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9

TED Talk SCRIPT

via TEDICT (https://itunes.apple.com/app/id537961396?mt=8)

브라이스 댈러스 하워드 (Bryce Dallas Howard): 소셜 미디어 시대에 사생활을 지키는 방법
https://www.ted.com/talks/
bryce_dallas_howard_how_to_preserve_your_private_life_in_the_age_of_social_media?
language=ko

1.
In 2016, I filmed an episode of "Black Mirror" called "Nosedive."
-
저는 2016 년에 ‘블랙 미러’의 ‘추락’편을 촬영했습니다.

2.
It's about a woman named Lacie who lives in a futuristic world where everyone rates
your social interactions.
-
레이시라는 여성이 모두가 서로의 사회 활동을 평가하는 미래적인 세상에 사는 얘기입니다.

3.
And for anyone who hasn't seen it, a little spoiler.
-
이걸 보지 않은 분들께는 약간 김이 새는 이야기일 수 있는데

4.
I basically have a nervous breakdown, trying really hard to get liked.
-
인기를 얻으려 너무 노력하다가 신경 쇠약에 걸리게 됩니다.

5.
For many, the episode felt a little too familiar.
-
많은 사람들은 이 이야기가 너무 익숙했습니다.

6.
Until recently, only a small fraction of the human population lived their lives
publicly.
-
최근까지는 일부 사람들만이 공개된 삶을 살았습니다.

7.
And while we haven’t entered the “Black Mirror” world yet, we’ve entered a new era.
-
우리가 아직 ‘블랙 미러’의 세계에 살고 있지는 않지만 새로운 시대로 진입은 했습니다.

8.
Everyone has access to a global audience.
-
누구나 전 세계에서 관중을 얻을 수 있죠.

9.
We all live in public.
-
우리 모두는 공개하면서 삽니다.

10.
Some more willingly than others.
-
어떤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보다 더욱 적극적입니다.

11.
There's pressure to share more of ourselves than we want.
-
원하는 것보다 더 많이 공개해야 한다는 압박이 있죠.

12.
We often feel we have no other choice.
-
보통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13.
To be relevant. To fit in. To get ahead.
-
세상을 따라가거나 어울리고 성공하기 위해서

14.
To be trusted and liked. Accepted and understood.
-
신뢰와 인기를 얻거나 인정과 이해를 받기 위해서요.

15.
This new compulsion toward self-exposure is possibly the biggest social experiment
in history.
-
자발적인 노출을 강요하는 이런 새로운 현상은 역사상 가장 큰 사회 실험일 수도 있습니다.

16.
We're making life-altering decisions about our personal boundaries with no guidance
and no precedent.
-
우리는 사생활의 범위라는, 삶을 바꿀 정도의 결정을 아무런 지침이나 선례 없이 내리고 있는 중입니다.

17.
Fortunately, there is a blueprint.
-
다행히 청사진은 있습니다.

18.
Anyone who's lived in the public eye as an athlete, a politician or an entertainer
has navigated a version of this.
-
세간의 주목을 받으며 살았던 운동 선수나 정치인, 연예인들이 이런 삶을 경험했기 때문입니다.

19.
My dad has been a public figure since he was five years old, as an actor, a child
actor, and later as a director.
-
제 아버지는 다섯 살 때부터 유명 인사셨습니다. 아역 배우로, 나중에는 감독으로 유명했죠.

20.
And I've been an actor since my early twenties.
-
그리고 저는 20 대 초반부터 배우로 살아왔습니다.

21.
In fact, my family has been in the business of entertainment for three generations,
contending with how to handle putting ourselves out there for the last 70 years.
-
사실 제 가족은 삼 대에 걸쳐 연예계에 몸담았습니다. 지난 70 년 동안 스스로를 드러내는 걸 어떻게
다룰지 씨름하며 지냈죠.

