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52

예비 해체계획서

(아라 연구동)

2019. 07.
목 차

번 호 제 목 페이지

제1장 해체계획의 개요 1-1


1.1 사업추진 배경 1-2
1.2 사업 목적 1-3
1.3 해체대상 시설 종류 및 특성 1-4
1.4 해체사업 허가 사항 1-20
1.5 시설 건설 이력/계획 1-21

제2장 사업관리 2-1


2.1 조직 및 인력 2-1
2.2 비용 2-3
2.3 재원확보 2-17

제3장 부지 및 환경현황 3-1


3.1 부지현황 3-1
3.2 환경현황 3-7
3.3 방사선학적 특성 3-28

제4장 해체전략과 방법 4-1


4.1 해체전략 4-1
4.2 해체방법 4-5

제5장 해체용이성을 위한 설계특성과 조치방안 5-1


5.1 설계특성 5-1
5.2 조치방안 5-4

제6장 안전성 평가 6-1


6.1 안전원칙 및 기준 6-1
6.2 방사선 위험도 및 비방사성 위해도 6-2
6.3 안전성평가 방법론 6-4
6.4 안전대책 6-9

제7장 방사선방호 7-1


7.1 ALARA 개념 반영 7-1
7.2 방사선방호 계획 7-3

i
제8장 제염해체활동 8-1
8.1 해체공사 시 필요설비 8-1
8.2 제염활동 8-2
8.3 해체활동 8-7
8.4 비상계획 8-12

제9장 방사성폐기물관리 9-1


9.1 개요 9-1
9.2 운영 중 발생 방사성폐기물 특성 9-2
9.3 해체 방사성폐기물 특성 9-3
9.4 방사성폐기물 처리, 포장, 운송 및 처분 9-6

제10장 환경영향 평가 10-1


10.1 해체 전 환경감시 10-1
10.2 해체 중 환경감시 10-3
10.3 주변주민에 대한 영향 10-4

제11장 화재방호 11-1


11.1 화재방호계획 11-1
11.2 화재 및 폭발안전 11-3

제12장 참고문헌 12-1


12.1 개요 12-1
12.2 참고문헌 12-1

ii
부록 목차

번호 제 목 페이지

부록 1.1 개요 부록 1-1
부록 1.2 용어해설 부록 1-1

iii
해체계획의 개요 1

1.1 사업 추진 배경
1.2 사업 목적
1.3 해체대상 시설 종류 및 특성
1.4 해체사업 허가 사항
1.5 시설 건설 이력/계획
제 1 장 해체계획의 개요

이 문서는 원자력안전법 제35조(핵연료주기사업의 허가 등), 원자력안전위원회 규칙


제17호(원자로시설 등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 및 원자력안전위원회고시 제2015-8
호(원자력이용시설 해체계획서 등의 작성에 관한 규정)에 의거하여 작성된 아라 연
구동에 대한 예비 해체계획서로, 아라 연구동 가공사업허가 신청서의 첨부자료로
원자력안전위원회에 제출한다.

예비 해체계획서의 대상인 아라 연구동은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덕대로 989번길 111


원자력연구원내에 위치하며(그림 1.1-1 참조) 2020년에 완공될 예정이다. 아라 연구
동은 다 목 적 소 형 연 구 로 용 핵연료를 생산하는 시설로 분말제조실, 분말처리실,
산화처리구역, 압출구역, 분말 처리(소결)구역, 검사구역, 조립구역, Pickling실 및
저장시설로 구성된다. 아라 연구동의 수명이 다한 후에 수행될 제염·해체 사업은
아라 연구동을 운영하는 한국원자력연구원 또는 해체전문기관이 주관하여 진행될
것이며, 여기에는 제염·해체 계획수립 및 해체설계, 관련 인허가 문서작성, 제염·
해체작업, 발생 폐기물처리 및 부지 복원작업 등이 포함된다.

그림 1.1-1 아라연구동 위치도 및 부지 배치도

1-1
1.1 사업 추진 배경

1.1.1 사업 추진 배경

한국 원자력연구원에서 자체 개발한 핵연료 설계 및 제조 기술을 활용하여, 아라


원자로에 핵연료를 공급하고 아라 원자로와 유사한 금속핵연료를 사용하는 미래 원
자력 시스템 핵연료 제조시설 설계 및 건설의 기본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1.1.2 예비 해체계획서 추진 배경

원자력시설의 해체와 관련하여 2015년 초에 원자력안전법의 일부 개정 법률안이 공


포되었고, 시행령과 시행규칙 등 후속 하위법령이 개정되었다.

개정된 원자력안전법은 해체(Decommissioning)에 관한 정의와 규제요건을 포함하고


있으며 해체는 원전의 운영허가를 받은 자가 이 법에 따라 허가 받은 시설의 운영
을 영구적으로 정지한 후, 해당 시설과 부지를 철거하거나 방사성오염을 제거함으
로써, 이 법의 적용대상에서 배제하기 위한 모든 활동으로 정의하고 있다.

개정된 원자력안전법에서는 핵연료주기사업을 운영하거나 영구정지 후 해체하기 위


해서는 해체계획서를 작성하여 규제기관에 제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공사업 사업자는 핵물질가공사업 허가 신청 시, 예비해체계획서를 규제기관에 제
출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 보고서는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원자력안전법 제35조에 따
라 가공사업 허가 시 요구되는 아라 연구동 예비해체계획을 수립하여, 원자력안전
위원회에 제출할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1-2
1.2 사업 목적

1.2.1 사업 추진 목적

아라 연구동 신축공사는 다음의 목적을 위해 추진되었다.

❍ 아라 원자로 핵연료 제조 기술 개선
❍ 아라 원자로 핵연료 생산 및 공급
❍ 기타 소형원자로 핵연료 제조 기술 개발

1.2.2 예비 해체계획서 작성 목적

예비 해체계획서 작성의 목적은 핵물질가공시설(아라 연구동)의 운영 전에 해체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는 자의 권한과 의무를 정하고, 가공시설을 안전하게 해체할 수
있는 예상비용의 평가 및 이에 대한 재원확보 방안을 수립하는데 있다. 아울러 가
공시설의 해체에 대비하여 전략을 운영 전에 수립하고, 안전하고 용이한 해체를 위
한 사항과 운영 중의 주요 변경사항을 반영하여, 그 유효성을 유지하는데 있다.

또한 가공시설의 해체에 따른 방사선/능으로부터의 위해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 오


염제거 방법, 방사성폐기물의 분류·처리·저장·처분 방법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
의 평가 방법 및 계획 등을 수립하여, 해체활동의 안전성 입증, 주변주민 및 주변
환경보호 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1-3
1.3 해체대상 시설 종류 및 특성

1.3.1 건물 배치

아라 연구동은 대전광역시 유성구 덕진대로 989번길 111 한국원자력연구원에 위치


한다. 해당건물 부지는 지표고 EL.+80 m로서, 부지 남측 진입도로를 통하여 차량이
진입할 수 있다. 아라 연구동의 남쪽에 새빛연료과학동, 북쪽에 냉중성자연구동, 노
심부품연구동, 동쪽에 동위원소동이 위치해 있다. 부지 동쪽에는 남북방향으로 지하
유틸리티공동구가 위치하고 서쪽에는 폭 8 m의 소내 도로에 접하고 있다. 부지 남
쪽 및 동쪽은 부지 지표고보다 낮으므로, 부지 남쪽은 5 m 이하의 콘크리트 옹벽이
설치되고 동쪽은 4 m 이하의 비탈면이 형성된다.

1.3.2 건물 특징

아라 연구동은 지하1층(일부)/지상2층, 크기 62 m × 38.0 m, 연면적 3,400 ㎡ 규모


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이다. 대상 건물의 실구성은 아래와 같다.

가. 지하 1층 : 액체폐기물저장실 (관리구역)
나. 1층 관리구역 : 분말 제조실, 분말 처리실, 압출구역, 산화처리구역, 분말처
리(소결), 검사구역 등
비관리구역 : 비상디젤발전기실, 소방펌프실, 방사선안전관리실, 계측
실, 기계실 등
다. 2층 관리구역 : ACU Room, Stack Monitor Room
비관리구역 : 중앙제어실, 전기실, 통신실, UPS실, 사무실 등

아라연구동의 배치도는 그림 1.3-1 ∼ 그림 1.3-4에 제시하였다.

1-4
그림 1.3-1 아라연구동 지하1층 및 지상1층 평면도

1-5
그림 1.3-2 아라연구동 지상2층 평면도

1-6
그림 1.3-3 아라연구동 입면도(남, 동 방향)

1-7
그림 1.3-4 아라연구동 입면도(북, 서 방향)

1-8
1.3.3 구조 특징

아라 연구동은 철근콘크리트 라멘조 구조물로서, 상구구조는 Φ600 mm PHC 말뚝기초 및


900 mm 두께의 전면기초판에 의해 지지된다. 계단실 및 방사선관리구역경계는 250∼300
mm 두께의 콘크리트 전단벽이 배치되어, 횡력의 대부분은 전단벽이 저항하고 일부는 보-
기둥 모멘트골조가 저항한다. 모멘트골조는 연성능력 증진을 위해 내진설계가 적용되었다.
200 mm 두께의 슬래브는 수평 다이아프램을 형성하여 횡력에 의한 수평변형에 저항한다.

1.3.4 아라 연구동 공정구역 및 폐기물 처리/저장구역

1.3.4.1 공정구역

가. 성형시설

성형시설은 핵연료분말 제조, 핵연료심 가공이 수행된다. 핵연료분말 제조공정은 용해주조


및 원심분무공정으로 구성되며 핵연료심 가공은 분말혼합 및 성형, 소결, Billet 제작, 압출
공정으로 구성된다.

다목적 소형연구로용 연료 분말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은 LEU 기준으로 연간 500 kg의 생


산용량을 갖도록 설계되며 금속연료봉은 표준 핵연료봉 1,2000 봉 이상의 가공능력을 갖도
록 설계된다.

성형공정은 분말제조실, 분말처리실, 압출구역 및 분말처리(소결)구역에서 수행된다.

1-9
그림 1.3-5 성형공정 수행구역

나. 압출연료심 후처리 시설

압출연료심 후처리 시설에는 Pickling 처리, 압출연료봉 열처리 및 산화처리 공정으로 구성된
다. 각각의 공정은 Pickling 실, 산화처리구역 및 진공열처리로에서 수행된다.

1-10
그림 1.3-6 Pickling 처리, 압출연료봉 열처리 및 산화처리 공정 수행구역

다. 핵연료봉 가공시설

핵연료봉 가공시설은 핵연료봉 양단가공, Dent hole 가공 및 Spinning 가공공정으로 구성되


며 조립구역에서 수행된다.

라. 조립시설

조립시설은 다목적 소형연구로용 핵연료 집합체 조립을 위한 용접과 가공시설에서 가공된


핵연료봉과 국내 부품 제조업체에서 제작된 조립 부품을 사용하여 집합체를 조립하는 공정
이다.

용접 및 조립공정도 핵연료 가공공정과 마찬가지로 조립구역에서 수행된다.

1-11
그림 1.3-7 핵연료 가공 및 조립 공정 수행구역

1.3.4.2 핵물질 저장시설

아라 연구동 1층 저장고에는 금속우라늄(U), U-Zr 연료봉 및 핵연료집합체(Assembly)가 저


장된다.

핵물질 저장시설에 저장되는 우라늄 금속 용기는 저장선반에 5개씩 대략 120(15x8)여개의


용기가 저장되어 하나의 격실에는 총 600개의 금속 용기가 저장된다.
저장구역 내의 작업자 피폭을 최소화하기 위해 금속용기는 10 cm 두께의 SUS 용기에 저장
된다.

핵연료봉은 전용 운반 트레이에 넣어서 내진 구조로 시공된 랙에 보관된다. 1개의 트레이에


는 25개의 핵연료봉을 놓을 수 있으며, 트레이에는 핵연료봉이 한곳에 모이지 않고 일정간
격으로 떨어지도록 홈이 파여져 있다. 이 홈의 피치는 12 mm 이다. 저장고에는 10개의 트
레이가 4단으로 배치되어 총 1,000개가 배치되며 트레이 간의 간격은 충분히 임계 안전성을
만족하기 위해 600 mm 간격으로 배치한다.

조립이 완료된 핵연료집합체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작된 전용 용기에 수직으로 세워서 보


관하며 서로간의 간격은 200 mm 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핵연료집합체는 25x4개씩 5개
의 랙 구조물로 배치되며, 랙 구조물 간의 간격은 밀차의 이동 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1,200

1-12
mm 이격된다.
핵물질 저장시설에 저장되는 종류별 LEU 저장량 및 용기 수는 다음과 같다.

LEU 저장량 용기(트레이) 수


금속우라늄(분말 포함) 3,000 kg-U 600
핵연료 봉 40 kg-U 40
핵연료 집합체 1,000 kg-U 500

핵물질 저장시설의 배치도는 그림 1.3-4에 나타내었다.

[핵물질 저장시설 평면도]

1-13
[핵물질 저장시설 단면도]

그림 1.3-8 핵물질 저장시설 배치도

1.3.4.3 방사성폐기물처리계통

가. 기체폐기물처리계통

핵연료물질 취급구역의 모든 배기는 환기계통의 배기설비의 HEPA 필터에 의해 처리되어


스택을 통해 대기로 방출된다. 스택에는 스택방사선감시기가 설치되어 배출관리기준 이상일
경우 경보를 울리며, 신호는 보건물리실과 주제어실로 전송된다. 또한 격리 밸브와 연동되
어 자동 차단함으로써, 배출관리기준을 초과한 기체방사성물질이 환경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계통이 구성된다.

핵연료물질을 취급하는 장치는 분진이 장치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밀폐구조로 되어 있으


며 우라늄 분말의 확산 가능성이 있는 장치로부터의 배기는 별도의 처리설비에 의해 우라
늄을 제거한 후 환기계통의 배기설비에 연결되므로 외부로의 누출은 최소화될 수 있다.

나. 액체폐기물처리계통

액체폐기물관리계통은 방사능 오염 가능성이 있는 비상 샤워실에서 발생하는 모든 배수를


수집, 저장, 우라늄 농도 측정 및 이물질 제거 기능을 수행한다.

자연 낙수에 의해 지하1층에 위치한 액체폐기물 수집/저장조로 유입되는 액체폐기물의 이

1-14
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수집탱크의 유입부에 스트레이너가 설치되고, 주기적으로 스트레이
너에 수집된 이물질이 소거된다. 액체폐기물 수집탱크의 용량은 30인의 샤워수를 수용할 수
있으며, 한 개의 액체폐기물 수집탱크의 고장 및 보수 시에도 계통 운전이 가능하도록 두
개의 액체폐기물 수집탱크가 설치된다. 두 개의 액체폐기물 수집탱크 간에 공통관이 설치되
어 한 개의 액체폐기물 수집탱크에 액체폐기물이 과다하게 유입되는 경우, 공통관을 통하여
대기 중인 다른 한 대의 액체폐기물 수집탱크로 액체폐기물이 흘러 나가도록 설계되었다.
최대 수위에 도달한 액체폐기물을 방출하기 전에 압축공기를 액체폐기물 수집탱크에 주입
하여 충분히 교반한 후 시료를 채취하여 우라늄 농도를 분석한 다음, 탱크로리로 전량 수거
하여 자연증발시설로 이송, 처리한다. 이송 전, 시료를 채취한 액체폐기물 수집조의 우라늄
농도는 계측실에서 분석한다.

부주의한 액체폐기물의 유출 또는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집탱크 주위에는 Dike가 설치


된다. 비상 샤워실 바닥배수로부터 액체폐기물 수집탱크까지의 배수배관은 최소 1/100의 연
속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하여 배관 내부에 슬러지가 축적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액체폐기물 저장실 내의 액체폐기물 수집/저장탱크 옆에는 아라 연구동의 방사선 관


리구역의 화재 시, 발생되는 소화수를 수집하기 위한 60 ㎥ 용량의 탱크가 설치되어 있다.

액체폐기물 저장 계통도 및 기기 배치도는 그림 1.3-9와 그림 1.3-10을 참조한다.

다. 고체폐기물처리계통

고체폐기물은 종류별로 2∼3개의 소포장 단위로 분리, 수집한 후 각 수집물에 꼬리표를 부


착하고 포장용기에 넣는다. 포장용기는 200리터의 볼트식 원통형 드럼용기를 사용함을 원칙
으로 한다. 포장이 완료된 후 포장용기에 방사선량율, 종류, 주요핵종, 폐기물의 양, 내용물,
폐기일시, 발생부서 및 책임자를 기록한 방사성폐기물 표지를 작성하여 부착한 후 폐기물관
리 부서에 처리를 의뢰한다.

아라 연구동에서 발생하는 고체 폐기물은 처리 전, 지상1층의 핵물질 저장시설 옆에 위치한


고체폐기물 저장고에 임시 저장된다.

1-15
그림 1.3-9 액체 방사성폐기물 저장 계통도

1-16
그림 1.3-10 액체 방사성폐기물 저장계통 기기배치도

1-17
1.3.4.5 배기계통

아라연구동 배기계통은 시설 내 적정 압력/환기 유지 및 방사능 부유물 여과 배기를 위한


Ventilation으로 구성된다. Ventilation은 방사선관리구역과 청정구역으로 구분하여 구성하며,
방사선관리구역의 배기는 적정한 여과설비를 거쳐 Stack을 통해 대기로 배출되도록 한다. 청
정구역의 배기는 대기로 바로 배출되도록 구성한다.

Ventilation은 구역-1 및 구역-2용 배기와 개봉우라늄 취급구역(구역-3 및 구역-4)용 배기로


구성되며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가. 구역-1 및 구역-2용 배기는 각 실 혹은 구역 별로 배기용 송풍기, Exhaust Duct,


Damper, 관련 계측기 등으로 구성된다.
나. 개봉우라늄 취급구역(구역-3 및 구역-4)용 배기의 구성은 50% 용량의 공기정화기 3대,
Exhaust Duct, Damper 및 관련 계측기 등으로 구성된다. 공기정화기는 Medium filter,
HEPA filter 및 송풍기로 구성되어 있다. 구역-3 및 구역-4 지역의 배기는 공기 중에 방
사성 부유물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공기정화기로 여과 후 Stack을 통해 대기로 방출된
다.
※ 참고로 배기구감시기는 스택 옆 또는 ACU Room 옆에 위치한 Stack monitor room(그
림 1.3-2 참조)에 설치되어 있고, 룸 내에는 적산유량계가 설치되어 있어 Stack을 통
해 외부로 방출되는 풍량을 확인할 수 있다.

아라연구동 배기계통 설비는 2층의 ACU Room 기기배치도는 그림 1.3-11과 같다.

1-18
그림 1.3-11 지상 2층 ACU Room 기기 배치도

1-19
1.4 해체사업 허가 사항

본 예비 해체계획서의 제출단계에서는 해체와 관련하여 이미 획득하였거나 신청한 인허가


사항은 없다. 본 해체사업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해체작업을 개시하기 전까지 아래와 같
은 허가 과정을 거친다.

가. 핵연료주기시설의 허가 단계에서 제출하는 예비 해체계획서


나. 시설의 영구 운영 정지 후 해체작업을 위하여 작성 제출하는 최종 해체계획서

1-20
1.5 시설 건설 이력/계획

가. 시설 설계이력

1) 다목적 소형 연구로용 연료 설계 및 제조기술 개발연구


❍ 1994년 ~ 2001년: 핵연료 개념 및 기본 기술 개발 (원자력연구개발사업)
❍ 2002년 ~ 2005년: SMART-P 건설을 위한 설계 및 검증 (일체형원자로사업단)
❍ 2006년 ~ 2010년: 연료 최적화 및 검증 시험 (민간수탁)
❍ 2011년 ~ 2014년: 연료 설계 보완 및 연료 제조 공정 최적화 (민간수탁)

2) 아라(ARA) 연료동 건설
❍ 2015년: 다목적 소형연구로 실증용 원자로 건설 사업을 위한 연료 가공 시설 사
업 확정 (원자력연구원)

❍ 2016년: 설계 사업 착수 (계약자: 현대엔지니어링)


❍ 2019년 7월 : 아라 연료동 건설을 위한 예산 확정

나. 시설 건설계획

1) 건설 사업 개요
❍ 사업기간: 2020년 ~ 2022년(2년)
❍ 사업규모: 약 3,400 mm2 (지하1층, 지상2층)
❍ 총사업비: 32,000 백만원
❍ 주요사업내용
­내진설계
­핵물질 저장시설 및 RMS 시설
­아라 연료집합체 제조 장비 구축
­시설제어 및 폐수집 수조확보
­배기, 공조설비, 가스공급장치 등 유틸리티설치
­품질관리계측 및 측정실, 시험실, 방사선안전설비

2) 인허가 및 시운전
○ 사업 추진 일정은 다음과 같다.

1-21
1-22
사업관리 2

2.1 조직 및 인력
2.2 비용
2.3 재원확보
제 2 장 사업관리

아리 연구동의 해체공사를 수행하기 위한 조직 및 책임에 관하여 기술한다. 아라 연구동 운


영자인 한국원자력연구원은 해체사업을 차질 없이 수행하기 위하여 제염·해체 및 폐기물
처리에 관련된 전문 인력으로 팀을 구성하여 제염·해체 계획수립 및 해체설계, 관련 인허가
문서 작성, 발생 폐기물 처리 및 부지복원 등의 해체사업에 대한 설계, 구매, 시공을 포함하
는 모든 업무를 담당하게 한다.

2.1 조직 및 인력

아라 연구동의 해체사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전담부서를 구성하여 이 사


업을 전담하도록 한다. 팀원은 한국원자력연구원 기존 인력으로서, 아라 연구동 설계 및 건
설, 운영의 경험 및 폐기물 처리 경험이 있는 인력을 중심으로 구성한다. 제염·해체공사 전
문 업체는 공개경쟁입찰 방식으로 선정하며, 선정된 업체는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요구하는
인력을 계약범위 내에서 공급하여야 하며,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는 해체사업 조직을 구성하
여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해체사업의 개략적인 조직도는 그림 2.1-1에 나타내었다.

2.1.1 해체설계 전문 업체

해체설계 전문 업체는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수행하는 아라 연구동의 설계기술용역회사로서,


계약조건에 따라 기초자료 조사 분석, 아라 연구동 해체설계, 해체계획서 작성, 방사성폐기
물 처리시설 및 운반용기 설계, 공사비 산출, 입찰안내서 작성, 제염·해체 공사 관리계획
수립, 시공기술지원, 품질보증계획의 수립 및 이행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2.1.2 해체공사 전문 업체

본 사업의 해체공사에 필요한 인력을 지원하는 업체로서 실제 공사를 수행하는 작업자, 현장


의 방사선안전관리를 담당하는 방사선안전관리요원, 방사성폐기물에 대한 제염 작업 및 폐기
물관리요원, 현장 품질관리/검사요원, 그리고 해체공사에 필요한 기술적 사항을 지원하는 기
술자 등을 공급하여 한국원자력연구원 제염·해체 전담조직의 지휘·감독을 받아 해체공사
를 수행한다.

2-1
그림 2.1-1 아라 연구동 해체 수행 조직도

2-2
2.2 비용

아라 연구동의 해체비용평가는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개발되고 상용화된 방법이 없기 때문에


해외 또는 국제협력기구에서 개발된 것을 활용하여 평가하기로 한다. 주요 비용평가 항목은
OECD/NEA에서 발간된 ISDC(International Structure for Decommissioning Costing on Nuclear
Installations, 2012)과 IAEA Nuclear Energy Series No. NW-T-2.4(Cost Estimation for
Research Reactor Decommissioning) 및 해외 상업원전의 해체비용평가 항목 및 방법론을 참
고한다.

해체활동의 근간이 되는 해체전략으로 “즉시해체”로 결정하고, 부지의 최종조건은 아라 연


구동의 주변 여건을 고려하여 제한적인 재사용으로 계획한다. 운영 중 발생한 방사성폐기물
의 처리 및 처분비용은 본 해체비용에 포함되지 않으며, 해체 기간 중에 발생한 방사성폐기
물의 처리 및 처분비용만이 포함된다. 해체폐기물 중 방사성폐기물은 저장용기에 포장되어
해체현장에 임시 저장 관리하다가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이 운영하는 처분장으로 이송하여 처
리한다.
아라 연구동의 해체비용 평가에서는 사전해체활동부터 해체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처
리·처분까지 소요되는 비용을 포함한다.

2.2.1 해체비용평가 항목 선정

아라 연구동의 해체비용평가 항목은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1) 해체 사전활동 : 해체계획, 시설 특성 정의, 안전 및 보안, 폐기물 관리계획, 인허가 및

해체준비, 계약

(2) 시설정지 활동 : 시설 정지 및 점검, 제염/해체를 위한 특성평가 및 계획

(3) 안전격리 활동 : 안전격리 준비, 구역 재선정

(4) 관리구역 해체 활동 : 장비 조달, 준비작업, 1차 제염활동, 해체활동, 2차 제염활동, 최

종 방사선 조사

(5) 폐기물 처리 : 폐기물관리체계 구축, 준위별 폐기물 처리, 형태별 폐기물 처리, 자체처

분 폐기물 처리/처분
(6) 기반시설 운영활동 : 부지/건물 감시 및 운영, 유틸리티 운영, 방사선 및 환경감시

(7) 일반 구역 해체활동 : 장비조달, 일반 해체활동

2-3
(8) 사업관리 : 사업관리, 계약관리, 인력관리, 조달, 창고, 보건물리 및 산업안전관리

해체활동에서 연구 개발, 핵물질 관리 활동 및 기타(세금, 보험 및 기금)에 대한 비용은 본

시설의 해체비용평가에서 제외한다.

2.2.2 비용평가방법

아라 연구동의 해체 비용은 해체 시설 대상물에 대한 구성요소와 해체 작업 활동에 대한 비


용 항목을 바탕으로 산정하여야 한다. 즉, 해체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의 분류 및

소요자원의 선정을 바탕으로 항목별 비용을 산정하고 최종 산출된 항목별 비용을 용도 및

목적에 맞게 재구성하여 전체 해체활동에 대하여 비용을 산출한다. 이와 같이 해체비용을 산


출하기 위해서는 해체 시설 대상물에 대한 비용항목의 구성과 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단위비

용인자를 도출하여야 한다.

2.2.2.1 해체비용평가를 위한 입력자료

가. 시설 인벤토리 자료

아라 연구동의 해체 비용평가를 위한 인벤토리 정보의 구조는 그림 2.2-1과 같다. 그림에서

와 같이 아라 연구동은 층별로 구분되고, 각 층들은 다시 실 단위로 세분화되며, 각 실 내부

에 배치된 기기 및 설비에 대한 자료(중량, 오염도, 재질 등)가 목록화되어야 한다.

