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9

학번: 이름:

탐구주제: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해수는 어떤 성질을 가지고 있을까?


—---------------------------------------------------------------------------------------------------------------------
.

토의1. 바닷물에는 여러 물질이 녹아 있는데 이를 염류라고 한다. 이들 염류는 강물에 의해 육지로부터

유입되어 오거나 해저 화산 활동 등을 통하여 바닷물에 녹아든 것이다. 염분은 바닷물 1kg에 녹아 있는

염류의 총량을 나타낸 것으로, 단위는 psu(실용 염분 단위)를 사용한다. 전 세계 해양의 염분은 평균적으로

약 35psu이지만 아래의 그림을 보면 해역에 따라 다르다. 왜 그럴까?

아래 전 세계 표층 해수의 연평균 염분 분포 자료를 분석하여 그 이유를 찾아 보자.

1. 전 세계 해양의 표층 염분이 지역별로 어떤 차이를 보이나요?

2. 위에서 찾은 표층 염분의 차이는 어떤 이유로 발생한 것일까요?

3. 해수의 염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1
학번: 이름:

탐구주제: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해수는 어떤 성질을 가지고 있을까?


—---------------------------------------------------------------------------------------------------------------------

4. 다음 그림의 오른쪽 선은 열대 지방과 같은 저위도 지역의 수심에 따른 염분 분포이고,


왼쪽 선은 고위도 지역(남극 부근 또는 알래스카만)의 수심에 대한 염분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두 변화선을 보면, 표면에서는 염분이 크게 차이나지만 심해에서는 큰 차이가 나질
않는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융합지식노트} 다음 글을 읽고, 1. 지중해가 560만년 전에 사막이 된 이유를 찾아 쓰고, 2.


지중해가 현재 전 세계에서 염분이 가장 높은 이유를 서술하시오.

560만 년 전 지중해가 ‘소금사막’ 됐던 이유는 ‘남극해 결빙’

2
학번: 이름:

탐구주제: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해수는 어떤 성질을 가지고 있을까?


—---------------------------------------------------------------------------------------------------------------------
지중해는 560만 년 전 지브롤터 해협이 닫히며 거대한 사막 분지로 변했다 - 위키피디아 제공
‘유럽의 앞바다’인 지중해의 바닷물은 유달리 맛이 짠 걸로 유명하다. 신생대 제3기인 560만 년 전엔 이
바다가 소금기로 가득한 ‘사막’이었기 때문이다.
뉴질랜드 오타고대 크리스티안 오나이저 연구원팀은 지중해가 대서양에서 분리돼 사막화 된 것은
남극해의 결빙 때문이라는 사실을 새롭게 밝혀내고 과학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10일 자에 발표했다.
오나이저 연구원팀은 컴퓨터 모델을 통해 지중해 지역의 지질학적 현상을 분석했다. 그 결과 멀리
남극바다에서 결빙이 일어나면 바닷물이 부족해져 해수면이 낮아진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부족해진 바닷물은 지중해 지역 지각판 전체에 영향을 미쳤다. 바닷물은 더 빠르게 증발하고, 그 결과
지각 판에 가해지는 바닷물의 압력이 약해졌다. 연구팀은 이로 인해 가벼워진 지각 판이 솟아 오르면서
지중해 서쪽 끝 지브롤터 해협이 육지로 변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동안 지중해가 증발로 인해 사막으로 변한 사건인 ‘메시니안 염분 위기(Messinian Salinity Crisis)’의
원인으로는 지중해를 둘러싼 유라시아판과 아프리카판, 아라비아판이 서로 충돌해 지브롤터 해협 부근이
융기됐다는 가설과 빙하기로 전 지구 해수면이 낮아져 지중해가 고립되었다는 가설이 있었다. 이번
연구로 두 가설이 모두 맞다는 것을 입증한 것이다.
지중해가 바다의 지위를 다시 회복한 것은 그로부터 27만 년 후다. 지중해가 사막으로 변하는 동안
남극해는 다시 해빙기를 맞았다. 해수면이 상승하며 늘어난 바닷물은 상대적으로 낮은 육지였던
지브롤터 해협 지역을 수문 삼아 지중해로 흘러들어갔다. 이는 533만 년 전의 ‘잔클리안 대홍수’라 불리는
대규모 홍수를 만들어 냈다.

2009년 스페인 하우메 알메라 지구과학연구소에서는 잔클리안 대홍수 시기 지중해 해수면이 하루 최고


10m 이상씩 높아지는 등 바닷물이 매우 빠른 속도로 유입돼 지중해의 90%가 채워지는 데 단 2년이
걸렸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한 적 있다.
오나이저 연구원은 “앞으로 극지방의 얼음이 녹게 되면 전 세계 해수면을 불균일하게 상승 시킬
것”이라며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새로운 변인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3
학번: 이름:

탐구주제: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해수는 어떤 성질을 가지고 있을까?


