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5

종교와 영화 기출 문제와 모범답안

2015년 1학기 <종교와 영화> 중간고사(100점 만점)

1. 전통적인 종교 정의의 기준으로는 초자연성, 궁극성, 성스러움 등이 있다. 'Sacer'(Latin)에


서 온 성스러움(Sacred)이 지닌 어원적 의미와 범주적 특성은 무엇인가?(10점)

2. 미야자키 하야오의 애니메이션 및 구로사와 아키라의 <꿈> 등의 영화를 보면, ‘선악의 피


안’을 표방하는 일본 신도문화의 상대주의적 선악관 혹은 현세주의적 세계관이 잘 드러난다.
이런 문화적 특징 근저에는 선과 악을 넘어서서 그 모두를 아우르는 거대한 근원, 모성애적
사회인 일본의 신화적 근원인 아마테라스와 그 현실적 상징인 천황 같은 근원적 모성에 안기
려고 하는 아마에 심리가 자리잡고 있으며, 그러한 모성애적 근원을 향해 열심히 매진하는 (
A )의 태도는 장인문화를 일구는 한편, SM와 같은 편집증적 문화로 이어지기도 했다. 또한
태풍이나 지진 등 환경적 요인에 대해서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집단문화는 개인보다는 집
단의 조화를 강조하는 ( B )정신을 일본문화의 특징으로 부각시켰다.(10점)

3. 신화적 영웅의 캐릭터 중 스핑크스는 ( A ) 유형에 속하며, 샤론 스톤이 <원초적 본능>에


서 유혹자로서 행했던 팜므 파탈(femme fatale)의 역할은 ( B ) 유형에 속한다.(10점)

4. 멜 깁슨의 <Passion of Christ>는 종교영화의 범주 가운데 어디에 속하는가? 그 이유를


영화적 특징과 종교적 논리에 근거하여 설명하시오.(15점)

5. 영화 <박하사탕> 중 한 장면이다. 미장센을 분석하라.(15점)

6. 미야자키 하야오의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중 한 대목(동영상)을 보면서, 해당 장면의


의미를 신화적 상징 모티브와 통과의례적 차원을 연결시켜서 설명하시오.(20점)

7. 다음은 각각 김기덕 감독의 <봄여름가을겨울그리고봄>에 나오는 여름 시퀀스와 겨울 시퀀


스다. 두가지 장면을 하나의 의례적 몽타쥬로 해석하면 이 두 장면의 셔레이드를 불교적 관점
에서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지 서술하시오.(20점)

답안
1. (10점) 어원, 범주 각 5점씩 부과, 그 안에서도 부분 점수 가능
어원적 의미: 구분, 분리의 의미.
범주적 특성: 별도로 거룩한 실체가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구분된 모든 것은 성스러운 것이다
=성과 속의 변증법은 고정불변의 실체가 아님.
2. (10점)
각 5점씩
부과 A:
마 코 토
(誠) B:
야 마 토
(和)

3. (10점) 각 5점씩 부과 A: Threshold Guardian, B: Shapeshifter, Shadow(둘다 맞음)

4. (15점) 각 5점씩 부과, 그 안에서도 부분 점수 가능


종교영화 범주: <Passion of Christ>는 신앙고백적/선교적 종교영화임(5점)
영화적 특징: 현실의 충실한 재현을 표방하며 예수 당시의 언어(아람어) 사용하고 영어 번역을
붙일 정도로 극사실주의 표방(5점)
종교적 논리: 본 영화는 ‘종교적 진리=역사적 사실’이라는 믿음 아래 현실의 충실한 재현의 다
큐멘터리가 아니라 종교적 메시지/세계관이 영화적 매체(미디어)를 규정함으로써 성경 텍스트
의 전통적 종교적 해석을 재현함.(5점)

5. (15점) 각 5점씩 부과, 그 안에서도 부분 점수 가능


주인공(영호)가 계단 한쪽으로 치우친 위치한 것은 심리적 위축을 드러냄.(5점)
왼쪽의 위-아래 계단이 주인공(영호)를 화살표처럼 찌르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주인공(영호)의
양심이 심리적 압박받는 장면임. (5점)
화면 상단에 위치한 중환자실이라는 표지와 원자력 위험 표지는 주인공(영호)의 영혼이 회복
하기 힘든 중병이 들었음을 상징적으로 표현함.(5점)

6. (20점) 각 10점씩 부과, 그 안에서도 부분 점수 가능


신화적 상징 모티브: (아마테라스 여신이) 동굴로 하강함으로써 죽음 모티브는 기존의 정체성
을 해체하고 새로운 정체성을 갖기 위해 죽음과 재생의 신화적 모티브를 구성함.
통과의례적 차원: 기존의 일본 사회로부터 분리되어 동굴에 들어감으로써 망각했던 일본정신
을 상기하는 새로운 전이(transition)로 들어가는 입문의례(intiation)에 해당함.

7. 20점, 각 10점씩 부과, 부분 점수 가능


(10점): 셔레이드 해석: 여름: 욕망에 이끌리는 번뇌망상/중생의 몸짓(셔레이드)과 겨울: 수행
을 추구하는 깨달음/부처님의 몸짓(셔레이드)
(10점): 의례적 몽타쥬 해석: 번뇌망상/중생의 몸짓을 할 때도 욕망을 상징하는 가슴의 닭과
깨달음을 상징하는 등의 부처가 함께 있고, 깨달음/부처의 몸짓을 할 때도 발에 번뇌를 상징
하는 돌맷돌을 끌고 깨달음의 부처를 안고 있는 것은 부처=중생, 번뇌=깨달음의 불이(不二)의
몽타쥬를 구성함.

-----------------------------------

종교와 영화 2015년 1학기 기말고사 답안지 * 부분 점수 인정


1. 영웅신화는 분리(출발)-전이-재통합(귀환)의 3단계 통과의례적 구조를 지닌다. 그러나 이러
한 모델은 일반적으로 성공한 영웅에만 적용되는 모델이다. 그렇다면 실패한 영웅들의 이야기
는 (1) 이러한 의례적 구조를 어떻게 변용시키고, (2) 그것을 영상적으로 표현하는지를 반드시
구체적인 영화 사례 분석을 통해 서술하시오. (30점)

(1) 실패한 영웅들은 통과의례적 구조의 각 단계에서 적절한 분리, 전이, 재통합을 거치지 못
하는 한계를 드러낸다. (각각 중 한가지 이상 사례를 적절하게 표현하면 점수 부과) 예컨대,
<시계태엽 오렌지>의 주인공은 세뇌와 비인간적 교육법을 수용함으로써 비일상적 시선을 거
세당하는 방식의 왜곡된/편향된 전이를 이루었고, 그에 따라 사회에 재통합되었으나 거세된
자아로 새로운 사회의 혁신/변화를 가져오기는커녕 강고하게 만드는 한계를 노출했다.

(2) 기존 사회의 규율을 거스르는 컬트적인 행위로 시작된 상징적 저항/폭력은 거세/순치된
자아로 재구성되지만 적절한 사회적 재통합이 아니라 도리어 외면/거부의 폭력을 당하며, 그
것을 견디지 못하고 자살을 감행하나, 사회구조를 온존시키는 거대한 구조적 폭력과 공모하면
서 여전히 일탈=규율의 파편화/모순적 환상 속에서 치유되었다는 착각의 신을 통해 그러한
문제점을 드러낸다.

* 각 15점 중 사례를 제대로 들지 못하면 각 5점만 부과

2. 영화 <몽상가들> intro(도입)부분에서는 프랑스 국기를 채색한 에펠탑을 위에서 아래로 훑


으면서 영화가 시작된다. 그리고 영화는 한정된 공간에서 각종 금기를 위반하는 몸짓을 보여
준다. 마지막에는 창문을 깨고 들어오는 돌멩이가 각성의 계기가 되어 길거리로 나아가서 68
혁명의 실천에 참여한다. (1) 도입부의 카메라 움직임의 의미는 무엇인가? (2) 도입-전개-종결
에서 공간의 변화과정을 의례의 구조에 비추어 설명하라. (20점)

(1) 프랑스 국기의 삼색, 곧 파랑은 자유, 하양은 평등, 빨강은 박애를 상징한다. 도입부에서
프랑스문명의 상징인 에펠탑을 훑는 것은 앞으로 진행될 이야기가 자유, 평등, 박애로 표상되
는 프랑스의 국가이념을 비판적으로 파헤치거나 철저히 심층적으로 탐색하겠다는 암시를 준
다.

(2) 도입(에펠탑/ 기존의 프랑스) - 전개(분리된 방=코뮌) - 종결(거리=새로운 가능성이 폭발


하는 사회): 기존의 프랑스가 내세웠던 이념과 질서를 한정된 가정법적 공간에서 기존 이념과
질서가 제한한 각종 금기를 넘어서는 상상적 위반의 행태를 통해 해체하는 과정을 거쳐서 마
침내 개별적으로 분리된 상상의 공간에서 벗어나서 새로운 현실 참여로 나서게 되는 양상을
보여준다.

3. 영화는 사회의 거룩한 토대가 되는 ‘금기’와 그것을 위반하는 상상을 영상으로 표현하는 일
종의 부조화의 지도(incongruous map)라고 할 수 있다. 영화 <나라야마 부시코>와 영화
<트루먼쇼>는 금기에 대한 대응양식이 상이하다. 양자의 차이를 논하라(20점)

영화 <나라야마 부시코>는 고립된 사회에서 환경에 적응하여 살기 위해 인간들이 설정한 금


기 혹은 장례풍습이 공동체 질서의 지속가능성을 유지하기 위해 특정한 위상 혹은 자리를 규
정하는 위치설정의 지도(locative map)를 잘 보여주면서 금기의 위반을 철저하게 차단하고
오히려 금기로 표상되는 생존의 환경에 대한 생태적 순응의 모습을 드러내고 있는 반면, 영화
<트루먼쇼>는 안정과 행복을 제공하는 규율과 질서를 넘어서서 진실을 추구하기 위해 불행과
위험이 상존하는 공동체/질서의 밖을 유토피아적 지도(utopian map)로 상상하고 금기의 한
계를 넘어서서 과감한 실천을 감행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 위치설정 지도와 유토피아적 지도라는 용어가 나오지 않아도 내용을 제대로 설명하면 점수
부과함.

