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0

연구결과서

팀명 연어알톡톡
연구주제 알긴산 겔을 활용한 곡면 디스플레이 필름 제작
지도교사 강선화
학생 1. 박현아 2. 정희원

1
INDEX
1. 주제 선정 • 주제 선정 배경
• 연구 목적

2. 실험 설계 • 연구 내용

3. 연구 과정 • 실험 과정
• 실험 결과

4. 결론 및 제언 • 결론
• 향후계획 및 기대효과

2
1. 주제 선정
주제선정 배경 연구목적

• 디스플레이 화면 곡면화에
따른 필름의 수요
→ 부착 용이성의 완화 필요 해조류 추출물인 알긴산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필름 제작

• 플라스틱 쓰레기의 배출량


증가
VS
→ 물성이 뛰어난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 필요성 증대

실제 디스플레이 필름으로
사용 가능한지에 대한 물성 테스트
3
2. 실험 설계
연구 내용

염화칼슘 첨가 필름 염화칼슘 침지 필름 지방산 첨가 필름

<물성 확인>
1. 화면에서의 필름 부착 및 터치 여부 확인
2. 두께
3. 인장강도
4. 원형 복원력
5. 빛 투과율

4
3. 연구 과정
강화필름 제작

알긴산 필름 대조군 염화칼슘 첨가 필름

1. 알긴산염 2g과 증류수 100mL, 글리세린 1g을 1. 알긴산염 2g과 증류수 100mL, 글리세린 2g을
넣고 가열하며 교반한다. 넣고 가열하며 교반한 후 염화칼슘을 0.03,
2. 혼합물을 85℃에서 30분간 물중탕한다. 0.06, 0.09g 첨가한다.
3. 테플론 코팅을 한 유리판에 용액을 100mL 2. 혼합물을 85℃에서 30분간 물중탕한다.
붓는다. 3. 테플론 코팅을 한 유리판에 용액을 100mL
붓는다.

1.5% 3% 4.5% 5
3. 연구 과정
강화필름 제작

염화칼슘 침지 필름 지방산 첨가 필름

1. 알긴산염 2g과 증류수 100mL, 글리세린 2g을


1. 앞서 제작한 알긴산 필름을 염화칼슘 수용액 넣고 가열교반한 후 지방산을 0.5g 첨가한다.
(Ole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 Lauric acid)
2%, 5%, 10% 용액에 2시간 침지시킨다. 2. 혼합물을 85℃에서 30분간 물중탕한다.
3. 테플론 코팅을 한 유리판에 100mL 붓는다.
2. 필름을 꺼내 물에 씻고 건조한다.

1. 25% Oleic acid


1 2 2. 25% Palmitic acid
3. 25% Stearic acid
3 4
4. 25% Lauric acid

2% 5% 10%

6
3. 연구 과정
화면에서의 필름 부착 및 터치 여부 확인

<화면에서의 필름 부착 여부 확인>
1. 대조군과 제작 필름을 5*5로 자른다.
2. 필름이 부착되지 않은 핸드폰 화면 위에 제작한
필름을 올려놓는다.
3. 필름을 화면에 부착한 후 뒤집었을 때 3초 이상
부착 되어있는지 확인한다.

<화면 터치 여부 확인>
1. 대조군과 제작 필름을 5*5로 자른다.
2. 필름이 부착되지 않은 핸드폰 화면 위에 제작한
필름을 올려놓는다.
3. 화면의 터치 여부를 확인한다.

대조군 : 시중에서 판매하는 필름


7
3. 연구 과정
화면에서의 필름 부착 및 터치 여부 확인
1. 화면 부착력 확인
시중 1.5% 3% 4.5% 2% 5% 10%
Oleic Palmitic Stearic Lauric
필름 알긴산 CaCl2 CaCl2 CaCl2 CaCl2 CaCl2 CaCl2
acid acid acid acid
(대조군) 첨가 첨가 첨가 침지 침지 침지

터치
O O O O O X X X O O O O
여부

침지시킨 필름을 제외한 나머지 필름들이 휴대폰 화면에 부착이 가능함을 확인함.

2. 화면 터치 여부 확인

시중 1.5% 3% 4.5% 2% 5% 10%


Oleic Palmitic Stearic Lauric
필름 알긴산 CaCl2 CaCl2 CaCl2 CaCl2 CaCl2 CaCl2
acid acid acid acid
(대조군) 첨가 첨가 첨가 침지 침지 침지

터치
O O O O O O O O O O O O
여부

모든 필름이 휴대폰 화면에서 터치가 가능함을 확인함.


