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6

자습서 수학 5-1

차례

1 . 자연수의 혼합 계산 2쪽

2. 약수와 배수 11쪽

3. 규칙과 대응 22쪽

4. 약분과 통분 31쪽

5. 분수의 덧셈과 뺄셈 39쪽

6. 다각형의 둘레와 넓이 47쪽

단원 평가 대비북 55쪽
정답과 풀이 본책

한번 더
한번 더 익힘 12~13쪽

2 ⑴ 25 ⑵ 8
1 자연수의 혼합 계산
1   ( ◯ ) (
3⑴> ⑵>
)

4 식 25+28-31=22 답 22명
한번 더
한번 더 익힘 8~9쪽
1 ( )가 있는 식은 ( ) 안을 먼저 계산합니다.
1   (왼쪽부터) 13, 24, 24
2 ⑴ 22-4+7=18+7=25
2 ⑴ 16 ⑵ 18 ⑶ 150 ⑷ 512 ①
3 5500 g 4⑴< ⑵> ②

⑵ 27-(11+8)=27-19=8
1 20-7+11=24 ①
① ②
13
② 3 ⑴ 16-3+4=13+4=17,
24 ⑴ 40-(24+5)=40-29=11
2 ⑴ 14-6+8=8+8=16 ⑴ ⇨ 16-3+4 > 40-(24+5)
⑵ 16+9-7=25-7=18 ⑵ 72+9-5=81-5=76,
⑶ 25_6=150 ⑴ 80-(15+5)=80-20=60
⑷ 128_4=512 ⑴ ⇨ 72+9-5 > 80-(15+5)

3 지점토 전체의 무게는 250_22=5500 (g)입니다. 4 안경을 쓰지 않은 학생은


25+28-31=53-31=22(명)입니다.
4 ⑴ ‌357/3=119, 960/6=160
⇨ 357/3 < 960/6
⑵ ‌768/8=96, 819/9=91
⇨ 768/8 > 819/9

한번 더
한번 더 척척 11쪽 한번 더
한번 더 척척 15쪽

1   ⑴ 70, 24 / 풀이 참조 1   ⑴ 63, 63 / 풀이 참조


1   ⑵ 75, 75 / 풀이 참조 1   ⑵ 242, 2 / 풀이 참조

1 ⑴ 65-18+23=47+23=70 1 ⑴ 42_9/6=378/6=63
① ①
② ②

65-(18+23)=65-41=24 (42_9)/6=378/6=63
① ①
② ②

⑴  ‌왼쪽 식의 계산 결과는 70이고, 오른쪽 식의 ⑴  ‌왼쪽 식의 계산 결과와 오른쪽 식의 계산 결


계산 결과는 24로 서로 다릅니다. 과는 63으로 같습니다.
⑵ 72+13-10=85-10=75 ⑵ 88/4_11=22_11=242
① ①
② ②

72+(13-10)=72+3=75 88/(4_11)=88/44=2
① ①
② ②

⑴ ‌ ‌왼쪽 식의 계산 결과와 오른쪽 식의 계산 결 ⑴  ‌왼쪽 식의 계산 결과는 242이고, 오른쪽 식


과는 75로 같습니다. 의 계산 결과는 2로 서로 다릅니다.

2 수학 5-1 자습서
정답 과 풀이
한번 더
한번 더 익힘 16~17쪽 1 덧셈, 뺄셈, 곱셈이 섞여 있는 식에서 ( )가 없으
면 곱셈을 먼저 계산하고, ( )가 있으면 ( )
1   ( )( ◯ ) 2 ⑴ 4 ⑵ 72 안을 먼저 계산합니다.
3 40/4_2=20
4 식 20_4/8=10 답 10개 2 ⑴ 72-6_7+3=72-42+3

=30+3

1 곱셈과 나눗셈이 섞여 있는 식은 앞에서부터 차례 ③ =33
대로 계산합니다. ⑵ 47+91_(6-2)=47+91_4
2 ⑴ 14_2/7=28/7=4

=47+364



=411

3 ㉮ 127-18+10_3‌=127-18+30
⑵ 27_8/3=216/3=72
① =109+30=139
② ㉯ 127-(18+10)_3=127-28_3
3 40/4_2=10_2=20 =127-84=43
따라서 ㉮와 ㉯의 계산 결과의 합은
4 한 명이 가질 수 있는 호두과자는
139+43=182입니다.
20_4/8=80/8=10(개)입니다.
4 남은 용돈은
5000-(800_3+500)
=5000-(2400+500)
한번 더
한번 더 척척 19쪽 =5000-2900=2100(원)입니다.

1   ⑴ 13, 49 ⑵ 54, 17


기초 탄탄 1 22~23쪽
1 ⑴ 18+7_3-26=18+21-26

=39-26 1   (왼쪽부터) 55, 36, 55, 36


=13 2② 3

(18+7)_3-26=25_3-26
4 <, <

=75-26
② 5 8_12에 ◯표 / 9-2에 ◯표
=49
③ 6 ⑴ 92 ⑵ 178
⑵ 61-17+5_2=61-17+10 7 식 25_2/5=10 답 10개
② ①
=44+10 8 가장 클 때: 1047, 가장 작을 때: 692

=54
61-(17+5)_2=61-22_2
1 52+3-19=55-19=36


=61-44 55


=17 ②
36
2 ① ‌30-(3+5)=30-8=22
30-3+5=27+5=32
한번 더
한번 더 익힘 20~21쪽 ② ‌41+(21-12)=41+9=50
41+21-12=62-12=50
1   ( )( ◯ ) 2 ⑴ 33 ⑵ 411
③ ‌25-(3+12)=25-15=10
3 182
25-3+12=22+12=34
4 식 5000-(800_3+500)=2100
④ ‌20-(8-4)=20-4=16
4 답 2100원
20-8-4=12-4=8

정답과 풀이 3
정답과 풀이 본책

⑤ ‌53-(10+7)=53-17=36 5  ‌(나누어 줄 수 있는 사람 수)
53-10+7=43+7=50 =(연필 8타)/(나누어 줄 연필의 수)
따라서 ( )가 없어도 계산 결과가 같은 식은 ② =12_8/3
입니다. =96/3=32(명)입니다. / 32명
3 3_16/4=48/4=12 6 ②, ④
30/(6_5)=30/30=1 7  ‌뺄셈과 곱셈이 섞여 있는 식은 곱셈을 먼저
계산해야 합니다. /
16_(14/7)=16_2=32
4 28/7_2=4_2=8, 97-(16+3)_5=97-19_5
18_3/6=54/6=9 7
① =97-95
⇨ 28/7_2 < 18_3/6

=2

72/(4_6)=72/24=3,
8 109
(12_4)/8=48/8=6
9 149-(24+3)_2=95
⇨ 72/(4_6) < (12_4)/8
10 29
5 덧셈, 뺄셈, 곱셈이 섞여 있는 식에서 ( )가 없으
면 곱셈을 먼저 계산합니다. ⇨ 8_12에 ◯표 1 ⑴ 44-17+13=27+13=40
( )가 있는 식은 ( ) 안을 먼저 계산합니다. ⑵ 37-23+4=14+4=18
⇨ 9-2에 ◯표 ⑶ 23-(9+8)=23-17=6
⑷ 16-(4+2)=16-6=10
6 ⑴ 36+19_4-20=36+76-20

=112-20

=92 2 15_4/2=60/2=30,

30/2_5=15_5=75
11_(17-3)+24=11_14+24

⇨ 15_4/2 < 30/2_5

=154+24

=178

3 ㉠ 46-12+16=34+16=50
7 한 바구니에 들어 있는 달걀은 ㉡ 16_5/8=80/8=10
25_2/5=50/5=10(개)입니다. 따라서 ㉠과 ㉡의 계산 결과의 합은 50+10=60
입니다.
8 계산 결과가 가장 큰 식을 만들려면 곱하는 수가 가
장 커야 하고, 계산 결과가 가장 작은 식을 만들려
면 곱하는 수가 가장 작아야 합니다. 4 ㉠ 62+4_3-35=62+12-35
=74-35=39
⇨ ‌계산 결과가 가장 클 때는
㉡ 3_21-6+90=63-6+90
70_(7+8)-3=70_15-3
=57+90=147
=1050-3=1047
㉢ 58+29_7-42=58+203-42
⇨ ‌계산 결과가 가장 작을 때는
=261-42=219
⇨ 70_(3+7)-8=70_10-8
따라서 계산 결과가 가장 큰 것은 ㉢입니다.
=700-8=692

5 채점 기준
나누어 줄 수 있는 사람 수를 하나의 식으

로 나타내어 답을 바르게 구함.
실력 쑥쑥 1 24~25쪽 나누어 줄 수 있는 사람 수를 하나의 식으
로 나타내었으나 계산 과정에서 실수하여 중
1   ⑴ 40 ⑵ 18 ⑶ 6 ⑷ 10 답이 틀림.
2< 3 60 나누어 줄 수 있는 사람 수를 하나의 식으

4㉢ 로 나타내지 못하여 답이 틀림.

4 수학 5-1 자습서
정답 과 풀이
6 덧셈, 뺄셈, 곱셈이 섞여 있는 식에서 ( )가 없 ⑵ 60/15-3+19=4-3+19
으면 곱셈을 먼저 계산해야 하므로 9_8을 가장 ①
=1+19

먼저 계산합니다. ③
=20
이때 계산 결과는
60/(15-3)+19=60/12+19
35+9_8-39=35+72-39 ①
=5+19
35+9_8-39=107-39=68입니다. ②
③ =24
7 채점 기준
잘못 계산한 곳을 찾아 까닭을 쓰고 바르게

계산함. 한번 더
한번 더 익힘 28~29쪽
잘못 계산한 곳을 찾아 까닭을 썼으나 미흡
함.
중 1   재하 2 ⑴ 17 ⑵ 33
잘못 계산한 곳을 찾지 못하고 까닭을 쓰지 3 풀이 참조

못함.
1 덧셈, 뺄셈, 나눗셈이 섞여 있는 식에서 ( )가 없
8 24+(17-3)_6=24+14_6 으면 나눗셈을 먼저 계산하고, ( )가 있으면
=24+84=108 ( ) 안을 먼저 계산합니다.
따라서 108< 이므로 안에 들어갈 수 있는 따라서 계산 순서를 바르게 나타낸 친구는 재하입
가장 작은 자연수는 109입니다. 니다.
9 (149-24)+3_2=125+3_2 2 ⑴ 25+35/5-15=25+7-15
=125+6=131 ①
=32-15

149-(24+3)_2=149-27_2 =17

=149-54=95
⑵ (44-11)/3+22=33/3+22
149-24+(3_2)=149-24+6 ①
=11+22
=125+6=131 ②
=33
따라서 24+3을 ( )로 묶어 계산하면 식이 성 ③

립합니다. 3 30+(19-7)/6‌=30+12/6

=42/6
10 어떤 수를 라고 하면 ②
=7
15_7-( +8)=68, 105-( +8)=68, ③

+8=105-68, +8=37, 바른 계산 30+(19-7)/6‌=30+12/6


=37-8, =29입니다. ①
=30+2

③ =32

한번 더
한번 더 척척 31쪽

한번 더
한번 더 척척 27쪽 1   45, 44
1   ⑴ 85, 92 ⑵ 20, 24 1 62-21+6_2/3‌=62-21+12/3

=62-21+4
1 ⑴ 24/6-3+84=4-3+84 ③ ②
=41+4

=1+84 ④
② =45

=85
62-(21+6)_2/3‌=62-27_2/3
24/(6-3)+84=24/3+84 ①
=62-54/3

=8+84 ②
=62-18
② ③
③ =92 ④ =44

정답과 풀이 5
정답과 풀이 본책

한번 더
한번 더 익힘 32~33쪽 2 ⑴ 34-18/3+21=34-6+21=28+21=49
⑵ 83+(62-13)/7=83+49/7
1   ㉡, ㉢, ㉠, ㉣ 2 10 =83+7=90
39
4 39-25/5+11_7=111 3 24+25/5-13
=24+5-13=29-13=16,
1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이 섞여 있는 식은 곱셈과 14/2+7-5=7+7-5=14-5=9
나눗셈을 먼저 계산합니다. ⇨ 24+25/5-13 > 14/2+7-5
따라서 계산 순서는 ㉡, ㉢, ㉠, ㉣입니다. (40-36)/2+11=4/2+11=2+11=13,
17-(18+7)/5=17-25/5=17-5=12
2 47-10_4+15/5‌=47-40+15/5
⇨ (40-36)/2+11 > 17-(18+7)/5
① ②
=47-40+3

=7+3 4 ㉠ ‌(20/5)+12-4=4+12-4=16-4=12

=10 20/5+12-4=4+12-4=16-4=12
㉡ ‌(21-14)/7+5=7/7+5=1+5=6
3 ㉮ 29+36/6-7_3‌=29+6-7_3
21-14/7+5=21-2+5=19+5=24
=29+6-21
따라서 ( )가 없어도 계산 결과가 같은 식은 ㉠
=35-21=14
입니다.
㉯ 37-(16+4)/5_8‌=37-20/5_8
=37-4_8 5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이 섞여 있는 식은 곱셈과
=37-32=5 나눗셈을 먼저 계산합니다.
따라서 ㉮와 ㉯의 계산 결과의 차는 14-5=9입니 곱셈과 나눗셈이 섞여 있는 식은 앞에서부터 차례
다. 대로 계산해야 하므로 가장 먼저 계산해야 하는 부
분은 ㉡입니다.
4 39에서 25를 5로 나눈 몫을 뺀 다음 11과 7의 곱
39 25/5 - 11_7 6 57-38/2_3+41=57-19_3+41
을 더한 수
+ =57-57+41=41
⇨ 39-25/5+11_7=39-5+11_7 67- 47+13 /5_3=67-60/5_3
( )
=39-5+77 =67-12_3
=34+77=111 =67-36=31
7 ㉠ 46-10_3+27/3=46-30+27/3
=46-30+9
=16+9=25
기초 탄탄 2 34~35쪽
㉡ 48/8_4-17+14=6_4-17+14
1   (왼쪽부터) 52, 13, 36, 52, 13, 36 =24-17+14
2 ⑴ 49 ⑵ 90 3 >, > =7+14=21
4㉠ 5㉡ ㉢ (60-9)/3+13_2=51/3+13_2
6( )( ◯ ) 7 ㉢, ㉠, ㉡ =17+13_2
8 식 10000-(1200_2+3500/5+900)=6000 =17+26=43
8 답 6000원 따라서 계산 결과가 큰 것부터 차례대로 기호를 쓰
면 ㉢, ㉠, ㉡입니다.
1 (73-21)/4+23=52/4+23 8 카레 3인분을 만들기 위해 재료를 사고 남은 돈은
① =13+23 10000-(1200_2+3500/5+900)
52 =36

=10000-(2400+3500/5+900)
13 =10000-(2400+700+900)
③ =10000-(3100+900)
36 =10000-4000=6000(원)입니다.

6 수학 5-1 자습서
정답 과 풀이
따라서 ㉮와 ㉯의 계산 결과의 차는 49-25=24
실력 쑥쑥 2 36~37쪽
입니다.
1   ⑴ 12 ⑵ 20 ⑶ 28 ⑷ 9
5 채점 기준
2< 3
남은 사탕의 수를 하나의 식으로 나타내어

답을 바르게 구함.
4 24
남은 사탕의 수를 하나의 식으로 나타내었
5  ‌(남은 사탕의 수) 중
으나 계산 과정에서 실수하여 답이 틀림.
=(포도 맛 사탕의 수)
남은 사탕의 수를 하나의 식으로 나타내지
=/(나누어 담은 봉지의 수) 못하여 답이 틀림.

=+(사과 맛 사탕의 수)-(먹은 사탕의 수)
5  =30/6+15-8 6 채점 기준
5  =5+15-8=20-8 잘못 계산한 곳을 찾아 까닭을 쓰고 바르게

5  =12(개)입니다. / 12개 계산함.
6  ‌뺄셈과 나눗셈이 섞여 있는 식은 나눗셈을 잘못 계산한 곳을 찾아 까닭을 썼으나 미흡

먼저 계산해야 합니다. / 함.
(5+21)_4-20/4=26_4-20/4 잘못 계산한 곳을 찾지 못하고 까닭을 쓰지

① =104-20/4 못함.
② ③

=104-5
=99 7 54/ ( +3 )_7-15 을 앞에서부터 차례대로
계산하면 69이므로
7 27 8 12
54/ +3_7-15=69에서
9/
54/ +3_7=69+15,
10 가장 클 때: 26, 가장 작을 때: 6
54/ +3_7=84,
1 ⑴ 19+40/8-12=19+5-12 54/ +3=84/7, 54/ +3=12,
=24-12=12 54/ =12-3, 54/ =9,
⑵ 112/(15-8)+4=112/7+4 =54/9, =6입니다.
=16+4=20 따라서 바르게 계산한 값은
⑶ 46-3_8+12/2=46-24+12/2 54/(6+3)_7-15=54/9_7-15
=46-24+6 =6_7-15
=22+6=28 =42-15=27
⑷ 12+(54/9)_8-51=12+6_8-51 입니다.
=12+48-51 8 114-(30+ )/6_15=9에서
=60-51=9 (30+ )/6_15=114-9,
(30+ )/6_15=105,
2 24+12/6-5=24+2-5=26-5=21, (30+ )/6=105/15, (30+ )/6=7,
43-18/3+20=43-6+20=37+20=57 30+ =7_6, 30+ =42,
⇨ 24+12/6-5 < 43-18/3+20 =42-30, =12입니다.

