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6

제 3 장 대상지역의 설정

3.1 대상지역 현황
3.2 굴착영향범위 설정
3.3 인접 구조물 및 매설물 현황 조사
잠실·천호대교 남단IC 연결체계 개선 지하안전영향평가

제 3 장 대상지역의 설정
3.1 대상지역 현황
구 분 사 업 배 경 및 현 황
본 사업부지는 “서울시 송파구 송파대로 잠실대교 남단(잠실동) 일원”으로 잠실대교 남단에
위치하며, 올림픽대로와 기존 도시부 도로를 연결하는 연결램프를 추가 설치를 위한 사업이다.
잠실대교 남단IC
사업구간 북쪽은 한강이며, 남쪽은 롯데월드, 송파구청 및 잠실동 주거지역이 위치하고,
주변도로로는 송파대로, 한가람로, 올림픽로 등이 있다.
본 사업부지는 “서울시 송파구 송파대로 천호대교 남단(풍납동) 일원”으로 천호대교 남단에
위치하며, 올림픽대로와 기존 도시부 도로를 연결하는 연결램프를 추가 설치를 위한 사업이다.
천호대교 남단IC
사업구간 북쪽은 한강이며, 남쪽은 현대백화점, 풍납토성 및 주거지역이 위치하고, 주변도로로는
천호대로, 한가람로, 지하철5호선 등이 있다.

사업지역 주변 현황 사진
잠실대교 남단IC구간

3-1
제 3 장 대상지역의 설정

3-2
잠실·천호대교 남단IC 연결체계 개선 지하안전영향평가

천호대교 남단IC구간

3-3
제 3 장 대상지역의 설정

3-4
잠실·천호대교 남단IC 연결체계 개선 지하안전영향평가

3-5
제 3 장 대상지역의 설정

사업지역 주변 현황도
잠실대교 남단IC 주변현황도

천호대교 남단IC 주변현황도

3-6
잠실·천호대교 남단IC 연결체계 개선 지하안전영향평가

3.2 굴착영향범위 설정
3.2.1 최대 굴착깊이 검토

잠실대교 남단IC

사업구간내 최대 굴착깊이 검토를 위해 굴착구간 전개도에서 최대 지반고 및 최저 굴착고의 차가 가장 큰 지점을 선정하여


최대 굴착깊이로 결정하였다.
사업구간내 최대 지반고는 중앙부 도달기지의 EL(+)21.262m 위치이며, 동 지점 최저 굴착고는 EL(+)2.073m로
굴착깊이는 19.19m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잠실대교 남단IC구간의 가시설 계획 단면의 굴착계획을 감안한 최대 굴착깊이는 중앙부 도달기지에서 19.19m로 결정하였다.

가시설 굴착구간(중앙부) 전개도

해석단면 D-D

3-7
제 3 장 대상지역의 설정

천호대교 남단IC

사업구간내 최대 굴착깊이 검토를 위해 굴착구간 전개도에서 최대 지반고 및 최저 굴착고의 차가 가장 큰 지점을 선정하여


최대 굴착깊이로 결정하였다.
사업구간내 최대 지반고는 중앙부 추진기지의 EL(+)23.225m 위치이며, 동 지점 최저 굴착고는 EL(+)13.825m로
굴착깊이는 9.40m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천호대교 남단IC구간의 가시설 계획 단면의 굴착계획을 감안한 최대 굴착깊이는 중앙부 추진기지에서 9.40m로
결정하였다.

가시설 굴착구간(추진기지) 전개도

단면 A-A

잠실대교 남단IC구간 및 천호대교 남단IC구간의 최대 굴착깊이는 각각 19.19m, 9.40m로 확인되었다.


검토결과 천호대교 남단IC구간의 경우 최대 굴착깊이가 소규모 지하안전영향평가 대상조건인 10m 이상 20m 미만인
요건을 충족시키지 않으므로 검토대상에서 제외하였다.

