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2

77

STEM Journal 12(1)권 2011년

영화 위대한 개츠비에 나타난 이상향에의 꿈


김옥례
(한국철도대학)

Kim, Ok-Rae. (2011). The dream for a utopian community


in Jack Clayton's film, The great Gatsby. STEM Journal,
12(1), 77-98.
As language is a part of culture, it is necessary for students to
understand other cultures in their mastering foreign languages.
For that purpose, a classic movie based on a novel seems to be
suitable. As one of the world's most famous classic novels, F.
Scott Fitzgerald's The Great Gatsby reflects an historical
perspective on the American culture, focusing on its utopian
dream. There are four 'Gatsby' movies. Among them, Jack
Clayton's 1974 film is estimated as the best educational
material. This paper aims to research Americans' utopian dream
and their frustration as revealed in Clayton's The Great Gastby.
Through the symbolic use of green, Gatsby's dream of his
long-lost lover, Daisy, is connected with the American Dream,
that is, the dream that Americans have of building a paradise
on earth. However, in the process of realizing his dream, Gatsby
is forced to compromise with corrupted reality. As a noted
artistic movie director, Clayton not only preserves the original
main plot of the novel but also adds his own viewpoint on
American society. I have taught this film for Freshman Screen
English for several years, and I found that this material is able
to satisfy two basic educational purposes, first to increase
students' English skills and, second to help them understand
American culture and human society in the larger context.
78 김옥례

Ⅰ. 들어가며
클레이튼(Jack Clayton) 감독의 영화 위대한 개츠비(The Great Gatsby,
1974)를 보는 도중 내내 몇 년 전 방문했던 보스턴 근교 웨스트 록스베리
(West Roxbury)에 있는 부룩농장(The Brook Farm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Education, 1841-1847)의 쓸쓸한 흔적들이 마음 속을 맴돌
았다. 19세기 미국의 지성인들인 리플리(George Ripley), 호손(Nathaniel
Hawthorne), 풀러(Margaret Fuller) 등이 이상적인 공동체 사회를 세우고
자 하는 열망으로 모여들었으나 결국은 좌절과 씁쓸한 패배감으로 그들의
꿈을 단념하였던 곳이다. 이제 그들 이상주의자들의 터전은 사람들의 시선
에서 벗어난 듯이 마을 공동묘지 맞은 편, 빛바랜 안내판 뒤에 고적하게
자리잡고 있었다. 호손은 이 경험을 바탕으로 이상주의자들이 빠지기 쉬운
관념론적 이상추구와 그 위험성을 지적하며 그들의 좌절을 다룬 블라이데
일 로맨스(The Blithedale Romance)를 집필한 바 있다.
피츠제럴드(F. Scott Fitzgerald)가 1925년 발표한 위대한 개츠비도 가난
때문에 잃었던 옛 연인 데이지(Daisy)를 되찾으려는 꿈을 지닌 개츠비의
사랑 이야기 속에 이상주의자의 딜레마와 고뇌라는 주제를 담고 있다. 작
가의 사회비판 의식과 예술적 기법을 바탕으로 1920년대 미국사회에 대한
분석뿐 아니라 미국인들의 꿈, 더 나아가 인간의 이상향에의 염원과 그 좌
절 등의 보편적인 주제를 다루고 있어서 현대에 이르러서까지 대표적인 세
계고전문학으로 평가받고 있다. 피츠제럴드는 이 작품 집필이 작가로서 자
신의 의무였다고 주장할 정도로 심혈을 기울여 썼으며 엘리옷(T.S. Eliot),
워튼(Edith Wharton) 등 문단의 격찬을 받았다.
그동안 대부분 미국 영화감독들은 파라마운트, 워너브러더즈 같은 거대
기업의 상업주의 논리에 좌우되는 스튜디오 시스템 속에서 일해야 했으므
로 제작사의 피고용인이라는 역할을 벗어나기가 힘들었다(자네티, 2008).
그러나 1960년대와 70년대에 이르러 인권운동과 반전운동 등 기존 권위에
도전해 나가던 전반적인 시대 분위기에 발맞춰 미국 영화계에서도 뉴욕을
중심으로 '아메리칸 뉴 시네마 그룹'이 등장하게 된다. 이들은 헐리우드 영
화 시스템의 구속에서 벗어나고자 했으며 허위로 가득 찬 세련된 영화가
아니라 거칠더라도 살아있는 영화를 제작해내겠다는 결심을 밝히게 된다
(오영미, 2007). 1974년 파라마운트 사에서 제작된 위대한 개츠비의 각색자
코폴라(Francis Coppola)와 클레이튼 감독의 경우도 스튜디오 시스템의 논
리에 함몰되지 않고 자신들의 메시지를 힘들여 담아내게 된다. 위대한 개
츠비는 그동안 영화뿐 아니라 뮤지컬, 오페라, 연극 등으로 상연되어 왔으
영화 위대한 개츠비에 나타난 이상향에의 꿈 79

며 지금까지 네 편의 영화가 제작되었다. 1945년 브레넌(Herbert Brenon)


감독의 첫 작품과 1949년 너전트(Elliot Nugent) 감독의 두 번 째 영화에서
는 화자이며 주인공인 닉(Nick)의 역할이 생략되거나 소홀히 다뤄졌고 최
근 2001년도에 제작된 마코위츠(Robert Markowitz) 감독의 영화는 구성이
산만하고 감상적인 로맨스에 초점을 맞춘 수준이하의 작품이라는 혹평을
받았다. 사회 범죄는 개인의 탓이라기 보다는 균등한 기회의 부족, 극심한
가난 등 사회구조적인 문제점 때문에 발생한다며 미국 자본주의 사회를 비
판하는 갱영화 장르의 특성(자네티, 2008)을 보여주는 클레이튼의 위대한
개츠비는 대부분 소설의 큰 줄거리를 따르고 있으나 부의 집중, 전통적인
도덕과 가치관의 붕괴 등 사회 문제들을 제시하고자 하는 감독의 의도가
보다 반영되어 있다. 즉 자신의 소신을 담아내는 작가주의 감독에 의해 제
작되었으며 원작의 정신을 구현하면서도 기존의 문학적 소재를 새롭게 접
근하는 독립된 예술로서의 특성을 보여준다.
수년간 영상영어 교재로 이용해 온 클레이튼 감독의 위대한 개츠비는 미
국문화의 핵심적인 특성인 미국의 꿈과 그 딜레마에 대한 이해를 돕는 유
용한 학습자료이다. 외국어를 학습하는 최종적인 목표는 외국어를 배워서
그 언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과 자연스럽게 대화를 하고 문화를 이
해, 교류하는데 있다. 따라서 영어학습에 있어서 읽기, 쓰기, 말하기, 듣기
등의 기본 능력을 키우는 것 못지않게 영미문화에 대한 폭넓은 이해가 필
요하다. 윤재웅(2010)은 현재 시행되는 대다수의 문화교육에서 단편적인 영
미권의 문화적 사실들만 가르치는 실정이라고 비판한 바 있다. 이에서 탈
피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목표문화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와 시각을 갖출
수 있는 적절한 교재의 선정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Ⅱ. 이상향에의 꿈과 좌절, 그리고 극복


1974년에 발표된 영화 위대한 개츠비는 원작의 핵심적인 내러티브 구조
를 유지하면서도 텍스트를 독창적으로 재해석해 내는 비판적 각색을 바탕
으로 제작되었다. 그 과정에서 어떤 변화가 이뤄졌으며 기법들을 사용했는
지, 아울러서 1920년대 미국사회의 특성이, 더 나아가 미국인들과 미국문화
의 특성이 어떻게 함축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작가주의 감독들 작
품에서는 원작소설에는 나오지 않는 장면이지만 작품의 주제나 정신을 부
각시킬 수 있는 시퀀스를 추가하기도 한다.
영화에서는 등장인물들의 비극적인 죽음 장면이 소설에 비해 더 상세하
80 김옥례

