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

1장.

견관절 검진

견갑대(shoulder girdle)
  Sternoclavicular joint : 해부학적 관절
  Acromioclavicular joint :  
  Glenohumeral joint :  
  Scapulothoracic joint : 생리학적 관절
  Subdeltoid joint :  
< 의학용어 >
Acromioclavicular joint : acromion-o-clavicle-ar
견봉-연결형-쇄골-형용사형 : 견봉쇄골 관절
Subdeltoid joint : sub-deltoid joint
아래(하)-삼각근 관절 : 삼각근하 관절
Subluxation : sub-luxate-ion
조금(아)-탈구되다-명사형 : 아탈구
1. 견관절 시진(inspection)
0. 치료실에 들어올 때부터 시작
0. 수포, 변색, 찰과상, 반흔
0. 양쪽 부위 : 대칭인 지 비교
비대칭 : Erb s palsy, Klumpke s paralysis, Dislocation, Subluxation,
Scoliosis,Kyphosis, Sprengel s shoulder, Winging scapular 등
<Erb s palsy>
Upper arm 형
Waiter s tip position : 굴곡근, 외전근, 외회전근의 마비
→ 견관절이 내전, 내회전, 과신전, 전완 회내
(마비된 근육은 ?)
원인 : 분만마비(obstetric paralysis), 어깨로 넘어질 때
→ 상신경총( C5,C6 단독 혹은 공동 손상)
보조기 : air plane brace
<Klumpke s paralysis>
Lower arm형
원인 : 견관절의 과 외전시
→ 하신경총( C8, T1) 손상
손의 내재근(수지굴근), 수근굴근의 마비와 위축
BPI(brachial plexus injury)  p.139 참고
<견관절 탈구(dislocation)>
- 정적 안정성 : 관절면의 형태, 관절낭, 인대
- 동적 안정성 : 근육(rotator cuff, deltoid)
전방 탈구가 많다.
→ Stimson 방법 : prone, 손목에 3kg 추 달고 20분동안 이완시킴
→ Hippocrates 방법 : 겨드랑이에 발 넣고 견인하기
Subluxation(아탈구) : hemiplegia
<견갑 날개(Winging scapular)> p. 35 참고
- 전거근(serratus anterior) : 위축(atrophy)이나 쇠약(weakness)
- 장흉신경손상(long thoracic n. injury) : 어깨로 무거운 물건 짊어질 때 주의
- 확인 : 팔굽혀 펴기(push up)
<상위견관절(Sprengel’s deformity)>
- 원인 : 자궁내 한정된 위치, 유전, 태생 3개월 경에 기형 발생
- 합병증 : scoliosis, torticollis, 근육 발육부전(muscle hypoplasia)
→ trapezius, rhomboid, serratus ant. Levator scapular
→ scapular 의 downward rotation, elevation이 특징
- Painless 경향 때문에 scoliosis로 오인
<척추측만증(scoliosis)>
- 척추의 S자 curve, 회전 변형
- 주만곡(major curve, primary curve)
- 소만곡(minor curve, secondary curve)
= 검사=
1. 등을 전방으로 90도 굴곡 검사 : 돌출부 : 철면(convex)
2. 방사선 사진 : Cobb의 방법
= 치료=
1. Crawling Ex
2. 보조기 : Milwaukee 보조기, TLSO(흉요천주 보조기)
짝운동(Coupling pattern) = 자동 회전(automatic rotation)
: Lt lat. Bending → body는 Rt, spinous pross는 Lt rotation
→ 수핵은 오른쪽으로 이동, 오른쪽 섬유륜이 긴장
<흉추후만(kyphosis)>
- 쇼이에르만병(Scheuermann s disease) : 1921년 연소성 후만증(청년기에 많다)
원인 : 추골의 선천성 내연골 골화 장애
- 유년성 척추 후만(juvenile kyphosis)
2. 촉진(palpation)
 1) 흉골상 절흔
2) 흉쇄 관절(sternoclavicular joint ; SC jt.)
a. Saddle joint.
b. Disc가 있는 활액성 관절
c. 흉쇄인대(전,후), 쇄골간 인대로 고정
d. 견관절의 움직임에서 중요함
(소홀히 다루어지는 경우가 많음)
3) 쇄골(clavicle)
a. 골화(ossification)이 가장 빠름
b. 분만시 골절 호발 부위 : BPI(Erb s palsy)
c. 내측 2/3 볼록 : subclavian artery & vein, brachial plexus 의 통로
d. 외측 1/3 오목 : ?
e. 근육의 부착 : platysma, trapezius, deltoid, subclavius,
pectoralis major, SCM
4) 오구(오훼)돌기(coracoid process)
a. 촉진 : 쇄골의 가장 오목한 곳 1인치 하방
b. 부착 근육 : 오이소
오훼상완근 : coracobrachialis(humerus)
이두박근 : biceps short head(radial tuberosity)
소흉근 : pectoralis minor(3-5 rib)
c. 인대 부착 : coracoacromial ligament,
coracoclavicular ligament(trapezoid, conoid lig.)
5)견봉쇄골 관절(acromioclavicular joint : AC jt.)
a. 평면관절(plane joint) : slide(o), spin(o), roll(X)
b. subluxation, dislocation이 쉽게 발생된다 --- 8자 붕대
6) 견봉(acromion) : 어깨의 봉우리
7) 상완골 대결절(greater tubercle)
a. 견봉의 외측 하단 : 측방
b. 상완골의 내회전(열중쉬어자세) : 전방
극상근(supraspinatus)의 impingement syndrome 치료 :
deep friction massage 위치
* rotator cuff(회전근개) 중 대결절 insertion :
SIT(앉다) --- Supraspinatus
Infraspinatus
Teres minor
8) 상완이두근구(bicipital groove) = 결절간구(intertubercular groove)
- 순서 : 대결절-결절간구-소결절
- 촉진 : 조심스럽게 biceps long head가 활액초(synovial sheath)로
싸여있기 때문(이것은 synovial cavity와 연결됨)
- 부착근육 : 외측 Pectoralis major
latissimus dorsi
내측 teres major
9) 견갑극(scapular spine) : supraspinatus, infraspinatus의 경계
10) 견갑골의 척추연(vertebral border) = 내측연(med. border)
- 내측연 하부에서 상방으로 근육 부착 :
rhomboid major, minor, levator scapular
- inf. Angle(7th rib)에서 외측연 상방으로
latissimus dorsi, teres major, teres minor
3. 연부조직 촉진

