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28

수학 I

I 다항식

01 다항식의 연산 2

02 나머지정리와 인수분해 10

II 방정식

03 복소수 21

04 이차방정식 28

05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 40

06 삼차방정식과 사차방정식 49

07 연립방정식 58

III 부등식

08 부등식 66

09 이차부등식 72

IV 도형의 방정식

10 평면좌표 83

11 직선의 방정식 89

12 원의 방정식 97

13 도형의 이동 110

14 부등식의 영역 119

● 정답을 확인하려고 할 때에는 < 빠른 정답 찾기 > 를 이용하면 편리합니다 .


정답 및 풀이

0014  2a^3b+5a^2b-2ab^2
Ⅰ. 다항식
0015 (x-1)(x^2-x-3)
01 다항식의 연산
=x^3-x^2-3x-x^2+x+3
=x^3-2x^2-2x+3  x^3-2x^2-2x+3
0001  -5x^3+2x^2-x+4

0016 (2a^2+2a-1)(a+3)
 4-x+2x^2-5x^3
=2a^3+6a^2+2a^2+6a-a-3
0002
=2a^3+8a^2+5a-3  2a^3+8a^2+5a-3
0003 x에 대하여 차수가 낮은 항부터 정리하면
-3y^2+4y-1+(-2y+1)x+x^3 0017 (x+y^2)(3x+4y)=3x^2+4xy+3xy^2+4y^3
 -3y^2+4y-1+(-2y+1)x+x^3
 3x^2+4xy+3xy^2+4y^3

0004 y에 대하여 차수가 높은 항부터 정리하면 0018 (5a^2-b)(a^2-a+2b)


-3y^2+(-2x+4)y+x^3+x-1 =5a^4-5a^3+10a^2b-a^2b+ab-2b^2
 -3y^2+(-2x+4)y+x^3+x-1 =5a^4-5a^3+9a^2b+ab-2b^2
 5a^4-5a^3+9a^2b+ab-2b^2
 -x^3-3x^2+6
0019 (3x^2-xy+1)(x-y^2)
0005

0006 (3x^3-x-5)-(-4x^3+2x-1) =3x^3-3x^2y^2-x^2y+xy^3+x-y^2


=3x^3-x-5+4x^3-2x+1  3x^3-3x^2y^2-x^2y+xy^3+x-y^2
=7x^3-3x-4  7x^3-3x-4
0020 AB =(x-1)(2x+1)=2x^2+x-2x-1=2x^2-x-1
 4x^2-3xy+3y^2 BA=(2x+1)(x-1)=2x^2-2x+x-1=2x^2-x-1
.t3 AB=BA
0007
 풀이 참조

0008 (7x^2+xy-y^2)-(x^2+4xy)
=7x^2+xy-y^2-x^2-4xy 0021 (AB)C ={(x-1)(2x+1)}(x^2+2)
=6x^2-3xy-y^2  6x^2-3xy-y^2 =(2x^2-x-1)(x^2+2)
=2x^4+4x^2-x^3-2x-x^2-2
=2x^4-x^3+3x^2-2x-2
0009 (2x^2+xy)+(3x^2-y^2)-(4xy-5y^2)
A(BC) =(x-1){(2x+1)(x^2+2)}
=2x^2+xy+3x^2-y^2-4xy+5y^2
=(x-1)(2x^3+4x+x^2+2)
=5x^2-3xy+4y^2  5x^2-3xy+4y^2
=2x^4+4x^2+x^3+2x-2x^3-4x-x^2-2
=2x^4-x^3+3x^2-2x-2
0010 A-B+C
.t3 (AB)C=A(BC)
=(x^2+4x-5)-(2x^2-3x+1)+(-x^2-2x+7)
 풀이 참조

=x^2+4x-5-2x^2+3x-1-x^2-2x+7
0022 A(B+C) =(x-1){(2x+1)+(x^2+2)}
=-2x^2+5x+1  -2x^2+5x+1
=(x-1)(x^2+2x+3)
=x^3+2x^2+3x-x^2-2x-3
0011 2A-(B+3C) =x^3+x^2+x-3
=2A-B-3C
AB+AC =(x-1)(2x+1)+(x-1)(x^2+2)
=2(x^2+4x-5)-(2x^2-3x+1)-3(-x^2-2x+7)
=(2x^2-x-1)+(x^3+2x-x^2-2)
=2x^2+8x-10-2x^2+3x-1+3x^2+6x-21
=x^3+x^2+x-3
=3x^2+17x-32  3x^2+17x-32
.t3 A(B+C)=AB+AC  풀이 참조

0012 (A+2B)-(3A+C)
=A+2B-3A-C=-2A+2B-C
0023  ㈎ 분배법칙 ㈏ 결합법칙 ㈐ 교환법칙

=-2(x^2+4x-5)+2(2x^2-3x+1)-(-x^2-2x+7) 0024 (2x+3)^2 =(2x)^2+2.c12x.c13+3^2


=-2x^2-8x+10+4x^2-6x+2+x^2+2x-7 =4x^2+12x+9  4x^2+12x+9
=3x^2-12x+5  3x^2-12x+5
0025 (3x-5)^2 =(3x)^2-2.c13x.c15+5^2
0013  3x^3-x^2+2x =9x^2-30x+25  9x^2-30x+25

2 • 정답 및 풀이
본책 6~10쪽

0026 (4x+y)(4x-y)=(4x)^2 -y^2 =16x^2 -y^2  16x^2 -y^2 1


0044 x^3 + =(x+1/x)^^3 -3(x+1/x)

01
x^3
=4^3 -3.c1 4=52  52
0027 (x+2)(x-7) =x^2 +(2-7)x+2.c1 (-7)

다항식의 연산
=x^2 -5x-14  x^2 -5x-14
0045 x+y=(12+1)+(12-1)=212,
xy=(12+1)(12-1)=1이므로
0028 (3x+4)(2x-1) =3.c1 2x^2 +(-3+8)x+4.c1 (-1)
x^2 +y^2 =(x+y)^2 -2xy=(212 )^2 -2.c1 1=6 6
=6x^2 +5x-4  6x^2 +5x-4

0046 x+y=212, xy=1이므로


0029 (a-b+2c)^2 x^3 +y^3 =(x+y)^3 -3xy(x+y)
=a^2 +(-b)^2 +(2c)^2 +2.c1 a.c1 (-b)+2.c1 (-b).c1 2c+2.c1 2c.c1 a =(212)^3 -3.c1 1.c1 212
=a^2 +b^2 +4c^2 -2ab-4bc+4ca =1012  1012
 a^2 +b^2 +4c^2 -2ab-4bc+4ca

0047 x^2 - 3 x
0030 (x+2)(x+1)(x-3) x+2`7 x^3 - x^2 -`` 6x+2
=x^3 +(2+1-3)x^2 +(2-3-6)x+2.c1 1.c1 (-3) x^3 + 2 x^2
=x^3 -7x-6  x^3 -7x-6 -3 x^2 -`` 6x
-3 x^2 - 6 x
0031 (x+3)^3 =x^3 +3.c1 x^2 .c1 3+3.c1 x.c1 3^2 +3^3 2  풀이 참조

=x^3 +9x^2 +27x+27  x^3 +9x^2 +27x+27


x -2
x^2 +3`7 x^3 -2x^2 +4x+1
0048
0032 (x-2)^3 =x^3 -3.c1 x^2 .c1 2+3.c1 x.c1 2^2 -2^3
x^3 +3x
=x^3 -6x^2 +12x-8  x^3 -6x^2 +12x-8
-2x^2 + x+1
-2x^2 -6
0033 (x+3)(x^2 -3x+9)=x^3 +3^3 =x^3 +27  x^3 +27
x+7
.t3
몫: x-2, 나머지: x+7  몫: x-2, 나머지: x+7
0034 (2x-1)(4x^2 +2x+1)=(2x)^3 -1^3 =8x^3 -1  8x^3 -1

2x -5
0035 (x^2 +2x+4)(x^2 -2x+4) x^2 -x-2`7 2x^3 -7x^2 + 3
0049
=x^4 +x^2 .c1 2^2 +2^4 2x^3 -2x^2 -4x
=x^4 +4x^2 +16  x^4 +4x^2 +16 -5x^2 +4x+ 3
-5x^2 +5x+10
0036 (a-b+c)(a^2 +b^2 +c^2 +ab+bc-ca) -x- 7
=a^3 +(-b)^3 +c^3 -3.c1 a.c1 (-b).c1 c .t3
몫: 2x-5, 나머지: -x-7
=a^3 -b^3 +c^3 +3abc  a^3 -b^3 +c^3 +3abc  몫: 2x-5, 나머지: -x-7

0037 a^2 +b^2 =(a+b)^2 -2ab=4^2 -2.c1 (-5)=26  26 0050 2x^2 - x +3


2x+3`7 4x^3 +4x^2 +3x- 2
0038 a^2 +b^2 =(a-b)^2 +2ab=(-3)^2 +2.c1 4=17  17 4x^3 +6x^2
-2x^2 +3x
-2x^2 -3x
0039 (a-b)^2 =(a+b)^2 -4ab=5^2 -4.c1 (-1)=29  29
6x- 2
6x+ 9
0040 a^3 +b^3 =(a+b)^3 -3ab(a+b)
-11
=3^3 -3.c1 (-6).c1 3=81  81
.t3
4x^3 +4x^2 +3x-2=(2x+3)(2x^2 -x+3)-11

0041 a^3 -b^3 =(a-b)^3 +3ab(a-b)


 풀이 참조

=2^3 +3.c1 8.c1 2=56  56


0051 3 `1 ` -2 `1 5
0042 a^2 +b^2 +c^2 =(a+b+c)^2 -2(ab+bc+ca) `3 ```3 12
=6^2 -2.c1 11=14  14 1 1 4 17
따라서 구하는 몫은 x^2 +x+4 , 나머지는 17 이다.
1
0043 x^2 + =(x+1/x)^^2 -2=4^2 -2=14  14
x^2  풀이 참조

01``다항식의 연산 • 3
정답 및 풀이

0052 -1 `1 1 -4 -8 0060 (2x-y+3)(4x+5y-1)의 전개식에서 xy항은


-1 0 4 2x.c15y+(-y).c14x=6xy
1 0 -4 -4 이므로 xy의 계수는 6이다.
⇨❶

.t3 몫: x^2-4, 나머지: -4  몫: x^2-4, 나머지: -4 6


⇨❷

0053 2 `3 -7 0 9 ❶ xy항을 구할 수 있다.


채점 기준 비율

6 -2 -4 ❷ xy의 계수를 구할 수 있다.


70%

3 -1 -2 5
30%

.t3 몫: 3x^2-x-2, 나머지: 5  몫: 3x^2-x-2, 나머지: 5 0061 (2x^2+3x-1)(x^2+x+k)의 전개식에서 x항은


3x.c1k+(-1).c1x=(3k-1)x
0054 1/2 `2 5 -3 1 이때 x의 계수가 8이므로 3k-1=8
1 3 0 3k=9 .t3 k=3 3

2 6 0 1
0062 (a+b)^2(a-b)^2 ={(a+b)(a-b)}^2
.t3 몫: 2x^2+6x, 나머지: 1  몫: 2x^2+6x, 나머지: 1
=(a^2-b^2)^2=a^4-2a^2b^2+b^4
 a^4-2a^2b^2+b^4
0055 A-2(A-B)-C (a+b)^2(a-b)^2
=A-2A+2B-C=-A+2B-C `=(a^2+2ab+b^2)(a^2-2ab+b^2)
= -(x^3-2x^2+5x-4)+2(x^3+x-3) `=a^4-2a^3b+a^2b^2+2a^3b-4a^2b^2+2ab^3+a^2b^2-2ab^3+b^4
-(-x^3+x^2+3x-6) `=a^4-2a^2b^2+b^4
=-x^3+2x^2-5x+4+2x^3+2x-6+x^3-x^2-3x+6
=2x^3+x^2-6x+4 0063 (12x-y)(12x+y)(2x^2+y^2)(4x^4+y^4)
=(2x^2-y^2)(2x^2+y^2)(4x^4+y^4)
⑤

=(4x^4-y^4)(4x^4+y^4)
0056 f(x) =2(x^3-2x^2+1)-(-x^3+4x+2)+(2x^2-x+5)
=16x^8-y^8  16x^8-y^8
=2x^3-4x^2+2+x^3-4x-2+2x^2-x+5
=3x^3-2x^2-5x+5
0064 (x^2+2x-4)^2
.t3 f(2)=3.c12^3-2.c12^2-5.c12+5=11  11
=x^4+4x^2+16+2.c1x^2.c12x+2.c12x.c1(-4)+2.c1(-4).c1x^2
=x^4+4x^2+16+4x^3-16x-8x^2
0057 2X+B=2A-3B에서 2X=2A-4B =x^4+4x^3-4x^2-16x+16  x^4+4x^3-4x^2-16x+16
.t3 X=A-2B
=(2x^2+xy+3y^2)-2(-1/2x^2+4xy+y^2) 0065 x+y+z=1에서
x+y=1-z, y+z=1-x, z+x=1-y
=2x^2+xy+3y^2+x^2-8xy-2y^2
=3x^2-7xy+y^2  3x^2-7xy+y^2
(x+y)(y+z)(z+x)
이므로

`=(1-z)(1-x)(1-y)
0058 A+B=-x^2+2xy-y^2 ……`㉠ `=1-(x+y+z)+(xy+yz+zx)-xyz
A-B=-3x^2+4xy+3y^2 ……`㉡ `=1-1+(-3)-1=-4
㉠+㉡을 하면 2A=-4x^2+6xy+2y^2
①

.t3 A=-2x^2+3xy+y^2 0066 (x+y)(x-y)(x^2+xy+y^2)(x^2-xy+y^2)


㉠-㉡을 하면 2B=2x^2-2xy-4y^2 ={(x+y)(x^2-xy+y^2)}{(x-y)(x^2+xy+y^2)}
⇨❶

.t3 B=x^2-xy-2y^2 =(x^3+y^3)(x^3-y^3)=x^6-y^6


 A=-2x^2+3xy+y^2, B=x^2-xy-2y^2
⇨❷ ②

0067 (a+b)^3(a-b)^3 ={(a+b)(a-b)}^3


❶ 다항식 A를 구할 수 있다. =(a^2-b^2)^3
채점 기준 비율

❷ 다항식 B를 구할 수 있다. =a^6-3a^4b^2+3a^2b^4-b^6


50%

 a^6-3a^4b^2+3a^2b^4-b^6
50%

0059 (3x^2+2x+1)(x^2+2x+3)의 전개식에서 x^3항은 0068 (a-b)^3 =a^3-3a^2b+3ab^2-b^3


3x^2.c12x+2x.c1x^2=8x^3 =a^3-b^3-3ab(a-b)
이므로 x^3의 계수는 8이다. ④ =8-3.c1(-5)=23 ③

4 • 정답 및 풀이
본책 10~14쪽

0069 x^2 +3x=t로 놓으면 0075 xnot=


0이므로 x^2 -5x+1=0의 양변을 x로 나누면

01
(주어진 식)=(t+1)(t-3)=t^2 -2t-3 x-5+1/x=0 .t3
x+1/x=5
=(x^2 +3x)^2 -2(x^2 +3x)-3

다항식의 연산
1
=x^4 +6x^3 +9x^2 -2x^2 -6x-3 .t3
x^2 + =(x+1/x)^^2 -2=5^2 -2=23
x^2
=x^4 +6x^3 +7x^2 -6x-3
②

x=0을 x^2 -5x+1=0에 대입하면 1not=


0이므로 xnot=
0이다.
 x^4 +6x^3 +7x^2 -6x-3

1
0070 (x+3)(x+1)(x-2)(x-4) 0076 x^2 + =(x-1/x)^^2 +2에서
x^2
={(x+3)(x-4)}{(x+1)(x-2)}
6=(x-1/x)^^2+2 .t3
(x-1/x)^^2=4
=(x^2 -x-12)(x^2 -x-2)
x^2 -x=t로 놓으면 그런데 x>1이면 x-1/x>0이므로 x-1/x=2
(주어진 식)=(t-12)(t-2)=t^2 -14t+24 1
.t3
x^3 - =(x-1/x)^^3 +3(x-1/x)=2^3 +3.c1 2=14  14
=(x^2 -x)^2 -14(x^2 -x)+24 x^3
=x^4 -2x^3 +x^2 -14x^2 +14x+24
=x^4 -2x^3 -13x^2 +14x+24 0077 xnot=
0이므로 x^2 -4x+1=0의 양변을 x로 나누면
따라서 a=-13, b=14이므로
x-4+1/x=0 .t3
x+1/x=4
a+2b=-13+2.c1 14=15
⇨❶

따라서 x^2 + 1 =(x+1/x)^^2 -2=4^2 -2=14,


⑤

x^2
0071 x^2 +y^2 =(x+y)^2 -2xy에서 1
x^3 + =(x+1/x)^^3 -3(x+1/x)=4^3 -3.c1 4=52이므로
7=3^2 -2xy, 2xy=2 .t3
xy=1 x^3
⇨❷

.t3
x^3 +y^3 =(x+y)^3 -3xy(x+y) 2 1
x^3 +2x^2 +3x+4+3/x+ +
x^2 x^3
=3^3 -3.c1 1.c1 3=18
1 1
`=x^3 + +2(x^2 + )+3(x+1/x)+4
x^3 x^2
④

`=52+2.c1 14+3.c1 4+4=96


0072 x^2 +y^2 =(x+y)^2 -2xy=4^2 -2.c1 4=8
 96
⇨❸

.t3
x^3 y+xy^3 =xy(x^2 +y^2 )
=4.c1 8=32  32 채점 기준 비율

❶ x+1/x의 값을 구할 수 있다.

0073 x+y=(2+13)+(2-13 )=4,


30%

❷ x^2 + 1 , x^3 + 1 의 값을 구할 수 있다.


x^2 x^3
xy=(2+13 )(2-13 )=1
40%

❸ 주어진 식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x y x^2 +y^2 (x+y)^2 -2xy 4^2 -2.c1 1


이므로

y + x = xy = = =14 0078 x^2 +y^2 +z^2 =(x+y+z)^2 -2(xy+yz+zx)에서


xy 1
6=4^2 -2(xy+yz+zx), 2(xy+yz+zx)=10
②

x y 2+13 2-13
y + x = 2-13 2+13
+
.t3
xy+yz+zx=5
(2+13)^2 +(2-13 )^2 .t3
x^3 +y^3 +z^3
=
(2-13 )(2+13) `=(x+y+z)(x^2 +y^2 +z^2 -xy-yz-zx)+3xyz
(4+413+3)+(4-413+3) `=4.c1 (6-5)+3.c1 2=10
=
4-3
①

=14
0079 x^2 +y^2 +z^2 =(x+y+z)^2 -2(xy+yz+zx)에서
13=5^2 -2(xy+yz+zx), 2(xy+yz+zx)=12
0074 x^3 +y^3 =(x+y)^3 -3xy(x+y)에서 .t3
xy+yz+zx=6 6
10=1^3 -3xy, 3xy=-9 .t3
xy=-3
x^2 +y^2 =(x+y)^2 -2xy=1^2 -2.c1 (-3)=7
⇨❶

.t3
x^4 +y^4 =(x^2 )^2 +(y^2 )^2 =(x^2 +y^2 )^2 -2x^2 y^2
0080 a^2 +b^2 +c^2 =(a+b+c)^2 -2(ab+bc+ca)에서
⇨❷

46=8^2 -2(ab+bc+ca), 2(ab+bc+ca)=18


=7^2 -2.c1 (-3)^2 =31
 31 .t3
ab+bc+ca=9
⇨❸

.t3
(a-b)^2 +(b-c)^2 +(c-a)^2
⇨❶

`=a^2 -2ab+b^2 +b^2 -2bc+c^2 +c^2 -2ca+a^2


❶ xy의 값을 구할 수 있다.
`=2(a^2 +b^2 +c^2 )-2(ab+bc+ca)
채점 기준 비율

❷ x^2 +y^2 의 값을 구할 수 있다.


`=2.c1 46-2.c1 9=74
30%

❸ x^4 +y^4 의 값을 구할 수 있다.


 74
30%
⇨❷
40%

01``다항식의 연산 • 5
정답 및 풀이

0087 3x -5
❶ ab+bc+ca의 값을 구할 수 있다. x^2+x-1`7 3x^3-2x^2+4x-1
채점 기준 비율

3x^3+3x^2-3x
40%

-5x^2+7x-1
❷ 주어진 식의 값을 구할 수 있다. 60%

-5x^2-5x+5
12x-6
0081 (3+2)(3^2+2^2)(3^4+2^4)
=(3-2)(3+2)(3^2+2^2)(3^4+2^4) 따라서 몫은 3x-5, 나머지는 12x-6이다.
=(3^2-2^2)(3^2+2^2)(3^4+2^4)
③

=(3^4-2^4)(3^4+2^4)
=3^8-2^8 0088 a=5, b=5, c=4, d=16이므로
a+b+c+d=30  30
③

0082 98^2+102^2 =(100-2)^2+(100+2)^2


=100^2-2.c1100.c12+2^2+100^2+2.c1100.c12+2^2 x -3
x^2+1`7 x^3-3x^2+4x-1
0089
=20008
x^3 + x
⑤

-3x^2+3x-1
108^3 108^3 -3x^2 -3
0083 107\109+1 = (108-1)(108+1)+1 3x+2
108^3 따라서 몫은 x-3, 나머지는 3x+2이므로
=
(108^2-1)+1 a=1, b=-3, c=3, d=2
⇨❶

108^3 .t3 ad+bc=1.c12+(-3).c13=-7


= =108  108
⇨❷

108^2
 -7
⇨❸

0084 직사각형의 가로의 길이를 a, 세로의 길이를 b라 하면 직사


채점 기준 비율

각형의 대각선의 길이가 15이므로 ❷ a, b, c, d의 값을 구할 수 있다.


❶ 몫과 나머지를 구할 수 있다. 70%

a^2+b^2=15^2=225 ❸ ad+bc의 값을 구할 수 있다.


20%

또 직사각형의 둘레의 길이가 42이므로


10%

2(a+b)=42 .t3 a+b=21


이때 a^2+b^2=(a+b)^2-2ab에서
0090 2x^3+x^2-7x-1=A(2x+3)+5이므로
225=21^2-2ab .t3 ab=108
A(2x+3) =2x^3+x^2-7x-1-5
따라서 직사각형의 넓이는 108이다.  108
=2x^3+x^2-7x-6
.t3 A=(2x^3+x^2-7x-6)/(2x+3)
x^2- x -2
0085 직사각형의 가로의 길이를 a, 세로의 길이를 b라 하면 직사
2x+3`7 2x^3+ x^2-7x-6
2x^3+3x^2
a^2+b^2=8^2=64
각형의 대각선의 길이는 사분원의 반지름의 길이와 같으므로

-2x^2-7x
또 직사각형의 둘레의 길이가 20이므로 -2x^2-3x
2(a+b)=20 .t3 a+b=10 -4x-6
이때 a^2+b^2=(a+b)^2-2ab에서 -4x-6
64=10^2-2ab .t3 ab=18 0
따라서 직사각형의 넓이는 18이다.  18
.t3 A=x^2-x-2 ①

0086 직육면체의 밑면의 가로의 길이를 a, 세로의 길이를 b, 높


0091 f(x)=(x+3)(3x-4)-2=3x^2+5x-14
이를 c라 하면 직육면체의 겉넓이가 10이므로
3x +14
2(ab+bc+ca)=10 x-3`7 3x^2+ 5x-14
또 모든 모서리의 길이의 합이 16이므로 3x^2- 9x
4(a+b+c)=16 14x-14
.t3 a+b+c=4 14x-42
.t3 a^2+b^2+c^2 =(a+b+c)^2-2(ab+bc+ca) 28
=4^2-10=6 따라서 몫은 3x+14, 나머지는 28이다.
따라서 직육면체의 대각선의 길이는 16이다. ①  몫: 3x+14, 나머지: 28

6 • 정답 및 풀이
본책 14~17쪽

0092 f(x)를 x-1/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Q(x), 나머지가 R이 즉 a=-1/2, b=-8, c=4, d=-2이므로

01
a+b+c+d=-^13
/2

다항식의 연산
므로

f(x)=(x-1/2) Q(x)+R
⑵ 2x^3 -7x^2 +2x+1을 x+1/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2x^2 -8x+6,
=1/2(2x-1)Q(x)+R 나머지는 -2이므로

=(2x-1).c1 1/2Q(x)+R 2x^3 -7x^2 +2x+1=(x+1/2)(2x^2 -8x+6)-2

따라서 f(x)를 2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1/2Q(x), 나머지는 R =(x+1/2).c1 2(x^2 -4x+3)-2

이다. =(2x+1)(x^2 -4x+3)-2


따라서 주어진 다항식을 2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①

0093 f(x)를 2x+3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Q(x), 나머지가 R x^2 -4x+3이다.


 ⑴ -^13
/2 ⑵ x^2 -4x+3
f(x)=(2x+3)Q(x)+R
이므로

=2(x+3/2) Q(x)+R 먼저 A, B, C에 대한 식을 간단히 한다.


3(A+B)-(B-C)
0097
=(x+3/2).c1 2Q(x)+R
`=3A+3B-B+C=3A+2B+C
따라서 f(x)를 x+3/2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2Q(x), 나머지는 `=3(x^3 -x^2 +x-3)+2(-2x^3 +x^2 -4)+(-x^3 +2x-7)
⇨❶

R이다.  몫: 2Q(x), 나머지: R `=3x^3 -3x^2 +3x-9-4x^3 +2x^2 -8-x^3 +2x-7


`=-2x^3 -x^2 +5x-24
 -2x^3 -x^2 +5x-24
0094 다항식 x^3 +ax^2 +2x+b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몫과 나
⇨❷

머지를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구하면 다음과 같다.


-2 `1 a `````2 ``` `b ❶ A, B, C에 대한 식을 간단히 할 수 있다.
채점 기준 비율

` -2 `-2a+4 `4a-12 ❷ A, B, C를 대입하여 계산할 수 있다.


40%

` 1 a-2 -2a+6 4a+b-12


60%

따라서 k=-2, c=-2, a-2=2, -2a+4=d, -2a+6=-2, x^4 항은 (x^2 항)\(x^2 항), (x항)\(x^3 항)에서 나올 수
4a-12=4, 4a+b-12=1이므로
0098

k=-2, a=4, b=-3, c=-2, d=-4 (2x^2 -x+3)(x^3 +2x^2 -4)의 전개식에서 x^4 항은
있으므로 이 항들만 선택하여 곱한다.

2x^2 .c1 2x^2 +(-x).c1 x^3 =3x^4


②

3 `1 -2 4 -7 이므로 x^4 의 계수는 3이다.


항식 x^3 -2x^2 +4x-7 을 x-3 으로 3 3 21
0095 오른쪽 조립제법에 의하여 다 ④

나누었을 때의 몫 Q(x)는 -2 `1 1 7 14
a+c, b+d를 각각 하나의 항으로 생각한다.
Q(x)=x^2 +x+7 -2 2
(a+b+c+d)(a-b+c-d)
0099
또 Q(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몫 1 -1 9
⇨❶

`={(a+c)+(b+d)}{(a+c)-(b+d)}
`=(a+c)^2 -(b+d)^2
x-1

`=a^2 +2ac+c^2 -b^2 -2bd-d^2


 x-1
⇨❷

 a^2 +2ac+c^2 -b^2 -2bd-d^2

❶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Q(x)를 구할 수 있다.


채점 기준 비율

먼저 곱셈 공식의 변형을 이용하여 xy의 값을 구한다.


❷ Q(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구할
50%

x^2 +y^2 =(x-y)^2 +2xy에서


0100

5=3^2 +2xy, 2xy=-4 .t3 xy=-2


50%
수 있다.

.t3
x^3 -y^3 =(x-y)^3 +3xy(x-y)
0096 ⑴ 주어진 조립제법에서 2a=-1이므로
=3^3 +3.c1 (-2).c1 3=9
a=-1/2
③

따라서 조립제법을 완성하면 다음과 같다. 0101 다항식 A를 다항식 B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 나머지
를 R라 하면 A=BQ+R이다. (단, (R의 차수)<(B의 차수))
-1/2 `2 -7 2 1
A=(x^2 -3x)(3x+1)+x-6
-1 4 -3 =3x^3 +x^2 -9x^2 -3x+x-6
2 -8 6 -2 =3x^3 -8x^2 -2x-6  3x^3 -8x^2 -2x-6

01``다항식의 연산 • 7
정답 및 풀이

A+B=2x^2+x-5 ……`㉠
0102 주어진 세 식을 변끼리 더한다. 채점 기준 비율

❶ x-1/x의 값을 구할 수 있다.
B+C=x^2-3x-8 …… ㉡
30%

C+A=-x^2+4x-1 …… ㉢ ❷ (x+1/x)^^2의 값을 구할 수 있다.

㉠+㉡+㉢을 하면
40%

❸ x+1/x의 값을 구할 수 있다.
2(A+B+C)=2x^2+2x-14
30%

.t3 A+B+C=x^2+x-7 ③

0108 먼저 곱셈 공식의 변형을 이용하여 ab+bc+ca의 값을

a^2+b^2+c^2=(a+b+c)^2-2(ab+bc+ca)에서
구한다.

(x+a)(x+b)(x+c)=x^3+(a+b+c)x^2+(ab+bc+ca)x+abc
0103 곱셈 공식

25=7^2-2(ab+bc+ca)
(1+a)(1+b)(1+c) 2(ab+bc+ca)=24
를 이용한다.

`=1+(a+b+c)+(ab+bc+ca)+abc .t3 ab+bc+ca=12


ab+bc+ca
`=1+1+3+(-4)=1 .t3 1/a+1/b+1/c= =^12
/4=3
abc
② ⑤

곱셈 공식 (a+b)(a^2-ab+b^2)=a^3+b^3을 이용한다. 곱셈 공식 (a+b)(a-b)=a^2-b^2을 이용한다.


(x+y)(x^2-xy+y^2)=x^3+y^3에서
0104
(x-1)(x+1)(x^2+1)(x^4+1)
0109

2(x^2-xy+y^2)=56 =(x^2-1)(x^2+1)(x^4+1)
.t3 x^2-xy+y^2=28  28 =(x^4-1)(x^4+1)
=x^8-1
=32-1=31
(x-2)(x+3)을 전개한 후 공통부분을 치환한다.
②

(x-2)(x+3)(x^2+x+1)=(x^2+x-6)(x^2+x+1)
0105

x^2+x=t로 놓으면 다항식 x^3+3x^2+ax+12를 x^2-x+b로 직접 나누었을


(주어진 식)=(t-6)(t+1)=t^2-5t-6
0110
때의 나머지가 0임을 이용한다.
=(x^2+x)^2-5(x^2+x)-6 x +4
=x^4+2x^3+x^2-5x^2-5x-6 x^2-x+b`7 x^3+3x^2+ ax+12
=x^4+2x^3-4x^2-5x-6 x^3- x^2+ bx
4x^2+(a-b)x+12
따라서 a=2, b=-4, c=-5이므로
4x^2- 4x+4b
a+b-c=3
(a-b+4)x+12-4b
④

이때 나머지가 0이어야 하므로


먼저 a+b의 값을 구한 후 곱셈 공식의 변형을 이용한다. a-b+4=0, 12-4b=0
a+b 따라서 a=-1, b=3이므로 a+b=2 2
0106
1/a+1/b=4에서 ab =4
a+b
-2 =4 .t3 a+b=-8 다항식 3x^3-2x^2-x+6을 x^2-2x+3으로 직접 나누어
.t3 (a-b)^2 =(a+b)^2-4ab=(-8)^2-4.c1(-2)=72
0111

그런데 a>b이므로 3x`+4


몫과 나머지를 구한다.

a-b=172q=612 x^2-2x+3`7 3x^3-2x^2- x+ 6


3x^3-6x^2+ 9x
⑤

4x^2-10x+ 6
4x^2- 8x+12
(x+1/x)^^2=(x-1/x)^^2+4임을 이용한다.
-2x- 6
0107
xnot=0이므로 x^2-x-1=0의 양변을 x로 나누면 따라서 Q(x)=3x+4, R(x)=-2x-6이므로
x-1-1/x=0 .t3 x-1/x=1 ⇨❶ Q(1)+R(-2)=7+(-2)=5 ③

.t3 (x+1/x)^^2=(x-1/x)^^2+4=1^2+4=5
다항식 A를 다항식 B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 나머지
⇨❷

그런데 x>0이면 x+1/x>0이므로


0112
를 R라 하면 A=BQ+R이다. (단, (R의 차수)<(B의 차수))
x^4+x^3-7x^2+1=A(x^2-x-2)+x-5이므로
x+1/x=15 ⇨❸
A(x^2-x-2) =x^4+x^3-7x^2+1-(x-5)
 15 =x^4+x^3-7x^2-x+6

8 • 정답 및 풀이
본책 17~19쪽

.t3
A=(x^4 +x^3 -7x^2 -x+6)/(x^2 -x-2) 직육면체의 밑면의 가로의 길이, 세로의 길이를 각각 a,

01
x^2 +2x -3 b, 높이를 c라 하고 주어진 조건을 a, b, c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다.
0117

x^2 -x-2`7 x^4 + x^3 -7x^2 - x+6 직육면체의 밑면의 가로의 길이, 세로의 길이를 각각 a, b,

다항식의 연산
x^4 - x^3 -2x^2
높이를 c라 하면 모든 모서리의 길이의 합이 40이므로
2x^3 -5x^2 - x
4(a+b+c)=40 .t3
a+b+c=10
2x^3 -2x^2 -4x
또 대각선의 길이가 134q이므로
⇨❶

-3x^2 +3x+6
-3x^2 +3x+6 @a^2 +bx^2 +c^2 x=134q .t3
a^2 +b^2 +c^2 =34
0 직육면체의 겉넓이는 2(ab+bc+ca)이고
⇨❷

.t3
A=x^2 +2x-3 ⑤ a^2 +b^2 +c^2 =(a+b+c)^2 -2(ab+bc+ca)

주어진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다항식 f(x)를 먼저 구한 34=10^2 -2(ab+bc+ca)


이므로

.t3
2(ab+bc+ca)=66
0113

2 `a b c d 따라서 직육면체의 겉넓이는 66이다.


다.

2 8 ``12  66
주어진 조립제법을 완성하면 오른 ⇨❸

a=1, b+2=4, c+8=6, 1 4 6 ``10


쪽과 같으므로

d+12=10 ❶ a+b+c의 값을 구할 수 있다.


채점 기준 비율

.t3
a=1, b=2, c=-2, d=-2 ❷ a^2 +b^2 +c^2 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t3
f(x)=x^3 +2x^2 -2x-2
30%

따라서 오른쪽 조립제법에서 f(x)를 -1 `1 2 -2 -2


❸ 직육면체의 겉넓이를 구할 수 있다. 40%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1이 -1 -1 3


다. 1 1 -3 1 0118 공통부분이 생기도록 적당히 항을 묶은 후 곱셈 공식을

(a+b+c)(a-b+c)+(a+b-c)(a-b-c)
이용하여 주어진 식을 간단히 한다.
①

`={(a+c)+b}{(a+c)-b}+{(a-c)+b}{(a-c)-b}
x^3 항은 (상수항)\(x^3 항), (x항)\(x^2 항),
`=(a+c)^2 -b^2 +(a-c)^2 -b^2
(x^2 항)\(x항), (x^3 항)\(상수항)에서 나올 수 있으므로 이 항들만 선
0114
`=a^2 +2ac+c^2 -b^2 +a^2 -2ac+c^2 -b^2
`=2(a^2 -b^2 +c^2 )
(1+x+2x^2 +… +10x^1 ^0 )^2
택하여 곱한다.

`=0
`=(1+x+2x^2 +… +10x^1 ^0 )(1+x+2x^2 +… +10x^1 ^0 )
즉 b^2 =a^2 +c^2 이므로 주어진 삼각형은 빗변의 길이가 b인 직각삼각
이 식의 전개식에서 x^3 항은
형이다.
1.c1 3x^3 +x.c1 2x^2 +2x^2 .c1 x+3x^3 .c1 1=10x^3
④

이므로 x^3 의 계수는 10이다.  10


0119 다항식의 나눗셈은 각 다항식을 내림차순으로 정리한 후
a^3 -b^3 =(a-b)^3 +3ab(a-b)임을 이용한다.
x-y=(13+1)-(13-1)=2, ⑴ 2x^2 - x -1
0115 자연수의 나눗셈과 같은 방법으로 한다.

x^2 -x+1`7 2x^4 -3x^3 +2x^2 +1


xy=(13+1)(13-1)=2
2x^4 -2x^3 +2x^2
- x^3
x^2 y^2 x^3 -y^3 (x-y)^3 +3xy(x-y)
- = =
이므로

y x xy xy - x^3 + x^2 -x
2^3 +3.c1 2.c1 2 - x^2 +x+1
= 2 =10
- x^2 +x-1
④

2
1.002^3 =(1+0.002)^3 이므로 곱셈 공식 따라서 몫은 2x^2 -x-1, 나머지는 2이다.
(a+b)^3 =a^3 +3a^2 b+3ab^2 +b^3 을 이용한다.
0116
⑵ A =(x^2 -x+1)(2x^2 -x-1)+2
1.002^3 =(1+0.002)^3 =0·(2x^2 -x-1)+2
=1^3 +3\1^2 \0.002+3\1\0.002^2 +0.002^3 =2
=1+0.006+…  ⑴ 몫: 2x^2 -x-1, 나머지: 2 ⑵2
=1.006…
따라서 소수점 아래 첫째 자리의 숫자는 0이고, 소수점 아래 셋째
자리의 숫자는 6이므로 구하는 합은 6이다. 6
3\1\0.002^2 은 소수점 아래 첫째 자리부터 넷째 자리까지의 숫자가 0
이고, 0.002^3 은 소수점 아래 첫째 자리부터 여덟째 자리까지의 숫자가 0이므로
답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01``다항식의 연산 • 9
정답 및 풀이

0133  1, 2
Ⅰ. 다항식
02 나머지정리와 인수분해 0134 f(-1)=-2+1+3-1=1  1

 ㄷ, ㄹ
0135 f(1/2)=1/4+1/4-3/2-1=-2  -2
0120

0121 주어진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0136 f(-2)=5이므로


a-2=0, b=0  .t3 a=2, b=0  a=2, b=0 -8+8-2a-3=5, 2a=-8    .t3 a=-4  -4

 1, 0, -1
0122 주어진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0137
a=0, b+2=0  .t3 a=0, b=-2  a=0, b=-2
0138 f(-1)=0이므로

0123 주어진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4-a+5=0 .t3 a=9  9

a=1, b=0, c=5  a=1, b=0, c=5


0139 f(2)=0이므로
0124 주어진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8+4a-6+6=0, 4a=-8    .t3 a=-2  -2

a-1=3, b+4=-1, c=7


0140 x^2+6x+9=x^2+2.c1x.c13+3^2 
 .t3 a=4, b=-5, c=7  a=4, b=-5, c=7
=(x+3)^2  (x+3)^2

0125 주어진 등식이 x, y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0141 a^2-4a+4=a^2-2.c1a.c12+2^2
a=-3, b=4, c=-1  a=-3, b=4, c=-1
=(a-2)^2  (a-2)^2

0126 주어진 등식이 x, y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0142 x^2-4=x^2-2^2=(x+2)(x-2)  (x+2)(x-2)
a+2=1, b-8=1, 3=c
 .t3 a=-1, b=9, c=3  a=-1, b=9, c=3
0143 4a^2-9b^2=(2a)^2-(3b)^2
 ㈎ a+b ㈏ 1 ㈐ -2a+b ㈑ 2 ㈒ -1 =(2a+3b)(2a-3b)  (2a+3b)(2a-3b)
0127
0144  (x-1)(x-4)
0128 우변을 전개하여 정리하면
x^2-2x+3=ax^2+(a+b)x+c x^2+(a+b)x+ab의 인수분해
이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1=a, -2=a+b, 3=c
x^2+(a+b)x+ab=(x+a)(x+b)
 .t3 a=1, b=-3, c=3  a=1, b=-3, c=3
`x ` a ??C ax
+
`x `b ??C bx
(a+b)x
 x^3+ax-12=x^3+(b-2)x^2+(c-2b)x-2c
0129 우변을 전개하여 정리하면

이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0=b-2, a=c-2b, -12=-2c  (2x+1)(2x+3)
 .t3 a=2, b=2, c=6  a=2, b=2, c=6
0145

acx^2+(ad+bc)x+bd의 인수분해
 ㈎ -3 ㈏ -12 ㈐ 3 ㈑ 1 ㈒ 16 ㈓ 4
0130 acx^2+(ad+bc)x+bd=(ax+b)(cx+d)
``ax `b ??C bcx
0131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
cx `d ??C adx
-a=-3 .t3 a=3 `(ad+bc)x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b=-1  a=3, b=-1
0146 a^2+b^2+c^2-2ab-2bc+2ca
0132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5를 대입하면  =a^2+(-b)^2+c^2+2a·(-b)+2·(-b)·c+2ca
30a=30 .t3 a=1  =(a-b+c)^2  (a-b+c)^2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5b=5 .t3 b=-1 0147 a^2+9b^2+4c^2+6ab+12bc+4ca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a^2+(3b)^2+(2c)^2+2·a·3b+2·3b·2c+2·2c·a
 6c=12 .t3 c=2  a=1, b=-1, c=2  =(a+3b+2c)^2  (a+3b+2c)^2

10 • 정답 및 풀이
본책 20~25쪽

0148 x^3+12x^2+48x+64  ㈎ 0 ㈏ x-1 ㈐ x^2-x-6


`=x^3+3·x^2·4+3·x·4^2+4^3
0158
㈑ (x-1)(x+2)(x-3)
`=(x+4)^3  (x+4)^3
0159 f(x)=x^3-x^2-5x-3으로 놓으면
0149 x^3-8=x^3-2^3=(x-2)(x^2+2x+4)
f(-1)=-1-1+5-3=0
 (x-2)(x^2+2x+4)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분 -1 1 -1 -5 -3
0150 x^3-8y^3+z^3+6xyz -1 2 3
=x^3+(-2y)^3+z^3-3.c1x.c1(-2y).c1z  f(x)=(x+1)(x^2-2x-3) 1 -2 -3 0
해하면

=(x-2y+z)(x^2+4y^2+z^2+2xy+2yz-zx) =(x+1)^2(x-3)
 (x-2y+z)(x^2+4y^2+z^2+2xy+2yz-zx)  (x+1)^2(x-3)

02

0151 x^4+9x^2y^2+81y^4=x^4+x^2(3y)^2+(3y)^4
=(x^2+3xy+9y^2)(x^2-3xy+9y^2) 0160 f(x)=x^4-5x^3+5x^2+5x-6으로 놓으면

나머지정리와 인수분해
 (x^2+3xy+9y^2)(x^2-3xy+9y^2) f(-1)=1+5+5-5-6=0,
f(1)=1-5+5+5-6=0
0152 x+y=t로 놓으면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분해하면
(x+y)(x+y+3)+2=t(t+3)+2
-1 1 -5 5 5 -6
=t^2+3t+2
-1 6 -11 6

=(t+1)(t+2)
1 1 -6 11 -6 0
=(x+y+1)(x+y+2)
1 -5 6
 (x+y+1)(x+y+2)
1 -5 6 0
0153 a-2=t로 놓으면  .t3
 f(x)=(x+1)(x-1)(x^2-5x+6)
 (a-2)^2-7(a-2)+12=t^2-7t+12 =(x+1)(x-1)(x-2)(x-3)
=(t-3)(t-4)  (x+1)(x-1)(x-2)(x-3)
=(a-2-3)(a-2-4)
=(a-5)(a-6)  (a-5)(a-6) 0161 x^3+ax-6=(x+b)(x^2+cx+3)에서
0154 x^2=X로 놓으면  x^3+ax-6=x^3+(b+c)x^2+(3+bc)x+3b
이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x^4-10x^2+9=X^2-10X+9
=(X-1)(X-9)  0=b+c, a=3+bc, -6=3b

=(x^2-1)(x^2-9)  .t3
 a=-1, b=-2, c=2
=(x+1)(x-1)(x+3)(x-3)  .t3
 a+b+c=-1  ⑤

 (x+1)(x-1)(x+3)(x-3)
0162 (k-2)x-(k+3)y-k-8=0을 k에 대하여 정리하면
0155 x^4+4x^2+16=(x^4+8x^2+16)-4x^2 (x-y-1)k-(2x+3y+8)=0
=(x^2+4)^2-(2x)^2 이 등식이 k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x^2+2x+4)(x^2-2x+4) x-y-1=0, 2x+3y+8=0
 (x^2+2x+4)(x^2-2x+4)  .t3
 x=-1, y=-2
 .t3
 x+y=-3
0156 주어진 식을 y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③

 x^2+xy+2x+3y-3=(x+3)y+x^2+2x-3
0163 a(x-y)+b(2x+y)=7x-y에서
=(x+3)y+(x+3)(x-1)
 (a+2b)x-(a-b)y=7x-y
=(x+3)(x+y-1)
이 등식이 x, y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x+3)(x+y-1)
 a+2b=7, a-b=1
주어진 식을 x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t3
 a=3, b=2
x^2+xy+2x+3y-3=x^2+(y+2)x+3(y-1)
 .t3
 ab=6  6
=(x+3)(x+y-1)

0157 주어진 식을 a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0164 (4k+1)x-(3k-2)y+2k-5=0을 k에 대하여 정리하면


 a^2+3ab+2b^2-2a-5b-3 (4x-3y+2)k+(x+2y-5)=0
=a^2+(3b-2)a+2b^2-5b-3 이 등식이 k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a^2+(3b-2)a+(2b+1)(b-3) 4x-3y+2=0, x+2y-5=0
=(a+2b+1)(a+b-3)  (a+2b+1)(a+b-3)  .t3
 x=1, y=2  x=1, y=2

02``나머지정리와 인수분해 • 11
정답 및 풀이

0165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이 등식이 k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4=2c .t3 c=-2 1+a=0, 2a+b+1=0  .t3 a=-1, b=1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t3 a+b=0  0

a-3=0 .t3 a=3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0171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1=a_0
 2a=2b, a=b .t3 b=3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t3 abc=-18  -18  2^5=a_0+a_1+a_2+…+a_5
 .t3 a_1+a_2+…+a_5=2^5-a_0=32-1=31  31
0166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c=2 0172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0 을 대입하면  3^5=a_1_0+a_9+…+a_1+a_0
⇨ ❶

 b+c=-1, b+2=-1 .t3 b=-3  .t3 a_0+a_1+…+a_9+a_1_0=243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 ❷  ④

 2a+2b+c=-2, 2a-6+2=-2 .t3 a=1 0173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t3 a+b+c=0  1^4=a_0+a_1+a_2+…+a_8 ……`㉠
⇨ ❸

 0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 ❹ ⇨ ❶

 3^4=a_0-a_1+a_2-…+a_8 ……`㉡
㉠+㉡을 하면 82=2(a_0+a_2+a_4+a_6+a_8)
⇨ ❷

❶ c의 값을 구할 수 있다.
채점 기준 비율

❷ 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t3 a_0+a_2+a_4+a_6+a_8=41


30%

 41
⇨ ❸

❸ a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❹ a+b+c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10%

❶ a_0+a_1+a_2+.c3+a_8의 값을 구할 수 있다.
채점 기준 비율

0167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6=c ❷ a_0-a_1+a_2-.c3+a_8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❸ a_0+a_2+a_4+a_6+a_8의 값을 구할 수 있다.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40%

 1=a-b+c, 1=a-b+6
20%

 .t3 a-b=-5 ……`㉠ 0174 x^3+ax^2+b를 x^2+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x+c (c는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상수)라 하면
 17=a+b+c, 17=a+b+6  x^3+ax^2+b=(x^2+x+2)(x+c)+2x+3
 .t3 a+b=11 ……`㉡ =x^3+(c+1)x^2+(c+4)x+2c+3
㉠, ㉡을 연립하여 풀면 a=3, b=8 이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t3 2a+b-c=2.c13+8-6=8  8  a=c+1, 0=c+4, b=2c+3
 .t3 a=-3, b=-5, c=-4
0168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t3 ab=15
 0=1+a+b .t3 a+b=-1 ……`㉠ x^3+ax^2+b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1, x^2+x+2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1
 ⑤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2=2를 대입하면 이므로 몫은 x+c (c는 상수) 꼴이다.
 0=4+2a+b .t3 2a+b=-4 ……`㉡
㉠, ㉡을 연립하여 풀면 a=-3, b=2 0175 x^3+2x^2+3을 x^2+ax+b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x+1, 나
 .t3 a^2+b^2=(-3)^2+2^2=13 머지가 -3x+1이므로
x^3+2x^2+3=(x^2+ax+b)(x+1)-3x+1
 ③

0169 x+y=2에서 y=2-x =x^3+(a+1)x^2+(a+b-3)x+b+1


이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ax+b(2-x)=x+2(2-x)+2 2=a+1, 0=a+b-3, 3=b+1
이것을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t3 (a-b)x+2b=-x+6  .t3 a=1, b=2  a=1, b=2


이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a-b=-1, 2b=6  .t3 a=2, b=3 0176 x^3+ax+b를 x^2-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x+c (c는
.t3 ab=6  6 상수)라 하면
 x^3+ax+b=(x^2-x+1)(x+c)
0170 이차방정식 x^2+(k+1)x+(k+2)a+b-1=0의 근이 1 =x^3+(c-1)x^2+(1-c)x+c
이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1+(k+1)+(k+2)a+b-1=0 0=c-1, a=1-c, b=c
이므로

 .t3 (1+a)k+2a+b+1=0  .t3 a=0, b=1, c=1  .t3 a^2+b^2=1  ①

12 • 정답 및 풀이
본책 25~28쪽

0177 f(x)=x^3+ax^2+bx+1이라 하면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f(x)=(x^2+4x+3)Q_2(x)-x+3


f(1)=1, f(3)=13 =(x+1)(x+3)Q_2(x)-x+3 ……`㉡
1+a+b+1=1, 27+9a+3b+1=13 f(x)를 x^2-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나머지를 ax+b
 .t3
 a+b=-1, 3a+b=-5 (a, b는 상수)라 하면
 f(x)=(x^2-x-2)Q(x)+ax+b
a=-2, b=1  a=-2, b=1 =(x+1)(x-2)Q(x)+ax+b ……`㉢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f(2)=7


0178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f(2)=-4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f(-1)=4
따라서 구하는 나머지는 3f(2)=3.c1(-4)=-12 ㉢의 양변에 x=2, x=-1을 각각 대입하면
 f(2)=2a+b, f(-1)=-a+b
 ③

0179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f(-2)=3, g(-2)=-1  .t3


 2a+b=7, -a+b=4

02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1, b=5
4f(-2)+3g(-2)=4.c13+3.c1(-1)=9 따라서 구하는 나머지는 x+5이다.

나머지정리와 인수분해
따라서 구하는 나머지는
 ②
 ⑤

0184 x^2^0+x^1^5+x^1^0+x^5을 x^3-x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0180 f(0)=0에서 c=0
나머지를 R(x)=ax^2+bx+c (a, b, c는 상수)라 하면
f(1)=1에서 1+a+b+c=1
x^2^0+x^1^5+x^1^0+x^5
 .t3
 a+b=0 ……`㉠
`=(x^3-x)Q(x)+ax^2+bx+c
f(2)=2에서 8+4a+2b+c=2
`=x(x+1)(x-1)Q(x)+ax^2+bx+c ……`㉠
 .t3
 2a+b=-3 ……`㉡
㉠의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0=c
㉠, ㉡을 연립하여 풀면 a=-3, b=3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따라서 f(x)=x^3-3x^2+3x이므로 f(x)를 x-3으로 나누었을 때
0=a-b+c .t3  a-b=0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f(3)=3^3-3.c13^2+3.c13=9  9
의 나머지는

4=a+b+c .t3  a+b=4


 .t3
 a=2, b=2, c=0
0181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f(2)=3, f(-3)=-7
따라서 R(x)=2x^2+2x이므로 R(2)=12

f(x)를 x^2+x-6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나머지를 ax+b


 ④

(a, b는 상수)라 하면
0185 f(x)를 x(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_1(x)라 하면
f(x)=(x^2+x-6)Q(x)+ax+b
 f(x)=x(x-2)Q_1(x)
=(x+3)(x-2)Q(x)+ax+b
양변에 x=0, x=2를 각각 대입하면
양변에 x=-3, x=2를 각각 대입하면
f(0)=0, f(2)=0
 f(-3)=-3a+b, f(2)=2a+b
또 f(x)를 (x-1)(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_2(x)라 하면
⇨ ❶

 .t3 -3a+b=-7, 2a+b=3


f(x)=(x-1)(x-2)Q_2(x)+x-2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2, b=-1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f(1)=-1
따라서 구하는 나머지는 2x-1이다.  2x-1
한편 f(x)를 x(x-1)(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나머
⇨ ❷

지를 ax^2+bx+c (a, b, c는 상수)라 하면


0182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f(-1)=8, f(1)=-2
 f(x)=x(x-1)(x-2)Q(x)+ax^2+bx+c
(x+2)f(x)를 x^2-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나머지를
양변에 x=0, x=1, x=2를 각각 대입하면
R(x)=ax+b (a, b는 상수)라 하면
f(0)=c, f(1)=a+b+c, f(2)=4a+2b+c
(x+2)f(x)=(x^2-1)Q(x)+ax+b
 .t3 0=c, -1=a+b+c, 0=4a+2b+c
=(x+1)(x-1)Q(x)+ax+b
 .t3 a=1, b=-2, c=0
양변에 x=-1, x=1을 각각 대입하면
따라서 구하는 나머지는 x^2-2x이다.
⇨ ❸

 f(-1)=-a+b, 3f(1)=a+b  x^2-2x


⇨ ❹

 .t3
 -a+b=8, a+b=-6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7, b=1
❶ f(0), f(2)의 값을 구할 수 있다.
따라서 R(x)=-7x+1이므로
채점 기준 비율

❷ f(1)의 값을 구할 수 있다.
R(-2)=15  15
20%

❸ a,b,c의 값을 구할 수 있다.
20%
50%

0183 f(x)를 x^2-3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_1(x)라 하면


❹ 나머지를 구할 수 있다. 10%

 f(x)=(x^2-3x+2)Q_1(x)+4x-1
=(x-1)(x-2)Q_1(x)+4x-1 ……`㉠ 0186 f(x)를 x^3-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나머지를
f(x)를 x^2+4x+3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_2(x)라 하면 R(x)=ax^2+bx+c (a, b, c는 상수)라 하면

02``나머지정리와 인수분해 • 13
정답 및 풀이

 f(x)=(x^3-1)Q(x)+ax^2+bx+c 0192 x^3-2x^2+ax+6을 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Q(x), 나


=(x-1)(x^2+x+1)Q(x)+ax^2+bx+c 머지가 5이므로
f(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4이므로 ax^2+bx+c를 x^3-2x^2+ax+6=(x+1)Q(x)+5 ……`㉠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4이다.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t3 a+b+c=4 ……`㉠ -1-2-a+6=5 .t3 a=-2
또 f(x)를 x^2+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3x+4이므로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 ❶

ax^2+bx+c를 x^2+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3x+4이다. 1-2-2+6=2Q(1)+5 .t3 Q(1)=-1


.t3 ax^2+bx+c=a(x^2+x+1)+3x+4 따라서 Q(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1이다. ⇨ ❷
=ax^2+(a+3)x+a+4  -1
이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b=a+3, c=a+4 ……`㉡
❶ a의 값을 구할 수 있다.
채점 기준 비율

㉡을 ㉠에 대입하면 a+a+3+a+4=4
50%

 3a+7=4 .t3 a=-1


❷ 나머지를 구할 수 있다. 50%

a=-1을 ㉡에 대입하면 b=2, c=3


0193 x^1^0을 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나머지를 R라 하
따라서 R(x)=-x^2+2x+3이므로
면 x^1^0=(x-1)Q(x)+R ……`㉠
R(3)=-9+6+3=0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R=1
 ③

㉠의 양변에 x=99를 대입하면 99^1^0=98Q(99)+1


따라서 99^1^0을 98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1이다.  ①

f(x)=P(x)Q(x)+R(x) ((P(x)의 차수)=(R(x)의 차수))


다항식 f(x)를

0194 ⑴ x^2^0^1^5을 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나머지를 R


라 하면 x^2^0^1^5=(x-1)Q(x)+R ……`㉠
로 나타낼 때, f(x)를 다항식 P(x)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다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R=1


항식 R(x)를 P(x)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와 같다.

따라서 구하는 나머지는 1이다.


0187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f(-4)=5 ⑵ ㉠의 양변에 x=2015를 대입하면
f(3x+5)를 x+3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2015^2^0^1^5=2014Q(2015)+1
f(3·(-3)+5)=f(-4)=5  5 따라서 2015^2^0^1^5을 2014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1이다.
 ⑴ 1 ⑵ 1
0188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f(3)=2
xf(x-1)을 x-4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0195 2x^1^0을 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나머지를 R라
4f(4-1)=4f(3)=4·2=8  8 하면 2x^1^0=(x+1)Q(x)+R ……`㉠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R=2
0189 f(x)를 (x+1)(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라 하면 ㉠의 양변에 x=5를 대입하면 2·5^1^0=6Q(5)+2
f(x)=(x+1)(x-2)Q(x)+2x-4 따라서 2·5^1^0을 6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2이다.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②

f(-1)=-6 0196 f(x)=x^4+kx^3-2x^2-7x-8이라 하면 f(x)가 x+1로


f(2x+3)을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누어떨어지므로 f(-1)=0
f(2·(-2)+3)=f(-1)=-6  ①  1-k-2+7-8=0 .t3 k=-2  ④

0190 f(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Q(x), 나머지가 2이 0197 f(x)=ax^3+bx^2+2x+3이라 하면 f(x)가 x-1, x-3
므로 f(x)=(x-1)Q(x)+2
Q(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4이므로 f(1)=0, f(3)=0
으로 각각 나누어떨어지므로

Q(2)=4  a+b+2+3=0, 27a+9b+6+3=0


따라서 f(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t3 a+b=-5, 3a+b=-1
f(2)=(2-1)Q(2)+2=4+2=6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2, b=-7
 .t3 ab=-14  -14
 ③

0191 f(x)를 x-3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Q(x), 나머지가 2이


0198 f(x)=x^3-4x^2+ax+b라 하면 f(x)가 x-1, x-2를 인
f(x)=(x-3)Q(x)+2
므로

이때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f(-2)=-8이므로 f(1)=0, f(2)=0


수로 가지므로

f(-2)=-5Q(-2)+2=-8  .t3 Q(-2)=2  1-4+a+b=0, 8-16+2a+b=0


따라서 Q(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2이다.  ①  .t3 a+b=3, 2a+b=8

14 • 정답 및 풀이
본책 28~31쪽

앞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5, b=-2 0205 ③ x^2-(y+z)^2=(x+y+z)(x-y-z)


따라서 x^2+5x+2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③

1+5+2=8  8 0206 x^2-(2a+5)x+(a+2)(a+3)


=(x-a-2)(x-a-3)
0199 f(x)=x^3-3ax^2+3a^2x+9라 하면 f(x)가 x+3으로 나 즉 (x-a-2)+(x-a-3)=2x+3이므로
누어떨어지므로 f(-3)=0 2x-2a-5=2x+3, -2a=8
-27-27a-9a^2+9=0, a^2+3a+2=0 .t3
 a=-4  -4
⇨ ❶

(a+2)(a+1)=0 .t3
 a=-2 또는 a=-1

따라서 모든 상수 a의 값의 합은 -3이다. 0207 (a+3b)^3-64b^3


 -3 ` =(a+3b)^3-(4b)^3
⇨ ❷

` =(a+3b-4b){(a+3b)^2+(a+3b)·4b+(4b)^2}

02
` =(a-b)(a^2+10ab+37b^2)
채점 기준 비율
 ④

나머지정리와 인수분해
❷ 모든 상수 a의 값의 합을 구할 수 있다.
❶ 인수정리를 이용할 수 있다. 30%

0208 a^3+27=a^3+3^3=(a+3)(a^2-3a+9)
70%

따라서 a^3+27의 인수인 것은 ①이다.


0200 f(x)=x^3-2x^2+ax+b라 하면 f(x)가 x^2+3x+2, 즉
 ①

(x+1)(x+2)로 나누어떨어지므로
0209 x^6-y^6=(x^3)^2-(y^3)^2
f(-1)=0, f(-2)=0
=(x^3+y^3)(x^3-y^3)
 -1-2-a+b=0, -8-8-2a+b=0
=(x+y)(x^2-xy+y^2)(x-y)(x^2+xy+y^2)
 .t3
 a-b=-3, 2a-b=-16
따라서 x^6-y^6의 인수가 아닌 것은 ②이다.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13, b=-10
다항식 f(x)가 f(x)=AB로 인수분해될 때, A, B, AB는 모두
 ②

 .t3
 a+b=-23  -23
f(x)의 인수이다.

0201 f(x)가 x^2+2x-3, 즉 (x+3)(x-1)로 나누어떨어지므로


0210 ⑤ x^4+4x^2y^2+16y^4=x^4+x^2(2y)^2+(2y)^4
f(-3)=0, f(1)=0
=(x^2+2xy+4y^2)(x^2-2xy+4y^2)
 -54+81-3a+b=0, 2+9+a+b=0
 .t3
 3a-b=27, a+b=-11
 ⑤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4, b=-15


0211 x^2+2x=t로 놓으면
 .t3
 f(x)=2x^3+9x^2+4x-15
(주어진 식)=(t-2)(t-6)+3
따라서 f(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t^2-8t+15
f(-1)=-2+9-4-15=-12  -12
=(t-3)(t-5)
=(x^2+2x-3)(x^2+2x-5)
0202 f(x)-4가 x^2-4x+3, 즉 (x-1)(x-3)으로 나누어떨 =(x+3)(x-1)(x^2+2x-5)
따라서 주어진 식의 인수가 아닌 것은 ②이다.
f(1)-4=0, f(3)-4=0
어지므로  ②

 .t3 f(1)=4, f(3)=4


0212 x+3=t로 놓으면
f(x+3)을 x^2+2x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나머지를 ax+b
(주어진 식)=t^2+3t+2
(a, b는 상수)라 하면
=(t+1)(t+2)

f(x+3)=(x^2+2x)Q(x)+ax+b
=(x+4)(x+5)
=x(x+2)Q(x)+ax+b ……`㉠

.t3
 a+b=4+5=9
㉠의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⑤

 f(3)=b .t3
 b=4
0213 (x+1)(x-2)(x+3)(x+6)+54
㉠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x+1)(x+3)}{(x-2)(x+6)}+54
 f(1)=-2a+b, 4=-2a+4  .t3
 a=0
 =(x^2+4x+3)(x^2+4x-12)+54
따라서 구하는 나머지는 4이다.  4
x^2+4x=t로 놓으면
⇨ ❶

(주어진 식)=(t+3)(t-12)+54
=t^2-9t+18
0203  ④

=(t-3)(t-6)
0204 (주어진 식)=xy-y^2+x-y=y(x-y)+(x-y) =(x^2+4x-3)(x^2+4x-6)
=(x-y)(y+1) 따라서 a=-3, b=4이므로 ab=-12
⇨ ❷

따라서 주어진 식의 인수인 것은 ⑤이다.  -12


⇨ ❸
 ⑤

02``나머지정리와 인수분해 • 15
정답 및 풀이

0220 주어진 식을 x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x^2+(-3y+4)x+(2y^2-5y+3)
채점 기준 비율

`=x^2+(-3y+4)x+(y-1)(2y-3)
❶ 공통부분이 생기도록 짝을 지어 전개할 수 있다. 40%

❸ a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x-(y-1)}{x-(2y-3)}


❷ 공통부분을 치환하여 주어진 식을 인수분해할 수 있다. 40%

`=(x-y+1)(x-2y+3)
20%

0214 (x^2+4x+3)(x^2+12x+35)+15
=(x+1)(x+3)(x+5)(x+7)+15 (x-y+1)+(x-2y+3)=2x-3y+4  2x-3y+4
따라서 두 일차식의 합은

={(x+1)(x+7)}{(x+3)(x+5)}+15
 =(x^2+8x+7)(x^2+8x+15)+15
0221 주어진 식을 전개한 후 a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a^2(b+c)+b^2(c+a)+c^2(a+b)+2abc
x^2+8x=t로 놓으면
`=a^2b+a^2c+b^2c+ab^2+ac^2+bc^2+2abc
(주어진 식)=(t+7)(t+15)+15
=t^2+22t+120 `=(b+c)a^2+(b^2+2bc+c^2)a+bc(b+c)
=(t+12)(t+10) `=(b+c)a^2+(b+c)^2a+bc(b+c)
=(x^2+8x+12)(x^2+8x+10) `=(b+c){a^2+(b+c)a+bc}
=(x+2)(x+6)(x^2+8x+10) `=(b+c)(a+b)(a+c)
 .t3 a+b+c=2+6+8=16  16 `=(a+b)(b+c)(c+a)
b 또는 c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한 후 인수분해해도 결과는 같다.
 ⑤

0215 x^2=X로 놓으면


0222 주어진 식을 전개한 후 x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x^4-5x^2+4=X^2-5X+4
xy(x+y)+yz(y-z)-zx(z+x)
=(X-1)(X-4)
`=x^2y+xy^2+y^2z-yz^2-xz^2-x^2z
=(x^2-1)(x^2-4)
`=(y-z)x^2+(y^2-z^2)x+yz(y-z)
=(x+1)(x-1)(x+2)(x-2)
`=(y-z)x^2+(y-z)(y+z)x+yz(y-z)
a<b<c<d이므로 a=-2, b=-1, c=1, d=2
`=(y-z){ x^2+(y+z)x+yz }
 .t3 ad+bc=-5  -5
`=(y-z)(x+y)(x+z)
0216 x^2=X, y^2=Y로 놓으면 따라서 주어진 식의 인수인 것은 ③이다.
 x^4-x^2y^2-12y^4=X^2-XY-12Y^2
 ③

0223 f(x)=x^3-6x^2+5x+12로 놓으면


=(X+3Y)(X-4Y)
f(-1)=-1-6-5+12=0
=(x^2+3y^2)(x^2-4y^2)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 -1 1 -6 5 `` 12
=(x^2+3y^2)(x+2y)(x-2y)
-1 7 ``-12
따라서 주어진 식의 인수가 아닌 것은 ③이다.
f(x)=(x+1)(x^2-7x+12) 1 -7 12`` 0
분해하면
 ③

0217 x^4-x^2+16=(x^4+8x^2+16)-9x^2 =(x+1)(x-3)(x-4)


=(x^2+4)^2-(3x)^2  .t3 a^2+b^2+c^2=1^2+(-3)^2+(-4)^2=26  26

=(x^2+3x+4)(x^2-3x+4)
0224 f(x)가 x-1을 인수로 가지므로
따라서 a=3, b=4, c=4이므로 a-b+c=3
⇨ ❶

f(1)=1-a-6+8=0    .t3 a=3


 3
⇨ ❷

따라서 f(x)=x^3-3x^2-6x+8이므 1 1 -3 -6 8
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 1 -2 -8
채점 기준 비율

❷ a-b+c의 값을 구할 수 있다.
1 -2 -8 0
❶ 주어진 식을 인수분해할 수 있다. 70%

 f(x)=(x-1)(x^2-2x-8)
분해하면
30%

=(x-1)(x+2)(x-4)  (x-1)(x+2)(x-4)
0218 주어진 식을 x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x^2+(2y+3)x-(3y^2-5y-2) 0225 f(x)=2x^4-5x^3-8x^2+17x-6으로 놓으면
`=x^2+(2y+3)x-(3y+1)(y-2)  f(1)=2-5-8+17-6=0,
`={x+(3y+1)}{x-(y-2)} f(-2)=32+40-32-34-6=0
`=(x+3y+1)(x-y+2)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분해하면
따라서 a=3, b=1, c=-1이므로 a+b-c=5  5
1 2 -5 -8 17 -6
0219 주어진 식을 c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2 -3 -11 6
(-a+b)c+(a^2b-ab^2)=-(a-b)c+ab(a-b) -2 2 -3 -11 6 0
=(a-b)(ab-c) -4 14 -6

따라서 주어진 식의 인수인 것은 ①이다.  ① 2 -7 3 0

16 • 정답 및 풀이
본책 31~34쪽

.t3
 f(x)=(x-1)(x+2)(2x^2-7x+3)
=(x-1)(x+2)(2x-1)(x-3)  a^4-b^4+c^4+2c^2a^2=(a^2+c^2)^2-(b^2)^2
0230 주어진 등식의 좌변을 인수분해하면

따라서 주어진 식의 인수가 아닌 것은 ②이다. =(a^2+b^2+c^2)(a^2-b^2+c^2)


즉 (a^2+b^2+c^2)(a^2-b^2+c^2)=0에서 a^2+b^2+c^2not=0이므로
 ②

0226 f(x)가 x-2로 나누어떨어지므로  a^2-b^2+c^2=0  .t3  a^2+c^2=b^2


f(2)=8a-16+2a+6=0  .t3  a=1 따라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삼각형은 빗변의 길이가 b인 직
따라서 f(x)=x^3-4x^2+x+6이므로 2 1 -4 1 6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분 2 -4 -6
각삼각형이므로 그 넓이는

1/2
ac
1 -2 -3 0
 ③

f(x)=(x-2)(x^2-2x-3)
해하면

=(x-2)(x+1)(x-3) 0231 x^4+x^2y^2+y^4=(x^2+xy+y^2)(x^2-xy+y^2)

02
따라서 f(x)의 인수인 것은 ③이다. ={(x+y)^2-xy}{(x+y)^2-3xy}
=(4^2-2)(4^2-3.c12)
 ③

나머지정리와 인수분해
=140
0227 f(x)=x^3+ax-2로 놓으면 f(x)가 x+1을 인수로 가지
(주어진 식)=(x^2+y^2)^2-x^2y^2
 ②

므로 f(-1)=-1-a-2=0 .t3
 a=-3
={(x+y)^2-2xy}^2-(xy)^2
따라서 f(x)=x^3-3x-2이므로 조 -1 1 0 -3 -2
⇨ ❶

=(4^2-2.c12)^2-2^2
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분 -1 1 2
=140
1 -1 -2 0
f(x)=(x+1)(x^2-x-2)
해하면

=(x+1)^2(x-2) 0232 a+b=(1+12)+(1-12)=2,


 .t3
 b=-2 a-b=(1+12)-(1-12)=212,
 .t3
 ab=6 ab=(1+12)(1-12)=-1
⇨ ❷

 6  .t3
 a^3-a^2b+ab^2-b^3=a^2(a-b)+b^2(a-b)
⇨ ❸ ⇨ ❶

=(a^2+b^2)(a-b)
={(a+b)^2-2ab}(a-b)
a^2+b^2=(a-b)^2+2ab임을

❶ a의 값을 구할 수 있다.
채점 기준 비율

={2^2-2·(-1)}·212
이용해도 된다.

❷ 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1212
❸ a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1212
⇨ ❷
20%

0228 주어진 등식의 좌변을 c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한 후 ❶ a+b, a-b, a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채점 기준 비율

❷ a^3-a^2b+ab^2-b^3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a+b)c+a^2-b^2=-(a-b)c+(a+b)(a-b)
인수분해하면 60%

=(a-b)(a+b-c)
즉 (a-b)(a+b-c)=0에서 a+b-cnot= 0이므로 0233 a^3+b^3+c^3=3abc에서 a^3+b^3+c^3-3abc=0
 a-b=0 .t3
 a=b
따라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삼각형은 a=b인 이등변삼각형 a^3+b^3+c^3-3abc
좌변을 인수분해하면

이다. `=(a+b+c)(a^2+b^2+c^2-ab-bc-ca)
`=1/2
(a+b+c){(a-b)^2+(b-c)^2+(c-a)^2}
 ④

a+b-cnot=
0이다.
삼각형의 두 변의 길이의 합은 나머지 한 변의 길이보다 항상 크므로

즉 (a+b+c){(a-b)^2+(b-c)^2+(c-a)^2}=0에서
a+b+cnot=
0이므로
(a-b)^2+(b-c)^2+(c-a)^2=0
 a^3+b^3+c^3-3abc
0229 주어진 등식의 좌변을 인수분해하면

 a-b=0, b-c=0, c-a=0


`=(a+b+c)(a^2+b^2+c^2-ab-bc-ca)
 .t3
 a=b=c
`=1/2
(a+b+c){(a-b)^2+(b-c)^2+(c-a)^2} b 3c 4a
 .t3
 + + =1/2 +3+4=^15/2
  ^15
/2

즉 (a+b+c){(a-b)^2+(b-c)^2+(c-a)^2}=0에서 2a b c
a+b+cnot=
0이므로
 (a-b)^2+(b-c)^2+(c-a)^2=0 0234 x=77, y=33으로 놓으면
a-b=0, b-c=0, c-a=0 77^3-33^3 x^3-y^3
=
77^2+33.c1110 x^2+y(x+y)
 .t3
 a=b=c
(x-y)(x^2+xy+y^2)
따라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삼각형은 정삼각형이다. =
x^2+xy+y^2
 정삼각형 =x-y=77-33=44  ②

02``나머지정리와 인수분해 • 17
정답 및 풀이

0235 x=100으로 놓으면 `f(-1)=-a+b, `f(1)=a+b


98·100·103·105+25=(x-2)x(x+3)(x+5)+25  -1-3-4-6=-a+b, 1-3+4-6=a+b
={(x-2)(x+5)}{x(x+3)}+25 .t3 -a+b=-14, a+b=-4
=(x^2+3x-10)(x^2+3x)+25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5, b=-9
x^2+3x=t로 놓으면 따라서 R(x)=5x-9이므로 R(3)=5.c13-9=6
⇨ ❷

 (x^2+3x-10)(x^2+3x)+25=(t-10)t+25  6
⇨ ❸

=t^2-10t+25
=(t-5)^2 ❶ f(x)를 x^2-1로 나누었을 때의 몫과 나머지를 이용하여 나타낼
채점 기준 비율

=(x^2+3x-5)^2
40%

=(100^2+3·100-5)^2 ❷ a, 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수 있다.

=(10000+300-5)^2 ❸ R(3)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10295^2
20%

.t3 298.c1s100x.c1103x.c1105x+25x=210s295^2x=10295  10295


다항식 `f(x)가 x-a로 나누어떨어지면 `f(a)=0임을

0241

0236 f(1)=1-4+3+4-4=0, f(-1)=1+4+3-4-4=0 `f(x)가 x+2로 나누어떨어지므로 `f(-2)=0


이용한다.

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분해하면 -8-4a-16+a=0, 3a=-24


1 1 -4 3 4 -4 .t3 a=-8
1 -3 0 4
 ③

-1 1 -3 0 4 0
-1 4 -4
0242 인수정리와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주어진 식을 인수분해

1 -4 4 0 `f(x)=4x^3-7x-3으로 놓으면
한다.

