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2

건설현장의 안전사고 분석 및 대체제안 제시에 관한 연구

: Comprehensive Safety Management Application into


Construction Project
-- 음주 및 약물복용에 대한 실상을 중심으로 –
: Concentrating on Alcohol and Drug Abuse

1998. 1.

동아건설산업주식회사
CM 사업팀
부장김대현
한국 CM 협회주최 논문공모 i

목차
1 서론.......................................................................................................................................................1

1.1 연구의 목적....................................................................................................................... 1


1.2 연구의 범위....................................................................................................................... 1
1.3 연구의 방법....................................................................................................................... 2

2 본론.......................................................................................................................................................2

2.1 안전관리의 현상(現狀)..................................................................................................... 2


2.1.1 일본...............................................................................................................................2
2.1.2 미국...............................................................................................................................4
2.1.3 우리나라.......................................................................................................................5
2.2 안전사고의 영향............................................................................................................... 7
2.2.1 인적손실.......................................................................................................................7
2.2.2 비용증대.......................................................................................................................8
2.2.3 이윤폭...........................................................................................................................9
2.2.4 간접비...........................................................................................................................9
2.2.5 음주 및 약물섭취가 유발하는 피해.........................................................................11
2.3 안전사고의 원인............................................................................................................. 11
2.3.1 Hardware 적 사고원인...............................................................................................11
2.3.2 Humanware 적 사고원인...........................................................................................12
2.3.2.1 휴먼에러 (Human Error)..............................................................................................12
2.3.2.2 휴먼에러 발생의 심리학적 메카니즘........................................................................13

2.3.2.3 스키머 모델..................................................................................................................14

2.3.2.4 음주 및 약물 섭취가 휴먼에러에 미치는 영향.........................................................15


2.3.3 유효한 재해대책........................................................................................................15
2.4 설문조사 결과................................................................................................................. 16
2.4.1 일반사항에 대한 설문...............................................................................................16
2.4.1.1 연령에 대한 고찰.........................................................................................................16

2.4.1.2 노동(근무) 시간에 대한 고찰......................................................................................16

2.4.1.3 안전제일인가 품질제일인가......................................................................................18

2.4.1.4 현장의 작업여건..........................................................................................................19

2.4.1.5 재해, 특히 추락재해의 경험여부...............................................................................19

2.4.1.6 재발방지의 교육..........................................................................................................20


2.4.2 현장에서의 음주 및 약물복용 실태에 대한 설문..................................................22
2.4.2.1 현장에서의 음주여부..................................................................................................22

2.4.2.2 음주위험에 대한 자각.................................................................................................23


한국 CM 협회주최 논문공모 ii

2.4.2.3 음주행위로 인한 처벌여부.........................................................................................24

2.4.2.4 음주 및 숙취 여부 검사...............................................................................................26

2.4.2.5 현장에서의 약물복용..................................................................................................27


2.5 대안의 제시..................................................................................................................... 29
2.5.1 우리나라의 현황........................................................................................................29
2.5.1.1 전사적 안전 투자 증액................................................................................................29

2.5.1.2 안전 인센티브 제도.....................................................................................................29

2.5.1.3 안전 매뉴얼의 확보.....................................................................................................29


2.5.2 발전적 대안의 제시...................................................................................................30
2.5.2.1 안전 매뉴얼의 확보.....................................................................................................30

2.5.2.2 작업 거부권의 부여.....................................................................................................30

2.5.2.3 계약을 통한 안전관리 실현........................................................................................31

2.5.2.4 안전 인센티브의 도입.................................................................................................32

2.5.2.5 효율적인 안전관리 계획의 수립................................................................................32

2.5.2.6 신규 근로자의 집중관리.............................................................................................33

3 결론.....................................................................................................................................................34
한국 CM 협회주최 논문공모 iii

표목차

표 1 공종별 사망재해수 (일본) ........................................................................................................... 3


표 2 각국 산업재해율 비교.................................................................................................................. 5
표 3 연도별 업종별 사망재해 통계 (사망재해율:만인율)..................................................................6
표 4 발생형태별 재해자수 ('95 년) (단위:명)......................................................................................6
표 5 1995 년 연령별 재해현황............................................................................................................. 6
표 6 1995 년 발생형태별 재해현황...................................................................................................... 7
표 7 연령별 재해현황 (1995 년, 한국).................................................................................................8
표 8 연령별 사상자수 (1993 년, 일본).................................................................................................8
표 9 입찰참가제한에 대한 내용.......................................................................................................... 8
표 10 PQ 심사제재 (신인도 평가) 기준표............................................................................................9
표 11 건설재해의 직접비와 간접비의 비교......................................................................................10
표 12 재해에 인한 간접비의 요소...................................................................................................... 11
표 13 입사근속기간별 재해현황 (’95 년, 한국).................................................................................34
한국 CM 협회주최 논문공모 iv

그림목차

그림 1 건설업에서의 사망재해수 (일본)............................................................................................ 3


그림 2 기억의 단계모델..................................................................................................................... 13
그림 3 스키머 모델 개념도................................................................................................................ 14
그림 4 평균연령에 관한 설문 (근로자 대 안전관리자)....................................................................16
그림 5 근무시간에 관한 설문 (근로자 대 안전관리자)....................................................................17
그림 6 휴일에 관한 설문 (근로자 대 안전관리자)............................................................................17
그림 7 강조점에 관한 설문 (근로자 대 안전관리자)........................................................................18
그림 8 S 사의 현장전면에 게시된 안전정책 현수막.........................................................................19
그림 9 현장작업여건의 안전도에 관한 설문 (근로자 대 안전관리자).............................................19
그림 10 추락사고의 직간접 경험여부 (근로자)................................................................................20
그림 11 재해발생후 느낌에 관한 설문 (근로자)...............................................................................21
그림 12 재해의 사후조치에 대한 설문 (안전관리자).......................................................................21
그림 13 재발방지 교육에 관한 설문 (근로자 대 안전관리자)..........................................................22
그림 14 현장에서의 음주여부 (근로자 대 안전관리자)....................................................................22
그림 15 음주의 이유 (근로자)............................................................................................................ 23
그림 16 음주후 위험순간 경험 여부 및 추락재해의 음주관련 여부에 대한 인식...........................24
그림 17 음주행위에 대한 처벌경험 여부 (근로자 대 안전관리자)..................................................24
그림 18 음주목격후, 안전관리자가 취하는 행동 (안전관리자).......................................................25
그림 19 음주행위와 관련된 처벌기준의 교육여부 (근로자 대 안전관리자)...................................25
그림 20 현장에서의 음주여부에 대한 검사 여부 (근로자 대 안전관리자)......................................26
그림 21 숙취와 현장투입 여부 (근로자 대 안전관리자)...................................................................26
그림 22 감기약 복용의 보고여부 (근로자 대 안전관리자)...............................................................28
그림 23 술과 감기약 이외의 약물 (각성제, 본드등)의 섭취여부 (근로자 대 안전관리자).............29
그림 24 작업거부권의 개념도........................................................................................................... 31
한국 CM 협회주최 논문공모 v

ABSTRACT
This paper provides strategies for improving construction safety performance through
implementing the human error concept and eliminating factors, such as alcohol and
drugs, that give impact on the human factor. For many years, people involved in
construction industry have struggled to decrease the accident rates in construction sites.
It is because these losses, including increased number of accidents, reduced physical
and mental productivity and increased medical expenses, damage the profit margin of
the projects. These expenses are a burden on everyone’s shoulders, the guilty as well as
the innocent.

From that efforts, the construction industry could achieve rapid decrease in accident
rates through using the hardware type equipment and method. However recently, this
trend has stopped, and people started to recognize that there exists, yet, another cause to
the accident which could not be avoided through the hardware type protection. This
situation means the construction industry needs the real “Reengineering of Safety”.

This paper is supported by comprehensive survey conducted on contractors and site


managers to gather data on the extent of substance abuse in the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industry. 64 safety managers and 274 labors in 37 construction sites are
included in the analysis. Approximately 37% of the persons in this industry are
perceived as having some form of substance abuse problems. Therefore, Drug testing
and screening are becoming more prevalent, particularly in pre-employment situations.
And another practical safety management applications are provided in this paper.

This paper can benefit contractors, specialty contractors, and owners by providing them
with the practical situation analysis of substance abuse of labors in the site and
objective strategies to consistently achieve better safety performance.

Key Words: Construction Safety, Safety Management, Substance Abuse, Alcohol,


Drug, Human Error
한국 CM 협회주최 논문공모 1

1 서론
1.1 연구의 목적

건설산업에서의 안전은 미시적으로는 프로젝트 자체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 거시적으로는 한


나라의 건설산업 진흥을 위해 프로젝트 참여자 모두에 의해 반드시 최우선 순위의 선상에서
고려되어야 하는 개념이다. 사회경제적 성숙에 따라 안전은 기존의 우선가치였던 공기,공비,품질
등에 우선한 관심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건설프로젝트 관리자에게 안전에의 관심은 위험관리(Risk Management) 의 중요한 부분으로


수용된다. 위험관리란, 손실에 대한 노출을 분석하고 위험부담을 제거하거나 수용가능한
수준까지 위험부담을 감소시키는 과정을 밟는 과정이다. 위험부담은 위험을 내포하는 행위를
회피하거나 계약을 통해 타방에게 위험을 전가시킴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전통적으로
건설현장의 안전이란 위험부담은 보험을 통해 경상적으로도 관리되어 왔으나, 그 반면
재해발생의 빈도(frequency) 와 심도(severity) 를 제거하거나 줄임으로서 경상적인 부담을 줄이기
위한 노력도 계속되어왔다 .

한편, 건설산업의 중층적/복잡한 시공체계, 기계화 공법의 도입에 따른 시공기술의 고도화,


건설기능인의 노령화등으로 요약될 수 있는 건설산업체계의 변화로 인해 건설업 종사자들은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조직적 재해방지책의 도출이라는 도전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는 곧
현 시점이 안전의 리엔지니어링 (Reengineering Safety)이 필요한 시기임을 웅변한다.

건설안전은 현장에 잠재된 위험성을 얼마나 적확히 예측하고 확실히 억제하는가에 성패가
달려있다해도 과언은 아니다. 즉, 발생후의 수습보다는 위험에 대응하는 인식이 전제된다.
재해방지를 위해, 하드웨어적 노력이 많은 연구를 통해 제시되어 왔다. 그 결과, 재해를 예방할
수 있는 많은 설치물 및 시설의 개량이 있었으며 재해율은 비약적으로 감소되어왔다 . 그러나,
최근 사망과 같은 중대재해의 감소율은 더 이상 증감의 추세를 보이지 않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하드웨어적으로 제어할 수 없는 안전요인이 있음을 암시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본 논문은 하드웨어적 안전대책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재해요인, 즉 소프트웨어적 , 휴먼웨어적


안전요인을 고려하여 현장의 안전 프로그램에 적용시킬 수 있는 대안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특히, 근로자에 의한 음주 및 여러 약물의 복용실태를 보임으로써 , 건설업 종사자들이 보다
적극적인 관심을 갖도록 유도하고자 한다.

1.2 연구의 범위

안전사고로 인한 재해의 원인에는 여러 유형이 있으나, 그중 추락은 건설업에서 발생하는


재해원인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추락은 특히 불안전 행동, 즉 휴먼에러(human error)에
기인하며, 이와같은 불안전한 행동은 여러요인에 의한 근로자의 집중력 저하로 인하여 생기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근로자의 집중력 저하를 유발시키는 여러 요소중 본 논문은 그간
한국 CM 협회주최 논문공모 2

건설업이 관대한 참을성을 보여온 근로자의 음주에 의한 재해 잠재성 및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약물섭취에 대한 실태를 제시함으로써 안전관리자의 인식을 새롭게하고, 적절한 대응을
도모시킴으로써 재해를 방지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했다. 또한 현장에서의 음주 및 약물섭취와
관련된 설문을 통해 얻을 수 있었던 결과를 분석하여, 안전관리 프로그램에 도입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1.3 연구의 방법

본 연구를 위해 두가지 방법이 채용되었다 . 우선, 문헌조사를 통해 건설 선진국의 정보를 안전에


주안점을 두고 수집하며, 이를통해 앞으로 우리나라에서 경험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 재해 및
안전관리의 추세를 예측했다. 본 연구를 통해, 음주와 약물남용에 관련된 안전재해의 발생을 곧
우리 건설현장에서도 심각하게 겪게될 것임을 예측할 수 있었다.

