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5

『해상조난사고통계』

통계정보보고서

2019. 12.

본 이용자용 통계정보보고서는 정기통계품질진단 수행과정에서 통계작성기관이 작성한


보고서로 작성기준 시점에 따라 현재의 통계작성 정보와 다소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차 례>

Ⅰ. 통계개요 ·········································································································· 1

Ⅱ. 통계의 작성목적 및 이용 ············································································ 4

Ⅲ. 통계설계 ·········································································································· 6

Ⅳ. 자료수집 ······································································································· 26

Ⅴ. 다른 행정자료 활용 ··················································································· 34

Ⅵ. 자료처리 ······································································································· 35

Ⅶ. 통계공표 및 품질평가 ··············································································· 38

Ⅷ. 통계작성 문서화 및 이용자 서비스 ······················································· 75

Ⅸ. 통계기반 및 개선 ······················································································· 78

X. 참고문헌 ······································································································· 82
◆ 보고서 개요 ◆

이 보고서는 해상조난사고통계를 생산하기 위하여 해양경찰청에서 수행하는 업무를 설명한

것이다. 보고서의 작성목적은 통계작성 배경, 연혁, 이용자 및 용도와 조사에서 이용되는

개념과 방법론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알고자 하는 통계작성 담당자(통계 전문이용자,


품질진단자 또는 승인담당자)에게 통계과정 전반에 대하여 포괄적이고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통계개요, 통계설계, 자료수집, 자료입력 및 처리, 통계 결과 및


공표, 이용자서비스, 통계 기반 및 개선 등에 대한 설명이 수록되어 있다.
Ⅰ. 통계개요

1. 통 계 명
해상조난사고통계 (승인번호: 제155007호)

2. 법적근거
○ 통계법 제18조(통계작성의 승인)에 근거하여 승인된 일반통계
- 승인통계 제155007호(승인일자 : 2006. 9. 11.)
○ 해상조난사고 통계는『수상에서의 수색․구조 등에 관한 법률』제2조(정의)를 근
거로 국내외 해상에서 발생한 해상조난사고에 대한 통계를 수집한 결과로 작성됨

3. 작성방법
○ 보고체계
① 19개 해양경찰서(해상조난사고 발생 시 통계관리시스템 내 사고정보 등록) →
② 5개 지방해양경찰청(사고 등록현황에 대한 1차 오류검정, 자료취합 및 정제)
→ ③ 해양경찰청(2차 오류 검정 및 통계 분석) → ④ 통계생성 → ⑤ 대외 공표
○ 해양경찰청에서 구축하여 운용 중인『해상조난사고 통계관리시스템』을 통해 해
상조난사고 통계 작성

4. 통계작성기관
○ 해양경찰청 / 수색구조과
5. 작성 및 공표주기
○ 작성주기 : 1년 (1월 1일 ~ 12월 31일)
○ 공표주기 : 작성기준년도 익년 4월

- 1 -
6. 통계작성과정 개관
□ 업무처리 절차
○ 해상조난사고 발생 시 통계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해상조난사고 자료 입력 후 통
계자료 생성

○ 일정별 수행업무
시 기 내 용 주 체
(해상조난사고 발생 시)
1월~12월 해양경찰서
해상조난사고 통계관리 시스템 內 사고정보 등록
1~3월 전년도 통계 검증 및 확정

3월 1/4분기 해상조난사고 통계 점검

4월 전년도 해상조난사고 통계 공표 (통계청 KOSIS)

6월 2/4분기 해상조난사고 통계 점검 해양경찰청

4~6월 전년도 해상조난사고 통계연보 발간

9월 3/4분기 해상조난사고 통계 점검

12월 4/4분기 해상조난사고 통계 점검

7. 통계연혁
○ 최초 작성 시기 : 1994년
○ 통계작성 배경 : 해상조난사고 통계는 해양경찰청 소관 국내외 해상에서의 선박
사고 발생 현황 및 사고 전반에 대한 통계로서 해양경찰의 해양안전정책 수립 및
학술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작성
○ 연혁 및 변경 또는 개편 이력
- (1994년 1월) 해상조난사고 통계 최초 작성
- (1997년 7월) 『1996년 해난사고 통계분석』발간
- 2 -
- (1998년 6월)『1997년 해난사고 통계연보』발간
- (1999년 7월)『1998년 해난사고 통계연보』발간
- (2000년 6월)『1999년 해난사고 통계연보』발간
- (2001년 7월)『2000년 해난사고 통계연보』발간
- (2002년 6월)『2001년 해난사고 통계연보』발간
- (2003년 6월)『2002년 해난사고 통계연보』발간
- (2004년 6월)『2003년 해난사고 통계연보』발간
- (2005년 7월)『2004년 해난사고 통계연보』발간
- (2006년 1월) 해상조난사고 통계시스템 신규 구축
- (2006년 6월) 『2005년 해난사고 통계연보』발간
- (2006년 9월) 해상조난사고 통계 통계청 승인(제155007호) 등록
- (2007년 4월)『2006년 해난사고 통계연보』발간
- (2008년 7월)『2007년 해난사고 통계연보』발간
- (2009년 2월)『2008년 해난사고 통계연보』발간
- (2009년 7월) 2008년 해상조난사고 통계 공표결과 제출
- (2010년 3월) 2009년 해상조난사고 통계 공표결과 제출
- (2010년 7월)『2009년 해난사고 통계연보』발간
- (2011년 6월)『2010년 해난사고 통계연보』발간
- (2012년 7월)『2011년 해상조난사고 통계연보』발간
- (2013년 7월)『2012년 해상조난사고 통계연보』발간
- (2014년 11월)『2013년 해상조난사고 통계연보』발간
- (2015년 11월)『2014년 해상조난사고 통계연보』발간
- (2016년 11월) 대상범위 및 규모, 작성체계에 대한 통계작성 변경 승인
* 보령해양경비안전서 및 부안해양경비안전서 개서로 인한 작성체계 변경, 16개
해양경비안전서 → 18개 해양경비안전서)
- (2016년 11월) 『2015년 해상조난사고 통계연보』발간
- (2017년 8월) 조사항목 용어변경에 대한 통계작성 변경 승인
* 사고유형별 분류용어 변경 : 안전저해 →부유물감김, 조난 → 방향상실
- (2017년 12월)『2016년 해상조난사고 통계연보』발간
- (2018년 3월) 해상조난사고 통계관리시스템 신규구축 사업 추진
- (2018년 6월) 『2017년 해상조난사고 통계연보』발간
- (2018년 11월) 해상조난사고 통계관리시스템 신규구축 완료

- 3 -
Ⅱ. 통계의 작성목적 및 이용

1. 통계의 작성목적

□ 통계의 작성 목적
해상조난사고 통계는 해양경찰청 소관 국내외 해상에서의 선박사고 발생 현황
및 사고 전반에 대한 통계로서 해양경찰의 해양안전정책 수립 및 학술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함

□ 주된 활용 분야
- 해양경찰청 해양안전정책 수립 및 학술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
- 각종 사고 발생현황 및 구조대응 실적 분석을 통한 개선사항 도출 및 사고예방에 활용
- 해양경찰 구조세력 출동 및 인명구조 실적 관리를 통한 해양경찰청 성과 관리 및
국회 예산대응에 활용
- 국가통계포털(KOSIS)에서 해상조난사고 현황 자료 제공
- 해양경찰청 홈페이지에서 해상조난사고 통계 자료 제공
- 해상조난사고 통계연보 및 해양경찰백서 등 간행물 발간 시 통계 자료 수록
- e-나라지표에서 해상조난사고 통계현황 자료 제공
- 공공데이터 포털에서 해상조난사고 현황 자료 제공 등

□ 유사통계 현황
○ 해양에서의 선박사고에 대해 해경과 해수부(중앙해양안전심판원)가 각각 행정목적
*에 따라 해상조난사고와 해양사고현황으로 유사통계 생성
* 해경은 구조활동 전개에 따른, 해수부는 사고 원인규명을 위한 심판에 따른 통계 생성
○ 유사통계의 일원화를 위해 2014년, 해경-해수부 통계관리 협의회 개최 등 노력을
지속해 사고유형의 명칭을 동일한 용어로 통일
○ 해상조난사고 통계 및 해양사고 통계 비교

- 4 -
통계조사명 해상조난사고 통계 해양사고 통계

해양수산부
작성기관 해양경찰청
중앙해양안전심판원
지방해양안전심판원에서 접수 또는
해상조난사고를 체계적으로 관리 재결되는 해양사고를 사고원인별,
및 분석함으로써 사고예방 및 사고유형별, 선박용도별, 해기사별,
작성목적 안전한 바다를 구현하고, 총톤수별 및 징계별 현황을
해양경찰의 해양안전 정책 수립 및 파악하고 이를 대외에 제공하여
학술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 재발방지 및 해양안전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
해양사고의 조사 및 심판에 관한
작성근거 수상에서의 수색.구조에 관한 법률
법률 제17조의 3
SAR구역 내에서 발생하는 지방해양안전심판원에서 조사
작성대상 및 범위
해상조난사고 심판하는 해양사고

최초작성시점 1994년 (2006년 승인) 1963년

작성방법 및 주기 1년 1년

19개 해양경찰서 → 지방해양안전심판원 →


작성체계
지방해양경찰청 → 해양경찰청 중앙해양안전심판원 → 해양수산부

발생 및 구조, 구조기관별, 선종별,


해양사고 발생기준 : 사고유형,
유형별, 원인별, 거리별, 기상별,
작성내용 사고발생시각, 선박국적, 선박용도,
톤수별, 선질별, 시기별, 시간별,
총톤수, 인명피해, 사고위치 등
선적지별, 인명피해 등

2. 주요 이용자 및 용도
□ 통계의 주요 이용자와 이용자 유형별 용도
- 해양경찰청 및 중앙행정기관 : 해양안전 정책 수립 및 해상조난사고 추세 파악
- 지방자치단체(시 ․도) : 관할해역별 해양안전 정책수립 및 관련연구
- 학계 및 연구기관 : 논문 및 학술연구의 기초 데이터로 활용
- 국민 및 기타 : 해상조난사고 발생 관련 통계 활용
- 보험회사 등 업체 : 해양활동 관련 상품개발에 활용 등

- 5 -
Ⅲ. 통계설계

1. 보고양식 설계
1-1. 개념 및 정의
□ 주요개념 및 용어정의
○ 선박사고의 정의
- 해상에서 발생하는 선박과 관련된 모든 물리적 사고
- 선박의 침몰 좌초 전복 충돌 화재 등 선박에 발생한 물리적 사고 (1차 발생원인)
로 인하여 인명 또는 선박의 안전이 위험한 상태
- 선박 자체에 물리적 사고가 발생하지 않고 선박에 승선한 사람이 선박의 운항과
관련된 활동 중 발생한 사고*
* 어선에서 양망기 감김, 어구에 감겨 해상추락, 갑판 장비 운용에 따른 부상, 조업선
중 실종자 발생 등
○ 사고유형별 정의
사고유형 분 류 기 준

