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3

동양철학 고전읽기

논어論語
2. 인仁

인仁의 개념

• 인은 공자철학의 중심개념이자 유가철학의 중심 • 『중용中庸』, “인이라는 것은 사람다움이다(仁者,


사상 人也).”

• 공자 이전 6덕德으로서의 인(『주례周禮』 「대사 • 『맹자孟子』, “인이라는 것은 사람다움이다(仁也


도大司徒」에서는 육덕으로 知, 仁, 聖, 義, 忠, 者, 人也).”
和를 열거) • 주희의 주, “인이라는 것은 사람이 그에 의하여
• 공자에 이르러 인은 모든 덕목 중 최고덕목 사람이 되는 바의 이치이다(仁者, 人之所以爲人

• 『논어』의 50여 곳에 인의 개념이 다양하게 등장 之理也).”

인 : ‘사람다움’, 사람의 본성
2. 인仁

인仁의 내용
• (번지가) 인을 물으니 공자가 말하였다. “어진 사람은 어려 • 자장이 공자에게 인을 물으니 공자가 말하였다. “다섯
운 일을 먼저 하고 난 뒤에 공을 얻으니, 그래야 어질다고 가지를 천하에 실행할 수 있다면 어진 사람이다.“ 자장
일컬을 수 있다.”(問仁. 曰:「仁者先難而後獲, 可謂仁矣」) 이 청하여 물으니 공자가 말했다. “공손과 관대와 신의
와 민첩함과 은혜이다.”(子張問仁於孔子. 孔子曰:
「能行五者於天下, 爲仁矣」 請問之. 曰:「恭、寬、信、
• 안연이 인을 물으니 공자가 말하였다. “자기를 이겨 예로
敏、惠」)
돌아가는 것이 인이다.”(顔淵問仁. 子曰:「克己復禮爲
仁」)
• 번지가 인을 물으니 공자가 말하였다. “거처함에 공손
• 중궁이 인을 물으니 공자가 말하였다. “문을 나서서는 중 하며 예를 집행함에 경건하며 남과 더불어 충성함을
요한 연회에서 손님을 만나는 것 같이 하고, 백성들을 부 비록 오랑캐 나라에 가더라도 버려서는 안 될 것이
릴 때에는 큰 제사를 받드는 것 같이 하고, 자기가 원하지 다.”(樊遲問仁. 子曰:「居處恭, 執事敬, 與人忠. 雖之
않는 것을 남에게 베풀지 말 것이다.”(仲弓問仁. 子曰: 夷狄, 不可棄也」)
「出門如見大賓, 使民如承大祭. 己所不欲, 勿施於人」)

• 번지가 인을 물으니 공자가 말하기를 “사람을 사랑하


• 사마우가 인을 물으니 공자가 말하였다. “인한 사람은 말 는 것이다”라고 하였다.(樊遲問仁. 子曰:「愛人」)
을 쉽게 하지 않느니라.”(司馬牛問仁. 子曰:「仁者其言也
訒」)
2. 인仁

어진 사람의 행위는 어떠한가?


번지

사람을
問仁
어진 사람이 되는 방법은
중궁 안연 자장
사랑하는
어떠한가?것

사마우
어진 사람의 언어가 어떠한가?
3. 인仁과 효孝

顔淵-22
樊遲問仁. 子曰:「愛人.」

번지가 인에 대해 물었다.
선생님께서 말씀하셨다. “사람을 사랑하는 것이다.”
3. 인仁과 효孝

學而-2
有子曰:「其爲人也孝弟, 而好犯上者, 鮮矣;不好犯上, 而好作亂者, 未之
有也. 君子務本, 本立而道生. 孝弟也者, 其爲仁之本與!」
유자가 말했다. “그 사람됨이 효성스럽고 공손하면서 윗사람 거스르기를
좋아하는 사람은 드물다. 윗사람 거스르기를 좋아하지 않으면서 난을 일으
키기를 좋아하는 사람은 없었다. 군자는 근본에 힘써야 하니, 근본이 서야
도가 생겨난다. 효성스러움과 공손함은 인을 실천하는 근본이 아니겠는가?”
3. 인仁과 효孝

『논어論語』 「안연顔淵」

“인은 사람을 사랑하는 것이다(樊遲問仁. 子曰愛人)”

『논어論語』 「학이學而」

가정 나 사회 “효와 제는 인의 근본이다(孝弟也者, 其爲仁之本與)”