다음 실제 건설현장에서 근무하는 안전관리자 및 기사와 현장근로자 사이의 음주 및 약물섭취에


대한 의식 및 현황을 밝히기 위한 설문조사를 37 개 현장을 통해 직접 수행하며, 그 결과 우리나라
건설현장에서 나타난 음주 및 약물섭취에 대한 위험성 인지 부재를 심각한 문제로서 부각시켰다 .
최종적으로 두 방법을 통하여 얻어진 결론으로서, 음주 및 약물섭취를 방지함으로써 휴먼에러의
발생빈도를 낮출 수 있는 여러 방안을 정리 및 제시했다.

2 본론
2.1 안전관리의 현상(現狀)

2.1.1 일본

건설 선진국으로서 우리와 비슷한 문화적 풍토를 가지고 있는 일본의 경우를 살핌으로써,


우리나라의 안전추세 예측에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다. 현재, 일본은 전 업종의 약 10%가
건설업에 고용되어 있다. 그러나 건설업 고용 인력은 전 노동재해 가운데서 휴업재해의 약 30%,
사망재해의 약 40%, 중재재해의 약 50%를 점유하고 있다. 본 통계치는 일본의 건설업이 범
국가차원의 재해방지 안전 프로그램을 시작하게 된 주된 원인이었으며 , 노력의 결과 그들은
급진적인 재해율 감소를 성취할 수 있었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아래의 (그림 1)에서 볼 수
있듯이, 꾸준한 감소추세를 보이던 건설업에서의 사망재해의 수가 최근 매년 1000 명 전후로
감소의 조짐을 보이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횡적진행을 보이는 쇼와(昭和) 62 년부터 헤이세이(平
成) 5 년 (즉, 1993 년)까지의 사망재해수는 아래의 (표 1)과 같다.
한국 CM 협회주최 논문공모 3

62년 63년 1년 2년 3년 4년 5년
토목 462 522 472 456 455 437 469
건축 357 448 430 466 444 406 358
설비 159 115 99 121 141 147 126
합 978 1085 1001 1043 1040 990 953

표 1 공종별 사망재해수 (일본) 1

그림 1 건설업에서의 사망재해수 (일본)

헤이세이(平成) 5 년(1993 년)의 토목공사업은 도수율로는 건축공사업의 약 2.3 배, 강도율로는 18


배를 보이고 있으며, 건축공사의 경우 총재해의 약 70%를 추락재해가 차지하고 있다.
사망재해를 중심으로 보면, 공사별로는 토목공사(49%), 건축공사(37%), 설비공사(13%)의
비율이며, 재해의 종류별로는 추락재해가 38%로 압도적인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그중 반정도는
건축공사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사고원인의 조사결과 개인의 불안전 행위에 의한 사고가 전체의
약 9 할을 점유함이 밝혀졌다. 이는 하드웨어적 재해방지 방안 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상기
개인의 불안전 행위를 줄이기 위한 수단을 찾아야 할 필요성을 보이는 통계라 할 수 있다.

일본의 경우를 통해, 현재 하드웨어적 재해방지책에 치중하는 우리나라도 일본과 유사한 과정을
거칠 것으로 예상되는 바, 개인의 불완전 행위를 제거하기 위한 휴먼웨어적 재해방지 대책에
조속히 착안해야 할 것이다.

1
노동재해의 원인분석, Tadashi ARAI, 일본토목학회지 1995 년 4 월호 특별증간
한국 CM 협회주최 논문공모 4

2.1.2 미국

미국의 경우, 1993 년 건설업은 산업인력의 단 5%를 고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총 사망재해의
14%를 점유했으며 , 중재장애재해의 9%를 점유했다. 비록 이들 수치는 1980 년대 중반에 겪었던
비에 비교하면 감소추세를 보이는 것이긴 하지만, 건설현장에서의 재해와 사망사고는 여전히
주된 문제로서 제기되고 있다.2 더욱이, 이와같은 재해는 프로젝트 자체 및 건설업 전반에 있어
많은 비용지출을 유발시켜 왔으므로, 미국 건설업의 안전에 대한 인식은 매우 적극적인 변화를
보여왔다.

미국은 최근 보험과 같은 리스크 파이낸싱 (Risk Financing) 에 의존하는 전통적인 수비형


대응책을 감소시키는 한편, 리스크 예방에 더욱 공격적인 투자를 하면서 발주자와 시공자에 의해
감수될 리스크의 양을 늘리는 방향으로 안전에 대한 대응을 하고 있다.

예를들어, 미국 CII 의 덴버 국제공항(Denver International Airport) 과 워싱턴 및 로스엔젤레스


메트로에서 행한 실제사례 연구결과, 이러한 적극적 재해방지책은 매우 높은 성과를 거둔 것으로
밝혀졌다.3

덴버 국제공항의 경우, 리스크 파이낸싱의 비용을 줄이는 대신 안전관리 요원을 6 명에서 39


명으로 늘렸으며, 그 결과 작업된 단위시간당 안전사고에 기인한 근로자 제기 클레임 대처
비용면에서 기존에 비해 4 배의 감소를 가져올 수 있었다.

워싱턴 메트로의 경우, 안전관리 요원의 수를 늘리고 인센티브 프로그램을 도입했다. 그 결과,
해당 프로젝트에서는 평균 $10 million 의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로스엔젤레스 메트로의
경우, 당초 CM 조직에는 안전 전문가가 1 명에 지나지 않았으나, 곧 안전관리면에 기존의 10 배나
증가된 투자를 하였다고 한다.

미국의 예를 통해, 안전에 투자되는 비용은 낭비비용이라는 전통적인 개념에서 벗어나 현장에서
보다 적극적인 안전투자가 선행될 경우, 그간 리스크 파이낸싱에 의존한 재해방지책 탓에
지출됐던 비용의 절감을 통해 해당 프로젝트 뿐만이 아닌 건설회사 전체 차원에서 상대적
이익증대 효과를 거둘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위와같은 긍정적인 측면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건설업은 최근 근로자의 음주 및 약물남용에 의해


많은 손실을 겪고 있다.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4, 약물남용으로 인해 1990 년 한해동안 미국사회는
$260 billion 의 비용부담을 겪은 것으로 추산되었으며 , 미시건 대학에 의해 수행된 연구에
의하면, 건설산업에서는 전 건설산업 근로자의 10-15%가 약물남용 문제에 연관되어 있고, $10

2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June 1996, Costs of Accidents and Injuries to the Construction Industry ,

John G. Everett, Peter B. Frank Jr.


3
Journal of Management in Engineering, July/August 1996, Construction Safety: A Vision for Future.
4
Altayeb, S. A. (1990). “Drug testing and its impact on the incident rate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PhD dissertation, Clemson

Univ., Clemson, S.C.


한국 CM 협회주최 논문공모 5

billion 을 넘는 비용이 건설업에서 지출되고 있다고 추산됐다.5 이와같은 추세에서 현재 미국의


건설업은 현장에서의 음주 및 약물섭취를 제지하기 위한 여러 방법을 찾아내기 위해 여념이
없음을 그간 발표된 여러 논문을 통해서 알 수 있다.

2.1.3 우리나라

건설현장의 90%가 안전 불량이라는 실정에도 불구하고6, 최근 우리나라는 평균 13% 이상의


산재율 감소에 힘입어 ‘95 년도에는 처음으로 산재율 1% 미만을 달성하였다 . 그러나 우리의
재해율은 선진국 또는 경쟁국과 비교할 때 아직도 2 배이상 높은 상태이다 (표 2). 경쟁국과
비교할 때 높은 재해율은 크나큰 경제적 손실로 나타나 1995 년 산업재해로 인한 직간접적인
경제적 손실액은 무료 6 조 8 천억원상당에 달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경상 GNP 의 1.8%
수준이며, 노사분규로 인한 생산차질액 2 조 6 천억원의 2.6 배에 달하는 금액이다.

국가 한국 (’96) 일본 (’93) 대만 (’92) 영국 (’93)

재해율 0.81 0.40 0.45 0.64

표 2 각국 산업재해율 비교

96 년 재해율은 0.81%로서 95 년의 0.99%에 비해 감소되었다. 이는 사업장의 안전,


보건관리수준의 향상과 정부의 꾸준한 산재예방 사업시행의 결과로서 해석된다. 그러나,
사망자수는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즉, 산업구조가 복잡하고 대형화됨에 따라서 사망 및
중대재해는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건설재해중 2 주이상의 재해가 94.1%를 차지하는 바 대부분의
재해가 중대재해이므로 기능인력 상실과 신규유입 근로자 부족으로 장기적 안목에서도 지장이
유발된다.

다음 (표 3)은 연도별 업종별 사망재해 통계이다. 건설업의 경우 사회간접자본 (SOC)의 확충,


주택건설 및 지하철공사 물량폭주와 함께 ‘90 년도부터 증가추세를 보인다.

업종 구문\ 연도 ‘96.11.현재 ‘95 ‘94 ‘93 ‘92 ‘88

근로자수 7,853,062 7,893,727 7,273,132 6,942,527 7,058,704 5,743,970

전산업 사망자수 2,407 2,662 2,678 2,210 2,429 1,925

사망재해율 3.07 3.37 3.68 3.18 3.44 3.35

건설업 근로자수 2,177,406 2,240,990 1,978,629 1,816,892 1,911,378 1,505,764

5
Maloney, W. F. (1987) Substance abuse : The problem and its solution. Construction Industry Institute, Austin, Tex.

6
매일경제신문, 1997 년 12 월 30 일자
한국 CM 협회주최 논문공모 6

사망자수 704 715 743 636 848 484

사망재해율 3.23 3.19 3.76 3.50 4.44 3.21

표 3 연도별 업종별 사망재해 통계 (사망재해율 :만인율)

중재재해, 유해 및 위험기계기구등에 의한 치료예상기간 2 개월 이상의 재해를 조사대상으로 한


1995 년도 발생형태별 재해자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표 4). 이중 “추락”에서 사망재해는
73% (251 명)이 건설업에서 발생하고 있다.

순위 발생형태 재해자수 분포율 (%)

* 총계 3,241 100.00

1 협착 1,633 50.39

2 추락 779 24.04

3 낙하비래 143 4.41

표 4 발생형태별 재해자수 ('95 년) (단위:명)

건설재해분석결과를 연령별, 발생형태별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연령별 재해현황은 건설업에 종사하는 45 세이상 근로자 재해 비율이 제조업등 다른 업종에 비해


높으며, 고용의 불안정 및 근로조건의 열악등으로 젊은 근로자의 유입이 줄어들어 노령화 현상이
심해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35 세이상의 재해율이 무려 58.7%에 달하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표 5).

구분 총계 24 세미만 25~34 세 35~44 세 45 세이상

건설업 22,542 (100%) 983 (4.4) 8,322 (36.9) 6,086 (27.0) 7,151 (31.7)

표 5 1995 년 연령별 재해현황

발생형태별 재해현황을 통해 살펴볼 때, 건설재해자 22,542 명중 중대재해등 1,040 건에 대하여


재해분석 결과 추락,낙하,비래에 의한 재해가 61.3% (638 명)으로 가장 많았다 (표 6). (표 5)와 (표
6)을 통해, 건설업 분야의 재해관리에서 우선하여 집중해야 하는 부분이 바로 ‘추락’재해임을
알 수 있다.