충 돌 항해 중 다른 선박과 부딪히거나 맞붙어 닿은 것 (정박 중인 다른 선박과 부딪힌 경우 접촉)

접 촉 선박이 외부물체나 외부 시설물에 부딪히거나 맞붙어 닿은 것

좌 초 해저 또는 수면 하의 암초 또는 난파선에 얹히거나 부딪힌 것 (좌주 포함)

전 복 선박이 뒤집혀진 것 (충돌, 접촉, 좌초, 화재, 폭발의 결과로 발생한 것 제외)

침 몰 기상악화, 외관 등 균열이나 파공 등 침수 결과 선체가 수면하로 가라앉은 것

침 수 선체 내 해수가 유입된 것

화 재 선박에 화재가 발생한 것 (충돌, 접촉, 좌초, 폭발의 결과로 발생한 것 제외)

폭 발 선박에서 폭발이 발생한 것 (충돌, 접촉, 좌초, 화재의 결과로 발생한 것 제외)

기관손상 주기관(축계포함), 보조기관, 보일러 또는 보기 등이 손상된 것

추진기손상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장비(스크류, 레저선박의 선외기엔진 등)가 손상된 것

- 6 -
사고유형 분 류 기 준

키 손 상 방향을 조정하는 장비(키, 조타기 등)가 손상된 것

속구손상 선박의 운용에 계속적으로 부속되는 장비(닻, 통신설비 등)가 손상된 것

시설물손상 선박, 속구 이외의 시설물이 손상된 것

부유물감김 항해 중 추진기에 폐로프, 어망 등 해상부유물이 감긴 것

절박한 위험의 발생은 없으나, 선박 통상의 운항을 불가능하게 하거나 곤란하게


운항저해
하는 상태 (연료부족, 밧데리 방전 등)

작업중 선박의 구조‧설비 또는 운용과 관련하여 사람이 사망 또는 실종되거나 부상당한


인명사상 사고 (내부질환 등에 의한 응급환자 제외)

방향상실 기상불량, 저시정, 방향감각 상실 등에 의한 표류로 선박이 위험해 처한 것

선박으로 부터 기름, 유해액체 물질, 포장유해물질 및 폐기물 등이 유출되어


해양오염
해양오염 피해가 발생한 것 (선박이 특정되는 경우)

기 타 상기 18가지 유형에 포함하지 않는 사고

○ 사고원인별 정의
사고원인 분 류 기 준

운항부주의 선박의 운항과 관련하여 운항자의 주의태만

정비불량 기기의 정기적인 정비 및 점검 불량으로 인한 기계적 결함

화기취급부주의 각종 전열기기, 조리기구, 화기취급 부주의

적재불량 적재물 등의 적재 또는 고박 상태 불량

재질불량 선박 또는 선체 구성품의 재질 불량

기상악화 태풍, 풍랑, 강풍, 저시정 등 기상악화

관리소홀 항내 정박 중 선박에 대한 안전조치 등 미흡

연료고갈 연료부족으로 인한 사고

기 타 상기 8가지에 해당하지 않는 사고 원인 (안전부주의, 원인미상 등)

- 7 -
○ 선종별 정의
선박종류 분 류 기 준

주 사용목적이 어업에 사용되는 선박


어 선
(소형 선외기, 양식장 관리선, 어획물 운반선 등도 어선에 포함)
낚시객을 승선시켜 낚시영업에 종사하는 어선(낚시어선 신고)
낚시어선
(낚시객을 승선시키지 않고 조업 중 또는 정박 중 사고발생 시 어선으로 분류)

여 객 선 카페리선, 화객선 등 여객의 수송을 목적으로 하는 선박

관광 및 유락을 영업으로 하는 선박(유선)과 사람 및 물건을 운송하는 것을 영업


유 도 선
으로 하는 선박(도선)

화 물 선 화물수송을 목적으로 하는 선박 (벌크선, 컨테이너선, 석탄운반선, 자동차운반선 등)

유류의 수송을 목적으로 하는 선박


유 조 선
(원유운반선, 위험물운반선, 케미컬운반선, 석유제품 운반선 등 )
다른 선박을 끌거나 밀어서 이동시키는 선박(예인선)과 다른 선박에 끌리거나
예 부 선
밀려서 항해하는 선박(부선)

관 공 선 공공기관에 소속되어 있는 선박 (해양조사선, 어업지도선, 소방정 등)

모터보트 보트에 모터를 추진기로 사용하는 레저기구

요 트 기관이 장착된 동력요트만 해당

고무보트 고무보트 선체에 모터가 장착된 레저기구

호버크래프트 공기부양선

기 타 상기 선박유형에 속하지 않는 선박 (급수선, 잡종선 등)

○ 해역별 정의
구 분 분 류 기 준

항 계 내 항만․국가어항․지방어항․어촌정주어항의 경계 이내 해역

협 수 로 「해사안전법」 제67조 의거, 좁은 수로를 의미

영 해 연안으로부터 12해리 이내 해역 (항계 내, 협수로 사고 제외)

영해~EEZ 영해선 ~ EEZ(인접국간 과도수역은 한국에 인접한 경계선까지)

EEZ 30마일 이내 EEZ선 ~ EEZ선+30마일 내측 해역

공해, 외국해역 EEZ선 + 30마일 외측 해역부터 해당되는 해역

- 8 -
○ 기상별 정의
구 분 분 류 기 준

기상양호 기상특보, 황천, 저시정을 제외한 기상상태

태풍으로 인하여 다음의 어느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 풍속 20m/s이상 도는 순간풍속 26m/s 이상 예상될 때
태풍경보
- 총 강우량이 200mm이상 예상될 때
- 폭풍해일 경보 기준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될때

태풍으로 인하여 강풍, 풍랑, 호우, 폭풍해일 현상 등이 주의보 기준에 도달할 것


태풍주의보
으로 예상될 때

풍랑경보 해상에서 풍속 21m/s 이상이 3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유의파고가 5m 이상일때

풍랑주의보 해상에서 풍속 14m/s 이상이 3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유의파고가 3m 이상일 때

기상청 풍랑주의보 발효 전 파고 2~2.5m 또는 풍속 10~15m/s 의 해상상태(해


황 천
양경찰 경비규칙에 따른 함정 피항기준)

저 시 정 해상에서 안개로 인하여 시정이 1,000야드 이하인 상태

- 9 -
□ 주요개념 및 보고 항목별 개념 등에 대한 국제 또는 국내기준 비교

해양사고 해상조난사고

작성기관 중앙해양안전심판원 해양경찰청 수색구조과

통계청 승인 1976. 8. 26 2006. 6. 1

해양사고의 조사 및 심판에 관한 법률 수상에서의 수색.구조에 관한 법률에


근거법
- 시행령 제17조의3에 따라 통계 생성 따라 조난사고를 분류

"해양사고"란 해양 및 내수면에서 발생한 사고


- 선박의 구조·설비 또는 운용과 관련하여 사
람이 사망 또는 실종되거나 부상을 입은
사고 "조난사고"란 해수면 또는 내수면에서
- 선박의 운용과 관련하여 선박이나 육상시 선박 등의 침몰·좌초·전복·충돌·화재·기관
정의 설·해상시설이 손상된 사고 고장 및 추락 등으로 인하여 사람의 생
- 선박이 멸실·유기되거나 행방불명된 사고 명·신체 및 선박 등의 안전이 위험에 처
- 선박이 충돌·좌초·전복·침몰되거나 선박을 조종할 한 상태
수 없게 된 사고
- 선박의 운용과 관련하여 해양오염 피해가
발생한 사고

ㅇ해심법 시행령 제1조의2(선박의 범위)에 해당 ㅇ선박법 제1조의2(정의) 제1항에 해당


하는 선박 하는 선박(기선, 범선, 부선)
- 동력선, 무동력선, 수면비행선박, 수상항 ㅇ수상레저안전법 제2조(정의) 제1항에 해
공기 당하는 수상레저기구 중 모터보트, 요트,
ㅇ해심법에 적용되는 수상레저 기구 고무보트, 호버크래프트 4가지만 해당
선박종류
- 모트보트, 동력요트, 호버크래프트, ㅇ선종 분류 기준
수면비행선박 - 어선, 낚시어선, 여객선, 유도선, 화물
ㅇ선종 분류 기준 선, 유조선, 예부선, 관공선, 모터보트,
- 어선, 상선, 화물선, 여객선, 유조선, 예 요트, 고무보트, 호버크래프트, 기타 등
선 등 6종 13종

- 10 -
1-2. 적용 분류체계

□ 사고발생 단계

연번 분류항목 세 부 내 용

1 발생일시 사고가 최초 발생한 일시

인천, 평택, 태안, 보령, 군산, 부안, 목포, 완도, 여수, 통영, 창원, 부산,
2 관할해경서
울산, 포항, 울진, 동해, 속초, 제주, 서귀포

항계 내, 협수로, 영해, 영해-EEZ, EEZ-30마일 이내, 공해, 북한해역,


3 발생해역
외국해역

4 정박여부 정박 중 사고 시 “정박 중”표시

5 위도/경도 사고발생 위치 (GPS)

양호, 저시정, 황천6급, 황천5급, 황천4급, 풍랑주의보,


6 기상상태
풍랑경보, 태풍주의보, 태풍경보

운항부주의, 정비불량, 화기취급부주의, 기상악화, 관리소홀, 연료고갈,


7 발생원인
안전부주의(인명), 적재불량, 재질불량, 기타

8 긴급/비긴급 긴급, 비긴급

충돌, 접촉, 좌초, 전복, 화재, 폭발, 침몰, 침수, 기관손상, 추진기손상,
9 발생유형 키손상, 속구손상, 시설물손상, 부유물감김, 방향상실, 인명사상,
해양오염, 기타
충돌, 접촉, 좌초, 전복, 화재, 폭발, 침몰, 침수, 기관손상, 추진기손상,
10 2차 유형 키손상, 속구손상, 시설물손상, 부유물감김, 방향상실, 인명사상,
해양오염, 기타
충돌, 접촉, 좌초, 전복, 화재, 폭발, 침몰, 침수, 기관손상, 추진기손상,
11 3차 유형 키손상, 속구손상, 시설물손상, 부유물감김, 방향상실, 인명사상,
해양오염, 기타

12 사고개요 사고 전체 개요 입력 (시차별 조치사항 등)

- 11 -
□ 신고접수 및 대응 단계

연번 분류항목 세 부 내 용

1 신고접수일시 신고를 접수한 일시

전화, VHF, SSB, EPIRB, V-Pass SOS, DSC 조난신호,


2 신고수단
해로드 SOS, 방문신고, 현지발견, 기타

해경자체인지, 당사자, 가족․지인, 선주, 제3자(목격자), 어업정보통신국,


3 신 고 자
VTS, 군

119통합신고, 해경상황실, 112통합신고, 안전센터, 해양경찰함정,


4 신고접수경로
어업정보통신국, 국제안전통신센터, VTS, 군, 항공기, 기타

5 대응지시일시 구조세력에 최초 대응을 지시한 일시

최초 현장도착 해양경찰, 민간해양구조대, 어선, 인근선박, 소방, 관공선, 해군, 자력,


6
구조세력 기타

최초 구조세력
7 최초 현장에 도착한 구조세력의 도착일시
현장도착일시

최초 현장도착 구조세력이
8 도착소요시간
사고접수 시 부터 현장도착 시 까지의 소요시간(분)