그림 2.2-1 해체 비용평가를 위한 시설 데이터베이스 구조

2-4
나. 해체비용 항목 분류

해체비용 항목에 대한 분류 방법은 동일한 의미를 바탕으로 설명 가능한 기초를 제공하

는 단위비용인자(Unit cost factor) 방법을 선택하여 해체비용 항목에 대한 분류를 하여야

한다. 단위비용인자 방법은 많은 해체활동 항목에 대하여 활동 추정을 단순화하기 위해

서 사용되는 방법으로, 해체활동에 투입되는 인건비, 장비, 재료비 및 기타비용으로 구분

한다. 단위비용인자에 대한 예시는 표 2.2-1과 같다.

표 2.2-1 단위비용인자 자료 예시

다. 해체비용 영향인자 분석

해체비용평가에 있어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로 작업지연인자, 예비비, 인건비에 대하여

기술한다.

작업지연인자(Work Difficulty Factor)

작업난이도는 대상 구역의 작업특성에 따라 구분되는 작업지연요소로 접근성, 호흡방호

장구, 방사선 및 ALARA, 개인방호복, 휴식시간 등이 있다. 접근성은 작업구역의 높이와

혼잡성을 고려하여 적용하고 호흡방호장구는 일시 또는 계속적인 호흡장구 착용 지역에

서 적용한다. 방사선 및 ALARA는 방사선구역에서의 작업으로 작업 제한, 차폐, 계획에

따라 적용한다. 또한 개인방호복은 개인방호복의 종류에 따라 적용하며 휴식시간은 일상

2-5
적인 작업의 휴식을 고려하여 적용한다.

표 2.2-2는 AIF/NESP-036에 근거한 작업난이도 인자와 IAEA의 연구용원자로 해체에 적

용한 작업난이도 인자를 비교하였다. 본 해체비용평가에서는 AIF/NESP-036의 작업난이

도 인자를 기본으로 적용하고, AIF/NESP-036에서 고려하지 않은 장비교체를 추가하였다.

또한 본 시설(핵연료 가공시설)은 상업용원자로 및 연구용원자로와 달리 중성자에 의한

방사화와 높은 준위의 고착성 오염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AIF/NESP-036의 항목별 작

업난이도 인자 중 낮은 값을 적용할 예정이다. 이를 적용한 해체 공정별 작업난이도 인


자는 <표 2-22>와 같다. 또한 작업난이도 인자의 적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작업난이도 적용 공식 = (1+A+C+D)×(1+B)×(1+E)×(1+F)

표 2.2-2 작업난이도 인자 비교표

작업난이도 인자
AIF/NESP-036 IAEA 해체 경험 아라 연구동
(Work Difficulty Factor)
A 접근성 10 ∼ 20% 15% 10%
B 호흡방호장구 10 ∼ 50% 38% 15%
C 방사선 및 ALARA 10 ∼ 40% 15% 10%
D 개인방호복 10 ∼ 40% 23% 10%
E 휴식시간 8.33% 10% 8.33%
F* 장비교체 10 ~ 50% 10%

예비비(Contingency)

예비비는 해체사업 중 예측 불가능한 상황에 대비한 비용으로 작업종류에 따라 10%에서

75%를 할당하고 있다. 예비비를 적용하는 기준은 각 해체공정별로 예비비를 적용하는 방

법과 해체비용에 예비비(15%)를 적용하는 방법이 있다. 본 용역에서는 각 해체공정별로

예비비를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표 2.2-3에서는 AIF/NESP-036의 해체 공정별 예비비와 미국의 Clinton 원자력발전소의


해체비용평가 시 TLD사에서 적용했던 해체 공정별 예비비를 비교하였으며, 본 용역에서

적용할 해체 공정별 예비비를 나타내었다. 예비비의 경우도 작업난이도 인자와 같은 사

2-6
유로 상용업원자로에 적용된 예비비 보다 낮은 비율(10∼20%)로 적용할 예정이다.

표 2.2-3 해체공정별 예비비 비교 및 예비비 선정결과

해체 공정 AIF/NESP-036 TLD 본 용역
Services, Inc.
엔지니어링 15% 15% 15%
유틸리티(에너지) 및 DOC 비용 15% 15%
제염 50% 50% 20%
오염된 기기 제거 25% 25% 15%
오염된 기기 포장 10% 10%
오염된 기기 운반 15% 10%
오염된 콘크리트 제거 25% 15%
방사성폐기물 포장 10% 10%
방사성폐기물 운반 15% 15%
방사성폐기물 처리 25% 25% 15%
비오염 기기 제거 15% 15% 5%
공급/소비품 25% 25% 10%
중장비 및 도구 15% 10%
재산세 및 세금 10% 10%
보험료 10% 10%
인건비 15% 15%

인건비(Labor Cost)

인건비는 사업주, 해체작업 계약자(DOC, Decommissioning Operation Contractor), 사업주

지원인력, 노무인력 및 경비인력으로 구분하며, 각각의 인건비 적용기준은 다음과 같다.

❍ 사업주: KAERI 조직 임금
❍ DOC : 2018년 상반기 엔지니어링 단가
❍ 사업주 지원인력 : 2018년 상반기 엔지니어링 단가
❍ 노무인력 : 2018년도 상반기 대한건설협회 노임단가
❍ 경비인력 : 사업주 경비인력 노임

2.2.2.2 비용평가 절차

아라 연구동의 해체비용평가는 공학적(Bottom-up) 비용 산정방법으로 해체시설 및 대상물의

2-7
특성에 맞게 해체작업을 분류하여야 한다. 즉 해체물량을 바탕으로 해체대상에 따라 분류된

해체작업을 구성하고 해체비용 산정에 필요한 비용항목 및 비용인자를 적용하여 해체비용을

산정한다. 공학적 비용 산정방법을 이용한 비용평가 순서는 다음과 같다.

해체비용을 산출하기 위한 구조로써 해체 대상 건물의 실을 set 구조로 설정하고, 실별 작업

내역을 Task 구조로 설정하였다. 아라 연구동의 해체작업을 위한 계층구조는 그림 2.2-2와

같다.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지는 해체작업에서 비용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항목별로 계층구조
를 이루게 하여 그룹화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림 2.2-2 아라 연구동 해체작업 계층구조

2.2.3 해체설계

2.2.3.1 해체설계 전제조건

아라연구동 해체비용 평가를 위한 전제조건은 다음과 같다.

(1) 아라연구동의 해체전략은 즉시해체이며, 부지의 최종상태는 Brown-field 이다.

(2) 아라연구동을 해체하는 동안 발생되는 방사성폐기물은 제염 후, 폐기물의 종류에 따라

압축 및 용융과 같은 처리를 통해 한국원자력환경공단으로 인도되는 방사성폐기물의

2-8
양을 최소화 한다.

(3) 방사성폐기물의 처분비용은 200리터 드럼 당 1,373 만원을 적용한다.

(4) 해체물량은 설계자료를 기준으로 산정한다.

(5) 아라연구동의 경우 방사선관리구역(구역 3,4)에 설치된 기기, 배관, 덕트, 케이블 등은

오염될 수 있으나 오염도는 높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며, 오염물은 제염을 통해 자체처

분이 가능한 준위까지 오염도를 낮출수 있다.

(6) 아라연구동의 해체동안 발생하는 방사성폐기물은 시설 내의 구역(예, 핵물질 저장시설)

에 임시로 보관한다. 필요시, 동 구역에 HEPA 필터가 설치된 차폐창을 설치하여 200리
터 용기에 담을 수 있는 크기로 절단작업을 수행한다.

(7) 방사성폐기물의 양을 저감하기 위해 제염, 용융, 초고압압축, 액체방사성폐기물 처리설

비를 구축하며, 필요시 원내의 처리설비를 활용한다.


(8) 해체작업을 위한 부속시설(사무실, 작업자 공간, 공작실 등)은 원내의 시설을 최대한 활

용한다.

(9) 핵물질 저장실 내의 저장랙은 핵물질과 직접 접촉하지 않기에 제염(물리적 제염,


Smear) 후, 100% 자체처분 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10) 오염구역의 콘크리트 제염은 시설의 특성을 고려하여 최소화 한다 (1 mm ∼ 2.5 mm

Scabbling).
(11) 비관리구역에 설치된 기기, 배관, 케이블, 덕트 및 구조물은 오염되지 않은 것으로 가

정한다.

(12) 예비비와 작업난이도는 해체공정별로 적용한다.

(13) 보험료, 에너지, 재산세 및 인허가 비용을 포함하는 기타비용은 해체비용의 8%를 적

용한다 (방사성폐기물 처분비용 제외).

2.2.3.2 해체작업

아라연구동 해체 준비 및 제염/해체 기간 동안 수행되는 작업을 표 2.2-4에 제시하였다. 해

체를 위한 설계 및 준비가 최종 해체계획서의 승인 전에 수행되며, 제염/철거 작업은 원자력

안전위원회의 승인 후에 수행된다.

해체비용 중에는 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에 대한 처분비용이 상당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해체비용을 줄이기 위해서는 해체기간 동안 발생되는 폐기물의 양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따

2-9
라서 특성평가와 제염은 해체작업에서 가장 중요한 작업 중 하나이다. 또한 제염은 해체작업

자의 피폭선량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도 수행된다. 해체절차 및 각 단계별 특성평가 절차는


그림 2.2-3과 그림 2.2-4에 제시하였다.

표 2.2-4 아라연구동 해체비용평가에 적용된 해체작업

1. Project Management, Planning & Engineering 2. Site Preparation


- Project Work Plan - Job Hazard Assessment
- D&D Decision Document - Work Package Development
- Health & Safety Plan (HASP) - Pre-field Brief
- ALARA Plan - Add Temporary or Specific Roads
- Environmental Determination - Establish Waste Processing Area
- Permit Preparation - Emergency System Activation
- Procedures Preparation - Emergency System Modification
- RWP Preparation - General Cleanup
- Engineering Study - Install Safety/Temporary Fencing
- Decommissioning Design - Emergency System Deactivation
- License Termination Plan - Installation and Remove Scaffolding
- AB Surveillance Cancellation - Mobilization/Demo. Equipment & Materials
- Procurement Specification - Mobilization/Demo. 200 Ton Crane
- Project Management - Installation/Remove Temporary Structure
- Project Support - Mobilization/Demo. waste Process/Decon. Pad
- General Employee Training
- General Support Training
- General Rad Assessment
- RA for Deact. or Demo.
- Trade-off Study
- Engineering Study

3. Site Characterization 4. Drain and Flush


- Sampling Plan for Characterization - Drain Clean System
- Radiological Characterization-spaces
- Hazard Material Characterization
- Survey Plan
- Surface Contamination Survey
- Depth of Penetration Core Sampling
- Radiochemistry Analytical Costs
- Waste Profile Development
- Resurvey

2-10
5. Dismantling Activities
5.1 Dismantle Architectural 5.2 Dismantle Electrical
- Fix contamination floors & walls - Electrical Equip & Panels
- Install temporary containments for rad - Isolate Building Service - Electrical
work - De-energize all perm electrical Panels
- Remove Drop Ceiling - Removal of Clean electrical Conduit
- Surface Decontamination - Removal of Contaminated electrical Conduit
- Remove Doors & Windows - Removal of Clean electrical Cable Tray
- Removal of Contaminated electrical Cable Tray

5.3 Dismantle I&C 5.4 Dismantle HVAC


- Panel & Panel Mounted instruments - Remove Clean Duct
- Remove Contaminated Duct
- Remove Contaminated Duct
- Install Temporary Containments for Radiation
work
- Remove HVAC Equipment

5.5 Dismantle Mechanical 5.6 Dismantle Piping


- Install Temporary Containments for Radiation - Remove Clean Pipe
Work - Remove Contaminated Pipe
- Surface Contamination - Remove Clean Valve
- Remove Equipment - Remove Contaminated Valve
- Removal of Miscellaneous Equipment - Remove Clean Support
- Removal of Tank ( > 2,000 gal) - Remove Contaminated Support
- Removal of Tank ( < 2,000 gal)

5.7 Dismantle Structure Steel 6. Demolition


- Remove Clean Structure Steel - Demolish Building
- Remove Contaminated Structure Steel - Contaminated Concrete Removal with RC
Cruncher
- Clean Concrete Removal with RC
Cruncher

7. Disposition 8. Rad-waste Treatment


- Post Demolition Decontamination for Site - Decontamination
Release - Segmentation
- Survey Clean Building Rubble - Melting
- Package Clean Building Rubble - Super-compaction
- Transport Clean Building Rubble - Characterization - survey

2-11
- Survey Clean/Recycle Steel - Liquid Rad-waste treatment
- Package Clean/Recycle Steel - Packaging
- Transport Clean/Recycle Steel

9. Rad-waste Disposal 10. Restoration


- Take over to KORAD - Radiation Work Permit
- Pre-field Brief
- Job Hazardous Assessment
- Survey for Site Release
- Sample Collection for Site Release
- Radiochemistry Analysis for Site Release
- Preparation/Installation Cap (Soil removal)
- Re-vegetation (Back-fille etc.)
- Resurvey for Site Release
- Final Status Survey Report
- Landscaping

11. Procurement Equipment and Services 12. Other Cost


- Procure HVAC Systems - Insurance
- Procure Protective Equipment - Regulation Fee
- Subcontract-Large Equipment Packing & - Property Tax
Transport - Energy (Electric etc)
- Procure Waste Containers
- Procure Scaffolding
- Procure Decontamination Equipment
- Procure Radioactive Waste Treatment
Facility(Melting, Super-compaction, Nuclide
Analyzer etc.)
- Procure Mobile Liquid Radwaste Treatment
System
- General Procurement

그림 2.2-3 해체 절차

2-12
그림 2.2-4 특성평가 절차

2.2.3.3 해체물량

각 아라 연구동 건물과 실별로 해체활동에 대한 단위작업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토지면적, 바

닥면적, 총면적(바닥 + 천정 +벽면), 콘크리트, 강구조물, 도관, 배관, 밸브 및 기기 등의 물량

을 근거로 하여야 한다. 아라 연구동의 해체물량은 분야별 설계자료를 참조하여 산출하였으

며, 산출결과는 표 2.2-5에 제시하였다.

2-13
표 2.2-5 아라연구동 해체 물량

금속 [lbs]
비철금속 토양2)
구분 (구리) [ft3]
구조/ 공정기기/ 전선관 및 배관류 소계 [lbs]
잡철물 설비 트레이 등

비오염 1,095,697 273,491 176,403 61,065 1,606,656 14,181


오염 55,852 672,312 66,683 27,183 822,030 25,623 542

콘크리트류[ft3]
구분 보온재 잡고체 필터/수지3)
[lbs] [lbs] [ft3]
콘크리트1) 모르타르 타일 소계
비오염 222,141 4,280 3,849 230,271 95,112 1,627,128
오염 370 3,545 742 4,656 54,036 31,960 152

주1) 아라연구동은 건식공정에 의해 우라늄 핵연료를 생산하는 시설로 방사화의 가능성이 없기에 오
염은 표면오염에 국한될 것으로 판단됨. 따라서 오염 콘크리트의 양은 관리구역 중 구역3에 대
하여는 1mm 두께로 Scabbling, 구역4에 대해서는 2mm 두께까지 Scabbling하며 블록은 2.5mm까
지 Scabbling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오염물량을 산출함.
주2) 오염구역 중, 액체폐기물저장실과 오염샤워실 하부의 토양이 오염되며, 오염두께는 15cm로 가정
하여 산출함(15% Contingency 고려).
주3) 해외 해체원전 자료에 따르면, 135,000 gallon의 물을 처리하는 동안 1 ft3의 필터막이 방사성폐기
물로 발생하며, 2,500 gallon의 물을 처리하는 동안 1 ft3의 습식 이온교환수지가 발생한다.

2.2.3 해체비용 평가결과

해체기간 동안 발생하는 폐기물의 양을 저감하기 위해 제염, 절단, 용융, 압축 등의 처리과

정이 수행되며, 한국원자력환경공단으로 인도되어 처분되는 방사성폐기물은 200리터 드럼으

로 227개가 발생하여 처분비용은 3,116,710,000원으로 평가되었다. 상세 내용은 표 2.2-6에 제


시하였다.

아라연구동 총 해체비용은 17,343,655,000원으로 평가되었다. 해체비용은 장비구매비용이 전

체의 22%, 해체관리, 계획 및 엔지니어링 비용이 19%, 방사성폐기물 처분비용이 18%, 철거


비용이 12% 순으로 평가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표 2.2-7과 그림 2.2-5에 제시하였다.

2-14
표 2.2-6 아라연구동 해체방사성폐기물 처분량

해체폐기물 처분량

폐기물 종류 발생량 200 L 드럼


( lbs / ft3* ) ( No.)
금속 22,623 35

비철금속 256 1

콘크리트 380* 59

토양 542* 82

필터 및 이온교환수지 152* 30

무석면 홈텍스 6.2 2

보온재 5,404 9

잡고체 5,730 9

합 계 227

표 2.2-7 아라연구동 해체비용평가결과

Decommissioning Activities Cost

Project Management, Planning and Engineering ₩3,276,710,000


Site Preparation ₩1,037,563,000
Procurement ₩3,856,454,000
Characterization ₩195,454,000
Drain and Flush ₩3,616,000
Dismantling Activities ₩2,008,486,000
Demolition ₩384,416,000
Disposition ₩836,910,000
Radioactive Waste Treatment ₩1,145,556,000
Restoration ₩427,933,000
Radioactive Waste Disposal ₩3,116,710,000
Other Cost ₩1,053,847,000
Total ₩17,343,655,000

2-15
그림 2.2-5 아라연구동 해체작업별 비용분포

2-16
2.3 재원 확보

한국원자력연구원이 건설 운영하는 아라 연구동은 다목적 소형연구로용 핵연료를 생산하


는 시설로서 해체사업의 재원은 아라 연구동 운영예산에서 충당되어야 하며 해체비용 산출
과 비용 충당 방안은 운영 중 해체계획서 갱신 과정에서 반영 될 것이다.

2-17
부지 및 환경현황 3

3.1 부지현황
3.2 환경현황
3.3 방사선학적 특성
제 3 장 부지 및 환경현황

3.1 부지현황

3.1.1 부지위치와 명세

아라연구동의 위치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덕대로 989번길 111이며, 우리나라 중부지방인 대


전광역시 북쪽에 자리 잡고 있다. 부지의 경위도 좌표는 동경 127°22′6.37″, 북위 36°2
5′34.54″이며 UTM좌표는 (4,032,465.50, 353,740.68)이다.

부지로부터 반경 10 km 이내에는 행정구역상 대전광역시(대덕구 전체, 동구 일부, 서구 일


부, 유성구 일부, 중구 일부), 세종특별자치시(금남면, 부강면, 연기면, 한솔동), 계룡시(신도안
면), 공주시(반포면) 및 청주시(문의면, 현도면) 등이 포함된다.

대전광역시는 차령산맥과 노령산맥이 분리되는 지점에 형성된 저지대에 위치하고 그 입구가


계룡산 줄기로 막히면서 형성된 분지 형태의 도시로서 시설의 주변 지형은 부지로부터 서남
방향으로 16 ㎞ 거리에 계룡산 국립공원이 위치하고 있으며, 이 계룡산은 정상 해발고도가
845 m 로써 삼불봉(해발 775 m), 살개봉(해발 828 m) 및 우산봉(해발 574 m)등이 작은 산맥
을 이루고 있다. 부지로 부터 8 ㎞ 이내에는 낮은 야산과 구릉지대로 이루어져 있으며, 2 ㎞
내에는 북동방향에 해발 263 m 의 보덕봉과 남쪽방향에 해발 255 m 의 적오산이 위치하고
있다. 한편, 부지의 동쪽으로부터 북서쪽으로는 금강본류가 흐르고 있고 지류인 갑천과 용수
천이 부지를 둘러싸고 있다. 표 3.1-1 및 그림 3.1-1은 부지반경 10 ㎞ 이내의 주요 자연지
형물을 기술하였다.

3.1.2 인구분포

부지로부터 반경 80 km 이내에 포함되는 행정구역에는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전체와


강원도, 경기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전라북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일부를 포함한다. 2016년
기준 이 지역의 행정구역상 총 인구수는 9,925,517 명이고, 평균 인구밀도는 283.47 명/㎢이
다.

3-1
3.1.3 토지이용

부지반경 10 ㎞ 이내의 토지지형은 부지의 북북동쪽 보덕봉(265 m)을 비롯하여 산으로 둘러


싸여있다(그림 3.1-1). 해당 행정구역의 지목별 토지이용현황은 표 3.1-2에서 제시한 바와 같
으며, 분포비율상 임야 57.7%, 답 9.1%, 대지 7.1%, 전 6.8%, 도로 4.8%, 하천 3.6% 순으로 분
포한다. 본 구역 내에는 대전시 유성구, 대덕구 및 세종시 금남면, 청주시 상당구 및 서원구
가 주로 포함되며 토지 이용 상 도시지역과 농촌지역 특성이 혼재하는 양상을 나타낸다. 즉
유성구를 중심으로 한 부지 남쪽부분은 연구단지, 주거지역, 근린상업지역이 우세하며 부지
동쪽에 위치한 대덕구 신탄진 일원에는 공업 및 주거지역이 위치하여 도시특성상 인구가 집
중되고 토지이용효율이 높다. 반면 부지 북쪽에 위치한 유성구 북부지역 및 세종시 금남면,
부강면, 청주시 서원구 현도면 일대는 야산, 구릉, 전답이 주로 분포하여 일부 농공단지를
제외하고는 아직 개발되지 않은 상태로서 토지이용효율이 낮으며 농촌특성을 반영하고 있다.

3-2
표 3.1-1 부지반경 10 ㎞ 이내의 주요 자연지형물

부지로부터 위치
지형지물 길이(㎞) 높이(m)
거리(㎞) 방향
오봉산 - 241 1.7 NNE
불무산 - 161 2.9 NE
보덕봉 - 265 0.55 NNE
매방산 - 170 5.81 NNE
금병산 - 368 3.9 WSW
계족산 - 423 8.45 SE
우산봉 - 573 9 WSW
두리봉 - 565.4 10 SW
계족산 - 429 8.06 ESE
길마재산 - 219 7.46 WSW
여수비탈산 - 143 7.1 W
노고봉 - 305.1 9.95 NNE
비학산 - 163 7.3 NW
서대산 - 904 5.33 NW
박산 - 199 5.33 SW
흔적골산 - 435 7.98 SW
성두산 - 86.7 6.81 S
구절봉 - 276 7.71 WSW
적오산 - 255 2 S
덕진천 1.28 - 1.3 SSE
관평천 2.9 - 2.49 ESE
탄동천 7.4 - 2.77 SW
안산천 5.75 - 8.2 WNW
용수천 9.2 - 8.6 WNW
삼성천 2.4 - 7.64 NNW
반석천 7.4 - 8.5 SW
갑천 39.6 - 6.84 S
유성천 7.15 - 8.23 SSW
용호천 2 - 6.74 ESE
신동천 3.05 - 4.6 N
출처 : 대전시, 세종시, 공주시 통계연보, 2013

3-3
표 3.1-2 부지반경 10 ㎞ 이내 토지이용 현황 (1/2)
[ 단위: ㎢ ]
지역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공주시 계룡시 청주시 구성비

유성구 대덕구 서구 동구 중구 금남면 부강면 연기면 한솔동 반포면 신도안면 상당구 서원구 (%)
지목

전 10.65 3.22 4.16 7.73 2.81 5.89 2.49 3.59 1.37 2.71 1.13 32.43 11.40 78.91 6.8

답 16.46 2.56 6.70 4.85 2.66 11.84 3.97 7.33 5.44 3.63 1.40 36.47 16.39 103.22 9.1

과수원 1.35 0.11 0.12 0.39 0.23 0.27 0.07 0.26 0.02 0.15 ­ 0.69 0.17 2.48 0.3

목장용지 0.12 0.07 0.07 0.01 0.02 0.30 0.19 0.34 0.04 0.02 ­ 1.52 0.29 2.87 0.2

임야 87.74 27.97 47.60 82.08 35.92 48.70 13.17 16.02 3.87 48.51 18.75 270.40 60.67 673.66 57.7

대지 21.40 7.87 15.06 10.38 9.56 2.02 1.04 0.98 1.04 1.60 0.29 12.64 10.09 72.59 7.1

공장용지 2.24 5.22 0.22 0.14 0.09 0.33 1.49 1.85 0.60 0.09 ­ 0.73 2.26 13.03 1.2

학교용지 3.55 0.96 2.32 1.41 1.20 0.10 0.09 0.04 0.08 0.08 0.09 3.05 1.75 11.18 1.1

창고용지 0.10 0.03 0.03 0.21 0.02 0.07 0.27 0.01 0.01 0.03 ­ 0.29 0.63 1.61 0.1

도로 11.33 6.04 7.75 7.77 4.59 1.81 1.11 1.51 0.82 0.99 0.13 11.82 7.98 52.33 4.8

철도용지 0.15 2.01 0.54 0.93 0.20 ­ 0.53 ­ ­ ­ ­ 0.00 0.57 4.78 0.4

하천 6.78 3.65 4.93 1.58 2.44 3.02 1.76 8.90 0.24 1.22 0.46 8.96 3.92 41.08 3.6

출처: 각 시군구 통계연보 (2015)

3-4
표 3.1-2 부지반경 10 ㎞ 이내 토지이용 현황 (2/2)
[ 단위: ㎢ ]
지목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공주시 계룡시 청주시 구성비

유성구 대덕구 서구 동구 중구 금남면 부강면 연기면 한솔동 반포면 신도안면 상당구 서원구 (%)
지역

제방 0.19 0.20 0.33 0.20 0.12 0.15 0.09 0.32 0.22 0.06 0.02 0.57 0.10 2.56 0.2

구거 3.45 0.64 1.48 1.13 0.66 1.78 0.70 0.86 0.68 0.65 0.16 7.36 2.92 22.46 1.7

유지 0.51 4.97 0.10 15.20 0.03 0.05 0.02 0.02 0.02 0.02 0.14 12.37 0.14 33.60 2.5

수도용지 0.10 0.56 0.33 0.04 0.04 0.04 0.02 0.00 ­ 0.00 ­ 0.14 0.70 1.97 0.1

공원 2.37 0.60 2.63 1.90 0.94 0.00 0.01 0.35 0.25 ­ ­ 0.38 0.68 10.13 0.8

체육용지 1.59 0.14 0.06 0.09 0.17 0.01 0.04 0.75 ­ ­ 0.68 0.59 0.32 4.43 0.3

종교용지 0.15 0.07 0.26 0.10 0.13 0.06 0.03 0.01 0.01 0.04 0.01 0.30 0.22 1.38 0.1

묘지 1.04 0.10 0.05 0.07 0.01 0.21 0.03 0.26 0.12 0.14 0.00 1.29 0.37 3.69 0.3

잡종지 2.02 1.47 0.47 0.27 0.20 1.12 0.66 0.48 0.06 0.07 4.15 2.04 0.88 13.90 1.1

기타 3.99 0.22 0.24 0.18 0.11 0.36 0.02 0.02 0.02 0.01 ­ 0.39 0.16 5.71 0.4

출처: 각 시군구 통계연보 (2015)

3-5
그림 3.1-1 반경 10 ㎞ 이내의 지형도

3-6
3.2 환경현황

3.2.1 기상

3.2.1.1 지역기후

한반도는 유라시아 대륙의 동안에 위치하고 있어서 계절에 따라 대륙과 해양사이 에


서 이루어지는 기압의 배치 및 위도, 해류, 지형 등의 기후인자와 요소가 종합되어
기후가 결정된다.

