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3

신성장 산업 표준기반 R&D 추진전략 발표회

스마트 제조 분야

스마트제조 산업데이터 표준 현황
및 IoT 데이터응용

산업데이터 분과
강릉원주대학교 이창수

2018. 05. 29
목차

• 스마트제조 산업데이터 표준 현황
: ISO TC 184/SC 4 활동

• IoT 데이터응용
: 가스 터빈 사례
제품 데이터 기술의 진화

Engineering
Physical Models Drawings Digital
Drawings

Intelligent
Product
Pre 1800 Data

1800 - 1995

1996 and Beyond


STEP
(STandard for the Exchange of Product data
: 제품 데이터 교환 표준) 개념
제품 데이터(STEP) 예시

<ISO TC 184/SC 4 범위>


• 형상 설계 (geometric design) 데이터와 공차
데이터
• 재질 및 기능 사양 (specifications)
• 제품 차이 (differentiation) 및 구성 (configuration)
• 제품 정보 카탈로그와 라이브러리
• 프로세스 및 프로젝트 데이터
• 제품 생산 데이터
• 제품 생애주기 데이터 (제품 지원, 유지보수,
폐기 관련 제품 특성)
• 산업 데이터의 품질을 보증(assure)하는
프로세스와 절차
ISO TC 184/SC 4 조직

PPC

SECRETARTIAT CHAIR Change Management


• 간사국 : 미국(ANSI)
• 의장 : Mr. Kenneth Swope (미국)
QC
• 간사 : Mr. Ryan Mayes(미국)
Education Outreach
WG2 WG3 JWG8 WG11
• 정회원국 : 한국, 영국, 미국, 중국 등 15개국
• 준회원국 : 몽골, 핀란드, 덴마크 등 13개국
WG12 WG13 WG15 WG21 WG22 WG23

작업반 작업 범위 컨비너 (국가)


WG2 부품 특성 및 라이브러리 Nikolaus Ondracek (독일)
WG3 오일, 가스, 공정, 및 전력 Paul van Exel (네덜란드)
JWG8 산업 제조 관리 프로세스 관리 정보 A.F. Cutting-Decelle (프랑스)
WG11 구현 및 적합성 검증 방법 David Loffredo (미국)
WG12 STEP 제품 모델링 및 자원 Keith Hunten (미국)
WG13 산업 데이터 품질 Timothy King (영국)
WG15 디지털 제조 Martin Hardwick (미국)
WG16 제품 모델의 3D 가시화 Soonhung Han (한국)
WG21 SMRL 검증팀 Keith Hunten (미국)
WG22 참조 데이터 검증팀 Nils Sandsmark (노르웨이)
WG23 어휘사전 검증팀 Aminata Mbengue (프랑스)
WG24 제품 속성 및 분류/식별 Hiroshi Murayama(일본)
ISO TC 184/SC 4 표준

Standards Number Title Publish


STEP ISO 10303 Standard for the exchange of product model data 674
PLIB ISO 13584 Parts Library 13
MANDATE ISO 15531 Industrial manufacturing management data exchange 6
Process Plants ISO 15926 Integration of Life-cycle Data for Oil and Gas Production 8
IFC ISO 16739 Industry Foundation Class 1
PSL ISO 18629 Process specification language 9
SPPSE ISO 18828 Standardized procedures for production systems engineering 2
IIDEAS ISO 18876 Integration of industrial data for exchange, access, and sharing 2
OTD ISO 22745 Open Technical Dictionary 10
ECD ISO 29002 Exchange of characteristic data 6
DQ ISO 8000 Data quality 12

• ISO 10303 – 제품 데이터 표현의 표준을 통해 설계 및 생산 데이터의 교환


• ISO 13584 – 설계, 제조, 유지보수 및 폐기 등의 제품의 전 생애(Life Cycle)에 걸쳐서 생성된 부품정보
• ISO 15926 – 플랜트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공유
• ISO 8000 – 데이터 품질 관리
• ISO 16739 – ISO 10303(STEP)의 개념을 건설 분야에 적용한 산업계 표준모델
• ISO 22745 – 개방형 기술사전으로서 특성과 값을 한 쌍으로 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개인, 기구, 위치, 상품 및 서비스를 기술하는데
사용되는 개념의 용어, 정의 및 이미지를 포함
국내 추진 ISO 표준 현황

