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

3강

질문 6. ‘읍’과 ‘음’을 길게 발음해 보고 그 차이가 무엇인지 말해 봅시다. 또 코를


막고 발음해 봅시다.
‘읍’을 길게 발음할 수 없는 것 같습니다. ‘ㅂ’은 구강폐쇄음이어서 ‘ㅂ'을 받침으로
발음할 때에 입이 안 열립니다. ‘ㅁ’은 폐쇄음이지만 비음이라서 공기가 코로 빠져
나가게 됩니다. 코를 막고 발음하면 ‘음’을 발음할 수 없습니다.

질문 7. /ㅁ, ㄴ, ㅇ/과 /ㅂ, ㄷ, ㄱ/의 공통점과 차이점이 무엇인지 생각해 봅시다


/ㅁ, ㄴ, ㅇ/과 /ㅂ, ㄷ, ㄱ/는 모두 자음입니다
/ㅁ, ㄴ, ㅇ/은 비강폐쇄음이고 목젖이 내려옴에 따라 코로 향하는 공깃길이 열려 공기가
코로 빠져 나가게 되는 상태에서 나는 말소리입니다. 동시에 유성음이기도 합니다.
/ㅂ, ㄷ, ㄱ/은 구강폐쇄음이고 공기가 코로 올라가지 못하고 입안에 갇혀 입안에서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어 생성되는 말소리입니다.

질문 8. ‘알’과 ‘오리’를 발음해 보고 /ㄹ/가 어떻게 다른지 생각해 봅시다.


‘알’중의 ‘ㄹ'받침과 ‘오리'중의 ‘ㄹ’는 두다 유음이고 ‘ㄹ'받침은 설측음이고
‘오리'중의 ‘ㄹ’은 탄설음입니다.
발음할 때 느끼는 것은 두다 공명음이지만 ‘ㄹ'받침을 발음할 때에 공명하는 느낌이
더옥 납니다.

질문 9. 입 가까이 손을 대고 /ㄷ, ㄸ, ㅌ/를 발음할 때 공기의 세기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확인해 봅시다.
‘ㅌ'은 공기의 세기가 가장 강하고 그 다음에는 ‘ㄷ'이고 제일 약한 세기가 ‘ㄸ'입니다

질문 10. 여러분 모국어에는 /ㄷ, ㄸ, ㅌ/와 같이 기의 세기로 장애음을 구분하나?


네 있는 것 같습니다. 공기의 세기가 달라져서 다른 발음이 됩니다. 그로인해 다른 글자로
됩기도 합니다.

질문 11. 자음의 분류 기준은 언어보편성과 특수성으로 나누어 생각해 봅시다


→ 언어 보편적 기준 – 양순음, 치조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후음
이 5 가지는 자연언어 대부분에서 볼 수 있는 매우 보편적인 위치이라서 언어 보편적
기준으로 생각합니다
→ 언어 특수한 기준 – 장애음, 공명음

1) ㅂ, ㅃ, ㅍ
비다 삐다 피다 / 벼 뼈 펴
2) ㄷ, ㄸ, ㅌ
더 떠 터 /데 떼 테
3) ㅈ, ㅉ, ㅊ
자다 짜다 차다 / 지다 찌다 치다
4) ㅅ, ㅆ
사다 싸다 / 시 씨
5) ㄱ, ㄲ, z
개다 깨다 캐다 / 기다 끼다 키다

1) 비삐피, 비삐피, 삐피비, 삐피비, 피비삐, 피비삐


브쁘프, 브쁘프, 쁘프브, 쁘프브, 프브쁘, 프브쁘
바빠파, 바빠파, 빠파바, 빠파바, 파바빠, 파바빠
2) 디띠티, 디띠티, 띠티디, 띠티디, 티디띠, 티디띠
드뜨트, 드뜨트, 뜨트드, 뜨트드, 트드뜨, 트드뜨
다따타, 다따타, 따타다, 따타다, 타다따, 타다따
3) 기끼키, 기끼키, 끼키기, 끼키기, 키기끼, 키기끼
그끄크, 그끄크, 끄크그, 끄크그, 크그끼, 크그끼
가까카, 가까카, 까카가, 까카가, 카가까, 카가까
4) 시씨, 시씨, 시씨, 씨시, 씨시, 씨시
스쓰, 스쓰, 스쓰, 쓰스, 쓰스, 쓰스
사싸, 사싸, 사싸, 싸사, 싸사, 싸사
5) 지찌치, 지찌치, 찌치지, 찌치지, 치지찌, 치지찌
즈쯔츠, 즈쯔츠, 쯔츠즈, 쯔츠즈, 츠즈쯔, 츠즈쯔
자짜차, 자짜차, 짜차자, 짜차자, 차자짜, 차자짜

1) 보리 빵을 팝니다.
2) 내 딸이 달밤에 뜰에서 탈춤을 연습하고 있습니다.
3) 코끼리는 코가 길어요? 꼬리가 길어요?
4) 돼지는 뚱뚱하고 토끼는 통통합니다.
5) 나는 들에 피는 꽃들을 틈틈이 뜰에 심었어요.

1) 선선하던 날씨가 갑자기 쌀쌀해졌어요.


2) 쌀을 사러 시장에 갔더니 쌀은 없고 싼 보리만 있었어요.
3) 점심을 짜게 먹었는지 찬물만 먹고 싶어요.
4) 시냇물은 졸졸졸졸, 바닷물은 출렁출렁
5) 침도 맞고 찜질도 해서 많이 좋아졌어요.

질문 1. /ㅏ/와 /ㅂ/를 발음해 보고 모음과 자음이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 생각해 봅시다.
일반적으로 모음은 다 유성음이고 자음은 무성음입니다.
모음은 장애 없이 발음되는 말소리이고 자음은 발음할 때 장애가 수반되는 말소리입니다.

질문 2. /ㅏ/와 /ㅑ/를 발음해 보고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 생각해 봅시다.


‘ㅏ'는 단모음이고 ‘ㅑ'는 이중모음입니다
이중모음은 한 음절 안에서 소리가 변화합니다
‘ㅑ'는 ‘ㅣ'+’ㅏ'로 형성되 말소리입니다.

질문 3. 한국어와 자신의 모국어, 영어 등에서 어느 언어에나 있는 모음은 무엇인지


생각해 봅시다.
/a,e,i,o,u/가 어느 언어에나 있는 모음이라고 생각합니다.

질문 4. /a, i, u/를 발음할 때 혀의 높낮이, 입술의 모양, 혀의 앞뒤 위치가 어떻게 다른지


생각해 봅시다.
/a/의 경우가 입술의 모양은 평순이고 혀의 위치가 뒤에 있습니다
/i/의 경우가 입술의 모양은 평순이고 혀의 위치가 앞에 있습니다
/u/의 경우가 입술의 모양은 원순이고 혀의 위치가 뒤에 있습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