계절별로 살펴보면 겨울에는 시베리아 대륙성 한대기단의 영향을 받아 서고동저형


의 기압배치를 이루며 한랭 건조한 북서계절풍이 강하게 분다. 봄에는 양쯔강 유역
에서 발달된 대륙성 한대기단이 겨울에 발달했던 시베리아 고기압의 약화로 그 일
부가 분리되어 생긴 이동성 고기압에 동반되어 약 3∼4일 간격으로 이동해 오기 때
문에 변덕스러운 날씨를 나타낸다. 이때 바람은 북풍계열에서 남풍계열로 전환되기
시작한다. 여름에는 북태평양의 해양성 열대기단의 영향을 받아 남고북저형의 기압
배치를 이루어 남서 내지 남동계절풍이 불며, 고온다습한 기후특성을 나타낸다. 또
한 오호츠크해 기단형성과 때를 같이하여 북태평양 기단과 오호츠크해 기단사이에
정체성 장마전선이 형성되어 많은 강수현상이 나타난다. 한편, 가을로 접어들면서
북태평양 고기압이 점점 쇠약해지는 반면, 시베리아 고기압이 발달하기 시작하면서
여름철의 남고북저형 기압배치가 무너지게 되며 중국 북부를 덮고 있는 고기압의
일부가 분리되어 이동성 고기압으로 우리나라를 자주 통과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시원하고 건조한 바람이 불고 청명한 날씨가 되며 기온의 일교차가 비교적 크게 나
타난다. 이때 바람은 남풍계열에서 북풍계열로 바뀌기 시작한다.

한반도의 연평균 이온은 대체로 10 ℃에서 15 ℃로 나타나고 있으며 북쪽으로 보다


낮은 기온분포를 보인다. 그리고 해안지방은 등위도 선상의 내륙지방보다 다소 높
은 기온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기온이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은 태백산맥과 소백산맥
을 따라 형성되고 있다. 연중 평균습도는 60%에서 75%를 나타낸다. 우리나라는 계
절에 따른 강수량의 변화가 뚜렷한 것이 특징이며 전국적으로 1,000∼1,700 ㎜의 분
포를 보인다. 풍향은 겨울철에 주로 북서풍이, 여름철에는 남동내지 남서풍이 탁월
하며 봄철과 가을철에는 뚜렷한 방향성을 갖지 않는다. 이상 기술된 기후조건 등에
따르면 한반도는 대체로 대륙성 기후의 특성을 보이고 있다.

3-7
한반도의 중부지방에 위치하며 본 부지가 위치한 대전광역시의 연평균기온은 12.9
℃, 월 평균 최고기온은 8월로 25.9 ℃ 이며, 월 평균 최저기온은 1월로 –1.4 ℃의
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연평균 강수량은 1,363.3 ㎜ 정도이다. 풍향별 평균풍속은 대
체로 동풍 계열에서 강하게 나타났으며 평균 풍속은 1.7 ㎧ 이다. 최대 월평균 풍속
은 2.2 m/s, 서남서로서 4월에 주로 나타나고 월평균 최저 풍속은 1.4 m/s로 주로
10월에 나타난다. 또한 최대순간풍속은 29.3 m/s, 북풍으로 2000년 9월에 기록되었
다.

3.2.1.2 부지기상

가. 기상관측

기상관측계통은 위치에 따라 기상탑, 노장, 기상관측실, 기상자료처리실로 구분 할


수 있다. 기상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DAS(Data Aquisition System)는 기상탑과 노
장에 설치된 기상관측기기(sensor)와 신호변환기(signal converter), 기상관측실의 자
료수집기(data logger), 기상자료처리실의 기상자료저장 컴퓨터로 구성된다. 풍향, 풍
속, 온도, 습도, 기압, 일사, 강우, 시정 등을 측정하는 기상관측기기는 미세한 기상
상태의 변화를 전압 또는 전류나 저항의 변화로 출력하므로 이 값을 원거리까지 전
송하려면 신호를 증폭하여 잡음에 의한 오차를 최소화 하여야 한다. 따라서 각 관
측높이마다 신호변환기를 두어 관측기기로부터 측정된 미세한 신호를 증폭하고 표
준화한 다음 이를 자료수집기로 보낸다. 이 전기적 신호는 적절한 변환을 거쳐 수
치화되고 이를 취합하여 기본 관측 자료를 만든다. 자료수집기는 수집된 관측 자료
를 2초 간격으로 무선 송신함과 동시에 자료 수집기에 저장하여 만약에 있을지도
모르는 통신장애에도 자료를 손실하는 일이 없도록 설계되어 있고, 기상자료저장
컴퓨터의 호출시 저장된 관측자료를 송신하는 기능도 갖추고 있다

1) 기상자료 수집
자료수집 프로그램(mDAS, Meteorological Data Aquisition System)은 각 채널을 연속
스캔하여 매 초마다 순간값을 표시하며 2 초에 한번 씩 순간값을 무선으로 전송한
다. 10 분마다 평균값을 계산하여 data logger 자체에 저장하고 무선으로 전송한다.

전송 장애 등으로 인해 결측이 발생하면 기상자료처리실의 MIPS 프로그램에서 재전

3-8
송을 요청하게 되고 요청에 따라 10 분 평균값을 전송한다. 매일 1 회씩 MIPS 프로
그램으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표준시간에 동기화시킨다.

2) 기상자료 수신/저장
기상자료처리 프로그램(MIPS, Meteorologic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은 무선
전송된 기상자료를 수신하여 모니터에 표시하고 10분 평균자료는 해당 PC에 ASCII
파일로 저장하며 동시에 데이터베이스에도 저장한다. 매일 자정 이후에 전 일의 기
상자료를 점검하여 결측자료를 재전송해 줄 것을 mDAS 프로그램에 요청한다. 매일
1 회씩 시스템 시간을 표준시간에 동기화시키며 mDAS 프로그램에도 시간동기신호
를 보낸다.

나. 부지기상

1) 기온
부지의 연평균 백엽상 기온은 12.79°C였고, 월별 기온의 중 일일 최고값은 2017년
8월에 기록된 36.26 °C이며,최저값은 2013년 01월의 –18.72 °C였다.

2) 상대습도
부지에서 상대습도는 연중 안개 및 층운의 발생빈도가 높은 여름철에 높았으며,
봄철에 낮았다. 연평균 상대습도는 70.07 %였다. 일 최고습도는 100.00 %, 일 최저
습도는 0.01 %로 여러 차례 측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3) 강수량
통계기간 중 부지의 연 강수량은 1139.42 mm이며, 월 평균 강수량의 최대값은 7월
의 343.33 mm이었다. 여름철(6,7,8월) 강우집중률은 55.31 % (630.22 mm)이고, 일
평균 강수량의 최대값은 2016년 7월의 177.50 mm, 1시간 최대강수량은 2012년 8월
의 48.50 mm, 10분 최대 강수량은 2013년 9월의 20.10 mm로 기록되었다.

4) 풍향 및 풍속
부지 67m 높이에서 관측된 월평균 풍속은 2.21 m/s, 부지 27 m 높이에서 관측된 월
평균 풍속은 1.57 m/s, 부지 10 m 높이에서 관측된 월평균 풍속은 0.72 m/s 였다.
2, 3월 풍속이 가장 빠르게 나타났다. 최다풍향은 67 m, 10 m에서 남서풍이고, 27
m에서 서남서풍이다. 최대풍속은 67 m에서 2007년 3월 28일에 서남서 방향으로

3-9
16.67 m/s, 27 m에서 2007년 3월 28일에 남서 방향으로 11.87 m/s, 10 m에서 2016
년 2월 29일에 북서 방향으로 14.67 m/s였다.

3.2.1.3 정상운영 시 대기확산인자

기상자료는 한국원자력연구원에 위치한 기상탑을 통해 측정된 최근 3년간(2013 ∼


2015년)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전산프로그램은 미국 DOE와 NRC의 지원 하에 미국
NRC Regulatory Guide 1.111에 따라 대기확산인자 등을 계산하기위해 개발된
XOQDOQ 전산코드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가. 대기확산인자 및 침적인자 최대피폭지점

아라 연구동에 대한 대기확산인자 및 침적인자를 계산하였다. 최대 피폭지점은 제


한구역경계인 50 m 지점에서 NE 방향으로 대기확산인자 및 지표면침적인자가 최대
가 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표 3.2-1 참조).

나. 최대피폭지점과 주요지역의 대기확산인자 및 침적인자


아라 연구동을 중심으로 주요 설정지역(시설경계, 대덕연구단지 부지경계, 인구밀집
지역 등)의 대기확산인자 및 침적인자는 표 3.2-2와 같다.

3.2.2 지진

역사지진 및 계기지진자료에 근거하여 부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최대 지진동으


로부터 가속도를 예측하여 최대잠재지진에 의한 지반가속도 값을 결정하였다. 부
지 반경 320 km 범위 내에 포함되는 지진지체구조구는 모두 13개 이며, 각 지체
구조구의 최대지진은 각 구조구내에서 부지에 가장 가까운 지점까지 이동되며 부지
에 이르기까지 적절한 감쇠공식이 적용되었다. 각각의 최대지진에 대하여 1990년대
이후 국내에서 개발된 7개의 감쇠식을 이용하여 부지에서의 가속도를 산출하였다.

부지가 속한 지진지체구조구인 옥천습곡대 내에서 발생한 속리산지진으로 인하여


최대 0.1451g의 수평가속도가 산출되었다. 건물설계지진은 최대 영주기 수평가속
도 0.2 g, 최대 수직가속도 0.13 g로 정의하고, 구조물은 설계지진에 대해 안전하도

3-10
록 설계되었다. 따라서 본 부지에서 지진이 발생하였을 경우 방사성물질의 환경누
출은 예상되지 않는다.

3.2.3 지질

부지는 한반도의 지체구조구 상으로는 옥천습곡대의 중서부에 위치하며, 주로 선캠


브리아기의 변성암을 기반으로 이를 부정합으로 덮고 있는 고생대의 조선누층군과
시대미상의 옥천누층군이 분포한다. 또한 이들을 시대미상의 섬록암, 쥬라기 화강암
및 백악기의 화강암류가 수차례 관입하고 있고, 하천 및 저지를 중심으로 제4기의
충적층들이 이들을 덮고 있다.

선캠브리아기의 변성암류는 조선누층군과 옥천누층군의 기반암을 이루고 있으며,


조선누층군은 이를 부정합으로 덮고 있다. 조선누층군의 마전리층은 옥천누층군의
직하위에 해당되며, 1:250,000 대전지질도폭에서 처음 명명되었다. 마전리층은 옥천
누층군과 접하는 석회암층을 대표해왔으며, 황강리 지역에서는 고운리층, 문경지역
에서는 화천리층, 괴산지역에서는 화전리층으로 대비된다.

옥천누층군의 창리층과 황강리층은 최소한 조선누층군 이후에 퇴적된 층임을 지시


하고 있으며, 창리층은 김옥준에 의해서 보은군 내북면 창리 지역에서 처음 명명되
었고, 석회암층 바로 상위에 위치하는 층에 해당된다. 황강리층은 황강리도폭에서
처음 명명된 층으로 창리층을 부정합으로 덮고 있다. 황강리층 상위에 관계미상으
로 분포하는 규암-편암류의 층서와 지질시대는 확실하지 않다. 규암-편암류는 기존
보고된 연구자료에 의하면 문주리층과 향산리층군에 대비된 바 있으며, 가장 동쪽
에 분포하는 규암은 충주지역의 대향산규암과 대비될 가능성이 있다.

관입시기가 분명하지 않은 섬록암류는 대전도폭에서 흑운모화강암 이전에 관입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쥬라기의 화강암류는 구성광물의 조성에 근거하여 흑운모화
강암과 복운모화강암으로 구별되며 두 화강암의 관계는 점이적이다. 복운모화강암
이 대전 시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흑운모화강암은 복운모화강암의 주변부에
분포한다. 복운모화강암 분포지역은 지형적으로 흑운모화강암의 분포지역에 비해
낮고 평탄한 지형을 이루고 있다. 일부 화강암은 엽리가 발달하거나 화강편마암으
로 변성된 양상을 보이고 있다.

3-11
불국사관입암류에 속하는 암체들은 대전 중서부 지역에서 남-북 방향의 산능선을
형성하며 분포하고 있다. 이 관입암류들은 화강반암과 석영반암으로 구성되고, 두
반암의 관계는 점이적이다. 이 백악기 관입암류들은 상대적으로 풍화에 강하여, 지
형적으로 높은 고지를 이루고 있다.

3.2.4 기초지반 특성

부지는 크게 선캠브리아기의 호상 편마암과, 이를 관입한 중생대 복운모 화강암, 그


리고 이보다 후기인 신생대 충적층으로 대별된다. 선캠브리아기의 호상 편마암은
부지의 북쪽에 소규모로 분포되어 있고 부지는 주로 중생대 복운모 화강암으로 되
어있다.

부지를 대상으로 물리탐사, 현장시추조사, 원위치 시험 및 실내시험을 실시하고 지


반의 지층특성, 토질 및 암반의 물리․역학적 특성 등을 파악하였다.

시추조사는 총 8공을 수행하였다. 시추공의 직경은 NX(외경 76mm) 규격으로 수행


하였으며 시추공의 위치는 그림 3.2-1과 같고, 시추조사결과는 표 3.2-3과 같다.

3.2.5 수문

아라 연구동(이하 대상시설) 건설부지의 주변 하천 수계현황을 조사한 결과, 부지


주변으로 덕진천(대전광역시 유성구 대진동)이 근접하여 위치하며, 본 덕진천은 관
평천, 갑천으로 유하하여 최종적으로 금강으로 합류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가. 지하수 분포 및 수문학적 특성

아라연구동이 위치하는 부지에 대한 구조물의 안정성과 지하수계의 변동 및 핵물질


이 지하수계로 침투 할 경우 확산 양상을 예측하고 인근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
하기 위한 지하수 현황을 조사하였다. 지하수위 측정지점은 그림 3.2-2와 같다.

아라연구동 부지구역의 지하수 유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신규로 4개소의 관측공


(NE-1 ∼ NE-4)을 설치하고, 관측공 내에 자동 수위 측정 장치를 설치하여 계측주
기에 따라 지하수위 변화를 관측하고자 한다. 지하수위변화는 2017년3월20일부터

3-12
2018년 3월 19일까지 측정하였다.

Diver로 측정된 지하수위는 NE-1번에 대기압 측정기 Baro Diver를 설치하여 대기압
을 측정한 후 대기압을 보정한 후 지하수위를 계산하였다. 장기 관측에서 지하수
수질 분석을 위한 시료 채취 및 자료 취득 과정에서 계측기를 인향하면서 생겨난
지하수위의 저하가 발생된 것은 수위 분석 과정에서 제외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표
3.2-4와 같다.

본 지역의 지층구성 상태는 매립층, 붕적층, 풍화토층, 풍화암층, 연암층, 보통암층,


경암층 순으로 산출되고 있다. 공내 지하수위는 향후 계절, 환경 및 주위여건 변화
에 따라 다소 변동될 수 있으며, 각 시추공별로 지하수위를 측정한 결과, 지하수위
가 형성된 심도 및 지층은 표 3.2-5와 같다.

아라 연구동 부지의 토사 및 풍화대층의 수리전도도(투수계수)를 파악하기 위한 투


수시험 결과 매립층의 경우 5.748 × 10-3 cm/sec이며 붕적층의 경우 7.406∼8.724
× 10-4 cm/sec의 범위로 평균값은 8.065 × 10-4 cm/sec이며 풍화토의 경우 3.313
× 10-4 cm/sec로 나타났다.

대수성시험 분석결과 NE-1의 투수계수(K)는 5.260×10-5∼9.708×10-5 cm/sec의 범위


를 보이며 평균 7.718×10-5 cm/sec를 나타내고, 저류계수는 평균 5.047×10-2으로 분
석되었다. NE-4의 투수계수(K)는 1.668×10-5∼2.194×10-5 cm/sec의 범위를 보이며
평균 1.866×10-5 cm/sec를 나타내고, 저류계수는 평균 4.952×10-2으로 분석되었다.
분석은 대수층의 특성을 완전관통정과 등방질로 가정하였으며, 지하수위 하부의 주
대수층은 암반층 구간으로 일반적인 분류에 의하면 단열화성암과 변성암(Fractured
igneous and metamorphic rock)의 범위에 속하는 값으로 산출되었다.

아라연구동 부지의 지하수 흐름을 예측하기 위한 지하수 유향·유속시험은 4개소의


관측공 내 4개 지점에서 각각 수행하였다. 측정결과 지하수의 NE-1의 경우 지하수
의 유향은 75.2° ∼ 107.6°로 NE~SE 방향으로 흐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유속
의 경우는 18.72 ㎝/day ∼ 25.92 cm/day로 나타났다. NE-2의 경우 지하수의 유향은
73.8° ∼ 165.2°로 NE~SE 방향으로 흐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유속의 경우는
21.60 ㎝/day ∼ 23.04 ㎝/day로 나타났다. NE-3의 경우 지하수의 유향은 93.5° ∼
176.5°로 NE~SE 방향으로 흐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유속의 경우는 34.56 ㎝

3-13
/day ∼ 110.88 ㎝/day로 나타났다. NE-4의 경우 지하수의 유향은 55.5° ∼ 102.0°
로 NE~SE 방향으로 흐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유속의 경우는 18.72 ㎝/day ∼
20.16 ㎝/day로 나타났다.

나. 아라연구동 주변의 지하수 이용

대전광역시의 지하수는 2014년도 기준으로 20,991개소의 공에서 연간 38,309 천㎥의


지하수를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하수는 생활용수(16,794개 공, 27,157 천
㎥), 공업용수(242개 공, 1,474 천㎥), 농업용수(3,939개 공, 9,585 천㎥)와 기타(16개
공, 93 천㎥)으로 이용된다. 지역별로는 대덕구 3,339 천㎥, 동구 11,682 천㎥, 서구
9,465 천㎥, 유성구 6,573 천㎥ 및 중구 7,250 천㎥으로 본 시설이 위치하는 유성구
는 대전시 전체 지하수 이용양의 17.2 %를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2.6 환경방사선/능 현황

아라 연구동은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덕대로 989번길 111에 위치하고 있는 한국원자


력연구원 부지에 건설될 예정이며 연구원 부지 내에는 원자력이용시설인 다목적 연
구용원자로인 하나로를 비롯하여 조사후시험시설, 방사성폐기물처리시설, 연구용원
자로 새빛연료과학동 등이 운영되고 있다.

아라 연구동 부지 주변에 대한 방사선환경 조사평가는 원자력이용시설 부지 내와


주변지역을 구별하여 실시하며, 방사선환경 조사평가는 환경방사선 및 환경방사능
으로 구분하여 수행한다. 환경방사선 조사는 공간감마선량률과 집적선량 조사를 통
해, 환경방사능 조사는 공기 중 미립자와 공기 중 수분, 육상시료의 경우 낙진, 토
양, 솔잎, 지표수, 지하수, 빗물, 식품류를 조사한다.

아라 연구동 신축 부지 주변에 대한 환경방사선 측정, 시료채취 지점, 환경방사능


측정항목 및 주기는 표 3.2-6에 나타내었다.

공간감마선량률 측정은 공기 중 방사능 농도가 높을 것으로 예산되는 곳과 인구밀


집 지역, 주 풍하방향, 대기확산 인자를 고려하여 선정한 지점과 비교지점에서 측정
하였고, 환경방사성 핵종 조사에서 공기 중 미립자 채취는 시설 주변의 지표면과
공기 중 방사능 농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서로 다른 방향의 지점에서, 토양 및

3-14
솔잎 채취는 반경 26 km 이내 인구밀집지역, 대기 확산 인자가 최대인 지역과 비교
지점에서 하였다. 또한 부지의 배출수가 흘러 나가는 동화천의 수계를 따라 하천수
및 하천토양을 채취하였다. 곡류, 채소류 및 가금류의 경우는 인구 분포와 농경상황
을 고려하여 시료 채취 지점을 선정하였다.

3.2.5.1 환경방사선 조사

가. 공간감마선량률 조사
부지 내에 환경방사선 실시간감시장치 (Reuter Stokes RSS-1012, Environmental
Radiation Monitor, Spherical High Pressurized Ionization Chamber, 30 cmΦ,
Pure Argon 25 atm)를 고정설치 운영하였다. 환경방사선 감시장치의 검출기를
지상 약 1.2 m 높이에 고정시키고 24 시간 연속으로 공간감마선량률이 자동으
로 측정 기록되도록 하였다. 대덕 부지 내 및 비교지점 7 개소의 감시 지점에
설치하고 무선 전송에 의한 온라인 감시 시스템을 구축 운영하였다. 이에 따라
조사된 공간감마선량률은 아라 연구동 방사선환경영향평가서를 참조한다.

나. 집적선량 조사
선정된 조사 지점에서 지표 1 m 이상의 높이에 열형광선량계를 장착하고 3개월
간격으로 교환․회수하여 측정되었다. 열형광계측장치 (TLD Reader, Harshaw
TLD 6600)를 사용하여 회수된 선량계의 열형광량 (TL)을 계측하고 방치기간 (3
개월) 동안의 집적선량을 산출하였다. 사용된 선량계는 0.38 mm 두께를 갖는 4
개의 LiF : Mg, Cu, P TLD 소자로 구성되어 있는 TLD-100H로서 테프론으로 포
장되어 있으며 구리와 ABS 필터, 플라스틱, Mylar 박막 및 주석 필터로 구성된
Type 8855 선량계 홀더에 담아 사용하였다. 이에 따라 조사된 집적선량은 아라
연구동 방사선환경영향평가서를 참조한다.

3.2.5.2 환경방사능 조사

가. 전알파/전베타 방사능
공기 중 미립자의 경우 채취된 필터는 자연방사능 감쇄를 보정하기 위하여 72
시간 경과 후 지름 5 cm 스테인레스 스틸 플랜챗에 옮겨 저준위 알파/베타 계
측기 (Low background α/β counter, Tennelec XLB)를 이용하여 계측하였다.
낙진시료는 부유물을 필터로 여과한 후 450 ℃ 전기로에서 회화하였다. 회화한

3-15
시료를 계측용기에 옮겨 계측하였다. 물시료의 경우 전체 시료 중 1 L를 취해
질산 1 mL를 첨가하여 5 mL가 될 때까지 증발시켰다. 증발된 시료는 플랜챗에
옮겨 적외선으로 완전히 건고한 후 계측하였다.

나. 시료채취 및 전처리
토양과 하천토양의 경우 3 g의 시료를 600 ℃ 전기로에서 10 시간 이상 유지하
여 유기물이 완전히 제거되도록 회화하였다. 회화된 시료는 질산 용액으로 토양
중의 우라늄을 용출 시킨 후 UTEVA 컬럼으로 순수분리하여 전기전착하였다.
지하수의 경우 시료 1 L ∼ 2 L를 철공침시켜 여과한 후 토양 시료와 같은 방
법으로 분리한 후 우라늄 농도를 분석하였다. 우라늄 동위원소는 알파스펙트로
메타 (CANBERRA, Alpha Analys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다. 삼중수소 방사능
공기 중 수분의 경우 칼럼에서 포집된 시료를, 빗물, 지표수, 지하수의 경우는
전처리하지 않은 시료를, 배추의 경우는 냉동 건조 후 수집 시료를 직접 증류법
으로 분리하였다. 증류된 시료는 8 mL를 취하여 섬광체 (Ultima Gold LLT.
Packard) 12 mL와 함께 20 mL의 시료병에 넣고 흔들어 혼합시킨 다음, 시료를
24 시간 암실에 방치해둔 후 액체섬광계수기 (Liquid Scintillation Counter,
Quantulus 1220)를 이용하여 삼중수소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라. 스트론튬-90 방사능
토양시료의 경우는 시료를 완전히 건조시킨 후 450 ℃의 전기로에서 유기물이
충분히 제거될 때까지 회화하였다. 회화된 토양시료 중 30 g ∼ 100 g을 취해
서 산추출법/Sr-resin법으로 스트론튬-90을 분리/정제한 후에 액체섬광계수기
(Liquid Scintillation Counter, Quantulus 1220)로 계측하였다. 배추의 경우는 회화
된 배추 시료 중 1 g∼ 10 g을 취하여 토양시료와 동일한 방법으로 스트론튬
-90을 분석하였다.

마. 감마동위원소 방사능
공기 중 미립자는 채취한 필터를 1개월분을 취합하여 72시간 방치 후 감마 스
펙트로메타(HPGe detector with MCA, ORTEC Co.)를 이용하여 계측하였다. 낙
진시료는 부유물을 필터로 여과한 후 450 ℃ 전기로에서 회화하였다. 회화한 시
료를 감마 계측용기에 옮겨 계측하였다. 토양과 하천토양은 건조한 시료를 계측

3-16
용기에 넣어 계측하였다. 솔잎, 배추, 쌀 시료는 건조하여 계측하였다. 물시료는
채취한 시료 20 L를 증발 장치를 이용하여 1 L가 되게 한 후 계측 용기에 옮겨
계측한다. 육류와 우유시료도 계측 용기에 옮겨 계측하였다.

3.2.5.3 환경방사능 조사결과

가. 공기 중 미립자

1) 전알파/전베타 방사능
부지 내 5 개 조사 지점에서의 전알파 방사능 농도는 전년평균 0.145 mBq/㎥
로 측정 되었고, 전베타 방사능 농도는 부지 내 전년평균 1.11 mBq/㎥로 측정되
었다.

2) 감마동위원소
공기 중 미립자의 감마동위원소 분석 결과는 자연방사성핵종인 7Be만 검출되
었고 나머지 감시대상 핵종 모두 MDA 이하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공기
중 방사성 옥소는 주 1회 시료를 분석하고 있으며 모든 지점에서 MDA 이하의
값을 나타내었다.

