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7

54













기술기준 및 KEC 기술 세미나 Ⅰ






기술기준 및

일시 4월 9일 (화요일)
장소 그랜드볼룸
K
E
C
기술 세미나 Ⅰ
발표순서

기술기준 및 KEC 기술 세미나 Ⅰ

발표시간 : 09:00 ~ 12:00, 4월 9일(화) 장소 : 그랜드볼룸

좌장 : 김두현 교수(충북대학교)

09:00 ~ 09:10 개회 및 진행안내 좌장

김기현 팀장
09:10 ~ 09:50 19년 전기설비기술기준 주요 제·개정 및 KEC 제정(안)과 적용방향
(대한전기협회)
방선배 책임연구원
09:50 ~ 10:30 천장 은폐장소(이중천장) 전기화재 위험요소 분석 및 제도 개선
(전기안전연구원)

10:30 ~ 10:40 Break Time

서대원 대표
10:40 ~ 11:20 건축전기설비 내진설계방법 및 수·변전설비 내진설계 사례
(도시건설방재기술원)
이동준 전무
11:20 ~ 12:00 특고압 전력설비의 자산관리기반 열화진단 방법과 적용
(산일전기)
목 차

1. 19년 전기설비기술기준 주요 제·개정 및 KEC 제정(안)과 적용방향 ··········· 1

2. 천장 은폐장소(이중천장) 전기화재 위험요소 분석 및 제도 개선 ················· 27

3. 건축전기설비 내진설계방법 및 수·변전설비 내진설계 사례 ·························· 47

4. 특고압 전력설비의 자산관리기반 열화진단 방법과 적용 ································· 79


19년 전기설비기술기준 주요 제·개정 및
KEC 제정(안)과 적용방향

2019. 4. 9(화)

대한전기협회
( 김기현 팀장 )

-1-
‘19년 전기설비기술기준 주요 제·개정 및
KEC 주요 제정(안)과 적용 방향

2019. 4. 9

대한전기협회 김기현 팀장

Contents

Ⅰ. 전기설비기술기준 개요

Ⅱ. 기술기준/판단기준 제·개정 고시·공고

Ⅲ. 한국전기설비규정 주요 제정(안) 및 추진 현황

-3-
Ⅰ. 전기설비기술기준 개요

01 전기설비기술기준 개요

전기설비기술기준(고시, 177개조)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공고, 640개조)


전기설비 안전에 필요한 성능과 요건의 기술사항 규정 기술기준에서 정하는 전기설비의 안전 성능 상세사항 규정

제정근거 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전기설비의


전기사업법 제67조 안전관리를 위한 기술기준을 정하여 고시하도록 규정

제정원칙  사람이나 다른 물체에 위해 또는 손상방지


 내구력의 부족 또는 기기 오작동에 의하여 전기공급 지장방지
전기사업법시행령 제43조  다른 전기설비나 그 밖의 물건 기능에 전기적 또는 자기적 장애방지
 에너지의 효율적인 이용 및 신기술 · 신공법 개발, 활용 등에 지장방지

위탁운영  대한전기협회를 기술기준의 운영관리 위탁기관으로 지정(2007.11)


• 전기사업법 제98조 및 • 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종합관리(조사 · 연구, 제 · 개정 검토 업무)
같은법 시행령 제62조 • 기술기준에 대한 적합성판단을 위한 평가업무
• 전기설비기술기준 운영 • 위원회 운영, 규정 및 지침 제 · 개정, 교육 · 홍보 등 유지관리 업무를 수행
요령(산업부 고시) ※ 기술기준의 효율적 운영을 위하여 전담 관리기관으로 지정(1997)

 전기설비 설계 · 시공 · 감리 및 인 · 허가(사용전 검사)등 법적기준


기술기준활용
 건축법, 전기공사업법, 전력기술관리법 등 타법에 연계된 최소한의 안전기준

-4-
01 전기설비기술기준 개요

전기사업법 기술기준 연혁

 『전기공작물 규정』 제정 (각령 : 1962.03.)


 『전기설비기술기준에 관한 규칙』 제정 (상공부령 : 1974.01.)
2000년  ※ 전기설비, 발전용화력설비, 발전용수력설비, 발전설비용접(4개분야)
이전  『전기설비기술기준』 고시 (상공자원부 : 1993.09)
 ※ 전기설비, 발전용화력설비, 발전용수력설비, 발전설비용접(4개분야)

 『전기설비기술기준』 통합 고시 (산업자원부 : 2006. 07.)


 ※ 기존 4개 고시(총 432개 조문)를 1개 고시(161개 조문)로 단일화
2001년
 『기술기준의판단기준』 제정 공고 (산업자원부 : 2006. 08.)
~ 2007년
 ※ 기술기준 국제화 개편에 따라 “기술기준에 적합한 하나의 예” 제시
 ※ 전기설비 279개 조항 및 발전설비 258개 조항으로 판단기준 도입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제·개정 고시/공고 (매년)


2008년  전기설비, 발전용 화력·수력·풍력, 발전설비 용접 등 5개 분야
~ 현재
 기술기준 177개조, 판단기준 640개조 구성 : ’18년 기준

01 전기설비기술기준 개요

전기사업법/기술기준/판단기준/한국전기설비규정 위치 및 적용시점

전기사업법
제67조
전기사업법 시행규칙
제2조
전기설비기술기준 제2조 제8,9호 개정: 저압 범위 개정
제4조제1호
(한국전기설비규정) 제4조 (산업통상자원부령 제286호),18.1.10
적용 시점 : 2021.01.01
(고시 제2018-26호)18.3.9
적용 시점 : 2021.01.01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한국전기설비규정(KEC)
판단기준

전기설비기술기준 제3조제2항의 전압 제정 공고
구분(저압, 고압, 특고압)에 따른 적용 : (산업부 제2018-103호),18.3.9
2020.12.31까지 적용 시점 : 2021.01.01 부터

-5-
01 전기설비기술기준 개요

전기설비기술기준 운영요령(산업통상자원부 고시)에 따라 운영계획을 수립하고, 정부의 승인을 받아 절차


(Due Process)에 따라 검토와 심의를 통해 고시 및 공고되어 산업계 전반에 활용 됨.

