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58

교사용 지침서

2
영어권 『맞춤 한국어』는 한글학교에서 한국 법’란은 한국어가 부족한 부모님도 가정에서
어를 배우는 영어권 어린이들을 위한 교재이 자녀의 학습을 도와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 그중 2권인 본 교재는 초등학교 저학년 어 내용 구성에 있어서 본 교재의 특성은 다음
린이들에게 초점을 맞춘 교재로서 기초적인 과 같다. 첫째, 문법이 아닌 문형 중심으로 교
한국어 문장을 반복적으로 학습하면서 자연 육 내용을 구성하였다. 교실에서 배운 내용을
스럽게 한국어에 친숙해질 수 있도록 하였다. 가정이나 또래 집단에서 곧바로 활용할 수 있
또한 이제 막 한국어를 본격적으로 배우기 시 도록 하려면 문형 중심의 교육이 실용적이라
작한 어린 학습자들이 한국어가 재미있고 쉽 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며, 이때 다양한 연습 유
다는 첫인상을 가질 수 있도록 어린이들의 눈 형과 활동으로 학습에 대한 부담을 덜어 주려
높이에 맞는 재미있고 다양한 활동을 중심으 하였다. 둘째, ‘해요’체를 사용하여 모든 본문
로 구성하였다. 을 구성하였다. 실제 생활에서 활용도가 가장
본 교재는 한글학교의 교육과정을 고려하 높은 것이 ‘해요’체이며 그런 의미에서 ‘해요’
여 개발되었다. 한 학기의 수업 시간(주 1회 체에 먼저 익숙해지는 것이 효용성이 높기 때
2~3시간)에 맞게 전체 단원을 16개로 정하 문이다. 셋째, 고딕체를 사용한 점이다. 이는
고 한 주에 한 단원을 학습할 수 있도록 단원 어린이들은 성인과 달라 글자체의 작은 변화
별 학습 내용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학습자들 에도 민감할 수 있다고 여겨 글자를 식별하고
이 해외에 거주하는 점을 감안하여 한국과 한 따라 쓰는 데에 뒤따를 수 있는 혼란을 없애
국문화를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도록, 그리하 기 위해서이다.
여 궁극적으로는 국제사회에 대하여 열린 마 교재는 모두 16개의 학습 단원으로 이루어
음을 가질 수 있도록 ‘한국문화’에 대한 소개 져 있다. 내용은 일상생활에서 가장 자주 사
란을 별도로 두었다. 또한 학습자가 어린이들, 용되는 기초적이고 간단한 표현과 어휘를 중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들일 것이라는 점을 염 심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각 단원은 본문
두에 두고 어린이들의 특성과 눈높이에 맞는 을 중심으로 새로 나온 단어와 문형을 익히
교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무엇보다 학습자 는 ‘배워 봐요’, 배운 내용으로 듣기 연습과 말
들이 영어권 어린이들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하기 연습, 쓰기 연습을 중점적으로 하는 ‘들
본문을 제외한 모든 학습 내용과 연습 활동의 어 봐요’, ‘이야기해요’, ‘써 봐요’, 그리고 ‘문
지시문, 문화 소개란의 지문을 한국어와 영어 화 배우기’로 구성하였다. 교재의 단원 구성
로 제시하였으며, 부록으로 한국어와 영어 단 은 다음과 같다.
어 색인, 본문의 영어 번역, 단원별 학습 내용
의 영어 소개란을 두었다. 특별히 부록의 ‘문

2 맞춤 한국어 - 교사용 지침서


▣ 이야기해요
교재 구성
새로 배운 단어나 문형을 짝 활동 또는 모둠
활동을 통해 직접 사용해 볼 수 있도록 하였
본문은 단원에서 목표로 하는 문형과 어휘 다. 제시된 그림을 보며 예시 대화문과 같은
를 포함하고 있는 3~4문장 정도의 간단한 대 형식으로 말하기 활동을 할 수 있다.
화문 또는 서술문으로 제시하였다. 본문에 맞
는 그림을 삽화로 제시하여 이해를 돕고자 하 ▣ 써 봐요
였다. 쓰기 활동을 통해 배운 단어와 표현을 확
인해 보도록 한 단원의 마무리 학습 부분이
다. 이 단계의 학습자들의 수준에 맞게 보기
▣ 배워 봐요 와 함께 음절수에 맞는 빈칸을 제시하여 철자
단원에서 배워야 하는 단어와 문형을 그림 와 맞춤법, 띄어쓰기를 정확하게 익힐 수 있
과 함께 제시하였다. 단어 중 동사의 경우 기 도록 하였다.
본형을 가려 쓰지 않고 활용형 ‘해요’체로 제
시하였다. 문형을 제시할 때에는 목표 문형 ▣ 문화 배우기
(문법) 부분은 글자의 색깔을 다르게 하여 시 ‘문화 배우기’는 사진이나 그림 자료와 함
각적으로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모든 내 께 한국 문화를 소개하는 난이다. 여기서는
용에 영어 번역을 병기하여 학습자의 이해를 일방적인 한국 문화의 소개가 아니라 학습자
돕고자 하였다. 가 속한 문화권의 문화와 자연스럽게 비교해
보도록 함으로써 문화상대주의적 시각을 기
▣ 들어 봐요 를 수 있도록 하였으며, 다양한 한국 문화의
단원에서 학습한 문형을 중심으로 어휘, 혹 모습과 어린이들이 흥미를 가질 만한 소재를
은 문장 단위의 듣기 연습을 하는 부분이다. 다루었다.
학습자들의 연령대를 고려하여 서로 연결하
기, 맞는 것 고르기 등 간단한 활동으로 구성
하였다.

일러두기 3
‘Machum Hangugeo (Customized Korean)’ summaries are provided as appendices.
is a textbook to be used in Korean schools Also in the appendix, there is an grammar
for English-speaking children. Book 2, section that will enable parents with little
which is the second book of this series, is or no knowledge of Korean to help their
a textbook for lower grade primary school children learn the language at home.
children and is aimed at enabling children There are several special features to this
to become casually acquainted with Korean textbook. First, proper sentence structure
by providing repeated input of basic Korean formation, rather than excessive grammar
sentence structures. The textbook provides a rules, constitutes the main focus of each
variety of exciting activities to give young chapter. The aim of the book is to have
beginning learners of Korean the impression students use the language they learn right
that learning Korean is fun and easy. away at home or with their peers. Thus the
The textbook was designed with Korean book espouses a decidedly practical approach
school curricula in mind. It is comprised to learning. To this end, students learn by
of 16 units, so that one unit can be covered engaging in a variety of activities intended to
every week (1 unit per week, each lesson reduce anxieties related to learning. Secondly,
lasting 2-3 hours). Considering that the target all text are composed in the ‘해요’ ending, as
learners are residing outside of Korea, the the ‘해요’ ending is most frequently used in
textbook also includes a separate Korean everyday Korean. Thirdly, in order to reduce
Culture section to let learners naturally confusion and increase readability, the book
learn about Korea and its culture, eventually utilizes the Gothic type font.
enabling students to cultivate an open mind The textbook is comprised of 16 units.
towards the world. In addition, considering Lessons 1 through 10 help students get
the young ages of students, efforts were acquainted with Korean vowels and
made to accommodate young children’s consonants, while lessons 11 through 16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needs. contain basic sentence patterns and simple
Also, as the main target learners may be expressions. The lessons that deal with
English-speakers, the textbook provides most vowels and consonants were designed so
text, including the main content, instructions that beginning learners can become easily
in practice activities, and cultural notes in accustomed to the sounds and spellings of
both Korean and English. In addition, a Hangul. The book also introduces an array
vocabulary index, English translations of of new vocabulary with objects that students
the Korean text and unit-by-unit English frequently see in their daily lives to increase

4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familiarity. Lessons 11 through 16 introduce ▣ Let’s Listen!
simple dialogues and descriptive texts. This section provides an opportunity to
The lessons start with ‘Let’s Learn’, where practice listening to vocabulary and sentence
students are introduced to new vocabulary and patterns, that have already been studied. It
sentence patterns, then go on to ‘Let’s Listen’, comprises simple tasks, that are appropriate
‘Let’s Talk’ and ‘Let’s Write’, which are to younger learners, such as connecting two
activities that help students practice speaking items or selecting the correct answer.
and writing in Korean. The lesson ends with
‘Let’s look at Korean culture’. Details of how ▣ Let’s Talk!
each lesson is composed are explained below. This section presents an opportunity to
practice new vocabulary or sentence patterns
through pair activities or group activities.
Students can practice speaking Korean with
Book Content the sample dialogues and with the help of the
accompanying illustrations.

Every unit presents simple dialogues and ▣ Let’s Write!


descriptive texts of 3 to 4 sentences that This activity concludes the unit and gives
include the target sentence patterns and students the opportunity to practice writing
vocabulary of each lesson. Illustrations and the vocabulary and expressions they had
pictures accompany the subjects presented in learned throughout the lesson. Students
the text to assist learning. can learn the proper spelling and spacing
of Korean expressions by practicing on the
▣ Let’s Learn! sections specifically designed for young
Key vocabulary terms and sentence beginning learners.
patterns are presented in each unit along with
illustrations. Verbs are presented in the ‘해 ▣ Let’s look at Korean culture!
요’ ending. Every unit also contains sentence Photographs or illustrations are presented
patterns (grammar) which are highlighted to introduce an aspect of Korean culture. This
by a different color in the text to heighten is an opportunity for students to compare and
awareness. In addition, in order to assist contrast their own culture to Korean culture.
learning, the contents of this section are The topics for discussion are chosen with the
rendered in English alongside the Korean. needs and interests of young learners in mind.

일러두기 5
교재 구성표

단원 단원명 (기능)주제 어휘 문법과 표현 과제 문화

워싱턴, 뉴욕, 어디에서 살아요?


N에서 살아요 자기소개
워싱턴에서 로스앤젤레스,
1 자기 소개하기 글 쓰고 서울과 워싱턴
살아요 샌프란시스코, 학교에 다녀요?
N에 다녀요 발표하기
보스턴, 마이애미

누구예요?
우리 엄마 할아버지, 할머니, 우리
2 가족 소개하기 가족 소개하기 “우리” 가족
예요 아빠, 엄마, 나, 동생 N은/는
N에(이동)

회사, 백화점, 유치원,


이동 장소 병원, 약국, 어디에 가요? 이동 장소 한국의 동요
3 어디에 가요?
표현하기 슈퍼마켓(슈퍼), N에 가요/와요 묻고 대답하기 <뽀뽀뽀>
가요, 와요

신문, 그림, 우유, 주스,


4 뭘 해요? 그림 보고 행동 5월의
책을 읽어요 행동 표현하기 읽어요, 봐요, 마셔요,
N을/를 묻고 대답하기 특별한 날들
먹어요, 그려요

자기가 좋아하
우유가 아이스크림, 사탕, 과자, 뭐가 좋아요? 는 것 말하기,
5 기호 표현하기 밥상과 식탁
좋아요 만두, 피자, 스파게티 N이/가 좋아요 친구의 기호
조사하기

뭘 좋아해요?
불고기, 잡채, 라면, 좋아하는 것과
불고기를 뭘 싫어해요?
6 기호 표현하기 김치, 좋아해요, 싫어하는 것 불고기와 김치
좋아해요 N을/를 좋아해요
싫어해요 발표하기
N을/를 싫어해요

노래해요, 수영해요,
누가 그림 보고 주체
7 주체 설명하기 운동해요, 축구해요, 누가 제기차기
노래해요? 묻고 대답하기
전화해요, 공부해요

시간 표현
언제 아침, 저녁, 오늘, 언제
8 시간 표현하기 사용하여 한국의 사계절
수영해요? 내일, 산, 바다 N에(시간)
이야기하기

6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단원 단원명 주제 어휘 문법과 표현 과제 문화

장난감 기차,
N이/가 있어요?
장난감 장난감 비행기, 자기 소유
소유 표현 N이/가 있어요
9 기차가 장난감 자동차, 물건에 대해 종이접기
하기 N이/가 없어요
있어요? 곰 인형, 토끼 인 쓰고 발표하기
(소유)
형, 강아지 인형

누구(의)
동화책, 필통, 그림 보고 소유자
소유 제 금도끼
10 제 책이에요 우산, 신발, 옷, 묻고 대답하기
표현하기 사람 지칭어+ 은도끼
가위
(의)+N

치마, 바지,
11 치마가 부정 N이/가 긍정ㆍ부정 표현 한국의 동요
운동화, 구두,
아니에요 표현하기 아니에요 사용하여 대답하기 <나비야>
안경, 양말, 모자

장소에서 미끄럼틀, 그림 보고 어디에서


놀이터에서 어디에서
12 하는 일 자전거, 타요, 무엇을 하는지 연날리기
그네를 타요 N에서
표현하기 사요 묻고 대답하기

숫자 일, 이, 삼, 사, 오, 아라비아 숫자
13 일, 이, 삼, 사 육, 칠, 팔, 구, 십 숫자 4
표현하기 1 읽고 쓰기 1

하나, 둘, 셋, 넷, 다섯,
하나, 둘, 숫자 아라비아 숫자 한국의 동요
14 여섯, 일곱, 여덟, 아홉, 열,
셋, 넷 표현하기 2 읽고 쓰기 2 <곰 세 마리>
한, 두, 세, 네, 개, 살

아빠, 엄마, 표현
15 사랑해요, 행복해요 부모님께 편지 쓰기 사랑해요
사랑해요 익히기 1

축하합니다, 죄송합니다,
표현
16 고맙습니다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 친구들과 역할극하기 최고
익히기 2
잘 먹겠습니다, 잘 먹었습니다

교재 구성표 7
지침서의 구성

『맞춤 한국어 2』는 『맞춤 한국어 1』을 학습한 학 대해 학습한 후 문화 활동을 하도록 한다. 본 지침
습자 또는 한글 자모를 학습하고 기본적인 인사 서에서는 각 과의 마지막 부분에 해당 과에서 학습
표현을 학습한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쉽고 재미있 한 어휘 및 문법에 대한 ‘종합 연습’을 두어 학습자
게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 과의 구성 들이 해당 과의 어휘 및 문법을 충분히 연습할 수
은 ‘본문→배워 봐요→들어 봐요→이야기해요→ 있도록 하였다. ‘종합 연습’의 경우 해당 과의 학습
써 봐요→문화 배우기’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을 마치고 형성평가의 형태로 활용할 수도 있고,
본문에서는 해당 과에서 학습하게 될 목표 문법 해당 문법이 학습자들에게 어려울 경우 수업 시간
및 어휘를 노출시키고, ‘배워 봐요’에서는 새로운 에 연습 문제로 활용할 수도 있다. 수업 시간에 활
어휘와 문법을 학습시킨 후 듣기, 말하기, 쓰기 활 용하기에 시간이 부족할 경우 숙제로 내 주어 학습
동을 통해 학습한 어휘 및 문법을 연습할 수 있도 자들이 집에서 풀어 볼 수 있도록 한다.
록 한다. 그리고 ‘문화 배우기’를 통해 한국 문화에

해당 과에서 학습하게 될
문법과 표현을
해당 과의 제시하였습니다.
해당 페이지에서
학습 목표입니다.
학습하게 될 내용이
무엇인지
제시하였습니다.
해당 과에서
학습하게 될 어휘를
제시하였습니다. 해당 페이지의
교수-학습 활동을
학습 과정에서
자세히 다루었습니다.

교수 활동에 활용할 수 있는
‘교수 Tip’을 제시하여
본문을 활용한 교수-학습 활동의 질을
듣기/읽기 활동을 높이고자 하였습니다.
본문에 제시된 그림을 제시하였습니다.
활용한 활동을
제시하였습니다.
각 과의 해당 페이지에서
학습한 내용을 반영하여 학습 내용을
심화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교실 활동을 제시하였습니다.

8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문화 배우기’에서
학습할 내용을
제시하였습니다.

해당 과에서 학습하게
될 문화 항목에 대한
교수-학습 과정을
자세히 다루었습니다.

‘문화 배우기’ 본문의


내용을 한국어로
번역하여 수록하였습니다.
한국어 번역문은
영어 원문을 직역하여
제시한 것이 아니라
자연스러운 한국어
학습한 문화 항목을 활용한
표현으로 바꾸어
활동이나 인접 문화 항목과
제시하였습니다.
연계된 다양한 활동을
제시하였습니다.

각 과의 마지막에 해당 과에서 학습한


어휘와 문법을 중심으로 두 쪽 분량의
‘종합 연습’을 수록하였습니다. 형성평가,
심화 연습, 숙제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지침서의 구성 9
목 차
01 워싱턴에서 살아요 I live in Washington ‥‥‥‥‥‥‥‥‥‥‥ 12
02 우리 엄마예요 This is my mom ‥‥‥‥‥‥‥‥‥‥‥‥‥‥ 20
03 어디에 가요? Where are you going?‥‥‥‥‥‥‥‥‥‥‥‥‥ 28
04 책을 읽어요 I’m reading a book‥ ‥‥‥‥‥‥‥‥‥‥‥‥‥ 36
05 우유가 좋아요 I like milk‥‥‥‥‥‥‥‥‥‥‥‥‥‥‥‥ 44
06 불고기를 좋아해요 I like bulgogi‥ ‥‥‥‥‥‥‥‥‥‥‥‥ 52
07 누가 노래해요? Who is singing?‥ ‥‥‥‥‥‥‥‥‥‥‥‥ 60
08 언제 수영해요? When do you go swimming?‥‥‥‥‥‥‥‥‥‥ 68
09 장난감 기차가 있어요? Do you have a toy train?‥ ‥‥‥‥‥‥‥ 76
10 제 책이에요 It is my book‥‥‥‥‥‥‥‥‥‥‥‥‥‥‥‥ 84
11 치마가 아니에요 This is not a skirt‥‥‥‥‥‥‥‥‥‥‥‥‥ 92
12 놀이터에서 그네를 타요 I ride on a swing in the playground‥‥‥‥‥ 100
13 일, 이, 삼, 사 One, two, three, four‥ ‥‥‥‥‥‥‥‥‥‥‥‥ 108
14 하나, 둘, 셋, 넷 One, two, three, four‥ ‥‥‥‥‥‥‥‥‥‥‥ 116
15 아빠, 엄마, 사랑해요 I love you, mom and dad‥‥‥‥‥‥‥‥‥ 124
16 고맙습니다 Thank you‥‥‥‥‥‥‥‥‥‥‥‥‥‥‥‥‥ 132

▣ 부록‥‥‥‥‥‥‥‥‥‥‥‥‥‥‥‥‥‥‥‥‥‥‥ 140
제1과 워싱턴에서 살아요

학습 목표
어디 사는지에 관한 질문을 하고 대답할 수
있다.

문법과 표현
▶ 어디에서 살아요?
▶ N에서 살아요

▶ 학교에 다녀요?

▶ N에 다녀요

학습 어휘
워싱턴, 뉴욕, 로스앤젤레스, 샌프란시스코,
보스턴, 마이애미

듣기/읽기 활동
수업 도우미
- CD를 듣고 들은 내용이 무엇인지에 대해 자유
롭게 이야기한다.
그림 활동 - 들은 내용 중 모르는 말이 있는지를 물어 간단하
게 설명해 준다.
- 그림을 보면서 대화가 이루어지는 장소와 대화 - CD를 들으면서 한 문장씩 따라 읽히거나 교사가
에 참여하는 사람이 누구인지 등에 대해 묻고 먼저 읽고 따라 읽힌다.
답한다. - 두 학생을 지정하여 역할을 나누어 읽힌다.
- 옆 친구와 역할을 나누어 읽게 한다.

12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1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미국 주요 도시의 이름을 확인하고 ‘어디


에서 살아요?’라는 질문과 ‘학교에 다녀
요?’라는 질문에 적절하게 대답할 수 있
는 표현을 익힌다.

학습 과정

1) 먼저 그림을 보며 미국의 주요 도시를


확인한다. 교재의 그림 외에 실물 사
진 자료를 준비하여 도시의 특징을 간
략히 설명해 주어도 좋다.
2) 학생 전체가 볼 수 있는 크기로 ‘어디
에서 살아요?’ 라는 문형 카드를 칠판
에 붙이거나 직접 칠판에 써서 의미를
설명해 준다.
3) 학생 전체가 볼 수 있도록 ‘에서 살아
요.’라는 문형 카드를 준비하거나 칠
판에 쓰고 ‘에서’ 부분은 다른 색깔로
표시해 준 다음 의미를 설명해 준다.
교수 Tip 4) 대답에 해당하는 카드에 다양한 도시
이름을 넣어 가며 연습을 한다.
● 받침 발음 ‘ㄹ’은 환경에 따라 [r]과 [l] 로 발음된다. 단 5) 교재에 제시된 도시가 아닌 학생들이
어의 첫머리에서와 뒤에 모음이 따라오는 경우 [r]로 발 알고 있는 지명을 넣어 가며 연습하
음하며, 뒤에 자음이 오는 경우 [l]로 발음한다. ‘살아요’ 게 한다.
는 어간 ‘살’ 다음에 모음이 오므로 [r]로 발음한다. 6) ‘학교에 다녀요?’, ‘네, 학교에 다녀요.’
도 위의 방법으로 제시한 후 연습시
● 동사 ‘살다’의 경우 부사격 조사로 ‘에서’와 ‘에’가 다 킨다.
사용될 수 있지만 학생들에게는 한 가지 형태로만 제시
하는 것이 혼란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 학생들에게 익숙한 지명(예를 들어 학생들의 거주 지역 혹은 한국을 비롯한 국가명)을 카드에


활동 써서 보여 주며 질문에 주어진 문형으로 대답하게 한다.
▶ 두 명씩 짝을 지어 준 후 서로의 사는 곳을 묻고 대답하게 한다.

