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9

쉽게 배우는 유체역학 (3판)

A Brief Introduction to
Fluid Mechanics

D.F. Young, B.R. Munson, T.H. Okiishi

홍릉과학출판사
1장 서론

▷유체역학의 범위:
모세혈관 내 유동(microcirculation), 대형 송유관 내 유동, 대기의 유동 등 다양함

1.1 유체의 제반 특성
▷유체의 정의:
-크기와 상관없이 전단응력이 가해지면 연속적으로 변형하는 물질
-고체는 전단응력이 가해지더라도 정지할 수 있음
-slurry, tar, putty, 치약과 같은 물질은 전단응력이 작을 때는 고체의 성질을, 전단응력이
클 때는 유체의 성질을 나타냄 ⇒ 유변학(rheology)

▷연속체 가정:
-유체의 성질이 내부에서 연속적으로 변한다.
-희박기체는 연속체로 볼 수 없다.

1.2. 차원, 동차성, 단위


▷기본차원: 길이(  ), 질량(  ), 시간(  ), 온도( )

▷차원동차성의 원리: 식에서 모든 항의 차원이 같아야 한다.



[예] 자유낙하 물체;          

1.2.1 단위계
1)영국 단위계(BG)
       사용(     )
힘의 단위는  사용(     ×     )

2)국제단위계(SI)
     사용(    )
힘의 단위는  (newton)을 사용(     ×    )

3)단위 환산

                  

1.3 유체거동해석
유체 정역학과 유체 동역학

1.4 유체의 질량과 중량


1.4.1 밀도(density):
  질량체적 (단위:        )
[참고] 비체적(specific volume):   체적질량   (단위:      )

1.4.2 비중량(specific weight):


    무게체적 (단위:       )

1.4.3 비중(specific gravity):


   ( 는   에서 물의 밀도이고, 비중은 무차원수다.)

1.5 이상기체 법칙
   (이상기체 상태방정식)

1.6 점성(Viscosity)
▷Newton의 점성법칙:
 ∝  (전단응력이 전단변형속도에 비례함) :   
여기서 를 점성계수 또는 점도라고 함. 단위는?...... ⋅   ⋅ ,   ⋅ 
[예] 물,  ×    ⋅ , 공기,  ×    ⋅
이 법칙을 만족하는 유체를 Newton 유체라고 함.
 
[예1] 그림 1.2 :   lim   
→  
 
[예2]    인 경우 :    이고    
 
  
 

예1에서    이므로       
   

▷점착조건(no-slip condition):
유체와 고체의 경계면에서 속도가 연속이다. 즉, 경계면에서 유체와 고체의 속도가 같다.
  경계    
경계

▷동점성계수(kinematic viscosity):
   (단위:   ,   )
1.7 유체의 압축성
1.7.1 체적탄성계수
▷체적탄성계수(bulk modulus):
 
      (단위: )
   
[참고] 압축성계수    

1.7.2 기체의 압축과 팽창


(이상기체의) 등온과정(=constant):    
(이상기체의) 등엔트로피(가역 단열) 과정( =constant,     ):     

1.7.3 음속
▷음속(speed of sound) :
미소 교란(소리)의 전파 속도. 등엔트로피 과정으로 가정함.

   

  
 

이상기체의 경우,   
 ∵        
[예 1]  의 공기(  );     ×  ×    
[예 2]   의 물(     );   

 ×     

1.8 증기압
▷증기압(  ): 상 평형상태(액체표면을 탈출하는 분자의 수와 액체 속으로 들어가는 분자의 수가
같아지는 상태)에서의 압력. 온도의 함수(그 온도에서의 포화압력에 해당함). 온도가 올라가면
증기압도 올라감.

▷비등(boiling): 액체 내부에서 액체의 압력이 증기압과 같을 때 증기 기포가 형성되는 현상.

▷공동현상(cavitation): 유동 중인 액체 속에서 증기 기포의 발생과 붕괴가 반복되는 현상. 고체표


면을 손상시키는 요인으로 작용.

1.9 표면장력
▷표면장력(  ): 액체와 기체의 경계면에서 작용하는 단위 길이 당 분자인력의 강도로서 단위는
 임. 경계면 양쪽으로 압력차가 생기며 오목한 쪽이 고압임.
 
            (   는 경계면의 주곡률반경)
 

[예] 반지름 인 구 모양 액체 내부의 압력:     이므로     

▷모세관현상(capillarity):
-액체와 기체의 경계면이 고체면과 만나게 되면 (같은 분자간의) 응집력(cohesive force)과
(다른 분자간의) 부착력(adhesive force)의 차이로 인하여 경계면이 고체면을 따라 올라
가거나(부착력>응집력) 내려가는(부착력<응집력) 현상.
-접촉각( )에 따라서 모세관 내 상승 높이가 정해짐.
[예] 물-공기-유리;  ≈   , 수은-공기-유리;  ≈  
   
-상승 높이:    (힘의 평형:     ⋅     ⋅  )
 

1.10 요약 및 학습 지침

<주요 용어>
유체(fluid), 단위(units), 기본차원(basic dimensions), 동차적인(dimensionally
homogeneous), 밀도(density), 비중량(specific weight), 비중(specific gravity),
이상기체법칙(ideal gas law), 절대압력(absolute pressure), 계기압력(gage pressure),
점착조건(no-slip condition), 절대점성계수(absolute viscosity), 뉴턴 유체(Newtonian fluid),
동점성계수(kinematic viscosity), 체적탄성계수(bulk modulus), 음속(speed of sound),
증기압(vapor pressure), 표면장력(surface tension)
2장 유체 정역학(Fluid Statics)

2.1 한 점에서의 압력
▷Pascal의 법칙: 유체 내부의 한 점에서의 압력은 방향과 무관하다.
(그림 2.1에서      )
[참고] 열역학적 압력은 스칼라 양이다.

2.2 압력장에 대한 기본 방정식


▷표면력; 총 힘의 크기가 면적에 비례. 압력힘과 점성력.
▷체적력; 총 힘의 크기가 체적에 비례. 중력힘.

직육면체 유체요소에 대하여 Newton의 제2법칙 적용;



 
  
  
 ⋯  
  

또는 (단위체적 당으로)

 
  
  
 ⋯     ,   )
( ≡ 

[그림 2.2 참조]


▷요소 중심에서의 압력 라고 놓음.
방향 압력힘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같은 방법으로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압력기울기 )


▷중력힘은

       



      


▷점성력이 없을 때 운동방정식 :  ∇     

2.3 정지유체 내의 압력변화


▷정지 유체:

 이므로 ∇    .

  
(수평방향)       , (수직방향)   
  

결과적으로 압력은 높이만의 함수가 된다. 즉,    이고   


2.3.1 비압축성 유체
▷비압축성 유체(incompressible fluid): 밀도 변화가 없는 유체
▷액체나 밀도 변화가 크지 않은 기체는 비압축성 유체로 볼 수 있다. 고속(마하 수 0.3 이
상)으로 유동하는 기체에서는 압축성 효과가 중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즉         
자유표면에서의 압력을  라고 하면 깊이 인 곳에서의 압력은      가 됨.

[그림 2.3 참조]


정수력학적 압력 분포(정수압 분포, hydrostatic pressure distribution)

  
▷압력 수두(pressure head):   

[예제 2.1] 휘발유 저장탱크 내 압력분포

2.3.2 압축성 유체(compressible fluid)


▷기체의 밀도는 온도와 압력에 따라 현저하게 변할 수 있음.
   