최초 해경 대형함정, 중형함정, 소형함정, 연안구조정, 해경구조대, 방제정, 파출소


9
도착세력 순찰대

해경 최초
10 해양경찰 구조세력이 현장에 도착한 일시
도착일시

해양경찰 구조세력이 사고접수 시 부터 현장도착 시 까지의


11 해경 대응시간
소요시간(분)

해양경찰 구조세력이 사고접수 시 부터 현장 도착 시 까지 기동한


12 해경 대응거리
거리(마일)

해경동원
13 해경 동원 함정 내역
함정현황
해경동원
14 해경 동원 항공기 내역
항공기현황
민간 동원세력
15 민간 동원세력 내역
현황
관공서
16 관공서 동원세력 현황
동원세력 현황
군 동원세력
17 군 동원세력 현황
현황

- 12 -
□ 사고선박 및 인원 정보

연번 분류항목 세 부 내 용

1 선박번호 선박 번호 입력

2 선 명 사고선박의 선명 입력

구조/침몰/화재 침몰, 화재전소로 선박의 효용성을 완전히 상실한 경우


3
전소 선박여부 구조불능 선박으로 집계

구조 및 구조불능 인원 수
4 구조/불능인원
(사망 및 실종된 인원은 구조불능 인원으로 집계)

5 부상/사망/실종 부상, 사망, 실종자 수 입력

사고선박 1차
6 해양경찰, 민간해양구조대, 어선, 레저선박, 인근선박, 예인선, 관공선, 기타
예인기관1
사고선박 2차
7 해양경찰, 민간해양구조대, 어선, 레저선박, 인근선박, 예인선, 관공선, 기타
예인기관
예인선박
8 해양경찰, 선주/선장, 어업정보통신국, 기타
수배기관
5000톤급, 3000톤급, 1500톤급, 1000톤급, 500톤급, 300톤급, 200톤급,
9 예인 해경함정
100톤급, 50톤급, 방제정, 연안구조정, 기타

10 예인거리 선박을 예인한 거리

11 승선인원 사고 선박에 승선한 인원

어선, 낚시어선, 여객선, 유도선, 화물선, 유조선, 예부선, 관공선,


12 선 종
모터보트, 세일링요트, 고무보트, 호버크래프트, 기타

자망, 통발, 채낚기, 안강망, 권현망, 형망, 연안복합, 조망, 들망, 연승,
13 어업면허
정치망, 각망, 주목망, 낭장망, 어획물운반, 어장관리, 기타

14 총 톤 수 사고선박 총톤수 입력

15 선 적 지 사고선박의 선적지 입력

16 선 질 FRP, 강, 알루미늄, 목재, 고무, 기타

17 선 령 사고선박의 선령 입력

18 피해사항 경미손상, 부분소훼, 전소, 선체침몰, 선체전복, 선체침수, 기타

- 13 -
□ 구조 단계

연번 분류항목 세 부 내 용

1 구조/원조 구조, 원조

2 구조완료시간 선박 및 인원의 안전을 확보하여 구조를 완료한 시간

해양경찰, 민간해양구조대, 어선, 인근선박, 소방, 관공선, 해군, 자력,


3 직접구조기관
기타
해경구조대
4 Y/N
구조여부
인명구조, 화재진압, 배수, 방수, 충돌선박 확인, 선박수리, 예인, 연료제공,
5 해양경찰 활동
밧데리 충전, 부유물제거, 항로유도, 호송, 인근세력동원, 안전관리, 기타

침몰, 화재전소 등 구조불능 선박을 제외하고


6 총 구조선박수
구조 완료한 선박 척수

7 총 구조인원 사망, 실종자를 제외하고 발생 인원 수

8 사망인원 사망 인원

9 실종인원 실종 인원

10 부상인원 부상 인원

□ 수색구조 통계

연번 분류항목 세 부 내 용
실종자 및 선박
1 실종자 및 선박 발견일시
발견일시
실종자 및 선박
2 실종자 및 선박 발견 소요일자
발견 소요일자
실종자 및 선박
3 실종자 및 선박 발견 위치 (GPS)
발견 위치
해양경찰함정, 해경구조대, 항공기, 민간해양구조대, 인근선박, 어선,
4 발견주체
관공선, 군

5 수색기간 (일) 집중수색 기간

6 생존자 구조 수색 활동으로 발견하여 구조한 생존자 수

7 사망자 인양 수색 활동으로 발견하여 인양한 사망자 수

- 14 -
□ 세력동원 및 구조비용 등

연번 분류항목 세 부 내 용
민간해양구조대
1 동원된 민간해양구조대 척수
동원현황
민간선박
2 동원된 민간선박 척수
동원현황
관공선박
3 동원된 관공선 척수
동원현황
해군세력
4 동원된 군 함정 척수
동원현황
군 항공기
5 동원된 군 항공기 대수
동원현황
해양경찰
6 동원된 해양경찰 함정 및 항공기
동원세력
함정
7 사고 대응에 사용한 함정 유류 소모량
총 유류소모량

함정
8 함정 유류 비용
총 유류비용

항공기
9 사고 대응에 사용한 항공기 유류 소모량
총 유류소모량

항공기
10 항공기 유류 비용
총 유류비용

□ 국내 또는 국제기준의 분류체계 사용 여부
- 국내기준이나 국제기준이 없어 자체적으로 분류하였음.

1-3. 보고양식의 구성
□ 보고양식의 구성
- 보고양식은 법령으로 정해져 있지는 않으나 자체적으로 만든 양식을 활용, 해상
조난사고 통계관리시스템에 직접 입력 하고 있음

- 15 -
○ 선박사고 상세정보
문서(접수)번호 관할해양경찰서 OO서 ▽

발생일시 0000년 00월 00일 00:00 발생해역 ▽

긴급 □ / 비긴급 □
발생장소 긴급 / 비긴급

위도(N)/경도(E) 000-00.00N/ 000-00.00E 정박여부 Y □ / N □

발생유형 ▽ 2차유형 ( ▽), 3차 유형 ( ▽)

발생원인 ▽ 기상상태 ▽

사고개요

신고접수일시 0000년 00월 00일 00:00 신고자 ▽

신고수단 ▽ 신고접수경로 ▽

최초현장도착
대응지시일시 0000년 00월 00일 00:00
구조세력
최초 구조세력
0000년 00월 00일 00:00 도착소요시간 00분
현장도착일시
최초 해경도착세력 ▽ 최초해경 도착일시 0000년 00월 00일 00:00

해경 대응시간 00분 해경 대응거리 00마일

해경동원 함정현황 00척 00명 동원 함정명

해경동원 항공기현황 00대 동원 항공기명

민간 동원세력현황 00척 동원 민간세력 선명

관공서 동원세력현황 동원 관공선명 군 동원세력현황 00척 동원 함정명


00척

구조 / 원조 구조 □ / 원조 □ 구조완료시간 0000년 00월 00일 00:00

구조기관 구조기관 구조척수 구조인원 구조기관(추가) 구조기관 구조척수 구조인원

구조활동 구조활동 구조활동


해양경찰 구조활동 해경구조대 구조 Y □ / N □
1 2 3

함정 유류소모량 함정 유류비용

항공기 유류소모량 항공기 유류비용

○ 선박사고 정보 항목별 정의
- 관할해경서 : 사고발생 해점의 관할 해경서
- 발생일시 : 사고 발생일시
- 발생해역

- 16 -
구 분 분 류 기 준

항 계 내 항만․국가어항․지방어항․어촌정주어항의 경계 이내 해역

협 수 로 「해사안전법」 제67조 의거, 좁은 수로를 의미

영 해 연안으로부터 12해리 이내 해역 (항계 내, 협수로 사고 제외)

영해~EEZ 영해선 ~ EEZ(인접국간 과도수역은 한국에 인접한 경계선까지)

EEZ 30마일 이내 EEZ선 ~ EEZ선+30마일 내측 해역

공해, 외국해역 EEZ선 + 30마일 외측 해역부터 해당되는 해역

- 발생장소 : 사고가 발생한 장소 (OO 군 OO도 남동방 OO마일 해상)


- 긴급/비긴급

구 분 분 류 기 준

긴 급 선박이나 인명의 안전이 확보되지 않아 긴급한 출동이 필요한 경우

비 긴 급 단순 사고로 인명피해 및 선박의 피해가 없고, 선박의 안전이 확보된 경우

- 위도(N)/경도(E) : 사고가 발생한 경 위도 GPS위치 (자동입력)


- 정박(계류) 여부 : 사고발생 선박이 정박지 또는 계류지에 계류한 상태에서 사고
가 발생한 경우 “예” 선택

- 17 -
- 발생유형

사고유형 분 류 기 준

충 돌 항해 중 다른 선박과 부딪히거나 맞붙어 닿은 것 (정박 중인 다른 선박과 부딪힌 경우 접촉)

접 촉 선박이 외부물체나 외부 시설물에 부딪히거나 맞붙어 닿은 것

좌 초 해저 또는 수면 하의 암초 또는 난파선에 얹히거나 부딪힌 것 (좌주 포함)

전 복 선박이 뒤집혀진 것 (충돌, 접촉, 좌초, 화재, 폭발의 결과로 발생한 것 제외)

침 몰 기상악화, 외관 등 균열이나 파공 등 침수 결과 선체가 수면하로 가라앉은 것

침 수 선체 내 해수가 유입된 것

화 재 선박에 화재가 발생한 것 (충돌, 접촉, 좌초, 폭발의 결과로 발생한 것 제외)

폭 발 선박에서 폭발이 발생한 것 (충돌, 접촉, 좌초, 화재의 결과로 발생한 것 제외)

기관손상 주기관(축계포함), 보조기관, 보일러 또는 보기 등이 손상된 것

추진기손상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장비(스크류, 레저선박의 선외기엔진 등)가 손상된 것

키 손 상 방향을 조정하는 장비(키, 조타기 등)가 손상된 것

속구손상 선박의 운용에 계속적으로 부속되는 장비(닻, 통신설비 등)가 손상된 것

시설물손상 선박, 속구 이외의 시설물이 손상된 것

부유물감김 항해 중 추진기에 폐로프, 어망 등 해상부유물이 감긴 것

절박한 위험의 발생은 없으나, 선박 통상의 운항을 불가능하게 하거나 곤란하게


운항저해
하는 상태 (연료부족, 밧데리 방전 등)
작업중 선박의 구조‧설비 또는 운용과 관련하여 사람이 사망 또는 실종되거나 부상당한
인명사상 사고 (내부질환 등에 의한 응급환자 제외)

방향상실 기상불량, 저시정, 방향감각 상실 등에 의한 표류로 선박이 위험해 처한 것

선박으로 부터 기름, 유해액체 물질, 포장유해물질 및 폐기물 등이 유출되어


해양오염
해양오염 피해가 발생한 것 (선박이 특정되는 경우)

