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

12183914 박윤주

영화 음악은 스크린의 손이다

소리와 영상이 동시성을 가지도록 인위적으로 조정하는 일을 동기화한다고 말한다. ;미키마우징.


음악은 영상에 종속적인 것이기도 하지만 오리지널 사운드 트랙의 예를 생각한다면 때로는
독립적인 지위를 얻기도 한다. 영상에 종속적이라는 기본 속성 때문에 영화 음악의 독특한 미학이
가능해진다. 가장 큰 특징은 기능적이라는 것이다. 영화 음악은 영화라는 복합 기호 장르 속에서
기능하는 여러 기호들 가운데 하나이다.
영화 음악의 가장 중요한 이유는 맥락화되기 이전의 어떤 분위기를 하나의 장면에 부여한다는
것이다.
영화는 시간성과 관련하여 음악을 이용한다. 시간적인 연속성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연속성을
암시하기도 한다. 영화 음악은 영상의 본질적인 단절을 보완하여연속성에 대한 느낌을 관객이 갖도록
만드는 데 쓰인다. 반대로 흐름의 특성은 단절을 암시하는 데도 쓰일 수 있다. 음악은 시간적 단절을
알리는 물리적인 경계선 구실을 하기도 한다.
음악은 극적 구성 요소들을 이끌어 내고 보완하며 완성하는 중요한 장치가 될 수 있다. 음악의 덜
분화된 맥락화의 작용이라는 특수성 때문에 음악에 따라 하나의 영상에 부여되는 분위기가 완전히
달라질 수 있기까지 하다. 영화 음악은 어떤 첨예한 감정 상태를 직접적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등장
인물의 심리 상태를 표현하는 것과 관객으로 하여금 비교적 명확하게 규정할 수 있는 특정한 심리
상태를 갖도록 하는 일이다.
음악은 영화 내부의 시공을 역사적으로 맥락화하기도 한다. 음악은 거의 직접적으로 하나의 시대,
혹은 하나의 공간을 표현한다. 음악들은 인위적인 조작물이 아니라 일종의 환경의 일부로서, 마치
소품처럼 사용되면서 극중의 시공을 맥락화하기도 한다.
사운드 디자인, 음악과 그 이외의 사운드가 조화를 이루도록 만드는 것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