      (이상기체),
 
   

에 의해서 결정됨.
      
 
 
온도가     로 일정한 경우:   


2.4 표준대기(standard atmosphere)


▷대기권: (온도가 고도에 따라 일정한 율(    )로 감소하는) 대류권과 (온도가 거의
일정한) 성층권으로 구성

2.5 압력 측정
▷절대(absolute,  ), 계기(gage,  ), 진공(vacuum,  ) 압력
[그림 2.4 참조]
진공을 기준으로 한 압력을 절대압력이라고 함.
국소 대기압을 라고 할 때,      ,      .
[예]    인 곳에서   는    에 해당함.

2.6 액주계(manometry)
2.6.1 피에조미터관(piezometer tube)
[그림 2.6 참조]
      ( 는 대기압). 계기압력으로는 

2.6.2 U자관(U-tube) 액주계


계기유체(gage fluid) 사용
[그림 2.7 참조]
           , 계기압)로부터,
                , 계기압)

2.6.3 경사관(inclined-tube) 액주계


[그림 2.9 참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액주계에서 기체 기둥의 기여는 무시한다.(기체 ≪ 액체 )

2.7 기계식과 전자식 압력 측정 장치


▷Bourdon 압력계
▷압력트랜스듀서(pressure transducer)

2.8 평면에 작용하는 정수력학적 힘


▷압력 = 대기압 + 계기압
대기압에 의한 효과는 별도로 쉽게 계산할 수 있으므로 계기압에 의한 효과를 먼저 고려함.

▷계기압의 합력의 크기: 


1)수평면: [그림 2.11 참조] 면 위에서 높이가 일정하므로 압력이 일정하다.

             
 

2)경사면: [그림 2.12 참조] 면 위에서 압력이 변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계기압의 압력중심: 분포력에 의한 모멘트의 합과 합력에 의한 모멘트가 같아지게 하는


점을 압력중심으로 정의. 힘과 모멘트 평형식 계산에 쉽게 활용할 수 있음.
계기압력에 의한 합력(  )의 작용점을     이라고 하면

(수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마지막 항이 양이므로 압력중심은 항상 도심보다 아래쪽에 존재한다.

(수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도심을 지나는 축 또는 축에 대칭인 평면이라면   이므로      이다.

[그림 2.13 참조] 몇 가지 평면의 기하학적 성질

[예제 2.4]

▷대기압에 의한 합력은 크기가  이고 압력중심(작용점)은 도심이다. 대기압 효과는 상쇄


되는 경우가 많다.

2.9 압력 프리즘(pressure prism)


-생략-

2.10 곡면에 작용하는 정수력학적 힘


[그림 2.15 참조]
▷고려하고 있는 곡면, 이 면의 수평투영면 및 수직투영면으로 둘러싸인 유체 체적의 평형
을 이용하여 결정. 수평성분(  )과 수직성분(  )으로 분해. 이 때 힘의 평형과 힘의 모멘
트 평형을 각 방향별로 독립적으로 적용하면 미지수 개수와 같은 방정식을 얻음.

[예제 2.6]

2.11 부력, 뜸, 안정성


2.11.1 아르키메데스의 원리
▷부력: 물체가 완전히 잠겨있거나, 부분적으로 잠겨있을 때, 물체에 작용하는 압력의 합력.
수평방향은 상쇄되어 크기가 임. 수직 방향은 물체가 밀어낸 유체체적의 무게와 같은
힘을 받음. 아래로 내려갈수록 압력이 커지기 때문에 뜨는 힘(부력)을 받게 됨.

▷아르키메데스의 원리:
‘잠겨있거나 떠 있는 물체에 작용하는 부력은 그 물체가 밀어낸 유체의 무게와 같다.’

▷부력중심(부심, center of buoyancy):


부력의 작용점. 물체가 밀어낸 유체 체적의 무게중심과 일치함.

▷떠 있는 물체의 힘의 평형:
물체의 무게와 부력이 서로 평형을 이루고 있음.(    )

2.11.2 안정성(stability)
▷유체에 잠겨 있거나 떠 있는 물체의 안정성:
물체가 외부의 교란에 의하여 위치를 바꾸었을 때 원래의 평형위치로 되돌아 갈 수 있는지
여부. 원래의 평형위치로 돌아가면 안정(stable), 아니면 불안정(unstable).

▷잠겨 있는 물체의 안정성


무게중심이 부력중심보다 아래에 있으며 안정하고, 반대의 경우는 불안정.

▷떠 있는 물체의 안정성
물체가 기울어지면 부력중심의 위치가 변하므로 잠겨있는 경우에 비하여 안정성 판단이 훨
씬 어려움. 무게중심이 경심(metacenter, 부력중심을 지나는 수직선과 대칭선이 만나는 점)
보다 아래에 있으면 안정하고, 반대의 경우는 불안정.
[그림 2.16과 2.17 참조]

2.12 강체운동을 하는 유체 내의 압력 변화
▷기본 방정식:  ∇     
 (강체운동의 경우 가속도를 알고 있음)
[예 1] 
  인 경우(병진운동). 직각좌표계 사용:
          (자유표면이 평면임)
[예 2]    
 인 경우(회전운동). 원통좌표계 사용:

             (자유표면이 포물면임)

2.13 요약 및 학습 지침

<주요 용어>
파스칼의 법칙(Pascal's law), 표면력(surface force), 체적력(body force), 비압축성
유체(incompressible fluid), 정수압 분포(hydrostatic pressure distribution), 압력
수두(pressure head), 압축성 유체(compressible fluid), 미국 표준대기(U.S. standard
atmosphere), 절대압력(absolute pressure), 계기압력(gage pressure), 진공압력(vacuum
pressure), 기압계(barometer), Bourdon 압력계(Bourdon gage), 압력중심(center of
pressure), 부력(buoyant force), 아르키메데스의 원리(Archimedes' principle),
부력중심(center of buoyancy)
3장 기초 유체동역학 - Bernoulli 방정식

3.1 Newton의 제2법칙


▷Newton의 운동 제2법칙:
어떤 물체에 작용하는 외력의 합은 그 물체의 선형운동량의 시간변화율(또는 질량과 가속도의 곱)
과 같다. 즉,
 
   
     또는    ( 
는 단위체적당 힘)


▷ 유선(streamline):
(유동장 안에서) 속도벡터에 접하는 선. 접선 방향이 속도와 나란한 선.

[그림 3.1] (a)- 평면에서의 유동 (b)유선좌표와 수직좌표로 나타낸 유동.

▷ 유선좌표계:
유선 방향 좌표  와 유선에 수직한 방향 좌표  (곡률중심 쪽이 양의 방향)을 사용.

▷ 정상유동에서 가속도(유선좌표계):
 
    ,   
 
   은 속력.     은 유선의 곡률반경

3.2 유선 방향의   
▷ 압력힘과 중력힘만을 받는 미소 유체요소를 고려(점성력이 없는 경우).

[그림 3.2] 유동장에서 분리한 작은 유체입자.


[그림 3.3] 압력힘과 중력힘만 작용하는 유체입자의 자유물체도.

단위 체적 당 압력 힘: 
  -∇
단위 체적 당 중력 힘: 
  - 
 - ∇
   
[참고] 기울기 연산자의 정의: ∇  ≡       
  
 
[참고] ∇  ⋅   , ∇  ⋅    : 와 
 는 와  방향 단위 벡터
 

▷ 유선 방향에 대한 Newton의 제2법칙(단위체적당):


  
       
  

[예제 3.1] 구를 지나는 유동에서 분리유선(dividing streamline)을 따른 압력 변화


▷ 비압축성 유체: 밀도( )와 비중량(   )이 일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성립.
        