8
3. 연구 과정
두께 측정 실험

1. 대조군과 제작 필름을 5*5로 자른다.


2. 막 두께 측정기를 이용하여 필름의
두께를 측정한다.
3. 다섯 영역의 두께를 측정한 후 평균
값을 얻는다.

대조군 : 알긴산으로만 제작한 필름

9
3. 연구 과정
두께 측정 실험 (단위 : ㎛)
왼쪽 오른쪽 왼쪽 오른쪽
중앙 평균 두께 측정 실험(㎛)
위 위 아래 아래
250
알긴산(대조군) 89 78.4 64.8 81.6 78.8 78.52
200

1.5% CaCl2 첨가 100 97.8 80 98.3 98.8 94.98 150

100
3% CaCl2 첨가 93.2 84.2 76.1 96.8 90.7 88.2 50

0
4.5% CaCl2 첨가 98 105 102 123 108 107.2

2% CaCl2 침지 233 169 198 172 214 197.2

5% CaCl2 침지 97.7 114 168 98.5 113 118.24

10% CaCl2 침지 110 97.2 84.3 93.4 90 94.98 CaCl2의 첨가 농도가 높을수록, CaCl2 침지

Oleic acid 73.8 75.1 69.3 78.9 78 75.02 용액의 농도가 낮을수록 두께 증가

Palmitic acid 108 102 75.9 97 77.7 92.12 염화칼슘을 첨가하고 필름을 침지시킬수록

Stearic acid 105 96.9 92.7 100 95.9 98.1 두께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아무것도

Lauric acid 79.8 75.7 58 77.1 72.4 72.7 첨가하지 않는 것이 가장 얇고 효율적임.


10
3. 연구 과정
인장강도 측정 실험

1. 대조군과 제작 필름을 5*5로 자른다.


2. 인장강도 측정기를 책 사이에 넣고
반대편에 필름을 끼운다.
3. 필름이 찢어질 때까지 당겨 필름의
인장강도를 측정한다.
4. 3회 시행 후 평균값을 얻는다.

대조군 : 알긴산으로만 제작한 필름

11
3. 연구 과정
인장강도 측정 실험 (단위 : Idf)
1차 2차 3차 평균 인장강도 측정(Idf)
3.5
알긴산 (대조군) 0.73 0.27 6.59 2.53 3
2.5
1.5% CaCl2 첨가 0.54 0.34 6.55 2.48 2
1.5
3% CaCl2 첨가 2.3 2.03 4.3 2.87 1
0.5

4.5% CaCl2 첨가 4.63 1.75 2.32 2.9 0

2% CaCl2 침지 3.61 0.17 3.54 2.44

5% CaCl2 침지 0.58 3.08 3.9 2.52

10% CaCl2 침지 1.26 5.81 1.24 2.75 CaCl2의 첨가 농도가 높을수록, CaCl2 침지
Oleic acid 0.69 0.16 0.21 0.35 용액의 농도가 높을수록 인장강도 증가

Palmitic acid 0.18 0.5 0.46 0.38 하는 것으로 보아 첨가물의 양이 많고 인

Stearic acid 0.25 0.26 0.27 0.26 장강도가 높은 10% CaCl2 침지 필름이

Lauric acid 0.21 0.47 0.54 0.41 가장 효율적임.


12
3. 연구 과정
원형 복원력 실험

1. 대조군과 제작 필름을 5*5로 자른다.


2. 필름을 원통형 봉에 감아 테이프로
고정시킨 후 3분간 방치한다.
3. 테이프를 자르고 원형으로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한다.

대조군 : 알긴산으로만 제작한 필름

13
3. 연구 과정
원형 복원력 실험
(단위 : 초)
1.5% 3% 4.5% 2% 5% 10%
알긴산 Oleic Palmitic Stearic Lauric
CaCl2 CaCl2 CaCl2 CaCl2 CaCl2 CaCl2
(대조군) acid acid acid acid
첨가 첨가 첨가 침지 침지 침지

원형
6.84 5.44 3.58 2.24 11.48 4.61 2.17 9.36 6.60 10.20 11.09
복원력

필름이 완전히 펴지지 않고 자국이


남거나 균열이 생김.