4. <시계태엽, 오렌지(A Clockwork Orange, 1971)>에서 주인공은 그러한 이분법적 정당화


체계를 벗어나는 일탈행위를 저지르다가 감옥에 갇혔으나, 스스로 자원하여 세뇌교육과 비인
간적 루드비코치료법을 받는다. 그러나 사회에 복귀했을 때 오히려 폭력의 대상이 되어 자살
을 시도한다. 이것이 사회문제로 비화하자 정부관리는 거래를 제안하고 주인공은 여성과의 섹
스를 상상하면서 자신이 치유되었다고 되뇌인다. (1) 주인공의 행동을 인지부조화(cognitive
disonance)의 관점에서 설명하고, (2) 주인공의 폭력과 사회/정부의 폭력의 차이점을 종교적
폭력의 관점에서 논하라. (30점)

(1) 주인공은 현실을 낯설게 보고 그에 따라 기행적인 컬트적 생각과 행동을 감행하나 그것이
사회적 규율에 의해 제재당했을 때, 결국 감옥 속에서 자신의 생각을 기존 규율에 따라 능동
적으로 순치되길 희망함으로써 인지부조화를 해결하고자 했다. 그러나 사회는 그런 그를 거부
하고 오히려 폭력을 가함으로써 도리어 사회가 자신이 정한 규율과 현실에서 인지부조화를 일
으키는 양상을 보여준다. (2) 주인공의 폭력은 기존의 분류체계와 사회질서를 거부하고 부정한
다는 점에서 혁명종교의 상징적 폭력에 해당하지만, 사회/정부의 폭력은 기존의 분류체계와
사회질서를 지키고 강화한다는 점에서 현상유지종교의 실질적 폭력이라고 할 수 있다.
● 독창적이면서도 합리적인 해답일 경우 위 답안이 아니더라도 점수 부과.

-------------------------

2015년 2학기 <종교와 영화> 기말고사(100점 만점) 부분점수 있음.

1. 서유기(西遊記)에서 삼장법사는 불법(佛法)으로서 번뇌망상을 깨친 깨달음을 상징한다. 이


에 비해 손오공, 저팔계, 사오정은 각각 인간이 번뇌망상에 빠지게끔 하는 삼독(三毒) 중 ( 1
), ( 2 ), ( 3 )를 형상화한 캐릭터이며, 삼독을 치유하는 공부인 삼학(三學)을 의미하는 ( A ),
( B ), ( C )를 상징하는 캐릭터이기도 하다. (각 2점씩 총12점, 순서혼동 금지!!!)
1 痴, 2 貪, 3 瞋. a 慧, b 戒, c 定. (의미가 통하면 번역어도 점수 부과할 것, 순서혼동은
점수 부과 안 됨.)

2. 일본의 신신종교(新新宗敎)와 대중문화에서는 악(惡)을 절대적이고 실체적이며 도덕적인 악


마의 문제로 보기보다는 상대주의적 관점에서 ( )이 고갈되어 안 좋은 상태로 본다. 마츠리
축제는 일상 속에서 고갈되었던 ( )을 소생시키는 의례이다. 따라서 만화나 영화의 주제로
움츠러들었던 ( )을 북돋우는 것이 선(善)으로 설정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4점)
답: 생명(력)

3. 미야자키 하야오의 애니메이션 <원령공주>에서 죽었던 신(神)을 되살리는 것, <센과 치히


로의 행방불명>에서 어린 소녀가 잃어버린 신의 이름을 상기하여 되찾아주는 것 등은 일본문
화의 ethos이자 핵심 정신인 ( )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일본 상점의 노렌은 ( )을 드러내
는 장인문화의 상징적 표상이기도 하다. (4점)
답: 마코토(誠)

4. 좀비영화에서는 걸어다니는 시체(walking undead)를 소재로 삼는다. 부두교에서 좀비가


만들어졌던 역사적 맥락을 고려해 볼 때, 현대문화비평의 관점에서 좀비의 습격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지 쓰시오.(10점)
답: 노예화된 아프리카 흑인들의 원한이 자본주의 세계에서 영혼을 빼앗긴 채 노예화된 노동
자들의 분노로 자본주의 세계 시스템을 교란 혹은 붕괴시키는 방식에 대한 은유임.

5. 오시이 마모루의 애니메이션 <공각기동대>와 영화 <매트릭스>는 물에 다이브(dive)하는 것


과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것을 형상화하고 있다. 이 때 네트워크는 불교의 사사무애(事事無碍)
처럼 상호연결되는 우주의 유기체적 관계를 상징한다. 이런 네트워크를 힌두교에서는 ( A )
신의 ( B )로 비유한다. (10점)
답: A 인드라, B 그물 (각 5점)

6. 다음은 각각 김기덕 감독의 <봄여름가을겨울그리고봄>에 나오는 여름 시퀀스와 겨울 시퀀


스다. 두가지 장면을 하나의 의례적 몽타쥬로 해석하면 이 두 장면의 셔레이드를 불교적 관점
에서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지 서술하시오.(20점)

여름은 애욕의 포로가 된 주인공이 번뇌에 빠져 호수(마음) 밖으로 뛰쳐나가는 장면이고, 겨울


은 호수(마음) 안으로 되돌아온 주인공이 마음 안에서 수행하는 장면이다. 양자는 각각 번뇌망
상에 빠진 중생과 깨달음을 추구하는 부처의 몸짓으로 각각 구분되지만, 양자 모두 중생의 번
뇌를 상징하는 닭/돌과 부처의 깨달음을 상징하는 반가사유상을 업고/안고 가는 의례적 셔레
이드를 통해 부처/깨달음과 중생/번뇌가 둘이 아니라는 불이(不二)의 세계관을 구현하고 있
다.

7. 다음은 영화 <밀양>의 opening과 ending 장면이다. 종교적 의미와 실존적 현실의 관계를
‘밀양(密陽, Secret Sunshine)’이라는 영화 제목과 연계하여 몽타쥬의 차원에서 설명하되,
angle과 공간을 비교하여 서술하시오.(20점)

밀양은 신의 은총/섭리를 뜻하는 하늘의 햇볕을 의미하는데, 도입부에서 low angle로 하늘을
비춰주는 것과 결말에서 high angle로 땅을 비춰주는 장면은 각각 의미로 충전된 이상적 종
교적 세계와 의미가 없어진 비루한 일상을 뜻한다. 양자가 몽타쥬로 연결되면, 의미를 상실한
현실, 본질을 빼앗긴 실존의 문제가 고통의 문제로 나타남을 보여주며, 고통의 해결은 허구/
위선으로 포장된 의미의 과잉을 넘어서서 실존적 현실을 있는 그대로 수용할 때 가능함을 형
상화하고 있다.

8. 다음은 영화 <만신> 중 opening title 대목이다. 몽타쥬의 의미를 설명하시오.(20점)


<참고: stillcut 8번째는 해와 달과 다섯 개 산봉우리를 의미하는 음양오행(陰陽五行)의 일월오
봉병(日月五峯屛)에 무당을 추가하여 넣은 장면이고, 마지막 stillcut은 파도 아래 ‘만신’이라
는 제목이 뜨는 장면임. 일월오봉병은 조선의 왕이 국정을 펼칠 때 뒤에 두던 병풍임.>

아이의 오른쪽/ 왼쪽 눈이 각각 낮의 해와 밤의 달, 곧 음양의 우주를 다 수용하고, 나아가


일월오병으로 상징되는 음양오행의 대우주와 파도로 상징되는 인간의 실존적 고통/한을 연결
하는 매개자로서 만신/무당이 되어 굿의 퍼포먼스로 한을 풀어내는 존재가 된다는 것을 형상
화한 것이다. 파도로 형상화된 고통/한은 만신이 펼치는 굿의 퍼포먼스를 통해 파도 속의 심
층 차원에서 꽃의 의미로 결실을 맺는다. 요컨대, 만신은 우주적 기운을 바탕으로 인간의 실
존적 고통/한을 근원적 의미로 승화시키는 의례적 존재인 것이다.(성난 파도를 아름다운 꽃으
로 승화시키는 존재)

--------------------

2017년 2학기 <종교와 영화> 기말고사(총 40점 만점)

1. 일본 애니메이션 <최유기>에서 삼장법사, 손오공, 사오정, 저팔계는 전통적인 <서유기> 캐


릭터를 각각 어떻게 변용시켰는가? 신화적 캐릭터 변용과 그 구체적 변용 양상을 서술하시오.
(10점, 부분점수 부과)
(답) 집단과 의미를 중시하던 전통적인 Hero에서 개성과 취향을 중시하는 냉소적인
Anti-Hero 혹은 Trickster로 변화시켰다. 전통적으로 탐욕의 상징인 저팔계가 지니고 있던
식욕과 색욕의 욕망은 각각 손오공과 사오정으로 분화되어 전이되는 대신, 깨달음의 상징인
삼장법사와 저팔계는 폭력적인 멘토로서, 손오공과 사오정은 멘티로서 역할을 부여받았다.
2. 일본의 신도(神道)문화는 현세중심적인 상대주의 문화다. 이 관점에 의하면 지고의 선(善)
은 도덕적 선악의 시비판단을 넘어서 있으며 ( 1 )을/를 회복하고 북돋우는 것이야말로 중
심적 관심이다. 미야자키 하야오의 애니메이션은 소녀(=일본)의 정성(마코토)가 세상을 구원하
지만 근원적 총체성을 표상하는 존재에 대한 ( 2 )의 의존심리는 바람직한 시민사회의 보편
적 윤리로 나아가지 못하는 한계도 있다. (각 5점씩, 총 10점)
(답) (1) 생명(력), (2) 아마에

3. 다큐 영화 <화씨 9/11(Fahrenheit 9/11, 2004)>을 보면, 무슬림 원리주의자들의 9/11 테


러는 종교제국주의에 대한 저항으로 펜타곤과 세계무역센터 건물에 테러를 가했다. 9/11 테러
는 최소주의/최대주의 관점으로 보았을 때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가? 이와 대비하여 2차세계
대전에서 많은 사람들을 종교의 성스러운 이름으로 죽인 일본 불교는 정치와 종교의 관점에서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각 5점씩, 총10점)
(답) 이슬람의 종교적 최대주의자들이 미국의 세속적 최소주의에 대한 폭력적 저항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비해 일본 불교는 파시즘적 국가권력의 폭력적 실현을 위해 종교적 수행과 국
가적 폭력을 일체화시킨 정치의 종교화를 보여주었다. 정치의 종교화는 (종교의 정치화처럼
종교의 최대주의가 아니라) 정치의 최대주의와 종교의 최대주의가 결합한다는 점에서 종교제
국주의의 변용이라고 할 수 있다.

