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

2022 년도 연극영화의 이해 기말고사 (02 분반)

성 명 장영정 학 번 1612957

* 다음 문제에 대한 답을 작성한 후 “답안 제출”에 업로드 하시오. (총 40 분 / 100 점 만점)

1. 다음의 제시어에 대하여 한 두 문장으로 간단히 설명하시오. (각 5 점 * 10 = 50 점)


① 멜리에스                    특수효과의 창시자. 시네마토그래프를 처음 선보인자들.
② 코러스            주인공 뒤에서 여러명이 함꼐 춤을 추거나 노래하는 사람들을 의미한다.
③ 프로시니엄 아치      객석에서 볼 때 원형이나 반원형으로 보이는 무대를 말한다. 액자무대라고도
한다.                               
④ 콘피당트    고전극에서 심복역을 뜻하는말. 심적으로 항상 함꼐하고싶은 분신같은 친구관계.
⑤ 잔상효과              영화와 애니메이션과 같이 연속적인 이미지를 넘기며 눈에 보이는 이미지가
움직이는 것과같은 착각을 일으키는 효과.                                           
⑥ 몽타쥬 초기 영화에서 필름의 단편들을 조합하여 한편의 통일된 작품으로 엮어내는 편집작업의
총칭
⑦ 뤼미에르 형제      시네마토그래프를 발명하여 이를 이용하여 처음으로 영화를 찍었다. 영화의
아버지
⑧ 미장센 무대위에서의 등장인물의 배치나 역할 , 무대장치, 조명 따위에 관한 총체적인 계획 및
이러한 결과물에서의 표현을 가리킨다.
⑨ 하이 앵글(카메라의 위치)      영황에서 가장흔하게 사용되는 앵글, 피사체를 높은곳에서 낮은곳으로
내려다본 각도. 무기력이나 패배감을 줄떄 또는 귀여운 대상 표현할떄 사용.
󰊈 스토리 타임 내러티브에 포함되는 시간의 양.

2. 다음의 설명에 맞는 답을 쓰거나 괄호 안에 들어갈 단어를 쓰시오. (각 3 점 * 10 = 30


점)
① 영화 미학을 카메라가 보여주는 장면의 주관적이고 정신적인 측면을 통한 시각적 특성으로
정의하려는 이론으로, ‘사진’과 ‘영혼’의 합성어로 이루어진 단어다.
② 19 세기의 낭만주의 연극, 부르주아 연극이 상업적으로 완성된 형태로, 선인과 악인의 대조, 논리적
구성, 도덕적 결말, 필수장면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 장르의 플롯 구성을 ‘웰 메이드 플레이’로
부른다.    멜로드라마
③ 고대 그리스 연극에서 유래한 용어로 ‘기계 장치를 이용하여 강림한 신’을 의미한다. 신의
등장으로 어려운 국면을 타개하는 극작술적 전략으로, 이후에도 복잡하게 꼬인 사건을 작가가
논리적으로 풀어나가기 어려울 때 기적, 우연 등에 기대어 사건을 해결하려 하는 것을 가리킨다.
데우스 엑스 마키나
④ 이동차에 카메라를 싣고 움직이는 것을 가리킨다. 달리고 있는 자동차를 촬영할 때 주로 사용하는
촬영 기법이다.
달리샷, 트랙킹샷
⑤ 고대 그리스 연극에서 코러스들을 위한 공간이다. 이곳에서 춤, 합창 등이 이루어졌다.
⑥ 영화의 언어를 발견하고 문법을 정리한 사람으로 영화의 아버지로 불린다. <국가의 탄생>(1915)
등이 대표작이다.
D.W 그리피스
⑦ 아돌프 아피아는 바그너에게 영감을 받은 상징주의 무대미술가로, 특히 무대예술에 있어서 (    ⑦    )
을 강조했다. 그는 “(    ⑦    )은 음악과 마찬가지로 모든 형상의 내적 본질을 표현할 수 있다”고
말한다.
조명(빛)
⑧ 사실주의 연극, 심리주의적 연기, 체험의 연기론을 완성시킨 러시아의 연출가 스타니슬라브스키의
연기 이론이다. 근대적 무대연기술의 기본이 되는 것으로 미국으로 건너가 ‘메소드 연기론’이
되었다.
신체적 행위법(신체적 행동)
⑨ 2 차 세계대전이 종식된 전후 시기에 등장한 실험적 연극 중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전통적인
연극의 법칙을 거부하며 인간 실존의 상황을 제시하였다. 까뮈, 베케트, 이오네스코 등의 작가들이
대표적이다.
부조리극
󰊈 미국의 연출가이자 이론가인 리차드 셰크너가 주창한 연극으로 기존의 극장 공간을 탈피한 곳(
공장, 도심, 야외 공터 등)에서 배우와 관객의 공간적 이분법을 거부하는 방식으로 공연하였다.
환경연극

3. 브레히트의 서사극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0 점)


서사극은, 독일 에피소드 연극, 환상을 피하고 종종 관객들에게 분석, 주장 또는 기록으로 직접
연설하기 위해 줄거리를 중단시키는 일련의 느슨한 연결 장면을 보여주는 교훈적인 연극의 형태이다.
서사극은 1920 년대 이후 독일의 극작가 겸 감독인 베르톨트 브레히트에 의해 발전된 연극 이론과
실제와 가장 자주 연관되어 있다. 극적 선례는 독일의 극작가 프랑크 베데킨트와 독일의 연출가
에르빈 피스카토르와 레오폴트 제스너의 표현주의 이전 연극의 에피소드 구조와 교훈적 성격을
포함한다.
브레히트의 관점은 마르크스주의였으며, 그의 의도는 관객의 지성에 호소하여 도덕적 문제를
제시하고 현대 사회의 현실을 무대에 반영하는 것이었다. 그는 그들의 감정적인 반응을 차단하고,
등장인물들에게 감정이입하고 행동에 휘말리는 그들의 성향을 방해하기를 원했다. 이를 위해 그는
관객들이 연극에 대해 객관적으로 생각하고, 그 주장을 성찰하고, 이해하고, 결론을 도출하도록 하기
위해 '이질화 효과' 즉 '거리화 효과'를 이용했다.
브레히트의 서사극은 러시아 감독 콘스탄틴 스타니슬라프스키가 무대 위의 연극이 "진짜"라고
믿게끔 설득한 것과는 정반대였다. 중국 연극의 관습에 영향을 받은 브레히트는 배우들에게 그들이
연기한 인물들과 거리를 두라고 지시했다. 그들은 사회적 관계의 표시로서 정형화된 외부 행동을
강조하면서 내적인 삶과 감정을 무시했다. 제스처, 억양, 표정, 그룹화는 한 캐릭터의 다른 캐릭터에
대한 전반적인 태도를 보여주기 위해 계산되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