제1과 | 워싱턴에서 살아요 13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단원 학습 문법과 표현을 듣기 활동을 통


해 연습한다.

학습 과정

1) 그림을 보며 인물과 도시를 함께 확


인한다.
2) 대화문을 각각 두 번씩 들려주되 들
은 내용을 이해했는지 질문을 통해 확
인한다.
3) 대화문을 다시 들려주며 문제를 풀도
록 한다.
4) 학생들이 서로의 답을 비교해 보도록
한 다음 교사와 함께 정답을 확인한
다.
5) 학생들에게 들은 내용에 관해 질문을
하며 다 함께 대답하도록 한다. 활동

▶부
 록에 제시된 듣기 지문을 순서대로 역할을
나누어 두 사람씩 읽게 하고 다른 사람들은 따
교수 Tip 라 읽게 한다.
- 녹음된 대화에 가장 가깝게 읽은 사람을 뽑
● 녹음 자료에서 미국 도시의 이름은 미국 아 본다.
식 발음이 아닌 한국식 발음으로 녹음되어
있다. 발음 방식의 차이로 인해 학생들이 듣
고도 어느 도시인지 정확히 파악하지 못할
수도 있으므로 각 도시의 이름을 한국 사람
들이 어떻게 발음하는지에 대해 미리 안내
해 줄 필요가 있다.

14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1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사는 곳에 대해 질문하고 대답하는 과정
을 통해 자연스럽게 해당 표현을 사용하
여 말할 수 있도록 한다.

학습 과정

1) 학생들에게 예시 대화문을 읽게 하여
활동 내용을 확인하도록 한다.
2) 미국 지도를 보며 주요 도시와 인물을
확인한다. 학생들이 사는 곳이 지도에
제시된 도시가 아니면 위치를 대충 표
시해 주어도 좋다.
3) 역할을 나누어 한 사람은 질문하고 다
른 한 사람은 대답을 하면서 옆 사람
과 말하기 연습을 하도록 한다. 질문
과 대답의 역할은 교대로 하도록 한
활동 다.
4) 충분한 연습을 한 후 한 팀씩 앞으로
▶학
 생들이 살고 있는 곳을 “저는 ~ 에서 살아요. 나와서 발표해 보도록 한다.
학교에 다녀요.”라는 문형을 이용하여 한 사람
씩 말하게 한다. 이때 학생들이 사는 곳을 한글
로 쓰게 하고 한글 표기를 어떻게 하는지를 가
르쳐 준다.

▶한
 사람씩 돌아가며 친구가 사는 곳을 기억해
서 말하게 한다. 예) 제니는 웨스트버리에서 살
아요.

제1과 | 워싱턴에서 살아요 15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쓰기 활동을 통해 학습 내용을 정확하


게 문자 언어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학습 과정

1) 그림을 보면서 다 함께 읽게 한다.


2) 예시를 보면서 표기 순서와 띄어쓰기
규칙에 맞게 빈칸에 쓰게 한다.
3) 세 번째 문장은 학생들이 사는 곳을
쓰도록 한다.
4) 학생들이 쓴 것을 확인하여 잘못된 글
자를 바로잡아 준다.
5) 쓴 문장을 다시 한 번 읽어 보도록 한
다.

활동

▶ 교사가 단어를 불러 주면 학생들은 해당 단어를


공책에 받아쓴다.

▶ 두 사람씩 짝을 이루어 한 학생이 친구들이 사


는 곳을 말하면 다른 학생은 들은 문장을 공책
에 받아쓰도록 한다.

16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1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한국과 미국의 수도에 대해 배운다.

학습 과정

1) 한국에 가 본 경험이 있는지, 있다면


어디에 가 보았는지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를 나눈다.
2) ‘수도’의 의미에 대해 설명해 준다.
3) 서울과 워싱턴이 갖는 의미에 대해 설
명해 준다.
4) 교재의 내용을 함께 읽고 내용에 대해
묻고 대답하도록 한다.
5) 서울과 워싱턴의 여러 모습들을 담은
사진 자료를 보며 이야기해 준다.

한국어 번역 서울과 워싱턴

● 청와대와 정부 기관이 있는 한국의 수도 서


울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중심지이다. 약
10,500,000명의 사람들이 살고 있는 세계에서 인
구가 가장 많은 거대 도시이다. 또한 약 600년 전
부터 한국의 중심 도시였기 때문에 지금도 옛날 모
습을 알 수 있는 곳이 많다. 워싱턴은 1790년 미
국의 수도로 지정되었고 지금까지 미국을 대표하
는 중심지이다. 이 도시는 여러 중요한 기관이 있
고 기념물도 많아서 전 세계에서 많은 사람들이
찾아온다.

참고 서울 시청 홈페이지 http://www.seoul.go.kr/

제1과 | 워싱턴에서 살아요 17


제1과 종합연습

1. 다음 그림을 보고 도시 이름을 써 보세요.

(1)

(2)

(3)

(4)

(5)

18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1
2. 보기와 같이 써 보세요.

보기
저 는 마 이 애 미 에 서 살 아 요 .

(1)

(2)

(3)

(4)

제1과 | 워싱턴에서 살아요 19


제2과 우리 엄마예요

학습 목표
가족 구성원에 관한 어휘를 익혀 누구인지
관계를 말할 수 있다.

문법과 표현
▶ 우리
▶ ~예요

학습 어휘
할아버지, 할머니, 아빠, 엄마, 나, 동생

듣기/읽기 활동
수업 도우미
- CD를 듣고 들은 내용이 무엇인지에 대해 자유
롭게 이야기한다.
그림 활동 - 들은 내용 중 모르는 말이 있는지를 물어 간단하
게 설명해 준다.
- 그림을 보면서 그림에 등장하는 사람이 누구인 - CD를 들으면서 한 문장씩 따라 읽히거나 교사가
지, 그들의 관계가 무엇인지 등에 대해 묻고 답 먼저 읽고 따라 읽힌다.
한다. - 두 학생을 지정하여 역할을 나누어 읽힌다.
- 옆 친구와 역할을 나누어 읽게 한다.

20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2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가족 구성원에 관한 어휘를 익히고 누구


인지 묻고 대답할 수 있도록 문법 및 표
현을 학습한다.

학습 과정

1) 먼저 그림을 보며 ‘나’를 중심으로 한


가족 구성원 간의 관계를 확인한다.
2) 학생 전체가 볼 수 있는 크기로 ‘누구
예요?’ 라는 문형 카드를 칠판에 붙이
거나 글씨를 쓰고 의미를 설명해 준다.
3) 학생 전체가 볼 수 있도록 ‘-예요’,
‘-이에요’라는 문형 카드를 준비하거
나 칠판에 쓰고 용법을 설명해 준다.
4) 대답에 해당하는 카드에 다양한 가족
명칭을 넣어 가며 연습을 하게 한다.
5) 교재의 예문을 따라 읽게 한다.
6) 학생들의 가족 관계를 물어서 교재에
교수 Tip 제시된 어휘 이외의 관계에 관한 어
휘를 제시해 준다. 예) 형, 누나, 언니,
● 한국어에서 가족 관계는 영어에서 1인칭 단수
오빠
소유 대명사 ‘my’를 사용하는 것과 달리 ‘우리’라
는 복수 소유 대명사를 사용한다. ‘우리’는 가족 관
계 외에도 ‘선생님’, ‘교실’, ‘학교’, ‘나라’ 등에서도
사용된다. 활동

● ‘친구’의 경우 ‘우리’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보 ▶교


 재에 제시된 어휘를 확대 복사하여 칠
다 생략하는 것이 자연스럽고 ‘동생’의 경우 성별 판에 붙여 두고 배운 문형으로 질문하고
의 제한 없이 두루 사용된다. 대답하게 한다.
▶학
 생을 한 명 지목하여 그림을 가리키
며 질문하게 하고 다른 학생들은 대답하
게 한다.

제2과 | 우리 엄마예요 21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단원 학습 문법과 표현을 듣기 활동을 통


해 연습한다.

학습 과정

1) 그림을 보며 인물을 확인한다.


2) 대화문을 각각 두 번씩 들려주고 들
은 내용을 이해했는지 질문을 통해 확
인한다.
3) 대화문을 다시 들려주며 문제를 풀도
록 한다.
4) 학생들이 서로의 답을 비교해 보도록
한 다음 교사와 함께 정답을 확인하
게 한다.
5) 학생들에게 들은 내용에 관해 질문을
하며 다 함께 대답하도록 한다.
활동

▶ 부록에 제시된 듣기 지문을 순서대로 역할을


나누어 두 사람씩 읽게 하고 등장하는 인물에
대해 질문한다.
예) 린다의 할머니는 어디에 살아요?
토니의 동생은 학교에 다녀요?
스티븐은 어디에 살아요?

22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2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가족 관계에 대해 질문하고 대답하는 과


정을 통해 자연스럽게 해당 표현을 사용
하여 말할 수 있도록 한다.

학습 과정

1) 학생들에게 예시 대화문을 읽게 하여
활동 내용을 확인하도록 한다.
2) 그림을 보면서 각 장면마다 인물의 관
계에 대해 이야기한다.
3) 역할을 나누어 한 사람은 질문하고 다
른 한 사람은 대답을 하면서 옆 사람
과 말하기 연습을 하도록 한다. 질문
과 대답의 역할은 교대로 하도록 한
다.
4) 충분한 연습을 한 후 한 팀씩 앞으로
활동 나와서 발표해 보도록 한다.

▶학
 생에게 가족 사진을 가져오게 하거나 가족 관
계를 그림으로 표현하도록 한다.

▶자
 신의 가족 구성원에 관하여 한 사람씩 발표
하게 한다.

▶두
 사람씩 짝을 지어 배운 문형을 이용하여 질
문하고 대답하게 한다.

제2과 | 우리 엄마예요 23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쓰기 활동을 통해 가족 구성원을 정확하


게 쓸 수 있도록 한다.

학습 과정

1) 그림을 보면서 다 함께 가족 관계를


확인한다.
2) 빈칸에 가족 구성원에 관한 어휘를 쓰
게 한다.
3) 학생들이 쓴 것을 옆 사람과 바꾸어
확인하고 잘못 쓰여진 글자가 있는지
찾아보게 한다.
4) 배운 문형을 이용하여 그림에 나오는
인물을 한 명씩 말하게 한다.

활동

▶ 교사가 단어를 불러 주면 학생들은 해당 단어를


공책에 받아쓴다.

▶ 두 사람씩 짝을 이루어 한 학생은 단어를 불러


주고 다른 학생은 들은 단어를 공책에 받아쓰
도록 한다.

24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2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한국어의 ‘우리’라는 표현에 대해 이해


한다.

학습 과정

1) 영어에서 자신의 가족을 어떻게 표현


하는지 말해 보게 한다.
2) 한국어의 가족 관계 표현 방식을 설
명해 준다.
3) 교재의 내용을 함께 읽고 내용에 대해
이야기해 본다.
4) ‘우리’라는 표현이 모든 명사와 어울
리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인지시키
고 ‘우리’라는 표현과 어울리는 일부
명사들을 제시해 준다. 예) 학교, 교
실, 가족, 집, 나라 그리고 아빠, 엄마
한국어 번역 “우리”가족 와 같은 가족 관련 명사

● 영어로는 “내 엄마”라고 하는데, 한국어로는 “우


리 엄마”라고 하고 영어로는 “내 집”이라고 하는데,
한국어로는 “우리 집”이라고 한다. 이렇게 한국 사
람은 “우리”라는 말을 좋아해서 “우리 학교”, “우리
선생님”, “우리나라”라고 말한다. 이것은 한국 사람
들이 서로 도와 가며 함께 사는 것을 중요하게 생
각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런 표현들은 외국 사람
들은 재미있게 생각할 수도 있다. 형제가 없는 사
람도 아빠를 “우리 아빠”라고 하기 때문이다.

제2과 | 우리 엄마예요 25
제2과 종합연습

1. 맞는 것끼리 연결하세요.

(1) ● ● 엄마

(2) ● ● 할아버지

(3) ● ● 할머니

(4) ● ● 아빠

2. 여러분의 가족을 그림으로 그리고 누구인지 써 보세요.

26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2
3. <보기>와 같이 써 보세요.

보기 가: 누구예요?
나: (할머니) 우 리 할 머 니 예 요 .

(1) 가: 누구예요?

나: (아빠)

(2) 가: 누구예요?

나: (엄마)

(3) 가: 누구예요?

나: (동생)

(4) 가: 누구예요?

나: (할아버지)

(5) 가: 누구예요?

나: (선생님)

제2과 | 우리 엄마예요 27
제3과 어디에 가요?

학습 목표
장소 관련 어휘와 이동 표현을 이해하고 사
용할 수 있다.

문법과 표현
▶ N은/는
▶ N에(이동)

▶ 어디에 가요?

▶ N에 가요/와요

학습 어휘
회사, 백화점, 유치원, 병원, 약국, 슈퍼마켓,
가요, 와요

듣기/읽기 활동
수업 도우미
- CD를 듣고 들은 내용이 무엇인지에 대해 자유
롭게 이야기한다.
그림 활동 - 들은 내용 중 모르는 말이 있는지를 물어 간단하
게 설명해 준다.
- 그림을 보면서 그림에 등장하는 장소에 대해 이 - CD를 들으면서 한 문장씩 따라 읽히거나 교사가
야기한다. 먼저 읽고 따라 읽힌다.
- 두 학생을 지정하여 읽힌다.
- 옆 친구와 본문을 교대로 읽게 한다.

28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3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여러 가지 장소 명사를 그림을 통해 학
습하고 이동 표현과 관련된 문법 및 표
현을 익힌다.

학습 과정

1) 학생 전체가 볼 수 있는 크기로 그림


을 복사해 칠판에 붙여 놓고 의미를
설명해 준다.
2) 제시된 단어를 따라 읽게 한다. 백화
점[배콰점], 약국[약꾹], 슈퍼마켓[슈
퍼마 ] 등의 단어는 발음에 유의하
도록 한다.
3) 학생 전체가 볼 수 있도록 ‘어디에 가
요?’, ‘에 가요.’라는 문형 카드를 준
비하거나 칠판에 쓰고 용법을 설명해
교수 Tip 준다.
4) ‘에 가요.’라는 문형 카드에 다양한 장
● 한국어에서 ‘가다’와 ‘오다’는 말하는 사람을 기 소 명사를 넣어 가며 연습을 한다.
준으로 사용된다. ‘가다’는 이동하는 사람이 말하 5) 교재의 예문을 따라 읽게 한다.
는 사람으로부터 멀어질 때, ‘오다’는 이동하는 사 6) 학생들에게 질문을 하여 대답하게 한
람이 말하는 사람에게로 가까워질 때 사용된다. 그 다.
러나 영어에서는 이동하는 사람이 듣는 사람에게
가까워질 때에도 ‘come’을 사용한다.

활동

▶확
 대 복사한 장소 그림을 칠판에 붙여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의 위치가 해당 장소에 있을 때와 그렇지
않을 때를 시각적으로 표시해 주며 ‘가요’와 ‘와요’의 용법을 설명해 준다.

제3과 | 어디에 가요? 29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단원 학습 문법과 표현을 듣기 활동을 통


해 연습한다.

학습 과정

1) 그림을 보며 인물과 장소를 확인한다.


2) 대화문을 각각 두 번씩 들려주고 들
은 내용을 이해했는지 질문을 통해 확
인한다.
3) 대화문을 다시 들려주며 문제를 풀도
록 한다.
4) 학생들이 서로의 답을 비교해 보도록
한 다음 교사와 함께 정답을 확인한
다.
5) 학생들에게 들은 내용에 관해 질문을
하며 다 함께 대답하도록 한다.
활동

▶ 부록에 제시된 듣기 지문을 따라 읽게 한다.

▶ 두 학생을 지목하여 역할을 나누어 읽게 하고


다른 학생들은 따라 읽게 한다.

30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3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이동 장소를 묻고 답하는 활동을 통해 배


운 표현을 연습한다.

학습 과정

1) 학생들을 둥글게 앉히고 장소 그림 카


드를 한 장씩 나눠 준다.
2) 게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먼저 교재
의 예문으로 예를 들어 준다.
3) 다른 사람이 가지고 있는 그림 카드의
장소를 예시문의 형식과 같이 질문을
통해 알아맞힌다. 한 사람이 한 번씩
만 질문할 수 있으며 틀린 경우 질문
기회는 다른 사람에게 넘어가게 된다.
4) 자기가 가진 카드의 장소를 다른 학생
이 질문을 통해 맞히게 되면 그 다음
활동 사람이 질문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전체 학생이 질문하고 대답
▶그
 림 카드를 섞어 학생들에게 나눠 주고 두 사 하는 기회를 갖도록 한다.
람씩 짝을 지어 준다.
- 예문과 같이 두 사람이 서로 질문을 하고 대
답하게 한다.
 예) 가: 어디에 가요?
나: 수영장에 가요.

제3과 | 어디에 가요? 31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쓰기 활동을 통해 이동 장소에 관한 표현
을 정확하게 쓸 수 있도록 한다.

학습 과정

1) 그림을 보면서 다 함께 장소를 확인


한다.
2) 빈칸에 알맞은 문장을 쓰게 한다. 이
때 띄어쓰기와 맞춤법에 유의하도록
한다.
3) 학생들이 쓴 것을 옆 사람과 바꾸어
확인하고 잘못 쓰여진 글자가 있는지
찾아보게 한다.
4) 쓴 문장을 다 함께 읽어 보게 한다.

활동

▶ 교사가 단어를 불러 주면 학생들은 해당 단어를


공책에 받아쓴다.

▶ 두 사람씩 짝을 이루어 한 학생은 단어를 불러


주고 다른 학생은 들은 단어를 공책에 받아쓰
도록 한다.

32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3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한국 동요 ‘뽀뽀뽀’를 배워 다 함께 불
러 본다.

학습 과정

1) 먼저 다 함께 노래를 들어 본다. CD


를 이용하거나 인터넷 사이트를 활용
한다.
2) 노랫말의 의미를 간단히 설명해 주고
한 소절씩 따라 부르게 한다.
3) 노래를 완전히 익히게 되면 다 함께
부른다.

문화 Tip

● ‘뽀뽀’는 볼이나 입술에 입을 맞추는 것을 의미하는데


주로 어린이들에게 사용하는 말이다. 아직 말을 하지 못
하는 아기들도 어른들이 ‘뽀뽀’라는 말을 하면 볼에 입을
맞추는 행동을 할 정도로 한국의 어린이들에게는 익숙한
단어이기도 하다. ‘뽀뽀뽀’는 바로 이런 이야기를 노래
에 담은 것으로 한국의 어린이들이 즐겨 듣고 부르는 동
요이다. 가락이 흥겹고 노랫말이 쉬워서 어린이들이 쉽
게 따라한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인터넷 사이트에
서 쉽게 찾아 들을 수 있다.

참고 http://kids.daum.net

제3과 | 어디에 가요? 33


제3과 종합연습

1. 연결하세요.

(1) ● ● 백화점

(2) ● ● 회사

(3) ● ● 유치원

(4) ● ● 약국

(5) ● ● 병원

(6) ● ● 슈퍼마켓

34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3
2. <보기>와 같이 쓰세요.

보기 어디에 가요?
(약국) 약 국 에 가 요 .

(1) 가: 어디에 가요?


나: (수영장)

(2) 가: 어디에 가요?


나: (슈퍼마켓)

(3) 가: 어디에 가요?


나: (유치원)

(4) 가: 어디에 가요?


나: (공원)

3. 어디에 가요? 그림을 보고 <보기>와 같이 쓰세요.

보기
아빠는 회 사 에 가 요 .

(1) 엄마는

(2) 할머니는

(3) 저는

제3과 | 어디에 가요? 35


제4과 책을 읽어요

학습 목표
기본적인 동작 관련 표현을 익혀 사용할 수
있다.

문법과 표현
▶ 뭘 해요?
▶ N을/를

학습 어휘
▶ 신문, 그림, 우유, 주스
▶ 읽어요, 봐요, 마셔요, 먹어요, 그려요

듣기/읽기 활동
수업 도우미
- CD를 듣고 들은 내용이 무엇인지에 대해 자유
롭게 이야기한다.
그림 활동 - 들은 내용 중 모르는 말이 있는지를 물어 간단하
게 설명해 준다.
- 그림을 보면서 그림에 등장하는 장소와 인물의 - CD를 들으면서 한 문장씩 따라 읽히거나 교사가
행동에 대해 이야기한다. 먼저 읽고 따라 읽힌다.
- 두 학생을 지정하여 읽힌다.
- 옆 친구와 본문을 교대로 읽게 한다.