기 타 상기 18가지 유형에 포함하지 않는 사고

- 2차 ․3차 유형 : 1차 사고유형 이후에 순차적으로 이어지는 사고의 양상에 따라


2차, 3차 사고유형 선택
* 예) 충돌사고 이후 전복되었다가 침몰한 경우 1차 : 충돌, 2차 : 전복, 3차 : 침몰

- 18 -
- 발생원인 : 사고원인별 분류기준 참조

사고원인 분 류 기 준

운항부주의 선박의 운항과 관련하여 운항자의 주의태만

정비불량 기기의 정기적인 정비 및 점검 불량으로 인한 기계적 결함


화기취급부
각종 전열기기, 조리기구, 화기취급 부주의
주의
적재불량 적재물 등의 적재 또는 고박 상태 불량

재질불량 선박 또는 선체 구성품의 재질 불량

기상악화 태풍, 풍랑, 강풍, 저시정 등 기상악화

관리소홀 항내 정박 중 선박에 대한 안전조치 등 미흡

연료고갈 연료부족으로 인한 사고

기 타 상기 8가지에 해당하지 않는 사고 원인 (안전부주의, 원인미상 등)

- 기상상태

구 분 분 류 기 준

기상양호 기상특보, 황천, 저시정을 제외한 기상상태

태풍으로 인하여 다음의 어느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 풍속 20m/s이상 도는 순간풍속 26m/s 이상 예상될 때
태풍경보
- 총 강우량이 200mm이상 예상될 때
- 폭풍해일 경보 기준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될때

태풍으로 인하여 강풍, 풍랑, 호우, 폭풍해일 현상 등이 주의보 기준에 도달할


태풍주의보
것으로 예상될 때

풍랑경보 해상에서 풍속 21m/s 이상이 3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유의파고가 5m 이상일때

풍랑주의보 해상에서 풍속 14m/s 이상이 3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유의파고가 3m 이상일 때

기상청 풍랑주의보 발효 전 파고 2~2.5m 또는 풍속 10~15m/s 의 해상상태(해


황 천
양경찰 경비규칙에 따른 함정 피항기준)

저 시 정 해상에서 안개로 인하여 시정이 1,000야드 이하인 상태

- 사고개요 : 사고 발생 개요 및 시차별 주요 조치사항 기재


- 신고접수일시 : 상황실에서 신고를 접수한 일시
* 경비함정, 파출소 등 현장 구조세력이 해양사고를 접수 또는 인지하여 상황실
보고 이전에(또는 동시에) 대응을 개시한 경우, 동 구조세력이 사고를 인지한 시
간을 입력 (자동입력)

- 19 -
- 신고자 : 최초 사고발생 사실을 신고한 주체 선택
* 해경자체, 당사자, 가족·지인, 선주, 선장, 제3자(목격자), 어업정보통신국,
VTS, 군, 보건소
- 신고수단 : 최초 사고발생 사실을 신고한 수단
* 전화, VHF, SSB, EPIRB, V-Pass SOS, DSC조난신호, 해로드 SOS, 방문신고, 현지발견, 기타 중 택1
- 신고접수경로 : 최초 사고발생 사실 신고를 접수한 경로
* 119통합신고, 해경상황실, 112통합신고, 파출장소, 해양경찰함정, 어업정보 통신국, 국
제안전통신센터, VTS, 군, 항공기, 기타 중 택1
- 대응지시일시 : 상황실에서 구조세력(경비함정, 파출소, 해경구조대 등)에 최초 대
응을 지시한 일시 (수기 조정 필요)
- 최초 현장도착 구조세력 : 최초 사고발생 현장에 도착하여 구조활동에 임한 구조세력
* 해양경찰, 민간해양구조대, 어선, 인근선박, 소방, 관공선, 해군, 자력, 기타
- 최초 구조세력 현장도착 일시 : 최초 현장도착 구조세력의 현장 도착 시간
- 도착소요시간 : 최초 구조세력이 대응지시 시각부터 현장에 도착하는데 까지
소요된 시간 (자동계산)
- 최초 해경도착세력 : 최초 현장에 도착한 해경구조세력
* 대형함정, 중형함정, 소형함정, 연안구조정, 해경구조대, 중앙해양특수구조단,
해양경찰 항공기, 파출소 순찰대, 방제정, 기타
- 최초 해경도착일시 : 해경구조세력의 최초 현장 도착 시간
- 해경 대응시간 : 최초 현장에 도착한 해경 구조세력의 대응지시 시각부터 현장에
도착한 시각 까지의 소요시간 (자동계산)
- 해경 대응거리 : 최초 현장에 도착한 해경 구조세력의 대응지시를 받은 위치 부
터 사고 현장까지의 이동거리
- 구조/원조

구 분 분 류 기 준

사고로 인하여 인명 및 선박피해의 위험이 높은 상황에서 구조세력이 사고선박


구조활동
을 직접 구조한 경우

사고 위험성이 다소 낮아 단순 도움을 지원하거나 안전관리에 힘한 경우 또는


원조활동
사고선박 자력으로 해결한 경우

- 구조완료시간 : 구조세력이 현장 도착, 안전조치 등을 취하여 사고 선박이 모항


또는 안전지대로 이동 완료 시간
- 구조기관 : 사고선박을 구조한 구조기관을 선택하고, 사고선박의 척수와 구조인원
을 입력
* 해양경찰, 민간해양구조대, 어선, 인근선박, 소방, 관공선, 군, 자력, 기타
- 해양경찰 구조활동 : 해양경찰 구조세력이 현장에서 실제 임무 수행한 구조활동

- 20 -
의 종류를 선택 (복수 선택 가능)
* 인명구조, 화재진압, 배수, 방수, 충돌선박 확인, 선박수리, 예인, 연료제공, 밧데리충전,
부유물제거, 항로유도, 호송, 인근세력동원, 인양, 현장 안전관리, 통신상 안전관리, 기타
○ 사고선박 정보 및 인원
선박번호 선 명

구조 :
구조/침몰/화재전소 침몰 : (수심 m) 구조/불능인원 명/ 명
화재전소 :
인명피해 사망 : 실종 : 부상 : 명(응급환자 :  명)

사고선박 1차 예인 예인기관 ▽ (예인 해경함정명) 예인거리 마일


예 인 2차 예인 예인기관 ▽ (예인 해경함정명) 예인거리 마일

예인선박 수배기관 ▽ 총 예인거리 00 마일

승선인원 00 명 해경함정 안전호송 여부 Y □ / N □

선 적 지 직접입력 총 톤 수 톤

선 질 ▽ 선 종 어업면허▽

마 력 선 령 ▽

피해사항 ▽

○ 선박 및 인원 정보 항목별 정의
- 선 명 : 선박 명칭 입력
- 선박번호 : 선박 MMSI(Maritime Mobile Service Identity) 번호 입력
* 선박정보 불러오기 기능을 통해 선박정보 자동 입력
- 수 심 : 사고선박이 침몰한 경우 침몰 해점의 수심 입력
- 구조/불능인원
․구 조 : 구조세력에 의하여 구조되어 생존한 인원
․구조불능 : 구조 당시 이미 사망, 실종 상태에 있거나, 병원 후송 후 24시간 이
내 사망한 경우
- 인명피해
․구조당시 의식이 있었으나 병원 후송 후 사망하였을 경우 “사망”
* 병원 이송 기준 24시간 이내 사망한 경우 사망으로 분류
․실종 후 발견하지 못한 경우 “실종”, 발견 시 “사망”으로 정정
․부상자 발생 시 부상자 수 입력
* 응급환자는 선박정보 및 인원 입력 완료 후 응급환자 정보 추가 입력
- 선 종

- 21 -
선박종류 분 류 기 준

주 사용목적이 어업에 사용되는 선박


어 선
(소형 선외기, 양식장 관리선, 어획물 운반선 등도 어선에 포함)
낚시객을 승선시켜 낚시영업에 종사하는 어선(낚시어선 신고)
낚시어선
(낚시객을 승선시키지 않고 조업 중 또는 정박 중 사고발생 시 어선으로 분류)

여 객 선 카페리선, 화객선 등 여객의 수송을 목적으로 하는 선박

관광 및 유락을 영업으로 하는 선박(유선)과 사람 및 물건을 운송하는 것을 영업으로 하


유 도 선
는 선박(도선)

화 물 선 화물수송을 목적으로 하는 선박 (벌크선, 컨테이너선, 석탄운반선, 자동차운반선 등)

유류의 수송을 목적으로 하는 선박


유 조 선
(원유운반선, 위험물운반선, 케미컬운반선, 석유제품 운반선 등 )
다른 선박을 끌거나 밀어서 이동시키는 선박(예인선)과 다른 선박에 끌리거나 밀려서
예 부 선
항해하는 선박(부선)

관 공 선 공공기관에 소속되어 있는 선박 (해양조사선, 어업지도선, 소방정 등)

모터보트 보트에 모터를 추진기로 사용하는 레저기구

요 트 기관이 장착된 동력요트만 해당

고무보트 고무보트 선체에 모터가 장착된 레저기구

호버크래프트 공기부양선

기 타 상기 선박유형에 속하지 않는 선박 (급수선, 잡종선 등)

- 사고선박 예인 : 해당 선박을 예인한 예인주체를 선택하며, 1차 예인 후 다른 예


인세력에 인계 하였다면, 2차 예인도 추가 선택
․해양경찰 : 해경함정, 연안구조정 등 해경구조세력이 예인한 경우
․민간해양구조대 : 민간해양구조대 소속 선박이 예인한 경우
․어 선 : 어선이 예인한 경우
․레저선박 : 모터보트, 고무보트, 요트 등 레저선박이 예인한 경우
․인근선박 : 어선, 레저선박을 제외한 인근선박이 예인한 경우
․예 인 선 : 예인선이 예인한 경우
․관 공 선 : 어업지도선, 행정선 등 관공선이 예인한 경우
․자 력 : 선단선, 어선, 예인선 등 자체 동원한 세력으로 예인한 경우
- 예인선박 수배기관 : 예인선박을 직접 수배한 기관을 선택
* 해양경찰, 선주/선장, 어업정보통신국, 기타
- 총 예인거리 : 사고선박을 예인하여 이동한 거리
* Tip) 예인거리가 명확하지 않을 경우, 예인시간 10분 당 1마일로 산정하여 추산

- 22 -
- 승선인원 : 사고 당시 선박에 승선한 인원
- 해경함정 안전호송 여부 : 해경함정이 사고 선박에 대한 안전호송 실시여부에 따
라 예/아니오 선택
- 선적지 : 사고 선박의 선적지
- 총톤수 : 사고 선박의 총톤수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입력)
- 선 질 : 선박의 재질 선택
* FRP, 강, 알루미늄, 목재, 고무, 기타
- 피해사항