`f(-1)=-4+7-3=0
.t3 f(x)=(x-1)(x+1)(x^2-4x+4)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분 -1 4 0 -7 -3
=(x-2)^2(x+1)(x-1)

 .t3 f(2.1)=0.1^2\3.1\1.1=0.0341 -4 4 3
`f(x)=(x+1)(4x^2-4x-3) 4 -4 -3 0
해하면
 ②

=(x+1)(2x+1)(2x-3)
0237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1, x=2, x=0을 각각 대입하면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적당한 값을 대입한다.
따라서 주어진 식의 인수인 것은 ④이다.  ④

8=c, 17=b+c, 1=2a-b+c


.t3 a=1, b=9, c=8
0243 주어진 등식의 좌변을 x에 대하여 정리한 후 항등식의 성

.t3 a+b+c=18
주어진 등식의 좌변을 x에 대하여 정리하면
질을 이용한다.
 ⑤

 (a^2-a-2)x-(a^2-10a+16)=0
0238 이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주어진 등식의 우변이 a_0+a_1+a_2+.c3+a_8이 되도록 양

 a^2-a-2=0, a^2-10a+16=0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a^2-a-2=0에서 (a+1)(a-2)=0
변에 적당한 값을 대입한다.

 4^4=a_0+a_1+a_2+.c3+a_8 .t3 a=-1 또는 a=2


.t3 a_0+a_1+a_2+.c3+a_8=256  256
 a^2-10a+16=0에서 (a-2)(a-8)=0
.t3 a=2 또는 a=8
0239 다항식 `f(x)를 x-a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f(a)임 , 에서 a=2  .t3 a^2=4  ②

`f(x)=x^4-2x^3+ax+14라 하면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을 이용한다.

`f(2)=4이므로 16-16+2a+14=4 (x+1)f(x)=x^3+4x^2-10x+a의 양변에 x=-1을 대입


0244 먼저 a의 값을 구한 후 우변을 인수분해한다.

2a=-10  .t3 a=-5  -5

0=-1+4+10+a .t3 a=-13


하면

-1 1 4 -10 -13
x^3+4x^2-10x-13 이므로 조립
0240
b는 상수)로 놓을 수 있다. -1 ``-3 13
다항식을 이차식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ax+b`(a, 따라서 주어진 등식의 우변은

`f(x)를 x^2-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나머지를 1 3 -13 0


R(x)=ax+b`(a, b는 상수)라 하면
제법을 이용하여 이것을 인수분해

`f(x)=(x^2-1)Q(x)+ax+b  (x+1)f(x)=(x+1)(x^2+3x-13)
하면

=(x+1)(x-1)Q(x)+ax+b .c3.c3`㉠  .t3 `f(x)=x^2+3x-13


㉠의 양변에 x=-1, x=1을 각각 대입하면  .t3 `f(-1)=1-3-13=-15  -15


⇨ ❶

18 • 정답 및 풀이
본책 34~37쪽

따라서 `f(x)를 x-3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f(3)=(3-1)Q(3)+9=2.c115+9=39
0245 삼차식을 이차식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일차식임을 이

x^3+ax^2+7x+b를 (x-1)^2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x+c  39


용한다. ⇨ ❸

(c는 상수)라 하면
 x^3+ax^2+7x+b=(x-1)^2(x+c) ❶ f(x)를 Q(x)를 이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채점 기준 비율

=(x^2-2x+1)(x+c) ❷ Q(3)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x^3+(c-2)x^2+(1-2c)x+c
40%

이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 ❶ ❸ 나머지를 구할 수 있다. 30%

 a=c-2, 7=1-2c, b=c


 .t3
 a=-5, b=-3, c=-3
x^2+x=t로 놓으면
0250 공통부분을 치환하여 인수분해한다.

 .t3
 ab=15

02
 15 (주어진 식)=(t+3)(t-4)+10
⇨ ❷

=t^2-t-2

나머지정리와 인수분해
=(t+1)(t-2)
❶ x에 대한 항등식을 세울 수 있다.
채점 기준 비율

=(x^2+x+1)(x^2+x-2)
❷ a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70%

=(x^2+x+1)(x+2)(x-1)
30%

따라서 a=2, b=1이므로 a+b=3  3


0246 다항식 `f(x)를 x-a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f(a)임

`f(x)=x^2+ax+b`(a, b는 상수)라 하면 나머지정리에 의하


을 이용한다.
0251 주어진 식을 전개한 후 한 문자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여 f(1)=6, `f(2)=10
[a, b, c]+[b, c, a]+[c, a, b]
정리한다.

1+a+b=6, 4+2a+b=10
`=a^2(b-c)+b^2(c-a)+c^2(a-b)
 .t3
 a+b=5, 2a+b=6
`=a^2b-a^2c+b^2c-ab^2+ac^2-bc^2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1, b=4
`=(b-c)a^2-(b^2-c^2)a+bc(b-c)
따라서 `f(x)=x^2+x+4이므로 `f(x)를 x-3으로 나누었을 때의
`=(b-c)a^2-(b+c)(b-c)a+bc(b-c)
나머지는 `f(3)=9+3+4=16  16
`=(b-c){a^2-(b+c)a+bc}
`=(b-c)(a-b)(a-c)=(a-b)(b-c)(a-c)  ⑤
0247
`f(aa+b)임을 이용한다.
다항식 `f(ax+b)를 x-a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f(x)를 (x-2)(x-5)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라 하면


`f(x)=(x-2)(x-5)Q(x)+3x+1
0252 주어진 등식의 좌변을 인수분해하여 a, b, c 사이의 관계

양변에 x=5를 대입하면 `f(5)=16 주어진 등식의 좌변을 c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한 후 인
식을 구한다.

`f(x+4)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f(1+4)=`f(5)=16 a^2+b^2-2ab-bc+ac=(a-b)c+a^2-2ab+b^2
수분해하면

=(a-b)c+(a-b)^2
 ④

0248 =(a-b)(a-b+c)
`f(aa+b)임을 이용한다. 즉 (a-b)(a-b+c)=0에서 a-b+cnot= 0이므로
다항식 `f(ax+b)를 x-a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f(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7이므로 a-b=0 .t3


 a=b
`f(2)=8+2a+b=7 따라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삼각형은 a=b인 이등변삼각형

 .t3
 2a+b=-1 .c3
.c3
`㉠
f(2x+2015)를 x+1008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4이므로
이다.  ④

f(2.c1(-1008)+2015)=f(-1)=-1-a+b=4
 .t3
 -a+b=5 .c3
.c3
`㉡ a^2+b^2+c^2-ab-bc-ca
㉠, ㉡을 연립하여 풀면 a=-2, b=3
0253
=1/2
{(a-b)^2+(b-c)^2+(c-a)^2}임을 이용한다.
 .t3
 ab=-6
a^2+b^2+c^2-ab-bc-ca
 ③

0249 다항식 `f(x)를 x-a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Q(x), 나머 `=1/2


{(a-b)^2+(b-c)^2+(c-a)^2}
이때 a-b=6, b-c=-3에서
`f(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Q(x), 나머지가 9이므
지가 R이면 `f(x)=(x-a)Q(x)+R임을 이용한다.

a-c=3, 즉 c-a=-3
로 f(x)=(x-1)Q(x)+9
Q(x)를 x-3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15이므로
⇨ ❶
이므로
(주어진 식)=1/2
{6^2 +(-3)^2 +(-3)^2 }=27  27
Q(3)=15 ⇨ ❷

02``나머지정리와 인수분해 • 19
정답 및 풀이

68을 문자로 치환한 후 인수분해 공식을 이용한다.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68=t로 놓으면 f(1)+8=9a+9b
0254

t^3+2^3 (t+2)(t^2-2t+4)  9=9a+9b .t3 a+b=1 .c3.c3 ㉢


a= =
t(t-2)+4 t^2-2t+4 ㉡, ㉢을 연립하여 풀면 a=-4, b=5
=t+2=70 따라서f(x)+8=(x+2)^2(-4x+5)이므로 이 식의 양변에
a-2 x=-3을 대입하면
 .t3 a+2 =^68/72=^17
/18  ^17
/18
f(-3)+8=(-3+2)^2{-4.c1(-3)+5}
 .t3 f(-3)=9  ④

0255
ax^2+bx+c (a, b, c는 상수)로 놓는다.
삼차식을 이차식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0258 다항식 x^2+ax+b가 완전제곱식으로 인수분해되려면

f(x)를 (x-2)^2(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나머 b=(a


2)^^2이어야 한다.
/
지를 R(x)=ax^2+bx+c (a, b, c는 상수)라 하면 (x+1)(x-2)(x+3)(x-4)+a
f(x)=(x-2)^2(x+1)Q(x)+ax^2+bx+c ` =(x^2-x-2)(x^2-x-12)+a
f(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7이므로 ax^2+bx+c를 x^2-x=t로 놓으면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7이다. (주어진 식)=(t-2)(t-12)+a
 .t3 a-b+c=7 .c3.c3 ㉠ =t^2-14t+24+a .c3.c3 ㉠

또 f(x)를 (x-2)^2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x-1이므로 주어진 식이 x에 대한 이차식의 완전제곱 꼴로 인수분해되려면 ㉠


ax^2+bx+c를 (x-2)^2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x-1이다. 이 t에 대한 완전제곱식으로 인수분해되어야 하므로
.t3 ax^2+bx+c=a(x-2)^2+x-1 24+a=(-7)^2 .t3a=25  25
=ax^2+(-4a+1)x+4a-1
이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b=-4a+1, c=4a-1 .c3.c3 ㉡
0259 주어진 식을 x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한 후 인수분

㉡을 ㉠에 대입하면 a-(-4a+1)+4a-1=7 주어진 식을 x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해한다.

 9a-2=7  .t3 a=1 x^2+(a-y)x-(2y^2-7y-9)


a=1을 ㉡에 대입하면 b=-3, c=3 ` =x^2+(a-y)x-(y+1)(2y-9)
.t3 R(x)=x^2-3x+3 이 식이 x, y에 대한 두 일차식의 곱으로 인수분해되려면
-(2y-9)+(y+1)=a-y
 ②

-y+10=a-y .t3 a=10  ①


0256
r라 하면 a=bq+r(0_<r<b)임을 이용한다.
자연수 a를 자연수 b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 나머지를

⑴ x^8을 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나머지를 R라


x^2+ax+b가 두 일차식 x+a, x+b의 곱으로 인수분해되면, 즉
x^2+ax+b=(x+a)(x+b)
x^8=(x+2)Q(x)+R .c3.c3 ㉠
하면
이면 a=a+b, b=ab
㉠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R=256
따라서 구하는 나머지는 256이다.
⑵ ㉠의 양변에 x=99를 대입하면 0260 주어진 식을 인수분해한 후 조건을 대입하여 식을 간단히

99^8=101Q(99)+256
1-x^2-4y^2+4xy=1-(x^2-4xy+4y^2)
한다.

=101{Q(99)+2}+54

=1-(x-2y)^2

따라서 구하는 나머지는 54이다.  ⑴ 256 ⑵ 54


={1+(x-2y)}{1-(x-2y)}
=(1+x-2y)(1-x+2y)
이때 x+2y+1=0에서
1+x=-2y, 1+2y=-x
0257 삼차식을 이차식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일차식임을 이

f(x)+8을 (x+2)^2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ax+b(a, b는 .t3 (주어진 식)=(-2y-2y)(-x-x)


용한다.

상수)라 하면 =(-4y).c1(-2x)
f(x)+8=(x+2)^2(ax+b) .c3.c3 ㉠ =8xy
한편 f(x)-1이 x^2-1, 즉 (x+1)(x-1)로 나누어떨어지므로 x+2y+1=0에서 x=-2y-1
 ③

f(-1)-1=0, f(1)-1=0 x=-2y-1을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t3 f(-1)=1, f(1)=1 1-x^2-4y^2+4xy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 =1-(-2y-1)^2-4y^2+4(-2y-1)y

f(-1)+8=-a+b `=-16y^2-8y
 9=-a+b .t3 a-b=-9 .c3.c3 ㉡ `=8y(-2y-1)=8xy

20 • 정답 및 풀이
본책 37~43쪽

0286 (6-i)(-1-4i)=-6-24i+i+4i ^2

03
=-6-23i-4
Ⅱ. 방정식
=-10-23i  -10-23i

복소수
03 복소수

 실수부분: 2, 허수부분: 3 1 5-i 5-i


0261 0287 5+i =(5+i)(5-i)= 25-i ^2
5-i 5 1  5 - 1 i
 실수부분: -3, 허수부분: 15 = = - i
25+1 26 26 ~ 26 26 ~
0262 0124

 실수부분: 4/3, 허수부분: -2/3 4-i (4-i)(2-3i) 8-12i-2i+3i^2


0263 0288 2+3i = (2+3i)(2-3i) = 4-9i ^2
8-14i-3 5 14  5 - 14 i
= = - i
 실수부분: 0, 허수부분: -2 4+9 13 13 ~ 13 13 ~
0125
0264

0265  실수부분: 4, 허수부분: 0 0289 i^6 =i^4 .c1 i ^2 =-1  -1

0266  ㄱ, ㄷ, ㅁ, ㅅ 0290 (-i)^7 =-i ^7 =-i^4 .c1 i ^3 =i i

0267  ㄴ, ㄹ, ㅂ, ㅇ 0291 i^1 ^0 +i^1 ^0 ^0 =(i^4 )^2 .c1 i ^2 +(i^4 )^2 ^5 =-1+1=0 0

0268  ㄹ, ㅇ 0292 1-6a=ro6~i  ro6~i

0269 ㄱ, ㄴ. 순허수 0293 1-25a=125q i=5i  5i


ㄷ. 1+i ^2 =1+(-1)=0이므로 실수이다.
이상에서 순허수가 아닌 허수는 ㄹ뿐이다. ㄹ 0294 -1-9a=-ro9~i=-3i  -3i

0270  a=-1, b=3 0271  a=0, b=-4 0295 -1-12a=-112q i=-2ro3~i  -2ro3~i

 a=7, b=0  a=-3, b=2


9r=44/9 i=2
0296 4-4
/ 3i
/ 3i
2
/
0272 0273

 a=4, b=-8  a=0, b=9


0297 z1-5a=zro5~i  zro5~i
0274 0275

 4-3i  -5i-6
0298 z1-8a=zro8~i=z2ro2~i  z2ro2~i
0276 0277

 -7+2i  -2i
0299 z1-16a=z116q i=z4i
0278 0279
 z4i

 6i 8
0300 z1-20a=z120q i=z2ro5~i  z2ro5~i
0280 0281

0282 (-1+4i)+(7-3i)=(-1+7)+(4-3)i
=6+i  6+i 0301 z4-1/4r=z41/4 i=z1/2i  z1/2i

0283 (2+5i)-(-8+i)=(2+8)+(5-1)i 0302 1-2 a 1-6a=ro2~i.c1 ro6~i=112q i ^2 =-2ro3  -2ro3


=10+4i  10+4i

0303 1-4a 1-9a=ro4~i.c1 ro9~i=136q i ^2 =-6  -6


0284 (-3+i)-(9-2i)+6i=(-3-9)+(1+2+6)i
=-12+9i  -12+9i
118q 3ro2 3i
= = =-3i  -3i
1-2a 12i i ^2
0304
0285 (4+i)(2+5i)=8+20i+2i+5i^2
=8+22i-5 1
ro3
=
ro3
=
13 i
=- i -1 i
=3+22i  3+22i 1-a12a ro12~i 2ro3~i ^2 2 2
0305

03``복소수• 21
정답 및 풀이

0306 ④ 1-5i의 실수부분은 1, 허수부분은 -5이다. 1-3i 1-3i


3x^2-3x+5=3.c1( )^^2-3.c1 +5
2 2
④

1-6i-9 3 9
0307 허수는 -3i, -1-i, 3+1-1a=3+i의 3개이다. 3 =3.c1 - + i+5
4 2 2
2+i^2=2-1=1이므로 실수이다. 9 3 9 5
=-6- i- + i+5=-
2 2 2 2
0308 ① (3+5i)+(4-3i)=7+2i
③ (3-i)(3+i)=3^2-i^2=9-(-1)=10 0314 z= 2+i = (2+i)(1-i) = 2-2i+i+1 = 3-i 에서
1+i (1+i)(1-i) 1+1 2
④ (1+2i)(2-i)=2-i+4i-2i^2=4+3i 2z-3=-i
1 1 (1+i)+(1-i) 2 4z^2-12z+9=-1
+ = = =1
1-i 1+i (1-i)(1+i) 1+1
4z^2-12z+10=0 .t3 2z^2-6z+5=0
⑤ ② 양변을 제곱하면

.t3 2z^3-6z^2+7z+2=z(2z^2-6z+5)+2z+2
0309 3+12~i + 3-12~i = (3+12~i)^2+(3-12~i)^2 =2z+2=2.c1
3-i
+2
3-12~i 3+12~i (3-12~i)(3+12~i) 2
9+612~i-2+9-612~i-2 =5-i  5-i
=
9+2
14
= 0315 x(x+1+i)-(2+i) =x^2+x+xi-2-i
11
=(x^2+x-2)+(x-1)i
③

0310 (3-i)(4+2i)+ 4+3i x^2+x-2=0, x-1not=0


2-i
이것이 순허수가 되려면

(4+3i)(2+i) x^2+x-2=0에서 (x+2)(x-1)=0


=12+6i-4i+2+
(2-i)(2+i) .t3 x=-2 또는 x=1
8+4i+6i-3
=14+2i+ 이때 x-1not=0, 즉 xnot=1이므로 x=-2
4+1
=14+2i+1+2i=15+4i  15+4i
④

0316 i(a+i)^2=i(a^2+2ai-1)=-2a+(a^2-1)i ⇨❶

0311 (2+3i)@(4-i) a^2-1=0, a^2=1 .t3 a=1 (.T3 a>0)


이것이 실수가 되려면

=(2+3i)-(4-i)+2(2+3i)(4-i) 1
⇨❷

=-2+4i+2(8-2i+12i+3)
⇨❶

=-2+4i+22+20i=20+24i
따라서 구하는 허수부분은 24이다. ❶ i(a+i)^2을 (실수부분)+(허수부분)i로 나타낼 수 있다.
⇨❷ 채점 기준 비율

❷ 양수 a의 값을 구할 수 있다.
 24
40%
⇨❸
60%

0317 (1+i)x^2+(2i-7)x+10-8i
채점 기준 비율

`=(x^2-7x+10)+(x^2+2x-8)i
❶ 연산의 의미를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다. 30%

이것이 0이 아닌 실수가 되려면


❷ 복소수의 사칙계산을 할 수 있다. 50%

x^2-7x+10not=0, x^2+2x-8=0
❸ 허수부분을 구할 수 있다. 20%

x^2-7x+10not=0에서 (x-2)(x-5)not=0
0312 x=1+13~i에서 x-1=13~i
.t3 xnot=2, xnot=5 ……`㉠
x^2-2x+1=-3 .t3 x^2-2x=-4
x^2+2x-8=0에서 (x+4)(x-2)=0
양변을 제곱하면

.t3 x=-4 또는 x=2 ……`㉡


2x^2-4x+6 =2(x^2-2x)+6=2.c1(-4)+6=-2
이를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 ㉡에서 x=-4  -4
2x^2-4x+6 =2(1+13~i)^2-4(1+13~i)+6
①

=2(1+213~i-3)-4-413~i+6
0318 z=x(2-i)+2(i-3)=2x-xi+2i-6
=-4+413~i+2-413~i=-2 =(2x-6)+(-x+2)i
z^2 실수가 되려면 z는 순허수이어야 하므로
0313 x= 1-3i 에서 2x-1=-3i 2x-6=0, -x+2not=0
이 음의

2
.t3 x=3 3
xnot=2
양변을 제곱하면 4x^2-4x+1=-9
4x^2-4x=-10 .t3 x^2-x=-5/2 0319 z^2이 실수가 되려면 z는 실수 또는 순허수이어야 하므로
a^2-4a+3=0 또는 a-1=0
3x^2-3x+5=3(x^2-x)+5 .t3 a=1 또는 a=3
이를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따라서 구하는 모든 실수 a의 값의 합은
=3.c1(-5/2)+5=-5/2  -5/2
1+3=4 ②

22 • 정답 및 풀이
본책 44~47쪽

z^2 =(a^2 -4a+3)^2 -(a-1)^2 +2(a^2 -4a+3)(a-1)i 0325 z_1 ~z_1 q +z_1 q ~z_2 =(1+2i)(1-2i)+(1-2i)(2-5i)

03
=1+4+2-5i-4i-10
2(a^2 -4a+3)(a-1)=0, (a-1)^2 (a-3)=0 =-3-9i  -3-9i
이것이 실수가 되려면

복소수
.t3
a=1 또는 a=3
a^2 -4a+3=(a-1)(a-3)

0320 z=(1+5i)(a-i)=a-i+5ai+5 0326 1-z = 1-(3-2i) = (-2+2i)(3-2i)


zq 3+2i (3+2i)(3-2i)
=(a+5)+(5a-1)i -6+4i+6i+4 2 10
= =- + i
z^2 이 양의 실수가 되려면 z는 0이 아닌 실수이어야 하므로 9+4 13 13
②

a+5not=
0, 5a-1=0
0327 z= 2 = 2(1-i) 2(1-i)
anot=
-5
.t3
a=1/5  1/5 = =1-i
1+i (1+i)(1-i) 1+1
⇨❶

.t3
1+z q+zzq=1+(1+i)+(1-i)(1+i)
0321 x(2-i)-y(3+2i)=3-5i에서
=1+1+i+1+1
2x-xi-3y-2yi=3-5i
=4+i
(2x-3y)+(-x-2y)i=3-5i
 4+i
⇨❷

2x-3y=3, -x-2y=-5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x=3, y=1 ❶ z를 간단히 할 수 있다.


채점 기준 비율

.t3
xy=3 3 ❷ 1+zw+zzw의 값을 구할 수 있다.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40%
60%

0328 x+y=(3+i)+(3-i)=6, xy=(3+i)(3-i)=10이므로


x-6=0, 2x-13y+1=0
0322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y x x^2 +y^2 (x+y)^2 -2xy 6^2 -2.c1 10 8
.t3
x=6, y=1 .t3
x+y=7 7 + = = = =
x y xy xy 10 5
y x 3-i 3+i (3-i)^2 +(3+i)^2
②

x y 6 + = + =
0323 2+i + 2-i = 1+3i 에서 x y 3+i 3-i (3+i)(3-i)
9-6i-1+9+6i-1 8
x(2-i)+y(2+i) 6(1-3i) = =
= 9+1 5
(2+i)(2-i) (1+3i)(1-3i)
2(x+y)-(x-y)i 3-9i
=
1-9i ^2 =1+9=10

5 5 0329 x+y=(2+13~i)+(2-13~i)=4,
2(x+y)-(x-y)i=3-9i xy=(2+13~i)(2-13~i)=7이므로
x^2 +y^2 =(x+y)^2 -2xy=4^2 -2.c1 7=2 2
⇨❶

3 x^2 +y^2 =(2+13~i)^2 +(2-13~i)^2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x+y= , x-y=9
2 =4+413~i-3+4-413i-3
21 15 =2
x= , y=-
4 4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21 15 27
⇨❷

.t3
2x+y=2.c1 +(- )=
4 4 4 0330 x+y= 1+13~i + 1-13~i =1
2 2
⇨❸

 ^27
/4 1+13~i 1-13~i 1+3
xy= .c1 = =1
2 2 4
① x+y=1
❶ 주어진 식의 양변을 각각 (실수부분)+(허수부분)i로 나타낼 수 ② x^2y^2=(xy)^2 =1^2 =1
채점 기준 비율

x+y
x+1 y= =1/1=1
40%

③1/ /
❷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을 이용하여 x, y의 값을 구할 수 있다.
xy
있다.

❸ 2x+y의 값을 구할 수 있다. ④ x^2 y+xy^2 =xy(x+y)=1.c1 1=1


50%

⑤ x^3 +y^3 =(x+y)^3 -3xy(x+y)


10%

0324 x^2 +y^2 i+x+yi-2-6i=0에서 =1^3 -3.c1 1.c1 1=-2


(x^2 +x-2)+(y^2 +y-6)i=0
⑤

0331 z=a+bi(a, b는 실수)로 놓자.


x^2 +x-2=0, y^2 +y-6=0 ㄱ. z+zq =(a+bi)+(a-bi)=2a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x^2 +x-2=0에서 (x+2)(x-1)=0 따라서 z+zq 는 실수이다.


.t3
x=-2 또는 x=1 ㄴ. z=1+i이면 -zq =-(1-i)=-1+i
y^2 +y-6=0에서 (y+3)(y-2)=0 .t3
znot=
-zq
.t3
y=-3 또는 y=2 ㄷ. z=zq 에서 a+bi=a-bi, 2bi=0 .t3
b=0
.t3 x+y=-5 또는 x+y=-2 또는 x+y=0 또는 x+y=3 따라서 z=a이므로 z는 실수이다.
따라서 x+y의 값이 될 수 없는 것은 ⑤이다. ⑤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뿐이다. ①

03``복소수• 23
정답 및 풀이

0332 zq =z이므로 z는 실수이다. 0339 z=a+bi(a, b는 실수)로 놓으면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은 0, 12+1의 2개이다. 2 z+zq =(a+bi)+(a-bi)=2a=6 .t3 a=3
zzq =(a+bi)(a-bi)=a^2+b^2=9+b^2=25
⇨❶

0333 z=-zq , 즉 z+zq =0이고 znot=0이므로 z는 순허수이다. b^2=16 .t3 b=±4


따라서 z=(x^2-x-6)+(x^2-4)i에서 .t3 z=3±4i
⇨❷

x^2-x-6=0, x^2-4not=0  3±4i


⇨❸

x^2-x-6=0에서 (x+2)(x-3)=0
.t3 x=-2 또는 x=3 ……`㉠ ❶ z=a+bi로 놓고 a의 값을 구할 수 있다.
채점 기준 비율

x^2-4not=0에서 x^2not=4 .t3 xnot=±2 ……`㉡ ❷ 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 ㉡에서 x=3 3 ❸ 복소수 z를 구할 수 있다.


40%
20%

0334 z^2이 실수이므로 z^2=zq ^2


0340 z=a+bi (a, b는 실수)로 놓으면
z^2-zq ^2=0, (z-zq )(z+zq )=0
z+zi=(a+bi)+(a+bi)i=a+bi+ai-b
이때 z는 허수이므로 znot=zq 이다.
=(a-b)+(a+b)i
.t3 z+zq =0, 즉 z=-zq
z는 순허수이므로 z=bi(b는 0이 아닌 실수)라 하면
②

(a-b)-(a+b)i=4-2i
이므로 주어진 식은
③ z~z q=bi.c1(-bi)=-b^2i ^2=b^2not=0
④ z ~zq=-1, 즉 b^2=-1을 만족시키는 실수 b의 값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a-b=4, a+b=2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z~zqnot=-1
⑤ z~znot=
q 0, z+z= q 0이므로 z~znot=
q z+zq a=3, b=-1
따라서 z=3-i이므로 z의 실수부분과 허수부분의 곱은 -3이다.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0335 alphaalphaq+alphaqbeta+alphabetaw+betabetaw=alphaq(alpha+beta)+betaw(alpha+beta)
③

=(alpha+beta)(alphaq+betaw)
0341 z=a+bi(a, b는 실수, bnot=0)로 놓으면
=(alpha+beta)( alpha+betax )
1
이때 alpha=4+3i, beta=-1-2i이므로 z+1/z=a+bi+
a+bi
alpha+beta=3+i, alpha+betax =3-i a-bi
=a+bi+
.t3 (주어진 식)=(3+i)(3-i)=10  10 (a+bi)(a-bi)
a-bi
=a+bi+
a^2+b^2
0336 alphaalphaq-alphabetaw-alphaqbeta+betabetaw=alpha(alphaq-betaw)-beta(alphaq-betaw) a b
=(a+ )+(b- )i
=(alpha-beta)(alphaq-betaw) a^2+b^2 a^2+b^2
=(alpha-beta)( alpha-betax ) 이때 z+1/z이 실수이려면
=(5-3i)(5+3i)
b
=34  34 b- =0 .t3 a^2+b^2=1
a^2+b^2
.t3 zzq=(a+bi)(a-bi)=a^2+b^2=1 1
1 1
0337 alphaalphaq=1, betabetaw=1에서 alphaq= , betaw=
alpha beta 0342 음이 아닌 정수 k에 대하여
1 1
⇨❶

.t3 + =alphaq+betaw=alpha+betax=3-2ix=3+2i i ^4^k=1, i ^4^k^+^1=i, i^4^k^+^2=-1, i ^4^k^+^3=-i


alpha beta
⇨❷

 3+2i
1+i+i ^2+…+i ^2^0^0
이므로

`=(1+i-1-i)+(1+i-1-i)+…+(1+i-1-i)+1
`=1
채점 기준 비율

1 1
❶ 주어진 조건을 변형할 수 있다. 40%

❷ + 의 값을 구할 수 있다.
④

0343 i=i^5=i^9, i ^2=i^6=i ^1^0=-1, i ^3=i^7=-i, i ^4=i^8=1이므


60%
a b

0338 z=a+bi (a, b는 실수)로 놓으면 주어진 식은 1 1 1 1


+ + +…+
(3-i)(a+bi)+2i(a-bi)=3+7i i i ^2 i^3 i^1^0
3a+3bi-ai+b+2ai+2b=3+7i 1 1 1 1 1
`=( -1- +1)+( -1- +1)+ -1
i i i i i
(3a+3b)+(a+3b)i=3+7i
1 i
`= -1= -1=-1-i
i i ^2
3a+3b=3, a+3b=7 따라서 -1-i=a+bi이므로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a=-2, b=3 a=-1, b=-1


.t3 z=-2+3i .t3 a+b=-2  -2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②

24 • 정답 및 풀이
본책 47~51쪽

0344 음이 아닌 정수 k에 의하여 12 12 12~i 2


= = =-4- r

03
i^4 ^k =1, i ^4 ^k ^+ ^1 =i, i^4 ^k ^+ ^2 =-1, i^4 ^k ^+ ^3 =-i 1-7a 17~i -17 7

1-2a 12~i 2
= =4

복소수
1-7a 17~i 7
i+2i ^2 +3i ^3 +…+30i ^3 ^0
이므로 ④

1-2a 12~i 2 2
`=(i-2-3i+4)+(5i-6-7i+8)+…+(29i-30) = =4 ~i=4-̀ r
17 17 7 7
`=(2-2i)+(2-2i)+…+(2-2i)+(29i-30)
⑤ ③

`=7(2-2i)+(29i-30)
2-1-4a 2-14~i 2-2i 1-~i
`=-16+15i 0351 z= = = =
2+1-4a 2+14~i 2+2i 1+i
따라서 -16+15i=x+yi이므로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1-i)^2 -2i
= = =-i
x=-16, y=15 (1+i)(1-i) 2
⇨❶

.t3
x-y=-31 .t3
z+zq =-i+i=0
0
① ⇨❷

0345 1+i = (1+i)^2


= =i
2i
1-i (1-i)(1+i) 2 ❶ z를 간단히 할 수 있다.
채점 기준 비율

1+i
.t3
( )^^1 ^^0 ^^0 =i ^1 ^0 ^0 =(i ^4 )^2 ^5 =1 1 ❷ z+zq 의 값을 구할 수 있다.
70%

1-i
30%

0346 (1+i)^5 ^0 ={(1+i)^2 }^2 ^5 =(2i)^2 ^5 =2^2 ^5 .c1 i ^4 .c1 ^6 ^+ ^1 =2^2 ^5 i 0352 1-3a 1-27z+1-4 a14+ 1-20z + 148q
1-5a 1-3a
(1-i)^5 ^0 ={(1-i)^2 }^2 ^5 =(-2i)^2 ^5 =(-2)^2 ^5 .c1 i ^4 .c1 ^6 ^+ ^1 =-2^2 ^5 i 20 48
=-181q+1-16z+4 r -4 f
.t3
(1+i)^5 ^0 +(1-i)^5 ^0 =2^2 ^5 i+(-2^2 ^5 i)=0 5 -3
=-9+4i+2-4i
③

1+i 2i =-7
0347 z^2 =( )^^2= =i이므로
2 따라서 -7=a+bi이므로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12
z^2 +z^4 +z^6 +z^8 +z^1 ^0 =i+i ^2 +i ^3 +i ^4 +i ^5 a=-7, b=0
=i-1-i+1+i=i i .t3
b-a=7 7

1+i (1+i)^2 2i 0353 1a-6z 12-az=-2(a-x6)(2x-a)x 에서


0348 1-i =(1-i)(1+i)= 2 =i
a-6<0, 2-a<0 또는 a-6=0 또는 2-a=0
⇨❶

1-i (1-i)^2 -2i


= = =-i .t3
2_<a_<6  2_<a_<6
1+i (1+i)(1-i) 2
⇨❷

n=2k+1 (k는 음이 아닌 정수)이라 하면


1+i 1-i 1x-5z x-5 에서
( )^^2 ^^n ^^+ ^^1 +( )^^4 ^^n ^^+ ^^1 =i^4 ^k ^+ ^3 +(-i)^8 ^k ^+ ^5 =-4 f
1-i 1+i 0354
1x-8z x-8
=i ^3 +(-i)^8 ^k ^+ ^4 .c1 (-i) x-5>0, x-8<0 또는 x-5=0, x-8not=
0
=-i+i^4 ^( ^2 ^k ^+ ^1 ^) .c1 (-i) .t3
5_< x<8
=-i-i=-2i 따라서 구하는 모든 정수 x의 값의 합은
 -2i 5+6+7=18
⇨❸
④

1+i 를 간단히 할 수 있다. 0355 ① 2a^2 bs=2a^2 w.c1 1b=a1b


채점 기준 비율

1-i
② 2ab^2 s=1a.c1 2b^2 w=-b1a
❶ 20%

1-i 를 간단히 할 수 있다.



1+i
20% ④ 1a1b=1aba 2b^2 w=|b|=-b ④
❸ 주어진 식을 간단히 할 수 있다. 60%

순허수가 아닌 허수는 1-i, i-3, 5-1-1a=5-i의 3개이


0356 허수 중에서 실수부분이 0인 허수가 순허수이다.

0349 1-2a 1-4a+ 112q +1-4a 3


1-3a
12
다.

=-18-4 f +14~i
-3
=-212-2i+2i 후 i ^2 =-1임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0357 복소수의 곱셈은 허수단위 i를 문자처럼 생각하여 전개한

=-212  -212 (5-6i)(6+i)=30+5i-36i+6=36-31i


따라서 36-31i=a+bi이므로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0350 ① 1-2a 17=12~i.c1 17=114qi=1-14z a=36, b=-31
② 1-2a 1-7a==12~i.c1 17~i=114qi ^2 =-114q .t3
a+b=5 ③

03``복소수• 25
정답 및 풀이

z_1=a+bi, z_2=c+di (a, b, c, d는 실수)로 놓으면


z_1q=a-bi, z_2q=c-di
0358 복소수 a+bi(a, b는 실수)가 순허수이면 a=0, bnot=0

x(1+2i)-3(4i-1)=x+2xi-12i+3 ① z_1z_1q =(a+bi)(a-bi)=a^2+b^2=0에서


이다.

=(x+3)+(2x-12)i a=0, b=0


따라서 z_1은 실수이다.
x+3=0, 2x-12not=0 ② z_1=z_2q 이면 a+bi=c-di에서 a=c, b=-d이므로
이것이 순허수가 되려면

.t3 x=-3 z_2=c+di=a-bi=z_1q


③ z_1=z_2q 이면 a+bi=c-di에서 a=c, b=-d이므로
①

z_1z_2=(c-di)(c+di)=c^2+d^2
a+bi=c+di(a, b, c, d는 실수)이면 a=c, b=d이
따라서 z_1z_2는 실수이다.
0359
④ z_1+z_2=0이면
다.

z_1q+z_2q=z_1+z_2z=0q=0
2x-1=1, 4-3y=2-x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⑤ z_1z_2q=1이면 1 1
.t3 x=1, y=1 z_1= , z_2q=
⇨❶

`z_2q `z_1
.t3 x+y=2 1 1
⇨❷

z_1= 에서 z_1q=
2 `z_2q z_2
⇨❸

1 1 1
.t3 z_1q + = z_2 +z_2q =z_2q + z_2
z_1
③
❶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을 이용하여 x, y에 대한 식을 세울 수
채점 기준 비율

50%

❷ x, y의 값을 구할 수 있다. z=a+bi (a, b는 실수)로 놓고 그 값이 항상 실수인 것


있다.
0365
❸ x+y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z=a+bi(a, b는 실수)로 놓자.


20% 을 찾는다.

ㄱ. zz=
q (a+bi)(a-bi)=a^2+b^2
x, y가 서로 켤레복소수이므로 x+y, xy의 값을 이용하
따라서 zzq 는 실수이다.
0360
ㄴ. zq-z=a-bi-(a+bi)=-2bi
x+y=(2+i)+(2-i)=4, xy=(2+i)(2-i)=5이므로
여 식의 값을 구한다.

따라서 zq -z는 순허수 또는 0이다.


1 1 x+y 4
x + y = xy = 5
 4/5
ㄷ. zq = a-bi = (a-bi)^2
z a+bi (a+bi)(a-bi)
1 1 1 1 (2-i)+(2+i) 4
+ = + = = a^2-2abi-b^2 a^2-b^2 2ab
x y 2+i 2-i (2+i)(2-i) 5 = = - i
a^2+b^2 a^2+b^2 a^2+b^2

a<0, b<0일 때, 1a1b=-1abq 임을 이용한다. 따라서 zq 는 실수 또는 허수이다.


z
2=14=2(-2)x(x-2)x=-1-2a 1-2a
0361
 이상에서 항상 실수인 것은 ㄱ뿐이다.
=-(1-2a )^2=-(-2)=2
①
③

주어진 식을 간단히 정리한 후 alpha, beta와 alphaq, betaq의 값을 대입


x=a+bi(a, b는 실수)가 주어지고 x에 대한 식의 값을
0366

alphaalphaq-alphaq~beta-alphabetaq+betabetaq=alphaq(alpha-beta)-betaq(alpha-beta)
0362 한다.

=(alpha-beta)(alphaq-betaq)
구할 때에는 x-a=bi로 변형한 후 양변을 제곱하여 x에 대한 이차방정

x=1-12~i에서 x-1=-12~i =(alpha-beta)(alpha-betaz )


식을 만든다.

x^2-2x+1=-2 .t3 x^2-2x+3=0 이때 alpha=1+4i, beta=3+2i이므로


.t3 x^3-2x^2-3x+2 =x(x^2-2x+3)-6x+2 alpha-beta=-2+2i, alpha-betaz =-2-2i
양변을 제곱하면

=-6x+2=-6(1-12~i)+2 .t3 (주어진 식)=(-2+2i)(-2-2i)=8 8


=-4+612~i ②

0367 z=a+bi (a, b는 실수)로 놓고 주어진 식을 간단히 정

z=i(x+2i)^2=i(x^2+4xi-4)
0363
z=a+bi(a, b는 실수)로 놓으면 zq =a-bi이므로
복소수 z에 대하여 z^2<0이면 z는 순허수이다. 리한 후 a, b 사이의 관계식을 구한다.

=ix^2+4xi ^2-4i=-4x+(x^2-4)i z z a+bi a-bi


+ q = +
z^2<0이면 z는 순허수이므로 1+i 1-i 1+i 1-i
-4x=0, x^2-4not=0 (a+bi)(1-i)+(a-bi)(1+i)
=
(1+i)(1-i)
.t3 x=0 0
(a-ai+bi+b)+(a+ai-bi+b)
=
2
z_1=a+bi, z_2=c+di(a, b, c, d는 실수)로 놓고 복 =a+b=1
따라서 ③ 1+i는
0364
소수의 연산과 켤레복소수의 성질을 이용한다.

26 • 정답 및 풀이
본책 51~53쪽

(실수부분)+(허수부분)=1+1=2

03
이므로 a+b=1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f(1, 2)+f(2, 4)+f(3, 6)+…+f(20, 40)
0372 규칙을 찾아 주어진 등식을 간단히 한다.

1+2i 2+4i 3+6i 20+40i


③

= + + +…+

복소수
1-2i 2-4i 3-6i 20-40i
k가 음이 아닌 정수일 때, i^4 ^k =1, i^4 ^k ^+ ^1 =i, i^4 ^k ^+ ^2 =-1, 1+2i 1+2i 1+2i 1+2i
= + + +…+
i ^4 ^k ^+ ^3 =-i임을 이용한다. 1-2i 1-2i 1-2i 1-2i
0368

1 1 1 i 1 1 1 1+2i (1+2i)^2
= = = =-i, = = =-1, =20.c1 =20.c1
i ^9 (i ^4 )^2 .c1 i i i ^2 i ^1 ^0 (i ^4 )^2 .c1 i ^2 i ^2 1-2i (1-2i)(1+2i)
1 1 1 1 1 1 -3+4i
= = =- =i, = =1이므로 =20.c1
i^1 ^1 (i ^4 )^2 .c1 i ^3 i ^3 i i ^1 ^2 (i^4 )^3 5
1 3 5 7 =-12+16i  -12+16i
+ + + =-i-3+5i+7=4+4i
i ^9 i ^1 ^0 i ^1 ^1 i ^1 ^2
따라서 4+4i=a-bi이므로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a=4, b=-4 0373 연산의 새로운 규칙에 맞게 계산한 후, 복소수의 사칙계

.t3 ab=-16  -16


5 5(2-i)
산을 이용한다.

z= = =2-i이므로
2+i (2+i)(2-i)
z ◎ zw=(2-i) ◎ (2+i)=(2-i+1)(2+i+1)
k가 음이 아닌 정수일 때, i^4 ^k =1, i^4 ^k ^+ ^1 =i, i^4 ^k ^+ ^2 =-1,
i ^4 ^k ^+ ^3 =-i임을 이용한다. =(3-i)(3+i)=10  10
0369

f(n)=1+i+i^2 +…+i ^n
=1+i-1-i+1+i-1-i+1+… z=a+bi (a, b는 실수)로 놓고 주어진 조건에 대입한다.
이므로 f(k)=0을 만족시키는 k는 4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3 z=a+bi(a, b는 실수)로 놓으면 z=
q a-bi이다.
⇨❶ 0374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k는 1+i+a+bi=(a+1)+(b+1)i


인 자연수이다. ⇨❷ 조건 ㈎에서

3, 7, 11, …, 99
의 25개이다. a+1>0, b+1=0 .t3
a>-1, b=-1
가 양의 실수이므로

 25
⇨❸

(a+bi)(a-bi)=4
조건 ㈏에서

❶ i의 거듭제곱을 이용하여 f(n)을 변형할 수 있다.


채점 기준 비율

a^2 +b^2 =4, a^2 =3 .t3


a=z13
이므로
❷ k의 조건을 구할 수 있다.
30%

❸ 자연수 k의 개수를 구할 수 있다. 그런데 a>-1이므로 a=13


40%

.t3
z+zq=(13-i)+(13+i)=213  213
30%

1+i 1-i 1-i 1+i


=i, =-i임을 이용한다. =-i, =i임을 이용한다.
0370 1-i 1+i 1+i 1-i
1+i ^^9^^8 (1+i)^2
0375
f(i)=( ) ={ }^^9^^8 1-i (1-i)^2 -2i
1-i (1-i)(1+i) = = =-i,
1+i (1+i)(1-i) 2
=i ^9 ^8 =(i ^4 )^2 ^4 .c1 i^2 =-1 1+i (1+i)^2 2i
= = =i이므로
1-i ^^9^^8 (1-i)^2 1-i (1-i)(1+i) 2
f(-i)=( ) ={ }^^9^^8
1+i (1+i)(1-i) 1-i ^^n 1+i ^^n
f(n)=( ) +( ) =(-i)^n +i ^n
=(-i)^9 ^8 ={(-i )^4 }^2 ^4 .c1 (-i)^2 =-1 1+i 1-i
⇨❶

.t3
f(i)+f(-i)=-2 .t3
f(1)+f(2)+f(3)+f(4)
`={(-i)+i}+{(-i)^2 +i ^2 }+{(-i)^3 +i ^3 }+{(-i)^4 +i ^4 }
①

`=0-2+0+2=0
1a1b=-1abq 이면 a<0, b<0 또는 a=0 또는 b=0이 0
⇨❷

a
0371
1a
=-4 이면 a>0, b<0 또는 a=0, bnot=
0임을 이용한다.
1b b
고,

1-aa-6z`1a+3z=-2-(ax+6)x(a+x3)s 에서 ❶ f(n)을 간단히 할 수 있다.


채점 기준 비율

-a-6<0, a+3<0 또는 -a-6=0 또는 a+3=0 ❷ f(1)+f(2)+f(3)+f(4)의 값을 구할 수 있다.


60%

.t3
-6_<
a_< -3 …

`㉠
40%

1a+4z a+4
=-5 a t 에서
1a
a+4>0, a<0 또는 a+4=0, anot= 0 a<0, b<0
0376
1a1b=-1abq에서
음수의 제곱근의 성질을 이용한다.

.t3
-4_<
a<0 …

`㉡ 1c c
=-4 에서 b<0, c>0
㉠, ㉡에서 -4_< a_< -3 1b b
따라서 정수 a는 -4, -3의 2개이다. 2 .t3
2a^2 w-|b|+2c^2 w=-a+b+c ②

03``복소수• 27
정답 및 풀이

0389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7)^2-4·2·(-3)=73>0
Ⅱ. 방정식
따라서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04 이차방정식  서로 다른 두 실근

0377 x^2+8x+12=0에서 (x+2)(x+6)=0 0390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t3 x=-2 또는 x=-6  x=-2 또는 x=-6 D=1^2-4·1·1/4=0
따라서 중근을 갖는다.
0378 4x^2-1=0에서 (2x+1)(2x-1)=0
 중근

.t3 x=-1/2 또는 x=1/2  x=-1/2 또는 x=1/2


0391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3)^2-4·3·8=-87<0
0379 2x^2+5x-3=0에서 (x+3)(2x-1)=0
따라서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갖는다.
.t3 x=-3 또는 x=1/2  x=-3 또는 x=1/2
 서로 다른 두 허근

0392 x^2+2·2x-1=0이므로 이 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0380 16x^2-8x+1=0에서 (4x-1)^2=0
D/4=2^2-1.c1(-1)=5>0
.t3 x=1/4  x=1/4
따라서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서로 다른 두 실근

`-(-5)±2(-5)x^2-4x·1·1x
0381 x= 2·1 0393 5x^2+2.c1(-1)x+3=0이므로 이 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5±121q 5±121q
=  x=
2 2
하면

D/4=(-1)^2-5.c13=-14<0
-1±21^2-4.c1x2·3x 따라서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갖는다.
0382 x= 2·2
 서로 다른 두 허근

-1±123q i -1±123q i
=  x=
4 4 0394 9x^2+2.c112x+16=0이므로 이 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

0383 x^2+2.c11·x-4=0이므로

D/4=12^2-9.c116=0
-1±21^2-1x·(x-4)x
x= =-1±15  x=-1±15
따라서 중근을 갖는다.
1  중근

0384 4x^2+2.c1(-4)x-7=0이므로
0395 보기에 주어진 각 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4)±2(-4x)^2-x4·(x-7)x
x= ㄱ. D=3^2-4.c11.c15=-11<0
4
ㄴ. D=(-3)^2-4.c12.c11=1>0
2±111q 2±111q
=  x=
2 2 ㄷ. D/4=1^2-1.c1(-7)=8>0

0385 4x^2+4x-3=0에서 (2x+3)(2x-1)=0 ㄹ. D/4=(-3)^2-9.c11=0


.t3 x=-3/2 또는 x=1/2 (실근) ㅁ. D=5^2-4.c12.c14=-7<0

 x=-3/2 또는 x=1/2(실근) ㅂ. D/4=1^2-3.c1(-1)=4>0


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면 D>0이므로 ㄴ, ㄷ, ㅂ
0386 x^2-10x+25=0에서 (x-5)^2=0 ⑵ 중근을 가지면 D=0이므로
.t3 x=5 (실근)  x=5 (실근) ⑶ 허근을 가지면 D<0이므로 ㄱ, ㅁ

 ⑴ ㄴ, ㄷ, ㅂ ⑵ ㄹ ⑶ ㄱ, ㅁ
`-(-3)±2(-3)x^2-4x·1·3x
0387 x= 2·1
3±13 i 3±13i 0396 이차방정식 x^2+5x+k=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 (허근)  x= (허근)
2 2 D=5^2-4.c11.c1k=25-4k
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려면 D>0이어야 하므로
0388 3x^2+2.c12x+6=0이므로
-2±22^2-s3.c16x D=25-4k>0 .t3 k<^25
/4
x=
3 ⑵ 중근을 가지려면 D=0이어야 하므로
-2±114q i `-2±114q i
= (허근)  x= (허근) D=25-4k=0 .t3 k=^25
/4
3 3

28 • 정답 및 풀이
본책 54~57쪽

⑶ 허근을 가지려면 D<0이어야 하므로 x=-(-1)±2(-1x)^2 -x1·3x=1±12i


D=25-4k<0 .t3
k>^25
/4
.t3
x^2 -2x+3={x-(1+12 i)}{x-(1-12i)}
=(x-1-12 i)(x-1+12i)
 ⑴ k<^25
/4
⑵ k=^25
/4
⑶ k>^25
/4
 (x-1-12i)(x-1+12i)

0397 이차방정식 x^2 -4x+2=0에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0408 x^2 +3x+5=0에서 근의 공식에 의하여
-4 -3±23^2 -4x.c1 1.c1 5x -3±111q i
alpha +beta =- =4, alpha beta =2/1
=2  alpha +beta
=4, alpha beta =2 x= =
1 2 2
-3+111q i -3-111q i
.t3
x^2 +3x+5=(x- )(x- )
2 2
0398 이차방정식 2x^2 -5x-4=0에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3-111q i 3+111q i
-5 -4 =(x+ )(x+ )
alpha +beta =- =5/2
, alpha beta = =-2 2 2
2 2

04
 (x+
3-111q i 3+111q i
)(x+ )
 alpha +beta
=5/2
, alpha beta =-2 2 2

이차방정식
0409 a, b가 유리수이고 주어진 방정식의 한 근이 3+12이므로
0399 이차방정식 3x^2 +5x+6=0에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다른 한 근은 3-12이다.
alpha +beta =-5/3
, alpha beta =6/3
=2  alpha +beta
=-5/3
, alpha beta =2
(3+12 )+(3-12)=-a, (3+12)(3-12)=b
따라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t3
a=-6, b=7  a=-6, b=7
0400 x^2 -(-2+5)x+(-2).c1 5=0
.t3
x^2 -3x-10=0  x^2 -3x-10=0
0410 a, b가 유리수이고 주어진 방정식의 한 근이 4-213이므로
다른 한 근은 4+213이다.
0401 x^2 -{(2+13 )+(2-13)}x+(2+13 )(2-13)=0
.t3
x^2 -4x+1=0  x^2 -4x+1=0
(4-213 )+(4+213)=-a, (4-213 )(4+213)=b
따라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t3
a=-8, b=4  a=-8, b=4
0402 x^2 -{(1+i)+(1-i)}x+(1+i)(1-i)=0
.t3
x^2 -2x+2=0  x^2 -2x+2=0
0411 a, b가 실수이고 주어진 방정식의 한 근이 3+2i이므로 다
른 한 근은 3-2i이다.
0403 2{x^2 -(1+1/2
)x+1.c1 1/2
}=0
(3+2i)+(3-2i)=-a, (3+2i)(3-2i)=b
따라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2(x^2 -3/2
x+1/2
)=0 .t3
2x^2 -3x+1=0
.t3
a=-6, b=13  a=-6, b=13
 2x^2 -3x+1=0

0412 a, b가 실수이고 주어진 방정식의 한 근이 2-i이므로 다른


0404 6{x^2 -(1/2
+2/3
)x+1/2
·2/3
}=0 한 근은 2+i이다.

6(x^2 -7/6
x+1/3
)=0 .t3
6x^2 -7x+2=0
(2-i)+(2+i)=-a, (2-i)(2+i)=b
따라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6x^2 -7x+2=0
.t3
a=-4, b=5  a=-4, b=5

0405 x^2 +x+1=0에서 근의 공식에 의하여


0413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 두 근을 alpha , beta 라 하면
-1±21^2 -4x·1·1x -1±13i
x= =
2·1 2  D=(-3)^2 -4k_> 0, 9-4k_> 0 .t3
k_< 9/4

-1+13 i -1-13i
.t3
x^2 +x+1=(x- )(x- )  alpha +beta =3>0
2 2
1-13i 1+13 i  alpha beta =k>0
=(x+ )(x+ )
2 2
0<k_< 9/4
 0<k_<
9/4

 (x+
1-13i 1+13i
)(x+ )
2 2
이상에서 공통 범위를 구하면

0414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 두 근을 alpha , beta 라 하면


0406 x^2 +8=0에서 x^2 =-8 .t3
x=±212i
.t3
x^2 +8=(x+212 i)(x-212 i)  D/4
=2^2 -(k+1)_> 0, 3-k_> 0 .t3
k_< 3
 (x+212i)(x-212i)  alpha +beta =-4<0
 alpha beta =k+1>0 .t3
k>-1
0407 x^2 -2x+3=0에서 근의 공식에 의하여 이상에서 공통 범위를 구하면 -1<k_< 3  -1<k_<
3

04``이차방정식• 29
정답 및 풀이

0415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두 근을 alpha, beta라 하면 0424 주어진 방정식의 양변에 12-1을 곱하면
alphabeta=k-3<0 .t3 k<3  k<3 (12-1)(12+1)x^2+( 12-1)^2x-2(12-1)=0
x^2+(3-212 )x+(2-212)=0
0416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두 근을 alpha, beta라 하면 (x+1)(x+2-212)=0
alphabeta=-k+4<0 .t3 k>4  k>4 .t3 x=-1 또는 x=-2+212
 x=-1 또는 x=-2+212

0417 3(x-2)^2-4=12-x에서
3(x^2-4x+4)-4=12-x, 3x^2-12x+8=12-x
0425 주어진 방정식의 양변에 13을 곱하면
3x^2-11x-4=0, (3x+1)(x-4)=0
13·13x^2+13(6-13 )x+13(313-3)=0
.t3 x=-1/3 또는 x=4 3x^2+(613-3)x+(9-313)=0
.t3 x^2+(213-1)x+(3-13)=0
④

0418 6x^2-7x-3=0에서 (3x+1)(2x-3)=0


`-(213-1)±3(213c-1)c^2-4c(3-c13)c
근의 공식을 이용하여 근을 구하면

.t3 x=-1/3 또는 x=3/2 x=


2
-213+1±1
=
2
.t3 x=-13 또는 x=1-13
따라서 a=3/2, b=-1/3이므로

/6
a-b=^11 ④

(1-13)-(-13)=1 1
따라서 두 근의 차는

0419 x^2-5x+4=0에서 (x-1)(x-4)=0 x^2+(213-1)x+(3-13)=0에서


.t3 x=1 또는 x=4 .t3 M=4 x^2+(213-1)x+13(13-1)=0
2x^2+3x-2=0에서 (x+2)(2x-1)=0 (x+13 )(x+13-1)=0
⇨❶

.t3 x=-2 또는 x=1/2 .t3 m=-2 ⇨❷ .t3 x=-13 또는 x=1-13

.t3 M+m=2
2 0426  x<3일 때,
⇨❸

x^2-(x-3)=9에서 x^2-x-6=0
❶ M의 값을 구할 수 있다. (x+2)(x-3)=0 .t3 x=-2 또는 x=3
채점 기준 비율

❷ m의 값을 구할 수 있다. 그런데 x<3이므로 x=-2


40%

❸ M+m의 값을 구할 수 있다.  x_>3일 때,


40%

x^2+(x-3)=9에서 x^2+x-12=0
20%

(x+4)(x-3)=0 .t3 x=-4 또는 x=3


0420 이차방정식 2x^2-kx-5k-6=0의 한 근이 k이므로 그런데 x_>3이므로 x=3
2k^2-k^2-5k-6=0, k^2-5k-6=0
(k+1)(k-6)=0 .t3 k=6 (.T3 k>0) 6 x=-2 또는 x=3
, 에서 주어진 방정식의 근은

따라서 모든 근의 합은 1이다. ①

x=-1±21^2-s1·3x=-1±12 i
0421 근의 공식을 이용하여 근을 구하면

따라서 a=-1, b=2이므로 0427  x<0일 때,


a+b=1 1 x^2-x-20=0에서 (x+4)(x-5)=0
.t3 x=-4 또는 x=5
그런데 x<0이므로 x=-4
0422 2x(x-2)=4x-3에서
 x_>0일 때,
2x^2-4x=4x-3, 2x^2-8x+3=0
x^2+x-20=0에서 (x+5)(x-4)=0
-(-4)±2(-4x)^2-x2·3x 4±110q
.t3 x= = .t3 x=-5 또는 x=4
2 2
4-110q 그런데 x_>0이므로 x=4
2
따라서 a= 이므로

2a=4-110q .t3 2a+110q=4 4 x=-4 또는 x=4  x=-4 또는 x=4


, 에서 주어진 방정식의 근은

x^2=|x|^2이므로 주어진 방정식은


0423 (x*x)+(1*x)=0에서 |x|^2+|x|-20=0, (|x|+5)(|x|-4)=0
(x^2+x+x)+(x+1+x)=0, x^2+4x+1=0 이때 |x|_>0이므로 |x|=4
.t3 x=-2±22^2-1x·1x=-2±13 ③ .t3 x=-4 또는 x=4

30 • 정답 및 풀이
본책 57~60쪽

0428 2(x-1x)^2 x=x^2 -3에서 0433 사다리꼴의 윗변의 길이를 x`cm라 하면 높이는 x`cm, 아
|x-1|=x^2 -3 랫변의 길이는 (x+3)`cm이므로
 x<1일 때, 1/2
{x+(x+3)}.c1 x=45, 2x^2 +3x-90=0
-(x-1)=x^2 -3, x^2 +x-4=0
-1±117q (2x+15)(x-6)=0 .t3
x=-^15
/2
또는 x=6
.t3
x=
2
그런데 x>0이므로 x=6
-1-117q
그런데 x<1이므로 x= 따라서 윗변의 길이는 6`cm이다.
2
 x_> 1일 때,
②

x-1=x^2 -3, x^2 -x-2=0


0434 처음 직사각형의 세로의 길이를 x`cm라 하면 가로의 길이
(x+1)(x-2)=0 .t3
x=-1 또는 x=2
는 2x`cm이다.
그런데 x_> 1이므로 x=2

04
직육면체 모양의 상자의 밑면의 가로의 길이는 (2x-2)`cm, 세로
⇨❶

의 길이는 (x-2)`cm, 높이는 1`cm이므로


-1-117q

이차방정식
, 에서 주어진 방정식의 근은
x= 또는 x=2 (2x-2)(x-2)·1=40
2
2x^2 -6x-36=0, x^2 -3x-18=0
④ ⇨❷

(x+3)(x-6)=0 .t3
x=-3 또는 x=6
0429 방정식 x^2 +kx-2k+1=0의 한 근이 1이므로
그런데 x>2이므로 x=6
1^2 +k.c1 1-2k+1=0 .t3
k=2
따라서 처음 종이의 가로의 길이는 12`cm이다.
k=2를 주어진 방정식에 대입하면
 12`cm
⇨❸

x^2 +2x-3=0, (x+3)(x-1)=0


.t3
x=-3 또는 x=1
따라서 다른 한 근은 -3이다.  -3 ❶ 세로의 길이를 x`cm로 놓고 가로의 길이를 x로 나타낼 수 있다.
채점 기준 비율

❷ 주어진 조건을 이용하여 x에 대한 이차방정식을 세울 수 있다.


20%

0430 방정식 x^2 +ax+a+2=0의 한 근이 -2이므로


40%

(-2)^2 +a.c1 (-2)+a+2=0 .t3


a=6
❸ 방정식을 풀어 처음 종이의 가로의 길이를 구할 수 있다. 40%

방정식 bx^2 -2x+b+3=0의 한 근이 1이므로


0435 처음 물건의 가격을 a라 하면 x`% 인상한 물건의 가격은
b.c1 1^2 -2.c1 1+b+3=0, 2b=-1 .t3
b=-1/2

x
a(1+ )
100
.t3
a+b=^11
/2

다시 x`% 인하한 물건의 가격은
⑤

x x
a(1+ )(1- ) …… ㉠
100 100
0431 방정식 x^2 -(2m-3)x+m=0의 한 근이 4이므로
이때 ㉠은 처음 가격보다 9`% 낮아진 가격이므로
4^2 -(2m-3).c1 4+m=0, 16-8m+12+m=0
x x 9
7m=28 .t3
m=4 a(1+ )(1- )=a(1- )
100 100 100
m=4를 주어진 방정식에 대입하면 x^2 9
⇨❶

1- =1-
x^2 -5x+4=0, (x-1)(x-4)=0 10000 100
.t3
x=1 또는 x=4 .t3
n=1 x^2 9
= , x^2 =900
10000 100
.t3
mn=4
⇨❷

.t3
x=±30
4
⇨❸

그런데 x>0이므로 x=30  30


x 만큼 인상 후 x 만큼 인하하였으므로
❶ m의 값을 구할 수 있다. 100 100
채점 기준 비율

x x 9
❷ n의 값을 구할 수 있다. ·(- )=- , x^2 =900
40%

100 100 100


❸ mn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t3
x=±30
20%

그런데 x>0이므로 x=30


0432 처음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x`cm라 하면 새로 만들어진
직사각형의 가로의 길이는 (x+2)`cm, 세로의 길이는 (x-3)`cm 0436 이차방정식 x^2 +(2k+1)x+k^2 +3=0의 판별식을 D라 하

(x+2)(x-3)=36, x^2 -x-42=0


이므로
D=(2k+1)^2 -4(k^2 +3)>0

(x+6)(x-7)=0 .t3
x=-6 또는 x=7 4k^2 +4k+1-4k^2 -12>0
그런데 x>3이므로 x=7
4k-11>0 .t3
k>^11
/4

따라서 처음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7`cm이므로 처음 정사각형
의 넓이는 49`cm^2 이다.  49`cm^2 따라서 정수 k의 최솟값은 3이다. ③

04``이차방정식• 31
정답 및 풀이

0437 이차방정식 x^2-4x-2k=0의 판별식을 D_1이라 하면 D/4=(a+k)^2-(k^2+4k+b)=0


D_1
=(-2)^2-(-2k)_>0 a^2+2ak+k^2-k^2-4k-b=0
4
4+2k_>0 .t3 k_>-2 …… ㉠ (2a-4)k+a^2-b=0
이차방정식 x^2+2x-k+3=0의 판별식을 D_2라 하면 이 등식이 k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하므로
D_2 2a-4=0, a^2-b=0 .t3 a=2, b=4
=1^2-(-k+3)_>0
4 .t3 a+b=6
-2+k_>0 .t3 k_>2 …… ㉡
⑤

㉠, ㉡에서 k의 값의 범위는 k_>2 0443 이차방정식 x^2-(3-2k)x+k^2=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3-2k)}^2-4k^2<0
④

9-12k+4k^2-4k^2<0 .t3 k>3/4


mnot=-1 …… ㉠
0438 주어진 방정식이 이차방정식이므로
따라서 정수 k의 최솟값은 1이다. 1
이차방정식 (m+1)x^2+2mx+m-4=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4=m^2-(m+1)(m-4)_>0 0444 이차방정식 x^2+4x+k-5=0의 판별식을 D_1이라 하면


D_1
m^2-m^2+3m+4_>0 .t3 m_>-4/3 …… ㉡ =2^2-(k-5)>0
4
㉠, ㉡에서 m의 값의 범위는 9-k>0 .t3 k<9 …… ㉠
이차방정식 x^2-3x+2k-1=0의 판별식을 D_2라 하면
-4/3_<m<-1 또는 m>-1
D_2=(-3)^2-4(2k-1)<0
 -4/3_<m<-1 또는 m>-1 13-8k<0 .t3 k>^13
/8 …… ㉡

㉠, ㉡에서 k의 값의 범위는 /8<k<9


^13
0439 이차방정식 x^2+2ax+2a-1=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따라서 자연수 k는 2, 3, 4, …, 8의 7개이다.
D/4=a^2-(2a-1)=0, a^2-2a+1=0
③

(a-1)^2=0 .t3 a=1 0445 이차방정식 x^2+(2m-1)x+m^2+1=0의 판별식을 D_1이


a=1을 주어진 방정식에 대입하면
D_1=(2m-1)^2-4(m^2+1)<0
라 하면

x^2+2x+1=0, (x+1)^2=0
.t3 x=-1 4m^2-4m+1-4m^2-4<0, -4m-3<0
따라서 m=-1이므로 .t3 m>-3/4 …… ㉠
a+m=0 0
이차방정식 x^2-2mx+m^2+2m-4=0의 판별식을 D_2라 하면
D_2
=(-m)^2-(m^2+2m-4)<0
0440 이차방정식 x^2+kx+k=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4
D=k^2-4k=0, k(k-4)=0 m^2-m^2-2m+4<0, -2m+4<0
.t3 k=4 (.T3 knot=0) .t3 m>2 …… ㉡
㉠, ㉡에서 주어진 두 이차방정식 중 적어도 하
②

나가 허근을 갖도록 하는 실수 m의 값의 범위는



k^2-1not=0, (k+1)(k-1)not=0 m>-3/4


0441 주어진 방정식이 이차방정식이므로
  N

.t3 knot=-1, knot=1 …… ㉠




 m>-3/4


이차방정식 (k^2-1)x^2-2(k-1)x+3=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❶

D/4={-(k-1)}^2-3(k^2-1)=0 ⇨❷ 0446 이차방정식 x^2-2ax+a^2+3a-3=0의 판별식을 D라 하


k^2-2k+1-3k^2+3=0, k^2+k-2=0

(k+2)(k-1)=0 .t3 k=-2(.T3 ㉠) D/4=(-a)^2-(a^2+3a-3)=-3a+3


 -2 a>1일 때 -3a+3<0이므로 주어진 방정식은 서로 다른 두 허근
⇨❸

을 갖는다. ⑤

❶ 주어진 방정식이 이차방정식이기 위한 k의 조건을 구할 수 있다.


채점 기준 비율

❷ 이차방정식이 중근을 가질 조건을 이용하여 k에 대한 이차방정식


0447 이차방정식 x^2+2ax+b=0의 판별식을 D_1이라 하면
30%

D_1
=a^2-b_>0 …… ㉠
4
40%

❸ k의 값을 구할 수 있다.
을 세울 수 있다. ⇨❶

이차방정식 x^2+2(a-1)x-2a+b=0의 판별식을 D_2라 하면


30%

D_2
=(a-1)^2-(-2a+b)=a^2-2a+1+2a-b
0442 이차방정식 x^2+2(a+k)x+k^2+4k+b=0의 판별식을 D 4
라 하면 =a^2-b+1>0 (.T3 ㉠) ⇨❷

32 • 정답 및 풀이
본책 61~63쪽

따라서 이차방정식 x^2 +2(a-1)x-2a+b=0의 서로 다른 실근의 따라서 a, b, c를 세 변의 길이로 하는 삼각형은 정삼각형이다.


개수는 2이다.
2
⇨❸  정삼각형

0451 이차방정식 2x^2 -(2a+b)x+ab=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2a+b)}^2 -4.c1 2.c1 ab=0
채점 기준 비율

❷ 이차방정식 x^2 +2(a-1)x-2a+b=0의 판별식의 부호를 조사 4a^2 +4ab+b^2 -8ab=0, 4a^2 -4ab+b^2 =0
❶ 이차방정식이 실근을 가질 조건을 이용하여 ㉠을 구할 수 있다. 40%

(2a-b)^2 =0 .t3
b=2a
40%

❸ 이차방정식 x^2 +2(a-1)x-2a+b=0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


할 수 있다.

2a^2 +b^2 x=2a^2 +(x2a)^2 x=25a^2 s=15a (.T3


a>0)
따라서 직각삼각형의 빗변의 길이는
20%
수를 구할 수 있다. ③

0448 이차방정식 x^2 -ax+b-1=0의 판별식을 D_1 이라 하면 0452 주어진 이차식이 완전제곱식이면 x에 대한 이차방정식

04
D_1 =(-a)^2 -4(b-1)=0 .t3
a^2 =4b-4 …… ㉠ x^2 +2(k+1)x+k^2 -k-5=0이 중근을 가지므로 이 이차방정식
이차방정식 2x^2 +2ax+b^2 +b+1=0의 판별식을 D_2 라 하면 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이차방정식
D_2
=a^2 -2(b^2 +b+1) D/4
=(k+1)^2 -(k^2 -k-5)=0
4
=(4b-4)-2(b^2 +b+1) (.T3
㉠) k^2 +2k+1-k^2 +k+5=0
=4b-4-2b^2 -2b-2=-2b^2 +2b-6 3k+6=0 .t3 k=-2  -2
=-2(b-1/2
)^^2 -^11
/2
<0
따라서 이차방정식 2x^2 +2ax+b^2 +b+1=0은 서로 다른 두 허근 0453 주어진 이차식이 완전제곱식이면 x에 대한 이차방정식
을 갖는다. x^2 -(2k+a)x+(k+1)^2 +a^2 -b=0이 중근을 가지므로 이 이차
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서로 다른 두 허근

0449 이차방정식 x^2 +2cx+a^2 -b^2 =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2k+a)}^2 -4{(k+1)^2 +a^2 -b}=0
4k^2 +4ka+a^2 -4k^2 -8k-4-4a^2 +4b=0
D/4
=c^2 -(a^2 -b^2 )<0
(4a-8)k-3a^2 +4b-4=0
.t3
a^2 >b^2 +c^2 이 등식이 k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하므로
⇨❶

따라서 a, b, c를 세 변의 길이로 하는 삼각형은 둔각삼각형이다. 4a-8=0, -3a^2 +4b-4=0


.t3
a=2, b=4 .t3
ab=8
8
③ ⇨❷

변의 길이에 따른 삼각형의 종류

△ABC에서 AB^_
=c, BC^_
=a, CA^_
=b이고 c가 가장 긴 변의 길
❶ 이차식이 완전제곱식이 되는 조건을 이용하여 k에 대한 식을 세
채점 기준 비율

이일 때, 50%

❷ 항등식의 성질을 이용하여 a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울 수 있다.

D a^2
+b^2 >c^2 ➲ △ABC는 예각삼각형
"
50%
C

0454 x^2 +4xy+3y^2 -2x-10y+k를 x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 B $

D a^2
+b^2 =c^2 ➲ △ABC는 직각삼각형
"

x^2 +2(2y-1)x+3y^2 -10y+k


정리하면
C
$
이때 x에 대한 이차방정식 x^2 +2(2y-1)x+3y^2 -10y+k=0의
판별식을 D_1 이라 하면
# B

D a^2
+b^2 <c^2 ➲ △ABC는 둔각삼각형 D_1
"

=(2y-1)^2 -(3y^2 -10y+k)


4
C

=4y^2 -4y+1-3y^2 +10y-k


# B $

=y^2 +6y+1-k
0450 3x^2 -2(a+b+c)x+ab+bc+ca=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가 완전제곱식이어야 한다.
즉 y에 대한 이차방정식 y^2 +6y+1-k=0의 판별식을 D_2 라 하면
D/4
={-(a+b+c)}^2 -3(ab+bc+ca)=0
D_2
=3^2 -(1-k)=0
a^2 +b^2 +c^2 -ab-bc-ca=0 4
2a^2 +2b^2 +2c^2 -2ab-2bc-2ca=0 .t3
k=-8  -8

(a^2 -2ab+b^2 )+(b^2 -2bc+c^2 )+(c^2 -2ca+a^2 )=0


(a-b)^2 +(b-c)^2 +(c-a)^2 =0 0455 x^2 -2xy+ky^2 -4y-1을 x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a, b, c가 실수이므로 x^2 -2yx+ky^2 -4y-1
a-b=0, b-c=0, c-a=0 이때 x에 대한 이차방정식 x^2 -2yx+ky^2 -4y-1=0의 판별식을
.t3
a=b=c D_1 이라 하면

04``이차방정식• 33
정답 및 풀이

D_1 beta alpha beta alpha alpha^2+beta^2


=(-y)^2-(ky^2-4y-1) .t3 + = + =
4 alpha^2-3alpha+1 beta^2-3beta+1 alpha beta alphabeta
=y^2-ky^2+4y+1 (alpha+beta)^2-2alphabeta
=
alphabeta
=(1-k)y^2+4y+1 4^2-2.c11
이 완전제곱식이어야 한다. = =14  14
1
즉 y에 대한 이차방정식 (1-k)y^2+4y+1=0의 판별식을 D_2라
0462 주어진 방정식의 두 근을 alpha, 3alpha(alphanot=0)라 하면 근과 계수의
D_2
하면

=2^2-(1-k).c11=0 .t3 k=-3


4 alpha+3alpha=-4(m+1) .t3 alpha=-m-1 …… ㉠
② 관계에 의하여

alpha.c13alpha=-4m .t3 3alpha^2=-4m …… ㉡


0456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lpha+beta=3, alphabeta=1/3 3(-m-1)^2=-4m, 3m^2+10m+3=0
㉠을 ㉡에 대입하면

.t3 alpha^2+beta^2=(alpha+beta)^2-2alphabeta (m+3)(3m+1)=0 .t3 m=-3 또는 m=-1/3


=3^2-2.c11/3=^25
/3  ^25
/3 따라서 정수 m의 값은 -3이다. ①

0463 주어진 방정식의 두 근을 alpha, alpha+1이라 하면 근과 계수의 관


alpha+beta=7, alphabeta=3
0457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beta alpha alpha^2+beta^2 (alpha+beta)^2-2alphabeta alpha+(alpha+1)=2k-3 .t3 alpha=k-2 …… ㉠


⇨❶

.t3 + = =
계에 의하여

alpha beta alphabeta alphabeta


alpha(alpha+1)=k-1 …… ㉡
7^2-2.c13
= =^43
/3
3
(k-2)(k-1)=k-1, k^2-3k+2=k-1
⇨❷ ㉠을 ㉡에 대입하면

 ^43
/3
k^2-4k+3=0, (k-1)(k-3)=0
.t3 k=1 또는 k=3
따라서 모든 실수 k의 값의 합은 4이다.
채점 기준 비율

주어진 방정식의 두 근을 alpha, beta(alpha>beta)라 하면 alpha-beta=1


❶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여 a+b, a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50% ④

❷ b + a 의 값을 구할 수 있다. 50%

alpha+beta=2k-3, alphabeta=k-1
a b 이고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0458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이때 (alpha-beta)^2=(alpha+beta)^2-4alphabeta이므로


alpha+beta=-2, alphabeta=2
3
/ 1^2=(2k-3)^2-4(k-1)
k^2-4k+3=0, (k-1)(k-3)=0
.t3 alpha^3+beta^3=(alpha+beta)^3-3alphabeta(alpha+beta)
.t3 k=1 또는 k=3
=(-2)^3-3.c12
3·(-2)=-4
/ ② 따라서 모든 실수 k의 값의 합은 4이다.