4. 다음은 <밀양>에서 살해된 유아의 엄마가 유아 살해범을 감옥에서 면회하는 시퀀스다. 미


장센과 몽타쥬의 관점에서 두 장면을 연계하여 설명하시오.(10점)

(답) 죄인인 유아살해범은 형식적으로는 감옥 창살에 갇혀 있는 듯하지만 실제로는 신의 은총


으로 속죄받아 편안해진 모습인 반면, 아이를 잃어버린 엄마는 면회를 통해 속죄할 권리를 빼
앗긴 채 면회실 창살에 갇힌 듯이 고통스럽다. 이 시퀀스의 몽타쥬는 가운데 창살을 두고 가
해자는 심리적으로 자유로운 반면 도리어 피해자가 감옥에 갇힌 듯한 고통을 대조시킴으로써
피해자와 가해자의 용서와 고통이 뒤바뀐 역설적 미장센을 잘 보여준다.

-------------------------

2018년 1학기 <종교와 영화> 기말고사(총 40점 만점)

1. 신화적 영웅의 캐릭터 중 Hero와 Mentor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Carl G. Jung의 심층심
리학적 용어를 통해 간단하게 설명하시오.(10점, 부분점수 부과)

(답) Hero가 Ego를 초월하여 the Self를 찾아 나아가는 자아인 반면, Mentor는 the Self 자
체라고 할 수 있다.
2. 한국 영화 <곡성>과 일본 애니메이션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은 맥락은 다르지만, 타자
(他者, other)를 지배하는 셔레이드가 나온다. 그 사례를 들어 비교하시오.(10점, 부분점수 부
과)

(답) <곡성>에서는 악마/주술사가 “사진 찍기”를 통해 살아있는 생명을 고정된 시간과 특정


프레임에 가두어 생명없는 존재로 가두는 데 비해,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서는 마녀가
계약서 작성시 치히로의 이름 중 일부를 지워서 센으로 바꾼 채 “손으로 그 이름을 장악”하는
방식으로 타자를 지배하는 방식을 선보였다.

3. 영화나 광고 등의 영상에서 신화적 욕망을 이미지로 치환하여 소비하는 주술(magic) 방식


에는 ( 1 )과 ( 2 )의 두 가지 종류가 있다. (1)과 (2)의 이름과 내용을 간단히 쓰시오.(각
5점씩, 총10점, 주술의 이름과 내용에 대해 각각 부분점수 인정)

(답) 접촉/감염주술(接觸/類感呪術, contagious magic)은 특정한 존재 혹은 부분에 대한 접


촉 혹은 작용이 그 존재의 다른 부분 혹은 전체에 영향을 미치거나 효과를 자아낸다는 주술이
고, 모방/유감주술(模倣/類感呪術, imitative/homoeopathic magic)은 비슷한 것이 비슷한
것을 발생/초래한다는 유사성의 법칙에 근거한 주술이다. (내용 설명은 용어가 다르더라도 설
명의 개요가 일맥상통하면 점수를 부과합니다.)

4. (1) 영화 <인생은 아름다워>와 <쉰들러리스트>는 2차세계대전 당시 가스실에서 죽어간 유


태인들의 고통과 죽음을 전혀 다른 개성으로 표현하는데, 양자의 핵심적 차이를 간단하게 쓰
시오. (2) <쉰들러리스트>에서 유태인들을 대하는 나치 독일장교들과 쉰들러의 자세는 상반된
다. 이들의 자세를 유대인 신비주의 하시디즘(hasidism) 사상가 마르틴 부버(Martin Buber,
1878~1965)의 나와 너(Ich und Du, 1923)의 관점에서 비교하시오.(각 5점씩, 총10점, 부분
점수 부과)

(답) (1) <인생은 아름다워>가 나치에게 학살된 유태인의 죽음과 고통을 희극적 여유로 표현한
반면, <쉰들러리스트>는 비극적 공감으로 표현했다. (앞 내용이 들어가면 5점 부과, 앞 내용
없이 밝은 천연색 칼라과 어두운 회색 단색톤, 지중해의 동키호테와 영국의 햄릿의 비교 등을
언급하면 부분점수 3점 부과), (2) 나치 장교들이 유대인들을 ‘그것’(It)으로 비인격적/비관계적
으로 대한 반면, 쉰들러는 ‘너/그대’(You)로 인격적/관계적으로 대했다.

---------------------------
2018년 1학기 <종교와 영화> 기말고사(총 40점 만점)

1. 신화적 영웅의 캐릭터 중 Hero와 Mentor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Carl G. Jung의 심층심
리학적 용어를 통해 간단하게 설명하시오.(10점, 부분점수 부과)

(답) Hero가 Ego를 초월하여 the Self를 찾아 나아가는 자아인 반면, Mentor는 the Self 자
체라고 할 수 있다.
2. 한국 영화 <곡성>과 일본 애니메이션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은 맥락은 다르지만, 타자
(他者, other)를 지배하는 셔레이드가 나온다. 그 사례를 들어 비교하시오.(10점, 부분점수 부
과)

(답) <곡성>에서는 악마/주술사가 “사진 찍기”를 통해 살아있는 생명을 고정된 시간과 특정


프레임에 가두어 생명없는 존재로 가두는 데 비해,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서는 마녀가
계약서 작성시 치히로의 이름 중 일부를 지워서 센으로 바꾼 채 “손으로 그 이름을 장악”하는
방식으로 타자를 지배하는 방식을 선보였다.

3. 영화나 광고 등의 영상에서 신화적 욕망을 이미지로 치환하여 소비하는 주술(magic) 방식


에는 ( 1 )과 ( 2 )의 두 가지 종류가 있다. (1)과 (2)의 이름과 내용을 간단히 쓰시오.(각
5점씩, 총10점, 주술의 이름과 내용에 대해 각각 부분점수 인정)

(답) 접촉/감염주술(接觸/類感呪術, contagious magic)은 특정한 존재 혹은 부분에 대한 접


촉 혹은 작용이 그 존재의 다른 부분 혹은 전체에 영향을 미치거나 효과를 자아낸다는 주술이
고, 모방/유감주술(模倣/類感呪術, imitative/homoeopathic magic)은 비슷한 것이 비슷한
것을 발생/초래한다는 유사성의 법칙에 근거한 주술이다. (내용 설명은 용어가 다르더라도 설
명의 개요가 일맥상통하면 점수를 부과합니다.)

4. (1) 영화 <인생은 아름다워>와 <쉰들러리스트>는 2차세계대전 당시 가스실에서 죽어간 유


태인들의 고통과 죽음을 전혀 다른 개성으로 표현하는데, 양자의 핵심적 차이를 간단하게 쓰
시오. (2) <쉰들러리스트>에서 유태인들을 대하는 나치 독일장교들과 쉰들러의 자세는 상반된
다. 이들의 자세를 유대인 신비주의 하시디즘(hasidism) 사상가 마르틴 부버(Martin Buber,
1878~1965)의 나와 너(Ich und Du, 1923)의 관점에서 비교하시오.(각 5점씩, 총10점, 부분
점수 부과)

(답) (1) <인생은 아름다워>가 나치에게 학살된 유태인의 죽음과 고통을 희극적 여유로 표현한
반면, <쉰들러리스트>는 비극적 공감으로 표현했다. (앞 내용이 들어가면 5점 부과, 앞 내용
없이 밝은 천연색 칼라과 어두운 회색 단색톤, 지중해의 동키호테와 영국의 햄릿의 비교 등을
언급하면 부분점수 3점 부과), (2) 나치 장교들이 유대인들을 ‘그것’(It)으로 비인격적/비관계적
으로 대한 반면, 쉰들러는 ‘너/그대’(You)로 인격적/관계적으로 대했다.

------------------------

2018년 1학기 <종교와 영화> 중간고사(40점 만점) 모범답안

2018년 1학기 <종교와 영화> 중간고사(40점 만점)

1. 종교의 어원 ‘Religio’(Latin)를 설명하는 방식 중 Lactantius의 정의가 기독교 모델을 섬


여하는 데 적합하다면, Cicero의 정의는 civil religion을 설명하는 데 적합하다. 락탄티우스
의 정의는 신과 분리된 인간이 경건하게 재결합하는 것을 종교로 정의함으로써 기독교 모델에
적합한 반면, 키케로의 정의는 종교를 ( 1 )로 정의하였기 때문에 civil religion 모델의 설명
에 적합하다. ( 2 ) 키케로의 정의를 적용한 civil religion의 구체적인 사례를 한 가지만 쓰시
오. (각 5점씩, 10점)

2. Paul Tillich는 종교를 ‘궁극적 실재에 대한 궁극적 관심’이라고 정의했다. 이 정의에 따라


종교와 문화의 관계를 다음과 같은 명제로 표현했다. “Religion is the ( 1 ) of culture,
culture is the ( 2 ) of religion.”(각 5점씩 10점)

3. 다음은 <봄여름가을겨울그리고봄>의 봄 시퀀스 중 호숫가에 있는 문을 보여주는 장면들이


다. 이 두 가지 장면을 종교적 관점의 몽타쥬로 설명하시오.(10점)

4. <박하사탕>에서 주인공 영호는 다리를 절뚝거리는 셔레이드가 몇 군데 나온다. 이 셔레이


드가 나오는 (1) 계기와 (2) 의미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각 5점씩 10점)

수고하셨습니다.