9 29-(15+12) 9_6=11에서 ( ) 안을 가
3 13+16/4-3=13+4-3=17-3=14 장 먼저 계산해야 하므로 29-27 9_6=11
26-(14+7)/3=26-21/3=26-7=19 •29-27 + 9_6‌=29-27+54
99/(6+5)-7=99/11-7=9-7=2 =2+54=56
•29-27 - 9_6=29-27-54=2-54
4 ㉮ 19+(32-8)/4=19+24/4=19+6=25 •29-27 _ 9_6=29-243_6
㉯ 19+32-8/4=19+32-2=51-2=49 =29-1458

정답과 풀이 7
정답과 풀이 본책

•29-27 / 9_6=29-3_6=29-18=11 01 ⑴ 16+4-12=20-12=8


따라서 안에 알맞은 기호는 /입니다. ⑵ 62/2_4=31_4=124
⑶ 58+8-12_5=58+8-60=66-60=6
10 계산 결과가 가장 큰 식을 만들려면 곱해지는 수
⑷ 50/5+21-19=10+21-19=31-19=12
가 가장 커야 하고, 계산 결과가 가장 작은 식을
만들려면 곱해지는 수가 가장 작아야 합니다. 02 ⑴ ‌덧셈과 뺄셈이 섞여 있는 식에서 ( )가 있으
⇨ 계산 결과가 가장 클 때는 면( ) 안을 먼저 계산합니다.
⇨ (4+8)_7/3-2=12_7/3-2 ⇨ 25+12에 ◯표
=84/3-2 ⑵ ‌곱셈과 나눗셈이 섞여 있는 식은 앞에서부터
=28-2=26 차례대로 계산합니다. ⇨ 72/9에 ◯표
⇨ 계산 결과가 가장 작을 때는
03 덧셈, 뺄셈, 곱셈이 섞여 있는 식에서 ( )가 있
⇨ (2+4)_7/3-8=6_7/3-8 으면 ( ) 안을 먼저 계산합니다.
=42/3-8 따라서 덧셈을 가장 먼저 계산합니다.
=14-8=6
04 29에서 35를 7로 나눈 몫을 뺀 다음 8을 더한 수
29 35/7 - 8 +
⇨ 29-35/7+8=29-5+8=24+8=32

05 47-35+5_12=47-35+60
=12+60=72
42/6+13-11=7+13-11=20-11=9
따라서 계산 결과가 더 작은 쪽은
42/6+13-11입니다.
06 두 식에 46이 공통으로 들어 있으므로
단원 평가 46~48쪽 25+46_2=117에서 46 대신에 (73-27)을 넣
01 ⑴ 8 ⑵ 124 ⑶ 6 ⑷ 12 습니다.
02 ⑴ 25+12에 ◯표 ⑵ 72/9에 ◯표 ⇨ 25+(73-27)_2=117
03 ③ 07 ㉠ 24-(45/3)+11=24-15+11
04 29-35/7+8=32 =9+11=20
05 ( )( ◯ ) ㉠ ‌24-45/3+11=24-15+11
06 25+(73-27)_2=117 =9+11=20
07 ㉠ 08 ㉠, ㉣, ㉡, ㉢ ㉡ (41-5)_4+31=36_4+31
09 7 10 ⑴ < ⑵ > =144+31=175
11 74 ㉠ ‌41-5_4+31=41-20+31
12 16_6-(19+2)/3=16_6-21/3 =21+31=52
=96-21/3 ㉢ 108/9_(3+4)-17=108/9_7-17
=96-7=89 =12_7-17
13 ⑴ (왼쪽부터) 2, 17, 19, 19 =84-17=67
⑵ (왼쪽부터) 4, 8, 24, 28, 28 ㉠ ‌108/9_3+4-17=12_3+4-17
14 25_3+(12-7)/5=76 =36+4-17
15 22 =40-17=23
16 식 112/8+63/7-5=18 답 18 cm 따라서 ( )가 없어도 계산 결과가 같은 것은 ㉠
17 -, + 입니다.
18 식 (12-3)_5+1=46 답 46살
식 4800/8+8000/5=2200 답 2200원
08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이 섞여 있는 식은 곱셈
19
과 나눗셈을 먼저 계산합니다.
20 7
따라서 계산 순서는 ㉠, ㉣, ㉡, ㉢입니다.

8 수학 5-1 자습서
정답 과 풀이
09 ㉮ 17+(34-26)/4=17+8/4=17+2=19 15 12 ◉ 2=(12+2)_2-12/2
㉯ 20_4/10+41-23=80/10+41-23 12 ◉ 2=14_2-12/2
=8+41-23 12 ◉ 2=28-12/2
=49-23=26 12 ◉ 2=28-6
따라서 ㉮와 ㉯의 계산 결과의 차는 26-19=7 12 ◉ 2=22
입니다.

10 ⑴ 84/4+10-23=21+10-23 16 길이가 112 cm인 색 테이프를 8등분 한 것 중의


한 도막의 길이는 ( 112/8 ) cm이고, 길이가
=31-23=8,
63 cm인 색 테이프를 7등분 한 것 중의 한 도막
⑴ 39/3-7+15=13-7+15=6+15=21
의 길이는 (63/7) cm입니다.
⑴ ⇨ 84/4+10-23 < 39/3-7+15
(이어 붙인 색 테이프의 전체 길이)
⑵ 55_2-12+32=110-12+32
=(한 도막의 길이의 합)-(겹쳐진 길이)
=98+32=130
=112/8+63/7-5
⑴ 41+13_5-18=41+65-18
=14+63/7-5
=106-18=88
=14+9-5
⑴ ⇨ 55_2-12+32 > 41+13_5-18
=23-5=18 (cm)입니다.
11 56-7+8_(9/3)=56-7+8_3
=56-7+24 17 80 + (12 - 8)/4_6
=49+24=73 =80+4/4_6
따라서 73< 이므로 안에 들어갈 수 있는 가 =80+1_6
장 작은 자연수는 74입니다. =80+6=86
12 뺄셈과 나눗셈이 섞여 있는 식은 나눗셈을 먼저 80 - (12 + 8)/4_6
계산합니다. =80-20/4_6
16_6-(19+2)/3=16_6-21/3 =80-5_6
=96-21/3 =80-30=50
=96-7=89 따라서 안에 기호 -, +를 차례대로 넣으면
식이 성립합니다.
13 ⑴ 6-4+34/2=6-4+17
② ① =2+17
2 17 =19 18 (서영이 아버지의 나이)
③ =(12-3)_5+1
19 =9_5+1
⑵ 20/5+(12-4)_3=20/5+8_3 =45+1=46(살)입니다.
② ① =4+8_3
4 8 =4+24 19 (내야 할 돈)

=28 =(오렌지 한 개의 값)+(키위 한 개의 값)
24
④ =4800/8+8000/5
28 =600+8000/5
14 (25_3)+12-7/5=75+12-7/5 =600+1600=2200(원)입니다.
25_(3+12)-7÷5=25_15-7/5
=375-7/5 20 어떤 수를 라고 하면
25_3+(12-7)/5=25_3+5/5 /7+8=15, /7=15-8,
=75+5/5 /7=7, =7_7,
=75+1=76 =49입니다.
따라서 12-7을 ( )로 묶어 계산하면 식이 성 따라서 바르게 계산한 값은
립합니다. (49+7)/8=56/8=7입니다.

정답과 풀이 9
정답과 풀이 본책

서술형 논술형 쓱 쓱 49쪽


3 채점 기준
계산 결과가 가장 큰 자연수를 하나의 식으

1  ‌(남은 끈의 길이) 로 나타내어 답을 바르게 구함.
=(전체 끈의 길이)-(세 밭의 둘레)_3 계산 결과가 가장 큰 자연수를 하나의 식으
=150-(2_4+4_4+6_4)_3 로 나타내었으나 계산 과정에서 실수하여 중
=150-(8+16+24)_3 답이 틀림.
=150-(24+24)_3 계산 결과가 가장 큰 자연수를 하나의 식으

=150-48_3 로 나타내지 못하여 답이 틀림.
=150-144=6 (m)입니다. / 6 m
4 채점 기준
2  ‌42-(6+12_ )/3=24에서
바둑돌 한 개의 무게와 상자만의 무게를 구
(6+12_ )/3=42-24, 하는 식을 세워 답을 바르게 구함.

(6+12_ )/3=18,
바둑돌 한 개의 무게는 바르게 구했으나 상
6+12_ =18_3, 6+12_ =54, 자만의 무게를 구하지 못하여 답이 틀림.

12_ =54-6, 12_ =48, 바둑돌 한 개의 무게와 상자만의 무게를 구

=48/12, =4입니다. / 4 하지 못하여 답이 틀림.
3  ‌계산 결과가 가장 큰 식을 만들려면 곱하는
수는 가장 커야 하고, 빼는 수는 가장 작아야
합니다.
⇨ (3+5)_8-4/2=8_8-4/2
=64-4/2
=64-2=62입니다.
/ 62
4 바둑돌 한 개의 무게는
 ‌
(392-296)/8=96/8=12 (g)입니다.
상자만의 무게는
296-12_16=296-192=104 (g)입니
다.
/ 바둑돌 한 개의 무게: 12 g,
/ 상자만의 무게: 104 g

1 채점 기준
남은 끈의 길이를 하나의 식으로 나타내어

답을 바르게 구함.
남은 끈의 길이를 하나의 식으로 나타내었

으나 계산 과정에서 실수하여 답이 틀림.
남은 끈의 길이를 하나의 식으로 나타내지

못하여 답이 틀림.

2 채점 기준
안에 알맞은 수를 구하는 계산을 바르

게 함.
안에 알맞은 수를 구하는 계산 과정에

서 실수하여 답이 틀림.
안에 알맞은 수를 구하는 계산을 하지

못하여 답이 틀림.

10 수학 5-1 자습서
정답 과 풀이
8
2 약수와 배수 5 œ∑ 4 2
4 0
⇨ 몫: 8, 나머지: 2

2
한번 더
한번 더 익힘 52~53쪽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42/5=8…2입니다.
1   (위쪽부터) 54, 81 2 ⑴ 5, 5 ⑵ 8, 8 따라서 한 명에게 8장을 주고, 2장이 남습니다.
3 ‌⑴ 몫: 12, 나머지: 3
⑵ 1 8
5 œ∑ 9 1 몫: 18, 나머지: 1 한번 더
한번 더 척척 55쪽
5 0
1   1, 5, 25
4 1
4 0 2 42
1
4 식 42/5=8…2 답 8, 2 1 25의 약수는 25를 나누어떨어지게 하는 수입니다.
25/=△…0이 되는 수()를 찾아보면 1, 5,
1 화살표 방향으로 계산합니다. 25입니다.
_ (몇십) _ (몇)을 계산할
2 7의 배수는 7을 1배, 2배, 3배, ... 한 수입니다. 7
때, (몇십)의 각 자리 수 의 배수는 7에서 7씩 더해가면서 찾을 수도 있고,
27 2 54
에 (몇)을 곱한 다음 모
_ 곱셈구구표에서 찾을 수도 있습니다. 7의 배수를
3 두 더합니다. 작은 수부터 순서대로 쓰면 7, 14, 21, 28, 35,
일의 자리에서 올림한 42, 49, 56, 63, ...입니다. 따라서 6번째 수는 42
81 수가 있으면 십의 자리 입니다.
에 더합니다.

2 ⑴ ‌나눗셈식 30/6= 에서 몫 는 곱셈구구 한번 더


한번 더 익힘 56~57쪽
6_5=30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5입니다. 1   1, 2, 7, 14 / 1, 5, 7, 35
⑵ ‌나눗셈식 24/3= 에서 몫 는 곱셈구구 2 3, 8, 24, 48에 ◯표
3_8=24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3 ‌9, 18, 27, 36 / (위부터) 1, 9, 2, 18, 3, 27, 4,
=8입니다. 36
4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3 ⑴ 87/7을 세로셈으로 계산합니다.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1 2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 œ∑ 8 7 ⇨ 몫은 12, 나머지는 3입니다.
7 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3⑴
1 7
1 4 1 14의 약수는 14를 나누어떨어지게 하는 수입니다.
3 14÷=△…0이 되는 수()를 찾아보면 1, 2, 7,
(2) 1 8 14입니다.
5 œ∑ 9 1 ⇨ 몫은 18, 나머지는 1입니다. 35의 약수는 35를 나누어떨어지게 하는 수입니다.
5 0
35/=△…0이 되는 수()를 찾아보면 1, 5, 7,
4 1
4 0 35입니다.
1 2 48의 약수는 48을 나누어떨어지게 하는 수입니다.
48의 약수는 1, 2, 3, 4, 6, 8, 12, 16, 24, 48입니
4 색종이 42장을 5명에게 똑같이 나누어 주려면 나눗셈 다. 따라서 주어진 수 중에서 3, 8, 24, 48에 ◯표
식은 42/5입니다. 42/5를 세로셈으로 계산하면 합니다.

정답과 풀이 11
정답과 풀이 본책

3 9의 배수는 9를 1배, 2배, 3배, ... 한 수입니다. 9 1 25=1_25 → 25/1=25, 25/25=1


의 배수는 9에서 9씩 더해가면서 찾을 수도 있고, 25=5_5 → 25/5=5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곱셈구구표에서 찾을 수도 있습니다. 9의 배수를 25는 1, 5, 25의 배수이고, 1, 5, 25는 25의 약수
작은 수부터 순서대로 쓰면 9, 18, 27, 36, ...입니 입니다.
다. 곱셈식으로 나타내면 9×1=9, 9×2=18,
2 2, 8, 13, 26에서 약수와 배수의 관계인 수를 찾아
9×3=27, 9×4=36과 같습니다. 곱셈식을 만들면
4 8의 배수는 8을 1배, 2배, 3배, ... 한 수입니다. 8 (2, 8) ⇨ 곱셈식: 8=2_4
의 배수는 8에서 8씩 더해가면서 찾을 수도 있고, (2, 26) ⇨ 곱셈식: 26=2_13
곱셈구구표에서 찾을 수도 있습니다. 40보다 크고 (13, 26) ⇨ 곱셈식: 26=13×2
81보다 작은 8의 배수를 작은 수부터 순서대로 구
3 35=5_7을 보고 35의 약수를 구하면 1, 5, 7, 35
하면 8_6=48, 8_7=56, 8_8=64, 입니다. 따라서 35는 5와 7의 배수입니다. 그리고
8_9=72, 8_10=80입니다. 5와 7은 35의 약수입니다.
4 42를 세 수의 곱으로 나타내면 42=2_3_7입니
다. 따라서 42는 1, 2, 3, 6, 7, 14, 21, 42의 배수
이고, 1, 2, 3, 6, 7, 14, 21, 42는 42의 약수입니
한번 더
한번 더 척척 59쪽 다.
1   ⑴ 배수 ⑵ 약수
2 ⑴ 약수 ⑵ 배수
한번 더
한번 더 척척 63쪽
1 20을 세 수의 곱으로 나타낸 식 20=2_2_5에서
1   1, 2, 3, 6, 9, 18 / 1, 2, 7, 14
곱으로 된 식은 20의 약수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
2 4 / 최대공약수
서 20의 약수는 1, 2, 4, 5, 10, 20입니다.
⑴ 20은 10의 2배이므로 10의 배수입니다. 1 18의 약수는 1, 2, 3, 6, 9, 18입니다.
⑵ ‌4는 20을 나누어떨어지게 하므로 4는 20의 약 14의 약수는 1, 2, 7, 14입니다.
수입니다. 따라서 공약수는 1, 2입니다.
2 60을 세 수의 곱으로 나타낸 식 60=3_4_5에서 2 4의 약수는 1, 2, 4이고 12의 약수는 1, 2, 3, 4, 6,
곱으로 된 식은 60의 약수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 12입니다. 이때 공약수는 1, 2, 4이고 공약수 중 가
서 60의 약수는 1, 2, 3, 4, 5, 6, 10, 12, 15, 20, 장 큰 수는 4입니다.
30, 60입니다. 두 수의 공약수 중 가장 큰 수를 두 수의 최대공약
⑴ ‌15는 60을 나누어떨어지게 하므로 15는 60의 수라고 합니다.
약수입니다.
⑵ ‌60은 12의 5배이므로 60은 12의 배수입니다.
한번 더
한번 더 익힘 64~65쪽

1   ⑴ 1, 2, 7, 14
1   ⑵ 1, 2, 3, 4, 6, 9, 12, 18, 36 ⑶ 2
한번 더
한번 더 익힘 60~61쪽 28
1   5, 5 / 1, 5, 25 / 1, 5, 25 3 2장 4 17 / 6
2 ‌(2, 26), 26=2_13
1 ⑴ ‌14의 약수는 1, 2, 7, 14입니다.
(13, 26), 26=13_2
⑵ ‌36의 약수는 1, 2, 3, 4, 6, 9, 12, 18, 36입니
3 ‌배수 / 35 / 약수
다.
4 ‌42=2_3_7 / 1, 2, 3, 6, 7, 14, 21, 42
⑶ ‌14와 36의 공약수는 1, 2이므로 최대공약수는
/ 1, 2, 3, 6, 7, 14, 21, 42
2입니다.

12 수학 5-1 자습서
정답 과 풀이
2 24의 약수는 1, 2, 3, 4, 6, 8, 12, 24입니다. 4 ⑴ ‌33=3_11에서 33은 3의 11배, 11의 3배이므
40의 약수는 1, 2, 4, 5, 8, 10, 20, 40입니다. 로 33은 3과 11의 배수입니다.
24와 40의 공약수는 1, 2, 4, 8이고 이 중에서 약 ⑵ ‌3과 11은 33을 나누어떨어지게 하므로 33의 약
수의 개수가 4개인 수는 8입니다. 수입니다.