게 다뤄진다. 즉 풀장에서 수영하던 중 윌슨(Wilson)의 총에 맞아 피범벅이


된 채 물아래로 가라앉는 개츠비의 죽음과 윌슨이 극도의 긴장상태에서 총
구를 자신의 입에 넣는 자살 장면이 총성소리와 더불어 재현된다. 아울러
서 데이지의 뺑소니 운전 차에 치어 죽은 머틀의 모습도 여러 번 익스트림
클로즈업(extreme close up)된다. 또한 더러운 먼지와 잿더미로 가득한 재
의 계곡에 살며 사회 최하위 층의 고단한 삶을 대변하는 윌슨 부부의 역할
이 소설보다 비중 있게 다뤄진다. 특히 머틀(Myrtle) 역을 맡았던 캐런 블
랙(Karen Black)의 연기가 돋보이며 그녀는 이 역할로 골든 글로브 조연상
을 받았다. 가령 뉴욕 행 기차 앞 좌석에 앉아 있던 부유한 옷차림의 톰
(Tom)을 처음 만났던 순간을 머틀이 회고하는 장면에서 "이런 식으로 영
원히 살 수는 없는 것"이고 자신이 그를 만났을 때가 일생 최고의 날이었
다고 되뇌는 그녀의 입 부분을 클로즈업함으로써 가난을 벗어나고자 하는
그녀의 갈망을 그려낸다. 사실주의 감독과 달리 형식주의 감독들은 대상의
표면적인 사실성을 왜곡시킴으로써 오히려 더 큰 진실을 재현해 낼 수 있
다고 믿기 때문에 흔히 익스트림 클로즈업, 클로즈업 같은 극단적인 앵글
을 사용한다(자네티, 2008). 뒤에 뉴욕 아파트에서 톰을 만나왔던 머틀의
불륜을 알아차린 윌슨은 그녀를 이층 방에 감금시키게 된다. 그러나 톰이
자신을 현재의 가난한 처지에서 구원해 줄 존재로 착각하는 머틀은 주유소
에 들른 그에게 알리기 위해 필사적으로 자신이 감금되어 있던 방의 창문
을 두드린다. 결국 깨뜨린 유리창에 부상당한 손의 피를 핥는 머틀의 강렬
한 연기는 날카로운 음향 효과와 더불어 견딜 수 없는 가난을 탈피하기 위
한 그녀의 절박함을 생생하게 전달한다. 또한 그녀의 육신 뿐 아니라 영혼
도 감금된 상태에 있음을 보여주기 위해 카메라는 익스트림 클로즈업과 하
이 앵글로 덫에 걸린 듯이 무력한 그녀의 모습을 효과적으로 영상화 한다.
그 뒤 머틀은 뉴욕에서 돌아오던 데이지가 모는 개츠비 차를 톰의 차로 오
인하고는 결국 방에서 뛰쳐나와 도로로 뛰어들어서 목숨을 잃게 된다. <그
림 1>에서 보듯이 머틀의 핏자국으로 얼룩지고 이 사고로 깊게 파인 개츠
비 차의 헤드라이트 부분이 에클버그 광고 간판과 겹쳐지는 장면이 익스트
림 클로즈업되고 이에 강력한 불협화음의 음향이 수반됨으로써 물질기계문
명의 희생자로서 머틀의 비극적인 죽음을 관객들에게 깊이 각인시켜 준다.
영화 위대한 개츠비에 나타난 이상향에의 꿈 81

그림 1
차의 헤드라이트 부분과 광고 간판이 겹치는 장면

윌슨은 아내를 죽인 범인을 수소문하기 위해 집을 떠나게 된다. 그가 재


의 계곡을 굽어보고 있는 안과 개업의 광고판을 바라보며 신에게 다짐하듯
이 자신의 잘못을 빌며 모든 것을 바로 잡겠다는 결심을 하는 장면은 어두
운 전체 배경 속에서 약간의 하이라이트가 촬영 대상에만 비춰지는 로우
키(보그스, 1995)와 익스트림 롱 샷(extreme long shot)으로 제시된다. <그
림 2> 에서 보듯이 아주 먼 거리에서 촬영된 익스트림 롱 샷은 극중 인물
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단서가 되며 인물이 배경의 일부가 되어 마치 그림
속의 인물을 보듯 철저히 대상화, 객관화된다. 이로써 자신이 처한 환경에
서 벗어나기가 힘든 미약한 인간의 모습, 사회 희생자로서 개인의 모습을
효과적으로 전달한다(이형식, 정연재, & 김명희, 2004; 자네티, 2008).
그림 2
아내를 죽인 범인을 찾기 위해 집을 떠나는 윌슨

소설과 달리 두 에그(Egg) 지방사이를 자동차가 아니라 모터보트를 타고


물살을 가르며 닉이 힘들여 건너가는 모습이 첫 장면에 등장한다. <그림
82 김옥례

3>에서 보듯이 이스트 에그(East Egg)의 톰의 집을 방문하기 위해 익숙하


지도 않은 모터보트를 작동해 나가느라고 모자를 물 속에 빠뜨리는 등 닉
의 곤혹스런 모습 위로 웨스트 에그(West Egg)라는 좀 뒤처지는 지역에,
대저택들이 있는 이스트 에그와 상반되는 특성을 지닌 곳에 자신이 살았다
는 닉의 보이스 오버(voice-over)가 흐른다.

그림 3
힘들여 모터보트를 작동시키고 있는 닉

이로써 웨스트 에그와 이스트 에그라는 두 지역이 대변하는 빈부차이,


출신배경의 차이가 개인이 극복하기에는 힘들 정도로 간극이 큰 당대 실상
이 함축적으로 제시된다. 다시 말해서 80 달러에 월세를 사는 웨스트 에그
의 닉의 빈한한 처지와 이와 대조적으로 궁궐같은 저택들이 늘어선 이스트
에그에 사는 부유한 톰의 차이를 통해 부가 소수에게 편중되어 있던 1920
년대 미국사회의 문제를 제시해준다. Bluestone(1957)의 지적대로 영화는
인물들이 생각하고 느끼고 말하는 모습을 재현할 수는 있지만 그들의 생각
과 느낌, 꿈, 기억들을 직접 제시하지는 못한다. 따라서 인간의 이상향에의
꿈과 그 좌절을 중점으로 다루는 클레이튼 감독의 영화에서는 이를 보다
설득력 있게 전달해내기 위해 화면밖에 있는 사람의 목소리, 즉 보이스 오
버에 의한 해설이라는 비영화적인 절충물을 사용하게 된다. 보이스 오버는
배경에 관한 중요한 정보를 전달하거나 극적상황으로는 표현하기 힘든 부
분을 보충 설명해줄 수 있기 때문이다(보그스, 1995; 자네티, 2008). 또한
톰의 집에서 돌아와 이웃 개츠비 집에서 막대한 양의 다양한 음식들이 준
비되는 파티 장면을 지켜보는 닉의 단촐한 식사, 즉 프라이 팬 속의 스테
이크 한 쪽이 클로즈업됨으로써 그의 궁핍한 상황이 다시 한 번 강조된다.
원작에서는 개츠비가 데이지의 친구인 조던(Jordan)을 통해 데이지가 자
신을 버리고 톰과 결혼하게 된 상황에 대한 이야기를 듣게 된다. 이와 달
영화 위대한 개츠비에 나타난 이상향에의 꿈 83