구분 추락,비래 충돌,협착 감전,폭발 붕괴,도괴 기타

건설업 61.3% 14.6% 6.6% 4.2% 13.3%

표 6 1995 년 발생형태별 재해현황

산업재해의 절반이상이 입사한지 6 개월도 안된 신입근로자들에게서 발생하고 있다. 이는 96 년


전체재해의 48.82% (3 만 4 천 9 백 27 명), 95 년 전체재해의 51.26%를 차지하고 있다. 즉,
한국 CM 협회주최 논문공모 7

사업장에서 신규채용에 따른 안전,보건교육등 재해예방을 위한 관리가 소홀하다는 사실을


대변하는 통계치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근로자와 관리자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의 중요도가
상식적인 수준이 아니라 실제 가중되어 평가되어야만 함을 위의 수치에서 확인할 수 있다.

2.2 안전사고의 영향

2.2.1 인적손실

안전사고에 의해 인적손실이 발생하는 경우, 이는 인명존중과 노동복지등의 인도적인


이념측면에서나 경제적 손실측면에서나 문제가 된다. 즉, 안전과 관련된 제 사항은 건설업
발전에 장애를 초래하게 된다고 할 수 있다.

우선 재해가 발생하는 경우, 단기적으로 고려할 때 이는 피해자 자신의 노동력 손실을 초래하게
되며, 시공중단에 의한 대기,정비,복구,구원,연락,병문안,장례집행,재해조사,대책검토,소송관계
등의 일처리에 의한 현장내 인력의 시간적/비용적 손실로 이어지게 된다.

장기적인 영향으로는 다음을 들 수 있다.

1. 건설업의 부정적 이미지로 인한 젊은 근로자의 진입감소에 의한 근로자층의 고령화의


결과 사고가 일어날 확률이 높아짐.

2. 고용인에 대한 노동자의 불신감과 그로 인한 노동의욕의 저하

3. 근로자의 현장 정착률 저하에 따른 생산성의 저하

4. 기술의 전승(傳承) 불충분으로 인해, 신규 진입 근로자가 현장에서의 위험요소와 그


회피책을 체득하기 어려워지므로 사고빈도 상승 및 근로자의 질 저하

특히 급속화되고 있는 근로자의 고령화는 감소되고있는 재해율을 다시 증가시킬 잠재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그 징후는 현재 재해피해자중 45 세 이상의 노령화되어가는 근로자층의
비율을 참조함으로써 짐작할 수 있다 (우리나라 31.7%, 일본 57.6% - (표 7), (표 8)). 근로자층의
노령화는 현장음주 증가의 잠재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는 곧 재해율 증가에 기여하는 요인이 될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건설업에 종사하고 있는 45 세이상의 근로자 비율은 제조업등
다른업종에 비해 높으며 고용의 불안정 및 근로조건의 열악등으로 젊은 근로자의 유입이
줄어들어 노령화 현상은 심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장기적인 영향으로서 귀결되는 건설산업
종사인력의 부족은 건설산업 전체의 경쟁력 제고를 힘들게 하는 중대한 원인이 된다.

구분 총계 24 세미만 25~34 세 35~44 세 45 세이상


22,542 983 8,322 6,086 7,151
건설업 (100) (4.4) (36.9) (27.0) (31.7)

표 7 연령별 재해현황 (1995 년, 한국)


한국 CM 협회주최 논문공모 8

구분 총계 24 세미만 25~34 세 35~44 세 45 세이상 분류불능


46,603 5279 5761 8647 26867 49
건설업 (100) (11.4) (12.4) (18.6) (57.6) (0.1)

표 8 연령별 사상자수 (1993 년, 일본)7

2.2.2 비용증대

1991 년 미국 건설산업에서의 근로재해비용은 90 억 달러 (약 15 조 3 천억원, 환율 1 달러 = 1700


원 시)라는 추산이 나왔다. 미국의 건설업계는 건설산업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안전에
대한 사전투자를 통해 근로재해액으로 누출되는 비용을 감소시켜야만 한다는 내용에 의견을
같이하고 있다. 이렇듯, 재해비용은 기업의 이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재해비용이란 재해가
발생하지 않았더라면 지출하지 않았을 직접 또는 간접으로 생기는 손실비용을 말하는 것으로,
하인리히에 의해 계산된 사고시 지불되는 직간접 비용의 비율은 1:4 로 밝혀져 있다.

또한 현장차원의 비용지출 뿐 아니라, 기업차원에서도 PQ 에서의 경쟁력 상실 및 신인도 추락,


증가되는 보험료등으로 인한 수주실패를 통해 기회비용을 상실함으로써 추가적인 비용증대
영향을 받게된다. 우리나라는 현장에서의 재해발생에 대해 입찰참가 제한 및 PQ 심사제재를
통해 위와같은 영향을 받게되며 ((표 9), (표 10)), 해외에서는 재해비용이 프로젝트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국내 S 건설사의 경우, 한 해외 프로젝트에서 근로자의 추락에 이은
사망으로 인해 $ 1.85 million 의 생각지도 못했던 큰 지출이 있었다.8

가. 동시에 사망자가 3 명 이상일 경우 입찰 참가제한 4 개월

나. 동시에 사망자가 6 명 이상일 경우 입찰 참가제한 6 개월

표 9 입찰참가제한에 대한 내용

가. 해당 건설회사의 재해율이 건설업계 평균 재해율을 초과하거나 ±5 가감

미달했을 경우

나. 산업안전보건법령에서 정한 표준안전관리비 적용의무 위반 ( -1 ~ -3 감점

법정예산 확보 및 타목적 사용여부)

다. 환경관련법령에 의한 과태료 이상의 처벌을 받았을 경우 -1 ~ -3 감점

(예: 환경보전법 관련 비산먼지발생 억제시설, 소음진동, 수질오염,

폐기물 배출시설 신고, 설치, 이행여부등)

표 10 PQ 심사제재 (신인도 평가) 기준표

7
노동재해의 원인분석, Tadashi ARAI, 일본토목학회지 1995 년 4 월호 특별증간
8
ENR, 1997. January. 13.S 건설 TO PAY $1.8 MILLION FINE
한국 CM 협회주최 논문공모 9

2.2.3 이윤폭

미국의 경우, 시공자는 직접 노무비의 10 에서 20%를 근로자 보상보험비로서 지불하고 있으며,


이는 종종 치열한 수주경쟁을 통해 얻어낸 프로젝트에서 기대되는 시공자의 이윤폭(Profit
Margin)을 넘어서고 있다. 또한 프로젝트 전체로 볼 때, 리스크 파이낸싱(risk financing) 과 연관된
비용이 80 년대 중반의 1~2%에서 무려 5~7%로 상승되었다.9 더우기, 근로자 상해를 통한 이윤의
상실은 보험으로 충당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높아져가는 근로자 보상보험비는
건설업계의 큰 부담이 되고 있다.

Business Round Table 과 같은 조직에서는 ‘시공상 안전수행의 개선은 비용효율(cost


effectiveness)의 향상이라는 더 큰 목적을 위한 가장 중요한 부분이며, 따라서 미국 건설산업의
경쟁력 향상은 이에 달려있다’고 1980 년대 주장했다.10 이는 부실한 안전수행이 증가된
보험비용 뿐만 아니라 생산성 상실, 공정지연 그리고 비우호적인 공공관계 등에서 유발되는
간접비용에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2.2.4 간접비

건설현장에서의 재해에 의해 프로젝트가 영향을 받는 비용의 실제규모를 파악하는 것은 리스크


파이낸싱에 의존해온 프로젝트 관리자들이 의식하지 못하는 금액에 대해 경각시킨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결론적으로, 재해에 의해 발생한 비용이 흔히 생각되듯 간접비(Overhead) 내에서
프로젝트에 영향을 주지 않고 흡수되기에는 너무 높다는 사실이 연구결과 밝혀졌다.11

재해 당사자에게 소요되는 비용만이 재해비용이라고 생각할 수 없다. 프로젝트의 관리를


위해서는 재해가 미치는 영향에 의한 비용손실 또한 생각해야만 한다. 무엇보다 근로자의 상해는
모든 현장에서 생산성에 적대적인 영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미국 CII 의 연구결과, 건설재해의 직접비와 간접비 사이의 관계가 (표 11)과 같이 제시되어


있음을 참고할 수 있다.

재해유형 평균직접비 간접비 / 직접비

Restrictive Activity / Lost Workday Cases $ 6909.98 20.3

Medical Cases $ 519.15 4.2

표 11 건설재해의 직접비와 간접비의 비교

여기서 산정된 비용에는 클레임 비용과 감소된 생산성이 포함되었으며 , 재해의 경중에 따라 비가
달라질 수도 있다는 전제가 있다. Medical Case 는 특별한 조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결과적으로
시간손실이 없는 경우를 말한다. 1996 년의 연구에 의하자면, 재해비용은 1982 년 총 건설비용의

9
Journal of Management in Engineering, July/August 1996, Construction Safety: A Vision for Future.
10
Journal of Management in Engineering, July/August 1996, Construction Safety: A Vision for Future.
11
Indirect Costs of Construction Accidents, Jimmie Hinze, CII, 1991.
한국 CM 협회주최 논문공모 10

6.5%수준에서 96 년 현재 7.9%에서 15.0%사이의 수준으로 상승했음을 보이고 있다.12

노동재해에 연관된 물적손실은 손해보험으로 어느정도 보험받을 수 있으므로 직접비의


개념으로 생각하면 된다. 그러나 수리,복구, 공사중단, 근로자의 사기저하등을 고려할 경우,
예기치 않은 비용지출로 인한 상당한 손실이 초래되므로 재해의 간접비 개념의 고려는
프로젝트의 성공적 관리를 위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건설재해의 간접비는 근로자 보상보험에 의해 해결되지 않는 모든 비용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그 간접비의 요소는 일부에 지나지 않지만 (표 12)과 같다.
재해근로자의 비용 재해근로자 동료의 비용
 재해 당시의 생산시간 상실
 재해 당시의 생산시간 상실
 일손부족으로 인한 능력저하
 응급처치가 행해질 때의 생산시간 상실
 비숙련된 대체 근로자로 인한 능력저하
 작업 복귀시의 근로자 능력저하
 장비 및 자재의 손상으로 인한 능력저하
의료처치를 받음과 관련된 비용 다른 작업자의 비용
 운전자 비용  재해와 관련된 조치 구경시의 생산시간 상실
 후송과 관련된 비용  재해에 대한 대화시의 생산시간 상실
감독자 진영의 비용 그외의 비용
 회사 이미지의 손상
 사고조사에 의한 생산시간 상실
 회사 경쟁력 저하
 사고조서의 준비에 의한 생산시간 상실
 근로자 의욕 저하
 감독공무원 수행에 의한 생산시간 상실
 재해 근로자의 고통
 언론사 대응에 의한 생산시간 상실
 재해 근로자의 가족에게 주어지는 비우호적인 충격
장비와 자재의 손상 비용

표 12 재해에 인한 간접비의 요소

2.2.5 음주 및 약물섭취가 유발하는 피해

건설업은 다른 산업에 비해 특히 고용인들의 약물남용(substance abuse)에 의한 많은 손해를


감수하고 있다. 이러한 손실에는 증가된 재해, 감소된 육체적/정신적 생산성, 그리고 증가된
의료비등이 포함된다. 이들 지출은 당사자 뿐만 아니라 아무런 관계없는 자, 즉 관리자에게도
심각한 부담이 된다.

약물남용의 문제가 유발시키는 비용은 심각하다. 우선, 술을 포함하여 약물의 영향하에 있는


사람들은 낮은 생산성을 보인다. The National Institute on Drug Abuse 은 약물섭취로 인해
근로자의 생산성은 30 에서 50% 감소된다고 추산했다. 영향을 받은 근로자들은 다른 정상적인
근로자들에 비해 자신의 작업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며 사고를 유발시키거나 안전문제를
발생시킨다. 그들은 숙취나 약물에 취해 지각을 하거나 결근을 하게 됨으로써 다른 근로자의
사기에 영향을 미친다. 약물섭취 및 남용의 비용은 미국경제에 있어서 $260 billion 정도로
추산되어왔다 .

약물남용으로 인해 관리자측에 가해지는 손해에는, 재해와 같이 가시적인 것 뿐만 아니라,

12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June 1996, Costs of Accidents and Injuries to the Construction Industry ,

John G. Everett, Peter B. Frank Jr.


