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

6과

수필

무릎 꿇은 나무: 장영희 (1952-2009)

[읽기 전 질문]

여러분이 힘들 때 특별히 여러분에게 용기를 준 말이 있습니까? 그것을 나누어 보세요.

[읽기]

이 나무는 어떻게 생겼습니까?

이 나무로 만든 바이올린은 소리가 아름답게 나오는 명품 바이올린이 된다고 합니다.


이 것은 무엇을 가르친다고 생각합니까?

장영희 교수의 에세이 ‘무릎 꿇은 나무’를 읽고 질문에 답하세요.

[Breakout room]

[ 읽기] 그룹으로 교과서 75 페이지를 읽고 아래 질문에 답하세요.

새로운 표현들:

연구실: professor’s office, 들르다: to stop by, 뒷모습: the view from behind, [생각이]
떠오르다, to recall, to come to mind, 정직하게: , 펑펑 울다: to cry one’s heart out, to sob, -을
전하다: to express, to convey, 차라리: rather, 어디선가: from somewhere, 누구나: everyone,
메다: to carry (a bag), 운명 자루: bag of destiny, 똑같이: equally, 불운: misfutune, 행운: luck,
good futune , 뜻한다: to mean , 꺼내다: to pull out , 불행해 지다: to become unhappy, 어떤
때는: sometimes , 먼저: first, 세계적으로: globally, 매서운: bitter, 바람: wind, 모습: , 무릎을
꿇다: to kneel, to get down on one’s kneel, 어쩌면: perhaps, possibly, 연주하다: to play (an
instrument), 더욱더: more and more, even more, 조금만 더 힘내라: bear up, cheer up

1. 이 교수님은 편지에서 ‘무릎 꿇은 나무’이야기를 합니다. 교수님은 이 이야기를 통해서


제자에게 무슨 말을 하고 싶은 것 같아요?
a. 힘을 내라고
b. 지금은 힘들만, 나중에는 삶을 아름답게 살수있다.

2. 교수님은 왜 이 편지를 썼어요?


a. 제자에 뒷모습이 않스럽고  인생이 힘들어 보여서.
b. 위로 해주러

3. 지선 씨는 교수님께 뭐라고 말했어요?


a. 잘사는 모습을 못보여들어서 죄송하다고
b. 괜찮지 않은데 괜찮하다고 말했오요.

4. 로키 산맥의 3000 미터 높이에 있는 나무들은 왜 무릎을 꿇고 있다고 했어요?


a. 매서운 바람때문에

5. 교수님께서 지선 씨에게 마지막으로 힘내라고 하면서 무슨 말을 하셨어요?


a. 지금에 고생은 나중에 더 잘살기위해서 격으는거다.

6. 교수님께서는 왜 ‘무릎 꿇은 나무 이야기를 하셨을까요?


a. 지선이 한테 위로와 희망을 주기위해서.

[다같이 모여 나누기]

[단어.문형 연습]

1. Verb/ Adjective + –(어)ㅆ다고 한다: It is said that

예) 있다: 언니가 돈이 있다고 한다.

1) 먹/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 비싸/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 Noun+ –을/를 뜻한대 (= 뜻한다고 한다)

예) 행운: 네잎 클로버는 행운을 뜻한대/ 네잎 클로버는 행운을 뜻한다고 한다.

1) 번호 7: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 빨간색: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3. Adjctive + -어/아지기고 하고, -어/아지기고 한다 This pattern expresses the idea that
something happens sometimes or occasionally. It isn’t used with things that happen
frequently.

예) 사람들은 어떨 때는 불행해지기도 하고 행복해지기도 한다.

1) 부지런하다/ 게으르다: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 지루하다/ 재미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4. Verb/ adjective + –는지도 모르겠다 (I don’t know if……)

예) 그 여자는 자신의 삶을 아름답게 연주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1) 공부하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 행복하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5. Verbs/adjectives stem (1) + -았/었으면 verb stem/adjective stem (2) -았/었을 텐데… (I
wish I had…)

The expression ‘verb/ adjective stem +(1) ‘-았/었으면 verb/adjective (2)+- 았/었을 텐데‘ is used
to express regret or pity for a past action or situation.
예)

어제 파티에 갔으면 좋았을 텐데… It would have been nice if [I] had gone to the party
yesterday.
그 사람을 만났으면 행복했을 텐데… [I] would have been happy if [I] had met that person.

