄문은 「What + a(n) (+ 형용사) +
명사 + 주어 + 동사!」로 나타낸다. 따라서 ‘What a fool I have
been!’으로 써야 알맞다.

04 ⓐⓒ 목적격보어로 동사원형을 취하는 동사는 사역동사 let, make,


have이고, 그 중 ‘~가 …하게 해 주다’라는 뜻으로 허락을 나타내
는 것은 let이다.

기말고사 고난도 모의고사

39

책1.indb 39 2022-04-02 오후 12:04:46


ⓑ 목적격보어로 to부정사를 취하는 동사에는 want, tell 등이 있다. ㉣ Mary Jackson은 왜 백인 학교에 가고 싶어 했는가? → 로켓 공
학에 대해 더 많이 배우고 싶어서
05 지수는 Ryan에게 부모님께 그가 얼마나 노래 부르는 것을 좋아하는
㉤ Katherine Johnson은 다른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을 위해 어떤
지 보여드리라고 말하며, 부모님 앞에서 그가 만든 노래를 불러보라고
일을 했는가? → 알 수 없음
조언하고 있다.
㉥ NASA에서 최초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여성 공학자가 된 사람은
06 ‘~하는 데 성공하다’를 뜻하는 표현은 「succeed in + 명사/동명사」 누구인가? → Mary Jackson
이고 ‘~함으로써’를 뜻하는 표현은 「by + 동명사」이다.
14  다양한 이탈리아 요리와 후식을 만든다고 대답했으므로 ‘당신은 이
07 ㉠ ‘만약 그것이 아직도 당신의 얼굴에 미소를 띠게 하지 않는다면, 이 식당에서 무엇을 합니까?’를 뜻하는 ⓓ가 알맞다.
것은 어떤가?’의 의미이므로 조건을 나타내는 접속사 If가 알맞다.  요리 이외에도 할 일이 아주 많다고 대답했으므로 ‘당신 직업의 어
㉡ ‘그것은 잠자는 사람이 결국 침대 밖으로 나올 때까지 계속 도망을 려운 점은 무엇입니까?’를 뜻하는 ⓒ가 알맞다.
다닌다.’는 의미이므로 ‘~까지’를 뜻하는 접속사 until이 알맞다.  ‘네, 그렇습니다.’라고 답한 후 자신의 일을 좋아한다고 했으므로,
㉢ 빈칸 앞에는 ‘그 상은 노벨상 같이 훌륭한 영광은 아니다’라는 내용 ‘당신은 당신의 직업에 만족합니까?’를 뜻하는 ⓑ가 알맞다.
이 오고 빈칸 뒤에는 ‘이그노벨상은 과학을 훨씬 더 재미있게 만든
다’는 내용이 오므로, 반대의 뜻을 나타내는 접속사 But이 알맞다. 서답형

서답형 1 ⑴ 접속사와
08 ‘And the awards are not great honors like the Nobel 주어(부사절과 같은 경우)를 생략하고, 동사를 현재

Prizes.(그리고 그 상은 노벨상같이 훌륭한 영광은 아니다.)’라는 문장 분사로 바꾸어 쓴다. 부사절이 부정문일 경우, 현재분사 앞에
으로 보아 ⑤ ‘대부분의 이그노벨상 수상자들은 노벨상 수상자들과 꼭 not을 쓴다.
마찬가지로 영광스럽게 느낀다.’는 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다. ⑵ 부사절의 접속사 Because를 생략하고 주어 It은 주절의 주어
(we)와 다르므로 그대로 둔다. It 뒤에 동사 was의 현재분사형
09 ⓒ being → to be : ‘~하도록 요청받다’를 뜻하는 표현은 「be 인 being을 붙여 분사구 It being dark outside를 완성한다.
asked to + 동사원형」이다.
ⓕ them → it : 앞에 나온 change를 가리키는 대명사이므로 단수형 서답형 2 ⓐ for it → for :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은 관계사절