36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4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여러 가지 사물의 이름과 동작 동사를


그림을 통해 학습하고 무엇을 하는지 묻
고 대답하는 데 필요한 문법 및 표현을
학습한다.

학습 과정

1) 학생 전체가 볼 수 있는 크기로 그림


을 복사해 칠판에 붙여 놓고 의미를
설명해 준다.
2) 제시된 단어 중 명사를 읽게 하고 의
미를 설명해 준다.
3) 제시된 단어 중 동사를 읽게 하고 의
미를 설명해 준다. ‘읽어요[일거요]’
는 발음에 유의하도록 한다.
4) 동사의 경우 앞에 목적어로 어떤 종류
의 명사가 올 수 있는지 예를 들어 설
명해 준다. 예) ‘봐요’의 경우 ‘텔레비
전’, ‘그림’, ‘책’ 등이 올 수 있다.
5) 학생 전체가 볼 수 있도록 ‘뭘 해요?’라
는 문형 카드를 칠판에 준비하거나 문
● ‘읽어요’의 경우 동사의 어간 ‘읽-’은 장을 칠판에 쓰고 용법을 설명해 준다.
교수 Tip
서로 다른 두 개의 자음으로 이루어진 겹 6) 예문 중 대답에 해당하는 문장을 칠
받침을 가지고 있다. 이때 받침소리는 /ㄹ/로 실현되고 판에 쓰고 ‘을/를’은 다른 색깔로 표
/ㄱ/ 소리는 뒤로 옮겨져 ‘읽어요’의 발음은 [일거요]로 시해 준다.
실현된다. 그러나 ‘읽습니다’와 같이 뒤에 자음이 오는 경 7) 앞에 오는 명사가 모음으로 끝날 때
우 대표 소리는 /ㄱ/로 실현되어 [익씀니다]로 발음된다. 에는 조사 ‘을’을, 자음으로 끝날 때에
어간 ‘읽-’ 뒤에 ‘ㄴ’이 오게 되면 앞의 소리에 영향을 주 는 조사 ‘를’을 사용하는 규칙에 대해
어 비음으로 바뀌어 소리 나게 되고, ‘ㄱ’이 오게 되면 경 설명해 준다.
음화 현상이 일어난다. ‘읽는[잉은]’은 전자의 비음화 현 8) 교재의 예문을 따라 읽게 한다.
상에 해당되고, ‘읽고[일꼬]’는 후자의 경음화 현상에 해 9) 학생들에게 질문을 하여 대답하게 한다.
당되는 예이다.

▶ 동사에 해당하는 그림을 칠판에 붙여 배운 문형을 이용하여 묻고 대답하게 한다.


활동
▶교
 사가 여러 동작을 직접 보여 주고 학생들에게 교사의 동작에 해당되는 한국어 표현을 말해
보도록 한다.

제4과 | 책을 읽어요 37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단원 학습 문법과 표현을 듣기 활동을 통


해 연습한다.

학습 과정

1) 그림을 보며 인물과 동작을 확인한다.


2) 대화문을 각각 두 번씩 들려주고 들
은 내용을 이해했는지 질문을 통해 확
인한다.
3) 대화문을 다시 들려주며 문제를 풀도
록 한다.
4) 학생들이 서로의 답을 비교해 보도록
한 다음 교사와 함께 정답을 확인한
다.
5) 학생들에게 들은 내용에 관해 질문을
하며 다 함께 대답하도록 한다.
활동

▶ 부록에 제시된 듣기 지문을 따라 읽게 한다.

▶ 두 명씩 짝을 지어 주고 교재 30쪽을 보며 한 사
람은 그림을 문장으로 표현하고 다른 한 사람
은 해당되는 그림을 찾게 한다.

38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4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동작에 관해 묻고 답하는 활동을 통해 배


운 표현을 연습한다.

학습 과정

1) 먼저 예문을 함께 읽으며 질문과 대답


유형에 관해 익힌다.
2) 두 명씩 짝을 지어 한 사람은 묻고 다
른 한 사람은 대답하게 한다.
3) 충분한 연습이 이루어진 후 교사가 묻
고 전체 학생이 대답하도록 한다.

활동

▶배 운 동작 동사에 해당되는 낱말 카드나 그림


카드를 준비한 다음 학생들에게 하나씩 나누
어 준다.
- 한 명씩 앞에 나와 자기가 가진 카드의 동작을
몸으로 표현하도록 하고 다른 학생들은 동작
을 보며 문장으로 표현하도록 한다.

제4과 | 책을 읽어요 39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쓰기 활동을 통해 동작 관련 표현을 정확
하게 쓸 수 있도록 한다.

학습 과정

1) 그림을 보면서 장소와 인물들에 대해


다 함께 이야기한다.
2) 인물들이 무슨 행동을 하는지 묻고 대
답하게 한다.
3) 빈칸에 알맞은 어휘를 쓰게 한다.
4) 틀린 글자가 있는지 확인하고 완성된
문장을 다 함께 읽어 보게 한다.

활동

▶ 두 명씩 짝을 지어 주고 각각 다른 두 종류의 단
어가 쓰여 있는 쪽지를 나누어 준다.
- 서로 번갈아 가며 자신이 가진 쪽지의 단어를
하나씩 읽어 주게 한다.
- 상대방이 읽어 준 단어를 쓰고 자신의 쪽지에
있는 단어를 하나 읽어 준다.
- 활동이 끝나면 자신이 정확하게 썼는지 상대
방과 서로 확인한다.

40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4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가정의 달’이라고 하는 5월의 특별한 날


들의 의미에 대해 이해한다.

학습 과정

1) 5월 달력을 준비하여 칠판에 붙여 둔다.


2) 본문을 읽으며 며칠이 나왔는지 동그
라미 표시를 한다.
3) 학생들이 내용을 이해했는지 질문을
통해 확인한다.
예) 5월 5일은 무슨 날이에요?
5월 8일은 무슨 날이에요?
스승의 날은 왜 만들었어요?

한국어 번역 5월의 특별한 날들 활동

● 5월에는 특별한 날이 많다. 먼저 5월 5일은 어 ▶ 미국에도 이와 같은 날이 있는지, 그것이 언


린이 날이다. 어린이들이 밝고 건강하게 자라기를 제인지 묻고 이야기한다.
바라는 마음으로 만들어진 날이다. 어린이들은 이
날 부모님과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낸다. 5월 8일 ▶ 부모님과 선생님께 드릴 카네이션을 만들
은 어버이 날이다. 우리를 낳아 키워 주시는 부모 어 본다. 방법은 아래 사이트에 소개되어 있다.
님께 감사하며 카네이션을 달아 드린다. 그리고 5 http://k.daum.net
월 15일은 스승의 날이다. 우리를 가르치느라 수고
하시는 선생님께 감사하는 날이다.

제4과 | 책을 읽어요 41
제4과 종합연습

1. 연결하세요.

(1) ● ● 그림

(2) ● ● 주스

(3) ● ● 신문

(4) ● ● 우유

2. <보기>에서 골라 넣으세요.

보기 읽어요 봐요 마셔요 먹어요

(1) 밥을

(2) 신문을

(3) 주스를

(4) 텔레비전을

42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4
3. <보기>와 같이 쓰세요.

보기
저 는 책 을 읽 어 요 .

(1)

(2)

(3)

(4)

제4과 | 책을 읽어요 43
제5과 우유가 좋아요

학습 목표
기호에 관한 내용을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
다.

문법과 표현
▶ 뭐가 좋아요?
▶ N이/가 좋아요

학습 어휘
아이스크림, 사탕, 과자, 만두, 피자, 스파게

듣기/읽기 활동
수업 도우미
- CD를 듣고 들은 내용이 무엇인지에 대해 자유
롭게 이야기한다.
그림 활동 - 들은 내용 중 모르는 말이 있는지를 물어 간단하
게 설명해 준다.
- 그림을 보면서 그림에 등장하는 장소와 인물에 - CD를 들으면서 한 문장씩 따라 읽히거나 교사가
대해 이야기한다. 먼저 읽고 따라 읽힌다.
- 두 학생을 지정하여 읽힌다.
- 옆 친구와 본문을 교대로 읽게 한다.

44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5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여러 가지 음식의 이름을 그림을 통해 학


습하고 무엇이 좋은지 묻고 대답하는 데
필요한 문법 및 표현을 학습한다.

학습 과정

1) 학생들이 좋아하는 음식이 무엇인지


에 관해 이야기한다.
2) 학생 전체가 볼 수 있는 크기로 어휘
그림을 복사해 칠판에 붙여 놓고 의미
를 설명해 준다.
3) 어휘를 따라 읽히면서 철자와 의미를
익히도록 한다.
4) 학생 전체가 볼 수 있도록 ‘뭐가 좋아
요?’라는 문형 카드를 칠판에 준비하
거나 문장을 칠판에 쓰고 용법을 설
명해 준다.
5) 예문 중 대답에 해당하는 문장을 칠
교수 Tip
판에 쓰고 ‘이/가’는 다른 색깔로 표
시해 준다.
● 받침 ‘ㅎ’는 뒤에 모음이 오는 경우 소리 나지
6) 앞에 오는 명사가 모음으로 끝날 때
않는다. 그래서 ‘좋아요’의 경우 [조아요]로 소리
에는 조사 ‘가’를, 자음으로 끝날 때에
난다. 만일 ‘ㅎ’ 다음에 자음이 오게 되면 뒤에 오는
는 조사 ‘이’를 사용하는 규칙에 대해
자음과 합쳐져서 격음으로 소리 난다.
설명해 준다.
예) 좋고[조코]
7) 교재의 예문을 따라 읽게 한다.
8) 제시된 어휘를 이용하여 문형 연습을
한다.
활동 ▶ 어휘 그림을 칠판에 붙여 놓고 다 함께
어휘를 읽어 보도록 한다.

▶ 교사의 질문에 학생들이 배운 문형을


이용하여 대답하게 한다.

제5과 | 우유가 좋아요 45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단원 학습 문법과 표현을 듣기 활동을 통


해 연습한다.

학습 과정

1) 먼저 첫 번째 듣기 활동의 그림을 보


며 인물과 음식을 확인한다.
2) 대화문을 각각 두 번씩 들려주고 들
은 내용을 이해했는지 질문을 통해 확
인한다.
3) 대화문을 다시 들려주며 문제를 풀도
록 한다.
4) 두 번째 듣기 활동의 그림을 보며 음
식 이름을 말하게 한다.
5) 대화문을 두 번 들려주고 들은 내용을
이해했는지 확인한다.
6) 대화문을 다시 들려주며 문제를 풀도 활동
록 한다.
7) 학생들이 서로의 답을 비교해 보도록 ▶ 좋아하지 않는 음식의 경우, 질문에 어떻게 대
한 다음 교사와 함께 정답을 확인한 답하는지에 대해 설명한다.
다.
8) 부록의 대화문을 다 함께 읽어 본다. ▶ 두 명씩 짝을 35쪽의 그림을 보며 해당 음식을
좋아하는 경우 “네”, 그렇지 않은 경우 “아니요”
로 대답하며 대화 연습을 한다.
예) 가: 아이스크림이 좋아요?
나: 네, 아이스크림이 좋아요.
가: 사탕이 좋아요?
나: 아니요, 과자가 좋아요.

46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5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기호에 관해 묻고 답하는 활동을 통해 배


운 표현을 연습한다.

학습 과정

1) 먼저 예문을 함께 읽으며 질문과 대답


유형에 관해 익힌다.
2) 그림에 제시된 단어를 확인한다.
3) 두 명씩 짝을 지어 한 사람은 묻고 다
른 한 사람은 대답하게 한다.
4) 충분한 연습이 이루어진 후 교사가 묻
고 전체 학생이 대답하도록 한다.

활동

▶웃
 는 얼굴과 찡그린 얼굴을 칠판에 붙여 두고
여러 음식 그림이나 단어 카드를 그 아래 붙여
둔다.
- 한 명씩 친구를 지목하여 배운 문형을 이용하
여 질문하게 하고, 지목 당한 학생은 그림이
나 단어의 위치에 따라 각각 ‘네’와 ‘아니요’
로 대답하게 한다.

제5과 | 우유가 좋아요 47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쓰기 활동을 통해 배운 어휘에 관한 표현
을 정확하게 쓸 수 있도록 한다.

학습 과정

1) 그림을 보면서 음식 이름에 대해 함께


이야기한다.
2) 빈칸에 알맞은 어휘를 쓰게 한다.
3) 틀린 글자가 있는지 확인하고 쓴 어휘
를 다 함께 읽어 보게 한다.

활동

▶ 책을 보지 않고 자기가 좋아하는 음식 세 가지


를 쓰게 한다.
- 옆 사람이 좋아하는 음식 세 가지를 쓰게 한
다.
- 좋아하는 음식을 쓴 종이를 상대방에게 준다.
 - 자기가 쓴 옆 사람이 좋아하는 음식과 받은 종
이의 내용이 같은지 맞춰 보고 누가 많이 맞
혔는지 확인한다.

48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5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밥상과 식탁’을 통해 한국인의 식탁 문


화를 이해한다.

학습 과정

1) 그림을 보며 두 가지의 상차림의 차이


점에 대해 이야기한다.
2) 본문을 함께 읽는다.
3) 본문 내용에 대해 이야기한다.
4) 밥상과 식탁의 차이점에 대해 이야기
한다.
5) 자신이 상을 차린다면 무슨 음식을 놓
고 싶은지에 대해 이야기한다.

한국어 번역 밥상과 식탁

● 한국에서는 밥을 먹을 때 밥과 국, 반찬을 모두 한꺼번에 차려 놓고 먹는다. 밥은 반드시 반찬과 국 등 함


께 먹을 수 있는 음식이 있어야 먹을 수 있다. 옛날에는 방바닥에 밥상을 놓고 가족들이 모여 앉아 먹었는
데, 요즘은 식탁을 이용하는 집이 많다. 미국 등 서양에서는 보통 빵을 중심으로 간단히 먹고, 정식 요리는
한꺼번에 차려 놓고 먹는 것이 아니라 샐러드와 수프, 고기 요리, 빵, 디저트 등 순서대로 먹는다. 한국에서
수저를 사용하는데 미국에서는 포크와 나이프를 사용하는 것도 다르다.

● 젓가락 사용법

제5과 | 우유가 좋아요 49


제5과 종합연습

1. 연결하세요.

(1) ● ● 과자

(2) ● ● 스파게티

(3) ● ● 피자

(4) ● ● 아이스크림

(5) ● ● 사탕

(6) ● ● 우유

50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5
2. <보기>와 같이 쓰세요.

보기 가: 뭐가 좋아요?
나: 저 는 피 자 가 좋 아 요 .

(1) 가: 뭐가 좋아요?
나:

(2) 가: 뭐가 좋아요?
나:

(3) 가: 뭐가 좋아요?
나:

(4) 가: 뭐가 좋아요?
나:

(5) 가: 뭐가 좋아요?
나:

제5과 | 우유가 좋아요 51


제6과 불고기를 좋아해요

학습 목표
기호에 관한 내용을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
다.

문법과 표현
▶ 뭘 좋아해요?
▶ 뭘 싫어해요?

▶ N을/를 좋아해요

▶ N을/를 싫어해요

학습 어휘
▶ 불고기, 잡채, 라면, 김치
▶ 좋아해요, 싫어해요

듣기/읽기 활동
수업 도우미
- CD를 듣고 들은 내용이 무엇인지에 대해 자유
롭게 이야기한다.
그림 활동 - 들은 내용 중 모르는 말이 있는지를 물어 간단하
게 설명해 준다.
- 좋아하는 한국 음식이 있는지 이야기한다. - CD를 들으면서 한 문장씩 따라 읽히거나 교사가
먼저 읽고 따라 읽힌다.
- 두 학생을 지정하여 읽힌다.
- 옆 친구와 본문을 교대로 읽게 한다.

52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6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여러 가지 음식의 이름과 기호 관련 표현
을 그림을 통해 학습하고 무엇을 좋아하
고 무엇을 싫어하는지 묻고 대답하는 데
필요한 문법 및 표현을 학습한다.

학습 과정

1) 학생들이 좋아하는 한국 음식이 무엇


인지에 관해 이야기한다.
2) 학생 전체가 볼 수 있는 크기로 어휘
그림을 복사해 칠판에 붙여 놓고 의미
를 설명해 준다.
3) 교사를 따라 어휘를 읽으며 철자와 의
미를 익힌다.
4) 학생 전체가 볼 수 있도록 ‘뭘 좋아해
요?’, ‘라는 문형 카드를 칠판에 붙이
교수 Tip 거나 문장을 칠판에 쓰고 용법을 설
명해 준다.
● 겹받침 ‘ㅀ’은 뒤에 모음이 오는 경우 ‘ㄹ’만 뒷 5) 예문 중 대답에 해당하는 문장을 칠
소리로 옮겨져 소리 나며 ‘ㅎ’는 소리 나지 않는다. 판에 쓰고 ‘을/를’은 다른 색깔로 표
그래서 ‘싫어해요’의 경우 [시러해요]로 소리 난 시해 준다.
다. 만일 ‘ㅀ’ 다음에 자음이 오게 되면 ‘ㄹ’ 소리만 6) 앞에 오는 명사가 모음으로 끝날 때
나고 ‘ㅎ’ 소리는 뒤에 오는 자음과 합쳐져서 격음 에는 조사 ‘를’을, 자음으로 끝날 때에
으로 소리 난다. 예) 싫고[실코] 는 조사 ‘을’을 사용하는 규칙에 대해
설명해 준다.
7) 교재의 예문을 따라 읽게 한다.
▶그
 림을 칠판에 붙여 어휘를 다 함께 읽
활동 8) 제시된 어휘를 이용하여 문형 연습을
어 본다.
한다.
▶교
 사의 질문에 학생들이 배운 문형을
이용하여 대답하게 한다.

제6과 | 불고기를 좋아해요 53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단원 학습 문법과 표현을 듣기 활동을 통


해 연습한다.

학습 과정

1) 먼저 그림을 보며 인물과 음식을 확


인한다.
2) 대화문을 각각 두 번씩 들려주고 들
은 내용을 이해했는지 질문을 통해 확
인한다.
3) 대화문을 다시 들려주며 문제를 풀도
록 한다.
4) 학생들이 서로의 답을 비교해 보도록
한 다음 교사와 함께 정답을 확인한
다.
5) 부록의 대화문을 다 함께 읽어 본다.
활동

▶ 학생들이 알고 있는 음식 이름으로 단어 카드를


직접 만들게 한다.
- 두 명씩 짝을 지어 좋아하는 음식과 싫어하는
음식에 대해 묻고 대답하게 한다.
- 상대방의 대답을 듣고 해당 단어가 쓰여진 종
이를 고르게 한다.

54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6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기호에 관해 묻고 답하는 활동을 통해 배


운 표현을 연습한다.

학습 과정

1) 학생들을 둥글게 앉도록 자리를 원형


으로 만든다.
2) 먼저 예문을 함께 읽으며 게임의 규칙
을 이해하도록 한다.
3) 한 사람씩 자기가 좋아하는 음식을 배
운 문형을 이용하여 말하게 한다.
4) 친구가 말한 문장을 말한 다음 자신이
좋아하는 음식을 말하게 한다.
5) 친구가 말한 내용을 기억하지 못하거
나 시간을 많이 끄는 학생에게는 가벼
운 벌칙(칠판 닦기 등)을 준다.
활동

▶웃
 는 얼굴과 찡그린 얼굴을 칠판에 붙여 두고
여러 음식 그림이나 단어 카드를 그 아래 붙여
둔다.
- 한 명씩 친구를 지목하여 배운 문형을 이용하
여 질문하게 하고, 지목 당한 학생은 그림이
나 단어의 위치에 따라 각각 ‘좋아해요’와 ‘싫
어해요’를 사용하여 대답하게 한다.

제6과 | 불고기를 좋아해요 55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쓰기 활동을 통해 배운 표현을 정확하게


쓸 수 있도록 한다

학습 과정

1) 그림을 보면서 함께 이야기한다.


2) 제시된 문장을 보며 빈칸에 정확하게
따라 쓰게 한다. 이때 필순과 글자의
모양에 주의하도록 한다.
3) 다 쓴 문장을 다 함께 읽어 보게 한다.

활동

▶ 책을 보지 않고 음식 이름을 다섯 개씩 쓰게 한
다음 정확하게 썼는지 확인한다.
- 두 사람씩 짝을 지어 번갈아 가며 자기가 쓴
단어를 불러 주게 하고 들은 단어를 쓰게 한
다.
- 다 쓴 다음 상대방이 가진 목록과 확인해 보
게 한다.

56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6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한국의 대표적인 음식 ‘불고기와 김치’에


대해 이해한다.