기술기준 운영관리계획 수립
(정부승인 2015.6.5)

제·개정 검토 조사·연구 규정·지침 국제/국가표준 기술기준자문 기술교류협력,


개정(안)작성 적합성 평가 개발 부합화 (상담실 운영) 홍보, 교육 등

한국전기기술기준위원회
제·개정(안) 검토심의
제·개정(안) 의견수렴 및 확정 건의

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고시·공고(정부)

수요조사 전력산업계 활용
(전기설비의 설계·시공·감리·검사 및 유지관리)

01 전기설비기술기준 개요

한국전기기술기준위원회
기술기준의 연구, 개선 및 관리 등의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산ㆍ학ㆍ연ㆍ관 전문가(총 500여명)
으로 구성되어 기술기준 운영절차서의 절차에 따라 업무를 수행

한국기술기준위원회

운영위원회 사무국(대한전기협회) 전문원그룹

발전전문위원회 전기전문위원회 내진기준위원회 적합성평가위원회

배전분과위원회 실무연구팀 전문가 Pool


접지기술분과위원회
보일러분과위원회 송변전분과위원회
압력용기분과위원회 전기철도분과위원회
피뢰설비분과위원회
배관분과위원회
용어표준화분과위원회
수력분과위원회
저압배선설비분과위원회
용접분과위원회 특수설비분과위원회
비파괴분과위원회 보호설비분과위원회
분산형전설비분과위원회
전력정보통신설비분과위원회

실무연구팀 실무연구팀

-6-
Ⅱ. 기술기준/판단기준 주요 제·개정
(고시 : 2019-45호, 공고 : 2019-195호, ‘19.3.25)

02 19년 제·개정 추진 결과

기술기준 제 · 개정 추진절차

1월~2월 실무연구팀 구성

2월~4월 전력산업계 개정요청 의견수렴

5월~7월 제  개정 검토 및 개정(안) 작성

8월~11월 각 분과위윈회 심의 및 전기전문위원회 심의

11월 말 기술세미나, 공청회 등 의견 수렴

12월 중 한국기술기준위원회에 개정(안) 보고

12월 말 정부에 제  개정 건의

10

-7-
02 19년 제·개정 고시/공고 결과

18년 기관별 개정 의견 수렴 및 제·개정(안) 결과현황

의견제시 개정(안) 확정
구분 제안기관
조항수 조항수

산업부, 전기안전서비스, 재신정보,


기술기준 대한전기협회 2개 조항 1개 조항

4개 기관
산업부, 월리솔루션, TS 케이블 , 한국소방기술
사회, 한국전기안전공사, 파인전기컨설팅, 전기
판단기준 기술인협회, 한국전력공사, 한국전기안전공사, 55개 조항 12개 조항
타우이엔지, 대한전기협회 등
11개 기관
한국전력공사, 한국전기공사협회, 세홍이엔씨,
한국전기안전공사, 한국소방기술사회, 월리솔루
KEC 션, 한국토지주택공사, 대한전기협회 등 66개 조항 14개 조항
10개 기관
합계 123개 조항 27개 조항

11

02 19년 제·개정 고시/공고 결과


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제·개정(안) 주요 내용
구 분 개 정(안)

기술기준 제52조(저압전로의 절연성능)

제4조(절연전선)
제152조의2(1.5 kV 이하 직류 가공전선로의 시설)
제7조(캡타이어케이블)
제166조(옥내전로의 대지 전압의 제한)
제8조(저압 케이블)
제176조(분기회로의 시설)
판단기준 제10조(나전선 등)
제183조(합성수지관 공사)
제13조(전로의 절연저항 및 절연내력)
제289조(저압 옥내직류 전기설비의 접지)
제41조(지락차단장치 등의 시설)
제295조(전기저장장치 일반 요건) : 보류
제54조(태양전지 모듈 등의 시설)

112 용어 정의
122.1 절연전선 표 232.2-2 시설상태를 고려한 배선설비의 설치방법
122.4 저압케이블 표232.2-3 설치방법에 해당하는 배선방법의 종류
한국전기 132 전로의 절연저항 및 절연내력
142.3.2 보호도체 243.1.8 저압 옥내직류 전기설비의 접지
설비규정 202.2 직류 회로 402 전기철도의 용어 정의
(KEC) 211.2.7 IT 계통 431.3 전차선로의 충전부와 차량 간의 절연이격
230 배선 및 조명설비 등 435.2 중앙감시제어장치
표 232.2-1 전선 및 케이블의 구분에 따른 배선 511.1 설치장소의 요구사항
설비의 설치방법
12

-8-
02 19년 제·개정 고시/공고 결과
전기설비기술기준 주요 개정(안)

현 행 개 정
제52조(저압전로의 절연성능) 전기사 제52조(저압전로의 절연성능) 전기사용 장소의 사용전
용 장소의 사용전압이 저압인 전로의 압이 저압인 전로의 전선 상호간 및 전로와 대지 사이
전선 상호간 및 전로와 대지 사이의 의 절연저항은 개폐기 또는 과전류차단기로 구분할 수
절연저항은 개폐기 또는 과전류차단 있는 전로마다 다음 표에서 정한 값 이상이어야 한다.
기로 구분할 수 있는 전로마다 다음 다만 전선 상호간의 절연저항은 기계기구를 쉽게 분리
표에서 정한 값 이상이어야 한다. 다 가 곤란한 분기회로의 경우 기기 접속 전에 측정할 수
만, 전동기 등 기계기구를 쉽게 분리 있다. 또한, 측정 시 영향을 주거나 손상을 받을 수 있
하기 곤란한 분기회로의 경우 전로의 는 SPD 또는 기타 기기 등은 측정 전에 분리시켜야 하
전선 상호 간의 절연저항에 대해서는 고, 부득이하게 분리가 어려운 경우에는 시험전압을
기기 접속 전에 측정한다. 250V DC로 낮추어 측정할 수 있지만 절연저항 값은
1MΩ 이상이어야 한다.

