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2

건축설계1

School of Architecture
2023년 1학기
01

도학 이해 및 실습
- 4주차 -

[SPC 07, 08]

DESIGN STUDIO

School of Architecture
CONTENTS 02

01 기본내용 소개

02 기초도형과 투상도

03 투시도법의 이해

04 투상도/투시도(과제)

05 맺음말

School of Architecture
03

01 기본내용 소개

School of Architecture
01 기본 준비물 _ 건축설계 수업기준 07

스케일자(30cm) 방안자(50cm) T자 삼각자(30cm)

제도용샤프(홀더) 지우개 콤파스 마카

스케치북(8절) 마스킹테이프 각도기 템플레이트

School of Architecture 01 기본내용 소개


01 종이규격 _ 세계종이기준 A사이즈(ISO 261) 08

[규격에 대한 참고사항]

- A 계열의 종이는 1:루트2 비율의 크기로 정의함.

- A0 사이즈는 넓이가 1m²이며 A1, A2, A3, A4 등의


종이 크기는 각각 그 이전 크기의 종이를 짧은 변에
평행하도록 이등분하여 자른 것임.

- 건축분야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크기는 A1과 A3이며


허가행위 시 A4 사이즈로 접는 것을 원칙으로 함.

[건축설계1 수업 관련 사용규격]

- 제공자료 : A4 사이즈(Clear File활용)


- 작업자료 : A3 사이즈(Clear File활용)
- 판넬자료 : A1 사이즈(1차 과제) / A0 사이즈(2차과제)
- 기타 : 스케치북(8절지 사용)

School of Architecture 01 기본내용 소개


01 축척 _ 스케일보기 09

[축척의 정의]

- 도면을 일정한 비례에 따라 축소 또는 확대하는 것.

[축척의 종류]

- 배척 : 실제의 물체를 확대하여 표시


- 실척 : 실제의 물체를 실체의 크기로 표시
- 축척 : 실제의 물체를 일정한 비례에 따라 축소하여 표시

(EX) 1:100 → 5m [축척의 비례단위]

- 1:100 / 1:200 / 1:300 / 1:400 / 1:500 / 1:600 등으로


주로 사용.
- 유럽에서는 1:100 / 1:200 / 1:500 / 1:1000 등 사용
(EX) 1:600 → 30m
- 1:25 / 1:50 / 1:75 / 1:100 등으로 사용하기도 함

School of Architecture 01 기본내용 소개


10

02 기초도형과 투상도

School of Architecture
02 기초도형 _ 3차원 표현
11

0차원(점) 1차원(선) 2차원(면) 3차원

- 3차원은 2차원적 표현 요소에 높이가 추가된 것이다.


- 3차원의 표현은 디자인 활용성이 높고, 이미지를 시각화시키는데 효율적이다.
- 3차원 표현 종류에는 투상도법과 투시도법이 있다.

School of Architecture 02 기초도형과 투상도


02 투상도의 이해 _ 체계도 12

- 평행투상

- 중심투상

*줄기로 이해하고, 개념만 파악하자.


School of Architecture 02 기초도형과 투상도
02 투상도법 _ 개념 13

- 2차원 도면 위에 사물의 각 면을 전개시키는 것(건물 모양을 평면 위에 그려 표시).

- 건물의 구성요소의 정확한 형태와 치수, 구성방식, 배치 등을 표현.

- 건물의 형태, 실내 공간구조 또는 물체의 주요한 부분을 입체적 효과가 나타나도록 그림.

School of Architecture 02 기초도형과 투상도


02 투상도법 _ 등각투상도 14

“하나의 도면에서 3개 이상의 면이 3차원적으로 동시에 보여지도록 표현한다.”

School of Architecture 02 기초도형과 투상도


02 투상도법 _ 등각/등축투상도 15

“등각/등축투상도는 작도가 쉽고, 효과가 좋아 널리 사용되며, 2개 입면과 지붕면을 표현할 수 있다.”

∠A = ∠B = ∠C = 120° ∠A = 90°, ∠B ≠ ∠C

등각투상도(Isometric) 등축투상도(Axonometric)

School of Architecture 02 기초도형과 투상도


02 투상도법 _ 등각투상도 쉽게 그리기 16

“등각투상도는 30° 각도의 선을 그어 사선격자를 만들면 좀 더 수월하게 그릴 수 있다.”

*내용발췌 _ Zum 학습백과 “구상도 그리기” 참고

School of Architecture 02 기초도형과 투상도


02 투상도법 _ 등각투상도에 의한 도면작성 17

“배치도란 설계대상부지에설 건물의 위치를 표현하는 것이고, 평면도는 각 층의 일정한 높이를 자른 것이다.”