학습 과정

1) 그림을 보며 불고기와 김치를 먹어 본


적이 있는지, 좋아하는지 함께 이야
기한다.
2) 본문을 함께 읽는다.
3) 읽은 내용에 대해 함께 이야기한다.
4) 미국의 대표적인 음식으로는 무엇이
있는지, 그 재료는 무엇인지 맛은 어
떤지에 대해 이야기한다.

한국어 번역 불고기와 김치

● 한국 사람들이 좋아하는 대표적인 음식은 불고기


와 김치이다. 불고기는 소고기나 돼지고기로 만드는
데, 특별한 날 빠지지 않고 식탁에 올라간다. 맛이 아
주 좋아서 아이들도 좋아하는 음식이다. 김치는 종
류가 아주 많은데 보통은 배추나 무에 고춧가루와
마늘 등을 넣어 만든다. 고춧가루가 들어가면 약간
맵지만 새콤하게 익으면 맛도 좋고 건강에도 좋다.
김치찌개, 김치볶음밥, 김치 피자, 김치 햄버거 등 김
치로 만들 수 있는 맛있는 음식도 많다.
참고 광주 김치타운 홈페이지(http://kimchitown.gjcity.net)
에는 김치의 역사, 유물, 만드는 법 등이 자세히 소개되어 있다.

제6과 | 불고기를 좋아해요 57


제6과 종합연습

1. 그림을 보고 음식 이름을 쓰세요.

(1)

(2)

(3)

(4)

2. 빈칸에 알맞은 말을 쓰세요.

(1) 뭘 좋아해요?

김치를 .

(2) 뭘 싫어해요?

라면을 .

58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6
3. <보기>와 같이 쓰세요.

보기 저 는 피 자 를 좋 아 해 요 .

(1)

(2)

(3)

(4)

4. 빈칸에 알맞은 말을 쓰세요.

(1) 가: 좋아해요?
나: 라면을 좋아해요.

(2) 가: 불고기를 좋아해요?


나: 네, 불고기를 .

(3) 가: 뭘 싫어해요?
나: 사탕을 .

(4) 가: 피자를 좋아해요?


나: 아니요, 피자를 .

제6과 | 불고기를 좋아해요 59


제7과 누가 노래해요?

학습 목표
‘누가’라는 표현으로 행동의 주체를 묻고 대
답할 수 있다.

문법과 표현
▶ 누가

학습 어휘
▶노래해요, 수영해요, 운동해요, 축구해요,
전화해요, 공부해요

듣기/읽기 활동
수업 도우미
- CD를 듣고 들은 내용이 무엇인지에 대해 자유
롭게 이야기한다.
그림 활동 - 들은 내용 중 모르는 말이 있는지를 물어 간단하
게 설명해 준다.
- 그림을 보며 장소와 각 인물들이 무엇을 하고 있 - CD를 들으면서 한 문장씩 따라 읽히거나 교사가
는지에 대해 이야기한다. 먼저 읽고 따라 읽힌다.
- 두 학생을 지정하여 읽힌다.
- 옆 친구와 본문을 교대로 읽게 한다.

60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7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여러 가지 동작 관련 표현을 그림을 통
해 학습하고 누가 무엇을 하는지 묻고
대답하는 데 필요한 문법 및 표현을 학
습한다.

학습 과정

1) 학생 전체가 볼 수 있는 크기로 어휘


그림을 복사해 칠판에 붙여 놓고 의미
를 설명해 준다.
2) 교사를 따라 어휘를 읽으며 철자와 의
미를 익히도록 한다.
3) 단어가 있는 부분을 접어서 보이지 않
게 하고 그림만 보며 단어를 말해 보
도록 한다.
4) 학생 전체가 볼 수 있도록 ‘누가 전화
해요?’ 라는 문형 카드를 칠판에 붙이
거나 문장을 칠판에 쓰고 ‘누가’의 용
법을 설명해 준다.
5) 예문 중 대답에 해당하는 문장을 칠
교수 Tip 판에 쓰고 ‘이/가’는 다른 색깔로 표
시해 준 다음 대답하는 표현에 대해
● 교재에 제시된 어휘들은 모두 명사에 접미사 설명한다.
‘-하다’가 붙어 동사가 된 단어들이다. 이런 동사 6) 교재의 예문을 따라 읽게 한다.
의 경우 명사 뒤에 조사 ‘을/를’을 넣어 ‘수영을 해 7) 제시된 그림을 보며 질문하고 대답하
요’, ‘전화를 해요’와 같이 ‘N을/를 하다’의 형태로 게 한다.
분리하여 사용될 수 있다. 부정 표현 ‘안’이나 ‘못’ 예) 가: 누가 운동해요?
등이 오는 경우에는 명사와 접미사 사이에 이러한 나: 사라가 운동해요.
부정 표현이 와야 한다. ‘안 수영해요’ 또는 ‘못 전
화해요’와 같은 표현은 잘못된 표현이며 ‘수영(을)
안 해요’ 또는 ‘전화(를) 못 해요’와 같은 형식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배
 운 어휘를 동작으로 표현해 준다.
활동

 생들은 교사의 동작을 보고 해당
어휘를 말한다.

제7과 | 누가 노래해요? 61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단원 학습 문법과 표현을 듣기 활동을 통


해 연습한다.

학습 과정

1) 먼저 그림을 보며 동작을 확인한다.


2) 대화문을 각각 두 번씩 들려주고 들
은 내용을 이해했는지 질문을 통해 확
인한다.
3) 대화문을 다시 들려주며 문제를 풀도
록 한다.
4) 학생들이 서로의 답을 비교해 보도록
한 다음 교사와 함께 정답을 확인한
다.
5) 부록의 대화문을 다 함께 읽어 본다.

▶ 빈 종이에 가로 세로 세 칸씩 되도록 빙고 용지
를 만들게 한다.
- 본 과에서 학습한 어휘 6개(노래해요, 수영해
요, 운동해요, 축구해요, 전화해요, 공부해요)
와 이전에 배운 동사 표현 3개(빵을 먹어요,
우유를 마셔요, 책을 읽어요)를 쓰고 싶은 순
서대로 한 칸에 표현 하나씩을 쓰도록 한다.
- 교사가 단어를 불러 주면 학생들이 하나씩 동
그라미 표시를 해 나간다.
- 가로나 세로, 혹은 대각선으로 세 개의 단어
를 가장 먼저 표시한 사람이 게임에서 이기
게 된다.

62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7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누가 무엇을 하는지 묻고 답하는 활동을


통해 배운 표현을 연습한다.

학습 과정

1) 그림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이름을 확


인한다.
2) 먼저 예문을 함께 읽으며 질문과 대답
의 표현을 확인한다.
3) 두 사람씩 짝을 지어 번갈아 가며 묻
고 대답하도록 한다.
4) 연습이 끝나면 교사가 묻고 전체 학생
들이 함께 대답하도록 한다.

활동

▶한
 사람씩 번갈아 가며 배운 어휘를 동작으로
표현한다. 이때 교사가 학생이 표현해야 하는
어휘를 미리 써서 다른 학생들 모르게 보여 주
어도 좋다.
-
 다른 학생들은 친구의 동작을 보고 문장으
로 표현한다.
예) 마이클이 노래해요.
- 두 사람을 지목하여 묻고 대답하게 하는 방식
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제7과 | 누가 노래해요? 63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쓰기 활동을 통해 배운 표현을 정확하게


쓸 수 있도록 한다.

학습 과정

1) 그림을 하나씩 보면서 행동에 대해 함


께 이야기한다.
2) 제시된 문장을 보며 빈칸에 정확하게
따라 쓰게 한다. 이때 필순과 글자의
모양에 주의하도록 한다.
3) 다 쓴 문장을 다 함께 읽어 보게 한다.

활동

▶ 빈 종이 가운데를 접어 한쪽에는 반 친구들의


이름을 쓰고 다른 한쪽에는 배운 동사를 쓰게
한다.
- 종이를 펴서 교사가 불러 주는 문장을 듣고 친
구 이름과 동사를 연결한다.
- 활동이 끝나면 한 사람씩 돌아가면서 누가
무엇을 하는지를 문장으로 만들어 표현한다.

64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7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한국의 전통놀이 ‘제기차기’에 대해 이


해한다.

학습 과정

1) 그림을 보며 아이들이 무엇을 하는지


에 대해 함께 이야기한다.
2) 본문을 함께 읽는다.
3) 게임 방법으로 무엇이 있는지 함께 이
야기한다.
4) 교재에 제시된 순서에 따라 제기를 직
접 만들어 게임을 해 본다.

한국어 번역 제기차기 활동

● 한국 제기차기는 한국의 전통놀이이다. 제기는 ▶제


 기로 할 수 있는 게임으로 또 무엇이 가능
종이 속에 동전을 넣어 묶은 뒤 가늘게 잘라서 만 한지 이야기해 본다.
든다. 제기는 손을 대지 않고 발로 차는데, 많이 차
는 사람이 이기는 게임이다. 게임은 한 사람씩 돌 ▶제
 기차기와 비슷한 놀이가 있는지 이야기
아가며 누가 많이 차는가를 보기도 하고 서로 주 해 본다.
고받으며 한 사람이 땅에 떨어뜨릴 때까지 계속 하
기도 한다. 한 쪽 발로 차는 방법도 있고 양발을 이
용해 차기도 한다.

제7과 | 누가 노래해요? 65
제7과 종합연습

1. 연결하세요.

(1) ● ● 노래해요

(2) ● ● 공부해요

(3) ● ● 축구해요

(4) ● ● 전화해요

(5) ● ● 수영해요

(6) ● ● 운동해요

66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7
2. <보기>와 같이 쓰세요.

보기 가: 누가 노래해요?
나: (린다) 린 다 가 노 래 해 요 .

(1) 가: 누가 전화해요?
나: (스티븐)

(2) 가: 누가 운동해요?
나: (사라)

(3) 가: 누가 공부해요?
나: (토니)

(4) 가: 누가 축구해요?
나: (민수)

3. 빈칸에 알맞은 말을 쓰세요.

(1) 가: 전화해요?

나: 엄마가 전화해요.

(2) 가: 누가 운동해요?

나: 토니가 .

(3) 가: 민수가 노래해요?

나: , 민수가 노래해요.

(4) 가: 스티븐이 수영해요?

나: , 토니가 수영해요.

제7과 | 누가 노래해요? 67
제8과 언제 수영해요?

학습 목표
‘언제’를 사용하여 질문하고 시간에 관한 표
현 ‘아침’, ‘저녁’, ‘오늘’, ‘내일’ 등을 익혀 일
상생활을 표현할 수 있다.

문법과 표현
▶ 언제
▶ N에(시간)

학습 어휘
▶ 아침, 저녁, 오늘, 내일
▶ 산, 바다

듣기/읽기 활동
수업 도우미
- CD를 듣고 들은 내용이 무엇인지에 대해 자유
롭게 이야기한다.
그림 활동 - 들은 내용 중 모르는 말이 있는지를 물어 간단하
게 설명해 준다.
- 그림을 보며 등장인물이 하는 일과 시간적 배경 - CD를 들으면서 한 문장씩 따라 읽히거나 교사가
에 대해 이야기한다. 먼저 읽고 따라 읽힌다.
- 두 학생을 지정하여 읽힌다.
- 옆 친구와 본문을 교대로 읽게 한다.

68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8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시간에 관한 표현을 그림을 통해 학습하


고 언제 무엇을 하는지 묻고 대답하는 데
필요한 문법 및 표현을 학습한다.

학습 과정

1) 한국어 수업이 하루 중 어느 때 이루
어지는지 이야기한다.
2) 학생 전체가 볼 수 있는 크기로 어휘
그림을 복사해 칠판에 붙여 놓고 의미
를 설명해 준다.
3) 어휘를 여러 번 따라 읽히면서 철자와
의미를 익히도록 한다.
4) 학생 전체가 볼 수 있도록 ‘언제 수영
해요?’라는 문형 카드를 칠판에 붙이
거나 칠판에 쓰고 ‘언제’의 용법을 설
교수 Tip 명해 준다.
5) 교재의 예문을 따라 읽게 한다.
● 조사 ‘에’는 장소 명사 뒤에서 사물의 위치를 나 6) 제시된 어휘를 이용하여 문형 연습을
타낼 때 사용되기도 하며 시간 명사 뒤에서 시점을
하도록 한다.
표현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오늘’, ‘ 내
7) 학생들이 주로 하는 일에 대해 언제
일’은 조사 ‘에’와 함께 사용되지 않으므로 학생들
하는지 질문하고 대답하게 한다.
이 오류를 범하지 않도록 지도한다.

활동

▶ 그림을 칠판에 붙여 어휘를 다 함께 말해 본다.

▶교사의 질문에 학생들이 배운 문형을 이용하여


대답하게 한다.
예) 언제 학교에 가요?
언제 운동해요?

제8과 | 언제 수영해요? 69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단원 학습 문법과 표현을 듣기 활동을 통


해 연습한다.

학습 과정

1) 먼저 그림을 보며 인물이 뭘 하는지


이야기한다.
2) 대화문을 각각 두 번씩 들려주고 들
은 내용을 이해했는지 질문을 통해 확
인한다.
3) 대화문을 다시 들려주며 문제를 풀도
록 한다.
4) 학생들이 서로의 답을 비교해 보도록
한 다음 교사와 함께 정답을 확인한
다.
5) 부록의 대화문을 다 함께 읽어 본다.
활동

▶  장의 A4 용지를 12개로 잘라 24개를 만든 다



음 자신이 알고 있는 단어의 음절을 한 장에 한
자씩 쓰게 한다.
-
 두 명씩 짝을 지어 상대방에게 자기가 쓴 단어
를 불러 주게 한다.
- 상대방이 말하는 단어를 듣고 종이에 적힌 철
자를 모아 단어를 만들게 한다.

70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8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언제 무슨 일을 하는지 묻고 답하는 활동
을 통해 배운 표현을 연습한다.

학습 과정

1) 교재의 그림을 보며 여러 가지 활동
을 말해 본다.
2) ‘언제 N을/를 해요?’ 하고 질문을 하
면 학생들이 대답하게 한다.
3) 두 사람씩 짝을 지어 한 사람은 묻고
다른 사람은 대답하게 한다.
4) 역할을 바꾸어 활동을 계속하도록 한
다.

활동

▶ 칠
 판에 해와 달을 그리고 해 밑에는 ‘아침’, 달 밑
에는 ‘저녁’이라고 쓴다.
- 한 명씩 앞에 나와 마음에 드는 그림 밑에서
배운 표현을 동작으로 표현하도록 한다. 이때
교사가 미리 단어를 종이에 써 두었다가 앞에
나온 학생에게 보여 주고 그것을 행동으로 보
이도록 해도 좋다.
예) 노래해요, 수영해요, 공부해요, 운동해요,
주스를 마셔요, 밥을 먹어요 등
- 다른 학생들은 학생의 위치와 동작을 보고 문
장을 구성하여 말하게 한다.

제8과 | 언제 수영해요? 71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쓰기 활동을 통해 배운 단어를 정확하게


쓸 수 있도록 한다.

학습 과정

1) 교재를 확대 복사하여 칠판에 붙여 둔


다.
2) 교사가 각각의 그림을 가리키며 언제
인지 질문하고 학생들이 대답하게 한
다.
3) 교재를 보며 빈칸에 알맞은 말을 쓰
도록 한다.
4) 쓰기 활동이 끝나면 몇 명을 지목하여
칠판에 나와서 쓰도록 한다.
5) 4)의 활동이 끝나면 교사와 학생이 함
께 정답을 확인한다.
활동

▶  명씩 짝을 지어 주고 미리 준비해 둔 두 종류

의 받아쓰기 쪽지를 하나씩 준다.
- 학생들은 상대방과 다른 종류의 받아쓰기 쪽지
를 가지고 하나씩 상대방에게 읽어 주게 한다.
- 상대방이 읽어 준 단어를 쓰고 자신의 쪽지에
있는 단어를 하나 읽어 주게 한다.
- 쪽지에 적힌 단어를 다 쓴 후 자신이 쓴 단어가
정확한지 상대방과 함께 확인하게 한다.

72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8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한국의 계절에 대해 이해한다.

학습 과정

1) 그림을 보며 계절별 특징에 대해 이


야기한다.
2) 본문을 함께 읽는다.
3) 계절에 따라 한국 사람들이 즐겨 하는
일이 무엇인지에 대해 확인한다.
4) 자신이 좋아하는 계절은 무엇인지, 그
때 하고 싶은 일이 무엇인지에 대해
함께 이야기한다.

한국어 번역 한국의 사계절 활동

● 한국은 1년에 봄, 여름, 가을, 겨울 4계절이 있 ▶ 사


 계절이 있어서 좋은 점은 무엇인지 이야
다. 계절의 변화가 아주 뚜렷하여 한국의 자연은 기해 본다.
계절마다 경치가 달라진다. 봄에는 날씨가 따뜻해
서 예쁜 꽃이 많이 핀다. 여름에는 비가 많이 오고 ▶ 만
 약 일년 내내 덥거나 춥다면 사람들의 생
아주 덥다. 그래서 사람들은 바닷가나 계곡에서 수 활은 어떨지 이야기해 본다.
영을 한다. 가을에는 날씨가 시원하다. 단풍이 예
쁘게 들어서 많은 사람들이 산에 가서 단풍 구경
을 한다. 겨울에는 춥고 눈이 내린다. 눈사람을 만
들고 눈썰매를 탈 수 있다.

제8과 | 언제 수영해요? 73
제8과 종합연습

1. 그림을 보고 쓰세요.

(1)

(2)

(3)

(4)

(5)

74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8
2. <보기>와 같이 쓰세요.

보기 가: 언제 수영해요?
나: (아침) 아 침 에 수 영 해 요 .

(1) 가: 언제 공부해요?
나: (아침)

(2) 가: 언제 축구해요?
나: (저녁)

(3) 가: 언제 산에 가요?
나: (내일)

(4) 가: 언제 유치원에 가요?


나: (오늘)

3. 빈칸에 알맞은 말을 쓰세요.

(1) 가: 바다에 가요?

나: 내일 바다에 가요.

(2) 가: 아침에 수영해요?

나: 네, 아침에 .

(3) 가: 언제 텔레비전을 봐요?

나: 저녁에 .

(4) 가: 언제 가요?

나: 오늘 산에 가요.

제8과 | 언제 수영해요? 75
제9과 장난감 기차가 있어요?

학습 목표
소유하고 있는 물건에 대해 묻고 대답할 수
있다.

문법과 표현
▶ N이/가 있어요?
▶ N이/가 있어요

▶ N이/가 없어요

학습 어휘
▶ 난감 기차, 장난감 비행기, 장난감 자동

차, 곰 인형, 토끼 인형, 강아지 인형

수업 도우미

그림 활동

- 그림을 보면서 배경 장소, 등장인물,


물건 이름 등에 대해 전체 학습자와 이 교수 Tip
야기하거나 질문・대답 활동을 한다.
● ‘N이/가 있어요’의 부정 표현은 ‘N이/가 없어
요’이다. 영어에서는 ‘not’을 사용하여 부정을 표현
듣기/읽기 활동
하지만 한국어의 경우 영어에서처럼 ‘not’의 의미
- CD를 듣고 들은 내용이 무엇인지에 대 를 지니는 ‘안’, ‘못’을 사용하여 표현하는 경우도
해 자유롭게 이야기하고 모르는 단어 있고 ‘없어요’와 같이 동사 자체에 부정의 의미를
는 간단히 설명해 준다. 내포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 한 문장씩 교사가 먼저 읽고 따라 읽
힌다.
- 두 학생을 지정하여 교재의 본문을 읽
게 한다.
- 옆 친구와 역할을 나누어 교재의 본문
을 읽게 한다.

76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9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새로 나온 단어를 그림을 통해 학습하고


어떤 물건의 소유 여부를 묻고 대답하는
데 필요한 문법 및 표현을 학습한다.

학습 과정

1) 학생 전체가 볼 수 있는 크기로 단어 카


드를 준비한다. 교재처럼 위쪽에는 그
림, 아래쪽에는 해당 단어를 적고 그림
만 보이도록 아랫부분을 뒤쪽으로 접는
다.
2) 한 단어씩 먼저 그림을 보여 주고 접힌
부분을 펼쳐 해당 단어를 보여 준 뒤 단
어를 따라 읽힌다. 2-3회 반복한다.
3) 그림만 보여 주고 단어를 말해 보도록
한다. 2-3회 반복한다.
4) 학생 전체가 볼 수 있는 크기로 질문
활동 카드(장난감 기차가 있어요?/곰 인형이
있어요?)와 대답 카드(네, 있어요./아니
▶ 교
 사는 ‘N이/가 있어요?’ 또는 ‘N이/가 없어요?’ 요, 없어요.)를 준비한다. 질문 카드의 ‘
의 형태로 질문을 하면 학생들은 ‘네, 있어요.’ 가 있어요’, ‘이 있어요’와 대답 카드의
또는 ‘아니요, 없어요.’의 형태로 질문에 적절하 ‘있어요’와 ‘없어요’ 부분은 다른 색으
게 대답하도록 한다. 로 나타낸다.
- 두 명씩 짝을 지어 주고 질문·대답 활동을 하 5) ‘장난감 기차가 있어요?’라는 질문 카드
도록 한다. 를 보여 주며 질문한다.
6) 대답 카드의 ‘네’ 부분만 보여 주면서 읽
은 후 ‘있어요’ 부분을 펼쳐 보이며 다
시 읽는다.
7) 두 번째 질문 카드인 ‘곰 인형이 있어
요?’도 같은 방법으로 진행한다.

