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9

KSKSKSKS KS D 3504

KSKSKSK
KSKSKS
KSKSK
KSKS
KSK
KS
㉿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
KS D 3504:2019

산 업 표 준 심 의 회
2019년 10월 29일 개정
KS D 3504:2019

심 의 : 금속 기술심의회

성 명 근 무 처 직 위
(회 장) 박 화 수 국민대학교 교 수
(위 원) 김 명 구 KC GLASS&MATERIALS 상 무 이 사
김 상 열 인하대학교 교 수
손 정 근 한국철강협회 상 무
심 광 수 고려대학교 수석연구원
이 경 환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본 부 장
정 진 안 포스코 전문연구원
함 종 오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팀 장
현 창 용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 수
홍 경 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연구전문위원
(간 사) 서 상 헌 국가기술표준원 표준정책국 기계융합산업표준과 연 구 사

원안작성 협력기관 : 한국철강협회

성 명 근 무 처 직 위
(위원장) 김 중 호 포스코 부 장
(위 원) 박 상 백 현대제철 부 장
조 종 원 동국제강 부 장
이 성 우 포스코강판 팀 장
명 경 근 동국제강 과 장
한 정 기 현대제철 부 장
기 응 수 동국제강 팀 장
김 영 호 한국철강 팀 장
이 승 재 와이케이스틸 팀 장
염 정 민 대한제강 팀 장
구 본 습 환영철강공업 팀 장
최 한 규 현대제철 부 장
김 해 규 휴스틸 팀 장
백 남 준 세아제강 이 사
김 유 창 한국주철관공업 팀 장
임 성 룡 동양철관 공 장 장
장 봉 규 만호제강 팀 장
김 진 수 현대제철 대 리
이 준 호 고려대학교 교 수
김 용 필 한국상하수도협회 팀 장
(간 사) 임 정 환 한국철강협회 실 장
왕 찬 훈 한국철강협회 팀 장

표준열람 : e나라 표준인증(http://www.standard.go.kr)


━━━━━━━━━━━━━━━━━━━━━━━━━━━━━━━━━━━━━━━━
제 정 자:산업표준심의회 위원장 담당부처: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제 정:1962년 7월 6일 개 정:2019년 10월 29일
심 의:산업표준심의회 금속 기술심의회
원안작성협력:한국철강협회
━━━━━━━━━━━━━━━━━━━━━━━━━━━━━━━━━━━━━━━━
이 표준에 대한 의견 또는 질문은 e나라 표준인증 웹사이트를 이용하여 주십시오.

이 표준은 산업표준화법 제10조의 규정에 따라 매 5년마다 산업표준심의회에서 심의되어


확인, 개정 또는 폐지됩니다.
KS D 3504:2019

목 차

머 리 말 ................................................................................................................................................... iii

개 요 ....................................................................................................................................................... iv

1 적용범위 .................................................................................................................................................. 1

2 인용표준 .................................................................................................................................................. 1

3 종류 및 기호 ........................................................................................................................................... 1

4 화학 성분 ................................................................................................................................................. 2

5 기계적 성질 ............................................................................................................................................. 3

6 모양ㆍ치수, 무게 및 그 허용차 ............................................................................................................. 3


6.1 모양 ................................................................................................................................................ 3
6.2 모양ㆍ치수, 무게 및 그 허용차 ................................................................................................... 4

7 겉모양 ...................................................................................................................................................... 6

8 제조 방법 ................................................................................................................................................. 7

9 시험 .......................................................................................................................................................... 7
9.1 분석 시험 ....................................................................................................................................... 7
9.2 기계 시험 ....................................................................................................................................... 7
9.3 이형 봉강의 기계식 이음 시험방법 ............................................................................................. 8
9.4 모양ㆍ치수 및 무게 측정 ............................................................................................................. 8

10 검사 .......................................................................................................................................................... 8

11 표시 .......................................................................................................................................................... 9
11.1 제품 1개마다의 표시 .................................................................................................................... 9
11.2 1묶음마다의 표시 ........................................................................................................................ 10

12 보고 ........................................................................................................................................................ 10

부속서 A (규정) 콘크리트 보강용 강 — 이형 봉강 ................................................................................ 11


A.1 적용범위 ...................................................................................................................................... 11
A.2 인용표준 ...................................................................................................................................... 11
A.3 기호 .............................................................................................................................................. 11
A.4 용어와 정의 ................................................................................................................................. 12
A.5 치수, 단위 길이당 무게, 그리고 허용값.................................................................................... 14
A.6 리브의 요건 ................................................................................................................................. 15
A.7 화학 조성 ..................................................................................................................................... 17
A.8 기계적 특성 ................................................................................................................................. 19
A.9 시험 .............................................................................................................................................. 21
A.10 지정 .............................................................................................................................................. 23
A.11 표시 .............................................................................................................................................. 23
A.12 적합성의 평가 ............................................................................................................................. 23

부속서 B (참고) 이형 철근을 위한 표시 시스템의 4가지 예 ................................................................. 27


B.1 개요 .............................................................................................................................................. 27

-i-
KS D 3504:2019

B.2 참고문헌 ...................................................................................................................................... 27


B.3 예 1번: EN 10080:2005에 따른 시스템 ..................................................................................... 27
B.4 예 2번: ASTM A615/A615M-15a 및 ASTM A706/A706M-14에 따른 시스템 ........................... 28
B.5 예 3번: JIS G 3112:2004에 따른 시스템 ................................................................................... 29
B.6 예 4번: GB 1499.2-2007에 따른 시스템 .................................................................................... 30

부속서 C (참고) 제조업체와 구매자 사이의 계약을 위한 선택사항 ...................................................... 31

부속서 D (참고) 원산지 표시의 예 ........................................................................................................... 32


D.1 참고문헌 ...................................................................................................................................... 32
D.2 ISO 3166-1 alpha-2에 따른 원산지 표시 방법 .......................................................................... 32

참고문헌 ...................................................................................................................................................... 38

KS D 3504:2019 해 설 ............................................................................................................................. 39

-ii-
KS D 3504:2019

머 리 말

이 표준은 산업표준화법 관련 규정에 따라 산업표준심의회의 심의를 거쳐 개정한 한국산업표준이다.


이에 따라 KS D 3504:2016은 개정되어 이 표준으로 바뀌었다.

이 표준은 저작권법의 보호 대상이 되는 저작물이다.

이 표준의 일부가 기술적 성질을 가진 특허권, 출원공개 이후의 특허출원, 실용신안권 또는 출원공개
후의 실용신안등록출원에 저촉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에 주의를 환기한다.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산업표준심의회는 이러한 기술적 성질을 가진 특허권, 출원공개 이후의 특허출원, 실용신안권 또는
출원공개 후의 실용신안등록출원에 관계되는 확인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는다.

-iii-
KS D 3504:2019

개 요

이 표준은 2015년 제3판으로 발행된 ISO 6935-2, Steel for the reinforcement of concrete — Part 2:
Ribbed bars를 기초로 하여, 본문에는 종래의 한국산업표준을 규정하고, 부속서에는 대응국제표준의
기술적인 내용 및 구성을 변경하지 않고 작성한 한국산업표준이다.

-iv-
한국산업표준
KS D 3504:2019

㉿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
Steel bars for concrete reinforcement

1 적용범위
1)
이 표준은 철근 콘크리트 보강에 사용하는 봉강으로서, 열간 압연으로 만든 이형 봉강 에 대하여 규
정한다.

2 인용표준

다음의 인용표준은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이 표준의 적용을 위해 필수적이다. 발행연도가 표기된 인


용표준은 인용된 판만을 적용한다. 발행연도가 표기되지 않은 인용표준은 최신판(모든 추록을 포함)
을 적용한다.

KS B 0801, 금속 재료 인장 시험편
KS B 0802, 금속 재료 인장 시험방법
KS B 0804, 금속 재료 굽힘 시험
KS D 0001, 강재의 검사 통칙
KS D 0249,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의 기계식 이음의 검사 방법
KS D 1652, 철 및 강의 스파크 방전 원자 방출 분광 분석 방법
KS D 1655, 철 및 강의 형광 X선 분석 방법
KS D 1658, 탄소강 및 저합금강의 발광 분광 분석 방법
KS D 1802, 철 및 강의 인 분석 방법
KS D 1803, 철 및 강의 황 분석 방법
KS D 1804, 철 및 강의 탄소 분석 방법
KS D 1805, 철 및 강 — 규소 정량 방법
KS D 1806, 철 및 강 — 망가니즈 정량 방법
KS D 3527, 철근 콘크리트용 재생 봉강
KS Q 5002, 데이터의 통계적 기술
ISO 3166-1, Codes for the representation of names of countries and their subdivisions — Part 1:
Country codes

3 종류 및 기호

이형 봉강의 종류는 10종류로 하고, 그 종류 및 기호는 표 1에 따른다.

1) 코일 상태(bar in coil)의 것을 포함한다. 다만, KS D 3527은 제외한다.

1
KS D 3504:2019

표 1 — 종류 및 기호
a
종류 기호
SD300
SD400
일반용 SD500
SD600
SD700
이형 봉강
SD400 W
용접용
SD500 W
SD400 S
특수내진용 SD500 S
SD600 S
a
표시 방법: SD(Steel Deformed bar)와 최소 항복점 또는 항복 강도의
최소치로 표기하며, 용접용 및 특수내진용의 경우, W(Weldable) 및
S(Seismic) 표기를 이어서 사용한다.

4 화학 성분

이형 봉강은 9.1에 의해 시험하고, 그 레이들 분석값은 표 2에 따른다.

탄소당량 Ceq는 다음 식에 따라 구한다.

Mn (Cr  V  Mo) (Cu  Ni)


Ceq  C   
6 5 15

여기에서
C, Mn, Cr, V, Mo, Cu 및 Ni:각 성분의 무게 백분율

표 2 — 화학 성분

화학 성분
종류의
%
기호 a b a
C Si Mn P S Cu N Ceq
SD300 - 0.60 이하 - 0.050 이하 0.050 이하 - - -
SD400 - 0.60 이하 - 0.045 이하 0.045 이하 - - -
SD500 - 0.60 이하 - 0.040 이하 0.040 이하 - - -
SD600 - 0.60 이하 - 0.040 이하 0.040 이하 - - 0.67 이하
SD700 - 0.60 이하 - 0.040 이하 0.040 이하 - - 0.67 이하
SD400 W
0.22 이하 0.60 이하 1.60 이하 0.040 이하 0.040 이하 - 0.012 이하 0.50 이하
SD500 W
SD400 S 0.29 이하 0.30 이하 1.50 이하 0.040 이하 0.040 이하 0.20 이상 - 0.55 이하
SD500 S 0.32 이하 0.30 이하 1.80 이하 0.040 이하 0.040 이하 0.20 이상 - 0.60 이하
SD600 S 0.37 이하 0.30 이하 1.80 이하 0.040 이하 0.040 이하 0.20 이상 - 0.67 이하
a
SD400 W와 SD500 W에서 치수가 호칭명 D 32를 초과하는 것에 대해서는 탄소 함량 0.25 % 이
하, 탄소당량은 0.55 % 이하로 한다. 또한 SD600 S에서 치수가 호칭명 D 35를 초과하는 것에 대
해서는 탄소 함량 0.40 % 이하, 탄소당량은 0.70 % 이하로 한다.
b
질소 결합 원소가 아래의 기준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할 경우 질소 함량은 높아도 좋다.
(Total Al: 0.020 % 이상, V: 0.020 % 이상, Nb: 0.015 % 이상, Ti: 0.020 % 이상)

2
KS D 3504:2019

5 기계적 성질

이형 봉강은 9.2에 의해 시험하고 항복점 또는 0.2 % 항복 강도, 인장 강도, 연신율 및 굽힘성은 표


3에 따른다. 또한, 굽힘성의 경우는 그 외측에 균열이 생겨서는 안 된다. 다만, 주문자와 제조자가 합
의한 경우에는 기계적 성질 값을 변경할 수도 있다.