배치도 평면도

School of Architecture 02 기초도형과 투상도


02 투상도법 _ 등각투상도에 의한 도면작성 18

“입면도란 건물의 외부를 표현하기 위한 도면이고, 단면도는 도면을 수직으로 자른 공간분석용 도면이다.”

입면도 단면도

School of Architecture 02 기초도형과 투상도


02 투상도법 _ 등각투상도(Isometric) 19

- 아이소메트릭

*∠A = ∠B = ∠C = 120°
School of Architecture 02 기초도형과 투상도
02 투상도법 _ 등축투상도(Axonometric) 20

- 엑소노메트릭

*∠A = 90°, ∠B ≠ ∠C
School of Architecture 02 기초도형과 투상도
21

03 투시도법의 이해

School of Architecture
03 투시도법 _ 개념 22

- 공간 속의 건물이 도면 속에서 멀어져 가는 모습을 그림으로써 원근감이나 입체감을 가지도록 하는 것.

- 실제 3차원 상에 존재하는 건물을 도면상 배치시키고, 거리에 따라 축소되는 정도를 표현함.

- 현실에서 눈에 보이는 그대로 3차원 가상의 시각적 경험을 미리 제공해 줌.

“투시도는 관찰자의 시선을 한 방향으로 모아 공간감을 표현하는 것이다.”

School of Architecture 03 투시도법의 이해


03 투시도법 _ 개념 23

- 르네상스 시대에 브루넬리스키가 1소점 투시도를 개발한 이후 공간지각에 대한 논의가 확산됨.

- 투시도는 사물(3차원)을 평면상(2차원)에 입체적(3차원)으로 표현하는 것임.

- 한마디로 눈에 보이는 그대로 그리는 것임.

School of Architecture 03 투시도법의 이해


03 투시도법 _ 용어정리 24

c
영문명칭 한글명칭 내용
PP (Picture Plane) 화면 대상물과 그것을 보는 사람 사이에 주어진 수직면
EL (Eye Level) 눈높이선 화면에 대한 시점 높이와 같은 수평선(지평선)
HL (Horizontal Line) 수평선 EL(눈높이선)과 같은 용어임
VP (Vanishing Point) 소점(소실점) VPL은 좌소점, VPR은 우소점
GP (Ground Plane) 기준(바닥)면 대상물이 주어지고 보는 사람이 서 있는 면
GL (Ground Line) 기준(바닥)선 기준면과 화면이 접하는 선
SP (Standing/Station Point) 정점(입점) 보는 사람이 서 있는 기준면에서 눈의 위치
C (Center of view) 심점 화면(PP) 위에 정점(SP)이 수직 투사된 점

School of Architecture 03 투시도법의 이해


03 투시도법 _ 용어의 이해 25

- PP

- HL

- GP

- GL

- SP

-C

*CAV는 “시선의 중심축”


School of Architecture 03 투시도법의 이해
03 투시도법 _ 정점(Standing Point)의 높이 26

“정점은 일반 눈높이에서 투시도를 그릴 때는 서 있는 사람의 키높이고, 위 아래로 움직일 때, HL역시 움직임.”

School of Architecture 03 투시도법의 이해


03 투시도법 _ 소점잡기 27

- 사물의 위치

- 관찰자의 시선

School of Architecture 03 투시도법의 이해


03 투시도법 _ 눈의 각도 28

“화면(PP)이 일정할 때 정점(SP)을 기준으로 평면상의 각도를 변화시킬 경우 보이는 면의 크기가 달라진다.”

School of Architecture 03 투시도법의 이해


03 투시도법 _ 화면위치 29

“화면(PP)의 위치가 정점(SP)에 가까울수록 투시도는 작아지고, 화면에서 멀어질수록 투시도는 커진다.”

School of Architecture 03 투시도법의 이해


03 투시도법 _ 소점의 이해 30

- 1소점

- 2소점

- 3소점

School of Architecture 03 투시도법의 이해


03 1소점 투시도 그리기 _ 1단계
- 정면으로 보이는 벽(입면)을 그린다.
31

- 눈높이(EL/HL)와 소점(VP)을 결정하여 내부공간을 만든다.

- 바닥면적은 임의로 결정한 뒤 그리드(격자)를 그린다.

- 폭이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점들을 표시해두면 그리기가 수월하다.

School of Architecture 03 투시도법의 이해


03 1소점 투시도 그리기 _ 2단계 32

- 평면 상의 사물의 크기를 보고 해당 사물의 위치와 자리 값을 잡아준다.