인 it이 되어야 한다. 에서 전치사 for의 목적어를 대신하는 목적격으로 쓰였으므로


ⓖ which → what : ‘내가 그녀에게서 배울 필요가 있는 것’이라는 뜻 중복되는 it을 삭제한다.
이 되어야 하므로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을 써야 한다. ⓒ solve → solve it : that은 관계대명사가 아닌 접속사이므로
that 뒤에는 완전한 문장이 와야 한다. solve는 타동사로 목
10 ㉢ Dorothy Vaughan은 몇 가지 외국어(→ 새로운 프로그래밍 언어 적어가 필요하므로 This question을 대신하는 대명사 it을
인 포트란)를 공부했다. 써 주어야 한다.
㉤ Katherine, Mary, Dorothy는(→ Dorothy는) 마침내 새로운 ⓔ a cup holder → as a cup holder : 상관접속사 「not
IBM 팀의 리더가 되었다. only A but also B」의 A, B에는 문법적으로 대등한 어구가
와야 하므로 a cup holder 앞에 as를 써야 한다.
11 ⑴ 피부색을 바꿀 수 없기 때문에 백인 학교에 들어간 ‘최초’의 흑인
학생이 되는 것 외에는 다른 선택지가 없었다는 내용이 되어야 하
서답형 3 개구리 왕자는 바퀴에서 다시 왕자로 돌아온 후 인생을 어떻게 살
므로 에 들어가는 것이 알맞다. 아야 하는지 깨닫는다.
⑵ ‘그는 Katherine 에게 어디에 갔었는지 물었다.’라는 뜻이므로
Katherine이 오랫동안 자리를 비웠다는 내용의 문장 바로 다음인 서답형 4 ⓔ 주격 관계대명사 뒤에 오는 동사는 선행사(a number of

에 들어가는 것이 알맞다. interesting things)의 수에 일치시켜야 하므로 복수형인


⑶ 로켓 공학에 대해 더 많이 배우고 싶었지만, 백인 학교에 다니는 것이 keep이 되어야 한다.
허락되지 않았다는 내용이 되어야 하므로 에 들어가는 것이 알맞다. ⓖ ‘미국의 1달러보다 가치가 적은’의 뜻이므로, 양이 적음을 나타
내는 little의 비교급 less를 써야 한다. fewer는 수의 적음을
12 ⓑ Heard → Hearing : ‘이것을 들었을 때’라는 뜻의 분사구문으로, 주 나타내는 few의 비교급이다.
어 I와 hear가 능동 관계이므로 현재분사 Hearing으로 써야 한다.
ⓒ to give to her permission → to give her permission 또는 서답형 5 Dorothy Vaughan이 그녀의 팀원들을 위해 했던 두 가지 일은

to give permission to her : 「수여동사 give + 간접목적어 + 무엇인가? → 그녀는 그들에게 포트란(새로운 프로그래밍 언어)을
직접목적어」 또는 「수여동사 give + 직접목적어 + to + 간접목적 가르쳤고 그들을 자신과 함께 새로운 IBM 팀으로 데려갔다.
어」의 어순으로 써야 한다.
서답형 6 민지는 축구 시합에서 실수를 해서 실망하고 있다. 세호는 민지가
ⓔ her → herself : 전치사 for의 목적어가 가리키는 대상이 주어 연습을 더 많이 해야 한다고 생각하여 그녀를 도와줄 예정이다.
Mary와 동일하므로 재귀대명사 herself를 써야 한다.

13 ㉠ Katherine Johnson은 무엇을 잘했는가? → 수학


㉡ Katherine의 매니저는 그녀의 능력을 언제 알아보았는가? → 알
수 없음
㉢ Katherine의 매니저는 그녀가 오랫동안 자리를 비운 이유를 알았
을 때 무엇을 했는가? → ‘유색 여성 전용 화장실’ 표지판을 부쉈다.

기말고사 서술형 모의고사

40

책1.indb 40 2022-04-02 오후 12:04:47


본문 p. 166 ~ 170
회 3학년 1학기
⑵ 그 노인은 자신의 병을 극복하지(get over) 못했다.
서술형 모의고사 기 말 고 사
⑶ 네 꿈을 포기하지(give up) 말고 최선을 다해라.
⑷ 그들은 오래된 건물을 부수고(break down) 새 건물을 지을 계획
이었다.
번호 정답 배점
01 ⑴ (o)ffer ⑵ (r)ecognized 4점 03 ⑴ 「not only A but also B」는 ‘A뿐만 아니라 B도’라는 뜻으로 주
어진 문장에서는 ‘그의 방을 청소했다’가 A, ‘저녁 식사를 요리했
02 ⑴ stand up for ⑵ get over 6점
⑶ give up ⑷ break down 다’가 B에 해당한다.