제9과 | 장난감 기차가 있어요? 77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단원 학습 문법과 표현, 어휘를 듣기 활


동을 통해 연습한다.

학습 과정

1) 학생들이 교재에 제시된 그림을 보면


서 그림에 제시된 물건들이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2) 듣기 파일을 듣고 물건이 있는지 없는
지 선으로 연결하도록 지시한다.
3) 듣기 파일을 두 번 들려준다.
4) 처음부터 한 문장씩 들려주면서 교사
와 함께 정답을 확인한다.
5) 오답이 있을 경우 원인이 무엇인지 밝
히고 오답한 학생이 충분히 이해했는
지 확인한다.
6) 두 번째 듣기 활동의 경우 맞는 것에 활동
○표를 하도록 지시한다.
7) 듣기 파일을 두 번 들려준다. ▶  생들에게 빈 종이를 한 장 나누어 준 후 종이

8) 처음부터 한 문장씩 들려주면서 교사 를 반으로 접었다 편 뒤 한쪽에는 ‘있어요’ 다른
와 함께 정답을 확인한다. 쪽에는 ‘없어요’를 쓰도록 한다. 교사는 ‘N이/가
9) 오답이 있을 경우 원인이 무엇인지 밝 있어요’ 또는 ‘N이/가 없어요’의 형태로 문장을
히고 오답한 학생이 충분히 이해했는 하나씩 말한다. 학생들은 교사가 불러 주는 문장
지 확인한다. 을 듣고 그 물건이 있으면 ‘있어요’란에 없으면
‘없어요’란에 그림으로 표현하도록 한다.

▶  사는 ‘N이/가 있어요’ 또는 ‘N이/가 없어요’의



형태로 문장을 불러 주고 학생들은 들은 문장을
공책에 받아쓴다.

78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9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말하기 활동을 통해 단원 학습 문법과 표


현, 어휘를 연습한다.

학습 과정

1) 학생들을 두 명씩 짝을 지어 주고 마
주 보고 앉도록 한다.
2) 교재의 그림에 어떤 물건들이 있는지
이야기를 나눈 후 교재에 제시된 대화
문을 따라 읽힌다.
3) 교재에 제시된 그림을 바탕으로 보기
로 제시된 대화의 형식으로 질문・대
답 활동을 교대로 하도록 한다.
4) 교사는 교실을 다니면서 학생들이 과
제를 잘 수행하고 있는지 점검하고 발
음이 부정확하거나 문장을 잘 생산하
활동 지 못하는 학생이 있을 경우 적절하
게 지도한다.
▶ 두
 명씩 짝을 이루어 한 학생은 ‘뭐가 있어요?’를
활용하여 질문하고 다른 학생은 자기가 소유하
고 있는 물건을 ‘N이/가 있어요’의 형식을 사용
하여 질문에 적절하게 대답하도록 한다.
- 위의 활동을 역할을 바꾸어 하도록 한다.
- 두 명씩 짝을 이루어 한 학생은 ‘N이/가 있
어요?’를 활용하여 질문하고 다른 학생은 소
유 여부에 따라 ‘네, 있어요.’ 또는 ‘아니요,
없어요.’의 형태로 질문에 적절하게 대답하도
록 한다.
- 위의 활동을 역할을 바꾸어 하도록 한다.

제9과 | 장난감 기차가 있어요? 79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새로 배운 문법과 표현, 어휘를 쓰기 활


동을 통해 연습한다.

학습 과정

1) 교재에 제시된 그림을 보면서 해당 물


건이 있는지 묻고 답한다.
2) 각자 교재에 제시된 그림을 보면서 빈
칸에 적당한 말을 쓰도록 한다.
3) 교사는 교실을 다니면서 학생들이 정
확하게 쓰는지를 확인한다.

활동

▶  명씩 짝을 이루어 한 학생은 ‘N이/가 있어요’



또는 ‘N이/가 없어요’의 형식을 사용하여 문장
을 말하고 다른 학생은 들은 문장을 공책에 받
아쓰도록 한다.
- 위의 활동을 역할을 바꾸어 하도록 한다.

▶  사는 오늘 학습한 문법 및 표현, 어휘가 들어



간 문장 5개 정도를 미리 구상하고 이를 바탕으
로 단어 카드를 만든다. 단어 카드를 학생들에
게 나누어 주고 카드를 활용하여 문장을 완성하
도록 한다.
- 위의 활동을 역할을 바꾸어 하도록 한다.

80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9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한국 어린이들이 즐겨 만드는 종이비행


기와 종이배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 학
습한다.

학습 과정

1) 종이비행기 또는 종이배를 만들어 본


적이 있는지 학생들에게 질문한다.
2) 종이비행기, 종이배 외에 종이로 만들
수 있는 것들이 있는지 묻는다.
3) 함께 교재에 제시된 내용을 읽는다.
4) 읽은 내용에 대해 묻고 답한다.
5) 교재의 만드는 방법을 보면서 종이비
행기와 종이배를 직접 만들어 본다.

한국어 번역 종이접기
● 장난감과 컴퓨터가 없었을 때 한국의 어린이들에게 가장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장난
감은 종이배와 종이비행기였다. 어린이들은 종이배를 접어 냇물에 띄우고 종이비행기
를 만들어 날리며 놀았다.

참고 종이 개구리
7 8 9
1 2 3

10 11 12
4 5 6

제9과 | 장난감 기차가 있어요? 81


제9과 종합 연습

1. 연결하세요.

(1) ● ● 곰 인형

(2) ● ● 장난감 자동차

(3) ● ● 장난감 기차

(4) ● ● 토끼 인형

(5) ● ● 강아지 인형

(6) ● ● 장난감 비행기

82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9
2. <보기>와 같이 쓰세요.

보기
장 난 감 기 차 가 있 어 요 .

(1)

(2)

(3)

(4)

3. 빈칸에 알맞은 말을 쓰세요.

(1) 가: 장난감 자동차가 ?


나: 네, 있어요.

(2) 가: 강아지 인형이 있어요?


나: 아니요, .

(3) 가: 토끼 인형이 있어요?


나: , 있어요.

(4) 가: 있어요?
나: 장난감 비행기가 있어요.

제9과 | 장난감 기차가 있어요? 83


제10과 제 책이에요

학습 목표
어떤 물건에 대해 그 물건의 소유주가 누구
인지 묻고 대답할 수 있다.

문법과 표현
▶ 누구(의)
▶제

▶ 사람 지칭어+(의) +N

학습 어휘
▶ 동화책, 필통, 우산, 신발, 옷, 가위

수업 도우미

그림 활동

- 그림을 보면서 배경 장소, 등장인물,


물건 이름 등에 대해 전체 학습자와 이
야기하거나 질문·대답 활동을 한다. 교수 Tip

● 영어 인칭대명사의 경우 ‘my’, ‘your’, ‘his’, ‘her’,


듣기/읽기 활동 ‘our’, ‘their’와 같이 인칭대명사의 소유격이 별도로
존재하고 그 외의 경우 ‘'s’를 사용하여 표현한다.
- CD를 듣고 들은 내용이 무엇인지에 대 그러나 한국어에는 인칭대명사의 소유격이 별도로
해 자유롭게 이야기하고 모르는 단어
존재하지 않으며 모든 경우에 관형격조사 ‘의’를 사
는 간단히 설명해 준다.
용하여 표현하고 구어에서 관형격조사 ‘의’는 일반
- 한 문장씩 교사가 먼저 읽고 따라 읽
적으로 생략되어 실현된다. 관형격조사 ‘의’가 1인
힌다.
칭대명사 ‘저’와 결합될 경우 ‘제’의 형태로 바뀌어
- 두 학생을 지정하여 교재의 본문을 읽
게 한다. 사용된다는 점에 주의하여 지도하도록 한다.
- 옆 친구와 역할을 나누어 교재의 본문
을 읽게 한다. ● 관형격조사 ‘의’의 노출 여부는 학습자 수준을
고려하여 교사가 판단한다.

84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10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새로 나온 단어를 그림을 통해 학습하고


소유 표현에 대해 학습한다.

학습 과정

1) 학생 전체가 볼 수 있는 크기로 단어 카


드를 준비한다. 교재처럼 위쪽에는 그
림, 아래쪽에는 해당 단어를 적고 그림
만 보이도록 아랫부분을 뒤쪽으로 접는
다.
2) 한 단어씩 먼저 그림을 보여 주고 접힌
부분을 펼쳐 해당 단어를 보여 준 뒤 단
어를 따라 읽힌다. 2-3회 반복한다.
3) 그림만 보여 주고 단어를 말해 보도록
한다. 2-3회 반복한다.
4) 학생 전체가 볼 수 있는 크기로 질문 카
드(이건 누구 우산이에요?/이건 누구
가위예요?)와 대답 카드(제 우산이에
요./토니 가위예요.)를 준비한다. 질문
카드의 ‘누구’와 대답 카드의 ‘제’와 ‘토
니’ 부분은 다른 색으로 나타낸다.
활동 5) 실제 우산을 들어서 학생들에게 보여
주면서 ‘이건 누구 우산이에요?’라는 질
▶ 두
 명씩 짝을 이루어 한 학생은 자기 물건이나 문 카드를 보여 주며 질문하고 이어서
짝꿍의 물건 또는 반 친구 소유의 물건들을 가 대답 카드 ‘제 우산이에요.’를 보여 주며
리키며 ‘이건 누구 N예요/이에요?’를 활용하여 따라 읽힌다.
질문하고 다른 학생은 질문에 적절하게 대답하 6) 학생들의 학용품을 활용하여 ‘이건 누구
도록 한다. N예요/이에요?’의 형식으로 그 학용품
 - 위의 활동을 역할을 바꾸어 하도록 한다. 의 소유자인 학생에게 질문을 한다. 학
생은 ‘제 N예요/이에요’의 형식으로 대
답을 한다. 주위의 다른 학생들에게도
같은 질문을 한다. 학생들은 ‘친구(학용
품 소유자) 이름 N예요/이에요’의 형태
로 대답한다.

제10과 | 제 책이에요 85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단원 학습 문법과 표현, 어휘를 듣기 활


동을 통해 연습한다.

학습 과정

1) 학생들이 교재에 제시된 그림을 보면


서 그림에 나온 물건들이 무엇인지 확
인할 수 있도록 한다.
2) 듣기 파일을 듣고 누구의 물건인지 선
으로 연결하도록 지시한다.
3) 듣기 파일을 두 번 들려준다.
4) 처음부터 한 문장씩 들려주면서 교사
와 함께 정답을 확인한다.

활동

▶  생들에게 빈 종이를 한 장 나누어 준 후 종이



를 4등분하여 ‘아빠 얼굴’, ‘엄마 얼굴’, ‘동생 얼
굴’, ‘할머니 얼굴’을 그리도록 한다. 교사가 ‘아
빠 책이에요.’, ‘엄마 우산이에요.’, ‘동생 옷이에
요.’, ‘할머니 안경이에요.’와 같이 물건의 소유주
가 누구인지를 말하면 학생들은 들은 물건을 해
당 소유주 난에 그림으로 표현하도록 한다.
- 위의 활동에서 그린 그림을 보면서 문장을 만
들어 읽어 보도록 한다.

86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10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말하기 활동을 통해 단원 학습 문법과 표


현, 어휘를 연습한다.

학습 과정

1) 교재의 두 번째 그림을 보면서 사물


이름이 무엇인지 묻고 답한다.
2) 학생들을 두 명씩 짝을 지어 주고 마
주 보고 앉도록 한다.
3) 교재에 제시된 보기의 대화문을 함께
읽고 제시된 대화문의 형식으로 그림
을 활용하여 질문・대답 활동을 하도
록 한다.
4) 교사는 교실을 다니면서 학생들이 과
제를 잘 수행하고 있는지 점검하고 발
음이 부정확하거나 문장을 잘 생산하
활동 지 못하는 학생이 있을 경우 적절하
게 지도한다.
▶ 두
 명씩 짝을 이루어 한 학생은 자기 물건이나
친구가 가지고 있는 물건들을 가리키며 ‘누구 N
예요/이에요?’를 활용하여 질문하고 다른 학생
은 ‘제 N예요/이에요’ 또는 ‘친구 이름 + N예요/
이에요’의 형식을 사용하여 질문에 적절하게 대
답하도록 한다.
- 위의 활동을 역할을 바꾸어 하도록 한다.

제10과 | 제 책이에요 87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새로 배운 어휘를 쓰기 활동을 통해 연
습한다.

학습 과정

1) 교재에 제시된 그림을 보면서 어떤 물


건이 있는지 묻고 답한다.
2) 각자 교재에 제시된 그림을 보면서 빈
칸에 적당한 말을 쓰도록 한다.
3) 교사는 교실을 다니면서 학생들이 정
확하게 쓰는지를 확인한다.

활동

▶  사가 ‘제 신발이에요.’, ‘슬기 우산이에요.’ 등



의 형태로 문장을 말하면 학생들은 들은 문장을
공책에 받아쓴다.

▶  자 지금 자기가 가지고 있는 물건과 옆 친구



가 가지고 있는 물건에 대해 ‘제 N예요/이에요’
또는 ‘친구 이름 + N예요/이에요’의 형태로 문
장 5개를 공책에 쓰도록 한다. 쓰기 활동이 끝난
후 물건을 보여 주면서 자기가 쓴 문장을 발표
하도록 한다.

88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10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한국의 전래 동화 중의 하나인 ‘금도끼


은도끼’에 대해 학습한다.

학습 과정

1) 교재의 그림을 보면서 장소가 어디인


지, 누가 있는지, 무엇을 하는지 등에
대해 학생들과 함께 질문・대답 활동
을 한다.
2) 전래 동화 ‘금도끼 은도끼’를 알고 있
는지 묻는다.
3) 함께 교재에 제시된 내용을 읽는다.
4) 읽은 내용에 대해 묻고 답한다.

한국어 번역 금도끼 은도끼

● 옛날에 가난하지만 정직하고 착한 나무꾼이 살고 있었다. 어느 날 나무꾼은 연못가에서 나무를 하다가


도끼를 연못에 빠뜨렸다. 나무꾼이 울고 있을 때 어디선가 산신령이 나타났다. 산신령은 나무꾼에게 왜 울
고 있느냐고 물었다. 나무꾼의 이야기를 들은 후 산신령은 연못 속으로 들어가더니 금도끼를 가지고 나와
그 도끼가 나무꾼의 도끼냐고 물었다. 나무꾼은 금도끼는 자기 도끼가 아니라고 했다. 산신령은 다시 물속
으로 들어가더니 이번에는 은도끼를 들고 나왔다. 나무꾼은 은도끼도 자기 도끼가 아니라고 했다. 산신령
이 이번에는 쇠도끼를 보여 주었다. 나무꾼은 그 도끼가 맞다고 했다. 그러자 산신령은 금도끼와 은도끼까
지 모두 나무꾼에게 주었다. 착하고 정직한 나무꾼은 금도끼와 은도끼를 받고 오래오래 행복하게 살았다.

참고  인터넷 사이트 다음(www.daum.net)의 어린이 사이트 ‘키즈짱’에서 ‘금도끼 은도끼’를 애니메이션으로 감상할 수 있다.
http://kids.daum.net/kids/infant/

제10과 | 제 책이에요 89
제10과 종합연습

1. 그림을 보고 아래에서 글자를 찾아 쓰세요.

보기 가위
필 위 동

신 화 발 (1)

(2)
우 옷 통
(3)
산 책 가
(4)

(5)

90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10
2. <보기>와 같이 쓰세요.

보기 (엄마) 엄 마 우 산 이 에 요 .

(1) (아빠)

(2) (동생)

(3) (스티븐)

(4) (사라)

3. 빈칸에 알맞은 말을 쓰세요.

(1) 가: 시계예요?

나: 토니 시계예요.

(2) 가: 누구 가위예요?

나: 린다 .

(3) 가: ?

나: 할머니 옷이에요.

(4) 가: 이건 누구 필통이에요?

나: 민수 .

제10과 | 제 책이에요 91
제11과 치마가 아니에요

학습 목표
‘N예요/이에요’에 대응하는 ‘N이/가 아니에
요’를 사용하여 부정 표현을 사용할 수 있다.

문법과 표현
▶ N이/가 아니에요

학습 어휘
▶ 치마, 바지, 운동화, 구두, 안경, 양말, 모자

수업 도우미

그림 활동

- 그림을 보면서 배경 장소, 등장인물,


물건 이름 등에 대해 전체 학습자와 이
야기하거나 질문・대답 활동을 한다.
교수 Tip

● ‘N이/가 아니에요’의 경우에도 ‘N이/가 있어요’


듣기/읽기 활동
에서와 같이 앞에 오는 명사가 자음으로 끝나는
지 모음으로 끝나는지에 유의하여 조사 ‘이’ 또는
- CD를 듣고 들은 내용이 무엇인지에 대
‘가’를 결합시켜야 함을 강조한다. 조사 ‘이’가 올
해 자유롭게 이야기하고 모르는 단어
경우 결합되는 명사와 연음하여 발음할 수 있도
는 간단히 설명해 준다.
록 지도한다.
- 한 문장씩 교사가 먼저 읽고 따라 읽
힌다.
- 두 학생을 지정하여 교재의 본문을 읽
게 한다.
- 옆 친구와 역할을 나누어 교재의 본문
을 읽게 한다.

92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11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새로 나온 단어를 그림을 통해 학습하고


부정 표현 ‘N이/가 아니에요’를 학습한다.

학습 과정

1) 학생 전체가 볼 수 있는 크기로 단어


카드를 준비한다. 교재처럼 위쪽에는
그림, 아래쪽에는 해당 단어를 적고
그림만 보이도록 아랫부분을 뒤쪽으
로 접는다.
2) 한 단어씩 먼저 그림을 보여 주고 접
힌 부분을 펼쳐 해당 단어를 보여 준
뒤 단어를 따라 읽힌다. 2-3회 반복
한다.
3) 그림만 보여 주고 단어를 말해 보도록
한다. 2-3회 반복한다.
4) 학생 전체가 볼 수 있는 크기로 질
문 카드(이게 치마예요?/저게 안경이
에요?)와 대답 카드(네, 치마예요./아
니요, 안경이 아니에요.)를 준비한다.
대답 카드의 ‘아니요’와 ‘이 아니에요’
부분은 다른 색으로 나타낸다.
5) 실제 치마 또는 치마 그림을 가리키
활동 면서 ‘이게 치마예요?’라는 질문 카드
를 보여 주며 질문하고 이어서 대답
▶ 두
 명씩 짝을 이루어 한 학생은 자기 물건이나 카드 ‘네, 치마예요.’를 보여 주며 따
교실에 있는 물건들을 가리키며 ‘이게/저게 N 라 읽힌다.
예요/이에요?’를 활용하여 질문하고 다른 학생 6) 멀리 있는 물건 중 안경이 아닌 다
은 ‘네, N예요/이에요’ 또는 ‘아니요, N이/가 아 른 물건을 가리키면서 ‘저게 안경이
니에요’의 형식을 사용하여 질문에 적절하게 대 에요?’라는 질문 카드를 보여 주며 질
답하도록 한다. 문하고 이어서 대답 카드 ‘아니요’까
- 위의 활동을 역할을 바꾸어 하도록 한다. 지만 보여 준다. 그리고 ‘안경이 아니
에요’ 부분을 서서히 펼치면서 따라
읽힌다.
7) 교실에 있는 사물을 활용하여 ‘N
이/가 아니에요’를 사용하여 문장을
만들 수 있도록 충분히 연습한다.

제11과 | 치마가 아니에요 93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단원 학습 문법과 표현, 어휘를 듣기 활


동을 통해 연습한다.

학습 과정

1) 학생들이 교재에 제시된 그림을 보면


서 그림에 나온 물건들이 무엇인지 확
인할 수 있도록 한다.
2) 듣기 파일을 듣고 들은 내용에 맞는
그림을 찾아 ○표를 하도록 지시한다.
3) 듣기 파일을 두 번 들려준다.
4) 처음부터 한 문장씩 들려주면서 교사
와 함께 정답을 확인한다.

활동

▶  사는 ‘N이/가 아니에요. N예요/이에요.’의 형



태로 문장을 말하고 학생들은 들은 문장에 나온
두 개의 명사를 그림으로 표현한 후 각각의 그림
아래에 ‘O’와 ‘X’를 사용하여 표시하도록 한다.
- 위의 활동이 끝난 후 각자의 그림을 보면서 조
금 전 선생님이 말한 문장을 만들어 말해 보
도록 한다.

94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11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말하기 활동을 통해 단원 학습 문법과 표


현, 어휘를 연습한다.