13

02 19년 제·개정 고시/공고 결과


개정 사유 :
- 국제 표준에 따라 저압 범위가(AC 1000V, DC 1500V, 2021.1.1적용) 상향됨에 따른 저압 범
위 절연성능 부분 개정 필요성
- 국내 전기설비가 국제표준에 적합하게 제작 및 시설됨에 따른 저압 전로의 절연성능 평가를
IEC 기준으로 개정 필요함.
현 행
(전기사업법 시행규칙, 기술기준) 개정 및 적용(‘21.1.1)
저압 교류 600V(직류 750V) 이하 교류 1kV(직류 1.5kV) 이하

고압 교류 600V(직류 750V) 초과~7kV 이하 교류 1kV(직류 1.5kV) 초과~7kV 이하

특고압 7kV 초과 7kV 초과

부칙
제1조 (시행일) 이 고시 제52조는 2021.1.1부터 시행한다.
제2조 (경과조치) 이 고시 제52조 시행 당시 이미 시설되어 있거나 전기공사계획 인가(신고)를
받은 것 또는 전력기술관리법 시행령 제18조제4항의 규정에 의한 자가 이 고시 시행 전에 사
업승인을 얻은 것에 대하여는 종전의 기준에 따를 수 있다.
사유 :
- 2년 유예 기간을 주어 산업계 적용 혼란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함이고, 2021년 1.1일 이전
에 시설된 또는 인허가 된 시설은 종전 기준을 준용 함으로 기존 설비의 유지 보수 등에서 발
생되는 민원을 최소화 하기 위함이다.
14

-9-
02 19년 제·개정 고시/공고 결과

 SPD 설치된 CCTV

절연 저항 측정
- 250Vdc : 253 MΩ
- 500Vdc : 0.47 MΩ
 KC S IEC 60364-5-54
에 따르면 SPD는 최소
Uc = 1.1U0 = 1.1 *
220V = 242Vac ->
DC로는 약 340Vdc :
동작 전압, DC 250V
측정이 적합

15

02 19년 제·개정 고시/공고 결과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1. 전기설비 주요 개정(안)

현 행 개 정

제13조(전로의 절연저항 및 절연내력) 제13조(전로의 절연저항 및 절연내력)


① 사용전압이 저압인 전로에서 정전 ①사용전압이 저압인 전로의 절연성능은 기
이 어려운 경우 등 절연저항 측정이 술기준 제52조를 충족하여야 한다. 다만 저
곤란한 경우에는 누설전류를 1mA 압 전로에서 정전이 어려운 경우 등 절연저
이하로 유지하여야 한다. 항 측정이 곤란한 경우 저항성분의 누설전류
가 1mA 이하이면 그 전로의 절연성능은 적
합한 것으로 본다.

개정 사유
- 기술기준 제52조 절연저항 측정은 정전 후 DC 전압 인가로 측정(용량성분 제외됨), 정전이
어려운 분기회로 등에서 누설전류 측정 시 저항성분과 용량성분의 벡터합으로 측정하여 1mA
이하가 나오면 문제가 없고, 1mA 초과로 나오는 경우에 저항성분의 누설전류 값이 1 mA 초
과 여부로 전로의 절연성능 확인이 적합하다.
- 누설전류 1mA에 대한 근거로 일본 관련 기술기준 해석에 의하면 1mA는 인체 감전 및 화재
에 영향이 크지 않기에 누설전류 값을 1mA로 정한다고 해석하고 있음.

16

- 10 -
02 19년 제·개정 고시/공고 결과

- 본 조항은 기본적으로 절연성능을 확인 하기위해서는 정전을 하고 절연저항을 측정하여야


하는데, 정전이 어려운 경우에 누설전류를 측정하여 전로의 절연성능을 확인 할 수 있도록
한 조항이다.
- 누설전류는 통상적으로 용량성분과 저항성분으로 분류되며, 현행 기준에서는 용량성분 및
저항성분 누설전류 구분에 대한 규정이 되지 않아 1mA 초과 측정 시 절연 상태 확인의 어
려움이 발생함.
- KS C IEC 61643-11(저압 서지보호장치 시험방법) : SPD 노후화에 대한 절연 성능 확인
방법으로 누설전류 중 저항성분(resistive component of the current) 전류가 1mA가 넘지
않거나, 또는 내전압 DC 1000V로 인한 절연내력 시험을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17

02 19년 제·개정 고시/공고 결과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1. 전기설비 주요 개정(안)

현 행 개 정
제41조(지락차단장치 등의 시설) ⓛ 금속제 외 제41조(지락차단장치 등의 시설) ⓛ 금속제 외
함을 가지는 사용전압이 60V를 초과하는 저압 함을 가지는 사용전압이 50V를 초과하는 저
의 기계 기구로서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압의 기계 기구로서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
있는 곳에 시설하는 것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 가 있는 곳에 시설하는 것에 전기를 공급하는
로(제2항, 제166조제2항제2호, 제189조제1항 전로(제2항, 제166조제2항제2호, 제189조제
제8호, 제202조제2항, 제225조제4항, 제234 1항제8호, 제202조제2항, 제225조제4항, 제
조제4항, 제235조제1항제11호, 제3항 및 제4 234조제4항, 제235조제1항제11호, 제3항 및
항, 제236조제1항제9호, 제2항, 제3항 및 제4 제4항, 제236조제1항제9호, 제2항, 제3항 및
항, 제237조제3항제2호 및 제4항제3호, 제 제4항, 제237조제3항제2호 및 제4항제3호,
241조제1항제6호, 제249조제3항에 규정하는 제241조제1항제6호, 제249조제3항에 규정하
것 및 관등회로를 제외한다. 이하 이 항에서 는 것 및 관등회로를 제외한다. 이하 이 항에
같다)에는 전로에 지락이 생겼을 때에 자동적 서 같다)에는 전로에 지락이 생겼을 때에 자
으로 전로를 차단하는 장치를 하여야 한다. 다 동적으로 전로를 차단하는 장치를 하여야 한
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는 적용하지 않는다. 경우는 적용하지 않는다.
사유 : 금속제 외함을 갖는 기계기기구의 사용전압이 높아지면 간접접촉에 의한 감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
이 높아지므로 지락차단장치를 하는 것이 필요지만 60V를 기준으로 함은 그 근거가 미흡 함.
IEC 부합화 및 KEC 제정 여건을 감안할 때 기준전압을 특별저압의 한계인 사용전압이 50V로 함이 바람직.