나. 공기 중 수분

1) 삼중수소
공기 중 수분의 삼중수소의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본관동동쪽이 0.071 Bq/㎥,
독신료 0.092 Bq/㎥, 기상탑 0.092 Bq/㎥, 제3연구동이 0.130 Bq/㎥ 그리고 비교
지점인 연산주말농장에서 MDA 이하를 나타내어 평상시변동범위에서 다소 낮은
값을 유지하고 있었다

다. 낙진

1) 전베타 방사능
낙진에 대한 전베타 방사능 농도는 각각의 지점에서 평상시변동범위를 유지
하고 있었다.

2) 감마동위원소

3-17
낙진의 감마동위원소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자연방사성핵종인 7Be 만 측정되
었고 분석대상 중 인공핵종 모두가 MDA 이하의 값을 나타내었다.

라. 토양

1) 우라늄 방사능
토양시료의 우라늄동위원소에 대한 방사능 농도를 살펴보면 기상탑 지점에서
238U 농도의 전년평균은 24.8 Bq/kg-dry이고 덕진소류지 지점의 연평균은 46.2
Bq/kg-dry이다.

2) 스트론튬-90 방사능
채취된 토양시료의 스트론튬-90 농도는 부지 내 7 개 조사 지점의 전년평균
농도는 0.283 Bq/kg-dry이며, 주변지역 5개 조사 지점에서의 전년평균 농도는
0.204 Bq/kg-dry로 평상시변동범위를 유지하고 있다.

3) 감마동위원소
토양의 감마동위원소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137Cs과 40K이 검출되었는데
137Cs의 방사능 준위는 ‘60년대 이후 대기권 핵실험에 의해서 지구 북반구에
넓게 오염된 137Cs에 의해서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40K은 전체 지점에서 모
두 검출되었다. 137Cs과 40K는 평상시변동범위 내이며 그 밖의 인공핵종은 모
두 MDA 이하의 값이었다.

마. 하천토양

1) 우라늄 방사능
하천토양의 238U 전년평균 방사능 농도의 경우 대덕 원자력이용시설에서 배
출되는 배수구 두 지점과 주변지역 2 지점의 방사능 농도를 비교하면 큰 차이
없이 비슷한 값을 보이고 있다.

2) 감마동위원소
하천토양에 대한 감마동위원소 분석결과는 토양과 마찬가지로 137Cs과 40K이
검출되었으며 특이한 사항은 발견되지 않았다.

바. 솔잎

3-18
1) 감마동위원소
솔잎시료에 대한 감마동위원소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검출된 핵종이 우주선
에 의하여 대기 중에서 생성되는 7Be과 자연방사성 핵종인 40K이며 137Cs 등
인공핵종은 모두 MDA 이하로 나타났다.

사. 빗물

1) 삼중수소
각각의 전년평균은 본관동동쪽 2.95 Bq/L, 독신료 5.54 Bq/L, 기상탑 6.72
Bq/L, 제3연구동 6.18 Bq/L이며, 연산주말농장 지점은 MDA 이하로 나타났다.

2) 전베타 방사능
빗물에 대한 전베타 방사능은 표 2.8-18에 나타내었으며 모든 지점에서의 농
도는 평상시변동범위를 유지하고 있었다.

3) 감마동위원소
빗물시료에 대한 감마동위원소 분석결과 조사대상 인공핵종이 모두 MDA 이
하로 나타났다.

아. 지표수

1) 삼중수소
지표수의 삼중수소 분석결과를 표 2.8-20에 나타내었다. 부지 내 4 개 조사
지점에 대한 농도의 전년평균을 살펴보면 덕진소류지 3.01 Bq/L, 오폐수처리장
앞 9.75 Bq/L, 정문앞배수구 2.92 Bq/L, 본관동편배수구 2.21 Bq/L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주변지역에서는 배수구합류지점 3.57 Bq/L, 연산주말농장 지점이 MDA
이하로 나타나 평상시변동범위로 유지되고 있었다.

2) 전베타 방사능
지표수에 대한 전베타 방사능 농도의 지점별 연평균은 평상시변동범위로 유
지되고 있었다.

3) 감마동위원소
지표수에 대한 감마동위원소 분석결과 조사대상 인공핵종이 모두 MDA 이하
로 나타났다.

3-19
자. 지하수

1) 우라늄 방사능
지하수시료의 우라늄동위원소 조사는 연구용원자로 핵연료가공시설 가동 및
우라늄 변환시설 해체에 따른 추가 핵종으로서 2003년 하반기부터 수행하였으
며, 보덕샘 지점에서의 전년평균 농도는 1.54 Bq/L이었다. 부지 내 지점의 238U
의 농도가 비교지점 보다 높은 것은 지리적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2) 삼중수소
지하수의 삼중수소 분석결과, 보덕샘 지점, 동화울 지점 및 연산주말농장 지
점 모두 MDA 이하로서 평상시변동범위를 유지하고 있었다.

3) 감마동위원소
지하수의 감마동위원소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자연방사성핵종인 40K를 포함한
조사대상 핵종 모두 MDA 이하로 나타났다.

차. 농산물

1) 스트론튬-90
배추에 대한 스트론튬-90 방사능 분석결과 주변지역인 동화울 지점 0.027
Bq/kg-fresh, 구즉초등학교 지점 0.014 Bq/kg-fresh 이었다. 비교지점인 연서면
주민센터 지점에서는 0.016 Bq/kg-fresh 이었고, 연산주말농장 지점에서는 0.023
Bq/kg-fresh으로 나타났다.

2) 삼중수소
배추시료의 삼중수소 방사능 농도는 4 개 지점 모두 MDA 이하로 나타났다.

3) 감마동위원소
농산물에 대한 감마동위원소 분석 결과 조사 대상 핵종 중 자연방사성핵종인
40K가 측정되었으며, 쌀 시료가 배추시료에 비해 모든 지점에서 낮은 40K 농도
를 나타냈다. 그 외의 인공핵종에 대해서는 모두 MDA 이하였다.

카. 축산물
대덕 원자력시설 주변지역의 축산물에 대한 방사능 분석은 육류와 우유를 선정

3-20
하였다. 육류와 우유 시료에 대한 조사 빈도는 연간 2 회이다. 육류시료로서는
2 개 조사 지점에서 사육되는 닭을 대상으로 하였고 우유 시료는 목장 측의 시
료 채취 거부로 인하여 측정하지 못하였다. 육류에 대한 감마동위원소 분석 결
과를 보면 자연방사성 핵종인 40K이 평상시 변동 범위 이내였으며 그 외 조사
대상 핵종은 MDA 이하로 나타났다.

3-21
표 3.2-1 정상 운영 시의 대기확산인자 및 침적인자

거리 χ/Q (χ/Q)D (χ/Q)DD D/Q


방위 지역
(m) (s/㎥) (s/㎥) (s/㎥) (1/㎡)

NE 20 제한구역경계 3.20E-06 3.20E-06 3.20E-06 9.00E-09

시설최대
NE 300 9.80E-05 9.70E-05 9.30E-05 5.60E-08
피폭지점

표 3.2-2 최대피폭지점과 최근접 주민거주지역의 대기확산인자

거리 χ/Q (χ/Q)D (χ/Q)DD D/Q


지역 방출유형 방위
(km) (s/㎥) (s/㎥) (s/㎥) (1/㎡)

제한구역경계 혼합방출 NE 0.02 3.20E-06 3.20E-06 3.00E-06 9.00E-09

시설최대
혼합방출 SSW 0.3 9.80E-05 9.70E-05 9.30E-05 5.60E-08
피폭지점

저인구지역경계 혼합방출 S 0.65 4.80E-05 4.80E-05 4.50E-05 2.50E-08

송강동 혼합방출 NE 1.2 9.90E-06 9.80E-06 8.80E-06 9.20E-09

테크노벨리 혼합방출 ENE 1.3 1.30E-05 1.30E-05 1.20E-05 7.70E-09

신탄진 혼합방출 ENE 6 1.30E-06 1.20E-06 9.60E-07 5.50E-10

유성관광단지 혼합방출 WSW 8 3.30E-07 3.00E-07 2.40E-07 2.10E-10

대전시 중심가 혼합방출 SSE 13 5.00E-07 4.30E-07 3.40E-07 1.30E-10

3-22
표 3.2-3 시추공 전구간 지층개황
심 도 층 후 N치
공 번 지 층 구 성 성 분
(GL.-m) (m) (TCR/RQD)
매립층 0.0∼5.8 5.8 자갈섞인 실트질 모래 6/30∼18/30

풍화토 5.8∼6.5 0.7 암편섞인 실트질 모래 50/15


BH-1
연암층 6.5∼11.5 5.0 화강암의 연암 (100/19~56)

경암층 11.5∼16.3 4.8 화강암의 경암 (100/80~100)

매립층 0.0∼7.8 7.8 자갈섞인 실트질 모래 3/30∼12/30

풍화토 7.8∼9.5 1.7 암편섞인 실트질 모래 15/30∼50/25

BH-2 풍화암 9.5∼11.6 2.1 화강암의 풍화암 50/3∼50/2

연암층 11.6∼17.0 5.4 화강암의 연암 (100/37~71)

경암층 17.0∼20.6 3.6 화강암의 경암 (100/69)

매립층 0.0∼8.8 8.8 자갈섞인 실트질 모래 3/30∼41/30

BH-3 연암층 8.8∼10.0 1.2 화강암의 연암 (100/29)

경암층 10.0∼15.0 5.0 화강암의 경암 (100/65~84)

매립층 0.0∼9.5 9.5 자갈섞인 실트질 모래 7/30∼50/2

풍화토 9.5∼10.5 1.0 암편섞인 실트질 모래 48/30

BH-4 풍화암 10.5∼13.0 2.5 화강암의 풍화암 50/2∼50/1

연암층 13.0∼17.7 4.7 화강암의 연암 (100/9~10)

경암층 17.7∼20.3 2.6 화강암의 경암 (100/83)

3-23
표 3.2-3 시추공 전구간 지층개황 (계속)
심 도 층 후 N치
공 번 지 층 구 성 성 분
(GL.-m) (m) (TCR/RQD)
매립층 0.0∼9.0 9.0 자갈섞인 실트질 모래 5/30∼50/27

풍화토 9.0∼10.0 1.0 암편섞인 실트질 모래 37/30

BH-5 풍화암 10.0∼14.3 4.3 화강암의 풍화암 50/7∼50/2

연암층 14.3∼23.5 9.2 화강암의 연암 (84~100/0~42)

경암층 23.5∼25.5 2.0 화강암의 경암 (90/65)

매립층 0.0∼10.7 10.7 자갈섞인 실트질 모래 5/30∼50/3

풍화토 10.7∼14.0 3.3 암편섞인 실트질 모래 48/30∼50/12

BH-6 풍화암 14.0∼16.7 2.7 화강암의 풍화암 50/7∼50/3

연암층 16.7∼23.2 6.5 화강암의 연암 (57~100/13~16)

경암층 23.2∼25.2 2.0 화강암의 경암 (100/82)

매립층 0.0∼11.5 11.5 자갈섞인 실트질 모래 4/30∼46/30

풍화토 11.5∼14.5 3.0 암편섞인 실트질 모래 50/18∼50/14

BH-7 풍화암 14.5∼25.9 11.4 화강암의 풍화암 50/4∼50/2

연암층 25.9∼30.8 4.9 화강암의 연암 (74~100/37~42)

경암층 30.8∼33.7 2.9 화강암의 경암 (100/86)

매립층 0.0∼11.7 11.7 자갈섞인 실트질 모래 3/30∼27/30

풍화토 11.7∼18.0 6.3 암편섞인 실트질 모래 21/30∼42/30

BH-8 풍화암 18.0∼28.0 10.0 화강암의 풍화암 50/10∼50/1

연암층 28.0∼33.9 5.9 화강암의 연암 (86~100/0~8)

경암층 33.9∼37.2 3.3 화강암의 경암 (100/75)

3-24
표 3.2-4 관측공별 지하수위 분석 결과(EL. m)

공 번 NE-1 NE-2 NE-3 NE-4

최대 지하수위 67.52 67.93 69.33 68.02

최소 지하수위 67.18 67.86 69.12 67.50

평균 지하수위 67.37 67.90 69.20 67.77

수위 변화 0.34 0.07 0.21 0.52

표 3.2-5 지하수위 측정 결과

지반고 지하수위
공 번 비고
(EL.m) GL(-)m EL(m)

NE-1 79.93 3.5 76.43 (매립층)

NE-2 80.24 8.0 72.24 (붕적층)

NE-3 81.24 10.1 71.14 (붕적층)

NE-4 76.70 5.4 71.30 (매립층)

3-25
표 3.2-6 환경방사선/능 조사계획

조사 지점 수
구분 조사대상 시료종류 조사빈도 조사핵종
부지 내 부지 밖
전알파 방사능
월 1회
미립자 전베타 방사능 5 1
(연속채취)
공기 감마동위원소
주 1회 131
방사성 옥소 I 5 1
(연속채취)
공기 중 월 1회 3
수분 H 4 1
수분 (연속채취)
분기 1회 전베타 방사능
낙진 낙진 2 1
(연속채취) 감마동위원소
238 235 234
U, U, U 2 2
하천토양 하천토 분기 1회
감마동위원소 2 2
238 235 234
U, U, U 2 -
육 90
표층토양 토양 년 2회 Sr 7 5
감마동위원소 9 5

지표생물 솔잎 년 2회 감마동위원소 2 1
3
시 H
빗물 월 1회 전베타 방사능 4 1

료 감마동위원소
3
H
물 지표수 월 1회 전베타 방사능 4 2
감마동위원소
238 235 234
U, U, U 1 -
지하수 3
분기 1회 H
(식수) 1 2
감마동위원소
곡류 (쌀) 수확기 감마동위원소 - 4
3
H
농산물 90
채소 (배추) 수확기 Sr - 4
감마동위원소
가금류 년 2회 감마동위원소 - 2
축산물
우유 년 2회 감마동위원소 - 1
방 연속측정 공간감마선량률 6 1
사 환경 방사선 환경 방사선
분기 1회 집적선량 37 19

3-26
그림 3.2-1 시추조사 위치

그림 3.2-2 조사부지 위치도

3-27
3.3 방사선학적 특성

3.3.1 방사능 재고량의 산정

방사능 재고량은 해체방식의 결정, 해체공사 방법의 계획, 해체작업 종사자의 피폭


관리, 방사성폐기물의 양과 처분의 방법 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의 하나이
다. 아라 연구동은 연구용 원자로에 공급되는 핵연료집합체를 제조하는 가공시설로,
19.75±0.2 wt% 이하의 저농축우라늄금속을 취급한다. 저농축우라늄금속에는 U-235
및 U-238 뿐만이 아니라 U-234와 U-236이 소량의 분율로 포함되어 있다. 이들은
서로 다른 에너지를 갖는 알파입자를 방출하며 공기 중의 비정은 약 2 cm 이내로
매우 짧다. U-238은 중간붕괴생성물인 반감기 24.1일의 Th-234 및 1.18분의 Pa-234
를 생성하는데 이들 핵종은 붕괴하여 여러 가지 에너지를 갖는 베타입자를 방출하
여 최종적으로 안정한 동위원소인 Pb-206이 된다.

방사능의 종류, 양 및 분포는 아라 연구동의 운전이력, 연간 취급량, 취급 기기의


밀폐성, 환기계통, 제염주기 및 방법 등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아라 연구동은 우라
늄 금속을 취급하는 시설의 특성상 공기 부유화로 인한 오염의 비율은 분말을 취급
하는 시설과 비교할 경우 상당히 낮을 것으로 생각되며 대부분 표면오염으로 제염
작업을 통해 제거가 가능하다.

아라연구동의 방사능 재고량은 시설의 운영 중에 측정한 실측치를 기준으로 추정하


여야 할 것이며, 방사능 재고량은 계측하는 방법에 따라 직접적인 계측 방법과 반
실험적 간접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참고로 본 시설의 보수적인 핵물질 저장용량
(4,040 kg-U)과 유사시설(새빛연료과학동)의 방사능 대기방출율(1.0E-7)을 적용하여
대기방출 방사능을 추정해볼 수 있으며, 그 결과는 1.825E+5 Bq/yr이다. 제한구역경
계에서의 방사능 배출량 및 농도는 표 3.3-1에 나타내었으며, 상세 내용은 아라연구
동 안전성분석보고서 7.1.2항을 참고한다.

3-28
표 3.3-1 제한구역경계에서의 배출량 및 농도

배출한도 방사능비 배출량 배출농도 배출한도에


구 분 [Bq/㎥] [w/o] (Bq/yr) [Bq/㎥] 대한 비율

U-234 8.00E-03 1.80E-03 7.27E-01 1.250E-09 1.56E-07


U-235 9.00E-03 2.00E-01 8.06E+01 1.385E-07 1.54E-05
U-236 9.00E-03 2.00E-03 8.08E-01 1.389E-09 1.54E-07
U-238 1.00E-02 7.97E-01 3.22E+02 5.531E-07 5.53E-05

3.3.2 오염 특성 분석

3.3.2.1 조사절차

특성평가는 오염도 조사를 위한 방사선 측정을 포함하여 시설 내에 존재하는 위해


성 물질, 작업자의 보건과 안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시설 구조물의 상태, 방사성
및 위해성 화학물질의 범위, 특성 및 농도, 해체 방안에 대한 제도적, 법적 및 기술
적 제한에 대한 모든 정보의 수집을 의미하며 해체의 가장 근본적이고 실질적인 부
분이다.

방사성 및 위해성 화학물질의 범위, 특성 및 농도를 평가하기 위한 오염도 특성평


가는 실질적으로 해체 전과 중에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시설에 대한 방사선 조사
및 부지 조사는 부지 식별(Site Identification), 부지운영이력평가(Historical Site
Assessment; HSA), 특성평가(Characterization Survey), 복원 조치 지원 조사
(Remedial Action Support Survey) 및 최종현황조사(Final Status survey) 단계별로 수
행한다.

가. 부지운영이력평가
잔존 위해도 범위 및 특성 결정을 위한 예비조사를 포함하는 부지이력평가
(HSA)는 해체될 원자력시설의 현재 부지 상태를 결정하고 초기분류에 대한 정
보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한다.

부지 오염이력 조사에서는 해체시점까지 부지의 오염을 야기했거나 야기했을


가능성이 있는 아라 연구동의 건설, 운영 및 각종 인허가와 관련된 모든 기록

3-29
및 정보를 조사하여, 부지 내 잔류방사능의 종류와 대략적인 농도 및 범위를 파
악한다. 이 기록에는 운영 중에 발생한 비계획적 방출 등이 포함된다. 또한 부
지와 관련하여 조사 및 연구가 수행된 경우, 해당 보고서도 조사한다. 조사 결
과에 근거하여 부지를 오염여부에 따라 크게 오염지역(Impacted Area) 및 비오
염지역(Non-impacted Area)으로 구분하며, 이후 조사대상이 되는 환경매질
(Environmental Media)을 결정한다. 오염지역은 효율적인 조사수행을 위해 오염
수준에 따라 구분한 후 조사단위(Survey Unit)를 세분하여 관리한다. 또한, 비오
염지역 또는 주변의 부지와 유사한 조건의 지역에서 백그라운드 지역을 선정한
다.

나. 오염범위조사
오염 범위 조사는 작업자의 위해도를 확인하고 해체계획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
되며 오염범위조사는 부지운영이력평가에서 수집된 부지이력을 보완하는 절차
로서 부지운영이력자료를 보완하고 오염장소를 확인하여 누락 여부를 점검한다.

다. 오염현황 상세조사
상세현황 상세조사는 제염 또는 절단 전에 오염의 형태와 범위를 결정하기 위
한 조사 자료를 수집하는 것이며 오염도 조사는 제염을 실시하는 동안과 제염
이 완료된 후에 실시한다.

라. 복원조치 지원조사
복원조치 지원조사는 부지의 최종 방사선학적 현황을 결정하기 위한 조사로
cleanup 노력에 대한 지침과 작업자 및 대중의 보건 및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실시간 모드로 수행된다. 복원 노력의 진행에 따른 효과가 평가된다.

마. 최종현황조사
원자력시설의 운영종료 후 해체되는 원자력시설의 방사선학적 오염현황이 피폭
경로 모델링에 근거하여 수립된 핵종별 유도농도기준(DCGL; Derived
Concentration Guideline Level) 이하임을 증명하기 위해 수행되는 최종 부지조
사로써 이 결과에 따라 시설 및 부지의 개방여부가 결정된다.

바. 검증조사
검증조사는 시설의 최종 단계를 문서화하기 위해 필요한 조사로, 인허가 신청인

3-30
의 최종현황조사 결과를 입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규제기관에 의해 수행된다.

3.3.2.2 조사방법

방사능 오염수준을 조사하는 방법으로는 현장측정(Direct Measurement), 스캔조사


(Scanning Survey) 및 시료채취분석(Sampling & Laboratory Analysis) 등의 3가지 방
법이 있다. 현장측정은 조사대상이 되는 조사단위 전체의 평균 방사능 농도를 결정
하기 위해 사용되며, 스캔조사는 조사단위 내 방사능 농도가 국부적으로 높은 지역
의 확인 및 범위를 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반면에 시료채취분석은 상기 두 방법으
로 잔류방사능 유도농도기준 이하의 농도를 얻지 못하거나, 오염물질의 종적인 분
포를 파악할 수 없을 경우에 사용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조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현장측정과 시료채취분석 모두를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조사에 필요
한 장비 및 분석기술은 오염의 종류, 요구되는 측정감도, 방사선조사의 목적 및 잔
류방사능 유도농도기준 등에 근거하여 선택한다.

가. 현장측정(Direct Measurement)
현장측정이란, 불연속 측정지점의 지표면에서 적당한 거리에 장비를 위치시킨
뒤 정해진 시간 동안 측정하는 방법이며 기본적으로 조사단위 전체의 평균 방
사능 농도를 구하기 위해 사용된다. 조사단위 내 측정지점은 무작위로 선정되거
나 또는 체계적인 방법으로 선정될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 고방사능 준위의 국
부영역을 감지하기 위해 스캔조사가 병행된다. 한편, 현장측정은 스캔조사에 의
해 확인된 고방사능 준위의 선원항을 결정하기 위한 조사방법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반대로 스캔조사가 현장측정과 같은 수준의 감도를 보일 경우는 현장측정
을 대체하기도 한다.

나. 스캔조사(Scaning Survey)
스캔조사란 방사선계측 장비를 표면 위로 이동시키면서 방사능 오염 지점을 측
정하는 조사방법이다. 다른 조사방법에 비해 조사시간이 짧으며 비용이 적게 든
다는 장점 때문에 일반적으로 다른 조사방법을 수행하기 전에 먼저 실시된다.

다. 시료채취분석(Sampling & Laboratory Analysis)


시료채취분석이란 토양, 지하수 등의 환경 매체의 대표성을 갖는 시료를 채취하
여, 실험실에서 방사성핵종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을 말한다. 시료채취분석에서

3-31
는 현장측정 및 스캔조사 등의 야외조사에서 사용되는 방사선계측 장비들이 사
용된다. 이 경우 실험실에서 측정은 긴 시간 동안 이루어지기 때문에 측정감도
가 높게 나타난다.

조사지점의 방사성핵종의 종류 및 농도를 정확하게 나타내는 대표 지점에서 토


양시료를 채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기 수행된 조사 자료를 충분
히 검토하여 시료채취계획을 세워야 한다. 또한 깊이에 따른 방사능 농도의 변
화를 파악하기 위해 토양의 코어 시료채취 및 분석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시
료의 부피가 증가할수록 시료의 대표성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요구되는 검출한
도를 만족시키기 쉽다는 장점이 있으나, 시료의 운반, 저장 및 처분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단점이 있으므로, 이를 동시에 고려하여 최적의 시료 채취 부피
를 선정, 시행하여야 한다.

3-32
해체전략과 방법 4

4.1 해체전략
4.2 해체방법
제 4 장 해체전략과 방법

4.1 해체전략

해체전략은 모든 원자력폐기물관리계획의 안전과 보안의 필수적인 요소이다. 해체


전략은 국가나 운영자의 정책, 해체 후의 최종부지 사용목적에 따라 해당 시설의
수명이 다한 후에 활용될 계획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국내 원자력관련 법령에서는
즉시해체 및 지연해체를 해체전략으로 제시하고 있다.
아라연구동의 해체를 위한 주요 전략은 아래와 같다. 이러한 전략의 결정은 시설의
특성, 시설 운영 시 사고의 유무, 국가 정책, 주변의 환경 등 많은 변수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현재로서는 아래와 같은 전략을 선택하였으며 계속으로 보완 및 수정
될 것이다.

가. 해체범위
아라 연구동의 해체 범위는 아라 연구동 건물 전체로, 전체를 해체 철거한다.

나. 해체방식
해체방식에는 즉시해체, 지연해체 및 완전밀폐가 있으나 완전밀폐는 현재까지
완전한 해체방식으로 인정되지 않아 본 시설의 해체방식으로는 제외한다. 본 시
설은 다목적 소형연구로용 핵연료를 생산하는 시설로 오염원이 되는 방사성
물질은 반감기가 아주 긴 우라늄 핵종이며, 원자력발전소와 같이. 방사화, 고 선
량률 및 오염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러한 시설의 특성으로 지연해체의 장점인
방사능의 감소 효과를 얻지 못하므로 본 시설의 해체방식은 즉시해체로 한다.

다. 부지의 최종조건
부지의 최종 조건은 시설 주변의 여건을 고려하여 해체 후, 시설 부지의 최종
사용 목적에 따라 무제한적 재사용과 일부 제한적인 사용을 목적으로 해체전략
을 수립할 수 있다. 이 또한 즉시해체의 요인이 될 수도 있다. 아라 연구동은
한국원자력연구원 내부의 하나로 부지에 위치하며, 부지는 관리구역으로 지정되
어 있다. 이러한 시설 주변을 여건을 고려하면 부지의 최종상태는 제한적인 재
사용을 목적으로 한다.
해체 후, 부지의 활용 방안은 해체의 초기단계인 계획 및 전략 수립 시 국가별
특성, 해체 전략, 부지 조건 등에 따라 결정되고, 녹지 및 공원조성의 Green

4-1
field와 산업시설 및 원자력 관련 시설 등의 Brown field로 분류되는데, 해외 부
지 활용 전략으로는 미국은 Brown field와 Green field, 영국은 Green field, 일
본은 Brown field의 사례가 있으며 국내는 KAERI의 연구로의 경우 Green field,
우라늄 변환시설의 경우 Brown field 방식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KNF의 중수로
연료 개발 사용실은 Brown field 방식으로 추진되었다. 본 시설의 경우도 부지
내 타 시설들의 영향 등으로 Brown field로 이용할 계획이다.

라. 방사성폐기물
방사성폐기물은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처리 및 처분비용을 감안하여 최소화 한
다. 이는 해체 시 필요로 되는 비용의 최소화에 우선되는 폐기물관리방안이다.