구 분 분 류 기 준

경미손상 사고로 인한 손상으로 선박의 물적 피해가 발생하였으나, 자력항해가 가능한 경우

부분소훼 화재로 인한 손상으로 전소에 가지 이르지 않고, 선체의 일부만 소훼된 경우


화재로 인한 손상으로 선체의 전부가 소훼되어 선박이 침몰하거나 수리가
전 소
불가할 정도로 선박의 효용성을 완전히 상실한 경우
선체침몰 선체가 수면 아래로 가라앉은 경우

선체전복 선박이 뒤집어진 경우

선체침수 선체 내로 해수가 유입된 경우

기 타 상기 외 추진기 손상 등으로 예인된 경우

- 마 력 : 모터보트 및 고무보트의 선외기 엔진 마력 기재


- 선 령 : 선박을 진수한 때를 기준으로 현재까지 선령 기재

○ 실종자(선박) 수색구조
실종자(선박) 1

발생일시 0000년 00월 00일 00:00 발생위치 000-00.00N/ 000-00.00E

발견일시 0000년 00월 00일 00:00 소요기간 ▽

발견위치 발견주체 ▽

구명동의 착용 □ / 미착용 □

- 23 -
실종자(선박) 2

발생일시 0000년 00월 00일 00:00 발생위치 000-00.00N/ 000-00.00E

발견일시 0000년 00월 00일 00:00 소요기간 ▽

발견위치 발견주체 ▽

구명동의 착용 □ / 미착용 □

1-4. 보고양식 변경 절차 및 변경이력


□ 보고양식 변경 절차
○ 통계청에 사전 협의를 통한 변경 승인 공문 송부 → 통계청 변경승인 회신 → 변경
□ 보고양식 변경 이력
○ 2016. 11. 3. 통계작성 변경 승인신청(대상범위 및 규모, 작성체계 변경)
< 변경 전 > < 변경 후 >
16개 해양경비안전서 18개 해양경비안전서
< 변경사유 >
보령해양경비안전서(2014년), 부안해양경비안전서(2016년) 개서에 따른 작성대상 변경

○ 2017. 8. 21. 통계작성 변경 승인신청(대상범위 및 규모, 작성체계 변경)


< 변경 전 > < 변경 후 >
1. 안전저해 1. 부유물감김
2. 조 난 2. 방향상실
< 변경사유 >
통계분류 항목의 의미가 모호하여 통계사용자의 혼란을 초래하므로 보다 쉬운 용어로 변경

2. 보고대상 및 통계작성 대상
□ 보고대상
○ SAR구역 내에서 발생한 모든 해상조난사고
○ 법률에 근거한 해상조난사고의 정의에 따라 발생한 선박 관련사고

□ 통계작성 대상
○ 연도별, 구조기관별, 선종별, 유형별, 원인별, 거리별, 기상별 해상조난사고 발생현황

- 24 -
□ 작성기간 내 통계작성대상의 변동 발생 여부
○ 작성기간 내 통계작성대상 변동이 발생하지 않았음
3. 통계작성 개편
□ 해상조난사고 통계관리체계 개선을 위한 연구 수행
○ (2016. 7.) 해양경비안전본부 통계관리체계 개선방안 연구용역 수행
- 해양경찰 통계관리 현황 및 문제점을 객관적으로 분석하여 통계생산 ․관리․활용
등 관리체계 분석 및 문제점 도출
- 정책 수립과정에서 필수적인 핵심통계는 정제하고 불필요한 통계는 축소하여 표
준모델을 정립하고 통계관리시스템 구축 방안 마련 등
○ (2018. 11.) 해상조난사고 통계관리시스템 신규 구축
- (통계관리) 상황접수 시 기본정보 및 데이터가 통계관리 시스템에 자동 입력되어
휴먼에러에 의한 통계의 누락을 방지하며, 사고대응과 관련된 모든 정보사항을
데이터 및 시각화하여 통계 관리기능 강화
* 일선 서 및 지방청 통계 Master 지정, 통계 분류 및 세부 내용 집중 관리체제 유지
- (분류체계고도화) 세분화된 통계 분류체계와 개선된 메타데이터(Meta Data)*를 통
하여 보다 전문적이고 다양한 통계 DB 구축 실현
* (엑셀데이터) 기존 30개 데이터 표출 → 개선 98개 데이터 표출
- (해역별분석) GIS시스템과 연계한 해역별 사고분류 및 분석기능 개선
* 기존 지능형 통계시스템의 기능에 추가하여 지방청별 사고분석 기능 도입
- (응급환자관리) 기존 질병에 따른 응급환자 뿐만 아니라 선박사고 ․비선박사고로
인한 응급환자도 통합 관리하여 응급의료 통계 관리 강화

- 25 -
Ⅳ. 자료수집

1. 자료수집 체계 및 절차
□ 통계작성을 위한 자료수집 체계 및 절차 흐름도
○ 해상조난사고 통계 관리 체계
- 해상조난사고 발생 시 통계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해상조난사고 자료 입력 후 통
계자료 생성

○ 자료수집 체계
① 19개 해양경찰서(해상조난사고 발생 시 통계관리시스템 내 사고정보 등록)→ ②
5개 지방해양경찰청(사고 등록현황에 대한 1차 오류검정, 자료취합 및 정제) →
③ 해양경찰청(2차 오류 검정 및 통계 분석) → ④ 통계생성 → ⑤ 대외 공표
○ 해양경찰청에서 구축하여 운용 중인『해상조난사고 통계관리시스템』을 통해 해
상조난사고 통계 작성

□ 최초 보고자(등록자) 단계에서 전산입력, 오류점검 등


○ 해상조난사고 통계관리시스템 자체 오류점검
- 해상조난사고 발생 및 시스템 입력 사항에 대하여 매월 자체 통계실태 점검을 실
시하고 있으며, 상황보고서와 Raw데이터(엑셀)를 비교하여 누락 및 오류 사항을
수정하고 있음
- 해경서 자체 통계 실태 점검 이후 지방청에서 관할 소속서의 통계 입력사항을 점
검하며, 본청에서는 매 분기별 해상조난사고 통계 실태점검을 통해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검증하여 통계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있음

2. 자료 수집을 위한 교육
□ 해상조난사고 통계담당자 대상 정기교육 추진
○ 각 해경서 및 지방해양경찰청 해상조난사고 통계담당자를 대상으로 통계 입력 기준
및 통계관리 시스템 운용방법에 대한 교육을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있음.

- 26 -
연 번 일 시 내 용 대 상 자

선진 해양구조체계 구축을 위한 해경서 및 지방청


1 2019. 2. 27.(수)
해양수색구조 워크숍 수색구조(통계)담당자
전국 해상조난사고 통계 실무자
2 2019. 2. 12.(화) 해경서 및 지방청 통계담당자
영상교육
전국 해상조난사고 통계 실무자
3 2018. 12. 19.(수) 해경서 및 지방청 통계담당자
영상교육

4 2018. 2. 13.(수) 통계시스템 입력 관련 수시 교육 해경서 및 지방청 통계담당자

해경서 및 지방청 수색구조


5 2018. 2. 8.(목) 해양 수색구조 체계 개선 워크숍
(통계)담당자

□『해상조난사고 통계관리시스템 운용 표준 가이드라인』제작․배포


○ 해상조난사고 통계관리시스템 신규 구축에 따른 통계 데이터 입력에 대한 획일화
된 기준을 마련하여 해상조난사고 통계의 통일성과 신뢰도 제고에 노력

□ 보고단계에 대한 의문사항 발생 시 조치방안


○ 해상조난사고 통계관리시스템 상 커뮤니티관리의“묻고 답하기”또는 “질문게시
판”이용이 가능함
○ 통계시스템 사용 관련 오류사항 및 의문사항은 전화, 메일, 메모보고, 메신져 등
- 27 -
다양한 수단을 활용하여 접수 즉시 처리하고 있음

3. 현장관리
□ 보고 완료시점 미준수에 따른 조치절차 및 방안
○ 해상조난사고 현황은 매월 지방해양경찰청 및 해양경찰청에서 자료 입력 데이터
에 대하여 관리․점검을 하고 있으며, 전년도 통계에 대하여 익년 1월에 잠정 확
정하고 익년 4월에 최종 통계공표를 하므로, 그 사이 기간 동안 데이터 점검 및
보완 등의 절차를 거치고 있음

□ 보고 양식의 주요 항목별 기입요령 및 기입 시 유의사항 등


○ 보고양식의 주요 항목 및 기입 시 유의사항
* 붙임 1 해상조난사고 통계관리시스템 운용 표준 가이드라인 참조

- 28 -
○ 선박사고 상세정보

- 29 -
○ 사고선박 정보 및 인원

○ 실종자(선박) 수색구조

- 30 -
□ 주요 질의응답․오류사례 축적 및 관리방법
○ 해상조난사고 통계관리시스템을 통한 질의 응답자료 관리
- 통계시스템 사용 관련 오류사항 및 의문사항은 전화, 메일, 메모보고, 메신져
등 다양한 수단을 활용하여 접수 즉시 처리하고 있음
○ 주요 오류사항을 수록한 자료를 제작하여 통계담당자 교육에 활용
- 통계 담당자들이 통계 입력 과정에서 주로 실수하거나 오류가 발생하는 부분을
따로 모아 주요 오류사항 모음집을 제작하여 수시 교육을 실시하고 있음
○ 주요 통계입력 오류사항
- 선박사고 유형별 분류기준 적용

① 충돌․접촉
▸ 선박과 선박 간 부딪히거나 맞붙어 닿은 경우 [충돌] 로 입력
▸ 선박이 외부물체나 시설물에 부딪힌 경우 [접촉] 으로 입력
* 충돌과 접촉의 구분은 충돌의 경중이 아닌 대상에 따라 선택

② 부유물감김 (舊 안전저해)
▸ 항해 중 추진기에 폐로프, 어망 등 해상부유물이 감긴 경우
* 추진기 손상 및 운항저해와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

③ 운항저해

▸ 연료부족, 밧데리방전 등 통상의 선박 운항을 불가능하게 하거나 곤란하게 하는 경우

④ 방향상실 (舊 조난)

▸ 기상불량, 저시정, 항해장비 고장 등으로 방향상실로 표류하는 경우

⑤ 인명사상
▸ 선박의 구조․설비 및 운용과 관련하여 사람이 사망 또는 실종되거나 부상당한 사고
ex) 조업 중 어구에 맞아 부상 또는 사망한 경우, 조업 중 실족하여 실종된 경우 등
* 내부질환에 의한 응급환자는 비선박사고로 입력

⑥ 사고유형 선택기준
▸ 사고유형은 1차 사고유형을 기준으로 선택
ex) 사고의 진행 양상이 충돌 → 전복 → 침몰된 경우 [충돌]로 입력
* 내부질환에 의한 응급환자는 비선박사고로 입력

- 31 -
⑦ 해양오염
▸ 선박으로부터 기름, 유해액체물질, 폐기물 등이 유출되어 해양오염 피해가
발생한 것 (선박이 특정되는 경우)