리 영화에서는 개츠비가 유럽전선에 있던 자신을 기다리겠다는 약속을 지


키지 않고 톰과 결혼한 이유를 말하라며 데이지를 직접 추궁한다. 이에 부
잣집 딸은 가난한 남자와 결혼하지 않는다며 흐느껴 우는 데이지의 모습이
클로즈업됨으로써 당대 심각했던 물질지상주의적인 사고방식에 대한 감독
의 비판적인 시각을 읽어낼 수 있다. 이 대면장면은 한 사람은 카메라와
등지고 있고 다른 한 사람은 카메라와 마주하는 오버 더 숄더 쇼트(over
the shoulder shot)로 제시되는데 데이지가 결혼 당시를 이야기할 때 거울
속에 그녀의 뒷모습이 비춰지게 함으로써 그녀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그녀에 대한 불신감을 관객이 갖게 한다(김옥례 & 이소영, 2002). 또한 닉
이 타락한 물질지상주의 동부사회의 가치관을 대변하는 톰과 데이지를 비
판하는 모습이 영화에서는 더욱 부각된다. 가령 조던과의 대화 중에 톰과
데이지는 개츠비 장례식에 참석하지 않은 것은 말할 것도 없고 꽃이나 전
보조차 보내지 않았다며 자신들이 망쳐놓은 일을 다른 사람들이 처리하게
하는 무책임한 사람들이라고 비난한다. 또한 개츠비가 죽은 이후 닉이 거
리에서 우연히 톰을 만나는 소설 장면과 달리 영화에서는 호텔에서 톰을
만나게 되며 그의 악수제의를 거절한 채 윌슨에게 뭐라 말했냐며 그를 다
그친다. 뉴욕에 갈 때 개츠비의 노란색 차를 몰았던 톰을 기억하며 범인을
수소문하러 자신을 찾아온 윌슨에게 톰은 사고 차의 주인이 개츠비라는 것
을 알려줌으로써 암묵적으로 개츠비를 범인으로 몰아 세웠기 때문이다. 그
들에 대한 작가의 함축적인 비판은 머틀의 유품들을 버리는 머틀의 여동생
캐서린(Catherine)의 모습을 담은 재의 계곡 장면과 호텔 커피숍에서 대면
하게 되는 톰 일행, 즉 자신들에 의해 희생된 이들의 불행한 삶에 아랑곳
하지 않고 여전히 호화로운 생활을 즐기는 부유계층의 모습이 뚜렷하게 대
조를 이룬 채 평행편집 됨으로써 제시된다.
소설에서는 닉이 자연스럽게 파티에 참여한 개츠비를 만나게 되지만 영
화에서는 집사의 안내로 긴 통로와 여러 겹으로 둘러싸인 출입문들을 거쳐
주위사람을 압도하는 분위기의 개츠비를 두려움 속에서 처음 대면하게 된
다. 이들 장면에 감도는 팽팽한 긴장감이 미장센으로 설득력 있게 묘사된
다. 즉 구체적인 행동을 하지 않았음에도 영상을 팽팽한 사선으로 구성함
으로써 닉이 느낀 불안감을 나타냈으며(자네티, 2008) 두 사람을 구도의 가
장자리에 두어 그들 사이의 거리를 최대한으로 멀게 해 서로에 대한 어색
함과 의혹 등이 효과적으로 전달되게 한다. 또한 소설에서는 개츠비가 죽
은 후 닉이 혼자서 데이지 집 부근의 만을 바라보며 옛 네덜란드 선원들이
신선한 초록색의 신세계를 눈앞에 대면하고 느꼈을 경이로움을 상상해본
다. 반면에 영화에서는 <그림 4>에서 보듯이 닉과 개츠비가 함께 롱아일
84 김옥례

랜드 만을 쳐다보며 옛 미국 선조들의 꿈을 생각해 본다.


그림 4
롱 아일랜드 만을 응시하는 개츠비와 닉

즉 개츠비가 데이지의 집 앞에서 그녀의 신변의 안전을 우려하며 밤을


새우고 난 뒤 닉의 집에 건너와 담배 한 대를 나눠 피운다. 그 뒤 닉은 그
와 함께 네덜란드 선원들이 처음 미국에 왔을 때 그 섬이 어떻게 보였을
지에 대해 의견을 나눈다. "선원들이 맨 처음 보았을 때 어떠했을지 상상이
가요? 산뜻한 초록색이었을 거에요. 마치 신세계에 대한 꿈처럼" 이라는
닉의 말에 개츠비는 "그들은 숨을 죽였을 거에요, 자신들이 만져보기도 전
에 없어질까 두려워서"라고 동의한다. 이 장면에서 이상주의자 개츠비의 세
계관에 다가가게 되는 닉의 모습이 함축적으로 제시되고 있음을 볼 수 있
다.
이 영화에 유기적으로 짜여져 들어간 색채는 주제 전달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즉 영화에서는 카메라 뿐 아니라 대화, 제스처, 음악, 색채,
빛, 의상, 혹은 화면 밖의 공간과 소리도 내러티브 역할을 하는 중요한 구
성 요소들이다(McFarlane, 1996). 위의 닉과 개츠비의 대화 장면에서 개츠
비가 밤마다 응시하곤 하던, 옛 사랑을 다시 찾고자 하는 개츠비의 꿈을
상징하는 초록색 불빛이 미국 선조들이 대면해 가슴 설레했던 초록색으로
묘사되는 신세계에 대한 꿈과 연결된다. 이로써 개츠비의 꿈은 바로 이상
적인 공동체 사회를 세우려던 미국 선조들의 꿈을 대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관성을 여러 비평가들이 지적한 바 있다. 가령
Bewley(1968)는 미국의 꿈의 쇠퇴가 위대한 개츠비의 중요한 주제라고 평
하고 Ornstein(1968)의 경우도 단순히 재즈시대의 풍속소설이 아니라 타락
한 사회에서 순진한 미국의 꿈이 배신당한 것을 극화한 것이라고 주장한
다. 또한 미국의 꿈, 정체성 등 미국 그 자체에 관한 것이 작품의 주제라는
영화 위대한 개츠비에 나타난 이상향에의 꿈 85

