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

유행어의 남용

최근 몇 년간 소셜 미디어와 인터넷 통신 기술의 빠른 발전으로 인터넷 용어가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 특히 코루나 후시대인 요즘 자기격리가 2 년간 반복되면서 인터넷 사용이
더욱 보편화되고 있다. 이것 역시 인터넷 용어의 사용을 최고조에 이르게 하지만, 유행어를
남용하는 것은 매우 해롭다고 생각한다.
유행어 사전에 설명으로'비 교적 짧은시기에 걸 쳐여러 사 람의 입에 오 르 내리는 단어
나 구 절. 신어의 일 종 으로 해 학 성, 풍 자 성을 띠 며 신기 한 느 낌이나 경 박 한 느
낌을 주기도 한다'는 뜻이다. 많은 유행어는 모두 발음에 근거하여 만든 신조어이다. 예를
들어 최근 초성체라는 신조어가 등장했다. 초성체는 한글자모의 초성만을 따 쓴 단어,
또는 그 형식으로 인터넷상에서 자주 사용으로 의미가 정의된다. 이를테면 감사를 ㄱㅅ
로 쓰는 방식이고 ‘ㅇㅈ’은 ‘인정’의 초성을 이런 쓰는 방식이다.
한국뿐 아니라 중국에서도 전혀 뜻을 알 수 없는 줄임말이 범람하고 외래어 합성 신조어
가 남용되는 등 수천 년 된 문자 문화가 파괴되고 있다는 권위 있는 기관들의 지적이 적
지 않다. 유행어 당신은 일상 어휘의 풍부함을 어느 정도 떨어뜨린다. 비록 인터넷에서는
사용이 편리하지만, 현실 생활 속의 사람들의 표현과 교류에 있어서 유행어의 지나친 사용
은 언어가 난잡하게 보일 수 있고 동일화 될 수 있다.
특히 요즘 인터넷 사용이 저령화 되면서 인터넷 용어는 적지 않은 중소학교 학생들에게
변상적으로 리용되고 있다. 많은 인터넷 용어는 문법적 구조나 문법이 틀려 작문에 쓰면
모르는 사람이 어리둥절하게 느끼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수천년 내려온 문자문화가 크
게 파괴되고 인터넷 용어는 역사가 없어 퇴고를 견디지 못한다.
한편 유행어가 끊임없이 개성과 창의성을 추구하는 경향도 신조어의 비속성을 많은
사람들에게'저속한 취미'로 몰아가고 있다. 옛사람들은 고상한 작품과 저속한 작품을다
감상할수 있고 아름답고 감동적인 문구와 생동하고 활발한 묘사는 고전적인 음악작품이나
예술작품과도 같아 언제나 감상하려는 사람이 있다고 하였다.경전 문학이 추앙받는 것은
두터운 학자적 문화가 축적되어 있기 때문이며, 유행어마다 오래도록 전승되는 것은 아니
다.
나는 우리가 유행어 사용 규범을 강화하고 장소를 구분해서 유행어를 람용하지 말아야 한
다고 생각한다.인터넷 언어가 우리에게 주는 이중적인 영향을 정시하고 맹목적으로 군중에
따르지 않다.자각적으로 규범화된 언어를 잘 배워 우수한 전통문화를 전승해나가야 한다.
전일염(2021313231)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