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8

Contents

Ⅰ 딸기연구소 육성 딸기 품종 목록 ·
··
··
··
··
··
··
··
··
··
··
··
··
··
··
··
··
··
··
··
··
··
··
··
· 05

Ⅱ 딸기 품종별 전국 재배면적 ·
··
··
··
··
··
··
··
··
··
··
··
··
··
··
··
··
··
··
··
··
··
··
··
· 07

Ⅲ 딸기연구소의 육성 품종

1. 매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2. 만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
3. 설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
4. 금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
5. 숙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
6. 엔에스9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4
7. 킹스베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8
8. 써니베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3
9. 두리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8
10. 하이베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2
Ⅰ. 딸기연구소 육성 딸기 품종 목록

No. 품종명 육성년도 교배조합 주요특성

1 매 향 2002 도치노미네×아키히메 장원추형, 경도 강

2 만 향 2003 여봉×아까넷꼬 노지재배용, 담홍색

3 설 향 2005 아키히메×레드펄 원추형, 다수성

4 금 향 2005 아키히메×NS970516 원추형, 경도 강

5 숙 향 2012 설향×매향 장원추형, 경도 강

6 엔에스9호 2016 대왕×수홍 탄저병 저항성

7 킹스베리 2016 아키히메×NS001309 장원추형, 특대과성

8 써니베리 2016 숙향×매향 장원추형, 경도 강

9 두리향 2017 숙향×매향 장원추형

10 하이베리 2018 NS071608×대왕 원추형, 경도 강

5
Ⅱ. 딸기 품종별 전국 재배면적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본부 추정치

7
Ⅲ. 딸기연구소의 육성품종

1. 매향
2. 만향
3. 설향
4. 금향
5. 숙향
6. 엔에스9호
7. 킹스베리
8. 써니베리
9. 두리향
10. 하이베리

9
충청남도농업기술원 딸기연구소 육성 딸기 품종 소개

매향
(苺香, Maehyang)

가. 육성경위

○ 육종목표 : 촉성재배
○ 교배조합 : 도치노미네 × 아키히메
○ 교배년도 : 1997년
○ 육성년도 : 2002년
○ 육성기관 : 충남농업기술원 딸기연구소
○ 육 성 자 : 김태일, 최재현, 김운섭, 장원석, 남명현, 이인하, 정석기, 라상욱, 서관석

나. 식물체 및 생태적 특성

초형이 직립형이고 초세가 강하며 액아 발생과 엽수가 적다. 과실은 장원추형으로,


휴면이 얕고 저온신장성이 우수하여 촉성 작형에 적합하다. 엽의 형태는 장타원형으로
‘아키히메’보다 약간 작으나 잎이 두껍고 조직이 치밀하여 수명이 길기 때문에 적엽 노력

11
소개

을 줄일 수 있다. 초세는 왕성하고 신장성이 좋으므로 GA처리나 전조는 할 필요가 없으


나 화방이 길기 때문에 두둑의 높이를 30cm 이상 높일 필요가 있다. 휴면은 상당히 낮기
때문에 촉성 재배에 적합하며 ‘아키히메’에 준하여 재배하면 된다. 그러나 ‘아키히메’보다
엽수 출현 속도나 생육이 약간 늦으므로 정식 시 자묘를 중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좋
다. 자연 조건에서 화아분화는 논산 지역에서 9월 22일로 ‘레드펄’보다 빠르며 ‘아키히메’
보다는 약간 늦고 개화기도 일주일 정도 늦은 편이다. 정화방이 출하되는 12월에는 기형
과 발생율이 적었지만 2화방에서 기형과 발생이 급격히 증가한다. 겨울철 혹한기 최저 기
온이 5℃ 이하로 떨어지면 기형과 발생이 심하여 다른 품종보다 약간 고온 관리를 필요로
한다.

■ 매향의 생태적 특성

품 종 초 형 초세 엽형 엽장/엽폭비 과형 화아분화 휴면성


매 향 직립형 강 장타원형 1.58 장원추형 빠름 약
레드펄 반개장형 강 타원형 1.24 난원형 약간 늦음 중

■ 매향의 생육특성

초 장 엽수 화경장 개화기 첫 수확기


품 종 적응작형
(cm) (매/주) (cm) (월. 일) (월. 일)
매 향 촉성 30.2 8.4 34.6 11. 16 12. 30
레드펄 촉성 21.6 8.6 24.6 11. 20 1. 5

* 정식일 : ’00. 9. 20, 보온개시일 : ’00. 11. 1, 생육 조사 : 수확 개시기

다. 병해충 저항성

병해충 저항성은 병해는 육묘기에는 탄저병, 수확기에는 잿빛곰팡이병에 아주 약하


며 충해는 진딧물에 약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탄저병은 ‘아키히메’보다 약간 강하나 다른
품종보다는 약하므로 비가림 육묘가 바람직하다. 충해에는 약한 편으로 특히 진딧물 발
생이 많고 응애나 총채벌레 등은 중간 정도로 다른 품종과 비슷하다. 수확기 흰가루병 발

12
충청남도농업기술원 딸기연구소 육성 딸기 품종 소개

생은 매우 적은 편으로 ‘아키히메’보다 강하다. 매향 재배시 육묘기에는 탄저병 방제에 힘


쓰고, 수확기에는 진딧물, 잿빛곰팡이 방제가 중요하다.

■ 매향의 병해충 저항성

병 해 충 해
품 종
흰가루병 탄 저 병 잿빛곰팡이병 시들음병 진딧물 응 애
매 향 ++ ++++ +++ ++ ++++ +++
레드펄 + ++ ++ ++ + ++
아키히메 ++++ ++++ + ++ ++ +++

* - : 무발생, + : 약간발생, ++ : 중간발생, +++ : 심하게 발생, ++++ : 아주 심함

라. 수량성

‘매향’은 촉성재배에 적합한 품종으로 화수가 화방당 11개로 다른 품종보다 적었으


나 4월까지 수량은 4,069kg/10a 정도로 ‘레드펄’보다 30% 높았다. 평균과중이 15g 정도
로 정과가 아주 대과성은 아니나 소과 발생이 적고 화서별 과실 크기가 고른 편이다.

■ 매향의 수량성

화 수 평균과중 수확과수 상품과율z 수 량y


품 종
(개/화방) (g/개) (개/주) (%) (kg/10a)
매 향 11.0 15.0 30.0 86.1 4,069
레드펄 12.7 14.2 24.9 79.9 3,209

* 재배작형 : 촉성재배(’00. 9. 20 정식), 재배지역 : 논산, 고령, 나주 평균


z
상품과율 : 10g 이상, y수량 : ~4월까지 수량임

마. 품질 특성

당도는 높고 산미가 적어 당산비가 높은 편이다. 미숙과는 산미가 있으나 완숙되면

13
소개

당도가 매우 높다. 경도는 ‘아키히메’보다 높고 ‘여봉’이나 ‘레드펄’이상을 유지한다. 월별


당도 변화는 2월 까지는 11°Bx를 유지하다가 3월 이후 낮아지며 수확 말기에는 다시 회
복된다. 품질 면에서는 ‘아키히메’보다 맛과 향, 과형, 광택이 뛰어나고 단단하다.

■ 매향의 과실품질

당 도 산 도 당산비 향기 경 도 비타민C 함량
품 종
(°Bx) (%) (1~9) (g/mm2) (㎎/100g)
매 향 11.4 0.77 14.9 6 12.7 70.7
레드펄 9.6 0.86 11.2 4 11.4 -
아키히메 10.6 0.74 14.3 2 9.0 -

바. 재배상 유의점

육묘기에 탄저병 발생이 심하고, 본포에서는 진딧물 발생이 ‘여봉’, ‘레드펄’ 보다 많


으므로 육묘기에 비가림 재배가 바람직하고, 본포에서는 진딧물 발생에 유의하여야 한
다. 자묘는 포트육묘에 의한 양성기간이 60일 이상 확보되어야 대묘에 의한 다수확을 할
수 있다. 정식은 포트육묘로 9월 상순이 적기이고 이보다 빠른 8월 하순 정식은 2화방 출
뢰가 지연되며, 9월 중순 이후 정식은 수량이 감소될 수 있다. 생육은 정식 초기 생육이
왕성하므로 정식 직후 전조 처리나 GA3 처리는 과다한 엽병과 화경의 신장을 초래하므로

14
충청남도농업기술원 딸기연구소 육성 딸기 품종 소개

피하는 것이 좋다. 과실은 과육이 단단하나 3월 중순 이후의 고온기에는 과피가 얇아지


고, 과숙시 착색이 진해져 검은 빛을 띠는 경향이 있으므로 80% 숙기에 수확해야 한다.
과다 착색 방지를 위해서는 적기 수확이 중요하고 특히 봄철 고온기에는 2∼3일 간격으
로 수확하는 것이 좋다. ‘매향’은 다른 품종보다 야간 온도를 1∼2℃ 높게 관리해 주어야
하며, 특히 겨울철 야간 온도가 5℃ 이하로 내려가면 생육 저하와 기형과 발생을 초래할
수 있다.