- 선박사고 관련 세부사항

① 대응거리

▸ 해양경찰 구조세력이 대응지시에 따라 이동한 거리 입력


ex) - 자력으로 해결하여 자체 해결하고 구조세력이 대응하지 않은 경우 0으로 입력

② 구조기관별 구조척수/인원 입력

▸ 구조기관은 사고선박을 직접 구조한 기관 선택


ex) 해양경찰 함정이 현장에 도착해서 안전관리만 실시하고 실질적인 구조활동을
어선이 행한 경우 구조기관은 어선으로 선택
▸ 구조인원은 사고선박의 승선원을 기준으로 입력
ex) 6명이 승선한 어선 1척을 해경함정이 구조한 경우 구조기관은 해양경찰 1척 구조인
원은 6명으로 입력
* 구조에 동원된 기관 및 인원이 아님에 주의

③ 통계분류 항목 중 [기타] 입력 자제

▸ 사고유형, 선종, 사고원인 등 입력 시 [기타] 항목 선택 자제

④ 사고개요
▸ 사고발생 개요 및 시차별 주요 조치사항 기재
- 구조 시작 부터 구조 완료 시 까지 사고처리 사항을 상세히 기재

⑤ 기상정보 입력 시

▸ 저시정이 설정되지 않았더라도 시정이 1,000m 이하이면 저시정 선택

⑥ 해경구조대 구조여부 (Y/N) 체크

▸ 구조활동에 해경구조대가 동원된 경우 Y 체크

- 32 -
⑦ 해양경찰 통계 체크
▸ 해경 구조세력이 대응한 경우 [대응시간] 체크
▸ 구조완료된 경우 [구조율] 체크

⑧ 구조/침몰 여부
▸ 선박 효용성을 상실한 선박을 제외하고 선박을 구조한 경우 “구조” 체크
* ‘기타’는 침몰로 집계가 되므로 기타 선택 금지

⑨ 낚시어선 구분
▸ 낚시객을 승선시켜 낚시영업에 종사하는 낚시어선의 사고가 발생한 경우
(낚시객을 승선시키지 않고 조업 또는 정박 중 사고발생 시 어선으로 분류)
* 낚시승객을 태우고 낚시영업 중이었는지 여부를 중점적으로 확인

⑩ 부상/사망/실종자 입력 철저
▸ 인명피해(부상/사망/실종자) 인원 입력 시 누락 하지 않도록 주의
* 부상자 가운데 긴급한 이송이 필요한 경우 “응급환자” 인원으로 집계

- 선박예인 관련 사항

① 사고선박 예인기관 선택
▸ 해양경찰 : 해경함정, 연안구조정 등 해경 구조세력이 예인한 경우
▸ 민간해양구조대 : 민간해양구조대 소속 선박이 동원되어 예인한 경우
▸ 관 공 서 : 어업지도선, 행정선 등 관공선이 예인한 경우
▸ 자 력 : 선단선, 어선, 예인선 등 자체 동원한 세력으로 예인한 경우
* 자체수리 완료하여 자력으로 항해한 경우 “없음” 선택

② 예인거리 입력
▸ 구조선박이 피예인선을 예인하여 안전한 해역까지 이동한 거리
* 예인거리를 모를 경우, 평균 예인속력 6kts를 적용하여 예인거리 산출
(10분 당 약 1해리 예인)

□ 보고양식의 미기재, 부실기재 등이 있는 경우 처리지침


○ 통계오류 검토 시 필수 입력 항목의 미기재 및 부실기재 사항 검토
- Raw데이터를 활용하여 각 건별로 미기재 및 오류사항을 확인하고 상황보고서와
대조하여 데이터 입력 오류 내역 추출하여 수정
- 미기재 및 오류항목은 『해상조난사고 통계관리시스템 운용 표준 가이드라인』의
표준화된 기준에 따라 수정 및 추가 조치

- 33 -
Ⅴ. 다른 행정자료 활용

1. 행정자료 활용 목적 및 내용
□ 중앙해양안전심판원 해양사고 통계
○ 유사통계인 해양사고 통계와의 비교를 통하여 해상조난사고 통계의 정확성 검증
□ 행정자료 활용 내용이나 항목
○ 해양사고 발생 척수, 유형별, 선종별 및 사망․실종자 현황을 해상조난사고 통계
현황과 비교하여 데이터 누락 및 오류 부분을 추출하여 수정

2. 활용 행정자료의 특성 및 입수체계
□ 행정자료의 수집 목적, 내용, 과정, 방법, 수집 및 관리기관, 유지관리 방법,
기타 행정자료의 특성
○ 해양사고 통계
- 수집목적 : 해상조난사고 통계의 누락 여부 확인
- 수집내용 : 해양사고 발생 척수, 유형별, 선종별 및 사망․실종자 현황 통계 등
- 과정 및 방법 : 매월 초 전월 데이터에 대한 엑셀 데이터 공유
- 수집 및 관리기관 : 해양수산부 중앙해양안전심판원
- 일 정 : 매월 말 데이터 현황 공유
- 유지관리방법 : 보안 관리가 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암호화 하여 관리

□ 법적근거
○ 통계법 제24조 (행정자료의 제공)
제24조 행정자료의 제공
① 중앙행정기관의 장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통계의 작성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공공기관의 장에게 행정자료의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② 공공기관의 장은 제1항에 따라 행정자료의 제공을 요청받은 때에는 국가기밀, 개인과
기업의 중대한 비밀의 침해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정당한 사유가 없는 한 이에
응하여야 한다.

- 34 -
Ⅵ. 자료처리

1. 자료입력 표준화
□ 자료입력 방법, 내용 및 입력오류 검출 방법
○ 각 해양경찰서 통계 담당자는 사고발생 시 상황보고서를 참고하여『해상조난사고
통계관리시스템』상에 해상조난사고 관련 사고정보, 선박정보, 인명피해 사항 등
의 데이터를 입력하여 통계자료 생성

○ 자료수집 체계
① 19개 해양경찰서(해상조난사고 발생 시 통계관리시스템 내 사고정보 등록)→ ②
5개 지방해양경찰청(사고 등록현황에 대한 1차 오류검정, 자료취합 및 정제) →
③ 해양경찰청(2차 오류 검정 및 통계 분석) → ④ 통계생성 → ⑤ 대외 공표
○ 해상조난사고 통계관리시스템 자체 오류점검
- 해상조난사고 발생 및 시스템 입력 사항에 대하여 매월 자체 통계실태 점검을 실
시하고 있으며, 상황보고서와 Raw데이터(엑셀)를 비교하여 누락 및 오류 사항을
수정하고 있음
- 해경서 자체 통계 실태 점검 이후 지방청에서 관할 소속서의 통계 입력사항을 점
검하며, 본청에서는 매 분기별 해상조난사고 통계 실태점검을 통해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검증하여 통계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있음
○ 입력매뉴얼
- 해상조난사고 통계관리시스템 운용 표준 가이드라인 (붙임 참조)
○ 자료입력 교육일정 및 방법
- 각 해경서 및 지방해양경찰청 해상조난사고 통계담당자를 대상으로 통계 입력 기
준 및 통계관리 시스템 운용방법에 대한 교육을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있음

- 35 -
연 번 일 시 내 용 대 상 자
선진 해양구조체계 구축을 위한 해경서 및 지방청
1 2019. 2. 27.(수)
해양수색구조 워크숍 수색구조(통계)담당자
전국 해상조난사고 통계 실무자
2 2019. 2. 12.(화) 해경서 및 지방청 통계담당자
영상교육
전국 해상조난사고 통계 실무자
3 2018. 12. 19.(수) 해경서 및 지방청 통계담당자
영상교육

4 2018. 2. 13.(수) 통계시스템 입력 관련 수시 교육 해경서 및 지방청 통계담당자

해경서 및 지방청 수색구조


5 2018. 2. 8.(목) 해양 수색구조 체계 개선 워크숍
(통계)담당자

-『해상조난사고 통계관리시스템 운용 표준 가이드라인』제작․배포

2. 자료내검
□ 해상조난사고 통계 자료집계 절차
○ 해상조난사고 통계관리시스템에 등록된 사고현황 데이터를 통계화하여 집계하고
오류 및 누락사항에 대한 수정을 거친 후 최종 확정
- 집계 후 Raw data를 활용하여 통계 상 오류 유무 확인
- 집계된 통계 수치 수정 및 검증 후 이상 없을 경우 통계 확정
* 해양경찰서 (1차 검증) → 지방해양경찰청 (2차 검증) → 해양경찰청 (3차 검증)

- 36 -
□ 보고단계별 개별자료 중 중복, 누락 등에 대한 확인 및 보완 방안
○ 보고 단계별 개별자료 중 중복에 대한 보완사항
- 사고 접수 시 일련번호가 자동으로 부여되기 때문에 중복은 불가함
- 별건으로 등록하여 일련번호가 자동으로 부여되지 않아 중복이 된 경우 3차례의
통계 검증 과정을 통하여 보완하고 있음
○ 보고 단계별 개별자료 중 누락에 대한 보완사항
- 통계시스템 상 필수 입력항목에 대하여 미입력 시 오류 메시지가 나타나며 저장
이 불가하며 데이터를 추가로 입력한 후 저장
- 상황보고서와 대조 ․확인하여 사고 정보 입력이 누락된 경우 추가 입력하고 있음

□ 해상조난사고 현황 내검요령
○ 해경서별 사고 발생 현황 Raw Data를 추출하여 상황관리시스템 상의 실제 상황
접수 여부를 확인하고, 사고정보, 신고접수, 구조대응 현황, 선박정보, 인적사항
등 입력오류 데이터에 대하여 점검하고 수정 ․보완하고 있음

□ 집계된 자료를 통계화 시키기 위한 시스템 구축 내용


○ 시스템에 입력된 자료는 통계표 형태로 집계할 수 있도록 시스템이 구축됨
3. 무응답
□ 주요 항목에 대한 무응답률
○ 사고발생 결과에 대하여 주요 항목별 통계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이므로 무응답은
허용하지 않으며, 누락 시 추가하여 수정․보완 절차를 거치고 있음

4. 이상치 식별 및 처리
□ 이상치 식별 및 처리
○ 해양경찰청 해상조난사고 통계 담당자는 연간 통계자료 작성 이전에 매월 통계자
료를 점검․확인하여 데이터의 오류가 의심되는 경우 해당 해양경찰서에 수정․
보완 요청
- 사고유형별, 선종별, 원인별 등 통계 작성 시 전년 동기와 비교하여 특정 지표의
값이 급증한 경우 검증을 통하여 보완

- 37 -
Ⅶ. 통계공표 및 품질평가

1. 공표통계 및 해석방법
□ 해상조난사고 현황 주요 통계표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 상 공표 현황

< 연도별 해상조난사고 현황 >

< 선종별 해상조난사고 현황 >

- 38 -
< 사고유형별 해상조난사고 현황 >

< 원인별 해상조난사고 현황 >

- 39 -
< 구조기관별 해상조난사고 현황 >

< 기상별 해상조난사고 현황 >

- 40 -
< 해역별 해상조난사고 현황 >

- 41 -
○ 해상조난사고 통계연보 상 주요 통계표 현황

- 42 -
- 43 -
- 44 -
- 45 -
- 46 -
- 47 -
- 48 -
- 49 -
- 50 -
- 51 -
- 52 -
- 53 -
○ 해상조난사고 관련 보도자료