[참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유선을 따라서 일정

(전제 조건: 정상상태/ 비점성/ 비압축성 유동)

[예제 3.2] 자전거를 탄 사람 주위의 공기 유동에서 압력차

3.3 유선에 수직한 방향의   


▷ 유선에 수직한 방향에 대한 Newton의 제2법칙(단위체적당):
    
      
         (  : 유선의 곡률 반경)


[참고] 
       
▷ 비압축성 유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유선에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

(전제조건: 정상상태/ 비점성/ 비압축성 유동)


유선이 직선(   ∞ ) → 유선에 수직한 방향으로 압력이 정수압 분포

[예제 3.3] 강체회전 유동과 자유와류(free vortex)에서의 압력분포

3.4 물리적 해석
▷ 베르누이 방정식(정상상태/비점성/비압축성) :

[압력 차원]        = 유선을 따라서 일정

정압 + 동압 + 정수압 = 유선을 따라서 일정
 
[길이 차원]     = 유선을 따라서 일정
  
압력 수두 + 속도 수두 + 높이(위치) 수두 = 유선을 따라서 일정
 
[에너지 차원]     = 유선을 따라서 일정
  
압력에너지 + 운동에너지 + 퍼텐셜에너지 = 유선을 따라서 일정
압력수두 : 압력 를 만들어 내기 위하여 필요한 유체 기둥의 높이
속도수두 : 정지 상태로부터 속도  에 도달하기 위하여 유체가 자유낙하 해야 하는 거리
높이수두 : 유체 입자의 퍼텐셜 에너지에 대응하는 높이

[예제 4] 주사기로부터 나오는 물의 흐름


[예제 5] 개수로 유동에서 압력 변화(곡률 효과)

3.5 정압, 정체압, 동압, 전압


▷ 정압(static pressure), : 유체 입자의 실제 열역학적 압력

▷ 동압(dynamic pressure),    : 유체 입자의 운동에너지를 압력 차원으로 표시한 것


▷ 정체압(stagnation pressure),      (일반적인 경우): 정체조건에서의 압력(운동하

고 있던 유체 입자가 정지할 경우 유체의 운동에너지가 모두 압력에너지로 변환됨)
▷ 정수압(hydrostatic pressure),  : 유체의 위치에너지를 압력 차원으로 표시한 것

▷ 전압(total pressure),          : 정압, 동압, 정수압을 모두 합한 압력

(베르누이 방정식: 유선을 따라서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림 4] 정압과 정체압의 측정



정체점(속도가 0인 점) (2)에서       

점 (1)에서의 정체압 = 점 (2)에서의 정체압

▷ 피토관(Pitot tube) 및 피토정압관(Pitot static tube)의 측정 원리



피토관:       


피토정압관: [그림 6]        ,      (기체 기둥의 무게 무시)

3.6 베르누이 방정식의 사용례


3.6.1 자유제트
[그림 3.7] 탱크로부터 나오는 수직 유동
점 (1)과 (2) 사이에 베르누이 방정식 적용.
     (유선이 직선일 때 유선에 수직한 방향으로는 정수압 분포)

 


 

(1)-(5):    
   
노즐로부터 멀리 떨어진 탱크 내부 영역에서는 속도가 거의 0이므로 정지유체로 간주.
(   ≈ ,      )

▷ 베나콘트랙타(vena contracta) 효과
유체가 날카로운 모퉁이를 매끄럽게 돌 수 없기 때문에 유로 단면적이 줄어들게 됨.

 
[그림 3.8] 수축계수      
   
3.6.2 갇힌 유동(내부유동)
[그림 9] 탱크로 들어오고 나가는 정상 유동
▷ 유체가 어떤 단면(단면적  )을 통과하여 흐를 때,
체적유량 (또는 단순히 유량)   
    
질량유량 
▷ 연속방정식(continuity equation): 질량 보존의 유체역학적 개념
정상 유동(steady flow)에 대하여, 정해진 공간 내로 들어오는 질량유량과 나가는 질량
유량이 같아야 한다.
   
   ,            
(비압축성 유동이면      ,         )

[예제 7] 유출구가 있는 탱크의 수면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유입 유량

[예제 9] 역 U자관 마노미터에 의한 유량 측정


베르누이 방정식, 정수압 분포, 연속방정식 적용
         
 
    

[그림 10] 면적이 변하는 파이프 내에서의 압력 변화와 캐비테이션

3.6.3 유량측정
▷ 유량계(내부 유동): 오리피스, 노즐, 벤투리 유량계
[그림 11] 오리피스, 노즐, 벤투리
기본 원리(이상적인 경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실제 유량:       ( : 유량계수 또는 송출계수. 8.6절 참조)

▷ 개수로 유동(외부 유동): 수문(sluice gate), 위어(weir)


[그림 12] 수문에서의 유량 측정 원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참고]   ≫   이면     
  . 수축계수     인 베나콘트랙타

3.7 에너지선과 수력기울기선


▷ 베르누이 방정식: 에너지 방정식의 일종. 비점성, 비압축성, 정상 유동에 대해서 성립.
 
     유선을 따라서 일정 =  (전 수두)
  

[그림 13] 에너지선과 수력기울기선의 표현



▷ 수력기울기선(HGL):    (압력 수두와 높이 수두의 합)에 대한 기하학적 표현

 
▷ 에너지선(EL):      (압력 수두 + 높이 수두 + 속도 수두)에 대한 기하학적 표현
 
[참고] 압력은 계기압을 사용함. HGL이 파이프보다 높은(낮은) 곳에 있으면 양(음)의
압력(그림 15 참조).

3.8 베르누이 방정식의 사용에 대한 제약


▷ 베르누이 방정식은 오직 다음과 같은 조건 아래에서 성립
①정상 상태 ②비점성 ③비압축성

3.9 요약 및 학습 지침

<주요 용어>
정상 유동(steady flow), 유선(streamline), 베르누이 방정식(Bernoulli equation), 압력
수두(pressure head), 위치 수두(elevation head), 속도 수두(velocity head), 정압(static
pressure), 동압(dynamic pressure), 정체압(stagnation pressure), 정체점(stagnation
point), 전압(total pressure), 피토정압관(Pitot static tube), 자유 제트(free jet), 체적
유량(volume flowrate), 연속 방정식(continuity equation), 유량계(flowmeter),
수력기울기선(hydraulic grade line), 에너지선(energy line)
4장 유체 운동학

4.1 속도장
▷어떤 시간에 유체 성질(밀도, 압력, 속도, 가속도 등)을 위치(공간좌표)의 함수로 기술: 장
표현(field representation)/ 분포(distribution)

4.1.1 유동의 Euler 및 Lagrange 기술


▷Euler 기술
유체 성질을 위치와 시간의 함수로 표현(위치에 따른 변화와 시간에 따른 변화)
    (독립변수: 위치와 시간)
[예] 속도장(속도 분포): 
          
압력장(압력 분포):   

▷Lagrange 기술
각 유체입자의 움직임을 추적.        (독립변수: 유체입자 선정과 시간)

▷Euler 표현과 Lagrange 표현의 관계


 
[그림 1] 입자의 위치벡터:         

[그림 2] 유동장 내의 온도 변화:              

4.1.2 1차원, 2차원, 3차원 유동


-어떤 두 방향의 속도성분이 0이고 그 방향으로 유동장의 변화가 없을 경우(나머지 한 방
향 속도성분과 유동장의 변화만 존재): 1차원 유동
-어떤 한 방향의 속도성분이 0이고 그 방향으로 유동장의 변화가 없을 경우: 2차원 유동
-기타 일반적인 유동: 3차원

4.1.3 정상 유동과 비정상 유동


-정상 유동: 공간상의 모든 점에서 속도가 시간에 따라서 변화하지 않음
-비정상 유동: 정상유동이 아닌 유동
[주의] 정상유동 ⇒ 가속도가 0이다?