15
소개

만향
(晩香, Manhyang)

가. 육성경위

○ 육종목표 : 노지재배
○ 교배조합 : 여봉 × 아까넷꼬
○ 교배년도 : 1998년
○ 육성년도 : 2003년
○ 육성기관 : 충남농업기술원 딸기연구소
○ 육 성 자 : 김태일, 최재현, 김운섭, 장원석, 남명현, 이인하, 권경학

나. 식물체 및 생태적 특성

식물체는 노지, 억제 적응 품종으로 휴면 시간이 깊고, 초세는 직립형이며 크고 엽


형은 원형에 가깝다. 과실의 과형은 원추형으로 과색은 담홍색이며 과피의 광택이 우수
하다.

16
충청남도농업기술원 딸기연구소 육성 딸기 품종 소개

초장이 짧으나 화경장이 ‘레드펄’보다 약간 긴 편이며 개화기에 비해 수확기가 약간


빠른 편이다. 개화기는 4월 중순경으로 ‘레드펄’과 비슷하나 수확기는 약간 빠르다.

■ 만향의 생태적 특성

품 종 초 형 초세 엽형 엽장/엽폭비 과형 화아분화 휴면성


만 향 직립형 강 원형 1.02 원추형 빠름 깊음
레드펄 반개장형 강 타원형 1.14 난원형 약간 늦음 중정도

■ 만향의 생육특성

초 장 엽수 화경장 개화기 첫 수확기


품 종 적응작형
(cm) (매/주) (cm) (월. 일) (월. 일)
만 향 노지, 억제 28.3 6.7 26.5 ’03. 4. 15 ’03. 5. 15
레드펄 반촉성, 노지, 억제 30.9 7.3 25.4 ’03. 4. 14 ’03. 5. 20

* 정식일 : ’02. 9. 20

다. 병해충 저항성

병해충 저항성은 대체적으로 강한 편으로 흰가루병과 탄저병이 ‘레드펄’보다 강하고,


응애나 진딧물 등의 해충은 ‘레드펄’과 비슷하다.

■ 만향의 병해충 저항성

병 해 충 해
품 종
흰가루병 탄저병 진딧물 응 애
만 향 + + + +
레드펄 ++ ++ + +

* - : 무발생, + : 약간발생, ++ : 중간발생, +++ : 심하게 발생, ++++ : 아주 심함

17
소개

라. 수량성

강릉시 농업기술센터에서 실시한 ‘만향’ 재배는 ‘레드펄’보다 수량성이 높았으며, 비슷


한 크기에 수확 과수가 많고 수량은 11% 증수되고 상품율이 10% 이상 높았다. 강릉시 농
가에서 실시한 특성 검정 결과는 ‘레드펄’보다 수량이 27% 증수되고 화서별 편차가 적어
과실의 균일도가 높았으며, 초장과 화경장은 짧고 개화기와 수확기는 빠르며 병해 및 충
해에 강하였다.

■ 만향의 수량성
강원, 강릉(노지작형)

초 장 화경장 화수 병해충 개화기 첫수확기 균일도z 수 량


품 종
(cm) (cm) (개/화방) (월. 일) (월. 일) (1~5) (kg/10a)
만 향 24.9 22.1 16.1 강 4.13 ’03. 5. 14 4 3,229
레드펄 28.7 24.6 13.4 중 4.15 ’03. 5. 20 3 2,548

* 작형 : 노지 재배, 정식 : '02. 9. 20
z
균일도(화방에서 화서별 과실 크기 편차) : 1(큼)~5(적음)

마. 품질 특성

과실의 당도는 ‘레드펄’ 품종과 비슷하나 산도가 낮아 당산비가 높으며 경도가 높아


과실이 단단하므로 신선도가 오래 지속된다.

18
충청남도농업기술원 딸기연구소 육성 딸기 품종 소개

■ 만향의 과실 품질 특성

당 도 산 도 당산비 향기 경 도
품 종
(°Bx) (%) (1~9) (g/mm2)
만 향 10.8 0.9 11.7 5 10.7
레드펄 10.4 1.0 9.9 5 9.3

바. 재배상 유의점

휴면이 깊으므로 무리하게 촉성재배를 할 경우 왜화 현상이 심하여 수량 저하를 가


져올 수 있으므로 유의하고, 반촉성 작형에도 가능하나 보온 시기 규명이 필요하다. 화아
분화기에 질소 농도가 높으면 넙적과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노지재배에서는 수
확기간이 짧으므로 정식묘가 충실해야 단기간에 많은 수량을 생산할 수 있다.

사. 적응 지역

강원도, 제주도 등 노지재배 지역

19
소개

설향
(雪香, Sulhyang)

가. 육성경위

○ 육종목표 : 촉성재배
○ 교배조합 : 아키히메 × 레드펄
○ 교배년도 : 1998년
○ 육성년도 : 2005년
○ 육성기관 : 충남농업기술원 딸기연구소
○ 육 성 자 : 김태일, 장원석, 최재현, 이석수, 남명현, 이인하, 이원근, 박상규

나. 식물체 및 생태적 특성

초형은 반개장형으로 크며 엽형은 원형에 가깝다. 초세가 강하고 뿌리 발달이 좋으며


흡비력, 저온 신장성 면에서 우수하다. 재배적응 작형은 휴면시간이 비교적 얕은 편으로

20
충청남도농업기술원 딸기연구소 육성 딸기 품종 소개

5℃ 이하 저온 요구시간이 200∼250시간 정도로 촉성재배에 적합하다. 화아분화는 ‘아키


히메’, ‘매향’보다는 약간 늦으나 촉성재배가 무난하며 9월 상순에 정식하여 12월 상순 수
확이 가능하다.
과실의 과형은 원추형으로 과색은 선홍색이며 과즙이 풍부하고, 과일이 균일하다. 경
도는 ‘아키히메’ 품종 정도의 수준이다. 화방 당 화수는 12~16개 정도이며 대과이면서 다
수성이다. 특히 1번과의 대과는 공동과나 약간의 넙적과가 발생하나 골진과와 선청과 발
생은 매우 적은 편이다. 특히 저온 신장성이 강해 저온기에도 기형과 발생율이 적으며 고
온기에 색이 진해지지 않고 선홍색을 유지한다. 흰가루병에 매우 강하여 친환경 재배에
매우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 설향의 생태적 특성

품 종 초 형 초세 엽형 과형 과색 화아분화 휴면성
설 향 반개장형 강 원형 원추형 선홍 약간 빠름 얕음
아끼히메 직립형 강 장타원형 장원추형 선홍 빠름 얕음

다. 생육특성

생육은 ‘아키히메’와 유사하게 왕성하며 잎이 크고 화경장도 긴 편이다. 수확은 ‘아키


히메’보다 약간 늦으며 숙기도 긴 편이다. 화방이 선단 부위에서 갈라지는 특징을 띠고 있
어 생육이 너무 왕성하면 화방이 잎 속에 가려져 숙기가 늦어지고 과일이 물러지는 경향
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뿌리 발달은 매우 우수하여 연작이나 고농도의 비료 장해에
도 비교적 견디는 힘이 강한 편이다.

