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4.

수입규제 및 관세

가. 대한 수입규제 현황

- 반덤핑/상계관세/세이프가드/수입쿼터

없음.

수입금지품목

과테말라의 수입금지 품목으로는 농산품 일부, 살아있는 동식물, 종자, 마약류, 화약제조원료, 총기, 무기, 폭발물 등을 규정하고 있으며,
근거 법은 아래와 같다.

ㅇ 총기/탄약류 관리법(LEY DE ARMA Y MUNICIONES, DECRETO 39-89)


- 공격용 무기 규제에 관한 사항

ㅇ 환경 보전/개선법(LEY DE PROTECCION Y MEJORAMIENTO DEL MEDIO AMBIENTE, DECRETO 68-89)


- 인체/동물 유래, 환경유해물질 규제에 관한 사항

ㅇ CFC 규제법(LEY RELATIVA A CFC, DECRETO 110-97)


- CFC 보유 제품 규제에 관한 사항

ㅇ 마약유통 규제법(LEY CONTRA LA NARCOACTIVIDAD, DECRETO 48-92)


- 마취제, 마약류 등 규제에 관한 사항

ㅇ농약 규제(DECRETO 377-90)


- 농약, 살충제 등 25개 제품 규제에 관한 사항

수입 규제 품목의 경우 유기 화학품은 농업부와 보건부의 사전 허가가 필요하며 분유에 대해서는 수입 쿼터제를 운영하고 있다. 살아있는
동물류는 검역대상 품목이며 육류, 수산생물, 낙농품, 수목 및 채소, 과일류는 위생검사 대상품목이다. 중고차도 한때 수입 규제 대상이었
다. 예컨대 2012년 3월 법안(Decreto 10-2012)에 따라 15년을 초과하는 차량 모델에 대한 수입을 금지하는 등 수입 중고차에 대한 연
식 규제를 시행해왔으나 중고차수입자조합(GREMIAL DE IMPORTADORES DE VEHICULOS USADOS)이 동 규제에 대해 제기한 위헌
소송이 인용되면서 2013년 6월 29일부로 동 규정을 철폐했다.

나. 비관세장벽

인증제도

1) 정부 및 유관기관에서 요구하는 각종 인증 및 검사 제도

ㅇ 인증제도

과테말라에서 주로 사용되는 인증제도는 식료품 인증제도로 모든 수입 식료품은 보건부의 위생증명서(Certificado de Fitosanitario)를


반드시 첨부해야 한다. 이외에 자동차 배터리의 배터리액과 같은 화학제품 등은 위험품목 수입허가를 받아야 한다. 전자·전기제품은 자체
인증제도는 없으나 거래 시 국제인증제품을 선호한다. 또한, 의약품의 경우 보건부에 사전 등록돼야 하는데 스페인어로 작성해 공증을 받
은 공급자의 자유판매증명(Certificado de Libre Venta)을 제출해야 한다. 등록까지 소요기간은 3~4개월이다.

영사 인증제도는 주한 과테말라 대사관에서 서비스 중으로 본국 관세 행정 지원 목적(Under Value)확인 목적으로 대 과테말라 수출 상품


에 대해 Invoice 상 적정 가격 표시 여부를 서류를 통해 검증한다. 현재까지 선적 전 검사 제도는 도입 시행 사례가 없다.

ㅇ 라벨링

과테말라 법에 의하면 내수시장에서 판매되는 모든 제품은 사전에 검사 및 등록이 필요하고 스페인어로 된 라벨을 부착해야 하며 라벨에
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기재해야 한다.

- 제품명
- 원료 및 첨가제 리스트
- 등록번호
- 과테말라 유통업체명 및 주소
- 유통기한, 취급상 주의사항 등

국가 표준 및 검사의 관할 기관은 경제부 표준 규격 위원회(Comision Guatemalteca de Normas)이며 표준 규격 인정서를 얻기 위해서


는 소정의 검사료를 지불해야 하고 약 3개월이 소요된다. 중미 바코드 등의 상업코드 관리는 중미 상업코드기구(ICCC)에서 담당한다.

2) 인증획득을 위한 필수 절차

모든 식품 수입 및 유통업자는 보건복지부와 보건관리국에 등록 후 위생 라이선스를 취득해야 한다. 또 살아있는 동물 및 가죽을 수입하기


위해서는 농림부 산하 동물 보건국의 동물 수입 위생 허가를 받아야 하며 순종으로 간주되는 동물은 수출국의 인증서가 필요하다. 그 밖에
도 가축 사료 및 동물성 제품, 식물성 제품 및 담배와 그 모조품 수입 시 농림부 조례·규격부서의 위생 허가를 받아야 한다. 이와 같이 담당
기관의 인증 획득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기관 등록을 먼저 마쳐야 한다.