한국 CM 협회주최 논문공모 11

육체적/정신적인 생산성의 저하, 의사결정의 곤란, 증가하는 의료분쟁, 장기결근, 회사를


상대로한 형사법상의 책임을 유발시키는 소송등을 포함하게 된다.

2.3 안전사고의 원인

2.3.1 Hardware 적 사고원인

국내 건설재해의 사고원인을 유형별로 살필 때, 추락,낙하,비래에 의한 재해가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들 추락,낙하,비래에 의한 재해를 다발순으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1 비계에서 추락

2 개구부 작업대 끝에서 추락

3 사다리 및 이동식 비계에서 추락

4 철골,비계의 조립작업시 추락

5 해체작업중 추락

6 낙하,비래물에 의한 재해

7 토사굴착작업중 사면에서 추락

8 기계장치에서 추락

이와같이 재해의 원인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경우, 본 논문에서는 이를 하드웨어적


사고원인이라 정의한다. 하드웨어적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해당 원인에 대한 구체적이고
물리적인 대책을 마련하게 되며, 이를 안전 하드웨어라 정의한다 (이후 하드웨어). 예를들어,
추락사고 방지기술의 개발을 위해 토목 및 건축에서의 추락사고 중 25%가 비계 및 지보공에서
발생한다는 점에서 원인을 찾고 그 대책을 논의하여 나온 결과는 안전 하드웨어가 된다. 비계
지보공을 사용하여 철근 및 거푸집 조립작업시 발생하는 재해는 그 원인이 구조물과 비계사이의
간격과 같은 개구부의 양생이 부족하기 때문이며, 비계 지보공의 조립 및 해체시의 추락재해는
손잡이등이 설치되지 않은 위험한 고소작업이 원인이므로 , 안전대 및 보호망등을 사용한 안전한
작업방법을 찾는다거나 고소작업 자체를 없애기 위해 조립 및 해체의 지상화 작업을 도모하는
것등이 하드웨어적 원인과 그 분석결과 얻어지는 하드웨어이다 . 또한 안전장구의 개량 및
보급등도 하드웨어에 속한다.

그러나, 최근 일본의 사망재해율 감소 부진을 통해 하드웨어의 한계를 추론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경우 아직까지 다소 부진한 하드웨어의 보강과 동시에 그 외의 사고원인을 찾아내어
분석하고 그에 상응하는 대응책을 병용,적용하여야 한다.
한국 CM 협회주최 논문공모 12

2.3.2 Humanware 적 사고원인

2.3.2.1 휴먼에러 (Human Error)

휴먼웨어는 위에서 언급한 하드웨어에 대칭되는 개념으로서, 본 논문에서는 구체적인 형상화가


불가능한 것으로 정의한다. 휴먼웨어에서 중요한 점은 사람이기 때문에 일으키게 되는 휴먼에러
(human error)에 있다. 관리자가 휴먼에러를 간주하는 방식은 현장에서의 안전추구에 큰 차이를
가져온다. 업계를 불문하고 작업수행에 있어 hard 한 면의 진보에 비교하여 soft 한 면의 중심이
되는 인간을 위한 대책마련의 움직임이 늦어져, 사람행동의 실수 및 재해가 한결 더 눈에 뜨이게
되었다. 기존의 관리자들은 휴먼에러를 예측하지 못한 재해나 손해를 발생시킨 원인으로서 ,
자신을 곤란하게 만드는 현장 근로자의 행위라는 부정적인 관점에서 바라보았다. 또한, 자기
자신의 책임을 회피하기 위한 면죄부로서 휴먼에러를 이용하기도 했다.

그러나, 사고사상(事故事象)은 인간과 기계, 환경 즉 시스템과의 부적합 상태에서 발생하는


것으로서, 인간을 둘러싸고 있는 외계환경이 복잡하고 혼란해질 수록 사고발생은 많아진다는
사실이 많은 연구결과 밝혀졌으며, 이는 기술의 고도화와 함께 날로 복잡/혼란해져가는 건설
산업계에서 주목해야만 하는 점이다. 따라서, 관리자는 지금까지의 부정적이었던 관점에서
벗어나, 특수하며 미지의 현상을 제외하고는 사고사상의 원인이 전부 광의의 휴먼에러에
기인한다는 시점에서 현장작업자가 왜 그릇된 행위를 행하게 되었는가의 배후요인을 면밀히
추구해 볼 필요가 있다.

특히 휴먼에러는 근로자만의 탓으로 돌릴 수 없는 근로환경 전체와 연관된 것이다. 휴먼에러의


구체적 요인으로서 다음의 3 가지를 거론할 수 있다.

1. 근로자에 의한 날림,생략,음주 등 불안전 행동의 습관화

2. 관리자의 안전지시 생략 및 불철저

3. 불안전 행동에 대해 인지할 수 있도록 만드는 팀내의 커뮤니케이션의 부족

“인간행동은 자율적 및 타율적으로 , 어느정도 교정할 수 있는 자연현상이다”라는 말이 있다.


자연현상으로서의 인간행동에는 알 수 없는 부분도 많으므로, 그 숨겨진 행동의 법칙을 찾아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고, 그 규칙에 기초한 인간중심의 기계의 존재양식, 작업환경의 설정을 행할
필요가 있다.

2.3.2.2 휴먼에러 발생의 심리학적 메카니즘

건설현장에서 작업하는 근로자는 경험을 통한 자신의 작업내용을 장기기억속에서 무의식중에


호출하여 그에 걸맞는 행동을 취하게 된다. 이러한 장기기억에서 상황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단기기억 (‘의식’이라 해도 좋음)으로 호출함에 있어 인간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즉,
무엇에 ‘주의’를 기울이는가가 인간의 행동으로 연결되는 기억시스템을 움직이는
방아쇠역할을 하게되는 것이다. (그림 2)
한국 CM 협회주최 논문공모 13

그림 2 기억의 단계모델

심리학적 측면에서 고려할 때, ‘주의’의 작동에는 초점(焦點)적 주의, 혹은 선택(選擇)적


주의라고 불리우는 기능이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는 인간이 하나의 사안에는 관심 및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가능해도 모든 사안에 동시에 주의를 기울일 수는 없다는 인간의 특성을
의미한다.

따라서, 근로자가 눈앞의 작업에 집중하면 할수록 주위에 신경을 쓸 여력은 없어지게 되며,
더우기 그가 수행하는 작업이 어려운 것이거나 질이 높고, 더 나아가 단시간에 처리하지 않으면
안되는 작업이 되는 경우, 자신이 집중하는 1 차적 주의사항 이외의 2 차적인 주의는 한층 더
현저히 저하하게 된다.

특히, 주의에 의해 활성화된 단기기억은 안정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여러 자극에 의해 변질되기


쉬우며, 또한 단기기억의 조급성은 잘못된 정보화를 불러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특히 일반
생산현장과 다른 건설현장에서의 무수한 자극은 단기기억의 작용 메카니즘에 상당한 영향을
주게 되므로, 이는 곧 휴먼에러에 의한 사고를 설명해주는 하나의 중요한 실마리가 된다.

따라서, 휴먼에러 방지를 위해 작업지시를 주는쪽과 받는쪽 양자가 단기기억에서의 의미적


처리가 빨리 일어나 타 자극에 쉽게 변질되지 않도록 커뮤니케이션의 방법을 궁리해야하는
당위가 여기에 있다. 또한, 근로자의 2 차적 주의를 담당할 수 있는 별도의 시스템을 마련하는
것도 근로자의 능률향상과 안전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휴먼에러
발생의 메카니즘으로서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이 다음에서 다루어지는 스키머 모델이다.

2.3.2.3 스키머 모델13

통상 사람은 하나의 작업단위를 일 전체의 일부로서 경험적으로 지식화하고 있다. 인지심리학상


이런 작업단위를 단기기억으로 불러낼 때, 각 단위는 하나의 지식 덩어리로서 호출되는 것으로
파악된다. 사람이 생각해내는 속도를 고려할 때, 사람들은 이 덩어리를 하나하나 전부 기억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라벨과 같은 것을 붙여서, 그 라벨의 모임을 기억하고 있음에

13
노동재해의 심리학적 측면, Shiichiro INOUE, 일본토목학회지 1995 년 4 월호 특별증간
한국 CM 협회주최 논문공모 14

틀림없다고 인지 심리학자들은 말하고 있다. 사실, 단기기억 내에서 의미를 붙여 처리한다는


것은, 이 라벨들과 외부로부터의 새로운 자극을 조합처리 하는 단계라고도 할 수 있다. 이를통해
사람들은 필요한 때에 이 라벨을 실마리로서 일련의 지식 덩어리를 끌어낼 수 있는 것이다. 이
라벨이 붙은 지식 덩어리 전체를 인지심리학에서는 스키머라고 부른다.

그림 3 스키머 모델 개념도

이와같은 스키머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그림 3). 우선 외부자극이 입력되었을 때 그에 해당하는


라벨이 발견되어 인지되면, 그 자극과의 관련 정도에 의해 얼마간의 스키머가 그 정도를 바꾸어
활성화한다 . 활성화하는 스키머는 딱 하나라고 말할 수는 없다. 어느 스키머가 어떤 정도로
활성화하는가는 단기기억에서의 라벨붙임과 깊은 관계를 갖고있다. 한편, 지금 당장 특정한
스키머를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는가, 또는 조금 늦게 활성화시키는가 등을 제어하는 것이 ‘
주의’의 메커니즘이다 . 스키머 모델에서는 사람들의 인식구조가 이러한 짜임새에서 파악된다.
스키머 이론을 따라 생각해보면 , 적은 정보량으로도 여러가지를 예측할 수 있으며, 단시간에
일을 끝낼 수 있는 인간의 특성에 대해서도 설명할 수 있게 된다.

휴먼에러와 관련시킬 경우, 하나의 자극에 하나의 스키머가 대응하는 관계가 아님에 더불어,
대상을 잘못 보거나 듣거나 함으로써 다른 스키머가 활성화 한다든지, 활성화한 스키머 상호간의
조합이 잘못된다든지 , 활성화하는 타이밍이 늦어진다든지 , 예기치 못한 스키머가 생각지 못한
순간에 활성화 한다는 등과 같은 개념으로 휴먼에러의 여러 면이 설명될 수 있다.

2.3.2.4 음주 및 약물 섭취가 휴먼에러에 미치는 영향

휴먼에러 발생은 인간의 ‘주의’와 관계있음을 위에서 설명한 심리학적 메커니즘 및 스키머
모델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음주 및 약물 섭취는 휴먼에러를 고려할 때 중요한 요건이 되는
‘주의’의 활동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장기기억에서 사용하기 위한 단기기억으로 전이되는
상황에서 잘못된 스키머의 활성화 및 전달과 활성화의 저속화를 통해 주어진 상황에 적절한
대처를 할 수 없게 되므로, 치명적인 재해로 이어질 수 있는 개연성을 갖는다 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장에서의 음주 및 약물섭취는 안전관리자의 철저한 관리하에 배제되어야만 한다.

안전에서 휴먼에러를 다룬다는 것은 설비에 기초한 하드웨어적 안전인 “보이는 안전”을


넘어서 “보이지 않는 안전”까지도 관심을 둔다는 의미에서 매우 적극적인 자세이다.
현장에서의 적절한 커뮤니케이션은 올바른 지시를 가능케하여 휴먼에러 발생을 억제할 것이다.
한국 CM 협회주최 논문공모 15

또한, 최종적으로는 작업에 종사하는 개인마다의 주의력, 정서, 건강상태와 같은 ‘눈에 보이지
않는 노동환경’의 개선이 남겨진 커다란 과제라 할 수 있을 것이다.

