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2

KS B 0802

웁1s
금속 재료 인장 시험 방법
KS B 0802 : 2003
(2008 확인)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
2003년 10월 8일 개정
http ://www.kats. go.kr
B 0802 : 2003


의 : 기계부품 기술심의회

명원

위수
入J 근 무 굿1


종 윤 용


며0 매미 티口
(의 장 ) 이 중앙대학교

철필

(위 원) 광공업쥬)
서 표 이사
1
김 김 바「바「 박
한국상하수도협회 강l-
i

중 흡 근 완 남영

교 교 교대
유한대학 수

수 수
상익

공주대학교

울과학기술대학교

표수 수
(주}덕창기계

교 교 상
여o

백 경희대학교
이 보 한국항공대학교
이광 호 한국제품안전협회 무
장웅성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용접센터장
수 우

상부

무 장 관
송철 한국주천관공업(주}
한 김
일 용

사 구
금호 PFG


(간 사 ) 기술표 준원 지식산업표 준국

표 준열람 : 국가표 준종합정보센터 (http://www.standard.go.kr)


제확

제 정 자 : 지식경제부 기술표 준원장 정 : 1962년 7월 6일


개 정 : 2003년 10월 8일 인 : 2008년 12월 5일
기술표 준원 고시 제 2008-0859호
심 의 : 산업표 준심의회 기계부품 기술심의회
원안작성협력:

이 표 준에 대한 의견 또는 질문은 지식경제부 기술표 준원 지식산업표 준국


주력산업표 준과(이정근六 02-509-7274)로 연락하거나 웹사이트를 이용하여 주십
시 (http://www.kats.go.kr).

이 표 준은 산업표 준화법 제10조의 규정에 따라 매 5년마다 산업표 준심의회에서


심의되어 인, 개정 또는 폐지됩니다.


ICS 77.040.10

한국산업규격 KS

금속 재료 인장 시험 방법 B 0802 : 2003
(20 0 8 인)
Method of tensile test for metallic materials 확

1. 적용 범위 이 규격은 금속 재료의 인장 시험 방법 에 대하여 규정한다.


비 고 이 규격의 대응 국제 규격은 다음과 같다.
ISO 6892 : 1998, Metallic materials ― Tensile testing at ambient temperature

2. 인용 규격 다음에 나타내는 규격은 이 규격에 인용됨으로써 이 규격의 규정 일부를 구성한다. 이러한


인용 규격은 그 최신판을 적용한다.
KSA32Sl-1 데이터의 통계적인 해석 방법 -제1부 : 데이 터 의 통계적 기술
KSB0801 금속 재료 인장 시험편
KSB5518 금속 재료 인장 시험용 연신율계
KSB5521 인장 시험기
KSD0048 철강 용어 (시험)

3. 정 의 이 규격에서사용하는 주된 용어의 정의는 KSD0048 에 따른다.

4. 시 험 편 시험편은 다음에 따른다.


a) 시험편은 KSB0801에 따른다. 다만 별도로 규정되어 있는 경 우에는 그에 따른다.
b) 시험편의 채취 · 제작은 각각의 한국산업규격에 따르고, 시험편이 되는 부분의 재 질에 변화를 일으키는
변형 또는 가열은 피한다. 상항복점, 하항복점 또는 내력을 측정하는 경 우에는 특히 이것이 필요하다.
전단, 펀칭 등에 의한 가공을 한 시험편에서 시험 결과에 그 가공의 영향이 인정되는 경 우에는 가공
의 영향을 받은 영역을 절삭 · 제거하여 평행부를 다듬 질한다.
c) 시험편의 교정은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고, 교정을 필요로 하는 경 우에는 가급적 재 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방법 을 사용하도록 한다.
d) 표점은 원칙적으로 펀치 또는 스크라이버로 표시한다. 다만 시험편의 재 질이 표면 흠에 대하여 민감하
거나 아주 딱딱한 경 우에는 도포한 도료 위에 스크라이 버로 표시한다.
비 고 연신율계를사용하여 연신을 측정하는 경 우와 같이 필요가 없으면 시험편에 표점을 표시하지
않아도 된다.