3 ‌연필 34자루와 색종이 12장을 최대한 많은 봉투에 5 12의 약수는 12를 나누어떨어지게 하는 수이므로
남김없이 똑같이 나누려면 34와 12의 최대공약수 1, 2, 3, 4, 6, 12입니다. 따라서 왼쪽의 는 4입
를 구해야 합니다. 34의 약수는 1, 2, 17, 34이고 니다.
12의 약수는 1, 2, 3, 4, 6, 12이므로 34와 12의 4의 배수는 4를 1배, 2배, 3배, ... 한 수이므로 4의
최대공약수는 2입니다. 배수는 4, 8, 12, 16, ...입니다. 따라서 오른쪽의
는 8입니다.
4 봉투
‌ 2장에 똑같이 나누어 담아야 하므로 연필은
34/2=17(자루), 색종이는 12/2=6(장)씩 담 4<8이므로 안에는 <를 써넣어야 합니다.
아야 합니다. 6 20의 약수는 1, 2, 4, 5, 10, 20입니다.
25의 약수는 1, 5, 25입니다.
⑴ ‌20과 25의 공약수는 공통된 약수이므로 1, 5입
니다.
⑵ ‌20과 25의 최대공약수는 공약수 중 가장 큰 수
이므로 5입니다.
기초 탄탄 1 66~67쪽
7 48=2_2_2_2_3
‌ 의 약수를 구하면 1, 2, 3, 4,
1   ⑴ 1, 2, 3, 6 ⑵ 6, 12, 18, 24 6, 8, 12, 16, 24, 48이고 60=2_2_3_5의 약
2 1, 2, 3, 4, 6, 9, 12, 18, 36에 ◯표 수를 구하면 1, 2, 3, 4, 5, 6, 10, 12, 15, 20, 30,
3 4 ⑴ 배수 ⑵ 약수 60입니다.
⑴ ‌두 수의 공약수는 1, 2, 3, 4, 6, 12입니다.
⑵ ‌두 수의 최대공약수는 12입니다.
5< 6 ⑴ 1, 5 ⑵ 5
7 ⑴ 1, 2, 3, 4, 6, 12 ⑵ 12 8 ⑴ ‌최대한 많은 접시에 남김없이 똑같이 나누려면
8 ⑴ 15 ⑵ 2 / 3 30과 45의 최대공약수를 구해야 합니다. 30의
약수는 1, 2, 3, 5, 6, 10, 15, 30입니다. 45의
1 ⑴ ‌6의 약수는 6을 나누어떨어지게 하는 수입니다. 약수는 1, 3, 5, 9, 15, 45입니다.
따라서 6의 약수는 1, 2, 3, 6입니다. 따라서 30과 45의 최대공약수는 15이므로 최대
⑵ ‌6의 배수는 6을 1배, 2배, 3배, ... 한 수입니다. 한 15개의 접시에 남김없이 똑같이 나눌 수 있습
따라서 6의 배수는 6, 12, 18, 24, ...입니다. 니다.
2 36의 약수는 36을 나누어떨어지게 하는 수입니다. ⑵ ‌15개의 접시에 똑같이 나누어 담아야 하므로 한
36을 작은 수의 곱으로 나타내면 1_36=36, 접시에 담을 수 있는 사과는 30/15=2(개),
2_18=36, 3_12=36, 4_9=36, 6_6=36 포도는 45/15=3(개)입니다.
입니다.
따라서 36의 약수는 1, 2, 3, 4, 6, 9, 12, 18, 36
실력 쑥쑥 1 68~69쪽
입니다.

3 어떤 수를 나누어떨어지게 하는 수를 그 수의 약수, 1   54, 12, 46, 19 2㉡


어떤 수를 1배, 2배, 3배, ... 한 수를 그 수의 배수 3  ‌34를 나누어떨어지게 하는 나눗셈식은 나머
라고 합니다. 지가 0인 나눗셈식입니다. 즉 34의 약수인 1,
3_3=9이므로 3은 9의 약수이고, 9는 3의 배수 2, 17, 34로 나누어야 합니다.
입니다. 2_4=8이므로 2는 8의 약수이고, 8은 2 따라서 나눗셈식 34/1=34, 34/2=17,
의 배수입니다. 7_2=14이므로 7은 14의 약수이 34/17=2, 34/34=1을 만들 수 있습니
고, 14는 7의 배수입니다. 다.

정답과 풀이 13
정답과 풀이 본책

4㉢ 5 1, 5, 11, 55 ㉡ ‌10의 약수는 1, 2, 5, 10이고 17의 약수는 1,


6 배수 / 약수 / 7_8=56 또는 8_7=56 17이므로 10과 17의 공약수는 1의 1개입니다.
7③ ㉢ ‌28의 약수는 1, 2, 4, 7, 14, 28이고 14의 약
8 10, 45에 ◯표 / 5 수는 1, 2, 7, 14이므로 28과 14의 공약수는 1,
9 관계  ‌4의 배수는 8의 배수를 포함합니다. 2, 7, 14의 4개입니다.
까닭  ‌4의 배수는 4, 8, 12, 16, ...이고 8 따라서 공약수의 개수가 가장 많은 것은 ㉢입니다.
의 배수는 8, 16, 24, 32, ...이므로 5 55가 어떤 수의 배수이면 어떤 수는 55의 약수입
8의 배수는 모두 4의 배수이기 때문 니다. 따라서 어떤 수가 될 수 있는 수는 55의 약
입니다. 수인 1, 5, 11, 55입니다.
10  ‌4의 배수는 4, 8, 12, 16, 20, ...입니다. 6 •56은 8의 7배, 7의 8배이므로 56은 8과 7의 배
4의 약수는 1, 2, 4이고 4의 약수를 모두 수입니다.
더하면 7입니다. •8과 7은 56을 나누어떨어지게 하므로 56의 약
8의 약수는 1, 2, 4, 8이고 8의 약수를 모 수입니다.
두 더하면 15입니다. •8과 7은 56과 약수와 배수의 관계이므로
12의 약수는 1, 2, 3, 4, 6, 12이고 12의 7_8=56 또는 8_7=56으로 나타낼 수 있습
약수를 모두 더하면 28입니다. 니다.
20의 약수는 1, 2, 4, 5, 10, 20이고 20의
7 ① ‌어떤 수의 약수는 그 수를 나누어떨어지게 하
약수를 모두 더하면 42입니다.
는 수입니다.
         ⋮
② 21의 약수는 1, 3, 7, 21의 4개입니다.
따라서 4의 배수이면서 약수를 모두 더하면
③ ‌15의 약수는 1, 3, 5, 15의 4개이고 23의 약
42인 수는 20입니다. / 20
수는 1, 23의 2개이므로 수가 크다고 약수의
개수가 많지 않습니다.
1 12의 약수는 1, 2, 3, 4, 6, 12의 6개입니다.
④ ‌1은 모든 수를 나누어떨어지게 하므로 모든 수
19의 약수는 1, 19의 2개입니다.
의 약수입니다.
46의 약수는 1, 2, 23, 46의 4개입니다.
⑤ ‌모든 수는 1과 자기 자신으로 나누어떨어지기
54의 약수는 1, 2, 3, 6, 9, 18, 27, 54의 8개입
때문에 모든 수의 약수는 2개 이상입니다.
니다.
따라서 약수의 개수가 많은 수부터 순서대로 쓰면 8 8의 약수: 1, 2, 4, 8
54, 12, 46, 19입니다. 10의 약수: 1, 2, 5, 10
22의 약수: 1, 2, 11, 22
2 ㉠ 3의 배수 중 작은 수부터 6번째 수: 3_6=18 45의 약수: 1, 3, 5, 9, 15, 45
㉡ 7의 배수 중 작은 수부터 3번째 수: 7_3=21 52의 약수: 1, 2, 4, 13, 26, 52
㉢ ‌15의 배수 중 가장 작은 수: 15_1=15 이때 가장 큰 최대공약수를 가지는 두 수는 10,
따라서 가장 큰 수는 ㉡입니다. 45이며, 최대공약수는 5입니다.

3 채점 기준 9 채점 기준

34를 나누어떨어지게 하는 나눗셈식을 4개 관계와 까닭을 모두 바르게 씀. 상



모두 씀. 관계와 까닭 중 1가지만 바르게 씀. 중
34를 나누어떨어지게 하는 나눗셈식을 2개 관계와 까닭 모두 바르게 쓰지 못함. 하

~3개 씀.
34를 나누어떨어지게 하는 나눗셈식을 1개 10 채점 기준
하 4의 배수를 구하고, 배수에 대한 약수를 구
이하로 씀. 상
하여 답을 바르게 구함.
4 ㉠ ‌8의 약수는 1, 2, 4, 8이고 20의 약수는 1, 2, 4의 배수를 구하였으나 배수에 대한 약수

4, 5, 10, 20이므로 8과 20의 공약수는 1, 2, 를 잘못 구하여 답을 틀림.
4의 3개입니다. 4의 배수를 알지 못하여 답을 구하지 못함. 하

14 수학 5-1 자습서
정답 과 풀이
한번 더
한번 더 척척 71쪽 3 방법 두 수를 여러 수의 곱으로 나타내 구하기
1
32와 76을 각각 여러 수의 곱으로 나타내면
1   ⑴ (위부터) 10, 2, 5 / 25, 5, 5, / 2, 5, 10 32=2_2_2_2_2, 76=2_2_19입니다. 두
1   ⑵ (위부터) 5, 2, 5 / 2, 5, 10 곱셈식에서 공통으로 들어 있는 수 중 가장 큰 수를
찾아야 합니다. 공통으로 들어 있는 공약수 2 ,
1 ⑴ ‌20과 50의 최대공약수를 구하기 위해 여러 수의
2_2 중 가장 큰 수는 2_2=4이므로 최대공약수
곱으로 나타내야 합니다.
는 4입니다.
20=2_10, 20=2_2_5로 나타낼 수 있고,
50=2_25, 50=2_5_5로 나타낼 수 있습 방법 2 두 수를 공약수로 나누어 구하기
니다. 곱셈식에서 공통으로 들어 있는 수 중 가 2 ®† 32 76
장 큰 수는 2_5=10이므로 최대공약수는 10 1 2 ®† 16 38
입니다. 18 19
⑵ ① ‌20과 50의 공약수인 2로 각각 나눕니다. 32와 76을 공약수인 2로 나누면 16, 38이 됩니다.
⑵ ② ‌10과 25의 공약수인 5로 각각 나눕니다. 16, 38의 공약수인 2로 나누면 8, 19가 됩니다. 8,
⑵ ③ ‌2와 5의 공약수는 1뿐이므로 나누었던 공약 19의 공약수가 1뿐이므로 더 이상 나누지 않고 공
수인 2와 5를 곱하여 최대공약수 10을 구합 약수 2, 2를 곱하면 32와 76의 최대공약수는
니다. 2_2=4입니다.
2 ®† 20 50
⑵   5 ®† 10 25 한번 더
한번 더 척척 75쪽
2 5
1   6, 12, 18, 24, 30, 36, 42, 48, 54, 60 /
⑵   최대공약수: 2_5=10 1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2 35 / 최소공배수
한번 더
한번 더 익힘 72~73쪽
1 6의 배수는 6을 1배, 2배, 3배, ... 한 수로 작은 수
1   ⑴ 28=2_2_7, 56=2_2_2_7 ⑵ 28
부터 순서대로 10개를 구하면 6, 12, 18, 24, 30,
24
36, 42, 48, 54, 60입니다.
3 풀이 참조
10의 배수는 10을 1배, 2배, 3배, ... 한 수로 작은
수부터 순서대로 10개를 구하면 10, 20, 30, 40,
1 ⑴ ‌28과 56의 최대공약수를 구하기 위해 두 수를
각각 여러 수의 곱으로 나타내면 50, 60, 70, 80, 90, 100입니다.
28=2_14, 28=2_2_7이고 따라서 공배수는 30, 60입니다.
56=2_28, 56=2_2_14, 2 5의 배수는 5, 10, 15, 20, 25, 30, 35, ...이고, 7
56=2_2_2_7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의 배수는 7, 14, 21, 28, 35, 42, 49, ...입니다.
⑵ ‌28=2_2_7, 56=2_2_2_7에서 공통으 이때 공배수는 35, 70, ...이고 공배수 중 가장 작
로 들어 있는 수는 2, 7, 2_2, 2_7, 2_2_7 은 수는 35입니다.
입니다. 이 중 가장 큰 수는 2_2_7이므로 최 두 수의 공배수 중에서 가장 작은 수를 두 수의 최
대공약수는 28입니다. 소공배수라고 합니다.

2 52와 24의 최대공약수를 구하기 위해 두 수를 공약 한번 더


한번 더 익힘 76~77쪽
수로 나누었을 때 그 몫의 공약수가 1뿐일 때까지
나눕니다. 1   60 2 60
3 12 4 12, 24, 36
2 ®† 52 24
1 2 ®† 26 12 1 12의 배수: 12, 24, 36, 48, 60, 72, ...
13 16 15의 배수: 15, 30, 45, 60, 75, 90, ...
나누었던 공약수 2와 2를 곱하면 52와 24의 최대 12와 15의 공배수 중 가장 작은 수가 최소공배수이
공약수는 4입니다. 므로 최소공배수는 60입니다.

정답과 풀이 15
정답과 풀이 본책

2 최소공배수는 공배수 중에서 가장 작은 수이므로 1 15와 18의 곱셈식은 15=3_5, 18=2_3_3입


최소공배수의 배수가 두 수의 공배수가 됩니다. 즉 니다. 두 곱셈식에 공통으로 들어 있는 수는 3, 공
어떤 수의 최소공배수가 20이면 공배수는 20의 배 통이 아닌 수는 5, 2, 3이므로 15와 18의 최소공배
수이므로 20, 40, 60, 80, ...입니다. 수는 3_5_2_3=90입니다.
따라서 작은 수부터 3번째 수는 60입니다.
2 두 곱셈식에 공통으로 들어 있는 수는 3, 5이고 공
3 오른손은 4의 배수인 4, 8, 12, 16, 20, 24, ...에 통이 아닌 수는 7, 2, 3이므로 두 수의 최소공배수
들고 왼손은 6의 배수인 6, 12, 18, 24, 30, 36에 는 3_5_7_2_3=630입니다.
듭니다. 오른손과 왼손을 처음으로 동시에 드는 수
3 ㉠/5=9이므로 ㉠=45입니다.
는 12이며 4와 6의 최소공배수입니다. 6/㉡=2이고 9/㉡=3이므로 ㉡=3입니다.
4 오른손, 왼손을 동시에 드는 수는 4와 6의 공배수이 따라서 ㉠과 ㉡의 차는 45-3=42입니다.
므로 1부터 40까지 수 중에서 4와 6의 최소공배수
4 18=2_3_㉠이므로 ㉠=3입니다.
12의 배수인 12, 24, 36입니다. ㉡=3_3_5이므로 ㉡=45입니다.
‌두 곱셈식 18=2_3_3, 45=3_3_5에서 최소
공배수를 구하려면 곱셈식에서 공통된 수인 약수와
한번 더
한번 더 척척 79쪽 공통이 아닌 수를 곱해야 합니다. 두 곱셈식에 공통
으로 들어 있는 수는 3, 3이고 공통이 아닌 수는 2,
1   ⑴ (위부터) ‌35, 5, 7 / 35, 5, 7
5이므로 두 수의 최소공배수는 3_3_2_5=90
/ 5, 7, 2, 3, 210
입니다.
1   ⑵ (위부터) 7, 2, 3 / 5, 7, 2, 3, 210
따라서 잘못 말한 친구는 샛별이고 18과 45의 최소
1 ⑴ ‌70과 105의 최소공배수를 구하기 위해 여러 수 공배수는 90입니다.
의 곱으로 나타내야 합니다.
70=2_35, 70=2_5_7로 나타낼 수 있고,
105=3_35, 105=3_5_7로 나타낼 수 있
기초 탄탄 2 82~83쪽
습니다. 이때 곱셈식에서 공통으로 들어 있는 수
5_7과 공통으로 들어 있지 않은 2와 3을 곱하 1   14
면 5_7_2_3=210 이므로 최소공배수는 2 ⑴ 풀이 참조, 3 ⑵ 풀이 참조, 6
210입니다. 3>
⑵ ① 70과 105의 공약수인 5로 각각 나눕니다. 4 60, 120, 180, 240, 300 / 60
⑵ ② 14와 21의 공약수인 7로 각각 나눕니다. 5 48 6 54
⑵ ③ ‌2와 3의 공약수는 1뿐이므로 나누었던 공약 7 ⑴ 풀이 참조, 45 ⑵ 풀이 참조, 150
수들과 마지막의 몫들을 곱하여 최소공배수 8 90일
5_7_2_3=210을 구합니다.
5 ®† 70 105 1 두 수의 최대공약수는 두 수의 공통된 약수의 곱입
⑵ 7 ®† 14 121 니다.
12 113 28=2_2_7, 70=2_5_7에서 공통된 약수는
⑵최소공배수: 5_7_2_3=210 2, 7입니다.
따라서 28과 70의 최대공약수는 2_7=14입니다.

2 두 수의 최대공약수를 구하려면 두 수의 공약수로


한번 더
한번 더 익힘 80~81쪽 나눈 후 공약수의 곱을 구합니다.
⑴ 3 ®† 21 27
1   90 2 630
17 19
3 42
⑴ ‌21, 27의 공약수인 3으로 각각 나누면 몫은 7,
4 샛별 / 두 수 18과 ㉡의 최소공배수는 90입니다.
9가 됩니다.