학습 과정

1) 교재에 제시된 그림들을 하나씩 가리


키면서 사물 이름이 무엇인지 묻고 답
하게 한다.
2) 학생들을 두 명씩 짝을 지어 주고 마
주 보고 앉도록 한다.
3) 교재에 제시된 보기의 대화문을 함께
읽고 제시된 대화문의 형식으로 그림
을 활용하여 질문・대답 활동을 하도
록 한다. 이때 ‘아니요, N이/가 아니에
요’로 대답할 수 있는 질문도 함께 하
도록 한다.
4) 교사는 교실을 다니면서 학생들이 과
제를 잘 수행하고 있는지 점검하고 발
활동 음이 부정확하거나 문장을 잘 생산하
지 못하는 학생이 있을 경우 적절하
▶ 스
 무고개 게임을 한다. 한 학생이 앞으로 나와 그림 카
게 지도한다.
드 하나를 선택하고 앉아 있는 학생들에게는 그림 카
드를 보여 주지 않는다. 앉아 있는 학생들은 ‘N예요/이
에요?’의 형식으로 질문을 하고 앞에 나온 학생은 ‘아니요, N이/가 아니에요’ 또는 ‘네, N예요/이에요’의
형식으로 대답을 한다. ‘네, N예요/이에요’로 대답을 하게 되면 게임이 끝나며 그 질문을 한 학생이 게임
에서 이기게 된다.

▶ 두
 명씩 짝을 이루어 한 학생은 자기 물건이나 교실에 있는 물건들을 가리키며 ‘이게/저게 N예요/이에
요?’를 활용하여 질문하고 다른 학생은 ‘네, N예요/이에요’ 또는 ‘아니요, N이/가 아니에요’의 형식을 사
용하여 질문에 적절하게 대답하도록 한다.
- 위의 활동을 역할을 바꾸어 하도록 한다.

제11과 | 치마가 아니에요 95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새로 배운 문법과 표현, 어휘를 쓰기 활


동을 통해 연습한다.

학습 과정

1) 교재에 제시된 그림을 보면서 어떤 물


건이 있는지 묻고 답하게 한다.
2) 각자 교재에 제시된 그림을 보면서 빈
칸에 적당한 말을 써서 문장을 완성
하도록 하고, 교사는 교실을 다니면
서 학생들이 정확하게 쓰는지를 확인
한다.
3) 위의 활동이 끝난 후 그림을 보면서
그림에 적합한 대화문을 다 같이 읽
도록 한다.

활동

▶ 교
 사는 그림 카드를 보여 주면서 ‘이게 N예요/
이에요?’의 형태로 질문을 하고 학생들은 ‘네, N
교수 Tip
예요/이에요’ 또는 ‘아니요, N이/가 아니에요’의
● 학생들 중에는 ‘N이/가 아니에요’에서 형식을 사용하여 대답한 후 대답한 문장을 공
‘아니에요’를 ‘아니예요’라고 잘못 쓰는 학 책에 쓴다.
생들이 많다. 쓰기 활동에 있어서 이 점에 - 두 명씩 짝을 지어 준 후 위의 활동을 하도
주의하여 쓸 수 있도록 지도한다. 록 한다.
- 위의 활동을 역할을 바꾸어 하도록 한다.

96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11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동요 중의 하나인


‘나비야’를 배운다.

학습 과정

1) 학생들에게 즐겨 부르는 노래, 좋아하


는 노래가 있는지 질문한다.
2) 동요 ‘나비야’를 아는지 물어본다.
3) ‘나비야’ 가사를 한 구절씩 따라 읽히
면서 어떤 의미인지 설명해 준다.
4) ‘나비야’ 노래를 한 번 들려 준 후 한
소절씩 따라 부르도록 한다.
5) 위의 4번 활동을 한 번 더 반복한다.
6) 다 함께 ‘나비야’ 노래를 부른다.

문화 Tip

● 동요는 어린이들의 세계에서 소재


를 얻고, 어린이들의 창법에 맞게 만
들어진 어린이 노래를 말한다. 동요에
는 예로부터 구전되어 온 전래 동요
와 작곡・작사자가 분명한 창작 동요
가 있다. 인터넷 사이트 http://kr.kids.
yahoo.com에 접속하면 한국 어린이
들이 즐겨 부르는 동요 목록들을 알
수 있으며 들어 볼 수도 있다. 그리고
율동도 배울 수 있다. 동요 ‘산토끼’
도 어린이들이 즐겨 부르는 동요 중
의 하나이다.

제11과 | 치마가 아니에요 97


제11과 종합연습

1. 그림을 보고 단어를 쓰세요.

(1) 예 요 .

(2)

(3)

(4)

(5)

(6)

98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11
2. 그림을 보고 대화문을 완성하세요.

이 게 모 자 예 요 ?
(1)
네 , .

이 게 연 필 이 에 요 ?
(2)

이 게 안 경 이 에 요 ?
(3)

이 게 ?
(4)
네 , .

이 게 바 지 예 요 ?
(5)
아 니 요 ,

제11과 | 치마가 아니에요 99


제12과 놀이터에서 그네를 타요

학습 목표
어디에서 무엇을 하는지 표현할 수 있다.

문법과 표현
▶ 어디에서
▶ 에서

학습 어휘
▶ 미끄럼틀, 자전거, 타요, 사요

수업 도우미

그림 활동

- 그림을 보면서 배경 장소, 등장인물,


물건 이름 등에 대해 전체 학습자와 이
야기하거나 질문・대답 활동을 한다. 교수 Tip

● 학생들이 ‘에’와 ‘에서’를 혼동하여 사용하지 않


듣기/읽기 활동 도록 그 차이에 대해 설명한다. 어떤 장소에서 어
떤 행동을 할 경우에는 ‘에서’가 사용되며, 존재 여
- CD를 듣고 들은 내용이 무엇인지에 대 부를 나타내는 ‘있어요’, ‘없어요’, 또는 ‘가요’, ‘와
해 자유롭게 이야기하고 모르는 단어 요’ 등의 이동의 의미를 나타내는 동사와 함께 쓰
는 간단히 설명해 준다. 일 경우에는 ‘에’가 사용된다.
- 한 문장씩 교사가 먼저 읽고 따라 읽
힌다.
- 한 학생을 지정하여 교재의 본문을 읽
게 한다.
- 다 함께 교재의 본문을 읽는다.

100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12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새로 나온 단어를 그림을 통해 학습하고


어디에서 무엇을 하는지에 대한 문법 및
표현을 학습한다.

학습 과정

1) 학생 전체가 볼 수 있는 크기로 단어


카드를 준비한다. 교재처럼 위쪽에는
그림, 아래쪽에는 해당 단어를 적고
그림만 보이도록 아랫부분을 뒤쪽으
로 접는다.
2) 한 단어씩 먼저 그림을 보여 주고 접힌
부분을 펼쳐 해당 단어를 보여 준 뒤
단어를 따라 읽힌다. 2-3회 반복한다.
3) 그림만 보여 주고 단어를 말해 보도록
한다. 2-3회 반복한다.
4) 학생 전체가 볼 수 있는 크기로 질문
활동 카드(동생은 뭘 해요?/어디에서 우유
를 사요?)와 대답 카드(공원에서 자
▶ ‘문법 및 표현’에 제시된 4개의 문장을 바탕으 전거를 타요./슈퍼에서 우유를 사요.)
로 하여 단어 카드를 준비한다. 예를 들어 ‘동생 를 준비한다. 질문 카드의 ‘어디에서’
은 뭘 해요?’라는 문장의 경우 문장부호까지 모 와 대답 카드의 ‘에서’ 부분은 다른 색
두 5개의 단어 카드(동생, 은, 뭘, 해요, ?)를 준 으로 나타낸다.
비한다. 두 명씩 짝을 지어준 후 학생들에게 준 5) ‘동생은 뭘 해요?’라는 질문 카드를 보
비한 단어 카드를 나누어 주고 교사가 말하는 여 주며 질문한다.
문장을 듣고 단어 카드를 사용해 문장을 완성 6) 대답 카드의 ‘공원’ 부분만 보여 주면
하도록 한다. 서 읽은 후 ‘에서 자전거를 타요’ 부분
- 위의 활동을 하되 선생님의 역할을 짝을 이 을 펼쳐 보이며 다시 읽는다.
룬 두 명 중 한 학생이 하고 다른 학생이 혼자 7) 두 번째 질문 카드인 ‘어디에서 우유
단어 카드를 사용해 문장을 완성하도록 한다. 를 사요?’도 같은 방법으로 진행한다.

제12과 | 놀이터에서 그네를 타요 101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단원 학습 문법과 표현, 어휘를 듣기 활


동을 통해 연습한다.

학습 과정

1) 학생들이 교재에 제시된 그림을 보면


서 그림에 나온 장소가 어디인지 그리
고 그 장소에서 무엇을 하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2) 듣기 파일을 듣고 맞는 그림을 찾아
○표를 하도록 지시한다.
3) 듣기 파일을 두 번 들려준다.
4) 처음부터 한 문장씩 들려주면서 교사
와 함께 정답을 확인한다.

활동

▶  생들에게 ‘O’ 판, ‘X’ 판을 만들도록 하거나 교



사가 나누어 준 후 교사가 제시하는 그림의 상
황과 교사가 말하는 문장이 일치하면 ‘O’, 일치
하지 않으면 ‘X’ 판을 들도록 한다. 이때 교사는
‘N에서 N을/를 V’의 형태로 문장을 구성하여 말
하고 지금까지 학습한 어휘 범위를 벗어나지 않
도록 주의한다.

▶  명씩 짝을 지어 준 후 한 학생이 ‘N에서 N

을/를 V’의 형태로 문장을 말하면 다른 학생은
들은 문장을 그림으로 표현하도록 한다.

102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12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말하기 활동을 통해 단원 학습 문법과 표


현, 어휘를 연습한다.

학습 과정

1) 학생들을 두 명씩 짝을 지어 주고 마
주 보고 앉도록 한다.
2) 첫 번째 그림을 보면서 학생들과 함께
그림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 후 교재에
제시된 대화문을 따라 읽힌다.
3) 교재에 제시된 그림을 가리키며 보기
로 제시된 대화의 형식으로 질문・대
답 활동을 교대로 하도록 한다.

활동

▶ 두
 명씩 짝을 지어 준 후 한 학생이 ‘어디에서’를 사용해 질문을 하면 다른 학생이 ‘N에서’를 사용해 대
답하도록 한다.
- 위의 활동을 역할을 바꾸어 하도록 한다.

▶ 같
 은 반 친구들에게 질문하여 다음과 같은 형식의 인터뷰 표를 완성하도록 한다.

친구1 친구1 친구3


질문
이름: 이름: 이름:

어디에서 책을 읽어요?

어디에서 운동을 해요?

어디에서 그림을 그려요?

제12과 | 놀이터에서 그네를 타요 103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새로 배운 문법과 표현, 어휘를 쓰기 활


동을 통해 연습한다.

학습 과정

1) 교재에 제시된 그림을 보면서 누가,


어디에서, 무엇을 하는지 묻고 답한
다.
2) 각자 교재에 제시된 그림을 보면서 빈
칸에 적당한 말을 써 문장을 완성하도
록 하고, 교사는 교실을 다니면서 학
생들이 정확하게 쓰는지를 확인한다.
3) 그림을 보면서 그림에 적합한 문장을
한 문장씩 읽는다.

활동

▶  사는 ‘N에서 뭘 해요?’의 형식으로 질문을 하



고 학생들은 해당 장소에서 할 수 있는 활동들을
대답한 뒤 대답한 내용을 공책에 쓴다. 학생들이
쓰기 활동을 하는 동안 교사는 교실을 다니면서
학생들이 정확하게 쓰는지 확인한다.

▶  사는 79쪽 ‘이야기해요’에 나온 그림 카드를



하나씩 보여 주고 학생들은 그림을 보고 ‘N에서
N을/를 V’의 형태로 공책에 쓰도록 한다. 쓰기
활동이 끝난 후 교사와 함께 정답을 확인하고 이
때 교사는 칠판에 정답을 제시한다.

104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12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한국의 전통 놀이 중의 하나인 ‘연날리


기’에 대해 학습한다.

학습 과정

1) 교재의 그림을 보면서 연날리기 놀이


를 알고 있는지 연날리기 놀이를 해
본 적이 있는지 등에 대해 학생들과
함께 질문・대답 활동을 한다.
2) 함께 교재에 제시된 내용을 읽는다.
3) 읽은 내용에 대해 묻고 답한다.

한국어 번역 연날리기

● 한국의 민속놀이 중의 하나인 연날리기는 아


이들뿐만 아니라 어른들도 좋아하는 민속놀이이
다. 대나무 가지를 가늘게 잘라서 연살을 만든 다
음 종이를 붙여 연을 만든다. 그리고 바람이 부는
언덕에 올라가 연을 날린다. 한국 사람들은 보통
설날에 연날리기를 즐기며 연의 모양은 주로 직
사각형이다.

참고 한국민속연협회(http://ekitekorea.com/) 사이트에서
는 연의 역사, 한국과 세계의 연, 연 만드는 방법과 연 날리는
방법 등을 자세히 소개하고 있다.

제12과 | 놀이터에서 그네를 타요 105


제12과 종합연습

1. 그림을 보고 단어를 쓰세요.

(1)
이 에 요 .

(2)

2. 그림을 보고 문장을 완성하세요.

(1) 그 네 를 .

(2) 주 스 를 .

(3) 미 끄 럼 틀 을 .

(4) 빵 을 .

106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12
3. 그림을 보고 대화문을 완성하세요.

그 림 을 그 려 요 ?
(1)
거 실 그 림 을 그 려 요 .

어 디 자 전 거 를 타 요 ?
(2)
자 전 거 를 타 요 .

어 디 책 을 읽 어 요 ?
(3)
책 을 읽 어 요 .

물 을 마 셔 요 ?
(4)
물 을 마 셔 요 .

주 스 를 사 요 ?
(5)
주 스 를 사 요 .

제12과 | 놀이터에서 그네를 타요 107


제13과 일, 이, 삼, 사

학습 목표
1부터 10까지의 아라비아 숫자를 한국어로
말할 수 있다.

학습 어휘
▶ 일, 이, 삼, 사, 오, 육, 칠, 팔, 구, 십

수업 도우미

그림 활동

- 그림을 보면서 본 과에서 배우게 될


교수 Tip
내용이 무엇인지 유추해 보도록 한다.
● 한국어의 숫자는 두 가지 방법으로 읽을 수 있
는데 하나는 한자어의 형태이고 다른 하나는 순수
듣기/읽기 활동 한국어의 형태이다. 본 과에서 배우는 ‘일, 이, 삼,
사, 오, 육, 칠, 팔, 구, 십’은 한자어의 형태이고, 14
- CD를 듣고 들은 단어들이 무엇인지 말 과에서 배우게 될 ‘하나, 둘, 셋, 넷, 다섯, 여섯, 일
해 보도록 한다. 곱, 여덟, 아홉, 열’은 순수 한국어의 형태이다.
- 일부터 십까지 교사가 먼저 읽고 따
라 읽힌다.
- 학생을 지정하여 한 번 읽게 한다.
- 일부터 십까지 다 함께 읽는다.

108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13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1부터 10까지의 아라비아 숫자를 한국


어로 어떻게 읽는지 그림을 통해 학습
한다.

학습 과정

1) 학생 전체가 볼 수 있는 크기로 교재


의 모자 그림을 확대 복사하여 칠판에
붙여 놓는다.
2) 모자 그림을 하나씩 가리키면서 아라
비아 숫자를 한국어로 따라 읽힌다.
학생들의 발음이 유연해질 때까지 반
복해서 숫자를 따라 읽힌다.
3) 한국어 표현을 가리고 그림만 보여 주
면서 한국어로 숫자를 말해 보도록 한
다. 2-3회 반복한다.
활동 4) 손가락을 이용하거나 주변의 물건을
이용하여 숫자를 제시하고 한국어로
▶ 두
 명씩 짝을 지어 한 학생은 손가락으로 숫자를 해당되는 숫자를 말해 보도록 한다.
표현하고 다른 학생은 손가락의 수에 맞게 숫자
를 한국어로 표현한다.

▶ 두
 명씩 짝을 지어 한 학생은 일부터 십까지의
숫자 중 하나를 말하고 다른 학생은 들은 숫자
를 손가락으로 표현한다.

제13과 | 일, 이, 삼, 사 109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단원 학습 어휘를 듣기 활동을 통해 연
습한다.

학습 과정

1) 잘 듣고 들은 수만큼 사과를 그리도


록 지시한다.
2) 듣기 파일을 두 번 들려준다.
3) 처음부터 한 문장씩 들려주면서 교사
와 함께 정답을 확인한다.
4) 두 번째 듣기 활동에 대해서 잘 듣고
맞는 것에 ○표를 하도록 지시한다.
5) 듣기 파일을 두 번 들려준다.
6) 처음부터 한 문장씩 들려주면서 교사
와 함께 정답을 확인한다.

활동

▶  명씩 짝을 지어 한 학생은 아라비아 숫자를



말하고 다른 학생은 들은 한국어로 숫자를 써
보도록 한다.
- 위의 활동을 역할을 바꾸어 하도록 한다.

▶  사가 불러 주는 숫자를 듣고 한국어로 받아쓰



도록 한다.

110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13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말하기 활동을 통해 단원 학습 어휘를


연습한다.

학습 과정

1) 1부터 10까지 다 함께 읽어 본다.


2) 학생들을 두 명씩 짝을 지어 주고 마
주 보고 앉도록 한다.
3) 교재를 보면서 1부터 10까지 번갈아
가며 읽으면서 각자의 교재에 선을 연
결하도록 지시한다.
4) 두 번째 활동에서도 번갈아가면서 교
재에 제시된 숫자를 말하도록 한다.
3) 순서를 바꾸어 다시 한 번 교재에 제
시된 숫자를 말하도록 한다.

활동

▶ 두
 명씩 짝을 이루어 한 학생이 숫자를 말하면
다른 학생은 들은 숫자에 1을 더해서 말을 하도
록 한다.

▶ 두
 명씩 짝을 이루어 한 학생이 숫자를 말하면
다른 학생은 들은 숫자에 1을 빼서 말을 하도
록 한다.

▶ 가
 로 세 칸, 세로 세 칸짜리 빙고 게임지에 1부
터 10까지의 숫자 중 쓰고 싶은 숫자들을 골라
한국어로 써서 빙고지를 채우도록 하고 빙고 게
임을 한다.

제13과 | 일, 이, 삼, 사 111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학습한 한국어 어휘를 쓰면서 반복 연


습한다.

학습 과정

1) 교재에 제시된 그림을 보면서 사과가


몇 개 있는지 차례로 묻는다.
2) 그림을 보면서 빈칸에 사과가 몇 개
있는지 한국어로 쓰도록 지시한다.
3) 교사는 교실을 다니면서 학생들이 정
확하게 쓰는지를 확인한다.
4) 일부터 십까지 다 함께 읽는다.

활동

▶  사가 장갑 낀 손으로 손가락을 펴서 몇 개인

지를 보이면 학생들은 해당되는 숫자를 말한다.
- 학생들 중 선생님 역할을 해 보고 싶어 하는 학
생에게 장갑을 주고 선생님 역할을 하도록 하
고 앉아 있는 학생들은 손가락의 수를 보고 해
당되는 숫자를 말하도록 한다.

▶  사는 전화번호를 불러 주고 학생들은 들은 전

화번호를 숫자로 표현한다.
- 자기 집 전화번호를 한국어로 써 보도록 한다.

112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13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한국 사람들이 싫어하는 숫자 4에 대해
알아본다.

학습 과정

1)좋아하는 숫자와 싫어하는 숫자가 있


는지, 있으면 어떤 숫자를 좋아하고
싫어하는지 질문한다.
2) 주위 사람들로부터 그들이 싫어하는
숫자에 대해 들어 본 적이 있는지 묻
는다.
3) 한국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숫자 4를
싫어한다고 이야기하고 교재에 제시
된 내용을 함께 읽는다.
4) 읽은 내용에 대해 묻고 답한다.

한국어 번역 숫자 4

● 한국 사람들은 숫자 4를 싫어한다. 그 이유는


‘죽다’라는 뜻의 한자음이 숫자 4의 한국어 표현
인 ‘사’와 음이 같기 때문이다. 그래서 병원이나
활동
아파트와 같은 건물의 엘리베이터에는 4층을 영
어 알파벳 ‘F’로 나타내거나 혹은 4층을 나타내지 ▶ 주
 변에서 숫자가 적힌 물건들을 찾아보
않고 3층 다음에 바로 5층을 표시해 놓기도 한다. 게 한다.

▶ 자
 신의 이름과 가상의 전화번호가 적힌
명함을 만들어 예쁘게 꾸며 보게 한다.

제13과 | 일, 이, 삼, 사 113
제13과 종합연습

1. 알맞은 것끼리 연결해 보세요.

(1)
6 ● ● 이

(2)
2 ● ● 삼

(3)
1 ● ● 육

(4)
4 ● ● 사

(5)
3 ● ● 일

2. 빈칸에 알맞은 숫자를 한국어로 쓰세요.