표 3 — 기계적 성질

항복점 또는 a b 굽힘성
종류 인장 강도 연신율
항복 강도 2 인장 시험편 굽힘
기호 2 N/mm % 안쪽 반지름
N/mm 각도
항복 강도의 2호에 준한 것. 16 이상 D 16 이하 공칭 지름의 1.5배
SD300 300 ∼ 420 180°
1.15배 이상 3호에 준한 것. 18 이상 D 16 초과 공칭 지름의 2배
항복 강도의 2호에 준한 것. 16 이상
SD400 400 ∼ 520 180° 공칭 지름의 2.5배
1.15배 이상 3호에 준한 것. 18 이상
항복 강도의 2호에 준한 것. 12 이상 D 25 이하 공칭 지름의 2.5배
SD500 500 ∼ 650 90°
1.08배 이상 3호에 준한 것. 14 이상 D 25 초과 공칭 지름의 3배
항복 강도의 2호에 준한 것. D 25 이하 공칭 지름의 2.5배
SD600 600 ∼ 780 10 이상 90°
1.08배 이상 3호에 준한 것 D 25 초과 공칭 지름의 3배
항복 강도의 2호에 준한 것. D 25 이하 공칭 지름의 2.5배
SD700 700 ∼ 910 10 이상 90°
1.08배 이상 3호에 준한 것 D 25 초과 공칭 지름의 3배
항복 강도의 2호에 준한 것. 16 이상
SD400 W 400 ∼ 520 180° 공칭 지름의 2.5배
1.15배 이상 3호에 준한 것. 18 이상
항복 강도의 2호에 준한 것. 12 이상 D 25 이하 공칭 지름의 2.5배
SD500 W 500 ∼ 650 180°
1.15배 이상 3호에 준한 것 14 이상 D 25 초과 공칭 지름의 3배
항복 강도의 2호에 준한 것. 16 이상
SD400 S 400 ∼ 520 180° 공칭 지름의 2.5배
1.25배 이상 3호에 준한 것 18 이상
항복 강도의 2호에 준한 것. 12 이상 D 25 이하 공칭 지름의 2.5배
SD500 S 500 ∼ 620 180°
1.25배 이상 3호에 준한 것 14 이상 D 25 초과 공칭 지름의 3배
항복 강도의 2호에 준한 것. D 25 이하 공칭 지름의 2.5배
SD600 S 600 ∼ 720 10 이상 90°
1.25배 이상 3호에 준한 것 D 25 초과 공칭 지름의 3배
a
인장 강도는 실측한 항복 강도의 비율로서 규정된 비율 이상이어야 한다.
b
이형 봉강에서 치수가 호칭명 D 32를 초과하는 것에 대해서는 호칭명 3을 증가할 때마다 표 3의
연신율의 값에서 각각 2를 감한다. 다만, 감하는 한도는 4로 한다.

6 모양ㆍ치수, 무게 및 그 허용차

6.1 모양

모양은 다음에 따른다.

a) 이형 봉강은 표면에 돌기가 있어야 하며 축선 방향의 돌기를 종방향 리브(longitudinal rib, 리브)라
하고, 축선 방향 이외의 돌기를 횡방향 리브(transverse rib, 마디)라 한다(그림 1).

3
KS D 3504:2019

b) 횡방향 리브의 틈은 종방향 리브와 횡방향 리브가 떨어져 있는 경우 및 종방향 리브가 없는 경우


에는 횡방향 리브의 결손부의 너비를, 또 종방향 리브와 횡방향 리브가 접속하여 있는 경우에는
종방향 리브의 너비를 각각 횡방향 리브의 틈으로 한다.

단면도 횡방향 리브의


중앙부 높이의 측정 위치
종방향 리브 횡방향 리브 종방향 리브 횡방향 리브 1
1
4 지점 4
지점

종방향 리브의
너비

각도 측정 부위

그림 1

c) 이형 봉강을 가공 없이 기계식 이음을 하기 위한 종방향 리브가 없는 나사 모양의 철근은 그림 2


와 같다.

그림 2

d) 이형 봉강의 횡방향 리브는 전 길이에 걸쳐 거의 일정한 간격으로 분포하고, 동일 모양ㆍ치수를


가진 것이어야 한다. 다만, 글자 등을 부조하는 그 부분의 횡방향 리브는 없어도 좋다.

e) 치수가 호칭명 D 16 이상인 이형 봉강의 횡방향 리브 부근은 응력 집중이 적은 모양이어야 한다.

6.2 모양ㆍ치수, 무게 및 그 허용차

모양ㆍ치수, 무게 및 그 허용차는 다음에 따른다.

a) 이형 봉강의 치수, 무게 및 횡방향 리브의 허용 한도는 표 4에 따른다.


b) 이형 봉강의 표준 길이는 표 5에 따른다.
c) 이형 봉강 길이의 허용차는 표 6에 따른다.
d) 이형 봉강 1개의 무게 허용차는 표 7에 따른다.
e) 이형 봉강 1조(組)의 무게 허용차는 표 8에 따른다.

4
KS D 3504:2019

표 4 — 치수, 무게 및 횡방향 리브의 허용차

횡방향 횡방향 리브의


횡방향
공칭 공칭 공칭 리브의 평균 높이 횡방향
단위 리브의 틈
지름 단면적 둘레 평균 리브와
호칭명 무게 합계의
d S l 간격 최소값 최대값 축선과의
kg/m 2 최대값
mm mm mm 최대값 mm mm 각도
mm
mm
D4 0.110 4.23 14.05 13.3 3.0 0.2 0.4 3.3
D5 0.173 5.29 21.98 16.6 3.7 0.2 0.4 4.3
D6 0.249 6.35 31.67 20.0 4.4 0.3 0.6 5.0
D8 0.389 7.94 49.51 24.9 5.6 0.3 0.6 6.3
D 10 0.560 9.53 71.33 29.9 6.7 0.4 0.8 7.5
D 13 0.995 12.7 126.7 39.9 8.9 0.5 1.0 10.0
D 16 1.56 15.9 198.6 50.0 11.1 0.7 1.4 12.5
D 19 2.25 19.1 286.5 60.0 13.4 1.0 2.0 15.0
D 22 3.04 22.2 387.1 69.8 15.5 1.1 2.2 17.5
45° 이상
D 25 3.98 25.4 506.7 79.8 17.8 1.3 2.6 20.0
D 29 5.04 28.6 642.4 89.9 20.0 1.4 2.8 22.5
D 32 6.23 31.8 794.2 99.9 22.3 1.6 3.2 25.0
D 35 7.51 34.9 956.6 109.7 24.4 1.7 3.4 27.5
D 38 8.95 38.1 1 140 119.7 26.7 1.9 3.8 30.0
D 41 10.5 41.3 1 340 129.8 28.9 2.1 4.2 32.5
D 43 11.4 43.0 1 452 135.1 30.1 2.2 4.4 33.8
D 51 15.9 50.8 2 027 159.6 35.6 2.5 5.0 40.0
D 57 20.3 57.3 2 579 180.0 40.1 2.9 5.8 45.0
비고 1 공칭 단면적, 공칭 둘레 및 단위 무게의 산출 방법은 다음에 따른다.
2
공칭 단면적(S) = 0.7854 × d : 유효 숫자 넷째 자리에서 끝맺음 한다.
공칭 둘레(l) = 3.142 × d: 소수점 이하 첫째 자리에서 끝맺음 한다.
단위 무게 = 0.785 × S: 유효 숫자 셋째 자리에서 끝맺음 한다.
1개 무게 = 단위 무게 × 길이: 소수점 이하 둘째 자리에서 끝맺음 한다.
1조 무게 = 1개 무게 × 개수: 정수로 끝맺음 한다.
비고 2 횡방향 리브의 간격은 그 공칭 지름의 70 % 이하로서, 산술값은 소수점 이하 첫째 자리에
서 끝맺음 한다.
비고 3 이형 봉강의 횡방향 리브의 틈의 합계는 공칭 둘레의 25 % 이하로 하고, 산술값은 소수점
이하 첫째 자리에서 끝맺음 한다.
비고 4 횡방향 리브의 평균 높이는 다음 표에 따르고, 산술값은 소수점 이하 첫째 자리에서 끝맺
음 한다.

횡방향 리브의 평균 높이
치수
최소 최대
호칭명 D 13 이하 공칭 지름의 4.0 % 최소값의 2배
호칭명 D 13 초과 D 19 미만 공칭 지름의 4.5 % 최소값의 2배
호칭명 D 19 이상 공칭 지름의 5.0 % 최소값의 2배

5
KS D 3504:2019

표 5 — 표준 길이
단위: m
3.5, 4.0, 4.5, 5.0, 5.5, 6.0, 6.5, 7.0, 8.0, 9.0, 10.0, 11.0, 12.0
비고 1 코일의 경우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비고 2 표준 길이 이외의 치수는 주문자와 제조자 사이의 협의에 따른다.

표 6 — 길이 허용차

길이 길이의 허용차
+40 mm
7 m 이하 0
길이 1 m 또는 그 단수가 증가할 때마다 위에 적은 허용차에
7 m 초과 5 mm를 더한다.
다만, 최대값은 120 mm까지로 한다.
비고 1 코일의 경우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비고 2 주문자는 표기 이외의 허용차를 지정할 수 있다.

표 7 — 이형 봉강 1개의 무게 허용차

치수 무게의 허용차 적용
+규정하지 않음
호칭명 D 10 미만
-8 % 시험재의 채취 방법 및 허용
호칭명 D 10 이상 D 16 미만 ±6 % 차의 산출 방법은 9.4의 규정
호칭명 D 16 이상 D 29 미만 ±5 % 에 따른다.
호칭명 D 29 이상 ±4 %

표 8 — 이형 봉강 1조의 무게 허용차

치수 무게의 허용차 적용
호칭명 D 10 미만 ±7 %
시험재의 채취 방법 및 허용
호칭명 D 10 이상 D 16 미만 ±5 %
차의 산출 방법은 9.4의 규정
호칭명 D 16 이상 D 29 미만 ±4 %
에 따른다.
호칭명 D 29 이상 ±3.5 %

7 겉모양

이형 봉강의 겉모양은 다음에 따른다.

a) 사용상 해로운 결함이 없어야 한다.


b) 이형 봉강에서 녹, 겹침, 압연 딱지, 표면 흠 및 종방향 흠은 철 솔질한 시험편의 무게, 단면적,
치수 및 기계적 성질이 이 표준의 요구에 만족하면 반품의 사유가 아니다.
c) b)에 규정하지 않은 표면 결함은 이들을 포함한 시험편이 인장이나 굽힘 요구사항을 만족하지 못
할 경우, 해로운 결함으로 간주하여야 한다.

6
KS D 3504:2019

8 제조 방법

이형 봉강은 열간 압연에 의해 제조한다.

9 시험

9.1 분석 시험

분석 시험은 다음에 따른다.

a) 분석 시험의 일반사항 및 분석 시료의 채취 방법은 KS D 0001의 4절의 규정에 따른다.


b) 분석 방법은 다음 표준에 따른다.
KS D 1652, KS D 1655, KS D 1658, KS D 1802, KS D 1803, KS D 1804, KS D 1805, KS D 1806

9.2 기계 시험

9.2.1 기계 시험의 일반사항

기계 시험의 일반사항은 KS D 0001의 5절의 규정에 따른다. 다만, 시험재의 채취 방법은 A류에 따르
고, 시험편의 수는 다음에 따른다.

— 인장 시험편 및 굽힘 시험편의 수는 동일 레이들에 속하고, 공칭별로 각각 1개로 한다. 다만, 50톤


을 초과할 때는 각각 2개로 한다.