16 수학 5-1 자습서
정답 과 풀이
7과 9는 공약수가 1뿐이므로 더 이상 나눌 수 6 18=2_3_3, 27=3_3_3에서 공통된 수는 3,
없습니다. 3이고 공통되지 않은 수는 2, 3입니다. 따라서 18
따라서 21, 27의 최대공약수는 3입니다. 과 27의 최소공배수는 3_3_2_3=54입니다.
⑵ 2 ®† 30 48
7 두 수의 최소공배수를 구하려면 두 수의 공약수로
3 ®† 15 24 나눈 후 공약수와 남은 몫의 곱을 구합니다.
15 18 ⑴ 3 ®† 9 15
⑴ ‌30, 48의 공약수인 2로 각각 나누면 몫은 15, 3 15
24가 됩니다. ⑴ 9, 15의 최소공배수는 3_3_5=45입니다.
15, 24의 공약수인 3으로 각각 나누면 몫은 5, ⑵ 5 ®† 75 50
8이 됩니다. 5와 8은 공약수가 1뿐이므로 더 이
5 ®† 15 10
상 나눌 수 없습니다.
13 12
따라서 30과 48의 최대공약수는 2_3=6입니
⑴ ‌75, 50의 최소공배수는 5_5_3_2=150입
다.
니다.

3 두 수의 최대공약수를 구하려면 두 수의 공약수로 8 18과 30의 최소공배수를 구합니다.


나눈 후 공약수의 곱을 구합니다. 2 ®† 18 30
• 2 ®† 32 28 3 ®† 19 15
2 ®† 16 14 13 15
18 17 18과 30의 최소공배수는 2_3_3_5=90입니다.
⑴ ‌32와 28의 최대공약수는 2_2=4입니다. 따라서 민지와 윤지가 공원에 처음으로 함께 가는
• 2 ®† 16 30 날은 90일 뒤입니다.
18 15
⑴ ‌16과 30의 최대공약수는 2입니다.
따라서 32와 28의 최대공약수는 4이고 16과 30의 실력 쑥쑥 2 84~85쪽
최대공약수는 2이므로 안에 >을 써넣어야 합니
다. 1   4 2 ⑴ 14 ⑵ 15
3 ‌풀이 참조 4 12, 36에 ◯표
4 12와 20의 공배수를 구하려면 12, 20의 배수를 각 5 풀이 참조 6   
각 구한 후 공통된 배수를 구합니다.
•12의 배수: 12, 24, 36, 48, 60, 72, 84, ...
7 ‌80 / 80, 160, 240, 320, 400
•20의 배수: 20, 40, 60, 80, 100, 120, ...
8⑤
⇨ 12, 20의 최소공배수: 60
9 ‌ ‌40으로 나누면 나머지가 3이고 48로 나누면
⇨ ‌공배수는 최소공배수의 배수이므로 12와 20의
나머지가 3인 수 중 가장 작은 수는
공배수를 작은 수부터 5개를 구하면 60, 120,
(40과 48의 최소공배수)+3입니다.
180, 240, 300입니다.
먼저 40과 48의 최소공배수를 구합니다.
2 ®† 40 48
5 4의 배수이면서 6의 배수인 수는 4와 6의 공배수입
2 ®† 20 24
니다. 9 ‌ ‌
•4의 배수: 4, 8, 12, 16, 20, 24, 28, ... 2 ®† 10 12
•6의 배수: 6, 12, 18, 24, 30, 36, 42, ... 15 16
⇨ 4, 6의 최소공배수: 12 9  ‌40과 48의 최소공배수는
⇨ 4, 6의 공배수: 12, 24, 36, 48, ... 2×2×2×5×6=240입니다.
따라서 4, 6의 공배수 중에서 40보다 크고 50보다 따라서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수는
작은 수는 48입니다. 240+3=243입니다. / 243

정답과 풀이 17
정답과 풀이 본책

10  ‌수 카드를 한 번씩만 사용하여 만들 수 있 5 방법 1 ‌두 수를 여러 수의 곱으로 나타내 구하기


는 세 자리 수는 125 , 152 , 215 , 251 , 24=2_2_2_3
512, 521입니다. 56=2_2_2_7
그중에서 5의 배수를 찾으면 125=5_25, ‌24, 56을 각각 여러 수의 곱으로 나타낸 곱셈식에
215=5_43입니다. 서 공통으로 들어 있는 수 2_2_2와 공통이 아
따라서 만들 수 있는 수 중에서 5의 배수는 닌 수 3과 7을 함께 곱한 2_2_2_3×7=168
모두 2개입니다. / 2개 이 최소공배수입니다.
방법 2 ‌두 수를 공약수로 나누어 구하기
1 두 수의 최대공약수를 구하려면 두 수의 공약수로
2 ®† 24 56
나눈 후 공약수의 곱을 구합니다.
2 ®† 12 28
2 ®† 20 36
2 ®† 16 14
2 ®† 10 18
13 17
15 19
20과 36의 최대공약수는 2_2=4입니다. 24
‌ , 56의 공약수인 2, 2, 2로 나눈 몫은 각각 3,
7입니다.
2 ⑴ ‌2 ®† 28 42 두 몫의 공약수는 1뿐이므로 나누었던 공약수들과
7 ®† 14
마지막의 몫들을 함께 곱한
21
2_2_2_3_7=168이 최소공배수입니다.
12 13
‌28과 42의 최대공약수는 2_7=14입니다. 6 •63, 105의 최소공배수
⑵ ‌3 ®† 60 75 3 ®† 63 105
5 ®† 20 25 7 ®† 21 135
14 15
13 115
‌60과 75의 최대공약수는 3_5=15입니다.
•따라서 63, 105의 최소공배수는
3_7_3_5=315입니다.
3 방법 1 ‌두 수를 여러 수의 곱으로 나타내 구하기
•18, 24의 최소공배수
56=2_2_2_7
64=2_2_2_2_2_2 2 ®† 18 24
‌56, 64를 각각 여러 수의 곱으로 나타낸 곱셈식에 3 ®† 19 12
서 2_2_2가 공통으로 들어 있는 수 중 가장 큰 13 14
수이므로 최대공약수는 8입니다. •따라서 18, 24의 최소공배수는
방법 2 ‌두 수를 공약수로 나누어 구하기 2_3_3_4=72입니다.
•12, 20의 최소공배수
2 ®† 56 64
2 ®† 28 32 2 ®† 12 20

2 ®† 14 16 2 ®† 16 10
17 18 13 15
‌공통된 약수는 2, 2, 2이므로 56과 64의 최대공 •따라서 12, 20의 최소공배수는
약수는 2_2_2=8입니다. 2_2_3_5=60

4 12의 약수: 1, 2, 3, 4, 6, 12 7 10, 16의 공배수를 구하려면 10, 16의 최소공배


수를 먼저 구합니다.
29의 약수: 1, 29
36의 약수: 1, 2, 3, 4, 6, 9, 12, 18, 36 2 ®† 10 16
37의 약수: 1, 37 15 18
‌
이때 가장 큰 최대공약수를 가지는 두 수는 12와 10
‌ , 16의 공약수인 2로 나눈 몫은 각각 5, 8입니
36입니다. 다. 두 몫의 공약수는 1뿐이므로 나누었던 공약수

18 수학 5-1 자습서
정답 과 풀이
들과 마지막의 몫들을 함께 곱한 2_5_8=80이 13 ‌33, 36, 39, 42, 45, 48, 51, 54, 57, 60에
최소공배수입니다. ◯표 / 32, 40, 48, 56에 △표 / 48
공배수는 최소공배수의 배수이므로 작은 수부터 5 14 ② 15 210
개를 구하면 80의 배수인 80, 160, 240, 320, 16 ③ 17 24
400입니다. 18 66 19 4, 27, 목
8 최소공배수는 공배수 중에서 가장 작은 수이므로 20 600초
최소공배수의 배수가 두 수의 공배수입니다.
따라서 어떤 두 수의 최소공배수가 105이면 공배 01 68의 약수는 68을 나누어떨어지게 하는 수입니다.
수는 105, 210, 315, 420, ...입니다. 1_68=68, 2_34=68, 4_17=68로 곱셈식
① 1, ② 5, ③ 15, ④ 21은 105의 약수입니다. 을 만들 수 있으므로 68의 약수는 1, 2, 4, 17,
34, 68입니다.
9 채점 기준 주어진 수 중 68의 약수가 아닌 것은 ② 3입니다.
40, 48의 최소공배수에 3을 더하여 답을

바르게 구함. 02 20의 배수는 20을 1배, 2배, 3배, ... 한 수입니다.
40, 48의 최소공배수를 구하였으나 3을 더 20의 배수는 20, 40, 60, 80, ...이므로 주어진

하지 않아 답을 틀림. 수 중 20의 배수는 ⑤ 20입니다.
40, 48의 최소공배수를 구하지 못하여 답 한편 주어진 수 중 2, 4, 5, 10은 20을 나누어떨

을 구하지 못함. 어지게 하므로 20의 약수입니다.
10 채점 기준
03 52의 약수는 1, 2, 4, 13, 26, 52입니다.
수 카드로 만들 수 있는 세 자리 수를 모두
상 1의 약수: 1의 1개
구하여 답을 바르게 구함.
2의 약수: 1, 2의 2개
수 카드로 만들 수 있는 세 자리 수를 모두
중 13의 약수: 1, 13의 2개
구했으나 5의 배수를 잘못 찾아 답을 틀림.
26의 약수: 1, 2, 13, 26의 4개
수 카드로 만들 수 있는 세 자리 수를 알지
못하여 답을 구하지 못함.
하 52의 약수: 1, 2, 4, 13, 26, 52의 6개
따라서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수는 26입니다.

04 ⑴ ‌51은 3의 17배, 17의 3배이므로 3과 17의 배


수입니다.
⑵ ‌3, 17은 51을 나누어떨어지게 하므로 51의 약
단원 평가
수입니다.
94~96쪽

01 ② 02 ⑤ 05 50을 곱셈식으로 나타내면


03 26 04 ⑴ 배수 ⑵ 약수 1_50=50, 2_25=50, 5_10=50입니다.
05 ‌1_50=50, 2_25=50, 5_10=50 / 따라서 50의 약수는 1, 2, 5, 10, 25, 50입니다.
1, 2, 5, 10, 25, 50
06 곱셈식 105=3_5_7에서 105의 약수는 1, 3,
06 ④
5, 7, 15, 21, 35, 105입니다. 또한 105는 1, 3,
07 ⑴ 1, 2, 3, 4, 5, 6, 10, 12, 15, 20, 30, 60
5, 7, 15, 21, 35, 105의 배수입니다.
⑵ 1, 2, 3, 4, 6, 7, 12, 14, 21, 28, 42, 84
따라서 ④ 105의 약수는 3개가 아닌 8개입니다.
⑶ 1, 2, 3, 4, 6, 12
08 ⑴ 1, 2, 3, 4, 6, 8, 12, 24 07 ⑴ ‌60의 약수는 1, 2, 3, 4, 5, 6, 10, 12, 15,
⑵ ‌1, 2, 3, 4, 6, 8, 12, 16, 24, 48 20, 30, 60입니다.
09 ⑴ 3개 ⑵ 31 ⑵ ‌84의 약수는 1, 2, 3, 4, 6, 7, 12, 14, 21,
10 ⑴ 2_3_5 ⑵ 3_3_3_5 ⑶ 15 28, 42, 84입니다.
11 ‌(위부터) 3, 60, 5, 3, 4 / 3, 5, 15 ⑶ ‌60, 84의 공통된 약수인 공약수는 1, 2, 3, 4,
12 15 6, 12입니다.

정답과 풀이 19
정답과 풀이 본책

08 ⑴ 24의 약수는 1, 2, 3, 4, 6, 8, 12, 24입니다. 14 4와 7의 공약수는 1뿐이므로 4와 7의 최소공배수


⑵ ‌48의 약수는 1, 2, 3, 4, 6, 8, 12, 16, 24, 48 는 4_7=28입니다.
입니다. 따라서 4 와 7 의 공배수는 최소공배수의 배수인
28, 56, 84, ...입니다.
09 두 수의 최대공약수의 약수는 두 수의 공약수와
같습니다. 15 6의 배수이고 21의 배수인 수는 6과 21의 공배수
⑴ ‌공약수는 25의 약수인 1, 5, 25로 3개입니다. 입니다.
⑵ 공약수의 합은 1+5+25=31입니다. 3 ®† 6 21
2 17
10 ⑴ ‌30을 여러 수의 곱으로 나타내면
6과 21의 최소공배수는 3_2_7=42입니다.
30=2_3_5입니다.
6 과 21 의 공배수는 42 의 배수이므로 42 , 84 ,
⑵ ‌135를 여러 수의 곱으로 나타내면
126, 168, 210, ...입니다.
135=3_3_3_5입니다.
따라서 200과 가장 가까운 수는 210입니다.
⑶ ‌30, 135의 곱셈식에서 공통된 수는 3, 5이므
로 30, 135의 최대공약수는 3_5=15입니다. 16 ① ‌5와 12의 공약수는 1뿐이므로 5와 12의 최소
공배수는 5_12=60입니다.
11 ㉠ ®† 45 ㉡
② 2 ®† 6 10
5 ®† 15 20
3 15
3 4 ① 6과 10의 최소공배수는 2_3_5=30입니다.
㉠_15=45이므로 ㉠=3 ③ ‌7과 15의 공약수는 1뿐이므로 7과 15의 최소
㉠_20=㉡이므로 3_20=㉡에서 ㉡=60 공배수는 7_15=105입니다.
15와 20을 공약수인 5로 나누면 몫은 3, 4로 공약 ④ 2 ®† 4 14
수가 1뿐입니다. 2 17
따라서 45와 60의 최대공약수는
① 4와 14의 최소공배수는 2_2_7=28입니다.
3_5=15입니다.
⑤ 2 ®† 8 16
2 ®† 4 18
12 8과 20의 최대공약수는 4이므로 ㉡=4
10과 12의 최대공약수는 2이므로 ㉢=2 2 ®† 2 14
㉢<㉠<㉡에서 2<㉠<4이므로 ㉠=3 1 12
12와 ㉣의 최대공약수가 3이므로 ① 8과 16의 최소공배수는
3 ®† 12 ㉣ ① 2_2_2_1_2=16입니다.
  따라서 두 수의 최소공배수가 가장 큰 것은 ③ 7과
14 
15입니다.
이때 4와 의 공약수가 1뿐이어야 하므로
=1, 3, 5, 7, ... 17 어떤 수를 라 하면 어떤 수의 배수 중 작은 수
따라서 ㉣=3_이고 ㉣은 3, 9, 15, 21, ...이 부터 3번째 수는 _3이고, 6번째 수는 _6
될 수 있으므로 세 번째로 작은 수는 15입니다. 입니다.
6번째 수와 3번째 수의 차는 _3이므로
13 3의 배수 33, 36, 39, 42, 45, 48, 51, 54, 57,
_3=45, 즉 =15입니다.
60에 ◯표 합니다.
따라서 어떤 수는 15이므로 약수는 1, 3, 5, 15이
8의 배수 32, 40, 48, 56에 △표 합니다.
고 약수의 합은 1+3+5+15=24입니다.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18 어떤 수를 라고 하면 48, 의 최대공약수가 6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이므로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 ®† 48 
18
따라서 수 배열표에서 3과 8의 공배수는 48입니다. 18 △

20 수학 5-1 자습서
정답 과 풀이
최소공배수는 528 이므로 6_8_ △=528 에서
서술형 논술형 쓱 쓱 97쪽
△=11
따라서 =6_ △에서 =6_11=66 이므로 1  ㉡ ‌8의 약수는 1, 2, 4, 8이고 16의 약수는 1,
어떤 수는 66입니다. 2, 4, 8, 16이므로 8과 16의 공약수 중에
서 가장 큰 수는 8입니다.
2  ‌㉠은 5와 4의 공배수보다 3 큰 수입니다. 5와
19 서영이는 4일마다, 지은이는 6일마다 도서관에 간
4의 공배수는 20, 40, 60, 80, 100, ...이므
다면 서영이와 지은이가 같이 도서관에 가는 날은
로 ㉠이 될 수 있는 수는 23, 43, 63, 83의 4
4와 6의 최소공배수입니다.
개입니다.
2 ®† 4 6
/ 4개
2 3
3  ‌마스크 24개, 손 소독제 28개를 최대한 많은
4와 6의 최소공배수는 2_2_3=12입니다. 학생들에게 남지 않게 똑같이 나누어 주려면
4월 3일에 처음으로 같이 갔으므로 다음에 같이 24와 28의 최대공약수를 구합니다.
가는 날은 12일 뒤인 4월 15일, 그 다음은 12일
2 ®† 24 28
뒤인 4월 27일입니다. 즉 2번째로 빠른 날은 4월
3  2 ®† 12 14
27일입니다.
16 17
4월 3일이 월요일이므로 달력으로 나타내면 아래
와 같습니다. 3  ‌2 4와 28의 최대공약수는 2_2=4입니다.
따라서 최대 4명의 학생이 받을 수 있고, 한
일 월 화 수 목 금 토 학생이 마스크는 24/4=6(개), 손 소독제는
2 3 4 5 6 7 8 28/4=7(개)씩 받을 수 있습니다.
 9 10 11 12 13 14 15 / 4명, 마스크: 6개, 손 소독제: 7개
16 17 18 19 20 21 22
4  ‌2 ®† 14 56
7 ®† 17 28
23 24 25 26 27 28 29
11 14
따라서 구하는 날은 4월 27일 목요일입니다. 4  ‌(14♡56)은 14와 56의 최소공배수이므로
2_7_1_4=56입니다.
20 물고기 모양 분수는 한 번 켜지고 꺼지는데 2 ®† 24 42
5+5=10(초)가 걸리고, 나무 모양 분수는 한 번 33  3 ®† 12 21
켜지고 꺼지는데 5+10=15(초)가 걸립니다. 10 14 17
과 15의 최소공배수는 30이므로 물고기 모양 분 4  (24◎42)는 24와 42의 최대공약수이므로
수와 나무 모양 분수가 켜지고 꺼지는 시간은 30 4  2_3=6입니다.
초마다 반복되며 표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습니다.
5 ®† 30 35
0초 5초 10초 15초 20초 25초 3
16 17
~5초 ~10초 ~15초 ~20초 ~25초 ~30초
4  (30♡35)는 30과 35의 최소공배수이므로
물고기
 ◯ _ ◯ _ ◯ _ 4  5_6_7=210입니다.
분수
4  ‌이때 56◯6◯210의 식의 값이 가장 큰 수가
나무
◯ _ _ ◯ _ _ 되려면 첫 번째 ◯에 +, 두 번째 ◯에 _가
분수
들어가야 합니다.
또 30초마다 물고기 분수와 나무 분수가 동시에 따라서 56+6_210=1316입니다.
켜져 있는 시간은 5초입니다. / 1316
1시간은 60_60=3600(초)입니다.
3600은 30의 120번째 배수이므로 물고기 분수와
나무 분수가 1시간 동안 함께 켜져 있는 시간은
5초_120=600(초)입니다.