3) 인증 관련 절차 안내 사이트

과테말라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PRONACOM)와 미주개발은행(IDB)이 공동으로 개발, 각종 행정절차 및 필요서류 등을 일반인들에게


알기 쉽게 안내해주는 온라인플랫폼 asisehace.gt가 운영되고 있다. 상호, 법인 등록부터 공과금납부, 보건등록 신청 등 대부분의 행정서
비스에 대해서 잘 소개가 돼 있으며, 비록 스페인어로만 운영되고 있으나 구글 번역기가 연동돼 있는 만큼 어렵지 않게 한국어 번역된 내
용으로 유용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4) 기타 주의사항

보건등록을 위한 양식 일부가 2018년 8월 1일부로 개정되었다. 해당 양식의 이름은 법정대리인 위임서(CARTA DE PODER DE
REPRESENTANTE LEGAL)로 문서 상 조항에 독점계약을 의미하는 문구는 없지만, 해당 등록제품에 대한 모든 법적인 권한을 의미하는
문서인 만큼 일종의 독점계약과 유사한 효력을 갖는다. 만약 독점계약을 원치 않거나 병행수입자를 원하는 수출기업의 경우 동 문서를 민
감하게 받아드릴 수 밖에 없는데, 향후 제품 하자나 문제가 발생했을 때 책임 주체를 명확히 하기 위함이라는 것이 보건당국의 설명이다.
중미 최대시장인 과테말라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제출해야 하는 문서라는 점을 감안할 필요가 있으며, 다만 나중을 대비하여 위임
기간을 최소화(1년)하거나 향후 권한을 위임하겠다는 문서를 미리 교환하는 것도 방법이다.

TBT
현지 통상 관계법은 미국이나 국제 규정을 준용하고 있고 별도의 까다로운 TBT를 갖추고 있지는 않다. 다만 식료품, 의약품 같은 인체 내
로 들어오는 제품류의 경우 TBT로 비춰질 수 있는 요소들이 다소 존재한다. 예컨대 다이어트식품류, 유사요법 약제(호메오패틱), 예방 약
제, 생약제제 등은 반드시 의약품으로 등록되어야 하며, 국제 인증 여부와 관계없이 국립보건연구소 LABORATORIO NACIONAL DE
SALUD(LNS)의 테스트를 거쳐야 한다.

다. 관세제도

관세제도 개요

1) 개요

과테말라는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니카라과, 코스타리카 등과 함께 중미공동시장(영문:CACM/서문:MCCA) 일원으로 참가하고 있다.


1993년 2월 27일부로 중미경제통합사무국(SIECA)의 중미 공동관세체계(SAC)를 채택하면서 자국의 기본 관세 체제를 중미공동시장의
대외 공동 관세로 일치시키고 있다. 더불어 중미 공동관세체계(SAC)를 채택하고 있는 5개국은 2017년 1월 1일부로 기존 체계인 8자리
에서 10자리로 세분화하였다. 이는 기존의 품목분류체계가 교역환경 변화에 따른 신규코드 추가 또는 세분화에 한계가 있었기 때문이다.
통상 세계관세기구(World Customs Organization)도 기술 발전, 일부 품목의 소멸 등 교역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5년마다 품목분류
체계를 개정하고 있다. 때문에 과테말라국세청(SAT) 홈페이지를 통해 관세율을 온라인 조회할 때 각별히 주의해야 하는데, 구 번호체계
(8자리)로 검색하면 무관세(영세율)로 검색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2) 관세율 종류

ㅇ 수입 관세

역내국 간에는 무관세를 실시하며 역외로부터의 수입물품에 대해서는 최저 5%에서 최고 20%의 역외 공동 관세를 적용한다. 역내교역
은 중미 단일관세코드(CAUCA) 체계에 의거 FAUCA라는 별도 수출신고양식을 통해 처리하게 되고 역외교역은 중미 관세체계(SAC)에
의거 대외관세율을 적용하는 것이 큰 골자다. 대외 관세율은 자본재 및 역내 비생산 원자재 0%, 역내생산 원자재 및 의약품 5%, 중간재
10%, 국내 비생산 소비재 15%, 국내 생산 소비재 20% 선이나 중미 각국마다 자국 산업보호를 위해 세이프가드를 두고 있어 일부 소비
재품목의 경우 관세율이 최고 40%까지 이르고 있다. 즉, 회원국 입장이 상이한 의약품, 일부 농산물, 주류 등 사치성 소비재와 석유류 등
에 대해서는 공동관세 적용을 유보하되, 각국의 관세 재량권을 인정하고 있다 하겠다. SAC에 따른 품목 분류는 HS 체계와 거의 동일하며
대부분의 품목은 0~15%의 종가세(CIF기준)을 적용하나 흰 옥수수(HS 1005.90.30), 설탕(HS 1701), 담배를 함유한 궐련(HS
2402.20.00), 일부 차량 및 무기·탄약 등은 최고 20%, 알코올음료는 최고 40%까지 부과한다.