일 이

사 오

114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13
3. 숫자를 보고 한국어로 쓰세요.

제13과 | 일, 이, 삼, 사 115
제14과 하나, 둘, 셋, 넷

학습 목표
1부터 10까지의 숫자를 순수 한국어로 말할
수 있고, 수관형사 ‘한’, ‘두’, ‘세’, ‘네’를 사용
하여 일부 단위명사와 함께 표현할 수 있다.

학습 어휘
▶  나, 둘, 셋, 넷, 다섯, 여섯, 일곱, 여덟,

아홉, 열
▶ 한, 두, 세, 네

▶ 개, 살

수업 도우미

그림 활동

- 그림을 보면서 본 과에서 배우게 될


내용이 무엇인지 유추해 보도록 한다. 교수 Tip

● 한국어에는 영어와 달리 단위명사가 존재한


듣기/읽기 활동 다. 사물의 수를 나타낼 경우 단위명사 ‘개’를 사
용하고, 나이를 나타낼 경우 단위명사 ‘살’을 사
- CD를 듣고 들은 단어들이 무엇인지 말 용하는데 ‘수사 + 단위명사’의 형태로 표현되므로
해 보도록 한다. 그 순서에 주의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영어에서는
- 하나부터 열까지 교사가 먼저 읽고 따 ‘There are two apples.’에서와 같이 ‘수사 + 명
라 읽힌다. 사’의 형태로 표현이 되지만 한국어에서는 ‘사과
- 학생을 지정하여 한 번 읽게 한다. 가 두 개 있어요.’와 같이 ‘수 관형사 + 단위명사’
- 하나부터 열까지 다 함께 읽는다. 의 형태로 표현되며, 명사 ‘사과’는 주격조사 ‘가’
와 결합된 ‘사과가’의 형태로 주어의 자리를 차지
하게 된다.

116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14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하나부터 열까지의 수사를 그림을 통해


학습한다.

학습 과정

1) 학생 전체가 볼 수 있는 크기로 교재


의 손가락 그림을 확대 복사하여 칠판
에 붙여 놓는다.
2) 손가락 그림을 하나씩 가리키면서 먼
저 13과에서 학습한 아라비아 숫자를
읽는 방법으로 한 번 다 함께 읽는다.
3) 한국어에는 숫자를 읽는 방법이 두 가
지가 있다고 설명을 해 준 후 아라비
아 숫자를 읽는 법과 다르게 순수 한
국어로 숫자를 읽을 수 있다고 설명
한다.
활동 4) 그림을 보면서 학생들의 발음이 유연
해질 때까지 반복해서 숫자를 따라 읽
▶ 두
 명씩 짝을 지어 한 학생은 손가락으로 숫자 힌다.
를 표현하면 다른 학생은 손가락의 수를 세어 한 5) 손가락을 이용하거나 주변의 물건을
국어로 표현한다. 이용하여 숫자를 제시하고 해당되는
숫자를 순수 한국어 표현으로 말해 보
▶ 두
 명씩 짝을 지어 한 학생은 하나부터 열까지 도록 한다.
의 숫자 중 하나를 말하면 다른 학생은 들은 숫 6) 물건을 셀 때에는 숫자 뒤에 ‘개’를 넣
자를 손가락으로 표현한다. 고 나이를 이야기할 때에는 나이 뒤
에 ‘살’을 넣어 표현한다고 설명한다.
7) ‘하나, 둘, 셋, 넷’의 경우 ‘개’ 또는 ‘살’
앞에서 ‘한, 두, 세, 네’로 바뀌므로 주
의하도록 가르친다.

제14과 | 하나, 둘, 셋, 넷 117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단원 학습 어휘를 듣기 활동을 통해 연
습한다.

학습 과정

1) 잘 듣고 들은 수만큼 별을 그리도록
지시한다.
2) 듣기 파일을 두 번 들려준다.
3) 처음부터 한 문장씩 들려주면서 교사
와 함께 정답을 확인한다.
4) 두 번째 듣기 활동에 대해서 잘 듣고
맞는 그림에 ○표를 하도록 지시한다.
5) 듣기 파일을 두 번 들려준다.
6) 처음부터 한 문장씩 들려주면서 교사
와 함께 정답을 확인한다.

활동

▶  명씩 짝을 지어 한 학생은 13과에서 배운 아

라비아 숫자를 말하면 다른 학생은 들은 아라비
아 숫자를 순수 한국어로 표현해 보도록 한다.
- 위의 활동을 역할을 바꾸어 하도록 한다.

▶  명씩 짝을 지어 주고 한 학생은 ‘사과가 세 개

있어요.’ 또는 ‘지우개가 한 개 있어요.’와 같이
물건의 수를 단위명사와 함께 문장으로 표현하
고 다른 학생은 들은 문장의 물건과 수를 그림
으로 표현하도록 한다.
- 위의 활동을 역할을 바꾸어 하도록 한다.

118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14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말하기 활동을 통해 단원 학습 어휘를


연습한다.

학습 과정

1) 학생들을 두 명씩 짝을 지어 주고 마
주 보고 앉도록 한다.
2) 교재에 제시된 그림을 보면서 몇 개
있는지 묻고 대답하는 활동을 하도록
한다. 이때 학생들의 이해를 돕기 위
해 예문을 제시해 준다.
가: 모자가 몇 개 있어요?
나: (모자가) 다섯 개 있어요.
3) 역할을 바꾸어 질문・대답 활동을 하
도록 한다.

활동

▶ 두
 명씩 짝을 이루어 서로의 나이를 묻고 답하
도록 한다.

▶ 학
 생들에게 동생이 있는지 묻고 동생이 있는 학
생에게 동생이 몇 살인지 묻는다.

▶ 두
 명씩 짝을 지어 준 후 각자 종이에 과일이나
물건들을 원하는 숫자만큼 그리도록 한다. 서로
의 그림을 보면서 무엇이 몇 개 있는지 서로에
게 질문하고 대답하도록 한다.

제14과 | 하나, 둘, 셋, 넷 119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학습한 한국어 어휘를 활용하여 문장을


쓰면서 반복 연습한다.

학습 과정

1) 교재에 제시된 그림을 보면서 무엇이


몇 개 있는지, 몇 살인지 차례로 묻
는다.
2) 교재의 그림을 보면서 빈칸에 한국어
표현을 쓰도록 지시한다.
3) 교사는 교실을 다니면서 학생들이 정
확하게 쓰는지를 확인한다.

활동

▶  명씩 짝을 지어 주고 한 학생은 ‘사과가 세

개 있어요.’ 또는 ‘지우개가 한 개 있어요.’와 같
이 물건의 수를 단위명사와 함께 문장으로 표현
하고 다른 학생은 들은 문장을 공책에 받아쓰
도록 한다.
- 위의 활동을 역할을 바꾸어 하도록 한다.

▶ ‘저는 ~ 살입니다’의 형태로 자신의 나이를 공


책에 쓰도록 한다. 동생이 있는 경우 ‘동생은 ~
살입니다’의 형태로 동생의 나이도 쓰도록 한다.

▶  기 주변에 무슨 물건이 몇 개 있는지 공책에



써 보도록 한다.

120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14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한국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동요인 ‘곰 세


마리’를 율동과 함께 배운다.

학습 과정

1)‘곰 세 마리’ 동요를 한 번 들려준다.


2) 한 소절씩 따라 부르게 한다.
3) 다 함께 처음부터 끝까지 노래를 부
른다.
4) 노래에 맞는 율동을 한 소절씩 가르쳐
주고 율동과 함께 따라 부르게 한다.
5) 다 함께 처음부터 끝까지 율동을 하면
서 노래를 부른다.
6) 앞으로 나와서 율동을 하면서 노래를
불러 보고 싶은 학생이 있는지 묻고
하고 싶은 학생이 있다면 발표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

문화 Tip

한국 어린이들은 숫자를 처음 배울 때 ‘10의 노래’를 함


께 배운다. 인터넷 사이트 http://kr.kids.yahoo.com에 접
속하면 이 노래를 들어 볼 수 있으며 수업에 활용한다면
수업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제14과 | 하나, 둘, 셋, 넷 121


제14과 종합연습

1. 손가락이 가리키는 숫자를 보고 한국어로 쓰세요.

122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14
2. 사과가 몇 개 있어요? 한국어로 쓰세요.

3. 몇 살이에요? 한국어로 쓰세요.

2 3
1

살 살 살

4 5
6

살 살 살

제14과 | 하나, 둘, 셋, 넷 123


제15과 아빠, 엄마, 사랑해요

학습 목표
사랑하는 마음을 한국어로 표현할 수 있다.

문법과 표현
▶ 사랑해요
▶ 행복해요

수업 도우미

그림 활동

- 그림을 보면서 장소가 어디인지, 누가


무엇을 하는지 등에 대해 전체 학습자
와 이야기하거나 질문・대답 활동을
한다.
교수 Tip

듣기/읽기 활동 ● 영어에서는 ‘I love you.’에서와 같이 동사 ‘love’


뒤에 반드시 목적어를 넣어서 표현해야 하지만 한
- CD를 듣고 들은 내용이 무엇인지에 대 국어에서는 목적어 없이 동사만을 사용하여 ‘사랑
해 자유롭게 이야기하고 모르는 단어 해요.’ 하고 표현한다.
는 간단히 설명해 준다.
- 한 문장씩 교사가 먼저 읽고 따라 읽
힌다.
- 학생을 지정하여 한 번 읽게 한다.
- 학생 모두가 다 함께 본문을 한 번 읽
는다.

124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15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일상생활에 유용하게 사용되는 표현에


대해 학습한다.

학습 과정

1) 학생 전체가 볼 수 있는 크기로 표현


카드를 준비한다. 위쪽에는 그림, 아
래쪽에는 해당 표현을 적고 그림만 보
이도록 아랫부분을 뒤쪽으로 접는다.
2) 먼저 그림을 보여 주고 접힌 부분을
펼쳐 해당 상황에 적절한 표현을 보
여 준 뒤 표현을 따라 읽힌다. 2-3회
반복한다.
3) 그림만 보여 주고 해당 상황에 적절한
한국어 표현을 말해 보도록 한다. 2-3
회 반복한다
활동

▶ 학
 생 두 명을 지목하여 앞으로 나오도록
하고 교재에 제시된 것과 유사하게 둘이
서 행동으로 표현하도록 한다. 앉아 있는
학생들은 행동을 보고 적절한 한국어 표
현을 말한다.

▶ 학
 생들에게 언제 가장 행복한지, 사랑한
다는 표현을 누구에게 많이 하는지 묻고
답하게 한다.

제15과 | 아빠, 엄마, 사랑해요 125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단원 학습 문법과 표현을 듣기 활동을 통


해 연습한다.

학습 과정

1) 잘 듣고 들은 내용을 빈칸에 쓰도록


지시한다.
2) 듣기 파일을 두 번 들려준다.
3) 처음부터 한 문장씩 들려주면서 교사
와 함께 정답을 확인한다.
4) 학생들이 철자 오류 없이 잘 썼는지
확인하기 위해 짝꿍과 교차 검토하도
록 한다.

활동

▶  재 95쪽 ‘배워 봐요’에 제시된 상황 그림들을



준비하되 그림에 제시된 한국어 표현은 삭제한
다. 학생들에게 그림들이 나와 있는 종이를 나
누어 주고 교사는 학습한 표현들을 하나씩 읽어
준다. 학생들은 표현을 들으면서 표현에 적합한
그림을 찾아 동그라미 표시를 한다.

▶  명씩 짝을 지어 한 학생은 상황 그림 카드를

보여 주고 다른 학생은 해당 상황에 적절한 한
국어 표현을 말해 보도록 한다.
- 위의 활동을 역할을 바꾸어 하도록 한다.

126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15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말하기 활동을 통해 단원 학습 문법과 표


현을 연습한다.

학습 과정

1) 학생들을 두 명씩 짝을 지어 주고 마
주 보고 앉도록 한다.
2) 교재에 제시된 문장을 읽도록 한다.
3) 교재에 제시된 그림을 보면서 한국어
로 서로 말해 보도록 한다.

활동

▶ 두
 명씩 짝을 이루어 ‘사랑해요’와 ‘행복해요’ 표
현을 사용하여 역할극을 하도록 한다.

▶ 언
 제 행복한지 한국어로 간단하게 이야기해 보
도록 한다.

▶ 사
 랑하는 사람에게 몸짓언어를 사용하여 마음
을 표현해 보도록 한다.

제15과 | 아빠, 엄마, 사랑해요 127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학습한 한국어 표현을 편지 쓰기 활동을


통해 연습한다.

학습 과정

1) 교재에 제시된 <보기>를 따라 읽힌다.


2) 교재에 제시된 <보기>가 어떤 유형의
글인지 학생들에게 질문한다.
3) 교재의 <보기>와 같이 부모님께 짧은
편지를 써 보도록 하고 교사는 교실을
다니면서 학생들이 편지를 잘 쓰고 있
는지를 확인한다.

활동

▶  명씩 짝을 이루어 한 학생은 오늘 배운 표현

들을 읽어 주고 다른 학생은 표현을 듣고 공책
에 받아쓴다.
- 위의 활동을 역할을 바꾸어 하도록 한다.

▶  한 친구 또는 가족에게 짧은 편지를 써 보도록



한다. 이때 편지지나 카드 또는 엽서를 미리 준
비해 올 수 있도록 사전에 공지한다.

128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15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한국인의 몸짓언어 중 ‘사랑해요’의 표현


에 대해 알아본다.

학습 과정

1)‘사랑해요’를 몸짓언어로 어떻게 표현


하는지 학생들에게 묻는다.
2) 몸짓언어로 ‘사랑해요’를 자주 표현하
는지 묻고 학생들에게 실제로 해 보도
록 한다.
3) 교재에 제시된 내용을 함께 읽는다.
4) 읽은 내용에 대해 묻고 답한다.

한국어 번역 사랑해요 ♥ 참고 손가락에도 이름이 있어요.

● 한국 사람들은 가슴 앞에서 손으로 하트 모양 가운뎃손가락


약손가락 (중지)
을 만들거나 두 팔을 머리 위로 올려 하트 모양을 (약지) 집게손가락
만들어서 사랑하는 마음을 표현한다. 하트는 심장 새끼손가락 (검지)
의 모양을 나타낸 것이며 이러한 제스처가 사용된 (소지)
지는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엄지손가락
(엄지)

제15과 | 아빠, 엄마, 사랑해요 129


제15과 종합연습

1. 그림을 보고 문장을 완성하세요.

아빠, .

엄마, .

엄 마 , 아 빠 , .

130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15

우 리 가 족 은 .

슬 기 할 머 니 는 .

제15과 | 아빠, 엄마, 사랑해요 131


제16과 고맙습니다

학습 목표
감사하는 마음, 미안한 마음을 한국어로 표
현할 수 있다.

문법과 표현
▶ 축하합니다
▶ 죄송합니다

▶ 고맙습니다

▶ 감사합니다

▶ 잘 먹겠습니다

▶ 잘 먹었습니다

수업 도우미

그림 활동

- 그림을 보면서 장소가 어디인지, 누가


무엇을 하는지 등에 대해 전체 학습자
와 이야기하거나 질문・대답 활동을
교수 Tip
한다.
● 영어에서는 ‘Thank you for the food.’ 또는
듣기/읽기 활동 ‘Thank you for the meal.’과 같이 식사 전・후에
하는 인사 표현에서 ‘Thank you’를 사용하여 표현
- CD를 듣고 들은 내용이 무엇인지에 대 하지만 한국어에서는 동사 ‘먹다’를 활용하여 표
해 자유롭게 이야기하고 모르는 단어 현한다. 식사를 하기 전에는 미래 시제의 의미를
는 간단히 설명해 준다. 담고 있는 ‘잘 먹겠습니다’로, 식사를 한 후에는 과
- 한 문장씩 교사가 먼저 읽고 따라 읽 거 시제의 의미를 담고 있는 ‘잘 먹었습니다’로 표
힌다. 현한다.
- 학생을 지정하여 한 번 읽게 한다.
- 교사가 교재에 제시된 그림과 유사한
그림을 보여 주면 학생들은 그림 상황
에 적합한 표현을 찾아 대답한다.

132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16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일상생활에 유용하게 사용되는 감사 표


현과 사과 표현에 대해 학습한다.

학습 과정

1) 학생 전체가 볼 수 있는 크기로 표현


카드를 준비한다. 교재처럼 위쪽에는
그림, 아래쪽에는 해당 표현을 적고
그림만 보이도록 아랫부분을 뒤쪽으
로 접는다.
2) 먼저 그림을 보여 주고 접힌 부분을
펼쳐 해당 상황에 적절한 표현을 보
여 준 뒤 표현을 따라 읽힌다. 2~3회
반복한다.
3) 그림만 보여 주고 해당 상황에 적절
한 한국어 표현을 말해 보도록 한다.
활동 2~3회 반복한다.

▶ 교
 사가 한국어 표현 중 하나를 말하면 학
생들은 표현을 듣고 언제 그 표현을 사용
하는지 영어로 설명한다.

▶ 교
 사가 영어로 ‘밥을 먹기 전에 어떻게 인
사해요?’ 또는 ‘밥을 먹고 나서 어떻게 인
사해요?’와 같은 유형의 질문을 하면 학
생들은 한국어로 대답한다.

제16과 | 고맙습니다 133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단원 학습 문법과 표현을 듣기 활동을 통


해 연습한다.

학습 과정

1) 보기에 제시된 다섯 가지 표현을 다


함께 읽거나 따라 읽힌다.
2) 잘 듣고 보기에서 골라 알맞은 표현을
쓰도록 지시한다.
3) 듣기 파일을 두 번 들려준다.
4) 처음부터 한 문장씩 들려주면서 교사
와 함께 정답을 확인한다.
5) 학생들이 철자 오류 없이 잘 썼는지
확인하기 위해 짝꿍과 교차 검토하도
록 한다.

활동

▶  재 101쪽 ‘배워 봐요’에 제시된 상황 그림들을



준비하되 그림 아래에 제시된 한국어 표현은 삭
제한다. 학생들에게 그림들이 나와 있는 종이를
나누어 주고 교사는 학습한 표현들을 하나씩 읽
어 준다. 학생들은 표현을 들으면서 표현에 적합
한 그림을 찾아 동그라미 표시를 한다.

▶  명씩 짝을 지어 한 학생은 상황 그림 카드를

보여 주고 다른 학생은 해당 상황에 적절한 한
국어 표현을 말해 보도록 한다.
- 위의 활동을 역할을 바꾸어 하도록 한다.

134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16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말하기 활동을 통해 단원 학습 문법과 표


현을 연습한다.

학습 과정

1) 학생들을 두 명씩 짝을 지어 주고 마
주 보고 앉도록 한다.
2) 교재에 제시된 그림을 보면서 그림에
적합한 한국어 표현을 서로 말해 보
도록 한다.

활동

▶ 두
 명씩 짝을 이루어 한국어 감사 표현 및 사과
표현을 활용할 수 있는 역할극을 하도록 한다.

▶ 교
 사가 실제로 선물이나 상장 그리고 사탕 또는
초콜릿과 같은 것을 준비해서 학생들에게 나누
어 주고 학생들이 상황에 적절한 한국어 표현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 학
 습자들이 본 과에서 학습한 표현을 모두 익혔
다면 ‘학교 다녀오겠습니다.’, ‘학교 다녀왔습니
다.’ 표현을 교수한 후 두 명을 지목하여 역할극
을 하도록 한다.

제16과 | 고맙습니다 135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학습한 한국어 표현을 쓰면서 반복 연


습한다.

학습 과정

1) 교재에 제시된 그림을 보면서 어떤 상


황인지 학생들과 이야기를 한다.
2) 각 상황에 적합한 한국어 표현이 무엇
인지 질문한다.
3) 교재의 빈칸에 한국어 표현을 써 보도
록 하고 교사는 교실을 다니면서 학
생들이 정확하게 쓰는지를 확인한다.

활동

▶ 두
 명씩 짝을 이루어 한 학생은 ‘Thank you.’ 또
는 ‘I'm sorry.’와 같이 영어로 표현하고, 다른 학
생은 들은 영어 표현에 해당되는 한국어 표현을
공책에 쓰도록 한다.
- 위의 활동을 역할을 바꾸어 하도록 한다.

▶ ‘이야기해요’에서 ‘학교 다녀오겠습니다.’, ‘학교


다녀왔습니다.’ 표현을 학습했다면 이 두 가지
표현을 공책에 5번씩 써 보도록 한다.

136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16

수업 도우미

학습 내용

한국인의 몸짓언어 중 ‘최고예요’의 표현


과 그 반대 표현에 대해 알아본다.

학습 과정

1)엄지손가락을 위로 들어서 세우고 학


생들에게 그 의미가 무엇인지 묻는다.
2) 엄지손가락을 아래로 향하게 해서 학
생들에게 그 의미가 무엇인지 묻는다.
3) 교재에 제시된 내용을 함께 읽는다.
4) 읽은 내용에 대해 묻고 답한다.