1. (각 5점씩, 10점)
(1) 경의를 표하는 ‘되풀이’되는 낭송이나 ‘반복적 제의’(반복이 핵심임, 핵심이 들어가면 정답
처리)
(2) 국기에 대한 경례, 애국가 제창 등 사례가 적당하면 정답처리

2. (1) substance(실체), (2) form(형식) (각 5점씩 10점)

3. 번뇌망상에 시달리는 중생의 눈으로 볼 때는 강인한 금강역사(남성)로 보이는 문이 깨달은


부처의 눈으로 볼 때에는 부드러운 비천상(여성)으로 보이는 것은 ‘중생=부처’ 혹은 ‘번뇌=깨
달음’이라는 불이(不二) 혹은 ‘일심이문’(一心二門)의 역설적 공존의 몽타쥬를 잘 보여준다.

4. (1) 계기: 주인공 영호가 첫사랑 순임을 만나는 등 본인이 상실한 순수를 상기시키는 순간
마다 본인도 모르게 다리를 절면서 걷는 장면이 나온다. (2) 의미: 평상시 아무렇지도 않다가
완전히 의식 저편 무의식 속으로 봉인당했던 순수 혹은 마비되었던 양심이 되살아날 때마다
원죄의 상처(trauma)도 함께 신체적 기억으로 재생된 것이다. (각 5점씩 10점)

------------------------

2018년 2학기 <종교와 영화> 기말고사(총 40점 만점)

1. 다음은 신발회사 나이키의 브랜드 로고다. (1) 이 로고에서 사용된 주술(magic)적 법칙의
종류는 무엇인가? (2) 그 주술이 적용된 구체적 방식을 그리스 신화와 연계해서 간단히 설명
하시오. (각 5점씩 총 10점, 부분점수 부과)

(답) (1) 접촉주술/감염주술(Contagious Magic). (2) 승리의 여신 니케(Nike)의 이름의 첫글자


인, 그리스 알파벳 뉘(ν)를 본 딴 로고를 신발로 신으면, 곧 승리의 여신과 접촉하면 마치 승
리의 여신처럼 스포츠에서 승리자가 될 수 있다는 논리를 적용했다.(각 5점씩 뉘라는 글자를
몰라도 내용 설명을 하면 점수 부과) 모방주술로 설명해도 점수 부과 가능

2. 미야자키 하야오의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서 망각된 신과 자연과 인간의 정체성


(identity)을 회복시켜준 것은 소녀의 ( 1 )였으며, ( 1 )은 노렌으로 상징되는 일본 장인
(master)문화의 근간이 된다. <원령공주(모노노케 히메)>에서 생명의 근원자로서 사슴신 시시
가미(シシ神)가 설정되는 까닭을 사슴의 뿔을 종교적 상징 혹은 신(神, God)과 연관지어 설명
하라. (각 5점씩, 총 10점, 부분점수 부과)
(답) (1) 정성/마코토(誠), (2) 사슴의 뿔은 대지의 나무를 상징하기 때문에, 사슴은 세계수/우
주수(cosmic tree)를 키우는 대지, 곧 대지모신으로 설정된다.

3. 다음은 영화 <밀양>에서 주인공 여성이 일부러 교회의 장로를 유혹하여 신성모독을 하는


장면과 속물 이웃이 주인공의 삭발을 돕는 장면이다. 이 두 장면을 (1) 심리적 측면과 (2) 화
면의 앵글 각도 측면에서 비교하라. (10점, 부분점수 부과)
(답) (1) 초월적 신의 무차별적 용서는 동정(sympathy)의 역설을 초래하지만, 속물 이웃의 따
스한 배려는 공감(empathy)의 소통을 낳는다. (2) 전자가 수직적인 하이앵글 각도로 초월적
신에 항의하는 주인공의 저항을 표현한 반면, 후자는 수평적인 앵글 각도로 소통과 공존을 드
러낸다. (용어가 정확하지 않더라도 내용이 담겨있으면 점수 부과할 것)

4. <라이프 오브 파이>와 <셰이프 오브 워터>에서 신비체험이 이루어지는 공간은 바다 혹은


물이다. 바다와 물은 공통적으로 신비체험의 공간이지만, 이 공간들에서 이루어지는 체험의
양상은 다른 성격을 지닌다. 양자를 ego와 Self에 대한 태도와 신비체험의 특성이라는 측면에
서 비교하시오.(10점, 부분 점수 부과)

(답) <라이프 오브 파이>에서 바다는 목마른 자아가 초월자에 대한 경외감과 동물적 영혼과
신성한 영혼 사이에서 끊임없이 자아의 팽팽한 긴장을 유지해야 하는 시험의 장이었으나, <셰
이프 오브 워터>에서 물은 내재하는 신성을 통해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자각하고 존재간 자유
로운 소통이 이루어지며 개별적 자아를 희생하여 사랑의 합일로 새롭게 생명을 얻는 의식 변
용의 장이다. 따라서 <라이프 오브 파이>에서는 동물적 영혼인 호랑이와 호랑이를 길들이는
주인공 파이 사이에서 자아(ego)의 대립과 긴장이 유지되지만, <셰이프 오브 워터>에서는 분
리되거나 긴장하는 자아(ego)는 희생되어 사라지며 자기(Self)인 실재(Reality)와 사랑으로 합
일된다. (이와 같은 내용이 나오면 점수 부과)

---------------------------

2019년 1학기 <종교와 영화> 기말고사(총 40점 만점)

1. 미야자키 하야오의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서 본 모습(identity)을 잃어버린 신들을


회복시키는 주인공 소녀의 정성[마코토]은 현대 일본인들이 상실했다가 회복하는 ( )을 북
돋우는 기능을 한다. ( )는 일상에서 소진했다가 마츠리에서 회복하는 것이기도 하고 일본
신신종교의 핵심적 가치이기도 한 것이다. (8점)
답: 생명(력)

2. <인생은 아름다워(A)>와 <쉰들러리스트(B)>는 나치 독일의 유태인 인종청소를 소재로 삼으


면서도 각각 희극적 여유와 비극적 진지함의 대비를 보여준다. 이 두 영화는 그리스신화의 영
웅 테세우스(Theseus)가 미다스(Midas)왕의 미궁(labyrinth)을 들어갈 때 가지고 간 두 가지
물건 중 각각 ( A )와 ( B )와 연관되며, ( A ) 와 ( B )은 각각 ( C )와 ( D )를 상징한다. (A
와 B는 물건이고, C와 D는 그 물건이 상징하는 가치입니다. 각 3점씩 총12점)
답: A 실(타래), B 칼(검), C 지혜, D 용기
2. 다음은 영화 <밀양>에서 여자 주인공이 아이를 유괴하여 죽인 살인자와 만나는 장면과 선
한 사마리아인인 이웃 남성이 주인공의 삭발을 돕는 장면이다. 살인자를 만나는 창문과 이웃
이 들어준 거울은 각각 어떤 심리적 역할을 하는지 대조해서 쓰시오. (10점, 부분점수)

답: 살인자의 창문이 창살의 프레임으로 인해 구속된 가해자 살인자 뿐만 아니라 피해자인 주


인공마저 심리적으로 갇혀있는 답답함을 보여주는 반면, 이웃이 들어준 거울은 수평적 공감
(empathy)을 통한 자기성찰의 희망/구원의 가능성을 드러낸다.

5. <셰이프 오브 워터>에서 사랑 없이 여주인공과 대립하는 스트릭랜드는 WASP의 일방적인


가부장적 지배자를 상징하는 캐릭터로서 번영신학의 상징적 책인 ( A )을 손에 들고 있으며,
이에 비해 주인공과 말할 수 있는 권리를 억압받는 존재들이지만 사랑으로 의사소통하는 여
성, 흑인, 장애인, 이방인, 성소수자 등 헤게모니를 장악한 엘리트 지배집단에게 젠더, 계급,
인종 등에서 다양하게 억압되고 종속된 하위계급인 ( B )이다. (5점씩 10점, A는 책이고, B는
안토니오 그람시의 용어로서 구하나 스피박 등 포스트콜로니얼리즘 이론가들의 용어로 사용된
다.)
답: A 긍정적 사고의 힘(The Power of Positive Thinking) B 서발턴(subaltern)

-------------------------

2019년 2학기 <종교와 영화> 중간고사(40점 만점)

1. Jean Calvin의 기독교강요(基督敎綱要; Institutio Christianae Religionis)에서


‘Christian Religion’(Christianae Religionis)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여기서 Religion의 의
미는 무엇인가? 한글 혹은 영어 단어로 쓰시오.(5점)
답: 경건성(piety)

2. 신비주의(mysticism)의 정의를 한 문장으로 쓰시오.(5점)


답: 일자(一者, the One)과의 합일(union) *일자 대신 궁극적 존재(신)이 들어가도 정답처리

3. 2차대전시 미군의 간호사 모집 광고는 세속적 국가가 신성한 종교의 역할을 하는 공민종교
(civil reilgion)의 관점에서 제작되었다. 국가가 신성하고 초월적인 존재로 설정되는 (1) 프레
임(frame)상의 요인과 (2) 앵글(angle)의 특징을 설명하시오.(각 5점씩, 10점)
답: (1) 거룩한 존재는 감각적 일상세계를 초월하여 보이지 않으므로 신성한 국가를 상징하는
존재는 프레임 밖으로 안 보이도록 처리함.(밑줄 내용 들어가면 정답)
(2) 신성한 국가를 상징하는 존재가 간호사를 내려다 보도록 하이 앵글(high angle)로 구성함
(밑줄 용어 들어가면 정답)

4. <봄여름가을겨울그리고봄>의 장면들의 셔레이드들을 몽타쥬로 이해하면 각 장면의 유사한


셔레이드의 의미 변화와 그것의 몽타쥬적 의미를 서술하시오.(10점)

