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

M.

버터플라이

1. 영화 주제 : 제국주의+인종주의+성별주의

-실화를 기반으로 함

-Hwang 은 단순히 새로운 뉴스거리나 별난 사건을 우리에게 제공하려는 의도에서가 아니라 이


사건의 실제 주인공인 Bouriscot 의 사건을 통해 서로 다른 두 문화사이에서 작용하고 있는 권력과
환상에 대해 논의하고자 함

A former French diplomat and Chinese opera singer have been sentenced to
six years in jail for spying for China after a two day trial that traced a story of
clandestine love and mistaken sexual identity… …Mr. Bouriscot was accused of
passing information to China after he fell in love with Mr. Shi whom he
believed for twenties years to be a woman.

-The New York Times, May 11 1986

전 프랑스 외교관과 중국 경극 배우와의 은밀한 사랑과 성에 대한 오해가 연루된


것으로 밝혀진 이틀간의 재판에서 이들은 첩보활동 혐의로 징역 6 년을
선고받았다. 브리스코씨는 20 여년동안 여자라고 믿었던 샤이씨와 사랑에 빠진 후
중국에 정보기밀을 건네준 혐의로 고발되었다.

-프랑스 외교관 갈리마드가 파악한 “동양적”이라는 의미는 동양을 보는 제국주의적인 시각이며


이런식으로 주변을 파악했기에 Bouriscot 사건이 발생할 수 있었다고 밝힘

-서양은 남성화, 동양은 여성화

-‘왜 경극에서 여자역은 남자들이 하는가?’ ‘남자들만이 여자가 어떻게 행동할 지 알기 때문에’

:중국 경극 배우의 여성 연기는 남성사고의 산물, 갈리마드 역시 남성의 인식과 사고로 이상화된
여자역을 하는 환상의 송 릴링의 이미지를 본 것

2. 영화 속 오리엔탈리즘

1) 오리엔탈리즘이란?

- 동양에 대한 서구의 왜곡과 편견을 의미

- 서양을 우위에 동양을 하위에 상정

-“Oriental”; 동양의 단어 자체도 유럽중심적인 용어. 유럽에 있음을 가정한 용어

2) M. Butterfly 속 오리엔탈리즘

- ‘입으로는 아니라고 말해도 눈으로는 그렇다고 한다’


: 가해자가 피해자에게 강제로 행하면서 자신의 태도를 합리화하는 자기변명

: 오리엔탈리즘에서 동양의 지배를 합리화하는 서양의 태도

3. 주요장면

1) 푸치니의 마담버터플라이

(1) 특징

-동양인 여성, 서양인 남성의 로맨스로, ‘잔인한 백인 남성’과 ‘순종적인 동양여성’의


전형적 모습을 보여줌

-서양의 입장에서 동양 여성과 서양 남성의 관계 설정에 많이 기여한 작품

-푸치니의 마담버터플라이와 달리 데이비드 황의 『엠. 버터플라이』 (M.Butterfly)는


여성을 의미하는 ‘마담(Madame)’과 동시에 프랑스 남성을 가리키는 ‘무슈(Monsieur)’ 또한
될 수 있음

(2) 줄거리

-일본 나가사키에 정박하게 된 미군 함정 핀커튼 대위는 고로라는 중매쟁이를 통해


15 살의 Cio-Cio-San 과 결혼한다. 나비부인은 남편과 같은 종교를 위해 기독교로 개종하고,
친척들에게 버림을 받는다. 핀커튼은 3 년 동안 나가사키를 떠나고, 나비부인은 부유한
일본인인 야마도리의 청혼도 거절하며 핀커튼과의 아이를 홀로 키우며 핀커튼을 기다린다.
그러던 어느날 핀커튼이 일본으로 돌아온다. 그러나 그의 옆에는 미국인인 새 아내 케이트가
서있다. 핀커튼은 새 부인 케이트와 함께 나비부인이 기른 아이를 데려가려고 한다.
나비부인은 절망끝에 아버지의 유물인 단도를 꺼내들고 “명예롭게 살지 못한다면 명예롭게
죽어라”라는 글귀를 읽으며 자결한다.

(3) 의미하는 바

-갈리마드를 핀커튼의 위치에, 송을 Cio-Cio-San 에 위치에 두고 시작, 이러한 관계


설정은 극이 진행됨에 따라 서서히 파괴됨

-Hwang 은 서양이 동양과의 관계에서 일방적으로 가정하는 제국주의, 동양을


여성으로 간주, 정복을 합리화하는 오리엔탈리즘적인 성의 해석을 융합시키며 작품을
시작함

-그러나 작품 전반에 걸쳐 이러한 양상이 와해되어 결론적으로는 동양을


유형화하는 것을 반대, 특히 서양이 동양을 전형화하며 동양에 대해서 우월하다고 하는
가정과 더불어 심리적으로 서양이 동양을 통제할 수 있다는 욕망에 냉철한 비판을 가하고
있음.

2) 갈리마드의 자결
-갈리마드가 송을 처음 만나게 된 상황은 송이 Madame Butterfly 에서 나비부인
역할을 맡았을 때 (송: 서양의 해석에 따라 구현된 동양 여인의 이미지)

-송의 실체를 통해 오리엔탈리즘 파괴

-교도소에서 갈리마드는 스스로 Madame Butterfly 의 나비부인이 되어 자결

-서로에 대한 진실한 이해 없이 편견과 오해로 만들어 나간 허구의 세계

-송이 자신의 나비부인으로 머물러 주기를 바랬던 갈리마드, 결국 갈리마드는


허상만을 추구하며 현실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함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