마. 이해당사자 참여
국가정책, 주변 사회, 정치 및 환경적 영향을 고려한 해체전략을 수립할 것이며,
이를 수행하기 위한 전문가의 참여도를 높일 것이다. 또한 해체사업의 주민 이
해를 돕기 위해 정기적으로 주민 설명회를 개최하여 해체 진행과정과 안전한
관리에 대하여 설명될 것이다.

바. 해체비용 확보
해체가 완료시점까지 해체비용을 확실하게 확보하는 것은 중요한 전략의 하나
이다. 본 계획서에서는 이에 관하여 “제2장 사업관리”에 기술하였다.

4.1.1 해체 기본원칙

본 해체사업의 목적은 아라 연구동 내 방사성물질을 완전히 제염 및 해체하고, 잔


류 구조물과 토양은 제한적 사용이 가능한 수준까지 제염하는 것이다. 본 해체계획
서에는 안전하고, 실용적이며 경제적인 제염·해체를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해체공사는 국내 법규 및 국제 규제요건에 따라 수행될 것이며 안전성이 확보되는


범위 내에서 수행될 것이다. 제안된 해체방법은 작업자 및 주민의 피폭선량과 기체
상 방사성물질의 방출을 ALARA 원칙에 따라 최소화함으로써 작업자 및 주민의 안
전과 환경을 보호하는 안전성확보를 최우선으로 하여 설계된다. 제염·해체 활동에
참여하는 작업종사자의 피폭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사선안전관리 전략을 수립하여
방사능 재고량평가에 따른 방사선방호계획 및 보건물리 활동을 수행하도록 하며,

4-2
이를 위하여 필요시 교육 및 훈련을 통해 안전성확보를 최우선으로 하는 전략을 수
립할 것이다. 이 모든 사항은 원자력안전위원회의 규제 및 인허가 요구사항을 만족
하도록 수행될 것이며, “제7장 방사선방호”에 기술하였다. 환경의 보호를 위해 해
체작업에 따른 주변 환경의 영향을 평가하고 최소화 대책을 수립·시행하도록 하며
“제10장 환경영향평가”에 기술하였다.

아라 연구동의 해체방법 및 작업절차는 시설 내부의 구조적 및 방사선학적 상태와


전반적인 해체안전성을 검토하여 최선의 방법을 선정하여야 할 것이다. 이는 위험
도 및 작업성 평가를 통해서 수행된다. 위험도 및 작업성 평가는 잠재적인 위험(산
업적 및 방사선적 위험) 및 잠재적인 작업성 문제(공기지연을 야기할 수 있는 사고
등)을 규명하기 위하여 모든 해체작업을 일련의 작업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마다
발생가능성이 있는 사고를 도출하여 그에 따른 결과를 평가한다. 각 사고에 대하여
사고발생의 방지, 사고결과의 완화 또는 사고발생의 감시에 대한 요건을 규정하며
필요시 해체설계에 반영할 조치들을 도출한다. 위험도 및 작업성 평가단계에서 충
분한 결론을 내리지 못하거나 의문의 여지가 있는 사고에 대해서는 상세한 안전해
석을 수행하며 해석결과 안전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특별한 안전조치를
취하거나 작업방법을 변경한다.

해체 시 발생하는 폐기물은 해체활동 중에 분류 및 저장, 이송 기준에 따라 현재


운영 중인 국가 방사성폐기물 영구처분장에 처분 의뢰할 것이며 부지복원 완료 이
전에 이송 조치를 완료할 것이다. 처분비의 경제성을 고려하여 해쳬 고체폐기물은
소각, 용융, 2차 제염 등 감용 처리활동을 통해 방사성폐기물을 감용하여 폐기물을
최소화하게 되며, 규제면제 폐기물은 성토, 도로 기반 재료 및 산업재로 재활용의
목적을 위해 평가시나리오를 거쳐 기준치를 만족하도록 승인을 득한 후 처리하게
된다. 한편 방사성액체폐기물은 아라 연구동이 위치하는 원자력연구원 내의 자연증
발시설로 이송하여 처리한다.

시설내의 방사능이나 오염도는 낮기 때문에 해체공사는 대부분 일반적인 산업장비


들을 이용하여 안전하게 수행될 수 있다. 해체공사 시 가능한 한 시설내의 기존 장
비들을 이용하도록 하고 신규로 설치되는 장비는 최대한 배제하게 된다. 특히, 크레
인, 환기설비는 해체공사 시 중요하게 사용될 시설들로 필요시 보완작업을 거칠 예
정이다. 또한 이러한 설비들의 오염이나 시설의 오염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
의 안전설비 및 장치들이 설치될 예정이며, 주요 보완 설비는 다음과 같다.

4-3
가. 공기 중으로 방사능 오염을 확산시킬 가능성이 있는 모든 해체공사 중에는 오
염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임시격납설비(텐트)가 설치된다.

나. 기존 건물환기계통의 오염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임시격납설비에는 별도


의 환기장치를 설치한다.

다. 시설의 운영을 위하여 사용하던 유틸리티의 건전성과 해체 시 유용성을 검토하


여 유틸리티 상실로 인한 비정상상태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해체용 유틸리티(비
상디젤발전기 등)가 필요하면 이를 보완 설치한다.

라. 아라 연구동에는 폐기물의 처리 및 제염설비가 구비되지 않기에 폐기물 감용


및 작업자의 피폭선량 저감을 위해 이동형 폐기물 처리설비 및 제염설비를 설
치한다.

4-4
4.2 해체방법

4.2.1 해체 방법 및 일정

4.2.1.1 해체 방법

가공시설의 영구정지 및 해체승인 신청을 위하여 영구정지 전 해체 준비기간 동안


설비분류 및 구역구분을 하게 되며, 운영변경 허가 신청서를 위원회에 제출하게 된
다.

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후, 영구정지로부터 2년 이내에 QA 서류, 최종해체계획서 등


을 제출한다. 해체 및 해체공사는 해체 승인 후 약 2년에 걸쳐 이루어진다. 공정장
치 및 설비의 제거 후, 방사성오염기기는 화학 제염, 기계적 제염 등의 방법으로 제
염하고, 압축, 용융(필요 시) 등의 감용 과정을 통해 방사성폐기물의 양을 줄인다.
구조물은 특성평가를 통해 부지개방 여부를 파악하고 필요 시 제염을 수행하고 절
단 및 파쇄 등의 방법으로 철거가 이루어지게 된다.

해체공사 중 해체현황과 방사선 안전 및 폐기물관리현황 등을 포함한 해체상황보고


는 주기적으로 이루어지며, 최종적으로 해체가 완료된 후에는 최종해체완료보고를
하게 된다.

최종완료보고 및 검사 이후 사업허가는 종료되며, 토지이용은 부지 재이용 계획에


따라 복원되거나 재이용된다. 본 시설의 해체일정은 표 4.2-1에 제시하였다.

4.2.1.2 해체 공사 순서

표 4.2-1에서 해체 준비공사 동안에는 아래와 같은 작업이 수행된다.

가. 핵물질 이송
나. 출입 통제설비의 설치(폐기물 이송을 위한 통로를 제외하고 모든 통로의 폐쇄)
다. 갱의실 및 탈의실 설치
라. 임시 격납설비 및 환기설비 설치
마. 해체용 유틸리티 설비 보완

4-5
해체 중 발생하는 방사성폐기물은 1층의 핵물질 저장고에서 임시 저장·처리한다.
따라서 핵물질 저장고에 저장된 핵물질, 중간생성물 및 핵연료집합체는 해체 준비
공사 동안에 이송된다. 또한 해체공사 초반에 저장고내에 설치된 저장랙 및 구조물
들이 철거된다.

아라 연구동 내의 해체순서는 오염 또는 방사선 준위가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그리고 해체 작업에 의한 오염 확산의 가능성이 적도록 선택된다. 자세한 순서는
“제8장 제염해체활동”에서 설명된다.

4-6
그림 4.2-1 아라 연구동 개략 해체 일정

4-7
해체 용이성을 위한 설계특성과 조치방안 5

5.1 설계특성
5.2 조치방안
제 5 장 해체용이성을 위한 설계특성과 조치방안

5.1 설계특성

해체는 작업자의 피폭을 최소화하고 방사성폐기물 발생 및 이에 따른 환경적 영향


을 최소화하며, 해체과정의 간소화로 비용 절감을 목표로 한다. 안전하고 경제적인
해체를 위해서는 설계단계부터 해체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고려하여 설
계한다. 또한 관계시설 또는 이전 설계경험을 반영하였으며 방사선방호책임자 또는
방사선방호조직이 방사선방호 설계특성을 검토하였다.

가. 시설 내부/외부로의 오염물질 확산 억제
나. 제염작업이 용이한 시설표면 처리
다. 해체작업에 필요한 작업자와 장비의 접근 및 공간 제공
라. 절단 공정 최소화를 위한 분해 가능한 설계

5.1.1 기기의 해체 용이성을 위한 설계특성

아라연구동은 해체작업시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해체 작업자에 대한 방사선피폭을


최소화하기 위해 설계단계에서부터 ALARA 설계개념을 적용하여 설계된다. 해체 용
이성을 위한 ALARA 설계특성으로는 해체 시 방사성기기를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
한 설계특성과 기기 해체작업을 위한 ALARA 설계특성이 있으며, 상세한 내용은 다
음과 같다.

5.1.1.1 방사성기기를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한 설계특성

해체작업시 해체 대상 기기에 접근과 작업이 용이하도록 기기 주위 및 이동경로에


충분한 작업공간을 확보한다. 또한 기기를 교체하거나 제거할 경우 기기를 별도의
공간에 넣거나 끌어내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기기 이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을 확보한다. 제거된 기기의 해체방법은 4.2항 해체방법과 일정에 따라
방사성오염이 낮은 관리구역 시설과 기기부터 해체 및 제염작업에 착수한다. 기기
반출 경로는 해체 후 제염실로 이동하여 추가적인 부피 감용 및 제염을 실시한 후
해체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는 시설로 이동한다. 또한 천정크레인, 호이스트, 집크레
인 및 지게차를 이용하여 장비 및 중량물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설계되

5-1
었다.

5.1.1.2 방사성기기에 적용된 ALARA 설계특성

신뢰성 있고 단순한 방사성기기를 사용하도록 설계함으로써 해체작업시 제거가 용


이하고 폐기물 발생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방사성기기에 적용된 ALARA 설
계 특성은 펌프의 경우, 해체작업시 제거가 용이하도록 플랜지로 연결하도록 하고
밸브의 경우, 불필요한 유지보수를 줄일 수 있도록 설계하여 폐기물 발생량을 최소
화 시키며 밸브 내부에 폐기물이 축적되는 것을 최소화 하도록 갈라진 틈새가 없도
록 설계한다.

탱크는 완전 배수가 가능하도록 설계하고 내부의 갈라진 틈이나 흠이 없도록 설계


한다. 또한 해체 작업시 방사선피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고
바닥이나 땅으로 방사성물질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Dike를 설치된다.

5.1.2 방사성물질 누설 최소화 설계특성

아라연구동의 기기 및 배관으로부터 액체방사성폐기물 및 방사성오염 화학물질의


누설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며, 만약 기기 및 배관으로부터 방사성 액체가
누설될 경우에도 누설된 액체는 바닥배수계통을 통해 지하에 설치되어 있는 액체폐
기물 저장탱크로 수집되도록 설계된다. 수집된 폐수는 한국원자력연구원 부지 내의
자연증발시설로 이송되어 처리된다. 방사성액체를 취급하는 배관은 가능한 한 내부
식성 재질인 스테인리스강을 사용하여 부식으로 인한 방사성액체의 누설을 방지하
도록 설계되며, 방사선구역의 콘크리트 벽과 바닥은 오염의 확산을 방지하고 제염
이 용이하도록 표면이 매끄러운 에폭시 도장으로 코팅된다. 또한 액체폐기물 저장
탱크 주변에는 Dike가 설치되어 오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5.1.3 공기 중 방사능 오염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설계

환기계통은 오염확산을 최소화하기 위해 풍량 조절을 통해 구역별로 적절한 차압이


유지되도록 설계함으로써 저방사선구역에서 고방사선구역으로 공기가 흐르도록 설
계하며, 역류방지밸브가 설치되어 역으로의 공기 흐름을 차단한다.

5-2
기기 유지보수나 교체 시에는 계통에서 분리된 방사성 기기 및 배관으로부터 누설
물을 수집하고 방사성 입자 핵종이 공기 중으로 부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기
누설물 수집용기를 사용한다. 또한 필요시 이동용환기설비가 장착된 천막 또는 텐
트 등을 사용하여 유지보수작업을 수행한다.

5.1.4 시설배치 최적화 설계특성

부유성 오염이 발생할 수 있는 공정기기는 격실에 배치하여 오염확산을 방지하도록


배치한다.

해체 작업 시 기기로의 접근 및 작업이 용이하도록 기기 주위 및 이송로에 충분한


작업공간이 확보되도록 설계한다.

방사선관리구역의 출입통제지역 주변에 작업자 제염 공간을 확보한다. 이곳에는 보


호용 의류, 호흡기, 샤워실 옷장 및 오염된 옷을 담아둘 수 있는 용기들이 비치된
다.

해체작업 시 방사선관리구역으로 접근할 수 있는 통로는 하나로 제한되며, 작업자


의 방사선피폭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도록 설계된다.

5-3
5.2 조치방안

방사성물질의 누설 및 오염을 줄이기 위해서 아라연구동에서 모든 방사성구역의 공


기는 여과기(HEPA 필터)를 거쳐 외부로 스택을 통해서만 배출된다. 해체 시 발생하
는 액체폐기물은 수집통에 수집 또는 지하1층의 액체폐기물 저장탱크에 수집하였다
가 일정한 수위(양)에 도달하면 한국원자력연구원 부지 내의 처리시설(자연증발시
설)로 이송하여 처리한다.

고체폐기물은 시설 내에서 분리, 제염, 압축 처리하여 적절한 포장용기에 포장되며,


최종 처분장으로 인도되기 전까지 임시 저장한다.

아라연구동의 운영은 시설의 내/외부가 방사성물질로부터 오염되지 않은 최상의 관


리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만약 방사성물질 또는 방사성폐기물 취급 시 주변이 오
염된 경우에는 즉시 관련 절차에 따라 제염작업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기록으로 남
긴다. 특히, 운영기록들은 해체작업에 중요한 참고자료가 되므로 반드시 보관 관리
하여야 한다.

5.2.1 방사성오염 및 방사성폐기물 발생 최소화를 위한 조치방안

아라연구동 운영 중 방사성물질의 누설, 방사성오염 및 방사상폐기물의 발생 최소


화를 위한 조치방안은 관련 절차서에 따라 이행된다. 방사선관리구역 내 방사성폐
기물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방사선관리구역 안으로 물품 반입 시 포장재, 용기
등과 같이 불필요한 것을 제거한다.

방사선관리구역에서 수행되는 방사선 작업 시 발생하는 방사성폐기물을 가능한 한


최소화하기 위해, 방사선안전을 관리하는 부서는 방사성폐기물 발생이 예상되는 작
업에 대해 작업수행 부서와 협의하여 예상 방사성폐기물 발생량을 평가한다. 특히
방사성폐기물 발생량이 일정수준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될 때에는 방사성폐기물관리
사전 점검을 통해 예상 방사성폐기물 발생량 평가결과의 적절성 및 저감대책을 검
토 후 작업을 수행한다.

5.2.2 주요 기록사항 관리

5-4
원자력안전법 시행규칙 별표 7에 근거하여 가공사업자가 핵연료주기시설의 건설 및
운영에 관하여 기록·비치하여야 할 기록사항 중 해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록
문서들은 다음과 같다.

가. 핵물질의 기록
나. 가공시설의 검사기록
다. 방사선안전관리의 기록
라. 운전기록
마. 유지관리의 기록
바. 가공시설의 사고기록
사. 기상기록

위의 기록사항들은 아라연구동을 해체할 때까지 보존하여야 한다.

5-5
안전성 평가 6

6.1 안전원칙 및 기준
6.2 방사선 위험도 및 비방사성 위해도
6.3 안전성평가 방법론
6.4 안전대책
제 6 장 안전성 평가

6.1 안전원칙 및 기준

6.1.1 안전원칙

해체공사를 위한 안전관리의 일반원칙은 다음과 같다.

가. 모든 작업에서 개인피폭선량은 ALARA로 유지되어야 한다.


나. 정상작업 시 법규상의 피폭선량 한도를 초과 피폭하여서는 안 된다.
다. 해체작업은 작성된 작업 매뉴얼에 의해서 수행된다.

해체 현장에서 적용되는 ALARA 원칙은 다음과 같다.

가. 방사선 환경에서의 작업시간은 가능한 한 최소화되어야 한다.


나. 방사성 기기의 해체는 가능한 원거리를 유지하여 작업한다.
다. 차폐체를 활용한다.
라. 작업자수를 최소한으로 유지한다.
마. 작업 전에 방사성물질을 가능한 한 제거한다.
바. 교육과 훈련
사. 개인보호장구의 착용
아. 오염원의 확산 방지설비 사용
자. 오염구역으로의 출입관리 철저

6.1.2 안전성 평가기준

아라연구동 해체사업에 적용되는 선량한도 기준은 다음과 같다.

가. 작업자의 연간 개인피폭선량의 관리 목표치는 연간 작업자의 평균 선량한도의


80%인 16 mSv로 설정한다.
나. 작업자의 내부 피폭은 ALARA 원칙에 따라 가능한 한 낮게 유지한다.

6-1
6.2 방사선 위험도 및 비방사선 위해도

6.2.1 방사선 및 비방사선 위험 평가 대상 선정

해체 현장에서 방사선의 위험은 정상작업 과정에서 작업자가 받는 피폭, 사고 또는


비정상상태의 발생으로 작업자가 받는 피폭과 현장 주변의 주민이 받는 피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정상작업 상태에서의 작업자의 방사성 기기 또는 구조물에 의한
직접피폭과 작업 중 발생하는 분진의 흡입으로 인한 내부피폭에 의한다.

시설의 운전을 영구 정지하고 해체작업을 수행하는 동안에는 개개인이 방사선 사고


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모든 사고 및 비정상상태는 산업적 비방사
선 사고로부터 야기되어 방사선 사고로 발전하게 된다. 해체공사 중 발생 가능성이
있는 산업적 사고 및 위험도는 위험도 및 작업성 평가(HAZOP, HAZard and
OPerability study)를 통하여 규명한다. 이 기술은 공정설비 및 작업절차에 대한 위
험도, 사고 원인 및 작업성을 규명하는 체계적인 방법으로 영국의 화학플랜트 등에
서 시작하여 오늘날에는 원자력분야에서도 널리 사용되는 위험도 및 작업성 분석기
법이다. 위험도 및 작업성 평가는 일련의 기술평가회의를 통하여 이루어지는데 이
회의는 시설 운전 등을 통한 시설에 대한 이해보유자, 해체 설계자, 해체 수행자,
해체 안전 관리자, 환경 안전 관리자, 품질관리 분야에 관련 경험과 지식을 갖고 있
는 기술자들로 이루어진다. 이 과정은 해체를 수행하려는 방법이나 장비의 결정부
터 시작하여 사고방지 수단의 도입이나 사고완화수단의 도입으로 인한 결과 안전성
(작업자 피폭 또는 환경오염) 평가까지 포함하며, 안전성이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에
는 작업 방법의 선정부터 다시 시작한다(그림 6.2-1 참조).

저농축우라늄을 포함하는 방사성물질 이외에 아라연구동에서 사용되는 화학/독성물


질은 불산, 질산, 에탄올, 아세톤, 절삭유, 윤활유 및 경유가 있으며, 사용처 및 취급
용량은 표 6.2-1과 같다.

6.2.2 방사선 위험 및 비방사선 위해도

위험의 종류와 위해도는 위에서 설명한 위험도 및 작업성 평가회의를 통하여 결정


되지만,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수행한 연구로 1,2호기의 해체 과정에서 개략적으로 아
래와 같은 것들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는 아라연구동의 운전 영구정지 상태에

6-2
서 다시 검토될 것이다.

가. 작업자의 추락
나. 기계 장치에 의한 작업자의 손상
다. 기기 장치의 고장 또는 파손
라. 중량 해체물의 추락
마. 전기에 의한 사고 (정전, 작업자의 감전 등)
바. 화재
사. 밀폐된 공간에 작업자의 갇힘

그림 6.2-1 해체작업 중 위해도 및 방사선 위험도의 선정 방안

표 6.2-1 아라연구동의 화학/독성물질 정보

Room Material  Q’ty Type Remark


불산 불산(30L/year) Tank 불산 : 5L저장
PICKLING 실
질산 질산(3000L/year) Tank 질산 : 300L저장
Zr분말 50kg/week can Zr분말 : 주당 사용량 저장
에탄올 250L/year can 에탈올 : 60L저장
분말 처리(압분) 아세톤 80L/year can 아세톤 : 40L저장
절삭유 100L/year can 절삭유 : 40L저장
윤활유 100L/year can 윤활유 : 40L저장
저장 시설 Zr분말 1000kg/year Tank Zr분말 : 200kg저장
비상디젤 발전기실 경유 2 ㎥ Tank Day tank : 0.5 ㎥

6-3
6.3 안전성평가 방법론

6.3.1 방사선위험도 평가

이 절에서는 아라연구동 해체 작업에 따른 작업자 및 주변 주민의 방사선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한 안전성 평가방법론에 대하여 기술하며 방사선위험도 평가는 해체 작
업자의 방사선 피폭에 대한 영향을 포함하는해체 작업자 방사선 위험도 평가와 환
경으로 잠재적 방사성물질의 방출로 인한 주변 주민의 방사선 피폭에 대한 주변주
민 방사선위험도 평가로 구분한다.

해체 기간 동안 절단작업 등으로 인해 공기 중으로 방사성 오염이 확산될 가능성에


대한 작업자 및 주변 주민의 방사선 피폭 가능성은 제염 및 해체작업으로 인한 환
경으로 방출되는 방사성 물질을 예측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정보
가 요구된다.

❍ 방사성핵종, 방사성 오염도 또는 방사선량률 등 방사선학적 정보


❍ 방사성핵종의 누설 또는 방출률에 대한 정보
❍ 제염 인자 등

6.3.1.1 정상작업 시 안전성(피폭선량) 평가

정상작업 시 안전성(피폭선량)은 크게 해체작업 과정에서의 작업자에 대한 피폭선량


과 해체작업으로 인해 시설 주변의 주민에 대한 피폭선량을 평가한다.

가. 작업자에 대한 피폭
해체 활동 중 작업자에 대한 피폭방사선량은 해체 전략, 선정된 기술 및 해체 활
동 등에 따라 달라진다. 작업자에 대한 방사선피폭은 공기 중 방사성물질의 인체
내부 유입에 의한 내부피폭과 구조물, 기기 등의 방사성물질에서 발생하는 방사
선에 의한 외부피폭 등에 의해 발생한다. 이 경우 작업자의 선량평가는 운영 중
과 동일하게 개인선량계를 작업자에게 지급하여 평가한다.

내부피폭이 예상되는 경우 작업자는 방호장비 등을 착용하기 때문에, 공기 중 방


사성물질의 흡입에 의한 내부피폭은 최소화 또는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해체
활동 동안 작업자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방사선피폭은 구조물, 기기 등의
방사성물질로부터 발생하는 방사선으로 인한 외부피폭이다. 작업자에 대한 피폭

6-4
방사선량은 아라연구동 내 방사선준위와 작업시간 등을 고려하여 예측되나, 잔류
방사선 오염의 정도 또는 해체작업에서 발생되는 방사성폐기물의 양 등에 따라
달라진다.

나. 주변 주민에 대한 피폭
아라연구동 해체 과정에서 주변 주민에 대한 방사선피폭은 정상적인 해체 활동
에서 방출되는 기체 및 액체 방사성핵종의 배출에 의한 피폭이 대부분이다. 배출
된 방사성물질이 전량 주변 주민에 전달되어 피폭을 일의 킨다는 선원중심
(Source-related)의 피폭경로를 고려하여 평가한다. 이러한 선량평가는 아라연구
동의 운영 중 주변주민 피폭방사선량 평가와 동일하게 수행되며 주변 주민에 대
한 방사선피폭 경로는 방사성물질의 흡입, 외부피폭, 오염된 음식물 섭취 등을
고려한다.

기체 및 액체 방사성물질의 방출은 작업자의 피폭저감과 발생되는 폐기물의 양


을 최소화하기 위한 제염활동과 오염된 기기, 배관 및 덕트의 절단과 같은 해체
활동으로 기인 한다.

해체활동에 대한 환경영향 평가결과는 해당시설의 해체시 방출되는 방사성물질


로부터 주변 주민에 대한 피폭방사선량이 선량한도 이내에 있는지를 입증하는데
이용된다. 또한 외부 및 내부 피폭방사선량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방사능 방출 양
과 피폭경로를 고려하여 전산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행한다.

6.3.1.2 비정상작업 또는 사고시 안전성(피폭선량) 평가

비 정상작업 또는 사고시 고려하여야 하는 안전성은 해체 작업자의 안전과 주변 주


민들의 안전이다. 사고시 작업자의 피폭은 아래와 같이 평가한다.

가. 방사선적 사고는 산업사고의 발전으로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모든 가능한 산


업적 사고의 발전 추이를 정확히 예측 분석한다.
나. 예측된 사고 전개 시나리오에 따라서 선원항을 계산한다.
다. 피폭경로는 정상적업자의 피폭 평가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평가한 작업자의 피폭 방사선량률이 설정된 목표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비정상 상태 발생방지 방안의 채택, 개인보호장구 사용, 작업 현장에서의
소개(대피)를 추가하고 이들의 효과를 고려하여 다시 평가한다.

6-5
사고 시 환경으로 방출되어 시설 주변 주민 피폭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사고 시 주
민의 피폭선량은 아래와 같이 평가한다.

가. 전술한 바와 동일한 사고 전개 추이를 예측 분석한다.


나. 예측된 사고 전개 시나리오에 따라서 선원항을 계산한다.
다. 환경으로 방출되는 총 방사능 및 핵종을 예측한다.
라. 환경으로 배출된 방사능의 영향을 기상 조건에 따라서 컴퓨터 코드를 이용하여
주민에 대한 영향을 평가한다.

아라 연구동의 해체과정에서 사고나 비정상 운전의 예는 다음과 같다.

