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

시장은 정의로운가 - 이정전

2017 학년도 인가탐 ( 인간의 가치 탐구 )


글의 특징

5-5 존 롤스의 정의론과 큰 범주에서 엮이는 글 . 이 글이 <‘ 현실과


시장에서 정의가 사라진 모습’ 을 제시 , 비판하고 그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존 롤스의 정의론이 있다 > 고 , 5-5 에서 이것을 받아서 존 롤스의 정의론을
이야기한다 . 크게 중요하지는 않으나 , 시험에 작은 문제들로 나올 수 있음

주제는 “정의와 공정성 시장으로 넘어가서 거래의 대상으로 되어서는 안


되고 , 이를 해결하려는 사상에는 존 롤스의 정의론이 있다” 정도 ?
공정함은 무엇이고 , 정의는 무엇인가 ?

수의사출신의 국무총리의 청문회에서 침팬지의 이전투구

Q. 왜 의사보다 수의사의 일이 어렵다고 생각하나 ?

A. “ 인간은 자신의 아픔을 정확히 말할 수


있지만동물은 그렇지 못하다 . 때문에 수의사는
동물이 어디가 아픈지 알기 어렵다 . 이는
사회와도 같아 , 힘 있고 돈 많은 자들은 자신의
불평을 말할 수 있지만 , 작은 서민들이 내는
신음은 묻혀지기 마련이다 . 때문에 어차피 크게
소리지를 가진 자 보다 가지지 못한 서민들에게
귀 기울이는 것이 ‘공정’ 하지 않겠나 ?’

침팬지조차 자신들의 사회에 맞는 수익 분배 체계를 갖고 있다 .


그러나 제인 구달 ( 상단 사진 ) 의 실험 결과 그들의 시스템은
뜻밖의 엄청난 바나나 ( 재화 ) 에서 무력하였다 . 이는 인간의
사회도 다르지 않아 , 풍요의 획득이라는 역사로 점철된 인류
공정함은 사회 정의에서 필수요소 . 일반인들은 효율성보다
문명은 평화보다는 그것을 더 많이 가지려는 투쟁으로
공정성에 더 큰 의의를 두지만 , 이는 때때로 경제학에서 말하는 얼룩져있다 .
시장의 논리 ( 효율성 ) 와 충돌한다
이 투쟁을 해결하기 위해 수많은 철학자들이 ‘정의의 원칙’ 을 내세웠다
공정함은 무엇이고 , 정의는 무엇인가 ? → 문제로 나왔을 때

공정함이란 ?

인간 사회에서 중시되는 정의의 가치 중 하나로 , 대우 또는 복리의 배분 등을 기준에 따라


공평히 하는 것 .

시험용 답안 : 위 정의에 ‘효율성과의 충돌’과 그 예시를 들어주면 좋다

정의란 ?

인간 사회에서의 배분 문제를 해결하려는 하나의 사상이자 시스템적 사고


상호 이익이 언제나 정답인가 ? – 불의와의 타협

강이 오염되어 하류지역의 주민들이 상류 지역의 주민들과 그러나 뇌물을 받고 구속된 사항에도 협상과 타협이
갈등이 발생하였을 때 , 경제학자들은 서로가 이익이 되는 가능할까 ? 물론 가능하다 . 당사자끼리 없던 일로 하면
방향에서 타협하고 정부는 되도록 나서지 않는다 라고 디면 끝이다 . 그러나 이것이 정답이라고는 할 수 없다 .
가르친다 . 서로간의 이해관계를 가장 잘 알고 있는 사람은 엄연히 정의에 어긋나는 일이기 때문이다 . 경제학적으로는
당사자들이니 이 말은 설득력이 있다 . 당사자끼리 상호이익을 얻었지만 , 실상은 원칙을 훼손한
불의한 행동이기 때문이다 .

경제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손실이 발생하는 한이 있더라도 원칙과 정의를 따라야 함


정의를 구현하는 한 가지 시스템 – 존 롤스의 정의론

5-5 로 넘어갑니다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