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

한국항공우주학회지 167

J. Korean Soc. Aeronaut. Space Sci. 49(3), 167-174(2021)


DOI:https://doi.org/10.5139/JKSAS.2021.49.3.167
ISSN 1225-1348(print), 2287-6871(online)

저속 풍동시험 시 NASA Common Research Model의 Belly Sting


모형 지지부에 의한 간섭효과에 관한 연구
차경환1, 김남균2, 고성호3

Belly Sting Model Support Interference Effect of NASA Common Research Model
at Low Speed Wind Tunnel
Kyunghwan Cha1, Namgyun Kim2 and Sungho Ko3
School of Mechanical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1,3
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2

ABSTRACT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was performed under low-speed wind tunnel test
conditions using a 29.7% scale model of the NASA common research model. A wind tunnel
test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aerodynamic coefficient of the CRM with Belly sting model
support configuration at a low Reynolds number of 0.3×106 and it was compared with the
aerodynamic coefficient of CFD analysis. In order to verify the validation of the analysis, a
computational analysis under the conditions of the advance research was performed and
compared. The interference effect of the Belly sting model support affected not only the
fuselage but also the main and tail wings.

초 록

NASA Common Research Model의 29.7% 축소 모형에 대하여 저속 풍동시험 조건으로 수치해
석을 수행하였다. 낮은 레이놀즈수 영역인 0.3×106에서 Belly sting 모형 지지부를 장착한 CRM의
공력계수를 측정하는 시험이 수행되었으며, 수치해석 결과와 비교하였다. 해석의 타당성을 검증하
기 위해 선행연구 조건으로 전산해석을 수행하여 비교하였다. Belly sting 모형 지지부 유무에 대한
해석 결과 지지부에 의한 간섭 효과로 동체뿐만 아니라 주날개, 꼬리날개까지 공력에 영향이 있음
을 확인하였다.

Key Words : Common Research Model(표준 연구 모형), Correction Method(보정 기법), Model
Support(모형 지지부), Interference Effect(간섭 효과), Belly Sting Model Support
(벨리 스팅 모형 지지부), Drag Prediction Workshop(공력 예측 워크샵)

Ⅰ. 서 론 큰 비중을 두고 있었으나, 현재는 컴퓨팅 성능의 발


전과 다양한 수치해석 기법의 개발로 정확도 높은
과거 공력 성능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풍동시험에 공력계산이 가능하게 되어 풍동시험과 함께 수치해

†Received : September 1, 2020 Revised : January 18, 2021 Accepted : February 16, 2021
1
Graduate Student, 2 Principal Researcher, 3 Professor
3
Corresponding author, E-mail : sunghoko@cnu.ac.kr, ORCID 0000-0002-6553-4682
Ⓒ 2021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168 차경환․김남균․고성호 한국항공우주학회지