3-8
잠실·천호대교 남단IC 연결체계 개선 지하안전영향평가

3.2.2 이론적 및 경험적 추정방법

Peck(1969)의 곡선

Peck은 현장에서 시공되고 있는 가시설 벽체 인접지반에 대해 현장 계측결과로부터 지반 조건별 굴착심도에 따른


거리비로 침하량 분포를 제시하였다.
실측 자료들은 가설의 버팀지지식 널말뚝 벽체와 엄지말뚝과 토류판으로 구성되는 벽체의 인접지반에서 발생하는
침하량을 수집하여 이루어졌으며, 지반조건별 3지역으로 구분하였다.

Peck의 곡선은 다음과 같은 지반조건별로 Ⅰ~Ⅲ


지역으로 구분
- Ⅰ지역 : 모래와 연약 또는 견고한 점토
- Ⅱ지역 : 매우 연약 내지 연약한 점토
- Ⅲ지역 : 굴착 바닥면 아래 상당 깊이까지 매우 연약 내지
연약한 점토층 존재

제시된 지반조건 중 사업구간의 지반조건은 Ⅰ지역에 해당한다.


Peck 곡선의 Ⅰ지역조건에서 최대 침하량은 「굴착면으로 부터의 거리/최대 굴착고」 비 2.0에서 최대 침하량비
10을 제시하고 있으므로 안전측 평가를 위해 최대 침하량조건의 굴착면으로부터 거리를 굴착영향 거리로 적용하였다.
최대 굴착심도는 GL(-)19.19m로 계획되었으며, Peck 곡선의 최대 침하량 조건은 굴착 깊이의 2배이므로 38.38m가
굴착면으로 부터의 영향거리로 산정되었다.
19.19m × 2.0 = 38.38m

3-9
제 3 장 대상지역의 설정

3.2.3 수치해석에 의한 굴착영향범위 산정

해석개요

해석단면은 사업구간 중 최대 굴착깊이 구간 및 인접 구조물과 인접하고, 지중매설물이 존재하는 단면으로 선정하였으며,


흙막이 가시설 공법 및 시공순서를 준용하여 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프로그램은 2차원 수치해석 프로그램인 MIDAS사의 GTS NX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굴착에 따른 배면지반의
침하영향범위를 산정하였다.

검토단면

침하영향범위 검토
지반침하 영향거리 예측

3-10
잠실·천호대교 남단IC 연결체계 개선 지하안전영향평가

지반침하 영향거리 예측그래프(좌측) 지반침하 영향거리 예측그래프(우측)

검토결과
지반침하 영향범위 검토결과

2차원 수치해석 결과 최대 지반 침하량은 26.57mm~30.46mm로 검토되었다(검토시 보수적인 평가를


위해 지보재 미설치를 조건으로 검토하여 최대 지반 침하량이 허용치 25.0mm를 초과하는 구간이 존재함).
검토결과 침하영향범위는 허용침하량 25.00mm의 10%인 절대치 2.5mm 이상인 구간으로 산정하였다.
좌측과 우측의 침하영향거리는 각각 52.2m, 51.0m로 검토되었으며, 수치해석에 의한 최대 영향거리는
최대값인 52.2m로 적용하였다.

3-11
제 3 장 대상지역의 설정

3.2.4 굴착영향범위 검토결과

잠실대교 남단IC구간

이론적 및 경험적 추정방법과 수치해석에 의한 방법을 이용하여 사업대상부지의 굴착공사에 따른 영향범위를


산정하였다.
이론적 및 경험적 추정방법은 Peck(1969), O'Rourke(1976), Clough, O'Rourke(1990)의 방법 모두 굴착 깊이의 2배로
제시되어 약 40m로 산출되었다. 반면, 사업구간의 해석단면에 대한 수치해석 결과 굴착에 의한 영향범위는 52.2m로
약 10m 크게 산정되었다.
터널구간의 영향범위는 터널 굴착폭(9.75m~11.50m)의 3배를 적용하였으나, 그 값이 29.25m~34.50m로 가시설의
굴착영향범위보다 적게 산정되어 가시설에서 선정된 영향범위 값을 적용하였다.
적용 굴착영향범위는 이론적 및 경험적 추정방법과 수치해석 방법을 고려한 보수적인 값을 적용하여 3H(굴착깊이)인
60m를 적용하였다.