■ 설향의 생육 특성

초장 엽장 엽폭 화경장 개화기 첫수확일


품 종
(cm) (㎝) (㎝) (㎝) (월. 일) (월. 일)
설 향 34.2 11.7 9.2 34.1 11. 5 12. 7
아키히메 35.2 10.2 7.8 38.0 11. 3 12. 5

21
소개

라. 병해충저항성

‘설향’의 병해충 저항성은 수확기 흰가루병에 매우 강하고, 탄저병도 ‘레드펄’보다는


약간 약하지만 ‘아키히메’나 ‘매향’보다 저항성이 있다. 탄저병 방제만 철저히 한다면 노지
육묘도 어느 정도 가능하지만 과습에 약하여 여름철 장마기에 주의해야 한다. 탄저병에
의한 피해가 많이 발생되고 있어 촉성재배를 위해서는 비가림에 의한 포트 육묘가 바람
직하다.

■ 설향의 병해충 저항성

병 해 충 해
품 종
흰가루병 탄 저 병 잿빛곰팡이병 시들음병 진딧물 응 애
설 향 + +++ ++ + ++ ++
아키히메 ++++ ++++ ++ + ++ ++
레 드 펄 ++ ++ ++ + + +
매 향 ++ ++++ +++ + +++ +

* + : 약간발생, ++ : 중간발생, +++ : 심하게 발생, ++++ : 아주 심함

마. 수량성

과일은 짧은 원추형을 지닌 대과성으로 과색은 선홍색을 나타내고 있다. 평균과중이


14.7g로 대과율이 높으며 가장 다수성 품종으로 알려진 ‘아키히메’ 품종과 유사한 수량성
을 보이고 있다. 농가 특성검정 시험에서도 높은 수량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수확기는 ‘아
키히메’보다 약간 늦게 나타났다. 시험 재배 농가의 반응을 보면 ‘레드펄’보다 50%이상의
높은 수확량을 보이고, ‘아키히메’와는 비슷한 정도를 나타내며 수확기는 약간 늦은 경향
이다.

22
충청남도농업기술원 딸기연구소 육성 딸기 품종 소개

■ 설향의 수량성

대과 중과 소과 화 수 평균과중 상품과율z 수량
품 종
(g/주) (g/주) (g/주) (개/화방) (g) (%) (kg/10a)
설 향 97.9 243.0 90.1 15.6 14.7 79.1 3,918
아키히메 84.1 247.4 82.1 17.9 12.8 81.1 3,760

* 재배작형 : 촉성재배(’04. 09. 15 정식), 수확기 : ’04. 12. 10~’05. 4. 20


z
상품과율 : 10g 이상 과실 비율

바. 품질 특성

과실은 원추형으로 과색이 선홍색이며 과즙이 풍부하고 과일이 균일하다. 경도는 ‘아


키히메’ 정도의 수준이다. ‘설향’의 당도는 10∼11% 정도로 당도가 높지는 않지만 겨울철
에는 산도가 낮고 과즙이 많아 상쾌한 맛을 나타낸다. 과육이 ‘아키히메’보다는 치밀하여
씹는 촉감이 우수하고 기형과나 골진과 발생이 적어 균일한 딸기를 생산할 수 있다. 정화
방의 1번과는 과일이 60g이상의 대과성으로 공동과가 발생하며 과일 경도가 낮아 적기
수확해야 하며 수송에도 주의해야 한다. 고온기에는 산도가 증가하여 신맛이 증가하지만
과색이나 모양의 변화는 적다.

23
소개

■ 설향의 과실 품질

당도 산도 당산비 경 도 기형과율
품 종
(°Bx) (%) (g/mm2) (%)
설 향 10.4 0.9 11.7 9.0 3
아키히메 11.2 0.8 13.6 8.9 8

사. 재배상 유의점

육묘기 자묘 발생량은 많고 환경 적응성도 뛰어나나 잎 끝이 타는 칼슘 결핍증상을 보


이고 육묘 중에 런너 선단부가 고사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과일은 과즙이 많고 경도
가 약해 고온기에는 저장성이 저하되며 또한 산미가 증가하므로 수분 조절과 주간 환기
에 힘쓴다. 정식 후 개화 초기에 화방 신장이 나쁘면 화방 특성상 과일이 잎 속에 뭉쳐있
어 착색이 잘 안 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초기 화방 신장에 주의한다.
병해충은 육묘기 탄저병 방제에 주의하며 수확기에는 과습을 피하고, 주간 온도를 2
5℃내외로 관리한다. 저온기나 건조 시 칼슘 결핍이 발생하기 쉽다. 다른 품종보다 칼슘
요구량이 많은 품종으로 추정되며, 잿빛곰팡이병에도 주의를 요한다.
출뢰 간격과 화아분화가 ‘아키히메’보다 늦으므로 너무 조기(8월)정식은 불균일한 출
뢰를 유발할 수 있어 초기에 질소 과다가 되지 않도록 한다. 수확기에는 과실 경도가
낮고 과즙이 많아 적기에 수확해야하며 수확한 과일의 포장 시에도 난좌 포장이 바람
직하다.

24
충청남도농업기술원 딸기연구소 육성 딸기 품종 소개

금향
(錦香, Keumhyang)

가. 육성경위

○ 육종목표 : 촉성재배
○ 교배조합 : 아키히메 × 도치오토메 실생
○ 교배년도 : 1999년
○ 육성년도 : 2005년
○ 육성기관 : 충남농업기술원 딸기연구소
○ 육 성 자 : 김태일, 장원석, 최재현, 이석수, 남명현, 이인하, 이원근, 박상규, 김운섭

나. 식물체 및 생태적 특성

초형은 반개장형으로 초세는 강하며 ‘레드펄’에 비해 초장이 크고 엽의 형태는 원형


에 가깝다. 화경장이 약간 긴 편이다. 개화기와 수확기가 ‘레드펄’보다 약간 빠르다. 과형
은 원추형으로 과색이 진홍색을 띤다. 출뢰가 약간 늦은 편이며 화방은 기부에서부터 갈

25
소개

라지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화아분화는 ‘레드펄’보다 약간 빠르다. 휴면성은 약간 깊은


편으로 ‘레드펄’과 유사하다. ‘레드펄’에 비해 초장이 크고 화경장이 약간 긴 편이다. 개화
기와 수확기가 ‘레드펄’보다 약간 빠르다.

■ 금향의 생태적 특성

품 종 초 형 초세 엽형 과형 과색 화아분화 휴면성
금 향 반개장형 강 원형 원추형 진홍 약간 늦음 중
레 드 펄 반개장형 강 원형 난원형 선홍 늦음 중

■ 금향의 생육특성

초장 엽장 엽폭 화경장 개화기 첫수확일


품 종
(cm) (㎝) (㎝) (㎝) (월. 일) (월. 일)
금 향 31.2 10.3 9.6 27.3 11. 21 12. 26
레드펄 29.8 11.9 10.9 25.4 11. 23 12. 30

* 재배작형 : 촉성재배(’04. 09. 20 정식)

다. 병해충 저항성

병해충은 비교적 약한 편으로 ‘도치오토메’와 유사한 정도를 나타낸다. 탄저병은 ‘레


드펄’보다 약하고 ‘아키히메’나 ‘매향’보다는 약간 저항성이 있으나 노지 육묘시에는 매우
주의를 요한다. 시들음병에 매우 약하므로 토양 오염이 되지 않은 토양에서 육묘해야 한
다. ‘금향’은 육묘기 시들음병 방제가 성공적인 자묘 확보에 매우 중요하다.

26
충청남도농업기술원 딸기연구소 육성 딸기 품종 소개

■ 금향의 병해충 저항성

병 해 충 해
품 종
흰가루병 탄 저 병 잿빛곰팡이병 시들음병 진딧물 응 애
금 향 ++ +++ ++ ++++ ++ +
아키히메 ++++ ++++ ++ + ++ ++
레드펄 ++ ++ ++ + + +
매 향 ++ ++++ +++ ++ +++ +

* - : 무발생, + : 약간발생, ++ : 중간발생, +++ : 심하게 발생, ++++ : 아주 심함

라. 수량성

‘금향’의 수량성은 ‘레드펄’과 유사하나 대과 비율이 높고 소과 발생이 적다. 화방당


화수는 9.7개로 ‘레드펄’보다 적으나 평균 과중이 16.3g으로 대과성이다. 1번과는 넙적과
나 선청과가 일부 발생한다. 과일이 매우 단단하여 공동과 발생은 거의 없으며 저온기에
는 과실 선단부터 착색이 진행되며 숙기가 늦은 편이나 고온기에는 과형이 ‘아키히메’와
유사한 형태를 띠는 경향이 있다.