CaCl2의 첨가 농도가 낮을수록, CaCl2 침지 용액의 농도가 낮을수록 원형 복원력 증가


하므로 첨가물의 양이 적고 원형 복원력이 높은 1.5% CaCl2 첨가 필름이 효율적임.

14
3. 연구 과정
빛 투과율 측정 실험

1. 대조군과 제작 필름을 5*5로 자른다.


2. 밝기를 최대로 한 핸드폰 흰 화면에
필름을 올려놓는다.
3. 조도 센서를 이용해 값을 측정한다.
4. 3회 시행 후 평균값을 얻는다.

대조군 : 알긴산으로만 제작한 필름

15
3. 연구 과정
빛 투과율 측정 실험 (단위 : Iux)
1차 2차 3차 평균 빛 투과율(lux)
700
필름 X 607 579 577 587
600
500
알긴산 (대조군) 569 515 519 534 400
300
1.5% CaCl2 첨가 558 507 510 525 200
100
3% CaCl2 첨가 511 504 503 506 0

4.5% CaCl2 첨가 508 501 501 503

2% CaCl2 침지 483 423 479 461

5% CaCl2 침지 498 491 497 495


CaCl2의 첨가 농도가 낮을수록, CaCl2 침
10% CaCl2 침지 510 513 512 511
지 용액의 농도가 높을수록 빛 투과율
Oleic acid 494 497 490 493
증가했기 때문에 첨가물의 양이 적고
Palmitic acid 428 430 431 429
투과율이 높은 1.5% CaCl2 첨가 필름
Stearic acid 433 437 432 434
이 가장 효율적임.
Lauric acid 409 393 398 400
16
3. 연구 과정
추가 – 해조류에서의 알긴산나트륨 추출량 확인

1. 0.5M 황산에 깨끗이 씻은 해조류를


4℃에 하루간 보관한다.
2. 시료를 4% Na2CO3 용액으로 적셔
30분간 교반한다.
3. 용액을 분리한 후 원심분리(10℃,
10000rpm, 10분)한다.
(해조류 50g 기준) 4. 상등액을 회수한 후, 증발접시로
미역 다시마 수분을 증발시켜 알긴산나트륨을

알긴산나트륨 얻는다.
4.9g 4.93g
추출량

17
4. 결론 및 제언
결론
1. 두께 측정 두께(㎛)
120 107.2
두께(㎛) 100
94.98 92.12
78.52
80
알긴산(대조군) 78.52
60

4.5% CaCl2 첨가 107.2 40


20

10% CaCl2 침지 94.98 0


알긴산(대조군) 4.5% CaCl2 10% CaCl2 Palmitic acid

Palmitic acid 92.12 첨가 침지

2. 인장강도 측정 인장강도(Idf)
3.5
2.9
인장강도(Idf) 3 2.53
2.75

2.5
알긴산(대조군) 2.53 2
1.5
4.5% CaCl2 첨가 2.9 1
0.38
0.5
10% CaCl2 침지 2.75 0
알긴산 4.5% CaCl2 10% CaCl2 Palmitic acid

Palmitic acid 0.38 (대조군) 첨가 침지


18
4. 결론 및 제언
결론
3. 원형 복원력 측정 원형 복원력(초)
8 6.84
원형 복원력(초) 7
6.6

6
알긴산(대조군) 6.84 5
4
3 2.24 2.17
4.5% CaCl2 첨가 2.24 2
1
10% CaCl2 침지 2.17 0
알긴산(대조군) 4.5% CaCl2 10% CaCl2 Palmitic acid

Palmitic acid 6.60 첨가 침지

4. 빛 투과율 측정 빛 투과율(lux)
600 534 511
503
빛 투과율(lux) 500 429
400
알긴산(대조군) 534
300

4.5% CaCl2 첨가 525 200


100

10% CaCl2 침지 511 0


알긴산 4.5% CaCl2 10% CaCl2 Palmitic acid

Palmitic acid 493 (대조군) 첨가 침지


19
4. 결론 및 제언
향후계획 기대효과

• 토양 세균에 의한 분해성 탐구
→ 분해 시간 잔여 생성물 등

• 가식성 필름 활용 가능성

• 액정 필름으로의 화면 보호능
확인

• 일회용 플라스틱으로써
활용 가능성
• 수분 저항성 증진
→ 발수 코팅 등의 방법을 활용
20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