03 ⑴ He not only cleaned his room but also ⑵ 「neither A nor B」는 ‘A와 B 둘 다 아닌’이라는 뜻으로 주어진 문
장에서는 John이 A, ‘그의 친구들’이 B에 해당한다. 「neither A
cooked dinner. 6점
⑵ Neither John nor his friends like fast food. nor B」가 주어로 쓰일 경우 B에 수를 일치시켜야 하고, 이미 부
정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므로 not 등을 쓰지 않는 것에 주의한다.
04 ⑴ she could finish the work very early 6점
⑵ he couldn’t[could not] answer the phone 04 ⑴ ‘~할 만큼 충분히 …한/하게’를 뜻하는 「형용사/부사 + enough to
05 ⓐ → disappointed, ⓓ → getting 4점 + 동사원형」은 「so + 형용사/부사 + that + 주어 + can[could]
06  준수가 요리 대회에서 떨어진 것 + 동사원형」으로 바꿔 쓸 수 있다.
 더 많은 요리 요령들 6점 ⑵ ‘너무 ~해서 …할 수 없다’를 뜻하는 「too + 형용사/부사 + to +
 온라인 요리 영상에서 유용한 조언들을 얻는 것 동사원형」은 「so + 형용사/부사 + that + 주어 + can’t[couldn’t]
07  It’s[It is] a bird feeder as well as a cutting + 동사원형」으로 바꿔 쓸 수 있다.
board. 6점
05 ⓐ disappointing → disappointed : 주어가 ‘~한 감정을 느낄’
 I’m really looking forward to using it.
경우 감정을 나타내는 분사는 과거분사(disappointed)로 쓴다.
08 It is awarded to people who have done 5점 ⓓ to get → getting : 전치사(about) 뒤에는 명사 또는 동명사를
great work for the world.
써야 한다.
09 ⑴ Is this research project good enough to
win a Nobel Prize? 06  that은 앞 문장인 ‘I lost the cooking competition.(나는 요리
6점
⑵ Is this research project so good that it 대회에서 떨어졌어.)’을 가리킨다.
can win a Nobel Prize?  they는 앞 문장의 more cooking tips(더 많은 요리 요령들)를
10 one 5점 가리킨다.
 that은 앞 문장인 ‘How about ~ online?(온라인 요리 영상에
11 ⑴ cheer ⑵ humor 4점
서 유용한 조언들을 얻는 게 어때?)’을 가리킨다.
12 ⑴ making its sailors shout 6점
⑵ floating a live frog 07 ⑴ ‘도마일 뿐만 아니라 새 모이통이기도 한’이라는 뜻은 「B as well
13 ⓑ, the number of → a number of 4점
as A」를 이용하여 a bird feeder as well as a cutting board
ⓓ, calls → called 로 나타낼 수 있다.
14 ⑴ just two words each ⑵ ‘~을 기대하다’는 「look forward to + 명사/동명사」로 나타낸다.
⑵ talks for too long 6점 ‘기대하고 있다’는 뜻을 나타내기 위해 현재진행형으로 바꿔 쓰는
⑶ ten trillion Zimbabwean dollars 것에 주의한다.

15 (a)bility 6점
08 ‘그것은 사람들에게 수여된다 / 세계를 위해 훌륭한 일을 한’이라는 두
16 ⑴ When I heard this ⑵ Hearing this 3점 개의 절로 나뉜다. 앞부분은 ‘~에게 수여되다’라는 뜻의 be awarded
17 ⓐ character ⓑ change ⓒ choice ⓓ cases 4점 to 를 이용하고, 뒷부분은 people 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절
18 The judge was impressed by what she said 5점
who have done great work for the world로 배열한다.
and finally gave her permission.
09 ⑴ ‘~할 만큼 충분히 …한/하게’는 「형용사/부사 + enough to + 동
19 studied a new programming language, 4점 사원형」으로 쓴다.
FORTRAN / taught it to her team members
⑵ 「형용사/부사 + enough to + 동사원형」은 「so + 형용사/부사 +
20 ⑴ what I need to learn 4점 that + 주어 + can + 동사원형」으로 바꿔 쓸 수 있다.
⑵ the thing which[that] I need to learn
10 ⓐ 앞에 나온 명사와 동일한 종류의 하나를 가리키는 대명사로, 여기
서는 an Ig Nobel Prize를 가리킨다.
01 ⑴ 그 회사는 나이 든 사람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기로(offer) 결정
ⓑ 대명사 one은 특정한 사람이 아닌 ‘(일반적인) 사람’을 가리킬 때
했다. 쓰일 수 있다.
⑵ 그녀는 그가 아주 어렸을 때 그의 음악적 재능을 알아보았다
(recognized). 11 ⑴ ‘누군가를 격려하기 위해 크게 소리지르다’를 뜻하는 단어는
cheer(응원하다, 격려하다)이다.
02 ⑴ 너는 네 권리를 옹호하기(stand up for) 위해 노력해야 한다. ⑵ ‘사람들을 웃게 만드는 말이나 행동’을 뜻하는 단어는 humor(유