- 사물의 치수가 그리드 선을 넘거나 모자라면 해당 그리드 안에 대략적으로 잡아주면 된다.

- 구성별 선의 진하기를 다르게 하여 도면이 잘 보일 수 있도록 한다.

School of Architecture 03 투시도법의 이해


03 1소점 투시도 그리기 _ 3단계 33

- 물체의 높이를 측량하여 각 사물을 표현하는 박스를 그린다.

- 창문의 폭과 높이를 설정하여 전체 윤곽선을 그린다.

School of Architecture 03 투시도법의 이해


03 1소점 투시도 그리기 _ 4단계 34

- 박스가 완성되면 가구의 형태를 갖추고, 창문과 창문틀선 등을 그린다.

- 천장의 조명은 바닥의 그리드를 참조하여 그린다.

School of Architecture 03 투시도법의 이해


03 1소점 투시도 그리기 _ 5단계 35

- 커튼, 화분 등 기타 가구와 소품 등을 구체적으로 그린다.

- 윤곽선의 경우 진하게 그어준다.

School of Architecture 03 투시도법의 이해


36

04 투상도/투시도(과제)

School of Architecture
04 실습 개요 _ 과제물 37

“본격적으로 설계 도면에 들어가기 전 다양한 건축표현을 위한 예비 연습을 진행한다.”

투상도 투시도
DRAWING
#01 따라하기 #03 순서그리기
#02 생각하기 #04 공간그리기

#01, 02 따라하기, 생각하기 → 등각투상도를 이해하고, 3차원 공간을 2차원 또는 반대로 연상하는 능력향상
#03, 04 순서 및 공간그리기 → 1소점 투시도를 이해하고, 우리가 생활하는 실내공간 스케치(표현)에 활용

※ #04 공간그리기에서 실내공간은 자율선정 할 것(단, 가구나 전등 또는 배관 등 설비가 보이는 공간 필수)


※ 스케치북(8절지)를 사용하고, 서식에 맞추어 그릴 것(p.37 스케치북 구성 참고)
※ #01, 02는 1차 과제이고, #03, 04는 2차 과제이므로 각각 묶어 금요일 오후 03시까지 제출할 것
※ 과제는 (A3 사이즈) 스캔 또는 사진촬영 후 PDF 파일로 저장하고 e-campus 사이트에 올릴 것(원본은 보존)
※ 파일명은 다음과 같이 명기할 것 → 4주차 #번호(두개)_학번_성명(예: 4주차 #01,02_20000000_홍길동)

School of Architecture 04 투상도/투시도(과제)


04 스케치북 구성 _ 8절지(347X254사이즈 기준) 38

347mm
(가로)

254mm
(가로)

과제명 척도 과제작성일 분반 성명 학번 확인
(없으면 비움) 2020.00.00. 1, 2, 3반 (지도교수)

*스케치북(8절지) 사이즈가 다른 경우 위의 치수와 비슷하게 설정할 것

School of Architecture 04 투상도/투시도(과제)


04 투상도 실습 _ 따라하기(등각투상도) ※ 표현 안된 부분 찾아 그리기 39

평면연습 투상연습

입면연습

*등각투상도는 각도가 ∠A = ∠B = ∠C = 120° 임을 고려하고, 3차원 투상도와 2차원 평면 그리고 입면을 그릴 것.

School of Architecture 04 투상도/투시도(과제)


04 투상도 실습 _ 생각하기(등각투상도) 40

평면그리기

입면그리기

*3차원 투상도를 보고 2차원 평면(입면포함)을 그릴 수 있도록 할 것. 단, 배치 순서는 “#01 따라하기” 과제와 동일함.

School of Architecture 04 투상도/투시도(과제)


04 투시도 실습 _ 순서그리기(1소점) 41

투시선연습

가구그리기

*가구는 본인의 취향에 따라 선정하여 그려도 상관없음. 수평선(HL)과 소실점(VP) 등의 개념을 확실히 이해하고 연습할 것.

School of Architecture 04 투상도/투시도(과제)


04 투시도 실습 _ 공간그리기(1소점) 42

종합연습

투영(필수X)

*위 그림은 하나의 사례이므로 주택이나 기타 건축물 등의 실내공간(거실, 방, 복도 등)을 자유롭게 선정 후 순서에 따라 투시도를 그릴 것.

School of Architecture 04 투상도/투시도(과제)


43

04 맺음말

School of Architecture
THANK YOU [감사합니다]

“좋아하면 알게 되고, 알게 되면 보이나니, 그 때 보이는 것은 전과 같지 않으리라.”


- 저암 유한준 (1732∼1811) 조선 후기의 문장가·서화가 -

School of Architecture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