Trilling(1968)의 평과 이 작품에서 미국의 역사적 전통에 대한 작가의 인


식을 볼 수 있다는 Watkins(1970)의 의견, 닉은 개츠비를 신세계를 세운
이상주의자의 원형으로 파악한다는 Samuels(1970)의 지적들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Bewley(1968)와 Mizener(1970)도 개츠비가 미국의 꿈을 구
현하는 사람이라고 평한다. 개츠비의 꿈이 지닌 이러한 사회적인 의미는
프랭클린(Benjamin Franklin)과의 연관성에서도 드러난다. 개츠비 장례식
장면 위로 목사의 성경 말씀과 겹쳐지며 개츠비 아버지는 소년시절 그가
읽었던 책에 적어놓았던 결심들, 즉 프랭클린의 자서전을 연상시키는 계획
표를 읽어 내려간다(Watkins, 1970). 개츠비는 꿈을 실현해 나가기 위해 미
국의 꿈을 이룩한 전형적인 미국인인 프랭클린을 자신의 모델로 삼았던 것
이다.
또한 소설에서는 서부로의 골드 러시를 통해서 백만장자가 된 도금시대
의 인물인 댄 코디(Dan Coddy)가 개츠비에게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그려지나 영화에서는 생략된 채 그의 특성은 울프샤임(Wolfsheim)이
라는 인물에 압축된다(Hoffman, 1962; Ornstein, 1968). 닉은 울프샤임을 통
해 개츠비가 부를 어떻게 축적했는지를, 또한 그 과정에서 타락한 현실과
타협했음을 알게 된다. 그 당대 밀주를 판매하거나 도박으로 단기간에 많
은 재산을 모은 벼락부자들이 많았는데 울프샤임과 손을 잡은 개츠비도 그
대표적인 경우이다. 개츠비는 자신이 옥스퍼드에서 교육받은 부유한 명문
가 출신이며 세계대전에 참가한 공로로 훈장까지 받았다는 자랑을 초면의
닉에게 했으나 그 뒤 만난 울프샤임은 자신의 도움으로 극도로 가난했던
개츠비가 부자가 될 수 있었다는 상반되는 얘기를 해준다. 이로써 닉은 개
츠비를 의심하게 된다. 개츠비의 후원자이며 동료이기도 한 울프샤임의 정
체는 세 가지 단서로, 즉 사람 어금니로 만든 그의 셔츠 소매부분의 단추,
1919년 월드 시리즈를 조작한 사실, 친구 로젠탈(Rosenthal)의 죽음에 관한
이야기로 함축된다. 그의 소매단추는 다른 사람을 희생시키면서까지 자신
의 이익을 추구하는 그의 이기적이며 냉혹한 특성을 제시해 준다. 또한 다
른 갱단원들에 의해 살해된 로젠탈 이야기를 통해 이들 일행은 수단방법을
가리지 않고 돈을 벌던 갱단원들과 깊이 연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울
프샤임이 레스토랑을 떠난 뒤 그가 1919년 월드 시리즈(World Series)를
조작하고도 감옥에 가지 않을 정도로 수완이 좋은 대도박꾼이라는 사실을
닉은 개츠비로부터 전해 듣는다. 아메리칸 리그(American League)와 내셔
날 리그(National League)에서 이긴 팀들의 최종시합, 즉 월드 시리즈가 매
해 열리는데 1919년의 경우 악명높은 스캔들이 발생했다. 이는 뇌물을 받
고 시카고 화이트 삭스(White Sox) 팀 야구선수들이 신시내티 레즈(Reds)
86 김옥례

팀과의 경기에서 일부러 진 사실이 뒤늦게 밝혀짐으로써 구단에서 영구 제


명 되었던 사건으로서 그 뒤 1989년 로빈슨(Phil Alden Robinson) 감독의
꿈의 구장(Field of Dreams)이라는 영화로 제작되기도 했다.
그러면 영화의 주요 장면들을 분석해 보면서 이 영화의 주제가 당대 미
국사회에 대한 비판, 더 나아가 물질지상주의적인 현대사회에 대한 비판과
그 해결책을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의 미국문화에 대한 이해를 도모할 뿐 아
니라 자신들의 삶을 성찰해 볼 수 있는 동기를 제공해 주고 있다는 점을
부각시키고자 한다.
영화를 시작하는 서두의 장면들은 어떻게 내러티브가 진행되어 갈 것이
며 어디서 끝날 것인지를 암시하는 중요한 부분이다(자네티, 2008). 위대한
개츠비의 경우 오프닝 크레딧에서 개츠비의 대저택과 데이지를 추억하는
개츠비의 소장품들, 즉 데이지에 대한 기사와 스냅 사진들을 카메라가 훑
어나가는 장면 위로 재즈 음악이 흐른다. 특히 오프닝 크레딧과 함께 시작
되는 음악은 영화의 전반적인 분위기나 정신을 설정해주는 일종의 서곡 역
할을 하며 영화의 주무대가 되는 특정시대를 사실적인 것으로 만든다(보그
스, 1995; 자네티, 2008). 이로써 피츠제럴드가 재즈시대라고 명명한 1920년
대 사회배경이 작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임을 알 수 있으며 또한 당대
사회에 대한 감독의 비판적인 시각이 함축되어 있음을 읽어낼 수 있다. 1
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은 정치적으로는 세계 강국으로 부상하고 경제적으
로도 풍요로운 생활을 누리게 되었으나 화려한 물질문명 이면에 도덕적인
혼란이 극에 달했으며 심각한 부의 편중 등으로 우울한 시대이기도 했다.
사람들이 정신적인 공허함을 채우고자 향락적인 삶에 빠져 지내는 모습은
영화에서 재즈 음악과 찰스턴 춤, 소란스런 파티로 재현된다. 아울러서 가
난에 허덕이던 사회 하위계층의 삶은 먼지로 뒤덮힌 재의 계곡에서 자동차
정비소와 주유소를 운영하는 윌슨 부부의 황량한 생활, 이에서 필사적으로
탈출하기 위해 불륜도 마다하지 않는 머틀의 절규, 닉이 전해주는 시카고
의 우울한 정경 등으로 제시된다.
닉이 이전에 뉴욕에서 증권 담당 세일즈맨으로 일할 때 머물렀던 롱아일
랜드 지역에서 한 여름동안 일어났던 일들을 회고하는 장면으로 영화는 시
작된다. 몇몇 비평가들이 위대한 개츠비를 닉의 정신적 성장과정을 다룬
성장소설로 간주한 바 있는데 1974년 영화에서 특히 주인공으로서 닉의 역
할을 부각시키고자 하는 감독의 의도를 볼 수 있다. 영화 전반에 걸쳐서
사건이나 인물들을 관찰하는 닉의 모습들이 클로즈업되고 있는 것은 그의
역할이 개츠비 못지않게 중요하게 다뤄지기 때문이다. 닉이 이상주의자 개
츠비의 꿈을 이어나갈 후계자임은 작품 전반에 걸쳐 유기적으로 짜여 들어
영화 위대한 개츠비에 나타난 이상향에의 꿈 87

가 있는 '새' 라는 상징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저녁식사 도중 톰의 정부


로부터 걸려온 전화 때문에 마음 상해하던 데이지는 먼 곳에서 날아온, 잔
디밭에 있는 새를 보고는 낭만적이라고 말하는데 여기서 새는 꿈을 추구하
는 개츠비를 상징한다. 새에게 모이를 주다가 닉은 개츠비 파티 초대장을
받게 되며 나중에 그는 <그림 5>에서 보듯이 개츠비 집 근처 해안가로 떠
밀려온 죽은 새를 바위 위에 안전하게 올려놓는다.
그림 5
죽은 새를 바위 위에 올려놓는 닉

이로써 개츠비가 죽은 뒤 그의 꿈의 의미를 인정하고 실현해 나가게 될


닉의 모습을 예견할 수 있다. 이러한 개츠비 꿈의 계승자로서 닉의 역할이
이 작품의 성공에 기여했으며(Hoffman, 1951) 도덕적인 중심을 이룬다
(Hanzo, 1968). 어떤 측면에서 보면 이 작품의 주요 행동들은 닉에게 일어
난 이야기이며 그가 경험한 바를 토대로 내리는 결론은 작품 주제의 중요
한 부분을 차지한다고 말할 수 있다. Cowley(1970)는 닉을 등장인물들 중
에서 타락하지 않은 유일한 사람이며 물질지상주의적인 사고방식에서 벗어
나 있다고 평한 바 있으나, 닉도 개츠비처럼 시대에 뒤처지고 남루하게 느
껴지는 중서부를 떠나 증권업으로 돈을 벌기 위해 뉴욕으로 왔다. 둘 다
예일대학을 졸업한 엘리트이나 유한계급출신의 톰과 달리 부모로부터 재산
을 받지 못한 닉은 고향에서 가업을 잇기보다는 물질적인 성공에의 꿈을
이루고자 뉴욕의 증권가에 투신하게 된다. 첫 장면에서 그의 보이스 오버
로 남을 섣불리 비판하지 말라는 아버지 가르침을 받아들여 이를 실천해
왔다는 점이 제시된다. 닉의 이러한 중도적인 특성, 즉 개츠비처럼 꿈을 이
루기 위해서 집을 떠나지만 아버지의 가르침이 의미하는 바 전통적인 도덕
과의 연결끈을 결코 놓지 않는 점은 영화 마지막 장면에서 개츠비의 꿈을
좌절시키는 타락한 동부 사회의 실상을 깨닫고 중서부로 가 새로운 출발을
88 김옥례