2.3.3 유효한 재해대책

재해사상의 면밀한 분석 및 추구의 결과 얻어진 대책과 함께, 같은 작업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재해를 일으키지 않고있는 현장을 조사하여 발견한 특징을 반영하는 [무사고 조사]가
필요하며, 안전관리자는 그 양자의 차이에서 가장 유효하고 현장에 밀접한 대책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고의 교훈을 행동으로 옮기는 대책으로서, 현장작업자에게 얼마나 재해의 현실감을
침투시켜서 안전을 일상의 행동으로 정착시키는가에 대한 노력도 휴먼에러에 기인한 재해를
줄이는 데 중요한 일면을 차지할 것이다. 즉, 기존의 ‘지식적 안전교육’에서 ‘행동적이며
체험적 교훈’으로 전이시키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2.4 설문조사 결과

본 설문은 H 건설, S 건설, S 건설, D 건설 등 대형건설사의 도움을 받아, 서울내 빌딩 건축 현장 37


곳에서 안전관리자 62 명과 근로자 274 명을 대상으로 입장을 바꾼 교차질문이 포함된 일반사항
및 음주 및 약물복용과 관련있는 내용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실행되었다 . 각 설문 결과에 대한
안전과의 연관과 그에 걸맞는 대책등을 제시한다.

2.4.1 일반사항에 대한 설문

2.4.1.1 연령에 대한 고찰

일반사항 고찰에서 현장 안전관리자 및 근로자와 가장 가깝게 지내는 기사급과 근로자의


평균연령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결과 , 근로자의 약 56% 정도가 36 세 이상인 반면,
안전관리자의 평균연령은 70%에 상당하는 자들이 25~30 세의 연령에 분포하고 있었다. (그림 4)

그림 4 평균연령에 관한 설문 (근로자 대 안전관리자 )


한국 CM 협회주최 논문공모 16

이와같은 근로자와 안전관리자의 나이차이는 양자간의 커뮤니케이션을 불편하게 만든다. 이는


유교적 분위기에서 연장자에게 싫은 소리를 함부로 해서는 안된다는 관리자의 의식과, 연하자의
지시에 대한 연장자인 근로자의 반발심등으로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현장내에서는 나이를
불문하고, 안전관리자의 지시는 반드시 지켜져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현장의 책임자 차원에서의
원칙제시가 필요하다.

2.4.1.2 노동(근무) 시간에 대한 고찰

노동(근무) 시간은 노동재해를 검토하는 데서 제외할 수 없는 중요한 원인제공 요소이다.


안전작업확보를 위해서는 노동시간의 관리가 필요하다. 노동시간 관리가 부적절할 경우,
부주의와 불완전한 행동을 일으키게 되어 노동재해로 귀결될 가능성이 크며, 또한 장기간 노동이
계속되어 피로가 축적되면 주의력과 집중력이 떨어져 재해유발을 일으키게 된다.

반면, 건설업의 특수한 성격상 현장에는 낮은 임금수준을 장시간의 노동을 통하여 메꾸는 일급제,
지불제 노동자가 많으며, 또한 기능 노동자의 부족으로 시간외 공사의 가능성이 상존하며,
공기에 쫓기는 경우 나쁜 기후나 휴일을 무시하고 일을 서두르는 등의 원인에 의해 건설업의
노동시간 관리는 잘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웃나라 일본의 경우, 1992 년 연간 총
실제노동시간은 전체산업이 1971 시간, 제조업이 2017 시간임에 비해, 건설업은 무려 2115
시간에 이르렀다. 노동시간의 관리 또한 재해예방차원에서 중요한 요소로서 판단되었으므로 ,
설문을 행하였다.

설문결과, 근로자의 경우 하루 평균 10 시간에서 12 시간을 일하는 비율이 전체 응답자의 82%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안전관리자의 경우도 크게 다르지 않아 10~12 시간 일하는 비율이 82%가
되었다. 12 시간 이상을 일하는 경우도 근로자의 경우 9%, 관리자의 경우 10%정도로서, 우리나라
건설현장의 근무자들은 무척 많은 시간을 노동에 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5)

그림 5 근무시간에 관한 설문 (근로자 대 안전관리자 )

노동시간이 많을 수록 휴식은 다음날의 작업을 위해, 그리고 자신의 건강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조사결과 우천시를 제외할 경우, 근로자의 경우 1 달에 2 일 미만을 쉬는 경우가 50%, 2
일을 쉬는 경우가 41%로서, 무려 91%가 2 주일에 하루를 쉰다는 통계를 얻을 수 있었다.
관리자의 경우 대부분 1 달에 4 일을 쉬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6) 근로자는 이렇듯 누적된
피로를 잊기위해 술이나 다른 약물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이게 되며, 이는 또 다른 재해의 원인이
한국 CM 협회주최 논문공모 17

된다.

그림 6 휴일에 관한 설문 (근로자 대 안전관리자)

안전관리자는 이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현장근로자의 노동시간을 줄이면서, 생산성을 올릴 수


있는 방안을 현장 공사팀과 협의하여야 하며, 근로자의 노동시간 관리를 보다 적극적으로 해야만
한다.

2.4.1.3 안전제일인가 품질제일인가

건설 프로젝트 현장에서 안전이 실질적으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모든


인력이 ‘안전’이 가장 중요하다는 사실에 동의하고, 실천해야만 한다. 그러므로 안전에 대해
어느정도의 공감대가 현장에서 형성되고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안전관리자의 경우, 응답자의 70%가 안전이 현장관리시 가장 중요한 개념으로 인식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 주목할 점은 공기면에서도 19%정도의 응답자가 대답하였다는 점이다. 바쁜 공기를
맞추기 위해서는 시간외 근무 또는 안전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작업이 이루어 지게 되므로,
재해의 발생 가능성이 평소보다 높아지게 된다. 자신이 속한 프로젝트의 공기내 완성이 절실한
경우, 안전관리자는 이점에 무엇보다도 주목해야 할 것이다.

근로자의 경우, 안전의 43% 응답과 거의 비슷한 비율인 38%로서 품질을 들었다. 이는 1980
년대에서 90 년대 초반까지의 품질향상, TQM 등의 운동을 통해 주입되어진 개념으로 아직
근로자에게는 ‘안전’에 대한 주지가 관리자 수준만큼 주입되어 있지 않다는 증거가 된다. (
그림 7)
한국 CM 협회주최 논문공모 18

그림 7 강조점에 관한 설문 (근로자 대 안전관리자)

현장에서의 안전은 최종적으로 근로자에게 달려있다. 따라서, 근로자 스스로가 안전의식을


고양하는 것이 재해방지의 최우선이다. 현장에서는 안전이 최우선이라는 정책이 현장 최고
관리자로부터 설득력있게 근로자에게 지시되어야만 한다. 종로 S 건설의 현장에서는 , 기존의
‘안전제일’과 같은 피상적인 안전정책의 전달에서, 보다 구체적이고 근로자의 행위를
유발시킬 수 있는 정책을 게시함으로서 , 많은 효과를 보고 있다. (그림 8)

그림 8 S 사의 현장전면에 게시된 안전정책 현수막

2.4.1.4 현장의 작업여건

현장의 최선단에서 작업을 하며 재해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근로자와 그를 관리하는


안전관리자가 바라보는 해당현장의 안전도에 대한 관점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

근로자의 경우, ‘현장의 작업여건이 당신에게 충분히 안전합니까?’라는 질문에 설문응답자의


65% (117 명)가 그렇지 않다고 대답을 해, 구호로서 외쳐지는 안전제일과 , 실제 안전한 현장이
되는 것과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안전관리자의 응답에서도 79% (49 명)가 현장의
작업여건이 근로자들에게 충분히 안전하지는 않다는 대답을 하여, 근로자 및 관리자 모두가 현재
현장의 안전도에 대해서 크게 만족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림 9)
한국 CM 협회주최 논문공모 19

그림 9 현장작업여건의 안전도에 관한 설문 (근로자 대 안전관리자)

따라서, 근로자가 안전함을 느낄 수 있는 작업환경을 만들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며, 이는


절대적으로 근로자로부터의 안전과 관련된 의견개진을 필요로 한다.

2.4.1.5 재해, 특히 추락재해의 경험여부

재해를 직간접으로 경험한 자와 경험하지 못한 자 사이에는 안전의식에 큰 차이가 있다. 현장의


안전관리자가 재해를 경험하였다면 , 이는 곧 비슷한 사례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행위 및
노력으로 귀결될 것이다. 근로자의 경우에도, 재해를 직접 경험했거나 , 주위에서 벌어진 재해를
목격하였다면 해당 공종등에서 각별한 주의를 기울일 것임은 재론의 여지가 없다.

본 설문의 결과, 안전관리자는 응답자의 약 60% (37 명)가 재해를 경험한 적이 없다는 대답을
하였다. 이는 상대적으로 안전관리자층의 평균연령이 낮아 현장 경험을 많이 해보지 못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추락등으로 인한 사망에 이르는 중대재해유형을 책이나 다른 문헌을
통해서가 아닌, 실제로 겪게하는 훈련은 관리자로 하여금 안전에 대한 각성을 새롭게 할 것이다.

근로자의 경우, 응답자의 35% (97 명) 에 이르는 사람이 직접 ‘추락’재해를 겪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53% (143 명)가 간접적으로도 재해의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10)
추락재해를 경험하지 못한 다른 근로자의 경우도, 기 경험자로부터의 주의 및 이야기를 통해
스스로 조심하는 태도를 갖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경험부족의 안전관리자에게 적용한
것과 같은 재해경험 훈련은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림 10 추락사고의 직간접 경험여부 (근로자)

사고의 교훈을 행동으로 옮기는 대책은 매우 설득력있다. 따라서, 현장작업자에게 얼마나 ‘


재해의 현실감’을 침투시켜서 안전을 일상의 행동으로 정착시킬 수 있는가에 대해
한국 CM 협회주최 논문공모 20

안전관리자는 연구해야 할 것이다. 지식적 안전교육을 행동적/체험적 교훈으로 전이시키는


프로그램은 현재 국내에서 일부의 경우 도입되어, 큰 효과를 거두는 것으로 나타났다.14

2.4.1.6 재발방지의 교육

재해를 경험한 후, 근로자의 반응은 (그림 11)과 같이 다양했다. 이들의 경향을 한마디로
정리하자면 ‘재해에 대한 두려움’의 재인식이다. 이러한 두려움은 재해발생후 현장의
생산성에 현저한 저하를 가져온다. 따라서, 안전관리자는 재해방지를 위해 최선을 다하되, 일단
재해가 발생하게 되면 다른 근로자로부터 두려움을 제거함과 동시에 철저한 원인규명과
재발방지를 위한 교육을 통해 근로자들에게 자신의 안전을 지킬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그림 11 재해발생후 느낌에 관한 설문 (근로자)

재해발생후 원인규명과 현장에 반영되는 사후조치를 하는가에 대한 설문에 79%에 가까운


안전관리자들이 긍정적인 답을 하였다. (그림 12) 그러나, 사후조치에 이어 행해져야만 하는
재발방지를 위한 교육에 있어서는 근로자와 관리자간의 견해차를 탐지할 수 있었다.

그림 12 재해의 사후조치에 대한 설문 (안전관리자)

관리자의 경우, 재해발생후 근로자에게 사고원인에 대한 설명 및 재발방지를 위한 교육을

14
매일경제신문 97 년 12 월 23 일자에 따르면, H 건설은 단위사업장 규모의 ‘근로자 안전체험장’을 설치해 근로자에게

개인보호구 착용의 필요성과 산업재해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줘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고 한다. 본 안전체험장은 가설

틀비계를 이용해 3 단높이(5.6m)로 ‘가설비계’를 쌓고 가설계단을 설치해 근로자가 직접 이동해보기도 하고 안전벨트를

맨 상태에서 떨어져보는 등, 안전시설 착용의 중요성을 실감하게 할 수 있도록 했다.