9.2.2 인장 시험편 및 굽힘 시험편

인장 시험편 및 굽힘 시험편은 다음에 따른다. 시험편은 어느 것이나 제품 그대로 하며, 기계적 가공


을 하지 않아야 한다. 다만, 코일철근(bar in coil)의 경우, 직선화 시험편을 제작하여 시험하여야 하며,
표 3의 기계적 성질을 시험하기 위한 조건은 표 9의 기계적 성질 시험 조건을 따른다.

a) KS B 0801에 규정한 2호(호칭명 D 25 미만) 또는 3호 시험편(호칭명 D 25 이상)으로 하고, 이형


봉강의 표점 거리 및 평행부 길이의 결정은 공칭 지름에 따르며, KS Q 5002의 수치 맺음법에 따
라 정수로 끝맺음하도록 한다.
b) 굽힘 시험편은 기계 가공하지 않은 제품으로부터 표 3의 굽힘성을 확인할 수 있는 적당한 길이로
절단한 것으로 한다.

표 9 — 기계적 성질 시험 조건

제작 조건 시험 조건
열간압연에 의해 직선 형태로 생산된 것 직선 형태 그대로 시험
a
코일 형태로 생산되어 직선 형태로 가공된 것 시효 후 시험
a
코일 형태로 생산된 것 직선화 및 시효 후 시험
a
시효 방법(aging method): 시편을 100 ℃(±10 ℃)까지 가열 및 60분(+15분, −0분) 동안 유지한
후, 상온에서 자연 냉각시킨다. 단, 코일 공정 전 직선인 상태에서 샘플링된 시험편은 시효하지
않아도 좋다.

7
KS D 3504:2019

9.2.3 인장 시험 및 굽힘 시험방법

인장 시험 및 굽힘 시험방법은 다음에 따른다.

a) KS B 0802
b) KS B 0804

다만, 이형 봉강의 항복점 또는 0.2 % 항복 강도 및 인장 강도를 구하는 경우의 단면적은 표 4에 표


시한 공칭 단면적을 이용한다.

9.3 이형 봉강의 기계식 이음 시험방법

이형 봉강의 기계적 이음을 한 경우의 시험은 KS D 0249에 따른다

9.4 모양ㆍ치수 및 무게 측정

9.4.1 이형 봉강의 모양ㆍ치수 및 무게의 측정에 있어서 시험재의 채취 방법 및 측정 방법

이형 봉강의 모양, 치수 및 무게의 측정에 있어서 시험재의 채취 방법 및 측정 방법은 다음에 따른다.

a) 시험재는 동일 모양ㆍ치수의 것을 1롤마다 길이 0.5 m 이상의 것 1개를 채취한다. 다만, 코일의


경우는 상온에서 교정하여 시험에 사용한다.
2)
b) 횡방향 리브와 이형 봉강의 축선과의 각도는 이형 봉강의 표면의 전개도 로 측정한다.
c) 횡방향 리브의 평균 간격은 연속하는 10개의 횡방향 리브의 간격을 횡방향 리브의 중앙선 위에서
측정한 값, 또는 그에 상당한 길이를 축선 방향의 다른 선위에서 측정한 값의 어느 것이든 1/10을
하여 구한다.
d) 1개의 횡방향 리브의 평균 높이는 그 횡방향 리브의 4등분점에서 측정한 3개 높이의 값을 평균하
여 구한다. 단, 육안상 긁힘 및 찌그러짐 등의 손상된 횡방향 리브의 경우는 인접한 정상적인 횡
방향 리브에서 높이를 측정한다.
e) 횡방향 리브의 틈은 상대하는 횡방향 리브의 종단선(終端線)의 틈을 캘리퍼스 등을 이용하여 종단
2)
선에 직각으로 실물을 측정하거나 이형 봉강의 표면의 전개도 로 측정하여 구한다. 다만, 그 간격
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는 연속하는 10개의 횡방향 리브에 대하여 측정하고 평균값을 구한다.

9.4.2 이형 봉강의 무게 측정에 있어서 시험재의 채취 방법과 무게 허용차의 산출 방법은 다음에


따른다.

a) 1개의 무게를 측정하는 경우의 시험재의 채취 방법은 9.4.1 a)에 따른다.


또한 이 경우의 무게 허용차의 산출 방법은 표 4에 규정하는 단위 무게에 길이를 곱하여 구한 계
산 무게와 계량(計量)에 의한 실제 무게의 차를 계산 무게로 나누어 백분율로 표시한다.
b) 1조의 무게를 측정하는 경우의 시험재는 동일 모양ㆍ치수의 것 1톤 이상을 채취하여 1조로 한다.
다만, 1톤에 상당하는 개수가 10개로 만족하지 않는 경우는 10개 이상 채취하여 1조로 한다.
또한 이 경우의 무게 허용차의 산출 방법은 표 4에 규정하는 단위 무게에 길이 및 개수를 곱하여
구한 계산 무게와 계량에 의한 실제 무게의 차를 계산 무게로 나누어 백분율로 표시한다.

10 검사

10.1 화학 성분, 기계적 성질, 모양ㆍ치수, 무게 및 겉모양은 4절, 5절, 6절 및 7절의 규정에 적합하

2) 전개도는, 예를 들면 이형 봉강을 유점토(油粘土) 위에 굴려서 얻을 수 있다.

8
KS D 3504:2019

여야 한다.

10.2 재시험

10.2.1 인장 시험 및 굽힘 시험에서 합격되지 않은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은 KS D 0001의 5.4의 규정


에 따라 재시험하여 합부를 결정할 수 있다.

10.2.2 샘플링에 따른 이형 봉강 1개의 무게가 6.2 d)의 규정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시험재
2개를 채취하여 측정하고, 2개가 모두 합격하였을 때는 그 로트를 합격으로 한다.

11 표시

이형 봉강은 1.5 m 이하의 간격마다 반복적으로 그림 3과 같이 롤링(rolling)에 의해 식별할 수 있는


마크가 있어야 한다. 다만, 호칭명 D 4, D 5, D 6, D 8 및 나사 모양의 철근(호칭 D 22 이하)은 롤링 마
크에 의한 표시 대신 도색에 의한 색 구별 표시를 적용한다.

11.1 제품 1개마다의 표시

a) 횡방향 리브를 생략하지 않은 경우

원산지 제조자명 호칭명 종류


b) 횡방향 리브를 생략한 경우

c) 횡방향 리브와 중첩한 경우

1 원산지는 ISO 3166-1 Alpha-2(예: Korea: KR, Japan: JP, China: CN 등)에 따라 표시한다.
2 제조자명 약호[예: 표준제강(주): PJ 등]는 중복되지 않아야 하며, 숫자 포함 2글자 이상의 조합으
로 명확히 구별되어야 한다.
3 호칭명(예: D 25: 25)은 숫자로 표시한다.
4 종류 및 기호(예: SD300: 표시 없음, SD400: 4, SD500: 5, SD600: 6, SD700: 7, SD400 S: 4S,
SD500 S: 5S, SD600 S: 6S, SD400 W: 4W, SD500 W: 5W)를 표기하여야 하며 특수내진용 철근은
S, 용접용 철근은 W를 사용한다.
5 종방향 리브가 없는 나사 모양의 철근(호칭 D 25 이상)은 횡방향 리브의 틈에 확인이 되도록 표
시한다.
6 표시방법은 a), b)를 혼용 할 수 있으며, 각 표시사항 내의 횡방향 리브를 생략하거나 횡방향 리
브 사이의 너비를 확대 할 수 있다. 단, 확대 시 너비는 표4의 비고 2에서 정한 값의 2배를 초과
할 수 없다. 각 표시사항 사이의 횡방향 리브의 수는 2개 이상이어야 하나, 각 표시사항 내의 횡
방향 리브를 생략한 경우 1개 이상으로 할 수 있다.

그림 3 — 1개마다의 표시 방법

9
KS D 3504:2019

11.2 1묶음마다의 표시

1묶음마다의 표시는 태그에 다음 사항을 적당한 방법으로 표시하여야 한다.

a) 종류의 기호
b) 레이들 번호
c) 공칭지름 또는 호칭명
d) 제조자명 또는 그 약호
e) D 4, D 5, D 6, D 8 및 나사 모양의 철근(호칭 D 22 이하)와 1묶음마다의 표시 중 색 구별 표시는 표
10을 따른다. 다만, 제품 1개마다의 표시를 한 경우에는 색 구별 표시를 생략하여도 좋다.

표 10 — 종류를 구별하는 표시 방법

종류를 구별하는 표시 방법
종류의 기호
도색에 의한 색 구별 표시
SD300 녹색
SD400 황색
SD500 흑색
SD600 회색
SD700 하늘색
SD400 W 백색
SD500 W 분홍색
SD400 S 보라색
SD500 S 적색
SD600 S 청색

12 보고

품질검사증명서에는 다음의 사항을 포함하여야 한다.

a) 종류의 기호(표준번호 + 표준 연도 + 종류의 기호로 표시, 예: KS D 3504:2019 SD400)


b) 레이들 번호
c) 공칭지름 또는 호칭명
d) 제조자명 또는 그 약호
e) 화학 성분(표 2에 규정된 원소, Ceq 계산에 사용된 원소)
f) 기계적 성질(표 3에 규정된 특성)
g) 제강(용해로) 설비 종류(전로 또는 전기로)
※ 용해로가 없는 단순압연설비의 경우, 구입소재의 생산설비 종류를 표시

그 외의 사항은 KS D 0001의 9절의 규정에 따른다.

10
KS D 3504:2019

부속서 A
(참고)

콘크리트 보강용 강 — 이형 봉강

개요

이 부속서는 2015년 제3판으로 발행된 ISO 6935-2, Steel for the reinforcement of concrete — Part 2:
Ribbed bars를 기초로 하여 기술적인 내용 및 대응국제표준의 구성을 변경하지 않고 작성한 한국산
업표준이다.

A.1 적용범위

이 표준에서는 콘크리트의 보강에 사용되는 이형 철근(ribbed bar)에 대한 기술 요건을 명시한다.

이 표준에서는 직선형 철근, 코일 철근 및 디코일(de-coiled) 철근을 다룬다. 용접용과 비용접용을 모


두 포함한다.

생산 공정은 제조업체의 재량에 따른다.

플레이트(plate) 및 철도레일과 같이 완제품으로 제작된 이형 철근은 제외된다.

A.2 인용표준

다음의 인용표준은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이 부속서의 적용을 위해 필수적이다. 발행연도가 표기된


인용표준은 인용된 판만을 적용한다. 발행연도가 표기되지 않은 인용표준은 최신판(모든 추록을 포함)
을 적용한다.

ISO 404, Steel and steel products — General technical delivery requirements
ISO 10144, Certification scheme for steel bars and wires for the reinforcement of concrete structures
ISO 14284, Steel and iron — Sampling and preparation of samples for the determination of chemical
composition
ISO 15630-1, Steel for the reinforcement and prestressing of concrete — Test methods — Part 1:
Reinforcing bars, wire rod and wire
ISO/TR 9769, Steel and iron — Review of available methods of analysis

A.3 기호

이 표준에 사용된 기호는 표 A.1에 명시되어 있다.

11
KS D 3504:2019

표 A.1 — 기호

기호 단위 의미 참고
a mm 리브 높이 A.4.10, A.6
A % 파괴 후의 연신율 A.8.1, A.9.1
Agt % 최대 하중에서의 총 연신율 A.8.1, A.9.1
2
S0 mm 공칭(nominal) 단면적 A.5, A.9.1
c mm 리브 간격 A.4.11, A.6
A.5, A.6, A.9.1, A.9.2,
d mm 바의 공칭 지름
A.9.3, A.10, A.11.2
∑fi mm 리브리스 주변(ribless perimeter) A.4.12, A.6
fk - 필요 특성값(characteristic value) A.12.2, A.12.3.2.3
fR - 상대 리브 면적 A.4.9, A.6
k, k' - 지수(indices) A.12.3.2.3
mn - 개별값 n의 평균값 A.12.3.2.3
n - 개별값의 수 A.12.3.2.3
a
ReH MPa 상 항복 강도 A.8.1
a
Rm MPa 인장 강도 A.8.1
a
Rp0.2 MPa 0.2 % 항복 강도, 비(non)비례적 확장 A.8.1
sn - 개별값 n의 수에 대한 표준편차 A.12.3.2.3
xi - 개별값 A.12.3.2.3
 도(°) 횡방향 리브 측면 경사 A.4.14, A.6
 도(°) 횡방향 리브 경사 A.4.15, A.6
a 2
1 MPa = 1 N/mm

A.4 용어와 정의

이 부속서의 목적을 위하여 다음의 용어와 정의를 적용한다.