Clough,
Peck(1969) O'Rourke(1976) 수치해석 적용범위
O'Rourke(1990)
2.0H(굴착깊이) 2.0H(굴착깊이) 2.0H(굴착깊이) ≒3.0H(굴착깊이)
52.2m
약 40m 약 40m 약 40m 60m

잠실대교 남단IC구간 굴착영향범위

3-12
잠실·천호대교 남단IC 연결체계 개선 지하안전영향평가

천호대교 남단IC구간

가시설구간은 지하안전영향평가 대상이 아니므로 비개착터널에 대한 영향범위를 산정하였다.


터널구간의 영향범위는 터널 굴착폭(11.80m)의 3배를 적용하여 36.00m로 선정하였으며, 그 영향범위 다음과 같다.

천호대교 남단IC구간 굴착영향범위

3-13
제 3 장 대상지역의 설정

3.2.5 안정성 검토 단면 선정

검토구간 선정
잠실대교 남단IC구간
검토구간 선정 사유

과업구간의 굴착면적 및 위치별 굴착심도, 지층구성을 고려하여 총 5개의 단면(터널 2개, 가시설 3개)을 선정하여
지하수변화에 의한 영향평가 및 지반안정성 검토를 수행하였다.
특히, 선정된 각 단면은 해당 구간 중 굴착 깊이가 가장 깊은 단면 위주로 선정하였고, 또한 주변의 인접건물, 매설물
등을 고려하여 검토하였으므로, 해당 단면에 대한 안정성 확보가 확인되면, 해당 구간의 타 단면 또한 안전할 것으로
사료되어 선정하였다.

해석단면 위치도

잠실대교 남단IC구간은 비개착터널 2개소, 추진 및 발진구 가시설 3개소가 계획되어 있고, 비개착터널 연장은
100.5m(1구간 : 41.60m, 2구간 : 58.90m), 가시설 굴착 깊이는 9.136m~19.19m로 분포하며, 각 구간 중 가장
굴착깊이가 깊은 단면들을 선택하여 검토단면으로 설정하였다.
이에 터널 2개 단면, 가시설 3개 단면으로 검토단면을 설정하였으며, 전체구간에 대한 3차원 지반안정성 검토를 수행하여
보다 현장여건을 정확히 모사한 수치해석 검토를 수행하였다.

3-14
잠실·천호대교 남단IC 연결체계 개선 지하안전영향평가

단면 A-A (터널구간)

해당 단면의 좌측으로 올림픽대로(하남)가 위치하고 상부에 올림픽대로(김포), 우측으로 Ramp C가 위치하고 있다.
지층구성은 상부로부터 매립층, 퇴적모래층, 퇴적자갈층, 풍화암, 연암 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설계 지하수위는
EL(+)10.22m를 적용하였다.

단면 B-B (터널구간)

해당 단면의 좌측으로 올림픽대로(하남)가 위치하고 상부에 Ramp D, Ramp E가 위치하며, 우측에 지하매설물(하수관,
상수관)이 위치하고 있다.
지층구성은 상부로부터 매립층, 퇴적모래층, 퇴적자갈층, 풍화토, 풍화암, 연암 순으로 구성되어 있고, 설계 지하수위는
EL(+)10.22m를 적용하였다.

3-15
제 3 장 대상지역의 설정

단면 C-C (가시설구간)

해당 단면의 좌측으로 올림픽대로(하남, 김포)가 위치하고 우측으로 Ramp C와 그 아래 지하매설물(하수관, 상수관)이


위치하고 있다.
지층구성은 상부로부터 매립층, 퇴적모래층, 퇴적자갈층, 풍화암, 연암 순으로 구성되어 있고, 해당 단면 중 최대 굴착깊이는
13.961m(EL(+)6.059m)이며, 설계 지하수위는 EL(+)10.22m를 적용하였다.

단면 D-D (가시설구간)

해당 단면의 좌측으로 올림픽대로(하남), Ramp E 및 지하매설물(상수관)이 위치하고 우측으로 올림픽대로(김포),


RampC와 지하매설물(하수관, 상수관)이 위치하고 있다.
지층구성은 상부로부터 매립층, 퇴적모래층, 퇴적자갈층, 풍화토, 풍화암, 연암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해당 단면은 잠실구간 중 최대 굴착깊이 19.19m(EL(+)2.073m)를 나타내는 위치이며, 설계 지하수위는EL(+)10.22m를적용하였다.