결심하게 되는 그의 성숙된 모습을 예견하게 한다.1)


닉은 처음 방문했던 톰의 집에서 뉴욕 아파트에 그의 정부가 있다는 조
던의 이야기를 듣게 되고 남편의 폭력을 비난하며 감옥같은 결혼생활 때문
에 고통스러워 하는 데이지의 마음을 읽게 됨으로써 톰 부부의 황량한 결
혼생활의 실상을 파악하게 된다. 이는 곧 그 뒤에 이어지는 황무지 이미지
로 묘사되는, 현대 물질문명 사회 이면의 절망스러운 비인간적인 상황을
상징하는 재의 계곡의 특성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닉이 이들 부유층
의 타락한 삶에 씁쓸해하며 집에 돌아와 보트를 정박시키다가 <그림 6>에
서 보듯이 이웃집 정원에서 만 건너편 데이지 집 근처의 초록색 불빛을 응
시하는 개츠비의 외로운 모습을, 다른 이들과 구분되는 그의 초월적인 특
성을(Marx, 1996) 감지하게 된다. 이 장면의 전체 배경은 무대전체는 어두
우며 약간의 하이라이트만으로 촬영대상을 비추는 로우 키(보그스, 1995)로
제시되고 있으며 개츠비의 모습을 로우 앵글로 잡아 그의 영웅성이 부각된
다. 즉 로우 앵글은 피사체를 밑에서 바라보는 각도로서 화면 속의 인물이
자신을 내려다보고 있다고 느끼기 때문에 촬영대상이 지닌 위압감, 힘, 권
위, 그리고 영웅적 면모 등을 드러낼 때 유용하다(오영미, 2007).

그림 6
데이지 집 근처의 초록색 불빛을 응시하는 개츠비의 모습

개츠비는 밤마다 맞은 편 이스트 에그의 부두에 켜진 초록색 불빛을 혼


1) 이 작품에서 장소는 중요한 상징이므로 주제를 파악하기 위해서 이에 대한 이해
가 필요하다. 우선 뉴욕이 대변하는 바 동부는 물질지상주의적인 사고방식이 팽
배하던 타락한 당대 사회현실을 상징한다. 반면에 닉의 고향인 중서부 지방은 미
국 고유의 전통과 도덕적인 가치관이 보존되고 존중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따라
서 닉의 귀향 결심은 미국의 꿈을 올바르게 구현하기 위해서는 물질만능적인 사
고방식에서 벗어나 도덕적이고 합법적인 방법으로 실현해야 한다는 저자의 메시
지를 함축한다.
영화 위대한 개츠비에 나타난 이상향에의 꿈 89

자 바라보고 서 있곤 하는 신비로운 사람으로 사람들 사이에 그가 살인자,


스파이라는 나쁜 소문들이 떠돈다. 초록색 불빛은 옛 연인 데이지를 되찾
으려는 개츠비의 꿈을 상징하는 것으로 이 불빛을 응시하는 개츠비의 모습
을 목격함으로써 닉이 그의 꿈의 추구에 동참하게 될 것임이 암묵적으로
제시된다. 개츠비의 꿈을 상징적으로 제시한 장면과 뒤이어 쓰레기 처리장
이라 할 수 있는 재의 계곡이 병치됨으로써 타락한 현실 때문에 꿈의 실현
이 어렵다는 함축적인 작가의 메시지를 읽을 수 있다. 또한 닉을 통해서도
동일한 시각이 제시된다. 즉 개츠비의 꿈이 실현되지 못했던 가장 큰 이유
는 사회 탓이라는, 작가의 대변인 역할을 하는 닉(Marx, 1996; Trask,
1970)의 인식은 초록색 불빛을 쳐다보는 개츠비의 모습을 담은 장면 위로
"결국 개츠비는 옳았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그의 꿈을 따라 떠돌던 먼지가
바로 개츠비를 잠식시킨 것이다"라는 보이스 오버로 흐른다. 여기서 먼지는
재의 계곡과 연결되는 상징으로 무책임하고 비도덕적인 사회의 특성을 함
축한다. 그 뒤 이어지는 톰 집에서 열린, 물질중심의 사고방식에 젖어 쾌락
적인 삶에 탐닉하는 무리들인 상류층의 파티장면과 개츠비가 홀로 어두운
바다에서 초록색 불빛을 향해 손을 뻗쳐 뭔가 잡으려는 듯 하는 모습을 담
은 장면이 병치됨에서도 작가의 이러한 메시지가 반복된다. 이 장면에서
개츠비의 꿈에 대한 열망은 성배를 찾아 나선 기사에 비교될 수 있을 정도
로 경건하게 제시된다. 이처럼 영화는 흔히 현대시에서 쓰이는 바, 이미지
들로 이루어진 시퀀스들을 평행 편집하는 몽타주 기법으로 작가의 메시지
를 효과적으로 전달한다(리처드슨, 2000).
현대사회가 황무지에 불과하다고 보는 시인 엘리엇의 진단과 시각을 같
이하는 위대한 개츠비의 메시지를 클레이튼의 영화에서도 잘 담아내고 있
다. 등장 인물들은 모두 뉴욕으로 가기 위해서 재의 계곡을 거쳐가야 한다.
이러한 지리적인 위치로 함축되듯이 뉴욕이 대변하는 바 1920년대 화려한
물질문명사회의 실상은 더러운 먼지와 잿더미로 가득한 세계인 것이다. 쓰
레기 처리장 옆에서 자동차 정비업을 하는 윌슨 부부가 사는 재의 계곡 장
면은 산업폐기물로 자연 풍경들이 오염된 현대산업사회라는 괴기한 지옥같
은 세계의 특성을 보여주는데 잿빛 필터로 이 부분을 처리해 효과적으로
영상화한다. 큰 안경너머로 재의 계곡을 내려다보고 있는 안과 개업의 에
클버그의 광고간판은 이 지역의 특성을 함축하는 대표적인 상징으로 영화
에서 이 지역이 다뤄질 때마다 광고판이 클로즈업된다. 가령 가난을 벗어
나기 위해 톰에게 도망가려는 머틀을 설득하며 윌슨이 신은 모든 것을 보
고 계시기 때문에 속일 수 없다고 말하는 장면에서 안과의사의 선전간판이
클로즈업되는데 개업의 광고간판을 신으로 생각하는 윌슨이 대변하듯이 물
90 김옥례