[Breakout Room]

다음의 다섯 개의 용기를 주는 말 가운데 한 가지를 고르고

1) 그 말이 필요한 사람에게 위에서 배운 문형, –(어)ㅆ다고 한다, –는지도 모르겠다, -


어/아지기고 하고, -어/아지기고 한다, 을/를 뜻한대 (= 뜻한다고 한다)’를 이용해서 전하는 말로
쓰고,

2) 그 것을 영어로 번역하세요.

Room 1:

쉽고 편안한 환경에선 강한 인간이 만들어지지 않는다. 시련과 고통을 통해서만 강한 영혼이


탄생하고, 통찰력이 생기고, 일에 대한 영감이 떠오르며, 마침내 성공할 수 있다. -헬렌 켈러

환경: environment, 시련: ordeal/hardship, 고통: pain/suffering, 영혼: soul/spirit, 탄생하다: to


be born, 통찰력이 생기다: to gain insight, 영감이 떠오르다: to be inspired

쉽고 편안한 환경에선 강한 인간이 만들어지지 않는다고 한다. 시련과 고통을 통해서만 강한


영혼이 탄생해지가도 하고, 통찰력이 생기지기도 한다.
Room 2:

고난은 잠자던 용기와 지혜를 깨운다. 사실, 고난은 우리에게 없던 용기와 지혜를 창조해
내기도 한다. 우리는 오직 고난을 통해 정신적으로나 영적으로 성숙할 수 있다. -스코트
펙(정신과의사)

고난: hardship. 용기: courage, 지혜: wisdom, 깨우다: to wake/to awaken, 창조하다: to create,
정신적으로: mentally, 영적으로: spiritually

Room 3:

어려움이 닥치면 삼류 인생은 울어버린다.


이류 인생은 입술을 깨문다.
그러나 일류 인생은 웃는다.
새로운 도전이 성공의 기회가 되리라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사람을 강하게 만드는 것은 사람이 하는 일이 아니라 하고자 하는 노력이다.
의지는 고난보다 강하다. -용혜원, '성공노트'에서

닥치다: to approach/draw near, 삼류 인생: a third-rate life, 이류 인생: a second-rate life,


입술을 깨물다: to bite one’s lip, 일류 인생: a first-rate life, 도전: an endeavor, 기회: an
opportunity, 하고자 하는 노력: literally “the effort to do” , 의지: willpower (or loyalty)

Room 4:

단언컨대 위대한 사람은 때로는 역경을 반긴다.


신은 자신이 인정하고 사랑하는 자들에게 역경을 주어 단련시키고 시험하고
훈련시킨다. 불운을 당해보지 않은 사람만큼 불행한 사람은 없다.
불은 금을 단련하고, 불행은 용감한 자들을 단련시킨다. –세네카

단언컨대: I bet, for sure, 역경을 반기다: to welcome adversity/hardship, 신: god, 인정하다: to
acknowledge, 사랑하다: to love, 단련 시키다: to train, 시험하다: to test, 훈련시키다: to train,
불운을 당하다: to suffer misfortune, 불행한: unfortunate/unlucky, 단련하다: to practice
oneself, 용감한: courageous/brave

Room 5:

하늘 높이 자라서 멋진 그늘을 만드는 나무를 좋아하는 사람들, 빨리 자라서 크게 가지를 뻗는


나무일수록 그 속은 단단하지 못하다. 성장하고 꽃피우는데 모든 걸 소모한 나머니 내실을
다질 여력이 없는 것이다. 그런 나무들은 살아있는 동안에는 사람들의 눈길을 끌지 몰라도
생명이 다하고 나면 흔적없이 사라지고 만다. - 우종영, ‘나는 나무처럼 산다’에서

하늘 높이 자라다: to grow as tall as the sky, 크게 가지를 뻗다: to branch out, 단단하다:
sturdy , 소모하다: to consume, -한 나머지: remainders, 내실을 다지다: to harden the inside,
여력이 없다: to have no strength to spare, 눈길을 끌다: to catch the eye, 생명을 다하다: to
come to the end of one’s life, 흔적없이: without a trace

[다같이 모여 나누기]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