표준번호 (status 표준명칭 표준명칭 표준제안(작성)자


제안시기
포함)및 WG (영문) (국문) Editor/Leader

Industrial automation systems and


산업 자동화 시스템 및 통합
integration — Product data
— 제품 데이터 표현 및 교환 리더 : KAIST 한순흥 교수 ’14년도
ISO/DIS 10303-57 representation and exchange — Part
— 제57부 : 통합 일반 자원 : 에디터 : KAIST 권순조 박사 (프로젝트 등록
WG 12 57: Integrated generic resource:
절차적 3D CAD 모델의 형상 후연구원 일 : 14-05-30)
Persistent identification of elements
요소의 식별
in procedural shape modelling

’17년도
ISO/WD 23247 Digital Twin manufacturing
디지털 트윈 제조 프레임워크 ETRI (프로젝트 등록
JWG 15 framework
일 : 18-01-18)

Data quality — Part 66: Data quality


데이터 품질 — 제66부 : 데이 리더 : 강릉원주대 이창수
management: Organizational
ISO/NP 8000-66 터 품질관리: 조직 프로세스 교수 ‘18년도
process maturity assessment:
WG 13 성숙도평가: 제조 프로세스에 에디터 : 명지대 김선호 교 (제안예정)
Assessment indicators for
대한 평가지표 수
manufacturing operations

Data quality evaluation method base ‘18년도


WG 13 한국데이터진흥원
d on data profiling(가칭) (제안예정)
KSTEP 기관 현황

구분 내용
기관명 사단법인 스텝센터
대표자 한 순 흥 (한국과학기술원 기계공학과 교수)
법인 설립 2001년
설립일 COSD 지정 2010년 7월 21일
COSD 재 지정 2013년 6월 18일

지정 분야 정보통신(X) – 산업데이터(ISO/TC184/SC4) 관련 국가 표준

관리 표준 KS 128종(ISO 743종) – 고유 표준 8종, 부합화 표준 120종


KSTEP 조직도

(강릉원주대)

이창수(강릉원주대)
KS 표준안 관리

• 현재 담당 표준 관리 목록 수 : SC4 KS 128종(ISO 743종)


• KS 표준 관리 시스템 : e나라 표준인증(http://standard.go.kr/)
• 센터 담당 KS 표준 목록표 관리

• 연간 표준 개발 실적
연도 2015 2016 2017 2018
구분 계획 실적 계획 실적 계획 실적 계획 실적
제정 4 4 1 1 2
부합화
개정 1 1
제정 1 1 3
고유
개정 1 1
확인
폐지
합계 5 5 1 1 2 2 5
ISO SC4 698 종 SC4 724 종 SC4 743 종 SC4 743 종
KS SC4 123종 SC4 128종 SC4 128 종 SC4 129 종
산업데이터 전문위원회 현황

번호 소속 직위 성명 이메일 비고
1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한순흥 shhan@kaist.ac.kr 위원장
2 명지대학교 교수 김선호 shk@mju.ac.kr
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구위원 김성식 sskim@kict.re.kr
4 경희대학교 교수 김인한 ihkim@khu.ac.kr
5 경북대학교 교수 문두환 dhmun@knu.ac.kr
6 충남대학교 교수 박상호 spark@cnu.ac.kr
7 석영시스템즈 대표 손영석 ysstone@quartzsys.com
8 아주대학교 교수 양정삼 jyang@ajou.ac.kr
9 인하대학교 교수 유상봉 syoo@inha.ac.kr
1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책임 이영훈 yhlee@krri.re.kr
11 강릉원주대학교 교수 이창수 cslee@gwnu.ac.kr
12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 차장 임성준 joon@kodb.or.kr
13 중앙대학교 교수 최영 yychoi@cau.ac.kr
14 (주)부품디비 사장 황진상 mars@partdb.com
15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책임 황호진 hjhwang@kriso.re.kr
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임 이현정 hjlee294@etri.re.kr
17 (사)스텝센터 팀장 김규동 kstep@kstep.or.kr
SC4 분야 국내‧외 기술개발동향

• 스마트제조는 ICT 환경 내에서 설계·제조·검사·물류의 자동화, 지식화,


및 통합을 함으로써 제조 산업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새로운 산업
전략임. 이와 같은 새로운 산업 패러다임은 기본적으로 제조 환경을
구성하는 자동화 시스템들간의 통합을 요구하고 있으며 ISO/TC184의
개발 표준들이 이를 지원함

