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4

정석가 ( 鄭石歌 ) 와 서경별곡 ( 西京別曲 ) 에

공통으로 삽입된 가요에 대한 연구

30119 이 안
고려가요 < 西京別曲 >
VS

서경별곡 ( 西京別曲 ) 정석가 ( 鄭石歌 )


악장가사 ( 樂章歌詞 )
고려시대 부터 조선 초기의 속악과 가곡을
수록한 책으로 조선 중종과 명종 사이 박준이 편찬 .
처용가 , 한림별곡 , 청산별곡 , 서경별곡 등
24 편의 시가가 수록됨
시용향악보 ( 時用鄕樂譜 )
우리 고유의 음악인
향악의 악보가 실려있는 책 .
서경별곡 , 정석가 , 청산별곡 , 가시리 , 쌍화점 등 수록
VS
서경별곡의 2 연 & 정석가의 6 연

西京別曲 鄭石歌
익재소악부 ( 益齋小樂府 )
이제현 ( 李齊賢 1287-1367) 의 저서 < 익재난고 ( 益齋亂藁 )>
중 4 권 < 익재소악부 > 에 고려 말에
유행하던 우리말 노래 11 수를 칠언절구의 한시로 기록
고려가요의 의미를 연구하는 중요한 단서 제공
특히 , 서경별곡과 정석가의 공통부분에 대한 내용 수록
서경별곡 ( 西京別曲 ) 정석가 ( 鄭石歌 )

익재소악부 ( 益齋小樂府 ) 에 나타난 공통부분에 해당하는 내용

縱然巖石落珠璣 비록 바위에 구슬이 떨어진다 해도


櫻樓固應無斷時 끈은 진실로 끊어질 리가 없으리
與郞千載相離別 낭군과 천년을 이별해 산다 해도
一點丹心何改移 일편단심이야 어찌 변할 리 있으리오

님에 대한 나의 믿음은 절대로 변하지 않는다는 내용 .


당시 민간계층에서 연인 , 사람과 사람 사이의 불변의 정을 노래할 때 사용되는 관용적 표현
서경별곡 ( 西京別曲 ) 정석가 ( 鄭石歌 )

주목할 점은
익재소악부 ( 益齋小樂府 ) 에 나타난 공통부분에 해당하는 내용
이 독립가요가 정석가 , 서경별곡에 삽입되면서
조금은 차이가 있게 구체화된다는 것
縱然巖石落珠璣 비록 바위에 구슬이 떨어진다 해도
櫻樓固應無斷時 끈은 진실로 끊어질 리가 없으리
與郞千載相離別 낭군과 천년을 이별해 산다 해도
一點丹心何改移 일편단심이야 어찌 변할 리 있으리오

님에 대한 나의 믿음은 절대로 변하지 않는다는 내용 .


당시 민간계층에서 연인 , 사람과 사람 사이의 불변의 정을 노래할 때 사용되는 관용적 표현
서경별곡 ( 西京別曲 )

1 연과 3 연이 하나의 노래
2 연이 삽입된 합성구조

자리를 바꾸어도 의미구조에


손상 없음

단어로 유추되는 화자는 여자

님과의 이별이라는 안타까운


상황에서의 불안한 심리 표현

님의 나에 대한 사랑을
기대하는 상호쌍방적 사랑
정석가 ( 鄭石歌 )

서사 1 연 : 악기를 연주하며
선왕성대 처럼 놀자는 서사
* 딩하 돌하
금속악기의 의성화 표현 ‘딩동’

본사 2~5 연 : 언어유희

결사 6 연 : 님에 대한 송축 ( 頌
祝)

서사 , 본사 , 결사의 순차적
진행으로 ‘서경별곡'과 다르게
순서를 바꾸면 안됨
님 ( 왕 ) 에 대한 일방적 사랑

* 송도가 ( 頌禱歌 )
군왕의 성덕과 만수무강을 기원하는 노래
서경별곡 ( 西京別曲 ) 정석가 ( 鄭石歌 )

공통삽입
전체 의미구조 구축 송도가의 목적으로 환기
가요의 기능

의미 남녀간의 사랑 임금을 향한 충절

편사자 서민층 궁중의 상층계급


참고문헌

이진규 (2018) 서경별곡의 창작과 형성기반 연구 , 국제언어문학 (40), 5-22


이성주 (2004) 사회의식에서 본 정석가 , 인문학연구 , 7, 5-23
신은경 (1986) 서경별곡과 정석가의 공통 삽입가요에 대한 일고찰 , 국어국문학 , 96, 205-232
감사합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