한국어 번역 최고
문화 Tip 손가락으로 1부터 10까지 숫자 세기
● 한국 사람들은 ‘최고’라고 표현을 하고 싶을 때 1 2 3
엄지손가락을 위로 들어서 표현한다. 그리고 그 반 4 5

대의 의미를 나타낼 때는 엄지손가락을 아래로 향


하게 하여 그 의미를 표현한다. 자녀들이 착한 일
을 하거나 학교에서 상을 받아 왔을 때 부모님은
6
엄지손가락을 들어 ‘최고’라고 말해 주기도 한다. 7 8
또 아이들이 부모님으로부터 선물을 받거나 신나
는 일이 있을 때 감사와 즐거움을 엄지손가락 ‘최
고’로 표현하기도 한다.
9
10

제16과 | 고맙습니다 137


제16과 종합연습

1. 그림을 보고 문장을 완성하세요.

아 빠 , .

엄 마 , .

138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Lesson 16

아 빠 , 엄 마 , .

아 빠 , 엄 마 , .

제16과 | 고맙습니다 139


140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부 록

한글학교 한국어 141


맞춤 한국어 2 종합연습 (모범 답안)

1과 종합연습 3.
(1) 우리 아빠예요.
(2) 우리 엄마예요.
1. (3) 우리 동생이에요.
(1) 뉴욕 (4) 우리 할아버지예요.
(2) 워싱턴 (5) 우리 선생님이에요.
(3) 샌프란시스코
(4) 보스턴
(5) 로스앤젤레스

2. 3 과 종합연습
(1) 저는 보스턴에서 살아요.
(2) 저는 뉴욕에서 살아요.
(3) 저는 워싱턴에서 살아요. 1.
(4) 저는 샌프란시스코에서 살아요.

2 과 종합연습

1.

2.
(1) 수영장에 가요.
(2) 슈퍼마켓에 가요.

142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맞춤 한국어 2 종합연습 (모범 답안)


(3) 유치원에 가요. 5 과 종합연습
(4) 공원에 가요.

3. 1.
(1) 약국에 가요.
(2) 슈퍼마켓에 가요.
(3) 수영장에 가요.

4 과 종합연습

1.

2.
(1) 저는 아이스크림이 좋아요.
2. (2) 저는 만두가 좋아요.
(1) 먹어요. (3) 저는 과자가 좋아요.
(2) 읽어요. (4) 저는 스파게티가 좋아요.
(3) 마셔요. (5) 저는 사탕이 좋아요.
(4) 봐요.

3.
(1) 저는 밥을 먹어요.
(2) 저는 텔레비전을 봐요.
(3) 저는 주스를 마셔요.
(4) 저는 그림을 그려요.

종합연습 (모범 답안) 143


맞춤 한국어 2 종합연습 (모범 답안)

6 과 종합연습 7 과 종합연습

1. 1.
(1) 불고기
(2) 잡채
(3) 김치
(4) 라면

2.
(1) 좋아해요
(2) 싫어해요

3.
(1) 저는 김치를 좋아해요.
(2) 저는 만두를 좋아해요.
(3) 저는 불고기를 좋아해요.
(4) 저는 잡채를 좋아해요.

4.
(1) 뭘
(2) 좋아해요
(3) 싫어해요
(4) 싫어해요 2.
(1) 스티븐이 전화해요.
(2) 사라가 운동해요.
(3) 토니가 공부해요.
(4) 민수가 축구해요.

3.
(1) 누가
(2) 운동해요
(3) 네
(4) 아니요

144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맞춤 한국어 2 종합연습 (모범 답안)

8 과 종합연습 9 과 종합연습

1. 1.
(1) 아침
(2) 산
(3) 바다
(4) 저녁
(5) 내일

2.
(1) 아침에 공부해요.
(2) 저녁에 축구해요.
(3) 내일 산에 가요.
(4) 오늘 유치원에 가요.

3.
(1) 언제
(2) 수영해요
(3) 텔레비전을 봐요
(4) 산에

2.
(1) 곰 인형이 있어요.
(2) 장난감 비행기가 있어요.
(3) 토끼 인형이 있어요.
(4) 강아지 인형이 있어요.

3.
(1) 있어요
(2) 없어요
(3) 네
(4) 뭐가

종합연습 (모범 답안) 145


맞춤 한국어 2 종합연습 (모범 답안)

2.
10 과 종합연습 (1) 모자예요
(2) 아니요, 연필이 아니에요.
(3) 아니요, 안경이 아니에요
1. (4) 기차예요, 기차예요
(1) ~ (5) 필통, 신발, 우산, 동화책, 옷 (5) 바지가 아니에요.

2.
(1) 아빠 신발이에요.
(2) 동생 옷이에요.
(3) 스티븐 필통이에요.
(4) 사라 동화책이에요. 12 과 종합연습

3.
(1) 누구 1.
(2) 가위예요 (1) 미끄럼틀
(3) 누구 옷이에요 (2) 자전거예요.
(4) 필통이에요
2.
(1) 타요
(2) 사요
(3) 타요
(4) 사요
11 과 종합연습
3.
(1) 어디에서, 에서
1. (2) 에서, 공원에서
(1) 치마 (3) 에서, 교실에서
(2) 바지예요. (4) 어디에서, 부엌에서
(3) 운동화예요. (5) 어디에서, 슈퍼에서
(4) 구두예요.
(5) 안경이에요.
(6) 양말이에요.

146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맞춤 한국어 2 종합연습 (모범 답안)

13 과 종합연습 15 과 종합연습

1. 1.
(1) 사랑해요
(2) 사랑해요
(3) 사랑해요
(4) 행복해요
(5) 행복해요

16 과 종합연습
2. 삼, 육, 칠, 구

3. 일, 이, 삼, 사, 오, 육, 칠, 팔, 구, 십 1.
(1) 고맙습니다
(2) 죄송합니다
(3) 잘 먹겠습니다
(4) 잘 먹었습니다

14 과 종합연습

1. 하나, 둘, 셋, 넷, 다섯, 여섯, 일곱,


여덟, 아홉, 열

2. 한, 두, 세, 네, 다섯, 여섯

3. 한, 두, 세, 네, 다섯, 여섯

종합연습 (모범 답안) 147


문법

1과 워싱턴에서 살아요 I live in Washington


어디에서 (Where + a locative particle; in or at)
When the speaker asks the place where a specific event or action happened,
‘어디(where)’ is used with the locative particle ‘에서’ after it.
특정 행동이 일어난 장소에 대해 질문할 때 의문형 대명사 ‘어디’를 사용하여
‘어디에서 ~’로 질문한다.

예) 어디에서 살아요? [Where do you live?]


어디에서 수영을 해요? [Where do you swim?]

명사 + 에서 (Noun + a locative particle; in or at)


‘에서’ is a locative particle used to indicate the specific location of an action or
activity and refers to a dynamic location where the action or activity takes place
with verbs.

주의사항
‐ Only verbs are posited as the predicate of a sentence. Teachers should ensure
that learners do not use the form, Noun + 예요/이에요.
서술어는 반드시 동사만 쓰인다. 학습자들이 ‘명사 + 예요/이에요’와 함께 쓰
지 않도록 주의한다.

‐ ‘에서’ is used to indicate the starting point when directional verbs such as
‘오다, 떠나다’ are used.
‘오다, 떠나다’ 등의 동사가 함께 쓰일 때는 ‘에서’의 의미가 동작의 출발점을
나타내는 의미를 가진다.

예) 뉴욕에서 살아요. [I live in New York.]


운동장에서 놀아요. [I play in the playground.]

148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2과 우리 엄마예요 This is my mom
누구예요? [Who is this?]
This expression is used when a speaker asks who someone is.
사람이 누구인지 물어볼 때 사용한다.

예) 가: 누구예요? [Who is this?]


나: 친구예요. [This is my friend.]
가: 누구예요? [ Who is this?]
나: 우리 아빠예요. [This is my father.]

3과 어디에 가요? Where are you going?


N에 (가요/와요) - Noun + 에(a locative particle) (to go/ to come)
The particle ‘에’ is used to indicate destination or goal, typically for directional
verbs such as ‘가다(to go)’ and ‘오다(to come)’.
동사 ‘가요’와 ‘와요’와 함께 사용하여 행위의 진행 방향이나 목적지를 나타낸다.

예) 학교에 가요. [I am going to school.]


유치원에 가요. [I am going to kindergarten.]
어디에 가요? [Where are you going?]
공원에 가요. [I am going to the park.]

4과 책을 읽어요 I am reading a book


뭘 해요? [What are you doing?]
This expression is used when someone asks another person what he or she is
doing. ‘뭘(what)’ is a contracted form of ‘무엇을’.
무엇을 하는지 물어볼 때 사용한다. ‘뭘’은 ‘무엇을’의 준말이다.

예) 가: 뭘 해요? [What are you doing?]


나: 공부해요. [I am studying.]
가: 뭘 해요? [What are you doing?]
나: 밥을 먹어요. [I am eating a meal.]

문법 149
N을/를 [particle that indicates object of sentence]
A noun marked with the particle ‘을’ or ‘를’ is the object of the sentence. If the
noun ends in a consonant, ‘을’ must be used. If the noun ends in a vowel, ‘를’
must be used.
명사 뒤에 붙어서 그 명사가 서술어의 목적임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명사가
자음으로 끝날 경우에는 ‘을’을 사용하고, 명사가 모음으로 끝날 경우에는 ‘를’을
사용한다.

Consonant-ending → 을 Vowel-ending → 를

밥(Noun) 밥을 우유(Noun) 우유를

예) 우유를 마셔요. [I am drinking a glass of milk.]


텔레비전을 봐요. [I am watching TV.]

5과 우유가 좋아요 I like milk


뭐가 좋아요? [What do you like?]
This expression is used when a speaker asks what someone likes. When ‘좋아
요’ is used as the predicate in a sentence, the subject particle, ‘이/가’ is attached
to the noun.
기호를 물을 때 사용하는 표현이다. ‘이/가 좋아요’를 사용해서 대답한다.

예) 가: 뭐가 좋아요? [What do you like?]


나: 피자가 좋아요. [I like pizza.]
가: 뭐가 좋아요? [What do you like?]
나: 아이스크림이 좋아요. [I like ice-cream.]

6과 불고기를 좋아해요 I like bulgogi.


뭘 좋아해요? [What do you like?]
This expression is used when a speaker asks what someone likes. When ‘좋아
해요’ is used as the predicate in a sentence, the object particle, ‘을/를’ is attached
to the noun.
기호를 물을 때 사용하는 표현이다. ‘을/를 좋아해요’를 사용해서 대답한다.

150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예) 가: 뭘 좋아해요? [What do you like?]
나: 라면을 좋아해요. [I like Ramyun.]
가: 뭘 좋아해요? [What do you like?]
나: 잡채를 좋아해요. [I like Japchae.]

뭘 싫어해요? [What do you dislike?]


This expression is used when a speaker asks what someone dislikes. When
싫어해요 is used as the predicate in a sentence, the subject particle, ‘을/를’ is
attached to the noun.
뭘 싫어하는지를 물을 때 사용하는 표현이다. ‘을/를 싫어해요’를 사용해서 대
답한다.

예) 가: 뭘 싫어해요? [What do you dislike?]


나: 김치를 싫어해요. [I dislike Kimchi]
가: 뭘 싫어해요? [What do you dislike?]
나: 피자를 싫어해요. [I dislike Pizza.]

주의 사항
‐ The pronunciation of ‘좋아하다’ is [조아하다]. When the final consonant
‘ㅎ’ is followed by the silent consonant ‘ㅇ’, ‘ㅎ’ is not pronounced.
받침 ‘ㅎ’ + 모음에서는 ‘ㅎ’은 탈락하고 발음한다. 따라서 ‘좋아하다’는 ‘조아
하다’가 된다.

‐ When a syllable ends in double consonants ‘ㅀ’ and is followed by the silent
consonant ‘ㅇ’, ‘ㅎ’ is omitted and ‘ㄹ’ is shifted to the next syllable and
pronounced as the initial sound of the next syllable.
‘싫어하다’의 발음은 [시러하다]가 되는데 받침 ‘ㅀ’ 다음에 모음이 오면 ‘ㅎ’
소리는 탈락시키고 ‘ㄹ’소리는 다음 음절의 첫소리로 발음한다.

7과 누가 노래해요? Who is singing?


누가 [who] (who + subject particle)
‘누가’ is a contraction of ‘누구가’ and is used when someone asks who is the
subject of a certain action.
어떤 행위를 하는 주체가 누구인지 물어볼 때 사용한다.

문법 151
예) 가: 누가 공부해요? [Who is studying?]
가: 누가 전화해요? [Who is making a call?]
나: 토니가 전화해요. [Tony is.]

주의 사항
‐ When ‘누구(who)’ is attached to the subject particle ‘가’, ‘누가’ should be
used instead of ‘누구가’.
‐ 학습자가 ‘누구가’라고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 시킨다.

8과 언제 수영해요? When do you swim?


언제 [When]
The pronoun ‘언제’ is used when a speaker asks when someone does something.
의문대명사 ‘언제’는 때(시간)를 물을 때 사용한다.

예) 가: 언제 밥을 먹어요? [When do you eat?]


가: 언제 수영을 해요? [When do you swim?]
나: 저녁에 수영을 해요. [I swim in the evening.]

명사 + 에
The particle ‘에’ indicates time when it is attached to a time noun, such as ‘시’
and ‘분’.
조사 ‘에’는 시간을 나타내는 명사 뒤에서 때를 표현할 때 사용한다.

예) 아침에 빵을 먹어요. [I eat bread in the morning.]


저녁에 운동을 해요. [I exercise in the evening.]

주의 사항
‐ The particle ‘에’ is not attached to nouns such as ‘어제, 오늘, 내일’.
‐ ‘어제, 오늘, 내일’ 등의 명사에는 조사 ‘에’가 붙지 않는다.

9과 장난감 기차가 있어요? Do you have a toy train?


명사 + 이/가 있어요? [Do you have ~?]
The expression ‘이/가 있어요?’ is used when a speaker asks if someone

152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possesses something. ‘네, 있어요.’ is the affirmative answer and ‘아니요, 없어
요.’ is the negative answer.
‘이/가 있어요?’는 사물을 소유하고 있는지를 물을 때 사용하는 표현이다. 이
때 소유하고 있으면 ‘네, 있어요.’, 그렇지 않으면 ‘아니요, 없어요.’를 사용해서 대
답한다.

Consonant-ending Vowel-ending

볼펜이 있어요. 우유가 있어요.


안경이 없어요. 숙제가 없어요.

예) 가: 동생이 있어요? [Do you have a younger sibling?]


나: 네, 있어요. [Yes, I do.]
가: 장난감 자동차가 있어요? [Do you have a toy car?]
나: 아니요, 없어요. [No, I don’t.]

주의 사항
‐ The expression ‘이/가 있어요?’ [Do you have ~?] is also used to ask where a
thing exists, in which case a locative noun will be included in the sentence.
‐ 사물의 존재를 묻는 질문과 같은 표현을 사용하므로,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존재를 묻는 질문은 흔히 위치 명사와 함께 사용된다.

예) 책상 위에 사과가 있어요. [There is an apple on the table.]


가방 안에 책이 있어요. [There is a book in the bag.]

10과 제 책이에요 It is my book


누구 N [whose, of which + Noun]
The possessive pronoun ‘누구’ is located before a noun and indicates the owner
of the noun. The possessive particle ‘의’ after ‘누구’ or Noun is often omitted.
소유대명사 ‘누구’는 명사 앞에서 그 명사의 소유주를 나타낼 때 사용한다. 이
때 소유격 조사 ‘의’가 사용될 수 있으나 흔히 생략된다.

예) 가: 누구 책이에요? [Whose book is it?]


나: 토니 책이에요. [It’s Tony’s.]
가: 누구 가방이에요? [Whose bag is it?]
나: 스티븐 가방이에요. [It’s Steven’s.]

문법 153
제N
‘제’ is a contracted form of ‘저의’ and the humble form of the first person
possessive pronoun, ‘내(my)’. The humble form ‘제’ should be used if the listener
is older than the speaker.
‘제’는 ‘저의’의 준말로 1인칭 대명사 ‘내’를 낮추는 표현이다. 말하는 사람보다
나이가 많거나 어른과 대화할 때 자신을 가리키는 표현이다.

예) 제 동생이에요. [This is my younger sibling.]


제 동화책이에요. [This is my story book.]
제 가위예요. [These scissors are mine.]

11과 치마가 아니에요 It is not a skirt


명사 + 이/가 아니에요
‘이/가 아니에요’ is the negative counterpart of ‘예요/이에요’. If the noun ends
in a consonant, ‘이’ must be used. If the noun ends in a vowel, ‘가’ must be used.
‘이/가 아니에요’는 ‘예요/이에요’의 부정형이다. 앞에 오는 명사가 자음으로 끝
나면 ‘이 아니에요’, 모음으로 끝나면 ‘가 아니에요’를 사용한다.

Consonant-ending Vowel-ending

인형이 아니에요. 모자가 아니에요.


안경이 아니에요. 치마가 아니에요.

예) 가: 저게 안경이에요? [Is that a pair of glasses?]


나: 아니요, 안경이 아니에요. [No, it isn’t.]
가: 이게 구두예요? [Is this a pair of shoes?]
나: 아니요, 구두가 아니에요. [No. it isn’t]

12과 놀이터에서 그네를 타요 I am riding on a swing in the playground


뭘 해요? [What are you doing?]
This expression is used when a speaker asks what someone is doing. The
particle ‘에서’ is attached to place nouns when an action takes place in or at that
location.

154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다른 사람이 무엇을 하는지 물을 때 사용하는 표현이다. 흔히 장소 명사와 함께
사용되며 이때 장소 명사 뒤에는 조사 ‘에서’가 온다.

예) 가: 뭘 해요? [What are you doing?]


나: 책을 읽어요. [I am reading a book.]
가: 뭘 해요? [What are you doing?]
나: 공원에서 미끄럼틀을 타요. [I am playing on a slide in the park.]

13과 일, 이, 삼, 사 One, two, three, four


일, 이, 삼, 사
There are two sets of numbers in Korean. ‘일, 이, 삼, 사’ are Sino-Korean
numbers, which are mainly used for counting dates, the price of a product and
so on.
한국어에는 두 가지 종류의 숫자가 있는데 그중 일, 이, 삼, 사는 한자어 숫자이
다. 날짜, 물건 값 등에는 한자어 숫자를 주로 사용한다.

예) 3월 8일 => 삼월 팔일 [March, 8]
250원 => 이백오십 원 [Two hundred and fifty won.]

14과 하나, 둘, 셋, 넷 One, two, three, four


하나, 둘, 셋, 넷
‘하나, 둘, 셋, 넷’ are pure Korean numbers and are mainly used for counting
age, time, the number of products and so on.
하나, 둘, 셋, 넷 등은 고유어 숫자이다. 나이, 시간, 물건의 개수 등에는 고유어
숫자를 사용한다.

예) 6살 => 여섯 살 [six-years old]


3시 => 세 시 [three o’clock.]
7개 => 일곱 개 [seven]

한, 두, 세, 네
These four native Korean numbers have slightly different forms when used
with counters. There are no changes from five onwards.

문법 155
하나, 둘, 셋, 넷이 수량을 나타내는 명사와 함께 사용될 때에는 각각 ‘한, 두, 세,
네’로 바뀐다. ‘다섯’부터는 형태의 변화가 없다.

예) 한 개
두개
세살
네살

15과 엄마, 아빠, 사랑해요 I love you, mom and dad


(나는) (당신을) 사랑해요
This is the idiomatic expression ‘I love you.’ in Korean. The subject and object
are often omitted.
영어의 ‘I love you.’에 해당되는 표현이다. 영어와 달리 동사만 사용되기도 한다.

예) 사랑해요. [I love you.]


할머니, 사랑해요. [Grandmother, I love you.]

16과 고맙습니다 Thank you


고맙습니다.
This expression is used to express gratitude to someone.
감사의 마음을 표현할 때 사용한다.

죄송합니다.
This expression is used to apologize to someone.
사과할 때 사용하는 표현이다.

잘 먹겠습니다.
This expression is used to express gratitude before having a meal.
식사 전에 하는 감사의 표현이다.

잘 먹었습니다.
This expression is used to express gratitude after having a meal.
식사 후에 하는 감사의 표현이다.

156 맞춤 한국어 2 - 교사용 지침서


교사용 지침서

집필진 김선정 (대표집필 / 계명대학교)

강현자, 김성수 (계명대학교)

코디네이터 김태진 (재외동포교육진흥재단)

디자인 (주)제이스커뮤니케이션즈

심의 류봉희 (교육과학기술부 재외동포교육담당관)

양미숙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연구사)

이상수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연구사)

장원창 (교육과학기술부 국립국제교육원 교육연구사)

발행 2011년 6월 30일

저작권자 교육과학기술부

발행인 국립국제교육원

본 교재의 저작권 및 판권은 교육과학기술부·국립국제교육원의


소유이며 허가 없이 복사 또는 전재할 수 없습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