4.1.4 유선, 유맥선, 유적선


-유선: 모든 곳에서 속도벡터에 접하는 선
    
     (3차원),    (2차원)
    
-유적선: 움직이는 특정 유체 입자가 그리는 자취(궤적)
-유맥선: 한 공통점을 지나간 유체입자들로 이루어지는 선. 물감에 의한 가시화 실험.
-정상유동에서 한 점을 지나는 유선과 유적선과 유맥선은 일치.

[예제 2] 2차원 정상유동의 유선 구하기


4.2 가속도장
4.2.1 물질도함수
[그림 4] 시간 인 순간의 입자  의 속도와 위치


  
   
       
미분의 연쇄법칙(chain rule)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결론: 가속도는 속도의 물질도함수이다.

-임의의 변수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   
-물질(실질)도함수(미분) = 국소도함수 + 대류도함수

-정상유동:   

-균일유동: ⋅∇  

4.2.2 비정상 효과
물질도함수 표현에서 국소 미분이 0: 정상유동

 : 비정상 효과 (Euler 관점에서의 시간에 대한 변화)


4.2.3 대류 효과
움직이는 유체 입자로 인한 전달효과

⋅∇ : 물질 도함수에서 대류항

4.2.4 유선좌표(streamline coordinates)


-정상유동에 사용
   
 

   ,       ,    
 

[예제 5] 2차원 정상유동의 가속도


4.3 검사체적 및 시스템
-시스템(system): 특정 물체들의 집합
-검사체적(control volume): (임의로 선정한) 공간상의 체적

4.4 레이놀즈 수송정리


4.4.1 레이놀즈 수송정리의 유도
[그림 8] 면적이 변하는 파이프 유동에 대한 검사체적과 시스템

▷레이놀즈 수송정리(RTT; Reynolds Transport Theorem): 어떤 시간에 검사체적 내부에


들어있는 물체들의 집합을 시스템으로 선정하면, 시스템이 갖는 어떤 물리량의 시간변화
율은 검사체적이 갖는 물리량의 시간변화율과 검사표면을 통한 순유출 플럭스의 합과 같
다.

▷어떤 시간에 (고정된) 검사체적( ) 내의 모든 유체를 시스템( )으로 잡고, 총 물리량


을 , 단위질량당 물리량을 라 하면
   
레이놀즈 수송정리:       
 

   로 이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검사표면에 출입구가 여러 개인 경우는 모두 합침
-필요한 경우(단면에서 값이 변하는 경우)는 적분으로 계산
-움직이는 검사체적에 대해서도 그대로 적용된다!

4.4.2 검사체적의 선택

4.5 요약 및 학습 지침

<주요 용어>
장 표현(field representation), 속도장(velocity field), 오일러 방법(Eulerian method),
라그랑즈 방법(Lagrangian method), 1, 2, 3차원 유동(one-, two-, three- dimensional
flow), 정상 및 비정상 유동(steady and unsteady flow), 유선(streamline),
유맥선(streakline), 유적선(pathline), 가속도장(acceleration field), 물질도함수(material
derivative), 국소가속도(local acceleration), 대류가속도(convective acceleration),
시스템(system), 검사체적(control volume), 레이놀즈 수송정리(Reynolds transport
theorem)
5장 유한 검사체적 해석

▷검사체적에 대한 여러 가지 보존 법칙의 적용
   
-레이놀즈 수송정리:       
 
 
-시스템에 대한 보존법칙:     (  에 따라서 법칙으로 정해지는 양)

   
-검사체적에 대한 보존법칙:         또는        
 

5.1 질량보존법칙-연속방정식
5.1.1 연속방정식의 유도
▷cv에 대한 연속방정식
   (질량),    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 
  

▷정상유동인 경우:

     (비압축성이면      )

▷어떤 유동 단면 에서의 질량 유량
 
  ⋅     
 
      

▷어떤 유동 단면 에서의 평균속도

  

   
  
   
     (밀도 변화가 없을 경우:      )
   

5.1.2 변형 없는 고정 검사체적
[예제 1] 소방 호스

[예제 2] 원형 파이프 내에서 비압축성 정상 층류 유동의 발달 과정


  

   
  
  

[예제 3] 욕조 수면의 높이 변화
-공기와 물 각각의 질량이 보존되므로 전체 욕조를 검사체적으로 하여 물의 질량보존 적용
-물만으로 이루어진 높이 인 (변형하는) 검사체적 이용

5.1.3 변형 없고 움직이는 검사체적


▷어떤 단면이 운동하는 경우에 그 단면을 통한 질량 유량은 단면에 대한 유체의 상대속도
에 의해 정해짐

[예제 4] 잔디 스프링클러

5.2 Newton의 제2법칙-선형운동량 및 운동량모멘트 방정식


5.2.1 선형운동량 방정식의 유도
①시스템에 작용하는 외력의 합이 시스템의 선형운동량의 시간 변화율과 같다.
 

    


②현재 시간에 검사체적 내 유체를 시스템으로 선택하면 
  
  

③레이놀즈 수송정리:
  
(선형운동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④검사체적에 대한 (선형)운동량 방정식
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   
    
      


5.2.2 선형운동량 방정식의 적용


[예제 5] 깃에 의한 물 제트의 방향 전환
[예제 8] 원관 내 수직 상방향 비압축성 정상 층류 유동에서 압력강하
[예제 9] 수문이 열렸을 때와 닫혔을 때에 수문을 고정시키는 힘

5.2.3 운동량모멘트 방정식의 유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유체입자의 위치벡터)


5.2.4 운동량모멘트 방정식의 적용


[예제 10] 스프링클러의 저항 토크와 회전속도
5.3 열역학 제1법칙-에너지 방정식
▷검사체적에 대한 에너지 방정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유용(가용)에너지:     
 

▷기계에너지방정식(MEE)/ 일반화된(확장된) 베르누이 방정식(GBE(EBE))


①베르누이 방정식에 기계적인 일과 (마찰)손실을 추가로 고려
②평균적으로 정상인(steady in the mean) 1차원 유동에 적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계장치 수두. 펌프는 양, 터빈은 음
 : 마찰손실 수두

▷(압력차) = (비중량)×(수두) :    

▷(동력) = (압력차)×(면적)×(속도) = (압력차)×(유량):       
▷마력 단위:
     ⋅        ⋅

[예제 14] 환기구를 통과하는 유량


[예제 16] 펌프로 호수의 물을 퍼 올리기

5.4 요약 및 학습 지침

<주요 용어>
질량보존(conservation of mass), 연속 방정식(continuity equation), 질량유량(mass flow
rate), 선형운동량 방정식(linear momentum equation), 운동량모멘트 방정식(moment-
of-momentum equation), 축동력(shaft power), 축토크(shaft torque), 열역학 제1법칙(first
law of thermodynamics), 열전달률(heat transfer rate), 에너지 방정식(energy equation),
손실(loss), 터빈수두 및 펌프수두(turbine and pump head), 수두손실(head loss),
운동에너지계수(kinetic energy coefficient)
7장 상사법칙, 차원해석, 모델링

7.1 차원해석
▷차원해석(dimensional analysis): 어떤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무차원화 함으로써
변수의 수를 줄여 문제의 복잡성을 덜어주는 방법

▷차원해석의 필요성:
①비용 측면

[예] 직선 원형 파이프 내에서 단위 길이 당 압력강하 ′  

′      
-독립변수 4개. 각 변수의 값을 10가지씩 바꿔본다면 1만 번의 실험이 필요.
′  
-차원해석 결과:  
    또는     
   
(두 무차원 변수의 관계식. 10번의 실험으로 충분.)
②상사법칙의 기본적 배경 제공
모형(model; m) ↔ 실물(prototype; p)
[예] 위에서      →     

7.2 Buckingham의 파이정리


▷개의 (차원)변수를 포함하는 차원동차(방정)식은   개의 무차원(변)수들 사이의 관
계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는 변수를 나타내기 위한 기본차원의 수이다.
          ⇒         
[참고] 더 정확하게 말하면 는 차원행렬(dimension matrix)의 계수(rank)와 같다.

