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9

연극영화의 이해 – 5주차

영화의 태동과 초기 영화
1895년 이전의 발명물
*카메라 옵스큐라-16세기 이태리에서 고안. 암실의 기능
*잔상효과 발견-1824. 영국 로제 박사.
: 어떤 것을 보고 나면 그것이 사라지고 난 후에도
1/10초 동안 그것을 보고 있는 것처럼 느껴지는 효과. (영화는 사진의 연속이다)
*회전원판과 원통 발견(죠토로프)- 애니메이션의 효과
*사진의 발달- 1878. 미국 머브릿지 트랙에서 말이 뛰는 장면 연속적으로 촬영
영화의 태동과 초기 영화
영화의 태동
* 뤼미에르 형제 : 1895년 시네마토 그라피를 발명, 세계최초의 영화 <정거장의
기차도착>,<공장을 떠나는 노동자들> 완성
* 죠르주 멜리에스 : 최초로 영화촬영 스튜디오를 건립하고 영화의 상업성을 인
식한 사람, 1902년에 세계 최초의 공상과학 영화인 <달세계의 여행>을 발표함
으로써 극영화의 원조가 되었다.
영화의 태동과 초기 영화

* 에드윈 포터 : 카메라에 움직임을 주기 시작하여 무대극 형식에서 탈피하였다. 최초


의 서부영화인 1903년 <대열차강도>를 발표함으로써 극영화형식의 시초가 되었다.
* 데이비드 그리피스 : 영화의 언어를 발견하고 문법을 정립한 사람으로서 영화의 아버
지라 불리운다. 1915년 <국가의 탄생>과 <인톨러런스>로 극영화의 형식을 정립.
* 희극영화의 전통 수립: 1910년대 슬랩스틱 코미디의 전통수립 - 버스터 키튼, 찰리
채플린
영화 언어의 발전
몽타주(Montage) 이론
-소련의 영화이론가들이 주창한 표현이론으로서 여기서의 몽타주란 불어로 ‘연결하다’ 혹은 ‘함께 놓다’의 의미
로서 ‘편집’을 의미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편집보다는 새로운 의미를 발생시키는 편집을 의미한다.
-쿨레쇼프의 영향을 받은 푸도브킨의 구성적 몽타주에 반해 연쇄가 아닌 상충을 주장하고 나선 에이젠시타인은
두 개의 샷이 병치됨으로써 샷과 샷은 충돌하여 하나의 새로운 의미가 창조된다고 하였다. 즉 정.반.합이라는 헤
겔-마르크스적 변증법을 원용하는 영화 구성의 방법으로 이론화 시켰다.
-몽타주 이론은 세르게이 에이젠시타인의 대표작인 1926년작 <전함 포템킨>에 잘 나타나 있다.
영화의 태동과 초기 영화
포토제니(Photogenie) 이론
- 사진(Photo)과 영혼(Genie)의 합성어
- 1919년 루이 델(Louis Delluc)에 의해 제창된 영화이론.
-보이는 장면의 의미를 중요시하는 표현이론으로 러시아 몽타주 이론과 쌍벽을 이루는 개념
-영화미학의 변별성을 카메라의 기계적 객관성에서 주관적이고 정신적인 측면으로 변환시킴으로써 빛과 그림자
의 조화를 통한 시각적 특성으로 영화 특유의 미학을 설정
-영화 용어로는 카메라가 잘 받는 배우, 특히 여배우의 아름다움을 칭할 때 쓰이며 무성 영화 시대의 영화 미학으
로서 영화사적 의미를 지닌다
-몽따쥬가 외형적이고 기술적인 형식과 리듬을 강조한 반면,
포토제니는 빛과 리듬의 문제를 이론화하려고 했으며 내면적 리듬을 강조한다.
1920-1940년대의 헐리우드

1920년대- 영화를 대중오락으로 정착시킴/ 영화사의 대기업화/ 영화의 대작화


@세실 데밀: 1921<금단의 열매> 1922<토요일 밤>
@에리히 폰 스트로하임: 1925 <탐욕> ---- 욕망에 관한 멜로 드라마
@존 포드: 서사적 서부극 창조 1924 <철마>
@채플린: 1921 <키드> 1925 <황금광 시대> 희극영화의 전통수립
*사운드의 도래- 워너사의 불황 타개책의 일환으로 사운드의 탄생(토기 영화의 등장)
1927 <재즈싱어> - 최초의 토기 영화
영화의 태동과 초기 영화
1930년대 -대공황과 뉴딜정책의 시기. 많은 영화들이 사회적 관심사에 의견을 피력.
@프랭크 카프라: 1939년 작 <스미스씨 워싱턴에 가다>
뮤지컬 영화의 전성기 구가: <42번가> <빗속에서의 춤을>
갱영화의 도래: 1930 <작은시저> 1931 <공공의 적> 1932 <스카페이스>
애니메이션의 인기: 1928 <윌리의 증기선>, 디즈니 애니메이션
1940년대- 2차 세계 대전에 영향 받아 이를 배경으로 한 영화의 유행
마이클 커티즈 감독 : 1942년 작 <카사블랑카>
필름누아르/리얼리즘/반공영화
영화의 태동과 초기 영화
대표적 감독들
@알프레드히치콕: 1942 <사보타주> 1946 <오명>
@윌리엄 와일러: 1946 <우리생애 최고의 해> 1944 <멤피스 벨>
@프레스톤 스터지스: 1940 <위대한 맥긴티> 1944 <모건만의 기적>
@오손웨즈: 1941 <시민케인>
@마이클커티스: 1943 <양키두들댄디> 1943 <카사브랑카>
@존휴스톤:1941 <말타의 매> 1952 <아프리카의 여왕>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