■ 금향의 수량성

대과 중과 소과 화수 평균과중 상품과율z 수량
품 종
(g/주) (g/주) (g/주) (개/화방) (g) (%) (kg/10a)
금 향 98.9 168.9 48.0 9.7 16.3 84.8 2,872
레드펄 73.6 189.2 58.8 12.1 14.7 81.7 2,923

* 재배작형 : 촉성재배(’04. 09. 20 정식), 수확기 : ’04. 12. 26~’05. 4. 20


z
상품과율 : 10g 이상 과실 비율

마. 품질특성

당도가 높고 산미가 적은 편으로 당산비가 높은 품종으로 고온기에도 신맛 증가가 없

27
소개

다. 과형은 원추형이나 과일 끝이 뾰족하지 않은 계란형에 가깝고 넙적과 등도 보인다.


고온기에는 장원추형의 형태를 보이고 저온에서 기형과 발생율이 ‘레드펄’보다 높으나 골
진과 발생은 거의 없다. 과일이 단단한 정도는 ‘도치오토메’ 이상을 보이고 있고, 저온기
에는 당도가 기존 재배 품종들보다 높고 신맛이 적어 단맛이 많이 나는 품종이다.

■ 금향의 과실품질 특성

당도 산도 당산비 경 도 기형과 발생율


품 종
(°Bx) (%) (g/mm2) (%)
금 향 14.3 0.8 17.0 13.0 12
레 드 펄 11.5 0.9 13.4 10.5 5
매 향 12.0 0.9 14.1 11.1 5

바. 재배상 유의점

육묘기 런너 발생은 ‘아키히메’와 유사한 정도이나 시들음병에 약하여 육묘 포장의


토양 소독을 필요로 한다. ‘금향’은 화수가 적고 화방 형태가 1번과가 기부에서부터 갈라
지므로 생육초기부터 초장을 20∼25cm 정도로 관리하고 대묘 사용이 바람직하다. 생육
이 저조하면 출뢰나 숙기가 늦어 수량성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 화아분화가 ‘아키히메’나
‘매향’같은 촉성 품종보다 늦고 휴면이 약간 깊으므로 정식기가 너무 빠르면 출뢰의 불균

28
충청남도농업기술원 딸기연구소 육성 딸기 품종 소개

일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9월 중순 이후 정식이 좋다. 육묘기 탄저병 방제에 주의하고 수


확기에는 야간 온도가 낮으면 숙기 지연과 기형과 발생, 생육 저조 등을 초래하므로 타
품종보다 고온 관리가 필요하다.

29
소개

숙향
(熟香, Sukhyang)

가. 육성경위

○ 육종목표 : 반촉성재배
○ 교배조합 : 설향 × 매향
○ 교배년도 : 2006년
○ 육성년도 : 2012년
○ 육성기관 : 충남농업기술원 딸기연구소
○ 육 성 자 : 장원석, 김현숙, 이인하, 남명현, 김태일, 이희덕, 남윤규, 성열규, 이석수

나. 식물체 및 생태적 특성

초세는 직립형이며 크고 엽육색이 연하며 초장이 큰 편이고 액아 발생과 엽수가 적은


편이다. 엽형은 큰 타원형으로 ‘레드펄’보다는 약간 긴 편이고 엽 크기도 크다. 초세는 왕
성하고 신장성이 좋으며 화방의 길이는 ‘레드펄’보다는 길고, 과형은 표면이 매끈한 원추
형이다. 재배적응 작형은 5℃ 이하 저온 요구시간이 300시간 정도로 반촉성 적응품종에

30
충청남도농업기술원 딸기연구소 육성 딸기 품종 소개

적합하여 정식기는 9월 하순~10월 상순이 적당하다. 휴면은 ‘레드펄’보다 적어 촉성재배


도 가능하다. 그러나 품질은 봄철에 당도가 높아지고 저장성이 우수하여 품질면에서는
약간 늦게 수확하는 반촉성 작형이 더 유리하다. 화아분화는 ‘설향’에 비하여 3∼4일 정도
늦게 발육되고 ‘레드펄’보다는 2∼3일 정도 빠르다.

■ 숙향의 생태적 특성

품 종 초 형 초세 엽형 엽장/엽폭비 과형 휴면성
숙 향 직립형 강 타원형 1.15 원추형 중
레드펄 반개장형 강 타원형 1.09 난원형 중

■ 숙향의 생육특성

엽병장 엽수 화경장 개화기 첫 수확기


품 종
(cm) (매/주) (cm) (월. 일) (월. 일)
숙 향 23.2 8.2 24.6 1. 20 2. 24
레드펄 18.6 8.7 18.6 1. 26 2. 28

* 조사일 : 2011년 3월

다. 병해충 저항성

탄저병은 ‘레드펄’이나 ‘설향’보다 비교적 약하며 시들음병은 ‘설향’과 유사하다. 탄저


병에 약하여 노지 육묘는 위험하고 비가림하우스 육묘가 필요하다. 응애는 다소 발생하
는 편이다.

31
소개

■ 숙향의 병해충 저항성

병 해 충 해
품 종
흰가루병 탄 저 병 잿빛곰팡이병 시들음병 진 딧 물 응 애
숙 향 + +++ ++ +++ + +++
레드펄 ++ ++ ++ + + +

* - : 무발생, + : 약간발생, ++ : 중간발생, +++ : 심하게 발생, ++++ : 아주 심함

라. 수량성

생산력검정시험 결과 특과가 매우 많으며, 평균과중과 상품과율이 높았으며 대과율


이 높고 기존 재배 품종인 ‘레드펄’과 유사한 수량을 보였다.

■ 숙향의 수량성

특과 대과 중과 소과 화 수 평균과중 상품과율z 수량y


품 종
(g/주) (g/주) (g/주) (g/주) (개/화방) (g) (%) (kg/10a)
숙 향 192.8 69.0 50.8 30.3 10.1 21.5 89.8 3,164
레드펄 105.4 72.4 84.0 78.9 13.2 15.1 75.4 3,156
z
상품과율 : 기형과를 제외한 10g 이상 과실 비율
y
수량 : 3월 3일~5월 20일까지 수량(반촉성재배)

마. 품질특성

과형은 원추형으로 표면이 매끄럽고 과피의 광택이 우수하다. 착색이 진행되면 진한


홍색을 띤다. 경도가 매우 높아 고온기에도 장기 수송이 적합하다. 당도와 산도는 ‘레드
펄’보다 낮은 편으로 겨울의 낮은 광에서는 더 낮아지고 봄에 광량이 많아지면 당도가 증
가한다. 신맛이 적어 당산비는 높다. 일조량과 광도가 낮을 때 당도가 낮아지는 단점이
있어 한 겨울철 생산보다 봄철 생산이 유리하고, 봄철 고온기에도 경도가 높게 유지된다.

32
충청남도농업기술원 딸기연구소 육성 딸기 품종 소개

■ 숙향의 과실 품질 특성

당도 산도 당산비 경 도
품 종 과색
(°Bx) (%) (g/mm2)
숙 향 8.6 0.5 18.7 15.2 진홍
레드펄 9.0 0.7 13.8 12.9 진홍

바. 재배상 유의점

탄저병 발생은 비교적 약하므로 노지육묘는 피하는 것이 좋으며 육묘 기간 중 주기적


인 탄저병과 시들음병 방제가 요구된다. 육묘기와 수확기에 질소 요구도가 높은 편이다.
휴면이 ‘레드펄’보다 얕아 보온 시기가 늦을 경우 엽병 및 화경의 과다한 신장 발생을 초
래할 수 있다. 엽수 및 액아의 발생량이 적으므로 과다한 적엽과 액아 제거에 주의한다.
광도가 낮을 경우 광합성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당 축적이 낮아지는 특징이 있으
므로 일조 확보에 노력한다.
저장성이 매우 높으므로 고온기에도 유통이 유리하므로 특징을 잘 살려 늦게 수확하
는 작형에 유리하다. 과숙되면 과색이 검붉게 변하여 상품성이 떨어지므로 적기 수확이
필요하다. 70∼80% 착색 상태로 수확하면 당도가 떨어지므로 반드시 95% 이상 착색이
된 상태에서 수확해야 한다.