7.3 파이 항(무차원변수)의 결정
▷반복변수법(method of repeating variables)을 사용
①문제와 관련된 모든 변수 나열: 기하학적 형상, 유체의 물성치, 외부 효과 등.
′      
②각각의 변수를 기본차원으로 표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③필요한 파이항의 개수를 결정

④기본차원과 동일한 개수만큼의 반복변수 선택. 서로 독립인 것. 종속변수는 피함.


3개:  , , 
⑤비반복 변수를 하나 선택하여 반복변수들과 조합하여 무차원 곱을 만(파이 항)을 만든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즉     .
 
⑥나머지 비반복 변수에 대하여 ⑤의 과정을 반복한다.

  

⑦얻어진 파이 항이 무차원인지 확인한다.
⑧파이 항들로 최종 관계식을 표현하고, 그 의미를 생각해 본다.
′   ′   
     ;      또는    
  ;     
      

[참고] 반복변수를 조합하여 기본차원을 만들어 사용하면 편리하다(자/저울/시계를 제작).

[예제 1] 직사각형 평판이 유동에 의해 받는 항력.


   
  
    ← 항력계수가 형상비와 레이놀즈수의 함수다.
   

7.4 차원해석에 대한 추가 설명
7.4.1 변수의 선택
-기하학적 형상(길이, 각도 등)
-물질의 성질(밀도, 점성계수 등)
-외부효과(힘, 속도, 가속도, 압력 등)

7.4.2 기준차원(기본차원)의 결정
 ,  ,  ,  또는 혹은  ,  ,  ,  를 일관성 있게 사용하면 된다.

7.4.3 파이 항의 유일성
-차원해석을 통해 얻어지는 파이 항은 유일하지 않다.
-무차원수의 조합도 무차원수다.
-독립적인 파이 항의 개수는 정해진다.

7.5 고찰에 의한 파이 항의 결정
직관적 고찰에 의하여 파이 항을 결정할 수도 있다.

7.6 유체역학에서 자주 쓰이는 무차원수


[표 1] 유체역학에서 자주 쓰이는 변수와 무차원수
특성길이:  , 특성속도:  ,......
  관성력
①Reynolds 수,      , 모든 형태의 유동.
 점성력
 관성력
②Froude 수,   
  , 자유표면 유동
  중력힘
 압력힘
③Euler 수,       , 압력이나 압력차가 중요한 경우
  관성력
  관성력
④Cauchy 수,       , 압축성 유동
 압축성힘
 관성력
⑤Mach 수,       , 압축성 유동
 압축성힘
 국소 관성력
⑥Strouhal 수,       , 진동하는 비정상 유동
 대류 관성력
   관성력
⑦Weber 수,      표면장력이 중요한 경우
 표면장력힘

7.7 실험 데이터의 상관관계


7.7.1 하나의 파이 항을 갖는 문제
    (상수  의 값은 실험 또는 다른 방법에 의해 결정)
[예제 2] 구의 항력에 대한 Stokes의 법칙
      (   )

7.7.2 두개 이상의 파이 항을 갖는 문제
     ,        ,......
파이 항의 개수가 늘어날수록 그 결과를 실험식으로 구하기 어렵다.
[예제 3] 매끄러운 수평 파이프 내의 단위 길이 당 압력강하. Blasius 공식.

7.8 모델링과 상사법칙


7.8.1 모형 이론
무차원 관계식            으로 기술되는 시스템에서
      ,      , ⋯ ,      (상사조건/ 모형설계조건/ 모형법칙)
이 성립하면
     (예측방정식)이 성립한다.

[예] 유체가 속도  로 크기가  × 인 직사각형 평판을 지날 때의 항력 


-항력:      
   
-파이 정리 적용:       
     
           
-상사조건:    ,    (모형의 크기와 모형에서의 속도 지정)
   

     
-예측방정식:   
    
   
    
또는        




 

⋅  

7.8.2 모형의 척도
길이 척도(      ), 속도 척도(      ) 등

7.8.3 왜곡된 모형
▷하나 이상의 상사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모형을 왜곡된 모형(distorted model)이라고 함.
[예] 자유표면 유동에서 Froude 상사조건과 Reynolds 상사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는

유체(   
 )를 찾기가 매우 어렵다. 지배적인 힘에 대한 상사조건(이 경우에는

Froude 상사조건)에 맞춤
▷정확한 모형(true model): 상사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모형

7.9 대표적인 모형연구들


▷상사조건(실물과 모형)
①기하학적 상사: 모형 제작. 항상 만족되어야 한다.
②역학적 상사: 실험 조건. 힘들 사이의 비를 나타내는 무차원수가 같아야 한다. 지배적인
힘은 무엇인가?)
③운동학적 상사: ①,②가 만족되면 자동으로 만족됨.

7.9.1 폐쇄된 통로 속의 유동
▷기체의 고속 유동(압축성 유동): Mach 상사(      ), Reynolds 상사


    
▷기타 유동: Reynolds 상사(      ).         
   
( : 거칠기,  : 상대거칠기)
[예제 5] 밸브를 지나는 유동.

7.9.2 잠긴 물체 주위의 유동
▷기체의 고속 유동(압축성 유동): Mach 상사, Reynolds 상사


    
▷기타 유동: Reynolds 상사.         
   

▷항력계수:    
   
[예제 6] 비행기의 항력

7.9.3 자유표면을 갖는 유동
▷Reynolds 상사, Weber 상사(      . 특성길이가 작은 경우에 적용), Froude 상사
(    . 보통의 경우 가장 중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예제 7] 댐의 배수로를 흐르는 유량

7.10 요약 및 학습 지침

<주요 용어>
상사법칙(similitude), 무차원곱(dimensionless product), 기본차원(basic dimensions), 파이
항(pi term), Buckingham 파이정리(Buckingham pi theorem), 반복변수법(method of
repeating variables), 모형(model), 원형(실물, prototype), 예측방정식(prediction
equation), 모형설계조건(model design conditions), 상사조건(similarity requirements),
모형법칙(modeling laws), 길이척도(length scale), 왜곡된 모형(distorted model), 정확한
모형(true models)
8장 파이프 내 점성유동

8.1 파이프 유동의 일반적인 특성


[그림 1] 전형적인 파이프 시스템의 구성요소

8.1.1 층류 또는 난류 유동
[그림 2] 유동형태를 설명하는 실험과 전형적인 물감 유맥선(O. Reynolds)

[참고] 유동장 내 한 점에서 시간에 따른 속도 변화

   
레이놀즈 수:      또는     
    

낮은 Re 수 (임계 Re 수) 높은 Re 수
층류(laminar) 천이(transition) 난류(turbulent)
(난류: 시간과 공간에 대하여 불규칙하고 무작위적인(random) 속도분포를 가짐)
파이프 유동에서 대체로 Re<2100이면 층류, Re>4000이면 난류.