0459 alpha, beta가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두 근이므로 0464 주어진 방정식의 두 근을 alpha, 4alpha(alphanot=0)라 하면 근과 계수의
alpha^2-alpha-3=0, beta^2-beta-3=0
.t3 alpha^2-2alpha-1=-alpha+2, beta^2-2beta-1=-beta+2 alpha+4alpha=5m .t3 alpha=m …… ㉠
관계에 의하여

alpha.c14alpha=4m-1 .t3 4alpha^2=4m-1 …… ㉡


alpha+beta=1, alphabeta=-3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t3 (alpha^2-2alpha-1)(beta^2-2beta-1) =(-alpha+2)(-beta+2) 4m^2=4m-1, 4m^2-4m+1=0


㉠을 ㉡에 대입하면

=alphabeta-2(alpha+beta)+4
(2m-1)^2=0 .t3 m=1/2
=-3-2.c11+4=-1
④
⑤

0460 alpha가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근이므로


alpha+beta=-2k, alphabeta=2k-1
0465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lpha^2-3alpha+5=0 .t3 alpha^2=3alpha-5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lpha+beta=3이므로 .t3 alpha^2+beta^2=(alpha+beta)^2-2alphabeta=(-2k)^2-2(2k-1)
alpha^2+3beta=3alpha-5+3beta=3(alpha+beta)-5=3.c13-5=4 4 =4k^2-4k+2
alpha^2+beta^2=10에서
0461 alpha, beta가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두 근이므로 4k^2-4k+2=10, k^2-k-2=0
alpha^2-4alpha+1=0, beta^2-4beta+1=0 (k+1)(k-2)=0 .t3 k=2(.T3 k>0) 2
.t3 alpha^2-3alpha+1=alpha, beta^2-3beta+1=beta

alpha+beta=4, alphabeta=1 alpha+beta=3k-1, alphabeta=k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0466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34 • 정답 및 풀이
본책 63~66쪽

.t3
alpha ^2 beta +alpha beta ^2 +alpha +beta =alpha beta (alpha +beta )+(alpha +beta )
=(alpha beta +1)(alpha +beta )
채점 기준 비율

=(k+1)(3k-1)=3k^2 +2k-1
❶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여 ㉠을 구할 수 있다. 40%

alpha ^2 beta +alpha beta ^2 +alpha +beta =7에서 ❸ b-a의 값을 구할 수 있다.


❷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여 ㉡을 구할 수 있다. 40%

3k^2 +2k-1=7, 3k^2 +2k-8=0


20%

(k+2)(3k-4)=0 .t3 k=-2 (.T3 k는 정수)


0471 방정식 x^2 +ax+b=0의 두 근이 alpha , beta 이므로 근과 계수의
①

alpha +beta =-a, alpha beta =b …… ㉠


관계에 의하여

alpha +beta =-a, alpha beta =b


0467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방정식 x^2 -(b-3)x-4a=0의 두 근이 alpha +1, beta +1이므로 근과
(alpha +1)(beta +1)=5에서
alpha beta +(alpha +beta )+1=5, b-a+1=5
(alpha +1)+(beta +1)=b-3, (alpha +1)(beta +1)=-4a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04
.t3 a-b=-4 …… ㉠
.t3
alpha +beta =b-5, alpha beta +alpha +beta +1=-4a …… ㉡
(2alpha +1)(2beta +1)=-1에서

이차방정식
4alpha beta +2(alpha +beta )+1=-1, 4b-2a+1=-1
-a=b-5, b-a+1=-4a
㉠을 ㉡에 대입하면

.t3
a-2b=1 …… ㉡
.t3
a+b=5, 3a+b=-1
㉠, a=-9, b=-5
a=-3, b=8
.t3
ab=45  45
㉡을 연립하여 풀면

.t3
ab=-24  -24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0468 방정식 x^2 +ax-3=0의 두 근이 alpha , beta 이므로 근과 계수의


0472 방정식 x^2 -6x+3=0의 두 근이 alpha , beta 이므로 근과 계수의
alpha +beta =-a, alpha beta =-3 …… ㉠
관계에 의하여

방정식 x^2 +7x+b=0의 두 근이 alpha +beta , alpha beta 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 alpha +beta =6, alpha beta =3
관계에 의하여

1 1 alpha +beta
.t3 + = =6/3
=2,
alpha beta alpha beta
(alpha +beta )+alpha beta =-7, (alpha +beta )alpha beta =b …… ㉡
계에 의하여

1 1 1
alpha · beta = alpha beta =1/3
-a-3=-7, 3a=b
따라서 1 , 1 을 두 근으로 하고 x^2 의 계수가 3인 이차방정식은
㉠을 ㉡에 대입하면

a=4, b=12 alpha beta


.t3
a+b=16  16 3(x^2 -2x+1/3
)=0, 즉 3x^2 -6x+1=0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3x^2 -6x+1=0
0469 방정식 x^2 +ax+b=0의 두 근이 -3, 1이므로 근과 계수

-3+1=-a, -3·1=b 0473 방정식 x^2 +4x-2=0의 두 근이 alpha , beta 이므로 근과 계수의
의 관계에 의하여

.t3
a=2, b=-3
따라서 이차방정식 ax^2 -x-b+1=0의 두 근의 곱은 alpha +beta =-4, alpha beta =-2
관계에 의하여

-b+1 -(-3)+1 .t3


(alpha -1)+(beta -1)=alpha +beta -2=-4-2=-6,
= =2
a 2 (alpha -1)(beta -1)=alpha beta -(alpha +beta )+1=-2+4+1=3
⑤

따라서 alpha -1, beta -1을 두 근으로 하고 x^2 의 계수가 1인 이차방정


0470 방정식 2x^2 +ax+6=0의 두 근이 alpha , beta 이므로 근과 계수의
x^2 +6x+3=0
식은

alpha +beta =-a/2


, alpha beta =3 …… ㉠ f(x)=x^2 +4x-2라 하면 방정식 f(x)=0의 두 근이 a,
관계에 의하여 ⑤

방정식 6x^2 -3x+b=0의 두 근이 1 , 1 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


⇨❶

alpha beta f(a)=0, f(b)=0


b이므로

1 1 1 1 f(a'+1)=0, f(b'+1)=0
에 의하여

+ =1/2 , · =b/6
a-1=a', b-1=b'이라 하면 a=a'+1, b=b'+1이므로

alpha beta alpha beta


즉 a', b'은 이차방정식 f(x+1)=0의 두 근이고
1
=1/2
, =b/6 f(x+1) =(x+1)^2 +4(x+1)-2
a+b

=x^2 +6x+3
.t3
alpha +beta =1/2
alpha beta , alpha beta =6/b
…… ㉡
ab ab

x^2 +6x+3=0
⇨❷
이므로 구하는 이차방정식은
㉠을 ㉡에 대입하면

-a/2
=3/2
, 3=6/b
.t3
a=-3, b=2 0474 방정식 x^2 +ax+b=0의 한 근이 -1이므로
.t3
b-a=5 1-a+b=0 .t3
a-b=1 …… ㉠
5 방정식 x^2 +(b+5)x+3a-2=0의 한 근이 2이므로
⇨❸

04``이차방정식• 35
정답 및 풀이

4+2b+10+3a-2=0 0480 f(alpha)=0, f(beta)=0이므로 f(3x-1)=0이려면


.t3 3a+2b=-12 …… ㉡ 3x-1=alpha 또는 3x-1=beta
㉠, ㉡을 연립하여 풀면 a=-2, b=-3 alpha+1 beta+1
.t3 x= 3 또는 x= 3
x^2-2x-3=0에서 (x+1)(x-3)=0
⇨❶

따라서 이차방정식 f(3x-1)=0의 두 근의 곱은


.t3 x=-1 또는 x=3 .t3 alpha=3
alpha+1 beta+1 alphabeta+(alpha+beta)+1
x^2+2x-8=0에서 (x+4)(x-2)=0 3 · 3 = 9
.t3 x=-4 또는 x=2 .t3 beta=-4 3+5+1
따라서 -4, 3을 두 근으로 하고 x^2의 계수가 1인 이차방정식은 = 9 =1 1
⇨❷

x^2-(-4+3)x+(-4).c13=0
.t3 x^2+x-12=0 0481 a, b가 실수이므로 ab, a-b도 실수이다. 즉 이차방정식
 x^2+x-12=0
x^2+abx+a-b=0의 한 근이 2+3i이면 다른 한 근은 2-3i이다.
⇨❸

(2+3i)+(2-3i)=-ab, (2+3i)(2-3i)=a-b
따라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❶ a, 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채점 기준 비율
40%

ab=-4, a-b=13
이므로
❸ a, b를 두 근으로 하고 x^2의 계수가 1인 이차방정식을 구할 수 있
❷ a, 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t3 a^2+b^2=(a-b)^2+2ab=13^2+2.c1(-4)=161
30%
다. ①

0475 x^2-4x+6=0에서 근의 공식에 의하여


x=-(-2)±2(-2x)^2-x1.c16x=2±12 i
0482 a, b가 유리수이므로 이차방정식 x^2-4x+a=0의 한 근이
b-13이면 다른 한 근은 b+13이다.
.t3 x^2-4x+6={x-(2+12i)}{x-(2-12i)}
=(x-2-12i)(x-2+12 i)
(b+13 )+(b-13)=4, 2b=4 .t3 b=2
따라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두 근의 합은
①

즉 두 근은 2+13, 2-13이므로 두 근의 곱은
0476 x^2+2x+5=0에서 근의 공식에 의하여
x=-1±21^2-1x.c15x=-1±2i (2+13)(2-13)=a .t3 a=1
.t3 x^2+2x+5={x-(-1+2i)}{x-(-1-2i)} .t3 a+b=3 3

=(x+1-2i)(x+1+2i)
따라서 인수인 것은 ⑤이다. 1-i (1-i)^2 -2i
0483 1+i = (1+i)(1-i) = 2 =-i
⑤
⇨❶

a, b가 실수이므로 이차방정식 x^2+ax+b=0의 한 근이 -i이면


0477 1/2x^2-3x+5=0, 즉 x^2-6x+10=0에서 근의 공식에 의
다른 한 근은 i이다. ⇨❷

x=-(-3)±2(-3)x^2-x1·10x=3±i i+(-i)=-a, i·(-i)=b


하여 따라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t3 1/2x^2-3x+5=1/2{x-(3+i)}{x-(3-i)} a=0, b=1


따라서 이차방정식 x^2+x=0의 근은
이므로 ⇨❸

=1/2(x-3-i)(x-3+i) x(x+1)=0 .t3 x=-1 또는 x=0


따라서 a=-1, b=-3이므로 ab=3 3  x=-1 또는 x=0
⇨❹

0478 f(alpha)=0, f(beta)=0이므로 f(2x+1)=0이려면


❶ 1-i 를 간단히 할 수 있다.
채점 기준 비율

2x+1=alpha 또는 2x+1=beta 1+i


alpha-1 beta-1
20%

.t3 x= 2 또는 x= 2
❸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여 a, 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❷ 켤레근의 성질을 이용하여 다른 한 근을 구할 수 있다. 30%

따라서 이차방정식 f(2x+1)=0의 두 근의 합은


30%

alpha-1 beta-1 alpha+beta-2 4-2


2 + 2 = = 2 =1
❹ 방정식 x^2+bx+a=0의 근을 구할 수 있다. 20%

2
④

0484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 두 근을 alpha, beta라 하면


0479 이차방정식 f(x)=0의 두 근을 alpha, beta라 하면
 D=(-3)^2-4(3-k)_>0 .t3 k_>3/4
alphabeta=27
f(alpha)=0, f(beta)=0이므로 f(3x)=0이려면  alpha+beta=3>0
3x=alpha 또는 3x=beta  alphabeta=3-k>0 .t3 k<3
alpha beta
.t3 x= 3 또는 x= 3
이상에서 공통 범위를 구하면

3/4_<k<3
따라서 이차방정식 f(3x)=0의 두 근의 곱은
alpha beta alphabeta 따라서 실수 k의 최솟값은 3/4이다.  3/4
3 · 3 = 9 =^27 /9=3 ③

36 • 정답 및 풀이
본책 66~69쪽

0485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두 근을 alpha , beta 라 하면 두 근의 부호가 (2x+1)(x-1)=9에서 2x^2 -x-1=9


서로 다르므로 2x^2 -x-10=0, (x+2)(2x-5)=0

alpha beta =3a-5<0 .t3


a<5/3
.t3
x=-2 또는 x=5/2

따라서 a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①이다. ① 따라서 alpha =5/2
, beta =-2이므로

0486 이차방정식 ax^2 +bx+c=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2alpha -beta =2.c1 5/2


-(-2)=7 7
 D=b^2 -4ac>0(.T3
b^2 >4ac)
 (두 근의 합)=-b
a>0(.T3
/ a>0, b<0) x=1+12 를 주어진 이차방정식에 대입한다.
방정식 x^2 +kx-3=0의 한 근이 1+12이므로
0491
 (두 근의 곱)=c
a>0(.T3
/ a>0, c>0)
(1+12)^2 +k(1+12 )-3=0

04
3+212+k(1+12)-3=0
다. k(1+12)=-212
이상에서 주어진 이차방정식은 서로 다른 두 개의 양의 실근을 갖는

이차방정식
-212 -212(12-1)
⑤

.t3
k= = =-4+212
0487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두 근을 alpha , beta 라 하면 두 근의 부호가 1+12 (12+1)(12-1)
③

k가 유리수라는 조건이 없으므로 켤레근의 성질을 이용하여 다른 한 근을


alpha beta =-k-5<0 .t3
k>-5 …… ㉠ 1-12로 생각하여 문제를 해결하지 않도록 한다.
서로 다르므로

alpha +beta =-(k-2)>0 .t3


k<2 …… ㉡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이차방정식이 실근을
또 음의 근의 절댓값이 양의 근보다 작으므로

㉠, ㉡의 공통 범위를 구하면 가질 조건은 D_> 0이다.


0492

-5<k<2 이차방정식 x^2 -5x+k+1=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따라서 정수 k는 -4, -3, -2, …, 1의 6개이다. ④ D=(-5)^2 -4(k+1)_> 0
21-4k_> 0 .t3
k_< ^21
/4

0488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두 근을 alpha , beta 라 하면 두 근의 부호가
따라서 실수 k의 최댓값은 ^21
/4
이다. ②

alpha beta =m+2<0 .t3


m<-2 …… ㉠
서로 다르므로

이차방정식 ax^2 +bx+c=0의 두 근이 alpha , beta 일 때,


alpha +beta =-(m^2 -m-12)=0
또 두 실근의 절댓값이 같으므로 0493
alpha +beta =-b
a, alpha beta =c
/ a임을 이용한다.
/
m^2 -m-12=0, (m+3)(m-4)=0
.t3 m=-3 또는 m=4 …… ㉡
alpha +beta =6, alpha beta =4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에서 m=-3  -3
1 1 alpha +beta
.t3 + = =6/4
=3/2

alpha beta alpha beta
0489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두 근을 alpha , beta 라 하면 두 근의 부호가
④

alpha beta =a-4<0 .t3


a<4 …… ㉠
서로 다르므로
0494 먼저 주어진 근의 분모를 유리화한 후 이차방정식의 켤레
⇨❶

1 2+15
근의 성질을 이용한다.

= =-2-15
2-15 (2-15)(2+15 )
또 양의 근이 음의 근의 절댓값보다 작으므로

alpha +beta =2a+1<0 .t3


a<-1/2
…… ㉡
⇨❶

a, b가 유리수이므로 이차방정식 x^2 +ax+b=0의 한 근이


⇨❷

㉠, ㉡의 공통 범위를 구하면
-2-15이면 다른 한 근은 -2+15이다.
a<-1/2

⇨❷

(-2+15)+(-2-15 )=-a, (-2+15)(-2-15)=b


⇨❸

따라서 정수 a의 최댓값은 -1이다.


따라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
⇨❹

a=4, b=-1
이므로

.t3
ab=-4
⇨❸
채점 기준 비율

 -4
⇨❹
❶ ㉠을 구할 수 있다. 35%

❸ a의 값의 범위를 구할 수 있다.
❷ ㉡을 구할 수 있다. 35%

1 의 분모를 유리화할 수 있다.


채점 기준 비율

❹ 정수 a의 최댓값을 구할 수 있다.
20%

2-15
10% ❶ 20%

❸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여 a, 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❷ 켤레근의 성질을 이용하여 다른 한 근을 구할 수 있다. 40%

주어진 이차방정식을 (x에 대한 이차식)=0 꼴로 변형


30%
❹ a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0490
10%
한 후 인수분해를 이용하여 근을 구한다.

04``이차방정식• 37
정답 및 풀이

주어진 식에 x=alpha를 대입한 후 양변을 alpha로 나눈다.


주어진 방정식의 한 근이 alpha이므로
0495 주어진 방정식의 두 근을 a, a+1이라 하면 근과 계수의 관계

alpha^2-3alpha+1=0 a+(a+1)=2k+1 .t3 a=k …… ㉠


에 의하여

alphanot=0이므로 양변을 alpha로 나누면 …… ㉡


1 1
a(a+1)=3k-1 ⇨❶

alpha-3+ =0 .t3 alpha+ =3


alpha alpha k(k+1)=3k-1, k^2-2k+1=0
㉠을 ㉡에 대입하면

1 1
.t3 alpha^2+ =(alpha+ )^^2-2=3^2-2=7 7 (k-1)^2=0 .t3 k=1
alpha^2 alpha
1
⇨❷

절댓값 기호 안의 식의 값이 0이 되는 x의 값을 기준으로 채점 기준 비율

x의 값의 범위를 나눈다.
0496

 x<0일 때,
❶ 두 근을 a, a+1로 놓고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여 ㉠, ㉡을
60%

❷ k의 값을 구할 수 있다.
구할 수 있다.

x^2-3x+2x-6=0에서 x^2-x-6=0
40%

(x+2)(x-3)=0 .t3 x=-2 또는 x=3


그런데 x<0이므로 x=-2
 x_>0일 때,
0501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여 미정계수 사이의 관계식을

x^2+3x+2x-6=0에서 x^2+5x-6=0 방정식 x^2+ax-1=0의 두 근이 alpha, beta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


세운다.

(x+6)(x-1)=0 .t3 x=-6 또는 x=1


그런데 x_>0이므로 x=1 alpha+beta=-a, alphabeta=-1 …… ㉠
계에 의하여

방정식 x^2-4x+b=0의 두 근이 alpha^2beta, alphabeta^2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


x=-2 또는 x=1
, 에서 주어진 방정식의 근은

이므로 구하는 곱은 -2이다. alpha^2beta+alphabeta^2=4, alpha^2beta.c1alphabeta^2=b


에 의하여

.t3 alphabeta(alpha+beta)=4, (alphabeta)^3=b …… ㉡


④

길의 폭을 x`m라 하고 주어진 조건을 이용하여 x에 대한


a=4, -1=b
㉠을 ㉡에 대입하면
0497

길의 폭을 x`m라 하면 남은 땅의 가로, 세로의 길이는 각각 .t3 ab=-4  -4


방정식을 세운다.

(24-x)`m, (16-2x)`m이므로
(24-x)(16-2x)=210, x^2-32x+87=0 두 수 alpha, beta를 근으로 하고 x^2의 계수가 1인 이차방정식은
(x-3)(x-29)=0 .t3 x=3 또는 x=29 x^2-(alpha+beta)x+alphabeta=0이다.
0502

그런데 0<2x<16이므로 0<x<8 방정식 x^2-x-1=0의 두 근이 alpha, beta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


.t3 x=3
따라서 구하는 길의 폭은 3`m이다. 3 alpha+beta=1, alphabeta=-1
계에 의하여

1+alpha 1+beta (1+alpha)^2+(1+beta)^2


.t3 + =
이차식 ax^2+bx+c가 완전제곱식이면 이차방정식 1+beta 1+alpha (1+beta)(1+alpha)
ax^2+bx+c=0이 중근을 갖는다. 1+2alpha+alpha^2+1+2beta+beta^2
0498
=
1+alpha+beta+alphabeta
2+2(alpha+beta)+(alpha+beta)^2-2alphabeta
x^2-2(a-1)x+2a-3=0이 중근을 가지므로 이 이차방정식의 판 =
주어진 이차식이 완전제곱식이면 이차방정식

1+(alpha+beta)+alphabeta
별식을 D라 하면
2+2.c11+1^2-2.c1(-1)
= =7,
D/4={-(a-1)}^2-(2a-3)=0 1+1-1
1+alpha 1+beta
a^2-2a+1-2a+3=0, a^2-4a+4=0 · =1
1+beta 1+alpha
(a-2)^2=0 .t3 a=2 따라서 1+alpha , 1+beta 를 두 근으로 하고 x^2의 계수가 1인 이차방정
1+beta 1+alpha
②

x^2-7x+1=0
f(a)=0, f(b)=0이므로 a, b는 방정식 f(x)=0의 두
식은 ④
0499

이차식 f(x)=2x^2-6x-1에서 f(a)=0, f(b)=0이므로 a, 이차방정식의 켤레근의 성질을 이용하여 a, b의 값을 먼


근이다.

b 2x^2-6x-1=0의 두 근이다.
0503

따라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3이므로 a, b가 실수이므로 이차방정식 x^2+ax+b=0의 한 근이


는 이차방정식 저 구한다.

f(a+b)=f(3)=2.c13^2-6.c13-1=-1 ② 1-2i이면 다른 한 근은 1+2i이다.

(1+2i)+(1-2i)=-a, (1+2i)(1-2i)=b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2, b=5
0500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두 근이 연속인 정수이므로 두 근을
a, a+1로 놓는다. 이므로

38 • 정답 및 풀이
본책 69~71쪽

이때 -1/2
, 1/5
을 두 근으로 하고 x^2 의 계수가 1인 이차방정식은 .t3
alpha ^5 +beta ^5 +alpha ^4 +beta ^4 +alpha ^3 +beta ^3
`=alpha ^3 (alpha ^2 +alpha +1)+beta ^3 (beta ^2 +beta +1)
x^2 -(-1/2
+1/5
)x+(-1/2
)·1/5
=0 `=4(alpha ^3 +beta ^3 )
`=4{(alpha +beta )^3 -3alpha beta (alpha +beta )}
.t3
x^2 +^3
/10
x-^1
/10
=0
`=4{(-1)^3 -3.c1 (-3).c1 (-1)}
따라서 m=^3
/10
, n=^1
/10
이므로 m+n=2/5
 2/5
`=4·(-10)
`=-40
 -40
⇨❸

이차방정식의 두 실근 alpha , beta 의 부호가 서로 다르고 음의 근


의 절댓값이 양의 근보다 크면 alpha +beta <0, alpha beta <0이다.
0504
❶ a^2 +a, b^2 +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채점 기준 비율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두 근을 alpha , beta 라 하면 두 근의 부호가 서


30%

04
❷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여 a+b, a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alpha beta =2a-6<0 .t3


a<3 …… ㉠
로 다르므로 ❸ 주어진 식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이차방정식
alpha +beta =-(a+1)<0 .t3
a>-1 …… ㉡ |alpha |+|beta |=2의 양변을 제곱한 후 alpha +beta , alpha beta 에 대한 식
또 음의 근의 절댓값이 양의 근보다 크므로

㉠, ㉡의 공통 범위를 구하면
0508

-1<a<3 |alpha |+|beta |=2의 양변을 제곱하면


으로 변형한다.

따라서 정수 a의 최댓값은 2, 최솟값은 0이므로 구하는 합은 2이다. |alpha |^2 +2|alpha ||beta |+|beta |^2 =4
alpha ^2 +2|alpha beta |+beta ^2 =4
(alpha +beta )^2 -2abeta +2|abeta |=4
⑤

이때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lpha +beta =2k-1, alpha beta =k^2 이므로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이차방정식이 실근을
가질 조건은 D_> 0이다. (2k-1)^2 -2k^2 +2|k^2 |=4
0505

이차방정식 x^2 +3x-2k=0의 판별식을 D_1 이라 하면 4k^2 -4k+1-2k^2 +2k^2 =4


D_1 =3^2 -4.c1 (-2k)_> 0 4k^2 -4k-3=0, (2k+1)(2k-3)=0

9+8k_>
0 .t3
k_> -9
8
/ …… ㉠ .t3
k=-1/2
(.T3
k<0) ⑤

이차방정식 x^2 +2x-k+4=0의 판별식을 D_2 라 하면


D_2 유리는 상수항을, 준호는 x의 계수를 바르게 보았다.
=1^2 -(-k+4)_> 0
4
유리와 준호가 푼 이차방정식을 x^2 +ax+b=0이라 하자.
0509
-3+k_> 0 .t3
k_> 3 …… ㉡
유리는 b를 바르게 보고 풀었으므로 두 근의 곱은
㉠, ㉡에서 주어진 두 이차방정식 중 어느 하
b=-5.c1 3=-15
나만 실근을 갖도록 하는 k의 값의 범위는

준호는 a를 바르게 보고 풀었으므로 두 근의 합은


-9
8_< k<3
/ -a=(1+13 i)+(1-13i)=2
  L


따라서 정수 k는 -1, 0, 1, 2의 4개이다. .t3


a=-2


k_> 3일 때에는 주어진 두 이차방정식이 모두 실근을 갖는다.


①

x^2 -2x-15=0  x^2 -2x-15=0


따라서 구하는 이차방정식은

0506 anot=
0, bnot=
0일 때, 1a1b=-1abq 이면 a<0, b<0임을

0이 아닌 두 실수 a, b에 대하여 1a 1b=-1abq 이면
이용한다.

a<0, b<0
이때 이차방정식 x^2 -ax+b=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a)^2 -4b=a^2 -4b>0
따라서 이차방정식 x^2 -ax+b=0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서로 다른 두 실근

alpha , beta 가 이차방정식 x^2 +x-3=0의 두 근이므로


0507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한다.

alpha ^2 +alpha -3=0, beta ^2 +beta -3=0


.t3 alpha ^2 +alpha =3, beta ^2 +beta =3 ⇨❶

alpha +beta =-1, alpha beta =-3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❷

04``이차방정식• 39
정답 및 풀이

0519 이차방정식 2x^2-6x=0에서 2x(x-3)=0


.t3 x=0 또는 x=3  0, 3
Ⅱ. 방정식
05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
0520 이차방정식 -3x^2+x+2=0에서 3x^2-x-2=0

0510 꼭짓점의 좌표: (0, -3) (3x+2)(x-1)=0 .t3 x=-2


3 또는 x=1
/
축의 방정식: x=0
Z

 -2
3, 1
/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0521 이차방정식 4x^2-20x+25=0에서


 풀이 참조 0 Y

(2x-5)^2=0 .t3 x=5/2  5/2




0511 꼭짓점의 좌표: (-3, 0)


축의 방정식: x=-3 0522 이차방정식 x^2-5x+3=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Z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D=(-5)^2-4.c11.c13=13>0




이므로 방정식 x^2-5x+3=0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따라서 주어진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은 2개이다. 2
 풀이 참조

0523 이차방정식 -2x^2+x-3=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0

0512 꼭짓점의 좌표: (1, 2) D=1^2-4.c1(-2).c1(-3)=-23<0


축의 방정식: x=1 이므로 방정식 -2x^2+x-3=0은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갖는다.
Z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따라서 주어진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은 없다. 0

0524 이차방정식 9x^2+6x+1=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풀이 참조 

D/4=3^2-9.c11=0
0  Y

0513 꼭짓점의 좌표: (-2, 8) 이므로 방정식 9x^2+6x+1=0은 중근을 갖는다.


축의 방정식: x=-2 따라서 주어진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은 1개이다. 1
Z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풀이 참조 0525 이차방정식 x^2-2x+k=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0 Y D/4=(-1)^2-1.c1k=1-k>0 .t3 k<1  k<1

0514 y=x^2-2x=(x-1)^2-1이므로
0526 D/4=1-k=0 .t3 k=1  k=1
꼭짓점의 좌표: (1, -1)
축의 방정식: x=1  (1, -1), x=1

0527 D/4=1-k<0 .t3 k>1  k>1


0515 y=-x^2-4x-4=-(x+2)^2이므로
꼭짓점의 좌표: (-2, 0)
축의 방정식: x=-2  (-2, 0), x=-2 0528 x^2-x-4=-2x+2에서 x^2+x-6=0
(x+3)(x-2)=0 .t3 x=-3 또는 x=2  -3, 2

0516 y=2x^2-12x+5=2(x-3)^2-13이므로
꼭짓점의 좌표: (3, -13) 0529 2x^2+5x+3=x+1에서 x^2+2x+1=0
축의 방정식: x=3  (3, -13), x=3 (x+1)^2=0 .t3 x=-1  -1

0517 y=-3x^2-6x+1=-3(x+1)^2+4이므로 0530 -3x^2-2x+4=x-2에서 x^2+x-2=0


꼭짓점의 좌표: (-1, 4) (x+2)(x-1)=0 .t3 x=-2 또는 x=1  -2, 1
축의 방정식: x=-1  (-1, 4), x=-1

0531 x^2+4x+3=2x-1, 즉 x^2+2x+4=0의 판별식을 D라


a>0
⑵ 그래프의 축이 y축의 오른쪽에 있으므로
0518 ⑴ 그래프가 아래로 볼록하므로 하면

D/4=1^2-1.c14=-3<0
ab<0 .t3 b<0 -b
a>0에서  ab<0
2
/

⑶ 그래프와 y축의 교점이 원점의 아래쪽에 있으므로 c<0 따라서 주어진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은 만나지 않는다.
 ⑴ a>0 ⑵ b<0 ⑶ c<0  만나지 않는다.

40 • 정답 및 풀이
본책 72~76쪽

0532 -x^2 -2x+1=-x-4, 즉 x^2 +x-5=0의 판별식을 D 0543 f(x) =-x^2 -4x+6
=-(x+2)^2 +10
Z


D=1^2 -4.c1 1.c1 (-5)=21>0 -3_< x_< 1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라 하면 

그림과 같다. 즉
에서 

난다.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f(-3)=9, f(-2)=10, f(1)=1


따라서 주어진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

따라서 f(x)의 최댓값은 10, 최솟값은 1이




0533 -x^2 -3x+6=x+10, 즉 x^2 +4x+4=0의 판별식을 D 다.  최댓값: 10, 최솟값: 1


 0  Y


라 하면

D/4
=2^2 -1.c1 4=0
따라서 주어진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은 한 점에서 만난다.(접 0544 f(x)=-x^2 +8x-3
한다.)  한 점에서 만난다.(접한다.) =-(x-4)^2 +13
Z

1_<
x_<
3에서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



0534 2x^2 -5x+1=-3x-2, 즉 2x^2 -2x+3=0의 판별식을 림과 같다. 즉


D라 하면 f(1)=4, f(3)=12


D/4
=(-1)^2 -2.c1 3=-5<0 따라서 f(x)의 최댓값은 12, 최솟값은 4이
다.  최댓값: 12, 최솟값: 4
0   Y

따라서 주어진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은 만나지 않는다.




 만나지 않는다.

0535 x^2 +x+2=3x+k, 즉 x^2 -2x+2-k=0의 판별식을 D 0545 y=x^2 +2kx+2k-4=(x+k)^2 -k^2 +2k-4이므로 그래

05
(-k, -k^2 +2k-4)
라 하면

D/4
=(-1)^2 -1.c1 (2-k)=k-1>0 .t3
k>1  k>1
프의 꼭짓점의 좌표는

꼭짓점이 직선 y=2x 위에 있으므로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
-k^2 +2k-4=-2k, k^2 -4k+4=0
0536 D/4
=k-1=0 .t3
k=1  k=1
(k-2)^2 =0 .t3
k=2 ②

0537 D/4
=k-1<0 .t3
k<1  k<1

0546 y =x^2 -4x+1


0538 y=x^2 -4x+2=(x-2)^2 -2 =(x-2)^2 -3
Z

따라서 x=2일 때 최솟값은 -2이고, 최댓값은 없다. 이므로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최솟값: -2, 최댓값: 없다. ① 그래프는 아래로 볼록한 포물선이다.


Y

② 꼭짓점의 좌표는 (2, -3)이다.


0

0539 y=-2x^2 -8x+1=-2(x+2)^2 +9 ③ 축의 방정식은 x=2이다.




따라서 x=-2일 때 최댓값은 9이고, 최솟값은 없다. ④ 6=5^2 -4.c1 5+1이므로 그래프는 점 (5, 6)을 지난다.
 최댓값: 9, 최솟값: 없다. ⑤ 그래프는 제 3 사분면을 지나지 않는다. ⑤

0540  1, 1, 10, 1, 5, 10, 1

0541 f(x)=x^2 -6x+4=(x-3)^2 -5 0547 y=-x^2 -6mx-9m^2 +2m-4=-(x+3m)^2 +2m-4


0_< x_< 4에서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
Z

림과 같다. 즉 (-3m, 2m-4)


 이므로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는

f(0)=4, f(3)=-5, f(4)=-4 꼭짓점이 제`3`사분면에 있으므로


⇨❶


따라서 f(x)의 최댓값은 4, 최솟값은 -5이 -3m<0, 2m-4<0


0 Y

다.  최댓값: 4, 최솟값: -5 -3m<0에서 m>0 ……`㉠


⇨❷


2m-4<0에서 m<2 ……`㉡




0542 f(x)=x^2 +2x-3=(x+1)^2 -4 ㉠, ㉡에서 0<m<2


-1_< x_< 2에서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0<m<2
Z ⇨❸


그림과 같다. 즉
f(-1)=-4, f(2)=5
채점 기준 비율


따라서 f(x)의 최댓값은 5, 최솟값은 -4이 ❷ 제3사분면에 있는 점의 x좌표와 y좌표의 부호를 이용할 수 있다.
 Y ❶ 꼭짓점의 좌표를 구할 수 있다. 40%
0

다.  최댓값: 5, 최솟값: -4 ❸ m의 값의 범위를 구할 수 있다.


30%

 30%

05``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 41
정답 및 풀이

0548 이차함수의 식을 y=a(x-1)^2+b라 하면 이 함수의 그래 (alpha-beta)^2=9


프가 두 점 (2, 0), (-1, 6)을 지나므로 .t3 (alpha+beta)^2-4alphabeta=9 .c3.c3`㉡
양변을 제곱하면

0=a+b, 6=4a+b k^2+8=9, k^2=1


a=2, b=-2 .t3 k=1(.T3 k>0) 1
㉠을 ㉡에 대입하면

이차방정식 x^2+kx-2=0의 두 근을 a, a+3이라 하면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y=2(x-1)^2-2
따라서 이차함수의 식은

이 함수의 그래프가 점 (-2, k)를 지나므로 .c3.c3`㉠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k=2.c1(-3)^2-2=16  16 .c3.c3`㉡
a+(a+3)=-k

(a+1)(a+2)=0
a(a+3)=-2

.t3 a=-1 또는 a=-2 .c3.c3`㉢


㉡에서

0549 이차함수의 식을 y=a(x-2)^2+1이라 하면 이 함수의 그


a^2+3a+2=0,

래프가 점 (3, 2)를 지나므로


k=-1 또는 k=1
㉢을 ㉠에 대입하면
2=a+1 .t3 a=1
k>0이므로 k=1
y=(x-2)^2+1=x^2-4x+5
따라서 이차함수의 식은

이므로 y절편은 5이다. 0555 이차함수 y=x^2+2kx+k^2-3k+9의 그래프가 x축과 서


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므로 방정식 x^2+2kx+k^2-3k+9=0의 판
②

0550 f(x)=a(x+3)(x+1)이라 하면 별식을 D라 하면


f(x)=a(x^2+4x+3)=a(x+2)^2-a D/4=k^2-(k^2-3k+9)>0
y=f(x)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는 (-2, -a)이므로
3k-9>0 .t3 k>3
-a=-2 .t3 a=2
따라서 정수 k의 최솟값은 4이다.
따라서 f(x)=2(x+3)(x+1)이므로
⑤

f(1)=2.c14.c12=16
0556 이차함수 y=x^2-4x+k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므로 방정
④

0551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가 점 (0, 8)을 지나므로 c=8 식 x^2-4x+k=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따라서 이차함수 y=ax^2+bx+8의 그래프가 두 점 (1, 3), D/4=(-2)^2-k_>0 .t3 k_<4
(3, -1)을 지나므로
따라서 실수 k의 최댓값은 4이다. 4
3=a+b+8, -1=9a+3b+8
.t3 a+b=-5, 3a+b=-3
a=1, b=-6 0557 이차함수 y=x^2+ax+b의 그래프가 점 (1, 4)를 지나므로
.t3 a-b-c=-1  -1 4=1+a+b .t3 b=-a+3 ……`㉠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또 이차함수의 그래프가 x축에 접하므로 방정식 x^2+ax+b=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0552 이차함수 y=2x^2+ax+b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의 x좌표
D=a^2-4b=0 ……`㉡
가 1, 3이므로 1, 3은 이차방정식 2x^2+ax+b=0의 두 근이다.
a^2+4a-12=0
(a+6)(a-2)=0 .t3 a=2(.T3 a>0)
㉠을 ㉡에 대입하면
따라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3=-a/2, 1.c13=b/2 a=2를 ㉠에 대입하면 b=1


a=-8, b=6 .t3 a-b=1
.t3 b-a=14  14
이므로 ①

0558 이차함수 y=x^2+6x-3k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므로 방


0553 이차함수 y=x^2+ax+b의 그래프와 x축이 만나는 점의 x 정식 x^2+6x-3k=0의 판별식을 D_1이라 하면
좌표의 합이 3, 곱이 -4이므로 이차방정식 x^2+ax+b=0의 두 근 D_1
=3^2-(-3k)_>0, 9+3k_>0
의 합이 3, 곱이 -4이다. 4
.t3 k_>-3 ……`㉠
3=-a, -4=b .t3 a=-3, b=-4 또 이차함수 y=-2x^2+x+k-1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지 않으
따라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❶

.t3 ab=12 므로 방정식 -2x^2+x+k-1=0의 판별식을 D_2라 하면


D_2=1^2-4.c1(-2).c1(k-1)<0, -7+8k<0
④

0554 이차방정식 x^2+kx-2=0의 두 근을 alpha, beta라 하면 근과 계 .t3 k<7/8 ……`㉡ ⇨❷

㉠, ㉡에서 -3_<k<7/8
alpha+beta=-k, alphabeta=-2 ……`㉠
수의 관계에 의하여

이때 주어진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x축이 만나는 두 점 사이의 거리 따라서 정수 k는 -3, -2, -1, 0의 4개이다.
가 3이므로 |alpha-beta|=3 4
⇨❸

42 • 정답 및 풀이
본책 76~79쪽

D=(-3)^2 -4.c1 2.c1 (m-1)>0


17-8m>0 .t3
m<^17
/8

채점 기준 비율
❶ ㉠을 구할 수 있다. 40%

따라서 정수 m의 최댓값은 2이다. 2


❸ 정수 k의 개수를 구할 수 있다.
❷ ㉡을 구할 수 있다. 40%
20%

0559 f(x)=x^2 +2x+1-a라 하면 이차방정 0564 이차함수 y=x^2 -2kx+k^2 의 그래프와 직선 y=2x+1이
식 f(x)=0의 두 근이 모두 2보다 작으므로 이 적어도 한 점에서 만나므로 방정식 x^2 -2kx+k^2 =2x+1, 즉
차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 x^2 -2(k+1)x+k^2 -1=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아야 한다.
 Y

D/4
={-(k+1)}^2 -(k^2 -1)_> 0
���이차방정식 f(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❶

2k+2_> 0 .t3
k_> -1
D/4
=1^2 -(1-a)_> 0 .t3
a_> 0 따라서 실수 k의 최솟값은 -1이다.
⇨❷

�f(2)=4+4+1-a>0 .t3
a<9  -1
⇨❸

� 차함수 y=f(x)의 그래프의 축의 방정식은 x=-1이고


-1<2이다.

��� 채점 기준 비율

0_< a<9  0_<


a<9
❶ 주어진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이 적어도 한 점에서 만나기 위
이상에서 60%

❷ k의 값의 범위를 구할 수 있다.
한 조건을 구할 수 있다.

0560 f(x)=x^2 -x+a-2라 하면 이차방정 ❸ k의 최솟값을 구할 수 있다.


20%

식 f(x)=0의 두 근이 모두 -1보다 크므로 이


20%

차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 0565 이차함수 y=kx^2 +2kx+1의 그래프와 직선 y=x-k가
아야 한다. 만나지 않으므로 방정식 kx^2 +2kx+1=x-k, 즉
 Y

kx^2 +(2k-1)x+k+1=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05
���이차방정식 f(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1)^2 -4(a-2)_> 0 D=(2k-1)^2 -4k(k+1)<0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
9-4a_> 0 .t3
a_< 9/4
-8k+1<0 .t3
k>1/8

�f(-1)=1+1+a-2>0 .t3
a>0 .t3
a=1/8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의 축의 방정식은 x=1/2
이고
①

1/2
>-1이다. 0566 직선 y=x+n이 이차함수 y=x^2 -x+3의 그래프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므로 방정식 x+n=x^2 -x+3, 즉
0<a_< 9/4
x^2 -2x+3-n=0의 판별식을 D_1 이라 하면
D_1
이상에서
따라서 정수 a는 1, 2의 2개이다. =(-1)^2 -(3-n)>0
4
①

-2+n>0 .t3 n>2 .c3


…`㉠
0561 f(x)=x^2 +kx-2k+1이라 하면 이차 또 직선 y=x+n이 이차함수 y=-x^2 +3x+4의 그래프와 만나지
방정식 f(x)=0의 두 근 사이에 -3이 있으므 않으므로 방정식 x+n=-x^2 +3x+4, 즉 x^2 -2x+n-4=0의
로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 판별식을 D_2 라 하면

Y

과 같아야 한다. D_2


=(-1)^2 -(n-4)<0
따라서 f(-3)<0이어야 하므로 4
9-3k-2k+1<0, 10-5k<0 .t3
k>2 5-n<0 .t3 n>5 .c3
.c3
`㉡
따라서 정수 k의 최솟값은 3이다. ③ ㉠, ㉡에서 n>5  n>5

0567 직선의 방정식을 y=2x+b라 하면 이 직선이 이차함수


0562 이차함수 y=x^2 +kx+3의 그래프와 직선 y=-x+2가 접
y=x^2 -4x+3의 그래프에 접하므로 방정식 x^2 -4x+3=2x+b,
하므로 방정식 x^2 +kx+3=-x+2, 즉 x^2 +(k+1)x+1=0의
즉 x^2 -6x+3-b=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판별식을 D라 하면
D=(k+1)^2 -4=0, k^2 +2k-3=0 D/4
=(-3)^2 -(3-b)=0 .t3
b=-6
(k+3)(k-1)=0 .t3
k=1`(.T3
k>0) 1 따라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y=2x-6  y=2x-6

0563 직선 y=mx가 이차함수 y=2x^2 +(m-3)x+m-1의 그 0568 점 (1, 2)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을 y=a(x-1)+2라 하
면 이 직선이 이차함수 y=2x^2 -x+1의 그래프에 접하므로 방정식
2x^2 +(m-3)x+m-1=mx, 즉 2x^2 -3x+m-1=0의 판별식 2x^2 -x+1=a(x-1)+2, 즉 2x^2 -(1+a)x+a-1=0의 판별
래프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므로 방정식

을 D라 하면 식을 D라 하면

05``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 43
정답 및 풀이

D={-(1+a)}^2-4.c12.c1(a-1)=0 0574 이차함수 f(x)=ax^2+bx+c가 x=2에서 최댓값 2를 가지


a^2-6a+9=0, (a-3)^2=0 f(x)=a(x-2)^2+2
.t3 a=3 f(1)=1에서 1=a+2 .t3 a=-1
므로

따라서 직선의 방정식은 y=3x-1이므로 구하는 y절편은 -1이다. .t3 f(x)=-(x-2)^2+2=-x^2+4x-2


 -1 따라서 a=-1, b=4, c=-2이므로
a-b+c=-7  -7

0569 점 (2, 4)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을 y=a(x-2)+4라 하


0575 f(x)=ax^2+4ax+b=a(x+2)^2-4a+b에서 최솟값이
면 이 직선이 이차함수 y=-2x^2+7x-4의 그래프에 접하므로 방
-7이므로 -4a+b=-7
정식 -2x^2+7x-4=a(x-2)+4, 즉
.t3 4a-b=7 ……`㉠
2x^2+(a-7)x-2a+8=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g(x)=-x^2+4x+2a+b=-(x-2)^2+2a+b+4에서 최댓값이
D=(a-7)^2-4.c12.c1(-2a+8)=0
3이므로 2a+b+4=3
.t3 a^2+2a-15=0
.t3 2a+b=-1 ……`㉡
이 방정식의 두 실근을 alpha, beta라 하면 alpha, beta는 구하는 두 직선의 기울
㉠, ㉡을 연립하여 풀면 a=1, b=-3
.t3 a-b=4
alphabeta=-15
기이므로 구하는 곱은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②
②

0576 y=-x^2-2ax+6a-3=-(x+a)^2+a^2+6a-3이므로
0570 2x^2+ax+3=2x+b에서 2x^2+(a-2)x+3-b=0 x=-a에서 최댓값 a^2+6a-3을 갖는다.
이 이차방정식의 두 근이 -1, 2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m=a^2+6a-3=(a+3)^2-12 이므로 m은 a=-3 에서 최솟값
⇨❶

a-2 3-b -12를 갖는다.


-1+2=- , -1.c12=
2 2  -12
⇨❷

a-2=-2, 3-b=-4 .t3 a=0, b=7


.t3 b-a=7
채점 기준 비율
①

❷ m의 최솟값을 구할 수 있다.
❶ 주어진 함수의 최댓값을 구할 수 있다. 60%

0571 2x^2-x-1=3x+k에서 2x^2-4x-1-k=0


40%

이 이차방정식의 한 근이 3이므로
0577 f(x)=2x^2-8x+k
18-12-1-k=0 .t3 k=5
=2(x-2)^2-8+k
Z

2x^2-4x-6=0에서 x^2-2x-3=0
⇨❶

이므로 1_<x_<4에서 y=f(x)의 그래프는


L

(x+1)(x-3)=0 .t3 x=-1 또는 x=3


오른쪽 그림과 같다.
x=-1을 y=3x+5에 대입하면 y=2
⇨❷

따라서 x=4에서 최댓값 k를 가지므로


 

.t3 B(-1, 2)
0  Y

k=4
 B(-1, 2)
⇨❸  L
①  L

❶ k의 값을 구할 수 있다.
0578 f(x)=-x^2-2x+a=-(x+1)^2+1+a
채점 기준 비율

❷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의 교점의 x좌표를 구할 수 있다. |x|_<2, 즉 -2_<x_<2이므로 f(x)는 x=2에서 최솟값 -8+a
30%

❸ 점 B의 좌표를 구할 수 있다. 를 갖는다.


40%

즉 -8+a=-9이므로 a=-1
30%

따라서 f(x)=-(x+1)^2이고, x=-1에서 최대이므로 최댓값은


0572 이차함수 y=x^2+ax+b가 x=1에서 최솟값 -7을 가지
0이다. ③

x^2+ax+b=(x-1)^2-7
므로

0579 y=x^2-2x+3=(x-1)^2+2
=x^2-2x-6
x=a에서 최댓값 27을 가지므로
따라서 a=-2, b=-6이므로 ab=12  12
a^2-2a+3=27, a^2-2a-24=0
(a+4)(a-6)=0 .t3 a=6(.T3 a_>2) 6
0573 이차함수 y=ax^2+2ax+b의 그래프가 점 (1, 3)을 지나므
0580 f(x)=x^2-4x+1=(x-2)^2-3이라
a+2a+b=3 .t3 3a+b=3 ……`㉠ 하면 f(2)=-3이므로
로 Z


y=ax^2+2ax+b=a(x+1)^2-a+b에서 최솟값이 -5이므로 a<2 a_>2이면 최솟값이 -3이다.


-a+b=-5 ……`㉡ f(-1)=6이므로 f(x)는 x=-1에서 최댓


㉠, ㉡을 연립하여 풀면 a=2, b=-3 값을 갖고, x=a에서 최솟값을 갖는다.


 B
0 Y

.t3 a+b=-1 따라서 f(a)=-2이므로




⑤

44 • 정답 및 풀이
본책 79~82쪽

a^2 -4a+1=-2, a^2 -4a+3=0 .t3


x^2 +y^2 +z^2 +2x-4y+4z+3_> -6
(a-1)(a-3)=0 .t3
a=1 (.T3
a<2) 1 따라서 주어진 식의 최솟값은 -6이다.  -6

0581 x^2 -2x=t로 놓으면 0587 x+y=2에서 y=2-x ……`㉠


t=(x-1)^2 -1_> -1 x, y가 음이 아닌 실수이므로
x_> 0, y=2-x_> 0
y=t^2 +4t-3=(t+2)^2 -7 (t_> -1) .t3 0_< x_< 2
이때 주어진 함수는

따라서 t=-1일 때 최솟값은 -6이다.  -6 ㉠을 2x+y^2 에 대입하면


2x+y^2 =2x+(2-x)^2 =x^2 -2x+4
=(x-1)^2 +3
0582 x^2 -4x+3=t로 놓으면
이때 0_< x_< 2이므로 x=0 또는 x=2일 때 최댓값은 4, x=1일 때
t=(x-2)^2 -1
최솟값은 3이다.
1_< x_< 4에서 x=2일 때 최솟값은 -1, x=4일 때 최댓값은 3이므
따라서 구하는 합은 7이다.
-1_< t_< 3
④

y=t^2 -4t+5=(t-2)^2 +1 (-1_< t_< 3) 0588 x+y=4에서 y=4-x


이때 주어진 함수는

따라서 t=2일 때 최솟값은 1, t=-1일 때 최댓값은 10이므로 구 .t3


x^2 +y^2 =x^2 +(4-x)^2 =2x^2 -8x+16
하는 합은 11이다. =2(x-2)^2 +8
따라서 x=2일 때 최솟값은 8이다.
②
⑤

0583 x^2 +2x-1=t로 놓으면


t=(x+1)^2 -2_> -2 0589 x+y^2 =1에서 y^2 =1-x ……`㉠
y가 실수이므로 y^2 =1-x_> 0 .t3
x_< 1

05
㉠을 -x^2 +2y^2 +x에 대입하면
y=-2t^2 +6(t+1)+k=-2t^2 +6t+6+k
이때 주어진 함수는

-x^2 +2(1-x)+x=-x^2 -x+2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
x^2 +2x-1=t이므로 
=-2(t-3/2
)^^2 +^21
/2
+k(t_> -2)   x^2 +2x=t+1

=-(x+1/2
)^^2 +9/4

따라서 t=3/2
에서 최댓값 ^21
/2
+k를 가지므로
이때 x_< 1이므로 x=-1/2
일 때 최댓값은 9/4
이다.
/2
^21
+k=10 .t3
k=-1/2
 -1/2

⑤

0590 점 A의 좌표를 (a, 0)(0<a<4)이라 하면


0584 x^2 -4x+2y^2 +4y+9=(x-2)^2 +2(y+1)^2 +3 D(a, -a^2 +8a)
이때 x, y가 실수이므로 .t3
AB^_
=8-2a, AD^_
=-a^2 +8a
(x-2)^2 _> 0, (y+1)^2 _> 0 따라서 직사각형 ABCD의 둘레의 길이는
.t3
x^2 -4x+2y^2 +4y+9_> 3 2(8-2a-a^2 +8a)=-2a^2 +12a+16
따라서 주어진 식의 최솟값은 3이다. =-2(a-3)^2 +34
이때 0<a<4이므로 a=3일 때 최댓값은 34이다.
③

따라서 직사각형 ABCD의 둘레의 길이의 최댓값은 34이다.  34


0585 -x^2 -y^2 +6x-15=-(x-3)^2 -y^2 -6
이때 x, y가 실수이므로 점 B의 좌표를 (b, 0)(4<b<8)이라 하면
(x-3)^2 _> 0, y^2 _> 0 C(b, -b^2 +8b)
.t3
-x^2 -y^2 +6x-15_< -6 .t3
AB^_
=2b-8, BC^_
=-b^2 +8b
따라서 주어진 식은 x=3, y=0에서 최댓값 -6을 가지므로 따라서 직사각형 ABCD의 둘레의 길이는
⇨❶

alpha =3, beta =0, gamma =-6 2(2b-8-b^2 +8b)=-2b^2 +20b-16


.t3 alpha +beta +gamma =-3 =-2(b-5)^2 +34
 -3 이때 4<b<8이므로 b=5일 때 최댓값은 34이다.
⇨❷

0591 y=-5t^2 +40t=-5(t-4)^2 +80


❶ (실수)^2 _> 0임을 이용하여 주어진 식의 최댓값을 구할 수 있다.
채점 기준 비율

따라서 t=4일 때 y는 최대이고, 이때의 높이는 80~m이다.  80


60%
❷ a+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0592 y=-30x^2 +240x=-30(x-4)^2 +480


0586 x^2 +y^2 +z^2 +2x-4y+4z+3 이때 2_< x_< 5이므로 x=4일 때 최댓값은 480, x=2일 때 최솟값
=(x+1)^2 +(y-2)^2 +(z+2)^2 -6 은 360이다.
이때 x, y, z가 실수이므로 따라서 판매 수익의 최댓값은 480만 원, 최솟값은 360만 원이다.
(x+1)^2 _> 0, (y-2)^2 _> 0, (z+2)^2 _> 0  최댓값: 480만 원, 최솟값: 360만 원

05``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 45
정답 및 풀이

D=(-5)^2-4(3-k)>0
로의 길이를 x`m라 하면 가로의 길이는
0593 오른쪽 그림과 같이 가축우리의 세 ⇨❶

13+4k>0 .t3 k>-^13


/4
(32-2x)`m
YAN

.t3 a=-^13
/4
x>0, 32-2x>0
이때 변의 길이는 양수이므로 ⇨❷

 -^13
/4
.t3 0<x<16 ⇨❶

x(32-2x) =-2x^2+32x
가축우리의 넓이는
❶ 방정식 x^2-4x+3=x+k의 판별식 D가 D>0이어야 함을 이
채점 기준 비율

=-2(x-8)^2+128
60%

이때 0<x<16이므로 x=8일 때 최댓값은 128이다. ❷ a의 값을 구할 수 있다.


⇨❷ 용할 수 있다.

따라서 가축우리의 최대 넓이는 128`m^2이다.


40%

 128
⇨❸

0598 기울기가 -1이므로 직선의 방정식을 y=-x+b로  놓
채점 기준 비율 고 이차함수의 식과 연립하여 얻은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이 0임을 이용

직선의 방정식을 y=-x+b라 하면 이 직선이 이차함수


❶ 가축우리의 가로, 세로의 길이를 미지수로 나타낼 수 있다. 30% 한다.

y=-2x^2+x+1의 그래프에 접하므로 방정식


❷ 가축우리의 넓이를 이차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40%

-2x^2+x+1=-x+b, 즉 2x^2-2x+b-1=0의 판별식을 D라


❸ 가축우리의 최대 넓이를 구할 수 있다. 30%

형 ABC에서 BD^_=x`m, DE^_=y`m


0594 오른쪽 그림과 같은 직각삼각 " 하면

D/4=(-1)^2-2(b-1)=0
라 하면 semoADEZsemoABC이므로
ZAN &
AN%

AD^_`:`AB^_=DE^_`:`BC^_ 3-2b=0 .t3 b=3/2


YAN

즉 (10-x)`:`10=y`:`20이므로
# $
AN

따라서 직선의 방정식은 y=-x+3/2이므로 y절편은 3/2이다.


y=20-2x
 3/2
x>0, y>0, 즉 x>0, 20-2x>0
이때 변의 길이는 양수이므로

.t3 0<x<10

f(x)=a(x-p)^2+q(a<0)로 놓는다.
0599
xy =x(20-2x)=-2x^2+20x
꽃밭의 넓이는 이차함수 f(x)가 x=p에서 최댓값 q를 가지면 

=-2(x-5)^2+50 이차함수 y=-3x^2+2ax+1이 x=-1에서 최댓값 b를 가


이때 0<x<10이므로 x=5일 때 최댓값은 50이다.
-3x^2+2ax+1 =-3(x+1)^2+b
지므로
따라서 꽃밭의 최대 넓이는 50`m^2이다.
=-3x^2-6x-3+b
③

따라서 2a=-6, 1=-3+b이므로 a=-3, b=4


y=a(x-m)^2+n으로 놓는다. .t3 a-b=-7
0595 꼭짓점의 좌표가 (m, n)이면 이차함수의 식을    

이차함수 y=3x^2+ax+b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가


②

(-2, 5)이므로 주어진 이차함수의 식을 f(x)=a(x-p)^2+q 꼴로 변


y=3(x+2)^2+5=3x^2+12x+17
0600

따라서 a=12, b=17이므로 b-a=5 5 f(x)=x^2+6x+3=(x+3)^2-6


형한 후 꼭짓점의 x좌표가 주어진 범위에 속하는지 확인한다.

따라서 x=-2일 때 최솟값은 -5, x=1일 때 최댓값은 10이므로


0596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지 않으면 이 구하는 합은 5이다. ⑤

이차함수 y=x^2+2x+k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지 않으므로


차방정식 f(x)=0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D<0이다.

방정식 x^2+2x+k=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0601 이차함수의 그래프가 두 점 (a, 0), (b, 0)을 지나면 이

D/4=1^2-k<0 .t3 k>1 y=a(x-2)(x-6)이라 하면


차함수의 식을 y=a(x-a)(x-b)로 놓는다.

y=a(x^2-8x+12)=a(x-4)^2-4a
⑤

이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는 (4, -4a)이고, 이 점은


른  두  점에서  만나면  이차방정식  f(x)=g(x)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직선 3x+y=0 위의 점이므로
0597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g(x)가 서로 다

D>0이다. 12-4a=0 .t3 a=3


이차함수 y=x^2-4x+3의 그래프와 직선 y=x+k가 서로 따라서 y=3(x^2-8x+12)=3x^2-24x+36이므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므로 방정식 x^2-4x+3=x+k, 즉 a=3, b=-24, c=36
x^2-5x+3-k=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t3 a+b+c=15  15

46 • 정답 및 풀이
본책 82~84쪽

0602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이 따라서 2x^2 +2x+1/2


=0에서

이차함수 y=3x^2 +ax+b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의 x좌표가 4x^2 +4x+1=0, (2x+1)^2 =0 .t3
x=-1/2

차방정식 f(x)=0의 실근과 같다.

-3, 1이므로 -3, 1은 이차방정식 3x^2 +ax+b=0의 두 근이다.


x=-1/2
을 y=-3x-1/2
에 대입하면

y=-3.c1 (-1/2
)-1/2
=1
따라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3+1=-a/3
, -3.c1 1=b/3

a=6, b=-9 따라서 접점의 좌표는 (-1/2
, 1)이다.
.t3
ab=-54  -54
이므로 ⇨❷

 k=-1/2
, (-1/2
, 1)

이차방정식 ax^2 +bx+c=0 (a>0)의 판별식을 D라 하


고 f(x)=ax^2 +bx+c라 할 때, 두 근이 모두 p와 q 사이에 있을 조건
0603
❶ 판별식을 이용하여 k의 값을 구할 수 있다.
채점 기준 비율

은 D_> 0, f(p)>0, f(q)>0, p<-b


50%

2
/
a<q이다. ❷ 접점의 좌표를 구할 수 있다. 50%

f(x)=x^2 -3x+a라 하면 이차방정식


f(x)=0의 두 근이 모두 1과 4 사이에 있으므 x좌표는 이차방정식 f(x)=g(x)의 실근과 같다. 
0606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g(x)의 교점의 

로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 x^2 +px+q=-x+3에서 x^2 +(p+1)x+q-3=0


과 같아야 한다. 이 이차방정식의 계수가 모두 유리수이고 한 근이 1-12이므로 다
  Y

 이차방정식 f(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른 한 근은 1+12이다.


D=(-3)^2 -4a_> 0 .t3
a_< 9/4

⇨❶

(1-12 )+(1+12)=-(p+1), (1-12)(1+12)=q-3


따라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f(1)=1-3+a>0 .t3
a>2
2=-p-1, -1=q-3 .t3
p=-3, q=2

05
f(4)=16-12+a>0 .t3
a>-4
.t3
p-q=-5
⇨❷

�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의 축의 방정식은 x=3/2


이고  -5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
⇨❸

1<3/2
<4이다. 채점 기준 비율

2<a_< 9/4

❶ 계수가 유리수인 이차방정식의 켤레근의 성질을 이용하여 다른
이상에서 40%

❷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여 p, q의 값을 구할 수 있다.


한 근을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실수 a의 최댓값은 9/4


이다.  9/4

❸ p-q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20%

이차함수 y=a(x-p)^2 +q (a<0)는 x=p에서 최댓값 
q를 갖는다.
0604 이차함수의 식과 직선의 방정식을 연립하여 얻은 이차방 0607

이차함수 y=2x^2 -2x+a의 그래프와 직선 y=-2x+3이 y=-x^2 -2kx+k=-(x+k)^2 +k^2 +k 이므로 x=-k일
정식의 판별식의 부호를 이용한다.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므로 방정식 2x^2 -2x+a=-2x+3, 즉 때 최댓값은 k^2 +k이다.


2x^2 +a-3=0의 판별식을 D_1 이라 하면 즉 k^2 +k=6이므로 k^2 +k-6=0
D_1 따라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모든 상수 k의 값의 합은 -1이
=0^2 -2(a-3)>0 .t3
a<3 ……`㉠
4 다.  -1
또 이차함수 y=2x^2 -2x+a의 그래프와 직선 y=2x-4가 만나지
않으므로 방정식 2x^2 -2x+a=2x-4, 즉 2x^2 -4x+a+4=0의
먼저  이차함수의  식을  y=a(x-2)^2 +4로  놓고  주어진 
판별식을 D_2 라 하면
0608
D_2
=(-2)^2 -2(a+4)<0 이차함수의 식을 y=a(x-2)^2 +4라 하면 이 이차함수의 그
점의 좌표를 대입하여 a의 값을 구한다.

4
-4-2a<0 .t3
a>-2 ……`㉡ 래프가 점 (3, 5)를 지나므로
㉠, ㉡에서 -2<a<3 5=a+4 .t3
a=1
따라서 정수 a는 -1, 0, 1, 2의 4개이다. 따라서 이차함수 y=(x-2)^2 +4는 1_< x_< 4에서 x=4일 때 최대
값 8을 갖는다.
④
③

주어진 식을 p(x+m)^2 +q(y+n)^2 +r 꼴로 변형한 후 


0605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g(x)가 접하면 

(실수)^2 _> 0임을 이용한다.


0609
이차함수 y=2x^2 -x의 그래프와 직선 y=-3x+k가 접하
이차방정식 f(x)=g(x)의 판별식이 0이다.

므로 방정식 2x^2 -x=-3x+k, 즉 2x^2 +2x-k=0의 판별식을 2x^2 +y^2 +4x-6y+k=2(x+1)^2 +(y-3)^2 -11+k
D라 하면 이때 x, y가 실수이므로
(x+1)^2 _> 0, (y-3)^2 _> 0
D/4
=1^2 -2.c1 (-k)=0 .t3
k=-1/2

.t3
2x^2 +y^2 +4x-6y+k_> -11+k
⇨❶

05``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 47
정답 및 풀이

따라서 주어진 식은 x=-1, y=3에서 최솟값 -11+k를 가지므로


a=-1, b=3, -11+k=3 f(x)=0의 판별식이 0이다.
0613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가 x축에 접하면 이차방정식 

.t3 a=-1, b=3, k=14 주어진 이차함수의 그래프가 x축에 접하므로 방정식
.t3 a+b+k=16 ③ x^2+2(a-k)x+k^2+4k+b=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4=(a-k)^2-(k^2+4k+b)=0
0610 x+y=1에서  y=1-x이므로  이  식을  x^2+2y^2에  대입 a^2-2ak+k^2-k^2-4k-b=0
.t3 (-2a-4)k+a^2-b=0
x+y=1에서 y=1-x ……`㉠
한다. 이때 x의 값의 범위에 주의한다.

이 등식이 k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하므로


이때 y_>0이므로 y=1-x_>0 .t3 x_<1 -2a-4=0, a^2-b=0
또 x_>0이므로 0_<x_<1 a=-2, b=4
㉠을 x^2+2y^2에 대입하면
.t3 ab=-8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x^2+2(1-x)^2=3x^2-4x+2
①

=3(x-2
3)^^2+2
/ 3
/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x좌표가  주어진  범위에 
0614
이때 0_<x_<1이므로 x=0일 때 최댓값은 2, x=2
/
3일 때 최솟값
y=-x^2-2kx=-(x+k)^2+k^2
속하는 경우와 속하지 않는 경우로 나누어 생각한다.

3이다.
은2
/  최댓값: 2, 최솟값: 2
3
/  -k<1, 즉 k>-1일 때 꼭짓점의 x좌표가 주어진 범위에 속하지 않는다.
주어진 함수는 x=1에서 최댓값 -1-2k를 가지므로
-1-2k=9 .t3 k=-5
0611 이때 k>-1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k의 값은 존재하지 않
물받이의 높이를 x`cm로 놓고 색칠한 단면의 넓이를 x

는다.
물받이의 높이를 x`cm라 하면 색칠한 단면의 넓이는
에 대한 이차식으로 나타낸다.

 -k_>1, 즉 k_<-1일 때 꼭짓점의 x좌표가 주어진 범위에 속한다.


x(12-2x)=-2x^2+12x=-2(x-3)^2+18
주어진 함수는 x=-k에서 최댓값 k^2을 가지므로
이때 0<x<6이므로 x=3일 때 최댓값은 18이다.
k^2=9 .t3 k=-3 또는 k=3
이때 k_<-1이므로 k=-3
를 3`cm로 해야 한다. 3
따라서 색칠한 단면의 넓이가 최대가 되도록 하려면 물받이의 높이

,  에서 k=-3  -3

0612 꼭짓점의  좌표를  이용하여  이차함수의  식을  나타낸  후, 


0615 x^2-2x+2=t로 놓고 주어진 함수를 t에 대한 이차함수

x^2-2x+2=t로 놓으면
이차함수의 그래프는 축에 대하여 대칭임을 이용하여 x축과의 교점의 x 로 나타낸다. 이때 t의 값의 범위에 주의한다.

꼭짓점의 좌표가 (1, -1)이므로 이차함수의 식을


좌표를 구한다.

t=(x-1)^2+1_>1
y=a(x-1)^2-1이라 하면
y=ax^2+bx+c=a(x-1)^2-1=ax^2-2ax+a-1 y=-t^2+2t+3=-(t-1)^2+4 (t_>1)
이때 주어진 함수는

이때 주어진 이차함수의 축의 방정식이 x=1이고 PQ^_=6이므로 두 이므로 t=1일 때 최댓값은 4이다.


점 P, Q의 x좌표는 -2, 4이다. x^2-2x+2=1에서 x^2-2x+1=0
-2, 4는 이차방정식 ax^2-2ax+a-1=0의 두 근이므로 근과 계 (x-1)^2=0 .t3 x=1
따라서 주어진 함수는 x=1에서 최댓값 4를 가지므로
a-1
수의 관계에 의하여

-2.c14= , 9a-1=0 .t3 a=1/9 a=1, b=4 .t3 a+b=5


a
②

따라서 y=1/9x^2-2/9x-8/9이므로 b=-2/9, c=-8/9


.t3 a-b-3c=3 ⑤

이차함수 y=a(x-m)^2+n의 그래프는 직


선 x=m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이 이차함수
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의 좌표가 P(a, 0),
Ǣ ǣ

Q(b, 0)`(a<b)이면
1 2 Y

PQ^_
m-a=b-m= ,즉
2
YN

PQ^_ PQ^_
, b=m+
2 2
a=m-
이다.