33
소개

엔에스9호
(NS-9)

가. 육성경위

○ 육종목표 : 탄저병 저항성 품종을 위한 중간모본 육성


○ 교배조합 : 대왕 × 수홍
○ 교배년도 : 2011년
○ 육성년도 : 2016년
○ 육성기관 : 충남농업기술원 딸기연구소
○ 육 성 자 : 김현숙, 남명현, 함인기, 장원석, 김태일, 이희철

나. 식물체 및 생태적 특성

촉성 적응성으로 탄저병 저항성 계통이다. 초형은 반개장형으로 잎이 얇고 연한 녹

34
충청남도농업기술원 딸기연구소 육성 딸기 품종 소개

색이며, 엽형은 장타원형이다. 엽병장이 짧고 엽장이 긴 편이며, 개화기가 빠르고, 연속


출뢰성이 우수하다.

■ 엔에스9호의 생태적 특성

품 종 초 형 초세 엽형 엽장/엽폭비 과형 휴면성
엔에스9호 반개장형 약 타원형 1.21 원추형 얕음
아키히메 개장형 강 타원형 1.19 장원추형 얕음

* 조사일 : 2015년 10월∼12월(1화방 생육기)

■ 엔에스9호의 생육특성

엽병장 엽수 엽장 엽폭 화수 개화기 첫 수확기


품 종
(cm) (매/주) (cm) (cm) (개/화방) (월. 일) (월. 일)
엔에스9호 12.9 6.7 10.2 8.4 14.5 10. 25 12. 03
아키히메 14.8 7.1 8.3 7.6 15.2 10. 23 11. 30
* 조사일 : 2015년 10월 1일∼12월 31일

다. 병해충 저항성

탄저병, 시들음병, 흰가루병에 강하고 잿빛곰팡이병, 응애는 약간 발생한다.

■ 엔에스9호의 병해충 저항성

병 해 충 해
품 종
탄저병 시들음병 흰가루병 잿빛곰팡이병 진딧물 응애
엔에스9호 - - - + - +
아키히메 +++ + +++ ++ ++ ++
*병 발생지수 - : 무발생, + : 약간발생, ++ : 중간발생, +++ : 심하게 발생, ++++ : 아주 심함

35
소개

■ 탄저병저항성 마커를 이용한 계통선발

* M; size marker, 1: 보교조생, 2: 페스티발, 3: 알비온, 4: 레드펄, 5: 설향, 21: 엔에스9호

라. 수량성

과실의 평균과중이 12.4g으로 소과형이며 12g 이상의 상품과율이 50%로 낮다.

■ 엔에스9호의 수량성
(2015, 딸기연구소)

상품과수 평균과중 총과중 상품수량z 상품과율y


품 종
(개/주) (g) (g/주) (kg/10a) (%)
엔에스9호 14.5 12.4 410 2,335 50
아키히 메 18.2 15.0 455 3,056 60

※ 재배작형 : 촉성재배(정식일 2014. 9. 10)


z
수량 : 2015년 11월 30일∼2016년 4월 11일
y
상품과율 : 기형과를 제외한 12g 이상 과실 비율

마. 품질특성

과형은 짧은 원추형으로 과색은 연한 선홍색이며 과피가 얇다. 과실 경도는


11.4g/mm2 으로 중간 수준이다. 당도는 10.2°Bx 정도이며 과즙이 적다. 당도와 산도는
대조 품종인 ‘아키히메’품종보다 다소 높다.

36
충청남도농업기술원 딸기연구소 육성 딸기 품종 소개

■ 엔에스9호의 과실품질 특성
(2015, 딸기연구소)

당도 산도 당산비 경도
품 종 과색
(°Bx) (%) (g/mm2)
엔에스9호 10.2 0.6 15.9 11.4 선홍
아키히메 9.9 0.6 17.3 10.3 선홍

바. 재배상 유의점

세력이 약한 편이므로 지속적으로 비배 관리를 해주어야 한다. 초세에 비하여 꽃수가


많으므로 꽃솎음을 필요로 한다. 액아 발생이 많은 편으로 생육 초기에 발생하는 액아는
제거한다.

37
소개

킹스베리
(Kingsberry)

가. 육성경위

○ 육종목표 : 촉성재배
○ 교배조합 : 아키히메 × NS001309
○ 교배년도 : 2007년
○ 육성년도 : 2016년
○ 육성기관 : 충남농업기술원 딸기연구소
○ 육 성 자 : 김현숙, 장원석, 김태일, 남명현, 이인하, 이희철

나. 식물체 및 생태적 특성

촉성적응 품종으로 정식기는 9월 상순 ∼ 9월 중순이 적당하다. 초형은 반개장형으


로 생육이 왕성하고 엽형은 원형에 가까우며 휴면은 ‘설향’과 비슷하게 얕은 편이다. 잎이
크고 넓은 편이며, 화경장은 ‘아키히메’보다 긴 편이다. 연속출뢰성이 좋은 편으로 화수는

38
충청남도농업기술원 딸기연구소 육성 딸기 품종 소개

13∼15개 정도로 많은 편이다. 개화기는 대비 품종인 ‘아키히메’보다 2일 정도 늦고 수확


기가 ‘아키히메’보다 5일 정도 늦은 편이나 조기 수확이 가능하다.

■ 킹스베리의 생태적 특성

품 종 초 형 초세 엽형 엽장/엽폭비 과형 휴면성
킹스베리 반개장형 강 원형 1.05 장원추형 얕음
설 향 반개장형 강 원형 1.09 원형 얕음
아키히메 개장형 강 타원형 1.21 장원추형 얕음
* 조사일 : 2011년∼2012년 1화방 생육기

■ 킹스베리의 생육특성

엽병장 엽수 엽장 엽폭 화수 개화기 첫 수확기


품 종
(cm) (매/주) (cm) (cm) (개/화방) (월. 일) (월. 일)
킹스베리 13.4 7.1 8.0 7.7 15.8 11. 9 12. 23
설 향 11.4 7.2 7.0 5.4 13.2 11. 9 12. 21
아키히메 11.8 7.3 6.5 5.4 13.8 11. 7 12. 18
* 재배작형 : 촉성재배(2011/2012년, 2작기의 평균치)

다. 병해충 저항성

‘설향’에 비하여 흰가루병은 약한 편이나, ‘아키히메’보다는 발생 빈도가 낮은 편으로


‘아키히메’에 준하여 예방적 방제가 필요하다. 잿빛곰팡이병은 ‘설향’과 ‘아키히메’보다 강
하고, 탄저병은 ‘설향’정도이며, 시들음병은 ‘설향’보다 강한 편이다. 진딧물과 응애 등의
해충의 발생 정도는 기존 품종과 비슷하나 잎 뒷면의 요철이 다른 품종에 비하여 강한 편
으로 응애가 한번 발생하면 방제가 어려운 편이므로 주기적인 해충 방제가 필요하다.

39
소개

■ 킹스베리의 병해충 저항성

병 해 충 해
품 종
흰가루병 탄저병 잿빛곰팡이병 시들음병 진딧물 응애
킹스베리 +++ ++ + + + +
설 향 + ++ ++ + + ++
아키히메 +++ +++ ++ + ++ ++
* 병발생 정도 - : 무발생, + : 약간발생, ++ : 중간발생, +++ : 심하게 발생, ++++ : 아주 심함

라. 수량성

과실의 평균과중이 29.1g이고 1∼2번과 과실의 크기가 60∼70g 내외로 다른 품종에


비해 매우 큰 편이며 상품과 수확비율이 높은 편이다.