8.1.2 입구영역과 완전발달 유동


▷유체가 파이프로 유입되는 입구 부근의 유동영역을 입구영역(entrance region)이라 한다.

[그림 3] 파이프 시스템 내에서 입구영역, 발달되는 유동, 완전발달 유동

▷입구길이에 대한 차원해석:


        →      

  층류 
   난류 

8.2 완전발달 층류 유동
8.2.1 유체요소에  를 직접 적용하는 방법

[그림 4] 파이프 내에서 원통형 유체요소의 운동


[그림 5] 원기둥 모양 유체의 자유물체도(전단응력의 방향에 주의!)

▷검사체적에 대한 운동량방정식 적용(유체의 가속도는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층류, 난류 모두 성립!)

Δ
단위 길이 당 압력강하 은 상수이므로 전단응력은 중심축으로부터 거리 에 비례.

전단응력의 방향은 왼쪽이며, 크기는 중심축(   )에서의 과 파이프 벽면(    )에서의



   사이의 값을 가짐.


[그림 6] 파이프 내에서 유체의 전단응력 분포(층류 또는 난류 유동)와 전형적인 속도분포.

▷속도분포를 구하기 위해서는 전단응력과 속도의 관계를 알아야 한다. 뉴턴 유체의 층류


유동에서는 점성법칙을 사용하여 속도분포를 구할 수 있다.

   

부호 약속: 양의 응력은 +면에서 +방향, -면에서 -방향을 가리킴. 그림 5 참조
경계조건:           (점착조건)
경계조건이 만족되도록 에 대한 미분방정식을 풀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중심축에서의 속도(최대속도))
  
(Hagen-Poiseuille 유동의) 유량:
     
 
           
  
☜ Poiseuille 법칙

▷기울어진 파이프
[그림 7] 기울어진 파이프 유동에서 원기둥 모양 유체와 자유물체도
 →  ∓  (상승은 - 하강은 +를 택함.  는 길이 에 해당하는 높이차)

8.2.2 Navier-Stokes 방정식으로부터


-생략. 6.9절 참조-

8.3 완전발달 난류 유동
-실제로 층류유동보다 난류유동이 더 잘 일어남(공기와 물 등의 점성계수가 작아서)
-난류유동은 매우 복잡(유체역학에서 이해하기 어려운 분야로 남아 있음)

8.3.1 층류에서 난류로의 천이


-임계 레이놀즈 수
-파이프 유동에서 대체로   이면 층류,   이면 난류가 됨.
-불규칙하고 무작위적인(random) 성질은 난류유동의 특징.
-난류유동에서 유한한 크기의 무작위성과 혼합 → 효과적인(활발한) 물질, 열, 운동량 전달
-층류유동에서는 분자 크기의 무작위성과 혼합만 일어남.

[그림 8] 난류유동을 표현하는 시간평균속도 


 와 변동 성분 ′
  


 
  
  ,   
  ′

8.3.2 난류 전단응력

층류 유동:     (는 유체의 물성치)



난류 유동:        

벽면에 가까운 곳에서는 (속도가 느리므로) 층류의 특성이 나타남

8.3.3 난류 속도분포
▷정보: 차원해석 + 실험 + 이론 해석
  
 
▷멱법칙 속도분포:   
  
   
  
 
(   ∼ .  : 벽으로부터 거리.   을 사용하는 것을 제곱 법칙이라고 함)

[그림 9] 전형적인 층류 유동과 난류 유동의 속도분포


▷층류에 비해 난류 속도분포가 균일 유동에 가깝다. 1차원 근사는 단면에서 균일한 속도분
포를 가정하는 것.
 

▷단면 평균속도   
  
       
   난류 


 

  층류 
  

[참고] 유량        


 
   를 구하여 면적으로 나누면 됨.     ,


   로 치환하여 적분.

8.4 파이프 유동의 차원해석


▷파이프 내의 전체 수두손실은 점성에 의하여 발생하는 주 손실과 다양한 파이프 요소에서
생겨나는 부차적 손실로 이루어진다.
          

8.4.1 주 손실
▷지름  , 길이 인 직선 파이프(수평일 필요는 없음) 내의 정상상태, 비압축성 난류유동에
대한 마찰 압력손실  :
            ( : 파이프 벽의 거칠기,  : 단면 평균속도)
   
▷차원해석:       
 
   
     
▷마찰 압력손실이 파이프 길이에 비례하므로           ⋅     
     
▷Darcy-Weisbach 식:
     
     또는         (      : 마찰계수)
    

 
▷층류유동에서    이고, 난류유동(과 천이유동)에 대해서는      이다. 난류의
 

경우 Moody 선도 또는 Colebrook의 식 


 
       을 이용하여 마
    
찰계수를 구한다.(예제 3 참조)

[그림 10] 원형 파이프에서 Reynolds 수와 상대 거칠기의 함수로 나타낸 마찰계수-


Moody 선도.
[표 1] 새 파이프에 대한 등가 거칠기

[예제 3] 층류와 난류 유동의 압력강하

▷원형 파이프 내 비압축성 정상 유동에 대한 (확장된) 베르누이 방정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4.2 부차적 손실
▷주손실: 파이프 직선부 손실
▷부차적 손실: 부가 요소(밸브, 벤드, 티, 단면적 변화, 입구와 출구 등)에서의 손실
부차적 손실수두:
    
            (   : (부차적) 손실계수, : 등가길이)
  
 
부차적 압력손실:          

특성속도가 두 개일 때 큰 쪽을 기준으로 함. (그림 14, 15 참조)

[그림 11] 입구 유동상태와 손실계수


[그림 12] 입구모서리의 둥글기 정도에 따른 입구손실계수
[그림 13] 출구 유동상태와 손실계수
[그림 14] 급축소관에 대한 손실계수
[그림 15] 급확대관에 대한 손실계수
[그림 16]   곡관에서의 유동특성과 이에 관련된 손실계수
[그림 17]   마이터 곡관(miter bend)에서의 유동특성과 이에 관련된 손실계수
[표 2] 파이프 이음부품에 대한 손실계수
[그림 18] 여러 가지 밸브의 내부구조

8.4.3 비원형 덕트
[그림 19] 비원형 덕트

▷비원형 덕트의 경우 직경 대신에 수력직경을 사용하여 마찰계수와 손실을 계산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단면적
▷수력직경:      
 접수길이
[예1] 직경  인 파이프:    

[예2] 가로  , 세로 인 사각 덕트:    
  

8.5 파이프 유동의 예


8.5.1 단일 파이프
▷주어진 변수(독립변수)가 무엇이고 구하고자 하는 변수(종속변수)가 무엇이냐에 따라서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유형 Ⅱ,Ⅲ은 시행착오법(trial and error method)에 의한
반복계산이 필요하다.
Ⅰ. 압력차 또는 수두손실 구하기: [예제 6], [예제 7]
Ⅱ. 유량 구하기: [예제 8]
Ⅲ. 지름 구하기: [예제 9]

8.5.2 복합관로 시스템


[그림 20] 직렬 및 병렬 파이프 시스템
직렬 파이프:         ,       
병렬 파이프:           ,     

[그림 21] 3개의 저수지 시스템


높이를 알고 있는 각 저수지로 들어가는 유량(과 방향)을 결정하는 문제.