18

- 11 -
02 19년 제·개정 고시/공고 결과

19

02 19년 제·개정 고시/공고 결과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1. 전기설비 주요 개정(안)

현 행 개 정
제4조(절연전선) ① 절연전선은 「전기용품 제4조(절연전선) ① 절연전선은 「전기용품 및 생
안전 관리법」의 적용을 받는 것 이외에는 다 활용품 안전 관리법」의 적용을 받는 것 이외에는
음의 각 호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다음의 각 호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1. KS C IEC에 적합한 것으로서 450/750V 1. KS에 적합한 것으로서 450/750V 비닐절연전
비닐 절연전선· 450/750V 저독 난연 폴리 선· 450/750V 저독성 난연 폴리올레핀 절연전선
올레핀 절연전선· 750V 고무절연전선 · 450/750V 저독성 난연 가교폴리올레핀 절연전선·
450/750V 고무절연전선

- 적용되는 법률의 명칭 변경(‘전기용품안전 관리법’ →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 관리법’


- KS C 3341(저독성 난연 폴리올레핀 절연 전선) 등 KS C IEC뿐만 아니라 KS 표준으로 적용
범위를 확대
- ‘저독’ → ‘저독성’으로 용어 수정
- KS C 3341 표준에서 제시된 저독성 난연 가교폴리올레핀 절연전선(HFIX)이 추가
- 정격전압 표기방식에 따라 ‘450/750 V 고무절연전선’으로 용어 수정
20

- 12 -
02 19년 제·개정 고시/공고 결과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1. 전기설비 주요 개정(안)

현 행 개 정
제8조(저압 케이블) ① 사용전압이 저압인 제8조(저압 케이블) ① 사용전압이 저압인 전로
전로(전기기계기구 안의 전로를 제외한다) (전기기계기구 안의 전로를 제외한다)의 전선으
의 전선으로 사용하는 케이블은 「전기용품 로 사용하는 케이블은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
안전 관리법」의 적용을 받는 것 이외에는 전 관리법」의 적용을 받는 것 이외에는 KS 에 적
KS C IEC 60502-1에 적합한 0.6/1kV 연 합한 것으로 0.6/1kV 연피(鉛皮)케이블․알루미
피(鉛皮)케이블․알루미늄피케이블․클로로 늄피케이블․클로로프렌외장(外裝)케이블․비닐외
프렌외장(外裝)케이블․비닐외장케이블․폴 장케이블․폴리에틸렌외장케이블․저독성 난연 폴
리에틸렌외장케이블․<신설> 제2항에 따른 리올레핀외장케이블, 300/500 V 연질 비닐 시스
미네럴인슈레이션케이블, 제3항에 따른 유 케이블, 제2항에 따른 미네럴인슈레이션케이블,
선텔레비전용 급전겸용 동축 케이블(그 외 제3항에 따른 유선텔레비전용 급전겸용 동축 케
부도체를 접지하여 사용하는 것에 한한 이블(그 외부도체를 접지하여 사용하는 것에 한
다)․제4항에 따른 가요성 알루미늄피케이 한다)․제4항에 따른 가요성 알루미늄피케이블을
블을 사용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사용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케이블을
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적용하지 않 사용하는 경우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는다.

- KS C IEC 60502-1 이외에 60227-4, 60245-4 등 적용 가능한 표준 등에 따라 KS 표준으로 적용 범위 확대


- 저독성 난연 폴리올레핀 외장 케이블 및 300/500V 연질 비닐 시스 케이블은 KS C IEC 60502-1 및 KS C IEC
60227-4 표준이 있으며, 공칭단면적이 95mm2 이하는‘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 별표 25의 안전기준에
따라 인증을 함
21

02 19년 제·개정 고시/공고 결과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1. 전기설비 주요 개정(안)

현 행 개 정
제54조(태양전지 모듈 등의 시설) ⓛ 태양 제54조(태양전지 모듈 등의 시설) ⓛ 태양전지 발
전지 발전소에 시설하는 태양전지 모듈, 전 전소에 시설하는 태양전지 모듈, 전선 및 개폐기
선 및 개폐기 기타 기구는 다음의 각 호에 기타 기구는 다음의 각 호에 따라 시설하여야 한
따라 시설하여야 한다. 다.
1. 충전부분은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시설 1. 충전부분은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시설할 것.
할 것. <생략> <생략>
6. 태양전지 모듈의 프레임은 지지물과 전 6. 태양전지 모듈의 프레임은 지지물과 전기적으
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하여야 한다. 로 완전하게 접속하여야 한다.
<신설> 7. 태양전지 발전설비의 직류 전로에 지락이 발
생했을 때 자동적으로 전로를 차단하는 장치를
시설해야 한다.