22.
My mom, Cheryl, never wanted to be in the public eye.
-
제 어머니 셰릴은 세간의 주목을 원했던 적이 없었습니다.

23.
She just happened to love a man who is.
-
그런 주목을 받는 남자를 사랑하게 된 것뿐이었어요.

24.
My mom met my dad, Ron, when they were 16.
-
엄마는 16 살에 아빠를 만나셨습니다.

25.
And by that point she had flown solo in an airplane, joined an all-boys gun club,
gotten in tons of fist fights
-
그때의 엄마는 단독 비행을 하고 남자애들밖에 없는 총기 동호회에 가입하고 주먹다짐에 셀 수 없이
휘말리고

26.
and helped her single dad raise her younger sisters.
-
혼자 계신 외할아버지를 도와 동생들을 키우셨어요.

27.
This is to say, my mom was a passionate, busy young person who initially ignored
the attention of the famous boy in her high school.
-
말하자면, 엄마는 열정적이고 바쁜 청소년이었고 학교에서 유명한 남자애의 관심을 처음엔 무시하셨습니다.

28.
It was the early 70s, and my dad was known for playing Opie in the "Andy Griffith
Show," and he'd soon film a pilot for a new show called "Happy Days."
-
그때가 70 년대 초반이었는데 아빠는 ‘앤디 그리피스 쇼’에서 ‘오피’라는 역할로 알려져 있었고 곧
‘행복한 날들’이라는 쇼의 예고편을 찍을 예정이었죠.

29.
Much of this was lost on my mom.
-
대부분 엄마가 모르는 프로그램이었습니다.

30.
The only thing she watched on TV was "Star Trek."
-
엄마가 TV 에서 보는 건 ‘스타 트렉’밖에 없었거든요.

31.
It's true.
-
진짜예요.

32.
After they finally joined forces, after he actually proposed three times, and had
kids, my mom transformed into a full-on warrior woman, ready to protect.
-
결국 두 분이서 함께하게 되고 아빠가 세 번이나 청혼을 하시고 아이들도 생긴 후엔 엄마는 완전히 지킬
준비가 된 강한 전사로 변신했습니다.

33.
But it wasn't until
-
하지만 제가 유치원에서

34.
I was given a movie script at preschool as a way to get it to my dad ... that my
mom realized his visibility was extending to the entire family,
-
누군가가 아빠에게 접근할 목적으로 준 영화 대본을 받고 나서야 (웃음) 엄마는 아빠의 그늘이 가족
전체로 확장되고 있었다는 것과

35.
and that she would need to prepare us for something she herself had never
experienced.
-
엄마 자신도 경험하지 않은 것을 우리에게 준비시켜야 한다는 걸 깨달으셨습니다.

36.
Growing up in the public eye.
-
세간의 주목을 받으며 사는 것이었죠.

37.
And this entailed some extreme parenting tactics.
-
때문에 좀 극단적인 육아 전략이 나왔습니다.

38.
First. No coddling, like ever.
-
첫째, 어리광 금지. 절대 금지.

39.
As a kid, I was terrified of snakes, so my mom got me a pet snake.
-
어렸을 때 저는 뱀을 무서워했는데 엄마는 집에서 키울 뱀을 데려왔어요.

40.
When I blanked at my first piano recital and ran offstage crying, my mom insisted I
stay and support my peers.
-
제 첫 번째 피아노 연주회에서 멍해져서 무대 뒤로 달려가 울었을 때는 엄마는 저보고 남아서 다른
친구들을 응원해 주라고 하셨죠.

41.
Years later, when my son grimaced at a chipmunk carcass, our cat had left in the
driveway,
-
키우던 고양이가 차 진입로에 죽은 다람쥐를 두는 바람에 제 아들이 얼굴을 찡그렸을 때는

42.
Cheryl made him clean up the remains.
-
엄마는 제 아들에게 그걸 치우도록 하셨어요.

43.
My mom wanted to toughen us up so we'd have more courage and less fear when dealing
with uncomfortable situations.
-
엄마는 저희를 엄격하게 키워서 더 용감하게, 덜 두려워하면서 불편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기를
원하셨습니다.