ㅇ 수입 부과금

수입 시 관세 이외에 부가가치세(IVA) 12%를 납부해야 한다. 한국과 과테말라 간의 해상운임은 인근 중남미국보다 높은 수준이며 수입
시 제세는 운임과 보험료가 포함된 CIF 가격으로 과세되므로 수입원가 상승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관세와 부가가치세 이외에 다른 부과
금은 없으나 수입 신고 서류상의 하자나 오류 등으로 벌금을 물리는 사례가 있으며, 통관이 지연 또는 보류될수록 창고료 부담도 커지게
되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ㅇ 수출세

과테말라는 커피 및 비 전통상품(일시 수출 및 자유무역지대 수출 예외) 수출 시 FOB 1%의 수출세를 부과하며 소고기는 kg당 0.02달러,
바닷가재는 0.1달러를 부과한다. 모든 수출업체는 수출상품 가격의 1.5%(FOB 기준)에 해당하는 세금면제 혜택을 받으며 커피, 면화, 설
탕, 목재, 바닷가재, 바다 새우 등의 수출 시에는 생산 가격의 65%에 해당하는 소득세를 면제받는다. 동법상의 특례에는 관세 환급뿐만
아니라 임시 통관, 수출용 원·부자재 수입 시 관세 면제제도도 포함하고 있다. 관세 환급의 특례 적용 대상은 자연인 또는 법인으로서 임가
공 생산업체, 조립 생산업체, 수출업체, 간접 또는 재수출업체로서 관세의 환급 신청 기한은 수입면장 접수 후 6개월 이내로 규정하고 있
다. 수출 기업에 대해서는 수출용 원부자재 수입 시 부가가치세를 환급해 주고 있는데 이 경우 중미 이외의 국가로 수출했음을 증명해야
하며 부가가치세 환급이 지연되는 경우도 많다.
중미경제통합 역내국 간에는 석유 제품 등의 일부 품목을 제외하고는 상품 수출입 시 관세가 부과되지 않는다. 아울러 Maquila 산업(보세
가공 산업)에 대한 외국인 투자 촉진을 위한 수출진흥법(Ley de Fomento y Desarrollo de la Actividad Exportadora y de Maquila)
및 자유무역지대 설치에 관한 자유무역지대법(Ley de Zona Franca)에 따라 장비 및 기계류 수입 시 관세 및 부가세 면세, 원·부자재 수입
시 관세 유예 등의 혜택이 있다.

ㅇ 반덤핑, 상계관세 및 보조금 등 불공정 무역 정책

중미경제통합 차원에서 중미 국가 간 역내산업의 보호 육성 및 장치의 하나로 1995년 12월 12일 중미 공동 불공정 무역 규범을 정해 시
행 중이다. 동 규범은 GATT 1994 제6조에 법적 근거를 두고 있으며 구체적인 조사 기준 및 절차는 WTO 협정 부속서 1A의 반덤핑협정
과 보조금 및 상계관세협정에 규정돼 있다. 덤핑 및 상계관세 주무기관은 경제부 산하의 경제통합국(Direccion General de Integracion
Economica)으로 덤핑 및 보조금 지급률 2% 미만 시에는 무혐의 처리되나 그 이상일 경우에는 당사자와 세관에 통보하고 관보에 게재한
다. 현재까지 한국 상품에 대한 반덤핑 및 상계관세 부과사례는 없다. WTO의 개도국 보조금 지급규범에 따라 보조금 지급을 금지하는 규
정은 없으며 대중교통, 전력 등 일부 산업 분야에는 보조금이 지급되고 있다.

관세율 알아보는 법

관세 평가는 통상적으로 Invoice Value를 기준으로 하며 자동차 등 일부 예외 품목에 대해서는 북미시장 시판 가격 또는 기타 국제시장에
서 관세 평가 시 원용되는 자료를 참고하고 있다.

ㅇ 관세율 찾는 법1: 중미경제통합기구(SIECA) 시스템 활용


- http://www.sieca.int 방문
- Arancel Centroamericano de Importacion 클릭
- Guatemala 선택
- ‘l. 제1부 산 동물 및 동물성 생산품’~‘XXl. 제21부 예술품, 수집품 및 골동품’ 중에서 찾고자 하는 품목의 HS Code 분류상 해당 부 선
택(표 왼쪽에 로마자 표기)
- 찾고자 하는 품목의 HS Code 2단위 선택
- 원어 설명 Codigo: HS Code 번호 / Descripcion: 품목명/ DAI(Derechos Arancelarios a la Importacion): 관세율

ㅇ 관세율 찾는 법2: 과테말라국세청(SAT) 온라인시스템 활용


- http://portal.sat.gob.gt/portal/arancel-integrado/ 방문
- 페이지 중앙 'Consultas del arancel integrado' 선택 -> 'consultar Arancel Integrado de Guatemala' 선택
- 'Posicion arancelaria' 공란에 조회코자 하는 HS코드 10자리(또는 SAC 코드 10자리) 입력 후 'Buscar' 버튼 클릭
- 품목 코드 등 조회결과가 맞는지를 확인하고(스페인어만 가능) 이상이 없는 경우 'Derechos e impuestos' 버튼 클릭
- TRATAMIENTO GENERAL 테이블이 FTA 미체결국 대상 관세율이며, FTA 체결국은 별도 테이블로 제공
- DAI(Derechos Arancelarios a la Importacion)가 관세를 의미하며, IVA는 일률적으로 적용되는 수입부가세(12%)

국가정보(무역-수입규제 및 관세) 항목은 "공공누리 4유형 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