- 54 -
- 55 -
- 56 -
- 57 -
- 58 -
- 59 -
- 60 -
□ 통계표 등 이용 시 주의사항

- 61 -
- 62 -
- 63 -
- 64 -
- 65 -
2. 시의성 및 정시성

2-1. 보고대상 기간 / 시점과 공표시기


□ 보고대상 시점과 공표시기
○ 보고대상 기간 : 매년 1월 1일 ~ 12월 31일
○ 공표시기 : 작성기준년도 익년 4월
2-2. 공표일정
□ 사전에 계획 및 공개된 통계공표 일정과 공개 방법
○ 공표 일정 게시
- 통계설명자료(http://meta.narastat.kr) => 작성기준년도 익년 4월
○ 공표방법
- 인터넷 : 해양경찰청,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 e-나라지표, 공공데이터 포털

공표장소 홈페이지

해양경찰청 http://www.kcg.go.kr
통계청
http:// kosis.kr
국가통계포털 (KOSIS)
e-나라지표 http://www.index.go.kr

공공데이터포털 http://data.go.kr

- 해상조난사고 통계연보 : 익년 6월 경 발간

□ 공표된 공표일정과 실제 공표시기(인터넷 공표 기준)

구 분 공표계획 공표 자료명 실제공표시기

2018년 익년 4월 해상조난사고 현황 2019. 5월

2017년 익년 4월 해상조난사고 현황 2018. 4월

2016년 익년 4월 해상조난사고 현황 2017. 4월

3. 비교성

3-1. 통계 작성방법의 비교성

□ 통계의 개념

- 66 -
○ 통계의 개념은 매년 동일하게 적용하기 때문에 연도별 조사 결과의 비교와 일
관성 있는 통계 분석이 가능함

□ 통계 분류기준 변경
○ 사고유형별 분류기준 변경
- 유사통계인 해양사고 통계와의 일원화를 추진하면서 사고유형별 분류기준을 변경
하였음 (2014년)

변 경 전 변 경 후
충돌, 접촉, 좌초, 전복, 화재, 침몰, 침수,
충돌, 전복, 좌초, 침수, 화재, 기관고장, 조난, 인명사상, 해양오염, 기관손상,
타기고장, 추진기장애, 기타 추진기손상, 키손상, 속구손상,
시설물손상, 안전저해, 운항저해, 기타

- 모호한 통계분류 항목의 의미가 모호하여 통계사용자의 혼란을 초래하므로 보다


쉬운 용어로 변경 (2017년 8월)

변 경 전 변 경 후

1. 안전저해 1. 부유물감김
2. 조 난 2. 방향상실

□ 통계 보고기준
○ 통계의 보고기준은 『해상조난사고 통계관리시스템 운용 표준 가이드라인 』에 따
라 매년 동일한 기준을 적용하고 있음

□ 통계 보고시기
○ 통계의 보고 시기는 매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 까지의 해상조난사고 발생 현황
통계를 익년 4월에 공표하는 것으로 매년 동일한 기준을 적용하고 있음

3-2. 국가간 비교성

□ 외국에서 동일 목적의 통계
1) 영국
○ MAIB(영국 해양사고 조사기관)
- Marine Accident Statistics

- 67 -
- http://www.gov.uk/government/publications/maib-annual-report-2015
○ 담당기관 : Marine Accident Investigation Branch(MAIB), 독립기구
○ 관련법령(규정) : The Merchant Shipping (Accident Reporting and Investigation)
Regulations 2012
○ 해양사고(Marine Casualty)는 선박의 운항(Operation of a ship)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되어 다음의 사건이 발생한 경우
- 사망(death) 또는 중상(serious injury)
- 선박에서 발생한 인명손실(loss of a person from a ship)
- 선박 손실(the loss, persumed loss or abandonment of a ship)
- 선박의 물질적 피해(material damage to a ship)
- 선박좌초 또는 기능불능, 선박충돌
- 선박으로 인한 해양기반 시설물 물질적 피해 (이로 인해 해당선박, 다른 선박, 또
는 사람의 안전에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상황)
- 해양오염 (또는 선박손상 및 선박 간의 손상으로 환경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잠재
적 오염)
○ 적용대상 범위
- 해양사고의 적용범위는 다음과 같음
- 1) 유람선 및 2)레저선박, 그리고 3) 길이가 8m 미만이고 내륙수로 또는 항만 내
에서 상업용으로 사용되는 선박을 제외한 영국적선
- 단 2), 3)에 해당되는 선박 중 폭발, 화재, 사망, 중상, 동력선박의 전복, 심각한
오염일 경우에는 해양사고에 포함
- 영국 해상영역 내에서 발생한 사고
○ 영국은 해양사고조사부에서 해양사고를 조사하고 관련된 보고서 및 통계자료를
발행하고 있음
- 해양사고 조사 보고서 서식을 제공하고 있으며 양식은 다음과 같음
- 해양사고 주요 개요, 선박 상세정보, 선원 사상정보, 사고관련 기타 질문사항, 선
원인적정보, 사고관련 분류코드정보 등을 양식화하여 사용
○ 영국의 해양사고 조사 양식

- 68 -
- 69 -
- 70 -
2) 미국
○ 담당기관
- 미국 해안경비대(United States Coast Guard, USCG)
- 국가교통안전위원회(National Transportation Safety Board, NTSB)
○ 관련법령(규정) : 1974년 독립안전위원회법
○ 사고절차 : 미국의 해양사고조사 절차는 IMO가 제시하는 사고조사 절차를 바탕으
로 조사체계를 구성함
○ 사고정의 : 미국의 해안경비대의 경우, 해양사고의 정의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구분하고 있음
- 중대한 해양사고(Major Marine Casualty)
- 관공선 / 민간선 사고(Public/Non-Public Vessel Casualty)
- 중요한 해양사고(Significant marine Casualty)
- 일반 준사고(Routine Incident)
3) 중국
○ 담당기관 : Maritime Safety Administration : 중국 교통운수부 직속기구
○ 통계 주관기관 : 교통부 주관, 각 지방 해사국은 각 관할 지역의 통계 실무 담당
○ 관련법령(규정) : 수상교통사고 통계방법 (2002년 10월부터 시행)
○ 통계적용 대상 선박(제2조)
- 중국 연해 수역 및 내하 통항수역에서 발생하는 수상교통사고
- 역외 수역에서 발생한 중국적 선박의 수상교통사고
○ 수상교통사고 종류(제5조) : 선박과 관련한 다음의 사고
- 1)충돌, 2)좌주, 3)좌초, 4)접촉, 5)침수, 6)화재 및 폭발, 7)풍재, 8)침몰, 9)기타 인
명 사상 및 직접적 경제손실을 야기하는 수상교통사고
* 선박 : 각종 배수(排水) 또는 비배수 선박, 보트, 뗏목, 수상비행기계장치, 잠수
기, 수상이동장치
4) 호주
○ 담당기관 : Australian Transportation Safety Bureau(ATSB)
○ 관련법령(규정) : Transport Safety Investigation Act 2003
○ 선박사고 발생 시 사고처리의 우선순위를 부여함
- 1)여객선, 2)화물상선, 3)비영리선박
○ 호주는 SIMS(Safety Investigation Information Modes and Systems)라 불리는 조사
정보시스템을 개발하여 조사전문가가 수집한 모든 자료가 저장되어 실시간으로
자료를 공유하고 있음
○ 적용대상 : 해양사고(Marine Accident)는 navigable waters내에서 운용 중인 선박
이 아래와 같은 사고가 발생한 경우

- 71 -
- 선박에 승선한 사람의 부상 또는 사망(the loss of life of or injury to, any person
on board the vessel)
- 선박에서 발생한 인명손실(the loss of a person from the vessel)
- 선박으로부터 기인된 부상 또는 사망(the loss of life or injury to a person that
is caused by the vessel)
- 선박의 손실 또는 손실추정(the loss, or presumed loss, of the vessel)
- 선박의 전복, 좌초 또는 침수(the capsizing, grounding, or flooding of the vessel)
- 선박의 충돌(the collision of the vessel with another vessel or with any object)
- 해상에서 선박기능불능으로 도움이 필요한 경우(the vessel being disabled at sea)
- 선박에서 발생한 화재(any fire on board the vessl)
- 선박에 의해 발생한 손상 및 피해(any damage being caused to the vessel)
- 선박 및 선박에서 방출된 물질에 의해 발생한 환경적 피해(any damage to the
environment caused by the vessel or by any substance on, or discharged form
the vessel)
- 준사고 중 위에 언급된 항목 중 하나가 발생한 경우

4. 일관성

4-1. 동일영역 통계와 일관성

□ 동일한 조사내용 또는 보고 항목이 포함된 다른 통계의 존재 유무


○ 해상조난사고 통계의 유사통계로 중앙해양안전심판원 소관의 해양사고 통계가 있음

- 72 -
해양사고 해상조난사고

작성기관 중앙해양안전심판원 해양경찰청 수색구조과

통계청 승인 1976. 8. 26 2006. 6. 1

해양사고의 조사 및 심판에 관한 법률 수상에서의 수색.구조에 관한 법률에


근거법
- 시행령 제17조의3에 따라 통계 생성 따라 조난사고를 분류

"해양사고"란 해양 및 내수면에서 발생한 사고


- 선박의 구조·설비 또는 운용과 관련하여 사
람이 사망 또는 실종되거나 부상을 입은
사고 "조난사고"란 해수면 또는 내수면에서
- 선박의 운용과 관련하여 선박이나 육상시 선박 등의 침몰·좌초·전복·충돌·화재·기관
정의 설·해상시설이 손상된 사고 고장 및 추락 등으로 인하여 사람의 생
- 선박이 멸실·유기되거나 행방불명된 사고 명·신체 및 선박 등의 안전이 위험에 처
- 선박이 충돌·좌초·전복·침몰되거나 선박을 조종할 한 상태
수 없게 된 사고
- 선박의 운용과 관련하여 해양오염 피해가
발생한 사고

○ 해경 ‘해상조난사고’ 통계와 해양수산부(중앙해양안전심판원) ‘해양사고현황’


통계는 공히 통계청의 승인을 받는 국가승인통계임
- 통계의 대상이 되는 ‘해상조난사고1)’와 ‘해양사고2)’는 근거법령과 사고의
정의가 상이함
1) 해상조난사고 : 수상구조법 상 정의(생명·신체, 선박등의 안전이 위험에 처한 상태)
2) 해양사고 : 해양사고의 조사 및 심판에 관한 법률 상 정의(사망・실종・부상, 선박 멸
실・유기・손상 등)
※ 유사통계의 일원화를 위해 2014년, 해경-해수부 통계관리 협의회 개최 등 노력을 지속해
사고유형의 명칭을 동일한 용어로 통일(사고 건수는 사고의 기준이 달라 개별 관리)