답: 처음에 타자(다른 동물)에게 매어준 돌(고통)이 자기에게 돌을 매어준 스승의 가르침에 따


라 실은 자기 자신에게 돌(고통)을 가한 것이라는 것을 자각하고 결국 나중에는 스스로에게
돌을 매어주고 고통을 깨달음으로 승화시키는 수행의 셔레이드임.(* 3단계 내용을 하나로 엮
어서 설명하되 변화과정을 제대로 쓰면 정답 처리)

5. <박하사탕>에서 주인공 영호는 순수한 학생에서 타락한 어른이 되는데, (1) 군화에 의해
부서지는 ‘박하사탕’과 더불어 순수했던 주인공을 상징하는 영화속 오브제(object, 물건)는 무
엇인가? (2) 그 오브제와 연관하여 주인공의 신체의 일부는 순수했던 영혼의 타락에 따라 의
미가 변화한다. 군대 제대후 가게에서 첫사랑 순임을 만났을 때 그 신체 일부로 한 셔레이드
(charade)는 무엇이었으며 의미는 무엇인가?(각 5점씩 10점)
(1) 사진기, (2) 타락한 이후 더 이상 깨끗한 손으로 들꽃을 찍던 순수한 꿈이 담긴 사진기를
만질 수 없으므로 사진기를 받는 것을 거절하고 대신 나중에 현실의 부인이 될 아가씨의 엉덩
이를 만지는 더러워진 손으로 타락한 상태를 드러내는 셔레이드임. (* (2)번은 밑줄 내용 들어
가거나 취지에 맞게 답안 작성시 정답처리)

------

종교와 영화 2019년 2학기 기말고사(총40점 만점, 단답형 2점씩, 서술형 5점씩)

1. (a)<쉰들러 리스트>와 (b)<인생은 아름다워>는 사회적 죽음을 초래하는 비극적 상황을 극


복하는 2가지 방식을 보여준다. 마치 그리스 신화의 영웅 테세우스가 괴물 미노타우로스를 처
지하기 위해 (a)‘칼’을 준비하고 미궁(rabyrinth)을 빠져나오기 위해 (b)‘실타래’를 준비했듯이,
이 영화들은 죽음의 위험을 극복하기 위해 각각 ‘(a)’와 ‘(b)’라는 신화적 영웅의 자질 혹은 덕
목을 보여준다. (2점, a와 b에 들어갈 자질/덕목을 쓰시오. 순서 바꾸지 말 것)
(a) 용기, (b) 지혜
2. 신화적 영웅 캐릭터 중 심층심리학적으로 볼 때 파멸의 정신질환이 ( a ) 캐릭터로 나타난
다면, 신경증(neurosis) 역할을 하는 캐릭터 유형은 ( b )이다. (2점, 순서 바꾸지 말 것)
(a) 그림자(Shadow) (b) 관문수호자(Threshold Guardian)

3. <서유기(西遊記, Journey to the West)>에서 (a)손오공, (b)저팔계, (c)사오정의 캐릭터는


각각 (a)어리석음[痴], (b)탐욕[貪], (c)성냄[瞋] 등 고통을 초래하는 삼독(三毒)을 상징한다. 이
러한 고통을 극복하고 깨달음에 이르는 세 가지 치료법으로 불교에서는 삼학(三學)을 제시한
다. 삼학의 내용을 각각 (a), (b), (c) 순으로 쓰시오. (3점, 순서 바꾸지 말 것)
(a) 지혜[慧], (b) 계율[戒], (c) 선정[定]

4. 일본 신화에서 이자나기가 이자나미를 찾아 죽음의 세계에 갔다가 지상으로 와서 물로 (a)


왼쪽 눈, (b) 오른쪽 눈, (c) 코를 씻는 정화의례를 했을 때, 각각 해의 신 (a), 달의 신 (b),
폭풍의 신 (c) 등 세 신(神)이 되었다. 각각 (a), (b), (c) 순으로 신의 이름을 쓰시오. (3점, 순
서 바꾸지 말 것)
(a) 아마테라스, (b) 쓰쿠요미, (c) 스사노오

5. 일본에서 악(惡)은 고갈된 ( a )이고, 일본의 축제 마츠리는 ( a )을 회복하는 의례이며, 영


화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서 주인공 소녀는 망각된 신과 생명력을 상기하고 회복하기
위해서 주관적 심정의 순수성인 ( b )을 발휘한다. (2점, 순서 바꾸지 말 것)
(a) 생명력, (b) 마코토(誠, 정성)

6. 나이키(Nike) 신발에 신화적 모티브가 주술(magic)의 두 가지 방식으로 어떻게 활용되었는


지를 서술하시오.(총 4점, 방식 1건당 각 2점씩 부분점수 부과)
(예시) 승리의 여신 니케의 이니셜 N이 신발의 로고로 사용된 것이 모방주술이라면, 이 신발
을 신으면 승리한다는 것은 접촉주술이 활용된 것이다. (두 가지를 적절하게 구분해서 설명해
야 점수부과)

7. 영화 <곡성>과 <밀양>은 모두 보이지 않는 대상에 대한 불신의 의심과 보이는 대상에 대


한 집착적 믿음이 불행을 초래하는 양상을 묘사하는데, 두 영화 각각 사례를 하나씩 들어 서
술하시오. (총 4점, 영화별로 각2점씩)
<곡성>에서 여자귀신이 그림자가 없다고 믿지 못하는 것은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한 불신의 의
심이라면, 일본인 주술사가 악마로 변화하여 예수처럼 성흔(십자가 못 박힌 자국)을 보여주거
나 한국의 무당과 일본의 주술사가 카메라 사진을 통해 인간의 영혼을 규제하는 것은 보이는
대상에 대한 집요한 집착을 잘 보여주며, <밀양>은 남들에게 보이는 외적인 것에 대해 집착하
느라고 정작 옆에 있는 좋은 이웃의 존재를 통해 보이지 않는 신의 사랑을 느끼지 못하여 불
행하게 되는 양상을 묘사했다.(한 영화당 한 가지 사례라도 제대로 설명하면 점수 부과)

8. <Life of Pi>에서 (a) 주인공 소년의 이름 변화와 (b) 호랑이의 이름의 교체 등이 지닌 의


미를 설명하고, (c) 주인공과 호랑이 같은 존재라는 것을 알려주는 영화 속 상징적 대목을 서
술하시오. (총9점, 각 3점씩, 부분점수 부과)
(a) 주인공은 깨끗한 물을 뜻하는 피신(Piscine)에서 더러운 물인 오줌(Pissing)으로 불렸다가
파이(Pi)로 스스로 무한하고 깨끗한 물로 변화하였다. (b) 목마름(Thirsty)라는 이름을 지닌 호
랑이가 동물원 직원 실수로 사냥꾼인 리차드 파커로 불린 것은 환상과 실재가 역전 혹은 도치
된 것을 알려준다. (c) 교회/성당의 성수를 마시려다가 신부님에게 ‘너는 목마름이 틀림없구
나.(You must be thirsty)!’라는 말을 들었는데, 이는 파이가 곧 목마름의 호랑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9. <The Shape of Water>에서 여성 주인공이 사랑을 나눌 때 넘치는 물이 극장으로 흘러넘


치는데, 이때 극장에서 상영되는 (a) 2편의 영화 제목과 영화관의 이름을 연결하여 (b) 장면의
의미를 설명하시오. (총11점, a는 각 1점씩 총3점, b는 총8점, 구별해서 점수 부과)
(a) 룻 이야기, 마르디 그라스, 오르페움(각1점), (b) 룻은 이교도, 이방인 여성이고(2점) 마르
디 그라스는 참회의 화요일로서 카니발과 연결되며(2점), 극장 이름에 들어있는 오르페우스는
음악으로 죽음을 극복한 신이자 게이의 원조이므로(2점), WASP(백인 남성 개신교) 가부장사
회에서 소외된 이교도 여자, 이교도 축일, 성소수자(게이) 등이 물로 상징되는 무한/영원의 생
명이 유한/일시적 현실의 한계와 죽음을 극복함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장면이다.(2점)

-------------------------------

종교와영화 2020년 2학기 기말고사(50점 만점) 문제지

1. 영화 <축제>와 <곡성>의 사진 찍기에 대해서 (1) 상징적 행위로서의 의미의 차이를 비교하
여 설명하고, (2) 종교적 의의와 사회적 의미를 대조하여 각각 설명하라.(각 10점씩 총20점)

2. 그리스도 재전유 영화인 <쉐이프 오브 워터(The Shape of Water)>와 샤머니즘 영화인


<만신>에서 ‘하위주체/서발턴’(subaltern)들은 (1) 어떤 캐릭터들로 형상화되고 있으며, (2) 그
들이 겪는 고통의 경험은 어떤 갈등 구조로 표현되고 있는가? 그리고 (3) 그들의 고통을 극복
하고 상호 소통하는 방식과 최종적 해방 혹은 구원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각각을 구체적으
로 비교하여 쓰시오. (각 10점씩 총30점)

모범답안지

1. (1) <축제>의 사진찍기가 가족간의 유대와 화해의 축제를 기념하면서 그 순간을 영원하게
지속하려는 염원을 반영한다면, <곡성>의 사진찍기는 살아있는 영혼/생명/타자를 고정된 시간
과 특정 프레임에 가두어 생명없는 죽음의 좀비/존재로 전락시키는/박제하는/노예화하는 접
촉주술로서 영원한 고통의 지속을 담보하는 악마적 권력작용이다. (2) <축제>는 조상에서 후
손으로 이어지는 혈연적 유대관계에 속하는 가족들이 모두 하나의 생명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점을 포착하여 사진의 기억을 통해 문화적으로 영생할 수 있다는 유교적 관점을 반영하고 있
는 반면, <곡성>은 영혼을 빼앗는 주술(magic)로서 영혼을 조절할 수 있다는 샤머니즘적 관념
이 형상화된 것이다. 요컨대, 전자가 타자를 포용하는 공동체의 화해와 연대/유대를 뜻한다면,
후자는 타자에 대한 지배라는 점에서 대조적이다. (취지를 고려하여 부분점수 부여 가능)