석 결과를 공력예측에 활용하고 있다. 설계되었다. Fig. 1은 NASA CRM의 2.7% 축소 모형


풍동시험의 경우 실제 비행조건과는 다르게 형상 의 형상이다. 이 형상은 AR(aspect ratio)=9.0, 후퇴각
과 공간의 제한된 범위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력 (leading edge sweep angle)=35°이고, 날개의 기준
예측 결과에 대한 보정이 필수적이다. 실측된 시험 면적(   )은 3.01 ft², 날개 폭(b)은 62.47 in, 날개 코
결과는 모형 지지부, 벽면효과, 압력, 흐름각 등에 영 드(  )는 7.45 in이다. 모멘트 중심(MRC)은 노즈로
향을 받게 되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추가적인 보 부터 35.8 in 뒤에 위치하며, 동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정 과정이 수반되어야 한다. 1.177 in 아래에 위치한다[2].
특히 모형 지지부는 풍동시험 시 모형의 자세를
유지시키기 위한 필수적인 장치로, 지지부 적용 시 2.2 CRM 공력예측
모형 주변의 공기 흐름을 변화시켜 공력에 영향을 지금까지 CRM의 공력예측은 미국 NASA와 유럽
미치고 오차를 발생시킨다[1]. 의 ETW, 일본의 JAXA, 프랑스 ONERA에서 풍동시
반면에 수치해석의 경우 오차가 누적될 수 있는 험과 수치해석을 함께 수행하여 정확도 높은 공력
보정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효율적인 분석이 가능 예측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하고 실험에 비해 상세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장 NASA의 NTF(National Transonic Facility)와 Ames
점이 있다. 11-foot Wind tunnel[3]에서 ∞ = 0.85,  = 5×106일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NASA의 CRM 모형을 이용 때, ETW(European Transonic Wind Tunnel)[4]에서
한 Belly sting 모형 지지부 적용 유무에 따른 저속 는 ∞ = 0.25,  =11.6×106일 때, 2.7% 축소 모형에
풍동시험 조건을 통해 발생되는 간섭효과를 수치해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JAXA[5]의 JTWT(JAXA
석으로 예측하고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Transonic Wind Tunnel)에서는 NASA 모형의 80%
축소 모형에 대하여 ∞ = 0.85,  = 2.27×106일 때,
Ⅱ. 형상 및 지지부 ONERA[6]의 S1MA wind tunnel에서는 220% 확대
모형에 대하여 ∞ = 0.85,  = 11.0×106 영역에서 연
2.1 CRM 형상 구를 수행하였다.
Figure 2는 저속에서 공력예측을 수행한 ETW의
본 연구를 위하여 NASA의 CRM 형상을 사용하였
풍동과 수치해석의 일부를 보여주고 있다.
다. 이 형상은 상업용 여객기 형상으로 천음속 영역
인 ∞ = 0.85에서 순항하며, 순항 시   = 0.5가 되도록

(a) CRM mount in the ETW

(b) Pressure difference caused by the support


Fig. 1. Sketch of the CRM with reference system at α=9°
quantities (NASA) [2] Fig. 2. CRM experiment and numerical analysis [4]
제 49 권 제 3 호, 2021. 3. 저속 풍동시험 시 NASA Common Research Model의 … 169

2.3 지지부 간섭효과


CRM 형상의 지지부에 의한 간섭효과는 선행연구
결과를 분석하면 그 영향성을 파악할 수 있다.
Figure 3은 ETW의 Waldmann, A.[4]의 저속 조건
에서의 풍동시험과 수치해석의 비교결과이다.
풍동시험은 Fin sting 모형 지지부로 시행되었으며,
수치해석과 풍동시험 결과 간에 차이가 존재하는 것
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줄이기 위한 노력으로
기본 형상(WBT0)에 지지부를 적용(WBT0ss)하여 해
석을 수행할 경우 시험과의 오차가 줄어드는 것을 볼 Fig. 4. CRM in Wind Tunnel
수 있다. 이는 지지부로 인한 간섭이 공력 성능에 영
향을 미치고 있으며, 지지부에 의한 간섭효과 이외에
Ⅲ. 풍동시험
도 보정해야 할 차이가 여전히 존재함을 알 수 있다.

3.1 소형 아음속 풍동 및 형상
본 연구의 시험데이터는 국방과학연구소 소형 아
음속 풍동에서 수행된 Kim, N. G.[7]의 연구를 참고
하였다.
국과연 소형 아음속 풍동은 폐회로 단일 순환식 풍
동으로 수축비는 1:9로 시험부의 크기는 0.75 m(W)×
0.56 m(H)×2.19 m(L)이다. 풍동시험은 속도 85 m/s,
마하수 0.246, 레이놀즈수는 약 0.3×106 영역에서 수
행되었다[7].
Figure 4는 풍동시험의 사진이며, Belly sting 모형
지지부가 적용되었다. Belly sting 모형 지지부는 싱
글 스트럿 지지부라고도 불리며, 얇은 후방동체와 많
은 제어면(수평꼬리날개, 수직꼬리날개, 벤트럴핀 등)
을 고려할 때 후방 동체에 모형 지지부를 삽입할 수
없을 경우 많이 사용된다[7].