8.6 파이프 유량 측정
▷파이프 내의 순간유량 측정: 오리피스, 노즐, 벤투리 유량계
▷송출계수(유량계수):

    , (오리피스:   , 노즐:   , 벤투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지름 비 


[그림 22] 일반적인 오리피스 유량계의 구조


[그림 23] 오리피스 유량계의 송출계수

[그림 24] 일반적인 노즐 유량계의 구조


[그림 25] 노즐 유량계의 송출계수

[그림 26] 벤투리 유량계의 구조


[그림 27] 벤투리 유량계의 송출계수

[예제 10] 노즐 유량계의 노즐 지름.


식 23과 그림 25를 이용하여 시행착오법으로 구함.

8.7 요약 및 학습지침

<주요 용어>
층류유동(laminar flow), 천이유동(transitional flow), 난류유동(turbulent flow),
입구길이(entrance length), 완전발달 유동(fully developed flow), 벽면 전단응력(wall shear
stress), Hagen-Poiseuille 유동(Hagen-Poiseuille flow), 부차적 손실(minor loss), 주
손실(major loss), 상대 거칠기(relative roughness), 마찰계수(friction factor), Moody
선도(Moody chart), Colebrook 공식(Colebrook formula), 손실계수(loss coefficient),
수력직경(hydraulic diameter), 복합관로 시스템(다관계, multiple pipe system), 오리피스
유량계(오리피스 미터, orifice meter), 노즐 유량계(노즐 미터, nozzle meter), 벤투리
유량계(벤투리 미터, Venturi meter)
9장 물체 주위의 유동

▷외부유동: 비행기, 자동차, 떨어지는 눈송이 주위의 공기 흐름, 잠수함이나 물고기 주위의
물의 흐름과 같은, 유체 속에 잠겨 있는 물체 주위의 유동. 주로 실제 물체의 모형실험을
통하여 정보를 얻음.

9.1 외부유동의 일반적인 특성

▷물체에 고정된 좌표계를 사용하면 정지된 물체 주위를 유체가 상류 속도  로 흐르는 문


제가 된다.
▷물체(와 유동)의 분류:
(a)2차원, 축대칭, 3차원. (‘[그림 1] 유동 분류’ 참조)
(b)유선형 물체(streamlined body)와 무딘 물체(blunt/bluff body)

1)항력과 양력의 개념
▷물체 표면(유체와 물체의 접촉면)에서의 응력 분포: 점성 전단응력( τ )과 압력()
(합력) = (압력과 전단응력을 표면 전체에서 적분한 값)
= 항력(  ; 상류속도에 평행한 성분) + 양력(  ; 상류속도에 수직한 성분)

[그림 2] 2차원 물체에 작용하는 유체의 힘. (a)압력, (b)점성력, (c)합력 (=양력+항력)


[그림 3] 물체 표면의 미소면적에 작용하는 압력과 전단응력

[예제 1] 공기가 평판을 (수직하게, 또 평행하게) 지나갈 때의 항력과 양력.


-수직: 압력차에 의한 항력 발생
-평행: 전단응력에 의한 항력 발생

▷양력계수(   )와 항력계수(   ):
 
   ,   
   
  
    
기준 면적  는 물체의 특성 면적이며, 보통 전면면적(frontal area)을 사용하나, 평면면적
(planform area)을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2)물체를 흐르는 유동의 특징


▷유동 특성: 물체의 크기 및 설치 방향, 유체의 속도와 물성치에 영향을 받음.
▷외부유동의 중요한 무차원 수: Reynolds 수, Mach 수, Froude 수
▷Reynolds 수가 증가하면 점성의 영향을 받는 유동 영역이 감소하고, 무딘 물체에서는 뒷
부분에서 유동 박리(flow separation)가 생김.

[그림 4] 상류속도와 평행한 평판을 지나는 정상상태의 점성유동 특성(    ).


(a) 작은  : 점성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강함. 평판 위, 아래, 앞, 뒤 등 넓은 영역에 걸쳐
서 평판의 영향을 받음.    인 지점은 평판에서 꽤 먼 곳에 위치. 물체에서 모
든 방향으로 멀리까지 점성의 영향이 미침.
(b) 중간  : 후류(wake)를 제외하면 모든 방향에서 점성의 영향이 미치는 영역이 감소.
유선의 변형이 (a)에 비해 작음.
(c) 큰  : Prandtl(1904)의 제안처럼 유동은 관성에 지배되고, 평판에 근접한 부분과 평판
뒤의 얇은 후류 영역(wake region)을 제외하고는 점성의 영향을 무시할 수 있음. 속도
가  (점착조건)에서  로 변하는 영역인 두께     ≪ 의 경계층(boundary layer)
형성. 경계층과 후류 이외의 곳에서는 평판(점성)의 영향을 별로 받지 않음.

[그림 5] 원통을 지나는 정상상태의 점성유동 특성(원통은 무딘 물체.    )


(a) 작은  : 원통의 존재와 이에 따른 점성의 영향이 넓은 유동 영역에 미침.
(b) 중간  : 원통 앞 부분에서 점성의 영향을 받는 영역이 줄어듬. 점성 영향은 하류로 전
달되고 유동의 (상하) 대칭성이 사라짐. 박리점에서 유동 박리 발생.
(c) 큰  : 점성의 영향을 받는 영역은 하류로 밀려감. 원통 전단에 얇은(두께  ≪  ) 경
계층 형성. (난류 특성의) 불규칙하고 비정상적인 후류 영역이 하류로 확산. 경계층과
후류 영역 바깥은 비점성 유체처럼 유동.

9.2 경계층 특성

▷물체를 지나는 유동에서 Reynolds 수가 큰 경우: 유동장은 점성유동 영역(경계층과 물체


뒤의 후류)과 비점성유동 영역(경계층과 후류의 바깥쪽)으로 나뉨.

1)평판 위의 경계층 구조와 두께


[그림 6] 경계층 유동장에서 유체입자가 변형하는 양상

▷(   에서   ∞ 까지 펼쳐진) 반무한 평판을 지나는 비압축성 점성 유동.


-선단(leading edge)으로부터 거리 를 특성길이로 하는 Reynolds 수(      ) 사용
-하류로 내려감에 따라 유동이 층류로부터 난류로 천이됨(임계값  ×  ∼  ×  ).
-경계층 바깥(균일유동)에서는 유체입자의 변형이 없으나 경계층 안에서는 속도기울기로 인
하여 입자가 변형하기 시작하고 난류 영역에서는 심하게 변형함.

▷3 가지 두께

-경계층 두께  : 판으로부터    가 되는 곳까지 거리



-경계층 배제두께:   
     , 유량 부족분에 대한 평가


 
-경계층 운동량두께:    


     , 운동량 플럭스 부족분에 대한 평가

2)Prandtl과 Blasius의 경계층 유동 해법


▷2차원 정상 층류 유동에 대한 지배방정식(중력 무시)
-운동량방정식(Navier-Stokes 방정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연속방정식:     
 

▷경계조건
-평판으로부터 먼 곳에서 속도는 상류속도와 같다(      ).
-평판에서 속도가 이다(점착조건).
▷Prandtl(1904): 경계층 개념을 도입하여 Reynolds 수가 큰 유동에 적합한 근사법으로 유
동방정식을 단순화.
▷Blasius(1908): 평판을 지나는 경계층 유동에 대한 경계층 방정식의 해를 구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이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①두께:    ,   ,    (∼ )
 
       

②벽 전단응력;           
 



 



 



 

③마찰항력계수;         
     
 

3)평판에 대한 운동량 적분 경계층 방정식


▷전단력에 의한 항력을 근사적으로 구하는 방법: 운동량적분법
[그림 8] 운동량 적분방정식 유도를 위한 검사체적


-질량 보존:      


-운동량 보존:            

 
(층류와 난류 공통)

   
-벽 전단응력:      →         
  
-경계조건을 만족하는 경계층 내 속도분포( )를 적당히 가정하여 적분을 계산한 후 원하는
물리량들을 구함.