질을 신처럼 숭배하는 물질지상주의적인 사고방식이 팽배해 있었음


(Schneider, 1970)을 알 수 있다.
빈곤 계층인 윌슨 부부 뿐 아니라 아이로니칼하게도 유한계급 출신의 톰
도 이곳의 전형적인 거주자(Miller, 1968)라는 작가의 함축적인 메시지를
또한 읽을 수 있다. 즉 이 소설의 제목을 작가는 한때 "쓰레기 더미와 백만
장자들"로 붙이려고 했다(Piper, 1970, p. 98)고 하는데 재의 계곡 세계가
그려내고 있는 정신적인 불모성과 도덕적인 혼란 등의 특성은 특히 톰에게
서 압축적으로 제시된다. 가령 데이지 이름을 함부로 부른다며 파티에 참
석한 사람들 앞에서 머틀의 코를 세게 때려 피투성이가 되게 만드는 장면
은 익스트림 클로즈업됨으로써 사회약자에 대한 톰이 대변하는 바 유한계
급의 폭력성을 부각시킨다. 그는 바람둥이로서 아내에게도 폭력을 행사함
으로써 데이지는 야수처럼 덩치만 크다며 그를 닉 앞에서 비판한다. 또한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모인 개츠비의 파티를 동물원 같다고 비웃는가 하
면 최근에 자신이 읽은 책, 유색인종 제국의 출현을 거론하며 유색인종이
사회 지배계층이 될 것을 염려하기도 한다. 더 나아가 뉴욕호텔 장면에서
데이지와 개츠비의 관계를 흑백의 만남으로 빗댐에서 볼 수 있듯이 세습받
은 기존의 부유계층 만이 문화인이며 백인에 속한다는 극단적으로 폐쇄적
인 인종차별의식과 계급차별의식을 보여준다. 톰은 또한 데이지의 부주의
한 운전으로 인한 머틀의 죽음에 대한 책임을 개츠비에게 전가시키는 부도
덕성을 보여준다. 톰과 데이지가 대변하는 부유한 사회 기득권 층의 무책
임한 세계가, 그들의 마비된 도덕의식이 결국 개츠비와 머틀과 윌슨을 모
두 비극적인 죽음에 이르게 하는 요인이 되는 것이다(Bewley, 1968). 윌슨
이 톰의 집을 방문한 장면에서의 마굿간 말들의 음울한 울음소리, 피하려
해도 자꾸 대면하게 되는 윌슨의 모습에 소스라치며 놀라는 데이지의 모습
이 클로즈업 됨으로써 스토리가 비극적인 파국으로 치닫고 있음을 함축한
다.
당대 벼락부자의 전형으로 단기간에 많은 돈을 번 개츠비는 데이지 집을
가장 잘 지켜볼 수 있는 장소에 있는 웨스트 에그의 대저택을 구입하고 데
이지가 찾아올 날을 기다리며 파티를 연다. 즉 한 달에 두 번 여는 호화스
러운 파티는 데이지를 만나고자 하는 그의 꿈을 이루기 위한 수단인 것이
다. 그러나 파티에서 그녀를 발견하지 못하게 되자 우연히 만나게 된 조던
이 데이지의 친구임을 알고 도움을 청한다. 따라서 조던은 뉴욕시내에 있
는 닉의 사무실을 방문해 닉의 집을 만남 장소로 이용하고 싶다는 개츠비
의 부탁을 전하게 된다. 개츠비의 저택이 잘 들여다 보이는 닉의 집에서
개츠비는 데이지를 8년 만에 재회하게 되고 그동안 모아왔던 자신의 부를
영화 위대한 개츠비에 나타난 이상향에의 꿈 91

과시하며 그녀의 환심을 사게 된다. 원작에서의 5년이라는 세월이 영화에


서는 8년으로 변경된다. 모두 개츠비 집으로 건너가게 되는데 오버랩으로
촬영되는 방 장면들은 개츠비 저택의 엄청난 규모를 강조하는 효과를 보여
준다. 데이지는 집을 구경하다 드레스 룸에서 개츠비가 자신에게 던진 화
려한 셔츠 더미 속에서 울음을 터트리게 된다. <그림 7>에서 보듯이 그동
안 남편의 불륜, 무관심, 폭행 등으로 인한 감옥같은 결혼 생활에 좌절해왔
던 데이지가 그렇게 아름다운 셔츠들을 이전에 본 적이 없다며 셔츠 더미
위에 얼굴을 파묻고 흐느껴 우는 모습이 클로즈업 샷으로 처리된다.

그림 7
개츠비의 셔츠 더미 위에서 흐느껴 우는 데이지의 모습

자신에 대한 개츠비의 순수한 사랑에 감동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개츠비


는 장교시절 가난 때문에 잃었던 첫 사랑을 다시 찾기 위해 수단방법을 가
리지 않고 돈을 모으게 된다. 즉 그는 물질 자체만을 추구하는 그 시대 대
부분 사람들과 달리 자신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재산을 축적한
것이다. 따라서 셔츠는 단순히 최신 유행스타일의 비싼 의복을 의미하는
것이라기 보다는 초록색 불빛과 마찬가지로 신성한 특성을 지니는 주요한
상징이다. 이 영화이후 남자들은 흰 드레스 셔츠 대신에 파스텔 색조의 셔
츠를 입기 시작했으며 개츠비 의상을 디자인한 신참 디자이너 로렌(Ralph
Lauren)은 패션계를 리드하는 일급 디자이너가 되었다고 한다.
8년 만에 재회한 데이지와 새로운 삶을 시작하기로 약속할 때 개츠비의
꿈은 이루어지는 것처럼 보인다. 데이지를 다시 만난 개츠비가 옛 군복을
입고 서로 사랑했던 옛날을 회상하며 춤을 추는 장면에서 이들 연인의 머
리 주위에 후광 효과가 나도록 촬영되어 낭만적인 분위기가 전달되며(자네
티, 2008) 카메라가 춤추는 사람들과 함께 움직임으로써 이들의 행복감을
재현한다(자네티, 2008). 개츠비는 데이지와 재결합하려는 계획을 밝히고자
92 김옥례

톰의 집에 간다. 그러나 톰과 개츠비 사이의 팽팽한 갈등과 앞으로 폭발하


게 되는 극적 긴장감을 상징하는 후덥지근한 날씨 때문에 말도 꺼내지 못
한 채 모두 뉴욕 플라자 호텔로 이동하게 된다. 톰은 개츠비와 차를 바꿔
타고 뉴욕으로 가는 도중 주유소에 들르게 되는데 거기서 아내의 불륜 때
문에 서부로 떠나려고 하는 윌슨의 계획을 듣게 된다.
주요 등장인물들이 모두 모여 있는 뉴욕 호텔에서 개츠비는 톰을 정면으
로 대면하여 데이지가 그를 사랑한 적도 없으며 그를 떠나 자신에게 올 것
이라고 이야기한다. 이에 하인에게 뒷조사를 시켰던 톰은 개츠비가 부정한
방법으로 돈을 번 사실을 거론하면서 그를 강력히 비난하게 된다. 그들이
서로 맞서서 대결하는 모습은 화면 가득히 표출됨으로써 이들 사이의 팽팽
한 긴장과 적대감이 미장센으로 효과적으로 제시된다. 또한 개츠비는 데이
지에게도 톰을 사랑한 적이 없다는 말을 하도록 강요한다. 이에 그녀는 지
난 일에 대해서는 어쩔 수 없다며 결국 울음을 터뜨리게 된다. 지난 8년
세월의 흔적을 전적으로 부인하라는 개츠비의 요구를 데이지는 현실적으로
따를 수 없는 것이다. 지난 결혼생활을 입증하는 그녀의 딸 페미(Pammy)
를 보고 충격에서 쉽게 헤어나오지 못하는 개츠비의 모습이 클로즈업됨으
로써 과거를 반복할 수 있다는 그의 신념을 실현하는 것이 사실 불가능하
다는 감독의 메시지가 전달된다.
개츠비는 가난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났으나 자신의 꿈을 실현하기 위해
이름을 제임스 개츠(James Gatz)에서 제이 개츠비(Jay Gatsby)로 바꾸게
된다. 즉 소설에서 "제이 개츠비는...자신에 대한 이상주의적인 관념에서 태
어났다"(Fitzgerald, 1925, p. 98)라고 묘사되듯이 그는 부모와의 연결까지
끊고 자신의 관념에서 만들어낸 이상을 실현하고자 결심하게 된다. 자신이
원하는 삶의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서 흡족하지 않은 과거의 흔적들을 완전
히 지워버릴 수 있다는 것이다. 가령 개츠비는 자신과 데이지가 헤어져있
던 지난 세월은 지워질 수 있으며 그 옛날 데이지와 사랑을 나눴던 아름다
웠던 과거를 그대로 재생해낼 수 있다고 믿는다. 그는 인간이 시공간의 제
약을 받는 유한한 존재임을 거부하게 되는 셈이다. 이는 넓은 의미에서 본
다면 미국 선조들이 이상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범한 오류를, 즉 과거 세월
의 흔적인 역사, 전통과 단절된 채 자신들의 관념 속에서 만들어낸 이상자
체에만 매달리던 특성을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비평가들이 지적한 바 있듯
이 개츠비의 이야기는 미국이라는 신세계에 도착해 그들의 꿈을 실현하려
던 전형적인 유럽인들, 즉 미국 선조들의 이야기이기도 하다(Marx, 1996).
그들은 의도적으로 기존의 문화 유산과 단절하고 무한한 재물을 축적함으
로써 이상상태에 도달할 수 있다고 믿으며 자신들의 꿈을 실현하고자 하였
영화 위대한 개츠비에 나타난 이상향에의 꿈 93