기말고사 서술형 모의고사

41

책1.indb 41 2022-04-02 오후 12:04:48


본문 p. 171 ~ 175
머, 익살)이다. 회 3학년 1학기

12 영국 해군은 진짜 폭탄을 사용하는 대신 “쾅!”이라고 ⑴그의 선원들이


서술형 모의고사 기 말 고 사
소리치게 한 것으로 이그노벨상을 받았고, Andre Geim은 자석을 이
용해서 ⑵살아 있는 개구리를 공중에 띄운 것으로 상을 받았다. 번호 정답 배점
01 ⑴ (e)nter ⑵ (f)igure ⑶ (h)onor 3점
13 ⓑ the number of → a number of : 앞에 복수동사 are가 있으므
로 ‘많은’을 뜻하는 a number of를 써야 한다. the number of 02 ⑴ stood up for ⑵ had no choice but to 4점

는 ‘~의 수’를 뜻하며 단수 취급한다. 03 ⑴ If you leave now 6점


ⓓ calls → called : ‘Miss Sweetie Poo라고 불리는 소녀’라는 뜻 ⑵ Because we didn’t know what to do
이 되도록 an eight-year-old girl을 뒤에서 수식하는 과거분사 04 ⑴ enough to solve
called가 되어야 한다. that he can solve
6점
⑵ to walk
14 ⑴ 이그노벨상의 개회사와 폐회사는 단지 각각 두 마디이다. that we couldn’t walk
⑵ Miss Sweetie Poo는 누군가 너무 오랫동안 말을 하면 “제발 멈
05 ⑴ That’s what I wanted to buy.
춰요! 지루해요.”라고 소리친다.
⑵ This is the thing which he received on 6점
⑶ 이그노벨상의 각 수상자들은 10조의 짐바브웨 달러를 받는다.
his birthday.
15 빈칸 앞에서 Katherine은 열심히 일했고 수학에 재능이 있다고 했으 06  cross → crossed 5점
므로 그녀의 매니저인 Al이 그녀의 능력(ability)을 알아차렸다고 해야  to get → to getting
자연스럽다. ‘무언가를 하는 데 필요한 육체적 또는 정신적 능력이나 07  Why are you disappointed?
기술’은 ability의 영영풀이이다.  It will help your classmates (to) 6점
understand you better.
16 ⑴ ‘~할 때’를 뜻하는 접속사 when을 이용하여 쓴다.
⑵ 「접속사 + 주어 + 동사」로 이루어진 부사절에서 접속사와 주어를 08 ⓐ, Why are → Are 5점
ⓒ, I don’t think → I think
생략하고(주절의 주어와 동일한 경우), 부사절의 동사를 현재분사
Hearing으로 바꿔 분사구문으로 쓸 수 있다. 09 ⑴  ⑵  4점

10 What a fool I’ve[I have] been! 5점


17 ⓐ Mary Jackson은 셋 중에 가장 내 마음에 드는 인물이었다.
11  →  →  →  →  5점
ⓑ 저는 제 피부색을 바꿀 수 없어요.
ⓒ 저는 ‘최초’가 되는 것 이외에는 선택이 없어요. 12 ⑴ as well as, are ⑵ Neither, nor, was 5점

ⓓ 판사님, 당신이 오늘 들을 모든 사건들 중에서, 백 년 뒤에 어느 것 13 ⓐ ㉡ ⓑ ㉤ ⓒ ㉠ 6점


이 중요할까요? 14 ⑴ T ⑵ F ⑶ T 6점

15 유머 감각 3점
18 ‘~에 의해 감명 받다’는 수동태인 be impressed by로, ‘그녀가 말
한 것’은 관계대명사 what을 사용하여 what she said로 나타낸다. 16 ⑴ It being sunny, they went on a picnic.
‘그녀에게 허락해주다’는 「give + 간접목적어 + 직접목적어」 어순인 ⑵ (Being) Written in a hurry, the article had 8점

gave her permission으로 나타낸다. many errors.