5. 시 험 기 시험기는 다음에 따른다.


a) 인장 시험에 사용하는 시험기는 KSB5521에 따른다.
b) 시험기는 견고한 기초대에 고정시켜 손잡이 장치 부착부를 연결하는 직 선을 바르게 수직 또는 수평으
로 놓고 사용한다.
c) 시험기는 그 주요 부분의 분해 재조립, 모양 변경을 한 경 우나 설치 교체를 한 경 우에는 다시 검사를
하여 KSB5521에 적합함을 인한 후에사용한다.


B 0802 : 2003

d) c)에 해당하지 않는 경 우라도 사용 빈도수에 따라 일정 기간마다 정밀도를 재 인한다.


6. 시 험 시험은 다음에 따른다.
a) 시험편의 모양에 적합한 손잡이 장치를사용하여 시험 중 시험편에는 축방향의 하중만이 가해지도록
한다.
b) 하중을 가하는속도는 균일한 것이 바람직하며 그 지정은 다음 중 한 가지 방법 에 따른다.
-응력 증가율
- 변형 증가율
-경과 시간
1) 하중을 가하는속도가 측정 결과에 현저한 영향을 미칠 우려 가 있는 재료에 대해서는 그 재료 규격
이 정한 바에 따른다. 또 특히 지정이 없는 경 우에는 2) 및 3)에 따라 하중과 변형 의 측정을 정 히
실시할 수 있도록 주의한다.
1 확
2) 상항복점, 하항복점 또는 내력을 측정하는 경우는 재료 규격에서의 규정값에 대웅하는 하중의 —하중까
1 2
지 적절한속도로 하중을 가해도 되 지만 -하중을 초과한 후에는 상항복점, 하항복점 또는 내력까 지
2
2
의 평균 응력 증가율은 강에서는 3 -3 0N/mm · s, 알루미늄 및 그 합금 에서는 3 0N/mm2 · s 이하로 한
다.
3) 인장 강도를 측정하는 경 우에 상항복점, 하항복접 또는 내력의 측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 우에는 한
1
국산업규격의 재료 규격에서의 인장 강도의 규정값에 해당하는 하중의 —하중까지는 적 절한속도로
2
하중을 가해도 되지만 -하중을 넘은 후의 시험편 평행부의 변형 증가율은 강에서는 20-8 0 %/min,
2
알루미늄 및 그 합금 에서 는 8 0 %/min 이 하가 되는속도로 당기 도록 한다. 상항복점, 하항복점 또는
내력의 측정을 끝낸 후에는 이 변형 증가율로 당기도록 한다.
°
c) 시험 온도는 10-3 5 C의 범위 내로 하고 필요하다면 시험 온도를 기록한다. 특히 온도 관리가 필요할
°
때에는 23 士5 C로 한다. 다만 온도 변화에 민감한 재료에 대해서는 그 재료 규격에 따른다.

7. 시 험 편 평행부의 원 단면적 · 표점 거리 · 항복점 · 내력 · 인장 강도 · 항복 연신 · 파단 연신 및 단면 수축


률을 구하는 방법
a) 시험편 평행부의 원 단면적을 구하는 방법 은 다음에 따른다.
1) 시험편(관 모양 시험편을 제외한다.)의 평행부의 원 단면적은 표점 간의 양 끝부 및 중앙부 3 곳의 단
면적의 평균값으로 한다. 다만 필요에 따라 테이퍼를 붙인 시험편은 최소 단면에서의 단면적을 측정
하여 원 단면적으로 한다.
관 모양 시험편에서는 시험편 끝부에서 구한 단면적을 원 단면적으로 한다.
2) 원형 단면의 시험편 및 관 모양 시험편의 원 단면적을 구하기 위 한 지름은 서로 직교하는 2방향에
대하여 측정한 값의 평균값으로 한다.
관 모양 시험편의 단면적을 구하기 위 한 두께는 관 끝부의 원둘레를 등분하는 3 곳 이상에 대하여
측정한 값의 평균값으로 한다.
비 고 관 모양 시험편의 안지름 · 바깥 지름을 서로 직교하는 2방향에 대하여 측정한 경우의 안지름 ·
바깥 지름 차의 평균값은 4곳 두께의 평균값으로 해도 좋다.
3) 각각의 원 단면적을 구하기 위 한 지름 또는 나비, 두께는 적당한 측정기를 사용해서 규정 치수의 적어
도 0. 5%의 수치까지 측정한다. 다만 2mm 이하의 치수에 대해서는 0. 01mm로 끝맺음해도 좋다.
4) 원형 단면 또는 직사각형 단면의 시험편에서 평행부의 지름 또는 두께 및 나비의 다듬 질 치수가 평
2
B 0802 : 2003