다.
반면에 작품의 또 다른 주인공인 닉은 과거는 반복할 수 없다며 인간은
시공간의 제한을 받는 역사적인 존재라는 사실을(Piper, 1970), 대대로 이어
져오는 전통과 도덕의 중요성을 받아들인다. 뉴욕 플라자 호텔에서 인물들
의 갈등을 지켜보던 닉은 자신이 이제 서른 살이 되었음을, 즉 성숙한 나
이가 되었음을 밝히게 된다. 이는 상징적으로 그가 현실에 대한 통찰력을
갖게 됨으로써 세상일에 보다 적극적으로 개입하게 될 것임을 함축한다.
진실과 허위를 구분하기 힘든 현실 속에서 등장인물들 중 오직 닉만이 통
찰력을 점차 갖춰나가 결국 옳게 볼 줄 알게 되는 것이다(Samuels, 1970).
따라서 그는 개츠비를 둘러싼 모든 상황을 목격한 뒤 동부는 손을 쓸 수
없을 정도로 타락한 곳임을 깨닫고 난 뒤 개츠비의 꿈을 이어나가기 위해
옳은 방법을 취해야 함을 직시하고 자신의 고향인 중서부로 돌아갈 결심을
한다. 닉이 고향으로 돌아가는 것은 전통에 토대를 둔 도덕적인 방법으로
(Miller, 1968) 이상을 실현하게 될 것임을 의미한다.
뉴욕에서 돌아오던 중 톰, 닉과 조던은 군중이 몰려있던 윌슨의 주유소
에 들러서 개츠비 차에 치여 머틀이 죽었음을 알게 된다.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데이지 집앞에 있던 개츠비와 마주치게 되자 닉은 왜 차를 멈추지 않
았냐고 항의하지만 답변대신 데이지 걱정만 하는 개츠비에게 분노를 느끼
게 된다. 그에게서 머틀의 죽음에 대한 죄책감을 전혀 볼 수 없기 때문이
다. 개츠비는 자신의 차를 데이지가 운전했다는 사실을 밝히지 않고 톰이
데이지를 해칠까 염려하면서 그녀의 방 앞에서 밤을 지새우게 된다. 밤새
데이지를 지켜보던 개츠비는 아침에 닉의 집으로 건너와 자신이 새벽 4시
까지 기다렸으나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고 말한다. 왜 차를 멈추어 서
지 않았느냐며 닉이 다시 질문을 던지자 "그녀가 겁에 너무 질려있었고 핸
들을 잡으려고 했는데, 그런데 그녀가..."라고 대답하는 과정에서 데이지가
차를 운전했다는 사실을 무심결에 밝히게 된다. 그녀의 죄까지 짊어지려
했던 개츠비의 순수한 마음에 닉은 감동하며 그를 다시 신뢰할 수 있게 된
다.
닉은 처음엔 개츠비의 무질서하고 부도덕하게 보이는 삶에 그를 경멸하
였으나 아버지 충고대로 판단을 미루고 그의 삶을 지켜보는 과정에서 점차
이해하게 된다. 닉이 개츠비를 긍정하게 될 것임은 그들의 첫 대면 장면에
서부터 이미 함축적으로 제시된 바 있다. 즉 <그림 8>에서 보듯이 닉이
처음 개츠비를 만나기 위해 문 밖에서 기다리고 있을 때 거울에 비춰진 자
신의 모습을 보는 장면 뒤에 이어서 거울과 유사한 역할을 하는 문틈사이
로 개츠비를 바라보는 장면은 닉이 개츠비를 무의식적으로 자신의 확장된
94 김옥례

자아로서 생각하고 있다는 것에 대한 영상적인 표현이다(김옥례 & 이소영,


2002)

그림 8
닉과 개츠비의 첫 대면 장면

작품 후반에 이르러서 특히 담배를 나눠 피우며 건너 편 만을 함께 바라


보며 옛 선조들의 꿈을 회고해보는 장면에서 닉과 개츠비 사이의 일체감이
더욱 뚜렷이 드러난다. 한 화면 안에서 같은 방향을 향하고 있는 두 사람
의 모습을 나란히 담은 장면은 처음 그들이 개츠비의 집에서 대면하였을
때 서로 다른 화면이나 화면 양 끝에서 대치되던 관계에서 변모하였음을
보여준다(김옥례 & 이소영, 2002). 따라서 처음 개츠비를 대면할 때의 팽팽
한 긴장감이 감돌고 거리감이 있던 모습에서 벗어나 개츠비 꿈의 위대함을
인정하고 공감하며 그의 꿈을 계승하게 될 것임을 예견하게 한다. 죽음 직
전에 만난 개츠비와 헤어지며 닉은 데이지와 톰은 타락한 사람들이며 개츠
비는 그들과 달리 가치있는 존재임을 직접 그에게 말해준다. 개츠비가 죽
은 이후에 닉은 그의 유일한 친구로서 개츠비의 시신을 처리하기 위한 지
시를 내리고 장례식을 주관하며 데이지, 울프샤임 등 참석이 가능할 것 같
은 사람들에게 일일이 전화를 한다. 개츠비 시체가 실려나갈 때 관 밑으로
늘어뜨려진 개츠비 손에 끼워진 초록색 반지가 익스트림 클로즈업되는 장
면 위로 개츠비의 위대성, 즉 희망에 대한 개츠비의 비상한 재능과 다른
이에게서는 찾기 힘든 희망에 대한 그의 낭만적인 준비성을 언급하는 닉의
보이스 오버가 흐른다. 이로써 죽음을 무릅쓰면서까지 이상에 매달려왔던
개츠비의 위대성을 다시 한번 강조하는 닉의 입장을 볼 수 있다.
영화 위대한 개츠비에 나타난 이상향에의 꿈 95