17  → what 4점
19 Dorothy Vaughan은 전산원들이 직업을 잃을까봐 걱정되어 새로운  → to be
프로그래밍 언어인 포트란을 공부했고 그녀의 팀원들에게 그것을 가르
18 case, judge, white 3점
쳤다.
19 ⑴ permission ⑵ case 4점
20 ⑴ ‘~하는 것’은 선행사를 포함하는 관계대명사 what을 이용하여 쓸 20 ⓐ That was what impressed me most in
수 있다. the movie.
6점
⑵ 관계대명사 what 은 「선행사 + 관계대명사」인 the thing ⓑ She wasn’t[was not] afraid of change
which[that]로 바꿔 쓸 수 있다. and used it as a chance.

01 ⑴ ‘대회나 경주에 참가하다’을 뜻하는 단어는 enter(참가하다)이다.


⑵ ‘중요하거나 잘 알려진 인물’을 뜻하는 단어는 figure(중요한 인물,
거물)이다.
⑶ ‘높은 경의 또는 깊은 존경’을 뜻하는 단어는 honor(영광)이다.

02 ⑴ ‘~을 옹호하다, 지지하다’를 뜻하는 표현은 stand up for이다.


⑵ ‘~할 수밖에 없다’를 뜻하는 표현은 have no choice but to이다.