2. <쉐이프 오브 워터>에서 (1) 서발턴은 말 못하는 여성, 흑인, 동성애자, 외국인, 수중괴물
등으로 설정되고 있으며, (2) 몽둥이라는 물리적 무기와 번영신학이라는 정신적/종교적 이념
으로 무장한 스트릭랜드로 대표되는 백인 남성 기독교인의 지배와 억압에 의해 차별받고 배제
되는 구조로 표현되고 있는데, (3) 서발턴들은 노래와 춤으로 상호 소통하면서 물이라고 하는
무한성 속에서 하나가 되는 사랑의 신비주의를 통해 현실의 고통을 극복한다. 이에 비해 <만
신>에서 (1) 서발턴은 무당, 식민지 백성, 일반 서민, 여성, 아픈 자, 이념과 전쟁 대결로 희생
당하는 자 등으로 형상화되고 있으며, (2) 유교적 전통의 남성가부장사회에서 여성 무당, 일본
제국주의 아래의 식민지 백성, 남한과 북한의 이념적 대결 상황의 일반 서민들, 근대사회에서
미신(superstition)으로 규정당한 무당 등으로서 고통을 겪고 있는데, (3) 이러한 사회적 억압
과 배재 속에서 말하지 못하도록 억눌리고 응축된 한(恨)은 쇠걸립의 의례적 퍼포먼스를 통해
해소되고 화해할 수 있게 된다. (취지를 고려하여 부분점수 부여 가능)

----------------------------

종교와영화 2021년 1학기 기말고사(40점 만점) 문제지와 답안지

1. 일본 미야자키 하야오의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과 한국의 공포영화 <곡성>에는 각각


다른 사람을 지배하고 통제하는 주술(magic)적 셔레이드(charade)가 나온다. (1) 두 영화에
나오는 타자를 지배/통제하는 주술적 셔레이드의 구체적인 방식을 서술하고, (2) 영화 속에서
그러한 주술을 극복할 수 있는 회복/구원의 가능성을 설명하라. (각 10점씩 총20점)

2. <쉐이프 오브 워터(The Shape of Water)>와 <밀양(The Secret Sunshine)>가 보여준 구


원의 가능성을 (1) 종교적 모티브와 구원 방식/양상의 공통점이라는 차원에서 비교하고, (2)
두 영화의 영화적 형상화 방식의 차이점을 마지막 엔딩장면의 장소와 셔레이드 등의 비교를
통해 설명하시오. (각 10점씩 총20점)

모범답안지

1. (1)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서는 마녀가 계약서에 쓴 ‘치히로’의 이름을 ‘센’으로 바꾸


어서 손으로 장악하는 주술적 셔레이드를 통해 센을 지배하는(혹은 이름을 장악함으로써 존재
를 통제하는) 반면, <곡성>에서는 일본인 주술사(혹은 악마)와 조선인 무당(일광)이 사진찍기의
주술적 셔레이드를 통해 살아있는 존재를 고정된 시간과 특정 프레임에 가두어 죽음의 좀비로
전락시켰다. (각 5점씩 10점 부여), (2)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서는 이름을 빼앗기면서
자신의 존재를 망각했으나 소녀의 정성(마코토)가 망각된 자신의 존재(와 신과 인간)를 상기시
켜 정체성을 회복하게 하여 구원한 반면, <곡성>은 비록 비극적 결말로 끝났지만 보이는 존재
에 대한 집착에서 벗어나서 보이지 않는 신에 대한 믿음을 통한 구원의 가능성이 엿보인다.
(취지를 고려하여 부분점수 부여 가능, 모범답안 외에 답안이라도 타당하면 점수 부여 가능)

2. (1) 두 영화는 모두 초월적 신의 은총의 수직적 동정이 아니라 일상적이고 내재적인 이웃


들의 수평적 공감과 배려 혹은 연대를 통한 수평적 구원의 가능성을 ‘선한 사마리아인’ 모티
브를 통해 구현하고 있다. (2) 그러나 엔딩장면에서 <쉐이프 오브 워터>가 (서발턴들끼리의 공
감과 연대 외에도) 물 속에서 수중괴물과 키스하며 부활하는 장면을 통해 보편적/근원적 실재
/신과 하나로 합일하는 신비주의적 방식을 선보인 반면 <밀양>은 초월적 신의 수직적 은총이
아니라 늘 곁에 있지만 (아웃 포커스로) 스스로 존재감을 드러내지 않고 침묵으로 돕는 남자
주인공이 들고 있는 거울을 통해 자기성찰을 하며 비루한 땅을 바라보는 장면을 통해 구원의
가능성을 형상화하였다. (취지를 고려하여 부분점수 부여 가능, 모범답안 외에 답안이라도 타
당하면 점수 부여 가능)

---------------------------------

종교와영화 2021년 2학기 기말고사(40점 만점) 답안 및 채점 기준

1. <쉐이프 오브 워터(The Shape of Water)>에서 ‘물’(Water)와 <밀양(The Secret


Sunshine)>에서 ‘햇빛’(Sunshine)의 (1) 상징적 의미와 (2) 영화적 표현 방식을 논하시오. (각
10점씩 총 20점)

2. 이 두 영화는 모두 ‘선한 사마리아’ 모티브를 잘 구현하는데, (1) 그 공통적 특징을 설명하


시오. (2) 이 두 영화에서 선한 사마리아인 캐릭터가 ‘소통(communication)’하는 방식을 ‘셔
레이드(charade)’ 측면에서 비교하시오. (각 10점씩 총 20점)

*모범답안

1. 1)(10점)과 2)(10점)의 모범답안에 따라 점수 부여. 각 영화별로 상징적 의미 5점, 영화적


표현방식 5점 총10점씩 배당하여 2개 영화 합하여 총 20점 부여함. *영화적 표현방식은 모범
답안에서 열거하는 여러 사례 중 한가지 이상 쓰면 정답처리.

1) <쉐이프 오브 워터(The Shape of Water)>


(1) ‘물’(Water)의 상징적 의미는 형태가 고정되지 않는 ‘무한한 사랑’으로서 유한한 개별적
존재들이 하나가 되는 근원적 사랑, 곧 사랑의 신비를 뜻한다.
(2) 영화적 표현방식: 영화는 물에서 시작해서 물로 돌아가며, 수중 키스 장면에서 잘 나타나
듯이 현실에서는 불가능한 인간-괴물 등 존재들간의 사랑이 물에서 이루어진다. 물은 끊임없
이 변화하는 유한한 현실, 꿈, 잠을 넘어서는 불변의 무한한 뚜리야로서 구원과 깨달음이 이
루어지는 초월적 공간이다. 꿈꾸는 현실을 뜻한 극장 위에 쏟아지는 물은 초월적 사랑의 무한
한 은총으로서 구원과 깨달음의 상징이 된다. 버스의 창문 위에 손가락을 따라 자유롭게 움직
이는 물방울은 사랑이 다양한 형태로 무제한적으로 가능하며 하나됨의 신비로운 소통임을 잘
보여준다.

2) <밀양(The Secret Sunshine)>


(1) ‘햇빛’(Sunshine)의 상징적 의미는 말없이 은밀하게, 그러나 선인과 악인 모두에게 차별
없이 동일하게 비추는 신의 보편적인 은총이다.
(2) 영화적 표현방식: 햇빛은 주인공 신애가 아들이 죽은 고통을 신에게 돌려주면서 신성모독
을 감행하는 장로 유혹의 불륜 현장이나 예배를 망치는 난동 등에서도 비추며, 고통을 받는
주인공과 가해자 혹은 다른 사람들을 가리지 않고 동일하게 비춘다. 특히 마지막 엔딩 시퀀스
에서 로우 앵글로 쓰레기가 나뒹구는 비루한 현실을 비추는 햇빛은 죄인 초월적 신의 보편적
은총을 잘 보여준다.

2. (1) 공통점 10점, (2) 셔레이드 설명은 두 가지 영화가 각가 5점씩으로 배당하여 총 10점
임.
(1) 이 두 영화는 ‘선한 사마리아’ 모티브가 모두 초월적인 신의 은총과 일상적 인간의 믿음이
수직적 동정(sympathy)을 통해 연결되는 방식이 아니라 일상적인 사람들 간의 수평적인 배려
와 공감(empathy)이 구원을 현실화한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두 영화는 모두 초월적 신의
은총의 수직적 동정이 아니라 일상적이고 내재적인 이웃들의 수평적 공감과 배려 혹은 연대를
통한 수평적 구원의 가능성을 ‘선한 사마리아인’ 모티브를 통해 구현하고 있다.

(2) <쉐이프 오브 워터>에서는 말하지 못하는 주인공 일라이자가 역시 인간의 말을 하지 못하


는 괴물과 더불어 침묵 가운데 음악 소리로 공감하고 함께 춤을 추며 키스와 결합을 하는 방
식으로 소통한다. 이들은 모두 말할 수 없는 서발턴, 즉 주류에 의해 비주류로 내몰린 괴물,
여성, 동성애자, 장애자, 유색인, 외국인 등으로서 서로 공감하고 배려하며 희생하는 교류와
소통을 하고 있는데, 이는 종교적 권위와 정치적 권력으로 지배와 폭력을 휘두르는 스트릭랜
드와 정반대 양상이다. 한편, <밀양>에서는 시끌벅쩍하게 말을 늘어놓는 종교가 아니라 늘 곁
에서 말없이 아웃 포커스의 상태로 묵묵히 도와주는 남성 종찬이야말로 내재화된 초월적 신의
사랑의 화신이며, 특히 엔딩 시퀀스의 거울을 비춰주는 장면을 통해 알 수 있듯이 그의 침묵
과 배려의 사랑이 신의 은총이 비치는 거울을 여자 주인공에게 비춰줌으로써 자기성찰을 통해
행복과 구원의 가능성을 찾게 만드는 효과를 영상적으로 잘 구현했다.