사랑, 공감 능력 효와 제는 사람을 사랑하는 근본


3. 인仁과 효孝
陽貨-21
宰我問:「三年之喪, 期已久矣. 君子三年不爲禮, 禮必壞;三年不爲樂, 樂
必崩. 舊穀旣沒, 新穀旣升, 鑽燧改火, 期可已矣. 」

재아가 물었다. “삼년상의 기간이 너무 깁니다. 군자가 3년 동안 예를 행하


지 않으면 예가 반드시 무너지고, 3년 동안 음악을 연주하지 않으면 음악도
반드시 황폐하게 될 것입니다. 묵은 곡식이 동나고 햇곡식이 이미 익었으며,
불 붙이는 나무를 한 차례 바꾸어 사용했으니 1년에 상을 끝낼 만합니다.”
3. 인仁과 효孝

子曰:「食夫稻, 衣夫錦, 於女安乎?」 曰:「安. 」 「女安則爲之!夫君子之


居喪, 食旨不甘, 聞樂不樂, 居處不安, 故不爲也. 今女安, 則爲之!」

선생님께서 말씀하셨다. “쌀밥을 먹으며 비단옷을 입는 것이 네 마음에 편


하겠느냐?” “편합니다.” “네가 편하다면 그렇게 해라. 대체로 군자가 상을
입을 때에 맛있는 음식을 먹어도 달지 않고, 음악을 들어도 즐겁지 않으며,
거처함에 편안하지 않기 때문에 하지 않는 것이다. 이제 네가 편하다면 그
렇게 하여라!”
2. 인仁과 효孝

宰我出. 子曰:「予之不仁也!子生三年, 然後免於父母之懷. 夫三年之喪,


天下之通喪也. 予也有三年之愛於其父母乎?」

재아가 나가자 선생님께서 말씀하셨다. “여는 인하지 않구나! 자식은 태어


난 지 3년 된 뒤라야 부모의 품에서 벗어난다. 삼년상은 천하의 공통적인
상례다. 여도 자기 부모로부터 3년 동안 사랑을 받지 않았던가?”
3. 인仁과 효孝
3. 인仁과 효孝

子路-18
葉公語孔子曰:「吾黨有直躬者, 其父攘羊, 而子證之.」 孔子曰:「吾黨之
直者異於是. 父爲子隱, 子爲父隱, 直在其中矣.」
섭공이 공자에게 말했다. “우리 고장에 정직한 사람이 있습니다. 그의 아버
지가 양을 훔치자, 자식이 그 사실을 알려 주었습니다.” 공자께서 말씀하셨
다. “우리 고장의 정직한 사람은 그와 다릅니다. 아버지는 자식을 위해 숨
기며, 자식은 아버지를 위해 숨기니, 정직함이 그 속에 있습니다.
3. 인仁과 효孝
3. 인仁과 효孝

친친
親親
인지상정人之常情

가까운 이를 가깝게 여기고 섬기는 것
4. 인仁의 실천방법

顔淵-2
仲弓問仁. 子曰:「出門如見大賓, 使民如承大祭. 己所不欲, 勿施於人. 在
邦無怨, 在家無怨.」
중궁이 인에 대해 물었다. 선생님께서 말씀하셨다. “문을 나가서는 귀한 손
님을 맞는 듯이 하고, 백성을 부릴 때에는 큰 제사를 받드는 듯이 하며, 자
신이 원치 않는 일을 남에게 베풀지 마라. (그렇게 하면) 나라 안에서도 원
망하는 이가 없을 것이고, 집 안에서도 원망하는 이가 없을 것이다.”
4. 인仁의 실천방법

衛靈-23
子貢問曰:「有一言而可以終身行之者乎?」 子曰:「其恕乎!己所不欲,
勿施於人.」

자공이 물었다. “종신토록 받들어 실천할 만한 한마디가 있습니까? 선생님


께서 말씀하셨다. 서가 아닐까? 자신이 원치 않는 일을 남에게 베풀지 않는
것이다.”
4. 인仁의 실천방법

雍也-28
子貢曰:「如有博施於民而能濟衆, 何如?可謂仁乎?」

자공이 말했다. “만일 백성에게 널리 은혜를 베풀고 뭇사람들을 구제


할 사람이 있다면 어떻습니까? 인하다고 일컬을 만합니까
4. 인仁의 실천방법

子曰:「何事於仁, 必也聖乎!堯舜其猶病諸! 夫仁者, 己欲立而立人, 己


欲達而達人. 能近取譬, 可謂仁之方也已.」
선생님께서 말씀하셨다. “어찌 인에 그치겠는가? 틀림없이 성인이리라. 요
임금과 순임금도 그렇게 하기는 쉽지 않았을 것이다. 대체로 인한 사람은
자신이 서고자 하는 것으로 남도 서게 해 주며, 자신이 이루고자 하는 것을
남도 이루게 해 준다. 가까이 자기에게 비추어 보아 남을 이해할 수 있다면,
인을 실천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4. 인仁의 실천방법-충서忠恕