가. 분진을 함유한 설비 또는 절단 작업 시 분진을 포집하던 장비의 고장으로 포집


된 분진의 작업장 내 비상
나. 화재 등으로 인한 스택 배기 시설에 필터 기능의 상실

6.3.1.3 잔류 방사능 안전성 평가

부지의 재활용 기준은 잔류방사능 기준에서 출발한다. 잔류방사능이란 허가 취득자


의 관리 하에서 행해진 활동의 결과 즉, 해체사업의 완료 후 구조물, 자재, 토양, 지
하수 및 부지 내의 다른 매체가 가지고 있는 방사능을 말하는데, 이것에는 허가 취
득자가 사용한 모든 종류의 선원을 포함한다. 잔류 방사능 안전성 평가의 목적은
해체를 완료하고 부지를 무제한 또는 제한적 개방시에 부지 내에서 활동 또는 거주
할 수 있는 일반주민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잔류방사능의 안전성 평가는 아래와 같은 순서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가. 부지 내에서 방사성물질의 취급 내용/방법 등으로 평가 범위 결정


나. 부지 내 개략적인 잔류방사능 조사
다. 부지 복원 및 복원 후 조사
라. 이상의 작업에서 얻어진 자료로부터 상세 평가

잔류방사능 평가 과정에서의 방법과 평가는 원자력안전위원회고시 제2016-33호,


“원자력이용시설 해체완료 후 부지 및 잔존건물의 재이용을 위한 기준”에 따르

6-6
며, MARSSIM(The Multi-Agency Radiation Survey and Site Investigation Manual) 원
칙을 참조한다. MARSSIM은 미국의 5개 정부기관에서 잔류방사능을 평가하기 위해
제정한 평가원칙이며 아라 연구동 해체 시점에서 개선된 방법이 발표되면 변경될
수 있다.

상세 평가 시 적용할 부지 개방 기준은 원자력안전위원회고시 제2016-33호, “원자


력이용시설 해체완료 후 부지 및 잔존건물의 재이용을 위한 기준”에 따르며, 부지
재이용 기준은 다음과 같다.

가. 무제한적 재이용
❍ 잔류방사능에 의한 예상가능한 모든 피폭경로를 고려한 결정집단의 개인에
대한 피폭선량은 유효선량을 기준으로 연간 0.1 mSv 이하

나. 제한적 재이용
❍ 제한적 재이용은 제한조건 등이 실패하더라도 일반인 선량한도(연간 1 mSv)
이하임을 입증한다.

6.3.2 위해도 평가

아라연구동 해체에 따른 위해도 평가는 위해요소를 식별하고, 선별을 위해 방사선


학적 및 비방사선학적 위해도에 대하여 각각의 위해요소를 상세하게 조사하고, 이
러한 위해요소의 진행 시나리오을 분석하여 해체활동 작업자와 주변 주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며 평가결과는 해체활동 동안 방사선 피폭을 허용 준위 이내
로 저감시키는 조치, 비정상 사건‧사고 방지, 작업자와 주변 주민 보호 및 이들에게
미치는 영향의 완화에 활용 된다1).

6.3.2.1 주요 위해요소

해체활동 시, 발생 가능성이 있는 주요 위해요소는 다음과 같이 분류되고, 위해에


대한 평가는 영향으리 정도 등을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정하여 수행 한다2).
❍ 방사선학적 위해
❍ 화재/폭발 위해

1) Safety Reports Series No. 45, “Standard Format and Content for Safety Related Decommissioning
Documents”, IAEA, 2005.
2) Safety Reports Series No. 77, “Standard Assessment for Decommissionins”, IAEA, 2013.

6-7
❍ 전기적 위해
❍ 화학/독성물질 위해
❍ 물리적 위해
❍ 작업환경 위해
❍ 사람/조직 위해
❍ 외부 위해
❍ 기타 위해 등

6.3.2.2 평가방법 및 절차

조사된 위해요소 중 정상적인 해체활동과 비정상 사건‧사고 상황에서 수반되는 평


가대상 위해요소들을 선별하고 정상 해체활동과 비정상 사건‧사고 상황이 작업자와
주변 주민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방사능 재고량, 방사선량률 및 적용된 해체
수단 등의 실제 내용을 반영하여 개념적 모델, 수학적 모델 및 전산코드 등을 이용
하여 정성적 및 정량적으로 위해도를 평가하며 위해도에 대한 평가는 아래 순서로
수행한다.
① 6.3.2.1 절에 기술된 모든 위해요소들을 식별하여 목록화 한다,
② 체크리스트, 선별분석 및 전문가 판단 등을 통하여 모든 위해요소로부터 평
가대상 위해요소를 선별한다.
③ 정상 해체활동과 비정상 사건‧사고 상황의 시나리오를 확인한다.
④ 정상 해체활동과 비정상 사건‧사고 시나리오가 작업자와 주변 주민에 미치는
방사선학적 영향을 정량화 한다.
⑤ 계획된 해체활동 동안 허용 준위까지 방사선 피폭을 감소시키는데 필요한 제
한치 및 조건을 확인한다.
⑥ 사건‧사고를 방지하고 비정상 사건‧사고 시나리오로부터 작업자와 주변 주민
을 보호하고, 그 영향을 완화하기 위한 추가 목표치를 설정하고 대책을 수립
한다.
⑦ 결과(선량 또는 위해도)를 계산한다.

6-8
6.4 안전대책

6.4.1 산업안전 대책

해체작업시 방사선 사고는 스스로 발생하지 않고, 산업사고로 인한 영향으로 발생


한다. 따라서 산업안전 대책의 수립은 방사선 사고의 방지를 위한 기본 전략이 된
다. 해체작업 중에는 아래와 같은 안전 대책을 수립하여 시행한다.

가. 고소작업 안전대책
나. 수작업 안전대책
다. 전기안전 및 정전 시 안전대책
라. 기계장비 안전대책
마. 양중기 안전
바. 화재사고
사. 밀폐 공간 작업 대책 수립
아. 분진 발생 억제 및 확산방지

6.4.2 작업구역의 방사선 감시

방사선안전관리책임자는 작업구역을 일상적으로 감시할 책임이 있다. 특히 분진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는 작업을 수행중인 경우에는 반드시 방사선 감시를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방사선감시를 수행함으로서 방사선안전관리책임자는 차폐설비 설치, 방호장


비 착용 및 작업시간의 제한 등을 결정할 수 있다.

6.4.3 작업구역 분류

작업구역은 피폭선량관리 및 ALARA 계획의 일환으로 방사선 및 오염준위가 분류


기준에 적합한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감시한다. 작업구역의 분류는 표
6.4-1과 같다. 작업구역의 분류는 아라 연구동의 방사선구역구분도와 오염구역 분류
기준에 따랐으며, 이러한 작업구역의 분류는 해체공사 중 예상준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6-9
오염구역은 필요하다면 격납설비와 환기설비를 이용하여 밀폐한다. 필요시 개인 방
호복을 착용하며, 작업구역에서는 공기중 방사능 경보장치가 설치된다. 오염의 확산
을 방지하기 위하여 환복, 방사선 측정 장치 및 출입분리대가 설치된다. 방사선량률
이 높은 구역으로의 접근은 출입분리대를 통해서만 가능하며 여기에는 경고표지판
을 설치하고 출입관리를 위해 안전관리요원이 항시 상주한다.

표 6.4-1 작업구역 분류기준

오염구역 분류기준 방사선구역 분류기준


〉0.4 Bq/㎠ (α)
C1 〉2.5 μSv/hr R1
〉4.0 Bq/㎠ (β)
〉4.0 Bq/㎠ (α)
C2 〉7.5 μSv/hr R2
〉40 Bq/㎠ (β)
〉40 Bq/㎠ (α)
C3 〉100 μSv/hr R3
〉400 Bq/㎠ (β)

6-10
방사선방호 7

7.1 ALARA 개념 반영
7.2 방사선방호 계획
제 7 장 방사선방호

7.1 ALARA 개념 반영

방사선방호의 기본방침은 원자력안전법령을 근간으로 하여, 개인 및 집단피폭선량


을 ALARA 개념으로 감소시키고, 작업자에 대한 과피폭 방지, 오염 확산 방지 및
방사성폐기물의 발생을 최소화하는데 있다. 아라 연구동의 제염, 해체기간 동안 방
사선 피폭과 오염 확산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본방침은 다음과 같다.

가. 시간 : 방사선구역에서의 작업시간을 최소화하여 피폭량을 최소화시킨다.


나. 거리 : 원격조작기구 등을 사용하여 선원과 작업자간의 거리를 증가시켜 피폭량을
최소화시킨다.
다. 차폐 : 중·준위가 예상되는 방사성폐기물의 이송 시에는 차폐용기를 사용하여
작업자의 피폭을 최소화시킨다.
라. 선원제거 : 이동성 방사성오염물질 및 선원은 가능한 한 제거하여 작업장의 방
사선 준위를 낮춘다.
마. 원격조작 : 고 오염이 예상되는 시설의 분해 작업은 원격조작기가 설치된 차폐된
공간에서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작업자의 피폭을 저감시킨다.
바. 작업자수의 최소화 : 방사선구역에서는 출입관리를 통해 불필요한 인원의 출입을
통제함으로서 집단피폭선량을 최소화시킨다.
사. 작업자교육 : 복잡한 작업이나 과피폭 및 오염 확산이 예상되는 작업은 모의훈련을
통하여 작업시간을 최소화하고 사고의 위험을 예방한다.
아. 주요한 사고 및 이에 관련된 보호수단 설명 : 발생가능성이 있는 위험 및 사고
를 작업자에 미리 주의를 고지함으로써 방사선 및 산업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작업자는 작업절차서에 따라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며, 사고발생시 정확한
행동으로 피폭을 최소화시킨다.
자. 개인방호용품의 사용 : 작업자에게 자동개인피폭선량계를 지급하여 작업 중 항
시 피폭선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과피폭이 되지 않도록 한다. 방호복 및
방호마스크를 사용하여 작업자의 내부피폭을 최소화시킨다.
차. 오염 확산방지 : 출입통제 및 방사성폐기물 저장용기를 이용하여 오염의 확산을
최소화한다.
카. 환기격납시설의 사용 : 임시격납시설에 고효율입자공기(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HEPA) 필터를 이용한 환기시설을 설치하여 공기 중 오염을 최

7-1
소화시킨다.

아라연구동 해체공사의 피폭 저감화 방안은 다음 4단계로 이루어진다.

가. 1 단계 : 해체작업별 예상피폭선량평가
나. 2 단계 : 해체작업방법의 기술적 평가(해체작업방법이 가장 효과적으로 피폭을
줄이는 방법으로 선정되었는지를 검토), 작업 최적화 및 절차수립
다. 3 단계 : 제염․해체공사 중 출입관리 및 해체작업의 실제 피폭선량 측정 및 관리
라. 4 단계 : 실제 피폭선량을 고려한 수행 작업 및 향후작업 계획 검토

아라연구동 해체공사에는 대부분 작업지역의 선량률 및 오염준위가 낮기 때문에 피


폭 저감화 방안 중 4단계는 모든 작업에 적용할 필요는 없다. 단지 실제 피폭선량
이 예상 피폭선량을 초과하여 방사선안전관리책임자가 해당 작업 및 향후작업의 검
토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4단계의 피폭 저감화 방안이 적용된다.

7-2
7.2 방사선방호 개념

7.2.1 방사선방호 정책 및 지침

아라연구동 해체의 목표인 사용 부지를 제한적 재사용을 위한 부지로 복원하는 것


은 엄격한 원자력 안전문화를 기반으로 달성될 수 있으므로 해체사업도 안전성을
항상 최우선 순위에 두어야 한다.

아라연구동 해체과정의 방사선방호 목표는 부지 내 모든 장소에서 그리고 예상되는


방사성물질의 유출로 인한 피폭이 ALARA와 사전에 설정된 선량기준치 이하로 유
지됨을 확신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는 계획, 해체설계, 해체 공사, 부지복원, 폐기
물처리 및 이송 등 전 과정에 걸친 통합적인 노력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국제방사성방호위원회(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ICRP) 지


침에 따르면, 일반인의 연간 선량한도는 1 mSv인 반면 방사선작업종사자는 연간 50
mSv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5년간 100 mSv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아라연구동 해
체 측면에서의 ALARA 목표는 작업종사자의 개인선량은 16 mSv/year, 집단선량은
100 man-mSv/year를 선량제한치로 설정하고 있다. 만일 아라연구동 해체 기간 중에
ALARA 목표선량을 초과하는 경우가 발생하면 선량을 낮출 수 있는 적합한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이에 대한 철저한 조사가 수행되어야 한다.

7.2.2 방사선방호활동

작업자 및 종사자의 방사선 피폭선량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방사선방호


활동을 수행한다.

가. 해체작업을 수행하는 방사선작업계획을 수립한다.


나. 방사선안전관리담당자는 해체작업을 위하여 수집된 방사선 방호계획을 검토하
고 이의 적합성 및 적용성을 평가하고 필요할 경우 개선하기 위한 권고를 한다.
다. 아라연구동 해체공사 시 작업장을 방사선 관리구역으로 설정하고 작업장으로의
출입을 통제하고 HEPA 필터가 구비된 환기설비의 가동 등을 통하여 방사성 물
질이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한다.
라. 제염, 해체작업은 주어진 작업절차서에 따라서만 수행하도록 하며 작업자의 과피

7-3
폭과 오염의 확산이 우려되는 작업은 그 대책을 수립한 후에 수행하도록 한다.
마. 방사성폐기물 수집절차를 수립하여 정해진 절차에 따라 방사성폐기물을 수거함
으로써 불필요한 오염의 확산 및 피폭선량을 줄인다.
바. 작업장은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분진발생이 예상되는 작업에는
진공청소기 등을 이용하여 공기의 오염가능성을 최대한 줄인다.

7.2.3 방사선방호 관련 조직구성 및 책임

한국원자력연구원장은 방사선방호, 오염관리, 제염에 대한 책임을 우선적으로 갖는


다. 방사선안전관리부서는 방사선 방호계획을 관리하는 책임을 갖는다. 또한 해체공
사가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의 방사선 방호요구 및 타 규정들의 기준에 부합됨을 확
인하는 책임을 갖는다. 방사선안전관리 책임자는 교육 및 훈련을 포함한 방사선 방
호계획의 수립 및 실행에 책임을 진다. 방사선안전관리부서 직원들은 방사선 방호
계획 실행의 전문가로, 방사선 피폭을 가능한 낮출 수 있도록 수립된 작업절차를
검토하고 그 이행을 관리하며, 작업현장의 오염도, 선량률 및 개인선량을 측정하고
평가한다. 방사선 작업과 관련된 모든 작업자의 피폭선량을 최대한 낮게 유지하고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7.2.4 방사선/능 조사계획

작업지역의 방사선학적 상태파악 및 적절한 관리를 위해 해체사업의 각 단계별로


적절한 방사학선적 조사를 실시한다. 초기 방사선/능 조사는 작업지역의 기본 상태
를 조사하기 위한 것으로써 해체설계 초기단계에 수행하여 설계를 위한 기본 자료
를 제공한다. 해체공사기간 동안은 방사선/능 준위의 작은 변화라도 측정하여 필요
한 조치, 예를 들어 임시차폐벽을 설치하거나 방호마스크를 갖추는 등의 조치를 취
하기 위해 제염 또는 해체작업 전에 방사선/능 조사를 수행한다. 최종 방사선/능 조
사는 각 시설별 해체공사가 완료된 후 즉시 수행하며 잔류 방사능의 준위가 목표치
이하이면 타 작업장으로부터의 오염 확산 방지 수단을 강구한다.

7.2.5 피폭평가계획

작업자의 일일 피폭선량을 파악하고 일일 최대 외부피폭선량인 40 μSv를 초과하지


않도록 전자개인피폭선량계(Automatic Individual Dosimeter, AID)를 착용하여 피폭량

7-4
을 관리한다. 부유선원의 가능성이 있는 작업에 대해서는 방호마스크를 사용하여
내부피폭을 최소화한다. 방호마스크를 사용하지 않는 작업장에서도 공기시료채취기
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내부피폭 유무를 판단한다.

해체 작업장에는 방사선준위와 공기오염정도를 작업자에게 알리기 위해 지역감시기


와 공기오염 감시기를 설치해야 한다.

7.2.6 방사선/능 측정기기

해체공사 수행 시에는 아라연구동에서 운영 또는 설치된 방사선감시기를 이용하며,


필요시 추가로 다음과 같은 방사선방호용 측정/감시기기를 설치, 운영할 계획이다.

가. 이동형 공기오염감시기
나. 이동형 지역감시기
다. 휴대용선량계
라. 개인전자선량계(EPD)
마. 알파/베타 및 감마 측정기
바. 감마핵종분석기
사. 알파핵종분석기

개인 피폭측정기를 포함한 모든 방사능 측정기는 관련 규정에 따라 검·교정을


받아 항시 사용가능한 상태를 유지한다.

7.2.7 방사선방호 장구 및 설비

해체공사 수행 시에는 다음과 같은 방사선방호설비를 설치, 운영할 계획이다.

가. 임시격납시설(텐트)
부유선원의 발생이 예상되는 아라연구동 방사선관리구역의 콘크리트 제거작업
전, 자체여과시설을 갖춘 임시격납시설을 설치하여 오염의 확산을 방지한다. 예
비필터 및 HEPA 필터를 직렬로 설치하여 임시격납시설의 공기를 환기시키는데
충분한 용량의 환기설비를 갖춘다.

7-5
나. 출입관리설비
해체 작업장으로의 출입은 반드시 출입통제소를 거쳐야 한다. 출입통제소에는
관리구역 출입자의 출입통제 및 피폭관리를 위한 출입통제장치, 자동피폭이력계
및 손발오염감시기가 설치된다.

다. 오염샤워실
해체 작업장에는 작업자의 오염사고 시 오염된 작업자의 제염을 위한 오염샤워
실(hot shower)을 설치한다.

모든 작업자는 방사선의 피폭 저감화를 위하여 작업장의 방사선 환경에 적합하게


아래와 같은 개인용 장구를 착용하여 작업에 임한다.

가. 개인 피폭선량계
나. 모자(또는 안전모), 장갑, 양말, 신발 등의 보호복
다. 방호마스크
라. 보안경

7.2.8 절차와 훈련

7.2.8.1 절차

아라연구동 해체작업을 위해 준비된 방사선 방호계획은 방사선 또는 방사성물질에


의한 피폭을 포함하여 모든 인허가에 필요하다. 여기에는 방사능 물질의 환경방출
과 작업자 피폭선량을 줄이기 위한 대책을 포함하며 서면으로 작성된 절차에 따라
실행된다. 다음은 방사선 방호계획 또는 실행절차에 포함된다.

가. 방사선구역 내 체류시간 및 접근제한을 위한 행정대책


나. 작업자와 장비의 오염제어
다. 적용규정에 따른 방사능물질의 수송통제
라. 기록방법, 보고 및 분석결과를 포함하는 작업자 감시에 대한 방법 및 절차
마. 과피폭의 경우, 작업자 내부피폭 평가 및 의료감시와 관련된 프로그램
바. 보호장비의 선정, 사용, 유지보수
사. 방사성동위원소 또는 타 방사능 물질의 취급 및 저장방법

7-6
아. 방사성폐기물 취급 및 처분

7.2.8.2 훈련

방사선 방호훈련의 목적은 모든 작업자가 방사선 피폭가능성이 있는 작업을 안전하


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훈련 프로그램은 필수적인 방사선방호 내용을
포함하며 작업자가 업무를 안전하게 수행하기 위한 기본지식부터 심화내용을 모두
포함한다. 방사선 안전관리팀 책임자는, 아라연구동에 할당된 모든 작업자와 방사능
물질과 관련된 작업에 대해 충분히 훈련되도록 한다. 또한 모든 작업자의 훈련내용
은 기록되도록 한다.

7-7
제염해체활동 8

8.1 해체공사 시 필요설비


8.2 제염활동
8.3 해체활동
8.4 비상계획
제 8 장 제염해체활동

8.1 해체공사 시 필요설비

8.1.1 공기조화 및 환기설비

해체공사 시의 환기는 기존의 환기설비를 이용한다. 따라서 기존 환기시설을 점검


하여 필요 시 보수한다. 그림 1.3-11과 같이 아라연구동의 환기시설은 배기 덕트를
통하여 굴뚝까지 이송되며 배출공기는 역류되지 않도록 한다. 이 시설은 방사선 관
리구역 내 종사자들에게 인입되는 공기의 온습도를 조절하여 작업 및 운전업무에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공기조화계통과 정상운전 중 발생하는 방사성물질이
실내에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환기계통으로 구분된다. 환기계통에서의 배기
는 환경으로 방출되기 전에 여과기(Air Cleaning Unit)를 거쳐 정해진 방출기준 이하
로 낮추어 스택을 통해 배출되며 재순환되지 않는다.

8.1.2 전기설비

각종 유압도구, 그라인더, 스캐블링기기, 진공청소기, 드릴과 같은 해체공사용 기기


및 도구에 필요한 전기는 기존의 전기공급 계통을 이용하여 공급하며, 필요시 비상
전원공급설비를 설치한다.

8.1.3 조명설비

아라연구동은 기존의 조명시설을 이용하되 필요시 임시 조명설비를 설치한다. 임시


격납설비 등에는 추가로 임시 조명설비를 설치한다.

8.1.4 소화설비

화재경보계통은 기존의 설비를 이용하며 기존 화재경보계통을 점검하고 필요시 보


수한다. 소화설비는 옥내외 소화전을 활용하며 소화전을 사용할 수 없는 작업지역
에는 분말소화기를 비치한다. 이에 관하여 11장 화재방호 부분에서 자세하게 설명
된다.

8-1
8.2 제염활동

제염활동은 오염된 기기 또는 오염된 구조물로 부터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해체/절


단 작업 시 작업자의 방사선 피폭을 최소화하고 나아가 방사성폐기물의 발생을 최
소화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모든 활동을 말한다. 따라서 제염활동은 해체
활동 이전에 수행하는 제염과 해체폐기물의 처리를 위한 해체 후 제염으로 나눌 수
있다.

8.2.1 해체 전 제염

해체 전 제염의 목표는 해체 동안 작업자의 피폭을 가능한 한 최소화하고 부유성


입자 오염물질의 부유를 막아 환기계통의 여과 장치 부담을 줄이고 나아가 환경 배
출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부유성 오염물질은 적절한 제염제를 사용하여 닦아내는 방법으로 제염한다. 사용된


제염제는 2차 폐기물로 처리된다. 물분사와 같이 2차 폐기물을 다량 발생시키는 제
염방법은 가능한 한 사용을 억제한다.
콘크리트 표면의 제염에는 스캐블링(scabbling) 방법을 사용하며 오염의 성격상 제
염제나 스캐블링 방법의 적용이 부적절할 경우에는, 상황에 맞도록 블라스팅, 그라
인딩, 커팅 등의 기계적 방법의 제염을 한다.

8.2.2 해체 후 제염

장비 등의 절단된 해체물은 제염을 통하여 방사성폐기물의 양을 최소화한다. 그러


나 이렇게 제염 처리가 2차 방사성폐기물의 양을 현격하게 증가시키거나 많은 비용
증가가 있는 경우 제염처리하지 않고 방사성폐기물로 처리함으로써 제염처리에 따
르는 2차 폐기물의 발생을 줄임으로서 보다 경제적인 처리를 택할 수 있다.

제염목표는 해체물의 방사능 농도를 낮게 하여 오염된 해체폐기물을 더 낮은 준위


의 방사성폐기물로 분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가능한 한 오염도를 규제해제 상
한치보다 적게 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해체물의 제염을 위하여 별도의 제염실을 설치하며 내부에는 아래와 같

8-2
은 장치를 설치한다. 이와 같은 제염실에는 별도의 HEPA 필터를 수반하는 환기시
설을 설치하여 제염 작업 동안 오염 확산을 최대한 억제한다.

가. 해체폐기물 세절 부스: 세절물이 제염 장치에 수납이 될 수 있는 크기까지 절단


한다. 절단장비와 독립적인 환기 시스템을 갖추지만 배기는 시설의 환기계통을
거치도록 한다.
나. 스팀분사 등 물리적 제염 장치
다. 기타 제염장치

8.2.3 부지개방을 위한 제염

건물의 파쇄 전에 수행되는 제염으로 부지의 개방을 목적으로 건물 내벽의 오염도


를 측정하여 필요시 제염을 실시한다.

8.2.4 제염기술

운영 중의 제염 기술은 가공시설 운영설비의 건전성을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가능


한 높은 제염계수를 달성하는 수준에서 적용되나, 해체 시의 제염기술은 운영설비
의 건전성 보다는 제염공정의 적용 가능성과 가능한 많은 양의 방사성물질을 제거
하기 위한 능력(제염효율)을 고려하여 선정한다. 따라서 운영 중에 적용되는 제염기
술에 비해 해체 시에는 다양한 제염기술의 선택이 가능하다.

제염기술은 적용 방법에 따라 크게 전기적, 기계적·물리적, 화학적 및 용융 제염으


로 구분할 수 있다. 전기적 제염에는 전해연마 방법이 있으며, 기계·물리적 제염은
손이나 기계를 이용하는 분사세척, 문지름 방법 및 모래연마 등이 있다. 또한 금속
물의 용융을 통해 방사성물질을 제거하는 용윰제염과 화학물질을 이용한 화학적 제
염이 있다.

8.2.4.1 전기적 제염법

전기적 제염법은 전기화학적인 반응을 활용하는 방법으로서, 제염 대상을 전해반응


조에 담구어 처리하는 방식으로 처리 시간이 짧고, 제염효과가 아주 높으며 이차폐
기물 발생량이 적다는 장점을 지닌다.

8-3
8.2.4.2 기계적 제염법

기계적 제염법은 표면 오염물을 물리적인 충격으로 제거하는 것으로서, 분사세척,


문지름 방법 및 연마 등으로 구분된다. 최근에는 제염 작업자의 방사선 피폭을 최
소화하기 위하여 자동화 설비에 의한 기계적 제염법 적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분사세척 방법은 고압수를 사용하여 분사된 물의 물리적 충격력으로 제염하는 것을


말하며 문지름 방법에 비해 종사자 피폭이 적으며 제염 대상의 크기, 형상에 관계
없이 간단히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지만 다른 기계적 제염법에 비해 폐액 발
생량이 많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와이어브러시, 수세미 등을 이용하여 금속물 표면의 방사성물질을 제거하는 수작업


표면제염 방법은 계면활성제를 이용해 제염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형태가 평탄하
고 표면상태가 균질한 금속물에 적용한다. 표면 상태가 거칠거나 복잡한 형태의 대
상물은 모래연마 방법을 사용하며 샌드브라스트 장비를 이용하여 (0.5~1.0)mm 크기
의 Stainless Steel Ball을 고압의 공기와 함께 대상물에 분사하여 표면을 연마함으로
써 표면의 방사성물질을 제거한다. 사이클론 방식을 통해 오염물질과 투사재를 분
리하여 오염물질은 폐기물로 분류하며, 투사재는 재사용하는 방식으로 강한 연삭력
에 의한 큰 제염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작업하기 용이하며 발생 폐기물량이 적다
는 장점 때문에 비교적 활발히 적용되고 있다.