정답과 풀이 21
정답과 풀이 본책

1 채점 기준
잘못된 설명을 찾아 바르게 고침. 상 3 규칙과 대응
잘못된 설명을 찾았으나 바르게 고치지 못

함. 한번 더
한번 더 익힘 100~101쪽
잘못된 설명을 찾지 못하여 바르게 고치지
하 1   ㉠ 6, ㉡ 13, ㉢ 25 2 풀이 참조
못함.
3 4  ‌모형이 8개에서 시
2 채점 기준 작하여 4개씩 늘어
㉠이 5와 4의 공배수보다 3 큰 수임을 알고 납니다.

답을 바르게 구함.
㉠이 5와 4의 공배수보다 3 큰 수임을 알았

으나 계산 과정에서 답이 틀림. 1 수 배열표는 가로(→)로 5씩 커지고, 세로(↓)로 1
㉠이 5와 4의 공배수보다 3 큰 수임을 알지 씩 커지는 규칙입니다.

못하여 답을 구하지 못함.
이 규칙에 따라 ㉠, ㉡, ㉢에 알맞은 수는 각각 6,
3 13, 25입니다.
채점 기준
24와 28의 최대공약수를 구하고, 몇 명의 2 4씩 커지는 수의 배열을 ↗ 방향에서 찾을 수 있습
학생이 마스크와 손 소독제를 몇 개씩 받을 상 니다.
수 있는지 바르게 구함.
1 6 11 16 21
24와 28의 최대공약수를 구하였으나, 몇
명의 학생이 마스크와 손 소독제를 몇 개씩 중 2 7 12 17 22
받을 수 있는지 구하지 못함. 3 8 13 18 23
24와 28의 최대공약수를 구하지 못하고, 4 9 14 19 24
몇 명의 학생이 마스크와 손 소독제를 몇 하 5 10 15 20 25
개씩 받을 수 있는지 구하지 못함.
3 셋째 모양에서  모양으로 위쪽, 아래쪽, 왼쪽, 오
4 채점 기준 른쪽으로 모형을 각각 1개씩 늘리면 넷째 모양을 그
최소공배수와 최대공약수를 바르게 구하 릴 수 있습니다.
고, +, _ 기호를 옳게 사용하여 답을 바 상
르게 구함. 4  모형이 8개에서 시작하여 4개씩 늘어납니다.
최소공배수와 최대공약수를 바르게 구하였  ‌모형이 8개에서 시작하여  모양으로 위쪽, 아
으나, +, _ 기호를 옳게 사용하지 않아 중 래쪽, 왼쪽, 오른쪽으로 각각 1개씩 늘어납니다.
답을 틀림.
최소공배수와 최대공약수를 바르게 구하지
못하고, +, _ 기호를 옳게 사용하지 않아 하
답을 틀림. 한번 더
한번 더 척척 103쪽

1   ‌(왼쪽부터) 16, 3, 32, 8


/  다리의 수는 거미의 수의 8배입니다.

1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표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


습니다.

거미의 수(마리) 1 2 3 4 8 å

다리의 수(개) 8 16 24 32 64 å

•다리의 수는 거미의 수의 8배입니다.


•거미의 수에 8을 곱하면 다리의 수가 됩니다.
•다리의 수를 거미의 수로 나누면 8이 됩니다.

22 수학 5-1 자습서
정답 과 풀이
한번 더
한번 더 익힘 104~105쪽 한번 더
한번 더 익힘 108~109쪽

1   3, 6, 9, 12 2 3 / 3 / 날개, 선풍기 1   오후 10시, 오전 1시, 오전 2시


3 4 ‌승준 2 8 / 서울, 로마
3

4 ‌탁자, 의자

1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표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 1 서울의 시각이 로마의 시각보다 8시간 빠르므로 두 양
습니다. 사이의 대응 관계를 표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습니다.

1 2 3 4 å 서울의 오후 오후 오전 오전
선풍기의 수(대) å
 시각 9시 10시 1시 2시
날개의 수(개) 3 6 9 12 å 
로마의 오후 오후 오후 오후
å
시각 1시 2시 5시 6시
2 •날개의 수는 선풍기의 수의 3배입니다.
•선풍기의 수에 3을 곱하면 날개의 수가 됩니다.
2 •로마의 시각에 8을 더하면 서울의 시각이 됩니다.
•날개의 수를 선풍기의 수로 나누면 3이 됩니다.
•서울의 시각에서 로마의 시각을 빼면 8이 됩니다.
3 초록 삼각형은 1개씩 늘어나고 노랑 삼각형은 2개
3 탁자가 1개씩 늘어날 때마다 의자도 1개씩 늘어나
씩 늘어나므로 빈칸에 초록 삼각형을 4개, 노랑 삼
므로 빈칸에 탁자를 4개, 의자를 5개 그립니다.
각형을 8개 그립니다.
4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표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
4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표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
습니다.
습니다.
탁자의 수(개) 1 2 3 4 å
초록 삼각형의 수(개) 1 2 3 4 å 
 의자의 수(개) 2 3 4 5 å
노랑 삼각형의 수(개) 2 4 6 8 å
•탁자의 수에 1을 더하면 의자의 수가 됩니다.
태희: ‌노랑 삼각형의 수는 초록 삼각형의 수의 2배
•의자의 수에서 1을 빼면 탁자의 수가 됩니다.
입니다.
•의자의 수에서 탁자의 수를 빼면 1이 됩니다.
승준: ‌초록 삼각형이 1개씩 늘어날 때마다 노랑 삼
각형은 2개씩 늘어납니다.
시온: ‌노랑 삼각형의 수를 초록 삼각형의 수로 나누
면 2가 됩니다.
따라서 잘못 말한 친구는 승준입니다. 기초 탄탄 1 110~111쪽

1   4, 6, 8, 10 2 8, 12, 16, 20


3 4 / 곱하 / 정사각형, 4
한번 더
한번 더 척척 107쪽 4 48개
1   5, 6, 9, 12 / 28 5 ‌10, 11, 12, 13 /  정민이는 동생보다 4살 더
많습니다.
1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표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 6
습니다.

조카의 나이(살) 4 5 6 9 12 å
7  ‌사각형의 수는 삼각형의 수보다 1만큼 더 큽

삼촌의 나이(살) 32 33 34 37 40 å 니다.
8 16개
•조카의 나이에 28을 더하면 삼촌의 나이가 됩니다.

정답과 풀이 23
정답과 풀이 본책

1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표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 8 사각형의 수는 삼각형의 수보다 1만큼 더 크므로 삼


습니다. 각형이 15개일 때 필요한 사각형은 모두
15+1=16(개)입니다.
두발자전거의
1 2 3 4 5 …
 수(대)

바퀴의 수(개) 2 4 6 8 10 …

2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표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


습니다.
실력 쑥쑥 1 112~113쪽
정사각형의
1 2 3 4 5 …
수(개)
 1   ⑴ 작습니다에 ◯표 ⑵ 나누면에 ◯표
성냥개비의 2 4, 5, 6 / 2 3 ‌18개
4 8 12 16 20 …
수(개) 4 6, 9, 12 / 3, 원 / 3 5 90개
6 14, 21, 28 / 7 7 64장
3 •성냥개비의 수는 정사각형의 수의 4배입니다. 8  ‌기차가 달린 시간이 1시간씩 늘어날 때마다
•정사각형의 수에 4를 곱하면 성냥개비의 수가 됩 간 거리는 80 km씩 늘어나므로 달린 시간에
니다. 80을 곱하면 간 거리가 됩니다.
•성냥개비의 수를 정사각형의 수로 나누면 4가 됩 즉 기차가 달린 시간을 라고 할 때,
니다. ×80=960이므로 =12(시간)입니다.
4 성냥개비의 수는 정사각형의 수의 4배이므로 정사 따라서 기차가 960 km를 갔다면 12시간을
각형 12개를 만들 때 필요한 성냥개비는 모두 달린 것입니다. / 12시간
12×4=48(개)입니다. 9  ‌영은이의 나이가 1살씩 늘어날 때마다 오빠
의 나이도 1살씩 늘어나므로 오빠의 나이는
5 정민이와 동생의 나이 사이의 대응 관계를 표로 나
영은이의 나이보다 4살 더 많습니다.
타내면 아래와 같습니다.
따라서 영은이가 20살일 때 오빠는
정민이의
13 14 15 16 17 … 20+4=24(살)입니다. / 24살
나이(살) 10 ①, ④

동생의
9 10 11 12 13 … 1 ⑴ ‌가 1씩 늘어날 때마다 △도 1씩 늘어납니다.
나이(살)
⇨ △는 보다 3만큼 더 큽니다.
•정민이는 동생보다 4살 더 많습니다. ⇨ 는 △보다 3만큼 더 작습니다.
•동생의 나이에 4를 더하면 정민이의 나이가 됩니다. ⑵ ‌가 1씩 늘어날 때마다 ♡는 5씩 늘어납니다.
•정민이의 나이에서 동생의 나이를 빼면 4가 됩니다. ⇨ ♡는 의 5배입니다.
6 사각형이 1개씩 늘어날 때마다 삼각형도 1개씩 늘 ⇨ ♡를 로 나누면 5가 됩니다.
어나므로 다음에 이어질 모양은 사각형을 5개, 삼
2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표로 나타내면 아래와
각형을 4개 그립니다.
같습니다.
7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표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
사각형의 수(개) 1 2 3 4 …
습니다. 
삼각형의 수(개) 3 4 5 6 …
사각형의 수(개) 2 3 4 5 …
 ‌
사각형의 수가 1개씩 늘어날 때마다 삼각형의 수
삼각형의 수(개) 1 2 3 4 …
가 1개씩 늘어납니다.
•사각형의 수는 삼각형의 수보다 1만큼 더 큽니다. ⇨ ‌사각형의 수에 2를 더하면 삼각형의 수가 됩니다.
•삼각형의 수에 1을 더하면 사각형의 수가 됩니다. ⇨ ‌삼각형의 수에서 2를 빼면 사각형의 수가 됩니다.
•사각형의 수에서 삼각형의 수를 빼면 1이 됩니다. ⇨ ‌삼각형의 수에서 사각형의 수를 빼면 2가 됩니다.

24 수학 5-1 자습서
정답 과 풀이
3 사각형의 수에 2를 더하면 삼각형의 수가 되므로 ④ ‌파리의 시각이 서울의 시각보다 8시간 느리므
사각형이 16개일 때 필요한 삼각형은 모두 로 서울의 시각이 오후 3시이면 파리의 시각은
16+2=18(개)입니다. 오전 7시입니다.

4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표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습니다.

사각형의 수(개) 1 2 3 4 …

원의 수(개) 3 6 9 12 … 한번 더
한번 더 척척 115쪽

‌
사각형의 수가 1개씩 늘어날 때마다 원의 수가 3 1    (의자의 수)+1=(나무의 수)
개씩 늘어납니다. 2  _6=△
⇨ 사각형의 수에 3을 곱하면 원의 수가 됩니다.
⇨ 원의 수를 3으로 나누면 사각형의 수가 됩니다. 1
나무의 수(그루) 2 3 4 5 6 å
⇨ 원의 수를 사각형의 수로 나누면 3이 됩니다.
의자의 수(개) 1 2 3 4 5 å
5 사각형의 수에 3을 곱하면 원의 수가 되므로 사각
형이 30개일 때 필요한 원은 모두 30_3=90(개) •의자의 수에 1을 더하면 나무의 수가 됩니다.
입니다. ⇨ (의자의 수)+1=(나무의 수)
•나무의 수에서 1을 빼면 의자의 수가 됩니다.
6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표로 나타내면 아래와 ⇨ (나무의 수)-1=(의자의 수)
같습니다. •나무의 수에서 의자의 수를 빼면 1이 됩니다.
접시의 수(장) 1 2 3 4 … ⇨ (나무의 수)-(의자의 수)=1

귤의 수(개) 7 14 21 28 … 2 무당벌레의
1 2 3 4 5 å
수(마리)
‌
접시의 수가 1장씩 늘어날 때마다 귤의 수가 7개
씩 늘어납니다. 다리의 수(개) 6 12 18 24 30 å
⇨ 귤의 수는 접시의 수의 7배입니다.
•무당벌레의 수(◯)에 6을 곱하면 다리의 수(△)가
⇨ 접시의 수에 7을 곱하면 귤의 수가 됩니다.
됩니다. ⇨ ◯_6=△
⇨ 귤의 수를 7로 나누면 접시의 수가 됩니다.
•다리의 수(△)를 6으로 나누면 무당벌레의 수(◯)
7 귤의 수를 7로 나누면 접시의 수가 되므로 귤 448 가 됩니다. ⇨ △/6=◯
개를 담을 때 필요한 접시는 448/7=64(장)입니 •다리의 수(△)를 무당벌레의 수(◯)로 나누면 6이
다. 됩니다. ⇨ △/◯=6
8 채점 기준
대응 관계를 알고 답을 바르게 구함. 상
대응 관계를 알았으나 계산 과정에서 실수

하여 답이 틀림.
대응 관계를 알지 못하여 답이 틀림. 하 한번 더
한번 더 익힘 116~117쪽

9 채점 기준 1   3, 4, 5, 6, 7 2  +2=
대응 관계를 알고 답을 바르게 구함. 상 3 6, 12, 18, 24, 30 4 ‌ ☆_6=♡
대응 관계를 알았으나 계산 과정에서 실수
중 1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표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
하여 답이 틀림.
습니다.
대응 관계를 알지 못하여 답이 틀림. 하
흰 돌의 수(개) 1 2 3 4 5 å
10 ① ‌서울의 시각이 파리의 시각보다 8시간 빠릅니 
다. 검은 돌의 수(개) 3 4 5 6 7 å

정답과 풀이 25
정답과 풀이 본책

2 •흰 돌의 수()에 2를 더하면 검은 돌의 수()가 1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표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


됩니다. ⇨ +2= 습니다.
•검은 돌의 수()에서 2를 빼면 흰 돌의 수()가
서현이의 나이(살) 연도(년)
됩니다. ⇨ -2=
•검은 돌의 수()에서 흰 돌의 수()를 빼면 2가 10 2022
됩니다. ⇨ -=2 11 2023

17 2029
3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표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
30 2042
습니다.

å
꽃의 수(송이) 1 2 3 4 5 å
 서현이의 나이를 , 연도를 라고 할 때, 두 양 사
꽃잎의 수(장) 6 12 18 24 30 å 이의 대응 관계를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2012=, -2012=, -=2012
4 •꽃의 수(☆)에 6을 곱하면 꽃잎의 수(♡)가 됩니
다. ⇨ ☆×6=♡
2 2050년이면 +2012=에서 가 2050이므로
+2012=2050, =38입니다.
•꽃잎의 수(♡)를 6으로 나누면 꽃의 수(☆)가 됩니
따라서 서현이의 나이는 38살입니다.
다. ⇨ ♡/6=☆
•꽃잎의 수(♡)를 꽃의 수(☆)로 나누면 6이 됩니 3 삼각형의 수(△)에 3을 곱하면 성냥개비의 수(☆)가
다. ⇨ ♡/☆=6 되므로 두 양 △, ☆ 사이의 대응 관계를 식으로 나
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_3=☆, ☆/3=△, ☆/△=3

4 성냥개비가 228개이면 △_3=☆에서 ☆이 228


한번 더
한번 더 척척 119쪽
이므로 △_3=228, △=76입니다.
1    △+1= 2 16번 따라서 삼각형을 76개 만들 수 있습니다.

1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표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


습니다.