—---------------------------------------------------------------------------------------------------------------------
토의2. 해수의 온도는 기후에 큰 영향을 미친다. 바닷물의 온도가 조금만 변해도 지구 곳곳에서는 기상
이변이 일어난다. 대기와 끊임없이 에너지를 교환하면서 지구의 기후에 영향을 주는 해수의 온도가 어떤
분포를 보이는지를 다음 자료들을 통해서 알아보자.

<자료 1. 전 세계 표층 해수의 온도 분포>

<자로2. 중위도 해역의 깊이에 따른 수온 분포와 위도에 따른 해수의 층상 구조>

1. 전 세계 표층 해수의 온도 분포는 어떤 경향성을 보이는가? 무엇이 경향성을 만들었을까?

2. 북반구와 남반구의 표층 해수의 온도 분포에서의 차이점은? 그 이유는 무엇일까?

4
학번: 이름:

탐구주제: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해수는 어떤 성질을 가지고 있을까?


—---------------------------------------------------------------------------------------------------------------------

3. 자료2의 중위도와 비교했을 때, 열대 해역과 극 해역의 깊이에 따른 수온 분포는 어떻게 될지 그려


보시오. 그렇게 그린 이유는?

4. 중위도 지역에서 계절에 따라 수온의 연직 분포는 어떻게 변할지 그림을 그려서 이유와 함께 설명해
보자.

토의3. 다음은 위도별 표층 해수의 온도와 염분 및 밀도를 나타낸 것이다.

1. 해수의 밀도는 수온 및 염분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2. 해수의 밀도가 적도 부근 해역에서 가장 낮게 나타나는 이유는?

3. 북위 60°~극 부근은 수온이 낮음에도 밀도가 오히려 작아진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

5
학번: 이름:

탐구주제: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해수는 어떤 성질을 가지고 있을까?


—---------------------------------------------------------------------------------------------------------------------

토의4. 이스라엘에 위치한 사해는 밀도가 1.24g/㎤으로, 수영을


전혀 못하는 사람도 침대에 눕듯이 누우면 물 위에 매우 쉽게
뜰 수 있다. 사해의 밀도가 높은 이유는 무엇일까?

토의5. 그림은 해수 A, B, C를 수온-염분도에 나타낸 것이다.


각 해수의 수온, 염분, 밀도 값이 얼마인지 표를 완성하시오.

A, B, C 해수가 같은 지점에서 만난다면 어떤 것이 가장


위쪽에 위치할지 예상해 보고, 그렇게 예상한 이유는
무엇일까?

6
학번: 이름:

탐구주제: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해수는 어떤 성질을 가지고 있을까?


—---------------------------------------------------------------------------------------------------------------------
{미니탐구} 표층 염분 분포도 해석

토의7. 산소, 질소, 이산화 탄소 등 대기 중의 기체는 해수에 용해된다. 해수에 녹아 있는 산소를 용존


산소라고 하고, 용존 산소량도 수온, 염분 분포와 같이 위도와 수심에 따라 각각 다르게 나타난다. 다음
연평균 표층 용존 산소(mL/L) 분포 그림을 보고, 위도에 따라 용존 산소량이 어떻게 변하는지 확인하고 그
이유를 설명해 보세요.

7
학번: 이름:

탐구주제: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해수는 어떤 성질을 가지고 있을까?


—---------------------------------------------------------------------------------------------------------------------
토의8. 다음은 깊이에 따른 기체의 농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과 같은 분포를 나타내는 이유를
찾아서 그림의 빈 칸에 써 보세요.

깊이에 따른 용존 산소 농도 변화 깊이에 따른 용존 이산화 탄소 농도 변화

8
학번: 이름:

탐구주제: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해수는 어떤 성질을 가지고 있을까?


—---------------------------------------------------------------------------------------------------------------------
[탐구활동 - 자료분석]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해수는 어떤 성질을 가지고 있을까?

구글클래스룸에 탑재된 실시관 관측 데이터 활용법을 확인한 후, 관측 데이터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해수가 어떤 성질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자료분석 탐구보고서를 PPT로 작성해서 제출하시오.
정해진 형식은 없으나 아래에 제시된 데이터 수집과 분석의 내용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함.

[데이터 수집]

1. 동해, 남해, 서해의 수온과 염분 분포 및 용존 산소량에 대한 데이터를 조사하여 기록하시오.

2. 계절에 따른 수온과 염분 분포 및 용존 산소량에 대한 데이터를 조사하여 기록하시오.

3. 연안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해역일수록 수온과 염분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조사하여 기록하시오.

[데이터 분석]
1. 각 해역별로 수집한 자료를 비교하여, 우리나라 주변 해수의 성질을 설명하시오.

2. 수온과 염분 분포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3. 수온과 용존산소량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토의]
위의 데이터 분석 결과와 같이 나타나는 이유를 우리나라 주변을 흐르는 해류와 연관지어 설명해 보세요.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