03 ⑴ ‘만약 네가 지금 떠나면 기차를 탈 수 있다.’라는 뜻의 문장이다. 조

기말고사 서술형 모의고사

42

책1.indb 42 2022-04-02 오후 12:04:48


건을 나타내는 접속사 if와 생략된 주어(you)를 쓰고, 동사를 주절 고서 나는 그녀가 정말로 안됐다고 느꼈다.- 그러나 나는 그녀가
의 시제에 맞게 현재시제로 쓴다. 그 문제에 대해 상사에게 말할 용기를 지녀서 기뻤다.
⑵ ‘무엇을 해야 할지 몰라서 우리는 그냥 그를 기다렸다.’라는 뜻의
문장이다. 이유를 나타내는 접속사 because와 생략된 주어(we)
12 ⑴ ‘A뿐만 아니라 B도’를 뜻하는 상관접속사 「not only A but also
B」는 「B as well as A」로 바꿔 쓸 수 있다. 문장의 주어로 쓰일
를 쓰고, 동사를 주절의 시제에 맞게 과거시제로 쓴다. 부정어 Not
경우 동사의 수는 B에 일치시킨다.
이 있으므로 부사절의 동사를 부정형으로 쓴다.
⑵ ‘A, B 둘 다 아닌’을 뜻하는 상관접속사는 「neither A nor B」이
04 ⑴ ‘~할 만큼 충분히 …한/하게’를 뜻하는 표현은 「형용사/부사 + 다. 문장의 주어로 쓰일 경우 동사의 수는 B에 일치시킨다.
enough to + 동사원형」이다. 이는 「so + 형용사/부사 + that +
주어 + can + 동사원형」으로 바꿔 쓸 수 있다.
13 ⓐ 이 연구 프로젝트는 노벨상을 받기에 충분히 훌륭한가?
ⓑ 그 방은 대개 ‘웃기는’ 연구를 한 용감한 과학자들을 응원하고 싶은
⑵ ‘너무 ~해서 …할 수 없다’를 뜻하는 표현은 「too + 형용사/부사
사람들로 가득 차 있다.
+ to + 동사원형」이다. 이는 「so + 형용사/부사 + that + 주어 +
ⓒ 그것은 여러분이 크게 웃을 정도로 충분히 재미있는가?
can’t + 동사원형」으로 바꿔 쓸 수 있다. 과거시제이므로
couldn’t를 쓰는 것에 유의한다. 14 ⑴ 이그노벨상은 ‘먼저 사람들을 웃긴 다음 생각하게 하는 발견에 수
여된다’고 했다. 따라서 ‘어떤 발견은 사람들을 웃고 생각하게 한
05 ⑴ ‘~하는 것’은 선행사를 포함하는 관계대명사 what을 이용하여 쓸 다.’는 알맞다.
수 있다.
⑵ AIR 잡지는 노벨상이 아니라 이그노벨상을 수여하기 시작했다, 또
⑵ 관계대명사 what 은 「선행사 + 관계대명사」인 the thing
한 이그노벨상을 ‘노벨상’의 패러디로 봐야 알맞다.
which[that]로 바꿔 쓸 수 있다.
•parody : 패러디, 풍자
06  ‘행운을 빌어 줄게!’를 뜻하는 표현은 ‘I’ll keep my fingers ⑶ 이그노벨상은 특이하고 상상력이 풍부한 사람들의 발견을 높이 평
crossed.’이다. 가하므로 알맞은 설명이다.
 ‘나는 ~을 기대하고 있어’를 뜻하는 표현인 「 I’m looking •achievement : 이룬 것, 업적
forward to ~」의 to는 전치사이므로 뒤에 명사나 동명사를 써야
한다.
15 Andre Geim은 “내 경험상, 사람들이 유머 감각이 없다면, 그들은 대
개 매우 훌륭한 과학자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07  ‘너는 왜 실망하고 있니?’를 뜻하는 표현은 ‘Why are you
disappointed?’이다. disappointed는 ‘실망한’을 뜻하는 과거
16 ⑴ 부사절의 주어는 날씨를 나타내는 비인칭주어인 it이 되어야 하고, 주
절의 주어 they와 다르므로 분사구문으로 전환 시 생략할 수 없다.
분사형 형용사이다.
⑵ 분사구문의 생략된 주어는 주절의 주어와 같은 the article(기사)
 ‘~가 …하도록 돕다’를 뜻하는 표현은 「help + 목적어 + (to) 동사
이다. 이때 the article은 ‘쓰이는’ 것이므로 수동태의 분사구문인
원형」이다.
Being written으로 써야 알맞다. 과거분사 앞의 Being은 주로
08 ⓐ 질문에 대해 소년이 ‘Yes, I want to be a product designer. 생략된다.
(네, 저는 상품 디자이너가 되고 싶어요.)’라고 했으므로 ‘왜 물건을
디자인하는 것에 관심이 있나요?’가 아니라 ‘물건을 디자인하는 것
17  by의 목적어로 쓰일 수 있는 명사절이 필요하므로 선행사를 포함
하는 관계대명사 what이 알맞다. 관계대명사 what이 이끄는 절
에 관심이 있나요?’가 알맞은 질문이다.
은 명사처럼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의 역할을 할 수 있다.
ⓒ 바로 뒤에 ‘하지만 매일 그림을 연습하는 것이 더 중요해요.’라는 문
 ‘~하도록 요청 받다’를 뜻하는 표현은 「be asked to + 동사원형」
장이 나오므로, 앞에서 언급한 것도 중요하다는 내용이 되어야 한
이다.
다. 따라서 ‘I think that will help(그것이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
해요)’라고 해야 알맞다. 18 Mary는 자신의 사건이 그 판사를 흑인 여성이 백인 학교에 가는 것을
허락한 최초(의 판사)로 만들 것이라고 생각했다.
09 ⑴ ‘이런! 미안하지만 걱정하지 마세요.’는 자신을 다시 개구리로 바꿔
달라는 왕자를 실수로 바퀴로 바꾼 뒤 요정이 하는 말이므로 에 19 ⑴ ‘누군가가 무엇을 할 수 있도록 허가하는 행위’를 뜻하는 단어는
들어가는 것이 가장 알맞다. permission(허가)이다.
⑵ ‘하지만 대신에 여기 이 수레 아래에 붙박여 있고 앞으로 불행하게 ⑵ ‘법정에서 판사가 결정하는 문제’를 뜻하는 단어는 case(소송, 사
살겠구나.’는 자신의 어리석음을 뉘우치고 공주와 행복하게 살고 건)이다.
싶은 왕자의 심경 뒤인 에 들어가는 것이 가장 알맞다.
20 ⓑ ‘나를 가장 감동시킨 것’은 ‘~하는 것’을 뜻하는 관계대명사 what
10 what으로 시작하는 감탄문은 「What + a(n) (+ 형용사) + 명사 + 주 을 사용하여 what impressed me most로 영작할 수 있다.
어 + 동사!」로 쓴다. 과거의 일이 현재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내 ⓒ ‘~을 두려워하다’를 뜻하는 표현은 be afraid of이고, ‘~로서’를
는 현재완료는 「have/has + 과거분사」로 쓴다. 뜻하는 전치사는 as이다.

11  어느 날, 그는 Katherine이 너무 오래 자리를 비웠을 때 화가 났


다.-  Al 은 Katherine 에게 어디에 갔었는지 물었다.- 
Katherine은 그 건물에 유색 인종 전용 화장실이 없어서 단지 화장실
을 사용하기 위해 반 마일을 달려가야 했다고 말했다.- 이 말을 듣

기말고사 서술형 모의고사

43

책1.indb 43 2022-04-02 오후 12:04:49


책1.indb 44 2022-04-02 오후 12:04:49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