[예제 2] 선형 속도분포 가정
비교( 및  ): (5, 0.332), (3.46, 0.289)

4)천이유동
▷평판 경계층에서   가 커지면 층류에서 난류로 천이
-임계 레이놀즈 수: 표면 거칠기, 표면의 곡률, 경계층 외부유동의 교란의 크기 등에 따라
달라짐.  ×  ∼  ×    ×  을 사용 
[그림 9] 평판에서의 경계층 유동 형태

[예제 3] 천이점과 경계층 두께

5)난류 경계층 유동
▷난류 경계층 유동
-구조: 복잡/불확실/불규칙(complex/random/irregular)
-모든 곳에서 속도가 비정상이다(unsteady).
-크기(직경과 각속도)가 다른 와류(eddy)들이 뒤얽힌 형태로 간주할 수 있음.
-전달현상(질량/운동량/에너지): 주유동 방향으로는 층류와 유사하게 하류로 전달되며, 난
류와류에 의해서 수직방향으로도 전달됨. 혼합과 전달이 층류보다 훨씬 활발함.
-엄밀해가 존재하지 않음

▷평행 평판에 대한 항력계수


 
            
  

[그림 10] 마찰항력계수


[표 1] 마찰항력계수에 대한 실험식

[예제 4] 수상스키 밑면이 받는 항력

6)압력기울기의 영향
▷평판 경계층: 전유동장에서 압력이 일정
▷평판이 아닌 물체: 압력이 균일하지 않음(압력기울기 존재). 경계층 가장자리에서의 자유
류 속도(free stream velocity)   의 변화가 경계층 내 압력기울기의 원인.
[그림 11] 원통을 지나는 비점성 유동.
  ∞ . 표면에서 속도와 압력이 변화. 항력은 0(대칭성).

▷레이놀즈 수가 큰 점성유동
[그림 12] 원통 표면에서의 경계층 특성.
-점성의 영향은 표면 근방의 얇은 경계층에 한정.
-(경계층이 얇아서 수직방향 압력 변화가 작으므로) 경계층 내 압력 경계층 가장자리 압
력(비점성 유동장의 압력).
-순압력기울기(유동방향으로 압력 감소)에서 역압력기울기로 바뀜.
-경계층에서 점성으로 인한 에너지 손실로 인하여 압력언덕(pressure hill)을 넘지 못함. 경

계층이 표면으로부터 이탈하는 경계층 (또는 유동) 박리(    →    )가 일어나고 뒤쪽

은 역류(reverse flow) 발생함.
-후류에서의 압력이 앞쪽보다 작기 때문에 큰 압력항력 발생.
-난류 경계층의 박리점이 층류보다 더 뒤쪽에 있다(유체층간 운동량 교환이 활발하므로 역
압력기울기에 상대적으로 잘 견딤).

9.3 항력


▷항력계수      형상      
   

1)마찰항력(   ): 전단응력에 의한 항력

2)압력항력(형상항력,   ): 압력에 의한 항력

3)항력계수에 대한 자료와 적용 실례
▷형상의 영향
-형상이 무딜수록 항력계수가 커짐([그림 13])
-유선형의 정도가 클수록 항력계수가 작다(후류 폭을 줄임. [그림 14]).

▷레이놀즈 수의 영향

-구의 Stokes 항력:             

[그림 15] 원형 물체에 대한 레이놀즈 수의 영향
[그림 16] 2차원 유동에서 형상변화에 따른 항력계수 특성

▷압축성의 영향
[그림 17] 초음속 유동에서 항력계수와 Mach 수의 관계.
   근처에서 항력계수가 급격히 증가.

▷표면 거칠기의 영향
-유선형 물체에서는 거칠기가 증가하면 항력 증가.
-무딘 물체에서는 거칠기가 증가하면 항력이 감소하는 속도구간 존재
(층류에서 난류로 바뀜. 박리가 뒤쪽에 생겨 후류 폭이 작아짐)
[그림 18] 천이영역에서 표면 거칠기에 따른 구의 항력계수 변화

▷복합물체의 항력: 복합체로 간주하여 계산


[그림 19, 20, 21] 여러 가지 물체의 항력계수.

9.4 양력

1)표면 압력 분포

▷양력계수    
   
-실험, 고급 이론, 수치해석으로 구함
-기준면적은 평면면적(      (날개의 폭)× (익현길이))을 사용.
-양력계수에 가장 영향을 주는 변수: 물체의 형상

▷양력발생 방법:
-위아래 표면의 압력이 다르게 분포하도록 함
(대칭날개에서의 영각이나 비대칭날개 사용)
-날개 하중(wing loading): 날개 단위 면적당 평균 양력. 

▷날개의 성능
[그림 23] 날개에 대한 양력과 항력의 두 가지 표현법.
(a)양력과 항력의 비 (b)양력과 항력의 극선도
-일정 범위 안에서는 영각이 커지면 양력이 증가하나 너무 커지면 실속(stall; 경계층 박리,
난류 후류 영역 형성, 양력은 감소하고 항력이 증가함)이 발생하여 위험.
-보조익(flap)을 사용하여 양력과 항력 조정.
항력이 증가하지만 이착륙 과정에만 사용하므로 문제가 안 되며, 양력이 상당히 증가.
[그림 24]플랩의 형상에 따른 항력과 양력 변화

2)순환(circulation)
▷길이가 유한한 날개를 지나는 유동
[그림 25] 날개 주위 유동에서 생기는 와류
-양력이 발생하려면 날개 아래면의 평균압력이 윗면보다 높아야 함.
-날개 끝 부분에서는 이 압력차로 인해 유체가 아래에서 위로 이동하려고 하므로 이동와류
(trailing vortex)가 형성되면서 하류로 쓸려 감
-이동와류는 날개 폭 방향으로 구속와류(bound vortex)에 의하여 연결되며, 이 와류의 순환
에 의해 양력이 발생함.(     )
-구속와류와 이동와류의 복합 구조를 말발굽와류(horseshoe vortex)라고 함.
▷Magnus 효과
-대칭물체에서 순환에 의하여 대칭이 깨지면서 양력이 발생하는 현상
-야구, 축구, 골프 등에서 사용됨
[그림 26] 원통을 지나는 비점성 유동

9.5 요약 및 학습지침

<주요 용어>
양력(lift), 항력(drag), 양력계수(lift coefficient), 항력계수(drag coefficient), 후류
영역(wake region), 경계층(boundary layer), 경계층 두께(boundary layer thickness),
천이(transition), 층류경계층(laminar boundary layer), 난류경계층(turbulent boundary
layer), 자유류 속도(free stream velocity), 순압력 기울기(favorable pressure gradient),
역압력 기울기(adverse pressure gradient), 경계층 박리(boundary layer separation),
마찰항력(friction drag), 압력항력(pressure drag), 실속(stall), 순환(circulation)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