• ISO/TC184는 자동화 시스템 및 통합에 관한 국제 표준을 담담하고 있으


며 부위원회로 SC1 ‘물리 장치 제어’, SC4 ’산업 데이터‘, SC5 ’전사적 시스
템 및 자동화 응용 시스템을 위한 상호운용성, 통합, 및 아키텍처‘가 있

• ISO/TC184/SC4는 자동화 시스템 및 통합을 위한 산업 데이터 표준의 개


발을 담당하고 있으며 관리하고 있는 표준으로 ISO 10303, ISO 15926,
ISO 13584, ISO 8000 등이 있음. ISO 10303이 제조 산업의 설계 및 생산 데
이터의 교환에 관한 표준이며 ISO 8000이 제품 데이터 표준 정량화에 관
한 표준임
SC4 분야 국내‧외 표준개발동향

• ISO TC184/SC4에서는 산업 데이터에 관한 표준을 개발하고 관리하는


국제 표준화 조직이며, ISO 10303, ISO 15926, ISO 13584, ISO 8000 등의
산업 표준을 개발. 국내에서는 (사)스텝센터가 1990년대 후반부터 ISO
10303과 ISO 8000등의 국제표준 개발 및 보급에 주도적인 활동을 하고
있음

• (사)스텝센터, 한국과학기술원, 경희대, 명지대, 강릉원주대, 아주대, 경


북대 등의 국내 연구진은 ISO TC184/SC4의 국제 표준의 개발에서 참여
하고 있으며 ㈜부품디비, ㈜석영, ㈜지티원 등의 개발사에서 국제 표준
기반 SW의 개발 및 보급을 하고 있음
사업배경
SC4 분야 표준화 필요성

• 스마트 제조 시스템들 간의 ‘상호 운용성’, ‘자동화 시스템의 통합’,


‘검사 및 유지보수’, ‘스마트제조 기능 분산 구조화 및 검토’ 등에
활용 할 수 있음
인공지능 의사결정

감지/실행/제어 통신
(sensor, actuator, controller)
스마트제조 (실시간 정보 공유)

산업데이터
(설계 정보)
TC184/SC4

제품 생산
설비
(product) 프로세스
(resource)
(process)
SC4 분야 스마트 제조 로드맵

현재 2017 2019 2021 2023 2025

제조설비 모니터링 및 운용정보 교환 스마트제조 시설물 관리 정보

산업데이터 표준 마스터 데이터 품질관리

공정 품질 관리 3D CAD 곡면모델 고유명칭

PLM-MES 인터페이스 기술

연관 기술 산업 데이터 품질 기술

데이터 기반 제조 기술 부품 라이브러리 기술 CAD 데이터 교환 기술

PLM 플랫폼
제품 및
서비스 자동화 설비 플랫폼
상용화 개발
설비 데이터 연동 플랫폼

전략적중요도
표준을 통한 스마트 공장 지원

IEC TC65/
JWG21

스마트 공장 참조모델
‘18년도 KSTEP 활동 계획 요약

 ISO TC 184/SC 4 표준화 활동


◦ ISO 국제회의 참석 (연 2회)
◦ 국제 표준화 이슈 및 동향 조사
◦ ISO 표준화 추진
 ISO 10303-57 IS 등록: 한순흥 교수(KAIST), 문두환 교수(경북대), 권순조 박사(KAIST)
 ISO 8000-66 NP 제안: 이창수 교수(강릉원주대), 김선호 교수(명지대)
 Digital Twin manufacturing framework 4종 개발: 이현정 책임(ETRI), 김성혜 책임(ETRI)
◦ KS 표준화 추진
 국제표준 부합화 2종 제정: KS X ISO 8000-2, KS X ISO 14306
 고유표준 3종 개발: PLM-MES 인터페이스, 원자력 특화 RDL, 스마트제조 참조모델

 국내 간사 기관 활동
◦ ISO 투표 문서 관리
◦ 산업데이터 전문위원회 개최 (연 4회)
◦ 국가기술표준원 담당관 협의 (월 1회)

 스마트제조 표준화 포럼 및 위원회 활동


◦ 포럼 총회, 운영위원회 및 기술분과위원회
◦ 스마트제조 표준화 로드맵 및 이슈레포트 작성
IoT 데이터 응용 사례: 가스 터빈

(출처: 지멘스)
IoT와 SCP(smart, connected product)

(출처: PTC 코리아)


IoT 데이터 처리

* DQ: Data quality


IoT 데이터 솔루션

(출처: 지티원)
Q/A

감사합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