Ⅳ. 수치해석

4.1 지배방정식
본 연구의 유동계산에 사용된 지배방정식의 연속
방정식과 운동량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 
   (1)
 

   
             
′ ′  (2)
   

이때 난류모델은 2-eq.인 SST 모델을 사용하였다


[8]. Menter의 SST 모델은 자유 전단층(free shear
layer)과 내부 영역(outer region)을 각각    모델
과    모델을 적용하여 두 모델의 장점을 취한 난
Fig. 3. Force and moments polars with and without 류 모델이다. 이 모델은 유동의 박리와 역압력 구배
support system at ∞ =0.25,  =11.6×10⁶ 유동 등을 잘 예측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ETW) [4] 운동에너지  와 소산율  는 다음과 같다.
170 차경환․김남균․고성호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  Table 1. Number of meshes in grid independence


             (3) test
   

      Coarse Medium Fine


               ⋯
    
(4) Nodes 5.1×106 13.0×106 26.0×106
  
       
  
Elements 15.0×106 34.0×106 64.0×106
여기서, 각 상수들은 Blended function  에 의해
정의된다. 난류 방정식의 난류 점성 계수는 다음과 4.3.2 격자 민감도 분석
같이 주어진다. 격자 테스트는 Waldmann, A.[4]의 연구조건( ∞
 =0.25,  =11.6×106)에서 상대적으로 모형 주변의 유
    (5)
max    동 변화가 큰 받음각 9°일 때에 대하여 수행하였다.
Table 2는 격자수에 따른 공력계수를 비교한 결과
여기서 S는 변형률의 측정값이고,  는 다음과 같다. 이다. 공력계수의 차이는 Fine 격자를 기준으로 양·
항력은 2% 이내로 편차가 작았다. 반면에 피칭모멘
   트는 각각 3%, 6%로 양·항력보다 큰 차이를 보였다.
  tanhmax 
 
  (6)
   따라서 본 해석에서는 피칭모멘트의 영향을 고려했
을 때 Medium 격자가 본 해석에 효율적일 것으로
4.2 CRM 형상
판단하여 본 연구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CRM 형상은 실측 대비 0.8%로 4.3.3 공력계수 비교
국과연 풍동시험과 동일한 축소모형을 사용하였다.
본 계산에 앞서 격자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기
NASA 형상의 29.7% 축소된 크기이며, Belly sting
위해 선행연구의 수치해석 데이터[4]와 공력비교를
모형 지지부의 치수는 Fig. 5와 같다.
수행하였다. 공력은 지지부 적용에 따른 공력변화에
지지부는 fuselage 후단에 장착되며, nose로부터
대한 비교를 위해 민감도 분석으로 선정한 격자를
약 12 in 뒤에 위치한다. 공력계산을 위한 날개 기준
기준으로 fin 지지부를 추가하여 지지부 적용 유무에
면적(   )은 0.27 ft²이며, 날개 폭(b)은 18.56 in, 날
대한 공력계수를 Fig. 6에 함께 비교하였다.
개 코드(  )는 2.80 in이다.
비교 결과 선행연구의 데이터와 각각 유사함을 확
4.3 격자테스트 인하였다. 하지만 본 계산이 받음각 8° 이상에서 양
력을 작게, 항력을 크게 예측하였으나, 가장 차이가
4.3.1 격자 구성
큰 받음각 10°의 양력을 비교 시에는 약 3%의 작은
격자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지지부가 없는 차이를 보였다. 피칭모멘트는 모형 표면에서 받는 힘
형상에 대하여 격자수를 달리한 3개의 케이스로 테스 을 모멘트중심에서 계산한 값으로 모형 주위의 유동
트를 진행하였다. 격자는 형상구현이 비교적 용이한 변화를 예측하는 데서 오는 차이로 선행연구와의 표
비정렬(Tetra/Prism) 타입의 격자로 구성하였으며, 면 및 공간격자 크기, 격자 구성 방식에 따른 차이로
Coarse 격자 대비 약 2배, 4배의 격자를 생성하여 민 판단된다.
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생성한 격자수는 Table 1과 본 연구에 적용한 격자(Tetra/Prism)와 달리 선행
같다. 연구[4]는 지지부 주변뿐만 아니라 동체와 교차하는
영역 등에 정렬(Hexahedral) 타입의 격자를 구성하여
코너 유동의 정밀한 예측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Table 2. Result of grid independence test

  

Fine 0.057 0.977 -0.220

Medium 0.058 0.971 -0.214

Coarse 0.059 0.958 -0.200


Fig. 5. Sketch of Belly sting model support
제 49 권 제 3 호, 2021. 3. 저속 풍동시험 시 NASA Common Research Model의 … 171