한국 CM 협회주최 논문공모 21

실시한다고 말한 응답자가 81%에 이르는 반면, 근로자의 경우 같은 설문에 대해 41%가 교육을


받지 못한다는 응답을 하였다. (그림 13) 관리자가 형식적으로 행하는 교육에 대해서는 상당수의
근로자가 재해예방을 위한 적절한 정보를 얻지 못한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음과, 따라서 재해의
원인 전달은 보다 철저한 프로그램을 통해 행해져야 함을 알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이론에서도
볼 수 있듯이, 지시사항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 발생할 실패상황의 제시는 보다 확실하고
분명한 의사소통을 이루는 데 큰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그림 13 재발방지 교육에 관한 설문 (근로자 대 안전관리자)

2.4.2 현장에서의 음주 및 약물복용 실태에 대한 설문

2.4.2.1 현장에서의 음주여부

우리나라의 건설현장은 비교적 현장에서의 음주에 대해 관대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는 사실이 본
설문을 통해서 사실로 입증되었다 . 심한 육체노동의 피로감을 잊게 한다는 변명으로 시작되는
근로자의 음주는 현장에서 공공연히 행해지고 있으며, 또한 근로자들보다 나이가 어린
안전관리자들은 그에 대해 별다른 조치를 취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근로자와 안전관리자에게 현장에서의 음주여부 및 목격여부를 묻는 설문을 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그림 14) 근로자에게 ‘작업도중의 식사 및 새참시간의 음주여부’를 물은 결과, 응답자의
68% (185 명)이 ‘예’라고 답을 했다. 한편, 안전관리자의 경우, 음주장면의 목격여부를 물은
설문에서 65% (40 명)이 긍정적인 답을 하였다. 안전관리자의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곳에서
음주가 이루어 진다면 어쩔 수 없지만, 안전관리자가 공공연히 목격을 하는 장소에서도 음주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실은 현장에서의 음주가 너그럽게 용서되고 있다는 점을 반영하고 있다고
하겠다.
한국 CM 협회주최 논문공모 22

그림 14 현장에서의 음주여부 (근로자 대 안전관리자 )

이렇듯, 현장에서의 음주가 공공연히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근로자의 음주의 원인은


무엇인가를 알아볼 필요가 있다. 음주의 원인을 사전에 파악, 조치를 취함으로써 , 현장에서의
음주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설문결과, ‘작업의 피로를 잊기위해’라는 항목이 응답자의 52%
(143 명), ‘지금까지 습관적으로 마셔왔다’의 응답이 29% (79 명), ‘스트레스를 풀기위해’의
응답이 14% (37 명)으로 집계되었으며 , ‘기타’항목 15 명의 경우에는 ‘분위기 상 따라
마신다’, ‘약하다고 놀릴까봐’, ‘고소작업에서의 두려움을 잊기위해’등이 언급되었다. (그림
15)

그림 15 음주의 이유 (근로자)

음주의 이유에서 ‘작업의 피로를 잊기위해’의 항목은 ‘노동(근무)시간에 대한 고찰’에서


살펴볼 수 있었듯이, 휴식을 거의 취할 수 없는 근로자들에게 있어 당연한 답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관리자는 공정 담당자와 해당 협력업체의 담당자와 긴밀한 협의하에 근로자가
작업에 피로감을 갖고 투입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또한, ‘스트레스’등과 같은
이유는 현장에서의 심한 소음등에 의해 유발될 수 있으므로, 식사 및 새참시간에 음악을 통해
스트레스를 간접적으로 해소시키는 방안등의 적극적인 도입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2.4.2.2 음주위험에 대한 자각

현장에서의 음주는 절대 허용되서는 안된다. 이는 안전교육에서의 절대적인 명제로서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설문결과 현장에서는 위와같은 여러 이유에 의해 근로자들의 음주가 행해지고
있으며, 안전관리자는 이를 거의 묵인하고 있는 실정임을 알 수 있었다. 그렇다면, 과연
건설현장은 음주에 기인한 위험을 어느정도 자각하고 있을까? 이를 위해 근로자에게는 음주후
한국 CM 협회주최 논문공모 23

작업시 위험순간 체험 경험을, 안전관리자에게는 현장에서의 재해가 음주에 기인한 것이라는


점을 생각한 적이 있는가에 대한 질문을 하였다.

설문결과, 음주 후 작업에서 위험한 순간을 겪은 경험, 즉 음주하지 않았더라면 겪지 않았어도 될


순간을 경험한 근로자가 응답자의 61% (167 명)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는 현장에서의 음주가
재해로 이어질 수 있는 높은 잠재요인임을 의미한다. 그러나, 위험한 순간이 사고로 이어지지
않는 경우, 이와같은 경험은 당사자에게 큰 경고가 되지는 못하는 것으로 보였다. 안전관리자는
음주에 기인한 재해발생 가능성에 대해 근로자에게 끊임없이 강조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안전관리자의 45% (28 명)이 재해, 특히 추락재해가 음주와 기인한 것이라고 생각해 본 적이
없다고 말해, 음주에 대한 실제적인 자각이 매우 부족함을 드러내었다. (그림 16) 미국의 경우,
현장에서의 재해발생후 응급처치시 우선적으로 음주에 대한 여부가 측정되어 기록될 정도로
사고와 음주의 밀접한 관계가 잘 인지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재해가 근로자 자신의 음주에
연관된 것임이 밝혀질 경우, 재해보상에 대한 제한이 있음을 주지시킴으로써 , 근로자의 현장내
음주금지에 대한 자각을 높이기 위한 조치의 도입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림 16 음주후 위험순간 경험 여부 및 추락재해의 음주관련 여부에 대한 인식


(근로자 대 안전관리자)

2.4.2.3 음주행위로 인한 처벌여부

음주행위는 현장에서의 중대재해와 직접적으로 연관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끊임없는 계도 및


준수가 되지 않을 경우의 철저한 처벌을 통해 안전관리자는 현장에서의 음주를 근절시키기 위한
모든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그러나, 현장에서의 공공연한 음주행위는 음주행위에 대해 원칙에
따른 처벌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음을 의미한다.

설문을 통해 알아본 결과, 근로자의 78% (213 명)이 ‘아니오’라는 응답을 해, 역시 음주에 대한
우리나라 현장의 무관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안전관리자들의 경우에도, 음주행위로 인한
처벌을 행한 경험에 대해 ‘예’라고 응답한 사람은 34% (21 명)에 지나지 않았다. (그림 17)
한국 CM 협회주최 논문공모 24

그림 17 음주행위에 대한 처벌경험 여부 (근로자 대 안전관리자 )

그렇다면, 안전관리자들은 근로자의 음주행위 목격시 어떤 행위를 취하는가? 본 설문에 참여한


각 건설회사의 현장 매뉴얼에는 근로자의 음주여부 적발시 즉시 현장에서의 퇴장을 명령하게
되어있다. 그러나, 설문결과 주어진 원칙과는 다른 행동의 양상을 엿볼 수 있었다. (그림 18) ‘
근로자의 음주행위 목격후, 당신이 취하는 조치는?’이란 설문에 대해, ‘술을 마시지 말라고
말함’이 55% (34 명), ‘적당히 못본 척함’이 8%(5 명)으로서, 소극적인 대처를 행하는
안전관리자의 비율이 63%에 이르는 반면, ‘즉시 작업투입에서 제외시킴’의 35% (22 명)과 같은
원칙에 의거한 처벌은 철저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그림 18 음주목격후, 안전관리자가 취하는 행동 (안전관리자)

이와 같이, 안전관리자가 음주와 관련된 적극적인 처벌을 행하지 못하는 이유 중 하나로서,


현장에서의 음주에 대한 처벌기준 교육의 수행여부를 거론할 수 있다. 현장근로자와 안전관리자
사이에서 처벌에 대한 동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일방적인 처벌이 이루어질 경우,
근로자의 반발은 처벌의 유예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이에대한 설문결과는 다음과 같다. (그림 19)

그림 19 음주행위와 관련된 처벌기준의 교육여부 (근로자 대 안전관리자 )

근로자의 경우, 63% (173 명)가 음주행위와 관련된 처벌기준을 교육받지 못했다는 응답을 한
한국 CM 협회주최 논문공모 25

반면, 안전관리자의 경우 69% (43 명)가 처벌기준에 대한 교육을 행한다는 응답을 했다.
동일사안에 대한 결과의 차이는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최근 현장에서 안전교육시
사용되는 유인물에는 안전사고의 책임에 대한 여러 사항이 적혀있으며, 여기에 근로자는 교육에
참가했다는 증거로서 자신의 서명을 하게 된다. 그러나, 많은 경우 책임사항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시간을 이유로 생략된다. 근로자는 이와같은 측면에서 교육을 받지 못했다는 응답을
하며, 상대적으로 교육을 진행한 안전관리자는 긍정적인 답을 하게 된다. 그러나, 결론적으로
많은 근로자들이 음주행위와 관련된 처벌기준에 대해 모르고 있다면, 안전관리자는 위반에 대한
처벌 수행시 어려움을 겪게된다. 따라서 안전관리자들은 이에 대한 분명한 언급을 통해, 처벌이
정당하게 수행되었음을 근로자들에게 이해시킬 수 있어야 한다.

한편, 안전관리자의 경우, 음주행위자에 대한 철저한 처벌을 행하지 못함에 대해 여러 이유를


들고 있었다. 특히, 근로자의 확보가 힘든 상황에서 음주에 대한 처벌로서 작업현장에서 제외를
명하는 것은 공기 및 공비면에서 상당한 손실을 가져온다는 것이 주된 이유로 제시되었다 .
더욱이 철근작업 근로자 및 목수근로자의 경우, 그들의 ‘오야지’가 음주를 유도하는 경우에는
속수무책이라는 언급이 많았다. 이와같은 측면은 안전관리자 단독으로 처벌을 수행하기 어려운
이유중의 하나이다. 하도급자와의 계약체결시 음주에 관련한 처벌기준을 명시함과 동시에,
유보금 또는 지급지연등의 조항을 삽입함으로써 , 안전관리에 대해서도 계약차원에서의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4.2.4 음주 및 숙취 여부 검사

음주를 목격하는 경우, 안전관리자는 원칙에 따라 해당 근로자의 현장투입 제외등을 지시할 수


있으나, 안전관리자의 눈을 피해 이루어지는 음주에 대해서는 어떤 조치를 취할 수 있는가.
안전관리자는 모든 경우에 대해 음주 근로자를 색출(screening)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이는 관리를 피해 행해진 음주 뿐만 아니라, 전날의 숙취로 인해 근로에 적합한 상태가 아닌
근로자에게도 마찬가지로 적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장에서의 음주 및 숙취 여부의 검사에 대한 설문결과, 이는 거의 행해지고 있지 않음이


드러났다. (그림 20) 작업전 음주에 대한 검사의 여부에 대해서는, 근로자의 경우 84% (229 명)가
‘아니오’라는 응답을, 안전관리자의 55% (34 명)가 ‘아니오’라는 응답을 하였다. 숙취에
대한 검사여부에 대한 설문에서도 근로자의 64% (174 명)가 숙취의 영향을 받으면서 오전 작업에
임한다고 응답했으며 , 안전관리자의 45% (28 명)는 숙취를 겪는 근로자를 작업에서 제외시키지
않는다고 답하여, 안전관리자의 관리를 벗어난 음주기인 재해 잠재자가 상당수 작업현장에
투입된다는 사실을 본 설문을 통해 알 수 있다. (그림 21)
한국 CM 협회주최 논문공모 26

그림 20 현장에서의 음주여부에 대한 검사 여부 (근로자 대 안전관리자)

그림 21 숙취와 현장투입 여부 (근로자 대 안전관리자)

술기운에 영향을 받는 근로자들이 작업현장에 투입된다는 사실은, 현장차원에서 상당한 재해


잠재성을 보유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안전관리자를 포함한 모든 관리인력은
이와같은 잠재 재해자를 방지하기 위해 작업개시 전 음주 및 숙취에 의해 영향받는 자들을
찾아내기 위한 방법을 찾음15으로써, 현장의 재해 잠재성을 최대한 낮추어야 한다.

2.4.2.5 현장에서의 약물복용

건설현장에서의 작업은 근로자의 신체적, 심리적 상태가 건강하지 못해 집중력이 떨어지는 경우


대형재해로 이어지는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작업에 투입되는 근로자에게는 무엇보다도 작업에
집중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 바로 이런 배경에서 현장에서의 음주가 문제시되는 것이다.
음주는 중추신경을 마비시킴으로써 , 외부적 자극에 대한 반응을 늦게 만들며, 또한 음주자의
집중력에 상당한 장애를 일으키게 된다. 그러나, 최근 음주에 더해 약물이 현장 근로자 사이에서
많이 복용되고 있다. 현 시점에서 근로자의 약물복용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본 항목의 설문을
행하였다.