44.
So that meant zero coddling.
-
그래서 어리광을 피우면 안 됐죠.

45.
Put your comfort away, she'd preach.
-
편안함은 치워 버리라고 말씀하시곤 했습니다.

46.
Any challenge that arose was an opportunity to find your sea legs.
-
모든 시험은 어려운 일을 이겨낼 힘을 키울 기회라고 하시면서요.

47.
Next up, confidence comes from character, not our looks.
-
다음으로, 자신감이 나오는 곳은 외모가 아니라 성격이라고 하셨습니다.

48.
Cheryl was a giant buzzkill.
-
엄마는 분위기 깨는 데 선수였어요.

49.
When she noticed me glancing in the mirror as a kid, she decided to nip that in the
bud immediately by covering up all the mirrors in the house.
-
제가 어렸을 때 거울을 쳐다보는 걸 보시곤 즉시 그 싹을 자르기로 하셨죠. 집 안의 모든 거울을 덮어
버리신 겁니다.

50.
A loving compliment was, "You have wonderful character," not "You're beautiful."
-
애정 어린 칭찬의 말은 “너 성격이 참 좋구나”이었고 “너 예쁘구나”가 아니었습니다.

51.
Oh, and character was built by doing chores.
-
그리고 그런 성격은 집안일을 하면서 기를 수 있었죠.

52.
When I wasn't mucking out the goat barn, I was shearing sheep, changing tires,
scrubbing toilets, volunteering, shoveling snow.
-
염소 외양간을 청소하지 않을 때면 양털을 깎거나 타이어를 갈고 화장실 청소를 하고 봉사를 하고 눈을
치웠습니다.

53.
Cheryl believed that hard work, particularly in service of others, breeds
confidence, a trait we need more and more of when exposing ourselves to any kind of
public attention.
-
엄마는 고된 일을 하는 것이 특히 남을 위해 하는 일이 자신감을 낳는다고 믿었습니다. 우리가 우리
자신을 대중의 관심 앞에 노출할 때 더욱더 필요한 것이죠.

54.
But perhaps the most important lesson was: a private life makes a public life worth
living.
-
하지만 가장 중요한 가르침은 이거라고 생각합니다. 사생활이 공적인 생활을 살아갈 가치를 만든다는
것입니다.

55.
Cheryl saw that while fame came with many blessings, there was an impact and a
potential cost to living your life in public.
-
엄마는 명성에는 축복도 많이 따르지만 공개된 삶을 사는 데에는 영향과 잠재적인 비용이 있다는 걸
아셨습니다.

56.
And so more than anything, she, like my grandparents before her, emphasized the
value of privacy.
-
그래서 다른 무엇보다도, 엄마 이전에 제 조부모님이 그랬던 것처럼 엄마는 사생활의 가치를
강조하셨습니다.

57.
Because cultivating a private life is precious.
-
사생활을 가꾸는 것은 아주 귀하니까요.

58.
It's sacred.
-
신성한 것이죠.

59.
Its value is inherent in what you don't share.
-
그 가치는 공유하지 않는 것에 들어 있습니다.

60.
What you withhold.
-
우리가 내놓지 않는 것이요.

61.
And for whom.
-
그리고 그걸 함께하는 사람들에게요.

62.
The world is now one big small town.
-
세계는 이제 커다란 마을과 같습니다.

63.
But within that virtual town square, there are tiers of relationships, degrees of
intimacy,
-
하지만 그런 가상의 마을 안에도 관계의 단계가 있고 친밀함의 정도가 있습니다.

64.
and everyone deserves a different amount of you, a different side.
-
사람들마다 삶을 얼마나 나눌지가 다르고 삶의 어느 면을 보일지도 다르죠.

65.
Now, where those boundaries lie is up to you.
-
그런 경계를 어디로 하느냐는 여러분 자신에게 달렸습니다.

66.
But in order to make those decisions, we must all be our own Cheryl, our own
protectors.
-
하지만 그런 결정을 내리기 위해서는 우리는 모두 자신만의 셰릴 여사님이 되고 자신의 보호자가 되어야
합니다.

67.
Because it's tempting to think that the more I share, the more ways you have to
connect with me.
-
왜냐하면 내가 더 많이 공유할수록 서로 친해질 방법이 많아질 것이라 생각하기 쉽기 때문입니다.