A.4.1
용강 분석(cast analysis)
자체 절차에 따라 제강업체에 의해 결정된 용강을 나타내는 화학적 분석
[출처: ISO 16020:2005, 2.4.3, modified]

A.4.2
적합성 평가 계획(conformity assessment scheme)
동일한 특별 표준과 규칙 및 동일 절차에 적용되는 특정 제품이나 공정 또는 서비스에 관련된 인증
시스템

비고 1 적합성 평가 계획은 국제, 국가 또는 하위 국가 수준에서 운영될 수 있다.


비고 2 제품, 공정, 시스템 또는 사람과 관련된 제3자 인증은 인증이 적용되는 적합성 평가 기관 자
체를 제외한 모든 대상에 적용된다.

A.4.3
특성값(characteristic value)
가정적 전체 시험에서 얻어지지 않은 미리 정해진 확률을 가진 값

비고 1 ISO 3534-1:2006에 정의된 분위수(fractile)에 상응함.

12
KS D 3504:2019

비고 2 어떤 환경에서 특성값으로 사용되는 공칭 값


A.4.4
코어(core)
리브나 압입을 포함하지 않는 바(bar)의 단면의 일부
[출처: ISO 16020:2005, 2.2.5, modified]

A.4.5
연성 등급(ductility class)
Agt이나 A로 측정된 연신율(elongation)뿐 아니라 항복 강도에 인장 강도의 비율 값에 근거한 철근의
유연성에 대한 분류

비고 표 A.6 참조

A.4.6
종방향 리브(longitudinal rib)
바의 축에 평행하고 일정한 연속적 돌기
[출처: ISO 16020:2005, 2.2.7.1, modified]

A.4.7
공칭 단면적(nominal cross-sectional area)
S0
공칭 지름의 원형 평면 바의 면적과 같은 단면적
[출처: ISO 16020:2005, 2.2.15, modified]

A.4.8
제품 분석(product analysis)
제품에 시행하는 화학적 분석
[출처: ISO 16020:2005, 2.4.4]

A.4.9
상대 리브 면적(relative rib area)
fR
바의 세로축과 수직인 평면에서 정의된 길이 내에서 모든 횡방향 리브의 투영의 면적, 이 길이와 공
칭 둘레로 나눈 면적
[출처: ISO 16020:2005, 2.2.11, modified]

A.4.10
리브 높이(rib height)
a
리브의 한 지점에서 코어의 표면까지의 거리로서, 바의 축과 수직으로 측정

비고 그림 A.2 참조
[출처: ISO 16020:2005, 2.2.12, modified]

A.4.11
리브 간격(rib spacing)
c
바의 축과 평행하게 측정된 2개의 연속적인 종방향 리브의 중심 사이의 거리

비고 그림 A.1 참조

13
KS D 3504:2019

[출처: ISO 16020:2005, 2.2.10, modified]

A.4.12
리브리스 주변(ribless perimeter)
 fi
바 축과 수직인 평면에 대한 투영으로 측정된 근접한 열의 횡방향 리브 종단 사이의 코어 표면을 따
른 거리의 합
[출처: ISO 16020:2005, 2.2.13, modified]

A.4.13
횡방향 리브(transverse rib)
수직 또는 비스듬하게 바의 가로 축과 각도를 이루는 바
[출처: ISO 16020:2005, 2.2.7.2, modified]

A.4.14
횡방향 리브 측면 경사(transverse-rib flank inclination)

횡방향 리브의 세로 축과 수직으로 측정되는 바의 코어 표면과 횡방향 리브의 측면 사이의 각도

비고 그림 A.2 참조
[출처: ISO 16020:2005, 2.2.9, modified]

A.4.15
횡방향 리브 경사(transverse-rib inclination)

바의 세로 축과 리브 사이의 각도

비고 그림 A.1, 그림 A.3 및 그림 A.4 참조


[출처: ISO 16020:2005, 2.2.8, modified]

A.5 치수, 단위 길이당 무게, 그리고 허용값

치수, 단위 길이당 무게, 그리고 허용값은 표 A.2에 나와 있다. 제조업체와 구매자 사이의 합의에 따
라 표 A.2에 명시된 것들을 제외한 공칭 지름이 있는 이형 철근이 사용될 수 있다. 제조업체와 구매
자 사이의 계약을 위한 선택사항은 부속서 C에 나와있다.

표 A.2 — 치수, 단위길이당 무게, 허용값


a b
공칭 바(bar) 지름 공칭 단면적 단위 길이당 무게
c d
d S0 공칭 허용값
2
mm mm kg/m %
6 28.3 0.222 ±8
8 50.3 0.395 ±8
10 78.5 0.617 ±6
12 113 0.888 ±6
14 154 1.21 ±5
16 201 1.58 ±5
20 314 2.47 ±5
25 491 3.85 ±4

14
KS D 3504:2019

28 616 4.84 ±4
32 804 6.31 ±4
40 1 257 9.86 ±4
50 1 964 15.42 ±4
a
50 mm보다 큰 지름은 제조업체와 구매자 사이에 합의되어야 한다. 그런 바(bar)에 대한 허용
값은 ±4 %가 되어야 한다.
b 2
S0 = 0.7854 × d
c -3
단위 길이당 무게 = 7.85 × 10 × S0
d
허용값은 싱글 바(single bar) 참조

배송 거리(delivery length)는 제조업체와 구매자 사이에 합의가 있어야 한다.

비고 일반적인 직선 바의 배송 거리는 6 m, 9 m, 12 m 및 18 m이다.

별도의 합의된 사항이 없다면, 압연기(rolling mill)로부터 배송 거리에 대한 허용값은 +100 mm가 되어
0
야 한다.

A.6 리브의 요건

이형 철근에는 횡방향 리브가 있어야 한다. 종방향 리브는 존재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바의 주위에 똑같이 분포된 최소한 2개의 횡방향 리브가 있어야 한다. 각 열 내의 횡방향 리브는 표
시 영역에서 제외하고, 바의 전체 길이에서 균일하게 배포되어야 한다.

리브는 표 A.3의 요건을 준수해야 한다.

표 A.3 — 횡방향 리브의 요건

공칭 지름
d 균등 높이의 리브 초승달 모양의 리브
mm
리브 높이, a
전부 0.05 d 0.065 d
최소
리브 간격, c 6 ≤ d < 10 0.5 d ≤ c ≤ 0.7 d 0.5 d ≤ c ≤ 1.0 d
범위 d > 10 0.5 d ≤ c ≤ 0.7 d 0.5 d ≤ c ≤ 0.8 d
횡방향 리브 경사,  전부 35° ≤  ≤ 90° 35° ≤  ≤ 75°
횡방향 리브 측면 경사,  전부  ≥ 45°  ≥ 45°
리브리스 주변(ribless perimeter), fi
전부 0.25 d
최대

리브 매개변수의 요건은 상대적인 리브 면적, 제조업체와 구매자 사이의 합의로 지정될 수 있다. 리
브 파라미터의 측정은 ISO 15630-1에 의거하여 수행되어야 한다.

표 A.3의 리브 구조를 정의하는 치수는 그림 A.1 ∼ 그림 A.4에 표시되어 있다.

종방향 리브가 존재하는 경우, 그 높이는 0.15 d를 넘어서는 안 된다.

15
KS D 3504:2019

식별부호
1 종방향 리브
2 횡방향 리브

그림 A.1 — 이형 철근 — 구조의 정의

식별부호
1 리브
2 둥근 부분(rounded transition)

그림 A.2 — 리브 측면 경사  및 리브 높이 a — 그림 A.1의 A-A 단면

16
KS D 3504:2019

그림 A.3 — 세로 축에 대한 리브 각도가 다양한 바의 예

그림 A.4 — 균일 높이의 횡방향 리브가 있는 바의 예( = 90°)


A.7 화학 조성

용강 분석으로 결정되는 철강의 화학 조성은 표 A.4에 부합해야 한다.

탄소당량(CEV: carbon equivalent)은 다음 식(A.1)에 따라 계산된다.

Mn (Cr  V  Mo) (Cu  Ni)


CEV  C    (A.1)
6 5 15

여기에서
C, Mn, Cr, V, Mo, Cu 및 Ni:퍼센트로 표현된 철강 각각의 화학적 요소의 무게

표 A.4에 명시된 용강 분석에 관련된 제품 분석의 허용값은 표 A.5에 나와 있다.

17
KS D 3504:2019

표 A.4 — 용강 분석에 근거한 화학 조성 — 무게 최대치


단위: %
a b c b, d
철강 등급 C Si Mn P S N CEV
B300A-R
B300B-R
B300C-R
B400A-R
B400B-R - - - 0.060 0.060 - -
B400C-R
B500A-R
B500B-R
B500C-R
B600A-R
B600B-R - - - 0.060 0.060 - -
B600C-R
e
B400AWR
B400BWR
B400CWR
0.22 0.60 1.60 0.050 0.050 0.012 0.50
B500AWR
B500BWR
B500CWR
B450AWR
0.22 - - 0.050 0.050 0.012 0.50
B450CWR
B300D-R - - - 0.050 0.050 - -
B300DWR 0.27 0.55 1.50 0.040 0.040 0.012 0.49
B350DWR 0.27 0.55 1.60 0.040 0.040 0.012 0.51
B400DWR 0.29 0.55 1.80 0.040 0.040 0.012 0.56
d
B420DWR 0.30 0.55 1.50 0.040 0.040 0.012 0.56
B500DWR 0.32 0.55 1.80 0.040 0.040 0.012 0.61
a
첫 번째 “B”는 철근 콘크리트용 강재를 의미한다. 다음 세 자리 숫자는 최소 상항복 강도의 특
성값을 나타낸다. 다섯 번째 기호는 연성 등급(A.4.5)을 나타낸다. 여섯 번째 기호는 용접과 관
련 있다. “-”는 용접을 의미하지 않으며 “W”는 용접을 의미한다. 마지막 “R”은 리브가 있는 막대
의 약자이다.
b
32 mm보다 지름이 큰 B400AWR, B400BWR, B400CWR, B500AWR, B500BWR 및 B500CWR에
서는 최대 탄소함유량(C)이 0.25 %이고, 최대 탄소당량(CEV)이 0.55 %이다.
c
질소 결합 원소의 양이 충분할 경우, 질소의 더 높은 질량 분율이 이용될 수 있다.
d
기타 CEV 공식과 값이 제조업체와 구매자 사이의 합의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e
Cu, Ni, Cr, Mo, V, Nb, Ti 및 Zr과 같은 합금 원소들은 제조업체와 구매자 사이의 합의에 따라 추
가될 수 있다.

18
KS D 3504:2019

a
표 A.5 — 질량 분율에 의한 제품 분석 허용편차

표 A.4의 용강 분석에서의 표 A.4의 용강 분석의 지정된


원소 특정 최대값 한계에서 제품 분석의 허용값
% %
≤ 0.25 +0.02
C
> 0.25 +0.03
Si ≤ 0.60 +0.05
≤ 1.65 +0.06
Mn
> 1.65 +0.08
≤ 0.05 +0.008
P
> 0.05 +0.010
≤ 0.05 +0.008
S
> 0.05 +0.010
N ≤ 0.012 +0.002
a
제품 분석의 경우 CEV의 최대값은 허용 오차가 0.05인 표 A.4에 따른다.