근로자의 집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약물로서, 흔히 합법적으로 남용되고 있으며, 아무런


주의를 받고있지 못하는 약물은 감기약 종류이다. 대부분의 감기약 포장에 씌여있는 주의를 통해
알 수 있듯이, 감기약을 복용하게 되면 복용자는 필연적으로 졸음 및 그에 상응하는 상황에

15
매일경제신문, 1997 년 12 월 23 일, 현대건설은 근로자 안전체험장을 설치하여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있다. ‘

평균대’를 설치하여 근로자가 직접 평균대 위를 걸음으로써 과음등으로 건강상태가 좋지않은 근로자는 위험작업이나

고소작업에서 제외하고 있다.


한국 CM 협회주최 논문공모 27

처하게 된다. 따라서, 상당한 집중이 필요한 고소작업시 , 이와같은 현상은 곧바로 인명재해로
이어질 가능성을 갖는다. 환절기에 발생하는 많은 재해의 원인으로서 이러한 측면이 고려되야 할
것이다. 따라서, 근로자의 경우 자신의 감기약 복용여부를 안전관리자에게 사전 고지해야 하며,
안전관리자 또한 그에게 불리한 조처가 취해지지 않는 선에서 최대한 안전한 작업환경을
보장해줘야 한다.

설문결과, 감기약 복용과 관련하여, 근로자의 89% (243 명)가 안전관리자에게 그 여부를
보고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근로자들은 감기약 복용을 현장차원의 안전개념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지극히 개인적인 측면으로 받아들이며, 따라서 별다른 보고의 필요를 느끼고 있지
않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안전관리자의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안전관리자의
경우에도 60% (37 명)가 감기약 복용에 대한 별다른 보고 지시를 내리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22)

그림 22 감기약 복용의 보고여부 (근로자 대 안전관리자 )

감기약보다 더 심각한 약물복용도 근로자 사이에서 이루어지고 있음이 이번 설문을 통해서


확인되었다. ‘술과 감기약을 제외한 다른 약물 (각성제, 본드 등)을 섭취하는 경우가 있습니까?’
라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에서, 37% (102 명)가 ‘예’라는 응답을 하였다. (그림 23) 특히,
이와같은 응답은 근로자의 대부분을 이루고 있는 3,40 대 근로자 층이 아닌 새로 건설산업에
진입한 20 대층에서 많이 이루어 졌다. 이는 앞으로 건설현장에서의 약물과 관련된 인명재해가
본격적으로 발생될 것임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거담제, 근육진통제등이 일반적으로 많이
섭취되는 약물이며, 심한 경우에는 환각제마저도 복용하고 근로현장에 투입되는 경우도 있었다.
안전관리자는 다량의 약을 복용하는 자, 현장에서 건강한 근로자와는 다른 행동을 보이는
근로자들에게 약물복용에 대한 혐의를 갖고 관찰하여야 할 것이다. 다음은 전형적인 약물
복용자가 보이는 성격을 나타낸 연구결과로서, 안전관리자의 판단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16

 다른 근로자들의 3 배정도 자주 지각한다.

 이른 퇴근, 또는 휴식을 2.2 배나 자주 요청한다.

 8 일이나 그 이상의 결근을 2.5 배 많이 한다.

 일반적 수준의 병가(sick benefits)를 3 배 많이 사용한다.

16
Hoffer, W. (1986), “Business’ war on durgs.” Nation’s Business, (Oct.), 19.
한국 CM 협회주최 논문공모 28

 근로자 보상 소송을 5 배 많이 제기한다.

 사고 및 재해에 3.6 배 더 자주 연관된다.

 근로자의 일반적 능력의 67%정도밖에 업무를 수행하지 못한다.

그림 23 술과 감기약 이외의 약물 (각성제, 본드등)의 섭취여부 (근로자 대 안전관리자 )

2.5 대안의 제시

2.5.1 우리나라의 현황

2.5.1.1 전사적 안전 투자 증액

D 건설사는 99 년까지 안전관리 분야에 총 1 천 5 백억원을 투입하고 협력업체 안전관리지원


전담부서를 설치하는등의 투자를 통해 오는 2000 년까지 재해율을 0.25%까지 줄이기로 하였다.17

S 건설사는 ‘산업안전 3 개년 계획 선포 및 공동 위험상황 감시단 발대식’을 통해 건설재해를


줄이기 위해 오는 99 년 말까지 안전부문에 총 2 천억원을 투자하여, 연간재해율과 사망률을 크게
낮춰나간다는 계획을 발표하였다. 18

2.5.1.2 안전 인센티브 제도

S 건설은 무재해 마일리지 제도를 인센티브 제도의 일환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는 현장소장에게
4 백점의 기본점수를 주고 인명사고가 났을 경우 감점으로 20~70 점을, 무재해 달성시 가점 50
점을 부여, 취득점수에 따라 상응하는 상벌을 수여하는 것이다. S 건설은 신상필벌의 강화를 통해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동기부여와 안전에 대한 적극적인 사고를 유도하고 있다.

2.5.1.3 안전 매뉴얼의 확보

S 건설은 안전과 시공의 일치를 강조하면서 , 이들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건설공사를 총 14 개


공사로 분류하고 세부공정도 2 백 34 개로 나누어, 각 공정별 안전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17
조선일보 1996 년 9 월 16 일자
18
조선일보 1996 년 9 월 4 일자
한국 CM 협회주최 논문공모 29

협력업체를 포함한 구성원 모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공사별 표준안전 시공절차서’를


제작,배포해 활용하고 있다. 특히 각 공사별 안전점검 항목을 기록한 ‘일일 예방안전 포켓북’
을 휴대하여 일상점검이 가능하도록 하고있다. 이는 현장근로자들에게 자신이 처한 환경의
안전도를 비교할 수 있는 척도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있는 관리기법이라 할 수 있다.

2.5.2 발전적 대안의 제시

2.5.2.1 안전 매뉴얼의 확보

안전작업 및 안전시설 매뉴얼을 작성, 배포한다. 이는 문서를 통해 근로자와 커뮤니케이션하는


최선의 방법이다. 건설업 각사에서는 시공사 직원을 대상으로 하는 안전작업 매뉴얼을 작성하고
있기는 하나, 노동재해의 위험에 최일선에서 직면하고 있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는 것은
찾아보기 어렵다. 예를들어, 비계 지보공의 조립 및 해체를 중심으로 한 작업수순 및 작업의
유의점을 알기쉽게 해설한 안전매뉴얼이 갖추어 진다면, 휴먼웨어적 입장에서 필요없는
스키머의 활성화를 최대한 억제하여 휴먼에러를 없앰과 동시에, 근로자의 자발적인 안전작업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2.5.2.2 작업 거부권의 부여

안전하지 않은 작업에 대해 근로자가 작업을 거부할 권리를 부여한다. 안전하지 않은 작업이


존재한다는 사실은 해당 작업에 대한 관리자의 준비소홀을 반증하는 것으로, 거부권 행사는
현장안전의 수준을 한차원 높이는데 필수적인 요소가 된다. 하의상달의 보다 적극적인
형태라고도 할 수 있는 이 작업 거부권은 관리자의 측면에서는 권위에 대한 도전이라는
관점에서, 근로자의 측면에서는 실직에 대한 우려에서 활성화되지 못해왔다.

작업 거부권이 정착하기 위해서는 우선 현장 최고관리자인 소장 또는 소사장의 결의의 표명이


있어야 한다. 앞선 (그림 8)의 S 사의 경우, 작업 거부권을 소장 권한하에 현장원칙으로 제시했을
때, 초기에는 다양한 작업 거부권 행사가 있었으나 그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를 통해 당
현장에서의 안전 최우선 정책이 모든 관계자들에게 정착될 수 있었으며, 무재해 기록을
지속해나가고 있다고 한다. 또한, 작업 거부자가 개인적으로는 전혀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임금보장을 해주는 것과 작업 거부로 인해 발생한 공기연장은 발주자에 의해 승인되어야 하는
것도 작업 거부권 부여의 본격적인 실천을 위해 선결되어야 하는 과제이다. (그림 24)는
작업거부권의 개념도이다.
한국 CM 협회주최 논문공모 30

그림 24 작업거부권의 개념도

2.5.2.3 계약을 통한 안전관리 실현

미국에서는 계약에 반드시 입찰과정을 통해 하도급자가 제출한 안전관리 계획과 프로그램이


포함되도록 강제하는 것이, 대부분의 공종을 현장에서 직접 수행하는 하도급자들에게
근본적으로 안전에 대한 주의를 기울이게 한다는 점에서 매우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19

우리나라에서도 시공자가 일괄해서 프로젝트의 안전관리를 맏는 것을 넘어서 보다 근본적인


측면에서 하도급자의 안전관리 프로그램이 계약시 반드시 제출될 수 있도록 의무화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경우, 건설 프로젝트에서 계약서상으로 일정 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는 안전관리와 안전교육의 실시를 의무화하는 방안이 재해방지를 위한 매우 적극적인
노력이라는 점에서 널리 수용되고 있다.

계약체결시 시공자가 하도급자에게 기본적으로 요구해야 하는 안전 프로그램의 항목에는 1.


교육 (Training), 2. 검토와 집행 (Review and Enforcement), 3. 감사 (Inspection) 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특히 교육 측면에서는 하도급자가 자신의 고용인의 안전교육에 책임을 진다는 것과, 교육은 모든


법과 기준을 준수하면서 계약의 종결까지 반드시 계속되어야 함이 전제되어야 한다.
교육내용으로는 신규 근로자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면밀히 검토되어야 한다.

검토와 집행 측면에서는 , 자신들이 제안한 안전프로그램이 구두선이 되지 않도록 하도급자가


근로자들의 작업영역을 구체적으로 검토해야 함이 강조되야 한다.

감사 측면에서는 현장순시에만 그치지 않고 반드시 현장에서의 특정한 사람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감사는 매너리즘에 빠지지 않도록
매우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수행되어야 한다.

19
Managing Subcontractor Safety, The Construction Industry Institute Safety Task Force, 1991.
한국 CM 협회주최 논문공모 31

2.5.2.4 안전 인센티브의 도입

현재 건설현장의 안전을 위해 도입되어있는 여러 수단 가운데 인센티브는 대표적인 것이다.


그러나, 인센티브의 대상이 관리자 (대부분의 경우 소장)이며, 따라서 현장의 전 관계자가
참여하는 안전관리의 동기유발이 어려운 점도 있다. 따라서, 안전의 직접적인 수혜자인
근로자에게도 인센티브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적극적인 참여와 커뮤니케이션을 유발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도입될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현장 근로자에게 제공되는 안전 인센티브에는 다음과 같은 몇가지 방법이 있다.

1. 근로자들에게 무재해 달성 시간당 얼마간의 돈을 보상해주는 방법. 미국의 경우, 무재해


근무 시간당 몇 센트씩을 산정해 계약 만기일에 지급하는 방식을 쓰고 있다.

2. 부정기적인 현금 인센티브를 주는 방법.

3. 마일스톤을 기준으로 한 현금 인센티브 방법.

4. 프로젝트 준공시 주어지는 현금 인센티브 방법.

안전 인센티브는 기본적으로 상품 또는 상금의 형태를 지닌다. 인센티브는 프로젝트의


계약금액과는 별도의 자금원에서 제공되어야 하는 것이 원칙이다. 미국에서의 다양한 연구결과,
인센티브로 비용이 지출되더라도 순이익 면에서는 오히려 인센티브 실시 이전보다 많은 이익을
거둘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20
인센티브를 위한 자금원은 발주자 또는 시공자에 의해
마련된다.

인센티브를 적용함에 있어 주의해야 할 점이 여러 인센티브 프로그램의 수행결과 밝혀졌다.