48 • 정답 및 풀이
본책 84~87쪽

.t3
 f(x)=(x-1)(x+1)(x^2 -x-6)
Ⅱ. 방정식
(x-1)(x+1)(x^2 -x-6)=0
따라서 주어진 방정식은
06 삼차방정식과 사차방정식
(x-1)(x+1)(x+2)(x-3)=0
.t3
 x=-2 또는 x=-1 또는 x=1 또는 x=3

0616 x^3 -1=0의 좌변을 인수분해하면


 x=-2 또는 x=-1 또는 x=1 또는 x=3
(x-1)(x^2 +x+1)=0
-1±13i   -1±13i
.t3
 x=1 또는 x=  x=1 또는 x=
0622 x^2 +1=X로 놓으면 주어진 방정식은
2 2
X^2 -X-2 =0
0617 x^3 -5x^2 +6x=0의 좌변을 인수분해하면 (X+1)( X-2 )=0

x(x^2 -5x+6)=0,    x(x-2)(x-3)=0 .t3


 X=-1 또는 X= 2

.t3
 x=0 또는 x=2 또는 x=3  X=-1일 때, x^2 +1=-1, 즉 x^2 =-2에서

 x=0 또는 x=2 또는 x=3 x=z12i
 X= 2 일 때, x^2 +1=2, 즉 x^2 = 1 에서
0618 f(x)=x^3 -2x^2 -5x+6으로 놓으면
x= ±1
f(1)=1-2-5+6=0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분해 1 1 -2 -5 6 , 에서    x=z12i 또는 x= ±1
1 -1 -6 .t3
 ㈎ X^2 -X-2  ㈏ X-2  ㈐ 2  ㈑ 1  ㈒ ±1
f(x)=(x-1)(x^2 -x-6) 1 -1 -6 0
하면
   풀이 참조

(x-1)(x^2 -x-6)=0,    (x-1)(x+2)(x-3)=0 0623 x^2 -1=X로 놓으면 주어진 방정식은


따라서 주어진 방정식은

.t3
 x=-2 또는 x=1 또는 x=3 X^2 +X-6=0,    (X+3)(X-2)=0
 x=-2 또는 x=1 또는 x=3 .t3
 X=-3 또는 X=2
 X=-3일 때, x^2 -1=-3, 즉 x^2 =-2에서
0619 x^4 -8x=0의 좌변을 인수분해하면 x=±12i
x(x^3 -8)=0,    x(x-2)(x^2 +2x+4)=0  X=2일 때, x^2 -1=2, 즉 x^2 =3에서
.t3
 x=0 또는 x=2 또는 x=-1±13i x=±13
 x=0 또는 x=2 또는 x=-1±13i , 에서    x=±12i 또는 x=±13
 x=±12i 또는 x=±13
0620 f(x)=x^4 -x^2 -2x+2로 놓으면
f(1)=1-1-2+2=0 0624 x^2 +x=X로 놓으면 주어진 방정식은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분해하면 6X^2 +X-1=0,    (2X+1)(3X-1)=0

06
1 1 0 -1 -2 2 .t3
 X=-1/2
   또는 X=1/3
  

삼차방정식과 사차방정식
1 1 0 -2

1 1 1 0 -2 0  X=-1/2
  일 때, x^2 +x=-1/2
  , 즉 2x^2 +2x+1=0에서
1 2 2 `-1±i
x=
1 1 2 2 0 2
 X=1/3
  일 때, x^2 +x=1/3
  , 즉 3x^2 +3x-1=0에서
.t3
 f(x)=(x-1)^2 (x^2 +2x+2)
`-3±121q
x= 6
(x-1)^2 (x^2 +2x+2)=0
따라서 주어진 방정식은

.t3
 x=1 또는 x=-1±i   x=1 또는 x=-1±i `-1±i `-3±121q
, 에서    x= 2  또는 x= 6

 x=
`-1±i  또는  `-3±121q
0621 f(x)=x^4 -x^3 -7x^2 +x+6으로 놓으면 x=
2 6
f(1)=1-1-7+1+6=0,
f(-1)=1+1-7-1+6=0
0625 x^4 -6x^2 +1=0에서 -6x^2 =-2x^2 -4x^2 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분해하면
(x^4 -2x^2 +1)-4x^2 =0
1 1 -1 -7 1 6 (x^2 - 1 )^2 -( 2 x)^2 =0
1 0 -7 -6

(x^2 +2x-1)( x^2 -2x-1 )=0


-1 1 0 -7 -6 0 .t3  x^2 +2x-1=0 또는  x^2 -2x-1 =0
-1 1 6  x^2 +2x-1=0에서    x=-1±12
1 -1 -6 0  x^2 -2x-1=0에서    x=1±12

06``삼차방정식과 사차방정식• 49
정답 및 풀이

X^2+5X-6=0,    (X+6)(X-1)=0
    x=-1±12 또는 x= 1±12 .t3 X=-6 또는 X=1
, 에서

.t3 ㈎ 1  ㈏ 2  ㈐ x^2-2x-1  ㈑ 1±12   풀이 참조


 X=-6일 때, x+1/x=-6에서

0626 x^2=X로 놓으면 주어진 방정식은 x^2+6x+1=0    .t3 x=-3±212


X^2-6X+8=0,    (X-2)(X-4)=0  X=1일 때, x+1/x=1에서
.t3 X=2 또는 X=4 1±13i
따라서 x^2=2 또는 x^2=4이므로  x^2-x+1=0    .t3 x=
2
x=±12 또는 x=±2   x=±12 또는 x=±2 1±13i  
, 에서    x=-3±212 또는 x=
2
0627 x^2=X로 놓으면 주어진 방정식은  x=-3±212 또는 x=
1±13i
2
X^2-8X-9=0,    (X+1)(X-9)=0
.t3 X=-1 또는 X=9
따라서 x^2=-1 또는 x^2=9이므로 alpha+beta+gamma=2, alphabeta+betagamma+gammaalpha=3, alphabetagamma=7 
0631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x=±i 또는 x=±3  x=±i 또는 x=±3
 풀이 참조

0628 x^4+5x^2+9=0에서    (x^4+6x^2+9)-x^2=0


0632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lpha+beta+gamma=2, alphabeta+betagamma+gammaalpha=4, alphabetagamma=1/2 
(x^2+3)^2-x^2=0,    (x^2+x+3)(x^2-x+3)=0
 풀이 참조

.t3 x^2+x+3=0 또는 x^2-x+3=0
-1±111q i
 x^2+x+3=0에서    x=
0633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2 alpha+beta+gamma=3, alphabeta+betagamma+gammaalpha=5/3, alphabetagamma=0 
1±111q i
 풀이 참조

 x^2-x+3=0에서    x= 2
-1±111q i  또는  1±111qi
, 에서    x= x=
0634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2 2 alpha+beta+gamma=0, alphabeta+betagamma+gammaalpha=5, alphabetagamma=9/2 
 x=
-1±111q i  또는  1±111 qi
x=
 풀이 참조

2 2
0635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0629 방정식 x^4-2x^3-x^2-2x+1=0의 양변을 x^2으로 나누면
a+b+r=5, ab+br+ra=-3, abr=-6   풀이 참조

1 1 0636 x^3의 계수가 1이고 근이 1, 2, 4인 삼차방정식은
x^2-2x-1-2/x+ =0,    (x^2+ )-2(x+1/x)-1=0
x^2 x^2 x^3-(1+2+4)x^2+(1.c12+2.c14+4.c11)x-1.c12.c14=0

  (x+1/x)^^2-2(x+1/x)- 3 =0 .t3 x^3-7x^2+14x-8=0   x^3-7x^2+14x-8=0


1
x^2+ =(x+1/x)^^2-2
x^2

x+1/x=X로 놓으면 0637 x^3의 계수가 1이고 근이 -2, 3, 5인 삼차방정식은


x^3-(-2+3+5)x^2+{(-2).c13+3.c15+5.c1(-2)}x
X^2-2X- 3 =0, (X+1)(X- 3 )=0
-(-2).c13.c15=0
.t3 X=-1 또는 X= 3

.t3 x^3-6x^2-x+30=0   x^3-6x^2-x+30=0
 X=-1일 때, x+1/x=-1에서
-1±13i 0638 x^3의 계수가 1이고 근이 -1, 2+13, 2-13인 삼차방정식은
x^2+x+1=0    .t3 x= 2 x^3-{-1+(2+13)+(2-13 )}x^2
 X= 3 일 때, x+1/x=3에서 +{(-1).c1(2+13)+(2+13)(2-13)+(2-13).c1(-1)}x
-(-1).c1(2+13)(2-13 )=0
x^2-3x+ 1 =0    .t3 x= 3±15 .t3 x^3-3x^2-3x+1=0   x^3-3x^2-3x+1=0
2
-1±13i  또는 
, 에서    x= x= 3±15 0639 x^3의 계수가 1이고 근이 3, 2i, -2i인 삼차방정식은
2 2
3±15   x^3-{3+2i+(-2i)}x^2+{3.c12i+2i.c1(-2i)+(-2i).c13}x
.t3 ㈎ 3  ㈏ 3  ㈐ 1  ㈑  -3.c12i.c1(-2i)=0
2

 풀이 참조

.t3 x^3-3x^2+4x-12=0   x^3-3x^2+4x-12=0
0630 방정식 x^4+5x^3-4x^2+5x+1=0의 양변을 x^2으로 나누면

1 1 0640 x^3의 계수가 1이고 근이 2, 1+i, 1-i인 삼차방정식은
x^2+5x-4+5/x+ =0,    x^2+ +5(x+1/x)-4=0
x^2 x^2 x^3-{2+(1+i)+(1-i)}x^2
(x+1/x)^^2+5(x+1/x)-6=0 +{2(1+i)+(1+i)(1-i)+(1-i).c12}x
-2(1+i)(1-i)=0
x+1/x=X로 놓으면 .t3 x^3-4x^2+6x-4=0   x^3-4x^2+6x-4=0

50 • 정답 및 풀이
본책 87~90쪽

0641 a,  b가 유리수이고 주어진 방정식의 한 근이  1+13 이므로  .t3  x=-2 또는 x=1 또는 x=2


1-13 도 근이다. 따라서 가장 큰 근은 2, 가장 작은 근은 -2이므로
따라서 주어진 방정식의 세 근이 -2, 1+13, 1-13 이므로 삼차방 alpha =2, beta =-2 .t3
 alpha -beta =4  4

-2(1+13 )+(1+13)(1-13 )+(1-13 ).c1 (-2)=a, 0653 f(x)=x^3 +x^2 +2x-4로 놓으면


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2(1+13 )(1-13)=-b f(1)=1+1+2-4=0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분해 1 1 1 2 -4
.t3
 a=-6, b=-4   a=-6, b=-4
1 2 4
f(x)=(x-1)(x^2 +2x+4) 1 2 4 0
하면 

0642 a, b가 실수이고 주어진 방정식의 한 근이 1-i이므로 1+i
도 근이다.
(x-1)(x^2 +2x+4)=0
즉 주어진 방정식은
따라서 주어진 방정식의 세 근이  1,  1+i,  1-i이므로 삼차방정식
.t3  x=1 또는 x=-1±13i
1+(1+i)+(1-i)=a,
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lpha +beta +gamma =3  3


따라서 a=1, b=-1, r=3이므로

1.c1 (1+i)(1-i)=-b
.t3
 a=3, b=-2   a=3, b=-2 인수정리

0643 ⑴ a, b가 실수이고 주어진 방정식의 한 근이 2+3i이므로 
다항식 f(x)에 대하여 f(a)=0이면 f(x)는 일차식 x-a로 나누

2-3i도 근이다. 나머지 한 근을 alpha 라 하면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
어떨어진다.

alpha +(2+3i)+(2-3i)=-1    .t3


 alpha =-5 0654 f(x)=x^4 -3x^3 -x^2 +5x+2로 놓으면
수의 관계에 의하여

따라서 나머지 두 근은 -5, 2-3i이다. f(-1)=1+3-1-5+2=0,
⑵ 주어진 방정식의 세 근이 -5, 2+3i, 2-3i이므로 f(2)=16-24-4+10+2=0
-5(2+3i)+(2+3i)(2-3i)+(2-3i).c1 (-5)=a,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분해하면
-5(2+3i)(2-3i)=-b -1 1 -3 -1 5 2
.t3
 a=-7, b=65 -1 4 -3 -2

 ⑴ -5, 2-3i ⑵ a=-7, b=65 2 1 -4 3 2 0
2 -4 -2
0644 x^3 =1에서    x^3 -1=0,    (x-1)(x^2 +x+1)=0 1 -2 -1 0
omega
는 x^2 +x+1=0의 한 허근이므로    omega
^2 +omega
+1=0 .t3
 f(x)=(x+1)(x-2)(x^2 -2x-1) 
  .t3  omega
^2 +omega
=-1   -1 따라서 방정식 f(x)=0의 근은
    ⇨ ❶

x=-1 또는 x=2 또는 x=1±12

06
0645 omega ^5 +omega ^4 +omega ^3 =omega ^3 (omega ^2 +omega +1)=1.c1 0=0   0
  -1+2+(1+12)+(1-12)=3 
이므로 모든 실근의 합은

삼차방정식과 사차방정식
0646 omega ^1 ^0 +omega ^5 =(omega ^3 )^3 .c1 omega +omega ^3 .c1 omega ^2 =omega +omega ^2 =-1   -1  3
⇨ ❷

1 omega ^2 +1 -omega
0647 omega + omega = omega = omega =-1   -1 ❶ 인수정리와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분해할 수 있다.
채점 기준 비율
60%

0648 x^3 =-1에서    x^3 +1=0,    (x+1)(x^2 -x+1)=0


❷ 주어진 방정식의 모든 실근의 합을 구할 수 있다. 40%

omega
는 x^2 -x+1=0의 한 허근이므로    omega
^2 -omega
+1=0 0655 f(x)=x^4 -4x+3으로 놓으면
  .t3  omega
^2 -omega
=-1   -1 f(1)=1-4+3=0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분해하면
0649 omega ^5 -omega ^4 +omega ^3 =omega ^3 (omega ^2 -omega +1)=-1.c1 0=0   0 1 1 0 0 -4 3
1 1 1 -3

0650 omega ^1 ^0 -omega ^5 =(omega ^3 )^3 .c1 omega -omega ^3 .c1 omega ^2 =-omega +omega ^2 =-1   -1 1 1 1 1 -3 0
1 2 3
1 omega ^2 +1 omega
1 2 3 0
0651 omega + omega = omega = omega =1   1

  .t3  f(x)=(x-1)^2 (x^2 +2x+3)


0652 x^3 -x^2 -4x+4=0에서 이때 방정식  f(x)=0의 두 허근  alpha ,  b는 방정식  x^2 +2x+3=0의 
x^2 (x-1)-4(x-1)=0,    (x-1)(x^2 -4)=0
(x-1)(x+2)(x-2)=0 alpha +beta =-2, alpha beta =3
근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06``삼차방정식과 사차방정식• 51
정답 및 풀이

.t3 alpha^3+beta^3 =(alpha+beta)^3-3alphabeta(alpha+beta) x+1/x=X로 놓으면


=(-2)^3-3.c13.c1(-2)=10 
X^2+5X+4=0,    (X+4)(X+1)=0
 ⑤

0656 x^2-2x=X로 놓으면 주어진 방정식은 .t3 X=-4 또는 X=-1


X^2+X-12=0,    (X+4)(X-3)=0
 X=-4일 때, x+1/x=-4에서
.t3 X=-4 또는 X=3
x^2+4x+1=0    .t3 x=-2±13
 X=-4일 때, x^2-2x+4=0에서
x=1±13 i  X=-1일 때, x+1/x=-1에서
 X=3일 때, x^2-2x-3=0에서 -1±13i
x^2+x+1=0    .t3 x=
(x+1)(x-3)=0    .t3 x=-1 또는 x=3 2
, 에서    x=1±13i 또는 x=-1 또는 x=3 , 에서 주어진 방정식의 실근은 -2±13이므로 두 실근의 합은 
따라서 주어진 방정식의 근인 것은 ⑤이다.   ⑤ -4이다.   ③

0657 x^2+4x+2=X로 놓으면 주어진 방정식은
X^2-2(X-2)-19=0 0661 방정식 x^4+2x^3-x^2+2x+1=0의 양변을 x^2으로 나누면
1 1
X^2-2X-15=0,    (X+3)(X-5)=0 x^2+2x-1+2/x+ =0, x^2+ +2(x+1/x)-1=0
x^2 x^2
.t3 X=-3 또는 X=5

(x+1/x)^^2+2(x+1/x)-3=0
 X=-3일 때,
x^2+4x+5=0이므로 이 방정식의 판별식을 D_1이라 하면 x+1/x=X로 놓으면
D_1
=2^2-1.c15=-1<0 X^2+2X-3=0,    (X+3)(X-1)=0
4
즉 방정식 x^2+4x+5=0은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갖는다. .t3 X=-3 또는 X=1
 X=5일 때,  X=-3일 때, x+1/x=-3에서
x^2+4x-3=0이므로 이 방정식의 판별식을 D_2라 하면
x^2+3x+1=0
D_2
=2^2-1.c1(-3)=7>0 이 방정식의 판별식을 D_1이라 하면
4
즉 방정식 x^2+4x-3=0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D_1=3^2-4.c11.c11=5>0
, 에서 주어진 방정식의 두 실근은 방정식 x^2+4x-3=0의 근 즉 방정식 x^2+3x+1=0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이고, 두 허근은 방정식  x^2+4x+5=0의 근이므로 이차방정식의   X=1일 때, x+1/x=1에서
x^2-x+1=0
a=-4, b=5    .t3 a-b=-9   -9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이 방정식의 판별식을 D_2라 하면
0658 x^2=X로 놓으면 주어진 방정식은 D_2=(-1)^2-4.c11.c11=-3<0
X^2+3X-4=0,    (X+4)(X-1)=0 즉 방정식 x^2-x+1=0은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갖는다.
.t3 X=-4 또는 X=1 , 에서 a는 방정식 x^2+3x+1=0의 한 실근이므로
즉 x^2=-4 또는 x^2=1이므로
x=±2i 또는 x=±1
a^2+3a+1=0

따라서 주어진 방정식의 실근은 1, -1이므로 두 실근의 곱은 -1이 1 1
양변을 a(anot=0)로 나누면

a+3+ =0 .t3 a+ =-3   -3


다.   -1
a a

0659 x^4+6x^2+25=0에서 0662 2x^3+kx^2+(k-2)x+2=0의 한 근이 1이므로


(x^4+10x^2+25)-4x^2=0,    (x^2+5)^2-(2x)^2=0 2+k+(k-2)+2=0
(x^2+2x+5)(x^2-2x+5)=0 2+2k=0    .t3 k=-1
방정식  x^2+2x+5=0의 두 근을  alpha,  beta, 방정식  x^2-2x+5=0의 
두 근을 gamma, d라 하면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2x^3-x^2-3x+2=0
따라서 주어진 방정식은

alpha+beta=-2, alphabeta=5, gamma+d=2, gammad=5 f(x)=2x^3-x^2-3x+2로 놓으면  `1` 2 -1 -3 2


.t3 alpha^2+beta^2+gamma^2+d^2 =(alpha+beta)^2-2alphabeta+(gamma+d)^2-2gammad f(1)=0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2 1 -2
=(-2)^2-2.c15+2^2-2.c15=-12 f(x)를 인수분해하면 2 1 -2 0
 -12
f(x)=(x-1)(2x^2+x-2)
즉 주어진 방정식은    (x-1)(2x^2+x-2)=0
0660 방정식 x^4+5x^3+6x^2+5x+1=0의 양변을 x^2으로 나누면
이때 a, b는 이차방정식 2x^2+x-2=0의 두 근이므로 이차방정식
1 1
x^2+5x+6+5/x+ =0, x^2+ +5(x+1/x)+6=0
x^2 x^2 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x+1/x)^^2+5(x+1/x)+4=0 a+b=-1/2   ④

52 • 정답 및 풀이
본책 90~92쪽

0663 x^3 +2x+a=0의 한 근이 1-i이므로 f(1)=1-(1+3k)+3k=0


(1-i)^3 +2(1-i)+a=0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분해하면
1-3i+3i ^2 -i ^3 +2-2i+a=0 1 1 0 -(1+3k) 3k
.t3
 a=4i  4i 1 `1 ` -3k

a가 실수라는 조건이 없으므로 켤레근의 성질을 이용하여 다른 한 근을


1 1 -3k ` ` 0
1+i로 생각하여 문제를 해결하지 않도록 한다.
.t3
 f(x)=(x-1)(x^2 +x-3k)
0664 주어진 방정식의 두 근이 2, 3이므로 이때 방정식 f(x)=0이 중근을 가지려면
16+8a+20-2a+b=0에서    6a+b=-36  ……`㉠  방정식 x^2 +x-3k=0이 x=1을 근으로 가질 때,
81+27a+45-3a+b=0에서    24a+b=-126  ……`㉡ 1+1-3k=0    .t3
 k=2/3
  
㉠, ㉡을 연립하여 풀면    a=-5, b=-6 
 방정식 x^2 +x-3k=0이 중근을 가질 때,
따라서 주어진 방정식은  x^4 -5x^3 +5x^2 +5x-6=0이고, 이 방정
  ⇨ ❶

이 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식의 두 근이  2,  3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좌변을 인수분해하
D=1^2 -4.c1 1.c1 (-3k)=0    .t3
 k=-^1
 /12
  

2 1 -5 5 5 -6 , 에서 모든 k의 값의 합은

2 -6 -2 6

  2/3
  +(-^1
 /12
  )=^7
 /12
   
3 1 -3 -1 3 0
 ④

3 0 -3
1 0 -1 0 0668 x^2 =X로 놓으면 주어진 방정식은
X^2 -4X+m-3=0 .c3
.c3
`㉠
.t3
 (x-2)(x-3)(x^2 -1)=0 
따라서 주어진 방정식의 나머지 두 근은 방정식 x^2 -1=0의 근이므
    ⇨ ❷

다른 두 개의 양의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이때 사차방정식이 서로 다른 네 실근을 가지려면 방정식 ㉠은 서로 

로    x=-1 또는 x=1 
 -1, 1  D/4
  =(-2)^2 -(m-3)>0    .t3
 m<7
  ⇨ ❸

 (두 근의 합)=4>0

❶ a, 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 (두 근의 곱)=m-3>0    .t3


 m>3
채점 기준 비율

이상에서    3<m<7
40%

따라서 정수 m은 4, 5, 6의 3개이다.   3
❷ 주어진 방정식의 좌변을 인수분해할 수 있다. 40%
❸ 나머지 두 근을 구할 수 있다. 20%

0665 f(x)=x^3 -3x^2 +(k-4)x+k로 놓으면


이차방정식의 실근의 부호

계수가 실수인 이차방정식 ax^2 +bx+c=0 의 두 실근을 a, b, 판


f(-1)=-1-3-(k-4)+k=0

06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분해하면 ① 두 근이 모두 양 ➲ D_> 0, a+b>0, ab>0
별식을 D라 하면

-1 1 -3 k-4 k ② 두 근이 모두 음 ➲ D_> 0, a+b<0, ab>0

삼차방정식과 사차방정식
-1 `4 ` -k
1 -4 `k ` 0
③ 두 근이 서로 다른 부호 ➲ ab<0

.t3  f(x)=(x+1)(x^2 -4x+k) 0669 x^2 =X로 놓으면 주어진 방정식은


이때 방정식 f(x)=0의 모든 근이 실수가 되려면 이차방정식 X^2 +(k+1)X+2k-5=0  ……`㉠
x^2 -4x+k=0이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이 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이때 사차방정식이 서로 다른 두 실근과 서로 다른 두 허근을 가지
하면

  D/4
  =(-2)^2 -k_> 0    .t3
 k_< 4 
려면 방정식 ㉠의 두 근이 서로 다른 부호이어야 하므로 
 ④ 2k-5<0    .t3
 k<5/2
  
따라서 정수 k의 최댓값은 2이다. 
0666 x^3 +x^2 +kx+k=0에서
 ②

x^2 (x+1)+k(x+1)=0,    (x^2 +k)(x+1)=0


0670 처음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x`cm라 하면
차방정식  x^2 +k=0이 두 개의 허근을 가져야 하므로 이 방정식의 
이때 주어진 방정식이 한 개의 실근과 두 개의 허근을 가지려면 이

(x+1)(x+2).c1 1/2
  x=3/2
  x^3
판별식을 D라 하면
2x^3 -3x^2 -2x=0,    x(2x+1)(x-2)=0
  D/4
  =0^2 -k<0    .t3
 k>0
.t3
 x=-1/2
   또는 x=0 또는 x=2
따라서 정수 k의 최솟값은 1이다.   1
그런데 x>0이므로    x=2 길이는 양수이어야 한다.
0667 f(x)=x^3 -(1+3k)x+3k로 놓으면 따라서 처음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는 2`cm이다.   ①

06``삼차방정식과 사차방정식• 53
정답 및 풀이

r^3-3r^2-108=0 
0671 p.c13^2.c112=p.c1r^2.c1(r-3)이므로 채점 기준 비율

f(r)=r^3-3r^2-108로 놓으면
  ⇨ ❶ ❶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할 수 있다. 50%

  f(6)=216-108-108=0
❷ 주어진 식의 값을 구할 수 있다. 50%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r)를 인수분해하면 0675 삼차방정식  x^3-x^2+4x-6=0의 세 근이  alpha,  beta,  gamma이므로 


  6 1 -3 0 -108
6 18 108 alpha+beta+gamma=1, alphab+bgamma+gammaa=4, alphabetagamma=6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 3 18 0 1 1 1 alphabeta+betagamma+gammaalpha
.t3  + + = =4/6=2/3   2/3
alpha beta gamma alphabetagamma
  .t3 f(r)=(r-6)(r^2+3r+18)

0676 삼차방정식 x^3-ax^2+8x+5=0의 세 근이 alpha, beta, gamma이므로 
  (r-6)(r^2+3r+18)=0
따라서 방정식은

-3±317i
.t3 r=6 또는 r=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2
1 1 1
  a+b+r=a, ab+br+ra=8, abr=-5

그런데 r>3이므로    r=6  alphabeta + betagamma + gammaalpha =2


 6
에서
a
  ⇨ ❷

abr =2, -5 =2
  a+b+r

  .t3 a=-10   -10
❶ r에 대한 삼차방정식을 세울 수 있다.
채점 기준 비율

❷ r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0677 삼차방정식 x^3-3x^2+bx-4=0의 세 근을 alpha, beta, gamma라 하고, 
60%

alpha, beta가 이차방정식 x^2-2x+a=0의 두 근이라 하면 삼차방정식과 
0672 주어진 그림에서 PA^_ ^2=PB^_.c1PC^_이므로
(216x)^2=(x^2-x+4){(x^2-x+4)+2x}
alpha+beta+gamma=3, alpha+beta=2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24x^2=(x^2+4-x)(x^2+4+x)

이므로    gamma=1
24x^2=(x^2+4)^2-x^2, x^4-17x^2+16=0
또 alphabeta+betagamma+gammaalpha=b, alphabetagamma=4, alphabeta=a이므로
x^2=X로 놓으면 
  X^2-17X+16=0,    (X-1)(X-16)=0 a+2=b, a=4    .t3 a=4, b=6
  .t3 X=1 또는 X=16 .t3 a+b=10   ⑤

즉 x^2=1 또는 x^2=16이므로
  x=z1 또는 x=z4 0678 주어진 삼차방정식의 세 근을 alpha, 2alpha, 3alpha라 하면 삼차방정식
그런데 x>0이므로    x=1 또는 x=4
alpha+2alpha+3alpha=12,    6alpha=12    .t3 alpha=2
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따라서 모든 x의 값의 곱은 4이다.   4
따라서 세 근이 2, 4, 6이므로
2.c14+4.c16+6.c12=a, 2.c14.c16=-b .t3 a=44, b=-48
.t3 a+b=-4 
접선과 할선의 비례 관계

원 밖의 한 점 P에서 이 원에 그은 접선과  #  ④

0679 주어진 삼차방정식의 세 근을  alpha-1,  alpha,  alpha+1이라 하면 삼


할선이 원과 만나는 점을 각각 T, A, B "

    PT^_ ^2=PA^_.c1PB^_
라 하면

(alpha-1)+alpha+(alpha+1)=3,    3alpha=3    .t3 alpha=1


1 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5

따라서 세 근이 0, 1, 2이므로
0673 삼차방정식 x^3+2x^2-5x+3=0의 세 근이 alpha, beta, gamma이므로  0.c11+1.c12+2.c10=a, 0.c11.c12=-b .t3 a=2, b=0
  .t3 a-b=2   2
alpha+beta+gamma=-2, alphabeta+betagamma+gammaalpha=-5, alphabetagamma=-3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t3 alpha^2+beta^2+gamma^2
=(alpha+beta+gamma)^2-2(alphabeta+betagamma+gammaalpha)
0680 삼차방정식 x^3-3x^2+2x+1=0의 세 근이 alpha, beta, gamma이므로 
=(-2)^2-2.c1(-5)=14   ④

alpha+beta+gamma=3, alphabeta+betagamma+gammaalpha=2, alphabetagamma=-1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0674 삼차방정식  x^3+3x-5=0의 세 근이  a,  b,  r이므로 삼차 1 1 1 alphabeta+betagamma+gammaalpha 2


.t3  + + = = -1 =-2,
alpha beta gamma alphabetagamma
alpha+beta+gamma=0, alphabeta+betagamma+gammaalpha=3, alphabetagamma=5  1 1 1 1 1 1 alpha+beta+gamma 3
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lpha `.c1` beta + beta `.c1` gamma + gamma `.c1` alpha = alphabetagamma = -1 =-3,
.t3 (1-alpha)(1-beta)(1-gamma)
  ⇨ ❶

1 1 1 1
=1-(alpha+beta+gamma)+(alphabeta+betagamma+gammaalpha)-alphabetagamma alpha `.c1` beta `.c1` gamma = alphabetagamma =-1
=1-0+3-5
따라서  1 ,  1 ,  1 을 세 근으로 하고 x^3의 계수가 1인 삼차방정식은 
=-1  alpha beta gamma
 -1 x^3+2x^2-3x+1=0  
  ⇨ ❷
 ④ 

54 • 정답 및 풀이
본책 92~95쪽

0681 삼차방정식  x^3 -2x+1=0의 세 근이  alpha ,  beta ,  gamma 이므로 삼차 0684 a가 유리수이고 주어진 방정식의 한 근이  3+212이므로 
3-212도 근이다.
alpha +beta +gamma =0, alpha beta +beta gamma +gamma alpha =-2, alpha beta gamma =-1  따라서 주어진 방정식의 세 근이 a, 3+212, 3-212이므로 삼차방
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t3  (alpha +1)+(beta +1)+(gamma +1)=alpha +beta +gamma +3=3,


  ⇨ ❶

`(alpha +1)(beta +1)+(beta +1)(gamma +1)+(gamma +1)(alpha +1)


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lpha beta +alpha +beta +1+beta gamma +beta +gamma +1+gamma alpha +gamma +alpha +1
  a+(3+212)+(3-212)=a,

`=(alpha beta +beta gamma +gamma alpha )+2(alpha +beta +gamma )+3   .t3
 a=4, a=-2
  a(3+212)(3-212)=-2

`=-2+2.c1 0+3=1,   .t3


 aa=-8   -8
(alpha +1)(beta +1)(gamma +1)
`=alpha beta gamma +(alpha beta +beta gamma +gamma alpha )+(alpha +beta +gamma )+1
0685 f(x)=x^3 +ax^2 +bx+c`(a, b, c는 실수)라 하면 a, b, c
`=-1+(-2)+0+1=-2 
가 실수이고 방정식의 한 근이 2+i이므로 2-i도 근이다.
따라서 alpha +1, beta +1, gamma +1을 세 근으로 하고 x^3 의 계수가 1인 삼차
  ⇨ ❷

따라서 주어진 방정식의 세 근이  -1,  2+i,  2-i이므로 삼차방정

x^3 -3x^2 +x+2=0  


방정식은

  -1+(2+i)+(2-i)=-a,
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x^3 -3x^2 +x+2=0


  ⇨ ❸

  -1.c1 (2+i)+(2+i)(2-i)+(2-i).c1 (-1)=b,


  -1.c1 (2+i)(2-i)=-c

  .t3
 a=-3, b=1, c=5
채점 기준 비율

❷ (a+1)+(b+1)+(r+1), 따라서 f(x)=x^3 -3x^2 +x+5이므로


❶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할 수 있다. 40%

(a+1)(b+1)+(b+1)(r+1)+(r+1)(a+1),
  f(1)=1-3+1+5=4 
(a+1)(b+1)(r+1)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①

❸ a+1, b+1, r+1을 세 근으로 하고 x^3 의 계수가 1인 삼차방정

0686 a, b, c, d가 실수이고 주어진 방정식의 두 근이 i, 1-i이
20%
식을 구할 수 있다.

므로 다른 두 근은 -i, 1+i이다.
이때 i, -i, 1-i, 1+i를 근으로 하는 사차방정식은
0682 f(1)-1=f(2)-1=f(3)-1=0이므로 삼차방정식  
  (x-i)(x+i){x-(1-i)}{x-(1+i)}=0
f(x)-1=0의 세 실근이 1, 2, 3이다. 
  (x-i)(x+i){(x-1)+i}{(x-1)-i}=0
1, 2, 3을 세 근으로 하고 x^3 의 계수가 1인 삼차방정식은
  ⇨ ❶

  (x^2 -i ^2 ){(x-1)^2 -i ^2 }=0


  x^3 -(1+2+3)x^2 +(1.c1 2+2.c1 3+3.c1 1)x-1.c1 2.c1 3=0
  (x^2 +1)(x^2 -2x+2)=0
  .t3  x^3 -6x^2 +11x-6=0 
  .t3
 x^4 -2x^3 +3x^2 -2x+2=0
즉 f(x)-1=x^3 -6x^2 +11x-6이므로
  ⇨ ❷

따라서 a=-2, b=3, c=-2, d=2이므로
  f(x)=x^3 -6x^2 +11x-5 
  a+b+c+d=1 
따라서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방정식 f(x)=0
  ⇨ ❸

06
 ④

의 모든 근의 곱은 5이다. 
 5 0687 x^3 =1에서 x^3 -1=0, 즉 (x-1)(x^2 +x+1)=0이므로 omega
  ⇨ ❹

삼차방정식과 사차방정식
는 x^2 +x+1=0의 한 허근이다.
❶ f(1)=f(2)=f(3)=1에서 방정식 f(x)-1=0의 세 실근을 구 따라서 omega ^2 +omega
+1=0, omega ^3 =1이므로
채점 기준 비율

omega
^1 ^0 +1 (omega ^3 )^3 .c1 omega
+1 omega +1 -omega ^2
= = = =-1   -1
omega
^2 omega
^2 omega
^2 omega
^2
30%

❷ 1, 2, 3을 세 근으로 하고 x^3 의 계수가 1인 삼차방정식을 구할 수


할 수 있다.

30%
있다.
❸ f(x)를 구할 수 있다.
0688 x^3 =1에서 x^3 -1=0, 즉 (x-1)(x^2 +x+1)=0이므로 omega
20%

는 x^2 +x+1=0의 한 허근이고, omega 의 켤레복소수인 omega q 도 


x^2 +x+1=0 .
❹ 방정식 f(x)=0의 모든 근의 곱을 구할 수 있다. 20%

omega ^2 +omega
+1=0, omega ^3 =1, omega q=-1, omega
+omega omega
q=1
의 허근이다  즉

0683 a,  b가 유리수이고 주어진 방정식의 한 근이  1-12 이므로 


1+12 도 근이다. 나머지 한 근을 alpha 라 하면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 omega
^2 +omega
+1=0에서 omega ^2 =-omega
-1이고, omega +omega
q=-1에서 omega q=-omega
-1
이므로    omega ^2 =omega
q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③이다. 
alpha +(1+12 )+(1-12)=-a,
의 관계에 의하여
 ③

alpha (1+12 )+(1+12 )(1-12)+alpha (1-12)=b, 


alpha (1+12 )(1-12 )=-2 0689 x^3 =-1에서 x^3 +1=0, 즉 (x+1)(x^2 -x+1)=0이므로 
위의 세 식을 연립하여 풀면    alpha =2, a=-4, b=3 omega
는 x^2 -x+1=0의 한 허근이다.
.t3  ab=-12   -12 따라서 omega ^2 -omega
+1=0이므로
주어진 방정식에 x=1-12를 대입한 후, 무리수가 서로 같을 조건을 이 omega
^2 omega
omega
^2 omega

+ 1+omega = + =0   0
용하여 유리수 a, b의 값을 구할 수도 있다. 1-omega ^2 -omega ^2 omega

06``삼차방정식과 사차방정식• 55
정답 및 풀이

0690 x^3+1=0에서 (x+1)(x^2-x+1)=0이므로 omega는 alpha+(1+i)+(1-i)=4,


x^2-x+1=0의 한 허근이고, omega의 켤레복소수인 omegaq 도 x^2-x+1=0 alpha(1+i)+(1+i)(1-i)+a(1-i)=a,
의 허근이다. alpha(1+i)(1-i)=-b
위의 세 식을 연립하여 풀면    a=2, a=6, b=-4
omega+omegaq=1, omegaomegaq=1 .t3 ab=-24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t3 (2omega+1)(2omegaq+1) =4omegaomegaq+2(omega+omegaq )+1


 ④

=4.c11+2.c11+1=7  x^2=X로 치환한 후 좌변을 인수분해한다.


x^2=X로 놓으면 주어진 방정식은
 ③ 0696

0691 x^3=-1에서 x^3+1=0, 즉 (x+1)(x^2-x+1)=0이므로  2X^2-9X+4=0,    (2X-1)(X-4)=0


omega는 x^2-x+1=0의 한 허근이다. .t3 X=1/2 또는 X=4 
따라서 omega^2-omega+1=0, omega^3=-1이므로 
  ⇨ ❶

omega^6+omega^5+omega^4+omega^3+omega^2+omega+1 즉 x^2=1/2 또는 x^2=4이므로
  ⇨ ❶

`=(omega^3)^2+omega^3.c1omega^2+omega^3.c1omega+omega^3+omega^2+omega+1 12
x=± 2  또는 x=±2 
`=1-omega^2-omega-1+omega^2+omega+1=1 
  ⇨ ❷

 1 따라서 주어진 방정식의 양의 근은 12 , 2이므로 모든 양의 근의 곱


  ⇨ ❷

2

은    12 .c12=12 
2
채점 기준 비율
  ⇨ ❸

 12
❶ w^2-w+1=0, w^3=-1임을 알 수 있다. 50%
❷ 주어진 식의 값을 구할 수 있다. 50%  

0692 x^2+x+1=0에서 (x-1)(x^2+x+1)=0이므로
❶ X에 대한 이차방정식의 근을 구할 수 있다.
채점 기준 비율

x^3-1=0, 즉 x^3=1
40%

.t3 x^2^0^0+x^1^9^9+x^1^9^8+x^1^9^7+x^1^9^6
❷ 주어진 방정식의 근을 구할 수 있다. 40%

`=(x^3)^6^6.c1x^2+(x^3)^6^6.c1x+(x^3)^6^6+(x^3)^6^5.c1x^2+(x^3)^6^5.c1x
❸ 모든 양의 근의 곱을 구할 수 있다. 20%

`=x^2+x+1+x^2+x=-1   -1
삼차방정식 f(x)=0이 중근 alpha를 가지면 f(a)=0이므
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분해한다.
0697

f(x)=x^3+ax^2-3x+b로 놓으면  f(1)=0이므로 조립제법
0693 인수정리와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주어진 방정식의 좌변

f(x)=x^3-4x^2+x+6으로 놓으면 을 이용하여 f(x)를 인수분해하면
을 인수분해한다.

f(-1)=-1-4-1+6=0      1 1 ` ``a ``-3 ` ``b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분 -1 1 -4 1 6 1 ` ``a+1 ` a-2
-1 5 -6 1 a+1 a-2 a+b-2
f(x) =(x+1)(x^2-5x+6) 1 -5 6 0
해하면

    .t3 f(x)=(x-1){x^2+(a+1)x+a-2}
=(x+1)(x-2)(x-3)
이때 방정식 f(x)=0이 중근 1을 가지므로 방정식 

    (x+1)(x-2)(x-3)=0 x^2+(a+1)x+a-2=0의 한 근이 1이다.
즉 주어진 방정식은

즉 1+a+1+a-2=0이므로    a=0
.t3 x=-1 또는 x=2 또는 x=3
또 a+b-2=0이므로    b=2
따라서 alpha=-1, beta=2, gamma=3이므로
따라서  f(x)=(x-1)(x^2+x-2)=(x-1)^2(x+2)이므로 방정
alpha-beta+gamma=0 
식 f(x)=0의 나머지 한 근은 alpha=-2이다.
 ③

사차방정식 f(x)=0의 두 근이 a, b이면 f(a)=0, .t3 alpha+a-b=-4   -4


f(b)=0임을 이용한다. 삼차방정식 x^3+ax^2-3x+b=0의 세 근이 1, 1, a이므
0694

주어진 방정식의 두 근이 -1, 2이므로
1+2+a+1+b=0에서    a+b=-4  ……`㉠   1+1+a=-a, 1.c11+1.c1a+a.c11=-3, 1.c11.c1a=-b
로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6-16+4a-2+b=0에서    4a+b=2  ……`㉡   .t3 a=-2, a=0, b=2


㉠, ㉡을 연립하여 풀면    a=2, b=-6   .t3 a+a-b=-4
.t3 a-b=8   8
상자의 밑면의 가로와 세로의 길이를 각각 x로 나타내어
계수가 실수인 삼차방정식의 한 근이 p+qi이면 p-qi 상자의 부피를 x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다.
0698

도 근이다. (단, p, q는 실수, qnot=0, i=1-1a ) 상자의 밑면의 가로의 길이는 (40-2x)`cm, 세로의 길이는 


0695

a, b가 실수이고 주어진 방정식의 한 근이 1+i이므로 1-i도  (30-2x)`cm이므로
근이다. 나머지 한 근을 a라 하면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40-2x)(30-2x)x=3000
의하여 x(x-20)(x-15)=750

56 • 정답 및 풀이
본책 95~97쪽

x^3 -35x^2 +300x-750=0  따라서 -alpha , -beta , -gamma 를 세 근으로 하고 x^3 의 계수가 1인 삼차방정


f(x)=x^3 -35x^2 +300x-750으로 놓으면
  ⇨ ❶

f(5)=125-875+1500-750=0 x^3 -3x^2 -x+2=0 


식은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분해하면
 ②

   5 1 -35 300 -750 x^3 +1=0의 한 허근이 w이면 ww 도 x^3 +1=0의 한 허근


5 -150 750 임을 이용한다. (단, ww 는 w의 켤레복소수이다.)
0702

1 -30 150 0 x^3 +1=0에서 (x+1)(x^2 -x+1)=0이므로 w는   


x^2 -x+1=0의 한 허근이고, w의 켤레복소수인 wq 도 x^2 -x+1=0
∴ f(x)=(x-5)(x^2 -30x+150) 
의 허근이다.
  ⇨ ❷

    (x-5)(x^2 -30x+150)=0
따라서 방정식은

   w+wq =1, wwq =1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그런데 x는 자연수이므로    x=5 
1 1 1 1
 5 .t3  w+ +wq + =(w+wq )+( + )
  ⇨ ❸
  wq w wq
w+wq
w
=(w+wq )+
wwq
❶ x에 대한 삼차방정식을 세울 수 있다.
채점 기준 비율

❷ f(x)를 인수분해할 수 있다. =1+1/1


  =2 
40%
 ⑤

❸ 자연수 x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20%

0703 공통부분이 나오도록 묶어서 전개한 후 공통부분을 치환

(x-1)(x-4)(x+3)(x+6)+110=0에서
하여 인수분해한다.

삼차방정식 x^3 -x^2 +4x-3=0의 세 근이 alpha , beta , gamma 이므로 삼


0699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한다.

{(x-1)(x+3)}{(x-4)(x+6)}+110=0
(x^2 +2x-3)(x^2 +2x-24)+110=0
alpha +beta +gamma =1, alpha beta +bgamma +gamma alpha =4, alpha beta gamma =3
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x^2 +2x-3=X로 놓으면
beta +gamma gamma +alpha alpha +beta
.t3  
alpha + beta + gamma X(X-21)+110=0,    X^2 -21X+110=0
1-alpha 1-beta 1-gamma (X-10)(X-11)=0 .t3
 X=10 또는 X=11
`= alpha + beta + gamma
   X=10일 때,
(1-alpha )beta gamma +(1-beta )gamma a+(1-r)alpha beta
`= x^2 +2x-13=0이므로 이 이차방정식의 두 근을 alpha , beta 라 하면 이
alpha beta gamma
(alpha beta +beta gamma +gamma alpha )-3alpha beta gamma 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lpha beta =-13
`= alpha beta gamma   X  =11일 때,
4-3.c1 3 x^2 +2x-14=0이므로 이 이차방정식의 두 근을 gamma , d라 하면 이
`= 3 =-5/3    
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gamma d=-14
 ②

06
a가 방정식 f(x)=0의 한 근이면 f(ax+b)=0의 한 근 alpha beta gamma d=182 
, 에서 주어진 방정식의 모든 근의 곱은

삼차방정식과 사차방정식
0700
은 ax+b=alpha 에서 x=
 ②

a
a-b

삼차방정식의 좌변을 (x-a)(x^2 +px+q)=0`(a는 실


이다.

삼차방정식 f(x)=0의 세 근이 alpha , beta , gamma 이므로 방정식 


수) 꼴로 인수분해한 후 이차방정식 x^2 +px+q=0이 두 개의 허근을 가
0704
f(2x+1)=0의 근은
2x+1=alpha  또는 2x+1=beta  또는 2x+1=gamma
f(x)=x^3 +(2a+1)x^2 +(a^2 -2a-2)x-a^2 으로 놓으면
져야 함을 이용한다.

alpha -1  또는  beta -1 gamma -1


.t3
 x= x= 2  또는 x= 2 f(1)=1+2a+1+a^2 -2a-2-a^2 =0
2
따라서 방정식 f(2x+1)=0의 세 근의 합은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분해하면
alpha -1 beta -1 gamma -1 alpha +beta +gamma -3 5-3     1 1 2a+1 a^2 -2a-2 -a^2
2 + 2 + 2 = = 2 =1 
2
1 ` 2a+2 ` a^2
 ①

1 2a+2 ``a^2 `0
세 수 a, b, c를 근으로 하고 x^3 의 계수가 1인 삼차방정
식은 x^3 -(a+b+c)x^2 +(ab+bc+ca)x-abc=0이다.     .t3
f(x)=(x-1){x^2 +2(a+1)x+a^2 }
0701

삼차방정식 x^3 +3x^2 -x-2=0의 세 근이 alpha , b, gamma 이므로 삼 이때 방정식  f(x)=0이 한 개의 실근과 두 개의 허근을 가지려면 


이차방정식  x^2 +2(a+1)x+a^2 =0이 두 개의 허근을 가져야 하므
alpha +beta +gamma =-3, alpha beta +beta gamma +gamma alpha =-1, alpha beta gamma =2 로 이 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t3  (-alpha )+(-beta )+(-gamma )=-(alpha +beta +gamma )=3,    D/4


  =(a+1)^2 -a^2 <0
(-alpha ).c1 (-beta )+(-beta ).c1 (-gamma )+(-gamma ).c1 (-alpha )
=abeta +beta gamma +gamma alpha =-1, 2a+1<0    .t3
 a<-1/2
  
(-alpha ).c1 (-beta ).c1 (-gamma )=-alpha beta gamma =-2 따라서 정수 a의 최댓값은 -1이다.   -1

06``삼차방정식과 사차방정식• 57
정답 및 풀이

0705 x^2=X로 놓고 X에 대한 이차방정식이 실근을 갖지 않


Ⅱ. 방정식
x^2=X로 놓으면 주어진 방정식은
거나 두 개의 음의 실근을 가져야 함을 이용한다.
07 연립방정식
X^2+2X-a+1=0 .c3.c3`㉠
2x-y=7 ……`㉠
을 갖지 않거나 두 개의 음의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판별식을 D라  0707  { x+4y=-10
이때 주어진 사차방정식이 실근을 갖지 않으려면 방정식 ㉠은 실근

.c3.c3`㉡
㉠-㉡\2를 하면    -9y=27 .t3 y=-3
 방정식 ㉠이 실근을 갖지 않을 때,
하면

y=-3을 ㉠에 대입하면    2x+3=7, 2x=4    .t3 x=2


D/4=1^2-(-a+1)<0    .t3 a<0   .t3 x=2, y=-3  x=2, y=-3

 방정식 ㉠이 두 개의 음의 실근을 가질 때,
3x+y=14 .c3.c3`㉠
 D/4=1^2-(-a+1)_>0    .t3 a_>0 0708  { 5x-2y=16 .c3.c3`㉡
 (두 근의 합)=-2<0 ㉠\2+㉡을 하면    11x=44 .t3 x=4
 (두 근의 곱)=-a+1>0    .t3 a<1 x=4를 ㉠에 대입하면    12+y=14    .t3 y=2
이상에서    0_<a<1   .t3 x=4, y=2  x=4, y=2
, 에서    a<1   a<1

x+y+z=4 .c3.c3`㉠
x^3=1의 한 허근이 w이면 w^3=1, w^2+w+1=0임을 이
2x-y+z=3 ……`㉡
0706
x+3y-z=2 ……`㉢
0709
x^3=1에서 x^3-1=0, 즉 (x-1)(x^2+x+1)=0이므로 w는 
용한다.

㉠+㉢을 하면    2x+4y=6 .t3 x+2y=3  ……`㉣


x^2+x+1=0의 한 허근이고, w의 켤레복소수인 wq 도 x^2+x+1=0
㉡+㉢을 하면    3x+2y=5  ……`㉤
의 허근이다. 즉
㉣-㉤을 하면    -2x=-2    .t3 x=1
   w^2+w+1=0, w^3=1, w+w= q -1, ww= q 1
x=1을 ㉣에 대입하면    1+2y=3,    2y=2    .t3 y=1
ㄱ. w+ 1 = w^2+1 = -w =-1 x=1, y=1을 ㉠에 대입하면    1+1+z=4    .t3 z=2
ㄴ. w^2+wq ^2=(w+wq )^2-2ww= q (-1)^2-2.c11=-1 .t3 x=1, y=1, z=2   x=1, y=1, z=2
w w w

한편 w, wq 가 x^3=1의 근이므로
w^3=wq ^3=1    .t3 w^3+wq ^3=2 x-y+z=4 .c3.c3`㉠
.t3 w^2+wq ^2not=w^3+wq ^3 x+y+2z=-3 ……`㉡
ㄷ. 1+w+w^2+.c3+w^4^0 3x+y-2z=5 .c3.c3`㉢
0710

`=(1+w+w^2)+w^3(1+w+w^2)+.c3+w^3^6(1+w+w^2) ㉠+㉡을 하면    2x+3z=1 ……`㉣


+(w^3)^1^3+(w^3)^1^3.c1w ㉠+㉢을 하면    4x-z=9 .c3.c3`㉤
`=1+w ㉣+㉤\3을 하면    14x=28 .t3 x=2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ㄷ뿐이다. x=2를 ㉤에 대입하면    8-z=9    .t3 z=-1
x=2, z=-1을 ㉠에 대입하면    2-y-1=4    .t3 y=-3
 ②

.t3 x=2, y=-3, z=-1  x=2, y=-3, z=-1

0711  x+y=1에서    y=1-x ……`㉠


㉠을 x^2+y^2=5에 대입하면
  x^2+(1-x)^2=5,    2x^2-2x-4=0
x^2-x-2=0,    (x+1)(x-2)=0
.t3 x=-1 또는 x=2
x=-1을 ㉠에 대입하면    y=2
x=2를 ㉠에 대입하면    y=-1

x=-1 x=2 x=-1 x=2


따라서 주어진 연립방정식의 해는

  { y=2  또는 { y=-1  


 {  또는 {
y=2 y=-1

0712  x-y=2에서    y=x-2 ……`㉠


㉠을 x^2+y^2=10에 대입하면
  x^2+(x-2)^2=10, 2x^2-4x-6=0
x^2-2x-3=0, (x+1)(x-3)=0

58 • 정답 및 풀이
본책 97~100쪽

.t3
 x=-1 또는 x=3  x=3y를 ㉠에 대입하면
x=-1을 ㉠에 대입하면    y=-3 9y^2 -6y^2 =1,    3y^2 =1
x=3을 ㉠에 대입하면    y=1 .t3
23
 y=z , x=z13`(복호동순)
3
x=-1 x=3 x=-1 x=3
따라서 주어진 연립방정식의 해는

  { y=-3  또는 { y=1  


 {  또는 {
y=-3 y=1 x=13 x=-13
,  에서 주어진 연립방정식의 해는

x=i 또는  x=-i 또는 


{ { 23 23
y=i   y=-i   y= 3   y=- 3
또는 

0713  x^2 +xy-2y^2 =0에서    (x+2y)(x-y)=0


.t3
 x=-2y 또는 x=y
 풀이 참조

 x=-2y를 2x^2 +y^2 =9에 대입하면 0717  x, y는 이차방정식 t^2 -4t-12=0의 두 근이므로


8y^2 +y^2 =9,    9y^2 =9,    y^2 =1   (t+2)(t-6)=0    .t3
 t=-2 또는 t=6
.t3
 y=z1, x=y2`(복호동순)
 x=y를 2x^2 +y^2 =9에 대입하면 x=-2 x=6 x=-2 x=6
따라서 주어진 연립방정식의 해는

{ 또는 {  { 또는 {


2y^2 +y^2 =9,    3y^2 =9,    y^2 =3 y=6 y=-2 y=6 y=-2
.t3
 y=z13, x=z13`(복호동순)
        

0718  x-xy+y=1에서 x+y=-2이므로
x=-2 x=2 x=13 x=-13   xy=-3
,  에서 주어진 연립방정식의 해는

{ 또는 { 또는 { 또는 {


  y=1   y=-1   y=13   y=-13 즉 x, y는 이차방정식 t^2 +2t-3=0의 두 근이므로
  (t+3)(t-1)=0    .t3
 t=-3 또는 t=1
 풀이 참조

0714  x^2 -2xy-3y^2 =0에서    (x+y)(x-3y)=0 x=-3 x=1 x=-3 x=1


따라서 주어진 연립방정식의 해는

{ 또는 {  { 또는 {


.t3
 x=-y 또는 x=3y y=1   y=-3    y=1   y=-3
 x=-y를 x^2 -xy=18에 대입하면
   

    y^2 +y^2 =18,    2y^2 =18,    y^2 =9 x-3y+z=1 ……`㉠


    .t3
 y=z3, x=y3`(복호동순) x+2z=2 ……`㉡
 x=3y를 x^2 -xy=18에 대입하면 2x-y+3z=4 .c3
.c3
`㉢
0719

    9y^2 -3y^2 =18,    6y^2 =18,    y^2 =3 ㉠-㉢\3을 하면    -5x-8z=-11


    .t3
 y=z13, x=z313(복호동순) .t3
 5x+8z=11 .c3
.c3
`㉣
㉣-㉡\4를 하면    x=3
x=-3 x=3 x=313 x=-313 x=3을 ㉡에 대입하면
, 에서 주어진 연립방정식의 해는

{ 또는 { 또는 { 또는 {


y=3   y=-3   y=13   y=-13
3+2z=2,    2z=-1    .t3
 z=-1/2
  

 풀이 참조  

x=3, z=-1/2
  을 ㉢에 대입하면
x^2 +y^2 +2x=0 .c3
.c3
`㉠
0715  { x^2 +y^2 +x+y=0 .c3
.c3
`㉡ 6-y-3/2
  =4 .t3
 y=1/2
  
㉠-㉡을 하면    x-y=0 .t3  y=x ……`㉢
따라서 alpha =3, beta =1/2
  , gamma =-1/2
  이므로
y=x를 ㉠에 대입하면
  x^2 +x^2 +2x=0, 2x^2 +2x=0  alpha +beta +gamma =3   3

  2x(x+1)=0    .t3  x=-1 또는 x=0


x=-1을 ㉢에 대입하면    y=-1 x+y+z=3 ……`㉠
x=0을 ㉢에 대입하면    y=0 2x-y=1 ……`㉡
y+z=4 .c3
.c3
`㉢
0720
07

x=-1 x=0 x=-1 x=0 ㉠-㉢을 하면    x=-1


따라서 주어진 연립방정식의 해는

  { y=-1  또는 { y=0  


 {  또는 {
y=-1 y=0 x=-1을 ㉡에 대입하면    -2-y=1 .t3  y=-3
연립방정식

y=-3을 ㉢에 대입하면    -3+z=4 .t3  z=7 


x^2 -2xy=1 .c3
.c3
`㉠ 따라서 alpha =-1, beta =-3, gamma =7이므로
0716  { x^2 -3y^2 =2 .c3
.c3
`㉡ alpha beta +gamma =10
㉠\2-㉡을 하면    x^2 -4xy+3y^2 =0
 ②

(x-y)(x-3y)=0 .t3  x=y 또는 x=3y 0721  주어진 연립방정식의 해가 x=1, y=2, z=2이므로


 x=y를 ㉠에 대입하면 a+2b-2c=6 ……`㉠
y^2 -2y^2 =1,    y^2 =-1 3b-2c=5 .c3
.c3
`㉡    ⇨ ❶
.t3
 y=zi , x=zi`(복호동순) 2a-4b+c=-1 ……`㉢

07``연립방정식• 59
정답 및 풀이

㉠\2-㉢을 하면    8b-5c=13 .c3.c3`㉣


0725  1/x=X, 1/y=Y, 1/z=Z로 놓으면 주어진 연립방정식은
㉡\5-㉣\2를 하면    -b=-1    .t3 b=1
b=1을 ㉡에 대입하면 X+Y=3 .c3.c3`㉠
  3-2c=5,    2c=-2 .t3 c=-1 Y+Z=5 .c3.c3`㉡
b=1, c=-1을 ㉠에 대입하면 Z+X=4 .c3.c3`㉢
  a+2+2=6    .t3 a=2 ㉠+㉡+㉢을 하면    2(X+Y+Z)=12

.t3 a+b+c=2 .t3 X+Y+Z=6 .c3.c3`㉣


⇨ ❷

 2 ㉣-㉠을 하면    Z=3    .t3 z=1/3


⇨ ❸

㉣-㉡을 하면    X=1    .t3 x=1


❶ a, b, c에 대한 연립방정식을 세울 수 있다.
채점 기준 비율

㉣-㉢을 하면    Y=2    .t3 y=1/2


❷ a, b, c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❸ a+b+c의 값을 구할 수 있다.
50%
20% 따라서 a=1, b=1/2, r=1/3이므로

a+2b+3r=3   3

x+1 5-y
0722  주어진 연립방정식은
2 = 3 3x+2y=7 ……`㉠
x-y=8 .c3.c3`㉠
0726  주어진 방정식은
5-y 3z+5 , 즉 4y+9z=5 .c3.c3`㉡
3 = 4 2x+3y-z=2 ……`㉢
y+z=4 .c3.c3`㉡    ⇨ ❶

2x+3y-z=2 z-x=6 ……`㉢


㉠\2-㉢\3을 하면    -5y+3z=8 .c3.c3`㉣ ㉠+㉡+㉢을 하면    2z=18    .t3 z=9
㉡-㉣\3을 하면    19y=-19    .t3 y=-1 z=9를 ㉡에 대입하면    y+9=4    .t3 y=-5

y=-1을 ㉠에 대입하면 z=9를 ㉢에 대입하면    9-x=6    .t3 x=3


  3x-2=7,    3x=9    .t3 x=3 .t3 x+y+z=7
⇨ ❷

y=-1을 ㉡에 대입하면  7
⇨ ❸

  -4+9z=5,    9z=9    .t3 z=1


따라서 alpha=3, beta=-1, gamma=1이므로
채점 기준 비율

alpha^2+beta^2+gamma^2=3^2+(-1)^2+1^2=11  11
❷ x, y, z의 값을 구할 수 있다.
❶ 주어진 방정식을 변형할 수 있다. 30%

❸ x+y+z의 값을 구할 수 있다.
50%

x+y=2 ……`㉠
20%

y+z=-7 ……`㉡
x+y-z=5 .c3…`㉠
z+x=1 ……`㉢
0723
2x-y+2z=a ……`㉡
㉠+㉡+㉢을 하면    2(x+y+z)=-4
3x+bz=4 .c3.c3`㉢
0727
.t3 x+y+z=-2 ……`㉣
㉠+㉡을 하면    3x+z=5+a .c3.c3`㉣
㉣-㉠을 하면    z=-4
㉣-㉢을 하면    (1-b)z=1+a
㉣-㉡을 하면    x=5
주어진 연립방정식의 해가 무수히 많으려면 위의 식이 임의의  z에 
㉣-㉢을 하면    y=-3
따라서 alpha=5, beta=-3, gamma=-4이므로
1-b=0, 1+a=0    .t3 a=-1, b=1
대하여 성립해야 하므로

alphabetagamma=60
.t3 ab=-1  -1
 ⑤

x+2y=1 ……`㉠
x+y+2z=3 ……`㉠
2y+4z=3 .c3.c3`㉡
3x+y-z=2 ……`㉡
4z+x=6 .c3.c3`㉢
0724
2ax+ay+z=-4 .c3.c3`㉢
0728
㉠+㉡+㉢을 하면    2(x+2y+4z)=10
㉠+㉡\2를 하면    7x+3y=7 ……`㉣
.t3 x+2y+4z=5 .c3.c3`㉣
㉡+㉢을 하면    (2a+3)x+(a+1)y=-2 ……`㉤
㉣-㉠을 하면    4z=4 .t3 z=1
㉣\(a+1)-㉤\3을 하면    (a-2)x=7a+13
㉣-㉡을 하면    x=2
따라서 a=2이면 0.c1x=27이므로 해가 존재하지 않는다.
㉣-㉢을 하면    2y=-1 .t3 y=-1/2 .t3 a=2  ②

따라서 alpha=2, beta=-1/2, gamma=1이므로
0729  3x+y=kx+1에서    (3-k)x+y=1 ……`㉠
alpha+beta+gamma=5/2  ③
x+3y=ky-1에서    x+(3-k)y=-1 .c3.c3`㉡

60 • 정답 및 풀이
본책 100~102쪽

㉠\(3-k)-㉡을 하면 4x^2 -y^2 =0 .c3


.c3
`㉠
{(3-k)^2 -1}x=(3-k)+1
0733  { 2x^2 -xy+y^2 =16 .c3
…`㉡
(k^2 -6k+8)x=-k+4 ㉠에서    (2x+y)(2x-y)=0
.t3  (k-2)(k-4)x=-(k-4) .t3
 y=-2x 또는 y=2x
따라서 k=2이면 0.c1 x=2이므로 해가 존재하지 않고, k=4이면   y=-2x를 ㉡에 대입하면
0.c1 x=0이므로 해가 무수히 많다. 2x^2 +2x^2 +4x^2 =16,    x^2 =2
즉 alpha =2, beta =4이므로    alpha -beta =-2  -2 .t3
 x=±12, y=y212(복호동순)
 y=2x를 ㉡에 대입하면
2x^2 -2x^2 +4x^2 =16,    x^2 =4
x-y=1 ……`㉠ .t3
 x=±2, y=±4 (복호동순)
0730  { (x-1)^2 +y^2 =8 .c3
.c3
`㉡ ,  에서 x-y는 x=-12, y=212일 때 최소이므로 구하는 최
㉠에서    y=x-1 ……`㉢ 솟값은    -12-212=-312  ①

y^2 +y^2 =8,    y^2 =4    .t3  y=±2


㉢을 ㉡에 대입하면

x^2 +xy-2y^2 =0 .c3


.c3
`㉠
0734  { x^2 +xy+y^2 =3 .c3
.c3
`㉡
x=3, y=2 또는 x=-1, y=-2
이것을 ㉢에 대입하면 주어진 연립방정식의 해는

㉠에서    (x+2y)(x-y)=0
따라서 alpha =3, beta =2이므로    alpha +beta =5
.t3
 x=-2y 또는 x=y
 ③

 x=-2y를 ㉡에 대입하면
a>0, b>0

x-y=-2 ……`㉠ 4y^2 -2y^2 +y^2 =3, y^2 =1


0731  { x^2 -xy+2y^2 =4 .c3
.c3
`㉡ .t3
 y=z1, x=y2 (복호동순)
㉠에서    y=x+2 ……`㉢  x=y를 ㉡에 대입하면
y^2 +y^2 +y^2 =3,    y^2 =1
x^2 -x(x+2)+2(x+2)^2 =4,    x^2 +3x+2=0 .t3
 y=±1, x=±1 (복호동순)
㉢을 ㉡에 대입하면

(x+2)(x+1)=0    .t3
 x=-2 또는 x=-1    ⇨ ❶ ,  에서 alpha beta 의 값은 -2, 1이다.  -2, 1

x=-2, y=0 또는 x=-1, y=1 
이것을 ㉢에 대입하면 주어진 연립방정식의 해는

x^2 -y^2 +x+y=0 .c3


.c3
`㉠
  .t3
 |x|+|y|=2  0735  { x^2 -xy+2y^2 =1
  ⇨ ❷

.c3
.c3
`㉡
 2
 ⇨ ❸
  ㉠에서    (x+y)(x-y)+(x+y)=0
(x+y)(x-y+1)=0    .t3
 y=-x 또는 y=x+1
❶ ㉢을 ㉡에 대입하여 x의 값을 구할 수 있다.  y=-x를 ㉡에 대입하면
채점 기준 비율

x^2 +x^2 +2x^2 =1,    x^2 =1/4


  
50%

❸ |x|+|y|의 값을 구할 수 있다.
❷ 주어진 연립방정식의 해를 구할 수 있다. 30%

.t3
 x=z1/2
  , y=y1/2
   (복호동순)
20%

 y=x+1을 ㉡에 대입하면
x^2 -x(x+1)+2(x+1)^2 =1,    2x^2 +3x+1=0
x+y=2 …`㉠
0732  두 연립방정식의 공통인 해는 연립방정식
{ 의 해와 같다.
x^2 -4y^2 =-3 .c3
`㉡ (x+1)(2x+1)=0    .t3
 x=-1 또는 x=-1/2
  
㉠에서    y=-x+2 ……`㉢
x=-1/2   
x=-1
.t3
 {
  x^2 -4(-x+2)^2 =-3,    3x^2 -16x+13=0 y=0 y=1/2
  
㉢을 ㉡에 대입하면  또는  

(x-1)(3x-13)=0 .t3
 x=1 또는 x=^13
 /3
  ,  에서 x, y는 정수이므로    x=-1, y=0
07

.t3
 x^2 +y^2 =1
연립방정식

 ①
이것을 ㉢에 대입하면 위의 연립방정식의 해는

x=1, y=1 또는 x=^13
 /3
  , y=-7/3
  
x^2 +y^2 +2x-y=3 .c3
.c3
`㉠

이때 a, b는 자연수이므로 x=1, y=1을 x^2 +ay^2 =7, 3x-by=1 0736  { 2x^2 +2y^2 +3x-y=6 .c3
.c3
`㉡
㉠\2-㉡을 하면    x-y=0    .t3  y=x ……`㉢
  1+a=7, 3-b=1    .t3
 a=6, b=2
에 각각 대입하면

.t3
ab=12  12
  x^2 +x^2 +2x-x=3, 2x^2 +x-3=0
㉢을 ㉠에 대입하면

x=^13
 /3
  , y=-7/3
  을 x^2 +ay^2 =7, 3x-by=1에 각각 대입하면
(2x+3)(x-1)=0    .t3
 x=-3/2
   또는 x=1
106
a=- , b=-^36
 /7
  이므로 자연수가 아니다.
49 이것을 ㉢에 대입하면 주어진 연립방정식의 해는

07``연립방정식• 61
정답 및 풀이

x=-3/2, y=-3/2 또는 x=1, y=1 ,  에서 alpha=±2, beta=±1 (복호동순)이므로


alphabeta=2 
따라서 x+y는 x=1, y=1일 때 최대이므로 구하는 최댓값은
 2
  ⇨ ❹

1+1=2  2

❶ 상수항을 소거하여 인수분해한 후 x를 y에 대하여 나타낼 수 있다.


채점 기준 비율

2x^2+x-3y=10 .c3.c3`㉠
0737  { x^2+2x-2y=5 ❷ x=-y를 ㉠에 대입하여 풀 수 있다.
30%

.c3.c3`㉡
❸ x=2y를 ㉠에 대입하여 풀 수 있다.
30%

㉠-㉡\2를 하면    -3x+y=0    .t3 y=3x ……`㉢


30%
❹ a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10%

  x^2+2x-6x=5, x^2-4x-5=0
㉢을 ㉡에 대입하면

(x+1)(x-5)=0    .t3 x=5(.T3 x는 자연수) x^2+xy-3y^2=-9 .c3.c3`㉠


이것을 ㉢에 대입하면    y=15
0741  { x^2-xy+y^2=9 .c3.c3`㉡
.t3 y-x=10 ㉠+㉡을 하면    2x^2-2y^2=0
x^2-y^2=0,    (x+y)(x-y)=0
 ⑤

2x^2+2xy-y=14 .c3.c3`㉠ .t3 y=-x 또는 y=x


0738  { x^2+xy+y-3x=4 .c3.c3`㉡  y=-x를 ㉡에 대입하면
㉠-㉡\2를 하면    -3y+6x=6 x^2+x^2+x^2=9,    x^2=3
.t3 y=2x-2 ……`㉢ .t3 x=±13, y=y13(복호동순)
 y=x를 ㉡에 대입하면
2x^2+2x(2x-2)-(2x-2)=14, x^2-x-2=0 x^2-x^2+x^2=9,    x^2=9
㉢을 ㉠에 대입하면

(x+1)(x-2)=0 .t3 x=-1 또는 x=2 .t3 x=±3, y=±3 (복호동순)


,  에서 x+y의 값은 -6, 0, 6이므로 x+y의 값이 될 수 있는 
x=-1, y=-4 또는 x=2, y=2 것은 ④이다.
이것을 ㉢에 대입하면 주어진 연립방정식의 해는

따라서 (alpha+beta)^2의 값은 alpha=-1, beta=-4일 때 최대이므로 구하는 
 ④

0742  x+y=u, xy=v로 놓으면 주어진 연립방정식은
  (-1-4)^2=25  25 u^2-2v=34 .c3.c3`㉠
최댓값은

{
v=15 .c3.c3`㉡
x^2+y^2=(x+y)^2-2xy

x^2+2xy-y^2=7 .c3.c3`㉠
0739  { 3x^2-xy+4y^2=14 .c3.c3`㉡ u^2-30=34,    u^2=64 .t3 u=±8
㉡을 ㉠에 대입하면

㉠\2-㉡을 하면    -x^2+5xy-6y^2=0  u=8, v=15, 즉 x+y=8, xy=15일 때 x, y는 이차방정식 


x^2-5xy+6y^2=0,    (x-2y)(x-3y)=0 t^2-8t+15=0의 두 근이므로
.t3 x=2y 또는 x=3y (t-3)(t-5)=0    .t3 t=3 또는 t=5
 x=2y를 ㉠에 대입하면 x=3  x=5
.t3 {  또는 {
4y^2+4y^2-y^2=7,    y^2=1 y=5 y=3  
.t3 y=±1, x=±2 (복호동순)  u=-8,  v=15, 즉  x+y=-8,  xy=15일 때  x,  y는 이차방
 x=3y를 ㉠에 대입하면 정식 t^2+8t+15=0의 두 근이므로
9y^2+6y^2-y^2=7,    2y^2=1 (t+3)(t+5)=0    .t3 t=-3 또는 t=-5
22 322 x=-3 x=-5
.t3 y=± .t3 {  또는 {
2 , x=± 2 (
  복호동순) y=-5 y=-3  
,  에서 구하는 순서쌍 (x, y)는

,  에서 alpha=±2, beta=±1 (복호동순)이므로


alpha^2+beta^2=5  5 (-5, -3), (-3, -5), (3, 5), (5, 3)
 (-5, -3), (-3, -5), (3, 5), (5, 3)

x^2+xy=6 .c3.c3`㉠
0740  { xy+y^2=3 .c3.c3`㉡ 0743  x+y=u, xy=v로 놓으면 주어진 연립방정식은
㉠-㉡\2를 하면    x^2-xy-2y^2=0 u-v=-1 ……`㉠
{
(x+y)(x-2y)=0    .t3 x=-y 또는 x=2y  u^2-4v=1 .c3.c3`㉡
 x=-y를 ㉠에 대입하면 ㉠에서    v=u+1 ……`㉢
x^2-2xy+y^2=(x+y)^2-4xy
  ⇨ ❶

y^2-y^2=6    .t3 0.c1y^2=6
따라서 해가 존재하지 않는다.  u^2-4u-5=0,    (u+1)(u-5)=0
㉢을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x=2y를 ㉠에 대입하면 .t3 u=-1 또는 u=5


  ⇨ ❷

4y^2+2y^2=6,    y^2=1
.t3 y=±1, x=±2 (복호동순)    u=-1, v=0 또는 u=5, v=6
이것을 ㉢에 대입하면
  ⇨ ❸

62 • 정답 및 풀이
본책 102~105쪽

 u=-1,  v=0, 즉  x+y=-1,  xy=0일 때  x,  y는 이차방정 ㉠, ㉢을 만족시키는 실수  x,  y는 이차방정식  t^2 -3t-k=0의 두 
식 t^2 +t=0의 두 근이므로 실근이므로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t(t+1)=0    .t3  t=0 또는 t=-1 D=(-3)^2 -4.c1 (-k)_> 0    .t3
 k_> -9/4
   
x=0  x=-1
.t3
 {  또는 {
⇨ ❷

y=-1 y=0   따라서 실수 k의 최솟값은 -9/4


  이다. 
 u=5, v=6, x+y=5, xy=6일 때 x, y는 이차방정식 
⇨ ❸

t^2 -5t+6=0의 두 근이므로  -9/4


  
   즉 

(t-2)(t-3)=0    .t3  t=2 또는 t=3


x=2  x=3
.t3
 {
채점 기준 비율

 또는 {
y=3 y=2 ❷ x, y를 근으로 하는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이용하여 k의 값의
❶ ㉠을 ㉡에 대입하여 ㉢을 구할 수 있다. 30%

,   에서  x^2 -y^2 은  x=3,  y=2일 때 최대이므로 구하는 최댓값


은    3^2 -2^2 =5   5
50%

❸ k의 최솟값을 구할 수 있다.
범위를 구할 수 있다.
20%

0744  x+y=u, xy=v로 놓으면 주어진 연립방정식은 0747  주어진 연립방정식을 만족시키는 실수  x,  y는 이차방정식 


u^2 +u-2v=2 .c3
.c3
`㉠ t^2 -(2a-1)t+a^2 +a-4=0의 두 실근이므로 이 이차방정식의 판
{
u^2 -v=1 .c3
.c3
`㉡ 별식을 D라 하면
㉡에서    v=u^2 -1 ……`㉢ D={-(2a-1)}^2 -4(a^2 +a-4)_> 0
-8a+17_> 0    .t3
 a_< ^17
 /8

u^2 -u=0,    u(u-1)=0
㉢을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따라서 모든 자연수 a의 값의 합은    1+2=3
.t3
 u=0 또는 u=1
 ③

u=0, v=-1 또는 u=1, v=0 0748  두 이차방정식의 공통인 근을 alpha 라 하면


이것을 ㉢에 대입하면

   u=0, v=-1, 즉 x+y=0, xy=-1일 때 x, y는 이차방정식  alpha ^2 +aalpha +2=0 .c3


.c3
`㉠
t^2 -1=0의 두 근이므로 alpha ^2 +2alpha +a=0 .c3
.c3
`㉡
(t+1)(t-1)=0    .t3
 t=-1 또는 t=1 ㉠-㉡을 하면    (a-2)alpha +2-a=0
x=-1 x=1 (a-2)(alpha -1)=0    .t3  a=2 또는 alpha =1
.t3
 {  또는 {
y=1 y=-1   그런데 a=2이면 주어진 두 이차방정식이 일치하므로 공통인 근이 
  u
  =1, v=0, 즉 x+y=1, xy=0일 때 x, y는 이차방정식  2개 존재한다.
t^2 -t=0의 두 근이므로 .t3  alpha =1
t(t-1)=0    .t3  t=0 또는 t=1 alpha =1   1+a+2=0    .t3  a=-3  -3
x=0 x=1
을 ㉠에 대입하면 
.t3
 {  또는 {
y=1 y=0  
0749  alpha 가 주어진 두 이차방정식의 근이므로
,  에서 2x+y는 x=-1, y=1일 때 최소이므로 구하는 최솟
2alpha ^2 +(a+1)alpha +4a=0 .c3
.c3
`㉠
값은    2.c1 (-1)+1=-1   -1
2alpha ^2 -(2a-1)alpha +a=0 .c3
.c3
`㉡
㉠-㉡을 하면    3aalpha +3a=0
x^2 +y^2 =10 .c3
.c3
`㉠ a(alpha +1)=0    .t3  a=0 또는 alpha =-1
0745  { x+y=k .c3
.c3
`㉡ 그런데 a=0이면 주어진 두 이차방정식이 일치하므로 공통인 근이 
㉡에서    y=-x+k 2개 존재한다.
이것을 ㉠에 대입하면    x^2 +(-x+k)^2 =10 .t3  alpha =-1
.t3
 2x^2 -2kx+k^2 -10=0 alpha =-1을 ㉠에 대입하면
이를 만족시키는 x의 값이 오직 한 개 존재해야 하므로 이 이차방정
2-a-1+4a=0,    3a=-1    .t3
 a=-1/3
  
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07

  D/4
  =(-k)^2 -2(k^2 -10)=0 .t3
 a+alpha =-4
3
/  -4
3
/
연립방정식

k^2 -2k^2 +20=0,    k^2 =20 .t3


 k=±215
따라서 모든 실수 k의 값의 곱은 0750  두 이차방정식의 공통인 근을 alpha 라 하면
  215.c1 (-215)=-20 a^2 -2(k-1)a+k=0 ……`㉠
a^2 +2(k+3)a-k=0 .c3
.c3
`㉡
 ②

㉠+㉡을 하면    2a^2 +8a=0


x+y=3 ……`㉠
0746  { xy+x+y=3-k 2a(a+4)=0    .t3
 a=-4 (∵ anot=0)
.c3
.c3
`㉡
a=-4 를 ㉠에 대입하면 

xy+3=3-k    .t3
 xy=-k .c3
.c3
`㉢ 16+8(k-1)+k=0,    9k=-8 .t3
 k=-8/9
   
㉠을 ㉡에 대입하면
⇨ ❶    ①

07``연립방정식• 63
정답 및 풀이

0751  수영장의 부피를 V라 하고 1시간 동안 수도꼭지 A, B, C
에서 나오는 물의 양을 각각 x, y, z라 하면   x^2+(21-x)^2=225, x^2-21x+108=0
㉢을 ㉠에 대입하면

x+y+z=V ……`㉠ (x-9)(x-12)=0 .t3 x=9 또는 x=12


x=9를 ㉢에 대입하면    y=12
3/2(x+y)=V ……`㉡
x=12를 ㉢에 대입하면    y=9

2(y+z)=V ……`㉢ 그런데 x>y이므로    x=12, y=9
㉠\2-㉢을 하면    2x=V    .t3 x=1/2V 따라서 처음 직육면체의 밑면의 가로의 길이는 12 cm, 세로의 길이
는 9 cm이다.   가로: 12 cm, 세로: 9 cm
㉠\3-㉡\2를 하면    3z=V    .t3 z=1/3V
미지수 중에서 어느 하나를 소거하여 미지수가 2개인 연
따라서 x+z=5/6V, 즉 6/5(x+z)=V이므로 A와 C를 틀면 6/5시 0755

간, 즉 1시간 12분이 걸린다.   1시간 12분 3x+2y+z=1 ……`㉠


립일차방정식으로 만들어 푼다.

2x+y-z=8 .c3.c3`㉡
2x-y+2z=0 .c3.c3`㉢
0752  준수가 성공시킨 3점슛, 2점슛, 자유투의 개수를 각각 x, y,  ㉠+㉡을 하면    5x+3y=9 .c3…`㉣
z라 하면 ㉡\2+㉢을 하면    6x+y=16 ……`㉤
3x+2y+z=32 ……`㉠ ㉣, ㉤을 연립하여 풀면    x=3, y=-2
x+y+z=15 .c3.c3`㉡ 이것을 ㉡에 대입하면    6-2-z=8    .t3 z=-4
x+z=y+1 ……`㉢ 따라서 alpha=3, beta=-2, gamma=-4이므로
㉡-㉢을 하면    y=14-y    .t3 y=7 alpha-beta+gamma=1
y=7을 ㉠, ㉡에 각각 대입하면
 ①

3x+z=18, x+z=8 y=x+1을 x^2+y^2=13에 대입한다.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x=5, z=3 y=x+1 ……`㉠
0756
{
따라서 준수가 성공시킨 3점슛과 2점슛의 개수의 합은 x^2+y^2=13 .c3.c3`㉡
5+7=12
    x^2+(x+1)^2=13, x^2+x-6=0
 ③ ㉠을 ㉡에 대입하면

(x+3)(x-2)=0    .t3 x=-3 또는 x=2
0753  두 자리 자연수의 십의 자리의 숫자를 x, 일의 자리의 숫자
를 y라 하면 x=-3, y=-2 또는 x=2, y=3
이것을 ㉠에 대입하면 주어진 연립방정식의 해는

x^2+y^2=58 .c3.c3`㉠
{ 따라서 alpha=-3, beta=-2 또는 alpha=2, beta=3이므로
(10y+x)+(10x+y)=110 .c3.c3`㉡
alphabeta=6
    ⇨ ❶

㉡에서    y=10-x .c3.c3`㉢


 ②

  x^2+(10-x)^2=58, x^2-10x+21=0
㉢을 ㉠에 대입하면
0757 인수분해가 되는 이차방정식을 두 일차식의 곱으로 인수

(x-3)(x-7)=0 .t3 x=3 또는 x=7
x^2-y^2=0 .c3.c3`㉠
분해한다.

x=3을 ㉢에 대입하면    y=7 {
x^2+xy+2y^2=4 .c3.c3`㉡
x=7을 ㉢에 대입하면    y=3
㉠에서    (x+y)(x-y)=0    .t3 y=-x 또는 y=x
그런데 x>y이므로    x=7, y=3
 y=-x를 ㉡에 대입하면
따라서 처음 수는 73이다.
⇨ ❷

x^2-x^2+2x^2=4,    x^2=2
 73
⇨ ❸

.t3 x=±12, y=y12 (복호동순)

❶ 십의 자리의 숫자를 x, 일의 자리의 숫자를 y라 하고 연립방정식 x^2+x^2+2x^2=4,    x^2=1


채점 기준 비율  y=x를 ㉡에 대입하면

.t3 x=±1, y=±1 (복호동순)
40%

❷ x, y의 값을 구할 수 있다.
을 세울 수 있다.

,   에서  alpha+beta는  alpha=-1,  beta=-1일 때 최소이므로 구하는 최


40%

솟값은    -1+(-1)=-2  -2


❸ 처음 수를 구할 수 있다. 20%

0754  처음 직육면체의 밑면의 가로의 길이를 x cm, 세로의 길이 0758


를 y cm라 하면
주어진 연립방정식의 해와 같은 연립방정식을 찾는다.

x^2+y^2=15^2 .c3…`㉠ x+y-z=2 ……`㉠


두 연립방정식의 해는 연립방정식

{
10(x+1)(y+1)=10xy+220 .c3.c3`㉡ x+2y+z=3 ……`㉡
㉡에서    xy+x+y+1=xy+22 3x-y-z=2 ……`㉢
.t3 y=21-x ……`㉢ 의 해와 같다.

64 • 정답 및 풀이
본책 105~107쪽

㉠+㉡을 하면    2x+3y=5 .c3


.c3
`㉣
㉡+㉢을 하면    4x+y=5 .c3
.c3
`㉤
0762 상수항을 소거하여 인수분해한 후 두 이차방정식 중 하나

㉣, ㉤을 연립하여 풀면    x=1, y=1 x^2 +2xy-y^2 =14 .c3


.c3
`㉠
에 대입하여 푼다.

