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1

제 7강

Recap
Change in Relative Price of Manufactures

2
노동

W  PM MPLM
W PM MPLM PM
 
W PM MPLM PM PA W PM W W
  , 
PA W PM PA PM

PA W
0
PA W

노동 (이동가능한 요소) 후생의 불분명한 효과

3
자본과 토지
자본비용 PM QM  WLM
RK   RK
K K PM  LM  MPK M   RK R
토지비용 PAQA  WLA
PM 자본가: PM
, K 
PA
RT   RT
T T PM  LM  MPTA   RT R
RK  PM MPK M PA 지주: , T 
PM PA
RT  PA MPTA

• 수입재의 상대가격이 떨어지면 수입산업에 특정적인


생산요소는 손실
• 수출재의 상대가격이 오를 때 수출산업에 특정적인
생산요소는 이득
4
수업목표
• 특정요소 모형 (계속)
• 수리적인 예시
• 요소가격변화의 일반적인 식

• 헥셔-올린 모형
• 헥셔-올린 모형의 가정
• 무역부재균형

5
수리적인 예시

6
요소가격변화의 일반적인 식

7
헥셔-올린 모형
• 노동 생산성 뿐 아니라 국가의 부존자원 차이가 무역의 이유가
될 수 있음

• 헥셔-올린(Heckscher-Ohlin) 모형은 노동, 자본 등 생산요소의


차에 주목
• 국가간 요소부존도 (relative abundance of factors of production) 차이
• 상품간 요소집약도 (relative intensity) 차이

8
추가적인 가정
• 첫째, 양국의 상품시장과 요소시장은 완전경쟁적이다.

• 최종재는 국가 간 자유롭게 교역이 되지만 생산요소는 국가간에 이동할 수 없다.

• 둘째, 산업간 생산요소의 이동은 자유롭다. 따라서 생산요소의 보수는 어디에서


나 같아진다.

• 셋째, 두 재화의 요소집약도는 서로 다르다.

• 마지막으로 운송비, 관세 등 무역장벽은 없다.

9
2x2x2 헥셔-올린 모형
• 2개 요소: 노동(L)과 자본(K)
• 2개국: 자국과 외국
• 외국은 노동이 상대적으로 풍부하고, 자국은 자본이 상대적으로 풍부
• L * / K *  L / K 혹은 K / L  K * / L *
• 2개 상품: 신발(S)과 컴퓨터(C)
• 신발은 노동집약적, 컴퓨터는 자본집약적
L S / K S  LC / K C

10
무역부재균형

11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