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

전력공학 조별 기술보고서

태양광 발전 방식 및 배전계통에서의 영향 분석

2023.05.21

5조

김준모 20193106

임상현 20213564

정은수 20212789

조찬영 20192052

Ⅰ. 서론

신재생 에너지란 기존의 화석연료를 변환시켜 이용하거나 햇빛, 물, 지열, 강수, 생물 유기체

등을 포함하여 재생할 수 있는 에너지를 변환시켜 이용하는 에너지를 뜻한다. 석유,

천연가스 등의 화석연료는 이용 과정에서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이 많아 지구 온난화를

일으키는 가장 큰 주요 요인으로서 이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신재생 에너지 개발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와 지구 온난화가 급속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파리기후협약 채택, 신기후체제 출범, 탄소 중립 선언 등 각 국가 스스로 온실가스 저감을

위해 체계적인 계획을 세워 노력하는 중이다. 현재 세계 신재생 에너지 시장은 태양광과

풍력을 중심으로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문재인 정부 당시 2020 년에 2050

탄소 중립을 선언하는 등 에너지 전환에 적극 참여하고 있는 현황이다. 신재생 에너지 중

가장 비중이 높고 다양한 형태로의 도입을 준비하는 태양광 에너지에 대해 알아보고 태양광

에너지가 어떠한 형태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응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로 한다.

Ⅱ. 본론

태양광 에너지는 태양으로부터 비롯된 에너지로 태양에서 발산되는 빛과 열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방식이다. 태양광 에너지의 장점으로는 친환경적이고 태양이 빛의

발산을 하지 않는 이상 마르지 않는 천연자원이며 수명이 길고 유지보수 비용이 크게 들지

않아 투자 비용 대비 좋은 경제성을 갖고 있다. 또한 태양광 발전은 분산형 전원으로

사용되며 이는 중앙 전력 그리드에 대한 의존성을 낮춰 전력 공급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태양광 에너지 생산 방식을 살펴보자

태양전지는 PN 접합으로 구성된 반도체 소자로 반도체의 밴드갭보다 큰 에너지의 빛이

입사되면 반도체 내부의 전자-전공 쌍이 자유롭게 움직이는 상태가 되며 전자-전공 쌍이

서로 반대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외부에 연결된 도선 및 부하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광전 효과) 특징으로는 태양전지는 강한 빛을 흡수해서 전하를 생성해야 하므로 태양광이

반사되거나 투과되는 부분을 최소한으로 하여 최대한 많은 빛을 흡수해야 한다는 것을 위해


반도체의 두께를 최대한 얇게 하고 흩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반사 방지막을

사용한다.

위 그림과 같이 태양전지의 최소 단위를 cell 이라고 하고 하나의 셀당 출력 전압은 대략

0.5V 이기 때문에 출력되는 전압을 높이기 위하여 태양전지 cell 을 직렬로 다수 연결하고

용량을 추가 증가시키기 위하여 병렬로 다수 연결하여 우리가 아는 태양전지의 형태가

만들어진다.

이제는 태양광 발전이 증가함에 따라 배전계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재생에너지 정책과 더불어 전력 계통에서 신재생 에너지의 보급 용량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그 중 태양광 발전의 연계가 증가함에 따라 태양광 발전의 보급률이 높은 지역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태양광 발전 용량의 연계가 증가함에 따라 생긴 문제점 중 하나는 덕

커브(Duck Curve) 현상이다. 덕 커브란 태양광 발전량이 증가하면서 일출에서 일몰 사이인

낮에 순부하(Net load)가 급감하며 나타나는 부하곡선을 오리 모양으로 상징화한 것이다.

이러한 덕 커브 발생의 문제점으로는 최대 출력 시간인 낮에 배전계통에서 고전압 발생으로

인해 블랙아웃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덕 커브 현상을 예방하며 태양광 발전의 수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해결책을

연구해왔다. 예시로는 ESS(Energy Storage System)를 활용하여 피크 출력 감소, 출력 제한,

계통 강화 등이 있다. ESS 는 과전압 발생 시간대에 전기를 저장하고 다른 시간대에

방전하여 피크 출력을 감소시키는 방안이다. 하지만 ESS 에서 잦은 화재가 발생하며 현재는

ESS 시장이 위축된 상황이다. 그리고 출력 제한은 과전압 발생 시 태양광 발전을 계통에서

독립시키는 방안이다. 이 방안은 태양광 발전 사업자에게 경제적으로 이익이 감소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계통 강화이다. 계통 강화는 오래된 선로를 더 높은 용량의

선로로 교체하는 것이다. 하지만 계통 강화에서는 선로 길이 및 구조에 따라 비용적인

부분에서 한계가 존재할 수 있다.

Ⅲ. 결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최신 연구 동향을 조사해본 결과 VPP(Virtual Power Plant,

가상발전소)라는 주제에 관해서 관심이 생겨 조사해보았다. VPP 는 다양한 유형의

DER(Distributed Energy Resource)을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를 이용하여 통합 운영함으로써 중앙급전 발전기와 같은 운영상의 유연성과 제어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이다. 실제로 소규모 DER 은 중앙계통에서 관리가 불가능하지만 이들을

하나의 발전 프로파일로 통합하여 계획 발전량, 전압제어 능력, 예비력 등을 가시화할 수

있다면 중앙급전 발전기로의 활용뿐만 아니라 전력시장에서의 전력 거래 또한 가능하게

된다. VPP 도입의 전략적 목적은 전력회사가 발전 및 송전설비 등의 건설비용과 이와


관련된 투자위험을 최소화하면서 동시에 소비자의 전력수요를 충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성공적인 VPP 의 도입은 발전 및 송·배전 부문에 대한 대규모 설비투자 없이

현존하는 발전기와 수요반응 프로그램 등을 통해서 소비자의 부하 변화에 실시간으로

대처하여 더욱더 친환경적이고 효율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참고문헌

[1]KEPCO- https://home.kepco.co.kr/kepco/SM/C/htmlView/SMCCHP001.do?menuCd=FN29030304

[2] 국제 신재생 에너지 정책 변화 및 시장분석 [공지영-조일현 (2016, 에너지경제연구원)]

[3] 네이버 블로그 - https://blog.naver.com/lagrange0115/222461122962

https://scienceon.kisti.re.kr/commons/util/originalView.do?cn=JAKO202116047159021&oCn=JAKO2

전기 저널, “미국 캘리포니아주 덕 커브(발생 현황과 대응 정책)

우수화, 권보성, 배동진, 문찬호, 송경빈, “태양광 발전기의 계통 접속 허용 용량 증대를 위한

배전사업자 관점의 경제성 평가”,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9, no. 11, pp. 16

Mostafa Magdy, Mostafa Elshahed, Doaa Khalil Ibrahim, “Enhancing PV Hosting Capacity Using

Smart Inverters and Time of Use Tariffs”, Iranian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Transactions of

Electrical Engineering (2021) 45:905–920

대한전기협회, “가상발전소(VPP)기술 현황 및 전망”, Journal of the Electric World.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