자른 횟수(번) 1 2 3 4 å
 탄탄
기초 2 122~123쪽
도막의 수(도막) 2 3 4 5 å

자른 횟수(△)와 도막의 수() 사이의 대응 관계를 1   + 2/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3  △+6= 4  ◎_5=
△+1=, -1=△, -△=1 5 ㉡, ㉢ 6 ㉠, ㉢
7 17개 8 192장
2 도막이 17도막이면 △+1=에서 가 17이므로
△+1=17, △=16입니다. 따라서 실을 16번 잘 1 에 2를 더하면 △가 됩니다.
랐습니다. ⇨ +2=△, △-2=, △-=2

2 ♡에 8을 곱하면 ☆이 됩니다.
⇨ ♡_8=☆, ☆/8=♡, ☆/♡=8
한번 더
한번 더 익힘 120~121쪽 3 서울의 시각이 1시간씩 늘어날 때마다 모스크바의
시각도 1시간씩 늘어나는 대응 관계이므로 모스크
1   (위부터) 2022, 17, 2042 /  서현이의 나이
바의 시각에 6을 더하면 서울의 시각이 됩니다.
1   를 , 연도를 라고 하면 +2012=
따라서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식으로 나타내면
2 38살 3  △_3=☆
다음과 같습니다.
4 76개
△+6=, -6=△, -△=6

26 수학 5-1 자습서
정답 과 풀이
4 비닐봉지의 수가 1개씩 늘어날 때마다 사탕의 수가 사각형이 1개씩 늘어날 때마다 성냥개비는 4개씩
5개씩 늘어나는 대응 관계이므로 비닐봉지의 수에 늘어나는 대응 관계입니다.
5를 곱하면 사탕의 수가 됩니다. 따라서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식으로 나타내
따라서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식으로 나타내면 면 다음과 같습니다.
다음과 같습니다. ×4=, /4=, /=4
◎_5=, /5=◎, /◎=5
2 준서의 나이가 1살씩 늘어날 때마다 형의 나이도
5 곱셈식 _5=△를 나눗셈식으로 나타내면 1살씩 늘어나는 대응 관계입니다.
㉡ △/5= 또는 ㉢ △/=5입니다. 따라서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식으로 나타내
6 도막의 수()는 자른 횟수(△)보다 1만큼 더 크므 면 다음과 같습니다.
로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식으로 나타내면 ㉣ +3=◎, ㉡ ◎-3=, ◎-=3
△+1= 입니다. 이 식을 뺄셈식으로 나타내면
㉠ -1=△ 또는 ㉢ -△=1입니다.
3 거미의 수가 1마리씩 늘어날 때마다 다리의 수는
8개씩 늘어나는 대응 관계입니다.
7 탁자의 수와 의자의 수 사이의 대응 관계를 식으로 따라서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식으로 나타내
나타내면 (탁자의 수)+2=(의자의 수)입니다. 면 다음과 같습니다.
따라서 탁자가 15개일 때 필요한 의자는 모두 ㉣ ×8=△, ㉢ △/8=, ㉠ △/=8
15+2=17(개)입니다.
4 고래의 수가 1마리씩 늘어날 때마다 목뼈의 수는
8 꽃의 수와 꽃잎의 수 사이의 대응 관계를 식으로 나
7개씩 늘어나는 대응 관계입니다.
타내면 (꽃의 수)×8=(꽃잎의 수)입니다.
따라서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눗셈식으로
따라서 꽃이 24송이일 때 꽃잎은 모두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24_8=192(장)입니다.
☆/7=♡, ☆/♡=7

5 채점 기준
대응 관계를 알고 답을 바르게 구함. 상
실력 쑥쑥 2 124~125쪽
대응 관계를 알았으나 계산 과정에서 실수

1    ×4= 2 ㉡, ㉣ 하여 답이 틀림.
3 ㉠, ㉢, ㉣ 4  ☆/7=♡ 대응 관계를 알지 못하여 답이 틀림. 하
5  ‌고래가 15마리이면 ♡_7=☆에서 ♡가 15
이므로 15_7=☆, ☆=105입니다. 6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표로 나타내면 아래와
따라서 고래 15마리의 목뼈는 모두 105개입 같습니다.
니다. / 105개 배열 순서(번째) 1 2 3 4 å
6  △_△= 
타일의 수(개) 1 4 9 16 å
7  ‌10번째 배열이면 △_△=에서 △가 10
이므로 10_10=, =100입니다. 배열 순서가 1씩 늘어날 때마다 타일의 수는 배열
따라서 10번째 배열에는 타일이 모두 100개 순서를 나타내는 수를 2번 곱한 수와 같습니다.
필요합니다. / 100개 따라서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식으로 나타내
8  ‌△+9= 9 오후 1시 면 다음과 같습니다.
10 10분 △_△=, /△=△

1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표로 나타내면 아래와 7 채점 기준


같습니다. 대응 관계를 알고 답을 바르게 구함. 상
대응 관계를 알았으나 계산 과정에서 실수
성냥개비의 수(개) 4 8 12 16 å 중
 하여 답이 틀림.
사각형의 수(개) 1 2 3 4 å 대응 관계를 알지 못하여 답이 틀림. 하

정답과 풀이 27
정답과 풀이 본책

8 서울의 시각이 1시간씩 늘어날 때마다 런던의 시 01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표로 나타내면 아래와
각도 1시간씩 늘어나는 대응 관계이므로 런던의 같습니다.
시각에 9를 더하면 서울의 시각이 됩니다.
사각형의 수(개) 1 2 3 4 5 å
따라서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식으로 나타내 
면 다음과 같습니다. 삼각형의 수(개) 3 6 9 12 15 å
△+9=, -9=△, -△=9
02 사각형이 1개씩 늘어날 때마다 삼각형은 3개씩 늘
9 서울의 시각이 오후 10시면 △+9=에서 가
어나는 대응 관계입니다.
10이므로 △+9=10, △=1입니다.
따라서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식으로 나타내
따라서 고모는 오후 1시에 전화를 받게 됩니다.
면 다음과 같습니다.
10 1분 동안 두 개의 수도꼭지를 동시에 틀었을 때 나 _3=△, △/3=, △/=3
오는 물의 양은 6+12=18 (L)이므로, 물을 튼
03 삼각형이 66개이면 _3=△에서 △가 66이므
시간과 물의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표로 나타내
로 _3=66, =22입니다.
면 아래와 같습니다.
따라서 필요한 사각형은 모두 22개입니다.
물을 튼 시간(분) 1 2 3 4 å
 04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표로 나타내면 아래와
물의 양 (L) 18 36 54 72 å 같습니다.

물을 튼 시간이 1분씩 늘어날 때마다 물의 양은 박스의 수(박스) 1 2 3 4 å


18 L씩 늘어나는 대응 관계이므로 물을 튼 시간과 
사과의 수(개) 12 24 36 48 å
물의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식으로 나타내면
(물을 튼 시간)_18=(물의 양)입니다. 한 박스씩 늘어날 때마다 사과는 12개씩 늘어나는
따라서 양동이의 물의 양이 180 L일 때 대응 관계이므로 박스의 수를 , 사과의 수를 
(물을 튼 시간)_18=180이므로 양동이를 가득 라고 할 때,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식으로 나
채우려면 10분이 걸립니다. 타내면 _12=입니다.
이때 사과가 156 개이면 _12= 에서 가
156이므로 _12=156, =13입니다.
따라서 사과 156개는 13박스입니다.

05 ♡의 수가 1씩 늘어날 때마다 ☆도 1씩 늘어나는


대응 관계이므로 ♡에 4를 더하면 ☆이 됩니다.
따라서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식으로 나타내
면 다음과 같습니다.
③ ♡+4=☆, ⑤ ☆-4=♡, ① ☆-♡=4
단원 평가 134~136쪽
06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표로 나타내면 아래와
01 (왼쪽부터) 3, 2, 9, 4, 15
같습니다.
02  _3=△ 03 22개
04 13박스 05 ①, ③, ⑤ 추의 수(개) 1 2 3 4 å
06  _3= 07 9개  늘어난 용수철의
08  _6=△ 09  _4=♡ 3 6 9 12 å
길이(cm)
10 90개 11 9마리
(위부터) 2022, 16, 2034 추가 1개씩 늘어날 때마다 용수철의 길이는 3 cm
12
씩 늘어나므로 늘어난 용수철의 길이는 추의 수의
13 ②, ④ 14 28살
15 33 16 ‌2, 4, 6, 8 3배입니다.
 △_2= 따라서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식으로 나타내
17 18 54번째
7월 23일 오전 5시 20 ③ 면 다음과 같습니다.
19
_3=, /3=, /=3

28 수학 5-1 자습서
정답 과 풀이
07 늘어난 용수철의 길이가 27 cm이면 _3=에 13 연후의 나이에 2012를 더하면 연도가 되므로 두
서 가 27이므로 _3=27, =9입니다.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따라서 추는 9개 매달아 놓았습니다. 같습니다.
08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표로 나타내면 아래와 ② ♡+2012=☆, ☆-2012=♡,
같습니다. ④ ☆-♡=2012

잠자리의 수(마리) 1 2 3 4 å 14 2040년이면 ♡+2012=☆에서 ☆이 2040이므



다리의 수(개) 6 12 18 24 å 로 ♡+2012=2040, ♡=28입니다.
따라서 연후의 나이는 28살입니다.
잠자리가 1마리씩 늘어날 때마다 다리의 수는 6개
씩 늘어나는 대응 관계이므로 두 양 사이의 대응 15 태영이가 말한 수와 민희가 답한 수 사이의 대응
관계를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관계를 표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습니다.
_6=△, △/6=, △/=6
태영이가 말한 수 8 15 24 å
09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표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습니다. 민희가 답한 수 17 24 å

잠자리의 수(마리) 1 2 3 4 å 태영이가 말한 수에 9를 더하면 민희가 답한 수가


 되므로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식으로 나타내
날개의 수(개) 4 8 12 16 å
면 (태영이가 말한 수)+9=(민희가 답한 수)입니
잠자리가 1마리씩 늘어날 때마다 날개의 수는 4개 다. 따라서 태영이가 말한 수가 24일 때, 민희는
씩 늘어나는 대응 관계이므로 두 양 사이의 대응 24+9=33이라고 답합니다.
관계를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4=♡, ♡/4=, ♡/=4 16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표로 나타내면 아래와
10 잠자리가 15마리이면 _6=△에서 가 15이 같습니다.
므로 15_6=△, △=90입니다. 배열 순서(번째) 1 2 3 4 å
따라서 잠자리 다리는 모두 90개입니다. 
사각형의 수(개) 2 4 6 8 å
11 •잠자리 1마리의 다리와 날개의 합은
6+4=10(개)이므로 잠자리 다리와 날개의 합
은 잠자리의 수의 10배입니다. 따라서 잠자리의 17 사각형의 수는 배열 순서의 2배이므로 두 양 사이
수를 , 다리와 날개의 합을 ☆이라 할 때, 두 의 대응 관계를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식으로 나타내면 다.
_10=☆입니다. △_2=, /2=△, /△=2
•잠자리 다리와 날개의 합이 90개이면
_10=☆에서 ☆이 90이므로 _10=90, 18 사각형의 수가 108개이면 △×2=에서 가
=9입니다.
108이므로 △×2=108, △=54입니다.
따라서 배열 순서는 54번째입니다.
따라서 잠자리는 모두 9마리입니다.
12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표로 나타내면 아래와 19 베를린의 시각에 7을 더하면 서울의 시각이 되므
같습니다. 로 베를린이 오후 10시일 때 7시간을 더하면 다음
연후의 나이(살) 연도(년) 날 오전 5시가 됩니다.
따라서 서울에 있는 민수는 7월 23일 오전 5시에
10 2022
전화를 받게 됩니다.
12 2024

16 2028
20 ③ ‌서울의 시각이 베를린의 시각보다 앞서가고 있
22 2034
으므로 서울의 시각이 베를린의 시각보다 7시
å

간 빠릅니다.

정답과 풀이 29
정답과 풀이 본책

서술형 논술형 쓱 쓱 ♡+(♡+5)=99, ♡+♡=94, ♡=47입


137쪽
니다.
1  ‌물건이 1개씩 늘어날 때마다 배달비는 2300 따라서 민규와 누나의 나이의 합이 99살이
원씩 늘어나는 대응 관계이므로 물건의 수를 될 때 민규의 나이는 47살입니다.
, 배달비를 △라고 할 때, 두 양 사이의 대 / 47살
응 관계를 식으로 나타내면 _2300=△입
니다. 이때 물건이 8개이면 _2300=△에 1 채점 기준
서 가 8이므로 8_2300=△, △=18400 배달비와 물건의 수 사이의 대응 관계를 식
입니다. 따라서 배달비는 18400원입니다. 상
으로 나타내고, 답을 바르게 구함.
/ 18400원 배달비와 물건의 수 사이의 대응 관계를 식
2  ‌서울의 시각을 , 하노이의 시각을 △, 나이 으로 나타냈으나 계산 과정에서 실수하여 중
로비의 시각을 라고 할 때, 서울의 시각과 답이 틀림.
하노이의 시각 사이의 대응 관계를 식으로 나 배달비와 물건의 수 사이의 대응 관계를 식

타내면 △+2=이고, 하노이의 시각과 나 으로 나타내지 못하여 답이 틀림.
이로비의 시각 사이의 대응 관계를 식으로 나
2 채점 기준
타내면 +4=△입니다.
서울의 시각과 나이로비의 시각 사이의 대
이때 △+2=, △=+4이므로
응 관계를 식으로 나타내고, 답을 바르게 상
(+4)+2=, +6= 구함.
즉 나이로비의 시각에 6을 더하면 서울의 시 서울의 시각과 나이로비의 시각 사이의 대
각이 됩니다. 응 관계를 식으로 나타냈으나 계산 과정에 중
따라서 나이로비가 오후 4시이면 +6= 서 실수하여 답이 틀림.
에서 가 4이므로 4+6=, =10입니 서울의 시각과 나이로비의 시각 사이의 대

다. 따라서 서울은 오후 10시입니다. 응 관계를 식으로 나타내지 못하여 답이 틀림.
/ 오후 10시
3 채점 기준
3  ‌한 걸음씩 늘어날 때마다 이동 거리는 53 cm
걸음 수와 이동 거리 사이의 대응 관계를
씩 늘어나는 대응 관계이므로 걸음 수를 , 상
식으로 나타내고, 답을 바르게 구함.
이동 거리를 △라고 할 때, 두 양 사이의 대응
걸음 수와 이동 거리 사이의 대응 관계를
관계를 식으로 나타내면 _53=△입니다.
식으로 나타냈으나 계산 과정에서 실수하 중
이때 30걸음을 걸었다면 _53=△에서  여 답이 틀림.
가 30이므로 30_53=△, △=1590입니다. 걸음 수와 이동 거리 사이의 대응 관계를
따라서 이동 거리는 1590 cm입니다. 하
식으로 나타내지 못하여 답이 틀림.
/ 1590 cm
4  ‌민규의 나이와 누나의 나이 사이의 대응 관계 4 채점 기준

를 표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습니다. 민규의 나이와 누나의 나이 사이의 대응 관



계를 식으로 나타내고, 답을 바르게 구함.
민규의 나이(살) 6 7 8 9 å 민규의 나이와 누나의 나이 사이의 대응 관

누나의 나이(살) 11 12 13 14 å 계를 식으로 나타냈으나 계산 과정에서 실 중
수하여 답이 틀림.
4  ‌민규의 나이가 1살씩 늘어날 때마다 누나의 민규의 나이와 누나의 나이 사이의 대응 관

나이가 1살씩 늘어나는 대응 관계이므로 민 계를 식으로 나타내지 못하여 답이 틀림.
규의 나이를 ♡, 누나의 나이를 ☆이라고 할
때,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식으로 나타내
면 ♡+5=☆입니다.
이때 민규와 누나의 나이의 합이 99이면
♡+☆=99이고 ☆=♡+5이므로

30 수학 5-1 자습서
정답 과 풀이
4 약분과 통분 한번 더
한번 더 익힘
0
1                 1
144~145쪽

한번 더
한번 더 익힘 140~141쪽 ,
0 1
1   
,>
2 크기가 같습니다.
8 2( ◯ )( )( ◯ )
2 ⑴ 0.7 ⑵ 0.4 ⑶ ;1∞0; ⑷
10 3( ◯ )( ) 4 ;3!;, ;9#;, ;1¢2;
3 1, 3, 9 4 15, 300

1 ;3@;는 전체를 똑같이 3으로 나눈 것 중의 2만큼 색칠


1 ‌;1ª2; 는 전체를 똑같이 12로 나눈 것 중의 9만큼 색
합니다.
칠합니다.
;6$;는 전체를 똑같이 6으로 나눈 것 중의 4만큼 색칠
;1¶2; 은 전체를 똑같이 12로 나눈 것 중의 7만큼 색
합니다.
칠합니다.
⇨ ‌주어진 분수만큼 색칠하면 ;3@;와 ;6$;의 크기는 같
⇨ ‌;1ª2; 가 ;1¶2;보다 더 큽니다.
습니다.
2 ⑴ ;1¶0;=0.7 2 분수만큼 색칠한 그림을 비교하면 크기가 같은 두

⑵ ;1¢0;=0.4 분수는 ;4!;과 ;1£2;입니다.

⑶ 0.5=;1∞0; 3 분수만큼 색칠한 그림을 비교하면 ;2!;과 크기가 같

⑷ 0.8=
8 은 분수는 ;4@;입니다.
10
4
3 18의 약수는 1, 2, 3, 6, 9, 18이고 45의 약수는 1,
3, 5, 9, 15, 45이므로 18과 45의 공약수는 1, 3,
9입니다.
;3!; ;9#; ;1¢2;
4 3 ®† 60 75
5 ®† 20 25 ⇨ ;3!;, ;9#;, ;1¢2;는 크기가 같은 분수입니다.
14 15
최대공약수: 3_5=15 한번 더
한번 더 척척 147쪽
최소공배수: 3_5_4_5=300
1   ⑴ (왼쪽 위부터) 4, 12, 20
1   ⑵ (왼쪽 위부터) 2, 5, 7
한번 더
한번 더 척척 143쪽

1    1 ⑴ ‌분모와 분자에 각각 0이 아닌 같은 수를 곱하면


3_4
, 크기가 같은 분수가 되므로 ;5#;= =;2!0@;입
5_4
니다.
1    크기가 모두 같습니다.
⑵ ‌분모와 분자를 각각 0이 아닌 같은 수로 나누면
10/2
1 주어진 분수만큼 색칠해 보면 ;2!;, ;6#;, ;1§2;의 크기는 크기가 같은 분수가 되므로 ;1!4);= =;7%;
14/2
모두 같습니다. 입니다.