8.2.4.3 초음파 제염법

초음파 제염법은 표면 오염물을 초음파를 전달하여 물리적 충격으로 표면 오염물을


제거하는 것이며 수 제염 작업으로 세척이 어려운 부분까지 제염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제염 작업자의 방사선 피폭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동화 설비로 운영할 수 있
다.

8.2.4.4 용융 제염법

복잡한 형상으로 인해 제염 및 측정이 어려운 금속물에 적용되는 금속방사성폐기물


의 제염방법인 용융제염 방법은 고주파 유도가열방식을 통해 대상 금속물을 용융로

8-4
내에서 용융하여 슬래그 응집제 등의 첨가제를 첨가하면 방사성물질이 슬래그에 포
집된다. 용융물 상부에 응집된 슬래그를 제거함으로써 융융금속물을 제염하며 용융
금속물은 냉각하여 인코트 형태로 응고시킨 뒤 재활용한다.

8.2.4.5 콘크리트 구조물 제염법

오염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염을 수행하는데 가장 중요한 작업원칙 중 하나는 2차


오염을 방지하는 것이다. 콘크리트 표면의 제염시 시설 내 오염원이 확산되어 제염
이 완료된 곳으로 재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이력 및 시설물 철거 후 격
실을 구분하여 각 격실별로 제염을 실시한다. 제염작업은 비닐막 등을 이용한 지역
격리, 격리지역내부 벽면제염, 바닥제염, 출입구 제염 및 출입통제 순으로 이루어진
다. 이후에 출입관리, 제염·해체 장비관리, 방호복 및 방호화등의 방사선작업관리,
집진기 설치 운영 및 제염완료 구역 내부 정압 유지를 수행하여 외부의 우라늄 오
염원이 제염 완료 지역 내부로 침입하여 재오염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콘크리트 표면에 도포된 방호도료를 제염제 및 수공구를 사용하여 천장, 벽면, 바닥
순으로 제거하고 콘크리트 표면에 방호도료가 도포되지 아니한 부위는 연삭기 등을
사용하여 기계적 제염을 실시하며 기계적 제염을 실시할 때는 분진발생 및 비산으
로 인한 작업자의 내부피폭이 발생하지 않도록 집진장치를 가동하고 오염분진의 비
산으로 인한 외부확산을 막기 위해 해당 구역 또한 비닐막 등으로 추가 격리한다.
표면제염 후 건식제염기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표면에 잔류한 분진을 제거하고 제염
완료 후에는 각 격실을 원자력안전법, 규제지침 및 ANSI/HPS N13.12에서 권고하는
기준에 따라 각 구획된 구역에서 표면오염도를 측정하여 원자력안전위원회 고시 제
2014-34호 ⌜방사선방호 등에 관한 기준⌟ 제 5조(허용표면오염도)에 따라 허용표면
오염도 0.4 Bq/㎠(알파핵종기준)의 1/10미만을 유지함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수행한
다. 콘크리트 표면제염 과정에서 발생된 폐기물은 용기에 담아 임시저장 후, 최종적
으로 한국원자력환경공단에 의뢰하여 처리한다.

8.2.4.6 오염부지 제염법

방사성 물질의 토양층 내의 이동은 지하수면의 위치, 공극률(Porosity)과 투수성


(Permeability)과 같은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의한 영향을 받고 토양의 제염 방
법을 선정하기 위해서는 부지 내 토양층의 특성과 더불어 대상 오염핵종에 대한 사
전 평가가 필요하다. 오염핵종의 제거방법으로 적용되는 기술은 생물학적, 물리화학

8-5
적, 열적 기술로 분류되고 생물학적 기술은 유기화학물의 생분해를 촉진시켜 적용
하는 방법이고, 물리화학적 방법은 오염토양과 오염핵종을 추출하는 전기적 방법
등이 있으며 열적 기술은 토양을 소각 또는 열분해 처리를 하여 오염 핵종을 분해
시키는 기술이다.

아라 연구동은 저농축우라늄을 취급하는 시설로, 타 원자력시설에 비해 오염도가


낮고 대부분의 오염이 표면오염에 국한되는 특성을 지닌 시설이기에 해체작업 시
기계·물리적 제염이 적용될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시설의 상세 특성평가를 통해
제염방법은 변경될 수 있다.또한

8-6
8.3 해체활동

8.3.1 해체 작업의 순서

아라 연구동은 하나의 건물로 구성되어 있다. 아라 연구동은 그림 8.3-1와 같이 운


영 중에 남아 있던 방사성물질(핵물질 포함)을 시설로부터 제거한 후 인허가 문서
작성, 해체계획 수립, 해체설계, 특성평가 등을 포함하는 해체 사전준비 작업을 수
행한다. 그 후, 본격적인 해체공정(제염, 철거, 파쇄, 폐기물 처리 등)가 수행되고 부
지 개방을 위한 잔류방사선조사 및 부지복원 작업 순으로 해체가 진행된다.

그림 8.3-1 아라 연구동 해체 순서

8.3.2 준비공사

해체작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기 전에 다음과 같은 준비공사를 수행한다.

8-7
가. 출입통제 설비의 설치 : 해체작업구역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하여 건물에 작업원
의 출입구 하나와 해체 시 발생하는 폐기물의 통로 하나만 설치하며 다른 출입구
는 폐쇄한다. 해체작업에 관련된 작업자만이 해체작업구역으로의 출입이 허용된
다.

나. 갱의실 및 샤워실 설치 : 갱의실에는 개인방호장비를 비치하며 출입분리대를 설


치하여 오염의 확산을 방지한다. 샤워실은 오염 및 일반 샤워실을 별도로 설치
하여 샤워이전에 작업자의 오염여부를 확인한 다음, 오염된 작업자는 오염샤워
실을 이용하고, 기타의 경우에는 일반 샤워실을 이용토록 하여 방사성액체폐기
물의 발생을 최소화한다.

다. 임시 격납설비 및 환기시설 설치 : 오염기기의 절단, 콘크리트의 제거와 같은


많은 분진의 발생 우려가 있는 작업 수행 시에는 임시격납설비를 설치하며 이
격납설비에는 이동식 환기장치가 부착된다.

라. 각 시설의 격리 및 불필요 유틸리티 차단 : 다른 목적의 격실, 방사능 오염 준위


가 다른 시설이나 격실 등을 통과하는 덕트, 배관, 문 등은 차단하여 해체 작업
시 오염의 역류나 확산을 방지한다. 그러나 부득이한 경우 누설이 없는 것을 정
기적으로 확인한다. 문은 시건장치를 하여 필요시에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마. 제거 가능한 모든 방사성 물질(물체)의 제거 : 제염, 절단 작업에 돌입하기 전에


잔류 표적, 방사성폐기물, 사무용품 등 모든 이동 가능한 물체를 제거한다.

바. 특성평가를 통해 시설 내외부의 오염도를 분류하고, 오염도에 따른 해체계획이


수립된다.

사. 해체 작업을 위한 비계틀 설치

이밖에 아래와 같은 업무가 준비 작업으로 수행된다.

가. 비상구 및 기타 안전 표지판 및 설비의 설치


나. 방사선 관리/감시 장비의 설치 및 시험운전 완료

8-8
다. 발생 방사성폐기물 임시저장장소의 확보
라. 각종 작업 장비, 기기의 보관 장소 확보
마. 자체처분대상 폐기물 검사대의 설치
바. 기존의 운전폐기물 및 실험장비의 제거 확인

8.3.3 아라 연구동

아라 연구동의 해체는 저오염구역에서 고오염구역, 2층에서 1층, 출입구로부터 먼


구역에서 가까운 구역 순으로 진행되며, 해체 순서는 그림 8.3-1과 같다.

표 8.3-1 절단 방법의 특성

절단두께 수작업 폐기물


절단 방법 재료 절단 속도
(mm) 가능성 발생량

금속 100이상 빠름 ○ 많음
열 분말 화염
콘크리트 1,000이하 빠름 × 매우 많음

콘크리트 2,000이하 중간 ○ 매우 많음
테르밋랜스

금속 500이상 중간 ○ 많음

플라즈마 금속 130이상 빠름 ○ 중간

톱 금속 10∼3,000 중간 ○ 적음
전단
금속 10이하 빠름 ○ 적음
(Shearing)

금속 5이하 느림 ○ 중간
계 연삭
적 콘크리트 500이하 중간 × 많음

다이아몬드 콘크리트 300이상 중간 × 중간



와이어 금속 50이상 느림 × 많음

워터젯 금속 300이하 느림 × 중간

(연마제 혼합) 콘크리트 500이하 중간 × 많음

8-9
8.3.3.1 해체기술

해체 시 방사능에 오염된 공정장치, 설비 및 구조물은 하나(One piece)로 제거하거


나 처분 용기에 담을 수 있는 적정 크기로 절단한다. 방사능에 오염된 장치, 설비
및 구조물은 형상, 재질 및 크기에 따라 절단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절단방법에는
원형톱, 연삭 절단기 등의 절단기를 사용하는 기계적 절단 방법과 산소절단기, 프라
즈마 절단기 등 열을 이용하여 부재를 녹여서 절단하는 열적 절단방법이 있다.

가. 기계적 절단
기계적 절단방법은 절단 장비가 대상물을 직접 접촉하여 절단이 이루어지는 것
이 특징이며 산업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을 적용한다. 필요시 해체 대
상물에 맞게 장비를 개조하여 사용한다. 기계적 절단 방법은 비교적 단순하지만
정비 및 마모 부품의 교체에 상단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나. 열적 절단
열적 절단방법 또한 이미 상용화되어 있는 장비를 활용하며 절단 목적에 맞게
개조하여 사용하며, 열적 절단의 준비 작업은 기계적 절단 작업에 비해 복잡하
나 정비 및 소모성 부품의 교체는 비교적 용이하며 기계적인 절단 장비에 비해
그 크기는 작지만 절단속도는 상대적으로 빠르다. 열적 절단을 위해서는 작업수
행 시 기계적 절단 장비보다 공기 중 부유 오염물질이 많이 발생하므로 작업전
에 환기시설, 공기집진 및 차단막(텐트) 등 철저한 작업 준비가 필요하다.

8.3.3.2 해체활동 계획

방사성오염이 낮은 관리구역 내의 설비와 기기부터 해체와 철거를 착수하고, 해체


및 철거에 사용되는 장비는 표 8.3-1 중에서 대상과 용도에 적합한 장비를 선정한
다. 핵물질 저장고는 아라 연구동 해체 시 발생하는 폐기물을 임시 저장 및 처리하
는 구역으로 활용되므로 시설 중 가장 늦게 해체를 수행한다.

① 아라 연구동 외부 설비
② 저농축우라늄을 취급하지 않는 구역(구역 1)
③ 밀봉 우라늄을 취급하는 조립구역, 분석실, 제어실 등
④ 비부유성 밀봉 우라늄을 취급하는 분말처리, 검사, 압출 및 산화구역

8-10
⑤ 부유성 밀봉 우라늄을 취급하는 분말처리 및 제조실
⑥ 핵물질 저장시설

내부 구조물에 대한 절단, 철거 및 해체작업은 작업 용이성과 종사자의 산업적 및


방사선위험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해체활동계획을 수립한다. 방사능 오염구
역의 해체작업 시에는 기존의 공기정화계통을 활용하거나, 임시 공기정화계통을 설
치하여 방사능 오염물질이 확산되지 않도록 하며, 절단 등으로 해체되는 기기의 경
우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인도기준에 적합하도록 방사능 오염 정도, 재질, 폐기
물 발생 위치 및 발생 일시 등에 따라 적절하게 분류 및 처리한다.

가. 절단 방법 선정
절단 기술을 선정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영향인자는 절단 대상물의 크기, 재질,
절단환경, 2차폐기물 발생량과 종사자에 미치는 피폭선량 등이며 산업계에서 많
이 활용하고 있는 범용 절단 장비를 대상물의 절단 상황에 맞게 개조하여 활용
하는 것이 경제적이며 장비의 신뢰도도 높일 수 있다. 현재 여러 가지 절단 및
해체 신기술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며, 향후 개발되는 선진화된 기술들을 검토
하여 작업의 특성에 따라 가장 적합한 기술을 적용하여 절단작업을 수행한다.

나. 금속 및 구조물 절단
구조물의 형태, 크기 및 재질 등에 따라 적합한 기계적 또는 열적 절단장비를
사용하여 200리터 드럼에 담을 수 있는 크기로 절단한 후, 오염 정도, 재질 및
발생 위치에 따라 분류 및 처리한다.

다. 콘크리트 구조물 해체
가공시설 구조물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콘크리트의 내부 표면은 우라늄으
로 다소 오염되어 방사선관리절차에 따라 시설 내부의 방호도료 등을 제거하는
제염작업을 수행하고 표면오염도 측정을 통해 방사선안전관리규정 및 방사성폐
기물 관리절처서에 의거하여 처리한다.

콘크리트 구조물은 내부구조물과 외부구조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내부의 콘크


리트 구조물은 제염을 수행하 후 해체한다. 콘크리트에서 분리된 철근은 열적
또는 기계적 절단 장비를 사용하여 적절한 크기로 절단 후 처리한다.

8-11
8.4 비상계획

비상계획은 해체공사 수행 시에 다음과 같은 비상사태에 대비해 작성된다.

가. 화재
나. 오염
다. 방사선 누출
라. 보안

이외에도 해체 작업시에는 크레인을 이용한 인양 중 전원상실, 환기계통 고장, 오염


구역에서의 작업 중의 방호장비의 파손과 같은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해체공사
계약자는 위와 같은 비상사태에 대비하여 아래와 같은 조치사항을 포함한 비상대응
절차서를 작성한다.

가. 비상사태의 통제
나. 부지, 작업자 및 대중의 피해 최소화
다. 장비 파손의 경감

모든 작업자는 비상사태에 대비한 교육을 사전에 받아야 하며 임시작업자 및 임시


출입자는 책임자의 동반 하에서 출입이 가능하다.

8-12
방사성폐기물관리 9

9.1 개요
9.2 운영중 발생 방사성폐기물 특성
9.3 해체 방사성폐기물 특성
9.4 방사성폐기물 처리, 포장, 운송 및 처분
제 9 장 방사성폐기물관리

9.1 개요

아라연구동의 해체 시 처리해야 하는 방사성폐기물은 크게 아라연구동 운영 중 발


생되는 운영 중 방사성폐기물과 해체공사 중 발생되는 해체 방사성폐기물로 구분된
다. 여기서 운영 중 방사성폐기물이란 시설들이 운전영구정지가 확정된 시점에서
처리되지 못하고 시설 중에 잔류하는 방사성폐기물을 의미한다.

아라연구동으로부터 발생된 방사성폐기물은 고체폐기물, 액체폐기물 및 기체폐기물


로 나눌 수 있다. 고체폐기물은 부피 저감화 작업을 통하여 발생량을 최소화하며
방사능 준위에 따라서 중준위폐기물, 저준위폐기물, 그리고 극저준위폐기물로 분류
하여 포장한 후 해체기간 동안에 부지 내 자체임시저장고(임시저장고)에 저장 관리
한다. 본 시설에 액체폐기물 처리시설이 설치되지 않았기에 액체폐기물은 수집 후,
부지내의 처리시설(자연증발시설)로 이송하여 처리하거나 이동형 액체폐기물처리설
비를 설치하여 처리과정을 거쳐 고체폐기물로 변환시킨 후 방사능 준위에 따라서
중준위폐기물, 저준위폐기물, 그리고 극저준위폐기물로 분류하여 포장한 후 임시저
장고에 저장 관리한다. 해체 중 발생된 기체폐기물은 HEPA 필터 등에 포집되어 고
체폐기물로 발생되며 이들은 방사선 세기에 따라서 저준위폐기물 또는 극저준위폐
기물로 분류하여 포장 후 임시저장고에 저장 관리한다. 해체가 완료되면 임시저장
고에 저장 관리되고 있는 방사성폐기물은 한국원자력환경공단으로 이송하여 처분한
다.

운영 중 발생한 방사성폐기물의 관리는 해체작업의 일부가 아니라 아라연구동 운전


정지작업의 일부로 취급된다. 운영 중 발생하는 폐기물을 아라연구동의 영구운전
정지 후에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관리, 처리하기 위하여서는 해체 작업에서와는 달
리 운영 과정 중 이용되었던 폐기물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영
구적인 운영정지가 결정된 시점에서 시설에 잔류하는 방사성폐기물은 운영정지 후
조속한 시일 내에 기존의 방사성폐기물 관리 시스템에 의하여 모두 처리한다.

9-1
9.2 운영 중 발생 방사성폐기물 특성 및 처리

9.2.1 방사성액체폐기물

아라연구동이 정상적으로 운영되는 동안 어떠한 액체방사성폐기물도 발생하지 않는


다. 지하 1층에 설치된 액체폐기물 저장탱크는 비상시 오염된 작업자의 샤워수 또
는 관리구역 화재시 스프링클러 배수를 수집하기 위해 설치되며, 액체폐기물은 무
방류 개념(zero release concept)에 따라서 자연증발시설로 이송시켜서 증발 처리한
다.
처리 후 부피가 최소화된 건조물을 고화계통으로 이송시켜서 고화 방법으로 처리를
한 후 방사성폐기물 인도 규정[9-2]에 맞도록 드럼에 옮긴다. 고화가 완료된 드럼은
방사성폐기물 임시저장고로 이송시켜서 저장한다.

9.2.2 방사성기체폐기물

아라연구동에서 정상 운전 시 발생 가능한 방사성 기체폐기물은 해당 시설의 환기


계통에서 여과처리 후, 방사능 연속감시기로 감시하면서 스택을 통해 환경으로 배
출한다. 아라연구동의 영구정지 후 기체폐기물은 발생하지 않는다.

9.2.3 방사성고체폐기물

정상운전 기간 동안 발생하는 고체폐기물은 수집 저장되며 영구 운전정지 후에도


일부 잔류할 가능성이 있다. 수집된 고체폐기물은 용기에 담겨져 임시저장고에서
처분장으로 운반하기 전까지 저장 관리한다. 처리/포장 후 폐기물의 특성은 국내 방
사성폐기물 인도규정에 적합하도록 한다.

9-2
9.3 해체 방사성폐기물 특성

방사성폐기물 분류 및 자체처분 기준에 관한 규정에 의하면 방사성폐기물은 고준


위, 중준위, 저준위, 극저준위, 규제해제 폐기물로 분류된다.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은
반감기 20년 이상의 알파선 방출 핵종의 농도가 4,000 Bq/g 이상이고 열발생률이 2
kW/m³이상인 폐기물로서, 본 시설의 해체로 인해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은 발생되
지 않는다. 중준위방사성폐기물은 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 중에서 저준위방사성폐
기물의 방사능 농도 제한치의 핵종별 농도 이상인 것을 말한다. 저준위방사성폐기
물은 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 중에서 방사능 농도가 자체처분 허용농도의 100배 이
상이고, 저준위방사성폐기물의 방사능 농도 제한치의 핵종별 농도 미만인 것을 말
한다. 극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은 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 중에서 방사능 농도가 자
체처분 허용농도 이상이고, 자체처분 허용농도의 100배 미만인 방사성폐기물을 말
한다.

아라 연구동(가공시설)에서 발생된 방사성폐기물은 고체폐기물, 액체폐기물, 그리고


기체폐기물로 나눌 수 있다. 고체폐기물은 자체처분 대상 폐기물과 부피감용 폐기
물로 분류하여 발생량을 최소화 하며 발생된 폐기물은 방사성폐기물관리절차에 따
라 처리한다. 액체폐기물은 수집 후 자연증발시설 이송하여 처리한다.

아라 연구동 해체로부터 발생되는 폐기물의 관리계획은 그림 9.3-1과 같다.

그림 9.3-1 해체폐기물 관리 계획

9-3
9.3.1 해체 액체방사성폐기물

아라연구동 내의 모든 설비의 운전이 정지되는 때를 기준으로 운영 중 발생한 방사


성 액체폐기물이 아리연구동 내에 잔존 가능하다. 이때 잔류하는 방사성 폐기물의
특성은 운전 중 발생하는 폐기물과 동일하며 따라서 운영 중 액체폐기물을 처리하
는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한다.

해체공사 중에는 액체폐기물의 발생을 줄이기 위하여 가능한 한 물이나 수용액의


사용을 억제하고, 제염작업 시에도 가능한 한 건식 제염방법을 적용한다. 따라서 해
체공사 시 발생되는 액체폐기물로는 콘크리트 제거작업 시 사용되는 소량의 냉각수
와 신체 제염(hot shower) 및 작업복 세탁 시 발생되는 세탁폐액이 대부분이다. 냉
각수 폐액이란 콘크리트 절단작업 시 사용되는 냉각수를 소량의 물을 재순환시키며
사용하는 중에 발생한 폐액, 그리고 방사성 샤워/세탁폐액이란 샤워/세탁폐액 중 방
사능 분석을 실시하여 방사능이 검출기의 검출한계치 이상인 것을 말한다.

9.3.2 해체 고체방사성폐기물

해체공사 시 발생되는 고체폐기물은 방사성폐기물 분류 및 자체처분에 관한 규정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가. 자체처분대상 폐기물
나. 극저준위 고체폐기물
다. 저준위 고체폐기물
라. 중준위 고체폐기물

9.3.2.1 자체처분대상 고체폐기물

해체공사 중 자체처분대상 폐기물도 발생되며, 이들은 오염도가 매우 낮거나 거의


없는 폐기물이다. 예를 들어, 아라연구동 건물 내부 구조물(콘크리트)이 여기에 속한
다. 자체처분대상 폐기물은 자연방사능을 제외한 방사능이 원자력안전위원회 고시
제2014-003호(방사성폐기물분류 및 자체처분 규정)에서 정한 기준치 이하의 폐기물
을 말한다. 자체처분대상 폐기물의 대부분은 아라 연구동으로부터 발생될 콘크리트

9-4
폐기물과 시설 내 오염이 적은 장치로부터 발생하는 금속 폐기물이다.

콘크리트 폐기물의 양은 방사선관리구역 내부 구조물의 오염범위에 따라 차이가 있


을 수 있다. 오염도 조사 결과 등을 통하여 구조물에서의 오염준위를 판단할 수 있
다. 오염도 조사에 따라 비방사화 부분의 콘크리트는 자체처분 대상 폐기물이 될
것이나 극저준위 콘크리트라도 제염을 통해 자체처분 또는 비방사성 콘크리트로 분
류될 수 있다.

9.3.2.2 극저준위 고체폐기물

극저준위 폐기물은 방사능이 자체처분 폐기물과 저준위 폐기물 사이의 값을 가진


다. 극저준위 폐기물의 발생은 자체처분 폐기물의 부근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폐기
물의 종류 및 발생 장소는 자체처분 폐기물과 동일하다.

해체공사 중에는 종이, 수건, PVC 장갑, 방호복 및 폴리에틸렌 등의 2차 방사성폐


기물들이 발생되며 이들이 주로 여기에 해당된다.

9.3.2.3 저준위 고체폐기물

아래와 같은 기기 및 물체들이 저준위 고체폐기물로 분류될 것이다.


가. 해체과정에서 사용된 환기설비의 필터
나. 콘크리트 제염 Scrap
다. 액체폐기물저장탱크

9.3.2.4 중준위 고체폐기물

아라 연구동의 해체 시, 중준위 고체폐기물은 발생치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9.3.3 해체 기체폐기물

해체 중에는 건물 내부의 천정, 벽체 및 바닥 제염 그리고 원자로 수조 해체를 위


하여 콘크리트의 절단 시 발생하는 분진을 함유하는 기체 유출물을 제외하고는 방
사성기체폐기물은 발생하지 않는다.

9-5
9.4 방사성폐기물 처리, 포장, 운송 및 처분

아라 연구동의 해체기간 동안 발생하는 폐기물은 9.3절에서 기술하였듯이 액체폐기


물은 수집 후, 한국원자력연구원 부지내에 위치한 자연증발시설로 이송하여 처리하
며, 기체방사성폐기물의 시설의 환기계통과 추가로 설치되는 임시환기설비를 거친
후 스택을 통해 환경으로 방출되며, 고체방사성폐기물은 임시저장 후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인도규정에 적합한 조건으로 처리하여 최종 처분된다.

본 절에서는 아라 연구동 해체기간 동안 발생하는 폐기물 중 대부분을 차지할 것으


로 생각되는 고체폐기물의 처리, 포장, 운송 및 처분에 대하여 기술한다.

해체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체폐기물의 처리 및 처분절차는 그림 9.4-1과 같으며, 고


체폐기물 중 금속폐기물은 제염과정(그림 9.4-2, 그림 9.4-3 참조)을 거쳐 자체처분
(그림 9.4-4 참조) 또는 최종 처분된다. 영구처분을 위한 폐기물 인도 절차는 그림
9.4-5에 나타내었다.

그림 9.4-1 고체폐기물 처리·처분 절차

그림 9.4-2 금속폐기물 제염 처리 절차 (예시)

9-6
그림 9.4-3 금속폐기물 용융제염 처리 절차 (예시)

그림 9.4-4 자체처분 절차 (예시)

그림 9.4-5 방사성폐기물 처분장 인도 절차

9-7
환경영향평가 10

10.1 해체 전 환경감시
10.2 해체 중 환경감시
10.3 주민에 대한 영향
제 10 장 환경영향평가

아라연구동 해체로 인한 방사선 또는 방사능이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


여 해체 인허가 신청 시 제출하여야 한다. 따라서 관련 법령 및 규정을 근거로 아
라연구동에 대한 방사선환경영향평가를 실시하여 작업종사자와 주변 환경에 미치는
방사선의 영향평가를 수행함으로써 해체작업으로 인한 방사선에 대한 안전성 확보
와 해체 작업 중 예기치 않은 방사성물질의 방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초자료
를 확보하고자 한다. 또한 아라연구동 해체 인허가시 제출될 환경영향평가보고서에
제시할 시설부지 주변에 대한 해체공사 전 환경감시계획 및 해체공사 중 환경감시
계획을 수립하여 시설의 해체가 안전하게 수행되고 있음을 확인한다.

10.1 해체 전 환경감시

해체 전 환경감시는 방사선 및 방사성물질에 대한 감시를 통하여 아라연구동의 주


변주민이 받는 피폭방사선량을 추정, 평가하고 아라연구동의 주변 환경에 있어서의
방사성물질의 축적경향을 파악하여 아라연구동으로부터 예기치 못한 방사성물질의
배출에 의한 주변환경의 환경감시의 기준을 제공한다. 실제 감시내용은 원자력안전
위원회고시 “원자력이용시설 주변의 방사선환경조사 및 방사선환경영향평가에 관
한 규정”에 따라 작성된 아라연구동 방사선환경영향평가서의 가동 중 환경감시와
동일하게 수행된다.