A.8 기계적 특성

A.8.1 인장 특성

인장 시험은 A.9.1에 부합하게 시행되어야 한다.

재료는 표 A.6에 명시된 인장 특성에 대한 요건에 부합해야 한다.

이 표준에서, 특성값은 (별도의 명시된 사항이 없다면) 값의 95 %(p = 0.95)가 이 하한에서나 그 이


상에서, 또는 상대적으로 이 상한에서나 그 이하인 확률이 90 %(1 -  = 0.90)인 통계적 허용 구간
의 하한 또는 상한이다. 이 정의는 생산의 장기적 품질 수준을 참조한다.

19
KS D 3504:2019

표 A.6 — 인장 특성

상한 항복 강도의 특정 특성값 연성 특성
a
ReH Rm/ReH의 연신율의 특정 특성값
c
연성 등급 철강 등급 MPa 특정 특성값 %
A Agt
최소 최대 최소
최소 최소
B300A-R 300 - 16
B400A-R
400 -
B400AWR
1.02 14 2
A B500A-R
500 -
B500AWR
B600A-R 600 - 10
B450AWR 450 1.25 × ReH(최소) 1.05 - 2.5
300B-R 300 - 16
B400B-R
400 -
B400BWR
B 1.08 14 5
B500B-R
500 -
B500BWR
B600B-R 600 - 10
B300C-R 300 - 16
B400C-R
400 -
B400CWR
14 7
C B500C-R 1.15
500 -
B500CWR
B600C-R 600 - 10
B450CWR 450 1.25 × ReH(최소) - 7.5
B300D-R -
300
B300DWR b
17
B350DWR 350
D 1.25 8
B400DWR 400 1.3 × ReH(최소)
b
B420DWR 420 16
b
B500DWR 500 13
a
제조업체와 구매자 사이의 계약에 따라, 연신율 유형은 A와 Agt 사이에서 선택되어야 한다. 연신
율 유형이 계약에 의해 정해지지 않는다면 Agt가 이용되어야 한다.
b
연성 등급 D에서 지름이 32 mm나 그 이상인 바의 경우, A를 위한 최소 특정 특성값은 지름이
3 mm 증가할 때마다 2 %씩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표 A.6에 명시된 최소 특정 특성값의 최대
감소는 4 %로 제한된다.
c 2
1 MPa = 1 N/mm

제조업체와 구매자 사이의 계약에 따라, 표 A.6에 명시된 값이 특정 최소값 및/또는 최대값으로 이용
될 수 있다.

항복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0.2 % 내력(Rp0.2)으로 결정되어야 한다.

20
KS D 3504:2019

A.8.2 굽힘 특성

굽힘 시험은 A.9.3에 따라 시행되어야 한다. 시험 후, 바는 정상 시각이나 교정시각을 가진 사람에게


파열이나 결함이 보이지 않아야 한다.

A.8.3 시효(ageing) 후 재굽힘 특성

15가지 철강 등급 B400A-R, B400B-R, B400C-R, B400AWR, B400BWR, B400CWR, B400DWR,


B420DWR, B500A-R, B500B-R, B500C-R, B500AWR, B500BWR, B500CWR 및 B500DWR과 관련하여,
구매자가 요청한다면 재굽힘 시험은 A.9.4에 따라 시행되어야 한다.

비고 재굽힘 시험은 구부러진 바의 시효 특성을 증명하는 데 이용되어야 한다.

시험 후, 바는 정상 시각이나 교정 시각을 가진 사람에게 파단이나 균열이 없음을 나타내어야 한다.

A.8.4 피로 특성

구매자가 요구하는 경우 제조업체는 A.9.5에 의거하여 유동 장력 등급의 축 하중 제어 피로 시험에


기반을 둔 제품의 피로 특성을 입증해야 한다.

응력 사이클의 지정된 번호, 응력 범위 2 a와 최대 응력 max는 문의와 주문 시 제조업체와 구매자


사이에 합의가 있어야 한다.

A.9 시험

A.9.1 인장 시험

인장 시험은 ISO 15630-1에 부합하도록 시행되어야 한다.

최대 힘에서의 총 연신율 Agt의 측정을 위해서는, 등거리 표시가 시험편의 자유길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인장 특성의 측정을 위해서는 바의 공칭 단면적이 사용되어야 한다.

A.9.2 시험 조건

시험 조건은 표 A.7에 나와 있다.

표 A.7 — 시험 조건

제품의 제조 및 납품 조건 시험 조건(시험편)
a b
열간 압연에 의해 직선형으로 생산 납품된 상태 또는 시효된 상태
b
냉간 가공에 의해 직선형으로 생산 시효된 상태
코일형으로 생산 및 납품 직선화된 코일이 시효된 상태
a
분쟁 상태에서 시효
b
시효 방법: 시험편을 100 ℃로 가열하고, ±10 ℃ 온도에서 1시간 ∼ 1시간 15분을 유지한 다음
공냉시킨다. 가열 방법은 제조업체의 재량에 따른다.

21
KS D 3504:2019

A.9.3 굽힘 시험

굽힘 시험은 ISO 15630-1에 부합하게 시행되어야 한다.

시험편은 표 A.8에 지정된 지름의 맨드릴(mandrel)에 대해 160° ∼ 180° 사이의 각도에서 구부러져야
한다.

표 A.8 — 굽힘 시험에 이용된 맨드릴 지름


단위: mm
공칭 지름 맨드릴 지름
a, b
d (최대)
≤ 16 3d
16 < d ≤ 32 6d
32 < d ≤ 50 7d
a
50 mm보다 큰 공칭 지름에서는, 굽힘 시험에서 맨드릴 지름이 제조업체와 구매
자 사이에 합의가 있어야 한다.
b
제조업체와 구매자 사이의 합의에 따라, 더 큰 맨드릴 지름이 사용될 수 있다.

A.9.4 재굽힘 시험

재굽힘 시험은 ISO 15630-1에 따라 시행되어야 한다. 시험편은 표 A.9에 지정된 지름의 맨드릴에 대
해 구부러져야 한다.

열을 가하기(시효) 전에 구부러지는 각도는 최소한 90°가 되어야 하고, 재굽힘 각도는 최소한 20°가
되어야 한다. 두 각도는 무부하(unloading) 전에 측정되어야 한다.

표 A.9 — 재굽힘 시험에 이용된 맨드릴 지름


단위: mm
공칭 지름 맨드릴 지름
a, b
d (최대)
≤ 16 5d
16 < d ≤ 25 8d
25 < d ≤ 50 10 d
a
50 mm보다 큰 공칭 지름에서는, 재굽힘 시험에서 맨드릴 지름이 제조업체와 구
매자 사이에 합의가 있어야 한다.
b
제조업체와 구매자 사이의 합의에 따라 더 큰 맨드릴 지름이 사용될 수 있다.

A.9.5 피로 시험

피로 시험은 ISO 15630-1에 따라 시행되어야 한다.

A.9.6 화학 조성

일반적으로, 화학적 조성은 분광법으로 측정된다.

분석 방법에 대해 논쟁이 있을 경우, 화학적 조성은 ISO/TR 9769에 기록된 국제표준 중 한 가지 지


정된 적절한 기준 시험법으로 측정해야 한다.

22
KS D 3504:2019

A.10 지정

이 표준에 따른 이형 철근은 다음 주문 사항이 지정되어야 한다.

a) 철근
b) 이 표준에 대한 언급
c) 표 A.2에 따른 공칭 지름(단위: mm)
d) 철강 등급

참고 Reinforcing steel ISO 6935-2 – 12 B500CWR

A.11 표시

A.11.1 바의 표시사항

모든 바는 회전시키는 동안 입력된 다음 표시로 식별될 수 있어야 한다.

a) 철강 등급
b) 제조업체명

다국적 표시 체계의 일부 예시는 부속서 B에 나와 있다.

A.11.2 포장 표시사항

각 바의 포장(bundle)에는 제조업체명, 이 표준에서의 참고사항, 철강 등급이나 공칭 지름, 시험 기록


및 제조국에 관련된 용강(cast) 번호 또는 레퍼런스가 적힌 상표가 붙어 있어야 한다.

A.12 적합성의 평가

A.12.1 일반사항

보강 인증과 검사는 다음과 같이 시행되어야 한다.

a) 적합성 평가 계획에 의한 인증에 따라(A.12.2 참조)


b) 특정 납품의 합격 판정 시험에 따라(A.12.3 참조)

A.12.2 생산 중 적합성 평가

이 절은 생산 중 적합성 평가를 위한 요구사항을 규정한다.

비고 ISO 10144는 ISO 6935-1 및 ISO 6935-2와 같은 제품 표준에 명시된 요구사항의 적합성을 검
증하기 위해 콘크리트 보강용 철근의 연속 생산에 대한 인증 요구사항을 규정한다.

화학적 조성을 제외하고 ISO 6935-2에 명시된 각 특성에 대해 모든 지름의 40 t당 하나의 시험편을
채취해야 하며, 용강당 최소 3개의 시험편과 공칭 지름이 있어야 한다.

화학 분석(용강 분석)은 모든 용강(casts)에 대해 결정되어야 한다. 이 표준에서 규정된 요소의 내용


은 이 분석에서 결정되어야 한다.

23
KS D 3504:2019

각 개별값 xi는 다음 식을 만족해야 한다.

xi  0.95 f k (A.2)

여기에서
fk:표 A.6에 따라 필요한 특성값

시험 장치(test unit)의 평균값은 다음 식을 만족해야 한다.

m  f k  ks (A.3)

여기에서
k :표 A.10에 따른 수용 가능성 지수
s :시험 결과의 표준 편차

각 제품 및 제조업체에 대해 입증된 ks 값을 사용해야 한다.

모든 개별 값이 요구되는 특성값 이상이면 식(A.3)의 평균값 요구사항은 적용되지 않는다.

모든 용강(casts)은 탄소당량을 포함한 화학조성 요구조건을 준수해야 한다. 다른 모든 요구사항은


개별 시험편마다 충족되어야 한다.

이 항목에 따라 시험 결과가 만족스럽지 않으면 제조업체는 즉시 필요한 예방 조치를 취해야 한다.


요건에 부합하지 않는 용강(casts)은 별도로 보관해야 한다.

표 A.10 — 시험 결과의 수(n)의 함수로서 수용 가능성 지수(acceptability index, k)

n k n k
5 3.40 30 2.08
6 3.09 40 2.01
7 2.89 50 1.97
8 2.75 60 1.93
9 2.65 70 1.90
10 2.57 80 1.89
11 2.50 90 1.87
12 2.45 100 1.86
13 2.40 150 1.82
14 2.36 200 1.79
15 2.33 250 1.78
16 2.30 300 1.77
17 2.27 400 1.75
18 2.25 500 1.74
19 2.23 1 000 1.71
20 2.21  1.64

24
KS D 3504:2019

A.12.3 특정 납품의 합격 판정 시험

A.12.3.1 일반사항

인증제도 대상이 아닌 철근의 본성, 범위 및 배달에 대한 합격 판정 시험 평가에 관한 규정은 A.12.3.2


와 A.12.3.3에 명시되어 있다.

특정 배달의 합격 판정 시험은 A.12.3.2에 따라 시행되어야 한다.

제조업체와 구매자 사이의 합의에 의거하여 A.12.3.3이 이용될 수도 있다.

A.12.3.2 특성값의 평가

A.12.3.2.1 조직

시험은 수입국의 국가 법률을 고려하여 구매자와 제조업체 간 계약에 따라 조직화되고 시행되어야


한다.