68.
But there's a specialness in knowing that whatever I share with my husband or my
kids or my best friend is just for them and no one else.
-
하지만 정말 특별하다고 할 수 있는 건 남편, 아이들 또는 친한 친구와 나누는 게 무엇이든지 그건
그들만을 위한 것임을 아는 것입니다.

69.
Without that inner circle, we're left with shallowness and a void.
-
그런 가까운 사람들이 없다면 얄팍함과 공허만이 남을 뿐입니다.

70.
We're known, but never truly known, even to ourselves.
-
우리가 누군지는 알려지겠지만 자신조차 진정으로 알지는 못하겠죠.

71.
Living in public asks us to be brave and bold, but preserving a private life
empowers us to take those chances.
-
공개적으로 사는 것은 우리에게 용감하고 대담할 것을 요구하지만 사생활을 지키는 것이 그렇게 할 힘을
줍니다.

72.
So when my 15-year-old son started a YouTube channel and my 10-year-old daughter
asked to join TikTok,
-
그래서 15 살 된 제 아들이 유튜브 채널을 열었을 때 (웃음) 그리고 10 살 된 딸이 틱톡에 가입해도
되냐고 했을 때

73.
I asked myself, "What would Cheryl do?"
-
저는 스스로에게 물었습니다. “엄마라면 어떻게 하실까?”

74.
As much as I want to protect my kids,
-
제 아이들을 지키고 싶긴 하지만

75.
I know encouraging them to opt out is not the answer.
-
하지 말라고 하는 게 정답이 아니라는 걸 알죠.

76.
So I don't want my kids in the digital fray until they know who they are.
-
아이들이 자기들의 정체성을 깨달을 때까지는 온라인상의 혼란에 빠지지 않길 바라지만

77.
But you develop your sense of self by participating in the world.
-
자의식은 세상에 참여하면서 자랍니다.

78.
So I try to help them discover themselves through these technologies, not despite
them.
-
그래서 그런 기술들로 아이들이 자아를 발견하도록 도와주려고 합니다. 반대하는 게 아니라요.

79.
And I give myself that same protection and motherly advice by honoring two main
principles.
-
저도 똑같은 보호와 엄마의 조언을 주려고 합니다. 그래서 큰 규칙 두 가지를 강조합니다.

80.
The two day delay.
-
먼저 ‘이틀 기다리기’입니다.

81.
So whatever I'm experiencing,
-
뭘 경험하든지

82.
I try to wait 48 hours before posting and sharing because that way I can be present
in private with the people I love before calculating how I'm going to publicly
position it.
-
글을 올리고 공유하기 전까지 48 시간을 기다리려고 합니다. 그러면 이걸 공개적으로 어떻게 올릴지
따지기 전에 가까운 사람들과 사적으로 생각해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83.
And post with purpose.
-
다음, 목적이 있는 글을 올립니다.

84.
Before I share, I ask myself: Why? What's the purpose?
-
“왜지, 목적이 뭐지?”하고 공유하기 전에 스스로 묻습니다.

85.
And most importantly, how does it serve the people I love?
-
가장 중요한 건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어떤 영향이 있냐는 겁니다.

86.
The dangers and opportunities of living a life in public existed, honestly, way
longer before any of this.
-
공개된 삶을 살 때의 위험과 기회는 솔직히 아주 오래전부터 있었습니다.

87.
But it's important to know what my family knew then and knows now.
-
하지만 제 가족이 그때나 지금에 깨달은 것을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88.
That your true value is measured by the richness of your private life.
-
자신의 진정한 가치는 사생활의 풍요로움에서 나온다는 것입니다.

89.
The piece of you that only a select few, or perhaps only you, has access to.
-
오직 선택된 소수만이 또는 오직 자신만이 볼 수 있는 바로 그것입니다.

90.
Because the legacy we create in private is as powerful and lasting as any public
accolade.
-
왜냐하면 우리가 사적으로 만들어 내는 유산은 그 어떤 영예만큼이나 강력하고 지속적이기 때문입니다.

91.
Perhaps even more so.
-
어쩌면 그 이상일지도 모르죠.

92.
Thank you so much.
-
정말 감사합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