- 직류회로의 지락보호에 대한 필요성 공감 및 적정 보호조치를 위해 신설


- 접지계통에서는 KS C IEC 62423에 따른 B형 누전차단기 또는 누전감시장치를 교류 측에,
비접지 계통에서 KS C IEC 61557-8에 따른 절연감시장치 또는 KS C IEC 61557-9에 의한
절연고장점검출장치 설치가 필요. 1차 누전시 관리자에게 경보 또는 2차 지락 시는 차단장
치 설치 필요
22

- 13 -
02 19년 제·개정 고시/공고 결과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1. 전기설비 주요 개정(안)

IEC 60364-7-712 PV의 교류전원 공급 50V 초과 전압에서 운전하는 PV array에 대해 절연


회로 보호를 위해 RCD가 사용된 경우 저항감시를 요구하고 있으며, 절연측정장치 또는 절
이는 KSCIEC 62423의 B타입 (DC 누설 연감시장치를 예시하고 있으며 “절연고장 알림”을
및 맥동 감지기능 등 포함)이어야 함  보낼 수 있도록 설치해야 함  비접지계통에서는
접지계통에서는 KS C IEC 62423에 따 KS C IEC 61557-8에 따른 절연감시장치 또는 KS
른 B형 누전차단기 또는 누전감시장치 C IEC 61557-9에의한 절연고장점검출장치를 설치
와 차단장치 연동 하고 관리자에게 경보와 차단장치 연동
23

02 19년 제·개정 고시/공고 결과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1. 전기설비 주요 개정(안)

KSCIEC 62423
RCBO : 과전류+
누전 (61009-1)
RCCB : 누전
(61008-1)

 KS C IEC 62423, 3.2 B형 누전차단기 (type B residual current device) : KS C IEC 61008-1 또는 KS
C IEC 61009-1에 따라 A형에 대해서, 그리고 잔류 전류가 갑자기 혹은 서서히 증가하여 나타나는
지에 관계없이, 극성에 무관하게 다음에 대해서 트리핑이 보장되는 누전차단기
 1 000 Hz 이하 잔류 정현 교류, 잔류 맥동 직류, 평활 직류 위에 중첩된 잔류 교류, 평활 직류
위에 중첩된 잔류 맥동직류, 둘 이상의 위상으로 인해 생긴 잔류 맥동 정류직류, 잔류평활 직류

24

- 14 -
02 19년 제·개정 고시/공고 결과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1. 전기설비 주요 개정(안)

현 행 제 정
<신설> 제9절 직류 전선로
제152조의2(1.5 kV 이하 직류 가공전선로의 시설) 사용전압 1.5 kV 이하인 직류 가
공전선로는 다음과 같이 시설하여야 하며 이 조에서 정하지 않은 사항은 관련 판단
기준을 준용하여 시설하여야 한다.
① 전로의 전선 상호간 및 전로와 대지 사이의 절연저항은 기술기준 제52조의 표에
서 정한 값 이상이어야 한다.
② 가공전선로의 접지시스템은 KS C IEC 60364-5-54에 따라 시설하여야 한다.
③ 전로에 지락이 생겼을 때에는 자동으로 전선로를 차단하는 장치를 시설하여야 하
며 IT 계통인 경우에는 다음 각 호에 따라 시설하여야 한다.
1. 전로의 절연상태를 지속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하고 지락 발생 시 전
로를 차단하거나 고장이 제거되기 전까지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는 음향 또는 시각
적인 신호를 지속적으로 보낼 수 있도록 시설하여야 한다.
2. 한 상의 지락고장이 제거되지 않은 상태에서 다른 상의 전로에 지락이 발생했을
때에는 전로를 자동적으로 차단하는 장치를 시설하여야 한다.
④ 전로에는 과전류차단기를 설치하여야 하고 이를 시설하는 곳을 통과하는 단락전
류를 차단하는 능력을 가지는 것이어야 한다.
⑤ 낙뢰 등의 서지로부터 전로 및 기기를 보호하기 위해 서지보호장치를 설치하여
야 한다.
25

02 19년 제·개정 고시/공고 결과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1. 전기설비 주요 개정(안)

현 행 제 정
<신설> ⑥ 기기 외함은 충전부에 일반인이 쉽게 접촉하지 못하도록 공구 또는 열쇠에 의해
서만 개방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옥외에 시설하는 기기 외함은 충분한 방수 보호
등급(IPX4 이상)을 갖는 것이어야 한다.
⑦ 가공 전선로와 건조물․저고압 가공전선․가공약전류전선 등의 높이와 이격거리는
다음 각 호에 따라 시설하여야 한다.
1. 사용전압이 750V 이하인 가공 전선로는 제72조, 제74조, 제75조, 제77조, 제79
조부터 제84조, 제87조, 제89조부터 제94조, 제97조, 제100조, 제101조의 저압 전
선로의 규정에 따라 시설하여야 한다.
2. 사용전압이 750V를 초과하고 1,500V 이하인 가공 전선로는 제72조부터 제76조,
제78조부터 제83조, 제85조, 제86조, 제88조부터 제91조, 제95조, 제98조, 제102
조의 고압 전선로의 규정에 따라 시설하여야 한다.
⑧ 교류 전로와 동일한 지지물에 시설되는 경우 직류 전로를 구분하기 위한 표시를
하고, 모든 전로의 종단 및 접속점에서 극성을 식별하기 위한 표시(양극 - 적색, 음
극 – 백색, 중점선/중성선 – 청색)를 하여야 한다.
사유 : 저압직류배전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최소한의 시설기준을 제정하여, 저압직
류배전 현장설치 활성화를 위함 ※ 현행 기술기준/판단기준은 교류 중심의 시설기준으로 직류기
반의 세부적 기술기준 부재
규정항목 : 일반요건(접지, 절연 등), 보호장치, 선정 및 시설, 이격거리, 식별 최소한 기준 제정
26

- 15 -
02 19년 제·개정 고시/공고 결과

 LVDC 연계된 전력계통


 기존 AC 계통과 신설되는 DC 계통이 혼용된 전력시스템으로 운용

27

02 19년 제·개정 고시/공고 결과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1. 전기설비 주요 개정

