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기업과증권시장의이해 1장 과제

1. 주식회사(corporation)가 현대사회에서 대표적인 기업형태가 된 배경을 설명하시오.


주식회사의 기원은 17세기 영국의 동인도회사(East India Company)이다. 17세기에
는 유럽 열강이 전 세계에 식민지를 건설하고 다양한 물품을 수입·수출함으로써 막대한 부를
축적했다. 영국이 그 국가들 중 하나였으며, 특히 인도에서 후추 등의 향신료를 수입하였다.
그런데 수입하는 과정에는 해적, 폭풍 등으로 인한 손실의 위험이 있었고, 이 위험을 줄이기
위하여 여러 명이 자금을 각출하여 회사를 설립하였다. 이로써 투자자들이 갖는 회사에 대한
책임이 줄어들었다.
그러나 현대적인 형태의 기업은 제2차 산업혁명 당시에 탄생했다고 볼 수 있다. 제2
차 산업혁명 때에는 내연기관의 발명이 수많은 분야로 파급하였다. 철강, 화학, 전기, 자동차
관련 산업이 크게 발전하였고, 대량생산이라는 새로운 생산 방식이 도입되었다. 이러한 신기
술 개발을 위한 투자 및 대량생산을 위해서는 회사의 규모가 더욱 커져야 했고, 동시에 대규
모 자본이 요구되었다. 그렇기에 국가 및 소수의 재력가만이 아닌 일반 대중으로부터 투자를
받았다. 기업이 파산한다고 하여도 자신이 투자한 만큼의 손실만 감수하는 ‘유한책임’의 개념
이 도입되며 사람들이 기업에 적극적으로 투자할 여건이 마련되기도 하였다. 회사에 투자한
사람들이 점점 많아졌기에 이들 모두가 경영에 참여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그래서 주주와 경
영인이 분리되며 현대사회의 대표적인 형태의 기업이 탄생하였다.
한편 시장경제체제를 도입한 자본주의 국가와는 달리, 계획경제체제를 도입한 공산주
의 국가에서는 정부와 국영기업이 생산과 분배를 주도하였으나 계획경제체제는 결국 붕괴하였
고, 이러한 체제하에 존재했던 형태의 기업은 도태되었다.

2. 기업의 지배구조란 무엇인지 그리고 기업 지배구조가 기업에 왜 중요한지 설명하시오.


기업의 지배구조는 기업 경영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는 주주, 국부펀드, 경영인, 기
업 내 종업원 등 이해관계자 간의 관계를 조정하는 메커니즘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기업의 경
영권을 누가 행사하느냐를 규율하는 것이다. 기업의 이해관계자가 다양해진 만큼 대리인문제
도 다양한 양상을 띤다는 문제가 있다.
기업의 지배구조의 정점에는 주주가 있고, 전통적으로도 기업 가치의 극대화를 통한
주주 이익의 극대화가 기업 경영 목표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중시되고,
기업에 대한 사회적 압력이 강화됨으로써 주주 외의 이해관계자를 고려하는 것이 기업 경영의
올바른 방향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가 일어난 이유로는 첫째 기업의 사회경제적
영향이 확대된 것은 물론 이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고, 둘째 기업이 저지른 비도덕적·비윤리적
행태가 부각된 부정적 사건이 다수 발생했으며, 셋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이 장기적인 발
전에 도움이 된다는 주장이 받아들여지고 있다는 것이 있다. 특히 요즘에는 기업의 사회적 책
임이 강조된다. 포춘지에서 매년 ‘가장 존경 받는 기업’ 10개를 발표하고, 국내 한국능률협회
컨설팅에서도 ‘한국에서 가장 존경 받는 기업’ 순위를 공개하는데, 투자자들은 투자 대상을 선
정할 때 위 사항을 고려하는 것이 그 예이다.

3. 대리인이론을 설명하고 현실에서 대리인문제가 기업 경영의 걸림돌이 된 예를 제시하시오.


대리인 이론이란 주인이 자신의 이해와 관계된 의사 결정 및 행위를 대리인에게 맡
길 때 발생하는 문제를 다룬 이론을 말하는 것으로, 1976년 젠센(Jensen)과 메클링(Meckling)
이 처음 제안하였다. 대리인 문제는 현실에서 주주(주인)와 전문 경영인(대리인)의 관계에서
나타난다. 전문 경영인은 주주보다 전문적인 경영이 가능하므로 기업의 가치를 극대화하는 데
더 효과적이다. 그러나 전문 경영인이 회사의 물적·인적 자원의 남용 혹은 잘못된 의사 결정
을 통해 주주 및 기업의 이익보다 자신의 이익을 위해 행동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것이 대리인 문제이다. 대리인 문제는 경영진이 과도한 특권을 누리거나, 높은 보수를 지급
받는 것부터 이사회의 독립성, 소액 주주 및 국부 펀드 등 기관투자자의 주주권 행사와 이로
인해 영향 받는 기업 가치 그리고 터널링(tunneling)과 프로핑(propping)처럼 다양하게 나타
난다.
대리인 문제가 기업 경영의 걸림돌이 된 예로는 대표적으로 KT가 있다. KT는 국민
연금관리공단, 미래에셋자산운용, 외국인 등 국내외 투자기관에 주주권이 크게 분산되어 있어
실질적인 지배 주주가 없다. 그래서 경영인에 대한 주주들의 간섭이 심하지 않다는 특징이 있
고, 이는 대리인 문제를 일으켰다. 황창규 전 회장, 이석채 전 회장, 남중수 사장 등이 주주의
감시를 피하여 뇌물 제공, 횡령, 부정 채용, 낙하산 인사 등을 저질렀다. 이러한 상황으로 인
해 KT는 중장기적 기업 전략이나 사업의 연속성을 보장할 수 없었고, 이는 기업 경영에 분명
한 타격을 주었다. 또한 20000년대 초 미국의 에너지 기업 엔론(Enron)도 대리인 문제 때문
에 결국 파산에 이르렀다. 엔론 전문 경영진은 자신의 이익을 위해 분식 회계로 성과를 조작
하였고, 주주의 감시 소홀이 합쳐져 38억 달러 규모의 회계 부정 비리가 있었다. 결국 엔론의
전문 경영진은 이익을 얻고, 주주는 피해를 받으며 최악의 대리인 문제로 기록되었다.
대리인 문제은 여러 방안을 통해 해결 가능하다. 첫째, 많은 양의 지분을 소유하는
대주주가 있는 것이다. 이 경우, 대주주가 전문 경영인에게 압력을 행사할 수 있으므로 전문
경영인이 대리인 문제를 쉽게 일으킬 수 없다. 둘째, 사외이사제를 실시하는 것이다. 기업 경
영에 전문성을 띠는 사외이사를 선임하고 그가 전문 경영인을 감시하게 함으로써 대리인 문제
를 예방할 수 있다. 셋째, 스톡옵션제를 시행한다. 전문 경영인에게 회사의 주식을 제공하는
것이다. 스톱옵션제를 시행한다면 회사 가치에 따라 자신의 이익도 변동하므로 전문 경영인은
도덕적 해이를 저지르지 않고 회사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이외에도 국민
연금의 기업 경영 간접 참여, 소액 주주 운동, 관련 법률 제정 등으로 대리인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