3-16
잠실·천호대교 남단IC 연결체계 개선 지하안전영향평가

단면 E-E (가시설구간)

해당 단면의 좌측으로 올림픽대로(하남) 및 Ramp D, Ramp E가 위치하고 우측으로 한가람로와 그 하부에


지하매설물(하수관, 상수관, 난방관)이 위치하고 있다.
지층구성은 상부로부터 매립층, 퇴적모래층, 퇴적자갈층, 풍화토, 풍화암, 연암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해당 단면 중 최대 굴착깊이는 12.055m(EL(+)6.645m)이며, 설계 지하수위는 EL(+)10.22m를 적용하였다.

3-17
제 3 장 대상지역의 설정

천호대교 남단IC구간
검토구간 선정 사유
과업구간의 굴착면적 및 위치별 굴착심도, 지층구성을 고려하여 총 2개의 단면을 선정하여 지하수변화에 의한 영향평가
및 지반안정성 검토를 수행하였다.
특히, 선정된 각 단면은 주변의 인접건물, 매설물 등을 고려하여 검토하였으므로, 해당 단면에 대한 안정성 확보가
확인되면, 해당 구간의 타 단면 또한 안전할 것으로 사료되어 선정하였다.

해석단면 위치도

천호대교 남단IC구간은 비개착터널 2개소, 추진 및 발진구 가시설 3개소가 계획되어 있고, 비개착터널 연장은
51.06m(1구간 : 21.20m, 2구간 : 29.86m), 가시설 굴착 깊이는 6.209m~9.40m이다.
천호대교 남단IC구간의 경우 최대 굴착 깊이가 9.40m로 소규모 지하안전영향평가 대상조건인 10m 이상 20m 미만인
요건을 충족시키지 않는다.
이에 터널 2개 단면 및 전체구간에 대한 3차원 지반안정성 검토를 수행하여 보다 현장여건을 정확히 모사한 수치해석
검토를 수행하였다.

3-18
잠실·천호대교 남단IC 연결체계 개선 지하안전영향평가

단면 A-A (터널구간)

해당 단면의 상부에 올림픽대로(하남방향)가 위치하고 있다.


지층구성은 상부로부터 매립층, 퇴적모래층, 퇴적자갈층, 풍화토, 풍화암, 연암 순으로 구성되어 있고, 설계 지하수위는
EL(+)12.86m를 적용하였다

단면 B-B (터널구간)

해당 단면의 상부에 올림픽대로(김포방향)가 위치하고 있다.


지층구성은 상부로부터 매립층, 퇴적모래층, 퇴적자갈층, 풍화토, 풍화암, 연암 순으로 구성되어 있고, 설계 지하수위는
EL(+)12.86m를 적용하였다.

3-19
제 3 장 대상지역의 설정

단면 C-C (가시설구간)

해당 단면의 좌측으로 올림픽대로(김포방향)가 위치하고 우측으로 올림픽대로(하남방향), Ramp E, 한가람로와 그 아래


지하매설물(하수관, 상수관, 전기선로, 통신선로)이 위치하고 있다.
지층구성은 상부로부터 매립층, 퇴적모래층, 퇴적자갈층, 풍화토, 풍화암, 연암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해당 단면은 천호구간 중 최대 굴착깊이 9.40m(EL(+)13.825m)를 나타내는 위치이며, 설계 지하수위는 EL(+)12.86m를
적용하였다.

단면 D-D (가시설구간)

해당 단면의 좌측으로 올림픽대로(하남방향, 김포방향)가 위치하고 우측으로 한가람로, Ramp E 및 지하매설물(하수관,


상수관, 전기선로, 통신선로)이 위치하고 있다.
지층구성은 상부로부터 매립층, 퇴적실트층, 퇴적모래층, 퇴적자갈층, 풍화토, 풍화암, 연암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해당 단면 중 최대 굴착깊이 8.26m(EL(+)15.575m)를 나타내는 위치이며, 설계 지하수위는 EL(+)12.86m를 적용하였다.