{
이것을 ㉡에 대입하면    1+2+z=3    .t3
 z=0 x^2 +3y^2 =28 .c3
.c3
`㉡
따라서 x=1, y=1, z=0을 2x-y+2z=a, 3x+by-z=1,  ㉠\2-㉡을 하면    x^2 +4xy-5y^2 =0
2x-y+z=c에 각각 대입하면 (x+5y)(x-y)=0    .t3  x=-5y 또는 x=y
a=1, b=-2, c=1  x=-5y
.t3
 a+b+c=0 25y^2 +3y^2 =28,    y^2 =1
  를 ㉡에 대입하면

.t3
 y=±1, x=y5 (복호동순)
 ③

 x=y를 ㉡에 대입하면
y^2 +3y^2 =28,    y^2 =7
2x+y+z=3 ……`㉠
0759 주어진 식을 변끼리 더한다.

.t3
 y=±17, x=±17 (복호동순)
x+2y+z=4 .c3
.c3
`㉡ , 에서 a-b는 alpha =5, beta =-1일 때 최대이므로 구하는 최댓값은
x+y+2z=1 ……`㉢     5-(-1)=6
㉠+㉡+㉢을 하면    4(x+y+z)=8
 ②

.t3
 x+y+z=2 ……`㉣
㉠-㉣을 하면    x=1 처음 땅의 가로와 세로의 길이를 각각 x`km, y`km로
⇨ ❶

㉡-㉣을 하면    y=2
0763

㉢-㉣을 하면    z=-1 처음 땅의 가로의 길이를 x`km, 세로의 길이를 y`km라 하면


놓고 연립방정식을 세운다.

.t3
 x^2 +y^2 +z^2 =1^2 +2^2 +(-1)^2 =6 x^2 +y^2 =5 .c3
.c3
`㉠
⇨ ❷

{
 6 (x+1)(y+1)=xy+4 .c3
.c3
`㉡
⇨ ❸

㉡에서    xy+x+y+1=xy+4    .t3  y=3-x ……`㉢


채점 기준 비율

    x^2 +(3-x)^2 =5, x^2 -3x+2=0


㉢을 ㉠에 대입하면

❷ x, y, z의 값을 구할 수 있다.
❶ ㉠+㉡+㉢을 하여 ㉣을 구할 수 있다. 40%

(x-1)(x-2)=0    .t3  x=1 또는 x=2


❸ x^2 +y^2 +z^2 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20%

x=1, y=2 또는 x=2, y=1
이것을 ㉢에 대입하면 연립방정식의 해는

xy=2(km^2)  2`km^2
0760 주어진 식을 변끼리 더하여 얻은 방정식이 해가 존재하지 따라서 처음 땅의 넓이는

ax+2y+z=3 ……`㉠
않는 경우를 생각한다.

x+ay+2z=2-a ……`㉡
2x+y+az=a^2 +a .c3
.c3
`㉢ x+y의 값을 구한 후 x, y는 이차방정식
t^2 -(x+y)t+xy=0의 두 근임을 이용한다.
0764
㉠+㉡+㉢을 하면
x+y
    (a+3)x+(a+3)y+(a+3)z=a^2 +5 1/x
  +1/y
  =-2에서    =-2
xy
    .t3
 (a+3)(x+y+z)=a^2 +5 이때 xy=-1이므로    x+y=2
따라서 a=-3이면 0.c1 (x+y+z)=14이므로 해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x, y는 이차방정식 t^2 -2t-1=0의 두 근이므로
⇨ ❶

.t3
 a=-3   -3
t=1±12
x=1+12 x=1-12
.t3
 { 또는 {
y=1-12   y=1+12
⇨ ❷
   
0761 이차항을 소거하여 일차방정식을 만든 후 이차방정식과

beta 1+12 (1+12)^2


그런데 a<b이므로    a=1-12, b=1+12

.t3
  =
x^2 +2xy+x-y=9 .c3
.c3
`㉠ alpha 1-12 = (1-12)(1+12) =-3-212
연립하여 푼다.

{
x^2 +2xy-2x=4 .c3
.c3
`㉡
⇨ ❸

 -3-212
07

㉠-㉡을 하면    3x-y=5    .t3  y=3x-5 .c3


.c3
`㉢
연립방정식

❶ x+y의 값을 구할 수 있다.
채점 기준 비율

    x^2 +2x(3x-5)-2x=4, 7x^2 -12x-4=0


㉢을 ㉡에 대입하면

❷ x, y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7x+2)(x-2)=0 .t3
 x=-2
7 또는 x=2
/
40%

❸ b 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a
이것을 ㉢에 대입하면 주어진 연립방정식의 해는

x=-2
7, y=-^41
/  /7
   또는 x=2, y=1
x, y를 근으로 하는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이용한다.
따라서  x+y=-^43
 /7
   또는  x+y=3이므로  x+y의 값이 될 수 있 x+y=2a ……`㉠
0765
{
는 것은 ③이다.  ③ x+y+xy=a^2 -a+6 ……`㉡

07``연립방정식• 65
정답 및 풀이

2a+xy=a^2-a+6 Ⅲ. 부등식
㉠을 ㉡에 대입하면

.t3 xy=a^2-3a+6 .c3.c3`㉢ 08 부등식


㉠, ㉢을 만족시키는 실수 x, y는 이차방정식
t^2-2at+a^2-3a+6=0의 두 실근이므로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
0768 a>b의 양변에 2를 더하면 a+2>b+2 답>
을 D라 하면

D/4=(-a)^2-(a^2-3a+6)_>0
0769 a>b의 양변에서 1을 빼면 a-1>b-1 답>
3a-6_>0 .t3 a_>2
따라서 실수 a의 최솟값은 2이다. 답② 0770 a>b의 양변에 3을 곱하면 3a>3b 답>

0771 a>b의 양변에 -1을 곱하면 -a<-b 답<


0766 두 이차방정식의 공통인 근을 alpha라 하고 두 이차방정식에

0772 a>b의 양변을 3으로 나누면 a/3>b/3 답>


두 이차방정식의 공통인 근을 alpha라 하면
대입하여 연립방정식을 세운다.

alpha^2+aalpha+b=0 .c3.c3`㉠
alpha^2+balpha+a=0 .c3.c3`㉡ 0773 a>b의 양변을 -2로 나누면 -a
2<-b
/ 2
/ 답<

㉠-㉡을 하면 (a-b)alpha-(a-b)=0
(a-b)(alpha-1)=0 .t3 a=b 또는 alpha=1 0774 1_<x_<4의 각 변에 2를 곱하면 2_<2x_<8 답 2_<2x_<8
그런데 a=b이면 주어진 두 이차방정식이 일치하므로 공통인 근이
2개 존재한다. 0775 1_<x_<4의 각 변에 -1을 곱하면 -4_<-x_<-1
.t3 alpha=1
답 -4_<-x_<-1
alpha=1을 ㉠에 대입하면
1+a+b=0 .t3 a+b=-1
0776
1_<x_<4의 각 변을 4로 나누면 1/4_<x/4_<1
b=-a-1을 이차방정식 x^2+ax+b=0에 대입하면
x^2+ax-(a+1)=0, (x-1)(x+a+1)=0 답 1/4_<x/4_<1
.t3 x=1 또는 x=-a-1
또 a=-b-1을 이차방정식 x^2+bx+a=0에 대입하면
1_<x_<4의 각 변의 역수를 취하면 4_<1
/
1 x_<1
/
x^2+bx-(b+1)=0, (x-1)(x+b+1)=0
0777
.t3 x=1 또는 x=-b-1 4_<1
답1
/ x_<1
/
이때 공통인 근이 아닌 근의 곱이 -6이므로
(-a-1)(-b-1)=-6
2+3_<x+y_<4+6 .t3 5_<x+y_<10 답 5_<x+y_<10
ab+a+b+1=-6 .t3 ab=-6
0778
.t3 a^2+b^2 =(a+b)^2-2ab
0779
2-6_<x-y_<4-3 .t3 -4_<x-y_<1
=(-1)^2-2.c1(-6)
답 -4_<x-y_<1
=13 답 13

0780 2.c13_<xy_<4.c16 .t3 6_<xy_<24 답 6_<xy_<24

정희의 정답인 문항 수를 x, 오답인 문항 수를 y, 무응답


인 문항 수를 z로 놓고 연립방정식을 세운다. 0781 2/6_<x
y_<4
/ 3
/ .t3 1
3_<x
/ y_<4
/ 3
/ 3_<x
답1
/ y_<4
/ 3
/
0767

정희의 정답인 문항 수를 x, 오답인 문항 수를 y, 무응답인


문항 수를 z라 하면 x+1>4x-5에서 -3x>-6 .t3 x<2 답 x<2
x+y+z=10 .c3.c3`㉠
0782

8x-2y-z=41 .c3.c3`㉡ 0783 3(x+1)<x-6에서 3x+3<x-6


7x-y+z=40 .c3.c3`㉢
2x<-9 .t3 x<-9
2
/ 답 x<-9
2
/
㉠+㉡을 하면 9x-y=51 .c3.c3`㉣
㉡+㉢을 하면 15x-3y=81
.t3 5x-y=27 .c3.c3`㉤ 0784 ax>a+1에서
㉣-㉤을 하면 4x=24 .t3 x=6  a>0일 때, x>a
/
a+1
x=6을 ㉣에 대입하면 54-y=51 .t3 y=3
 a<0일 때, x<a
/
a+1
x=6, y=3 6+3+z=10 .t3 z=1
따라서 정희가 무응답한 문항 수는 1이다. 답1  a=0일 때, 0·x>1이므로 해는 없다.
을 ㉠에 대입하면
답 풀이 참조

66 • 정답 및 풀이
본책 107~112쪽

0785 (a-1)x<a에서 0794 ㄱ. a<b, c>0이므로 ac<bc

08
 a>1일 때, x<~
/ c<d, b>0이므로 bc<bd
.t3
ac<bd

부등식
 a<1일 때, x>`

/ ㄴ. b<c에서 b-a<c-a
 a=1일 때, 0·x<1이므로 해는 모든 실수이다. ㄷ. a=1, b=-2이면 a>b이지만 a^2 <b^2 이다.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답 풀이 참조
답③

답 -4<x<4
0795 ㄱ. b<0이므로 a<b의 양변을 b로 나누면 b>1
/
a
0786

답 x_<
-5 또는 x_> 5 ㄴ. a<b이므로 a-b<0
)^2 +3/4
a^2 +ab+b^2 =(a+b/2 b^2 >0이므로
0787

0788 |x-2|<3에서 -3<x-2<3 (a-b)(a^2 +ab+b^2 )<0, a^3 -b^3 <0


.t3
-1<x<5 답 -1<x<5 .t3
a^3 <b^3
ㄷ. |a|>|b|이므로 a^2 >b^2

0789 |x+1|>6에서 x+1<-6 또는 x+1>6 ab>0이므로 양변을 ab로 나누면 b>b


/
a a
/
.t3
x<-7 또는 x>5 답 x<-7 또는 x>5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답 ㄱ, ㄷ

ㄷ. a<0이므로 a<b의 양변을 a로 나누면 1>b


a
/
0790 |6-5x|_< 4에서 -4_< 6-5x_< 4
b>1이므로
ㄱ에서 a
/ b>b
/
a a
/
-10_< -5x_<
-2 .t3
2
5_< x_< 2
/ 5_< x_< 2
답2
/

0791 |3x+2|_> 5에서 3x+2_< -5 또는 3x+2_> 5 0796 ④ 3-2<y-x<6-1이므로 1<y-x<5 답④

3x_< -7 또는 3x_> 3 .t3


x_< -7
3 또는 x_> 1
/
4<x<6 .c3
.c3

답 x_<
-7
3 또는 x_> 1
/
2<y<7에서 -14<-2y<-4 .c3
.c3

0797

㉠+㉡을 하면 4-14<x-2y<6-4
 x<0일 때, .t3
-10<x-2y<2
따라서 구하는 정수는 -9, -8, -7, .c3
, 1의 11개이다.
0792

-(x-1)-x<2에서 x>-1
2
/
답③

그런데 x<0이므로 -1/2


<x< 0 0798
3_< x_< 5 .c3
.c3

~ ~
 0_<
x<1일 때, 2_< y_< 10에서 1_< y/2
_< 5 .c3
.c3

-(x-1)+x<2에서 1<2이므로 주어진 부등식은 항상 성립
⇨❶

㉠+㉡을 하면 3+1_< x+y/2


_< 5+5
한다.
.t3
0 _< x< 1 .t3
4_< x+y/2
_< 10
 x_>
1일 때,
⇨❷
따라서 M=10, m=4이므로
x-1+x<2에서 x<3
2
/ Mm=40
답 40
⇨❸

그런데 x_> 1이므로 1 _< x< 3/2



~ ~

이상에서 부등식 |x-1|+|x|<2의 해는 -1/2


<x<3/2

채점 기준 비율

❶y
2의 값의 범위를 구할 수 있다.
/ 40%

❷ x+y
2의 값의 범위를 구할 수 있다.
/ 40%

❸ Mm의 값을 구할 수 있다.
답 풀이 참조
20%

0793 ① a>b에서 a+6>b+6


② a>b에서 -a<-b .t3 5-a<5-b 0799
1_< x_< 3 .c3
.c3

③ a>b에서 3a>3b .t3
3a-1>3b-1 a_< y_< 2에서 -8_< -4y_< -4a .c3
.c3

④ a>b에서 -a 4 .t3
4<-b
/ / -a
4+1<-b
/ 4+1
/ ㉠+㉡을 하면 1-8_< x-4y_< 3-4a
.t3
-7_< x-4y_< 3-4a
⑤ a=1, b=-1이면 a>b이지만 3
a>3
/ b이다.
/ 답② 따라서 3-4a=7이므로 a=-1 답 -1

08``부등식 • 67
정답 및 풀이

0800 ax-1>6에서 ax>7 0808 2|3x-1|>1, 즉 |3x-1|>1/2에서


이 부등식의 해가 x>1
3이므로
/ a>0, 7
a=1
/ 3
/
3x-1<-1
2 또는 3x-1>1/2
/
.t3 a=21 답 21
.t3 x<1/6 또는 x>1/2 답 x<1/6 또는 x>1/2

0801 ax+2b>bx+2a에서 (a-b)x>2(a-b)


이때 a<b, 즉 a-b<0이므로 양변을 a-b로 나누면 |4-5x|_<6에서 -6_<4-5x_<6
x<2 답 x<2
0809
-10_<-5x_<2 .t3 -2
5_<x_<2
/
따라서 주어진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정수 x는 0, 1, 2의 3개이다.
0802 부등식 ax_<b의 해가 x_<1이므로 a>0, b
a=1
/
.t3 b=a
답③

이것을 ax_<a-2b에 대입하면 0810


|x-1|_>a에서 x-1_<-a 또는 x-1_>a
ax_<a-2a, ax_<-a .t3 x_<1-a 또는 x_>1+a
.t3 x_<-1 주어진 부등식의 해가 x_<-1 또는 x_>b이므로
1-a=-1, 1+a=b .t3 a=2, b=3
답②

.t3 a+b=5 답5
0803 부등식 (a+1)x-(a-b)_>0, 즉 (a+1)x_>a-b의 해가
x_<-3이므로
a<0
a+1<0, /
a+
-1=-3
b
0811 주어진 부등식의 해가 모든 실수이려면 답④

.t3 4a-b=-3
|x+10|_>0이므로 주어진 부등식의 해가 존재하지 않으려면
이것을 (4a-b)x_>9에 대입하면
a+1<0 .t3 a<-1
0812
-3x_>9 .t3 x_<-3 답 x_<-3
따라서 정수 a의 최댓값은 -2이다.
⇨❶

답 -2
⇨❷

(a+3)(a-3)x_<a-3의 해가 모든 실수이려면
(a+3)(a-3)=0, a-3_>0
0804
❶ a의 값의 범위를 구할 수 있다.
채점 기준 비율

.t3 a=3
❷ 정수 a의 최댓값을 구할 수 있다.
80%
답⑤
20%

0805 a^2x-a>x에서 (a^2-1)x>a


0813 |1
5x-1|_>0이므로 주어진 부등식의 해가 존재하려면
/

a^2-1=0, a_>0 k_>0


이 부등식의 해가 존재하지 않으려면

.t3 a=1 답③ 따라서 실수 k의 최솟값은 0이다. 답①

|3x-2|_<x+6에서
0806 ax-2>b+x에서 (a-1)x>b+2
0814
 x_>2
3일 때, 3x-2_>0이므로
/
a-1=0, b+2<0 3x-2_<x+6, 2x_<8 .t3 x_<4
이 부등식의 해가 모든 실수이려면

.t3 a=1, b<-2


그런데 x_>2
3이므로
/ 3_<x_<4
/
2
이때 정수 b의 최댓값은 -3이므로 a+b의 최댓값은
⇨❶

1+(-3)=-2  x<2
3일 때, 3x-2<0이므로
/
답 -2
⇨❷

-(3x-2)_<x+6, -4x_<4 .t3 x_>-1


그런데 x<2
3이므로
/ -1_<x<2
3
/
❶ a의 값과 b의 값의 범위를 구할 수 있다.
채점 기준 비율

, 에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1_<x_<4


❷ a+b의 최댓값을 구할 수 있다.
70%

따라서 a=-1, b=4이므로 a+b=3


30%
답③

|4x-3|<9에서 -9<4x-3<9
|1-x|<4x-1에서
0807
-6<4x<12 .t3 -3
2<x<3
/  x_<1일 때, 1-x_>0이므로
0815

따라서 a=-3
2, b=3이므로
/ 1-x<4x-1, -5x<-2 .t3 x>2
5
/

ab=-9
2
/ 답① 그런데 x_<1이므로 5<x_<1
/
2

68 • 정답 및 풀이
본책 113~115쪽

 x>1일 때, 1-x<0이므로
 x_>
72일 때,
/

08
-(1-x)<4x-1, -3x<0 .t3
x>0
그런데 x>1이므로 3x-2_> 2x-7 .t3
x_> -5
x>1

부등식
그런데 x_> 7
2이므로
/ x_> 7
2
/
, 에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x>2
5
/
x_< -5 또는 x_>
9
5
/
.t3
k=2
5
/
이상에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따라서 a=-5, b=9 ab=-9 답 -9


답②

5이므로
/

2|x-3|_> 7-x에서
 x_>
3일 때, x-3_> 0이므로 |x-1|+3|x+1|<8에서
0816

 x<-1일 때,
0819
2(x-3)_> 7-x, 3x_> 13
-(x-1)-3(x+1)<8
.t3
x_> /
1
3
3
-4x<10 .t3
x>-5
2
/
그런데 x_> 3이므로 x_> /
1
3
3
그런데 x<-1이므로 -5
2<x<-1
/
 x<3일 때, x-3<0이므로
-2(x-3)_> 7-x, -x_> 1  -1_<
x<1일 때,
.t3
x_< -1 -(x-1)+3(x+1)<8
그런데 x<3이므로 x_< -1 2x<4 .t3
x<2
그런데 -1_< x<1이므로 -1_< x<1
, 에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x_< -1 또는 x_> /
1
3
3
 x_>
1일 때,
따라서 자연수 x의 최솟값은 5이다. 답⑤ x-1+3(x+1)<8
4x<6 .t3
x<3
2
/

그런데 x_> 1이므로 1_< x<3


2
/
|x-2|+|x|<4에서
 x<0일 때,
0817
-5
2<x<3
/ 2
/
-(x-2)-x<4, -2x<2 .t3
x>-1
이상에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따라서 주어진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정수 x는 -2, -1, 0, 1이므
그런데 x<0이므로 -1<x<0
로 구하는 합은 -2이다.
 0_<
x<2일 때,
답①

-(x-2)+x<4, 0·x<2
따라서 주어진 부등식은 항상 성립한다.
그런데 0_< x<2이므로 0_< x<2
0820 2(x+1)^2 x=|x+1|이므로 주어진 부등식은
|x-2|+|x+1|<x+3
 x_>
2일 때,
 x<-1일 때,
⇨❶

x-2+x<4, 2x<6 .t3


x<3
-(x-2)-(x+1)<x+3
그런데 x_> 2이므로 2_< x<3
-1<x<3 -3x<2 .t3
x>-2
3
/
따라서 a=-1, b=3이므로 b-a=4 답4 그런데 x<-1이므로 해는 없다.
이상에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1_<
x<2일 때,
-(x-2)+x+1<x+3
|3x-2|_> |2x-7|에서 -x<0 .t3
x>0
그런데 -1_< x<2이므로 0<x<2
0818
 x<2
3일 때,
/
 x_>
2일 때,
-(3x-2)_> -(2x-7) x-2+x+1<x+3 .t3
x<4
-x_> 5 .t3
x_< -5 그런데 x_> 2이므로 2_< x<4
0<x<4
⇨❷
그런데 x<2
3이므로
/ x_< -5
답 0<x<4
이상에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❸

 2/3
_< x<7
2일 때,
/
3x-2_> -(2x-7) ❶ 2A^2 w~=|A|임을 이용하여 주어진 식을 변형할 수 있다.
채점 기준 비율

5x_> 9 .t3
x_> 9
5
/ ❷ x<-1, -1_< x<2, x_> 2로 범위를 나누어 부등식을 각각 풀
20%

3_< x<7 5_< x<7


60%

그런데 2
/ 2이므로
/ /
9 2
/ ❸ x의 값의 범위를 구할 수 있다.
수 있다.
20%

08``부등식 • 69
정답 및 풀이

먼저 x+1, 12-y의 값의 범위를 구한다.


0<x<4에서 1<x+1<5 .c3.c3~㉠ ① ac>bc에서 c<0이면 a<b이다.
0821 0825 부등식의 성질을 이용한다.

5<y<10에서 -10<-y<-5 a b
③ c^2>0이므로 ~ > 의 양변에 c^2을 곱하면 a>b이다.
.t3 2<12-y<7 .c3.c3~㉡ c^2 c^2
㉠\㉡을 하면 c^2 c^2
④ a=1, b=-1, c=1이면
a> b
이지만 a>b이다.
2<(x+1)(12-y)<35
⑤ a=1, b=-1, c=-2이면 a>b>c이지만 ab<c^2이다. 답 ②
따라서 (x+1)(12-y)의 값 중 가장 큰 자연수는 34이다.

부등식 Ax<B의 해가 존재하지 않을 조건은 A=0,


답②

B_<0이다.
0826
B
부등식 Ax_>B의 해가 x_>C이면 A>0, =C이다. x-a<bx+2에서 (1-b)x<a+2
0822 A
a(x-1)_>-(x-a)에서 (a+1)x_>2a
1-b=0, a+2_<0
이 부등식의 해가 존재하지 않으려면

이 부등식의 해가 x_>1이므로
.t3 a_<-2, b=1
2a
a+1>0, =1 이때 a의 최댓값은 -2이므로 a+b의 최댓값은
a+1
2a=a+1 .t3 a=1 답1 -2+1=-1 답②

부등식 Ax_<B의 해가 모든 실수일 조건은 A=0, B_>0


x_>1, x<1로 범위를 나누어 푼다.
이고, 해가 존재하지 않을 조건은 A=0, B<0이다.
0827

|x-1|_<2x에서
0823
a^2x-a_<4x-1에서 (a^2-4)x_<a-1
 x_>1일 때,
.t3 (a+2)(a-2)x_<a-1 .c3.c3 ㉠
x-1_<2x, -x_<1 .t3 x_>-1
그런데 x_>1이므로 x_>1
(a+2)(a-2)=0, a-1_>0
부등식 ㉠의 해가 모든 실수이려면

 x<1일 때,
.t3 a=2
-(x-1)_<2x, -3x_<-1 .t3 x_>1
3
/
(a+2)(a-2)=0, a-1<0
부등식 ㉠의 해가 없으려면
그런데 x<1이므로 3_<x<1
/
1
.t3 a=-2
, 에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x_>1
3
/ 따라서 m=2, n=-2이므로 m-n=4
.t3 k=1
답⑤
3
/
ax-4<-b, ax-4>b로 범위를 나누어 푼다.
답③

|ax-4|>b에서
0828

x<-5, -5_<x<1, x_>1로 범위를 나누어 푼다. ax-4<-b 또는 ax-4>b


|x+5|+|2x-2|_<8에서  ax-4<-b에서 ax<-b+4
0824

 x<-5일 때, -b+4
이때 a<0이므로 x>
-(x+5)-(2x-2)_<8 a
 ax-4>b에서 ax>b+4
-3x_<11 .t3 x_>-1
3
/
1
b+4
이때 a<0이므로 x<
그런데 x<-5이므로 해는 없다. a
 -5_<x<1일 때, , 에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x+5-(2x-2)_<8 -b+4
x<b
/+4 또는~ x>
a~~ a
-x_<1 .t3 x_>-1
⇨❶

그런데 -5_<x<1이므로 이 부등식의 해가 x<-6 또는 x>2이므로


-1_<x<1
 x_>1일 때, -b+4
/
b
a~=-6,
+4 a =2
x+5+2x-2_<8
.t3 6a+b=-4, 2a+b=4
3x_<5 .t3 x_<5
3
/ a=-2, b=8
.t3 a+b=6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❷

그런데 x_>1이므로 1_<x_<5


3
/
답6
⇨❸

이상에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1_<x_<5


3
/
❶ 부등식 |ax-4|>b의 해를 구할 수 있다.
채점 기준 비율

따라서 x의 최댓값은 5
3, 최솟값은 -1이므로 구하는 합은
/
❷ a, 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5
3+(-1)=2
/ 3
/ 답2
3
/ ❸ a+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50%
10%

70 • 정답 및 풀이
본책 116~117쪽

부등식 |x|<A의 해가 존재하지 않으려면 A_< 0이어야 부등식 Ax<B의 해가 x<C이면 A>0, B =C이다.
A

08
0829 0833
a+b=0이므로 b=-a .c3
.c3

한다.

|3-x
2|_> 0이므로 주어진 부등식의 해가 존재하지 않으려면

부등식
/
ax-2a<4ax+3a-1
㉠을 주어진 부등식에 대입하면

a-7
2_< 0 .t3
/ a_< 7
2
/
-3ax<5a-1
따라서 자연수 a의 최댓값은 3이다. 이 부등식의 해가 x<-3이므로
⇨❶

5a-1
답②

a<0, =-3
-3a
x_< 4, x>4로 범위를 나누어 푼다.
5a-1=9a, -4a=1 .t3
a=-1
4
/
|4-x|_< 8-x에서
0830

 x_<
4일 때, 4-x_> 0이므로 a=-1
4을 ㉠에 대입하면
/ b=1
4
/
4-x_< 8-x, 0·x_< 4
⇨❷

.t3
ab=-1
1
/
6
따라서 주어진 부등식은 항상 성립한다.
⇨❸

그런데 x_< 4이므로 x_< 4 답 -1


1
/
6
 x>4일 때, 4-x<0이므로
-(4-x)_< 8-x, 2x_< 12 .t3
x_< 6
그런데 x>4이므로 4<x_< 6
채점 기준 비율

, 에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x_< 6 ❷ a, 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❶ 조건을 이용하여 주어진 부등식을 변형할 수 있다. 40%

따라서 주어진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x는 1, 2, 3, 4, 5, 6의 ❸ a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50%

6개이다. 답6
10%

부등식 Ax>B의 해가 존재하지 않을 조건은 A=0,


x<1, 1_< x<4, x_> 4로 범위를 나누어 푼다. B_> 0이다.
0834

2|x-4|+|x-1|_> 9에서
0831
a(x-2)>b(x+1)-5에서 ax-2a>bx+b-5
 x<1일 때, .t3
(a-b)x>2a+b-5
-2(x-4)-(x-1)_> 9
-3x_> 0 .t3
x_< 0 a-b=0, 2a+b-5_> 0
이 부등식의 해가 없으려면

그런데 x<1이므로 x_< 0 .t3


a=b, 2a+b-5_> 0
 1_<
x<4일 때, a=b를 2a+b-5_> 0에 대입하면
-2(x-4)+(x-1)_> 9
2a+a-5_> 0, 3a_> 5 .t3
a_> 5
3
/
-x_>
2 .t3
x_< -2
그런데 1_< x<4이므로 해는 없다. 따라서 a의 최솟값은 5
3이다.
/ 답5
3
/
 x_>
4일 때,
2(x-4)+(x-1)_> 9
3x_> 18 .t3
x_> 6 먼저 x_> 1, x<1로 범위를 나누어 주어진 부등식을 푼다.
그런데 x_> 4이므로 x_> 6 |x-1|>2x+1에서
0835

x_< 0 또는 x_> 6  x_>


1일 때,
따라서 주어진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x의 최솟값은 6이다. x-1>2x+1, -x>2 .t3
x<-2
이상에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그런데 x_> 1이므로 해는 없다.


 x<1일 때,
답④

-(x-1)>2x+1, -3x>0 .t3


x<0
그런데 x<1이므로 x<0
① a<b<0, 0<c<d이므로 a+b<0, c+d>0
0832 부등식의 성질을 이용한다.

, 에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x<0


.t3
a+b<c+d 따라서 x<0 이 x<a 에 포함되려면 오른
② a<b<0이므로 0<-b<-a 쪽 그림에서 a_> 0이어야 하므로 a의 최솟
.t3
d-b<d-a .c3
.c3
㉠ 값은 0이다.
c<d이므로 c-b<d-b .c3
.c3

 B Y

㉠, ㉡에서 d-a>c-b
답⑤

③ c>0이므로 a<b의 양변에 c를 곱하면 ac<bc


④ b<0, d>0이므로 b<0, 1
/
1 d>0
/ .t3
1
b<1
/ d
/

⑤ a<0이므로 b<c의 양변을 a로 나누면 a>c


/
b a
/ 답⑤

08``부등식 • 71
정답 및 풀이

-x^2-x-1_>0에서 x^2+x+1_<0
Ⅲ. 부등식
2)^2+3
0862
x^2+x+1=(x+1
/ 4_>3
/ 4
/
따라서 -x^2-x-1_>0의 해는 없다. 답 해는 없다.
09 이차부등식

0836 부등식의 모든 항을 좌변으로 이항하면 다음과 같다. 0863 (x-1)(x-3)<0에서 x^2-4x+3<0


ㄱ. -x-3<0 ㄴ. x^2-3x-1>0 답 x^2-4x+3<0
ㄷ. 6_>0 ㄹ. x^2-1_<0
이상에서 이차부등식은 ㄴ, ㄹ이다. 답 ㄴ, ㄹ
0864 (x+7)(x-1)>0에서 x^2+6x-7>0
답 x^2+6x-7>0
답 x<-3 또는 x>-1 답 -3<x<-1
0865
(x+5)(x-2)_<0에서 x^2+3x-10_<0
0837 0838

답 x^2+3x-10_<0
0839 답 x_<-3 또는 x_>-1 0840 답 -3_<x_<-1

0866
(x+2)(x-9)_>0에서 x^2-7x-18_>0
답 x=-2 또는 x=2 답 x=-3 또는 x=1
0841 0842 답 x^2-7x-18_>0

답 -2_<x_<2 답 x_<-3 또는 x_>1 0867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주어진 부등식이 성립하려면 이차함수


y=x^2-kx+k+3의 그래프가 x축보다 항상 위쪽에 있어야 하므로
0843 0844

답 x<3 또는 x>5 답 3_<x_<5 이차방정식 x^2-kx+k+3=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k)^2-4.c11.c1(k+3)<0
0845 0846

k^2-4k-12<0, (k+2)(k-6)<0
답 xnot=2인 모든 실수 답 x=2
.t3 -2<k<6 답 -2<k<6
0847 0848

0849 답 해는 없다. 0850 0868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주어진 부등식이 성립하려면 이차함수


y=-x^2+kx-4의 그래프가 x축에 접하거나 x축보다 항상 아래쪽
답 모든 실수

답 x_<2 또는 x_>7 답 -5<x<1 에 있어야 하므로 이차방정식 -x^2+kx-4=0, 즉 x^2-kx+4=0


의 판별식을 D라 하면
0851 0852

D=(-k)^2-4.c11.c14_<0
답 해는 없다.
k^2-16_<0, (k+4)(k-4)_<0
0853 답 모든 실수 0854
.t3 -4_<k_<4 답 -4_<k_<4
0855 0856 답 해는 없다.

0869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주어진 이차부등식이 성립하려면


답 모든 실수

x^2-5x+6<0에서 (x-2)(x-3)<0 k>0


.t3 2<x<3 답 2<x<3 이차함수 y=kx^2+3kx+8의 그래프가 x축에 접하거나 x축보다
0857 …… ㉠

항상 위쪽에 있어야 하므로 이차방정식 kx~^2+3kx+8=0의 판별식


을 D라 하면
0858 -3x^2+10x-3_<0에서 3x^2-10x+3_>0
D=(3k)^2-4.c1k.c18_<0
(3x-1)(x-3)_>0 .t3 x_<1
3 또는 x_>3
/
9k^2-32k_<0, k(9k-32)_<0
답 x_<1
3 또는 x_>3
/ .t3 0_<k_<3
9
/
2 …… ㉡

㉠, ㉡에서 0<k_<3
9
/
2 답 0<k_<3
9
/
2
x^2-6x+9=(x-3)^2_>0
따라서 x^2-6x+9>0의 해는 xnot=3인 모든 실수이다.
0859
0870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주어진 이차부등식이 성립하려면
답 xnot=3인 모든 실수
-k<0 .t3 k>0
이차함수 y=-kx^2-kx-4의 그래프가 x축보다 항상 아래쪽에 있
…… ㉠

-x^2+2x-1_>0에서 x^2-2x+1_<0 어야 하므로 이차방정식 -kx^2-kx-4=0, 즉 kx^2+kx+4=0의


x^2-2x+1=(x-1)^2_>0
0860
판별식을 D라 하면
따라서 -x^2+2x-1_>0의 해는 x=1이다. 답 x=1 D=k^2-4.c1k.c14<0
k^2-16k<0, k(k-16)<0
x^2+6x+11=(x+3)^2+2_>2 .t3 0<k<16
따라서 x^2+6x+11>0의 해는 모든 실수이다. ㉠, ㉡에서 0<k<16 답 0<k<16
0861 …… ㉡
답 모든 실수

72 • 정답 및 풀이
본책 118~122쪽

0871 ⑴ x^2 -x-2_< 0에서 (x+1)(x-2)_< 0 0878 ~부등식 f(x)>g(x)의 해는 y=g(x)의 그래프가 y=~f(x)
.t3
-1_< x_< 2 의 그래프보다 아래쪽에 있는 부분의 x의 값의 범위이므로
⑵ x^2 +4x-5<0에서 (x+5)(x-1)<0 x<2 또는 x>3
.t3
-5<x<1
답 ③

⑶~

px^2 +(q-m)x+r-n<0에서
px^2 +qx+r-(mx+n)<0
0879
⑷ -1_< x<1
    Y

.t3
px^2 +qx+r<mx+n
부등식 px^2 +qx+r<mx+n의 해는 이차함수 y=px^2 +qx+r의
답 풀이 참조

그래프가 직선 y=mx+n보다 아래쪽에 있는 부분의 x의 값의 범


x+7_> 0에서 x_> -7 .c3
.c3
~㉠

09
(x-3)(x-5)_< 0에서 3_< x_< 5 .c3
.c3
~㉡
0872
b<x<d 답 b<x<d
위이므로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이차부등식
3_< x_<
5 답 3_<
x_< 5

0880 0<g(x)<~f(x)에서 g(x)>0, g(x)<~f(x)


4x-1<3x-7에서 x<-6 .c3
.c3
~㉠ g(x)>0의 해는 -4<x<1 .c3
.c3
`㉠
x^2 -3x_< 54에서 x^2 -3x-54_< 0 g(x)<~f(x)의 해는 y=g(x)의 그래프가 y=~f(x)의 그래프보다
0873

(x+6)(x-9)_< 0 .t3
-6_< x_< 9 .c3
.c3
~㉡ 아래쪽에 있는 부분의 x의 값의 범위이므로
㉠, ㉡의 공통부분이 없으므로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해는 없다. x<-3 또는 x>1 .c3
.c3
`㉡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4<x<-3
답 해는 없다.

따라서 a=-4, b=-3이므로 a+b=-7 답 -7


x^2 +3x-4<0에서 (x+4)(x-1)<0
.t3
-4<x<1 .c3
.c3
~㉠
0874

x^2 +5x_< 0에서 x(x+5)_< 0


.t3
-5_< x_< 0 .c3
.c3
~㉡ x^2 +2x-15>0에서 (x+5)(x-3)>0
.t3 x<-5 x>3
0881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4<x_< 0 답 -4<x_<
0 따라서 alpha =-5, beta =3이므로
또는

alpha -beta =-8


alpha , beta 가 이차방정식 x^2 +2x-15=0의 두 근이므로 이차
답①

x^2 +6_< 7x에서 x^2 -7x+6_< 0


(x-1)(x-6)_< 0 .t3 1_< x_< 6 .c3
.c3
~㉠
0875
alpha +beta =-2, alpha beta =-15
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x^2 -5x<x-8에서 x^2 -6x+8<0 .t3 (alpha -beta )^2 =(alpha +beta )^2 -4alpha beta
(x-2)(x-4)<0 .t3 2<x<4 .c3
.c3
~㉡ =(-2)^2 -4.c1 (-15)=64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t3 alpha -beta =z8
2<x<4 답 2<x<4
이때 alpha <beta 에서 alpha -beta <0이므로
alpha -beta =-8
0876 2_< x^2 +x에서 x^2 +x-2_> 0
(x+2)(x-1)_> 0 .t3 x_< -2 또는 x_> 1 .c3
.c3
~㉠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

이차방정식 ax^2 +bx+c=0의 두 근을 �, �라 할 때


x^2 +x_< 6에서 x^2 +x-6_< 0
(x+3)(x-2)_< 0 .t3 -3_< x_< 2 .c3
.c3
~㉡ b c
① alpha +beta =- ② alpha beta =
a a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3_< x_< -2 또는 1_< x_< 2
답 -3_<
x_< -2 또는 1_< x_< 2
0882
x^2 -x-12_< 0에서 (x+3)(x-4)_< 0
.t3
-3_< x_< 4
-2x-6<x^2 -14에서 x^2 +2x-8>0
따라서 정수 x는 -3, -2, -1, .c3
, 4의 8개이다. 답8
(x+4)(x-2)>0 .t3
x<-4 또는 x>2 .c3
.c3
~㉠
0877

x^2 -14_< 5x에서 x^2 -5x-14_< 0


(x+2)(x-7)_< 0 .t3
-2_< x_< 7 .c3
.c3
~㉡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0883 ㄱ. x^2 -10x+25=(x-5)^2 _> 0
2<x_< 7 답 2<x_<
7 따라서 x^2 -10x+25_< 0의 해는 x=5이다.

09``이차부등식 • 73
정답 및 풀이

ㄴ. x^2-2x+3=(x-1)^2+2_>2 이차방정식 ax^2+bx-10=0의 두 근이 2, 5이므로 이차


따라서 x^2-2x+3_<0의 해는 없다.
-10
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ㄷ. -4x^2+4x-7
4<0에서
/ 4x^2-4x+7
4>0
/ -b
a=2+5, a =2·5
/

4x^2-4x+7
/ 2)^2+3
4=4(x-1
/ 4_>3
/ 4
/ .t3 a=-1, b=7
.t3 a-b=-8
따라서 -4x^2+4x-7/4<0의 해는 모든 실수이다.
ㄹ. 9x^2<6x-1에서 9x^2-6x+1<0 0888 해가 1<x<3이고 x^2의 계수가 1인 이차부등식은
9x^2-6x+1=(3x-1)^2_>0 (x-1)(x-3)<0 .t3 x^2-4x+3<0
따라서 9x^2<6x-1의 해는 없다. 이 부등식이 x^2+ax+b<0과 같으므로
이상에서 해가 없는 부등식은 ㄴ, ㄹ이다. a=-4, b=3
이것을 bx^2+ax+1>0에 대입하면
답⑤

0884 a<0이므로 ax^2-2a^2x-3a^3<0에서 3x^2-4x+1>0, (3x-1)(x-1)>0


x^2-2ax-3a^2>0, (x+a)(x-3a)>0
이때 3a<-a이므로 구하는 해는 .t3 x<1/3 또는 x>1 답③

x<3a 또는 x>-a 답 x<3a 또는 x>-a

0889 ~f(x)<0의 해가 -1<x<4이므로


0885 해가 -8<x<2이고 x^2의 계수가 1인 이차부등식은
~f(x)=a(x+1)(x-4) (a>0)
(x+8)(x-2)<0 .t3 x^2+6x-16<0
따라서 a=6, b=-16이므로 a+b=-10 답 -10
~f(2x)=a(2x+1)(2x-4)
라 하면

이차방정식 x^2+ax+b=0의 두 근이 -8, 2이므로 이차


=2a(2x+1)(x-2)
따라서 부등식 ~f(2x)<0의 해는 2a(2x+1)(x-2)<0에서
-a=-8+2, b=-8.c12
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t3 a=6, b=-16 (2x+1)(x-2)<0 .t3 -1


2<x<2
/
.t3 a+b=-10
답 -1
2<x<2
/

0886 해가 x<1 또는 x>b이고 x^2의 계수가 1인 이차부등식은


(x-1)(x-b)>0 .t3 x^2-(b+1)x+b>0 ~f(x)_<0의 해가 1_<x_<5이므로
이 부등식이 x^2+ax+3>0과 같으므로
~f(x)=a(x-1)(x-5) (a>0)
0890

a=-(b+1), 3=b
.t3 a=-4, b=3 ~f(3x-1)=a(3x-1-1)(3x-1-5)
라 하면

.t3 ab=-12 =3a(3x-2)(x-2)


이차방정식 x^2+ax+3=0의 두 근이 1, b이므로 이차방
답①

즉 부등식 ~f(3x-1)_>0의 해는 3a(3x-2)(x-2)_>0에서

(3x-2)(x-2)_>0 .t3 x_<2


3 또는 x_>2
/
-a=1+b, 3=1·b
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t3 a=-4, b=3 따라서 alpha=2


3, beta=2이므로
/ alphabeta=4
3
/
.t3 ab=-12
답②

0887 이차부등식 ax^2+bx-10>0의 해가 2<x<5이므로 0891 ~f(x)<0의 해가 x<-2 또는 x>6이므로


a<0 ~f(x)=a(x+2)(x-6) (a<0)
해가 2<x<5이고 x^2의 계수가 1인 이차부등식은
⇨❶

(x-2)(x-5)<0 .t3 x^2-7x+10<0 ~~f(-x)=a(-x+2)(-x-6)


이라 하면

양변에 a를 곱하면 ax^2-7ax+10a>0 =a(x-2)(x+6)


이 부등식이 ax^2+bx-10>0과 같으므로 즉 부등식 ~f(-x)>0의 해는 a(x-2)(x+6)>0에서
b=-7a, -10=10a (x+6)(x-2)<0 .t3 -6<x<2
.t3 a=-1, b=7 따라서 정수 x는 -5, -4, -3, .c3, 1의 7개이다.
.t3 a-b=-8
⇨❷ 답④

답 -8
⇨❸

x^2-|x|-2<0에서
 x_>0일 때,
0892

❶ a의 부호를 알 수 있다. x^2-x-2<0, (x+1)(x-2)<0


채점 기준 비율

❷ a, 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t3 -1<x<2


30%

❸ a-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그런데 x_>0이므로 0_<x<2


60%
10%

74 • 정답 및 풀이
본책 122~125쪽

 x<0일 때, D=(-1)^2 -4.c1 1.c1 a>0, 1-4a>0


x^2 +x-2<0, (x+2)(x-1)<0 .t3
a<1
4
/ 답 a<1
4
/
.t3
-2<x<1
그런데 x<0이므로 -2<x<0 0898
-2x^2 +4x-a>0에서 2x^2 -4x+a<0
, 에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2<x<2 이 부등식이 해를 가지려면 이차방정식 2x^2 -4x+a=0이 서로 다
beta 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따라서 alpha =-2, beta =2이므로 alpha =-1 답 -1
D
=(-2)^2 -2.c1 a>0, 4-2a>0
4
0893 x^2 -5x_< |x-5|에서 .t3
a<2
 x_>
5일 때, 따라서 정수 a의 최댓값은 1이다.
x^2 -5x_< x-5, x^2 -6x+5_< 0
답①

 a>0일 때,

09
(x-1)(x-5)_< 0 .t3
1_< x_< 5
이차함수 y=ax~^2 +4x+a의 그래프는 아래로 볼록하므로 주어
0899
그런데 x_> 5이므로 x=5

이차부등식
진 이차부등식은 항상 해를 갖는다.
 x<5일 때,
 a<0일 때,
x^2 -5x_< -(x-5), x^2 -4x-5_< 0
주어진 이차부등식이 해를 가지려면 이차방정식 ax^2 +4x+a=0
(x+1)(x-5)_< 0 .t3
-1_< x_< 5
그런데 x<5이므로 -1_< x<5
D라 하면
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 에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1_< x_< 5


D
따라서 정수 x는 -1, 0, 1, .c3 , 5 7개이다. =2^2 -a.c1 a>0, 4-a^2 >0
4
(a+2)(a-2)<0 .t3 -2<a<2
의 답④

그런데 a<0이므로 -2<a<0


0894 |x^2 -1|>2에서
, 에서 a의 값의 범위는
x^2 -1<-2 또는 x^2 -1>2
-2<a<0 또는 a>0
 x^2 -1<-2에서 x^2 +1<0
⇨❶

a=0이면 주어진 부등식이 이차부등식이 아니므로 anot=


0이다.
답②

x^2 +1_> 1
따라서 x^2 +1<0의 해는 없다.
0900 주어진 부등식이 해를 갖지 않으려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2 -1>2에서 x^2 -3>0
(x+13~)(x-13~)>0 .t3
x<-13~ 또는 x>13 ⇨ ❷
x^2 -(m-8)x+m_> 0
부등식

, 에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이 성립해야 한다.
x<-13 또는 x>13
이차방정식 x^2 -(m-8)x+m=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답 x<-13 또는 x>13
⇨❸

D={-(m-8)}^2 -4.c1 1.c1 m_< 0


m^2 -20m+64_< 0, (m-4)(m-16)_< 0
.t3
4_< m_< 16
채점 기준 비율

따라서 m의 최댓값은 16, 최솟값은 4이므로 구하는 합은 20이다.


❶ 주어진 부등식을 변형할 수 있다. 30%
❷ 각 부등식의 해를 구할 수 있다. 50%
❸ 주어진 부등식의 해를 구할 수 있다. 20% 답⑤

0895 이차부등식 x^2 -4x+a_< 0이 오직 한 개의 실근을 가지므


이차부등식이 해를 갖지 않을 조건

이차방정식 ax^2 +bx+c=0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로 이차방정식 x^2 -4x+a=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① ax^2 +bx+c>0을 만족시키는 x가 존재하지 않는다.
D
=(-2)^2 -1.c1 a=0, 4-a=0 .t3
a=4 답4 ➲ a<0, D_< 0
4
② ax^2 +bx+c_>
0을 만족시키는 x가 존재하지 않는다.
➲ a<0, D<0
0896 이차부등식 -x^2 +kx-5_> 0, 즉 x^2 -kx+5_< 0이 오직 ③ ax^2 +bx+c<0을 만족시키는 x가 존재하지 않는다.
한 개의 실근을 가지므로 이차방정식 x^2 -kx+5=0의 판별식을 D ➲ a>0, D_< 0
④ ax^2 +bx+c_<
0을 만족시키는 x가 존재하지 않는다.
D=(-k)^2 -4.c1 1.c1 5=0, k^2 -20=0
라 하면
➲ a>0, D<0
.t3
k=-215 또는 k=215
따라서 모든 실수 k의 값의 곱은 -20이다. 답 -20
-x^2 +4(a+2)x+a+2>0에서
x^2 -4(a+2)x-(a+2)<0
0901

0897 이차부등식 x^2 -x+a<0이 해를 가지려면 이차방정식 이 부등식의 해가 존재하지 않으려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부등식
x^2 -x+a=0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이 이차방정식 x^2 -4(a+2)x-(a+2)_> 0
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이 성립해야 한다.

09``이차부등식 • 75
정답 및 풀이

이차방정식 x^2-4(a+2)x-(a+2)=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1_<x_<3에서 ~f(x)>0이어야 하므로


D y=~f(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아
Z

={-2(a+2)}^2+(a+2)_<0
ZG Y

4 야 한다.
4a^2+17a+18_<0, (4a+9)(a+2)_<0
-1_<x_<3에서 f(x)는 x=2일 때 최소
.t3 -9
4_<a_<-2
/ 이므로 ~f(2)>0에서
따라서 정수 a의 값은 -2이다. 2a^2-a-3>0
(a+1)(2a-3)>0
 0   Y
답①

0902 이차부등식 (k-4)x^2-2(k-4)x-1>0의 해가 존재하지 .t3 a<-1 또는 a>3/2 답 a<-1 또는 a>3/2


않으려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부등식
(k-4)x^2-2(k-4)x-1_<0

0907 x^2+3x-1>x-4a^2에서 x^2+2x+4a^2-1>0


k-4<0 .t3 k<4 .c3.c3 ㉠
이 성립해야 하므로

~f(x)=x^2+2x+4a^2-1이라 하면
이차방정식 (k-4)x^2-2(k-4)x-1=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❶

~f(x)=(x+1)^2+4a^2-2
D
={-(k-4)}^2-(k-4).c1(-1)_<0 -4_<x_<-2에서 ~f(x)>0이어야 하므로
4
y=f(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아야
ZG Y
Z

k^2-7k+12_<0, (k-3)(k-4)_<0
한다.
.t3 3_<k_<4 .c3.c3 ㉡
-4_<x_<-2에서 ~f(x)는 x=-2일 때 최
㉠, ㉡에서 k의 값의 범위는 3_<k<4
⇨❷

소이므로 ~f(-2)>0에서
답 3_<k<4
⇨❸

4a^2-1>0, (2a+1)(2a-1)>0   0 Y

.t3 a<-1/2 또는 a>1/2




❶ x^2의 계수를 이용하여 k의 값의 범위를 구할 수 있다.


채점 기준 비율

❷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이용하여 k의 값의 범위를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자연수 a의 최솟값은 1이다.


40%
답①

❸ k의 값의 범위를 구할 수 있다.
40%
20%

0903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kx^2+4kx+8>0이 성립해야 하므로


k>0 .c3.c3~~㉠ 0908 y=x^2-x+5의 그래프가 직선 y=2x+15보다 위쪽에 있
이차방정식 kx^2+4kx+8=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x^2-x+5>2x+15, x^2-3x-10>0
으면

=(2k)^2-k.c18<0
4 ~~(x+2)(x-5)>0 .t3 x<-2 또는 x>5
4k^2-8k<0, k(k-2)<0 답 x<-2 또는 x>5
.t3 0<k<2 .c3.c3 ㉡
㉠, ㉡에서 k의 값의 범위는 0<k<2
따라서 alpha=0, beta~=2이므로 alpha+beta=2 답② y=-x^2+ax-b의 그래프가 직선 y=-x+5보다 위쪽에
0909

0904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2+3ax+9_>0이 성립해야 하므로 -x^2+ax-b>-x+5


있으면

이차방정식 x^2+3ax+9=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t3 x^2-(a+1)x+b+5<0 .c3.c3 ㉠


D=(3a)^2-4.c11.c19_<0 해가 5<x<6이고 x^2의 계수가 1인 이차부등식은
9a^2-36_<0, (a+2)(a-2)_<0 (x-5)(x-6)<0 .t3 x^2-11x+30<0 .c3.c3 ㉡
.t3 -2_<a_<2 답 -2_<a_<2
a+1=11, b+5=30
.t3 a=10, b=25
㉠과 ㉡이 같아야 하므로

0905 실수 x의 값에 관계없이 (k-1)x^2+2(k-1)x-1_<0이


.t3 b-a=15 답③

k-1<0 .t3 k<1 .c3.c3 ㉠


항상 성립해야 하므로

이차방정식 (k-1)x^2+2(k-1)x-1=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y=2x^2-3x-3의 그래프가 y=x^2+mx+n의 그래프보다
D
=(k-1)^2 -(k-1).c1(-1)_<0
0910
4
k^2-k_<0, k(k-1)_<0 2x^2-3x-3<x^2+mx+n
아래쪽에 있으면

.t3 0_<k_<1 .c3.c3 ㉡ .t3 x^2-(3+m)x-(3+n)<0 .c3.c3 ㉠


㉠, ㉡에서 k의 값의 범위는 0_<k<1 해가 -1<x<2이고 x^2의 계수가 1인 이차부등식은
따라서 정수 k는 0의 1개이다. (x+1)(x-2)<0 .t3 x^2-x-2<0 .c3.c3 ㉡
3+m=1, 3+n=2
답①

0906 ~f(x)=x^2-4x+2a^2-a+1이라 하면 .t3 m=-2, n=-1


㉠과 ㉡이 같아야 하므로

~f(x)=(x-2)^2+2a^2-a-3 .t3 m+n=-3 답①

76 • 정답 및 풀이
본책 125~128쪽

y=-2x^2 -4x+1의 그래프가 직선 y=ax+3보다 항상 아 x^2 -70x+600_> 0, (x-10)(x-60)_> 0


래쪽에 있으려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2x^2 -4x+1<ax+3, 즉 .t3
x_< 10 또는 x_> 60
0911

2x^2 +(4+a)x+2>0이 성립해야 한다. 그런데 0<x<30이어야 하므로 0<x_< 10


이차방정식 2x^2 +(4+a)x+2=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따라서 도로의 최대 폭은 10`m이다.
⇨❷

D=(4+a)^2 -4.c1 2.c1 2<0 답 10


⇨❸

a^2 +8a<0, a(a+8)<0


.t3
-8<a<0 답 -8<a<0
❶ 도로의 폭을 x`m라 하고 남은 땅의 넓이를 x에 대한 이차부등식
채점 기준 비율

50%

y=x^2 -3x+1의 그래프가 직선 y=mx-3보다 항상 위쪽 ❷ x의 값의 범위를 구할 수 있다.


으로 세울 수 있다.

에 있으려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2 -3x+1>mx-3, 즉


30%
0912

x^2 -(3+m)x+4>0이 성립해야 한다.


❸ 도로의 최대 폭을 구할 수 있다. 20%

09
이차방정식 x^2 -(3+m)x+4=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0916 야구공의 높이 h`m가 3.2`m 이상이려면
-5t^2 +8t+0.8_> 3.2, 5t^2 -8t+2.4_< 0
D={-(3+m)}^2 -4.c1 1.c1 4<0

이차부등식
25t^2 -40t+12_< 0, (5t-2)(5t-6)_< 0
m^2 +6m-7<0, (m+7)(m-1)<0
.t3
-7<m<1 .t3
2/5
_< t_< 6/5

따라서 정수 m의 최댓값은 0, 최솟값은 -6이므로 구하는 합은 -6
따라서 야구공의 높이가 3.2`m 이상인 시간은 6/5
-2/5
=4/5
(초) 동안
이다.
이다.
답①
답②

0913
y=x^2 -mx의 그래프는 아래로 볼록하므로 이 그래프가 직 x^2 +3x-10>0에서 (x+5)(x-2)>0
선 y=-3과 만나지 않으려면 y=x^2 -mx의 그래프가 직선 .t3
x<-5 또는 x>2 .c3
.c3

0917

y=-3보다 항상 위쪽에 있어야 한다. x^2 -x-12_< 0에서 (x+3)(x-4)_< 0


따라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2 -mx>-3, 즉 x^2 -mx+3>0 .t3
-3_< x_< 4 .c3
.c3

⇨❶

이 성립해야 하므로 이차방정식 x^2 -mx+3=0의 판별식을 D라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2<x_< 4
D=(-m)^2 -4.c1 1.c1 3<0 따라서 a=2, b=4이므로 ab=8 답8
하면

m^2 -12<0, (m+213~)(m-213~)<0


.t3
-213~<m<213 0918 2x+6<0에서 x<-3 .c3
.c3

따라서 정수 m은 -3, -2, -1, .c3 , 3의 7개이다. x^2 +6x-7<0에서 (x+7)(x-1)<0
⇨❷

답7 .t3
-7<x<1 .c3
.c3

⇨❸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7<x<-3
❶ y=x^2 -mx의 그래프와 직선 y=-3의 위치 관계를 알 수 있다.
채점 기준 비율

따라서 정수 x는 -6, -5, -4이므로 구하는 합은 -15이다. ⇨ ❷


⇨❶

❷ m의 값의 범위를 구할 수 있다.
30%

답 -15
❸ 정수 m의 개수를 구할 수 있다.
50%
20%
채점 기준 비율

0914 가격을 x만 원 인상한다고 하면 구두의 가격은 ❷ 모든 정수 x의 값의 합을 구할 수 있다.


❶ 연립부등식의 해를 구할 수 있다. 70%

(10+x)만 원
30%

x^2 +5x-3_< 3x^2 에서 2x^2 -5x+3_> 0


(30-2x)켤레 30-2x>0이어야 하므로
구두의 하루 판매량은 0919
x<15 (x-1)(2x-3)_> 0 .t3
x_< 1 또는 x_> 3
2
/ .c3
.c3

하루 판매액이 308만 원 이상이려면
(10+x)(30-2x)_> 308, -2x^2 +10x+300_> 308 3x^2 _< -x+2에서 3x^2 +x-2_< 0
x^2 -5x+4_< 0, (x-1)(x-4)_< 0 (x+1)(3x-2)_< 0 .t3
-1_< x_< 2
3
/ .c3
.c3

.t3
1_< x_< 4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따라서 인상할 수 있는 금액은 만 원 이상 4만 원 이하이다.
답 만 원 이상 4만 원 이하 -1_< x_< 2
3
/

따라서 x의 최댓값은 2
3이다.
/
0915 도로의 폭을 x`m라 하면 남은 땅의 가로, 세로의 길이는
답②

x^2 -4x>0에서 x(x-4)>0


(40-x)m, (30-x)m .t3
x<0 또는 x>4 .c3
.c3

각각 0920

40-x>0, 30-x>0이어야 하므로


0<x<30
x^2 -(a+1)x+a<0에서
(40-x)(30-x)_> 600 (x-1)(x-a)<0 .c3
.c3

이므로 남은 땅의 넓이는
⇨❶

09``이차부등식 • 77
정답 및 풀이

㉠, ㉡의 공통부분이 4<x<5이려면 오 따라서 자연수 a의 최솟값은 3이다.


답3
㉡ ⇨❸
㉠ ㉠

a=5
른쪽 그림과 같아야 하므로
   B Y
채점 기준 비율
답③

❷ a의 값의 범위를 구할 수 있다.
❶ 각 부등식의 해를 구할 수 있다. 30%

x^2+2x_<x+2에서 x^2+x-2_<0
❸ 자연수 a의 최솟값을 구할 수 있다.
50%

(x+2)(x-1)_<0 .t3 -2_<x_<1 .c3.c3 ㉠


0921
20%

x+2<3x+a에서 -2x<a-2
.t3 x>2
/
2-a .c3.c3 ㉡ 0926 이차방정식 x^2+2kx+3k=0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
므로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 ㉡의 공통부분이 -2_<x_<1이려면 D
=k^2-3k>0
4

k(k-3)>0 .t3 k<0 또는 k>3


오른쪽 그림과 같아야 하므로

/
2
2~<-2
-a .t3 a>6
따라서 실수 k의 값이 아닌 것은 ③이다.
B   Y


답 a>6

답③

x^2-5x+6>0에서 (x-2)(x-3)>0 0927 이차방정식 x^2-4kx+k^2+1=0이 허근을 가지므로 이 이


.t3 x<2 또는 x>3 .c3.c3 ㉠ 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0922

x^2-(a+4)x+4a<0에서 (x-a)(x-4)<0 .c3.c3 ㉡ D


=(-2k)^2-(k^2+1)<0
㉠, ㉡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정수 x의 4
3k^2-1<0, (13~k+1)(13~k-1)<0
값이 1뿐이려면 오른쪽 그림과 같아야

1 1
.t3 - <k<
㉠ ㉠

rt3~ rt3~
0_<a<1
하므로 B    Y

1 1
따라서 alpha=- , beta= alphabeta=-1
3
/
rt3~ rt3~
답②
a=1이면 (x-a)(x-4)<0의 해는 1<x<4
이므로 답②

따라서 ㉠과의 공통부분은 1<x<2 또는 3<x<4이므로 ㉠, ㉡을 동시에 만족


시키는 정수 x의 값은 없다.
0928 이차방정식 x^2-2kx+9=0이 허근을 가지므로 이 이차방
정식의 판별식을 D_1이라 하면
0923 |x-2|<6에서 -6<x-2<6
.t3 -4<x<8 .c3.c3 ㉠ D_1
=(-k)^2-9<0
4
x^2-10x+9>0에서 (x-1)(x-9)>0
k^2-9<0, (k+3)(k-3)<0
.t3 x<1 또는 x>9 .c3.c3 ㉡
.t3 -3<k<3 .c3.c3 ㉠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4<x<1
이차방정식 x^2+2kx+k+2=0이 실근을 가지므로 이 이차방정식
따라서 정수 x는 -3, -2, -1, 0의 4개이다.
의 판별식을 D_2라 하면
답③

0924 |2x^2-5x-5|<7에서 D_2


=k^2-(k+2)_>0
-7<2x^2-5x-5<7 4
-7<2x^2-5x-5에서 2x^2-5x+2>0 k^2-k-2_>0, (k+1)(k-2)_>0
.t3 k_<-1 또는 k_>2 .c3.c3 ㉡
(2x-1)(x-2)>0 .t3 x<1/2 또는 x>2 .c3.c3 ㉠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3<k_<-1 또는 2_<k<3
2x^2-5x-5<7에서 2x^2-5x-12<0 따라서 정수 k는 -2, -1, 2의 3개이다.
(2x+3)(x-4)<0 .t3 -3/2<x<4 .c3.c3 ㉡
답③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0929 이차방정식 x^2-212kx+k+1=0의 판별식을 D, 두 근을


alpha, beta라 하면 두 근이 모두 양수이므로
-3/2<x<1/2 또는 2<x<4
D
=(-12k)^2-(k+1)_>0
4
답 -3/2<x<1/2 또는 2<x<4
2k^2-k-1_>0, (2k+1)(k-1)_>0


0925
x^2+2x-15>0에서 (x+5)(x-3)>0 .t3 k_<-1
2 또는 k_>1
/ .c3.c3 ㉠
.t3 x<-5 또는 x>3 .c3.c3 ㉠  alpha+beta=212k>0 .t3 k>0 .c3.c3 ㉡
|x-a|_<1에서 -1_<x-a_<1  alphabeta=k+1>0 .t3 k>-1 .c3.c3 ㉢
.t3 a-1_<x_<a+1 .c3.c3 ㉡
㉠, ㉡의 공통부분이 항상 존재하려면
⇨❶ ㉠ ㉠
㉡ ㉡
㉠ ㉠ ㉢

a-1<-5 또는 a+1>3
오른쪽 그림과 같아야 하므로
    L
 B  Y

.t3 a<-4 또는 a>2 k_>1 답 k_>1


B 

⇨❷ 이상에서 공통부분을 구하면

78 • 정답 및 풀이
본책 128~130쪽

0930 이차방정식 x^2 -2(m+1)x+5-m=0의 판별식을 D, 두 9+3(k-1)+k^2 -10<0


근을 alpha , beta 라 하면 두 근이 모두 음수이므로 k^2 +3k-4<0, (k+4)(k-1)<0
D .t3
-4<k<1
={-(m+1)}^2 -(5-m)_> 0
4 따라서 alpha =-4, beta =1이므로 alpha +beta =-3
m^2 +3m-4_> 0, (m+4)(m-1)_> 0

답②

.t3
m_< -4 또는 m_> 1 .c3
.c3
㉠ 0934 x-1, x, x+1은 변의 길이이므로
 alpha +beta
=2(m+1)<0 .t3
m<-1 .c3
.c3
㉡ x-1>0 .t3
x>1 .c3
.c3

 alpha beta
=5-m>0 .t3
m<5 .c3
.c3
㉢ 세 변 중 가장 긴 변의 길이는 x+1이므로 삼각형이 만들어질 조건

x+1<(x-1)+x .t3
x>2 .c3
.c3

㉠ ㉠ 에 의하여

(x+1)^2 >(x-1)^2 +x^2

09
m_< -4
    N 둔각삼각형이려면

따라서 실수 m의 최댓값은 -4이다. x^2 -4x<0, x(x-4)<0


이상에서 공통부분을 구하면

이차부등식
.t3
0<x<4 .c3
.c3

답②

㉠,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2<x<4


0931 이차방정식 x^2 -(k-1)(k-2)x-k+2=0의 두 근을 alpha ,
따라서 정수 x의 값은 3이다. 답3
beta 라 하면 alpha , beta 의 부호가 서로 다르므로
alpha beta =-k+2<0 .t3
k>2 .c3
.c3
㉠ ⇨❶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가 a, b, c (a_< b_< c)일 때


alpha +beta =(k-1)(k-2)>0
또 음의 근의 절댓값이 양의 근보다 작으므로

① c^2 <a^2 +b^2 ➲ 예각삼각형


.t3
k<1 또는 k>2 .c3
.c3

② c^2 =a^2 +b^2 ➲ 빗변의 길이가 c인 직각삼각형
㉠, ㉡에서 k의 값의 범위는 k>2
⇨❷

③ c^2 >a^2 +b^2 ➲ 둔각삼각형


답 k>2
⇨❸

0935 새로 만든 직육면체의 밑면의 가로, 세로의 길이, 높이는 각


❶ 두 근의 부호가 다름을 이용하여 k의 값의 범위를 구할 수 있다.
채점 기준 비율

각 a+5, a, a-3이므로
❷ 음의 근의 절댓값이 양의 근보다 작음을 이용하여 k의 값의 범위
30%

a-3>0 .t3
a>3 .c3
.c3

이 직육면체의 부피는 a(a+5)(a-3)이고 처음 정육면체의 부피
50%

❸ k의 값의 범위를 구할 수 있다.
를 구할 수 있다.

는 a^3 이므로
20%

a(a+5)(a-3)<a^3
0932
~f(x)=x^2 +ax+9라 하면 이차방정식
2a^2 -15a<0, a(2a-15)<0
~f(x)=0의 두 근이 모두 1보다 크므로 이차
ZG Y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아 .t3


0<a<1
2
/
5 .c3
.c3

야 한다.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3<a<1
2
/
5
 Y

 이차방정식 ~f(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a^2 -4.c1 1.c1 9_> 0 따라서 자연수 a는 4, 5, 6, 7의 4개이다. 답4

a^2 -36_> 0, (a+6)(a-6)_> 0


0936 직사각형의 가로의 길이가 x이므로 세로의 길이는
.t3
a_< -6 또는 a_> 6 .c3
.c3

12-x
 f(1)=1+a+9>0 .t3
a>-10 .c3
.c3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의 축의 방정식이 x=-a
2이므로
/ x>0, 12-x>0, x>12-x
이때 길이는 양수이고 가로의 길이가 세로의 길이보다 길어야 하므로

.t3
6<x<12 .c3
.c3

2>1
-a
/ .t3
a<-2 .c3
.c3

또 직사각형의 넓이는 x(12-x)이므로
20_< x(12-x)_< 32
20_< x(12-x)에서 x^2 -12x+20_< 0
㉠ ㉠

(x-2)(x-10)_< 0 .t3
2_< x_< 10 .c3
.c3

-10<a_< -6 x(12-x)_< 32에서 x^2 -12x+32_> 0


    B

따라서 정수 a는 -9, -8, -7, -6의 4개이다. 답4 (x-4)(x-8)_> 0 .t3


x_< 4 또는 x_> 8 .c3
.c3

이상에서 공통부분을 구하면

~f(x)=x^2 +(k-1)x+k^2 -10이라



하면 이차방정식 ~f(x)=0의 두 근 사이에 3


0933 ZG Y
㉢ ㉢

이 있으므로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 ㉠,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8_< x_< 10


      Y


른쪽 그림과 같아야 한다. 따라서 x의 최댓값은 10, 최솟값은 8이므로 구하는 합은 18이다.
Y

따라서 ~f(3)<0이어야 하므로 답⑤

09``이차부등식 • 79
정답 및 풀이

해가 x_<alpha 또는 x_>beta~(alpha<beta)이고 x^2의 계수가 1인 이차 이차방정식 ax~^2+bx+c=0의 두 근의 부호가 서로 다르


부등식은 (x-alpha)(x-beta)_>0임을 이용한다.
0937 0941
a<0이다.
면c
/
해가 x_<-2 또는 x_>4이고 x^2의 계수가 1인 이차부등식은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두 근을 alpha, beta라 하면
(x+2)(x-4)_>0 .t3 x^2-2x-8_>0
alphabeta=m^2-4m-12<0
이 부등식이 -x^2+ax+b_<0, 즉 x^2-ax-b_>0과 같으므로
(m+2)(m-6)<0 .t3 -2<m<6
a=2, b=8 .t3 ab=16 답 16
따라서 정수 m의 최댓값은 5이다. 답5
A (A_>0)
|A|=c~ 임을 이용하여 x의 값의 범위를 나
-A (A<0)
0938

x^2-5|x|+6_<0에서 AB<0이면 A>0, B<0 또는 A<0, B>0이다.


눈다.

~f(x)g(x)<0에서
0942
 x_>0일 때,
x^2-5x+6_<0, (x-2)(x-3)_<0 ~f(x)>0, g(x)<0 또는 ~f(x)<0, g(x)>0
.t3 2_<x_<3  ~~f(x)>0, g(x)<0~일 때,

그런데 x_>0이므로 2_<x_<3 ~f(x)>0의 해는 -2<x<5 .c3.c3 ㉠


 x<0일 때, ~g(x)<0의 해는 x<0 .c3.c3 ㉡
x^2+5x+6_<0, (x+2)(x+3)_<0 ㉠, ㉡에서 -2<x<0
.t3 -3_<x_<-2  ~~f(x)<0, g(x)>0~일 때,

그런데 x<0이므로 -3_<x_<-2 ~~f(x)<0의 해는 x<-2 또는 x>5 .c3.c3 ㉢


, 에서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g(x)>0의 해는 x>0 .c3.c3 ㉣
-3_<x_<-2 또는 2_<x_<3 ㉢, ㉣에서 x>5
답 -3_<x_<-2 또는 2_<x_<3 , 에서 부등식 ~f(x)g(x)<0의 해는

x^2=|x|^2이므로 주어진 부등식은 -2<x<0 또는 x>5 답 -2<x<0 또는 x>5

|x|^2-5|x|+6_<0, (|x|-2)(|x|-3)_<0
.t3 2_<|x|_<3
|x|_>2에서 x_<-2 또는 x_>2 .c3.c3 ㉠
각 부등식의 좌변을 a(x-p)^2+q 꼴로 변형한다. 이때
|x|_<3에서 -3_<x_<3 .c3.c3 ㉡
x^2의 계수가 음수이면 부등식의 양변에 -1을 곱한다.
0943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ㄱ. 4x^2-4x+1=(2x-1)^2_>0
-3_<x_<-2 또는 2_<x_<3
따라서 4x^2-4x+1_>0의 해는 모든 실수이다.

이차부등식 x^2+ax+b>0이 항상 성립하려면 이차방정 2)^2+3


ㄴ. x^2+x+1=(x+1
/ 4_>3
/ 4
/
식 x^2+ax+b=0의 판별식 D가 D<0이어야 한다. 따라서 x^2+x+1_<0의 해는 없다.
0939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2-2(k+2)x-k>0이 성립해야 하 ㄷ. -x^2+8x-16>0에서 x^2-8x+16<0


므로 이차방정식 x^2-2(k+2)x-k=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x^2-8x+16=(x-4)^2_>0
D 따라서 -x^2+8x-16>0의 해는 없다.
={-(k+2)}^2-(-k)<0, k^2+5k+4<0
4 ㄹ. -3x^2+x-1_<0에서 3x^2-x+1_>0
(k+1)(k+4)<0 .t3 -4<k<-1
따라서 정수 k는 -3, -2이므로 구하는 합은 -5이다. 답 -5 3x^2-x+1=3(x-1/6)^2+1
1
/
1 /
2_>1
1
1
2
따라서 -3x^2+x-1_<0의 해는 모든 실수이다.
물체의 높이 y`m가 지면으로부터 5`m 이상이면 y_>5임 이상에서 해가 모든 실수인 부등식은 ㄱ, ㄹ이다.
을 이용하여 t에 대한 이차부등식을 세운다.
0940 답③

물체의 높이 y`m가 ~5`m 이상이면


10-5t^2_>5
t^2-1_<0, (t+1)(t-1)_<0
⇨❶

~f(x)=a(x+1)(x-4)(a>0)라 하면 y=f(x)의 그래프가


0944 주어진 그래프를 이용하여 먼저 이차함수의 식을 구한다.

.t3 -1_<t_<1
점 (0, -2)를 지나므로
그런데 t_>0이므로 0_<t_<1
따라서 높이가 5`m 이상인 시간은 1초이다. -2=a.c11.c1(-4) .t3 a=1
2
/
⇨❷

답1
⇨❸

따라서 ~f(x)=1
2(x+1)(x-4)이므로 ~f(x)<3에서
/

❶ t에 대한 이차부등식을 세울 수 있다. 1/2(x+1)(x-4)<3


채점 기준 비율

❷ t의 값의 범위를 구할 수 있다. x^2-3x-10<0, (x+2)(x-5)<0


40%

❸ 높이가 5`m 이상인 시간을 구할 수 있다. .t3 -2<x<5 답 -2<x<5


40%
20%

80 • 정답 및 풀이
본책 131~133쪽

먼저 주어진 해를 이용하여 x^2 의 계수의 부호를 조사한다.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가 직선 y=g(x)보다 항상
이차부등식 ax^2 +(a+1)x-b>0의 해가 1<x<3이므로 위쪽에 있으면 이차부등식 ~f(x)>g(x)가 항상 ~성립한다.
0945 0949

a<0 y=x^2 -x+2의 그래프가 직선 y=x+m-1보다 항상 위쪽


해가 1<x<3이고 x^2 의 계수가 1인 이차부등식은 에 있으려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2 -x+2>x+m-1, 즉
(x-1)(x-3)<0 .t3
x^2 -4x+3<0 x^2 -2x-m+3>0이 성립해야 한다.
양변에 a를 곱하면 ax^2 -4ax+3a>0 이차방정식 x^2 -2x-m+3=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이 부등식이 ax^2 +(a+1)x-b>0과 같으므로 D
=(-1)^2 -(-m+3)<0
-4a=a+1, 3a=-b 4
1+m-3<0 .t3
m<2
.t3
a=-1
5, b=3
/ 5
/ 따라서 정수 m의 최댓값은 1이다. 답④

.t3
5(a+b)=5(-1 5)=2
5+3
/ /

09
답①

x^2 +x-6<0에서 (x+3)(x-2)<0


0950

이차부등식
각 이차부등식을 풀어 해의 공통부분을 생각해 본다.

ax~^2 +bx+c_< 0이 항상 성립하려면 a<0, b^2 -4ac_< 0


.t3
-3<x<2 .c3
.c3

0946

실수 x의 값에 관계없이 ax^2 -412x+a+2_< 0이 항상 성립 x^2 -2kx+k^2 -9>0에서 x^2 -2kx+(k+3)(k-3)>0


이어야 한다.