행부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균일 하고 그 치수 변화(최대값 ― 최소값)가 표 1의 허용차를 넘지 않도록


시험편의 가공 등의 정밀도가 총분히 관리되고 있는 경 우에는 1)에서의 3곳의 단면적 평균값을 대신
해서 1 곳 단면적의 측정값을 원 단면적으로 할 수 있다. 또 기계 다듬 질을 한 평행부의 다듬질 치수
와 그호칭 치수의 차 가 다음 표 1의 허용차를 넘지 않는 경우에는호칭 치수를 사용해서 원 단면적
을 구해도 좋다.

표 1 시 험 편 치수의 허용차
단위 : mm
원형 단면 시험편 두께 6 이상의 직사각형 단면 시험편 두께 6 미만의 직사각형 단면 시험편
호칭 지름 허용차 호칭 두께 허용차 호칭 나비 허용차 호칭 두께 허용차 호칭 나비 허용차
10 이상 0.025 6 이상 0.02 25 이상 0.05 0.6 이상 0.002 12.5 이상 0.02
12 미만 12 미만 40 미만 1.2 미만 25 미만
12 이상 0.03 12 이상 0.04 40 이상 0.10 1.2 이상 0.004 25 이상 0.04
16 미만 20 미만 2.5 미만
16 이상 0.04 20 이상 0.05 2.5 이상 0.01
6 미만

b) 표점 거리는 적 절한 측정기에 사용하여 규정 치수의 적어 도 0.4%의 정밀도로 측정한다.


일정한 표점 거리의 표점을 표시하는 장치나 표점 거리가 정해져 있는 연신율계를사용하는 경우에
는 이러한 장치의 표점 거리에 대하여 미리 앞에 서 술한 측정을 실시하여 교정한다. 연신율계의 표점
거리는 교정 결과, 규정 치수에 대한 오차가 1.0% 이내이면 규정 치수를 표점 거리로 해도 된다.
c) 상항복점 및 하항복점은 다음 식 에 따라 산출한다.

상항복점의 경우 G"su =�
A
하항복점의 경우 G'SL =�느
A
2
여 기에서 G"su : 상항복점(N/mm )
2
G'SL : 하항복점(N/mm )
Fsu : 1) 참조
FsL : 2) 참조
:
A。 a)에 대한 원 단면적(mm )
2

1) 상항복점을 구하려면 시험편을 서 서 히 잡아 당겼을 때, 시험편 평행부가 항복하기 시작하기 이전의


최대 하중(보기를 들면 하중 지침을 가 진 시험 기에서 는 지침이 일시 정지 또는 역행하기 이전의 최
대 하중) Fsu(N)를 구한다.
2) 하항복점을 구하려면 시험편을 서 서 히 잡아 당졌을 때, 시험편 평행부가 항복하기 시작한 후의 거의
일정한 하중 상태에서 의 최소 하중(보기를 둘면 하중 지침을 가진 시험기에서 는 지침이 일시 정지
또는 역행한 후에 일시 정지하는 하중) FsL(N )을 구한다.
d) 내력은 다음 중 한 가지 방법에 따라 산출한다.
1) 오프셋법 오프셋법 은 다음에 따른다.
F
6c =_느
Ac
여 기에서 (J"
c
: 오프셋법 으로 산출한 내력(N/mm 2)
3
B 0802 : 2003

F, : 연신율계를 사용하여 하중과 늘어난 양의 관계선도를 구하여 규정


된 영 구 연신율 (C% )에 상당하는 연신 축 위 의 점에서 시험 초 기
의 직 선 부분에 평행선을 그어 이것이 선도와 만나는 점이 나타
내는 하중 (N) [그림 1 a) 참조]
:
A。 a)의 원 단면적 (mm )
2

또한 여 기에 쓰이는 연신율계의 기록 용지는 등분 눈금으로 연신율계는 KS B 5518에 따른 등급이


2급 이상 또는 측정해야 하는 전체 연신율(/4 %)을 士2% 또는 lOµm 중 큰 쪽 값의 정밀도로 측정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한다.
비 고 프셋법 으로 산출한 내력의 식에 대해서는, 보기를 둘면 규정된 영 구 연신율 £ = 0.2% 경우에
는 다음과 같이 나타낸 수 있다.

