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1

연극영화의 이해 – 6주차 - 01

영화, 카메라의 언어, 영화성


내용과 형식
*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
* 어떻게 말하고 있는가

- 영화분석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무엇을(내용), 어떻게(형식)


- 구조(스타일 /테크닉)는 카메라, 조명, 색채, 프로덕션 디자인, 연기 스타일, 편집, 사운드
와 내러티브를 어떻게 조절하느냐에 달려있다.
- 감독의 역할과 개성 – 때로는 주제의식으로, 때로는 형식(스타일)로
영화, 카메라의 언어, 영화성
영화의 시간 – 영화의 공간
*영화는 시간과 공간의 예술이다.

- 영화의 시간 : 러닝타임, 스토리 타임, 내적 구조의 시간


- 영화의 공간 : 2차원적 평면
: 무성영화 시절 35mm 필름의 비율은 1.33 : 1(4:3)
: 비스타 비전(일반 상영관) 1.85:1 (16:9)
: 20세기 폭스 개발 시네마스코프 2.39 : 1 (21:9)
영화, 카메라의 언어, 영화성
영화의 시간
* 러닝타임 : 영화의 지속시간. 절대시간. 즉 관객이 영화가 시작해서 끝날 때까지 보게
되는 시간의 총량을 말한다.
: 대부분 장편영화(feature films)의 러닝타임은 90분에서 120분 가량 되는데, 이는
인간의 생리적인 리듬상 그만한 정도의 시간이면 쾌적하게 앉아서 영화를 감상하기에
적당하기 때문이다.
: 그러나 궁극적으로 러닝타임을 결정하는 것은 영화가 담고 있는 내용에 달려 있다.
장르별 : 로맨스, 액션, 역사물, 코미디, 다큐멘터리 등
영화, 카메라의 언어, 영화성
영화의 시간
* 스토리 타임 : 내러티브에 포함되는 시간의 양.
- 한 위대한 인물의 일대기를 두 시간이라는 러닝타임에 담을 수도 있고, 두 시간 동안
벌어지는 일을 같은 시간대에 다룰 수도 있다. 반대로 두 시간에 걸쳐서 일어난 사건들
을 세 시간의 러닝타임에 담을 수도있다.
- 예를 들어 프레드 진네만 감독의 서부영화인 <하이 눈>(1952년)에서 스토리는 1시간
30분 정도의 시간에 걸쳐 일어나는데, 영화자체의 러닝타임도 대략 그 정도로, 스토리
타임과 러닝타임이 거의 일치하는 대표적인 영화이다. 스탠리 큐브릭의 <2001년 : 스페
이스 오디세이>(1968년)는 유인원이 살던 인류의 여명기로부터 우주여행시대에 이르기
까지의 장구한 시간대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으나 러닝타임은 140분이다.
영화, 카메라의 언어, 영화성
영화의 시간
* 내적 구조의 시간 : 러닝타임이 절대시간이라면 내적 구조의 시간은 어느 정
도 주관적이라는 의미에서 상대적 시간이다.
- 이는 영화 형식 및 테크닉의 구조적 조작을 통해 이루어지게 되는데, 만약 영
화감독이 한 시퀀스를 편집하면서 쇼트의 길이를 점차 줄여나간다면 그 시퀀스
의 템포는 가속화될 것이다.
- 빠른 카메라 움직임도 한 쇼트의 내적 구조의 시간을 가속화시키는데, 이럴
경우 관객은 똑같은 길이의 러닝타임이라고 할지라도 영화가 아주 빠르게 전개
된다는 느낌을 받게 된다. 상대적으로 그렇게 느끼게 되는 것이다.
영화, 카메라의 언어, 영화성
영화의 공간
*영화의 공간적 속성들은 우선 무엇보다도 프레임(frame) 내에 사물들을 어떻
게 배열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프레임이라는 용어는 스크린에투영된 영역의
차원을 나타내는 것으로, 모든 대상들은 이 영역 내의 세로와 가로 그리고 깊이
에 따라서 배열될 수 있다.
: 이러한 차원 속에 대상들을 배열하는 것이 바로 구성(composition)의 기술이
다. 구성력이 탁월해야 멋들어진 미장센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말이다.
영화, 카메라의 언어, 영화성
미장센(mies en scene)
*미장센은 본래 무대예술 용어로 연극에서 연출적 공간적 디자인적 측면을 말한다. 직
역하면 무대에 배치하다의 의미로, 사물, 조명, 의상 그리고 배우들을 무대 공간에 어
떻게 배치할 것인가의 의미이다.
- 즉, 3차원적 무대 공간에 배우의 동선을 어떻게 그려나가고 대소도구를 어떻게 배치
할까를 고려하는 것에서 유래한 개념이다.
- 영화에서의 미장센은 화면에 담는 영상미, 구성미, 즉 한 장면에서 화면 구도, 인물
과 사물의 배치 등을 통해 연출자가 메시지와 미학적 측면을 표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 영화에서는 2차원적 프레임 안에서의 미장센이 고려된다.
영화, 카메라의 언어, 영화성
미장센(mies en scene)
*미장센 개념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 먼저 미장센의 핵심 요소인 프레임
(frame)과 구성(composition)의 의미를 파악해야 한다.
- 영화를 비롯한 시각예술은 어떤 형태로든지 프레임이라는 일정한 틀 내에서 무언가
가 이루어지게 된다. 연극의 경우는 객석과 분리된 프로시니엄 아치(proscenium arch)
가 존재하는데, 이것이 영화의 스크린이 구획하는 프레임과 비교될 수 있다.
- 모든 영상은 프레임 속에 갇히게 되며, 그 프레임의 경계를 기준으로 하여 현실세계
와 영화세계가 구분된다고 할 수 있다.
영화, 카메라의 언어, 영화성
미장센(mies en scene)
*이런 맥락에서 영화의 프레임은 회화의 프레임과도 유사한 측면이 있지만 회화의 캔버스
의 경우는 세로의 비율이 더 큰 프레임도 가능하다는 점에서 항상 가로의 비율이 더 클 수밖에
없는 영상 이미지와는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말하자면 회화에서 정물화의 경우는 세로의
비율이 큰 캔버스를 사용하고 풍경화를 그릴 때는 가로 비율이 큰 캔버스를 사용해서 적절
한 효과를 낼 수가 있지만 영화의 경우 프레임 선택에 제약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어쨌든 다.
영화, 카메라의 언어, 영화성
미장센(mies en scene)
* 실제 영화의 장면들(스틸 사진들)을 보면서 분석해 보도록 한다.

(다음 동영상 수업에서 계속됩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