Fig. 7. Volume mesh of Belly sting model


Table 3. Number of meshes

Case Nodes Elements


6
No support 11.8×10 32.0×106
Belly support 12.0×106 33.0×106

4.4 솔버&경계조건
공력해석을 위해 사용한 코드는 ANSYS CFX를 사
용하였다. CFX solver는 공력 예측 워크샵(DPW Ⅱ,
Ⅲ)에서 DLR-F6의 항력예측에 대한 검증을 선보인
바 있으며, 정확도 높은 결과를 보여주었다[9].
해석은 국과연의 시험과 동일 조건인  = 0.3×106,
대기압 1 atm, 상온 25℃에서 이루어졌다. 또한 입구
유속은 ∞ = 0.25에 해당하는 85 m/s, 출구는 대기압
으로 설정하였으며, 난류모델은 SST 난류모델을 적
용하였다.
4.5 계산결과
본 연구의 Belly sting 모형 지지부 유무에 따른 공
력해석 결과와 풍동시험 결과를 함께 비교하였다.
Figure 8은 지지부 유무에 대한 CFD 비교와 동시
에 경향성을 확인하기 위해 시험 데이터와 함께 나
타내었으며, 비교 결과 지지부를 적용할 경우 시험결
과와 전체적인 경향은 유사하나 결과값의 차이는 크
게 나타났다. 그 이유는 경향성을 확인하기 위해 함
께 비교하였지만 풍동시험 데이터의 경우 벽면효과
의 보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결과로 판단된다. 풍동
벽면효과의 경우 받음각이 커질수록 유동방향과 수
Fig. 6. Lift, drag and pitching moment over
직하게 만나는 모형의 단면적이 늘어나면서 주유동
angle of attack 방향 이외의 유동성분이 증가하기 때문에 후류 및
벽면의 영향을 좀 더 받기 때문이다.
4.3.4 격자 생성
따라서 실험값과 동시에 비교가 어려우므로 수치
민감도 분석으로 선정한 격자를 기준으로 국과연 해석의 결과만 갖고 Belly sting 모형 지지부 유무에
scale에 맞게 격자를 구성하였다. Fig. 7은 CRM의 격 대해 고찰하였다.
자 구성 모습이며, 격자수는 Table 3과 같다. 공력계 수치해석의 양·항력을 비교한 결과 저 받음각에서
산에 중요한 표면 격자는 코드길이 대비 최대/최소 는 양력이, 고 받음각에서는 항력의 차이가 발생하였
비율은 0.04%에서 1.5% 사이의 크기로 작성하였으며, 다. 그 차이는 각각 최대 Δ0.0601, Δ0.0098이다. 해당
벽면 첫 번째 격자는 ave. y+ ~1 수준으로 격자를 생 지지부 적용 여부에 따른 공력변화는 아래와 같이
성하였다. 유동분포를 통해 확인하였다.
172 차경환․김남균․고성호 한국항공우주학회지

(a) Upper surface contour (No vs Belly)

(b) Lower surface contour (No vs Belly)


Fig. 9. Surface pressure coefficient contour, α=0°

Fig. 8. Lift, drag and pitching moment over (a) Upper surface contour (No vs Belly)
angle of attack(  =0.3×106)

Figures 9와 10을 통해 받음각 0°와 8°일 때 표면


압력계수를 비교하였다. 지지부를 적용할 경우 9(b)
와 9(a) 같이 지지부 전단 및 주날개 아랫면의 표면
압력이 증가하였으며, 주날개 윗면의 표면압력이 감
소하였다. 이는 지지부로 인해 정체점이 생성되어 지
지부 전단의 압력이 상승하였으며, 지지부 후단은 후
류의 영향으로 압력이 낮아졌기 때문이다. 지지부로
인한 압력 변화는 동체 하단의 압력에 영향을 미치
며, 지지부와 가까이 위치한 주날개의 압력에도 영향
을 미쳤기 때문이다. 또한 지지부의 간섭효과는 받음
각이 큰 8°일 때 지지부 주변의 압력변화가 0°에 비 (b) Lower surface contour (No vs Belly)
해 커진 것을 볼 수 있다. Fig. 10. Surface pressure coefficient contour, α=8°
제 49 권 제 3 호, 2021. 3. 저속 풍동시험 시 NASA Common Research Model의 … 173