0'0.2 = Fo.2
4
2) 영구 연신율법 내력이 규격에 합격하는지를 결정하는 것만으로 좋은 경 우에는 한국산업규격의 규정
값에 원 단면적을 곱해서 얻은 하중을 15초간 가하여 이것을 빼고 측정한 표점사이의 영 구 연신율
이 규정값
오 이하인 지 여 부에 따라 판정해도 된다[그림 1 b) 참조].
3) 전체 연신율법 규정된 영 구 연신율 g%를 얻을 수 있는 하중 (FA)하의 전체 연신율이 A%가 분 명 한
경 우에는 내력을 다음 방법으로 산출하여 도 된다[그림 1 c) 참조].
F
66(A) =一
4
여 기에서 6£ (A) : 전체 연신율법 으로 산출한 내력(N/mm2)
FA : 연신율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하중 아래의 전체 연신율이 A%
가 되었을 때의 하중 (N)
:
A。 a)의 원 단면적 (mm )
2

또한 여 기에 이용하는 연신율계는 KSB 5518에 따른 등급이 2급 이상 또는 측정해야 하는 전체 연


신율(/4%)을 그 士2% 또는 士lOµm 중 큰 쪽 값의 정밀도로 측정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한다.

a) 오프셋법 b) 영구 연신율법 c) 전체 연신율법


FE

Fe

F�
하중
하중 A_

하중 AI


_

-연신 - 연신 | 규정된 영구 연신에 1- 연신


규정된 영구연신을 E% 하중 제거 후의 영구연신올 |상당하는건시 연신울제

그림 1 내력 을 구하는 방법
4
B 0802 : 2003

e) 인장 강도는 다음 식에 따라 산출한다.

F
야 =두
4
2
여기에서 어l : 인장 강도(N/mm )
Fmax : 최 대 인장 하중(N)
A。 : a)의 원 단면 적 (mm )
2

f) 상항복점, 하항복점, 내력 또는 인장 강도를 산출하기 위한 하중은 그 크기의 0.5 %까지 읽는다. 항복점,
2
내력, 인장 강도의 수치 (N/mm ) 는 KSA3251-1의 수치 맺음 방법에 따라 정수로 끝맺음한다.
g) 항복 연신율은 다음 식에 의해 산출한다.
A,, = A,SL― Asu
여기에서 Ar : 항복 연신율(%)
Asu : 연신율계를 사용하여 구한 하중과 늘어난 양의 관계 곡선에서의
상항복점 이 나타내는 전체 연신율(%)
/4sL : 위의 곡선에서 상항복점을 지나서 다시 연속적으로 하중 증가를
나타내기 시작하는 점에서의 전체 연신율(%)
또한 이것에 사용하는 연신율계는 KS B 5518에 따른 등급이 2급 이상 또는 측정해야 할 전체 연신율
(/4%)을 士2% 또는 士 lOµm 중 큰 쪽의 정밀도로 측정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한다. 또 연신율계 표점 거리
는 시험편의 표점 거리와 같아야 한다.
h) 파단 연신율은 다음 식에 따라 산출한다.

o=_l-l
二으xlOO
l。

여기에서 6: 파단 연신율(%)
l : 시험편의 양 파단편의 중심선이 일직선 위에 있도록 주의해서 파
단면을 맞대고 b)에 준해서 측정한 표점 사이의 길이(mm)
l。 : 표점 거 리(mm)
다만 연신율계를 사용하여 파단 연신율을 측정하는 경우는 특별히 지정이 없으면 l은 시험편 파단시
의 전체 연신율로 하면 된다.
또한 이것에 사용하는 연신율계는 그 표점 거리가 시험편의 표점 거리와 같고, 또한 표점 거리의 士
0.5%에 상당하는 정밀도로 연신율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한다.
비 고 판 모양 시험편에서 파단면을 맞댄 경우, 나비의 중앙부에 툼새 (CP) 가 있는 경우(그림 2)에 이
CP 의 치수를 빼지 않고 표점 0 1 , 02 간의 길이를 가지고 파단 연신율을 산출한다.

