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

2 주차_과제(1)-신조어

1.한국과 중국을 비교하다.


공통점: 많은 신조어는 모두 줄임말 또는 간략어이다. 신조어 사용의 기본 목적은
대체로 같습니다. 인터넷 공간에 있는 글씨체를 줄이거나 생략함으로써 또래 간의
유대감과 응집력을 강화하려는 것으로 보입니다.
차이점:중국어는 병음으로 표기하기 때문에 중국에서는 영어 알파벳을 조합한
신조어가 많다. 또 중국의 소셜 미디어 검색 기능이 워낙 강력해 일부 키워드가
검색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한자 대신 병음약어를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점차
인터넷을 사용하면서 이니셜 사용이 습관화되면서 신조어로 바뀌고 있는 것이다.
줄임말 외에도 유명인이 말하거나 재미난 글이 올라오면 네티즌들이 이를 따라해
사용하는 신조어들도 있다.
한국어는 글자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대부분의 한국 신조어는 글자마다 첫 번째
부분을 쪼개서 조합한다. 외래어의 발음을 한국말과 붙여 재구성하기도 한다. 한글을
90 도 또는 180 도 돌려서 쓰는 신조어는 중국어로는 할 수 없는 신조어들이다.

2.신조어의 장점과 단점
장점:
신조어는 간단하고 명쾌하여 일상 sns 에서 시간도 절약하고 자기의 의사도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 신조어의 적절한 사용은 개인의 개성을 살릴 수 있고 인터넷에서의 교류
를 덜 지루하게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신조어는 우리의 인터넷 환경과 인터넷 언어 공간
을 풍부하게하고 있다. 다양한 신조어의 보급은 많은 젊은이들의 상상력을 풍요롭게 해 준
다.
단점:
신조어 사용의 불안정성과 불확실성은 큰 폐단이다. 중국에서 하나의 신조어는 여러 가
지 의미를 가질 수 있다.일부 불량자들은 이런 특징을 리용하여 불건전한 인터넷언어를
만들어내는데 이는 청소년의 성장에 아주 나쁜 영향을 끼치는것이다. 또 신조어는 전통 문
자문화에 타격을 준다.하지만 대부분의 신조어가 인터넷 속에서 쓰이기 때문에 인터넷을
벗어나면 그 역할이 크게 부각되지는 않는다. 그리하여 많은 사람들이 현실을 소통시키고
문자를 쓰는 과정에 문자와 언어의 정확한 표현을 중시하지 않게 되였다. 중국의 한자는
5000 여 년의 역사와 문화를 가지고 있지만 신조어에 대한 역사적 연구는 거의 없다. 현재
신조어를 지나치게 사용하는 것은 문자와 문화의 전승과 발전에 적합하지 않다.
잔일염(2021313231)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