정답과 풀이 31
정답과 풀이 본책

2
14/7
한번 더
한번 더 익힘 148~149쪽 1 ;4!9$;= =;7@; ⇨ 14? =;7@;
49/7 49?
7
0 1
1                 
32/2
2 ㉠ ;4#8@;= =;2!4^;
, 3, ;1ª2; 48/2
32/4 8
㉢ ;4#8@;= =
48/4 12
32/16
2 2, ;3@; 3㉢ ㉣ ;4#8@;= =;3@;
48/16
4 ;2!0@;, ;2!5%;, ;3!0*; ⇨ ;4#8@;를 약분한 것은 ㉠, ㉣입니다.

15/5
1 ;4#;의 분모와 분자에 각각 3을 곱하면 ;1ª2;입니다. 3 ⑴ ;4!0%;= =;8#;
40/5
15/3
3_3 ⑵ ;3!3%;= =;1∞1;
⇨ ;4#;= =;1ª2; 33/3
4_3
9/9
⑶ ;3ª6;= =;4!;
2 ;6$;의 분모와 분자를 각각 2로 나누면 ;3@;입니다. 36/9
13/13
4/2 ⑷ ;5!2#;= =;4!;
⇨ ;6$;= =;3@; 52/13
6/2
25/5 4 분모가 12인 진분수는 ;1¡2;, ;1™2;, ;1£2;, ;1¢2;, ;1∞2;,
3 ;3@5%;= =;7%;이므로 ;3@5%;와 크기가 같은 분수
35/5 8 9
;1§2;, ;1¶2;, , , ;1!2);, ;1!2!;이고, 이 중 기약분수
는 ㉢입니다. 12 12
는 ;1¡2;, ;1∞2;, ;1¶2;, ;1!2!;이므로 4개입니다.
4 ;5#;과 크기가 같은 분수 중에서 분자가 10보다 크고
3_4
20보다 작은 분수는 ;5#;= =;2!0@;,
5_4
3_5 3_6
;5#;= =;2!5%;, ;5#;= =;3!0*;입니다.
5_5 5_6

한번 더
한번 더 척척 151쪽 기초 탄탄 1 154~155쪽

1   ⑴ ;4!; ⑵ ;7!; ⑶ ;9&; ⑷ ;7#; 1  0 1

5/5
1 ⑴ ;2∞0;= =;4!;
,
20/5 0 1
7/7
⑵ ;4¶9;= =;7!;
49/7
56/8 1   같습니다에 ◯표
⑶ ;7%2^;= =;9&;
72/8 2 ;4!;, ;8@; 3 ⑴ 9, ;4!5*; ⑵ 4, ;2!8@;
18/6
⑷ ;4!2*;= =;7#;
42/6 4 6, 6, 12 5 ⑴ 6, ;7#; ⑵ 7, ;8@;

6 15, 10, 5 7 3, ;7!;, 1, 1


한번 더
한번 더 익힘 152~153쪽
8 ⑴ ;8#; ⑵ ;3!;
1   7, 7, 7, 7 2 ㉠, ㉣
3 ⑴ ;8#; ⑵ ;1∞1; ⑶ ;4!; ⑷ ;4!;
1 주어진 분수만큼 색칠하면 ;8#;과 ;1§6;의 크기는 같
4 4개
습니다.

32 수학 5-1 자습서
정답 과 풀이
2 8 ㉠, ㉣ 9 ;4§1;에 ◯표
10  ‌분모가 21인 진분수의 분자를 라고 하면

;4!; ;8@; =;7!;입니다. 21/3=7이므로


21
/3=1, =3입니다.
⇨ ;4!;, ;8@;는 크기가 같은 분수입니다.
따라서 분모가 21인 진분수 중 약분하면 ;7!;
2_9 3_4
3 ⑴ ;5@;= =;4!5*; ⑵ ;7#;= =;2!8@;
5_9 7_4 이 되는 분수는 ;2£1;입니다. / ;2£1;
2_2 2_3
4 ;3@;= =;6$;, ;3@;= =;9^;,
3_2 3_3
2_4 8 1 주어진 분수만큼 색칠하면 크기가 같은 분수는 ;3!;
;3@;= =
3_4 12
과 ;9#;입니다.
18/6 14/7
5 ⑴ ;4!2*;= =;7#; ⑵ ;5!6$;= =;8@;
42/6 56/7
2
30/2 30/5
6 ;5#0);= =;2!5%;, ;5#0);= =;1§0;,
50/2 50/5
30/10
;5#0);= =;5#;
50/10 ;4#; ;8^; ;1ª2;
1
7 ;2£1;=
3/3
=;7!; ⇨ 3/ =;7!; ⇨ ;4#;, ;8^;, ;1ª2;는 크기가 같은 분수입니다.
21/3 21?
7

24/8 25/25 3 분모와 분자에 각각 0이 아닌 같은 수를 곱하거나


8 ⑴ ;6@4$;= =;8#; ⑵ ;7@5%;= =;3!; 분모와 분자를 각각 0이 아닌 같은 수로 나누면 크
64/8 75/25
기가 같은 분수가 됩니다.

9 9_3 27/3 9
4 = =;6@0&;, ;3@0&;= = ,
20 20_3 30/3 10
32/8
;4#0;@ = =;5$;,
실력 쑥쑥 1 156~157쪽 40/8

5/5 5_2
1    5 ;3∞0;= =;6!;, ;3∞0;= =;6!0);이므로
30/5 30_2
,
;3∞0;와 크기가 같은 분수는 ㉠, ㉣입니다.

1    ;3!;, ;9#; 3_3 9


6 ㉠ ;4#;= =
4_3 12
2 ;4#;, ;8^;, ;1ª2; 3 태양, 샛별 8 8/4
㉢ = =;5@;
20 20/4
4 5 ㉠, ㉣
⇨ 크기가 같은 분수끼리 짝 지은 것은 ㉠, ㉢입니다.

6 ㉠, ㉢ 7 채점 기준

7  ‌분모와 분자에 각각 0이 아닌 같은 수를 곱하 까닭을 쓰고 크기가 같은 분수를 바르게 구



거나 분모와 분자를 각각 0이 아닌 같은 수로 함.
까닭을 썼으나 크기가 같은 분수를 바르게
7  ‌나누어야 합니다. ;1∞7;와 크기가 같은 분수를 구하지 못함.

5_5 까닭을 몰라 크기가 같은 분수를 바르게 구


1개 쓰면 ;1∞7;= =;8@5%;입니다. / ;8@5%; 하
17_5 하지 못함.

정답과 풀이 33
정답과 풀이 본책

12/12
8 ㉠ ;3!6@;= =;3!; 3 {;8&;, ;6%;} ⇨ {
7_3
,
5_4
} ⇨ {;2@4!;, ;2@4);}
36/12 8_3 6_4
12/4
㉡ ;3!6@;= =;9#; {;5#;, ;7#;} ⇨ {
3_7
,
3_5
} ⇨ {;3@5!;, ;3!5%;}
36/4 5_7 7_5
12/3
㉢ ;3!6@;= =;1¢2;
36/3 4{ , ;7@;} ⇨ {;5#6%;, ;5!6^;}이므로 와 ;5#6%;는 크기
8 8
12/2
㉣ ;3!6@;= =;1§8; 가 같습니다. 이때 8_7=56이므로 _7=35,
36/2
=5입니다.
⇨ ;3!6@;를 바르게 약분한 것은 ㉠, ㉣입니다.

9 기약분수는 분모와 분자의 공약수가 1뿐인 분수입


니다.
한번 더
한번 더 척척 163쪽
3 4 5
9/ =;4#;, 16? =;7$;, 45? =;8%;
12? 28? 72? 1   ⑴ > ⑵ >
4 7 8

⇨ 기약분수는 ;4§1;입니다.
1 ⑴ {;8&;, ;7^;} ⇨ {;5$6(;, ;5$6*;} ⇨ ;8&; > ;7^;
10 채점 기준 ⑵ {2;5#;, 2;9%;} ⇨ {2;4@5&;, 2;4@5%;} ⇨ 2;5#; > 2;9%;
분모가 21인 진분수의 분자를 구하는 식을

세우고 답을 바르게 구함.
분모가 21인 진분수의 분자를 구하는 식을
세웠으나 계산 과정에서 실수하여 답이 틀 중
한번 더
한번 더 익힘 164~165쪽
림.
분모가 21인 진분수의 분자를 구하는 식을 1   27, 34, < 2⑴< ⑵>

세우지 못하여 답을 구하지 못함.
3( )( ◯ ) 4 ;1¶5;, ;9$;, ;3!;

한번 더
한번 더 척척 159쪽 1 {;1ª4;, ;2!1&;} ⇨ {;4@2&;, ;4#2$;} ⇨ ;1ª4; < ;2!1&;

1    ⑴ (왼쪽 위부터) 9, 24, 4, 24


2 ⑴ {;5#;, ;3@5#;} ⇨ {;3@5!;, ;3@5#;} ⇨ ;5#; < ;3@5#;
1    ⑵ (왼쪽 위부터) 13, 26, 10, 26
⑵ {1;9*;, 1;7^;} ⇨ {1;6%3^;, 1;6%3$;} ⇨ 1;9*; > 1;7^;
3_3 1_4
1 ⑴ {;8#;, ;6!;} ⇨ { , } ⇨ {;2ª4;, ;2¢4;}
8_3 6_4 3 {;5$;, ;3@;} ⇨ {;1!5@;, ;1!5);} ⇨ ;5$;>;3@;
1_13 5_2
⑵ {;2!;, ;1∞3;} ⇨ { , } ⇨ {;2!6#;, ;2!6);}
2_13 13_2
4 {;9$;, ;3!;} ⇨ {;9$;, ;9#;} ⇨ ;9$;>;3!;

{;3!;, ;1¶5;} ⇨ {;1∞5;, ;1¶5;} ⇨ ;3!;<;1¶5;


한번 더
한번 더 익힘 160~161쪽
{;9$;, ;1¶5;} ⇨ {;4@5);, ;4@5!;} ⇨ ;9$;<;1¶5;
1   (왼쪽 위부터) 6, 6, 5, 5, 30, 30
2 ‌(왼쪽 위부터) 5, 5, 4, 4, 60, 60 ⇨ 큰 분수부터 차례대로 쓰면 ;1¶5;, ;9$;, ;3!;입니다.
3 45

2_6 1_5
1 {;5@;, ;6!;} ⇨ { , } ⇨ {;3!0@;, ;3∞0;}
5_6 6_5 한번 더
한번 더 척척 167쪽

7_5 2_4 8
2 {;1¶2;, ;1™5;} ⇨ { , } ⇨ {;6#0%;, } 1   ⑴ < ⑵ <
12_5 15_4 60

34 수학 5-1 자습서
정답 과 풀이
1 ⑴ 1;4!;=1;1™0∞0;=1.25이므로 1;4!; < 1.6입니다. 1_5 3_3
1 ;3!;= =;1∞5;, ;5#;= =;1ª5;이므로
3_5 5_3
⑵ 0.5=;1∞0;, ;5#;=;1§0;이므로 0.5 < ;5#;입니다. {;3!;, ;5#;} ⇨ {;1∞5;, ;1ª5;}입니다.

2 두 분모의 곱을 공통분모로 하여 통분하면


5_12 7_8
{;8%;, ;1¶2;} ⇨ { , } ⇨ {;9^6);, ;9%6^;}
한번 더
8_12 12_8
한번 더 익힘 168~169쪽
입니다.
1   ⑴ 0.36 ⑵ 2.35 ⑶ ;2ª0; ⑷ ;2@5@; 3 두 분모의 최소공배수를 공통분모로 하여 통분하면
5_3 7_2
2  ⑴ > ⑵ = 3 ㉢, ㉠, ㉡ {;8%;, ;1¶2;} ⇨ { , } ⇨ {;2!4%;, ;2!4$;}
8_3 12_2
4 우주
입니다.

1 ⑴ ;2ª5;=;1£0§0;=0.36 4 ⑴ {;1∞2;, ;1!8!;} ⇨ {;3!6%;, ;3@6@;} ⇨ ;1∞2; < ;1!8!;

⑵ 2;2¶0;=2;1£0∞0;=2.35 ⑵ {;6%;, ;7#;} ⇨ {;4#2%;, ;4!2*;} ⇨ ;6%; > ;7#;

⑶ 0.45=;1¢0∞0;=;2ª0;
5 ⑴ {;1ª0;, ;1!5#;} ⇨ {;3@0&;, ;3@0^;} ⇨ ;1ª0; > ;1!5#;
88
⑷ 0.88= =;2@5@;
100 ⑵ {2;8%;, 2;9&;} ⇨ {2;7$2%;, 2;7%2^;} ⇨ 2;8%; < 2;9&;
28
2 ⑴ ;2¶5;= =0.28이므로 ;2¶5; > 0.25입니다. 4_2 8
100 6 ⑴ ;5$;= = =0.8
5_2 10
⑵ 1.2=1;1™0;이고 1;5!;=1;1™0;이므로 1.2 = 1;5!; 17_4 68
⑵ ;2!5&;= = =0.68
25_4 100
⑵ 입니다.
4
44 7 ⑴ 0.4= =;5@;
3 3;2!5!;=3 =3.44, 3;5@;=3;1¢0;=3.4 10
100 15 3
⑵ 0.15= =
이므로 작은 수부터 차례대로 기호를 쓰면 ㉢, ㉠, 100 20
㉡입니다.
48
8 ⑴ ;2!5@;= =0.48 ⇨ 0.6 > ;2!5@;
84 8 100
4 ;2@5!;= =0.84, ;5$;= =0.8이므로 물을 가
100 10 60 48
⑵ 0.6=;1§0;= , ;2!5@;= ⇨ 0.6 > ;2!5@;
장 많이 마신 학생은 우주입니다. 100 100

기초 탄탄 2 170~171쪽
실력 쑥쑥 2 172~173쪽
1   (왼쪽 위부터) 5, 5, 5 / 3, 3, 9 / 5, 9
2 (왼쪽 위부터) 12, 12, 8, 8, 60, 56 1   45, 49 2 42
3 (왼쪽 위부터) 3, 3, 2, 2, 15, 14 8 9
3 , 4 ㉡, ㉢
14 14
4 ‌⑴ 15, 22, < ⑵ 35, 18, >
5  ‌{ , ;9%;} ⇨ {;7^2#;, }이므로 과 ;7^2#;은
㉠ ㉡ ㉠
5⑴> ⑵< 8 72 8
6 ‌⑴ (왼쪽 위부터) 2, 2, 8, 0.8 크기가 같습니다. 이때 8_9=72이므로
⑵ (왼쪽 위부터) 4, 4, 68, 0.68
㉠_9=63, ㉠=7입니다. 또, ;9%;와

3 도
7 ⑴ 4, ;5@; ⑵ 15, 72
20 크기가 같고 9_8=72이므로 ㉡=5_8=40
8 ⑴ 48, 0.48, > ⑵ 6, 60, 48, > 입니다. / ㉠=7, ㉡=40

정답과 풀이 35
정답과 풀이 본책

6 (위부터) ;3@;, ;9$;, ;3@; {;9&;, ;4#;} ⇨ {;3@6*;, ;3@6&;} ⇨ ;9&;>;4#;

7 ㉠, ㉢, ㉡ 8 ⇨ ‌큰 분수부터 차례대로 기호를 쓰면 ㉠, ㉢, ㉡


입니다.
9>
8 ;1£5;=;5!;=;1™0;=0.2
10  ‌;2!5$;=;1∞0§0;=0.56, ;5#;=;1§0;=0.6이므로
;2£0;=;1¡0∞0;=0.15
10  가장 작은 수는 ;2!5$;입니다. / ;2!5$;
;2!5^;=;1§0¢0;=0.64
5_9 7_7
1 {;7%;, ;9&;} ⇨ { } ⇨ {;6$3%;, ;6$3(;} 70
9 ;2!0$;= =0.7이므로 ;2!0$; > 0.67입니다.
,
7_9 9_7
100
2 공통분모가 될 수 있는 수 중에서 가장 작은 수는 10 채점 기준
14와 21의 최소공배수이므로 42입니다.
분수를 소수로 나타내고 답을 바르게 구함. 상
3 두 분모의 최소공배수를 공통분모로 하여 통분하면 분수를 소수로 나타냈으나 크기를 비교하

4_2 9 8 9 는 과정에서 실수하여 답이 틀림.
{;7$;, ;1ª4;} ⇨ { , }⇨{ , }입니다.
7_2 14 14 14 분수를 소수로 나타내지 못하여 답이 틀림. 하

4 ;4#;과 ;1¶2;을 12, 24를 공통분모로 하여 통분하면


3_3 9 7
{;4#;, ;1¶2;} ⇨ { , ;1¶2;} ⇨ { , }
4_3 12 12
3_6 7_2 18 14
{;4#;, ;1¶2;} ⇨ { , }⇨{ , }
4_6 12_2 24 24
입니다. 단원 평가 182~184쪽
⇨ ;4#;과 ;1¶2;을 바르게 통분한 것은 ㉡, ㉢입니다.
01 ;3!;, ;6@; 02
5 채점 기준

=;7^2#;, ;9%;= 임을 알고 답을 바르게


㉠ ㉡
8
8 72 상 03 2, 3 04 4, , 5, ;1!5);
12
구함.
05 ㉠, ㉢ 06 ;3!5%;
=;7^2#;, ;9%;= 임을 알았으나 계산 과
㉠ ㉡
8 72 중
정에서 실수하여 답이 틀림. 07 ;7#; 08 ㉡, ㉢
=;7^2#;, ;9%;= 임을 알지 못하여 답이
㉠ ㉡
8 72 하 09 ;1!5@;
틀림.
10 ( ◯ ) ( )( ◯ )
5_7 3_6
11  {;6%;, ;7#;} ⇨ { }
6 {;9$;, ;1∞2;} ⇨ {;3!6^;, ;3!6%;} ⇨ ;9$;>;1∞2;
,
6_7 7_6
 ⇨ {;4#2%;, ;4!2*;}
{;3@;, ;1¶1;} ⇨ {;3@3@;, ;3@3!;} ⇨ ;3@;>;1¶1;
12 36, 72에 ◯표 13 ㉠=12, ㉡=9
{;9$;, ;3@;} ⇨ {;9$;, ;9^;} ⇨ ;9$;<;3@; 14 > 15 은하, 태양

7 두 분수끼리 통분하여 차례대로 크기를 비교합니다. 16 ;9@;, ;2!;, ;7$; 17 1개

{;9&;, ;1!5!;} ⇨ {;4#5%;, ;4#5#;} ⇨ ;9&;>;1!5!; 18 > 19 ㉢, ㉡


20 (위부터) 1;2!0&;, 1.8, 1;2!0&;
{;1!5!;, ;4#;} ⇨ {;6$$0$;, ;6$0%;} ⇨ ;1!5!;<;4#;

36 수학 5-1 자습서
정답 과 풀이
01 분수만큼 색칠한 그림을 비교하면 크기가 같은 분 10 기약분수는 분모와 분자의 공약수가 1뿐인 분수입
수는 ;3!;과 ;6@;입니다.
니다.
1
2/ =;4!;이므로 기약분수는 ;1!2!;, 8 입니다.
15
02 ;4#;과 크기가 같은 분수는 ;1ª2;입니다. 8/
4

8
과 크기가 같은 분수는 ;5@;입니다. 11 두 분모의 곱이나 두 분모의 최소공배수를 공통분
20
모로 하여 통분할 수 있습니다.
8
;3@;와 크기가 같은 분수는 입니다.
12
12 ;1¶8;과 ;1∞2;의 분모 18과 12의 공배수는 36, 72,
03
108, ...이므로 공통분모가 될 수 있는 수는 36,
72입니다.