■ 킹스베리의 수량성
(2011, 딸기연구소)

상품과수 평균과중 총과중 상품수량z 상품과율y


품 종
(개/주) (g) (g/주) (kg/10a) (%)
킹스베리 13.6 20.8 451 3,647 71.3
설 향 16.4 15.8 460 3,560 67.6
아키히메 14.4 14.0 419 3,273 68.6
* 재배작형 : 촉성재배(정식일 2011. 9. 10)
z
수량 : 2011년 12월 17일 ∼ 2012년 5월 8일
y
상품과율 : 기형과를 제외한 12g 이상 과실 비율

40
충청남도농업기술원 딸기연구소 육성 딸기 품종 소개

(2013, 딸기연구소)

상품과수 평균과중 총과중 상품수량z 상품과율y


품 종
(개/주) (g) (g/주) (kg/10a) (%)
킹스베리 14.5 29.1 498 4,190 84.7

설 향 16.9 19.4 427 3,472 76.8

* 재배작형 : 촉성재배(정식일 2013. 9. 10)


z
수량 : 2013년 12월 27일 ~ 4월 21일까지 수량
y
상품과율 : 기형과를 제외한 12g 이상 과실 비율

마. 품질 특성

과실의 당도는 9.8°Bx로 과즙이 풍부하고 과육이 부드러우며 과실 표면의 윤기가 강


하나 과피가 얇은 편이다. 완숙과에 비하여 70∼80% 착색 되었을 때 은은한 복숭아향이
나고 아삭한 식감을 느낄 수 있으며, 완숙과일수록 신맛이 적어지고 단맛이 강한 특징이
있다. 과실의 경도는 10.5g/mm2로 ‘아키히메’보다 조금 높은 편이나, ‘설향’에 비하여 무
른 편으로, 장거리 수송이 어렵다. 과실은 중첩될 경우 쉽게 물러져 1단으로 포장해야 하
며 ‘킹스베리’ 유통을 위한 전용 포장 용기개발과 경도 증진을 위한 재배 기술이 필요하
다.

41
소개

■ 킹스베리의 과실품질 특성
(2011∼2012, 딸기연구소)

당도 산도 당산비 경도
품 종 과색
(°Bx) (%) (g/mm2)
킹스베리 9.8 0.7 14.6 10.5 선홍
설 향 9.6 0.6 15.2 10.9 선홍
아키히메 9.3 0.5 17.8 10.2 선홍

바. 재배상 유의점

‘킹스베리’의 다수확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초세 관리를 위한 비배 관리가 필요하다. 1


번과가 계관과와 기형과 발생 비율이 높고, 질소 비료 농도가 높을 경우 선청과가 많이
발생하므로 1번과의 기형 정도가 심할 경우 조기에 제거해 준다. 저온기 착색이 다른 품
종에 비하여 늦으므로 ‘설향’보다 야간 온도를 2∼3℃ 높게 관리해야 한다. 꽃수가 많은
편으로 대과 수확을 위해서는 꽃솎음을 해주는 것이 유리하다. 흰가루병에 약한 편으로
수확기 예방적 방제를 철저히 해야 한다.

42
충청남도농업기술원 딸기연구소 육성 딸기 품종 소개

써니베리
(Sunnyberry)

가. 육성경위

○ 육종목표 : 촉성재배
○ 교배조합 : 숙향 × 매향
○ 교배년도 : 2013년
○ 육성년도 : 2017년
○ 육성기관 : 충남농업기술원 딸기연구소
○ 육 성 자 : 김현숙, 장원석, 김태일, 남명현, 이인하, 이희철

나. 식물체 및 생태적 특성

촉성적응성 품종으로 정식 시기는 9월 상중순이 적당하다. 식물체의 생장 습성은 직


립형이고 세력은 중간 정도로 휴면이 얕다. 잎의 밀도는 ‘매향’과 유사한 편이나 엽의 전
개 속도가 ‘매향’보다 늦은 편이며, 초세도 약한 편이다. 잎은 진한 녹색을 띠며, 정단부의

43
소개

소엽의 엽폭비가 1.21로 ‘매향’보다 작은 타원형이다. 정단부 소엽 기부의 모양이 뾰족하


고, 가장자리 톱니모양은 ‘매향’보다 둥근 편이다. 엽병장은 ‘매향’보다 짧은 편이며, 턱잎
의 안토시아닌 색은 ‘매향’과 유사하다. 식물체의 꽃의 수는 평균 10.2개로 ‘매향’보다 적
은 편이며, 꽃의 직경도 ‘매향’보다 약간 작은 편이나, 화경장은 ‘매향’보다 약간 긴 편이
다. 과형은 원추형으로 과색이 중간 적색으로 고르며, 과실의 광택이 우수하다. 과실의
꽃받침 조각의 자세가 상향이며, 과실이 단단하고, 공동이 거의 없다. 과육색과 과심색은
주황빛 적색과 중간 적색으로 ‘매향’보다 더 밝은 편이다. 연속출뢰성이 우수하며, 개화기
와 과실 성숙기가 ‘매향’보다 빠른 편이다.

■ 써니베리의 생태적 특성

품 종 초 형 초세 엽형 과형 과색 휴면성
써니베리 직립형 중 타원형 원추형 진홍색 얕음
매 향 직립형 강 장타원형 장원추형 진홍색 얕음

* 조사일 : 2016년 10월 1일∼12월 31일(1화방 생육 및 수확기)

■ 써니베리의 생육특성

엽병장 엽수 엽장 엽폭 화수 화경장 개화기


품 종
(cm) (매/주) (cm) (cm) (개/화방) (cm) (월. 일)
써니베리 11.7 7.0 7.9 6.5 10.2 30.7 11. 2
매 향 14.7 7.4 9.5 7.1 13.1 27.5 11. 5

* 조사일 : 2016년 10월 1일∼12월 31일(1화방 생육 및 수확기)

다. 병해충 저항성

탄저병과 시들음병은 ‘매향’보다 약한 편으로 육묘기와 정식 후 하엽을 제거해 줄 때


반드시 적용 약제를 방제해야 한다. 육묘기에 짝잎이 발생하는 자묘나 모주는 모두 제거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며, 탄저병, 시들음병 이병토양은 반드시 소독을 실시한 후에 육묘
나 본포 정식을 해주어야 한다. 수확기 재배 포장에서 잿빛곰팡이병 발생은 ‘매향’보다 적

44
충청남도농업기술원 딸기연구소 육성 딸기 품종 소개

게 발생하는 편이나 ‘설향’보다 높은 이병율을 보여 온도가 급격하게 떨어지거나 일조가


부족한 겨울철 수확기에는 잿빛곰팡이병 방제에 주의를 기울여야한다. 흰가루병 발생은
‘매향’보다 적게 발생하지만 ‘설향’보다 약하므로 1화방 개화기 전에 철저하게 방제해야
한다. 진딧물 발생은 ‘매향’보다 적은 편이나, 응애 발생 정도는 ‘매향’과 유사하다.

■ 써니베리의 병해충 저항성

병해 충해
품 종
탄저병 흰가루병 잿빛곰팡이병 시들음병 진딧물 응애
써니베리 ++ ++ + +++ + ++
매 향 +++ +++ ++ ++ ++ ++

* 병 발생지수 - : 무발생, + : 약간발생, ++ : 중간발생, +++ : 심하게 발생, ++++ : 아주 심함

■ 써니베리 잿빛곰팡이병 이병율

이병과율 이병꽃율
품 종
2/12 2/23 3/12 3/17 평균 (3/19)

써니베리 0 4.4 4.5 19.7 7.1 70.4


설 향 0 1.5 3.6 15.2 5.1 50.0

* 조사일 : 2018년 2월 12일∼3월 17일

라. 수량성

과실의 모양은 원추형으로 과실이 매끄러우며 과장은 ‘매향’보다 짧고, 과경은 더 굵


은 편이다. 과실의 상품과수는 주당 18.1개로 ‘매향’보다 적지만, 평균과중이 15g으로 ‘매
향’보다 약간 큰 편이다. 1주당 수량은 454g으로 ‘매향’보다 12% 더 많이 수확하였다. 10a
당 상품수량은 3,122kg이고 기형과 발생은 2.3%로 ‘매향’보다 기형과 발생이 적다.