현 행 개 정
제289조(저압 옥내직류 전기설비의 접지) 제289조(저압 옥내직류 전기설비의 접지)
① 저압 옥내직류 전기설비는 전로보호장치의 확실 ① 저압 옥내직류 전기설비는 전로보호장
한 동작의 확보, 이상전압 및 대지전압의 억제를 위 치의 확실한 동작의 확보, 이상전압 및 대
하여 직류 2선식의 임의의 한 점 또는 변KEC 지전압의 억제를 위하여 직류 2선식의 임
21102.4e환장치의 직류측 중간점, 태양전지의 중간 의의 한 점 또는 변환장치의 직류측 중간
점 등을 접지하여야 한다. 다만, 직류 2선식을 다음 점, 태양전지의 중간점 등을 접지하여야
각 호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한다. 다만, 직류 2선식을 다음 각 호에
1. 사용전압이 60V 이하인 경우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는 그러하지 아니하
2. 접지검출기를 설치하고 특정구역내의 산업용 다.
기계기구에만 공급하는 경우 1.~4. (현행과 같음)
3. 제23조의 규정에 적합한 교류계통으로부터 공
급을 받는 정류기에서 인출되는 직류계통 5. 절연감시장치 또는 절연고장점검출장
4. 최대전류 30mA 이하의 직류화재경보회로 치를 설치하여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
<신설> 록 경보장치를 시설하는 경우
- 비접지시스템이 계통의 연속 운전성, 화재 예방, 감전사고 방지 등에 장점이 있음으로, 저압 옥내직류 전
기설비는 비접지 방식 필요.
- KSC IEC 60364-4-41 (안전을 위한 보호- 감전에 대한 보호) : 413.1.5 IT(비접지) 계통 413.1.5.4 전원
의 연속성이라는 측면에서 IT계통을 이용한 경우, 충전부에서 노출 도전부 또는 대지로의 초기 고장을 표
시할 수 있는 절연모니터링 장치를 설치
28

- 16 -
02 19년 제·개정 고시/공고 결과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1. 전기설비 주요 개정

현 행 개 정(보류)
제295조(전기저장장치 일반 요건) ① 이차전 제295조(전기저장장치 일반 요건) ① 이차전지
지를 이용한 전기저장장치는 다음 각 호에 따 를 이용한 전기저장장치는 다음 각 호에 따라
라 시설하여야 한다. 시설하여야 한다.
1. 충전부분이 노출되지 않도록 시설하고, 금 1. 충전부분이 노출되지 않도록 시설하고, 금
속제의 외함 및 이차전지의 지지대는 제 33 속제의 외함 및 이차전지의 지지대는 제 33조
조에 따라 접지공사를 할 것. 에 따라 접지공사를 할 것.
2. 이차전지를 시설하는 장소는 폭발성 가스 2. 이차전지를 시설하는 장소는 폭발성 가스의
의 축적을 방지하기 위한 환기시설을 갖추고 축적을 방지하기 위한 환기시설을 갖추고 적정
적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할 것. 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할 것. 단, 폭발성 및 유
독성 가스의 축적이 발생하지 않는 근거를 제
작사에서 제공하는 경우에는 환기시설을 생략
할 수 있다.
- 현행 「판단기준」에서 모든 이차전지에 환기시설을 규정하고 있으나 일부 이차전지의 설치
환경에는 맞지 않아 현장민원 발생함.
- 리튬이온 배터리 특성상 정상운전 시 폭발성가스가 발생/축적되지 않으며, 국내・외 설치 현
장에서도 환기시설을 설치/운영하지 않음.
- 상기 조항의 요구사항에 해당하는 이차전지 설치실에 한정하여 적용. 이차전지 이외의 전기
기기가 설치된 장소에는 적용하지 않음
29

Ⅲ. 한국전기설비규정(KEC)
주요 제·개정(안)과 추진 현황

- 17 -
03 한국전기설비규정(KEC) 개요 및 구성

한국전기설비규정(KEC)

제1장 제2장 제3장 제4장 제5장 제6장 제7장


공통사항 저압 전기설비 고압특고압 전기설비 전기철도설비 분산형전원설비 발전용 화력설비 발전용 수력설비

총칙 통칙 통칙 통칙 통칙 통칙 통칙

전기철도의 보일러 및
일반사항 안전을 위한 보호 안전을 위한 보호 전기저장장치 댐
전기방식 부속설비

전기철도의 압력용기 및
전선 전선로 접지설비 태양광발전설비 수로
변전방식 부속설비

배선 및 전기철도의
전로의 절연 전선로 풍력발전설비 배관 및 부속설비 수차 및 기타설비
조명설비 등 전차선로

기계기구 시설 전기철도의 증기터빈 및


접지시스템 특수설비 연료전지설비 부속서
및 옥내배선 전기철도차량 설비 부속설비

발전소,변전소,개폐소 전기철도의 가스터빈 및


피뢰시스템 등의전기설비 설비를 위한 보호 부속설비

발전설비 전력보안정보통신 전기철도의 내연기관 및


용접시공 설비 안전을 위한 보호 부속설비

발전설비 액화가스
비파괴검사 연료연소설비

발전설비 내진 탈황, 탈질설비

가스화로 및
부속설비
31

03 18년 제·개정(안) 추진 결과
한국전기설비규정 주요 개정(안)

현 행 개 정
112 용어정의
45. “PEN 도 체 [Combined Protective 45. “보호도체(PE, protective conductor)”란
(Earthing) and Neutral (PEN) Conductor]” 감전 방지와 같은 안전을 위해 준비된 도체를
란 중성선 겸용 보호도체를 말한다. 말한다.
가 . “PEN 도 체 (protective earthing
conductor and neutral conductor)”란 교류회
로에서 중성선 겸용 보호도체를 말한다.
나 . “PEM 도 체 (protective earthing
conductor and a mid-point conductor)”란
직류회로에서 중점선 겸용 보호도체를 말한다.
다 . “PEL 도 체 (protective earthing
conductor and a line conductor)”란 직류회
로에서 선도체 겸용 보호도체를 말한다.
-[KSCIEC60364-5-54] : 보호도체 (Protective conductor), 감전에서의 보호 등 안전을 목적으로 제공되는 도체
[KSCIEC60050 195-02-12] : PEN 도체(PEN conductor), 보안용 접지 도체와 중성점 도체의 기능이 결합
된 도체
[KS C IEC60050 / 60445] :PEM 도체(PEM conductor), 보안용 접지 도체와 중간점 도체의 기능이 결합된 도체
[KS C IEC60050 195-02-14] :PEL 도체(PEL conductor), 보안용 접지 도체와 상도체의 기능이 결합된 도체

