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3

제 2 장 음소론 (Phonemics)

제 1 절 음소와 이음

01. 음소와 이음의 개념

1. 음소(Phoneme)란 무엇인가

(1) 음소의 의미

의미상의 차이, 즉 뜻의 구분을 일으키는 최소의 소리 단위로서 더이상 작은 단위로 나눌수 없는


소리 단위를 음소(poneme) 라고 한다. 다시 말하면 단어의 뜻을 구분시킬수 있는 최소의 소리
단위라는 뜻이다. 음소 자신은 뜻이 없지만 음소 하나로 인해서 단어의 뜻이 달라진다. 이처럼
단어를 다른 뜻으로 바꾸는 최소단위인 것이다. 그리고 음소는 / / 두 사선 사이에 넣어서
표시한다. 음소는 자기 자신은 뜻이 없기에 추상적(abstract) 이며 화자의 심리적 실체성
(psychological reality) 을 갖는다.

(2) 음소의 예시

음소의 간단한 예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fat 이라는 단어의 첫 음을 /h/ 바꿔서 발음하면 전혀 다른 의미의 단어가 된다. 즉 /f/와 /h/ 는
별개의 음소인 것이다. fat 이라는 단어의 가운데 있는 모음을 /i/ 로 바꾸면 fit 이 되어서 역시
새로운 의미의 단어가 된다. 여기서는 /a/ 와 /i/가 별개의 음소인 것이다.
bad 라는 단어의 가운데 있는 모음을 /e/ 로 바꾸면 bed 가 되어 새로운 의미의 단어가 된다.
여기서는 /a/와 /e/는 별개의 음소이다. bad 라는 단어의 마지막 음을 /t/ 로 바꿔서 발음하면 전혀
다른 의미의 단어가 된다. 즉, /d/와 /t/는 별개의 음소이다.
2. 이음(Allophone) 이란 무엇인가?

(1) 이음의 의미

이음은 변이음 이라고도 한다. 같은 음소이긴 하지만 발음에 있어서 상이성이 있는 소리를
변이음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pat, spill, tap 이라는 세 단어를 살펴보자. 앞에 있는 pat 이라는 단어에서 첫 음 /p/는
많은 공기를 동반하는 대기음(aspirated)이고, spill 이라는 단어에서 /p/는 공기를 동반하지 않는
비대기음(unaspired)으로 발음한다. 이 소리는 한국어의 /ㅃ/ 소리와 비슷하다. 마지막 tap 이라는
단어에서 마지막 음인 /p/는 비개방음이고 한국어의 받침과 비슷한 소리가 난다. 이처럼 뜻이
차이는 가져오지 않지만 실제로는 상이한 소리들을 /p/의 이음(변이음) 이라고 한다. 이 이음들을
대표하는 소리가 바로 음소 /p/이다.

(2) 이음의 예시
(3) 변의음의 특징
① 변이음들은 같은 음소이지만 환경에 따라 다른 소리가 난다.
② 변이음들은 뜻의 차이를 가져오지 않기 때문에 각각 다른음소가 아니다.
③ 영어를 모국어로 쓰는 영국인이나 미국인들의 경우 한 음소의 변이음들은 같은 소리로
간주하나. 왜냐하면, 이 세 소리가 영어에서는 의미의 차이를 가지고 오지 않기 때문이다.

개념 plus 음소와 변이음의 정의


음소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A minimal unit of sound capable of distinguishing words of different
meanings. 그리고 변이음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Any of the various phonetic realizations of a
phoneme in a language, which do not contribute to distinctions of meaning. 

개념 plus 뜻의 대립
같은 음소를 가지고 있는 /p/에서 나오는 세 소리 [ph], [p=], [p ㄱ]는 실재는 다름에도 불구하고
뜻의 대립(contrast)을 초래하지는 않는다.

개념 Plus 음소와 이음의 표시

02. 음소와 이음의 관계

1. 음소와 변이음의 특성

(1) 변이음 구분

모국어의 경우 화자는 음소는 잘 식별하지만 변이음들은 잘 구별하지 못한다. 예를 들면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영국인, 미국인들도 /p/의 변이음들인 [ph], [p=], [p ㄱ]를 잘 구별하지는
못한다. 그 이유는 변이음들을 바꿔서 사용하더라도 의미의 차이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한국인들이 /l/과 /r/ 이 두개의 음소를 잘 구별하지 못한다. 왜냐하면 한국어에서는 [ㅣ] 과
[r]이 변이음 관계이기 때문이다.

(2) 음소와 변이음들이 나타나는 환경

한 음소의 변이음들은 각기 나타나는 환경이 정해져 있다.

이와같이 이음들은 각각 자신이 나타나는 위치 또는 환경이 정해져있다.

핵심 Check 변이음의 종류

/p/의 변이음으로는 어두에 나타나는 대기음 [ph]와, 대기음을 가지지 않는 비대기음 [p=]
그리고 비개방음 [p ㄱ]가 있다.