里仁-15
子曰:「參乎!吾道一以貫之.」 曾子曰:「唯.」
門人問曰:「何謂也?」 曾子曰:「夫子之道, 忠恕而已矣.」

선생님께서 말씀하셨다. “삼아, 나의 도는 하나의 원리로 꿰고 있다.”


증자는 “그렇습니다.”하고 대답했다. 선생님께서 나가신 뒤 제자들이 “무
슨 뜻입니까?”하고 물었다. 증자가 대답했다. “선생님의 도는 충서일 뿐입
니다.”
4. 인仁의 실천방법-충서忠恕

자신을 다하는 것을 ‘충’이라고


忠 中 心
한다 (盡己之謂忠)

자신을 미루는 것을 서라고


恕 如 心
한다(推己之謂恕)
4. 인仁의 실천방법-충忠

『논어論語』 「학이學而」 『논어論語』 「자로子路」

증자가 말하였다. “나는 날마다 나의 몸에 대하여 세 가 거처함에 공손하며 예를 집행함에 경건하며, 남과 더불


지 일을 살피나니, ‘남과 더불어 도모하되 충성하지 않 어 충성함을 비록 오랑캐 나라에 가더라도 버려서는 안
았는가?’, ‘친구와 더불어 사귐에 성실하지 않았는가?’, 될 것이다. (居處恭, 執事敬, 與人忠. 雖之夷狄, 不可棄
‘전수받은 것을 복습하지 않았는가?’이다.” (曾子曰: 吾 也.)
日三省吾身:爲人謀而不忠乎?與朋友交而不信乎?傳
不習乎?)

자기의 가능성을 하나도 빠짐없이 실현하는 것[成己]

忠 진실하고 거짓 없는 마음씨와 태도[誠]

자기의 책임을 다하는 것


4. 인仁의 실천방법-서恕

자기 마음을 미루어 타인의 마음을 소극적 의미의 ‘서’


헤아리는 것, 용서함, 배려함 己所不欲, 勿施於人

‘추기급물推己及物’, 자기 마음을 적극적 의미의 ‘서’


미루어 남에게 미치는 것 己欲立而立人, 己欲達而達人
4. 인仁의 실천방법-서恕의 발전

『대학大學』의 ‘혈구지도’ 『중용中庸』의 ‘군자지도‘


이 때문에 군자에게 혈구지도가 있다. 윗사람에게서 싫 충서는 도로부터 멀지 않으니 자기에게 그것을 베풀어
었던 것으로써 아랫사람을 부리지 말며, 아랫사람에게 서 원치 않는 것을 나도 남에게 베풀지 말아야 할 것이

서 싫었던 것으로써 윗사람을 섬기지 말며, 앞사람에게 니라. 군자의 도가 네 가지가 있는데 나는 그 가운데 한

싫었던 것으로써 뒷사람을 선도하지 말며, 뒷사람에게 가지도 능하지 못하다. 자식에게 바라는 것으로써 부모
를 섬겨야 하나 아직 능하지 못하며, 신하에게 바라는
싫었던 것으로써 앞사람을 따르지 말며, 오른쪽 사람에
것으로써 군주를 섬겨야 하나 아직 능하지 못하며, 아
게 싫었던 것으로써, 왼쪽 사람에게 넘기지 말며, 왼쪽
우에게 바라는 것으로써 형을 섬겨야 하나 아직 능하지
사람에게 싫었던 것으로써 오른쪽 사람에게 넘기지 말
못하며, 벗에게 바라는 것을 내가 먼저 베풀어야 하나
라! 이것을 혈구지도라고 일컫는다. (是以君子有絜矩之
아직 능하지 못하다. (忠恕違道不遠, 施諸己而不願, 亦
道也. 毋以使下;所惡於下, 毋以事上;所惡於前, 毋以
勿施於人. 君子之道四, 丘未能一焉:所求乎子, 以事父
先後;所惡於後, 毋以從前;所惡於右, 毋以交於左;所
未能也;所求乎臣, 以事君未能也;所求乎弟, 以事兄未
惡於左, 毋以交於右:此之謂絜矩之道.) 能也;所求乎朋友, 先施之未能也.)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