32

- 18 -
03 18년 제·개정(안) 추진 결과
한국전기설비규정 주요 개정(안)

현 행 개 정
122 전선의 종류 122 전선의 종류
122.1 절연전선 122.1 절연전선
1. 저압 절연전선은 「전기용품 및 생활용 1. 저압 절연전선은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
품 안전관리법」의 적용을 받는 것 이외에 관리법」의 적용을 받는 것 이외에는 KS에 적합한
는 KS에 적합한 것으로서 450/750 V 비닐 것으로서 450/750 V 비닐절연전선·450/750 V
절연전선·450/750 V 저독난연 폴리올레핀 저독성 난연 폴리올레핀 절연전선·450/750 V 저
절연전선·450/750 V 고무절연전선을 사용 독성 난연 가교 폴리올레핀 절연전선·450/750 V
하여야 한다. 고무절연전선을 사용하여야 한다.
122.4 저압케이블 122.4 저압케이블
1. 사용전압이 저압인 전로(전기기계기구 안 1. 사용전압이 저압인 전로(전기기계기구 안의 전
의 전로를 제외한다)의 전선으로 사용하는 로를 제외한다)의 전선으로 사용하는 케이블은 「전
케이블은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 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의 적용을 받는 것
법」의 적용을 받는 것 이외에는 KS 표준에 이외에는 KS 에 적합한 것으로 0.6/1 kV 연피(鉛皮)
적합한 것으로 0.6/1 kV 연피(鉛皮)케이블, 케이블, 클로로프렌외장(外裝)케이블, 비닐외장케
클로로프렌외장(外裝)케이블, 비닐외장케이 이블, 폴리에틸렌외장케이블, 무기물 절연케이블,
블, 폴리에틸렌외장케이블, 무기물 절연케이 금속외장케이블, 저독성 난연 폴리올레핀외장케이
블, 금속외장케이블,<신설> 제2에 따른 유선 블, 300/500 V 연질 비닐 시스 케이블, 제2에 따른
텔레비전용 급전겸용 동축 케이블(그 외부도 유선텔레비전용 급전겸용 동축 케이블(그 외부도
체를 접지하여 사용하는 것에 한한다)을 사 체를 접지하여 사용하는 것에 한한다)을 사용하여
용하여야 한다<생략> 야 한다. <생략> 33

03 18년 제·개정(안) 추진 결과
한국전기설비규정 주요 개정(안)

현 행 개 정
132 전로의 절연저항 및 절연내력 132 전로의 절연저항 및 절연내력
1. 사용전압이 저압인 전로에서 정전이 어 1. 사용전압이 저압인 전로의 절연성능은 기술기
려운 경우 등 절연저항 측정이 곤란한 경 준 제52조를 충족하여야 한다. 다만 저압 전로에
우에는 누설전류를 1mA 이하로 유지하여 서 정전이 어려운 경우 저항성분의 누설전류가
야 한다. 1mA 이하이면 그 전로의 절연성능은 적합한 것으
로 본다.
2.~6. (생략) 2.~6. (현행과 같음)

- 전기설비기술기준 제52조 절연저항 측정은 정전 후 DC 전압 인가로 측정(용량성분 제외됨),


정전이 어려운 분기회로 등에서 누설전류 측정 시 저항성분과 용량성분의 벡터합으로 측정하
여 1mA 이하가 나오면 문제가 없고, 1mA 초과로 나오는 경우에 저항성분의 누설전류 값이 1
mA 초과 여부로 전로의 절연성능 확인이 적합하다. <판단기준 개정(안)에 따라 개정>

34

- 19 -
03 18년 제·개정(안) 추진 결과
한국전기설비규정 주요 개정(안)

현 행 개 정
142.3 접지도체·보호도체 142.3 접지도체·보호도체
142.3.2 보호도체 142.3.2 보호도체
1. 보호도체의 최소 단면적은 다음에 의한다. 1. 보호도체의 최소 단면적은 다음에 의한다.
가. 보호도체의 최소 단면적은 표 142.3-1 가. 보호도체의 최소 단면적은 표 142.3-1에
에 따라 선정해야 하며, 보호도체용 단자도 따라 선정해야 하며, 보호도체용 단자도 이 도
이 도체의 크기에 적합하여야 한다. 다만, 체의 크기에 적합하여야 한다. 다만, “나”에 따
“나”에 따라 계산한 값 이상이어야 한다. 라 계산한 값 이상이어야 한다.
<신설> 단, TT 계통에서 전력공급 계통의 접지극과 노
출도전부의 접지극이 독립한 경우 보호도체의
단면적은 다음의 값을 초과할 필요는 없다.
(1) 구리 25㎟
(2) 알루미늄 35㎟

- TT 계통의 경우에는 노출도전부가 대지에 직접 접지된 독립접지 이므로 지락 고장전류가


적습니다.
- 표 142.3.1-1에 따라 선도체의 크기에 비례하여 선정하는 경우에는 불필요하게 크게 선정
됩니다.

35

03 18년 제·개정(안) 추진 결과

36

- 20 -
03 18년 제·개정(안) 추진 결과
한국전기설비규정 주요 개정(안)

현 행 개 정
202.2 직류 회로 202.2 직류 회로
PEL과 PEM 도체는 충전도체는 아니지만 운 PEL과 PEM 도체는 충전도체는 아니지만 운전
전전류를 흘리는 도체이다. 2선식 배전방식 전류를 흘리는 도체이다. 2선식 배전방식이나
이나 3선식 배전방식을 적용한다. 3선식 배전방식을 적용한다.

- KS 표준 본문의 오역으로 인한 KEC 반영사항 수정

37

03 18년 제·개정(안) 추진 결과
한국전기설비규정 주요 개정(안)

현 행 개 정

- KS C IEC 60364-4- 41의 411.6.4


IT 계통은 비접지계통이므로 이를 비접지와 접지계통으로 구분할 수 없음, 표준의 요구사항
대로 중성선의 배선 유무로 구분하여야 정확한 표현.

