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

1. 예술영화에서 사용되는 영화 낯설게 하기의 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2) 조명을 통해 낯설게 하기

2. 동시 녹음 사운드의 마이크 위치 설정에 있어 유의점을 모두 고르세요


1) 녹음기의 개인(볼륨 조절)은 채집되는 소리에 상관없이~
3) 씬 내에서 사운드는 통일성이 있어야 한다.

3. 매치컷 편집의 요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3) 샷의 길이

4. 인간이 들을 수 있는 가청 주파수 대역은?


3) 20Hz 에서 20KHz

5. 시점숏에 관련된 것을 모두 고르세요.


1) 인물이 보고 있는 대상을 지칭
3) 대상을 바라보는 주인공에 대한 리버스 컷
4) 반드시 동기가 수반됨

6. 소리의 3요소가 아닌것은?


1) 변조

7. 디지털 사운드의 3가지 처리과정 중에서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순간순간의 값을 읽어내어


이를 펄스(Pulse) 로 변환시키는 과정은?
1) 표본화

8. 현장음 녹음 시 유의할 점을 모두 고르세요


2) 소리가 강한 사운드를 채집할 때에는 가급적이면 콘덴서마이크를 사용하지 않는 것~
3) 초지향성 마이크의 이상적 거리는 60cm 에서 1 혹은 2m가 적당하다.
4) 한 작품을 촬영할 때 마이크를 바꾸는 것은 좋지 않다.

9. 3막 8장에서 장은 이야기 덩어리로서의 ( ) 를 말한다. ( ) 안에 들어갈 단어를 찾으세요.


1) 시퀀스

10. 외재음향 (non-digetic sound)의 종류에 해당되는 것을 모두 고르세요.


2) 성우의 나레이션
4) 배경음악

11. 저음역의 특성이 좋고 ~ 종류는? :


4) 리본마이크

12. 몽타주를 벽돌쌓기에 비유한 이론가 ~ :


4) 푸도프킨

13. 인물의 내면감정 표현을 위해 적절히 ~ :


3) CU(Close up)

14. 소리의 3요소 중에서 ~ :


3) 주파수

15. 하드라이트(Hard Light)의 특징 :


4) 피사체의 질감과 윤곽을 무디게 한다.

16. 편집의 일반 원칙을 모두 고르세요


1) : 피사체가 움직이는 라인 ~
4) 새로운 샷 연결에는 ~

17. 두 컷 사이에 빠르게 삽입되는 검은 바탕 혹은 흰색의 화면으로 점프 컷을~


4) 플래시 프레임

18. 광곽렌즈의 특징을 맞는 것을 모두 고르세요


1) 원금감 표현이 용이하다.
3) 심도가 깊어 다양한 피사체를 한 화면에 ~
4) 촬영 시 흔들림이 적은 영상을 얻어 낼 수 있다.

19. 조명의 올바른 기능에 대해 모두 고르세요


1) 원근감 강조의 기능
2) 정서자극의 기능
4) 정보 전달의 기능

20. 세르게이 에이젠슈타인 의 몽타주 이론 중 은유적이고 상징적인 샷의 연결을 통해 새로운


~
2) 지적 몽타주

21. 조명기구의 종류 중 조명기로부터 발산되는 광원을 한 곳으로 모아 주거나 확산시킬 필


요가 있을 때, 혹은 피사체의 조명을 받는 부분과 받지 않는 부분 사이의 경계를 만드는데 활
용하는 조명기구는?
3) 반도어

22. 테잎방식의 편집 방법으로써 편집점에 대한 접근이 순차적으로 가능한 편집방법은?


3) 선형 편집

23. 초기 몽타주 이론에 대한 비판의 핵심은 무엇이었는가?


4) 관객을 수동적 존재로서 파악하고 감독의 일방적인 메시지 전달에만 몰두해 있었다.

24. 입체적 공간, 자연(ambience)사운드 채집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마이크는?


2) 양지향성 마이크

25. 현장녹음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것은?


4) ADR 작업

26. 사운드 편집시 반드시 지켜야~


커다란 소리가~/편집본을 믹싱실로~/영상 컷이 잘려진~

27. 상황의 판단이나 설명~


하이앵글

28. 아날로그 필름 촬영에 비교하여~


배급과정이~/다양한 시각효과~/보관이 용이~

29. 그림자를 약화시키며~


보조광(Fill Light)

30. 관객에게 새로운 정보를~


컷어웨이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