{x-(k-3)}{x-(k+3)}>0
a<0 .c3
.c3
㉠ .t3
x<k-3 또는 x>k+3 .c3
.c3

해야 하므로

㉠, ㉡의 공통부분이 존재하지 않으려


⇨❶
이차방정식 ax^2 -412x+a+2=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 ㉠ ㉡

=(-212~)^2 -a.c1 (a+2)_< 0


4 k-3_< -3, k+3_> 2
면 오른쪽 그림과 같아야 하므로 L   L  Y

a^2 +2a-8_> 0, (a+4)(a-2)_> 0 .t3


-1_< k_< 0
.t3
a_< -4 또는 a_> 2 .c3
.c3
㉡ 답 -1_<
k_< 0
⇨❷

㉠, ㉡에서 a의 값의 범위는 a_< -4


따라서 a의 최댓값은 -4이다.
채점 기준 비율
답②

❷ k의 값의 범위를 구할 수 있다.
❶ 각 부등식의 해를 구할 수 있다. 40%

alpha _< x_< beta 의 범위에서 이차부등식 f(x)>0이 항상 성립


60%

하려면 alpha _< x_< beta 에서 (~f(x)의 최솟값)>0이어야 한다.


0947

x^2 -4x<2x^2 +a^2 -3a에서


x^2 +4x+a^2 -3a>0 |4x-1|>5에서 4x-1<-5 또는 4x-1>5
0951 각 부등식을 풀어 해의 공통부분을 구한다.

~f(x)=x^2 +4x+a^2 -3a라 하면 .t3


x<-1 또는 x>3
2
/ .c3
.c3

~f(x)=(x+2)^2 +a^2 -3a-4
3x^2 -11x-4_< 0에서 (3x+1)(x-4)_< 0
-4_< x_< 1 에서 f(x)>0 이어야 하므로
y=~f(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아야 .t3
-1
3_< x_< 4
/ .c3
.c3

ZG Y
Z

한다.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2<x_< 4
/
3
-4_< x_< 1에서 ~f(x)는 x=-2일 때 최소
이므로 ~f(-2)>0에서 따라서 정수 x는 2, 3, 4이므로 구하는 합은 9이다.
a^2 -3a-4>0
답②

(a+1)(a-4)>0
  0  Y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이차방정식이 서로 다


.t3
a<-1 또는 a>4 답 a<-1 또는 a>4
른 두 실근을 가지면 D>0, 허근을 가지면 D<0이다.
0952

이차방정식 2x^2 -ax+3a=0이 허근을 가지므로 이 이차방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가 직선 y=g(x)보다 아래쪽 정식의 판별식을 D_1 이라 하면
에 있는 부분의 x의 값의 범위는 이차부등식 ~f(x)<g(x)의 해와 같다.
0948
D_1 =(-a)^2 -4.c1 2.c1 3a<0
y=x^2 -4x의 그래프가 직선 y=a보다 아래쪽에 있으면 a^2 -24a<0, a(a-24)<0
x^2 -4x<a .t3
0<a<24 .c3
.c3

.t3
x^2 -4x-a<0 .c3
.c3
㉠ 이차방정식 x^2 -2ax+2-a=0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므로
해가 b<x<5이고 x^2 의 계수가 1인 이차부등식은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_2 라 하면
(x-b)(x-5)<0 D_2
=(-a)^2 -(2-a)>0
.t3
x^2 -(b+5)x+5b<0 .c3
.c3
㉡ 4
4=b+5, -a=5b a^2 +a-2>0, (a+2)(a-1)>0
.t3
a=5, b=-1 .t3
a<-2 a>1 .c3
.c3

㉠과 ㉡이 같아야 하므로

.t3
ab=-5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1<a<24 답 1<a<24
또는
답①

09``이차부등식 • 81
정답 및 풀이

~f(x)=x^2-4ax+8이라 하고 이차함수 y=f(x)의 그래


x^2-2x-24_<0에서 (x+4)(x-6)_<0
0953 0956 각 이차부등식을 풀어 해의 공통부분을 생각해 본다.

~f(x)=x^2-4ax+8이라 하면 이차방정 .t3 -4_<x_<6 .c3.c3 ㉠


프를 조건에 맞게 그려 본다.

식 f(x)=0의 두 근이 모두 -1보다 작으므 x^2-(k+1)x+k_<0에서


ZG Y

로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 (x-1)(x-k)_<0 .c3.c3 ㉡


림과 같아야 한다. ㉠, ㉡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자연수 x가
⇨❶
 Y

 이차방정식 ~f(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3개만 존재하려면 오른쪽 그림과 같아


D

=(-2a)^2-8_>0
4 3_<k<4
야 하므로    Y

4a^2-8_>0, (a+12~)(a-12~)_>0
L

답 3_<k<4
⇨❷

.t3 a_<-12 또는 a_>12 .c3.c3 ㉠


 ~f(-1)=1+4a+8>0 .t3 a>-9
4
/ .c3.c3 ㉡
❶ ㉠, ㉡을 구할 수 있다.
채점 기준 비율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의 축의 방정식이 x=2a이므로 ❷ k의 값의 범위를 구할 수 있다.


50%

2a<-1 .t3 a<-1 .c3.c3 ㉢


50%

2
/ k=4이면 두 부등식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정수 x가 1, 2, 3, 4의 4개가
㉠ ㉠ 되므로 knot=4이다.

이차방정식 x^2-2x-3=0의 해를 이용하여 이차함수


  B

y=x^2+2ax+9의 그래프의 개형을 생각해 본다.


 1 
 1 0957
-9
4<a_<-12


/
x^2-2x-3=0에서 (x+1)(x-3)=0
이상에서 공통부분을 구하면
따라서 a의 최댓값은 -12이다. 답 -12 .t3 x=-1 또는 x=3
즉 x^2+2ax+9=0의 한 근이 -1과 3 사이에 있어야 하므로
⇨❶

이차부등식 ax^2+bx+c_>0이 오직 한 개의 실근을 가지 ~f(x)=x^2+2ax+9라 하면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는 다음 그


려면 a<0, b^2-4ac=0이어야 한다. 림과 같다.
0954

이차부등식 (1-k)x^2+2(k-1)x-1_>0이 오직 한 개의 실 ZG Y


ZG Y

1-k<0 .t3 k>1 .c3.c3 ㉠


근을 가지므로  

이차방정식 (1-k)x^2+2(k-1)x-1=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f(-1)~f(3)<0에서


 Y  Y

D (1-2a+9)(9+6a+9)<0
=(k-1)^2-(1-k).c1(-1)=0
4
(10-2a)(6a+18)<0, (a+3)(a-5)>0
k^2-3k+2=0, (k-1)(k-2)=0
.t3 a<-3 또는 a>5
.t3 k=1 또는 k=2 .c3.c3 ㉡
따라서 자연수 a의 최솟값은 6이다.
⇨❷

㉠, ㉡에서 k=2
답6
⇨❸
답③

❶ x^2-2x-3=0의 두 근을 구할 수 있다.
채점 기준 비율
0955 먼저 연립부등식을 풀고, 그 해를 이용하여 이차부등식을

❷ a에 대한 이차부등식을 세우고, 그 해를 구할 수 있다.


20%

x^2+3x-4<0에서 (x+4)(x-1)<0
작성한다.

❸ 자연수 a의 최솟값을 구할 수 있다.


60%

.t3 -4<x<1 .c3.c3 ㉠


20%

x^2-4>0에서 (x+2)(x-2)>0
.t3 x<-2 또는 x>2 .c3.c3 ㉡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4<x<-2
따라서 이차부등식 ax^2+bx-4>0의 해가 -4<x<-2이므로
a<0
해가 -4<x<-2이고 x^2의 계수가 1인 이차부등식은
(x+4)(x+2)<0 .t3 x^2+6x+8<0
양변에 a를 곱하면 ax^2+6ax+8a>0
이 부등식이 ax^2+bx-4>0과 같으므로
6a=b, 8a=-4
.t3 a=-1
2, b=-3
/

.t3 ab=3
2
/ 답③

82 • 정답 및 풀이
본책 133~139쪽

2·(-2)-1·6 2.c1 (-4)-1.c1 2


Ⅳ. 도형의 방정식 =-10, =-10

10
0978 2-1 2-1
.t3
Q(-10, -10) 답 Q(-10, -10)

평면좌표
10 평면좌표

-7+b a+4
0958 AB^_
   =|9-3|=6 답6 =-2, =3이므로
0979 2 2
a=2, b=3 답 a=2, b=3
0959 AB^_
   =|5-(-2)|=7 답7

0+2+4 0+3+3
=2, =2
3 3
0960 AB^_
   =|-1-(-7)|=6 답6
0980
.t3
G(2, 2) 답 G(2, 2)

0961 AB^_
   =|-6-4|=10 답 10
2-1-4 5-3+1
=-1, =1
0981 3 3
0962 OA^_
   =|-4|=4 답4 .t3
G(-1, 1) 답 G(-1, 1)

    AB^_
   =2(5-3)^2 +(2x-0)^2 x=212 답 212 6+8-2 -7+1+9
=4, =1
3 3
0963 0982
.t3
G(4, 1) 답 G(4, 1)
    AB^_
0964    =2(-1-1)^2 +{3-(x-1)}^2 x~=215 답 215

a+1-5 -5+3+b
=-1, =0이므로
0965 AB^_
   =2{1-(x-2)}^2 +{6-(x-3)}^2 x~=3110q 답 3110q
0983 3 3
a=1, b=2 답 a=1, b=2

0966 AB^_
   =2(-5-2)^2 +(1x-1)^2 x~=7 답7
    AB^_   =5이므로 2(a-3)^2 +(0x-3)^2 x~=5
(a-3)^2 +9=25
0984
0967 OA^_
   =25^2 +(-12x)^2 x~=13 답 13
a^2 -6a-7=0, (a+1)(a-7)=0
양변을 제곱하면

.t3
a=7 (.T3
a>0)
답D 답C
답⑤
0968 0969

0985 ① OA^_
   =22^2 +3^2 x~=113q~
답 1, 1 답 3, 1
0970 0971    =23^2 +(-x1)^2 x~=110q~
② OB^_
③ OC^_
   =24^2 +2^2 x~=215
1.c1 4+3.c1 (-8) ④ AB^_
   =2(3-2)^2 +(-1x-3)^2 x~=117q~
=-5 .t3
P~(-5) 답 P~(-5)
1+3 ⑤ BC^_
   =2(4-3)^2 +(2x+1)^2 x~=110q~
0972

따라서 길이가 가장 긴 것은 ③이다.


-8+4
=-2 .t3
M(-2) 답 M(-2)
답③

0973 2
0986 AB^_
   =BC^_    ~^2 =BC^_
   에서 AB^_    ~^2 이므로
a^2 +(5+1)^2 =(-5-a)^2 +(4-5)^2
5.c1 4-2.c1 (-8)
=12 .t3
Q(12) 답 Q(12) 36=10a+26 .t3
a=1 답1
5-2
0974

a+(-2) 0987 AB^_


   =2(a-6)^2 +(4x-a)^2 x~
=3이므로 a=8 답8
2 =22a^2 -20ax+52x~
0975
=22(a-5)x^2 +2x~
3·(-2)+2·6 3.c1 (-4)+2.c1 2 따라서 a=5일 때 AB^_
   의 길이가 최소이다. 답5
=6
5,
/ =-8
5
/
3+2 3+2
0976

.t3
P(6
5, -8
/ 5)
/ 답 P(6
5, -8
/ 5)
/ 0988 구하는 점을 P(a, 0)이라 하면 ~AP^_
   =BP^_    ~^2 =BP^_
   에서 ~AP^_    ~^2

(a-2)^2 +4^2 =(a-6)^2 +(-8)^2


이므로

6-2 2-4
=2, =-1 .t3
M(2, -1) -4a+20=-12a+100 .t3 a=10
0977 2 2
답 M(2, -1) 따라서 구하는 점의 좌표는 (10, 0)이다. 답 (10, 0)

10``평면좌표 • 83
정답 및 풀이

0989 P(a, 0)이라 하면 AP^_=BP^_에서 AP^_~^2=BP^_~^2이므로 0995 점 P가 직선 y=x+4 위에 있으므로 P(a, a+4)라 하면
(a-1)^2+(-4)^2=(a-5)^2+(-2)^2     AP^_~^2+BP^_~^2=(a-1)^2+(a+4-7)^2+(a-3)^2+(a+4+5)^2
-2a+17=-10a+29 .t3 a=3
2
/     =4a^2+4a+100
    2)^2+99
=4(a+1
/
.t3 P~(/
3, 0)
2
또 Q(0, b)라 하면 AQ^_=BQ^_에서 AQ^_~^2=BQ^_~^2이므로 따라서 a=-1
2일 때 주어진 식의 최솟값은 99이므로 점 P의 x좌
/
(-1)^2+(b-4)^2=(-5)^2+(b-2)^2 표는 -1
2이다.
/ 답 -1
2
/
-8b+17=-4b+29 .t3 b=-3
.t3 Q(0, -3)
0996 P(a, b)라 하면
315
.t3 PQ^_=5(-3/2)^2+b(-3)^2b= PA^_~^2+PB^_~^2+PC^_~^2
2
=(a+1)^2+b^2+(a-2)^2+(b-6)^2+(a-5)^2+(b-3)^2
답⑤

=3a^2-12a+3b^2-18b+75
0990 점 P(a, b)가 직선 y=x-1 위의 점이므로
=3(a-2)^2+3(b-3)^2+36
b=a-1
이때 a, b가 실수이므로 (a-2)^2_>0, (b-3)^2_>0
⇨❶

또 AP^_=BP^_에서 AP^_~^2=BP^_~^2이므로
…… ㉠ ⇨❶

.t3 PA^_~^2+PB^_~^2+PC^_~^2_>36
(a-1)^2+(b-3)^2=(a-3)^2+(b+1)^2
따라서 a=2, b=3일 때 주어진 식의 최솟값은 36이므로
-2a-6b=-6a+2b .t3 a-2b=0
P(2, 3)
㉠, ㉡을 연립하여 풀면 a=2, b=1
…… ㉡ ⇨❷

답 (2, 3)
⇨❷

.t3 a+b=3
답3
⇨❸

❶ 점 P의 좌표를 (a, b)라 하고, 두 점 사이의 거리 공식을 이용하


채점 기준 비율

60%

❶ 점 P가 직선 y=x-1 위의 점임을 이용하여 a, b 사이의 관계식


채점 기준 비율

❷ ❶의 식의 값이 최소일 때의 점 P의 좌표를 구할 수 있다.


여 이차식을 세울 수 있다.

40% 40%

❷ AP^_~^2=BP^_~^2임을 이용하여 a, b 사이의 관계식을 구할 수 있다.


을 구할 수 있다.

0997 AB^_~^2=(3+2)^2+(-3-2)^2=50
❸ a+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BC^_~^2=(2-3)^2+(4+3)^2=50
CA^_~^2=(2+2)^2+(4-2)^2=20
20%

0991 PA^_=PB^_=PC^_에서 PA^_~^2=PB^_~^2=PC^_~^2 .t3 AB^_~^2=BC^_~^2, 즉 AB^_=BC^_


~^2
PA^_ =PC^_ ~^2 (a+2)^2+b^2=(a-4)^2+b^2 따라서 semoABC는 AB^_=BC^_인 이등변삼각형이다.
4a+4=-8a+16
에서 답②

.t3 a=1 0998 OB^_~^2=OA^_~^2+AB^_~^2이므로


PB^_~^2=PC^_~^2에서 (a-2)^2+(b-4)^2=(a-4)^2+b^2 6^2+(-2)^2=a^2+2^2+(6-a)^2+(-2-2)^2
…… ㉠

-4a-8b+4=-8a a^2-6a+8=0, (a-2)(a-4)=0


.t3 a-2b=-1 .t3 a=2 또는 a=4
b=1 따라서 모든 a의 값의 합은 6이다.
…… ㉡

.t3 b-a=0
㉠을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답③

0999 C(a, b)라 하면 AB^_=BC^_=CA^_에서


답③

AB^_~^2=BC^_~^2=CA^_~^2
0992 OP^_+AP^__>OA^_=26^2+8^2x~=10
AB^_~^2=BC^_~^2에서
따라서 OP^_+AP^_의 최솟값은 10이다.
(1+1)^2+(3+3)^2=(a-1)^2+(b-3)^2
답⑤

a^2+b^2-2a-6b-30=0
0993 AP^_+BP^__>AB^_ AB^_~^2=CA^_~^2에서
…… ㉠

=2(a+2-1)^2+(-2-1x+a)^2x (1+1)^2+(3+3)^2=(a+1)^2+(b+3)^2
=22a^2-4ax+10x a^2+b^2+2a+6b-30=0
=22(a-1)x^2+8x ㉡-㉠을 하면 4a+12b=0 .t3 a=-3b
…… ㉡

따라서 a=1일 때 AP^_+BP^_의 최솟값은 18~=212이다. 답 212


⇨❶

(-3b)^2+b^2-2.c1(-3b)-6b-30=0, 10b^2=30
이것을 ㉠에 대입하면

0994 P(a, 0)이라 하면 b^2=3 .t3 b=z13


AP^_~^2+BP^_~^2=(a-2)^2+(-5)^2+(a-6)^2+(-2)^2 .t3 a=z313, b=y13~ (복호동순)
=2a^2-16a+69 그런데 점 C가 제~2~사분면 위의 점이므로 a<0
⇨❷

=2(a-4)^2+37 .t3 C(-313, 13~)


따라서 a=4일 때 주어진 식의 최솟값은 37이다. 답 (-313, 13~)
⇨❸
답④

84 • 정답 및 풀이
본책 139~142쪽

4.c1 5+5.c1 2 4.c1 a+5.c1 3 4a+15


=1
0,
3
/ =

10
❶ C(a, b)라 하고, a, b 사이의 관계식을 구할 수 있다. 4+5 4+5 9
채점 기준 비율
1004 이므로

4a+15
0=b, =1/3

평면좌표
❷ a, 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1
3
/
40%

9
❸ 점 C의 좌표를 구할 수 있다.
40%

따라서 a=-3, b=1


3
/
0이므로 ab=-10
20%
답②

1000 직선 BC를 x축, 점 M을 지나고 직선 BC에 수직인 직선을


1005 AB^_
   를 1`:`4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가 (7, 1)이므로
y축으로 하는 좌표평면을 잡으면 점 M 이 원점이다.
1.c1 b+4.c1 8 1.c1 9+4.c1 a
이때 삼각형 ABC의 두 꼭짓점 A, C의 좌표를 각각 (a, b), (c, 0) =7, =1
1+4 1+4
이라 하면 꼭짓점 B의 좌표는 (-c, 0) 이므로 b+32=35, 9+4a=5
.t3
a=-1, b=3
~~^2 +AC^_
AB^_ ~~^2 ={(a+c)^2 +b^2 }+{(a-c)^2 +b^2 }
따라서 A(8, -1), B(3, 9)이고, AB^_
   를 1`:`2로 외분하는 점의
=(a^2 +2ac+c^2 +b^2 )+(a^2 -2ac+c^2 +b^2 )
좌표가 (x, y)이므로
=~ 2(a^2 +b^2 +c^2 ) ,
1.c1 3-2.c1 8 1·9-2·(-1)
=13, =-11
~~^2 +BM^_
AM^_ ~~^2 =(a^2 +b^2 )+c^2 = a^2 +b^2 +c^2 1-2 1-2
.t3
x=13, y=-11
.t3 ~~^2 +AC^_
AB^_ ~~^2 =2(AM^_
~~^2 +BM^_
~~^2 )
.t3
x+y=2
.t3
㈎ M ㈏ (-c, 0) ㈐ 2(a^2 +b^2 +c^2 ) ㈑ a^2 +b^2 +c^2
답①

2.c1 (-4)+1.c1 2 2·(-2)+1·7


답 풀이 참조

=-2, =1
2+1 2+1
위와 같은 삼각형의 성질을 파포스(Pappos) 정리 또는 중선 정리라 한다.
1006
.t3
P~(-2, 1)
1001 직선 BC를 x~축, 직선 AB를 y~축으로 하는 좌표평면을 잡 2.c1 (-4)-1.c1 2 2·(-2)-1·7
=-10, =-11
2-1 2-1
으면 점 B ~가 원점이다.
.t3
Q(-10, -11)
이때 사각형 ABCD의 두 꼭짓점 A, C의 좌표를 각각 (0, b), (a, 0)
따라서 PQ^_   의 중점의 좌표는
이라 하면 꼭짓점 D의 좌표는 (a, b) 이므로 점 P의 좌표를 (x, y) -2-10 1-11
( , ), 즉 (-6, -5) 답 (-6, -5)
2 2
~~^2 +PC^_
PA^_ ~~^2 =x^2 +(y-b)^2 +(x-a)^2 +y^2
라 하면

= x^2 +y^2 +(x-a)^2 +(y-b)^2 , 1007 AB^_


   를 k`:`7로 외분하는 점의 좌표는
~~^2 +PD^_
PB^_ ~~^2 = x^2 +y^2 +(x-a)^2 +(y-b)^2 k·0-7·2 k·7-7·0
( , )
k-7 k-7
.t3 ~~^2 +PC^_
PA^_ ~~^2 =PB^_
~~^2 +PD^_
~~^2 -14 7k
.t3
㈎ B ㈏ (a, b) .t3
( , )
k-7 k-7
㈐ x^2 +y^2 +(x-a)^2 +(y-b)^2 이 점이 직선 y=-x 위에 있으므로
㈑ x^2 +y^2 +(x-a)^2 +(y-b)^2 7k 14
= , 7k=14
k-7 k-7
답 풀이 참조

.t3
k=2 답2

2.c1 (-2)+3.c1 8
=4 .t3
a=4
2+3
1008 AB^_
   를 (1-a)`:`a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1002
3.c1 (-2)-2.c1 8 (1-a).c1 4+a.c1 (-5) (1-a)·(-3)+a·2
=-22 .t3
b=-22 ( , )
3-2 1-a+a 1-a+a
.t3
a-b=26 .t3
(4-9a, -3+5a)
이 점이 제~3~사분면 위에 있으므로
답② ⇨❶

4-9a<0, -3+5a<0
1·(-9)+5·(-1)
=-7/3
.t3
P~(-7/3
) .t3
4/9
<a<3/5

1003 1+5
⇨❷

1·(-9)-5·(-1) 답 4/9
<a<3/5

=1 .t3
Q(1)
1-5
따라서 PQ^_
   의 중점의 좌표는
-7/3
+1
채점 기준 비율
❶ AB^_
   를 내분하는 점의 좌표를 구할 수 있다.
=-2/3
.t3
a=-2/3
답 -2/3
❷ a의 값의 범위를 구할 수 있다.
40%

2
60%

10``평면좌표 • 85
정답 및 풀이

1009 2AB^_=BC^_에서 AB^_`:`BC^_=1`:`2 1013 BC^_의 중점을 M, semoABC의 무게중심을 G라 하면 점 G는


점 C 의 x 좌표가 양수이므로 오른쪽 AM^_을 2`:`1로 내분하므로
그림과 같이 점 C는 AB^_를 3`:`2로 외 2.c14+1.c15 2.c1(-4)+1.c1(-1)
Z

=1
3,
3
/ =-3
2+1 2+1
$

분하는 점이다.
C

점 C의 좌표를 (a, b)라 하면 따라서 semoABC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1


3, -3)이다.
 #
3
/
"

3.c11-2.c1(-4) 답 (1
=11, 3, -3)
B Y
3
/
 0 

3-2
3·2-2·0
=6
3-2 1014 두 대각선 AC, BD의 중점이 일치하므로
.t3 a=11, b=6 -9+a -3+4 -4+b -5+1
따라서 점 C의 좌표는 (11, 6)이다. = ,~ =
2 2 2 2
AB^_`:`BC^_=1`:`2에서 점 B는 AC^_를 1`:`2로 내분하는 점 .t3 a=10, b=0
답⑤

이므로 점 C의 좌표를 (a, b)라 하면 .t3 a+b=10


1.c1a+2.c1(-4) 1·b+2·0
답③

=1, =2
1+2 1+2
1015 C(x_1, y_1), D(x_2, y_2)라 하면 두 대각선 AC, BD의 교점
    .t3 a=11, b=6 은 각각 AC^_, BD^_의 중점과 일치한다.
따라서 점 C의 좌표는 (11, 6)이다.
-2+x_1 3+y_1
⇨❶

AC^_의 중점의 좌표는 ( , )이므로


AB^_`:`BC^_=1`:`2일 때, 오른쪽 그림과 같이 2 2
-2+x_1 3+y_1
Z
점 C가 AB^_를 1`:`2로 외분하는 점인 경우도 있다. 이
=5/2, =7/2
2 2
#

때 점 C의 x좌표는 음수이다.
 " 

.t3 x_1=7, y_1=4


0  Y

.t3 C(7, 4)
$

3+x_2 -1+y_2
⇨❷

또 BD^_의 중점의 좌표는 ( , )이므로


2 2
a+(a-1)+b (b+1)-4+a 3+x_2 -1+y_2
=0, =0이므로 =5/2, =7/2
3 3 2 2
1010
2a+b=1, a+b=3
.t3 x_2=2, y_2=8
a=-2, b=5
.t3 D(2, 8)
.t3 a^2+b^2=(-2)^2+5^2=29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답 C(7, 4), D(2, 8)


⇨❸
답④

❶ 두 꼭짓점 C, D의 좌표를 미지수를 이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채점 기준 비율

0+x_1+x_2 0+y_1+y_2
=8, =10이므로 ❷ 점 C의 좌표를 구할 수 있다.
20%

3 3
❸ 점 D의 좌표를 구할 수 있다.
1011 40%

x_1+x_2=24, y_1+y_2=30
40%

x_1+x_2 y_1+y_2
.t3 =12, =15
2 2 1016 두 대각선 AC, BD의 중점이 일치하므로 중점의 y좌표는
따라서 AB^_의 중점의 좌표는 (12, 15)이다. a+4 b+7
=
2 2
답②

.t3 a=b+3 .c3.c3~㉠


^2 ^2
또 AD^_=CD^_에서 AD^_~ =CD^_~ 이므로
1012 세 점 D, E, F의 좌표는 각각 (1-5)^2+(7-a)^2=(1+3)^2+(7-4)^2
5-1 9+5 즉 a^2-14a+40=0, (a-4)(a-10)=0
D~( , ), D(2, 7)
2 2 .t3 a=4 또는 a=10
-1+3 5+1 즉 a=4를 ㉠에 대입하면 b=1
E~( , ), E(1, 3)
2 2
a=10 b=7
3+5 1+9 즉 그런데 b=7이면 B(1, 7)이므로 nemoABCD가 만들어지지 않는다.
F~( , ), F(4, 5)
을 ㉠에 대입하면

2 2
따라서 a=4, b=1이므로 ab=4
따라서 semoDEF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답②

2+1+4 7+3+5 즉
( , ), (7/3, 5) 답 (7/3, 5)
3 3 1017 AD^_는 gakA의 이등분선이므로
semoDEF의 무게중심은 semoABC의 무게중심과 일치하므로 AB^_`:`AC^_=BD^_`:`CD^_
이때 AB^_=2(-3-x2)^2+(-6x-6)^2x~=13,
5-1+3 9+5+1 즉 AC^_=2(6-2)^2+(3x-6)^2x~=5~이므로
구하는 무게중심의 좌표는

( , ), (7/3, 5)
3 3 BD^_`:`CD^_=13~`:`5

86 • 정답 및 풀이
본책 142~145쪽

따라서 점 D는 BC^_
를 13~`:`5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두 점 사이의 거리 공식을 이용하여 a, b 사이의 관계식을

10
13·6+5·(-3) 13·3+5·(-6)
1023
=7/2
, =1/2

13+5 13+5 AB^_    ~^2 =90이므로
   =3110q~에서 AB^_
구한다.

평면좌표
D(7/2
, 1/2
) 답 (7/2
, 1/2
) (3b-3a)^2 +(a-b)^2 =90
9(a-b)^2 +(a-b)^2 =90, (a-b)^2 =9
에서

.t3
a-b=3 (.T3
a>b) 답③

1018 OP^_
는 gak
AOB의 이등분선이므로
OA^_
`:`OB^_
=AP^_
`:`BP^_
O(0, 0), P(x, y), Q(3, 2)라 하고 주어진 식이 무엇을
이때 OA^_
=21^2 +3^2 x~=110q~, OB^_
=26^2 +(x-2)^2 x~=2110q~이므로
1024

AP^_
`:`BP^_
=110q~`:`2110q=1`:`2 O(0, 0), P(x, y), Q(3, 2)라 하면
나타내는지 생각해 본다.

따라서 점 P는 AB^_ 를 1`:`2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2x^2 +y^2 x=OP^_


, 2(x-3)^2 +(yx-2)^2 x~=PQ^_

1·6+2·1 1·(-2)+2·3     .t3
2x^2 +y^2 x+2(x-3)^2 +(yx-2)^2 x~=OP^_ +PQ^_

=8/3
, =4/3

1+2 1+2     _> OQ^_

P~(8/3
, 4/3
)     =23^2 +2^2 x~ =113q~
따라서 주어진 식의 최솟값은 113q~이므로 m=113q~
에서

415
    .t3
   OP^_ )^2 +(4/3
   =5(8/3 )^2 b=     .t3
m^2 =13 답 13
3
답②

두 점 A(x_1 , y_1 ), B(x_2 , y_2 )에 대하여 실수 a, b, x, y에 대하여 2(x-a)^2 +(yx-b)^2 x~은 두 점 (x, y),
=2(x_2 -x_1 )^2 +(y_2 -xy_1 )^2 x~임을 이용한다.
AB^_ (a, b) 사이의 거리와 같다.
1019

AB^_    ~^2 =2이므로
=12~에서 AB^_
(4-a)^2 +(a-2)^2 =2
a^2 -6a+9=0, (a-3)^2 =0    ~^2 +BP^_
P(0, a)라 하고 AP^_    ~^2 을 a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다.
.t3
a=3 답3
P(0, a)라 하면
1025

   ~^2 +BP^_
    AP^_    ~^2 =(-3)^2 +a^2 +1^2 +(a+2)^2
=2a^2 +4a+14
구하는 점이 y축 위에 있으므로 그 좌표를 (0, a)라 한다. =2(a+1)^2 +12
구하는 점을 P(0, a)라 하면 AP^_
   =BP^_    ~^2 =BP^_
   에서 AP^_    ~^2 이므로
1020
따라서 a=-1일 때 주어진 식의 최솟값은 12이다.
(-3)^2 +a^2 =1^2 +(a+2)^2
답①

9=4a+5 .t3 a=1


따라서 구하는 점의 좌표는 (0, 1)이다. 답 (0, 1) AC^_
   =BC^_
   에서 AC^_   ~^2 =BC^_
   ~^2 임을 이용한다.
   =BC^_    ~^2 =BC^_
   에서 AC^_    ~^2 이므로
1026
AC^_
(a+3)^2 +(2-1)^2 =(a+1)^2 +(2+3)^2
두 점 A(x_1 , y_1 ), B(x_2 , y_2 )에 대하여 AB^_
를 6a+10=2a+26, 4a=16
mx_2 -nx_1 my_2 -ny_1 .t3
a=4
1021
m`:`n~(mnot=
n)으로 외분하는 점의 좌표는 ( , )
m-n m-n
답④

AB^_
   를 b`:`2로 외분하는 점의 좌표가 (6, 0)이므로 AB^_
   를 삼등분하는 두 점 중 점 A에 가까운 점은 AB^_
   를
임을 이용한다.

b.c1 8-2.c1 a b·2-2·3 1`:`2로 내분하는 점임을 이용한다.


1027
=6, =0
b-2 b-2 AB^_
   를 삼등분하는 두 점 중 점 A에 가까운 점은 AB^_    를 1`:`2
a-b=6, b=3 .t3
a=9, b=3
.t3
a+b=12 1·3+2·0 1.c1 (-6)+2.c1 (-4)
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구하는 점의 좌표는

(~ ,~ ~), 즉 (1, -1
4)
3
/
1+2 1+2
답④

답 (1, -1
4)
3
/
세 점 A(x_1 , y_1 ), B(x_2 , y_2 ), C(x_3 , y_3 )에 대하여 AB^_
   를 삼등분하는 두 점 중 점 B에 가까운 점은 AB^_
   를 2`:`1로 내분하는
x_1 +x_2 +x_3 y_1 +y_2 +y_3
1022
semo
ABC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 , ~)임을 이용한다.
3 3
점이다.

-2+3+a -1+3+b
=1, =-1/3
이므로
3 3
세 점 A(x_1 , y_1 ), B(x_2 , y_2 ), C(x_3 , y_3 )에 대하여
a=2, b=-3
x_1 +x_2 +x_3 y_1 +y_2 +y_3
1028
.t3
ab=-6 답 -6 semo
ABC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 , ~)임을 이용한다.
3 3

10``평면좌표 • 87
정답 및 풀이

세 점 D, E, F의 좌표는 각각
1·(-3)+2·3 1.c11+2.c14 직선 OP를 x축, 직선 OQ를 y축으로 하는 좌표평면을 잡으
1031 도로를 좌표평면 위에 나타내어 본다.

D( ,~ ), 즉 D(1, 3)
1+2 1+2 면 두 사람 A, B의 t초 후의 좌표는 각각 (10-t, 0), (0, 2t)이므
1·6+2·(-3) 1·(-2)+2·1
E( ,~ ), 즉 E(0, 0)
1+2 1+2
2(10-t)^2+(-x2t)^2x~=25t^2-20t+x100x~
로 두 사람 사이의 거리는

1·3+2·6 1.c14+2.c1(-2)
F( ,~ ), 즉 F(5, 0) =25(t-2)^2x+80x
1+2 1+2
따라서 두 사람 A, B 사이의 거리는 2초 후에 최소가 되고, 그때의
⇨❶

따라서 semoDEF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거리는 180q~=415~(m)이다.
1+0+5 3+0+0
(~ ,~ ~), 즉 (2, 1)
답④

3 3
⇨❷

답 (2, 1) y축 위의 점의 x좌표는 0임을 이용한다.


AB^_를 m`:`n으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1032

4m-7n m-5n
( ,~ )
m+n m+n
❶ 세 점 D, E, F의 좌표를 구할 수 있다.
채점 기준 비율
⇨❶
❷ semoDEF의 무게중심의 좌표를 구할 수 있다.
4m-7n
70%

이 점이 y축 위에 있으므로 =0
semoDEF의 무게중심은 semoABC의 무게중심과 일치하므로 m+n
30%

4m-7n=0 .t3~4m=7n
3-3+6 4+1-2 이때 m, n은 서로소인 자연수이므로
구하는 무게중심의 좌표는 ⇨❷

(~ ,~ ~), 즉 (2, 1)
3 3 m=7, n=4 .t3 m+n=11
답 11
⇨❸

AD^_는 gakA의 이등분선이므로


1029 각의 이등분선의 성질과 두 점 사이의 거리 공식을 이용한다.

❶ AB^_를 m`:`n으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를 구할 수 있다.


채점 기준 비율

AB^_`:`AC^_=BD^_`:`CD^_ ❷ m, n 사이의 관계식을 구할 수 있다.


40%

이때 AB^_=2(-1-1)^2+(-2x-2)^2x~=215~,
❸ m+n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AC^_=2(3-1)^2+(1x-2)^2x~=15~이므로
30%

BD^_`:`CD^_=215~`:`15~=2`:`1
따라서 점 D는 BC^_를 2`:`1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1033 nemoABCD의 넓이를 이등분하는 직선은 두 대각선의 교점
2·3+1·(-1) 2·1+1·(-2)
=5/3, =0 평행사변형 ABCD의 넓이를 이등분하는 직선은 두 대각선
2+1 2+1
을 지남을 이용한다.

AC, BD의 교점을 지난다.


D~(5/3, 0)
AC^_의 중점의 좌표는 (4, 6)이므로
에서

즉 a=5/3, b=0이므로 a+b=5/3 답 5/3 0+8 a+1+5


=4, =6 .t3 a=6
2 2
또 BD^_의 중점의 좌표는 (4, 6)이므로
semoABC의 외심을 P(a, b)라 하고 a, b 사이의 관계식을
a+c b+13
=4, =6 .t3 b=-1, c=2
1030
2 2
semoABC의 외심을 P(a, b)라 하면 PA^_=PB^_=PC^_이므로
구한다.

.t3 abc=-12
    PA^_~^2=PB^_~^2=PC^_~^2
답③

PA^_~^2=PC^_~^2에서
(a-2)^2+(b-3)^2=(a-3)^2+b^2
-4a-6b+13=-6a+9
.t3 a-3b=-2 .c3.c3 ㉠
PB^_~^2=PC^_~^2에서
(a+2)^2+(b-1)^2=(a-3)^2+b^2
4a-2b+5=-6a+9
.t3 5a-b=2 .c3.c3 ㉡
㉠, ㉡을 연립하여 풀면 a=4/7, b=6/7

따라서 구하는 외심의 좌표는 (4/7, 6/7)이다. 답 (4/7, 6/7)

삼각형의 외심

① 외심은 삼각형의 세 변의 수직이등분선의 교점이다.


② 삼각형의 외심에서 세 꼭짓점에 이르는 거리는 같다.

88 • 정답 및 풀이
본책 145~148쪽

1056 주어진 식이 k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하려면


Ⅳ. 도형의 방정식 3x+y-2=0, x-2y-3=0
11 직선의 방정식 x=1, y=-1
(1, -1) 답 (1, -1)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따라서 구하는 점의 좌표는

1034
y-1=2(x-1) .t3
y=2x-1 답 y=2x-1

y-(-2)=-3(x-0) .t3
y=-3x-2 4x-3y+8+k(2x+y-8)=0 (k는 실수)
1057 주어진 두 직선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을

답 y=-3x-2
1035

8-8k=0 .t3
k=1
으로 놓으면 이 직선이 원점을 지나므로

1036 답 y=1 1037 답 x=4

4x-3y+8+(2x+y-8)=0
따라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11
답 x=3 답 y=3
1038 1039 .t3
3x-y=0 답 3x-y=0
6-4

직선의 방정식
y-4= (x-1)
-1-1
|3.c1 4-1.c1 (-1)+1| 14 7110q 7110q
1040
.t3
y=-x+5 답 y=-x+5 = =
1058
23^2 +(x-1)^2 x 110q~ 5 5

2-(-5)
y-(-5)= (x-3)
4-3
1059 점 (3, 1)과 직선 y=-x+8, 즉 x+y-8=0 사이의 거
1041
.t3
y=7x-26 답 y=7x-26

1042 두 점의 x좌표가 모두 6이므로 x=6 답 x=6 |1.c1 3+1.c1 1-8| 4


리는

= =212 답 212
21^2 +1^2 x 12
1043 x-y
답/
7 3=1
/ 1044 답 -x
2+y
/ 4=1
/

1060 점 (-1, -2)와 직선 y=3


4x+2, 즉 3x-4y+8=0 사
/
1045 답 Z 1046 답 Y  Z

|3.c1 (-1)-4.c1 (-2)+8|


 이의 거리는

=1
5
/
3 답/
1
5
3
23^2 +(x-4)^2 x



0 Y  0 Y



|10|
YZ 

=1
1
/
0
3 답/
1
0
3
1047 5=5, -5not=
12이므로 두 직선은 평행하다. 답 평행 1061
25^2 +(-x12)^2 x

1048 -1·1=-1이므로 두 직선은 수직이다.


1062 원점과 직선 y=x-5, 즉 x-y-5=0 사이의 거리는
답 수직

-1 2 |-5| 5 512 512


/=
1049 3 not=
이므로 두 직선은 평행하다. = =
-1 -2 ~ 2 2
21^2 +(x-1)^2 x 12
답 평행 답

-6
1=4
1050 2
/ 2=
/ 이므로 두 직선은 일치한다.
-3 ~
|5-1|=4 답4
답 일치
1063
-4=m이므로 m=-4 답 -4
1064 |3-(-2)|=5 답5
1051

-4.c1 m=-1이므로
1052 m=1/4
답 1/4

5 -2 1065 두 직선 3x-4y=0, 3x-4y+5=0은 평행하므로 두 직선


1=
1053 두 직선이 평행하려면 a
/ not=
에서
-(a+6) 2 사이의 거리는 직선 3x-4y=0 위의 한 점 (0, 0)과 직선
a^2 +6a+5=0, anot=
-1 3x-4y+5=0 사이의 거리와 같다.
(a+1)(a+5)=0, anot= -1 |5|
.t3
=5
5=1
/ 답1
.t3
a=-5 답 -5 23^2 +(x-4)^2 x

5 -2
1=
1054 두 직선이 일치하려면 a
/ =
-(a+6) 2 1066 두 직선 2x-y+6=0, 2x-y-4=0은 평행하므로 두 직
에서

a=-1 답 -1 선 사이의 거리는 직선 2x-y+6=0 위의 한 점 (0, 6)과 직선


2x-y-4=0 사이의 거리와 같다.
1055 두 직선이 수직이려면 a.c1 1+5.c1 {-(a+6)}=0에서 |2.c1 0-1.c1 6-4| 10
.t3
= =215 답 215
-4a=30 .t3
a=-1
2
/
5 답 -1
2
/
5 22^2 +(x-1)^2 x 15~

11``직선의 방정식 • 89
정답 및 풀이

1067 두 직선 x-1
3y+7=0, 3x-y+14=0은 평행하므로 두
/ 1074 주어진 직선의 방정식은
3+y
/
x 4=1
/
직선 사이의 거리는 직선 x-1
3y+7=0 위의 한 점 (-7, 0)과 직
/
.t3 4x+3y-12=0
선 3x-y+14=0 사이의 거리와 같다. 이 직선의 방정식이 ax+3y+b=0과 같으므로
|3.c1(-7)-1.c10+14| 7 7110q 7110q
.t3 = = a=4, b=-12
23^2+(x-1)^2x 110q~ 10 10
.t3 a+b=-8

답①

1068 기울기가 -3이고 x절편이 3, 즉 점 (3, 0)을 지나는 직선


1075 주어진 직선의 방정식은
y-0=-3(x-3) .t3 y=-3x+9 6-y
8=1
의 방정식은
/
x /
이 직선의 방정식이 y=ax+b와 같으므로
a=-3, b=9 6-5
⑤9
/ 8not=1
/
.t3 a+b=6
답⑤

답③

y절편을 a(anot=0)라 하면 x절편은 3a이므로 직선 l의 방정


1069 두 점 (1, 7), (5, -9)를 이은 선분의 중점의 좌표는
1076
1+5 7-9
( , ), 즉 (3, -1)
식은

2 2 3
/
x a=1
a+y
/ ⇨❶
이 직선이 점 (3, 4)를 지나므로
y+1=4(x-3) .t3 y=4x-13 답 y=4x-13
따라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3
/
3 a=1,
a+4
/ a=1
/
5

1070 직선 6x-2y+3=0의 기울기는 3 .t3 a=5


따라서 직선 l의 방정식은
⇨❷
점 (-1, 5)를 지나고 기울기가 3인 직선의 방정식은
y-5=3(x+1) .t3 3x-y+8=0 1
/
x 5=1
5+y
/
이 직선의 방정식이 3x+ay+b=0과 같으므로
⇨❸
답x
1
/ 5=1
5+y
/
a=-1, b=8
.t3 a^2+b^2=(-1)^2+8^2=65 답 65
❶ y절편을 a~(anot=0)라 하고 직선 l의 방정식을 세울 수 있다.
채점 기준 비율

❷ a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2-4 ❸ 직선 l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1071 주어진 직선의 방정식은 40%

y-4= (x-1) .t3 y=2x+2


-2-1
20%

이 직선이 점 (a, -6)을 지나므로


-6=2a+2 .t3 a=-4 답 -4 1077 세 점 A, B, C가 한 직선 위에 있으려면 직선 AC와 직선
BC의 기울기가 같아야 하므로
6-k 6-7 6-k -1
= ,즉 =
2+2 2-k 4 2-k
-3-7
1072 주어진 직선의 방정식은
y-7= (x+1) .t3 2x+y-5=0 (6-k)(2-k)=-4, k^2-8k+16=0
4+1
(k-4)^2=0 .t3 k=4
양변에 2를 곱하면 4x+2y-10=0
답③

이 직선의 방정식이 ax+by-10=0과 같으므로


a=4, b=2 1078 세 점 A, B, C가 한 직선 위에 있으려면 직선 AB와 직선
.t3 ab=8 답8
AC의 기울기가 같아야 하므로
1+1 4-a+1 2 5-a
= ,즉 =
1073 AB^_를 2`:`3으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a+3 5+3 a+3 8
2.c18+3.c1(-2) 2.c1(-6)+3.c114 (a+3)(5-a)=16, a^2-2a+1=0
(~ , ~), 즉 (2, 6)
2+3 2+3 (a-1)^2=0 .t3 a=1
⇨❶

따라서 두 점 (2, 6), (-3, 1)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따라서 직선 l은 두 점 A(-3, -1), B(1, 1)을 지나므로 직선 l
1-6
y-6= (x-2) .t3 y=x+4
-3-2 ~ 1+1
의 방정식은
답 y=x+4 y+1= (x+3)
⇨❷

1+3
.t3 y=1/2x+1/2
❶ AB^_를 2`:`3으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를 구할 수 있다.
채점 기준 비율

답 y=1/2x+1/2
40%
❷ 두 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60%

90 • 정답 및 풀이
본책 148~151쪽

1079 세 점 A, B, C를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이 존재하지 않으 1084 직선 ax-by+c=0, 즉 y=a


bx+c
/ b의 기울기는 음수,
/
려면 세 점은 한 직선 위에 있어야 한다.
y절편은 양수이므로
즉 직선 AB와 직선 BC의 기울기가 같아야 하므로
b<0, c
    a
/ b>0
/ .t3
ac<0
7-1 a-6-7 6 a-13
= ,즉 =
-1-a 3+1 -1-a 4 bx-cy-a=0에서 cnot=
0이므로
(-1-a)(a-13)=24, a^2 -12a+11=0
y=b
cx-a
/ c
/
(a-1)(a-11)=0 .t3
a=1 또는 a=11
따라서 모든 a의 값의 합은 12이다. 답⑤ c>0, -a
이때 b
/ c>0이므로 직선
/ Z

bx-cy-a=0의 기울기와 y절편은 모두 양수


1080 직선 l이 semo
ABC의 넓이를 이등분하려면 AC^_
   의 중점을 지 이다.
나야 한다. 따라서 직선 bx-cy-a=0의 개형은 오른쪽

11
0 Y

AC^_
   의 중점의 좌표는 그림과 같으므로 제~4~사분면을 지나지 않는다. 답 제~4~사분면
-4+6 1-1

직선의 방정식
(~ , ~), 즉 (1, 0)
2 2
따라서 직선 l은 두 점 (1, 0), (5, 8)을 지나므로 직선 l의 방정식은
1085 두 직선 2x-ay+b=0, x+cy-4=0이 점 (2, 1)을 지나
8-0
y-0= (x-1) .t3
y=2x-2 4-a+b=0 .t3
a-b=4 .c3
.c3

므로
5-1
2+c-4=0 .t3
c=2
답②

또 두 직선 2x-ay+b=0, x+2y-4=0이 수직이므로


2·1-a·2=0 .t3
a=1
선의 교점을 지나야 한다.
1081 직사각형의 넓이를 이등분하는 직선은 직사각형의 두 대각
a=1을 ㉠에 대입하면 b=-3
직사각형의 두 대각선의 교점은 BD^_
   의 중점과 같고 B(1, 1), D(5, 4)
⇨❶
.t3
a+b+c=0 답0

1+5 1+4
이므로 그 좌표는

( , ), 즉 (3, 5
2)
/
2 2 1086 두 직선 ax-by+3=0, bx-(3a+4)y-6=0이 일치하
⇨❷

따라서 두 점 (0, 0), (3, 5


2)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는
/
-b 3
므로

b=
    a
/ =
5/2
-0 -(3a+4) -6
=5/6
3
3-0 b=
/
a 2a+b=0 .c3
.c3

-6~
⇨❸

-b 3
에서
답5
6
/ = 3a+2b=-4 .c3
.c3

-(3a+4) -6~
에서

㉠, ㉡을 연립하여 풀면 a=4, b=-8


.t3
ab=-32 답 -32
채점 기준 비율
❶ 직사각형의 넓이를 이등분하는 직선의 조건을 알 수 있다. 30%
❷ 직사각형의 두 대각선의 교점의 좌표를 구할 수 있다. 40%

1087 직선 ax+y+1=0과 직선 bx-2y+3=0이 수직이므로


❸ 직선의 기울기를 구할 수 있다. 30%

a·b+1·(-2)=0 .t3
ab=2
1082 bc=0에서 b=0 또는 c=0 또 직선 ax+y+1=0과 직선 (b+3)x-y+4=0이 평행하므로
그런데 ab<0이므로 bnot=
0 .t3
c=0 a 1
= not=
14
/
b+3 -1
따라서 ax+by-c=0에서 y=-a
bx
/ -a=b+3 .t3
a+b=-3
Z

.t3
a^2 +b^2 =(a+b)^2 -2ab=(-3)^2 -2.c1 2=5 답5
이때 -a
b >0 이므로 주어진 직선은 오른쪽
/ 0 Y

그림과 같이 제~1, 3~사분면을 지난다.

다.
답② 1088 주어진 세 직선이 삼각형을 이루지 않는 경우는 다음과 같

 직선 y=ax+3이 직선 y=x 또는 y=-x+2와 평행할 때,


ax+by+c=0에서 bnot=
1083 0이므로 a=-1 또는 a=1
y=-a
bx-c
/ b
/  직선 y=ax+3이 두 직선 y=x, y=-x+2의 교점을 지날 때,

이때 ac<0, bc>0에서 a, b의 부호가 서로 다르므로 y=x, y=-x+2를 연립하여 풀면


x=1, y=1
-a
b>0, -c
/ b<0
/ 직선 y=ax+3이 점 (1, 1)을 지나야 하므로
따라서 주어진 직선의 기울기는 양수, y절편은 음수이므로 직선의 1=a+3 .t3
a=-2
개형은 ③과 같다. 답③ , 에서 모든 a의 값의 합은 -2이다. 답③

11``직선의 방정식 • 91
정답 및 풀이

1089 두 직선 5x+y-4=0, 4x-2y+1=0이 한 점에서 만나므 1094 두 점 (4, 0), (0, 3)을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는
로 주어진 세 직선이 두 교점에서 만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3-0
=-3
4
/
 직선 ax+3y+2=0이 직선 5x+y-4=0과 평행할 때, 0-4
-4 이 직선에 평행한 직선의 기울기는 -3
4
/이므로 기울기가 -3
4
/이고
a=1
/
5 3not=
/ a=15
2 ~
x절편이 8인 직선의 방정식은
에서
 직선 ax+3y+2=0이 직선 4x-2y+1=0과 평행할 때,
점 (8, 0)을 지난다.

-2 y-0=-3
4(x-8)
/ .t3 y=-3
4x+6
/ 답 y=-3
4x+6
/
a=
/
4 not=1
2에서
/ a=-6
3
, 에서 구하는 a의 값은 -6, 15이다. 답 -6, 15
1095 AB^_의 중점의 좌표는
3-1 -7+1
(~ , ~), 즉 (1, -3)
2 2
1090 직선 2x+y-7=0, 즉 y=-2x+7에 수직인 직선의 기울 두 점 A, B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는
2이다. 1+7
기는 1
/ =-2
-1-3
따라서 점 (6, -1)을 지나고 기울기가 1
2인 직선의 방정식은
/ AB^_의 수직이등분선은 기울기가 1
2이고 점 (1, -3)을 지나므로
/

y+1=1
2(x-6)
/ .t3 y=1/2x-4 답 y=1/2x-4 그 방정식은

y+3=1
2(x-1)
/ .t3 x-2y-7=0

1091 두 점 A, B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는 이 직선의 방정식이 ax+by-7=0과 같으므로


4+2 a=1, b=-2
=1
0+6 .t3 2a-b=2.c11-(-2)=4 답4
이므로 직선 AB에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1이다.
한편 AB^_를 2`:`1로 외분하는 점의 좌표는 1096 AB^_의 중점의 좌표는
2·0-1·(-6) 2.c14-1.c1(-2) 1+5 7-5
(~ , ~), 즉 (6, 10) (~ , ~), 즉 (3, 1)
2-1 2-1 2 2
따라서 점 (6, 10)을 지나고 기울기가 -1인 직선의 방정식은 두 점 A, B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는
y-10=-(x-6) .t3 y=-x+16 -5-7
=-3
5-1
답②

AB^_의 수직이등분선은 기울기가 3


1이고 점 (3, 1)을 지나므로 그
/
1092 직선 x-3y+3=0, 즉 y=1
3x+1의 기울기가 1
/ /
3이므로
직선 AH의 기울기는 -3이다.
방정식은

따라서 직선 AH의 방정식은 y-1=1


3(x-3)
/ .t3 y=1
3x
/
⇨❶

y-2=-3(x+3) .t3 3x+y+7=0


이 직선이 점 (a, 1)을 지나므로 1=1
3a
/ .t3 a=3
x-3y+3=0, 3x+y+7=0을 연립하여 풀면
⇨❷
답④

x=-1
2, y=1
5
/ 5
/
1097 직선 2x-y-6=0의 x절편은 3, y절편은 -6이므로
따라서 점 H의 좌표는 (-1
2, 1
5
/ 5)이다.
/ A(3, 0), B(0, -6)
AB^_의 중점의 좌표는
⇨❸

답 (-1
2, 1
5
/ 5)
/
(3
/
2~,
+0 /
0-6 즉 (3
2~), 2, -3)
/
또 직선 2x-y-6=0, 즉 y=2x-6의 기울기는 2이므로 AB^_의
❶ 직선 AH의 기울기를 구할 수 있다.
채점 기준 비율

수직이등분선의 기울기는 -1
2이다.
/
❷ 직선 AH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20%

❸ 점 H의 좌표를 구할 수 있다.
따라서 AB^_의 수직이등분선의 방정식은
30%

y+3=-1
2(x-3
/ 2)
/ .t3 y=-1
2x-9
/ 4
/
50%

1093 직선 y=-1
3x+2에 평행한 직선의 기울기는 -1
/ 3이다.
/ 답 y=-1
2x-9
/ 4
/

따라서 점 (12, 4)를 지나고 기울기가 -1


3인 직선의 방정식은
/
1098 주어진 식을 k에 대하여 정리하면
y-4=-1
3(x-12)
/ .t3 y=-1
3x+8
/ (x+3y-6)k+(x-2y+4)=0
이 식이 k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하려면
이 직선의 방정식에 y=0을 대입하면
x+3y-6=0, x-2y+4=0
0=-1
3x+8
/ .t3 x=24 x=0, y=2
따라서 구하는 x절편은 24이다. 답 24 따라서 a=0, b=2이므로 a+b=2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답②

92 • 정답 및 풀이
본책 151~154쪽

1099 주어진 식을 k에 대하여 정리하면 1103 두 점 (2, -1), (1, 6)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2x+y+3)k+(2x+3y-7)=0 6+1
y+1= (x-2) .t3
7x+y-13=0
이 식이 k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하려면 1-2
2x+y+3=0, 2x+3y-7=0 따라서 직선 7x+y-13=0과 점 (5, 8) 사이의 거리는
x=-4, y=5 |7.c1 5+1.c1 8-13| 30
= =312 답 312
.t3
P(-4, 5) 27^2 +1^2 x 150q~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따라서 점 P와 원점을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는


5-0
=-5/4
답 -5/4
|3.c1 a-4.c1 5-2|
-4-0 =5이므로 |3a-22|=25
23^2 +(x-4)^2 x
1104
3a-22=-25 또는 3a-22=25
3x-2y+7+k(2x-y+1)=0 (k는 실수) .c3
.c3

1100 주어진 두 직선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을

11
.t3
a=-1 또는 a=4
3
/
7
으로 놓으면 이 직선이 점 (-1, 5)를 지날 때
-3-10+7+k(-2-5+1)=0 이때 a는 정수이므로 a=-1 답 -1

직선의 방정식
-6-6k=0 .t3
k=-1
k=-1을 ㉠에 대입하면 직선의 방정식은
3x-2y+7-(2x-y+1)=0 1105 점 (0, k)에서 두 직선 5x-y-4=0, x+5y-2=0에 이
.t3
x-y+6=0
이 직선의 방정식이 ax+by+6=0과 같으므로 |-k-4| |5k-2|
르는 거리가 같으므로

= , |k+4|=|5k-2|
a=1, b=-1 25^2 +(x-1)^2 x 21^2 +5^2 x
.t3
a^2 +b^2 =1^2 +(-1)^2 =2 답2 k+4=-(5k-2) 또는 k+4=5k-2
두 직선 3x-2y+7=0, 2x-y+1=0의 교점의 좌표는 .t3
k=-1
3 또는 k=3
/ 2
/
(5, 11)
두 점 (5, 11), (-1, 5)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따라서 모든 k의 값의 곱은 -1
2이다.
/
5-11
답②

y-11= (x-5) .t3


x-y+6=0
-1-5

1106 주어진 식을 k에 대하여 정리하면


4x+3y+9+k(x+y+2)=0 (k는 실수) .c3
.c3

1101 주어진 두 직선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을
(2x+y)k+(2x-y-4)=0
으로 놓으면 이 직선이 점 (1, -2)를 지날 때 이 식이 k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하려면
⇨❶

4-6+9+k(1-2+2)=0 2x+y=0, 2x-y-4=0


7+k=0 .t3
k=-7 x=1, y=-2
k=-7을 ㉠에 대입하면 직선 l의 방정식은 .t3
P(1, -2)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4x+3y+9-7(x+y+2)=0 따라서 점 P(1, -2)와 직선 y=-x-3, 즉 x+y+3=0 사이의


⇨❷

.t3
3x+4y+5=0
⑤ 3.c1 2+4.c1 (-5
2)+5not=
0 |1·1+1·(-2)+3| 2
거리는
/ = =12
21^2 +1^2 x 12
답⑤ ⇨❸
답 12

6x+y-8+k(x-4y-18)=0 (k는 실수)


1102 주어진 두 직선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을

❶ 주어진 식을 k에 대하여 정리할 수 있다.


채점 기준 비율

(6+k)x+(1-4k)y-8-18k=0 .c3
.c3

으로 놓으면
❷ 점 P의 좌표를 구할 수 있다.
20%

이 직선과 직선 x+y=1, 즉 x+y-1=0이 평행하므로


⇨❶
❸ 점 P와 직선 ~y=-x-3 사이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40%

6+k 1-4k -8-18k


= not=

40%

1 1 -1
6+k=1-4k .t3
k=-1
k=-1을 ㉠에 대입하면 1107 AB^_
   =2(0+3)^2 +(2x-4)^2 x~=113q~
⇨❷

5x+5y+10=0 .t3
x+y+2=0 직선 AB의 방정식은
답 x+y+2=0 2-4
y-4= (x+3) .t3
2x+3y-6=0
⇨❸

0+3
점 C와 직선 AB 사이의 거리는
|2.c1 (-2)+3.c1 (-4)-6| 22 22113q~
채점 기준 비율

= =
22^2 +3^2 x 113q 13
❶ 두 직선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을 이용하여 ㉠을 구할 수
20%

❷ k의 값을 구할 수 있다.
있다.

22113q~
.t3
semo
ABC=1
2·113q~·
/ =11
13
60%
❸ 직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20% 답④

11``직선의 방정식 • 93
정답 및 풀이

직선 y=6x+b의 기울기가 6이므로


semoABC=nemoDACE-(semoDAB+semoBCE) a=6
오른쪽 그림에서 Z
" %

직선 y=6x+b가 점 (4, -4)를 지나므로


=1
2.c1(3+2).c18-1
/ 2(3·2+2·6)
/
-4=24+b .t3 b=-28
#

=20-9=11
 

.t3 a+b=-22
 0 Y

$ 

x절편이 a, y절편이 b인 직선의 방정식은 a


/
x+y
b
/=1이다.
&
1112

1108 AB^_=2(2-0)^2+(0x-4)^2x~=215
5+y=1
주어진 직선의 방정식은

직선 AB의 방정식은 /
x

2+y
/
x 4=1
/ .t3 2x+y-4=0 이 직선이 점 (a, 8)을 지나므로

점 C와 직선 AB 사이의 거리는 5+8=1,


/
a 5=-7
/
a .t3 a=-35 답 -35

|2.c15+1.c1a-4| |6+a|
=
22^2+1^2x 15 AB=0이면 A=0 또는 B=0임을 이용한다.
semoABC 9 ab=0에서 a=0 또는 b=0
1113

|6+a| 그런데 bc<0이므로 bnot=0 .t3 a=0


의 넓이가 이므로

2·215~·
/
1 =9, |6+a|=9
15
따라서 ax+by+c=0에서 y=-c
b
/
6+a=-9 또는 6+a=9
.t3 a=-15 또는 a=3 이때 -c
b >0 이므로 주어진 직선은 오른쪽
/
이때 a는 양수이므로 a=3 답3
Z

그림과 같이 제~1, 2~사분면을 지난다.

1109 주어진 두 직선이 평행하므로 직선 x+7y-10=0 위의 한


0 Y

점 (10, 0)과 직선 x+7y+a=0 사이의 거리가 12이다. 즉


|1·10+7·0+a|
=12~, |10+a|=10
답①

21^2+7^2x
10+a=-10 또는 10+a=10
1114 두 직선의 교점이 존재하지 않으려면 두 직선은 평행해야

.t3 a=-20 또는 a=0 두 직선 ax+3y-5=0, 2x-(1-a)y+2=0의 교점이 존


한다.

이때 anot=0이므로 a=-20
3 -5
답①
재하지 않으려면 두 직선은 평행해야 하므로 ⇨❶

2=
/
a not=
-(1-a) 2
⇨❷

a(a-1)=6, a^2-a-6=0
2 m-3 14
1110 두 직선이 평행하므로
= not= (a+2)(a-3)=0 .t3 a=-2 (.T3 a<0)
m -1 4
답 -2
⇨❸

2 m-3
= m(m-3)=-2
m -1
에서

m^2-3m+2=0, (m-1)(m-2)=0
채점 기준 비율

.t3 m=2 (.T3 m>1) ❷ 두 직선이 평행할 때의 조건을 이용하여 a에 대한 식을 세울 수


❶ 두 직선의 교점이 존재하지 않을 때의 조건을 알 수 있다. 30%

40%

❸ 음수 a의 값을 구할 수 있다.
2x-y+14=0, 2x-y+4=0
있다.
따라서 두 직선의 방정식은

이므로 직선 2x-y+14=0 위의 한 점 (-7, 0)과 직선


30%

2x-y+4=0 사이의 거리는 두 직선이 수직이면 두 직선의 기울기의 곱이 -1이다.


|2.c1(-7)-1.c10+4| 10 두 점 A, B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는
1115
= =215~ 답 215~
22^2+(x-1)^2x 15 1+2
=13
/
3+6
이므로 직선 AB에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3이다.
점 (a, b)를 지나고 기울기가 m인 직선의 방정식은 또 AB^_의 중점의 좌표는
y-b=m(x-a)이다. -6+3 -2+1
1111
(~ ,~ ~), 즉 (-3/2, -1/2)
2 2
y+4=a(x-4) .t3 y=ax-4a-4 따라서 기울기가 -3이고 점 (-3/2, -1/2)~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주어진 직선의 방정식은

이 직선의 방정식이 y=6x+b와 같으므로


a=6, -4a-4=b .t3 a=6, b=-28 y+1/2=-3(x+3/2) .t3 y=-3x-5
.t3 a+b=-22 답② 즉 구하는 y절편은 -5이다. 답 -5

94 • 정답 및 풀이
본책 154~156쪽

두 점 (x_1 , y_1 ), (x_2 , y_2 )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주어진 직선의 기울기와 y절편이 모두 음수임을 이용한다.
y_2 -y_1
1116 1120
y-y_1 = x_2 -x_1 (x-x_1 )이다. (단, x_1 not= x_2 ) 직선 ax+by+c=0, 즉 y=-a
/x-c
b /의 기울기와 y절편이
b

semo
ABC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2+0+5 -9+5+7
모두 음수이므로

(~ , ~), 즉 (1, 1) -a
b<0, -c
/ b<0
/ .t3
ac>0
3 3
두 점 (1, 1), (-1, -5)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cx+ay-b=0에서 anot=
0이므로
-5-1 y=c
ax+b
/ a
/
y-1= (x-1)
-1-1
.t3
y=3x-2 c>0, a
이때 a
/ b>0이므로 직선 -cx+ay-b=0의 기울기와 y절편
/
이 직선의 방정식에 y=0을 대입하면 은 모두 양수이다.
0=3x-2 .t3
x=2/3
따라서 직선 -cx+ay-b=0의 개형은 ①과 같다.

11
답①

따라서 구하는 x절편은 2


3이다.
/

직선의 방정식
답②

두 직선 ax+by+c=0, a'x+b'y+c'=0이 평행하면


x y
+ =1의 x절편은 a, y절편은 b임을 이용한다. a b c
a b
1121
= not=
, 수직이면 aa'+bb'=0이다.
a' b' c'
1117
x y
직선

- =1의 x절편이 5이므로 P(5, 0)


5 6 직선 (k+5)x-6y-4=0과 직선 y=-kx-2, 즉
직선
x y kx+y+2=0이 평행하려면
직선 + =1의 y절편이 2이므로 Q(0, 2)
6 2
k+5 -6 -4
따라서 직선 PQ의 방정식은 = not=

k 1 2
5+y
/
x 2=1
/ 답⑤
k+5=-6k .t3
k=-5
7
/

.t3
alpha =-5
7
/ ⇨❶

세 점 A, B, C가 한 직선 위에 있으려면 직선 AB와 직 또 직선 (k+5)x-6y-4=0과 직선 kx+y+2=0이 수직이려면


선 AC의 기울기가 같아야 함을 이용한다. (k+5)·k+(-6)·1=0
1118

세 점 A, B, C가 한 직선 위에 있으려면 직선 AB와 직선 k^2 +5k-6=0, (k+6)(k-1)=0


AC의 기울기가 같아야 하므로 .t3
k=-6 또는 k=1
4-1 a+4-1 3 a+3 .t3
beta =1~(.T3
beta >0)
= ,즉 = .c3
.c3
~㉠
a+2 2+2 a+2 4
⇨❷

.t3
alpha +beta =2
7
/
(a+2)(a+3)=12, a^2 +5a-6=0
⇨❸

(a+6)(a-1)=0 답2
7
/
.t3
a=1 (.T3
a>0)
㉠에서 직선 l은 기울기가 1이고 점 (-2, 1)을 지나므로
y-1=x+2 .t3
y=x+3 ❶ alpha 의 값을 구할 수 있다.
채점 기준 비율

이 직선의 x절편은 -3, y절편은 3이므로 구하는 넓이는 ❷ beta 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❸ alpha +beta 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1/2
·|-3|·3=9/2
답 9/2

20%

semo
   ABC의 꼭짓점 C를 지나면서 그 넓이를 이등분하는 직
선은 AB^_
   의
1119
1122 세 직선이 한 점에서 만나므로 두 직선의 교점을 다른 한

점 C를 지나는 직선이 semo


ABC의 넓이를 이등분하려면 AB^_
   
중점을 지나야 함을 이용한다.

주어진 세 직선이 한 점에서 만나려면 직선 kx-2y=-5가


직선이 지나야 한다.

의 중점을 지나야 한다.


두 직선 2x+y=0, 3x+y=-k의 교점을 지나야 한다.
AB^_
   의 중점의 좌표는
2x+y=0, 3x+y=-k를 연립하여 풀면
-2+8 3+3
( , ), 즉 (3, 3) x=-k, y=2k
2 2
따라서 구하는 직선은 두 점 (3, 3), (2, -1)을 지나므로 직선의 직선 kx-2y=-5가 점 (-k, 2k)를 지나야 하므로
k·(-k)-2·2k=-5, k^2 +4k-5=0
-1-3 (k+5)(k-1)=0
방정식은

y-3= (x-3) .t3


k=-5 또는 k=1
2-3
.t3
y=4x-9 답④ 따라서 모든 k의 값의 곱은 -5이다. 답①

11``직선의 방정식 • 95
정답 및 풀이

평행한 두 직선 l, l' 사이의 거리는 직선 l 위의 임의의


직선 y=-4x+9에 평행한 직선의 기울기는 -4이므로 점 점과 직선 l' 사이의 거리와 같다.
1123 두 직선이 평행하면 두 직선의 기울기가 같다. 1127

(-2, 3)을 지나고 기울기가 -4인 직선의 방정식은


y-3=-4(x+2) .t3 y=-4x-5 -1
주어진 두 직선이 평행하므로

2=2
/
1 anot=
/ .t3 a=4, bnot=-2
b
따라서 오른쪽 그림에서 직선 y=-4x-5는
즉 직선 x+2y-1=0 위의 한 점 (1, 0)과 직선 2x+4y+b=0 사이
제~1~사분면을 지나지 않는다.
ZY Z

15
답 제~1~사분면 의 거리가 ~ ~이므로
2
 0 Y

|2.c11+4.c10+b| 15



= , |2+b|=5

22^2+4^2x 2
2+b=-5 또는 2+b=5
.t3 b=-7 또는 b=3
1124 AB^_의 수직이등분선은 AB^_의 중점을 지나고, AB^_와 수직 이때 b>0이므로 b=3
.t3 a+b=7 답7
AB^_의 중점의 좌표는
임을 이용한다.

a+b -1+3 a+b


(~ , ~), 즉 ( , 1) gakAOC=90°이므로 gakOAC+gakOCA=90°임을 이용
2 2 2 1128
이 점이 직선 y=1
2x 위에 있으므로
/ gakOAB=gakOCA이므로
한다.

a+b     gakBAC=gakOAB+gakOAC=gakOCA+gakOAC=90°
1=1/2~·~
2 즉 두 직선 l, m은 서로 수직이고 직선 l의 기울기는
.t3 a+b=4 .c3.c3 ㉠ 0-2
=-1/2
한편 두 점 A, B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는 4-0
3+1 4 이므로 직선 m의 기울기는 2이다.
=
b-a b-a 따라서 점 (4, 0)을 지나고 기울기가 2인 직선 m의 방정식은
이고, AB^_의 수직이등분선의 기울기는 1
2이므로
/ y=2(x-4), 즉 y=2x-8 답 y=2x-8

4
·1
2=-1
/ .t3 a-b=2 .c3.c3 ㉡
b-a ~ 두 직선 ax+by+c=0, a'x+b'y+c'=0의 교점을 지나
㉠, ㉡을 연립하여 풀면 a=3, b=1 는 직선의 방정식을 ax+by+c+k(a'x+b'y+c')=0(k는 실수)으로 놓
1129

.t3 ab=3 답⑤ 는다.

x-3y+15+k(x+y-1)=0 (k는 실수) .c3.c3~㉠


주어진 두 직선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을
주어진 식을 k에 대하여 정리한다.
으로 놓으면 이 직선이 점 (1, 2)를 지날 때
주어진 식을 k에 대하여 정리하면
1125

1-6+15+k(1+2-1)=0
(x-y+4)k+(2x+y+a)=0
이 식이 k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하려면 10+2k=0 .t3 k=-5
k=-5를 ㉠에 대입하면 직선의 방정식은
x-y+4=0, 2x+y+a=0
점 (-5, b)는 위의 두 직선의 교점이므로 x-3y+15-5(x+y-1)=0
.t3 x+2y-5=0
-5-b+4=0, -10+b+a=0
이 직선이 직선 ax+6y-7=0과 평행하므로
a=11, b=-1
-5
.t3 a-b=12 답 12 1/a=2/6not= .t3 a=3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7
답②

1126 직선 l의 방정식을 m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 후 점과 직선


1130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 공식을 이용한다.