45
소개

■ 써니베리의 수량성
(2016, 딸기연구소)

상품과수 평균과중 수량(g/주) 상품수량z 기형과율y


품 종
(개/주) (g) 상품과중 총과중 (kg/10a) (%)

써니베리 18.1±0.2 15.0±0.2 343±4.4 454±3.9 3,122±40 2.3


매 향 19.3±0.6 14.4±0.1 322±5.5 402±9.4 2,935±50 10.6

* 촉성재배(정식일 2016. 9. 10), 수량조사 : 2016. 11. 30.∼2017. 4. 30.


z
기형과를 제외한 12g 이상의 정상과 수량
y
불수정에 의한 기형과 발생률

마. 품질특성

과실의 모양은 원추형으로 과실이 매끄러우며, 과피의 광택이 우수하다. 과실의 과장


은 ‘매향’보다 짧고 과경이 굵은 편이다. 당도는 10.5 °Brix로 ‘매향’에 비하여 낮고, 산도도
낮은 편이다. 그러나 과실의 경도는 15.8g/㎟으로 ‘매향’보다 높다. 수확 후 과실의 흑변
과 발생도 ‘매향’보다 현저히 적었으며, 과피의 밀림도 적고 저장성이 우수하다.

46
충청남도농업기술원 딸기연구소 육성 딸기 품종 소개

■ 써니베리의 과실품질 특성
(2016, 딸기연구소)

당도 산도 당산비 경도 흑변과
품 종
(°Bx) (%) (%) (g/mm2) (0∼3)
써니베리 10.5±0.1 0.7±0.02 15.2 15.8±3.5 1
매 향 11.1±0.1 0.8±0.01 14.6 13.4±2.3 3

* 조사 : 2016. 11. 30.∼2017. 4. 30.

바. 재배상 유의점

식물체 세력이 ‘매향’보다 약하고 엽의 출현속도가 약간 늦은 편으로 생육 증진을 위


한 지속적인 비배 관리가 필요하다. 그러나 액아 발생이 많은 편으로 생육 초기에 발생하
는 액아를 조기에 제거해야 한다. 식물체의 세력이 약한 편으로 큰 과실을 수확하기 위해
서는 육묘의 포트는 상토량이 170cc인 포트를 사용하여 75일 이상한 육묘한 자묘를 정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토경재배보다는 수경재배가 더 유리하다. 20g 이상의 상품과 수
확을 위한 꽃솎음 작업을 해주어야 한다.
탄저병, 시들음병, 역병에 약한 편으로 정식 후 잎 제거 시 예방적 방제가 필요하다.
또한 이병 토양은 반드시 소독한 후 사용하여야 한다.

47
소개

두리향
(Durihyang)

가. 육성경위

○ 육종목표 : 촉성재배
○ 교배조합 : 숙향 × 매향
○ 교배년도 : 2013년
○ 육성년도 : 2017년
○ 육성기관 : 충남농업기술원 딸기연구소
○ 육 성 자 : 김현숙, 장원석, 김태일, 남명현, 이인하, 이희철

나. 식물체 및 생태적 특성

촉성 적응성 품종으로 정식 시기는 9월 상중순이다. 식물체 생장습성은 반개장형으


로 초세가 왕성하고 엽병장이 긴 편이다. 잎의 밀도는 ‘설향’과 유사하며 잎 표면의 색은

48
충청남도농업기술원 딸기연구소 육성 딸기 품종 소개

중간 녹색이며 엽형은 타원형이다. 잎에 반엽이 없고, 소엽의 기부 모양이 뾰족하고, 소


엽의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이 ‘설향’에 비하여 둥근 편이다. 포복경과 턱잎의 안토시아닌
색의 발현이 아주 약한 편이다. 1화방의 꽃수는 9개로 ‘설향’보다 적으나, 꽃의 직경은 ‘설
향’보다 크고, 꽃잎에 대한 꽃받침의 상대적 크기가 ‘설향’보다 더 큰 편이다. 과형은 원추
형으로 과실 표면의 색이 고른 편으로 과색은 적색으로 ‘설향’과 유사하나 녹색과에서 착
색이 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설향’에 비하여 약간 어두운 편이다. 과실의 수과(씨)가 없
는 부분의 너비가 좁은 편이다. 1화방의 개화기는 11월 5일로 ‘설향’보다 5일 늦다.

■ 두리향의 생태적 특성

품 종 초 형 초세 엽형 과형 과색 휴면성
두리향 반개장형 강 타원형 원추형 홍색 얕음
설 향 반개장형 강 원형 원추형 홍색 얕음

* 조사일 : 2016년 10월 1일∼12월 31일(1화방 생육 및 수확기)

■ 두리향의 생육특성

엽병장 엽수 엽장 엽폭 화수 화경장 개화기


품 종
(cm) (매/주) (cm) (cm) (개/화방) (cm) (월. 일)
두리향 13.8 6.9 8.9 7.1 9.0 26.8 11. 5
설 향 10.5 7.3 8.6 7.3 13.3 24.9 10.31

* 조사일 : 2016년 10월 1일∼12월 31일

다. 병해충 저항성

탄저병은 ‘설향’과 거의 유사하게 약한 편으로 육묘기와 정식 후 하엽을 제거할 때 반


드시 적용 약제를 방제해야 한다. 시들음병은 ‘설향’보다 약간 강한 편이다. 수확기 재배
포장에서 잿빛곰팡이병 발생은 ‘설향’과 유사하게 발생하여 온도가 급격하게 떨어지거나
일조가 부족한 겨울철 수확기에는 잿빛곰팡이병 방제에 주의를 기울여야한다. 흰가루병
이 ‘설향’보다 약하므로 1화방 개화기 전에 철저하게 방제해야 한다. 진딧물과 응애 발생

49
소개

은 ‘설향’보다 적게 발생한다.

■ 두리향의 병해충 저항성

병 해 충 해
품 종
탄저병 시들음병 흰가루병 잿빛곰팡이병 진딧물 응애
두리향 + + + ++ + +
설 향 ++ +++ - ++ ++ ++

*병 발생지수 - : 무발생, + : 약간발생, ++ : 중간발생, +++ : 심하게 발생, ++++ : 아주 심함

라. 수량성

과실의 상품과수는 주당 21.5개로 ‘설향’보다 적지만, 평균과중이 20.4g으로 ‘설향’보


다 대과성이다. 주당 12g이상의 상품수량은 480g으로 ‘설향’보다 4% 더 많이 수확하였으
며, 10a당 상품수량도 4,366kg으로 ‘설향’보다 6% 더 수확하였다. 상품과율도 92%로 ‘설
향’보다 높았다.

■ 두리향의 수량성
(2016, 딸기연구소)

상품과수 평균과중 수량(g/주) 상품수량z 상품과율


품 종
(개/주) (g/주) 상품과중 총과중 (kg/10a) (%)

두리향 21.5±0.5 20.4±0.2 480±5.6 521±5.6 4,366±51 92


설 향 22.9±0.4 17.0±0.1 459±8.5 541±6.9 4,117±77 84

* 촉성재배(정식일 2016. 9. 10), 수량조사 : 2016. 11. 30.∼2017. 4. 30.


z
기형과를 제외한 12g 이상의 정상과 수량

마. 품질특성

과실의 모양은 원추형으로 ‘설향’보다 과장이 길고 과경은 ‘설향’보다 두껍고 과실이

50
충청남도농업기술원 딸기연구소 육성 딸기 품종 소개

매끄러우며, 과피의 광택이 우수하다. 당도는 10.7°Bx로 ‘설향’에 비하여 높고 산도는 ‘설


향’보다 낮은 편으로, 먹었을 때 신맛보다 달콤한 맛이 먼저 느껴지는 특징이 있다. 과실
의 경도는 11.6g/㎟으로 ‘설향’보다 약간 높다. 과육은 선홍색으로 ‘설향’에 비하여 공동과
가 거의 없으며, 과즙이 풍부하고 고유의 향이 있다.

■ 두리향의 과실 품질 특성
(2016, 딸기연구소)

당도 산도 당산비 경도 과육색
품 종
(°Bx) (%) (g/mm2) (흰~진홍)
두리향 10.7±0.1 0.7±0.03 14.0 11.6±2.1 선홍색
설 향 10.1±0.2 0.7±0.02 14.4 10.9±3.4 선홍색

* 조사 : 2016. 11. 30.∼2017. 4. 30.