A.12.3.2.2 견본과 시험의 범위

시험용의 경우, 인도(delivery)는 최대 50 t의 무게로 이루어진 시험 장치(test unit)나 그것의 일부로 분


할되어 이루어져야 한다. 각 시험 장치는 동일 용강에서 동일 철강 등급과 동일 공칭 지름의 제품으
로 구성되어야 한다. 제조업체는 시험 장치의 모든 샘플이 동일 용강에서 나온다는 것을 시험 보고
서에 확실히 명기해야 한다. 화학 조성(용강 분석)은 이 시험 보고서에 명시되어 있어야 한다.

시험편은 다음 사항에 따라 각 시험 장치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a) 화학 조성(제품 분석)을 시험하기 위한 다양한 바(bar)에서 2개의 시험편


b) 이 표준에서 지정된 모든 기타 특성을 시험하기 위한 다양한 바에서 최소 15개의 시험편[적절하
다면, 60개의 시험편, A.12.3.2.3 a) 참조]

A.12.3.2.3 결과의 평가

a) 변수에 의한 검사 특성값으로 지정된 특성에 있어서, 다음 사항이 결정되어야 한다.

• 15개 시험편의 모든 개별값 xi (n = 15)


• 평균값 m15(n = 15)
• 표준편차 s15(n = 15)

아래 명시된 상태가 모든 특성에 맞는다면, 시험 장치는 요건에 일치한다.

m15-2.33×s15 ≥ fk (A.4)

여기에서
fk :요구된 특성값(characteristic value)
2.33 :90 %(1 -  = 0.90)의 확률에서 5 %(p = 0.95)의 실패율, n = 15의 합격 지수 k에 대
한 값

( xi  m15 ) 2
s15= (A.5)
14

상기에 기록된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다면, 지수(index)는

25
KS D 3504:2019

m15  f k
k  (A.6)
s15

이용 가능한 시험 결과로부터 결정된다. k≥ 2이면, 시험은 계속될 수 있다. 이 경우, 총 60개의
시험 결과(n = 60)가 가능하도록 45개의 추가 시험편이 시험 장치의 다른 바에서 다루어져야 한다.
상기에 나온 기록된 조건이 모든 특성을 만족시킨다면, 시험 장치는 요건들이 적용되도록 주의하
여야 한다.

m60-1.93×s60 > fk (A.7)

여기에서 1.93은 90 %(1 -  = 0.90)의 확률에서 5 %(p = 0.95)의 실패율, n = 60의 합격 지수 k


에 대한 값이다.

b) 속성에 의한 검사 시험 특성이 최대값이나 최소값으로 명시될 때, 15개의 시험편에서 측정된 모


든 결과는 ISO 6935-2에 대한 요건에 부합해야 한다. 이 경우, 시험 장치는 그 요건에 따르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이 시험들은 조건에 맞지 않는 결과가 최대 2개가 될 때까지 계속될 수 있다. 이 경우 시험 장치
의 다양한 바에서 얻은 45개의 추가 시험편이 시험에 이용되어야 하며, 총 60개의 시험 결과가
이용 가능해야 한다. 그 조건에 맞지 않는 결과가 60개 중 최대 2개가 나온다면 시험 장치는 요
건에 따르고 있는 것이다.

c) 화학 조성 두 시험편은 ISO 6935-2의 요건들을 만족시켜야 한다.

A.12.3.3 특정 최소값/최대값의 평가

시험은 다음 사항에 따라 시행되어야 한다.

a) 동일 용강의 바(bar)는 그룹 하나를 구성해야 한다. 매 50 t이나 그것에서 분할된 것에서, 1회의 인
장 시험과 1회의 굽힘/재굽힘 시험이 각 바의 지름에 대해 시행되어야 한다.
b) 각각의 개별 시험 결과는 표 A.6에 나와 있는 값과 A.8.2 및 A.8.3의 굽힘/재굽힘 특성에 적합해
야 한다. 화학 조성(A.7)을 증명하기 위해 1회의 용강 분석이 모든 용강에 대해 시행되어야 한다.
견본은 ISO 14284에 따라 선택해야 한다.
c) 어느 하나의 시험 결과라도 요건에 맞지 않으면, ISO 404에 의거하여 재시험이 시행될 수 있다.
d) 제조업체는 납품 제품이 A.7과 A.8에 정의된 화학적, 기술적 특성에 적합하다는 내용이 담긴 시
험 보고서와 ISO 6935-2의 기타 요건에 맞는다는 것에 대한 확인서를 제출해야 한다.

A.12.3.4 시험 보고서

시험 보고서는 다음 정보를 담고 있어야 한다.

a) ISO 6935-2에 일치하는 철근의 명칭


b) 철근에 대한 표기
c) 시험일
d) 시험 장치의 무게
e) 시험 결과

26
KS D 3504:2019

부속서 B
(참고)

이형 철근을 위한 표시 시스템의 4가지 예

B.1 개요

이 부속서에는 이형 철근(ribbed bar)에 대한 마킹 시스템의 예가 지역 수준에서 명시되어 있다. 부속


서는 정보 제공용으로 작성되었다. 국부적인 사양을 준수하려면 해당 지역 표준의 최신 버전을 전체
적으로 다룰 필요가 있다.

B.2 참고문헌

EN 10080:2005, Steel for the reinforcement of concrete — Weldable reinforcing steel — General
ASTM A615/A615M-15a, Standard specification for deformed and plain carbon-steel bars for concrete
reinforcement
ASTM A706/A706M-14, Standard specification for low-alloy steel deformed and plain bars for concrete
reinforcement
JIS G 3112:2004, Steel bars for concrete reinforcement
GB 1499.2-2007, Steel for the reinforcement of concrete — Part 2: Hot rolled ribbed bars

B.3 예 1번: EN 10080:2005에 따른 시스템

B.3.1 각 철근(reinforcing bar)은 하나의 리브(rib) 열에 작업을 식별하는 마크가 있어야 한다. 이 마
크는 1.5 m 이하의 간격마다 반복되어야 한다.

B.3.2 마크는 다음으로 구성된다.

a) 마크의 시작을 나타내는 기호


b) 제조업체를 식별하는 숫자 시스템으로, 원산지 번호와 작업 번호로 구성

B.3.3 원산지와 작업을 식별하는 숫자 시스템은 다음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a) 넓어진 리브 또는 압입(indentation) 사이에 일반적인 리브 또는 압입의 수(예: 그림 B.1 참조)


b) 손실된 리브나 압입 사이에 일반적인 리브 또는 압입의 수
c) 바의 표면에 있는 수
d) 일반적인 리브나 그 사이에 있는 리브의 수가 있는 압연 또는 압입 마크

시작 4 1 6

국가번호 4 작업번호 16

그림 B.1 — 제조업체의 압입 마크 예(넓어진 리브 사용)

27
KS D 3504:2019

B.3.4 마크 시작을 나타내는 기호는 다음 중 하나가 되어야 한다.

a) 표시 방법이 넓어진 리브나 압입을 사용하는 경우, 마크의 시작을 식별하는 기호는 넓어진 리브
나 압입의 연속적인 2개의 것으로 구성된다(예: 그림 B.1 참조).
b) 표시 방법이 손실된 리브나 압입을 사용하는 경우, 마크 시작을 식별하는 기호는 손실된 리브의
연속적인 2개의 것으로 구성된다.
c) 숫자가 바의 표면에 압연되는 경우, 마크 시작을 나타내는 기호는 X 또는 O이어야 한다.
d) 마크가 표면에 압연 또는 압입되는 경우, 마크의 시작은 한 쌍의 일반적인 리브나 압입 사이의
2개의 마크로 구성되어야 한다.

B.3.5 원산지는 표 B.1에 따라 1과 9 사이의 숫자로 표시되어야 한다(예: 그림 B.1 참조).

B.3.6 작업 번호는 10의 배수를 제외하고, 1과 99 사이의 1 또는 2자리 수로 구성되어야 한다(예:


그림 B.1 참조).

표 B.1 — 원산지의 표시

2개의 두꺼운 경사(oblique) 리브 간


국가
공칭 경사 리브의 수
오스트리아, 체코, 독일, 폴란드, 슬로바키아 1
벨기에,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스위스 2
프랑스, 헝가리 3
이탈리아, 몰타, 슬로베니아 4
영국, 아일랜드, 아이슬란드 5
덴마크, 에스토니아, 핀란드, 라트비아,
6
리투아니아, 노르웨이, 스웨덴
포르투갈, 스페인 7
키프로스, 그리스 8
기타 국가 9

B.4 예 2번: ASTM A615/A615M-15a 및 ASTM A706/A706M-14에 따른 시스템

B.4.1 밀 선적(mill shipment)을 위해 로딩(loading)할 때, 바는 적절하게 분리되고 제조업체의 용강


또는 시험 식별 번호의 태그를 붙여야 한다.

B.4.2 각 제조업체는 표시 시스템의 기호를 식별해야 한다.

B.4.3 모든 바는 B.4.3.1 ∼ B.4.3.4에 주어진 순서대로, 바의 한 표면에 명료하게 압연된 마크 세트


로 표시되어 식별될 수 있어야 하고, 그 마크 세트는 다음 항목을 따른다.

B.4.3.1 원산지점(point of origin)

생산자의 밀(mill) 이름에 정해진 대로 문자나 기호

B.4.3.2 크기 명칭

바 명칭 수(공칭 지름)에 해당하는 아라비아 숫자

28
KS D 3504:2019

B.4.3.3 철강 유형

표준 ASTM A615/A615M에 따라 생산되는 경우 문자 S, 바가 표준 ASTM A706/A706M에 따라 생산


되는 경우 문자 W, 420 및 550등급의 경우 문자 S 및 W는 ASTM A615/A615M 및 ASTM
A706/A706M을 충족시키기 위해 바가 생산되었음을 나타낸다.

B.4.3.4 최소 산출 명칭(minimum yield designation)

420 등급의 경우, 번호 4 또는 5개의 변형 (횡방향 리브) 공간을 통과하는 단일 연속 세로줄. 550등
급의 경우, 번호 6 또는 적어도 5개의 변형(횡방향 리브) 공간을 통과하는 3개의 연속 세로줄(등급
280 바를 위한 표시 명칭 없음.)

식별부호
1 읽는 방향
2 밀 명칭
3 바 크기
4 ASTM에 따름
5 철강 등급

그림 B.2 — ASTM A615/A615M-15a 및 ASTM A706/A706M-14에 따른 표시

B.5 예 3번: JIS G 3112:2004에 따른 시스템

B.5.1 이형(ribbed) 철근은 표준에 지정된 대로 표시되어야 한다.

B.5.2 각 철근의 표시

이형 철근은 표 B.2에 의거하여 등급을 식별하는 표시를 나타내어야 한다.

표 B.2 — 등급 식별용 표시 방법

등급 식별용 표시 방법
철강 등급
롤링 마크별 표시 색상별 표시
B300D-R 롤링 표시 없음. 적용되지 않음.
B300DWR 1 또는 I 흰색(한 측면에)
B350DWR 융기 수, 편 1개(•) 노란색(한 측면에)
B400DWR 융기 수, 편 2개(••) 녹색(한 측면에)
B500DWR 융기 수, 편 3개(•••) 파란색(한 측면에)

29
KS D 3504:2019

지름이 8 mm 이하인 바의 경우, 롤링 마크에 의한 표시 대신 색깔별 표시가 적용될 수 있다.


B.5.3 각 포장에 표시

이형 철근은 적절한 수단으로 다음 세부사항과 함께 표시되어야 한다.

a) 등급 기호
b) 열 번호 또는 검사 번호
c) 지름 또는 명칭
d) 제조업체의 이름이나 약어

B.6 예 4번: GB 1499.2-2007에 따른 시스템

B.6.1 각 이형 철근은 다음 표준에 따라 마크되어야 한다.

B.6.2 철강 등급, 철강 작업 이름의 약어(또는 상표)와 이형 철근의 지름은 이형 철근의 표면에 압연


되어야 한다.

지름이 10 mm 이하인 이형 철근의 경우, 롤링 마크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 바에는 태그만 허용되어
야 한다.