3-20
잠실·천호대교 남단IC 연결체계 개선 지하안전영향평가

단면 E-E (가시설구간)

해당 단면의 좌측으로 올림픽대로(김포방향, 하남방향) 및 Ramp D, Ramp E가 위치하고 있다.


지층구성은 상부로부터 매립층, 퇴적모래층, 퇴적자갈층, 풍화토, 풍화암, 연암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해당 단면 중 최대 굴착깊이는 9.10m(EL(+)14.844m)이며, 설계 지하수위는 EL(+)12.86m를 적용하였다.

사업부지내 선정된 각 단면은 해당 구간 중 굴착 깊이가 가장 깊은 단면을 위주로 선정하였으며, 주변의


인접건물 및 매설물 등을 고려하여 검토하였다.
잠실대교 남단IC구간의 가시설 굴착심도는 9.136m~19.19m이며, 천호대교 남단IC구간은
6.209m~9.40m로 나타나며 천호대교구간 가시설은 굴착깊이 10m 이내로 지하안전영향평가에서
검토결과
제외하였다.
이에 잠실구간은 터널 2개 단면, 가시설 3개 단면으로 검토단면을 설정하였으며, 천호대교 남단IC구간의
경우 주변의 구조물 등을 고려하여 비개착터널 구간에 대한 총 2개의 단면을 선정해 지하수변화에 의한
영향평가 및 지반 안정성 검토를 수행하였다.

3-21
제 3 장 대상지역의 설정

3.3 인접 구조물 및 매설물 현황 조사

3.3.1 인접 구조물 현황

지반안정성 영향검토 대상지역 내 구조물이 위치하고 있을 경우 이에 대한 현황 및 노후화 등을 조사하여 굴착공사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대비하여야한다,
인근 건축물 조사는 국토교통부의 온나라부동산정보 통합포털(씨:리얼), 항공사진, 등기부등본 등을 건축물의
사전정보를 조사하고 현장 조사를 통해 비교·검토하였음. 건축물의 주소, 규모(지상/지하층수), 건물면적, 높이, 구조,
용도 및 사용승인일자 등의 정보를 수집하여 지반안정성 평가 시 참고자료로 활용하였다.
검토결과 당 영향검토 대상지역 내 위치하는 건축물은 없었으며, 인접 도로는 올림픽대로(하남, 김포), Ramp-C,
Ramp-D 등이 위치한다.

구 분 인접 구조물 현황

잠실구간

천호구간

3-22
잠실·천호대교 남단IC 연결체계 개선 지하안전영향평가

3.3.2 지하매설물에 관한 정보

굴착으로 인한 지반침하를 예방하기 위하여 지하에 존재하는 각종 매설물들의 위치와 심도 등을 조사하였으며,


조사항목은 우수 및 오수관로, 전력선로, 상수도관로, 도시가스관, 통신관로 등이 포함된다.
관련자료는 지하매설물 관망도와 현장조사 및 측량을 통해 지하매설물의 위치를 비교·대조하였다.
사업대상부지의 굴착영향범위내 지하매설물은 지표 아래 1.0 m ~ 3.0 m에 도로를 따라 서로 이격하여 위치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 교차 및 변곡, 중첩되는 구역과 하부에 직경이 500mm를 초과하는 우수관로가 위치한 도로는 굴착
진행에 따른 변위발생에 취약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집중관리가 필요하다.
지하굴착(흙막이 벽체 시공)시 인접부지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차수그라우팅(S.G.R GROUTING, Φ1,000, C.T.C
800)으로 계획하였으나, 굴착시 인근에 설치된 계측기의 계측값을 확인하여 계측관리기준에 따른 주기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공사 중 계측빈도 : 1~2회/일 또는 자동화계측)

구분 상수관 하수관 난방관 고압선


규격 D250, D1500, D2200 D600 - Φ150
관계기관 서울특별시 송파구 서울특별시 송파구 한국지역난방공사 한국전력공사

잠실대교 남단IC구간
사업구간 주변 지하매설물 위치도

3-23
제 3 장 대상지역의 설정

천호대교 남단IC구간
사업구간 주변 지하매설물 위치도

3-24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