(a) Upper surface streamline (No vs Belly) (a) Upper surface streamline (No vs Belly)

(b) Lower surface streamline (No vs Belly) (b) Lower surface streamline (No vs Belly)
Fig. 11. Surface streamline, α=0° Fig. 12. Surface streamline, α=8°

Figures 11과 12를 통해 받음각 0°와 8°일 때 표면 보였다. 공력 값의 차이는 풍동의 벽면효과가 보정되
의 streamline을 비교하였다. 받음각 0°일 때 11(a)의 지 않은 데이터와의 비교로 절대적인 비교는 어려운
유선 분포는 유사하지만 11(b)의 아랫면은 지지부 적 것으로 판단된다.
용으로 인해 지지부 후방, 꼬리날개의 유선분포가 크 Belly sting 모형 지지부 유무에 따른 공력비교 결
게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Fig. 10(a)의 윗면 과 양·항력이 달라졌으며, 확인 결과 지지부를 적용
압력분포를 보면 주날개의 압력분포는 유사하였으나, 할 경우 지지부의 간섭효과에 의해 지지부 주변의
12(a)를 보면 받음각이 커질 경우 주날개 윗면의 유 압력분포가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동흐름이 크게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위와 같이 비교를 통해 전산해석의 공력 결과가
풍동시험과 유사한 경향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풍동
Ⅴ. 결 론 시험에서는 관찰할 수 없는 상세한 유동장 고찰을
통해 지지부 여부에 따른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세한 분석이 가능하며 실험 조건이 아닌 실제 환
저속 풍동시험 시 Belly sting 모형 지지부 유무에
경 조건에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을 살려 실험
의한 간섭효과를 수치해석적 방법을 수행하여 비교
과 병행하여 전산해석을 상호 보완하는 도구로 활용
고찰하였다.
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선행연구와 같은 조건으로 격자 민감도 분석을 수
행한 결과 적절한 격자 크기를 결정하였으며, 받음각
에 따른 공력결과와 비교 시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후 기
지지부 효과를 예측하기 위해 풍동시험 결과와
Belly sting 모형 지지부의 수치해석을 같이 비교한 이 연구는 충남대학교 학술연구비에 의해 지원되
결과 공력계수 값은 차이를 보였지만, 유사한 경향을 었음.
174 차경환․김남균․고성호 한국항공우주학회지

References 5) Seigo, K., Masataka, K., Makoto, U. and


Kazuyuki, N., “Analysis of NASA Common
1) Kreeke, C. van de., Verriere, J. and Quemard, Research Model Dynamic Data in JAXA Wind
G., “The Interference of the Model Support Mast Tunnel Tests,” AIAA 2013-0495, January 2013.
with Measurements of Longitudinal and Lateral 6) Aurelia, C., David, H., Quentin, C. and
Aerodynamic Coefficients,” NASA TT-20079, August Olivier, A., “Experimental investigations on the
1987. Common Research Model at ONERA-S1MA–
2) Rivers, M. B. and Dittberner, A., “Experi- Comparison with DPW Numerical Results,” AIAA
mental Investigation of the NASA Common 2017-0964, January 2017.
Research Model(Invited),” AIAA 2010-4218, August 7) Kim, N. G., Lee, J. H. and Ko, S. H., “Study
2010. for Reducing the Near Field Interference of Belly
3) Rivers, M. B. and Dittberner, A., “Experi- Sting Model Support with Fairing,” Journal of the
mental Investigations of the NASA Common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Vol.
Research Model in NASA Langley National Tran- 48, No. 10, 2020, pp. 753~763.
sonic Facility and NASA Ames 11-ft Transonic Wind 8) Menter, F. R., “Zonal two-equation k-ω
Tunnel(Invited),” AIAA 2011-1126, January 2011. turbulence model for aerodynamic flows,” AIAA
4) Waldmann, A., Lutz, T. and Krämer, E., Paper 1993-2906, July 1993.
“Wind Tunnel Support System Influence on NASA 9) Langtry, R. B., “Drag Prediction of Engine-
Common Research Model at Low Speed Conditions,” Airframe Interference Effects with CFX-5,” Journal of
AIAA 2016-3655, June 2016. aircraft, Vol. 42, No. 6, January 2004, pp. 1523~1529.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