직선 l의 방정식은 직선 2x+3y+3=0, 즉 y=-2


3x-1의 기울기가 -2
/ 3이
/
사이의 거리 공식을 이용한다.

y-0=m(x-1
2)
/ .t3 2mx-2y-m=0 2이다.
므로 구하는 직선의 기울기는 3
/

점 (1, 1)과 직선 l 사이의 거리가 1


2이므로
/ 이 직선의 방정식을 y=3
2x+n이라 하면 원점과 직선
/
|2m·1-2·1-m|
=1
2,
/ |m-2|=2m^2+1x y=3
2x+n, 즉 3x-2y+2n=0 사이의 거리가 2113q~이므로
/
2(2m)^2+(x-2)^2x
|2n|
=2113q~, |2n|=26
23^2+(x-2)^2x
m^2-4m+4=m^2+1, -4m=-3
양변을 제곱하면

2n=-26 또는 2n=26
.t3 m=3
4
/ 답③
.t3 n=-13 또는 n=13

96 • 정답 및 풀이
본책 156~159쪽

Ⅳ. 도형의 방정식
따라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y=3
2x-13 또는 y=3
/ 2x+13
/
12 원의 방정식
답 y=3
2x-13 또는 y=3
/ 2x+13
/

1133 답 (1, 2), 2

1134 답 (-3, 0), 3

답 (x-3)^2 +(y+1)^2 =25


1131 먼저 세 직선의 교점의 좌표를 각각 구한 후 삼각형의 넓
이를 구한다. 1135

x-y+2=0, 2x+y-8=0의 교점 답 x^2 +y^2 =64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직선 Z Y Z
YZ  1136
을 A라 하면
답 (x-2)^2 +(y-1)^2 =1
 "

A(2, 4)
1137
두 직선 2x+y-8=0,
 0 

답 (x+1)^2 +(y+3)^2 =1
  Y

x+8y+11=0의 교점을 B라 하면
$  1138
#

B(5, -2) 답 (x-5)^2 +(y+5)^2 =25


Y Z 
1139
두 직선 x+8y+11=0, x-y+2=0의 교점을 C라 하면
x^2 +y^2 -4x+6y+9=0에서
C(-3, -1)
(x^2 -4x+4)+(y^2 +6y+9)=4
1140
AB^_
   =2(5-2)^2 +(-2x-4)^2 ~x =315~이고, 점 C와 직선 AB, 즉 직
⇨❶

.t3
(x-2)^2 +(y+3)^2 =2^2
선 2x+y-8=0 사이의 거리는
따라서 중심의 좌표는 (2, -3), 반지름의 길이는 2이다.
|2.c1 (-3)+1.c1 (-1)-8| 15
= =315~ 답 (2, -3), 2
22^2 +1^2 x 15

12
x^2 +y^2 +2x+4y+4=0에서

원의 방정식
이므로 구하는 넓이는

2·315·315~=4 (x^2 +2x+1)+(y^2 +4y+4)=1


1141
/
1 2
/
5
.t3
(x+1)^2 +(y+2)^2 =1^2
⇨❷

답/
4
2
5
따라서 중심의 좌표는 (-1, -2), 반지름의 길이는 1이다.
채점 기준 비율 답 (-1, -2), 1

x^2 +y^2 -12y-13=0에서


❶ 세 직선의 세 교점의 좌표를 구할 수 있다. 40%

x^2 +(y^2 -12y+36)=49


1142
❷ 삼각형의 넓이를 구할 수 있다. 60%

.t3
x^2 +(y-6)^2 =7^2
따라서 중심의 좌표는 (0, 6), 반지름의 길이는 7이다.
답 (0, 6), 7
1132 두 직선 AD, BC는 평행하므로 점 B와 직선 AD 사이의

1143 a-2>0이므로 a>2 답 a>2


직선 AD의 방정식은
거리를 구한다.

y~ 1144
2x+y+6=0에서 y=-2x-6
-x+ =1 .t3 2x-y+2=0
2
y=-2x-6을 x^2 +y^2 =5에 대입하면
두 직선 AD, BC 사이의 거리는 점 B(2, 0)과 직선 2x-y+2=0
x^2 +(-2x-6)^2 =5
5x^2 +24x+31=0
|2·2-1·0+2| 6 615~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 =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22^2 +(x-1)^2 x 15 5
D
답②

두 직선 AD, BC 사이의 거리는 평행사변형 ABCD의 =12^2 -5.c1 31=-11<0


4
높이와 같다. 따라서 원 O와 직선 l은 만나지 않는다. 답 만나지 않는다.
DO^_
   =2, AO^_
   =1이므로 직각삼각형 DAO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x-2y+1=0에서 x=2y-1
x=2y-1 x^2 +y^2 -8y+4=0에 대입하면
1145
AD^_
   =22^2 +1^2 x~=15~
의하여

두 직선 AD, BC 사이의 거리를 h라 하면 평행사변형 ABCD의 (2y-1)^2 +y^2 -8y+4=0


5y^2 -12y+5=0
    15~·h=3·2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넓이에서

6 615~
AD^_
   .c1  h=AB^_
   .c1  DO^_
   
D
    .t3
   h= = =(-6)^2 -5.c1 5=11>0
5 4
15
615~ 따라서 원 O와 직선 l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따라서 두 직선 AD, BC 사이의 거리는 ~ 이다.
5 ~ 답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12``원의 방정식 • 97
정답 및 풀이

1146 원의 중심 (1, -2)와 직선 y=x-2, 즉 x-y-2=0 사 4x-2y=20에서


1154 2x-y=10 답 2x-y=10

|1+2-2| 12 1155 ⑴ x_1x+y_1y=5


이의 거리는

=
21^2+(x-1)^2x~ 2 ⑵ 직선 x_1x+y_1y=5가 점 (3, -1)을 지나므로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3이므로 원 O와 직선 l은 서로 다른 두 점에 3x_1-y_1=5 .t3 y_1=3x_1-5 .c3.c3`㉠
서 만난다. 답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또 점 (x_1, y_1)은 원 x^2+y^2=5 위의 점이므로
x_1^2+y_1^2=5 .c3.c3`㉡
x_1^2+(3x_1-5)^2=5
1147 원의 중심 (4, 4)와 직선 x-y+8=0 사이의 거리는
x_1^2-3x_1+2=0, (x_1-1)(x_1-2)=0
㉠을 ㉡에 대입하면

|4-4+8|
=412 .t3 x_1=1 또는 x_1=2
21^2+(x-1)^2x
x_1=1을 ㉠에 대입하면 y_1=-2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412~이므로 원 O와 직선 l은 한 점에서 만난
x_1=2를 ㉠에 대입하면 y_1=1
다.~(접한다.) 답 한 점에서 만난다.~(접한다.)
.t3 x_1=1, y_1=-2 또는 x_1=2, y_1=1
⑶ x_1=1, y_1=-2일 때, x-2y=5
x^2+y^2+4x+6y+4=0에서 x_1=2, y_1=1 , 2x+y=5
(x+2)^2+(y+3)^2=9
1148 일 때

원의 중심 (-2, -3)과 직선 3x+4y=0 사이의 거리는


답 풀이 참조

|-6-12|
=1
5
/
8 1156 접점의 좌표를 (x_1, y_1)이라 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23^2+4^2x~ x_1x+y_1y=6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3이므로 원 O와 직선 l은 만나지 않는다. 이 직선이 점 (0, 6)을 지나므로
답 만나지 않는다. 6y_1=6 .t3 y_1=1
또 점 (x_1, y_1)은 원 x^2+y^2=6 위의 점이므로
x_1^2+y_1^2=6 .c3.c3`㉠
1149 원의 중심 (0, 0)과 직선 x-y+k=0 사이의 거리는
|k| |k| y_1=1을 ㉠에 대입하면 x_1^2=5 .t3 x_1=z15~
=
21^2+(x-1)^2x~ 12
15~x+y=6, -15~x+y=6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답 15~x+y=6, -15~x+y=6
|k|
⑴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려면

<2, |k|<212 접선의 기울기를 m이라 하면 기울기가 m이고 점 (0, 6)


12
.t3 -212<k<212
y-6=m(x-0) .t3 mx-y+6=0
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원의 중심 (0, 0)과 직선 mx-y+6=0 사이의 거리가 원의 반지


|k|
⑵ 한 점에서 만나려면

=2, |k|=212 름의 길이인 16~과 같아야 하므로


12
|6|
.t3 k=-212~ 또는 ~k=212 =16~, 6~=26(m^2x+1)x~
2m^2+(x-1)^2x~

|k|
⑶ 만나지 않으려면

>2, |k|>212 m^2=5 .t3 m=z15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12
.t3 k<-212~ 또는 ~k>212
15x+y=6, -15x+y=6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답 풀이 참조

1157 접점의 좌표를 (x_1, y_1)이라 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x^2+y^2-1)-(x^2+y^2-2x-2y-2)=0
1150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x_1x+y_1y=4
.t3 2x+2y+1=0 답 2x+2y+1=0 이 직선이 점 (1, 2)를 지나므로
x_1+2y_1=4 .t3 x_1=-2y_1+4 .c3.c3`㉠
1151 y=3xz223^2+1x~에서 y=3xz2110q 또 점 (x_1, y_1)은 원 x^2+y^2=4 위의 점이므로
답 y=3xz2110q~ x_1^2+y_1^2=4 .c3.c3`㉡
(-2y_1+4)^2+y_1^2=4
5y_1^2-16y_1+12=0, (y_1-2)(5y_1-6)=0
㉠을 ㉡에 대입하면

1152 y=-2xz15~·2(-2)x^2+1x~에서 y=-2xz5


답 y=-2xz5
.t3 y_1=2 또는 y_1=6/5
y_1=2를 ㉠에 대입하면 x_1=0

1153 답 x+y=2 y_1=6/5을 ㉠에 대입하면 x_1=8/5

98 • 정답 및 풀이
본책 159~162쪽

이 원이 점 (-2, 2)를 지나므로


y=2, 4x+3y=10 답 y=2, 4x+3y=10 (-2-a)^2 +(2-a)^2 =r^2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접선의 기울기를 m이라 하면 기울기가 m이고 점 (1, 2) .t3


2a^2 +8=r^2 .c3
.c3
`㉠
또 원이 점 (2, 6)을 지나므로
y-2=m(x-1) .t3
mx-y-m+2=0 (2-a)^2 +(6-a)^2 =r^2
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원의 중심 (0, 0)과 직선 mx-y-m+2=0 사이의 거리가 원의 .t3


2a^2 -16a+40=r^2 .c3
.c3
`㉡
반지름의 길이인 2와 같아야 하므로 ㉠, ㉡~을 연립하여 풀면 a=2, r^2 =16
|-m+2| 따라서 원의 넓이는 16pai 이다.
⇨❷

=2, |-m+2|=22m^2 +1x~


2m^2 +(x-1)^2 x~ 답 16pai
⇨❸
반지름의 길이가 r인 원의 넓이는 pai r^2 이다.

3m^2 +4m=0, m(3m+4)=0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❶ 중심의 좌표를 (a, a),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고 원의 방정식을


채점 기준 비율

.t3
m=0 또는 m=-4/3

30%

❷ a, r^2 의 값을 구할 수 있다.
세울 수 있다.
50%

y=2, 4x+3y=10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❸ 원의 넓이를 구할 수 있다. 20%

1158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원의 방정식은


1162 원의 중심의 좌표를 (0, a),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원
(x-5)^2 +(y-4)^2 =r^2
이 원이 점 (1, 1)을 지나므로
x^2 +(y-a)^2 =r^2
의 방정식은

(1-5)^2 +(1-4)^2 =r^2


이 원이 점 (-4, 0)을 지나므로
.t3
r^2 =25
(-4)^2 +(0-a)^2 =r^2 .t3
a^2 +16=r^2 .c3
.c3
`㉠

12
또 원이 점 (3, -1)을 지나므로
(x-5)^2 +(y-4)^2 =25 답 (x-5)^2 +(y-4)^2 =25
따라서 구하는 원의 방정식은

3^2 +(-1-a)^2 =r^2 .t3 a^2 +2a+10=r^2 .c3


.c3
`㉡

원의 방정식
㉠, ㉡~을 연립하여 풀면 a=3, r^2 =25
1159 원 (x-2)^2 +(y+1)^2 =5의 중심의 좌표는 (2, -1)이므
x^2 +(y-3)^2 =25
로 중심이 같은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원의 방정식은
ㄱ. 중심의 좌표는 (0, 3)이다.
따라서 원의 방정식은

(x-2)^2 +(y+1)^2 =r^2


ㄴ. 4^2 +(6-3)^2 =25이므로 원은 점 (4, 6)을 지난다.
이 원이 점 (2, -2)를 지나므로
ㄷ.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5이므로 둘레의 길이는 10pai 이다.
(2-2)^2 +(-2+1)^2 =r^2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반지름의 길이가 r인 원의
.t3
   r^2 =1 둘레의 길이는 2pai r이다.
원의 중심을 A(0, b)라 하고 B(-4, 0), C(3, -1)이
답③

따라서 원의 방정식은 (x-2)^2 +(y+1)^2 =1이고 이 원이 점


라 하면 AB^_
=AC^_
이므로
(a, 0)을 지나므로
2(-4)^2 +(x-b)^2 x~=23^2 +(-1x-b)^2 x~
(a-2)^2 +(0+1)^2 =1, (a-2)^2 =0
b=3
.t3
a=2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답②

AB^_
=2(-4)^2 +(x-3)^2 x~=5
따라서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1160 원의 중심의 좌표를 (p, 0),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원

(x-p)^2 +y^2 =r^2 1163 AB^_


   의 중점이 두 점 A, B를 지름의 양 끝으로 하는 원의 중
의 방정식은

이 원이 점 (3, -4)를 지나므로


(3-p)^2 +(-4)^2 =r^2 -1+5 -3+1
심이므로 그 좌표는

( , ), 즉 (2, -1)
.t3
p^2 -6p+25=r^2 .c3
.c3
`㉠ 2 2
또 원이 점 (10, -3)을 지나므로 또 AB^_
   가 원의 지름이므로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10-p)^2 +(-3)^2 =r^2
1/2
AB^_
   =1/2
2(5+1)^2 +(1x+3)^2 x~=113q~
.t3
p^2 -20p+109=r^2 .c3
.c3
`㉡
㉠, ㉡을 연립하여 풀면 p=6, r^2 =25
(x-2)^2 +(y+1)^2 =13 답 (x-2)^2 +(y+1)^2 =13
따라서 구하는 원의 방정식은
따라서 원의 방정식은 (x-6)^2 +y^2 =25이므로
a=6, b=0, c=25
.t3
a+b+c=31
1164 AB^_
   의 중점이 두 점 A, B를 지름의 양 끝으로 하는 원의 중
답③

1161 원의 중심의 좌표를 (a, a),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원


4+10 1+9
심이므로 그 좌표는

( , ), 즉 (7, 5)
2 2
(x-a)^2 +(y-a)^2 =r^2
의 방정식은
⇨❶ .t3
a=7, b=5

12``원의 방정식 • 99
정답 및 풀이

또 AB^_가 원의 지름이므로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2a+2b+c+8=0, 4b+c+16=0, 3a+b+c+10=0


1/2AB^_=1/22(10-4)^2x+(9x-1)^2x~=5~
a=-1, b=-3, c=-4
위의 세 식을 연립하여 풀면

.t3 r=5
.t3 a+b+c=-8
.t3 a+b+r=17
답①

1170 원의 방정식을 x^2+y^2+Ax+By+C=0이라 하고 세 점


답④

1165 P(12, 0), Q(0, 12)이고, PQ^_의 중점이 두 점 P, Q를 지 (0, 0), (-2, 4), (0, 2)의 좌표를 각각 대입하면
름의 양 끝으로 하는 원의 중심이므로 그 좌표는 C=0, -2A+4B+C+20=0, 2B+C+4=0
2, 2
(1
2
/ 2Ò, 즉 (6, 6)
1
/
A=6, B=-2, C=0
위의 세 식을 연립하여 풀면

또 PQ^_가 원의 지름이므로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1/2PQ^_=1/2212^2+12^2x~=612~ x^2+y^2+6x-2y=0, 즉 (x+3)^2+(y-1)^2=10


따라서 원의 방정식은

이므로 원의 넓이는 10pai이다.


(x-6)^2+(y-6)^2=72 답 (x-6)^2+(y-6)^2=72     .t3 a=10 답 10
따라서 구하는 원의 방정식은

x^2+y^2-8x-a+3=0에서 1171 원의 방정식을 x^2+y^2+Ax+By+C=0이라 하고 세 점


(x-4)^2+y^2=a+13 (-4, 0), (1, -5), (5, 3)의 좌표를 각각 대입하면
1166

-4A+C+16=0, A-5B+C+26=0,
a+13>0 .t3 a>-13 5A+3B+C+34=0
이 방정식이 원을 나타내려면

따라서 정수 a의 최솟값은 -12이다. 답 -12


⇨❶

A=-2, B=0, C=-24


위의 세 식을 연립하여 풀면

1167 ① x^2+y^2-2x-3=0에서
(x-1)^2+y^2=4 x^2+y^2-2x-24=0
따라서 원의 방정식은

즉 중심의 좌표가 (1, 0), 반지름의 길이가 2인 원이다. 이때 점 (-2, a)가 이 원 위의 점이므로
⇨❷

② x^2+y^2-2x+6y-2=0에서 (-2)^2+a^2-2.c1(-2)-24=0, a^2=16


(x-1)^2+(y+3)^2=12 .t3 a=4 (.T3 a>0)
즉 중심의 좌표가 (1, -3), 반지름의 길이가 213~인 원이다. 답4
⇨❸

③ x^2+y^2+4x+4y+5=0에서
(x+2)^2+(y+2)^2=3 ❶ 원의 방정식을 x^2+y^2+Ax+By+C=0이라 하고 A, B, C에
채점 기준 비율

즉 중심의 좌표가 (-2, -2), 반지름의 길이가 13~인 원이다.


30%

④ x^2+y^2-6x-8y+25=0에서
대한 방정식을 세울 수 있다.

(x-3)^2+(y-4)^2=0 ❸ 양수 a의 값을 구할 수 있다.
❷ 원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30%

따라서 원이 아니다.
40%

⑤ x^2+y^2+10x-8y+40=0에서 x^2+y^2-6x+2y=0에서
(x+5)^2+(y-4)^2=1 (x-3)^2+(y+1)^2=10
1172

즉 중심의 좌표가 (-5, 4), 반지름의 길이가 1인 원이다. 따라서 중심의 좌표가 (3, -1)이고 x축에 접하는 원의 반지름의
답④ 길이는 |-1|=1 답①

x^2+y^2-4(k-1)y+3k^2-5k+4=0에서 1173 원의 방정식을 (x-a)^2+(y-b)^2=b^2이라 하면 이 원이


x^2+{y-2(k-1)}^2=k^2-3k 점 (2, 1)을 지나므로
1168

이 방정식이 반지름의 길이가 2 이하인 원을 나타내려면 (2-a)^2+(1-b)^2=b^2


0<k^2-3k_<4 .t3 a^2-4a-2b+5=0 .c3.c3`㉠
k^2-3k>0에서 k(k-3)>0 또 원이 점 (2, 9)를 지나므로
.t3 k<0 또는 k>3 .c3.c3`㉠ (2-a)^2+(9-b)^2=b^2
k^2-3k_<4에서 k^2-3k-4_<0 .t3 a^2-4a-18b+85=0 .c3.c3`㉡
(k+1)(k-4)_<0 .t3 -1_<k_<4 .c3.c3`㉡ ㉠-㉡을 하면 16b-80=0 .t3 b=5
㉠, ㉡에서 공통부분을 구하면 b=5를 ㉠에 대입하면
-1_<k<0 또는 3<k_<4 a^2-4a-5=0, (a+1)(a-5)=0
따라서 실수 k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③이다. .t3 a=-1 또는 a=5
따라서 두 원의 중심의 좌표가 각각 (-1, 5), (5, 5)이므로 두 원
답③

1169 원의 방정식 x^2+y^2+ax+by+c=0에 세 점 (-2, 2),


(0, 4), (3, 1)의 좌표를 각각 대입하면 |5-(-1)|=6 답6
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100 • 정답 및 풀이
본책 162~164쪽

1174 중심의 좌표를 (a, a-1)이라 하면 원의 방정식은 |-a|=2에서 a=2 (.T3


a>0)
(x-a)^2 +(y-a+1)^2 =(a-1)^2 2a^2 +bx-6x~=2에서 a^2 +b-6=4
이 원이 점 (1, 3)을 지나므로 위의 식에 a=2를 대입하면 b=6
(1-a)^2 +(4-a)^2 =(a-1)^2 .t3
a+b=8
(4-a)^2 =0 .t3 a=4
답④

따라서 원의 방정식은 (x-4)^2 +(y-3)^2 =3^2 이므로 구하는 원의 1180 원의 중심이 제~1~사분면 위에 있으므로 반지름의 길이를 r
라 하면 중심의 좌표는 (r, r)이다.
2pai .c1 3=6pai 답 6pai
이때 중심 (r, r)가 직선 5x-2y=9 위에 있으므로
둘레의 길이는

5r-2r=9, 3r=9 .t3


   r=3
1175 중심의 좌표가 (a, 5)이고 y축에 접하는 원의 방정식은
(x-a)^2 +(y-5)^2 =a^2
(x-3)^2 +(y-3)^2 =9 답 (x-3)^2 +(y-3)^2 =9
따라서 구하는 원의 방정식은

이 원이 점 (1, 7)을 지나므로


(1-a)^2 +(7-5)^2 =a^2 x^2 +y^2 -8x+10y+37=0에서
2a=5 .t3
a=5 (x-4)^2 +(y+5)^2 =4
1181
2
/ 답5
2
/
점 A(7, -1)과 원의 중심 (4, -5) 사이의 거리는
2(4-7)^2 +(-5x+1)^2 x~=5
1176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원의 넓이가 9pai 이므로 이때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2이므로
pai r^2 =9pai .t3
r=3 (.T3
r>0)
M=5+2=7, m=5-2=3
또 이 원이 점 (0, 4)에서 y축에 접하고, 원의 중심이 제~2~사분면
⇨❶

.t3
Mm=21
위에 있으므로 원의 중심의 좌표는 (-3, 4)이다.
답①

1182 점 A(4, 2)와 원의 중심 (0, 0) 사이의 거리는


⇨❷

(x+3)^2 +(y-4)^2 =9 24^2 +2^2 x~=215


따라서 구하는 원의 방정식은

12
답 (x+3)^2 +(y-4)^2 =9 이때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r이므로 AP^_
   의 길이의 최솟값은
⇨❸

215~-r=15 .t3
r=15 답 15

원의 방정식
채점 기준 비율

1183 두 점 A(3, -4), B(7, 4)를


❶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구할 수 있다. 40%
Z
❷ 원의 중심의 좌표를 구할 수 있다. 40%

4+4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y+4= (x-3)
#
Yᐘ Zᐘ 1

7-3
❸ 원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20%


x^2 +y^2 -6x+ky+4=0에서 .t3


2x-y-10=0
0  Y

원의 중심 (0, 0)과 직선
k^2
1177
2)^2 = +5
(x-3)^2 +(y+k
 "

/
4 2x-y-10=0 사이의 거리는
|-10|
원의 중심 (3, -k
2)가 제~4~사분면 위에 있으므로
/ =215~
22^2 +(x-1)^2 x
-k
2<0
/ .t3
k>0 이때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15~이므로 원 위의 임의의 점 P와 직선
AB 사이의 거리의 최솟값은
또 원이 y축에 접하므로 4 k^2 +5f~=3 215~-15~=15~
4
또 AB^_
=2(7-3)^2 +(4x+4)^2 x~=415~이므로 semo
   PAB의 넓이의 최솟
k^2 +5=9, k^2 =16
4 1/2
.c1 415~·15~=10 답 10
.t3
k=4 (.T3
k>0)
값은

1184 P(a, b)라 하고, AP^_


   의 중점을 Q(x, y)라 하면
답③

1178 원의 중심이 제~2~사분면 위에 있으므로 반지름의 길이를 r 1+a 3+b


x= , y=
2 2
(x+r)^2 +(y-r)^2 =r^2 .t3
a=2x-1, b=2y-3 .c3
.c3
`㉠
라 하면 원의 방정식은

이 원이 점 (-1, 2)를 지나므로 점 P(a, b)가 원 x^2 +y^2 -2x+4y-3=0 위의 점이므로


(-1+r)^2 +(2-r)^2 =r^2 , r^2 -6r+5=0 a^2 +b^2 -2a+4b-3=0 .c3
.c3
`㉡
(r-1)(r-5)=0 .t3
r=1 또는 r=5
따라서 두 원의 반지름의 길이의 합은 6이다. (2x-1)^2 +(2y-3)^2 -2(2x-1)+4(2y-3)-3=0
㉠을 ㉡에 대입하면

4x^2 +4y^2 -8x-4y-3=0


답③

x^2 +y^2 -4x+2ay+10-b=0에서 .t3 )^2 =2


(x-1)^2 +(y-1/2
(x-2)^2 +(y+a)^2 =a^2 +b-6
1179
따라서 점 Q의 자취는 중심의 좌표가 (1, 1/2
), 반지름의 길이가
이 원이 x축, y축에 동시에 접하므로
2=|-a|=2a^2 +bx-6x~ 12~인 원이므로 구하는 자취의 길이는 2pai .c1 12~=212pai 답④

12``원의 방정식 • 101


정답 및 풀이

1185 P(x, y)라 하면 PA^_~^2+PB^_~^2=20에서 ⑵ 원의 중심 (0, 0)과 직선 x+2y-k=0 사이의 거리가 4이므로
(x+3)^2+y^2+(x-3)^2+y^2=20 |-k|
=4, |k|=415
.t3 x^2+y^2=1 답 x^2+y^2=1 21^2+2^2x~
.t3 k=415 (.T3 k>0)
1186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점을 P(x, y)라 하면 답⑴4 ⑵ 415~
⇨❷

AP^_`:`BP^_=2`:`1이므로
AP^_=2BP^_, AP^_~^2=4BP^_~^2
채점 기준 비율

(x+1)^2+(y-2)^2=4{(x-5)^2+(y+4)^2} ❷ 양수 k의 값을 구할 수 있다.
❶ 원의 중심과 직선 사이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50%

x^2+y^2-14x+12y+53=0
50%

.t3 (x-7)^2+(y+6)^2=32
따라서 점의 자취는 반지름의 길이가 412인 원이므로 그 넓이는
현의 길이

반지름의 길이가 r인 원의 중심에서 d만큼 떨어


pai.c1(412~)^2=32pai
진 현의 길이를 l이라 하면
답④

l
➲ =2r^2-d^2x~
1187
y=mx-4를 x^2+y^2=2에 대입하면 2
S E

x^2+(mx-4)^2=2 ➲ l=22r^2-d^2x~
M

(m^2+1)x^2-8mx+14=0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원과 직선이 서로 다른 두 점
x=3y-k를 x^2+y^2-2x+6y=0에 대입하면
D (3y-k)^2+y^2-2(3y-k)+6y=0
에서 만나므로 1190
=(-4m)^2-14(m^2+1)>0
4
10y^2-6ky+k^2+2k=0
m^2-7>0, (m+17~)(m-17~)>0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원과 직선이 한 점에서 만나므로
.t3 m<-17~ 또는 m>17
D
답 m<-17~ 또는 m>17~ =(-3k)^2-10(k^2+2k)=0
4
원의 중심 (0, 0)과 직선 y=mx-4, 즉 mx-y-4=0 k^2+20k=0, k(k+20)=0
.t3 k=-20 (.T3 k<0) 답 -20
|-4| 4 x^2+y^2-2x+6y=0에서 (x-1)^2+(y+3)^2=10
사이의 거리는

=
2m^2+(x-1)^2x~ 2m^2+1x~ 원의 중심 (1, -3)과 직선 x-3y+k=0 사이의 거리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12~이므로 원과 직선이 서로 다른 두 점에서 |1+9+k| |10+k|
=
21^2+(x-3)^2x~ 110q~
4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110q~이므로 원과 직선이 한 점에서 만나려면
만나려면

<12, 4<22m^2+2x~
2m^2+1x~ |10+k|
=110q~, |10+k|=10
m^2-7>0, (m+17~)(m-17~)>0 110q~
.t3 m<-17~ m>17 10+k=-10 또는 10+k=10
.t3 k=-20 (.T3 k<0)
또는

1188 원의 중심 (1, -2)와 직선 3x-4y+6=0 사이의 거리는


|3+8+6|
=1
5
/
7 1191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23^2+(x-4)^2x~ pair^2=8pai .t3 r=212 (.T3 r>0)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r이므로 원과 직선이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 원의 중심 (1, 1)과 직선 x+y+k=0 사이의 거리는
r>1
5
/
7 |1+1+k| |2+k|
=
21^2+1^2x~ 12
나려면
따라서 자연수 r의 최솟값은 4이다. 답4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212~이므로 원과 직선이 접하려면
|2+k|
=212, |2+k|=4
12
원과 직선의 두 교점을 A, B라 하
Z
1189 ⑴ 오른쪽 그림과 같이 주어진
2+k=-4 또는 2+k=4
Y ZL

고 원의 중심 O에서 직선
" )

.t3 k=-6 또는 k=2


x+2y-k=0에 내린 수선의 발을
#

따라서 모든 k의 값의 합은 -4이다.
H라 하면
 0  Y 답①

AH^_=1/2AB^_=1/2·6=3
Yᐘ Zᐘ 

y=x+k를 x^2+y^2+4x-4=0에 대입하면


직각삼각형 OAH에서 x^2+(x+k)^2+4x-4=0
1192

OH^_=3OA^_~^2-cAH^_~^2c~=25^2-3^2x~=4 2x^2+2(k+2)x+k^2-4=0
따라서 원의 중심과 직선 사이의 거리는 4이다. ⇨❶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원과 직선이 만나지 않으므로

102 • 정답 및 풀이
본책 164~166쪽

D (x-a)^2 +(y+2)^2 =5에서


=(k+2)^2 -2(k^2 -4)<0
4 x^2 +y^2 -2ax+4y+a^2 -1=0
1195

k^2 -4k-12>0, (k+2)(k-6)>0


.t3
k<-2 k>6
x^2 +y^2 -4-(x^2 +y^2 -2ax+4y+a^2 -1)=0
따라서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따라서 k의 값이 아닌 것은 ⑤이다.
또는

.t3
2ax-4y-a^2 -3=0
x^2 +y^2 +4x-4=0에서 (x+2)^2 +y^2 =8
답⑤

이 직선이 직선 x-2y-10=0과 평행하므로


원의 중심 (-2, 0)과 직선 x-y+k=0 사이의 거리는
2a -4 -a^2 -3
|-2+k| |-2+k| = not=
.t3
a=1
= 1 -2 -10
21^2 +(x-1)^2 x~
답④
12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212이므로 원과 직선이 만나지 않으려면
|-2+k|
>212, |-2+k|>4 x^2 +y^2 -ax+y-(x^2 +y^2 +x-ay-1)=0
1196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12
.t3
(a+1)x-(1+a)y-1=0
-2+k<-4 또는 -2+k>4
이 직선이 점 (1, 2)를 지나므로
⇨❶

.t3
k<-2 또는 k>6
(a+1)-2(1+a)-1=0 .t3
a=-2
답 -2
⇨❷

1193
y=k(x-5)를 x^2 +y^2 =9에 대입하면
x^2 +k^2 (x-5)^2 =9
채점 기준 비율

(k^2 +1)x^2 -10k^2 x+25k^2 -9=0


❷ a의 값을 구할 수 있다.
❶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60%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원과 직선이 만나지 않으므로


40%

D
=(-5k^2 )^2 -(k^2 +1)(25k^2 -9)<0
4
1197 원 x^2 +y^2 -2ay+a^2 -9=0이 원
16k^2 -9>0, (4k+3)(4k-3)>0

12
(x+1)^2 +y^2 =4의 둘레를 이등분하려면
Z

.t3
k<-3
4 또는 k>3
/ 4
/

원의 방정식
(x+1)^2 +y^2 =4, 즉 x^2 +y^2 +2x-3=0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이 원

, �=3/4
이므로
의 중심을 지나야 한다.
따라서 �=-3/4  0

4)^2 +(3
� � �^2 +�^2 =(-3
/ 4)^2 =9/8
/ 답 9/8

Y

x^2 +y^2 -2ay+a^2 -9-(x^2 +y^2 +2x-3)=0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원의 중심 (0, 0)과 직선 y=k(x-5), 즉 kx-y-5k=0


.t3
2x+2ay-a^2 +6=0
이 직선이 원 (x+1)^2 +y^2 =4의 중심 (-1, 0)을 지나야 하므로
|-5k| |5k|
사이의 거리는

= -2-a^2 +6=0, a^2 =4


2k^2 +(x-1)^2 x~ 2k^2 +1x~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3이므로 원과 직선이 만나지 않으려면 .t3
a=2 (.T3
a>0)
|5k|
답②

>3, |5k|>32k^2 +1x~


2k^2 +1x~
16k^2 -9>0, (4k+3)(4k-3)>0 x^2 +(y-3)^2 =15, (x-4)^2 +y^2 =20
1198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원 Z

.t3
   k<-3
4 또는 k>3/4
/ 의 중심을 각각 C, C'이라 하고, 두
"

원의 교점을 A, B, CC'4과 AB^_    의 교


$


점을 D라 하자.
0 %
$

y=x-1을 x^2 +(y-a)^2 =18에 대입하면 x^2 +(y-3)^2 =15에서


 Y
#

x^2 +(x-1-a)^2 =18 x^2 +y^2 -6y-6=0


1194

2x^2 -2(a+1)x+a^2 +2a-17=0 (x-4)^2 +y^2 =20에서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원과 직선이 만나지 않으므로 x^2 +y^2 -8x-4=0
⇨❶

D
={-(a+1)}^2 -2(a^2 +2a-17)<0
4 x^2 +y^2 -6y-6-(x^2 +y^2 -8x-4)=0
따라서 두 원의 공통인 현의 방정식은

a^2 +2a-35>0, (a+7)(a-5)>0


.t3
4x-3y-1=0
.t3
a<-7 또는 a>5 이 직선과 점 C(0, 3) 사이의 거리는
따라서 자연수 a의 최솟값은 6이다.
⇨❷

|-9-1|
답6 CD^_
   = =2
⇨❸

24^2 +(x-3)^2 x
직각삼각형 ACD에서
AD^_
   =2AC^_    ~^2 x=3(115q~)^2 c-2^2 c~=111q~
   ~^2 -xCD^_
채점 기준 비율

❷ a의 값의 범위를 구할 수 있다.
❶ 직선의 방정식을 원의 방정식에 대입하여 정리할 수 있다. 40%

❸ 자연수 a의 최솟값을 구할 수 있다. AB^_


   =2AD^_
   =2111q~
40% 따라서 공통인 현의 길이는
20% 답③

12``원의 방정식 • 103


정답 및 풀이

오른쪽 그림과 같이 CC'4과 이때 CP^_~^2=PQ^_~^2+QC^_~^2이므로


AB^_의 교점을 D라 하자. (2a^2-6ax+25x~)^2=(110q~)^2+(110q~)^2
1199
Z

(x-1)^2+(y+3)^2=9에서 a^2-6a+5=0, (a-1)(a-5)=0


 $

.t3 a=1 또는 a=5


0"

x^2+y^2-2x+6y+1=0

% Y

(x-3)^2+(y-1)^2=5에서 따라서 모든 a의 값의 합은 6이다. 답6


#

x^2+y^2-6x-2y+5=0

$

1203 원의 중심 (1, 1)과 직선 4x+3y+13=0 사이의 거리는


x^2+y^2-2x+6y+1-(x^2+y^2-6x-2y+5)=0
따라서 두 원의 공통인 현의 방정식은

|4+3+13|
.t3 x+2y-1=0 =4
24^2+3^2x~
이 직선과 점 C(1, -3) 사이의 거리는
이때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3이므로
|1-6-1| 615~
CD^_= = M=4+3=7, m=4-3=1
21^2+2^2x~ 5
.t3 Mm=7 답7
직각삼각형 ACD에서
615~ ^2b 315~
AD^_=2AC^_~^2-xCD^_~^2x=53^2-( ) ~= 1204 원의 중심 (0, 0)과 직선 3x-4y+k=0 사이의 거리는
5 5
615~ |k| |k|
.t3 AB^_=2AD^_= =
5 23^2+(x-4)^2x~ 5

.t3 semoABC=1/2.c1AB^_.c1CD^_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2이므로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의 최댓값이 5

615~ 615~
=1/2·~ ~·~ =1
5
/
8 답/
1
5
8 |k|
이려면

5 5 +2=5, |k|=15
5
.t3 k=15 (.T3 k>0)
1200 원의 중심을 C라 하면 C(2, 1)이므로
답③

CP^_=2(3-2)^2+(5x-1)^2x~=117q~
Z

x^2+y^2-8x+2y+12=0에서
 1

직각삼각형 CQP에서
(x-4)^2+(y+1)^2=5
1205
PQ^_=3~CP^_~^2-cCQ^_~^2c
2
$

원의 중심 (4, -1)과 직선 x+2y-12=0 사이의 거리는




=2(117q~)^2-(x18~)^2x~=3
0  Y

|4-2-12|
=215~
21^2+2^2x~
⇨❶

이때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15~이므로 원 위의 점 P와 직선


답③

x^2+y^2-4x-2y+1=0에서 x+2y-12=0 사이의 거리를 d라 하면


(x-2)^2+(y-1)^2=4 215~-15~_<d_<215~+15~, 즉 15~_<d_<315~
1201
Z
"

원의 중심을 C라 하면 C(2, 1)이므로 따라서 정수 d는 3, 4, 5, 6이고 각각의 거리에 해당하는 점 P가 2


⇨❷
1

개씩 있으므로 구하는 점 P는 8개이다.




CP^_=|2-(-4)|=6
$
0 )

직각삼각형 CAP에서 답8
  Y ⇨❸
#

PA^_=3~CP^_~^2-cCA^_~^2c=26^2-2^2x~=412~
한편 PC^_와 AB^_의 교점을 H라 하면
채점 기준 비율
❶ 원의 중심과 직선 사이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30%

    semoCAP=1/2.c1PA^_.c1CA^_=1/2.c1CP^_.c1AH^_
❸ 점 P의 개수를 구할 수 있다.
❷ 원 위의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의 범위를 구할 수 있다. 40%

PA^_.c1CA^_=CP^_.c1AH^_
30%

412~
이므로

412~.c12=6.c1AH^_ .t3 AH^_=


3 1206 직선 x+3y-1=0, 즉 y=-1/3x+1/3에 수직인 직선의 기
812~ 812~
    .t3 AB^_=2AH^_= 울기는 3이고 원 x^2+y^2=6의 반지름의 길이는 16~이므로 접선의
3 3

y=3xz16~·23^2+1x~ .t3 y=3xz2115q~


방정식은

x^2+y^2-8x-6y+15=0에서
답 y=3xz2115q~
(x-4)^2+(y-3)^2=10
1202 Z
3

원의 중심을 C라 하면 C(4, 3)이므로


1
B

CP^_=2(-4)^2+(ax-3)^2x~ 1207 직선 y=2x+6에 평행한 직선의 기울기는 2이고, 원


 $

=2a^2-6ax+25x~ x^2+y^2=5의 반지름의 길이는 15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2


두 접점을 Q, R라 하면 nemoPQCR는 정사각 y=2xz15·22^2+1x~ .t3 y=2xz5


0 Y

따라서 두 직선이 y축과 만나는 점의 좌표는 각각 (0, 5), (0, -5)


PQ^_=CQ^_=110q~ PQ^_=10
형이므로
이므로 답①

104 • 정답 및 풀이
본책 166~168쪽

x^2 +y^2 -2x-6y+1=0에서 x^2 +y^2 +2x-2y-3=0에서


(x-1)^2 +(y-3)^2 =9 (x+1)^2 +(y-1)^2 =5
1208 1212 Z

접선의 방정식을 y=3x+k라 하면 원의 중심 (1, 3)과 직선 원의 중심 (-1, 1)과 점 (-3, 2)를 지나




y=3x+k, 즉 3x-y+k=0 사이의 거리는


|3-3+k| |k| 2-1
는 직선의 기울기는

= =-1/2

23^2 +(x-1)^2 x 110q ~ -3+1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3이므로 원과 직선이 접하려면 따라서 점 (-3, 2)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Y

2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0

|k|
=3, |k|=3110q~
110q~ y-2=2(x+3) .t3
y=2x+8
.t3
k=z3110q~ 이 직선이 점 (a, 10)을 지나므로
따라서 두 직선의 y절편의 곱은 10=2a+8 .t3
a=1 답1
3110q~·(-3110q~)=-90 답①

1213 접점의 좌표를 (x_1 , y_1 )이라 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1209 원 x^2 +y^2 =12 위의 점 (a, b)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x_1 x+y_1 y=25
ax+by=12 .t3
ax+by-12=0 이 직선이 점 (7, -1)을 지나므로
이 방정식이 x+12~y-6=0과 일치하므로 7x_1 -y_1 =25 .t3 y_1 =7x_1 -25 .c3
.c3
`㉠
a b -12 또 점 (x_1 , y_1 )은 원 x^2 +y^2 =25 위의 점이므로
= =
1 12 -6 x_1 ^2 +y_1 ^2 =25 .c3
.c3
`㉡
.t3
a=2, b=212~ x_1 ^2 +(7x_1 -25)^2 =25
.t3
a^2 -b^2 =2^2 -(212~)^2 =-4~ x_1 ^2 -7x_1 +12=0, (x_1 -3)(x_1 -4)=0
㉠을 ㉡에 대입하면

.t3
x_1 =3 또는 x_1 =4
답④

12
x_1 =3을 ㉠에 대입하면 y_1 =-4
1210 원 x^2 +y^2 =15 위의 점 (a, b)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x_1 =4 y_1 =3

원의 방정식
ax+by=15 .t3
y=-a
bx+1
/ b
/
5
를 ㉠에 대입하면

3x-4y-25=0, 4x+3y-25=0
따라서 접선의 방정식은

이때 이 접선의 기울기가 1
2이므로
/
즉 a=-25, b=-3이므로 a-b=-22 답 -22

-a
b=1/2
/ .t3
b=-2a .c3
.c3
`㉠ 접선의 기울기를 m이라 하면 기울기가 m이고 점 (7, -1)

또 점 (a, b)는 원 x^2 +y^2 =15 위의 점이므로


y+1=m(x-7)
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a^2 +b^2 =15 .c3


.c3
`㉡
.t3
mx-y-7m-1=0 .c3
.c3
`㉠
원의 중심 (0, 0)과 이 직선 사이의 거리는
a^2 +(-2a)^2 =15
㉠을 ㉡에 대입하면

|-7m-1| |7m+1|
a^2 =3 .t3
a=z13~ =
2m^2 +(x-1)^2 x~ 2m^2 +1x~
a=z13~을 ㉠에 대입하면 b=y213~~(복호동순)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5이므로 원과 직선이 접하려면
.t3
ab=-6
|7m+1|
=5, |7m+1|=52m^2 +1x~
답①

2m^2 +1x~
1211 원 x^2 +y^2 =10 위의 점 (1, 3)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x+3y=10 .t3
x+3y-10=0 .c3
.c3
`㉠ 12m^2 +7m-12=0, (3m+4)(4m-3)=0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x^2 +y^2 +6x-2y+k-1=0에서 .t3


m=-4/3
또는 m=3
4 .c3
.c3
`㉡
⇨❶
/
(x+3)^2 +(y-1)^2 =11-k .c3
.c3
`㉡
직선 ㉠과 원 ㉡의 중심 (-3, 1) 사이의 거리는
4x+3y-25=0, 3x-4y-25=0
따라서 ㉡을 ㉠에 대입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3+3-10|
=110q~
21^2 +3^2 x~
1214 접선의 기울기를 m이라 하면 기울기가 m이고 점 (0, 0)을
⇨❷

원 ㉡의 반지름의 길이가 111-kz~이므로 직선 ㉠과 원 ㉡이 접하려면


111-kz~=110q~, 11-k=10
y=mx .t3
mx-y=0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t3
k=1
답1
원의 중심 (2, -3)과 이 직선 사이의 거리는
⇨❸

|2m+3| |2m+3|
=
2m^2 +(x-1)^2 x~ 2m^2 +1x~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1이므로 원과 직선이 접하려면
채점 기준 비율

|2m+3|
❶ 접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30%

=1, |2m+3|=2m^2 +1x~


❸ k의 값을 구할 수 있다. 2m^2 +1x~
❷ 직선과 원의 중심 사이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40%
30%

12``원의 방정식 • 105


정답 및 풀이

x축에 접하는 원은
3m^2+12m+8=0 |(중심의 y좌표)|=(원의 반지름의 길이)임을 이용한다.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1218

x^2+y^2-4x+8y=0에서
(x-2)^2+(y+4)^2=20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두 접선의 기울기
의 곱은 8/3이다.
중심의 좌표가 (2, -4)이고 x축에 접하는 원의 방정식은
답②

(x-2)^2+(y+4)^2=16
1215 접점의 좌표를 (x_1, y_1)이라 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2pai.c14=8pai
x_1x+y_1y=5
따라서 구하는 원의 둘레의 길이는 답③

이 직선이 점 (5, 0)을 지나므로


5x_1=5 .t3 x_1=1 는 원의 방정식을 x^2+y^2+Ax+By+C=0이라 하고 세 점의 좌표를
1219 주어진 원과 직선이 만나는 두 점의 좌표를 구한 후, 구하

또 점 (x_1, y_1)은 원 x^2+y^2=5 위의 점이므로


x_1^2+y_1^2=5 .c3.c3`㉠ y=x+1을 x^2+y^2=13에 대입하면
대입한다.

x_1=1을 ㉠에 대입하면 y_1^2=4 .t3 y_1=z2 x^2+(x+1)^2=13, x^2+x-6=0


(x+3)(x-2)=0 .t3 x=-3 또는 x=2
x+2y=5, x-2y=5
따라서 접선의 방정식은

x=-3을 y=x+1에 대입하면 y=-2


두 접선이 y축과 만나는 점의 좌표는 각각
x=2를 y=x+1에 대입하면 y=3
Z

(0, 5/2), (0, -5/2)이므로 구하는 넓이는 따라서 원 x^2+y^2=13과 직선 y=x+1이 만나는 두 점의 좌표는


 Y Z

(-3, -2), (2, 3)이다.


1/2·5·(5
2+5
/ 2)=2
/ 2
/
5
구하는 원의 방정식을 x^2+y^2+Ax+By+C=0이라 하고 세 점
⇨❶
0  Y

답/
2
2
5 (-3, -2), (2, 3), (1, 0)의 좌표를 각각 대입하면
 YZ

3A+2B-C-13=0, 2A+3B+C+13=0, A+C+1=0





접선의 기울기를 m이라 하면 기울기가 m이고 점 (5, 0)

A=6, B=-6, C=-7


위의 세 식을 연립하여 풀면

y=m(x-5)
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❷

.t3 mx-y-5m=0 .c3.c3`㉠


x^2+y^2+6x-6y-7=0
따라서 구하는 원의 방정식은

원의 중심 (0, 0)과 이 직선 사이의 거리는


답 x^2+y^2+6x-6y-7=0
⇨❸

|-5m| |5m|
=
2m^2+(x-1)^2x~ 2m^2+1x~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25~이므로 원과 직선이 접하려면
채점 기준 비율

|5m| ❷ A, B, C의 값을 구할 수 있다.
❶ 원과 직선이 만나는 두 점의 좌표를 구할 수 있다. 50%

=15~, |5m|=25(m^2x+1)x~
2m^2+1x~
30%
❸ 원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20%

원과 직선이 만나려면 원의 중심과 직선 사이의 거리를 d,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m^2=1/4 .t3 m=z1/2 .c3.c3`㉡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할 때, d_<r임을 이용한다.
1220

원의 중심 (0, k)와 직선 x+y+5=0 사이의 거리는


x-2y-5=0, x+2y-5=0 |k+5| |k+5|
따라서 ㉡을 ㉠에 대입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
21^2+1^2x~ 12
주어진 방정식을 (x-p)^2+(y-q)^2=r^2~(r>0) 꼴로 변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212~이므로 원과 직선이 만나려면
|k+5|
1216
_<212~, |k+5|_<4
x^2+y^2-12x+8y-12=0에서
형한다.
12
(x-6)^2+(y+4)^2=64 -4_<k+5_<4 .t3 -9_<k_<-1
따라서 중심의 좌표는 (6, -4), 반지름의 길이는 8이므로 따라서 정수 k는 -9, -8,-7, .c3, -1의 9개이다. 답9
p=6, q=-4, r=8
.t3 p+q+r=10 기울기가 m이고 점 (x_1, y_1)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y-y_1=m(x-x_1)임을 이용한다.
답⑤ 1221

주어진 방정식을 (x-p)^2+(y-q)^2=c 꼴로 변형한 후 직선의 기울기를 m이라 하면 x절편이 4이므로


c>0이어야 함을 이용한다. y=m(x-4) .t3 mx-y-4m=0
1217

x^2+y^2+2ax+4ay-12+6a^2=0에서 원의 중심 (0, 3)과 직선 mx-y-4m=0 사이의 거리는


(x+a)^2+(y+2a)^2=12-a^2 |-3-4m| |3+4m|
=
2m^2+(x-1)^2x~~ 2m^2+1x~~
12-a^2>0, a^2<12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2이므로 원과 직선이 접하려면
이 방정식이 원을 나타내려면

.t3 -213~<a<213 |3+4m|


=2, |3+4m|=22m^2+1x~
따라서 정수 a는 -3, -2, -1, .c3, 3의 7개이다. 답7 2m^2+1x~~

106 • 정답 및 풀이
본책 168~170쪽

주어진 방정식을 (x-a)^2 +(y-b)^2 =r^2 ~(r>0) 꼴로 변


12m^2 +24m+5=0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1225

x^2 +y^2 -4x-6y+12=0에서


형하여 중심의 좌표와 반지름의 길이를 구한다.

의 합은 -2이다. (x-2)^2 +(y-3)^2 =1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두 직선의 기울기

x^2 +y^2 -8x+2y+8=0에서


답②

(x-4)^2 +(y+1)^2 =9
두 점 A, B를 지름의 양 끝으로 하는 원의 방정식은 두 원의 중심을 각각 C, C'이라 하면 C(2, 3), C'(4, -1)이므로
⇨❶

CC'4=2(4-2)^2 +(-1x-3)^2 x=215


1222
(원의 중심)=(AB^_
   의 중점), (반지름의 길이)=1/2
AB^_
   임을 이용한다.
이때 두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각각 1, 3이므로
AB^_
   를 2`:`1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M=215~+4, m=215~-4
2·6+1·0 2.c1 4+1.c1 (-2)
( , ), 즉 (4, 2) .t3
Mm=(215~+4)(215~-4)=4
⇨❷

2+1 2+1
답4
⇨❸

AB^_
   를 1`:`4로 외분하는 점의 좌표는
1.c1 6-4.c1 0 1.c1 4-4.c1 (-2)
( , ), 즉 (-2, -4)
1-4 1-4 ❶ 주어진 방정식을 (x-a)^2 +(y-b)^2 =r^2 꼴로 변형할 수 있다.
채점 기준 비율

두 점 (4, 2), (-2, -4)를 지름의 양 끝으로 하는 원의 중심의 좌 ❷ M, m의 값을 구할 수 있다.


20%

❸ Mm의 값을 구할 수 있다.
60%

4-2 2-4
표는 20%

( , ), 즉 (1, -1)
2 2
P(a, b), M(x, y)라 하고 x, y 사이의 관계식을 구한다.
P(a, b), M(x, y)라 하면
또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1226

1/2
2(-2-4)^2 +(-4x-2)^2 x~=312 5+a
x= , y=b2
/
2

12
.t3
a=2x-5, b=2y .c3
.c3
`㉠
(x-1)^2 +(y+1)^2 =18 답 (x-1)^2 +(y+1)^2 =18
따라서 구하는 원의 방정식은

점 P(a, b)가 원 x^2 +y^2 =9 위의 점이므로

원의 방정식
a^2 +b^2 =9 .c3
.c3
`㉡

semo
   ABC가 직각이등변삼각형임을 이용한다.
(2x-5)^2 +(2y)^2 =9, x^2 +y^2 -5x+4=0
㉠을 ㉡에 대입하면

x^2 +y^2 -12x-6y+k=0에서


1223

(x-6)^2 +(y-3)^2 =45-k .t3 2)^2 +y^2 =9


(x-5
Z

/ 4
/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C에서 x축에 내린
따라서 p=5/2
, q=0, r=3
$

2~(∵
/    r>0)이므로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semo    ABC가 직각이


등변삼각형이므로 직각삼각형 CAH에서 p+q+r=4


0 "  # Y

gak
  CAH=gak   ACH=45°
) 답④

.t3
   AH^_
   =CH^_   =3 두 점 A, B를 지나는 원 중에서 넓이가 최소인 원은 AB^_
   
   ~^2 =AH^_
따라서 AC^_    ~^2 +CH^_
   ~^2 이므로
1227

45-k=3^2 +3^2
를 지름으로 하는 원이다.

.t3
k=27 답 27 교점을 A, B라 하고 원의 중심 O(0, 0)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과 직선의 두 Z
YZ

에서 직선 x-2y-4=0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0 
Y

|-4| 415~


주어진 방정식을 (x-a)^2 +(y-b)^2 =r^2 ~(r>0) 꼴로 변


#

OH^_
   = =
21^2 +(s-2)^2 x~ 5
1224 " ) Yᐘ Zᐘ

x^2 +y^2 -10x-6y+2k+27=0에서 직각삼각형 OAH에서


형한다.

(x-5)^2 +(y-3)^2 =7-2k 415~ ^2 b


AH^_
   =3~OA^_    ~^2 c=58-(
   ~^2 -cOH^_ ) ~=425
/
4r~
5
두 점 A, B를 지나는 원 중에서 넓이가 최소인 원은 AB^_   를 지름으
이 방정식이 원을 나타내려면

7-2k>0 .t3
k<7/2
.c3
.c3
`㉠
원의 중심의 좌표는 (5, 3), 반지름의 길이는 17-2kz~이므로 이 원
4)^2 =2
로 하는 원이므로 구하는 넓이는

이 제~1~사분면 위에 있으려면 pai .c1 (42


5
/ 4pai
5
/ 4pai
답/
2
5
17-2kz~<3, 7-2k<9
.t3
k>-1 .c3
.c3
`㉡
원과 직선이 접하면 원의 중심과 직선 사이의 거리를 d, 반
㉠, ㉡에서 공통부분을 구하면 -1<k<7/2
지름의 길이를 r라 할 때, d=r임을 이용한다.
1228

따라서 정수 k의 최댓값은 3, 최솟값은 0이므로 구하는 합은 3이다.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답⑤ pai r^2 =25pai .t3
r=5 (.T3
r>0)

12``원의 방정식 • 107


정답 및 풀이

원의 중심 (5, 0)과 직선 3x-4y-k=0 사이의 거리는 semoOAPrsemoOBP이므로 nemoOAPB=2semoOAP임을 이


|15-k| |15-k|
1231
=
23^2+(x-4)^2x~ 5 OP^_=24^2+1^2x~=117q~이므로 직각삼
용한다.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5이므로 원과 직선이 접하려면


Z

각형 OAP에서
|15-k| AP^_=3~OP^_~^2-cOA^_~^2c~
"

=5, |15-k|=25
 1

5


=3(117q~)c^2-2^2c=113q~
15-k=-25 또는 15-k=25
 0  Y


.t3 k=40 또는 k=-10 .t3 semoOAP=1/2.c1AP^_.c1OA^_


 #

따라서 모든 실수 k의 값의 합은 30이다.
=1/2·113q~·2=113q~
답⑤

이때 semoOAPrsemoOBP~(RHS 합동)이므로
x축, y축에 동시에 접하면서 중심이 제~3~사분면 위에 있 nemoOAPB=2semoOAP=2113q~
는 원의 방정식은 (x+r)^2+(y+r)^2=r^2~(r>0)으로 놓을 수 있다.
답④
1229

원의 중심이 제~3~사분면 위에 있으므로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1232 원의 중심과 직선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PH^_의 길이의

r라 하면 원의 방정식은
x^2+y^2-10x-4y+24=0에서
최솟값을 구한다.

(x+r)^2+(y+r)^2=r^2
이 원의 중심 (-r, -r)와 직선 3x+4y+12=0 사이의 거리는 (x-5)^2+(y-2)^2=5
⇨❶

|-3r-4r+12| |-7r+12| 원의 중심 (5, 2)와 직선 x-2y-11=0 사이의 거리는


= |5-4-11|
23^2+4^2x~ 5 =215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r이므로 원과 직선이 접하려면 21^2+(x-2)^2x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15~이므로 PH^_의 길이의 최솟값은
|-7r+12|
=r, |-7r+12|=5r 215~-15=15
5
-7r+12=-5r 또는 -7r+12=5r
답②

.t3 r=6 또는 r=1 원 x^2+y^2=r^2 위의 점 (x_1, y_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x_1x+y_1y=r^2이다.
⇨❷ 1233

pai.c16^2+pai.c11^2=37pai y=x를 x^2+y^2=18에 대입하면


따라서 두 원의 넓이의 합은

답 37pai x^2+x^2=18, x^2=9 .t3 x=z3


⇨❸

원과 직선의 교점 중 제~1~사분면 위에 있는 점의 x좌표는 3이므로


(3, 3)
❶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고 원의 방정식을 세울 수 있다.
따라서 원 x^2+y^2=18 위의 점 (3, 3)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채점 기준 비율
교점의 좌표는

❷ r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x+3y=18 .t3 x+y=6
20%

이 직선이 점 (8, a)를 지나므로


50%
❸ 두 원의 넓이의 합을 구할 수 있다. 30%

8+a=6 .t3 a=-2 답②

1230 원의 방정식을 x^2+y^2+Ax+By+C=0이라 하고 세 점 접점의 좌표를 (x_1, y_1)이라 하고 접선의 방정식을 세운다.
접점의 좌표를 (x_1, y_1)이라 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1234

원의 방정식을 x^2+y^2+Ax+By+C=0이라 하고 세 점 x_1x+y_1y=1


의 좌표를 대입한다.

(0, 0), (-2, 0), (1, 3)의 좌표를 각각 대입하면 이 직선이 점 (0, 2)를 지나므로
C=0, -2A+C+4=0, A+3B+C+10=0
2y_1=1 .t3 y_1=1/2

A=2, B=-4, C=0 또 점 (x_1, y_1)은 원 x^2+y^2=1 위의 점이므로


위의 세 식을 연립하여 풀면

x_1^2+y_1^2=1 .c3.c3`㉠
x^2+y^2+2x-4y=0 y_1=1/2을 ㉠에 대입하면 x_1^2=3/4 .t3 x_1=z
13
따라서 원의 방정식은

2
.t3 (x+1)^2+(y-2)^2=5
원의 중심 (-1, 2)와 직선 x+2y-k=0 사이의 거리는
13~x+y=2 또는 -13~x+y=2
따라서 접선의 방정식은

|-1+4-k| |3-k|
=  ~직선 13~x+y=2가 점 (k, 0)을 지날 때,
21^2+2^2x~ 25
213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15~이므로 원과 직선이 만나지 않으려면     13~k=2 .t3 k=
3
|3-k|
>15~, |3-k|>5  ~직선 -13~x+y=2가 점 (k, 0)을 지날 때,
25
213
3-k<-5 또는 3-k>5     -13~k=2 .t3 k=-
3
.t3 k<-2 또는 k>8 213 213
, 에서 k= ~(.T3 k>0)
따라서 자연수 k의 최솟값은 9이다. 답9 3 3

108 • 정답 및 풀이
본책 170~171쪽

접선의 기울기를 m이라 하면 기울기가 m이고 점 (0, 2)


❶ 도형 C 위의 점을 Q(x, y)라 하고 a, b를 x, y에 대한 식으로
채점 기준 비율

y-2=mx .t3
mx-y+2=0
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30%

원의 중심 (0, 0)과 직선 mx-y+2=0 사이의 거리는 ❷ M, m의 값을 구할 수 있다.


나타낼 수 있다.

|2| 2 ❸ Mm의 값을 구할 수 있다.


50%

=
2m^2 +(x-1)^2 x~~ 2m^2 +1x~~
20%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1이므로 원과 직선이 접하려면 직선 PQ는 점 A를 중심으로 하고 AP^_


   를 반지름으로 하
2 는 원과 원 x^2 +y^2 =4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임을 이용한다.
=1, 2=2m^2 +1x~
1237

2m^2 +1x~~ 직선 PQ는 점 A를 중심으로 하고


AP^_
   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과 원 x^2 +y^2 =4
Z

m^2 =3 .t3
m=z13~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이다.


OA^_
   =21^2 +3^2 x~=110q~, OP^_
   =2이므로 직
"
1 

13~x-y+2=0, -13~x-y+2=0
따라서 접선의 방정식은

각삼각형 OAP에서
2
Y

   ~=3~OA^_
AP^_    ~^2 -OP^_
c    ~^2 c~
0 

=3(110q~)^2 c-2^2 c=16~


Yᐘ Zᐘ Y BZ C

중심의 좌표를 (a, 2a-1)이라 하면 원의 반지름의 길이


점 A(1, 3)을 중심으로 하고 AP^_    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의 방정식은
는 |2a-1|임을 이용한다.
1235
(x-1)^2 +(y-3)^2 =6
원의 중심의 좌표를 (a, 2a-1)이라 하면 원의 방정식은
.t3
x^2 +y^2 -2x-6y+4=0
(x-a)^2 +(y-2a+1)^2 =(2a-1)^2
따라서 직선 PQ는 두 원 x^2 +y^2 -4=0, x^2 +y^2 -2x-6y+4=0
이 원이 점 (4, 3)을 지나므로
(4-a)^2 +(4-2a)^2 =(2a-1)^2
x^2 +y^2 -4-(x^2 +y^2 -2x-6y+4)=0
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이므로

.t3
a^2 -20a+31=0

12
.t3
x+3y-4=0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따라서 a=3, b=-4이므로 a+b=-1 답 -1

원의 방정식
D
=(-10)^2 -31=69>0
4
이므로 이차방정식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두 원 x^2 +y^2 +Ax+By+C=0,
두 실근을 a_1 , a_2 라 하면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x^2 +y^2 +A'x+B'y+C'=0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1238
a_1 +a_2 =20
x^2 +y^2 +Ax+By+C-(x^2 +y^2 +A'x+B'y+C')=0이다.
따라서 구하는 y좌표의 합은
(x-4)^2 +y^2 =32에서
(2a_1 -1)+(2a_2 -1)=2(a_1 +a_2 )-2
x^2 +y^2 -8x-16=0
=2.c1 20-2=38
두 원 O, O'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답③

x^2 +y^2 -16-(x^2 +y^2 -8x-16)=0


.t3
x=0
도형 C 위의 점을 Q(x, y)라 하고 a, b를 x, y에 대한
원 O의 반지름의 길이가 4이므로
1236
AB^_
   =2AO^_
   =2.c1 4=8
Z

도형 C 위의 점을 Q(x, y)라 하면 점 Q는 AP^_


   를 2`:`1로 외
식으로 나타낸다.
Y
ᐘ Zᐘ

.t3
semo
O'AB=1/2
.c1 AB^_
~.c1 ~O'O4
Yᐘ Zᐘ  "

2a-4 2b+2
분하는 점이므로 0

x= =2a-4, y= =2b+2 =1/2


.c1 8.c1 4=16
2-1 2-1
 0  Y

x+4 y-2
 #

.t3
a= , b= .c3
.c3
`㉠
2 2
⇨❶ 답⑤

점 P(a, b)는 원 x^2 +y^2 =2 위의 점이므로


a^2 +b^2 =2 .c3
.c3
`㉡

x+4 ^2 y-2 ^2
㉠을 ㉡에 대입하면

( ) +( ) =2
2 2
.t3
(x+4)^2 +(y-2)^2 =8
이 원의 중심 (-4, 2)와 원점 사이의 거리는
2(-4)x^2 +2^2 x~=215
이때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212~이므로
M=215~+212~, m=215~-212~
.t3
Mm=(215~+212~)(215~-212~)=12
⇨❷

답 12
⇨❸

12``원의 방정식 • 109


정답 및 풀이

1257 주어진 직선을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방향으로


Ⅳ. 도형의 방정식 -1만큼 평행이동하면 원래의 직선과 일치하므로 구하는 직선의 방
13 도형의 이동
(x+3)+(y+1)-2=0 .t3 x+y+2=0 답 x+y+2=0
정식은

(1+8, 1+1) .t3 (9, 2) 답 (9, 2)


1258 포물선 y=2x^2이 평행이동 (x, y) @C (x+a, y+b)에
1239

1240 (5+2, 8-5) .t3 (7, 3) 답 (7, 3)


y-b=2(x-a)^2 .t3 y=2(x-a)^2+b
의하여 옮겨지는 포물선의 방정식은

이 포물선이 포물선 y=2(x-3)^2+6과 일치하므로


1241 (-6-3, 2+4) .t3 (-9, 6) 답 (-9, 6)
a=3, b=6 답 a=3, b=6

1242
(4+6, 7-1) .t3 (10, 6) 답 (10, 6)
1259 (x+1)+4(y-2)+6=0 .t3 x+4y-1=0
답 x+4y-1=0
1243 (2+6, -4-1) .t3 (8, -5) 답 (8, -5)

1244 (-7+6, 6-1) .t3 (-1, 5) 답 (-1, 5) 1260 주어진 원을 x축의 방향으로 -5만큼, y축의 방향으로 4만

{(x+5)+2}^2+{(y-4)-1}^2=4
큼 평행이동하면 원래의 원과 일치하므로 구하는 원의 방정식은

x-4=0, y+5=1이므로
x=4, y=-4 .t3 (4, -4) 답 (4, -4) .t3 (x+7)^2+(y-5)^2=4 답 (x+7)^2+(y-5)^2=4
1245

1246
x-4=4, y+5=-9이므로 1261 답 (2, -6) 1262 답 (-3, -7)

x=8, y=-14 .t3 (8, -14) 답 (8, -14)

답 (5, 5) 답 (-4, 15)


x-4=-3, y+5=-6이므로
1263 1264
x=1, y=-11 .t3 (1, -11) 답 (1, -11)
1247

답 (-3, -8) 답 (2, -1)


1248 0+a=5, 1+b=10이므로
1265 1266

a=5, b=9 답 a=5, b=9


1267 답 (12, -5) 1268 답 (-3, 6)

1249 -2+a=-3, 6+b=9이므로


a=-1, b=3 답 a=-1, b=3 1269 답 (2, 10) 1270 답 (14, 5)

1250 3+a=-7, -8+b=4이므로


답 (6, -7) 답 (-4, -9)
a=-10, b=12 답 a=-10, b=12 1271 1272

(x-2)-2(y-4)-7=0
1273 -y=x-8 .t3 y=-x+8 답 y=-x+8
.t3 x-2y-1=0 답 x-2y-1=0
1251

1274 -y=2x^2-5x+3
1252 y-5=(x+3)^2+3
.t3 y=-2x^2+5x-3 답 y=-2x^2+5x-3
.t3 y=x^2+6x+17 답 y=x^2+6x+17

1253 {(x-9)+1}^2+{(y+1)-1}^2=4 1275 x^2+(-y-1)^2=4


.t3 x^2+(y+1)^2=4 답 x^2+(y+1)^2=4
.t3 (x-8)^2+y^2=4 답 (x-8)^2+y^2=4

1254 3(x+5)+2(y-4)-1=0 2.c1(-x)+y+4=0


.t3 2x-y-4=0 답 2x-y-4=0
1276
.t3 3x+2y+6=0 답 3x+2y+6=0

1255 y-4=2(x+5)^2+1 y=(-x)^2-(-x)+1


.t3 y=2x^2+20x+55 답 y=2x^2+20x+55 .t3 y=x^2+x+1 답 y=x^2+x+1
1277

1256 (x+5)^2+{(y-4)-5}^2=6 (-x-5)^2+(y+3)^2=6


.t3 (x+5)^2+(y-9)^2=6 답 (x+5)^2+(y-9)^2=6 .t3 (x+5)^2+(y+3)^2=6 답 (x+5)^2+(y+3)^2=6
1278

110 • 정답 및 풀이
본책 172~177쪽

-y=9.c1 (-x)-1 .t3


y=9x+1 답 y=9x+1 ㉠, ㉡을 연립하여 풀면 p=3, q=4
(3, 4) 답 (3, 4)
1279

-y=-(-x)^2 +11 .t3


y=x^2 -11 답 y=x^2 -11
따라서 구하는 점의 좌표는

1292 점 (-2, 1)이 주어진 평행이동에 의하여 옮겨진 점의 좌표는


1280

(-x)^2 +(-y)^2 -2.c1 (-x)-1=0 (-2+4, 1-9), 즉 (2, -8)


.t3
x^2 +y^2 +2x-1=0 답 x^2 +y^2 +2x-1=0 이 점이 직선 y=ax+2 위의 점이므로
1281

-8=2a+2 .t3
a=-5
y-3x+9=0 .t3
3x-y-9=0 답 3x-y-9=0
답①
1282
a-1=-5, 8-7=b이므로
1283
y^2 +x^2 -2y+4x+4=0 a=-4, b=1 .t3
b-a=5 답5
1293

.t3
x^2 +y^2 +4x-2y+4=0 답 x^2 +y^2 +4x-2y+4=0

1294 점 (3, -5)를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2


6-2 7+5
1284 P~(~ 2 , ~ 2 ~) .t3
P(2, 6) 답 P(2, 6)
(3+a, -5-2), 즉 (3+a, -7)
만큼 평행이동한 점의 좌표는

5-3 -1+11 이 점이 직선 y=2x+1 위의 점이므로


1285 P~(~ 2 , ~ 2 ~
) .t3
P(1, 5) 답 P(1, 5)
-7=2(3+a)+1 .t3
a=-7 답 -7

-4-8 9-7
1286 P~(~ ,~ ) .t3
P(-6, 1) 답 P(-6, 1) 1295 P(a, b)라 하면 P'(a-3, b+5)
2 2 ~
.t3
PP'4=2(a-3-a)^2 +(b+5x-b)^2 x
⇨❶

1287 구하는 점의 좌표를 (a, b)라 하면 =2(-3)^2 x+5^2 x=134q~


2+a 5+b 답 134q~
⇨❷

=-1, =6
2 2
.t3
a=-4, b=7
❶ 점 P'의 좌표를 구할 수 있다.
채점 기준 비율

(-4, 7) 답 (-4, 7)
❷ PP'4의 길이를 구할 수 있다.
60%
따라서 구하는 점의 좌표는
40%

1288 구하는 점의 좌표를 (a, b)라 하면


-4+a -3+b 1296 점 (1, 3)을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b만큼
=1, =-1
2 2 평행이동한 점의 좌표가 (-2, 4)라 하면
.t3
a=6, b=1 1+a=-2, 3+b=4
(6, 1) 답 (6, 1) .t3
a=-3, b=1
따라서 점 (-1, 6)을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방향으로 1
따라서 구하는 점의 좌표는

1289 구하는 점의 좌표를 (a, b)라 하면

13
7+a -2+b (-1-3, 6+1), 즉 (-4, 7)
만큼 평행이동한 점의 좌표는
=10, =4
2 2

도형의 이동
답②

.t3
a=13, b=10
(13, 10) 답 (13, 10)
5(x-a)+(y-2)-13=0
1297 평행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따라서 구하는 점의 좌표는

.t3
5x+y-5a-15=0
-2+q
답㈎~ ㈏ -1 ㈐ 2 ㈑ -3
2
-5a-15=0 .t3
a=-3
1290 이 직선이 원점을 지나므로

1291 점 P(9, -8)을 직선 x-2y-10=0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답②

점을 Q(p, q)라 하자. 1298 점 (3, 1)을 x축의 방향으로 m만큼, y축의 방향으로 n만
PQ^_
의 중점의 좌표는 큼 평행이동한 점의 좌표가 (-3, 8)이라 하면
9+p -8+q 3+m=-3, 1+n=8
(~ ,~ ~)
2 2 .t3
m=-6, n=7
이 점이 직선 x-2y-10=0 위의 점이므로 따라서 직선 x+ay+b=0을 x축의 방향으로 -6만큼, y축의 방향
9+p -8+q 으로 7만큼 평행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2· -10=0
2 2
(x+6)+a(y-7)+b=0
.t3
p-2q=-5 .c3
.c3
`㉠
.t3
x+ay+6-7a+b=0
또 직선 PQ는 직선 x-2y-10=0, 즉 y=1/2
x-5와 수직이므로 이 직선이 직선 x-2y+10=0과 일치하므로
q+8 a=-2, 6-7a+b=10
·1/2
=-1
p-9 .t3
a=-2, b=-10
.t3
2p+q=10 .c3
.c3
`㉡ .t3
a+b=-12 답①

13``도형의 이동 • 111
정답 및 풀이

1299 주어진 평행이동은 도형을 x축의 방향으로 5만큼, y축의 방 1303 주어진 평행이동은 도형을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직선 4x+y-9=0을 평행이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x^2+y^2-8x+2y+1=0에서
4(x-5)+(y+1)-9=0 (x-4)^2+(y+1)^2=16
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t3 4x+y-28=0 답 4x+y-28=0


(x+1-4)^2+(y-3+1)^2=16
주어진 평행이동에 의하여 이 원이 옮겨지는 원의 방정식은

.t3 (x-3)^2+(y-2)^2=16
(3, 2) 답 (3, 2)
y+3=(x-2)+k 원 x^2+y^2-8x+2y+1=0에서
1300 평행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따라서 구하는 원의 중심의 좌표는

.t3 x-y-5+k=0 .c3.c3`㉠ (x-4)^2+(y+1)^2=16


직선 ㉠이 원 x^2+y^2=2에 접하므로 원의 중심 (0, 0)과 직선 ㉠ 사 이므로 중심의 좌표는 (4, -1)이다.
⇨❶

이의 거리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인 12와 같다. 즉 따라서 주어진 평행이동에 의하여 점 (4, -1)이 옮겨지는 점의 좌
|-5+k| (4-1, -1+3), 즉 (3, 2)
=12, |-5+k|=2
21^2+(x-1)^2x~
표는

-5+k=-2 또는 -5+k=2 1304 원 (x+2)^2+(y-9)^2=5를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t3 k=3 또는 k=7 방향으로 b만큼 평행이동한 원의 방정식은
따라서 모든 상수 k의 값의 합은 10이다. (x-a+2)^2+(y-b-9)^2=5
⇨❷

답 10 이 원이 원 (x-8)^2+(y+3)^2=5와 일치하므로
⇨❸

-a+2=-8, -b-9=3
.t3 a=10, b=-12
채점 기준 비율

따라서 점 (-7, -1)을 x축의 방향으로 10만큼, y축의 방향으로


❷ 상수 k의 값을 구할 수 있다.
❶ 평행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50%

❸ 모든 상수 k의 값의 합을 구할 수 있다.
-12만큼 평행이동한 점의 좌표는
40%

(-7+10, -1-12), 즉 (3, -13) 답 (3, -13)


10%

원과 직선의 위치 관계

반지름의 길이가 r인 원의 중심과 직선


y-1=(x+1)^2+4(x+1)+m
1305 평행이동한 포물선의 방정식은
사이의 거리를 d라 하면 원과 직선의
ES

.t3 y=x^2+6x+m+6
S ES

이 포물선이 포물선 y=x^2+nx+3과 일치하므로


ES

① d<r ➲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위치 관계는

② d=r ➲ 한 점에서 만난다.~(접한다.)


6=n, m+6=3 .t3 m=-3, n=6
③ d>r ➲ 만나지 않는다. .t3 m+n=3 답③

1306 점 (3, -4)를 x축의 방향으로 m만큼, y축의 방향으로 n만


큼 평행이동한 점의 좌표가 (4, -6)이라 하면
1301 x^2+y^2+4x-2y+a=0에서 3+m=4, -4+n=-6
(x+2)^2+(y-1)^2=5-a .t3 m=1, n=-2
포물선 y=x^2+8x+6을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2
(x-2+2)^2+(y+5-1)^2=5-a
주어진 평행이동에 의하여 이 원이 옮겨지는 원의 방정식은

.t3 x^2+(y+4)^2=5-a y+2=(x-1)^2+8(x-1)+6


만큼 평행이동한 포물선의 방정식은

이 원이 원 x^2+(y+b)^2=3과 일치하므로 .t3 y=x^2+6x-3=(x+3)^2-12


4=b, 5-a=3 따라서 이 포물선의 꼭짓점의 좌표는 (-3, -12)이므로
.t3 a=2, b=4 a=-3, b=-12 .t3 a-b=9 답9
.t3 a-b=-2 답 -2 포물선 y=x^2+8x+6에서
y=(x+4)^2-10
이므로 포물선의 꼭짓점의 좌표는 (-4, -10)이다.
따라서 주어진 평행이동에 의하여 점 (-4, -10)이 옮겨지는 점
(x-a+1)^2+(y-b-4)^2=1 .c3.c3`㉠ (-4+1, -10-2), 즉 (-3, -12)
1302 평행이동한 원의 방정식은

한편 x^2+y^2+10x-2y+25=0에서 .t3 a-b=-3-(-12)=9


의 좌표는

(x+5)^2+(y-1)^2=1
1307 포물선 y=2x^2+12x+5, 즉 y=2(x+3)^2-13을 평행이
-a+1=5, -b-4=-1
이 원이 원 ㉠과 일치하므로

.t3 a=-4, b=-3 y-(a+3)=2(x-a+3)^2-13


동한 포물선의 방정식은

.t3 a+b=-7 답② .t3 y=2(x-a+3)^2-10+a ⇨❶

112 • 정답 및 풀이
본책 177~180쪽

즉 이 포물선의 꼭짓점 (a-3, -10+a)가 y축 위에 있으므로 1312 점 (a, b)를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의 좌표는
a-3=0 .t3
a=3 (-a, b)
따라서 꼭짓점의 y좌표는 -10+3=-7 이 점이 제~2~사분면 위에 있으므로
⇨❷

답 -7 -a<0, b>0 .t3


a>0, b>0
⇨❸

점 (-a-b, ab)를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의 좌표는


(a+b, -ab)
채점 기준 비율

이때 a+b>0, -ab<0이므로 이 점은 제~4~사분면 위에 있다.


❷ a의 값을 구할 수 있다.
❶ 평행이동한 포물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50%

답 제~4~사분면
❸ 꼭짓점의 y좌표를 구할 수 있다.
30%

y=2x^2 +12x+5에서
20%

y=2(x+3)^2 -13 1313 점 (-3, 9)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점 (-3, -9)
이므로 포물선의 꼭짓점의 좌표는 (-3, -13)이다.
주어진 평행이동에 의하여 점 (-3, -13)이 옮겨지는 점의 좌표는 3x-2y-2=0
로 옮겨지므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3+a, -13+a+3)
답⑤

이 점이 y축 위에 있으므로 -3+a=0 .t3


a=3
y=3x+k
1314 대칭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이 직선이 점 (-1, 5)를 지나므로


1308 점 (a, b)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의 좌표는 5=-3+k .t3
k=8 답8
(a, -b)
이 점을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의 좌표는 (-b, a)
1315 직선 x-2y+6=0을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의 방
이 점의 좌표가 (-3, 4)이므로
-b=-3, a=4
정식은

.t3
a=4, b=3 답 a=4, b=3 -x-2y+6=0, 즉 y=-1/2
x+3 .t3
m=-1/2
⇨❶
직선 x-2y+6=0을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의 방정

1309 점 (5, -2)를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 P의 좌표는 y-2x+6=0, 즉 y=2x-6 .t3
n=2
식은

P(-5, 2)
⇨❷

.t3
m+n=3/2

점 (5, -2)를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 Q의 좌표는
⇨❸

Q(-2, 5) 답 3/2

따라서 두 점 P, Q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5-2
y-2= (x+5)
-2+5 ❶ m의 값을 구할 수 있다.