바. 재배상 유의점

1화방 출뢰가 ‘설향’보다 5∼7일 늦은 편으로 개화기 질소질 비료 공급이 많을 경우


계관과나 선청과가 많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흰가루병에 약한 편으로 수확기
에 예방적 방제가 필요하다. 저온기 착색이 늦어질 경우 과피가 다소 얇아 물러질 수 있
으므로 시설 내 환기와 광을 최대한 받을 수 있도록 관리해 주어야한다.

51
소개

하이베리
(Highberry)

가. 육성경위

○ 육종목표 : 촉성재배
○ 교배조합 : NS071608 × 대왕
○ 교배년도 : 2013년
○ 육성년도 : 2018년
○ 육성기관 : 충남농업기술원 딸기연구소
○ 육 성 자 : 장원석, 김태일, 이인하, 김현숙, 남명현, 이희철

나. 식물체 및 생태적 특성

촉성 적응 품종으로 정식 시기는 9월 상순에서 중순이 적당하다. 초형은 직립형으로


잎은 진한 녹색이며, 엽형은 타원형을 띤다. 잎의 표면은 푹신한 느낌을 가지고 엽육이
두꺼운 편이다. 정단부 소엽 기부의 모양이 뭉툭하고 가장자리의 톱니모양은 둥근 편이
다. 엽병장은 ‘설향’에 비하여 긴 편이며 턱잎의 안토시아닌 색이 없거나 매우 약하다. 잎

52
충청남도농업기술원 딸기연구소 육성 딸기 품종 소개

의 밀도는 ‘설향’보다 약간 적으며 엽의 전개 속도는 ‘설향’보다 다소 늦은 편이고 초세도


‘설향’보다 약한 편이다. 화아분화는 ‘설향’보다 늦은 편이고 휴면은 ‘설향’보다 약간 깊은
편이다. 개화기는 ‘설향’보다 10일 정도 늦으나 연속출뢰성이 우수하다. 화수는 13개 정
도로 ‘설향’보다 적고, 적화 노력을 절감할 수 있다. 화방이 기부에서부터 분지되는 형태
를 띠며 화경장은 ‘설향’보다 긴 편이다. 수경재배에서는 화방이 동시에 2∼3개 발생한다.
육묘기와 수확기에 양분 요구도가 ‘설향’보다 높은 편이다.

■ 하이베리의 생태적 특성

품 종 초 형 초세 엽형 과형 과색 휴면성
하이베리 직립형 강 타원형 원추형 선홍색 얕음
설 향 반개장형 강 타원형 원추형 선홍색 얕음

* 조사일 : 2017년 10월 1일∼12월 31일(1화방 생육 및 수확기)

■ 하이베리의 생육 특성

엽병장 엽수 엽장 엽폭 화수 화경장 개화기


품 종
(cm) (매/주) (cm) (cm) (개/화방) (cm) (월. 일)
하이베리 15.2 6.0 8.0 6.9 13 37.3 11.11
설 향 12.7 7.0 8.0 6.3 17 30.3 11. 1

* 조사일 : 2017년 10월 1일∼12월 31일(1화방 생육 및 수확기)

다. 병해충 저항성

탄저병은 ‘설향’보다 강한 편이며, 흰가루병은 약간 발생한다. 잿빛곰팡이병과 시들


음병은 ‘설향’과 비슷하다. 진딧물은 약간 발생하며 응애에 매우 약한 편이라 초세를 왕성
하게 키워야 하고 응애 초기 발생 시 철저한 방제가 필요하다.

53
소개

■ 하이베리의 병해충 저항성

병해 충해
품 종
탄저병 흰가루병 잿빛곰팡이병 시들음병 진딧물 응애
하이베리 + + + +++ + +++
설 향 +++ - + +++ ++ +++

* 병 발생지수 - : 무발생, + : 약간발생, ++ : 중간발생, +++ : 심하게 발생, ++++ : 아주 심함

라. 수량성

과실의 상품과수는 주당 11.5개로 ‘설향’보다 적지만 평균과중이 16.7g으로 ‘설향’보다


대과성이고, 1과중의 무게가 무거운 과중형 품종이다. 1주당 수량은 380g으로 ‘설향’보다
16.4% 낮았으나 10a당 상품수량은 2,623kg으로 ‘설향’보다 3% 낮았고 상품과율이 75.9%
로 ‘설향’보다 높았다.

■ 하이베리의 수량성
(2015∼2017, 딸기연구소)

상품과수 평균과중 수량(g/주) 상품수량z 상품과율y


품 종 년도
(개/주) (g) 상품과중 총과중 (kg/10a) (%)

하이베리 ’15 8.6 17.7 261 388 2,369 67.2


‘16 9.1 16.1 261 337 2,374 77.5
‘17 16.7 16.4 344 414 3,127 83.0
평균 11.5 16.7 289 380 2,623 75.9
설 향 ’15 9.6 14.6 280 451 2,547 62.2
‘16 9.3 12.5 260 435 2,370 59.9
‘17 18.2 13.6 350 478 3,182 73.1
평균 12.3 13.6 297 455 2,700 65.1
* 촉성재배(정식일 : 9. 18), z수량조사 : 12월 ∼ 4월
y
기형과를 제외한 12g 이상의 정상과 수량

54
충청남도농업기술원 딸기연구소 육성 딸기 품종 소개

마. 품질특성

과실의 모양은 원추형이고 과색은 선홍색이며 표면이 매끄럽고 씨가 돌출되지 않는


다. 저온기에 과일 비대와 성숙 속도가 매우 느리고 과실의 꽃받침 부위까지 착색이 안되
고 착색선이 선명하게 발생한다. 과실 경도는 15.3g/mm2 로 ‘설향’보다 매우 단단하고 저
장성이 우수하다. 당도는 10.1°Bx이며 다른 품종과 차별되는 고유의 향기를 지니고 있다.
당도와 경도가 ‘설향’보다 높고 3∼4월 고온기에도 품질이 유지된다. 산도는 ‘설향’보다
높다. 과피는 단단한 반면에 과육은 입안에서 녹는 듯한 부드러운 느낌을 가지고 있다.
과육은 흰 색이며 공동과 발생이 거의 없거나 적은 편이다.

■ 하이베리의 과실품질 특성
(2017, 딸기연구소)

당도 산도 당산비 경도 과육색
품 종
(°Bx) (%) (g/mm2) (흰~진홍)
하이베리 10.1 0.7 14.4 15.3 선홍색
설 향 9.5 0.6 15.5 11.7 선홍색

* 조사 : ’17. 12. 18. ∼ 4. 27.

55
소개

바. 재배상 유의점

1화방 출뢰가 ‘설향’보다 7∼10일 정도 늦은 편이며, 과실 비대기에 질소 비료가 많을


경우 선청과가 발생할 수 있다. 설향보다 육묘기와 수확기에 양분 요구도가 높아 시비량
을 늘려주어야 한다.
육묘기 시들음병에 약한 편으로 육묘 기간 중 시들음병의 예방적 방제가 필요하고 정
식 후 잎 제거시 시들음병을 예방적으로 방제해야 한다. 화경장이 긴 편으로 토양 재배에
서는 이랑을 높게 설치하여 과실이 바닥에 닿지 않게 재배해야 한다. 과실이 비대하기 전
에는 화방의 출현 각도가 낮아서 수경 재배에서는 통로 간격이 좁을 경우 작업이 불편할
수 있다. 과실이 비대한 후에는 화경이 정상적으로 아래로 향하는 형태를 띤다. 꽃가루
양이 적은 편이고, 저온기에 2화방에서 기형과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야간 온도를 설향보
다 2∼3℃ 높게 관리해야 한다.

56
발 행 일 2019년 5월 30일
발 행 인 충청남도딸기산학연협력단장 최종명
편집 및 기획 충청남도딸기산학연협력단
집 필 인 딸기연구소 이인하(대표저자) 서정학, 김현숙, 남명현, 유제혁
충남대학교 최종명
발 행 처 충청남도딸기산학연협력단
(Tel. 042-821-5736)
충남농업기술원 딸기연구소
(Tel. 041-635-6340~9, Fax. 041-635-7931)
편 집 /인 쇄 (사)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Tel. 042-821-6045)

ISBN 978-89-7599-066-3 93520


비매품

※ 주) 저자와 협의 없이 본 저작물의 사진 및 내용의 무단 사용을 금함.


소개

58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