우선, 인센티브가 현금으로 지급될 경우 그 금액은 안전에 의한 인센티브라는 것을 분명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인센티브를 받기 위하여 근로자가 자신의 재해내용을 숨길 수 있다는
사실도 관리자에게는 분명히 인식되어야 한다.21

2.5.2.5 효율적인 안전관리 계획의 수립

현장차원에서는 단순한 정보에 머물고 마는 안전관련 사항이 본사차원에서 수집되어 분석될


경우, 의사결정을 뒷받침 할 수 있는 지능(intelligence) 이 된다. 본사차원에서 안전 노우하우, 즉
지능을 바탕으로 한 효율적인 안전관리 계획이 수립될 경우, 이는 많은 프로젝트가 주로
하도급자에 의해 수행되는 현실에 비추어 볼 때 시공자의 안전관리자가 그들의 안전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따라서 그를통해 상당한 비용절감을 비롯한 직간접의 이익을
획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시공자 및 하도급자의 효율적인 안전관리 계획의 수립 및 적용이 이끌어내는 이익은 프로젝트 총

20
Zero Injury Techniques, The Construction Industry Institute Zero Accidents Task Force, 1993.
21
ENR, Signs of Change, June 23, 1997.
한국 CM 협회주최 논문공모 32

비용의 5~10%를 줄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그 이상의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는 the
CII Safety Task Force 와 the Business Round Table 의 연구결과를 통해 증명된 바 있다.22

효율적인 안전관리 계획 및 프로그램이 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일상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현장안전에 대한 관리자의 강조가 있어야 함이 전제조건이다 . 안전관리자는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하도급자 및 근로자에게 안전에 대한 최고경영자의 결의를 명확히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본사는 안전관리 계획 및 프로그램의 수립에 있어, 특히 다음과 같은 점에 대한 분명한 철학과


나름대로의 기준을 하도급자에게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1. 신규 근로자의 안전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

2. 교육 (Training)

3. 안전규칙의 집행

4. Tool Box Meeting

5. 현장 안전 감사

6. 개인 안전보호장구의 사용

7. 약물 남용에 대한 정책

2.5.2.6 신규 근로자의 집중관리

현장 근로 6 개월 이내의 신규 근로자에 의해 일어나는 재해가 재해발생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현실로부터 안전관리도 대상에 따른 강조가 주어져야 함을 추론할 수 있다. 모든 안전계획 및
프로그램에서 신규 근로자의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이 강조되는 것은 그와같은 이유이다.

신규 근로자에게는 Tool Box Meeting 의 의무적인 참여와 선택사항이 아닌 강제적인 개인


안전보호 장구의 착용이 강조되어야 하며, 불안전 행위 및 상황에 대해 주저하지 말고 그들의
감독관에게 알려 수정을 요구할 수 있도록 동기유발하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신규
근로자는 기존의 근로자들이 습관화 되버린 현장조건에서 잠재되어있는 위험을 제 3 자의
눈에서 민감하게 탐지하게 되므로 이들이 제공하는 정보는 현장의 안전관리에 최대한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신규 근로자를 기존의 근로자와 구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장의 모든 관계자가


그들에게 각별한 관심을 쏟을 수 있도록 배려하는 것도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 23

22
Zero Injury Techniques, The Construction Industry Institute Zero Accidents Task Force, 1993.
23
건설안전기술, 1997, 가을호.

실제, S 엔지니어링의 경우 신규 근로자 채용시 현장상황에 적응할 때까지 특별관리를 위하여 황색 안전모를 지급하여 30

일간 착용시키고 있으며, 30 일 이후에도 현장 적응능력과 안전 작업능력이 미숙할 경우 황색 안전모를 30 일 추가로

착용시켜 지속적으로 특별관리를 함으로써, 현장 재해율을 감소시킨 예가 있다.


한국 CM 협회주최 논문공모 33

건설현장의 안전교육은 근로자의 잘못된 의식의 수정 및 올바른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특히 위에서 제시된 바, 중재재해 피해자의 상당수가 현장에
출역한지 6 개월 이내인 미숙련 근로자임을 고려할 때, 신규인력의 안전교육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표 13) 그러나, 많은 경우 우리나라의 현장에서는 안전교육이 요식적인 행사
수준에서 멈추고 있으며 따라서 근로자들의 안전의식 고취에 있어 별다른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음을 설문조사결과 확인할 수 있었다.

구분 총계 6 개월미만 6 개월~1 년 1~2 년 2~5 년 5~10 년 10 년이상


22,542 20,147 1,226 588 379 126 76
건설업
(100) (89.4) (5.4) (2.6) (1.7) (0.6) (0.3)

표 13 입사근속기간별 재해현황 (’95 년, 한국)

그러나, 다른 건설 선진국의 경우 안전관리에서 가장 우선시되는 부분은 바로 철저한


안전교육이며 , 따라서 안전교육만을 전담하는 많은 회사들이 설립되어 현장에서의 안전도
향상에 힘쓰고 있다. 미국의 경우,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와 그 외
기관의 협력하에 이루어진 3 년간의 조사결과, 강제적인(mandatory) 안전교육은 그것을 가장
필요로 하는 근로자들에게 필요하며, 이와같은 강제적 요건은 고용자에게 그다지 많은
비용증가를 가져오지 않는 가장 경제적인 안전관리임이 밝혀졌다.24

결론적으로 , 잘 정리되고 조직된 안전교육은 재해발생의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좋은 수단인 반면,


현장 참여인원 전원의 안전에 대한 공감이 반영되어야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향상이 전제가 된다고 할 수 있다.

3 결론

안전확보를 향한 전체적인 시스템이 정비되어 가면서 확실히 재해 발생 건수가 감소하기는


했지만, 건설 선진국의 현황을 통해 살필 수 있었듯이 현재는 그 감소의 정도가 둔화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지금까지의 시스템에서는 아무리 해도 해결할 수 없는 요인이 존재하며, 그
중요한 요인은 바로 사람의 마음, 휴먼팩터라는 점이 최근 학문간의 교류를 통해 밝혀졌다.

본 논문은 ‘불안전 행위’라고 지칭되는 휴먼팩터에 의한 휴먼에러에 사고의 원인이


집중된다는 점과 하드웨어적인 안전투자에도 불구하고 꾸준한 재해발생율의 감소가 특정
시점부터 감소추세를 보이지 않는다는 점에 착안하여, 휴먼에러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찾기위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음주와 약물섭취의 실상을 밝히고자 했다.

본 논문을 통해 수행된 설문결과 다음과 같은 7 항목을 밝힐 수 있었다.

1. 현장의 관리자 및 근로자의 근무(노동)시간은 타산업에 비해 과도하며, 피로에 기인한


재해 발생의 잠재성이 크다.

24
ENR, 1997. Feburary 24.
한국 CM 협회주최 논문공모 34

2. 건설업 현장의 모든 구성원에게 ‘안전’에 대한 가치가 공유되고 있지 않다.

3. 재해발생 후 근로자들에게 해당 재해의 발생 원인 및 대처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교육이


이루어 지고 있지 않음으로 해서, 재해충격을 감소시키지 못하고 있다.

4. 근로자의 70%가 현장에서의 음주행위를 하고 있음으로 나타났다.

5. 안전관리자가 음주행위 및 약물복용에 기인한 재해잠재성에 관한 인식이 낮다.

6. 합법적인 약물 (감기약) 이외의 약물 (각성제, 근육진통제, 본드 등)을 복용하는 근로자가


37%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7. 현장에서는 음주 및 약물 복용에 대한 검사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며, 이는 높은 재해


잠재성으로 연결될 것이다.

또한, 위에서 밝혀진 요소가 갖는 재해발생 잠재성을 줄이기 위해 다음 6 개의 대안을 대표적으로


제시할 수 있었다.

1. 근로자의 근무시간 조정을 통해 피로에 기인한 재해 발생 원인을 감소시킨다 . 이를 위해,


안전관리자 뿐만 아니라 공정 관리자 및 협력업체의 긴밀한 간여가 요구된다.

2. 현장에서의 최우선 가치로서 ‘안전’이 모든 관여자에게 공유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근로자에게 작업거부권의 부여등을 통한 현장안전에의 참여의식을 높인다.

3. 재해에 관한 보다 충분한 교육을 행해야 한다. 이를 위해, 입찰시 원도급자 뿐만 아니라


협력업체의 안전관리 프로그램제출을 의무화 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신규근로자에 대한
집중적인 관리에 힘써야 할 것이다.

4. 협력업체 및 근로자를 위한 안전 인센티브 제도를 도입한다.

5. 근로자를 위한 안전 매뉴얼을 작성하고, 교육시킨다 .

6. 근로자에 의한 음주 및 약물 복용을 사전에 차단하며, 작업투입전 철저한 검사를 통해


해당자를 현장에서 배제(Screening)시켜야 한다.

음주와 약물섭취의 실상이 파악된 만큼, 이들이 실제 재해와 연결되는 비율 및 재해비용에 대한


보다 면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논문을 통해 우리 건설현장에서의 음주 및
약물섭취의 실상을 건설업 종사자가 다시금 깨달을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고, 철저한 관리를
통해 예비하는 안전관리, 비용이 덜드나 효과있는 안전관리를 실행할 수 있는 새로운 분위기가
형성되기를 바란다.
한국 CM 협회주최 논문공모 35

참고문헌
1. Accident Facts 1988, National Safety Council, Chicago, Ill., 1988.

2. Accident Facts, National Safety Council, Chicago, Ill., 1994.


3. Business’ War on Drugs, Hoffer, W., Nation’s Business, 1986, Oct.

4. Constructability in Building and Engineering Projects, Alan Griffith 외 1 명, Macmillan, 1995.


5. Construction Safety Handbook, V.J. Davies 외 1 명, Thomas Telford, 1990.
6. Construction Safety: A Vision for Future, Stewart Young, Journal of Management in Engineering,
July/August 1996..
7. Costs of Accidents and Injuries to the Construction Industry, John G. Everett, Peter B. Frank Jr.,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ol.122, No.2, June, 1996.
8. Drug Testing and Its Impact on the Incident Rate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ltayeb, S. A., PhD
dissertation, Clemson Univ., Clemson, S.C., 1990.

9. ENR, 1997. Feburary 24.


10. ENR, 1997. January. 13.
11. Efficiency of Drug Testing Programs Implemented by Contractors , Saleh Altayeb,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ol.118, No.4, December, 1992.
12. Indirect Costs of Construction Accidents, Jimmie Hinze, CII, 1991.
13. Managing Subcontractor Safety, The Construction Industry Institute Safety Task Force, 1991.
14. Productivity Improvement in Construction, Clarkson H. Oglesby 외 2 명, McGraw-Hill,1989.
15. Professional Construction Management – Including CM, Design-Construct, and General
Contracting, Donald S. Barrie 외 1 명, 1992.
16. SAFETY AT THE SITE, Virginia Fairweather, Civil Engineering, August 1994.
17. Signs of Change, ENR, June 23, 1997.
18. Substance Abuse : The problem and its solution, Maloney, W. F., Construction Industry Institute,
Austin, Tex., 1987.

19. Substance Abuse in Construction , William F. Maloney,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ol.114, No.4, December, 1988.
20. Zero Injury Techniques, The Construction Industry Institute Zero Accidents Task Force, 1993.
21. 건설 매니지먼트 원론, 쇼오지 미키오외 1 명, 한림출판사, 1997.
22. 건설노동재해의 현상과 문제점, Shigeo HANAYASU, 일본토목학회지 1995 년 4 월호
특별증간
23. 건설안전기술 , 1997, 가을호.
24. 노동재해의 심리학적 측면, Shiichiro INOUE, 일본토목학회지 1995 년 4 월호 특별증간
25. 노동재해의 원인분석, Tadashi ARAI, 일본토목학회지 1995 년 4 월호 특별증간
26. 매일경제신문 , 1997 년 12 월 30 일자
한국 CM 협회주최 논문공모 36

27. 조선일보 1996 년 9 월 16 일자


28. 조선일보 1996 년 9 월 4 일자
29. 추락재해 및 접촉,전도방지 기술에 관한 연구, Tadashi YOSHIDA 외 1 명, 일본토목학회지
1995 년 4 월호 특별증간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