13
채점 기준 비율

.t3
y=x+7 답 y=x+7 ❷ n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도형의 이동
❸ m+n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20%

1310 점 P(1, 2)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


한 점 Q의 좌표는
Z ZY

-y=2x+1 .t3
y=-2x-1

1 1316 대칭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Q(1, -2)
이 직선과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1/2
이므로 기울기가 1/2
이고 점
 3

점 P(1, 2)를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0

(2, 0)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Y

점 R의 좌표는
 

R(2, 1) y=1/2
(x-2) .t3
y=1/2
x-1

2

.t3
semo
PQR=1/2
.c1 4.c1 1=2
답②
답②

-x+2y+a=0 .t3
x-2y-a=0 .c3
.c3
`㉠
1317 대칭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1311 점 (2, -4)를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의 좌표는 직선 ㉠이 원 (x-1)^2 +(y+4)^2 =20에 접하므로 원의 중심
(-2, 4) (1, -4)와 직선 ㉠ 사이의 거리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인 215~와 같
이 점이 직선 ax+6y-a^2 =0 위의 점이므로 다. 즉
-2a+6.c1 4-a^2 =0, a^2 +2a-24=0 |1+8-a|
=215, |9-a|=10
(a+6)(a-4)=0 21^2 +(x-2)^2 x
.t3
a=-6 또는 a=4 9-a=-10 또는 9-a=10
따라서 모든 실수 a의 값의 합은 -2이다. 답② .t3
a=19 (.T3
a>0) 답 19

13``도형의 이동 • 113
정답 및 풀이

1318 중심의 좌표가 (3, -2)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r인 원의 방 1324 포물선 y=x^2+a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
로 3만큼 평행이동한 포물선의 방정식은
(x-3)^2+(y+2)^2=r^2 y-3=(x-2)^2+a .t3 y=(x-2)^2+a+3
정식은

이 포물선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포물선의 방정식은


(x-3)^2+(-y+2)^2=r^2 -y=(x-2)^2+a+3
이므로 대칭이동한 원의 방정식은

.t3 (x-3)^2+(y-2)^2=r^2 .t3 y=-(x-2)^2-a-3=-x^2+4x-a-7


이 원이 점 (4, 5)를 지나므로 이 포물선이 포물선 y=-x^2+4x-3과 일치하므로
(4-3)^2+(5-2)^2=r^2, r^2=10 -a-7=-3 .t3 a=-4 답 -4
.t3 r=110q~ (.T3 r>0) 답 110q~

1325 점 (2, -9)를 지나는 직선 l의 기울기를 m이라 하면 직선


(x-1)^2+(y+1)^2=4 l의 방정식은
1319 대칭이동한 원의 방정식은

이므로 중심의 좌표는 (1, -1)이다. y+9=m(x-2) .t3 y=mx-2m-9


이 점이 직선 y=ax+b 위에 있으므로 직선 l을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❶

a+b=-1 답② y=m(x-1)-2m-9 .t3 y=mx-3m-9

x^2+y^2+4x-10y+9=0에서 -y=-mx-3m-9 .t3 y=mx+3m+9


이 직선을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x+2)^2+(y-5)^2=20
1320
이 직선이 점 (10, -4)를 지나므로
⇨❷

-4=10m+3m+9, 13m=-13
(y+2)^2+(x-5)^2=20 .t3 (x-5)^2+(y+2)^2=20 .t3 m=-1
이므로 대칭이동한 원의 방정식은

이 원이 x축과 만나는 점의 x좌표는 따라서 직선 l의 기울기는 -1이다.


(x-5)^2+(0+2)^2=20, (x-5)^2=16 답 -1
⇨❸

x-5=-4 또는 x-5=4
.t3 x=1 또는 x=9
❶ 직선 l의 기울기를 m이라 하고 직선의 방정식을 세울 수 있다.
채점 기준 비율

❷ 직선 l을 평행이동한 후 대칭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20%

9-1=8
따라서 두 교점 사이의 거리는

❸ 직선 l의 기울기를 구할 수 있다.
50%
답④
30%

y=(-x)^2-4a.c1(-x)+4
1321 대칭이동한 포물선의 방정식은

=x^2+4ax+4
1326 원 (x+a)^2+(y+b)^2=16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원
=(x+2a)^2+4-4a^2
(x+a)^2+(-y+b)^2=16
의 방정식은

이 포물선의 꼭짓점 (-2a, 4-4a^2)이 직선 y=x+2 위에 있으므로


.t3 (x+a)^2+(y-b)^2=16
4-4a^2=-2a+2, 4a^2-2a-2=0
이 원을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원의 방정식은
2a^2-a-1=0, (2a+1)(a-1)=0
(x+a)^2+(y-3-b)^2=16
.t3 a=1 (.T3 a>0) 답1
이 원이 x축과 y축에 동시에 접하므로
|-a|=4, |3+b|=4
-y=(-x)^2+a.c1(-x)+b .t3 a=4, b=1 (.T3 a>0, b>0)
1322 대칭이동한 포물선의 방정식은

a^2
.t3 y=-x^2+ax-b=-(x-a/2)^2+ -b .t3 a+b=5
4
답①

a^2
이 포물선의 꼭짓점 (a/2, -b)가 점 (5, -1)과 일치하므로
4 1327 두 점 (a, 4), (-5, b)를 이은 선분의 중점의 좌표가 (2, 3)
a^2
a/2=5, -b=-1
4 a-5 4+b
이므로

.t3 a=10, b=26 =2, =3


2 2
.t3 3a-b=3.c110-26=4 .t3 a=9, b=2
.t3 ab=18 답 18
답②

1323 점 (3, a)를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의 좌표는


(a, 3)
이 점을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 1328 두 포물선이 점 (a, b)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두 포물선의
(a-2, 6) 꼭짓점도 점 (a, b)에 대하여 대칭이다.
이 점이 점 (4, b)와 일치하므로 포물선 y=x^2-6x+6=(x-3)^2-3의 꼭짓점의 좌표는
한 점의 좌표는

a-2=4, 6=b (3, -3)


.t3 a=6, b=6 포물선 y=-x^2+8x-2=-(x-4)^2+14의 꼭짓점의 좌표는
.t3 a-b=0 답① (4, 14)

114 • 정답 및 풀이
본책 180~183쪽

따라서 두 꼭짓점을 이은 선분의 중점의 좌표가 (a, b)이므로 또 두 점 (-1, 3), (a, b)를 지나는 직선이 직선 y=-x-4와 수
3+4 -3+14
a= =7/2
, b= =1
2
/
1
2 2 b-3
직이므로

.t3
b-a=2 답2 ~·(-1)=-1
a+1
.t3
a-b=-4 .c3
.c3
`㉡
㉠, ㉡을 연립하여 풀면 a=-7, b=-3
x^2 +y^2 -8x+12=0에서 (x-4)^2 +y^2 =4
따라서 대칭이동한 원의 중심의 좌표는 (-7, -3)이고, 원은 대
원의 중심 (4, 0)을 점 (3, -1)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의 좌표를
1329
칭이동해도 반지름의 길이가 변하지 않으므로 반지름의 길이는 12~
(a, b)라 하면
이다.
4+a 0+b
=3, =-1
2 2
(x+7)^2 +(y+3)^2 =2 답 (x+7)^2 +(y+3)^2 =2
즉 구하는 원의 방정식은

.t3
a=2, b=-2
따라서 대칭이동한 원의 중심의 좌표는 (2, -2)이고, 원은 대칭이
1333 점 A(3, 1)을 x축에 대하여 대칭이
동해도 반지름의 길이가 변하지 않으므로 반지름의 길이는 2이다.
동한 점을 A'이라 하면
Z

A'(3, -1)
# 

(x-2)^2 +(y+2)^2 =4
즉 구하는 원의 방정식은

.t3
AP^_
   +BP^_
   =A'P4+BP^_
   
답② "

_> A'B4



=2(-2-3)^2 +(4x+1)^2 x~
 Y

1330 두 점 (-2, 9), (4, 15)를 이은 선분의 중점의 좌표는


0

"

=512
1

-2+4 9+15
(~ ,~ ~), 즉 (1, 12)
2 2
답②

이 점이 직선 y=ax+b 위의 점이므로 1334 점 B(3, 2)를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B'이라 하면
Z

12=a+b .c3
.c3
`㉠
ZY

B'(2, 3)
#

또 두 점 (-2, 9), (4, 15)를 지나는 직선이 직선 y=ax+b와 수




.t3
AP^_
   +BP^_
   =AP^_
   +B'P4
 #
1

15-9 _> AB'4


직이므로 

·a=-1 .t3
a=-1
0   Y

4+2 ~ =2(2-5)^2 +(3+x1)^2 x~


 "

a=-1을 ㉠에 대입하면 b=13 =5 답5


.t3
ab=-13
점 (x, y)를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b만
답②

큼 평행이동한 점의 좌표는 (x+a, y+b)이다.


1335

1331 두 점 (-3, 2), (b, -8)을 이은 선분의 중점의 좌표는 2+a=b, -3+a+1=1이므로
-3+b 2-8 -3+b a=3, b=5 .t3
ab=15
(~ ,~ ~), 즉 (~ , -3)

13
2 2 2
답⑤

이 점이 직선 y=x+a 위의 점이므로 도형 f(x, y)=0을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

도형의 이동
-3+b 로 b만큼 평행이동한 도형의 방정식은 ~~f(x-a, y-b)=0이다.
1336
-3= +a
2 x^2 +y^2 -4x+8y+19=0에서
.t3
2a+b=-3 .c3
.c3
`㉠ (x-2)^2 +(y+4)^2 =1
또 두 점 (-3, 2), (b, -8)을 지나는 직선이 직선 y=x+a와 수
(x-2-2)^2 +(y+3+4)^2 =1
따라서 평행이동한 원의 방정식은

-8-2 ·1=-1 .t3


(x-4)^2 +(y+7)^2 =1
.t3
b=7
직이므로

b+3
즉 구하는 원의 중심의 좌표는 (4, -7)이다. 답 (4, -7)
b=7을 ㉠에 대입하면 a=-5
.t3
a+b=2 답2 도형 f(x, y)=0을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도형의 방
정식은 ~f(-x, y)=0이다.
1337

직선 y=ax+b를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1332 원 (x+1)^2 +(y-3)^2 =2의 중심 (-1, 3)을 직선 y=-x-4
y=-ax+b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의 좌표를 (a, b)라 하면 두 점 (-1, 3),
이 직선이 점 (2, -10)을 지나므로
⇨❶

(a, b)를 이은 선분의 중점의 좌표는


-10=-2a+b .c3
.c3
`㉠
-1+a 3+b
(~ ,~ ~) 또 직선 y=-ax+b가 직선 y=-3x+1과 평행하므로
2 2
이 점이 직선 y=-x-4 위의 점이므로 -a=-3 .t3
a=3
3+b -1+a a=3을 ㉠에 대입하면 ~b=-4
=- -4 .t3
a+b=-1
2 2
⇨❷

.t3
a+b=-10 .c3
.c3
`㉠ 답 -1
⇨❸

13``도형의 이동 • 115
정답 및 풀이

평행한 두 직선 l_1, l_2 사이의 거리는 직선 l_1 위의 한 점과


직선 l_2 사이의 거리와 같음을 이용한다.
1342
❶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채점 기준 비율

❷ a, 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직선 l'의 방정식은


40%

❸ a+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x-a)-2(y+3)+2=0


40%

.t3 x-2y-a-4=0
20%

직선 l 위의 한 점 (0, 1)과 직선 l' 사이의 거리가 215이므로


도형 f(x, y)=0을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도형 |-2-a-4|
의 방정식은 f(y, x)=0이다. =215, |a+6|=10
1338
21+(x-2)^2x
원 (x-a)^2+(y-4)^2=16을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 a+6=-10 또는 a+6=10
.t3 a=4 (.T3 a>0) 답4
(y-a)^2+(x-4)^2=16 .t3 (x-4)^2+(y-a)^2=16
한 원의 방정식은

(4, a)
두 점 (4, a), (0, 0) 사이의 거리가 5이므로
따라서 원의 중심의 좌표는
1343 원의 넓이를 이등분하는 직선은 원의 중심을 지남을 이용

24^2+a^2x~=5, a^2=9 .t3 a=3~(.T3 a>0) 답3


한다.

y-2a=(x-a)+5
평행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점 (4, 2)가 PQ^_의 중점임을 이용한다. .t3 y=x+a+5


PQ^_의 중점의 좌표가 (4, 2)이므로 이 직선이 원 (x-3)^2+(y-2)^2=9의 넓이를 이등분하려면 직선
1339

a-8 3+b 이 원의 중심 (3, 2)를 지나야 하므로


=4, =2
2 2 2=3+a+5 .t3 a=-6
.t3 a=16, b=1
답①

따라서 두 점 P(16, 3), Q(-8, 1)을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는


1-3 원 C'의 방정식은
1344
=1
평행이동한 원의 방정식을 먼저 구한다.

1
/
2
-8-16
(x-a-1)^2+(y-b+2)^2=4
답①

원 C의 중심의 좌표는 (1, -2), 원 C'의 중심의 좌표는


점 A를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A'이라 하면 (a+1, b-2)이고, 이 두 원의 중심 사이의 거리가 4이므로
AP^_+BP^__>A'B임 2(a+1-x1)^2+(bx-2+x2)^2x~=4, 2a^2+b^2x~=4
1340

점 A(1, 2)를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4 을 이용한다.
.t3 a^2+b^2=16 답 16
점을 A'이라 하면
Z
#


A'(-1, 2) 세 점 (x_1, y_1), (x_2, y_2), (x_3, y_3)을 꼭짓점으로 하는


1

.t3 AP^_+BP^_=A'P4+BP^_ x_1+x_2+x_3 y_1+y_2+y_3


1345
삼각형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 , )임을 이용한다.
" "

_>A'B4 3 3


=2(2+1)^2+(5x-2)^2x~ 점 (6, -9)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 P의 좌표는


 0   Y

=312 P(6, 9)
점 (6, -9)를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 Q의 좌표는
답②

Q(-6, -9)
평행이동 (x, y) (x+m, y+n)에 의하여 점 (a, b)
점 (6, -9)를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 R의 좌표는
가 점 (p, q)로 옮겨지면 ~p=a+m, q=b+n이다.
1341
R(-9, 6)
평행이동 (x, y) (x+m, y+n)에 의하여 점 (0, 0)이
따라서 semoPQR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점 (3, -2)로 옮겨지므로
6-6-9 9-9+6
0+m=3, 0+n=-2 (~ ,~ ~), 즉 (-3, 2)
3 3
.t3 m=3, n=-2
따라서 a=-3, b=2이므로
따라서 점 P(a, b)가 평행이동에 의하여 옮겨지는 점의 좌표는
⇨❶

ab=-6 답 -6
(a+3, b-2)
이 점이 점 (0, 0)과 일치하므로
두 직선 ax+by+c=0, a'x+b'y+c'=0이 수직이면
a+3=0, b-2=0
aa'+bb'=0임을 이용한다.
1346
.t3 a=-3, b=2
직선 l의 방정식은
.t3 a-b=-5
⇨❷

3x+(k+1)y-8=0
답 -5
⇨❸

이 직선이 직선 2x-ky+1=0과 수직이므로


3·2+(k+1)·(-k)=0, k^2+k-6=0
❶ m, n의 값을 구할 수 있다. (k+3)(k-2)=0
채점 기준 비율

❷ a, 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t3 k=-3 또는 k=2


40%

❸ a-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실수 k의 값의 합은 -1이다. 답 -1


40%
20%

116 • 정답 및 풀이
본책 183~185쪽

원이 x축에 의하여 잘리는 현의 길이는 원과 x축이 만나 1+b 1+a


= +3
2 2
1347

x^2 +y^2 +2x-3=0에서 (x+1)^2 +y^2 =4 .t3


a-b=-6 .c3
.c3
`㉠
는 두 점 사이의 거리와 같다.

또 직선 BC가 직선 y=x+3과 수직이므로


b-1
(-x+1)^2 +(-y)^2 =4 ·1=-1 .t3
a+b=2 .c3
.c3
`㉡
이 원을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원의 방정식은

a-1 ~
.t3
(x-1)^2 +y^2 =4 .c3
.c3
`㉠ ㉠, ㉡을 연립하여 풀면
원 ㉠을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원의 방정식은
⇨❶

a=-2, b=4
Z

(y-1)^2 +x^2 =4
$ 

C(-2, 4)
.t3
x^2 +(y-1)^2 =4 .c3
.c3
`㉡
이므로 

원 ㉡이 x축에 의하여 잘리는 현의 길이는 원


⇨❷ "
따라서 오른쪽 그림에서

semo
ABC=1/2
·2·3=3
 #

과 x축이 만나는 두 점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


Z

로 ㉡에 y=0을 대입하면
  0  Y

x^2 +1=4, x^2 =3


답①


.t3
x=z13 점 A를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A', 점 B를 x축에
1 0 1 Y

따라서 원과 x축이 만나는 두 점의 좌표는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B'이라 하면 AP^_


   +PQ^_
   +QB^_
   _> A'B'4임을 이용
 1351

(-13, 0), (13, 0)이므로 구하는 현의 길이는


    13-(-13~)=213~ 점 A(2, 3)을 y축에 대하여 대
한다.

답 213~
⇨❸
칭이동한 점을 A'이라 하면
Z
"A  1 "

A'(-2, 3)
점 B(4, 1)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
채점 기준 비율 ⇨❶
#

한 점을 B'이라 하면


❷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원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❶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원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30% 2

B'(4, -1)
30%  0   Y


.t3
AP^_
   +PQ^_
   +QB^_
   =A'P4+PQ^_   +QB'4
❸ 현의 길이를 구할 수 있다. 40% ⇨❷ #

도형 f(x, y)=0을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도형 _> A'B'4


의 방정식은 ~f(y, x)=0이다. =2(4+2)^2 +(-1x-3)^2 x~
1348

ㄱ. 대칭이동한 도형의 방정식은 =2113q~


x=-y+2 .t3
y=-x+2 답 2113q~
⇨❸

ㄴ. 대칭이동한 도형의 방정식은


|y-x|=1 .t3
|x-y|=1 ❶ 점 A'의 좌표를 구할 수 있다.
채점 기준 비율

ㄷ. 대칭이동한 도형의 방정식은 ❷ 점 B'의 좌표를 구할 수 있다.


30%

(y+1)^2 +(x-1)^2 =1 .t3


(x-1)^2 +(y+1)^2 =1 ❸ AP^_
   +PQ^_
   +QB^_
   의 최솟값을 구할 수 있다.
30%

13
이상에서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하였을 때, 처음의 도형과
40%

일치하는 도형의 방정식은 ㄱ, ㄴ이다.

도형의 이동
답③
1352 원과 직선이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려면 원의 중심과
직선 사이의 거리가 반지름의 길이보다 작아야 함을 이용한다.
1349 이동하는 순서에 주의하여 대칭이동과 평행이동한 직선의

y=-3(x-a)+14
평행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직선 2x+3y-7=0을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
방정식을 구한다.

.t3
3x+y-3a-14=0 .c3
.c3
`㉠
직선 ㉠이 원 (x-1)^2 +y^2 =10과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려면
3x+2y-7=0
의 방정식은

이 직선을 평행이동 (x, y) 원의 중심 (1, 0)과 직선 ㉠ 사이의 거리가 원의 반지름의 길이인


(x+a, y-1)에 의하여 옮긴 직
110q~보다 작아야 하므로
|3-3a-14|
3(x-a)+2(y+1)-7=0 <110q~, |3a+11|<10
선의 방정식은

.t3
3x+2y-3a-5=0 23^2 +1^2 x
이 직선이 직선 3x+2y-2=0과 일치하므로 -10<3a+11<10

-3a-5=-2 .t3
a=-1 .t3
-7<a<-1
3
/
따라서 정수 a는 -6, -5, -4, .c3
, -1의 6개이다. 답6
답②

1350 두 점 P, Q가 직선 l에 대하여 대칭이면 직선 l은 PQ^_


   의

중심의 좌표가 (a, b), 반지름의 길이가 r인 원이 x축, y


C(a, b)라 하면 BC^_
   의 중점의 좌표는
수직이등분선임을 이용한다.

축에 동시에 접하면 |a|=|b|=r임을 이용한다.


1353
1+a 1+b
(~ ,~ ~)
2 2
이 점이 직선 y=x+3 위의 점이므로 (x+a)^2 +(y-b-2)^2 =16
평행이동한 원의 방정식은

13``도형의 이동 • 117
정답 및 풀이

이 원이 x축, y축에 동시에 접하고 원의 중심 (-a, b+2)가 제~2~ (-4, 1), (p, q)를 이은 선분의 중점의 좌표는
-4+p 1+q
(~ ,~ ~)
-a=-4, b+2=4 2 2
사분면 위에 있으므로

.t3 a=4, b=2 이 점이 직선 y=-x+2 위의 점이므로


.t3 a+b=6 답6 1+q -4+p
=- +2
2 2
.t3 p+q=7 .c3.c3`㉠
먼저 점 (2, -3)을 점 (10, 3)으로 옮기는 평행이동을
1354 또 두 점 (-4, 1), (p, q)를 지나는 직선이 직선 y=-x+2와 수

점 (2, -3)을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b만큼


찾는다.

q-1
직이므로

평행이동한 점의 좌표가 (10, 3)이라 하면 ·(-1)=-1


p+4 ~
2+a=10, -3+b=3
.t3 p-q=-5 .c3.c3`㉡
.t3 a=8, b=6
㉠, ㉡을 연립하여 풀면 p=1, q=6
즉 원 O:`x^2+y^2=4를 x축의 방향으로 8만큼, y축의 방향으로 6만
원의 중심의 좌표는 (1, 6)이고, 원은 대칭이동해도 반지름의 길이
큼 평행이동한 원 O'의 방정식은
가 변하지 않으므로 반지름의 길이는 2이다.
O':`(x-8)^2+(y-6)^2=4
따라서 원 O 위의 점 P와 원 O' 위의 점
(x-1)^2+(y-6)^2=4
따라서 대칭이동한 원의 방정식은

P'에 대하여 PP'4의 길이의 최솟값은 오른


Z

.t3 x^2+y^2-2x-12y+33=0
0

즉 a=-2, b=-12, c=33이므로



쪽 그림과 같이 두 원의 중심 사이의 거리

a+b+c=19
1
1
에서 두 원의 반지름의 길이의 합을 뺀 것
Y
답④


28^2+6^2x~-(2+2)=6 답6
과 같으므로 구하는 최솟값은 0

점 A(8, 4)를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A',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A''이라 하면 AP^_+PQ^_+QA^__>A'A''4
1357
두 원 위의 점 사이의 거리의 최대~·~최소

반지름의 길이가 r인 원 O 위의 점 P
와 반지름의 길이가 r'인 원 O' 위의 점 A(8, 4)를 직선 y=x에 대하여 대
0 1 임을 이용한다.
E

칭이동한 점을 A',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Z ZY

점 P'에 대하여 두 원 O, O'의 중심


S
0 1 "

사이의 거리를 d라 할 때 점을 A''이라 하면


S 1 
1 1

① (PP'4의 최댓값)=d+r+r' A'(4, 8), A''(8, -4)


 "

② (PP'4의 최솟값)=d-r-r' .t3 AP^_+PQ^_+QA^_


0 
2  Y

`=A'P4+PQ^_+QA''4

"

`_>A'A''4
점 P의 좌표를 (a, b)라 하면 점 Q의 좌표는 (-a, -b)
1355 `=2(8-4)^2+(-4x-8)^2x
`=1160a~
P(a, b)라 하면 점 Q는 점 P를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
이다.

따라서 m=1160a~이므로 m^2=160 답 160

Q(-a, -b)
이므로

두 점 P(a, b), Q(-a, -b)는 곡선 y=x^2+2x-9 위의 점이므

b=a^2+2a-9 .c3.c3`㉠

-b=a^2-2a-9 .c3.c3`㉡
㉠+㉡을 하면 2a^2-18=0, a^2=9
.t3 a=z3
 a=-3일 때, b=-6
 a=3일 때, b=6
, 에서
P(-3, -6), Q(3, 6) 또는 P(3, 6), Q(-3, -6)
.t3 PQ^_=2(3+3)^2+(6x+6)^2x~=615 답④

원의 중심 C를 대칭이동한 점을 C'이라 하면 직선
y=-x+2가 CC'4을 수직이등분함을 이용한다.
1356

원 (x+4)^2+(y-1)^2=4의 중심 (-4, 1)을 직선


y=-x+2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의 좌표를 (p, q)라 하면 두 점

118 • 정답 및 풀이
본책 185~187쪽

Ⅳ. 도형의 방정식 x^2 +(y-3)^2 =1의 내부(경계선 제외)이


Z
1365 주어진 부등식의 영역은 원  Yᐘ Z
ᐘ

므로 오른쪽 그림의 색칠한 부분과 같다.



14 부등식의 영역


0 Y

y=2x-1의 윗부분(경계선 제외)이므로 오


Z
1358 주어진 부등식의 영역은 직선 ZY
답 풀이 참조

른쪽 그림의 색칠한 부분과 같다. 0 



Y

(x+5)^2 +(y-1)^2 =9의 외부( 경계선 포


Z
 1366 주어진 부등식의 영역은 원

함) 이므로 오른쪽 그림의 색칠한 부분과




답 풀이 참조  0 Y
같다.
Y 
ᐘ Z
ᐘ

y=x^2 +2의 아랫부분(경계선 제외)이므로 오


Z
1359 주어진 부등식의 영역은 포물선 답 풀이 참조

른쪽 그림의 색칠한 부분과 같다. x^2 +y^2 -8x_< 0에서


(x-4)^2 +y^2 _< 16
Z
 ZYᐘ  1367 Y
ᐘ Zᐘ
0 Y

(x-4)^2 +y^2 =16의 내부(경계선 포함)이


따라서 주어진 부등식의 영역은 원
답 풀이 참조 0   Y

므로 오른쪽 그림의 색칠한 부분과 같다.


x+y-4_< 0에서
y_< -x+4
1360 Z
답 풀이 참조


y=-x+4의 아랫부분(경계선 포함)이므로


따라서 주어진 부등식의 영역은 직선
x^2 +y^2 =25
 1368 경계선의 방정식은

오른쪽 그림의 색칠한 부분과 같다. 따라서 색칠한 부분은 원 x^2 +y^2 =25의 내부(경계선 제외)이므로
0 Y

x^2 +y^2 <25 답 x^2 +y^2 <25


ZY 
답 풀이 참조

1361
x^2 +y-3_> 0에서
(x+1)^2 +(y+1)^2 =2
1369 경계선의 방정식은
y_> -x^2 +3
Z

따라서 색칠한 부분은 원 (x+1)^2 +(y+1)^2 =2의 외부(경계선 포



1 1

y=-x^2 +3의 윗부분(경계선 포함)이므로 함)이므로


따라서 주어진 부등식의 영역은 포물선 0 Y

오른쪽 그림의 색칠한 부분과 같다. ZYᐘ  (x+1)^2 +(y+1)^2 _> 2 답 (x+1)^2 +(y+1)^2 _>
2

3x-y<0에서 y>3x
답 풀이 참조
1370 ZY Z ZY

y=-2x의 아랫부분(경계선 제외)과 직선


따라서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영역은 직선
1362 경계선의 방정식은
y=1
2x+3
/ y=3x의 윗부분(경계선 제외)의 공통부분이
므로 오른쪽 그림의 색칠한 부분과 같다.
0 Y

따라서 색칠한 부분은 직선 y=1


/x+3의 윗부분(경계선 제외)이므로
2

y>1
2x+3 답 y>1
2x+3
답 풀이 참조

/ /

y=x+1의 아랫부분(경계선 제외)과 포물


Z
1371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영역은 직선 ZYᐘ

선 y=x^2 의 윗부분(경계선 포함)의 공통부


y=(x-2)^2 , 즉 y=x^2 -4x+4
ZY 
1363 경계선의 방정식은
14

따라서 색칠한 부분은 포물선 y=x^2 -4x+4의 아랫부분(경계선 포




다.
분이므로 오른쪽 그림의 색칠한 부분과 같 

함)이므로
0 Y
부등식의 영역

y_< x^2 -4x+4 답 y_<


x^2 -4x+4
답 풀이 참조

x^2 +2x+y-1_< 0에서


y_< -x^2 -2x+1
Z ZY 
1372

x^2 +y^2 =4의 외부(경계선 제외)이므로 오른


Z 
1364 주어진 부등식의 영역은 원 

쪽 그림의 색칠한 부분과 같다. y=-x^2 -2x+1의 아랫부분(경계선 포함)


따라서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영역은 포물선
Y

과 직선 y=x+2의 윗부분(경계선 포함)의


 0
 0  Y 

 Yᐘ Zᐘ ZYᐘY 

과 같다.
공통부분이므로 오른쪽 그림의 색칠한 부분
답 풀이 참조 답 풀이 참조

14``부등식의 영역 • 119
정답 및 풀이

(x-5)(y+1)_>0에서
x^2+y^2=3의 외부(경계선 포함)와 포물선 x-5_>0 x-5_<0
1373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영역은 원 Z ZYᐘ  1380
c~ 또는 c~
y=x^2+1의 아랫부분(경계선 제외)의 공통부 y+1_>0 y+1_<0
1

분이므로 오른쪽 그림의 색칠한 부분과 같다. x_>5 x_<5


즉 c~ .c3~㉠ 또는 c~ .c3~㉡


y_>-1 y_<-1
1 0 1 Y
1 Yᐘ Zᐘ

의 색칠한 부분(경계선 포함)과 같다.


따라서 주어진 부등식의 영역은 오른쪽 그림 Z
답 풀이 참조

답 _>, _<
0  Y
1374  Z

답 <, <

1375 Y
답 풀이 참조

y=2x-1, y=-x+1
1376 경계선의 방정식은

따라서 색칠한 부분은 직선 y=2x-1의 윗부분(경계선 포함)과 직선 (x^2+y^2-2)(y-x^2)_<0에서


x^2+y^2-2_>0 x^2+y^2-2_<0
1381
y=-x+1의 윗부분(경계선 포함)의 공통부분이므로 구하는 연립 c~ 또는 c~
y-x^2_<0 y-x^2_>0

y_>2x-1 y_>2x-1 x^2+y^2_>2 x^2+y^2_<2


부등식은
즉 c~ .c3~㉠ 또는 c~ .c3~㉡
c~ 답 c~ y_<x^2 y_>x^2
y_>-x+1 y_>-x+1

의 색칠한 부분(경계선 포함)과 같다.


따라서 주어진 부등식의 영역은 오른쪽 그림 Z ZYᐘ
1377 경계선의 방정식은
y=1
2x^2, (x-2)^2+y^2=4
1

/
㉡ ㉠

따라서 색칠한 부분은 포물선 y=1


/x^2의 윗부분(경계선 제외)과 원
0 1 Y
2
1
1 Yᐘ Zᐘ

(x-2)^2+y^2=4의 내부(경계선 제외)의 공통부분이므로 구하는 연 답 풀이 참조

y>1/2x^2 y>1/2x^2
립부등식은

1382 ⑴ ㉠: y=x^2, ㉡: y=2x


c~ 답 c~
(x-2)^2+y^2<4 (x-2)^2+y^2<4 ⑵ 영역 A는 포물선 ㉠의 윗부분(경계선 포함)과 직선 ㉡의 윗부분
y_>x^2
(경계선 포함)의 공통부분이므로 c~
(x-y)(2x+y-2)>0에서 y_>2x
x-y>0 x-y<0 영역 B는 포물선 ㉠의 아랫부분(경계선 포함)과 직선 ㉡의 아랫
1378
c~ 또는 c~
2x+y-2>0 ~~ 2x+y-2<0 y_<x^2
부분(경계선 포함)의 공통부분이므로 c~
y<x y>x y_<2x
즉 c~ .c3~㉠ 또는 c~ .c3~㉡
y>-2x+2 y<-2x+2 y_>x^2 y-x^2_>0
⑶ c~ c~
y_>2x y-2x_>0
에서

림의 색칠한 부분(경계선 제외)과 같다. y_<x^2 y-x^2_<0


따라서 주어진 부등식의 영역은 오른쪽 그 Z ZY

c~ c~
y_<2x y-2x_<0
㉡ 
㉠ 에서

.t3 (y-x^2)(y-2x)_>0
0
 Y
답 풀이 참조
ZY 

1383 ⑴ ㉠: (x-1)^2+y^2=1, ㉡: x^2+(y-1)^2=1


답 풀이 참조

1379
(x+y-2)(x^2+y^2-4)<0에서 ⑵ 영역 A는 원 ㉠의 내부(경계선 제외)와 원 ㉡의 외부(경계선 제
x+y-2>0 x+y-2<0 (x-1)^2+y^2<1
c~ 또는 c~ 외)의 공통부분이므로 c~
x^2+y^2-4<0 x^2+y^2-4>0 x^2+(y-1)^2>1
y>-x+2 y<-x+2 영역 B는 원 ㉠의 외부(경계선 제외)와 원 ㉡의 내부(경계선 제
즉 c~ .c3~㉠ 또는 c~ .c3~㉡ (x-1)^2+y^2>1
x^2+y^2<4 x^2+y^2>4
외)의 공통부분이므로 c~
x^2+(y-1)^2<1
의 색칠한 부분(경계선 제외)과 같다. (x-1)^2+y^2<1 x^2+y^2-2x<0
따라서 주어진 부등식의 영역은 오른쪽 그림 Z

⑶ c~ c~
 Yᐘ Zᐘ

x^2+(y-1)^2>1 x^2+y^2-2y>0
㉠ 에서

(x-1)^2+y^2>1 x^2+y^2-2x>0
 

c~ c~
0 Y

x^2+(y-1)^2<1 x^2+y^2-2y<0
㉡  ZY  에서

답 풀이 참조 .t3 (x^2+y^2-2x)(x^2+y^2-2y)<0 답 풀이 참조

120 • 정답 및 풀이
본책 187~190쪽

x+y=k~(k는 상수)로 놓으면


y=-x+k .c3
.c3
~㉠ 같다.
1384 1390 점의 좌표를 주어진 부등식의 좌변에 각각 대입하면 다음과

이때 직선 ㉠이 점 (3, 3)을 지날 때 k의 값이 최대이므로 최댓값은 (5, 1) ➲ 5^2 -4.c1 5-1+1=5>0


3+3=6 (2, -1) ➲ 2^2 -4.c1 2-(-1)+1=-2<0
또 직선 ㉠이 점 (0, 0)을 지날 때 k의 값이 최소이므로 최솟값은 (-1, 3) ➲ (-1)^2 -4.c1 (-1)-3+1=3>0
0+0=0 답 최댓값: 6, 최솟값: 0 (0, 2) ➲ 0^2 -4.c1 0-2+1=-1<0
(4, 0) ➲ 4^2 -4.c1 4-0+1=1>0
x-y=k~(k는 상수)로 놓으면 따라서 주어진 부등식의 영역에 속하는 점은 (2, -1), (0, 2)의 2
y=x-k .c3
.c3
~㉠
1385
개이다.
이때 직선 ㉠이 점 (0, 2)를 지날 때 -k의 값이 최대, 즉 k의 값이
답②

0-2=-2
1391 점 (a, 1)이 부등식 y<x^2 -2x-2의 영역에 속하려면
최소이므로 최솟값은

1<a^2 -2a-2, a^2 -2a-3>0


또 직선 ㉠이 점 (3
2, 0)을 지날 때 -k의 값이 최소, 즉 k의 값이
/ (a+1)(a-3)>0
.t3
a<-1 또는 a>3
따라서 자연수 a의 최솟값은 4이다. 답4
최대이므로 최댓값은

2-0=3
    3
/ 2
/ 답 최댓값: 3
2, 최솟값: -2
/

x-2y=k~(k는 상수)로 놓으면 1392 곡선 y=2x^2 +ax+1의 아랫부분을 나타내는 부등식은


y<2x^2 +ax+1
1386
y=1/2
x-k/2
.c3
.c3
~㉠
점 (3, -5)가 이 부등식의 영역에 속하므로
이때 직선 ㉠이 점 (0, 6)을 지날 때 -k/2
의 값이 최대, 즉 k의 값이 -5<2.c1 3^2 +3a+1, 3a>-24
.t3
a>-8 답 a>-8

0-2·6=-12
최소이므로 최솟값은

또 직선 ㉠이 점 (6, 0)을 지날 때 -k/2


의 값이 최소, 즉 k의 값이 1393 두 점 (-2, 5), (0, -1)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1-5
y-5= ~(x+2)
0+2
    6-2·  0=6 답 최댓값: 6, 최솟값: -12
최대이므로 최댓값은
.t3
y=-3x-1

y>-3x-1, 즉 3x+y+1>0
따라서 구하는 부등식은

쪽 그림의 색칠한 부분(경계선 포함)과 같다.


Z
1387 ⑴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영역은 오른
답①

⑵ x-y=k~(k는 상수)로 놓으면




y=x-k .c3
.c3
~㉠ y=x^2 -6x+1=(x-3)^2 -8
(3, -8)
1394
직선 ㉠이 점 (3, 0)을 지날 때 -k의 값이
0  Y

최소, 즉 k의 값이 최대이므로 최댓값은 직선 y=kx+4의 윗부분을 나타내는 부등식은


Y Z 이므로 포물선의 꼭짓점의 좌표는 ⇨❶

3-0=3 y>kx+4
⑶ 직선 ㉠이 점 (0, 3)을 지날 때 -k의 값이 최대, 즉 k의 값이 점 (3, -8)이 이 부등식의 영역에 속하므로
⇨❷

-8>3k+4, 3k<-12
0-3=-3 .t3
k<-4
최소이므로 최솟값은

따라서 정수 k의 최댓값은 -5이다.


답 풀이 참조

답 -5
⇨❸

쪽 그림의 색칠한 부분(경계선 포함)과


Z
1388 ⑴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영역은 오른


같다.
Y Z 채점 기준 비율

⑵ 2x+3y=7, 2x+y=5를 연립하여 풀면


14

❶ 주어진 포물선의 꼭짓점의 좌표를 구할 수 있다. 30%

x=2, y=1



❸ 정수 k의 최댓값을 구할 수 있다.
 Y Z ❷ 주어진 직선의 윗부분을 나타내는 부등식을 구할 수 있다. 30%
부등식의 영역

따라서 교점의 좌표는 (2, 1)이다.


 A
40%

⑶ x+y=k~(k는 상수)로 놓으면


0   Y
 
 

y=-x+k .c3
.c3
~㉠ 1395 원 x^2 +(y-2)^2 =13의 내부를 나타내는 부등식은
이때 직선 ㉠이 점 (2, 1)을 지날 때 k의 값이 최대이므로 구하는 x^2 +(y-2)^2 <13
2+1=3 점 (3, a)가 이 부등식의 영역에 속하므로
9+(a-2)^2 <13, a^2 -4a<0
최댓값은 답 풀이 참조

1389 점 (5, a)가 부등식 y_> -x+3의 영역에 속하므로 a(a-4)<0 .t3
0<a<4
a_> -5+3 .t3
a_> -2 따라서 자연수 a는 1, 2, 3이므로 모든 자연수 a의 값의 합은 6이
따라서 음의 정수 a는 -2, -1의 2개이다. 답2 다. 답③

14``부등식의 영역 • 121
정답 및 풀이

1396 경계선은 중심의 좌표과 (2, 1)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2인 D


=k^2-2(k^2-4)_<0, k^2_>8
원이다. 즉 경계선의 방정식은 4
.t3 k_<-212~ 또는 k_>212~
(x-2)^2+(y-1)^2=4
따라서 구하는 k의 값의 범위는
따라서 색칠한 부분은 원 (x-2)^2+(y-1)^2=4의 내부(경계선 제
k_<-212~ 답 k_<-212~
외)이므로
원과 직선이 접하거나 만나지 않으려면 원 x^2+y^2=4의
(x-2)^2+(y-1)^2<4
중심 (0, 0)과 직선 y=x+k, 즉 x-y+k=0 사이의 거리가 원의
이때 점 (a, 2)가 이 부등식의 영역에 속하려면
반지름의 길이인 2보다 크거나 같아야 하므로
(a-2)^2+(2-1)^2<4, (a-2)^2<3
|k|
-13~<a-2<13~ .t3 2-13~<a<2+13~ _>2, |k|_>212
21^2+(x-1)^2x
답 2-13~<a<2+13~
.t3 k_<-212~~ 또는 k_>212~
따라서 구하는 k의 값의 범위는
1397 y=x-1, y=-2x+5를 연립하여 풀면 k_<-212~
x=2, y=1 k_>212~이면 직선이 원의 위쪽에서 접하거나 원의 위쪽에 있다.
이므로 두 직선의 교점의 좌표는 (2, 1)이다.
원 x^2+y^2+2x-a=0, 즉 (x+1)^2+y^2=a+1의 외부를 나타내는
⇨❶

1400 부등식 (x-2)^2+y^2_<r^2, x^2+y^2_<9의 영역은 각각 원


(x-2)^2+y^2=r^2의 내부(경계선 포함), 원 x^2+y^2=9의 내부(경
(x+1)^2+y^2>a+1
부등식은

계선 포함)이다.
점 (2, 1)이 이 부등식의 영역에 속하려면
⇨❷

(2+1)^2+1^2>a+1
(x-2)^2+y^2=r^2이 원 x^2+y^2=9에 내
따라서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 Z

.t3 a<9
 Yᐘ Zᐘ

접하거나 원 x^2+y^2=9의 내부에 있어


따라서 정수 a의 최댓값은 8이다.
답8
⇨❸
 Y

0<r_<1
야 하므로  0


따라서 양수 r의 최댓값은 1이다.


 Y
ᐘ ZᐘSᐘ
채점 기준 비율
❶ 두 직선의 교점의 좌표를 구할 수 있다. 30%
답①

❸ 정수 a의 최댓값을 구할 수 있다.
❷ 주어진 원의 외부를 나타내는 부등식을 구할 수 있다. 30%

x-3y<k에서 y>1
3x-k
40%

1401 / 3
/

1398 점 (a, b)가 원 x^2+y^2=1의 내부에 있으므로 부등식 y>x^2, y>1


3x-k
/ 3의 영역은 각각 포물선 y=x^2의 윗부분
/
a^2+b^2<1
ㄱ. (-a)^2+(-b)^2=a^2+b^2<1 (경계선 제외), 직선 y=1
3x-k
/ 3의 윗부분(경계선 제외)이다.
/
이므로 점 (-a, -b)는 원 x^2+y^2=1의 내부에 있다.
ㄴ. b^2+a^2<1이므로 점 (b, a)는 원 x^2+y^2=1의 내부에 있다.
따라서 오른쪽 그림과 같이 포물선과 직선 Z ZYᐘ

ㄷ. (2a)^2+(2b)^2=4(a^2+b^2)<4
이 접하거나 만나지 않아야 하므로

x^2=1
3x-k
/ 3에서
/
이므로 점 (2a, 2b)는 항상 원 x^2+y^2=1의 내부에 있는 것은
아니다. 3x^2-x+k=0
0 Y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2)^2+(b
2)^2=1
YZL

ㄹ. (a
/ / 4(a^2+b^2)<1
/ 4
/
D=(-1)^2-4.c13.c1k_<0, 1-12k_<0
이므로 점 (a
2, b
/ 2)는 원 x^2+y^2=1의 내부에 있다.
/ .t3 k_>1
1
/
2
이상에서 원 x^2+y^2=1의 내부에 있는 점은 ㄱ, ㄴ, ㄹ이다.
.t3 a=1
/
1
2 답1
1
/
2
답④

ㄷ. a=1/2, b=1/2이면 a^2+b^2<1이지만 (2a)^2+(2b)^2=2>1이다.

다.
1402 점의 좌표를 주어진 연립부등식에 각각 대입하면 다음과 같

1399 부등식 x^2+y^2_<4, y_>x+k의 영역은 각각 원 x^2+y^2=4 ① 2^2+1^2=5<6, -2.c12+1=-3_<3


의 내부(경계선 포함), 직선 y=x+k의 윗부분(경계선 포함)이다. ② 0^2+2^2=4<6, -2.c10+2=2_<3
③ (-1)^2+1^2=2<6, -2.c1(-1)+1=3_<3
따라서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선이 원의 아 Z

④ (-2)^2+1^2=5<6, -2·(-2)+1=5>3
 Yᐘ Zᐘ

하므로 x^2+(x+k)^2=4에서
래쪽에서 접하거나 원의 아래쪽에 있어야
⑤ (-2)^2+(-1)^2=5<6, -2.c1(-2)+(-1)=3_<3
2x^2+2kx+k^2-4=0 따라서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영역에 속하지 않는 점은 ④이다.
 0  Y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ZY L
답④

122 • 정답 및 풀이
본책 190~193쪽

1403 부등식 y_< 2-x의 영역은 직선


y=-x+2의 아랫부분(경계선 포함)이고, 의 색칠한 부분(경계선 포함)과 같다.
Z ZYᐘ  따라서 구하는 부등식의 영역은 오른쪽 그림 Z

부등식 y_> 1+x^2 의 영역은 포물선 y=x^2 +1


㉢  ㉠

의 윗부분(경계선 포함)이므로 주어진 연립


 


0 Y
 ㉡

(경계선 포함)과 같다.


부등식의 영역은 오른쪽 그림의 색칠한 부분 0  Y Y Z
ZY 

㉣을 만족시키는 실수 x, y는 존재하지 않는다.


답②
답①

1404 -9x<x^2 +y^2 <5에서 1408 두 점 (1, 4), (-2, -1)이 직선 y=2x+k, 즉
-9x<x^2 +y^2 x^2 +y^2 +9x>0 2x-y+k=0에 대하여 서로 다른 영역에 있으므로
c~ , 즉 c~
x^2 +y^2 <5 x^2 +y^2 <5 (2-4+k)(-4+1+k)<0, (k-2)(k-3)<0
점 (2k, k)가 부등식 x^2 +y^2 +9x>0의 영역에 속하려면 .t3
2<k<3 답 2<k<3
(2k)^2 +k^2 +9.c1 2k>0, 5k^2 +18k>0
k(5k+18)>0 1409 두 점 (-2, 8), (2, -5)가 직선 2x-4y+3k=0에 대하
.t3
k<-1
8 또는 k>0
5
/ .c3
.c3
~㉠
(-4-32+3k)(4+20+3k)<0, (3k-36)(3k+24)<0
여 서로 다른 영역에 있으므로

또 점 (2k, k)가 부등식 x^2 +y^2 <5의 영역에 속하려면 (k-12)(k+8)<0 .t3 -8<k<12
(2k)^2 +k^2 <5, k^2 <1 따라서 alpha =-8, beta =12이므로
.t3
-1<k<1 .c3
.c3
~㉡ beta -alpha =20
㉠, ㉡에서 0<k<1 0<k<1
답⑤

(x-y)(x^2 +y^2 -9)_> 0에서 y=-x+1 .c3


.c3
~㉠
Z
1410 경계선의 방정식은
x-y_> 0 x-y_< 0
1405
x^2 +y^2 =4 .c3
.c3
~㉡
 Yᐘ Zᐘ

c~ 또는 c~
x^2 +y^2 -9_> 0 x^2 +y^2 -9_< 0 오른쪽 그림에서 영역 A는 직선 ㉠의 윗부
 "

y_< x y_> x
분(경계선 포함)과 원 ㉡의 내부(경계선 포
Y

즉 c~ ~㉠ 또는 c~
.c3 .c3
~㉡
 0  

x^2 +y^2 _> 9 x^2 +y^2 _< 9


함)의 공통부분이므로
# 

y_> -x+1 x+y-1_> 0


ZY 

의 색칠한 부분(경계선 포함)과 같다. c~ , 즉 c~


따라서 주어진 부등식의 영역은 오른쪽 그림 Z ZY

x^2 +y^2 _< 4 x^2 +y^2 -4_< 0




영역 B는 직선 ㉠의 아랫부분(경계선 포함)과 원 ㉡의 외부(경계


답⑤ ㉡

선 포함)의 공통부분이므로
  Y
0

y_< -x+1 x+y-1_< 0


c~ , 즉 c~
x^2 +y^2 _> 4 x^2 +y^2 -4_> 0
 Yᐘ Zᐘ

(x-y-1)(x^2 +y-1)_< 0에서


x-y-1_> 0 x-y-1_< 0 (x+y-1)(x^2 +y^2 -4)_< 0 답 (x+y-1)(x^2 +y^2 -4)_<
0
1406 따라서 구하는 부등식은

c~ 또는 c~
x^2 +y-1_< 0 x^2 +y-1_> 0
y_< x-1 y_> x-1
즉 c~ ~㉠ 또는 c~
.c3 .c3
~㉡
y=-2x+2 .c3
.c3
~㉠
Z

y_< -x^2 +1 y_> -x^2 +1


1411 경계선의 방정식은 


ZY 


y=1/3
x+1 .c3
.c3
~㉡
"


림의 색칠한 부분(경계선 포함)과 같으므


따라서 주어진 부등식의 영역은 오른쪽 그 Z ZY ⇨❶  #

오른쪽 그림에서 영역 A는 직선 ㉠의 아
㉡  0  Y

로 이 영역에 속하는 점은 A, B, D이다.


 "

랫부분(경계선 포함)과 직선 ㉡의 윗부분


#
 ZY 

(경계선 포함)의 공통부분이므로


0  Y
14

답④ $  &

y_< -2x+2 2x+y-2_< 0


i~ , 즉 c~
x-3y+3_< 0

부등식의 영역

y_> 1/3
x+1
%
ZYᐘ 

영역 B는 직선 ㉠의 윗부분(경계선 포함)과 직선 ㉡의 아랫부분


xy(2x+y-1)_> 0에서
(경계선 포함)의 공통부분이므로
x_> 0 x_> 0
1407
y_> -2x+2 2x+y-2_> 0
i~y_> 0 ~㉠ 또는 i~y_< 0
.c3 .c3
~㉡ i~ , 즉 c~
y_< 1/3
x+1 x-3y+3_> 0
2x+y-1_> 0 2x+y-1_< 0
⇨❷

x_< 0 x_< 0
또는 i~y_> 0 ~㉢ 또는 i~y_< 0
.c3 .c3
~㉣ (2x+y-2)(x-3y+3)_> 0
따라서 구하는 부등식은

2x+y-1_< 0 2x+y-1_> 0 답 (2x+y-2)(x-3y+3)_>


0
⇨❸

14``부등식의 영역 • 123
정답 및 풀이

채점 기준 비율 x+3y=9의 교점 (3, 2)를 지날 때 k의 값이 최대이므로 구하는

3+2=5 답5
최댓값은
❷ 두 영역 A, B를 나타내는 연립부등식을 각각 구할 수 있다.
❶ 경계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40%
40%
❸ ❷의 부등식을 하나의 부등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20%

1412 부등식 y_>0의 영역은 직선 y=0의


윗부분(경계선 포함)이고, 부등식
Z
Z 1416 주어진 부등식의 영역은 오른
ZY  Y ZL

x+y-4_<0의 영역은 직선 y=-x+4의 과 같다.


 쪽 그림의 색칠한 부분(경계선 포함) 1
Y
Z

아랫부분~(경계선 포함)이다. 또 부등식


1 Y

2x+4y=k~(k는 상수)로 놓으면 오



 0 1

른쪽 그림에서 직선 2x+4y-k=0이
x-3y_>0의 영역은 직선 y=1
/x의 아랫부분
3
Yᐘ Zᐘ
0   Y

원 x^2+y^2=20에 접할 때 k의 값이 최
1

(경계선 포함)이므로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영역은 위의 그림의 색칠


대 또는 최소이다.
한 부분(경계선 포함)과 같다.
이때 원의 중심 (0, 0)과 직선 2x+4y-k=0 사이의 거리는 원의
두 직선 y=-x+4, y=1
/x의 교점의 좌표는 (3, 1)이므로 구하
3 반지름의 길이인 215~와 같으므로
|-k|
=215~, |k|=20
22^2+4^2x
는 넓이는

2.c14.c11=2
/
1 답2
.t3 k=z20
따라서 M=20, m=-20이므로 Mm=-400
1413 부등식 x^2+y^2_<25의 영역은 원
답①

x^2+y^2=25의 내부(경계선 포함)이고,


Z
 Yᐘ Zᐘ

부등식 (x-2)^2+y^2_>9의 영역은 원


(x-2)^2+y^2=9의 외부(경계선 포함) 쪽 그림의 색칠한 부분(경계선 포함)과 같
 Z ZYᐘ 
  0  Y
1417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영역은 오른

이다. 다.


3x-y=k (k )
 Y
ᐘ Zᐘ 

른쪽 그림의 색칠한 부분(경계선 포함)과 같으므로 구하는 넓이는


따라서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영역은 오
y=3x-k
는 상수 로 놓으면


pai.c15^2-pai.c13^2=16pai 이 직선이 직선 y=-x+3과 포물선


 0  Y

y=x^2+1의 교점 중 점 (-2, 5)를 지날


답⑤ ZYL ZY 

1414 부등식 x_>0의 영역은 직선 x=0의


때 -k의 값이 최대, 즉 k의 값이 최소이므로 구하는 최솟값은
오른쪽 부분(경계선 포함)이고, 부등식
Z

3·(-2)-5=-11
ZY 

y_<-2x+5의 영역은 직선 y=-2x+5의



답⑤

아랫부분(경계선 포함)이다. 또 부등식


ZLY

y_>kx의 영역은 직선 y=kx의 윗부분(경계


Y

선 포함)이므로 점 (x, y)가 속하는 영역은 오



0 

은 오른쪽 그림의 색칠한 부분(경계선 포


 1418 주어진 부등식의 영역의 공통부분 Z
Yᐘ ZᐘL

른쪽 그림의 색칠한 부분(경계선 포함)과 같다.


함)과 같다.

ZY

두 직선 y=-2x+5, y=kx의 교점의 x좌표는 -2x+5=kx에서


⇨❶ 

x^2+y^2=k~(k>0)로 놓으면 1k~는 중심이 원


5
 Z

(k+2)x=5 (.T3 k>0)


.t3 x=
k+2
⇨❷ 점인 원의 반지름의 길이와 같으므로 이 원 0   Y

이때 점 (x, y)가 속하는 영역의 넓이가 5이므로 이 두 직선 y=2, y=1


/x의 교점 (4, 2)를
2
ZY 

5 지날 때 최대이다.
2·5·
    1
/ =5 .t3 k=12
/
k+2
⇨❸

답1
2
/ 4^2+2^2=20 답 20
따라서 구하는 최댓값은

❶ 점 (x, y)가 속하는 영역을 좌표평면에 나타낼 수 있다.


채점 기준 비율

❷ 두 직선 y=-2x+5, y=kx의 교점의 x좌표를 구할 수 있다.


1419 x^2+y^2=k~(k>0)로 놓으면 1k~는
40%
Z

❸ 양수 k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므로 이 원이 x절편이 2, y절편이 4인 직선
중심이 원점인 원의 반지름의 길이와 같으 
30%

에 접할 때 최소이다.

분은 오른쪽 그림의 색칠한 부분(경계 따라서 원의 중심 (0, 0)과 직선 x/2+y/4=1,


Z
1415 주어진 부등식의 영역의 공통부 0   Y
 Y Z

선 포함)과 같다. 즉 2x+y-4=0 사이의 거리가 원의 반지


Yᐘ ZᐘL

x+y=k~(k는 상수)로 놓으면


y=-x+k |-4|
  A
름의 길이와 같아야 하므로

=1k~ .t3 k=1


5
/
6 답/
1
5
6
Y Z

이 직선이 두 직선 2x+y=8, 0   Y
ZY L 22^2+1^2x~

124 • 정답 및 풀이
본책 193~195쪽

분은 오른쪽 그림의 색칠한 부분(경계선


1420 주어진 부등식의 영역의 공통부 ZY  Z ZY 채점 기준 비율

포함)과 같다. y-1


❶ 두 부등식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영역을 좌표평면에 나타낼 수 있다. 20%

❷ x-3 =k~(k는 상수)로 놓고 k의 값이 최소일 때의 직선과 원의


x^2 +y=k~(k는 상수)로 놓으면

40%

y=-x^2 +k
 A

y-1
위치 관계를 알 수 있다.

이 포물선이 두 직선 y=-x+3,
❸ x-3 의 최솟값을 구할 수 있다.
  Y
0 
ZYᐘ L  40%

y=2x-3의 교점 (2, 1)을 지날 때 k의 값이 최대이므로 구하는

1424 하루에 빵 A, B를 각각 x개, y개 만든다고 하면 하루에 얻


2^2 +1=5 답5
최댓값은

을 수 있는 총 이익은 300x+400y(원)이고
x_> 0, y_> 0, 20x+15y_< 1200, 25x+45y_< 2550

부분은 오른쪽 그림의 색칠한 부분(경


1421 주어진 부등식의 영역의 공통 Z Y

오른쪽 그림의 색칠한 부분(경계


이 부등식의 영역의 공통부분은 Z

계선 포함)과 같다.
선 포함)과 같다.
  Y Z

2y-x^2 =k (k는 상수)로 놓으면


300x+400y=k~(k는 상수)로 놓
 Z   A




y=1
2x^2 +k
/ 2
/
0   Y Y Z

Z L
 Yᐘ  으면
이 포물선이 두 직선 x=2, y=1의 교 y=-3
4x+
 ZY  

/ 


0  Y

점 (2, 1)을 지날 때 k의 값이 최소이므로 구하는 최솟값은


이 직선이 두 직선 20x+15y=1200,
Y ZL

2.c1 1-2^2 =-2


25x+45y=2550의 교점 (30, 40)을 지날 때 k의 값이 최대이므로
답④

300.c1 30+400.c1 40=25000~(원) 답 25000원


최대 이익은
Z ZL Y

1422 주어진 부등식의 영역의 공

(경계선 포함)과 같다.


통부분은 오른쪽 그림의 색칠한 부분


y-3 1425 식품 A, B를 각각 100x`g, 100y`g 섭취한다고 하면 섭취




=k~(k는 상수)로 놓으면


2x-8 량의 합은 100x+100y(g)이고
 


y=k(2x-8)+3
0 Y

x_> 0, y_> 0, 2x+3y_> 10, 200x+100y_> 400




이 직선은 k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YZ  Y Z

점 (4, 3)을 지나고 기울기가 2k이므로 점 (3, 0)을 지날 때 k의 그림의 색칠한 부분(경계선 포함)과 같
이 부등식의 영역의 공통부분은 오른쪽 Z
Y Z

값이 최대이다. 다.
 
 A

100x+100y=k~(k는 상수)로 놓으면


 



0-3
따라서 구하는 최댓값은 Y Z

=3
2
/ 답32
/ y=-x+



2.c1 3-8

0  Y

이 직선이 두 직선 2x+3y=10,
Y ZL

200x+100y=400의 교점 (1
2, 3)을 지날 때 k의 값이 최소이므로
/
은 오른쪽 그림의 색칠한 부분(경계선 포
Z
1423 주어진 부등식의 영역의 공통부분 ZL Y


함)과 같다. 식품 A는 100·1


2=50~(g), 식품 B는 100·3=300~(g)을 섭취해
/
y-1
⇨❶

=k~(k는 상수)로 놓으면 야 한다. 답 A: 50`g, B: 300`g


x-3


y=k(x-3)+1
0  Y

이 직선은 k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점
Yᐘ Z
ᐘ

1426 두 영양제 P, Q를 각각 x알, y알 섭취한다고 하면 필요한


(3, 1)을 지나고 기울기가 k이므로 제~1~사분면에서 원 비용은 300x+250y(원)이고
x^2 +(y-1)^2 =5에 접할 때 k의 값이 최소이다. x_> 0, y_> 0, 30x+40y_> 280, 20x+10y_> 120
이때 원의 중심 (0, 1)과 직선 y=k(x-3)+1, 즉
⇨❷
14

kx-y-3k+1=0 사이의 거리가 원의 반지름의 길이인 15~와 같 그림의 색칠한 부분(경계선 포함)과 같
이 부등식의 영역의 공통부분은 오른쪽 Z
 Y Z
부등식의 영역

다.
|-1-3k+1|
300x+250y=k~(k는 상수)로 놓으면
아야 하므로

=15, |3k|=25(k^2 +1)x


⇨❶

2k^2 +(x-1)^2 x

Y Z

y=-6
5x+
/ 


 A




15~ 이 직선이 두 직선 30x+40y=280,


양변을 제곱하면 Y

9k^2 =5k^2 +5, k^2 =54    .t3


k=z
0 

/
2 20x+10y=120의 교점 (4, 4)를 지날
Y ZL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 이다.


15~ 때 k의 값이 최소이므로 최소 비용은
2
300.c1 4+250.c1 4=2200~(원)
⇨❸
15~
답- 답 2200원
⇨❷
2

14``부등식의 영역 • 125
정답 및 풀이

따라서 색칠한 부분은 원 x^2+y^2=4의 외부(경계선 제외)와 원


x^2+y^2=16의 내부(경계선 제외)의 공통부분이므로 구하는 연립부
채점 기준 비율
❶ 조건을 만족시키는 부등식을 세우고 부등식의 영역을 좌표평면에
40%

x^2+y^2>4
나타낼 수 있다. 등식은

c~
x^2+y^2<16
❷ 최소 비용을 구할 수 있다. 60%
답①

점 (a, b)가 부등식 y<~f(x)의 영역에 속하려면


b<~f(a)이어야 한다. 점 (a, b)가
1427

점 (2, 5)가 부등식 y<x^2-ax+1의 영역에 속하려면 부등식 ~~f(x, y)>0의 영역에 속하면 ➲ ~~f(a, b)>0
1432

5<2^2-2a+1, -2a>0 부등식 ~~f(x, y)>0의 영역에 속하지 않으면 ➲ ~f(a, b)_<0
.t3 a<0 답 a<0 점 (k, 2)는 부등식 x^2+y^2-2y-4>0의 영역에 속하므로
k^2+2^2-2.c12-4>0, k^2>4
점 (a, b)가 곡선 y=~f(x)의 윗부분에 있으려면 .t3 k<-2 또는 k>2 .c3.c3~㉠
b>~f(a)이어야 한다. 점 (k, 1)은 부등식 x^2+y^2-2y-4>0의 영역에 속하지 않으므로
1428

곡선 y=x^2-5x의 윗부분을 나타내는 부등식은 k^2+1^2-2.c11-4_<0, k^2_<5


y>x^2-5x .t3-15_<k_<15 .c3.c3~㉡
점 (a, 6)이 이 부등식의 영역에 속하므로 ㉠, ㉡에서
⇨❶

6>a^2-5a, a^2-5a-6<0 -15_<k<-2 또는 2<k_<15


(a+1)(a-6)<0 .t3 -1<a<6 답 -15_<k<-2 또는 2<k_<15
따라서 정수 a는 0, 1, 2,.c3, 5의 6개이다.
답6 점 (a, b)가
⇨❷

직선 y=~f(x)의 윗부분에 있으면 ➲ b>~f(a)


1433

직선 y=~f(x)의 아랫부분에 있으면 ➲ b<~f(a)


채점 기준 비율

❷ 정수 a의 개수를 구할 수 있다.
직선 y=-x-3의 윗부분을 나타내는 부등식은
❶ 곡선의 윗부분을 나타내는 부등식을 구할 수 있다. 40%

y>-x-3
60%

점 (2, a)가 이 부등식의 영역에 속하므로


1429 a>-2-3 .t3 a>-5 .c3.c3~㉠
주어진 원의 방정식을 표준형으로 변형한 후 원의 내부를

또 직선 y=3x+2의 아랫부분을 나타내는 부등식은


원 x^2+y^2+4x-20=0, 즉 (x+2)^2+y^2=24의 내부를 나타
나타내는 부등식을 구한다.

y<3x+2
점 (2, a)가 이 부등식의 영역에 속하므로
(x+2)^2+y^2<24
내는 부등식은

a<3·2+2 .t3 a<8 .c3.c3~㉡


점 (-2, k)가 이 부등식의 영역에 속하므로 ㉠, ㉡에서
(-2+2)^2+k^2<24, k^2<24 -5<a<8 답 -5<a<8
.t3-216<k<216
따라서 자연수 k는 1, 2, 3, 4이므로 구하는 합은
점 (p, q)가 원 x^2+y^2=r^2의 외부에 있으려면 p^2+q^2>r^2
1+2+3+4=10 답⑤ 1434

~f(x, y)<0 x^2+y^2-x+3y+2=0에서


이어야 한다.

점 (a, b)가 연립부등식 c~


g(x, y)>0
(x-1/2)^2+(y+3/2)^2=1/2 .c3.c3~㉠
1430 의 영역에 속하려

면 ~f(a, b)<0, ~g(a, b)>0임을 이용한다.


⇨❶
원 x^2+(y+1)^2=a의 외부를 나타내는 부등식은
다. x^2+(y+1)^2>a
점의 좌표를 주어진 연립부등식에 각각 대입하면 다음과 같
⇨❷
① (-2)^2+0^2=4_<5, 3.c1(-2)+4.c10+4=-2<0 원 ㉠의 중심 (1/2, -3/2)이 이 부등식의 영역에 속하므로
② (-1)^2+(-1)^2=2_<5, 3.c1(-1)+4.c1(-1)+4=-3<0
③ 0^2+(-1)^2=1_<5, 3.c10+4.c1(-1)+4=0 (1/2)^2+(-3/2+1)^2>a
④ 1^2+(-2)^2=5_<5, 3.c11+4.c1(-2)+4=-1<0
.t3 a<1/2
⑤ 2^2+1^2=5_<5, 3.c12+4.c11+4=14>0
따라서 정수 a의 최댓값은 0이다.
따라서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영역에 속하는 점의 좌표는 ⑤이다.
답0
⇨❸

답⑤
채점 기준 비율

1431 먼저 경계선의 방정식을 구한다. ❶ 주어진 원의 방정식을 표준형으로 나타낼 수 있다. 20%

x^2+y^2=4, x^2+y^2=16 ❸ 정수 a의 최댓값을 구할 수 있다.


경계선의 방정식은 ❷ 원의 외부를 나타내는 부등식을 구할 수 있다. 40%
40%

126 • 정답 및 풀이
본책 195~198쪽

른쪽 그림의 색칠한 부분(경계선 포


Z YZ
1435 주어진 포함 관계가 성립하도록 두 부등식의 영역을 좌표 이므로 주어진 부등식의 영역은 오

부등식 (x+1)^2 +(y-2)^2 _< 1, x^2 +(y-2)^2 _< k의 영역은 함)과 같다.
평면에 나타내어 본다. ㉡ 


YZ 

각각 원 (x+1)^2 +(y-2)^2 =1의 내부(경계선 포함), 원 x^2 +y^2 =k~(k>0)로 놓으면 1kq~는

x^2 +(y-2)^2 =k의 내부(경계선 포함)이다.


 0  Y


중심이 원점인 원의 반지름의 길이 Yᐘ ZᐘL

2x-5y+4=0에 접할 때 최소이다.
따라서 주어진 포함 관계가 성립하 Z 와 같으므로 이 원이 직선
Y 
ᐘ Z
ᐘ

(x+1)^2 +(y-2)^2 =1이 원 이때 원의 중심 (0, 0)과 직선 2x-5y+4=0 사이의 거리가 원의


려면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

x^2 +(y-2)^2 =k에 내접하거나 원




x^2 +(y-2)^2 =k 의 내부에 있어야 |4|


Yᐘ Z
ᐘL 반지름의 길이와 같아야 하므로

=1k .t3
k=1
2
/
6
9
22^2 +(x-5)^2 x
 0 Y

1k_> 2 .t3
k_> 4 답 k_>
4 6이다.
하므로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
1
2
9 답⑤

두 점 (a, b), (c, d)가 도형 ~f(x, y)=0에 대하여 서로 y-1


=k~(k는 상수)로 놓고 이 직선이 k의 값에 관계없
반대쪽에 있으면 ~f(a, b)~f(c, d)<0임을 이용한다. x-1
1436
1440
두 점 (3, -1), (2, 2)가 직선 ax+y+a-3=0에 대하여
y-1
이 항상 지나는 점의 좌표를 구한다.

=k~(k는 상수)로 놓으면


x-1
(3a-1+a-3)(2a+2+a-3)<0
서로 반대쪽에 있어야 하므로 Z

y=k(x-1)+1
ZL Y


(4a-4)(3a-1)<0, (a-1)(3a-1)<0
이 직선은 k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점


.t3
1
3<a<1 3<a<1


/ 답1
/ (1, 1)을 지나고 기울기는 k이므로
0  Y

점 (-2, 0)을 지날 때 k의 값이 최소
|a|_<
m~(m>0)이면 -m_< a_< m임을 이용하여 각 부 이다.


1437

0-1
등식의 영역을 좌표평면에 나타내어 본다.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1/3
답 1/3

-2-1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영역을 좌표 Z Yᐘ Zᐘ


부분(경계선 포함)과 같으므로 영역의


평면에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의 색칠한 Z

 0  Y 1441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부등식을 먼저 구한 후 부등식

4^2 -pai .c1 2^2 =16-4pai


넓이는

제품 A, B를 각각 x`kg, y`kg 만든다고 하면 얻을 수 있는


Z 의 영역을 좌표평면에 나타내어 본다.


따라서 a=16, b=-4이므로


이익은 3x+4y~(만 원)이고
Y Y

ab=-64
x_> 0, y_> 0, x+3y_< 4, 2x+2y_< 5
답①

x-y=k(k는 상수)로 놓고 k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한


른쪽 그림의 색칠한 부분(경계선 포
이 부등식의 영역의 공통부분은 오 Z

1438 


함)과 같다.
다. Y ZL

3x+4y=k (k는 상수)로 놓으면


Z
주어진 부등식의 영역은 오른쪽 
Y
ᐘ Z
ᐘ  Y Z

같다. y=-3
4x+k
  

/ 4
/
그림의 색칠한 부분(경계선 포함)과  

 
  Y

x-y=k (k는 상수)로 놓으면 직선 이 직선이 두 직선 x+3y=4,


 0 
 
 

x-y-k=0이 원
0 Y Y Z

2x+2y=5의 교점 ~(7
4, 3
/ 4)을 지날 때 k의 값이 최대이므로 최대
/
(x-1)^2 +(y-1)^2 =4에 접할 때 k의
YZL

값이 최대 또는 최소이다.
이때 원의 중심 (1, 1)과 직선 x-y-k=0 사이의 거리는 원의 반
이익은

3·/
7+4·/
4 3=3
4 3~(만 원)=82500(원)
4
/
지름의 길이인 2와 같아야 하므로
14

답③

|1-1-k|
=2, |k|=212 1a~1b~=-1abq~이면 a<0, b<0 또는 a=0 또는 b=0임을
부등식의 영역

21^2 +(x-1)^2 x
1442
.t3
k=z212
1x-3z~1y-2xz-2z~=-2(x-3)(y-2xx-2)x~이므로
이용한다.

따라서 M=212, m=-212이므로


x-3<0, y-2x-2<0 또는 x-3=0 또는 y-2x-2=0
Mm=-8
.t3
x_< 3, y_< 2x+2
답②

따라서 점 (x, y)가 속하는 영역을 좌표평


Z ZY 

x^2 +y^2 =k~(k>0)로 놓고 k의 최솟값을 구한다.


(2x-y-3)(2x-5y+4)_> 0에서
1439

(경계선 포함)과 같다.


면에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의 색칠한 부분

2x-y-3_> 0 2x-y-3_< 0
c~ ~㉠ 또는 c~
.c3 .c3
~㉡

답④

2x-5y+4_> 0 2x-5y+4_< 0
 
0 Y
Y

14``부등식의 영역 • 127
정답 및 풀이 본책 198쪽

y=-2x, y=2x, x^2+y^2=9


1443 먼저 경계선의 방정식을 구한다. 에서 ㉡을 만족시키는 영역은 존재하지 않고, 에서 ㉠을 만족시키는

오른쪽 그림에서 영역 A, B, C, D는 각각 또 k=4이면 주어진 부등식의 영역은 원 x^2+y^2=4이다.


경계선의 방정식은 영역은 존재하지 않는다.
ZY Z ZY
 #

2x+y>0 2x+y>0 x^2+2y=k~(k는 상수)로 놓고 k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


연립부등식

2x-y>0 , k~2x-y<0
1446
,
$ "
k~
x^2+y^2-9<0 x^2+y^2-9>0
 0  Y 한다.

분은 오른쪽 그림의 색칠한 부분(경계


주어진 부등식의 영역의 공통부 Y Z Y

2x+y<0 2x+y<0
 %

선 포함)과 같다.
k~2x-y<0 , k~2x-y>0
Z


x^2+y^2-9<0 x^2+y^2-9>0 x^2+2y=k~(k는 상수)로 놓으면


 0  Y

k
Z

y=-12x^2+
/


2
(2x+y)(2x-y)(x^2+y^2-9)<0
의 영역이므로 구하는 부등식의 영역은
이 포물선이 점 (1, 1)과 점 (-1, 1)
 L
ZYᐘ 

답 (2x+y)(2x-y)(x^2+y^2-9)<0
 

을 지날 때 k의 값이 최대이고 점 (0, -1)에서 직선 y=-1에 접


할 때 k의 값이 최소이므로
M=1^2+2.c11=3, m=0^2+2.c1(-1)=-2
1444 각 부등식의 영역의 공통부분을 좌표평면에 나타내어 본다.

.t3 M+m=1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의 색칠한 부분(경계선 포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영역을 좌표평면에 Z ZLY
답④

함)과 같다.


두 직선 3x+y-3=0, y=kx의 교점의 x좌표


⇨❶

는 3x+kx-3=0에서


(k+3)x=3
0 Y
Y Z

3
.t3 x= (.T3 k>0)
k+3
⇨❷

이때 연립부등식의 영역의 넓이가 3


4이므로
/
3
2·3·
/
1 =3
4
/ .t3 k=3
k+3
⇨❸

답3

채점 기준 비율

❷ 두 직선 3x+y-3=0, y=kx의 교점의 x좌표를 구할 수 있다.


❶ 연립부등식의 영역을 좌표평면에 나타낼 수 있다. 40%

❸ 양수 k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30%

k의 값의 범위를 0<k<4, k>4로 나누어 생각한다.


(x^2+y^2-4)(x^2+y^2-k)_<0에서
1445

x^2+y^2_<4 x^2+y^2_>4
c~ .c3~㉠ 또는 c~ .c3~㉡
x^2+y^2_>k x^2+y^2_<k
 0<k<4일 때,

색칠한 부분(경계선 포함)과 같으므로


주어진 부등식의 영역은 오른쪽 그림의 Z
 Yᐘ ZᐘL
1L 1L

4pai-kpai=6pai
영역의 넓이는 ㉠

.t3 k=-2
 0 1L  Y

그런데 0<k<4이므로 주어진 조건을


1L
 Yᐘ Zᐘ

만족시키는 k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k>4일 때,

색칠한 부분(경계선 포함)과 같으므로


주어진 부등식의 영역은 오른쪽 그림의 Z
1L Yᐘ ZᐘL


kpai-4pai=6pai
영역의 넓이는 ㉡
 1L Y

.t3 k=10
1L  0


, 에서 k=10 답 10
1L Yᐘ Zᐘ

128 • 정답 및 풀이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