38

- 21 -
03 18년 제·개정(안) 추진 결과
한국전기설비규정 주요 개정(안)

현 행 개 정
243.1.8 저압 옥내직류 전기설비의 접지 243.1.8 저압 옥내직류 전기설비의 접지
1. 저압 옥내직류 전기설비는 전로 보호장치의 1. 저압 옥내직류 전기설비는 전로 보호장치
확실한 동작의 확보, 이상전압 및 대지전압의 의 확실한 동작의 확보, 이상전압 및 대지전
억제를 위하여 직류 2선식의 임의의 한 점 또는 압의 억제를 위하여 직류 2선식의 임의의 한
변환장치의 직류측 중간점, 태양전지의 중간점 점 또는 변환장치의 직류측 중간점, 태양전
등을 접지하여야 한다. 다만, 직류 2선식을 다 지의 중간점 등을 접지하여야 한다. 다만,
음에 따라 시설하는 경우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직류 2선식을 다음에 따라 시설하는 경우는
가. 사용전압이 60 V 이하인 경우 그러하지 아니하다.
나. 접지검출기를 설치하고 특정구역내의 산업 가. 사용전압이 60 V 이하인 경우
용 기계기구에만 공급하는 경우 <좌동>
다. 교류 전로로부터 공급을 받는 정류기에서
인출되는 직류계통 라.최대전류 30mA 이하의 직류화재경보회로
라. 최대전류 30 mA 이하의 직류화재경보회로 마. 절연감시장치 또는 절연고장점검출장치
<신설> 를 설치하여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경
보장치를 시설하는 경우
- 비접지시스템이 계통의 연속 운전성, 화재 예방, 감전사고 방지 등에 장점이 있음으로, 저압
옥내직류 전기설비는 비접지 방식 필요. 비접지 IT DC 계통의 접지측 절연 저항을 상시적으
로 감시하는 절연 감시용 장치(IMD)의 요구사항
39

03 18년 제·개정(안) 추진 결과
현 행 개 정
232 배선설비 목차 232 배선설비 목차

- 22 -
03 18년 제·개정(안) 추진 결과
한국전기설비규정 주요 개정(안)

현 행 개 정
232.2 배선설비 공사의 종류 232.2 배선설비 공사의 종류

- 설치와 공사의 구분, 시스템분류법 적용, 표준원문 표기방식 적용, 덕트와 덕팅 구분

41

03 18년 제·개정(안) 추진 결과
한국전기설비규정 주요 개정(안)

현 행 개 정
232.2 배선설비 공사의 종류 232.2 배선설비 공사의 종류

표 232.2-3의 제목 및 세부사항에 대한 시스템 분류 법 도입 및 시스템 종류별 공사방법 명시, 상세 설명


간결화 및 불필요한 설명 문구 삭제
42

- 23 -
03 18년 제·개정(안) 추진 결과
한국전기설비규정 주요 개정(안)

현 행 개 정
430 전기철도의 전차선로 430 전기철도의 전차선로
435.2 중앙감시제어장치 435.2 중앙감시제어장치 및 소규모감시제어장치
1. 변전소 등의 제어 및 감시는 관제센터에 1. 전철변전소 등의 제어 및 감시는 전기사령실
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에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2. 원격감시제어시스템(SCADA)는 중앙집 2. 원격감시제어시스템(SCADA)은 열차집중제
중제어장치(CTC), 통신집중제어장치와 호 어장치(CTC), 통신집중제어장치와 호환되도록
환되도록 하여야 한다. 하여야 한다.
3. 전기시설 관제소와 변전소, 구분소 또는 3. 전기사령실과 전철변전소, 급전구분소 또는
그 밖의 관제 업무에 필요한 장소에는 상호 그 밖의 관제 업무에 필요한 장소에는 상호 연락
연락할 수 있는 통신 설비를 시설하여야 한 할 수 있는 통신 설비를 시설하여야 한다.
다. 4. 소규모감시제어장치는 유사시 현지에서 중앙
4. <신설> 감시제어장치를 대체할 수 있도록 하고, 전원설
비 운용에 용이하도록 구성한다.
철도건설규칙 33조 : 철도설계지침(신호제어편) 열차집중제어장치 일반사항(KR S-08010)
철도건설규칙 33조 : 제33조(전철변전소 등의 제어) 전철변전소나 급전구분소 등의 제어 및 감시는 중앙집중
원방감시제어 방식으로 전기사령실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이에 필요한 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국토부 철도설계기준 2.5.3 소규모 원격감시제어장치
(1) 소규모 원격감시제어장치는 유사시 현지에서 중앙감시제어장치를 대체할 수 있도록 하고, 전원설비 운용에
용이하도록 구성한다. (2) 중앙감시제어설비와 호환되도록 설계한다.
43

규정/지침 교육, 홍보 등

기술기준 국제화에 따른 기술지침/규정 제ㆍ개정

 규 정 : 내선규정(2016년), 발ㆍ변전규정(2014년), 배전규정

 지 침 : 변전소등에서의 내진설계 지침, 변전소등에서의 방화대책 지침


건축전기설비 내진설계 시공지침서(19), 병원전기설비 시설에 관한 기술지침(2014)
저압 전기설비의 SPD설치에 관한 기술지침(15), 등전위본딩에 관한 기술지침(2015),
저압전로의 지락보호에 관한 기술지침, 비상전원 겸용 전기저장장치 시설에 관한 기술지침(18)
피뢰시스템 가이드(2018) : 62305 시리즈 국제표준 피뢰설비 해설서
- 배선설비의 설계 및 공사방법에 관한 기술지침, 감전 및 과전류보호 설계방법에 관한 기술지침(3월),

접지시스템 설계방법에 관한 기술지침(5월 예정) 등


44

- 24 -
규정/지침 교육, 홍보 등

45

Thank you

- 25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