륨새 (CP)

C�P

그림 2 파단 연신율의 산출
5
B 0802 : 2003

i) 항복 연신율의 수치는 KSA3251 -1의 수치 맺음 방법 에 따라 소수점 이하 1자리로 끝맺음한다.


파단 연신율의 수치는 KS A 3251-1의 수치 맺음 방법에 따라 정수로 끝맺음한다. 다만 표점 거리가
100mm를 초과하는 경 우에는 다시 상세히 구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j) 단면 수축률의 측정에는 원형 단면의 시험편을사용한다.
k) 단면 수축률은 다음 식 에 따라 산출한다.
AJ-A
¢ = �xlOO

여 기에서 ¢ : 단면 수축률(%)
A : 시험편의 파단면을 주의하여 맞대고 a)에 준하여 측정한 최소 단
2
면적(mm )
:
A。 원 단면적(mm )
2

I) 단면 수축률의 수치는 KSA3251-1의 수치 맺음 방법 에 따라 정수로 끝맺음한다.


m) 인장 시험의 성 적에는 필요한 경우 시험편의 파단 위 치에 따라서 다음의 기 호를 부가하여 구 별한다.
1
A : 표점 간의 중심에서 표점 거리의 -4 이내(그림 3의 A부)에서 파단된 경 우
1
B : 표점 간의 중심에서 표점 거리의 -을 넘어 서 표점 이내(그림 3의 B부)에서 파단된 경 우
4
c : 표점 바깥(그림 3의 C부)에서 파단된 경 우

01 0·J
표점 거리

C
스I: 나 A
'I‘ B • ‘ C

그림 3 파단 위 치의 구분

이 A, B, C의 구분은 파단 후의 표점 간의 길이로 생각해도 된다.


n) 이 시험의 성 적에는 원칙적으로 시험편의 종류를 부기한다.

참 고 파단 연신율의 추정 시험편의 파단 위 치가 7. m)의 B의 경우에 표점 사이의 중앙에서 절단된 경우


의 파단 연신율의 값을 추정값으로(이하 추정값이라 한다.) 하려면 다음 방법 에 따른다(참고 그림 1 ).

’’

-I I l I I l· I I I I-l hI l I l 1 ·I
A 13 02

참고 그림 1 파단 연신 율의 추정

a) 미리 표점 사이를 적당한 길이로 등분하여 눈금 을 매 긴다.


b) 시험 후 파단면을 서 로 맞대서 짧은 쪽의 파단편 위 의 표점(0 ) )의 파단 위 치(P)에 대한 대칭
점에 가장 가까운 눈금(A)을 구하여 0 1 A사이의 길이를 측정한다.
c) 긴 쪽의 파단편 위 의 표집(02)과 A사이의 등수분을 n으로 하고 n이 짝수일 때는 A에서 02
의 방향으로 n/2번째의 눈금, n이 홀수일 때는 (n ― 1 )/2번째의 눈금과 (n+1)/2번째의 눈금의 중
심을 B로 하고 AB 사이의 길이를 측정한다.
6
B 0802 : 2003

d) 추정 값은 다음 식에 따라 산출하여 (추정값)이 라고 부기 한다.


01A+2AB-표점 거 리
추정값(%)= xlOO
표접 거리

-본-
한국산업표준 금속 재료 인장 시험 방법

발간 • 보급 한 국 표 준 협 회
153-787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동 가산디지털 1길 92
에 이 스하이 엔드타워 3차(13층)
fl (02)2624 ― 0114
fl (02)2624 ― 0148-9
http ://www.kssn.net
KS B 0802 : 2003
K
KSKS

KSKS
KSKSKS
Method of tensile test for metallic materials
ICS 77.040.10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http://www.kats.go.kr
I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