<회전근개(rotator cuff) : SITS>


insertion action nerve
Supraspinatus 대결절 외전 suprascapular n.
(극상근) (초기 30도)
Infraspinatus 대결절 외회전 suprascapular n.
(극하근)
Teres minor 대결절 외회전 axillary n.
(소원근)
Subscapularis 소결절 내회전 subscapular n.
(견갑하근)
회전근개(rotator cuff) = 근건대(musculotendinous cuff)
씹힘 증후군(impingement syndrome) :
극상근이 견봉돌기, 오훼견봉인대에 끼어서 일어남
= painful arc syndrome
극상근, 이두근 장두의 역할 : 외전시 상완골두를 하방으로 누르는 역할
2) 견봉하 점액낭, 삼각근하 점액낭
점액낭염(bursitis) : 운동 제한, 압통 유발
<활액(synovial fluid)으로 구성된 조직들>
- 점액낭(Bursa) : 피부-근육, 근육-근육, 근육-뼈
사이에서 마찰 방지(보호) --- 점액낭염(bursitis)
- 활액초(Synovial sheath) : tendon을 감싸고 있음
건초염(tenosynovitis) ex) De Quervain s disease
- 활막관절(synovial joint) : 활액막으로 관절을 둘러쌈
활액막염(synovitis)
3) 액와(axilla) : 신경과 혈관이 통과하는 피라미드 구조
0. 임파선 총창 탐색
0. 상완동맥(brachial artery) 촉진
subclavian a. - axillary a. -  brachial a. - radial & ulnar a.
0. 광배근 촉진
0. 대흉근 촉진
4) 견갑대 근육
(1) SCM
a. 사경(torticollis=wry neck) : 혈종(hematoma)
Rt SCM 사경 : 턱은 왼쪽, 머리는 오른쪽으로 회전
--- 치료 : 턱은 오른쪽, 머리는 왼쪽으로
(traction   rotation   lateral bending)
b. 임파선 감염 : 종창
c. 경타증(Whiplash injury) : 목의 과신전(추돌)
기시 : SC 종지 : M, nerve : C2-3 & accessory n.
(2) 대흉근(pectoralis major)
기시 : clavicle head, sternocostal head
종지 : intertubercular groove의 외측연
신경 : med. & lat. Pectoral n.
작용 : flexion, int. rotation, horizontal add.
--- deltoid, coracobrachialis가 대신할 수 있음
(선천적 결손, 유방암 수술 시 대흉근 절제)
동통성 비화농성 연골염 = 티쩨병 (Tietze s syndrome costochondritis) :
연골조직의 퇴행성 변성, 20대 여성 많다.
골연골 접합부의 비후, 통증. 1-4th rib
(3) 상완이두근(biceps brachii)
기시 : 장두   supraglenoid tubercle
단두   coracoid process
종지 : radial tuberosity
신경 : musculocutaneous n.
작용 : elbow flexion, supination
long head의 건초염(tenosynovitis) or 탈구 흔함.
--- 탈구 (p. 37) : 요르가손 검사
transverse humeral lig.의 파열
상완이두근 장두건의 안정성 검사
ext. rotation & inferior traction   탈구, 통증
(4) 삼각근(deltoid) --- ant, mid, post. Fiber 구분
기시 : clavicle lat. 1/3, acromion, scapular spine
종지 : deltoid tuberosity
신경 : axillary n.
작용 : shoulder flexion, abduction, extension
액와신경 마비 : (삼각근, 소원근 지배)
목발(crutch palsy), 견관절 탈구,
상완골 골절(외과경), 갑작스런 과신전시
(5) 승모근(trapezius) --- upper, middle, lower fiber로 구분
기시 : occipital prominence, ligamentum nuchae,
C7-T12 spinous process
종지 : clavicle lat. 1/3, acromion, scapular spine
신경 : C3-4, accessory n.