B.6.2.1 철강 등급은 다음과 같이 지정된다.: 표 B.3에 따라 아라비아 숫자, 아라비아 숫자와 알파벳

표 B.3 — 등급 식별용 표시 방법

GB 1499.2:2007의 철강 등급 지정 숫자
HRB 335 3
HRB 400 4
HRB 500 5
HRBF 335 C3
HRBF 400 C4
HRBF 500 C5
HRB335E E3
HRB400E E4
HRB500E E5

B.6.2.2 철강 작업 이름에 대한 표시는 그 상표 또는 이름(2문자)의 약어이어야 한다.

B.6.2.3 이형 철근의 지름은 밀리미터 단위로 아라비아 숫자로 지정되어야 한다.

보기 이형 철근의 롤링 마크(철강 등급: HRB 400, ABC Steel Company 제조, 지름 25 mm)는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4 AS 25
여기에서
4 : 철강 등급: HRB 400
AS : 철강 회사명: ABC Steel Company
25 : 지름: 25 mm

30
KS D 3504:2019

부속서 C
(참고)

제조업체와 구매자 사이의 계약을 위한 선택사항

편의상, ISO 6935-2의 추가 요건이나 벗어난 요건은 제조업체와 구매자 사이에 합의될 수 있다는 것
을 나타내는 규정은 아래에 나와 있다.

a) 지름 > 50 mm(표 A.2와 A.9)


b) 배송 거리(A.5)
c) 종방향 리브(A.6)
d) 특정 최소값/최대값(A.8.1과 A.12.3.3)
e) 재굽힘 특성(A.8.3)
f) 피로 특성(A.8.4)
g) 납품 시험의 조직(A.12.3.2.1)

이 목록은 기타 규정에 관한 계약에 대해 어떠한 제한도 의미하지 않는다.

31
KS D 3504:2019

부속서 D
(참고)

원산지 표시의 예

D.1 참고문헌

ISO 3166-1, Codes for the representation of names of countries and their subdivisions — Part 1:
Country codes

D.2 ISO 3166-1 alpha-2에 따른 원산지 표시 방법

D.2.1 Index of the alpha-2 code elements with short form of country names, in English and French

AA (for private use, see 8.1.3) AX Aland Islands


(attribué aux utilisateurs, voir 8.1.3) Îles Aland
AD Andorra AZ Azerbaijan
Andorre Azerbaïdjan
AE United Arab Emirates BA Bosnia and Herzegovina
É mirate arabes unis Bosnie-Herzégovine
AF Afghanistan BB Barbados
Afghanistan Barbade
AG Antigua and Barbuda BD Bangladesh
Antigua-et-Barbuda Bangladesh
Al Anguilla BE Belgium
Anguilla Belgique
AL Albania BF Burkina Faso
Albanie Burkina Faso
AM Armenia BG Bulgaria
Arménie Bulgarie
(AN)* see Netherlands Antilles [from 2010 divided BH Bahrain
into Bonaire, Sint Eustatius and Bahreïn
Saba (BQ), Curaçao (CW) and Sint Maarten BI Burundi
(Dutch part) (SX)] Burundi
voir Antilles néerlandaises [depuis 2010 BJ Benin
divisées entre Bonaire, Saint-Eustache et Bénin
Saba (BQ), Curaçao (CW) et Saint-Martin BL Saint Barthelemy
(partie néeriandaise) (SX)] Saint-Barthélemy
AO Angola BM Bermuda
Angola Bermudes
AQ Antarctica BN Brunei Darussalam
Antarctique Brunei Darussalam
AR Argentina BO Bolivia, Plurinational State of
Argentine Bolivie, ľÉtat plurinational de
AS American Samoa BQ Bonaire, Sint Eustatius and Saba
Samoa américaines Bonaire, Saint-Eustache et Saba
AT Austria BR Brazil
Autriche Brésil
AU Australia BS Bahamas
Australie Bahamas
AW Aruba BT Bhutan
Aruba Bhoutan

32
KS D 3504:2019

BV Bouvet Island CZ Czech Republic


Bouvet, Île Tchèque, République
BW Botswana DE Germany
Botswana Allemagne
BY Belarus DJ Djibouti
Bélarus Djibouti
BZ Belize DK Denmark
Belize Danemark
CA Canada DM Dominica
Canada Dominique
CC Cocos (Keeling) Islands DO Dominican Republic
Cocos (Keeling), Îles Dominicaine, République
CD Congo, Democratic Republic of the DZ Algeria
Congo, République démocratique du Algérie
CF Central African Republic EC Ecuador
Centrafricaine, République É quateur
CG Congo EE Estonia
Congo Estonie
CH Switzerland EG Egypt
Suisse É gypte
Cl Côte d'Ivoire EH Western Sahara
Côte d'Ivoire Sahara occidental
CK Cook Islands ER Eritrea
Cook, Îles É rythrée
CL Chile ES Spain
Chili Espagne
CM Cameroon ET Ethiopia
Cameroun É thiopie
CN China FI Finland
Chine Finlande
CO Colombia FJ Fiji
Colombie Fidji
CR Costa Rica FK Falkland Islands (Malvinas)
Costa Rica Falkland, Îles (Malvinas)
(CS)* see Czechoslovakia [until 1993; divided into FM Micronesia, Federated States of
Czech Republic (CZ) and Slovakia (SK)] Micronésie, É tats fédérés de
voir Tchécoslovaquie [jusqu'en 1993; divisée FO Faroe Islands
entre République tchèque (CZ) et Féroé, Îles
Slovaquie (SK)] FR France
France
see also Serbia and Montenegro [from GA Gabon
2003 to 2006; divided into Montenegro Gabon
(ME) and Serbia (RS)] GB United Kingdom
voir aussi Serbie-et-Monténégro [entre Royaume-Uni
2003 et 2006; divisée entre Monténégro GD Grenada
(ME) et Serbie (RS)] Grenade
CU Cuba GE Georgia
Cuba Géorgie
CV Cape Verde GF French Guiana
Cap-Vert Guyane française
CW Curaçao GG Guernsey
Curaçao Guernesey
CX Christmas Island GH Ghana
Christmas, Île Ghana
CY Cyprus Gl Gibraltar
Chypre Gibraltar

33
KS D 3504:2019

GL Greenland JE Jersey
Greenland Jersey
GM Gambia JM Jamaica
Gambie Jamaïque
GN Guinea JO Jordan
Guinée Jordanie
GP Guadeloupe JP Japan
Guadeloupe Japon
GQ Equatorial Guinea KE Kenya
Guinée équatoriale Kenya
GR Greece KG Kyrgyzstan
Grèce Kirghizistan
GS South Georgia and the South Sandwich KH Cambodia
Islands Cambodge
Géorgie du Sud-et-les Îles Sandwich du Sud Kl Kiribati
Kiribati
GT Guatemala KM Comoros
Guatemala Comeres
GU Guam KN Saint Kitts and Nevis
Guam Saint-Kitts-et-Nevis
GW Guinea-Bissau KP Korea,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Guinée-Bissau Corée, République populaire démocratique de
GY Guyana KR Korea, Republic of
Guyana Corée, République de
HK Hong Kong KW Kuwait
Hong Kong Koweït
HM Heard Island and McDonald Islands KY Cayman Islands
Heard-et-Îles MacDonald, Île Caïmans, Îles
HN Honduras KZ Kazakhstan
Honduras Kazakhstan
HR Croatia LA Lao People's Democratic Republic
Croatie Lao, République démocratique populaire
HT Haiti LB Lebanon
Haïti Liban
HU Hungary LC Saint Lucia
Hongrie Sainte-Lucie
ID Indonesia LI Liechtenstein
Indonésie Liechtenstein
IE Ireland LK Sri Lanka
Irlande Sri Lanka
IL Israel LR Liberia
Israël Libéria
IM Isle of Man LS Lesotho
Île de Man Lesotho
IN India LT Lithuania
Inde Lituanie
IO British Indian Ocean Territory LU Luxembourg
Océan Indien, Territoire britannique de l' Luxembourg
IQ Iraq LV Latvia
Iraq Lettonie
IR Iran, Islamic Republic of LY Libya
Iran, Répubiique islamique d' Libye
IS Iceland MA Morocco
Islande Maroc
IT Italy MC Monaco
Italie Monaco

34
KS D 3504:2019

MD Moldova, Repubfic of NO Norway


Moldova, République de Norvège
ME Montenegro NP Nepal
Monténégro Népal
MF Saint Martin (French part) NR Nauru
Saint-Martin (partie française) Nauru
MG Madagascar NU Niue
Madagascar Niue
MH Marshall Islands NZ New Zealand
Marshall, Îles Nouvelle-Zélande
MK Macedonia, the former Yugoslav Republic of OM Oman
Macédoine, l'ex-République yougoslave de Oman
ML Mari OO (escape code, see 8.1.4)
Mali (code d'échappement, voir 8.1.4)
MM Myanmar PA Panama
Myanmar Panama
MN Mongolia PE Peru
Mongolie Pérou
MO Macao PF French Polynesia
Macao Polynésie française
MP Northern Mariana Islands PG Papua New Guinea
Mariannes du Nord, Îles Papouasie-Nouvelle-Guinée
MQ Martinique PH Philippines
Martinique Philippines
MR Mauritania PK Pakistan
Mauritanie Pakistan
MS Montserrat PL Poland
Montserrat Pologne
MT Malta PM Saint Pierre and Miquelon
Malte Saint-Pierre-et-Miquelon
MU Mauritius PN Pitcairn
Maurice Pitcairn
MV Maldives PR Puerto Rico
Maldives Porto Rico
MW Malawi PS Palestine, State of
Malawi Palestine, É tat de
MX Mexico PT Portugal
Mexique Portugal
MY Malaysia PW Palau
Malaisie Palaos
MZ Mozambique PY Paraguay
Mozambique Paraguay
NA Namibia QA Qatar
Namibie Qatar
NC New Caledonia QM- (for private use, see 8.1.3)
Nouvelle-Calédonie QZ (attribué aux utilisateurs, voir 8.1.3)
NE Niger RE Réunion
Niger La Réunion
NF Norfolk Island RO Romania
Norfolk, Île Roumanie
NG Nigeria RS Serbia
Nigéria Serbie
Nl Nicaragua RU Russian Federation
Nicaragua Russie, Fédération de
NL Netherlands RW Rwanda
Pays-Bas Rwanda

35
KS D 3504:2019

SA Saudi Arabia TM Turkmenistan


Arabie saoudite Turkménistan
SB Solomon Islands TN Tunisia
Salomon, Îles Tunisie
SC Seychelles TO Tonga
Seychelles Tonga
SD Sudan (TP)* East Timor
Soudan Timor oriental
SE Sweden TR Turkey
Suède Turquie
SG Singapore TT Trinidad and Tobago
Singapour Trinité-et-Tobago
SH Saint Helena, Ascension and Tristan da Cunha TV Tuvalu
Sainte-Hélène, Ascension et Tristan da Cunha Tuvalu
SI Slovenia TW Taiwan, Province of China
Slovenie Taïwan, Province de Chine
SJ Svalbard and Jan Mayen TZ Tanzania, United Republic of
Svalbard et Île Jan Mayen Tanzanie, République-Unie de
SK Slovakia UA Ukraine
Slovaquie Ukraine
SL Sierra Leone UG Uganda
Sierra Leone Ouganda
SM San Marino UM United States Minor Outlying Islands
Saint-Marin Îles mineures éloignées des É tats-Unis
SN Senegal US United States
Sénégal É tats-Unis
SO Somalia UY Uruguay
Somalie Uruguay
SR Suriname UZ Uzbekistan
Suriname Ouzbékistan
SS South Sudan VA Holy See (Vatican City State)
Soudan du Sud Saint-Siège (É tat de la Cité du Vatican)
SV El Salvador VC Saint Vincent and the Grenadines
El Salvador Saint-Vincent-et-les-Grenadines
SX Sint Maarten (Dutch part) VE Venezuela, Bolivarian Republic of
Saint-Martin (partie néerlandaise) Venezuela, République bolivarienne du
SY Syrian Arab Republic VG Virgin Islands, British
Syrienne, République arabe Îles Vierges britanniques
SZ Swaziland VI Virgin Islands, U.S.
Swaziland Îles Vierges des É tats-Unis
TC Turks and Caicos Islands VN Viet Nam
Turks-et-Caïcos, Îles Viet Nam
TD Chad VU Vanuatu
Tchad Vanuatu
TF French Southern Territories WF Wallis and Futuna
Terres australes françaises Wallis-et-Futuna
TG Togo WS Samoa
Togo Samoa
TH Thailand XA- (for private use, see 8.1.3)
Thaïlande XZ (attribué aux utilisateurs, voir 8.1.3)
TJ Tajikistan YE Yemen
Tadjikistan Yemen
TK Tokelau YT Mayotte
Tokelau Mayotte
TL Timor-Leste
Timor-Leste