-----------------------------

종교와영화 2021년 2학기 중간고사(40점 만점) 문제지와 답안지

1. (1) ‘통과의례’(rites of passage)의 구조로 볼 때 종교와 영화가 사람들에게 제공하는 ‘경


험’(experience)의 공통점은 무엇인가? (2) 또한 통과의례의 구조와 연관하여 영화(Cinema)의
정의(definition)를 설명하시오. (각 10점씩 총20점)

(1) 일상적인 인식과 실천의 유한한 한계를 반성적으로 성찰하고 무한의 가능성으로 초월하는
변화의 경험을 제공한다. 이 ‘변화’의 경험을 통해 사람들은 기존의 정체성(identity)가 해체되
고 질적으로 다른 새로운 정체성으로 거듭나는데, 이러한 죽음과 재생 혹은 새로운 정체성으
로의 변화는 통과의례(rites of passage)에서 ‘분리’(separation), ‘전이’(transition), ‘재통
합’(incorporation)되는 과정을 거쳐 기존의 유한한 정체성의 한계를 넘어서서 무한한 가능성
을 열어준다. (* 유한->무한 또는 일상->초월로 질적 변화가 이루어지는 ‘변화의 경험’과 그
질적 변화/도약을 통과의례의 3단구조와 연계하면 정답처리, 두 가지 중 하나면 서술하면 5점
부분점수 부여) (2) ‘영화’는 현실을 해체하고 움직이는 이미지로 재구성하는 ‘데쿠파쥬’와 ‘몽
타쥬’의 예술인데, 일상으로부터 분리(separation)되어 기존 정체성이 해체되고 새로운 정체성
으로 재구성되는 전이(transition)를 거쳐 현실에 재통합(incorporation)되는 통과의례의 구조
는 영화에서 일상을 해체하는 ‘데쿠파쥬’와 새로운 이미지-이야기로 재구성하는 ‘몽타쥬’로 구
현된다. (*영화의 정의 중 데쿠파주와 몽타쥬를 통과의례의 구조 중 분리-전이와 전이-재통합
의 요소를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설명시 정답처리, 부분점수 처리 가능)

2. 영화 <박하사탕>은 악한(evil) 사회구조적 폭력을 수용한 개인이 양심을 상실하고 타락하는


양상을 보여주는 영화다. (1) ‘실낙원’(lost paradise)으로 전락한 역사적 현실에서 벗어나서
낙원(paradise)을 회복하는 양상을 보여주는 영화적 표현방식과 그 의례적 기능(ritual
function) 혹은 효과를 설명하고, (2) 영화의 주인공이 양심을 상실하고 타락했음을 보여주는
셔레이드(charade)와 미장센(Mise-en-Scène)의 구체적 사례를 각각 하나씩 쓰고, 스스로 타
락했음을 인식하는 셔레이드와 타락을 인식하고 스스로를 혐오하는 셔레이드의 구체적 사례를
각각 하나씩 쓰시오.(각 10점씩 총20점)

(1) <박하사탕>은 ‘나 다시 돌아갈래’를 외치는 주인공의 의례적 주문(mantra)에 의해 불가역


적이고 직선적인(irreversible and linear) 역사적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는 시간 역행의 ‘연속
적인 플래시백(flaschback)’으로 순수했던 젊은 시절의 양심과 낙원을 회복한다. 플래시백은
기차가 거꾸로 가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실제로 구현된다. 이런 방식은 시간을 거슬러 올라
감에 따라 차츰 순수했던 과거를 회복하는 양상을 보여줌으로써 씻김굿이나 고해성사 같은 일
종의 정화의례(purification ritual) 또는 통과의례로서 내면화하고 일상화된 사회구조적 폭력
의 악을 정화하고 악에 물들어 타락한 20세기와는 달리 깨끗한 양심으로 새롭게 21세기를 시
작할 수 있도록 반성과 성찰 및 결단의 계기를 제공한다. (2) 타락: 짐승(개)처럼 으르렁거리는
셔레이드와 깨진 거울로 아내가 될 아가씨와 동침하는 장면의 미장센 / 타락의 인식: 주인공
이 양심의 가책을 받을 때마다 등장하는 ‘절뚝거리는 셔레이드’, 타락한 자신에 대한 혐오: 자
기 자신을 혐오하며 거울을 향해 취하는 손가락질하는 제스쳐의 셔레이드로 나타난다. (첫번
째는 의례적 주문의 연속적 플래시백과 정화의례적/통과의례적 측면을 설명하면 정답임. 두
번째는 타락의 셔레이드와 미장센 10점, 타락의 자각과 혐오 셔레이드 10점, 부분점수부과)

--------------------------

종교와영화 2022년 1학기 기말고사(40점 만점) 답안 및 채점 기준

1. 영화 <나라야마 부시코>와 <쉰들러 리스트>는 엔딩 시퀀스(ending sequence)는 고통과


희생, 죽음과 생명의 관계에 대한 성찰을 잘 보여준다. 두 영화의 엔딩 시퀀스의 가장 중요한
영화적 표현방식을 설명하되, (1)메시지의 공통점과 (2)사회적 맥락의 차이점을 비교하여 설명
하시오.((1)과 (2)번 각 10점씩 총 20점, 두 영화 모두 엔딩에서 가장 중요한 영화적 표현방식
을 반드시 하나 이상 포함해야 하며, 없을 경우 영화 한 편당 –5점씩 감점함.)

2. 마틴 스콜세지(Martin Scorsese)의 영화 <사일런스(Silence)>에서 (1) 배교(背敎,


apostasy)의 셔레이드(charade)는 구체적으로 무엇이며 (2) 그것이 지닌 종교적 의미는 무엇
인가? (3) 그 종교적 의미를 미야자키 하야오의 애니메이션에도 나오는 일본 신도(神道)문화의
종교적 에토스(ethos) 혹은 윤리관과 연계하여 설명하시오.((1)번과 (2)번은 각각 5점씩, (3)번
은 10점씩 부과하여 총 20점)

*모범답안

1. (1) 메시지의 공통점: 주인공(hero)의 자기희생(self-sacrifice)이 다른 사람들의 고통을 덜


고 생명을 구한다. (2) 사회적 맥락의 차이점: <나라야마 부시코>의 엔딩 시퀀스가 척박한 자
연환경에서 자손들의 생존을 위해 조용히 손을 모으고 기도하는 모습으로 자기를 희생하여 죽
음을 자발적으로 수용하는 어머니의 셔레이드를 통해 어머니의 자기희생과 죽음 수용이 자식
들의 생명을 위한 사랑이었음을 보여준다면, <쉰들러 리스트>의 엔딩 시퀀스에서는 홀로코스
트로 억울하게 희생되는 유태인들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자기의 재산을 아낌없이 쓰는 쉰들러
의 자기희생이 구원한 유태인들과 그 후손들이 마지막 장면에 나오면서 그 이름들이 일일이
열거되면서 얼마나 많은 생명을 구원했는지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한편, 흑백영화의 단색톤으
로 진행되던 영화가 마지막에 칼라톤으로 바뀌면서 죽음에서 생명으로 전환된 상황을 잘 표현
하였다.
* (1)과 (2)번 각 10점씩 총 20점, 두 영화 모두 엔딩에서 가장 중요한 영화적 표현방식을 반
드시 하나 이상 포함해야 하며, 없을 경우 영화 한 편당 –5점씩 감점함.

2. (1) 배교의 셔레이드: 신부가 예수의 모습을 담은 성물을 밟는 행동,


(2) 종교적 의미: 신자들의 목숨을 구원하기 위해 신앙상 배교의 행동을 통해 실제적인 사랑을
구현함.
(3) “선 속에 악이 있고 악 속에 선이 있는” 일본 신도문화의 상대주의적 윤리관으로 보면, 성
물을 밟는 신앙상 배교 행동은 겉으로는 악이지만 신자들의 생명을 구원한다는 점에서 실제로
는 선이 된다는 점에서 일본 신도문화의 상대주의적 윤리관이 천주교(기독교)를 통해 새롭게
구현/재전유되었다.

* 표현이 조금 다르더라도 내용이 나오면 정답 처리함.


* 새로운 해석이 타당성이 있으면 교수가 보고 판단해서 점수 부과 가능함.

-------------------------------------

종교와영화 2022년 1학기 중간고사(40점 만점) 답안 및 채점 기준

1. 영화 <박하사탕>에는 특정한 장소에서 동일한 오브제(objet)와 동일한 셔레이드를 통해서


주인공 영호의 시선과 관객이 심리적으로 동일시(identification)되는 장면이 반복적으로 나온
경우가 있다. 그것을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설명하되, 그 상징적 의미와 현실적 효과를 서술
하시오.(반드시 주인공의 시선과 연계되어야 하며, 오브제, 셔레이드, 장소, 상징적 의미와 현
실적 효과 등을 구체적으로 쓸 것, 20점 만점)

2. 영화 <봄여름가을겨울그리고봄>은 불이(不二)적 세계관(non-dualistic worldview)을 잘 보


여준다. 깨달은 부처인 스승이 번뇌망상의 중생인 제자를 깨달음으로 인도한다는 것을 스승과
제자가 직접적으로 함께 나오는 장면 외에 스님과 다른 오브제를 통해 상징적으로 표현한 장
면을 봄, 여름, 가을의 시퀀스(sequence)에서 각각 하나씩 찾아서 구체적으로 쓰시오.(각 3점
씩 총 10점)

3. 남양성모성지와 영화 <봄여름가을겨울그리고봄>은 공간 구성에서 유사한 측면이 있다. (1)


수직적 차원과 (2) 수평적 차원에서 해당 공간의 구성과 해당 동선-움직임의 유사성을 해당
<오브제>와 <움직임의 의미>를 중심으로 설명하시오. (각 5점씩, 총 10점)

*모범답안

1. 영화 <박하사탕>은 주인공 영호가 (1) 화장실에서 (2) 거울을 쳐다 보면서 (3) 자기 자신에
게 자기혐오 혹은 조가모멸의 손가락질을 하는데, (4) 이것은 무의식과 의식의 만남으로서 무
의식속으로 억눌린 양심이 의식적으로 상기되는 장면일 뿐만 아니라 (5) 영화 밖의 관객을 향
한 자기반성을 위한 강렬한 양심의 자각을 불러일으킨다.
* 기준: 괄호 내용 하나씩, (1) 장소, (2) 오브제, (3) 셔레이드, (4) 상징적 의미, (5) 효과 항
목별로 4점씩, 총 20점 부과)
* 비슷한 표현은 정답처리할 것
* 이 소재외에 영화속에서 반복되는 장면으로서 주인공과 관객의 시선이 직접 연게되는 경우
가 있다면 그것도 정답처리할 수 있음.