작용 : scapular elevation, retraction, depression
upward rotation(전거근, 승모근)
경타증(Whiplash injury) : 목의 과굴곡(충돌), TA(traffic accident)
(6) 대.소능형근(rhomboid major & minor)
기시 : minor = C7-T1 spinous proc.
major = T2-T5 spinous proc.
종지 : scapular med. border
신경 : dorsal scapular n.
작용 : scapular retraction, downward ratation
차렷자세가 되게하는 자세근육
<승모근과 구별하는 방법> 열중쉬어 자세에서 손을 뒤로 밀도록 저항 준다.
(7) 광배근(latissimus dorsi)
기시 : T7-T12 spinous proc. Thoracolumbar fascia
iliac crest, 9-12th rib, scapular inf. angle
종지 : intertubercular groove
신경 : thoracodorsal n.
작용 : shoulder extension, adduction, int. rotation,
도끼질, 밧줄 오르기, 턱걸이, 접영, 목발보행
(8) 전거근(serratus anterior)
기시 : 1-8th rib.
종지 : scapular med. Border의 ant. Surface
신경 : long thoracic n.
작용 : scapular protaction, upward rotation
팔굽혀펴기(push up)시 중요함.
long thoracic n. 마비 : winging scapular
4. 관절 운동 범위(ROM)
1) 능동 운동범위 검사(AROM test)
Scratch test(끍기 검사) :
외회전 & 외전
내회전 & 내전
2) 수동운동범위 검사(PROM test)
a. 근육의 쇠약(or 마비),
b. 연부조직의 구축(관절낭, 인대 구축),
c. 뼈의 장애
if, 수동검사(o), 능동검사(x) : 근육의 쇠약(마비)
if, 수동검사(x), 능동검사(x) : 연부조직의 구축, 뼈의 장애
< scapulohumeral rhythm >
외전시 견관절 : 흉견갑 관절의 운동 비 = 2:1
< Frozen shoulder > : 동결견, 오십견
= 유착성 관절낭염(adhesive capsulitis)
주로 이차적인 질환을 말한다. 정상적인 비율을 보이지 않는다.
견관절의 운동이 거의 없으며, 주로 흉견갑 운동이 일어난다.
5. 신경학적 검사
근력 검사(N-G-F-P-T-Z : 엔지에프 피티지)
Normal : 중력, 충분한 저항, full ROM
Good : 중력, 약간의 저항, full ROM
Fair : 중력만, full ROM
Poor : 중력 제거, full ROM
Trace : 약간의 근수축
Zero : 전혀
* 근력 검사시 Fair test 부터 시행한다   active test
3) 감각 검사(sensation test) : 피절(dermatome)
C5 : 팔의 외측(삼각근 부위)   액와신경
C7 : 3th finger
T4 : 유두
T10 : 배꼽
L4 : 무릎
L5 : 발등
S3-5 : 항문
<지각장애(paresthesia)> : 비정상적인 감각 par(상태) + esthesia(감각)
a. 지각과민(hyper+esthesia)
b. 지각감퇴(hypo+esthesia)
c. 무감각증(an+esthesia)
6. 특수 검사(spesial test)
  1) 요르가손 테스트(Yergason test) : 상완이두근 장두의 안정성 검사
2) 팔 떨어뜨리기 검사(drop arm test) : 회전근개의 열상 검사(극상근)  
90도 외전 상태에서 유지. But 떨어지게 된다.
3) 불안 검사(apprehension test) : 견관절 탈구에 대한 불안 검사
견관절 탈구가 쉬운 자세 : 외전, 외회전
* hip : 내전, 내회전
* elbow : traction
* patella : 외측 활주
7. 관련 부위 검사
관련통(referred pain) : 다른 기관에 의한 통증
방사통(radiating pain) : 주로 수핵탈출증(HNP)
< 어깨 통증 >
a. 심근경색(myocardinal infarction)
b. 횡격막 자극 : C3-5 횡격신경(phrenic n.)
c. 경추의 수핵탈출증
d. 척추 골절
e. 주관절과 상완골 원위단의 병변
MPS(myofacial pain syndrome)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