개념 Plus 음소의 특징

음소는 실제로 우리가 듣거나 발화하는 소리가 아니라 심리적으로 알고 있는 추상적인 단위의
소리이다. 음소가 구체적으로 실현되는 것은 이음들(allophones)를 통해서이다.
기출개념확인

01. 단어의 뜻을 구분시킬 수 있는 최소의 소리 단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음소
② 모음
③ 자음
④ 이음

02.

03.

정답 해설

01. ① 음소
음소란 단어의 뜻을 구분시킬 수 있는 최소의 소리 단위이다. ( A minimal unit of sound capable
of distinguishing words of different meanings. )
02. (정답 3 번)
대기음 [ph]는 어두에 나타나며, 비대기음 [p=]는 /s/바로 뒷자리에 나타나고, 비개방음
[p ㄱ]는 어말음에 나타난다.이음들은 각각 자신이 나타나는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

03. ④ 음소
이음관계인 세 소리 [ph], [p=], [p ㄱ] 같은 음소 /p/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음소는 뜻의 차이를
가지고 오는 최소의 소리 단위이다.

제 2 절 음소분석의 절차

01. 최소대립어

1. 최소대립어(minimal pair) 의 정의

같은 자리에 있는 하나의 말소리 때문에 2 개의 단어의 뜻이 달라지게 되면 그 두 단어를


최소 대립어라고 한다. 다시 말하면 한 곳의 음이 달라져서 뜻이 달라지는 단어 쌍을 말하는
것이다.

한 언어에서 음소를 분석하는 방법은 최소 대립어를 찾아보는 방법이 가장 쉽다. 최소


대립어는 영어로 minimal pair 이기 때문에 최소대립어를 나타낼 때에는 두 단어를 나란히
배치애햐 한다. 그리고 두 단어를 비교하는데 두 쌍 이상의 음소 차이가 나면 그건
최소대립어가 아니다. 예를 들면 made - hide 경우 첫음과 단어의 가운데 있는모음의
대립까지 있기 때문에 최소 대립이 될 수 없다.

2. 최소 대립어의 예

또 다른 예시들로는 dime 과 time, mode 와 node, seal 과 zeal, pen 과 pan, cat 과 cut, bet 와 bed 이
있다. 또한 maze 와 phase 의 경우, 겉으로는 완전히 다르게 생겼지만 음소로 보면 첫 소리 자음만
다른 최소 대립어이다.

02. 상보적 분포

1. 상보적 분포 (complementary distribution)의 정의

상보적 분포는 이음(allophone)에 대한 개념으로, 한 음소의 이음들은 각각 일어나는 자리가


정해져 있고 서로 겹치지 않는다. 이것을 상보적 분포 (complementary distribution) 라고
한다.

2. 상보적 분포의 예시

예를 들어 대기음 [ph] 을 갖는 pie, pin, pipe, pen, pan, pot 에서는 어두에 나타난다. 대기음을
가지지 않는 비대기음 [p=]의 경우에는 spy, speed, spoon 처럼 /s/뒤에 나타난다. 비개방음 [p ㄱ]의
경우에는 stop, top, cup 처럼 어말음에 나타난다. 이처럼 /p/의 세 이음이 발음되는 위치는
고정되어 있고 서로 겹치지 않는다.

03. 자유변이

1. 자유변이 (free variation) 의 정의

자유변이는 이음(allophone)에 대한 개념으로, 이음들은 상보적 분포를 이루지만 이것이


설사 바뀌어도 뜻에는 변화를 주지 않는다는 것이다. 뜻에 변화를 주지 않기 때문에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은 그 낱말을 못알아듣지 않는다.
2. 자유변이의 예시

예를 들어서 pin 이라는 단어의 어두에 나타나는 /p/를 대기음 [ph] 대신에 비대기음 [p=]이나
비개방음 [p ㄱ]으로 발음을 한다고 해서 이것이 단어의 뜻에는 변화를 주지 않는다는 것이다.
뜻의 변화가 없기 때문에 원어민들은 그 단어를 못알아듣지 않는다.

개념 Plus 음소와 이음의 차이


최소 대립어는 음소에 대한 개념이다. 한 언어에서 음소를 분석하는 방법은 최소 대립어를
찾아보는 방법이 가장 쉽기 때문이다. 상보적 분포와 자유변이는 이음에 대한 개념이다.
상보적 분포는 세개의 이음이 발음되는 위치는 고정되어 있고 서로 겹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자유변이는 이음들은 상보적 분포를 이루지만 이것이 설사 바뀌어도 뜻에는 변화를 주지
않는다는 것이다.