2. 봄, 여름, 가을의 시퀀스(sequence)에서 각각 하나씩 찾아서 구체적으로 쓰시오.(각 3점씩


총 10점)
봄: 뱃머리에 새겨진 부처(혹은 보살)의 손 위에 연꽃으로 피어난 동자의 모습
(아이 등에 돌덩이를 지워준 뒤) 돌부처의 먼지를 붓으로 쓸어내는 스님의 모습
여름: 닭에게 모이를 주고 있는 스님의 모습
가을: 고양이의 꼬리에 먹물을 묻혀서 반야심경을 쓰고 있는 스님의 모습
* 각 계절마다 둘 중 하나에 대한 서술이 나오면 정답 처리함.
* 한 개가 누락될 때마다 –3점 감점하고 세 개 모두 제대로 답하지 못하면 –10점임.

3. 남양성모성지와 영화 <봄여름가을겨울그리고봄>은 (1) 수직적 차원에서는 저변(아래)로부터


정점(꼭대기)에 이르기까지 모두 죄악이나 악업으로 인해 고통스러운 일상으로부터 벗어나서
신 혹은 진리의 궁극적 실재에 닿는 초월적 신앙 혹은 수행의 동선이 나타나며, 그 정점에는
각각 신앙의 대상인 예수 그리스도와 수행의 모범인 부처(반가사유상)가 있다. (2) 수평적 차
원에서는 주변에서 중심으로 들어가는 신앙 혹은 수행의 동선이 있는데, 그 중심에는 각각 성
모상과 절의 부처상이 있다. 욕망의 대상인 세상을 향해 밖으로 나갈 때 마음을 잃어버리는
반면, 자기 자신의 내면으로 향할 때는 구원 혹은 깨달음이 이루어진다.
* 전반적인 취지가 제대로 반영되어 있으면 점수 부과함.(각 5점씩 총 10점)
* 부분점수 부과 가능함.

--------------------------

종교와 영화 2022년 2학기 중간고사(총점 40점 만점)

1. <단답형> 다음 장면은 영화 <박하사탕>에서 주인공 영호가 첫사랑 순임을 광주로 되돌려


떠나 보내는 대목이다. (1) 이 장면에서 셔레이드(charade)는 구체적으로 어떤 몸짓으로 나타
나고, (2) 그 상징적 의미는 무엇인가? (각 4점씩 총8점)

2. <단답형> 다음 영화의 상징적 오브제(objet)는 무엇인가? (1) <박하사탕>에서 ‘박하사탕’과


함께 주인공 영호의 순수하고 선한 양심을 상징하는 도구, (2) <봄여름가을겨울그리고봄>에서
주인공이 번뇌망상의 고통을 겪는 중생이자 깨달은 부처(Buddha)라는 불이론적 세계관을 극
명하게 보여주는 도구로서, 중생의 도구에서 부처의 도구로 극적으로 전환(transition)되는 의
례적 도구. (각 4점씩 총 8점)

3. <서술형> 1960년대 이전 예수영화는 그리스도의 신성을 부각시키기 위한 전형적인 영화적


표현을 보여주었다. 예수 영화 중 (1) <왕중왕>과 (2) <벤허>가 보여준 예수 묘사의 전형성을
각각 설명하시오. (각 6점씩 총 12점)
4. <서술형> 영화 <봄여름가을겨울그리고봄>의 (1) 봄 시퀀스(sequence)와 (2) 겨울 시퀀스에
서 시각과 청각이 서로 충돌하여 불이(不二)적 세계관(non-dualistic worldview)을 구현한 몽
타쥬와 셔레이드의 방식을 유기적으로 연계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시오. (각 6점씩 총12점)

모범답안

● 단답형은 해당 중요 단어와 내용이 들어가면 점수 부과, 서술형도 주요 내용과 일맥상통하


는 답안이면 정답 처리 혹은 부분 점수 부과한다. 모범답안과 다를 경우에도 충분히 수긍
할 만한 답안이면 검토후 점수 부과할 수 있다.

1. (1) 다리를 절룩거리면서 걷는 세레이드는 (2) 순수한 양심이 망가졌거나 마비되었음을 보


여준다.

2. (1) 카메라, (2) 칼(사람을 죽인 칼이 수행의 도구로 변한다)

3. (1) <왕중왕>에서는 빅토리아시대의 경건성을 반영해서 금발의 머리카락과 푸른 눈의 백인


남성이 남성적 권위를 나타내는 턱수염을 두르고 흰 성의(lobe)를 두른 채 등장하며, 카타
콤 초기 기독교 예술의 영향을 받아서 로마의 태양신처럼 후광을 두르고 나타냈다. (2) <벤
허>에서는 예수의 얼굴을 정면으로 보여주지 않고 뒷모습이나 발치만 보여주었다.
(*밑줄 부분이 들어가면 점수 부과)

4. 봄 시퀀스에서 소년의 주인공이 동물들을 학대하여 고통을 주는 중생의 몸짓(셔레이드)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장면에서 청각적으로는 깨달음의 음악으로서 <반야심겸>이 들리며, 겨울
시퀀스에서 장년의 주인공이 가슴에 부처(반가사유상)를 안고 발에 맷돌을 달고 수행하는 부
처의 몸짓(셔레이드)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장면에서는 청각적으로 번뇌망상을 나타내는 중
생의 음악으로서 <정선아리랑>이 들린다. 요컨대, 봄 시퀀스에서는 번뇌망상의 고통을 낳은
중생의 셔레이드가 시각적으로 보일 때 깨달음을 드러내는 부처의 음악이 청각적으로 들리면
서 불이론적 세계관을 보여주는 반면, 겨울 시퀀스에서는 번뇌망상의 고통에서 벗어나서 깨달
음을 얻는 부처가 되는 수행(부처)의 셔레이드가 시각적으로 나타날 때 중생의 고뇌/고통을
드러내는 중생(또는 한)의 음악이 청각적으로 들리면서 불이론적 세계관을 드러낸다.
(* 요컨대 앞 뒤쪽 표현 중 어떤 방식이든지간에 “중생의 몸짓(셔레이드)=부처의 음악(청각),
부처(수행)의 몸짓=중생의 음악”이라는 부분이 각 시퀀스마다 분명하게 설명이 되면 만점 처
리하고, 상황에 따라 부분 점수 부과 가능함)

-------------------

종교와 영화 2022년 2학기 기말고사(총점 40점 만점)

1. (1) <쉰들러 리스트>는 각각 비극적 죽음의 고통에 참여하는 공감과 용기를 보여주고, (2)
<인생은 아름다워>는 죽음의 고통을 초월하는 희극적 여유의 지혜를 선보였다. 두 영화는 그
리스신화에서 신화적 영웅 테세우스가 미궁(rabyrinth)의 위기를 탈출할 때 사용했던 (1)와
(2)의 오브제(objet)에 상응한다. (1)과 (2)를 순서대로 쓰시오. (각 5점씩 10점)

2. (1)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서 자기 정체성을 망각한 어른과 신을 구원하는 것은 소녀


의 정성인데 이렇듯 세계를 구원하는 정성을 가리키는 단어는 무엇인가? (2) 미야자키 하야오
의 애니메이션은 주인공이 소녀다. 이는 일본 천황(天皇)의 조상신인 아마테라스이기 때문이
다. 일본 천황이 현실에서 상징하는 신은 어머니같은 모성(母性)적 존재인데, 일본사회에서 이
러한 근원적 모성에 귀의하는 심리적 의존감을 뜻하는 단어는 무엇인가? (* (1)과 (2)는 영어,
한글, 일본어 중 하나로 작성할 것. 각 5점씩 총 10점)

3. <쉐이프 오브 워터(The Shape of Water)>에서 WASP인 스트릭랜드는 권력의 상징인 전


기봉으로 다른 사람들을 괴롭히는데, (1) 그가 읽는 책(book)의 제목은 무엇이고, (2) 어떤 의
미를 갖고 있는가?(각 5점씩 총 10점)

4. <라이프 오브 파이(Life of Pie)>의 바닷물과 <쉐이프 오브 워터(The Shape of Water)>


에서 ‘물’(Water)이 지닌 의미를 비교해서 설명하시오.(총 10점)

모범답안

● 단답형은 해당 중요 단어와 내용이 들어가면 점수 부과, 서술형도 주요 내용과 일맥상통하


는 답안이면 정답 처리 혹은 부분 점수 부과한다. 모범답안과 다를 경우에도 충분히 수긍
할 만한 답안이면 검토후 점수 부과할 수 있다.

1. (1) 검 또는 칼, (2) 실 또는 실타래 (순서 뒤바꾸면 0점, 부분점수 부여 가능)


2.
2. (1) 마코토(誠), (2) 아마에(甘え) (순서 뒤바꾸면 0점, 부분점수 부여 가능)

3. (1) 긍정적 사고의 힘(The Power of Positive Thinking), (2) 보수주의 번영신학의 종교적
권위를 상징하는 책으로서, 자유주의 이데올로기(이념)를 정당화함 함.

4. <라이프 오브 파이(Life of Pie)>의 바닷물이 목마른 존재가 생존을 위해 분투하면서 긴장


과 분열로 인한 고통과 두려움을 길들이는 통과의례의 장소인 반면, <쉐이프 오브 워터>의 물
은 무한한 자유와 사랑을 통해 유한한 형상을 넘어서서 하나로 합일되는 신비적 장소이다.

(* 위와 같은 내용이 분명하게 부각되면 비슷한 표현들을 모두 정답 처리함)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