Ⅲ. 나오며
보통 존경받는 인물이 영화 끝 부분에 등장해 앞 장면들의 의미를 다시
금 요약해준다(자네티, 2008). 클레이튼 감독의 영화에서도 닉의 얼굴을 클
로즈업 시켜 마무리 짓는 마지막 장면에서 닉이라는 또 다른 주인공의 역
할을 부각시킴으로써 부패한 현실에 대한 비판에서 더 나아가 이상향 건설
에 대한 감독의 긍정적인 비젼과 대안을 찾아 볼 수 있다. 어두운 바다를
배경으로 초록색 불빛이 여전히 깜빡이는 장면 위로 "이 잔디밭으로 오기
까지 그는 많은 과정을 거쳤는데 나는 개츠비가 데이지의 부두 끝에 있는
초록색 불빛을 찾아냈을 때 그가 느꼈을 경이로움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라는 닉의 보이스 오버가 흐른다. 짙푸른 색의 저녁하늘과 바다가 함축하
는 바 우울한 현실 속에서 닉은 개츠비의 꿈의 소중함을 다시금 강조하고
그의 이상을 실현할 것을 다짐한다. 닉은 개츠비의 삶을 통해 이상주의자
의 꿈이 동부 지방이 대변하는 바 타락한 현실에 의해 변질되고 좌절됨을
깨닫고 옳은 방법으로, 즉 전통적인 도덕과 가치관을 지켜나가며 개츠비의
꿈을 이어나갈 결심을 하게 된다. 이러한 메시지를 카메라를 정면으로 응
시하는 닉의 모습을 클로즈업함으로써 전달한다. 닉이 관객을 향하여 직접
말을 건네는 이 장면에서 관객에게도 자신의 여정에 함께 가담할 것을 요
청하는 함축적인 의미를 발견할 수 있다(자네티, 2008).
클레이튼의 위대한 개츠비는 원작의 내용을 따르면서도 이를 적절하게
변형시켜 감독 자신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데이지와 개
츠비의 낭만적 사랑을 부각시키려는 것이 주요 목적이었던 다른 세 편의
개츠비 영화들과 달리 1974년 영화에서 관객들은 개츠비의 사랑 이야기를
넘어서 미국이상주의자들의 꿈과 좌절, 그리고 그 대안에 대한 통찰을 읽
어낼 수 있다. 즉 이 영화를 통해서 1920년대 미국사회의 특성과 미국인들
의 사고 근저를 이루는 미국의 꿈, 더 나아가 경이적인 기술과 과학의 발
달 이면에 정신세계는 더욱 황폐화되고 있는 현대인들의 고뇌가 어떻게 함
축되고 있는지 생생하게 대면할 수 있다. 따라서 클레이튼 감독의 위대한
개츠비는 제작된 지 40여 년이라는 많은 세월이 흘렀음에도 여전히 그 중
요성을 인정받고 있다. 다만 현대 영화와 차이를 느끼게 하는 제작당시의
영화적 스타일이나 기법 때문에 이즈음 학생들에겐 다소 지루한 점이 있기
는 하지만 이런 고전 영화 감상에 있어서는 학생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그
작품 제작 당시의 맥락으로 감상할 필요가 있다. 지난 수년간 강의에서 학
습자들이 보여줬던 영미문화 교육에서의 긍정적인 지표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을 포함시키고 있지 못함은 이 논문의 한계이나 향후 다른 논문에서
96 김옥례

이를 보완할 예정이다.

참고문헌
김옥례, 이소영. (2002). 위대한 개츠비. 서울: 스크린영어사.
로버트 리처드슨. (2000). 영화와 문학. 이형식(역). 서울: 동문선.

루이스 자네티. (2008). 영화의 이 . 박만준과 진기행(역). 서울: K-books.

오영미. (2007). 문학과 난 영화. 서울: 월인.
윤재웅. (2010). 교차문화 자각력 신장을 위한 문화교육에서의 영화 이용법

고찰. 영상영어교 , 11(2), 117-139.

이형식, 정연재, 김명희. (2004). 문학 스트에서 영화 스트로. 서울: 동인. 텍
:
조셉 보그스. (1995). 영화분석론 영화보기와 영화 기. 이용관(역). 서울: 읽
제3문화사.
Bewley, M. (1968). Scott Fitzgerald's criticism of America. In E.
Lockridge (Ed.), Twentieth century interpretations of The great
Gatsby (pp. 37-53).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Blueston, G. (1957). Novels into film. Baltimore, MD: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Clayton, J. (Director). (1974). The great Gatsby [Motion Picture].
United States: Paramount Pictures.
Cowley, M. (1970). The romance of money. In H. D. Piper (Ed.),
Fitzgerald's The great Gatsby: The novel, the critics, the
background (pp. 133-140). New York: Charles Scribner's Sons.
Fitzgerald, F. S. (1925). The great Gatsby. New York: Charles
Scribner's Sons.
Hanzo, T. A. (1968). The theme and narrator of The great Gatsby. In
E. Lockridge (Ed.), Twentieth century interpretations of The
great Gatsby (pp. 61-69).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Hoffman, F. J. (1951). The modern novel in America 1900-1950.
Chicago: Henry Regenery Company.
Hoffman, F. J. (1962). The twenties. New York: Collier Books.
:
Marx, L. (1996). The machine in the garden Technology and the
pastoral ideal in America.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
McFarlane, B. (1996). Novel to film An 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영화 위대한 개츠비에 나타난 이상향에의 꿈 97

adaptation.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Miller, J. E., Jr. (1968). Boats against the current. In E. Lockridge (Ed.),
Twentieth century interpretations of The great Gatsby (pp.
19-36).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Mizener, A. (1970). The great Gatsby. In H. D. Piper(Ed.), Fitzgerald's
:
The great Gatsby The novel, the critics, the background (pp.
127-133). New York: Charles Scribner's Sons.
Ornstein, R. (1968). Scott fitzgerald's fable of east and west. In E.
Lockridge (Ed.), Twentieth century interpretations of The great
Gatsby (pp. 54-60).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
Piper, H. D. (1970). Fitzgerald's The great Gatsby The novel, the
critics, the background. New York: Charles Scribner's Sons.
Robinson, P. A. (Director). (1989). Field of dreams [Motion
Picture]. United States: Gordon Company.
Samuels, C. T. (1970). The greatness of Gatsby. In H. D. Piper (Ed.),
Fitzgerald's The great Gatsby: The novel, the critics, the
background (pp. 151-159). New York: Charles Scribner's Sons.
Schneider, D. J. (1970). Color-symbolism in The great Gatsby. In H. D.
Piper (Ed.), Fitzgerald's The great Gatsby: The novel, the
critics, the background (pp. 145-150). New York: Charles
Scribner's Sons.
Trask, D. F. (1970). The end of the American dream. In H. D. Piper
:
(Ed.), Fitzgerald's The great Gatsby The novel, the critics, the
background (pp. 213-217). New York: Charles Scribner's Sons.
Trilling, L. (1968). F. Scott Fitzgerald's fable of east and west. In E.
Lockridge (Ed.), Twentieth century interpretations of The great
Gatsby (pp. 110-112).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Watkins, F. C. (1970). Fitzgerald's Jay Gatz and young Ben Franklin. In
:
H. D. Piper (Ed.), Fitzgerald's The great Gatsby The novel,
the critics, the background (pp. 201-202). New York: Charles
Scribner's Sons.

Applicable levels: college


Keywords: utopian community, American Dream, artistic movie director,
98 김옥례

American culture, Jazz Age, Valley of Ashes, The Waste


Land

김옥례
한국철도대학 외국어교육 연구소
437-763 경기도 의왕시 월암동 374-18
Tel: 070- 8855- 1632
E-mail: beadle616@yahoo.co.kr

Received: 2010. 11. 30.


Revised Version: 2011. 2. 10.
Accepted: 2011. 2. 14.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