□ 통계수치의 차이 이유
○ 해양경찰의 해상조난사고 통계는 인적・물적 피해여부와 관계없이 위험의 발생사
실과 구조대응 중심의 통계로서, 신고접수된 모든 사고에 대해 누가 어떻게 처한
위험에 대해, 누가 어떠한 대처를 했는지 분석
○ 이에 비해 해양수산부(중앙해심원) 통계는 피해가 발생한 사고 중심 통계로서, 피
해발생의 원인과 책임소재 규명에 중점을 두고 분석

- 73 -
(사례1) 어선 기관고장으로 항해가 불가능하다는 신고가 접수되어 해경함정이 현장으로

출동 하였으나, 어선 한 경우
스스로 고장을 수리

- 해경은 ‘기관고장’이라는 위험에 대해 ‘함정’이라는 대응세력이 출동했고, 어선측


이 ‘자력해결’하여 위험이 해소된 것으로 관리
- 해수부는 인명피해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지 않았으므로 사고의 범주에 포함시
키지 않음
(사례2)짙은 안개로 해상에서 방향을한 레저선박에 대해 해경함정이 현장
상실

출동하여 예인, 안전해역으로 이동 조치한 경우


- 해경은 ‘방향상실’ 사고로 관리하는 반면, 해수부는 사고에 포함시키지 않음
○ 통계수치 비교
(단위 : 척)
연 도
‘13년 ‘14년 ‘15년 ‘16년 ‘17년
구 분
해상조난사고 1,052 1,418 2,740 2,839 3,160

해양사고 1,306 1,565 2,362 2,549 2,882

* 자력해결 사고의 경우 해경은 포함, 해수부는 불포함하여 통계 차이 발생

- 74 -
Ⅷ. 통계작성 문서화 및 이용자 서비스

1. 통계작성 문서화
□ 통계작성 절차별 문서화 현황
○ 통계작성 기본계획 : 없음
○ 업무편람 :『해상조난사고 통계관리시스템 운용 표준 가이드라인』
○ 자료수집 방법 : 해상조난사고 통계관리시스템 상 입력
○ 현장조사관리 : 해당사항 없음
○ 공표자료 제공방법 : 관련 웹사이트에 등재 및 통계연보 발간
- 인터넷 : 해양경찰청,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 e-나라지표, 공공데이터 포털

공표장소 홈페이지

해양경찰청 http://www.kcg.go.kr
통계청
http://www.kosis.kr
국가통계포털 (KOSIS)
e-나라지표 http://www.index.go.kr

공공데이터포털 http://data.go.kr

- 해상조난사고 통계연보 : 익년 6월 경 발간

2. 접근성 및 명료성

2-1. 통계의 이용자 서비스


□ 통계가 이용자에게 서비스되는 경로

서비스 경로(인터넷 주소) 제공자료

해양경찰청 http://www.kcg.go.kr 보도자료, 통계연보 자료 등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KOSIS) http://www.kosis.kr


연도별, 유형별, 원인별, 선종별 등 통계표
e-나라지표 http://www.index.go.kr
통계설명자료 등
공공데이터포털 http://data.go.kr

2-2. 연락처 정보
□ 헤상조난사고 현황 통계 담당자 정보
○ 통계담당자 정보
- 75 -
담당부서 해양경찰청 구조안전국 수색구조과 구조대응계

담 당 자 경사 장 O O

이 메 일 help8780@korea.kr

전화번호 032-835-2545

2-3. 통계 설명자료 제공
□ 통계설명자료 소재정보
○ 통계 메타데이터
- www.index.go.kr (e-나라지표)
- www.data.go.kr (공공데이터 포털)
○ 통계 설명자료
- www.index.go.kr (e-나라지표)
- www.kosis.kr (KOSIS 국가통계포털)

3. 마이크로 데이터 서비스


□ 마이크로데이터의 제공여부와 제공방법
○ 마이크로데이터 제공여부
- 요구 및 제공방법
마이크로 데이터는 공공데이터 포털 상에 등재되어 있으며, 보다 상세한 데이터
를 원할 경우“정보공개 시스템”을 통하여 상세 통계 데이터에 대한 정보제공
요청이 가능함
- 소요시간 및 비용
정보공개 신청 후 약 1주일 이내에 제공되며 제공되는 데이터의 양에 따라 정보
공개청구 세부규정에 근거하여 비용 책정
- 자료제공 포맷 및 레이아웃
청구 자료의 종류에 다라 제공되는 자료의 포맷 및 레이아웃이 다르며, 일반적
으로 엑셀, HWP, 텍스트 파일로 제공하고 있음

- 76 -
4. 비밀보호 및 보안
4-1. 자료수집, 처리 및 보관 과정의 비밀번호
□ 자료의 수집, 입력, 전송, 처리 및 보관과정에서 응답자 비밀번호
○ 수집(조사)과정
- 사고 발생 시 선박을 특정하기 위하여 선박관련 정보(선명, 선박번호 등)를 수집함
○ 자료 처리과정
- 수집된 선박관련 정보는 해상조난사고 통계관리 시스템 상에 입력하고 있음
○ 자료 보관과정
- 집계된 통계자료는 개인 식별자료를 포함하지 않은 상태로 보관되고 있음

4-2. 공표자료의 비밀보호


□ 공표자료에서 응답자 식별 가능성 제거를 위하여 취한 조치와 방법
○ 해상조난사고 현황 통계자료에는 개인정보는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공표 시 선
박명 등 선박정보는 공표하지 않음

4-3. 자료 보안 및 접근제한
□ 자료 보안 및 접근제한
○ 원 자료는 해양경찰청 해상조난사고 통계관리시스템 서버에 보관되며, DB 접근은
담당자만 가능하며, 주기적으로 백업파일을 작성하고 있음

- 77 -
Ⅸ. 통계기반 및 개선

1. 기획 및 분석 인력
□ 업무를 담당하는 부서명과 업무별 담당인력 구성
○ 부서명 : 구조안전국 수색구조과
○ 업무별 담당인력 구성
연 번 소 속 직 급 담당업무 통계업무 경력

1 해양경찰청 경 사 통계기획, 분석, 결과공표, 통계관리 총괄 3년 2월

2 중부지방해양경찰청 경 장 2월

3 서해지방해양경찰청 경 장 2월

4 남해지방해양경찰청 경 장 통계입력, 분석, 통계관리 1년 2월

5 동해지방해양경찰청 경 장 2월

6 제주지방해양경찰청 경 장 2월

7 인천해양경찰서 경 장 2월

8 평택해양경찰서 경 장 2월

9 태안해양경찰서 순 경 2월

10 보령해양경찰서 순 경 2월

11 군산해양경찰서 경 장 1년 2월

12 부안해양경찰서 경 장 2년 2월
통계입력, 분석, 통계관리
13 목포해양경찰서 경 장 2월

14 완도해양경찰서 경 장 2월

15 여수해양경찰서 경 장 1년 2월

16 통영해양경찰서 순 경 2월

17 창원해양경찰서 경 장 1년 2월

18 부산해양경찰서 경 사 2월

- 78 -
연 번 소 속 직 급 담당업무 통계업무 경력

19 울산해양경찰서 경 사 2월

20 포항해양경찰서 경 위 2월

21 울진해양경찰서 경 장 2월

22 동해해양경찰서 경 장 통계입력, 분석, 통계관리 2월

23 속초해양경찰서 경 장 2월

24 제주해양경찰서 경 장 2월

25 서귀포해양경찰서 경 장 2월

□ 최근 3년 간 전문성 제고를 위하여 통계관련 교육과정을 이수한 내역

연 도 교육기관 과정명 참여인원


2018 통 계 청 통계 DB시스템 담당자 교육 1

2017 통 계 청 e-나라지표 통계담당자 교육 1

2017 통 계 청 2017년 상반기 자체통계 품질진단 교육 1

2016 통 계 청 e-나라지표 통계담당자 교육 1

2016 통 계 청 통계 DB시스템 운용 교육 1

2. 사업예산
□ 해상조난사고 통계관리시스템
○ 총 예산 : 미 정
- 통합 재난안전 정보체계 확대구축 사업 일부로 신규 구축 완료하였음
(’19년 통합 재난안전 정보체계 유지보수 예산 : 6억 원)
○ 예산증액의 필요성
- 해상조난사고 통계관리시스템 유지보수 지속 및 기능개선 추진 관련 예산 확보
필요

3. 자료처리 시스템
□ 해상조난사고 통계관리시스템
○ 통합 재난안전 정보체계 확대구축 사업 일부로 신규 구축 완료하였음
- 시스템 명 : 해상조난사고 통계관리시스템

- 79 -
- 유지보수 : 외부용역
- 전산장비 및 소프트웨어 종류
․하드웨어
CPU : 2.6GHz
Memory : 16GB
․소프트웨어
OS : Redhat Enterprise 7.4(Linux)
Web Server : Apache HTTP Server 2.4
WAS : JBoss Application Server 6.4

4. 통계 품질관리 및 개선
□ 통계품질 관리
○ 해상조난사고 통계관리 실태 자체점검
- (2018. 4. 3.) 1/4분기 해상조난사고통계 관리 실태 자체점검 실시
- (2018. 7. 6.) 2/4분기 해상조난사고통계 관리 실태 자체점검 실시
- (2018. 10. 1.) 1/4분기 해상조난사고통계 관리 실태 자체점검 실시
○ 해상조난사고 통계 담당자 대상 정기교육 실시
연 번 일 시 내 용 대 상 자
선진 해양구조체계 구축을 위한 해경서 및 지방청
1 2019. 2. 27.(수)
해양수색구조 워크숍 수색구조(통계)담당자
전국 해상조난사고 통계 실무자
2 2019. 2. 12.(화) 해경서 및 지방청 통계담당자
영상교육
전국 해상조난사고 통계 실무자
3 2018. 12. 19.(수) 해경서 및 지방청 통계담당자
영상교육

4 2018. 2. 13.(수) 통계시스템 입력 관련 수시 교육 해경서 및 지방청 통계담당자


해경서 및 지방청 수색구조
5 2018. 2. 8.(목) 해양 수색구조 체계 개선 워크숍
(통계)담당자

○ 해상조난사고 통계관리시스템 운용 표준 가이드라인 제작 배포


- 해상조난사고 통계관리시스템 신규 구축에 따른 통계 데이터 입력에 대한 획일화
된 기준을 마련하여 해상조난사고 통계의 통일성과 신뢰도 제고에 노력

- 80 -
○ 통계 분류항목 개선
- 통계분류 항목의 의미가 모호하여 통계사용자의 혼란을 초래하므로 보다 쉬운
용어로 변경 추진

< 변경 전 > < 변경 후 >


1. 안전저해 1. 부유물감김
2. 조 난 2. 방향상실

- 81 -
X. 참고문헌

1. 국제기준 또는 권고안
□ RESOLUTION MSC.255(84)
ADOPTION OF THE CODE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S AND
RECCOMENDED PRACTICES FOR A SAFETY INVESTIGATION INTO A MARINE
CASUALTY OF MARINE INCIDENT.

2. 동일통계 외국자료
□ MAIB (영국 해양사고 조사기관)
- http://www.gov.uk/government/publications/maib-annual-report

- 82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