36
KS D 3504:2019

(YU)* see Yugoslavia [until 2003; divided into


Bosnia and Herzegovina (BA), Croatia
(HR), Macedonia, The former Yugoslav
Republic of (MK), Serbia and Montenegro
(CS). Slovenia (SI)]
voir Yougoslavie [jusqu'en 2003; divisée
entre Bosnie-Herzégovine (BA), Croatie
(HR), Macédoine, I'ex-République
yougoslave de (MK), Serbie-et-
Monténégro (CS), Slovénie (SI)]
ZA South Africa
Afrique du Sud
ZM Zambia
Zambie
ZW Zimbabwe
Zimbabwe
ZZ (for private use, see 8.1.3)
(attribué aux utilisateurs, voir 8.1.3)

* Code elements which have been changed


since the first edition(ISO 3166:1997) are
indicated in parentheses. They now belong to
the list of reserved code elements for at least
fifty years(See 7.5.2).

* Les codets qui ont été modifiés depuis la


première édition(ISO 3166:1997) sont donnés
entre parenthèses. Ils font maintenant, pour au
moins cinquante années, partie de la liste des
codets réservés(Voir 7.5.2).

37
KS D 3504:2019

참고문헌

[1] ISO 3534-1:2006, Statistics — Vocabulary and symbols — Part 1: General statistical terms and
terms used in probability
비고 ISO 3534-1:2006에 대응되는 KS는 2014년도에 고시된 KS Q ISO 3534-1이다.

[2] ISO 6935-1, Steel for the reinforcement of concrete — Part 1: Plain bars

[3] ISO 16020, Steel for the reinforcement and prestressing of concrete — Vocabulary

[4] KS A ISO/IEC Guide 2, 표준화 및 관련 활동 — 일반 어휘

38
KS D 3504:2019

KS D 3504:2019
해 설

이 해설은 본체 및 부속서(규정)에 규정한 사항, 부속서(참고)에 기재한 사항 및 이들과 관련된 사항


을 설명하는 것으로 표준의 일부는 아니다.

1 개요

1.1 그간의 개정 경위

1962년 제정 이후 1965년, 1968년, 1976년, 1982년, 1986년, 1988년 6월, 1988년 11월, 2001년, 2007
년, 2009년, 2011년, 2016년까지 12회의 개정을 거쳐 이번(2019년) 개정에 이르렀다.

1.1.1 이전까지의 제ㆍ개정의 경위

이전까지 개정의 주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a) 철근의 종류를 12종 추가(1965년)


b) 철근의 종류를 8종 추가, 원형 철근 및 이형 철근 구분(1968년)
c) 리브 양쪽 폭의 합의 최대값(mm) 수정(1971년)
d) 원형 철근 2종 및 이형 철근 5종 수정(1976년)
e) 적용범위에서 ‘KS D 3527은 제외한다’ 삽입(1982년)
f) 횡방향 리브 높이의 최대값 추가(1986년)
g) 원형 봉강 종류 2종 및 이형 봉강 5종 수정(1988년)
h) 원형 봉강 종류 2종과 이형 봉강 6종 수정으로 항복 강도 상한값 삭제(2001년). 국제표준(ISO)과
의 일치화 추진을 주목적으로 이전의 개정 이후 대응국제표준을 부속서로 첨부함.
i) 원형 봉강 2종류 삭제와 이형 봉강 2종류 추가 및 호칭명에 D 4, D 5, D 8(콘크리트 보강용 용접철
망재)를 추가 규정(2007년)
j) 호칭명에 2종(D 43, D 57) 추가 및 도색에 의한 식별 방법을 롤링 마크에 의한 식별 방법으로 수
정 및 원산지 표시를 의무화(2009년)
k) 철근 강종에 대한 표시에 있어서 롤마크에 표시 이외에 도색에 의한 표시도 가능하도록 해설서에
추가(2011년)

1.1.2 제12차 개정 (2016년)

1.1.2.1 개정의 취지

건축물 안전확보를 위해 전반적인 검토로 KS D 3688(고성능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을 특수내진용으


로 통합하고 사용되지 않는 SD350의 삭제 및 수요가 창출되는 SD600 S를 추가하였으며, 건축물의
내구성 강화를 위해 화학성분의 인(P), 황(S)의 불순원소에 대해서는 엄격화하고, 항복 강도(YP)의 상
한값 규정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취성 파괴를 예방토록 하였다. 인장 강도(TS)는 항복 강도의 상한
값 규정으로 항복 강도의 실측값에 비율로 연동하도록 하였으며, 나사 모양 철근의 활성화를 위해
모양에 대한 용어 설명과 그림으로 명확히 하고, 종류의 기호(강종)에 대한 롤링 마크 표시를 단순화
하여 숫자로 표시토록 개정하였다.

39
KS D 3504:2019

1.1.2.2 주요 개정내용

a) 콘크리트 보강용으로 수요가 없는 일반용의 SD350을 삭제하였다.


b) KS D 3688(고성능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의 SD400 S, SD500 S를 통합하고 SD600 S를 추가하여
특수내진용으로 하였으며, 이에 따라 개발 제품의 시장 확대를 촉진하고 국내 초고층 건물 및 초
대형 교각 등에 사용되는 고강도 철근의 안전도를 높이게 하였다. 아울러 개발 제품의 표준화로
후발국 제품에 대한 기술 및 제품 차별화와 부가가치 및 기술적 파급 효과가 높은 초대형 철 구
조물 및 강 교량 등의 건설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c) 화학성분에 있어 일반용의 SD400은 P, S를 0.045 % 이하, SD500, SD600, SD700과 용접용의
SD400 W, SD500 W는 P, S를 0.040 % 이하로 하였다.
d) 특수내진용의 SD400 S, SD500 S, SD600 S의 화학성분 중 Cu는 KS D 3688의 내용과 동일하게 규
정하였다.
2
e) 항복 강도(YP)의 상한값에 대해 강종별로 특성에 따라 기준치의 1.3배 또는 120 N/mm 를 더한
값으로 규정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취성 파괴를 예방토록 하였다.
f) 인장 강도(TS)는 항복 강도의 상한값 규정으로 항복 강도의 실측값에 비율로 연동하도록 하였으
며, 일반용의 SD300, SD400은 항복 강도의 1.15배 이상, SD500, SD600, SD700은 항복 강도의
1.08배 이상, 용접용의 SD400 W, SD500 W는 항복 강도의 1.15배 이상으로 하고, 특수내진용은
항복비 80 % 이하를 충족하기 위해 SD400 S, SD500 S, SD600 S는 항복 강도의 1.25배 이상으로
하였다.
g) 나사 모양의 철근은 모양에 대해 용어 설명 및 그림을 추가하여 명확하게 하였다.
h) 1개의 무게는 소수점 이하 둘째 자리에서 끝맺음하도록 하였다.
i) 이형 봉강 시험편의 표점 거리 및 평행부의 거리는 정수로 끝맺음하도록 하였다.
j) 이형 봉강을 커플러 등을 이용하여 기계식 이음을 한 경우, 시험방법을 추가하였다.
k) 롤링 마크에 의한 강종 표시를 돌기 개수와 지정 숫자의 선택사항에서 지정 숫자로 단일화하였다.
l) 1묶음마다 도색에 대한 강종 표시는 제품 1개마다 롤링 마크 표시를 함으로써 생략이 가능하도록
하여 선택사항으로 하였다.

1.1.2.3 심의 중 논의되었던 사항

특수내진용인 SD600 S는 고강도이면서 항복비를 맞추기 위해서는 수랭철근(tempcore) 공법으로 제


조 시에 한계가 있고, 화학성분의 탄소(C)와 탄소당량(Ceq)의 함량이 증가되므로 대구경 철근(호칭명
D35 초과 제품)에 대해서는 별도의 규정을 추가하였으며, 항복 강도 상한값 규정을 적용하기 위해서
는 제강사에서 유예기간이 필요하다고 요청하여, 이에 제조 연월 기준 3개월로 하고 고시된 날로 3
개월 후에 전면 실시하기로 결정하였다.

2 이번 개정 (제13차 개정)

2.1 개정의 취지

이번 개정의 취지는 다음과 같다.

a) 원산지 및 제조자 표시 방법을 명확히 하여 정확한 정보를 수요자에게 전달할 필요성이 요구되었
다.
b) 봉강을 가공하여 사용하는 경우 Aging Test를 통하여 품질 특성 검증을 실시하는 시험을 명확하하
는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c) 표준의 서식을 KS A 0001에 부합시켰다.

40
KS D 3504:2019

2.2 주요 개정내용

a) 제품 1개마다의 표시사항(본체의 11.1절) ‘마디를 생략한 경우’, ‘마디를 생략하지 않은 경우’, ‘마디
와 중첩한 경우’ 3가지 경우로 제품 표시를 구분하였으며, 원산지, 제조자명, 종류 및 기호, 호칭
등 표시사항을 명확히 하여 개정하였다.
b) 원산지 표시의 예(부속서 D) 국제표준 ISO3166-1과 부합화 작업으로 원산지 표시방법을 부속서
D에 추가하여 원산지 표시방법을 명확히 하여 개정하였다.
c) 인장 시험편 및 굽힘 시험편(본체의 9.2.2절) 코일철근의 경우 직선화 시험편을 제작하여 시험하
도록 하였으며, 표9 기계적 성질 시험조건을 따르도록 개정하였다.
d) 기계적 성질 시험 조건(본체의 표9) Aging test 제작 조건에 따른 시험 조건을 명시하였고, 시효
방법에 대한 설명을 추가하여 개정하였다.
e) 종류 및 기호(본체의 표1) 표시방법에 대한 설명을 추가하여 개정하였다.
f) 화학성분(본체의 표2) 화학성분 중 Si 범위를 지정하였고, 질소 결합 원소의 충분한 정도의 범위
를 지정하여 개정하였다.
g) 치수, 무게 및 마디의 허용차(본체의 표4) 단위를 SI단위로 수정하였고, 그에 따른 수식을 수정하
여 개정하였다.
h) 보고(본체의 12절) 품질검사증명서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을 명확히 하여 개정하였다.
i) 부속서(부속서 A~C) 국제표준 개정에 따른 최신 버전 부합화 작업으로 갱신하여 개정하였다.
j) 인용표준을 최신의 상태로 갱신하고, KS A 0001의 서식에 따라 재검토ㆍ수정을 하였다.

41
한국산업표준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

발간 • 보급 한 국 표 준 협 회

08506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145

에이스하이엔드타워 3차(16층)

☎ (02)2624-0114

☎ (02)2624-0148

http://www.kssn.net
㉿ KS D 3504:2019

KSKSKS
KSKSK
KSKS
KSK
KS
KSK
KSKS
KSKSK
KSKSKS
Steel bars for concrete reinforcement
ICS 77.140.10; 77.140.15; 91.080.40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