핵심 Check 이음의 종류

기출개념확인

01. dime 과 time 같이 자리에 있는 하나의 말소리 때문에 2 개의 단어의 뜻이 달라지게


되면 그 두 단어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변이음
② 최소 대립어
③ 상보적 분포
④ 자유 변이

02. 한 음소의 이음들은 각각 일어나는 자리가 정해져 있고 서로 겹치지 않는다 라는


개념은 무엇인가?
① 상보적 분포
② 자유 변이
③ 별개의 음소
④ 변이음

03. 이음들은 상보적 분포를 이루지만 이것이 설사 바뀌어도 뜻에는 변화를 주지


않는다라는 개념은 무엇인가?
① allophone
② free variation
③ minimal pair
④ complementary distribution
정답 해설
01. ② 최소 대립어
최소 대립어란 한 곳의 음이 달라져서 뜻이 달라지는 단어 쌍을 말한다.

02. ① 상보적 분포
이음들이 발음되는 위치는 고정되어 있고 서로 겹치지 않는다는 개념은 상보적 분포이다.
03. ② free variation
이음들은 상보적 분포를 이루지만 이것이 설사 바뀌어도 뜻에는 변화를 주지 않는다는
것은 자유 변이 (free variation)에 대한 것이다. 뜻에 변화를 주지 않기 때문에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은 그 낱말을 못알아듣지 않는다.

(제 3 절 음소의 분열을 뺏습니다)


제 4 절 음소의 표기

01. 음소 표기와 음성 표기

음소는 뜻의 구분을 일으키는 최소의 소리 단위로서 / / 두 사선 사이에 넣어서 표시한다. 음소는


실제로 우리가 듣거나 발화하는 소리가 아니라 심리적으로 알고 있는 추상적인 단위의 소리이다.

우리가 말(speech)을 표기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음소 표기 (Phonemic transcription)은


broad transcription 이라고도 알려져 있는데, 44 개의 고유한 음소를 사용해서 우리의 말을
표현한다. 음소 표기는 화자가 낱말 하나하나를 집중해서 발음할 때의 표기이다.

하지만 실제로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말을 할 때에는 문맥상 다양한 발음의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 이처럼 정상적인 말에서 발생하는 발음의 문맥적 변화에 대한 추가적인 세부 사항을
표현하는 것을 음성 표기 (Phonetic transcription) 라고 한다. 음성 표기를 보면 어떻게 발음해야
하는지 시각적(visual representation of speech)으로 알 수 있다. 음성 표기는 narrow transcription
이라고도 한다.

개념 plus IPA 란 무엇인가


IPA 는 국제 음성학 협회와 국제 음성학 기호 둘 다 나타낼 수 있다.
국제 음성학 협회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는 일반 음성학적 문제의 연구 및 그 응용을
목적으로 세워진 학회이다. 국제 음성학 협회는 음성학을 과학적으로 연구하고 다양한 과학
분야에 실용적으로 활용할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1886 년 프랑스에 설립됐다. 국제 음성학
기호는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사용하기에 편리하면서도 전 세계 언어의 다종다양한
소리를 두루 포괄할 수 있도록 국제음성학회에서 창안한, 소리를 문자로 표기하는 일관된
방식으로서의 기호 체계, 혹은 그 기호를 말한다.

핵심 Check 음소 표기와 음성 표기
음소 표기는 Phonemic transcription 또는 broad transcription 이라고 하며 44 개의 음소로 speech
를 표현한다. 음성 표기는 Phonetic transcription 또는 narrow transcription 이라고 하며 일반적인
상황에서 어떻게 발음해야 하는지 시각적으로 보여주기 때문에 IPA 를 잘 알고 있는 비영어권
화자는 음성 표기를 보고 보고 정확하게 발음하는 법을 알 수 있었다. 

기출개념확인

01. 우리가 말을 옮겨 적을 때 낱말 하나하나를 집중해서 발음할 때의 표기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Phonemic transcription
② Phonetic transcription
③ Narrow transcription
④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02. 다음 표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① 44 개의 고유한 음소를 사용해서 speech 를 표현하였다.


② 환경에 따라서 변하는 발음의 추가적인 상황을 표현한 표기법이다.
③ Phonetic transcription 이다.
④ 비영어권 화자도 발음하는 법을 시각적으로 쉽게 알 수 있다.

정답 해설

01. ① Phonemic transcription


44 개의 음소를 사용해서 우리의 speech 를 표현한다.

02. ① 44 개의 고유한 음소를 사용해서 speech 를 표현하였다.


위의 표기법은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일어날 수 있는 변화까지 추가적으로 표현한 표기법이다.
제 2 장 실전연습문제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제 2 장 정답 및 해설
01. ④

뜻의 구분을 일으키는 최소의 소리 단위를 음소 (phoneme)라고 한다.

02.

03.

04.

05.

06.

07.

08. ③ 최소대립어

같은 자리에 있는 하나의 말소리 때문에 2 개의 단어의 뜻이 달라지게 되면 그 두 단어를


최소 대립어라고 한다. 다시 말하면 한 곳의 음이 달라져서 뜻이 달라지는 단어 쌍을 말하는
것이다.

09.

10.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