10.1.1 조사계획

아라연구동 주변 환경방사선 조사계획은 아라연구동 가동에 의한 주변 환경의 방사


능 준위 파악, 방사능의 환경 중 축적경향 조사, 주민피폭선량 평가 등의 목적에 적
합한 환경매체를 고려한다. 가공시설에서 배출되는 예상 핵종은 U-234, U-235,
U-238이 있으며 이들 핵종에 의한 환경방사선 및 환경시료의 조사항목, 주기, 방사
선량 측정 및 시료채취지점은 아라연구동 방사선환경영향평가서를 참조한다.

10.1.2 검출목표치

환경방사선 조사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검출목표치는 원자력안전위원회 고시 제


2014-12호(원자력이용시설 주변의 방사선환경조사 및 방사선환경영향평가에 관한

10-1
규정)의 규정에 따르며 상세 목표치는 아라연구동 방사선환경영향평가서에 제시하였다.

10.1.3 자료처리 및 평가

10.1.3.1 기록관리

조사의 객관성 유지와 사후 검증 등을 위하여 일련의 조사과정은 상세히 기록하며


다음과 같이 보관 관리한다.

가. 시료명
나. 채취지점(지명과 정확한 위치, 방위, 거리, 표시 등)
다. 시료채취일시
라. 채취량
마. 시료채취방법(채취기, 채취용기 등)

10.1.3.2 자료처리

환경조사 자료의 처리는 원자력안전위원회 고시 제 2013-4호(원자력이용시설 주변


의 방사선환경조사 및 방사선환경영향평가에 관한 규정)의 제 8조에 따르되 측정결
과에 대한 신뢰성 확보를 위해 계측자료를 통계 처리하여 평가한다. 주요 통계처리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평균치와 평상시 변동범위(최소치~최대치)


나. 측정오차의 합성
다. 이상치와 원인조사 후 재분석 또는 기각처리

10.1.3.3 측정자료 평가

환경조사 결과 얻어진 계측치로 시료중의 방사능농도가 아라연구동 운영에 의해 영


향을 받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으로 평상범위를 설정한다. 평가결과 계측치가
평상범위를 벗어났을 경우에는 그 원인을 조사하여 원인 및 대책 등을 기술하며 만
일 그 원인이 계측과정의 오류 등에 의해서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그 원인을 제
거하고 재측정을 실시하여 이를 데이터 처리한다.

10-2
10.2 해체 중 환경감시

해체 중 환경조사는 해체과정에서 발생하는 방사성유출물에 의한 주변주민에 대한


영향을 해체 전 환경감시의 결과와 비교하여 평가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환경감시
의 조사계획, 분석항목, 검출목표치, 자료처리 및 평가 등은 해체 전 환경감시와 동
일한 방법으로 수행한다. 다만, 해체 중 특수한 작업 및 일정으로 인해 감시 핵종
및 위치 등의 변화가 야기되거나 야기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는 이를 반영하여
수행한다.

부지의 환경감시는 인구분포, 위상, 방위각과 아라연구동 인근지역의 대기 확산인자


등을 고려하여 원자력안전위원회 고시 2014-12호(원자력이용시설 주변의 방사선환
경조사 및 방사선환경영향평가에 관한 규정)에 준하여 수행한다. 환경 감시계획에는
시료채취를 위한 위치선정, 채취방법, 시료 사전처리 및 분석방법에 관한 내용을 포
함한다. 시료채취 및 감시위치는 측정을 대표할 수 있어야 하며 감시위치와 주기에
따른 환경변화 경향을 감시할 수 있어야 한다. 환경감시는 지역의 계절영향에 따른
변화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해체가 최종 완료되는 시점(부지복원)까지 수행되어야 한
다.

10-3
10.3 주민에 대한 영향

주민의 피폭선량과 기체상 방사성물질의 방출을 ALARA 원칙에 따라 최소화함으로


써 주민의 안전과 환경을 보호하는 안전성확보를 최우선으로 한다. 해체공사 기간
중 방사성고체폐기물은 적절한 저장용기에 포장되어 한국원자력연구원 부지 내에
임시 저장되므로 환경으로의 방출은 없으며, 액체방사성폐기물은 전량 자연증발시
설에서 처리된다. 따라서 해체공사기간 동안 환경으로 방출되는 방사성물질은 오염
기기의 절단 및 콘크리트의 철거 작업시 분진형태의 방사성물질만을 고려할 수 있
다. 해체공사기간 중 정상작업으로 인하여 대기로 방사성물질이 방출될 가능성이
있는 작업은 오염 콘크리트와 기기의 제염작업만을 고려할 수 있으나, 이 또한 환
기설비가 갖추어진 작업장(텐트)에서 수행되며, 환기설비는 시설의 환기계통으로 연
결되어 스택으로 배출되기에, 배출관리기준을 초과하여 환경으로 배출되지 않을 것
이다.

방사성물질이 환경 중으로 이동하는 동안 복합적인 상호작용을 동반하게 되며, 주


민이 받는 피폭선량은 방사성물질에 의한 외부피폭 및 호흡과 섭취로 인한 내부피
폭으로 구분된다. 즉, 대기를 통해서 부지경계선 외부로 확산된 방사성물질로부터
부지주변 주민이 받는 방사선피폭은 오염된 대기, 토양에 노출됨으로써 받게 되는
외부피폭과 호흡 및 음식물 섭취로 인해 체내에 축적되는 방사성물질에 의한 내부
피폭이 있다.

아라 연구동의 해체로 인한 주민피폭선량은 시설의 정상 운영중 피폭선량평가와 동


일한 방법으로 평가된다. 즉, 주민피폭선량평가는 US NRC Regulatory Guide
1.109dp 근거하여 동 위원회에서 개발한 GASPAR Ⅱ 전산프로그램을 Microsoft
Windows 환경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입력창을 개선한
NRCDose72(GASPAR Ⅱ) 전산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가한다. 이 전산프로그램에는
14개 특정장기 등가선량 및 유효선량을 계산하기 위해 169개의 방사성핵종에 대한
ICRP-60 개념의 선량환산인자(ICRP-72 권고)가 각각 내장되어있다.

10-4
화재방호 11

11.1 화재 및 폭발안전
제 11 장 화재방호

11.1 화재방호계획

화재의 폭발 가능성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가능한 불연성 및 내열성 재질을 사용하


여 화재로부터 피해를 최소화 하도록 화재 감지 및 진압계통 등의 화재방호 계통을
유지하여 외부환경으로의 위험물질이나 방사성물질의 잠재적 방출과 화재위험의 변
화에 대응하도록 화재방호계획을 수립하고 지속적으로 유지한다.

11.1.1 화재방호 관련 조직의 책임 및 권한

(1) 연구원 소방안전관리규정에 따라 소방안전관리자를 임명한다. 소방안전관리자


는 시설의 해체로 화재감지계통이 제거된 후에는 가공시설 내를 주기적으로
점검한다. 건물이 완전히 해체되거나 모든 화재위험이 제거될 때가지 소방안
전관리자를 유지한다.
(2) 아라연구동 해체시 旣조직된 시설담당 자위소방대를 유지한다.
(3) 자위소방대 조직은 소방대장과 부대장 및 지휘와 연락을 담당하는 본부소대
장, 소화기 등 소방시설을 이용한 조치를 수행하는 소수방소대장, 대피 및 방
호조치를 담당하는 방호복구소대장 및 의료구호활동과 화생방을 담당하는 조
직으로 구성된다.

11.1.2 화재방호 훈련 등

(1) 연구원의 소방계획서에 따라 구성된 소방안전관리자 및 자위소방대는 연 1회


소방대의 훈련과 실습을 수행하고 화재위험에 상응하는 정도로 훈련을 실시
한다. 해당 훈련시 관할 소방서와 연계하여 훈련과 실습이 수행되며, 각종검
사 수검을 연 1~2회 관할 지역소방대를 통해서 진행한다.
(2) 해체기간 중에 인명안전을 위하여 대피경로를 설정하고 유지한다. 가공시설의
배치 변경 시 비상조명과 대피경보 요건을 고려한다.

11.1.3 화재발생대응

(1) 화재발생시 최초발견자가 화재발생을 알리고 조기진압을 위해 인근직원의 협

11-1
조를 얻어 자체소화시설에 의한 진압작업과 동시에 경비근무자에게 연락하여
야 한다.
(2) 경비근무자는 지체없이 소방안전관리자와 시설안전관리책임자 및 화재방호관
련 부서장, 직장자위소방대장에게 보고하여 비상연락망을 이용하여 자위소방대원을
소집한다.
(3) 자위소방대는 각 임무에 따라서 화재를 진화하며, 방호안전소대 요원은 부근
의 인화성재료를 이송한다. 이후 화재확산 정도에 따라서 지역소방대등 관계기관에
급보한다.
(4) 지역소방대가 현장에 도착시 자위소방대장은 화재발생 및 확산현황을 설명하
고 지역 소방대 통제관의 지시에 따라서 화재진압을 지원한다.
(5) 시설 자위소방대장 또는 방화관리자는 화재피해 현황, 발생원인 등 사고에 대
한 종합적인 상황을 정리하여 관련 연구소장 및 원장에게 보고한다. 또한 상
황을 정리하여 관계기관에 보고한다.

11.1.4 화재진압시 유의사항

방사선 비관리구역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일반화재와 같이 소화기, 옥내소화


전 등의 소화시설을 이용하여 화재진압을 실시한다. 방사선 관리구역에서는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주수소화가 가능한 지역과 주수소화가 불가능한 지역으로 구분하
여 화재진압을 실시하여야 한다. 방사선 관리구역이지만 주수소화가 가능한 지역은
방사선 비관리구역의 화재진압과 마찬가지로 소화기, 옥내소화전 등의 소화시설을
이용하여 화재진압을 실시하고 방사선 관리구역에서 주수소화가 불가능한 지역은
청정소화약제, Dry powder 등 기타 적응성 있는 소화기를 이용한 화재진압을 실시
한다. 방사선 관리구역은 화재진압을 실시한 후 소화수 소화분말 등은 방사선폐기
물처리과정을 거치도록 한다.

11.1.5 화재의 확산방지

내화방벽과 방화지역 경계는 가공시설 해체로 인한 변경사항을 반영하여 화재위험


도 분석 등으로 평가한다. 필요한 경우 다음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내화방벽과
방화지역 경계를 유지한다.
(1) 화재위험의 격리
(2) 화재에 대한 억제, 진압 및 제어능력의 지원

11-2
(3) 종사자의 대피통로 보호
(4) 방사성 오염물질 확산 최소화

11.2 화재 및 폭발 안전

11.2.1 화재 안전

해체사업 수행 중 화재 발생 가능성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주의가 요구된다.

가. 방사선관리구역 내부는 화재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금연구역으로 설정된


다.
나. 해체작업구역으로 반입되는 모든 발화원들은 작업감독자의 허가를 받아야 하며,
적절한 사전조치가 취해져야 한다.
다. 가연성물질은 적절한 내화 설비 내에 저장되지 않는 한 건물 내에 저장되지 않
는다.
라. 절단 작업 시 프레임 절단이나 그라인더의 사용이 예상되나, 가능한 다른 기기
를 가용하여 프레임 절단이나 그라인더의 사용을 최소화한다. 프레임절단이나
그라인더 또는 스파크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는 유사한 기기를 사용할 경우에
는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한다.

1) 절단 작업 시 화재감시원을 둔다.
2) 절단 작업자 및 인근 작업자들은 방화복 및 보안경과 같은 안전장구를 착용한다.
3) 인근에 적절한 소화 장치를 비치한다.
4) 가연성물질은 작업구역으로부터 안전거리 밖으로 제거시킨다.

11.2.1.1 소방시설

화재방호계통은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도록 소화수


계통시설, 가스계통시설 및 기타시설로 구성한다. 소화수 계통시설은 소화펌프 설
비, 옥내소화전 설비, 스프링클러 설비 및 연결송수관 설비로 구성되며, 가스계통시
설은 청정소화약제 소화설비를 포함한다.

11.2.1.2 화재탐지 및 경보설비

11-3
화재탐지설비는 소방관계법령에 따라 수신기는 상시 사람이 근무하는 장소에 설치
하고 공정구역, 통로, 지하 1층, 1층, 2층 등으로 경계구역을 설정하며 천정, 계단,
복도 등 주위의 공기가 일정한 농도의 연기를 포함했을 경우 감지하는 이온화식과
열효과의 누적에 따라 일정한 온도 상승시 감지하는 차동식 및 정온식 감지기를 설
치한다.

화재의 발생을 수신기로 알려 경보를 발하도록 하는 발신기의 누름 스위치는 조작


이 쉬운 장소에 0.8 m 에서 1.5 m 사이에 설치하며 접수자는 즉시 경보를 울려 소
화를 할 수 있도록 한다.

화재탐지 및 경보설비는 해체작업이 착수되기 전에 점검하여, 고장 시 보수한다. 건


물 내의 해체작업은 화재탐지 및 경보설비의 정상 작동이 확인된 후에야 시작된다.

소방시설, 화재탐지 및 경보설비는 해체작업 중 정기적인 검사 및 유지보수를 수행


한다. 작업시간에 화재경보가 울리면, 작업자는 화재 시 취해야할 조치와 관련된 비
상절차를 준수하여야 하며, 여기에는 화재진압실패 시 소방서에 연락을 취하는 것
등이 포함된다.

11.2.2 화재대응 교육

해체기간 중에도 상주지역에는 화재발생을 통지하고 대응할 수 있는 자동화재탐지


설비, 비상경보설비 및 비상방송설비의 화재경보설비와 소화기구, 수원, 소방펌프,
옥내·외 소화전설비, 스프링클러설비 및 이산화탄소소화설비의 화재진압설비를 유
지한다.

11-4
참고문헌 12
제 12 장 참고문헌

12.1 개요

이 장에서는 이 예비해체계획서를 작성함에 있어 인용된 모든 참고문헌을 기재한다.

12.2 참고문헌

1. “원자력안전법 및 원자로시설 등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 원자력안전위원회, 2015.

2. “원자력이용시설 해체계획서 등의 작성에 관한 규정”, 원자력안전위원회, 2015.

3. Regulatory Guide 1.70, “Standard Format and Content of Safety Analysis


Reports for Nuclear Power Plants(LWR Edition)” (Revision 3), U.S.NRC, 1978.

4. “방사성폐기물 관리법 및 방사성폐기물 관리법 시행령”, 산업통상자원부, 2015.

5. “방사성폐기물 관리비용 및 사용후핵연료관리부담금 등의 산정기준에 관한 규


정”, 산업통상자원부, 2014.

6. “아라연구동 방사선환경영향평가서”, 한국원자력연구원, 2017.

7. “아라연구동 안전성분석보고서”, 한국원자력연구원, 2017.

8. NUREG-1575, “Multi-Agency Radiation Survey and Site Investigation Manual


(MARSSIM)” (Revision 1), U.S.NRC, 2000.

9. Eric W. Abelquist, “Decommissioning Health Physics, a Handbook for MARSSIM


Users” (2nd Ed.), CRC Press, 2014.

10. Regulatory Guide 1.184, “Decommissioning of Nuclear Power Reactors”


(Revision 1), U.S.NRC, 2013.

11. IAEA WS-G-5.1 “Release of sites from regulatory control on termination of


practices”2006

12. IAEA WS-G-5.2 “Safety assessment for the decommissioning of facilities using

12-1
radioactive material”(2008)

13. IAEA Safety Report Series No.45 “ Standard format and content for safety
related decommissioning documents”(2005)

16. IAEA Safety Reports Series No.77 “Safety Assessment for Decommissioning”,
2013.

17. “방사성 목재폐기물 자체처분 방법에 관한 설명서”, 한전원자력연료(주), 2009.

18. 방사성폐기물 분류 및 자체처분 기준에 관한 규정“, 원자력안전위원회, 2014.

19. “The Decommissioning Handbook”, ASME, 2004

20. “원자력이용시설 주변의 방사선환경조사 및 방사선환경영향평가에 관한 규


정”, 원자력안전위원회, 2014.

21. “아라연구동 화재위험도분석보고서”, 한국원자력연구원, 2017.

22. NFPA 805, “Performance-Based Standard for Fire Protection for Light Water
Reactor Electric Generating Plants”, 2015.

23. Regulatory Guide 1.191, “Fire Protection Program for Nuclear Power Plants
during Decommissioning and Permanent Shutdown”, U.S.NRC, 2001.

24. “화재위험도분석에 관한 기술기준” 원자력안전위원회, 제2015-11호

12-2
부록 : 용어해설
부록 : 용어해설

부록 1.1 개요

이 부록은 아라연구동의 예비해체계획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해설을 기술한다.

부록 1.2 용어해설

○ ALARA
방사선방호의 최적화로서 “모든 피폭은 사회적 경제적 요인을 고려하면
서 합리적으로 달성 가능한 한 낮게 억제해야 한다.”는 기본정신에 의해
피폭선량을 낮추는 것을 의미하며, As Low As Reasonably Achievable의
약어

○ 개인선량
사람의 신체 내·외부에 피폭하는 개인이 받는 선량으로, 진료를 위해 피폭하
는 방사선량과 자연방사선량은 제외

○ 검출목표치
잔류방사능 조사를 수행하기 전에 설정하는 검출목표 방사능 농도를 말함

○ 내부피폭
사람의 신체 내부에 유입되어 체내에 존재하는 방사선핵종으로부터 방출
되는 방사선에 의한 피폭

○ 대표인
안전성평가가 수행될 기간과 환경을 감안하여, 해체 후 부지 등의 잔류방
사능에 의해 방사선영향이 가장 클 것이라 예상되는 대표성을 갖는 개인
을 말함

○ 방사선관리구역
외부의 방사선량률, 공기 중의 방사능물질의 농도 또는 방사성물질에 따라
오염된 물질의 표면의 오염도가 원자력안전위원회 규칙으로 정하는 값을
초과할 우려가 있는 곳으로서 방사선의 안전관리를 위하여 사람의 출입을
관리하고 출입자에 대하여 방사선의 장해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가 필요한
구역
○ 방사선방호
전리방사선에 기인한 장해 및 물질 손상에 대한 보호. 인간과 그 환경을
방사선 피폭이나 방사성 물질에 의한 오염으로부터 방호하고 방사선 장해
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

○ (방사선)위험도
방사선피폭에 따른 인체의 부영향(암, 유전영향 등)에 대한 위험확률
(10-2/Sv)을 정량화하여 나타낸 것. 일반적으로 전 단계의 값인 유효선량
(Sv)으로 나타냄

○ 방사선작업종사자
원자력이용시설의 운전·이용 또는 보전이나 방사성물질 등의 사용·취
급·저장·보관·처리·배출·처분·운반 기타 관리 또는 오염제거 등 방
사선에 피폭하거나 그 우려가 있는 업무에 종사하는 사람

○ 방사선학적 특성조사
해체대상 시설과 부지에 존재하는 방사성물질의 종류, 양, 분포 등을 조사하
는 것

○ 방사성물질
핵연료물질·사용후핵연료·방사성동위원소 및 원자핵분열생성물

○ 방사성폐기물
방사성물질 또는 그에 따라 오염된 물질(방사성물질 등)로서 폐기의 대상이
되는 물질(원자력안전법 제35조제4항에 따라 폐기하기로 결정한 사용후핵연
료 포함)

○ 방사성핵종
방사능을 가지는 동위원소를 방사성핵종이라고 하며, 방사성동위원라고도

○ 배출물
방사성물질 또는 그로 인하여 오염된 물질(이하 방사성물질 등)로서 원자
력이용시설에서 정상운전 중에 발생한 액체 또는 기체 상태의 방사성물질

○ 비정상 사건
해체과정 동안 한번 이상 발생될 것으로 예상되는 것으로서, 정상 해체활동은
아니지만 해체활동과 작업에 심각한 영향을 주어 해체활동과 작업이 계획대
로 진행되지 아니하는 상태

○ (피폭방사)선량한도
외부에 피폭하는 방사선량과 내부에 피폭하는 방사선량을 합한 피폭방사
선량의 상한 값. 방사선작업종사자에 대해서 유효선량으로 연간 50 mSv
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5년간 100 mSv, 등가선량으로 눈 수정체에 대하여
연간 150 mSv, 손·발 및 피부에 대하여 연간 500 mSv임. 일반인에 대해
서 연간 유효선량으로 1 mSv, 등가선량으로 눈 수정체에 대하여 연간 15
mSv, 손·발 및 피부에 대하여 연간 50 mSv임

○ 영구정지
원자로시설의 설계수명이 만료되어 그 시설을 계속운전하지 않는 것

○ 예비해체계획서
원자력이용시설 건설·운영 단계의 해체계획서

○ 오염
베타선·감마선 및 저독성 알파방출체의 경우 제곱센티미터 당 0.4베크렐
을 기타 알파방출체의 경우 제곱센티미터 당 0.04 베크렐을 초과하는 방사
성물질이 물질의 표면에 존재하는 것

○ 외부피폭
사람의 신체외부에 있는 방사선원으로부터 방출된 방사선에 의한 피폭

○ 위해도
인간의 건강 및 환경에 위해를 줄 가능성이 있는 물질, 활동 또는 프로세
스의 본질적인 특성

○ 자체처분
방사성폐기물 중에서 핵종별 농도가 자체처분 허용농도 미만임이 확인된
것을 원자력안전법의 적용대상에서 제외하여 방사성폐기물이 아닌 폐기물로
소각, 매립 또는 재활용 등의 방법으로 관리하는 것

○ 잔류방사능
원자력이용시설 해체 후 부지 및 잔존건물에 잔류하는 방사능을 말하며,
자연방사능은 포함하지 않음
○ 잔류방사능 유도농도
해체 후 부지 등의 잔류방사능으로 인하여 대표인이 받을 수 있는 최대피
폭방사선량에 상당하는 방사능농도를 말함

○ 재이용
승인된 해체계획서에 따라 해체공사를 완료한 자가 원자력안전법에 따라 해
체 후 부지 등을 각종 제한으로부터 해제하여 다른 용도로 다시 이용하는

○ 저장
방사성폐기물 처리·처분방법의 하나로서 일정한 장소에 저장해 두는 것

○ 절단
해체공정 중 구조물을 해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방법으로 기계적 절단, 열
적 절단 등을 말함

○ 제염
사람이나 설비가 방사성물질로 오염된 경우 이를 제거하는 것

○ 제염계수
오염의 원인이 되어 있는 방사성물질이 제염처리에 의해 제거되는 정도를 표
시하는 지표로 통상 제염처리 전의 방사능농도를 처리 후의 방사능농도로 나
눈 값을 나타냄 (DF = 제염 전 방사능농도/제염 후 방사능농도)

○ 제한구역
방사선관리구역 및 보전구역의 주변 구역으로서 그 구역 경계에서의 피폭
방사선량이 위원회가 정하는 값을 초과할 우려가 있는 장소

○ (주변)주민
「원자력안전법」제103조제1항에 따른 의견수렴 대상주민으로서 해당 시
설의 비상계획구역내의 주민 및 비상계획구역 경계를 포함하는 읍·면·
동의 주민을 말함

○ 즉시해체
원자력이용시설의 영구정지 이후 가능한 한 빨리 방사성물질에 오염된 해
당 시설의 구조물·계통 및 기기와 부지를 철거하거나 방사성오염을 제거
해서 원자력안전법의 적용대상에서 제외시키는 해체전략
○ 지연해체
원자력이용시설의 영구정지 이후 해당시설을 일정기간 안전하게 유지 및
관리한 다음 방사성물질에 오염된 해당시설과 부지를 철거하거나 방사성
오염을 제거해서 원자력안전법의 적용대상에서 제외시키는 해체전략

○ 집단선량
일반적으로 집단을 대상으로 한 선량평가를 위해 평가대상이 되는 집단에
서의 1인당 개인피폭선량을 모두 가산한 것이며 person·Sv의 단위로 표시

○ 처리
방사성폐기물의 저장·처분·재활용등을 위하여 방사성폐기물을 물리적·
화학적 방법으로 다루는 것

○ 처분
방사성폐기물을 인간의 생활권으로부터 영구히 격리시키는 것

○ 최종해체계획서
원자력이용시설 해체승인 신청을 위한 해체계획서

○ 피폭경로
정상적인 배출 또는 방사선사고 등에 의해 방사성물질이 환경으로 방출된
경우 직접 또는 간접으로 여러 가지 경로를 거쳐 인체에 피폭되는 경로

○ 피폭방사선량
사람의 신체의 외부 또는 내부에 피폭하는 방사선량으로, 진료를 위하여
피폭하는 방사선량과 인위적으로 증가시키지 아니하는 자연방사선량은 제
외함. 통상 개인선량과 집단선량으로 구분

○ 해체 (Decommissioning)
원자력안전법 제20조제1항(발전용원자로 및 관계시설의 운영)에 따라 허가
를 받은 자가 원자력안전법에 따라 허가받은 시설의 운영을 영구적으로
정지한 후, 해당 시설과 부지를 철거하거나 방사성오염을 제거함으로써 원
자력안전법의 적용대상에서 배제하기 위한 모든 활동
(원자력시설의 운영정지(영구정지) 후 방사선 및 비방사선의 영향으로부터
작업자와 일반대중의 보건 및 안전을 확보하고 주변 환경을 보호하면서
규제관리로부터 해제하기 위한 모든 기술적, 관리적 행위 일체를 의미
Safe removal of a facility from service and reduction of residual
radoiactivity to a level that permits termination of the NRC
license.(10CFR50.2, USA))

○ 해체비용
해당 핵물질가공시설을 해체하는데 쓰이는 비용

○ 해체용이성 설계
ALARA 원칙에 부합하여 해체를 쉽게 하도록 고려된 설계특성이나 원자력
이용시설의 구조물, 계통 및 부품에서 방사성물질의 누설 가능성을 최소화
하기 위해 적용한 설계특성, 원자력이용시설에서 계획 및 통제되지 않은
상태에서 또는 배수구 및 배기구 이외의 곳에서 방사성물질의 환경으로
방출로 인한 방사성오염을 최소화하고 운영중 방사성폐기물의 발생을 최
소화하기 위해 적용한 설계특성 및 원자력이용시설 해체과정에서 종사자
의 접근성과 기기철거를 위한 시설배치의 최적화를 입증할 수 있는 설계
특성을 포함

○ 해체활동
제염, 절단, 철거 및 방사성폐기물 처리 작업 등 원전해체를 실행하고 완
료하기 위한 종사자의 활동

○ 화재
안전에 중요한 구조물, 계통 및 기기 등에 대한 화재의 영향을 완화시키는

○ 혼합폐기물
해체과정 중 발생이 예상되는 방사성물질과 비방사성위해물질을 함께 포
함한 폐기물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