;2!; ;4@; ;6#; 11


13 { ,

} ⇨ {;4$8$;, ;4@8&;}이므로
11
과 ;4$8$;는 크
16
㉠ ㉠
⇨ ;2!;=;4@;=;6#; 기가 같습니다. 이때 11_4=44이므로

과 ;4@8&;도 크

2_4 8 2_5 ㉠_4=48, ㉠=12입니다. 또,
04 ;3@;= = , ;3@;= =;1!5); 16
3_4 12 3_5 기가 같고 16_3=48이므로 ㉡_3=27, ㉡=9
28/7
05 ㉠ ;4@9*;= =;7$;
입니다.
49/7
㉡ ;8#;=
3_4
=;3!2@; 14 {1;3@;, 1;5#;} ⇨ {1;1!5);, 1;1ª5;} ⇨ 1;3@; > 1;5#;
8_4
36/4
㉢ ;5#6^;= =;1ª4;
56/4 15 우주: ;6!;과 ;1™2;는 크기가 같은 분수입니다.
⇨ ‌크기가 같은 분수끼리 짝 지은 것은 ㉠, ㉢입니
다. 샛별: ;3@;와 ;6$;는 크기가 같은 분수입니다.

3_2 3_3 ⇨ 바르게 설명한 학생은 은하, 태양이입니다.


06 ;7#;= =;1§4;, ;7#;= =;2ª1;,
7_2 7_3
3_4 3_5 16 두 분수끼리 통분하여 차례대로 크기를 비교합니다.
;7#;= =;2!8@;, ;7#;= =;3!5%;,
7_4 7_5 8
{;2!;, ;7$;} ⇨ {;1¶4;, } ⇨ ;2!;<;7$;
3_6 14
;7#;= =;4!2*;이므로 만들 수 있는 분수는 ;3!5%;
7_6 {;7$;, ;9@;} ⇨ {;6#3^;, ;6!3$;} ⇨ ;7$;>;9@;
입니다.
{;2!;, ;9@;} ⇨ {;1ª8;, ;1¢8;} ⇨ ;2!;>;9@;
12/4
07 ;2!8@;= =;7#;
28/4
⇨ 작은 분수부터 차례대로 쓰면 ;9@;, ;2!;, ;7$;입니다.
08 ;5#0;) 의 분모와 분자를 각각 50과 30의 공약수인 2,
5, 10으로 나누어 약분할 수 있으므로 분모와 분 17 ;1!6!;과 12 를 통분하면
자를 나눌 수 없는 수는 ㉡, ㉢입니다. _4
‌{;1!6!;,
} ⇨ {;4#8#;, }입니다. 분자의 크
48/2 48/3 48/4 12 48
09 =;3@0$;, =;2!0^;, =;1!5@;,
60/2 60/3 60/4 기를 비교하면 _4는 33보다 커야 하므로 1부
48/6 8 48/12
= , =;5$;이므로 ;6$0*;을 약분 터 9까지의 자연수 중에서 안에 들어갈 수 있
60/6 10 60/12 는 수는 9로 1개입니다.
하여 만들 수 있는 분수 중 분모가 15인 분수는
8
;1!5@;입니다. 18 ;2!0^;= 10 =0.8이므로 ;2!0^; > 0.48입니다.

정답과 풀이 37
정답과 풀이 본책

19 3;2!5!;=3;1¢0¢0;=3.44, 3;5@;=3;1¢0;=3.4이므로 가 2 채점 기준

장 큰 수는 ㉢, 가장 작은 수는 ㉡입니다. 약분하여 ;6%;가 되는 분수를 구하고 답을 바



르게 구함.
20 1;4#;=1;1¶0∞0;=1.75이므로 1;4#;<1.8입니다.
약분하여 ;6%;가 되는 분수를 구했으나 분모
{1;2!0&;, 1;6%;} ⇨ {1;6%0!;, 1;6%0);} ⇨ 1;2!0&;>1;6%; 와 분자의 합이 44인 분수를 찾는 과정에서 중
실수하여 답이 틀림.
85
1;2!0&;=1 =1.85이므로 1.8<1;2!0&;입니다.
100 약분하여 ;6%;가 되는 분수를 구하지 못하여

답이 틀림.

3 채점 기준
지인이와 지윤이가 만든 분수를 구하고 통

분을 이용해 답을 바르게 구함.
지인이와 지윤이가 만든 분수를 구했으나

서술형 논술형 쓱 쓱 185쪽 통분하는 과정에서 실수하여 답이 틀림.
지인이와 지윤이가 만든 분수를 구하지 못
1  ‌만들 수 있는 분모가 6인 분수는 ;6@;, ;6#;, ;6$;,

하여 답이 틀림.

;6%;이고 이 중 기약분수는 ;6%;이므로 1개입니


4 채점 기준
다. / 1개
분수를 소수로 나타내고 크기를 비교하여
2  ‌약분하여 ;6%;가 되는 분수는 ;1!2);, ;1!8%;, ;2@4);,

답을 바르게 구함.
...입니다. 이 중에서 분모와 분자의 합이 44 분수를 소수로 나타냈으나 크기를 비교하

는 과정에서 실수하여 답이 틀림.
인 분수는 ;2@4);입니다. / ;2@4); 분수를 소수로 나타내지 못하여 답이 틀림. 하

3  ‌지인이가 만든 분수는 ;4#;, 지윤이가 만든 분

수는 ;6$;입니다. ;4#;과 ;6$;를 통분하여 크기를

8
비교하면 {;4#;, ;6$;} ⇨ {;1ª2;,
} ⇨ ;4#;>;6$;
12
이므로 지인이가 만든 분수가 더 큽니다.
4  / 지인
4  ‌8;1£5;=8;5!;=8;1™0;=8.2이므로 ㉮의 높이를
소수로 나타내면 8.2 m입니다.
8.2<10.4이므로 ㉯가 더 높습니다. / ㉯

1 채점 기준
주어진 숫자 카드를 이용해 분모가 6인 분

수를 만들고 답을 바르게 구함.
주어진 숫자 카드를 이용해 분모가 6인 분
수를 만들었으나 기약분수를 잘못 찾아 답 중
이 틀림.
주어진 숫자 카드를 이용해 분모가 6인 분

수를 만들지 못하여 답이 틀림.

38 수학 5-1 자습서
정답 과 풀이
1_3 1_2
1 ⑴ ;4!;+;6!;= =;1£2;+;1™2;=;1∞2;
5 분수의 덧셈과 뺄셈
⑵ ;7#;+;4!;=
+
4_3 6_2
3_4 1_7
+ =;2!8@;+;2¶8;=;2!8(;
7_4 4_7
한번 더
한번 더 익힘 188~189쪽

한번 더
1   ⑴ ;7%; ⑵ 1;5@; ⑶ 2;9*; ⑷ 6;6!;
한번 더 익힘 192~193쪽

1   2, 11, 6, 11, 17 2 ⑴ ;7$2#; ⑵ ;4#;


2 ⑴ ;7!; ⑵ ;5@; ⑶ 2;9$; ⑷ 1;6%;
3< 4 12
3 ;4!; 4 ;8#;, ;8^;
3_2 1_11
1 ;1£1;+;2!;= + =;2§2;+;2!2!;=;2!2&;
1 ⑴ ;7@;+;7#;=;7%; 11_2 2_11

⑵ ;5$;+;5#;=;5&;=1;5@; 2 ⑴ ;8#;+;9@;=;7@2&;+;7!2^;=;7$2#;

⑶ 1;9@;+1;9^;=(1+1)+{;9@;+;9^;} ⑵ ;2!;+;4!;=;4@;+;4!;=;4#;

⑶ 1;9@;+1;9^;=2+;9*;=2;9*; 3 ;1£4;+;7@;=;1£4;+;1¢4;=;1¶4;,
⑷ 3;6%;+2;6@;=(3+2)+{;6%;+;6@;} ;2!;+;7!;=;1¶4;+;1™4;=;1ª4;이므로

⑶ 1;9@;+1;9^;=5+;6&;=5+1;6!;=6;6!; ;1£4;+;7@; < ;2!;+;7!;입니다.

2 ⑴ ;7#;-;7@;=;7!; 4 ;1™5;+;5#;=;1™5;+;1ª5;=;1!5!;이므로 안에 들어갈

⑵ 1-;5#;=;5%;-;5#;=;5@; 수 있는 자연수는 12, 13, 14, ...입니다.


따라서 안에 들어갈 수 있는 가장 작은 자연수
⑶ 3;9^;-1;9@;=(3-1)+{;9^;-;9@;} 는 12입니다.

⑶ 1;9@;+1;9^;=2+;9$;=2;9$;
한번 더
⑷ 5;6@;-3;6#;=4;6*;-3;6#;
한번 더 척척 195쪽

⑶ 1;9@;+1;9^;=(4-3)+{;6*;-;6#;}=1+;6%; 1   ⑴ 1;3!0!; ⑵ 1;1¶2;

⑶ 1;9@;+1;9^;=1;6%; 7_3 2_10


1 ⑴ ;1¶0;+;3@;= + =;3@0!;+;3@0);
10_3 3_10
1
3
10?
=;4!; ⑴ ;1¶0;+;3@;=;3$0!;=1;3!0!;
40?
4 5_2 3_3
⑵ ;6%;+;4#;= + =;1!2);+;1ª2;
3_2 6_2 4_3
4 {;8#;, ;4#;} ⇨ {;8#;, } ⇨ {;8#;, ;8^;}
4_2 ⑵ ;6%;+;4#;=;1!2(;=1;1¶2;

한번 더
한번 더 익힘 196~197쪽

한번 더
한번 더 척척 191쪽 1   5, 7, 30, 21, 51, 16 2 ⑴ 1;1∞4; ⑵ 1;5!;

1   ⑴ ;1∞2; ⑵ ;2!8(; 3< 4 1;1∞4; km

정답과 풀이 39
정답과 풀이 본책

6_5 3_7
1 ;7^;+;5#;= =;3#5);+;3@5!;
+
2 대분수를 가분수로 나타내 계산합니다.
7_5 5_7
;7^;+;5#;=;3%5!;=1;3!5^; 3 3;6%;+2;3@;=3;6%;+2;6$;=(3+2)+{;6%;+;6$;}
1
3/
2 ⑴ ;1ª4;+;7%;=;1ª4;+;1!4);=;1!4(;=1;1∞4; 3;6%;+2;3@;=5+;6(;=5+1;6#;=6 =6;2!;
6/
2
1
⑵ ;1¶0;+;2!;=;1¶0;+;1∞0;=;1!0@;=1
2/
=1;5!; 4 3;4#;+2;5#;=3;2!0%;+2;2!0@;=(3+2)+{;2!0%;+;2!0@;}
10?
5
3;6%;+2;3@;=5+;2@0&;=5+1;2¶0;=6;2¶0;
3 ;4#;+;3!;=;1ª2;+;1¢2;=;1!2#;=1;1¡2;,

;1!2!;+;6%;=;1!2!;+;1!2);=;1@2!;=1;1ª2;이므로

;4#;+;3!; < ;1!2!;+;6%;입니다.

4 ;2!;+;7^;=;1¶4;+;1!4@;=;1!4(;=1;1∞4;이므로 집에서 학

교를 지나 박물관까지 가는 전체 거리는 1;1∞4; km 기초 탄탄 1 202~203쪽

입니다.
1    ,3/ , 4 / 3, 4, 7

한번 더
한번 더 척척 199쪽
2 3, 15, 12, 15, 27, 3 3 3, 6, 11, 2
7
1   ⑴ 3;1!5$; ⑵ 5;7¡0; 4 ‌⑴ 1;3@; ⑵ 1 5 풀이 참조
30
6 15, 32, 2, 1 7 ⑴ 4;1¶0; ⑵ 3;1¶5;
1 ⑴ 2;5#;+1;3!;=2;1ª5;+1;1∞5;
8 2;6%;+1;8#;=2;2@4);+1;2ª4;
⑴ 2;5$;+1;3!;=(2+1)+{;1ª5;+;1∞5;}
8 2;6%;+1;8#;=(2+1)+{;2@4);+;2ª4;}=3+;2@4(;
⑴ 2;5$;+1;3!;=3+;1!5$;=3;1!5$;
8 2;6%;+1;8#;=3+1;2∞4;=4;2∞4;
⑵ 3;1£0;+1;7%;=3;7@0!;+1;7%0);

⑵ 3;1£0;+1;7%;=(3+1)+{;7@0!;+;7%0);} 1 ;4!;은 ;1¡2;이 3개, ;3!;은 ;1¡2;이 4개이므로


⑵ 3;1£0;+1;7%;=4+;7&0!;=4+1;7¡0;=5;7¡0; ;4!;+;3!;=;1£2;+;1¢2;=;1¶2;입니다.

4_3 1_15
2 ;1¢5;+;3!;= + =;4!5@;+;4!5%;
한번 더
한번 더 익힘 200~201쪽
15_3 3_15
3
27?
1   9, 2, 9, 3, 37, 4, 1 ;1¢5;+;3!;= =;5#;
45?
10
2 1;7#;+1;4#;= +;4&;=;2$8);+;2$8(;=;2*8(;=3;2∞8;
5
7
2_3 11
3 ;3@;+;9%;= +;9%;=;9^;+;9%;= =1;9@;
3 6;2!; 4 6;2¶0; 3_3 9
2
8/
1 1;4!;+2;9&;=1;3ª6;+2;3@6*;=(1+2)+{;3ª6;+;3@6*;} 4 ⑴ ;4#;+;1!2!;=;1ª2;+;1!2!;=;1@2);=1 =1;3@;
12?
3

1;4#;+2;9&;=3+;3#6&;=4;3¡6; ⑵ ;5@;+;6%;=;3!0@;+;3@0%;=;3#0&;=1;3¶0;

40 수학 5-1 자습서
정답 과 풀이
8
5
1;4#;=1;8^; 10  3;8&;+2;5!;=3;4#0%;+2
40
8
10  3;8&;+2;5!;=(3+2)+{;4#0%;+ }
40
1;8#;
10  3;8&;+2;5!;=5+;4$0#;=5+1;4£0;=6;4£0;

1;4#;+1;8#;=3;8!; 10 ‌이므로 수빈이네 반 학생들이 오전과 오후


에 마신 물은 모두 6;4£0; L입니다. / 6;4£0; L
1;4#;+1;8#;=1;8^;+1;8#;=3;8!;

6 2;2!;+2;6%;=;2%;+
17 15 17
= + 1 ;6!;+;7#;=;4¶2;+;4!2*;=;4@2%;
6 6 6
1 1
32 2/ 5/
1;2!;+2;6%;= =5 =5;3!; 2 ;5@;+;1¡0;=;1¢0;+;1¡0;= =;2!;
6 6/ 10?
3 2

;5#;+;7@;=;3@5!;+;3!5);=;3#5!;
7 ⑴ 1;5!;+3;2!;=;5^;+;2&;=;1!0@;+;1#0%;=;1$0&;=4;1¶0;
8
⑵ 1;3@;+1;5$;=;3%;+;5(;=;1@5%;+;1@5&;=;1%5@;=3;1¶5; ;4!;+;9@;=;3ª6;+ =;3!6&;
36

8 자연수는 자연수끼리, 분수는 분수끼리 더해서 3 ;5@;+;9@;=;4!5*;+;4!5);=;4@5*;이므로 우주가 딸기주스


계산합니다. 와 바나나주스를 만드는 데 사용한 설탕은 모두
;4@5*;컵입니다.
1
3/
4 ;6%;+;3@;=;6%;+;6$;=;6(;=1 =1;2!;,
6/
2

;3!;+;2!;=;6@;+;6#;=;6%;이므로 계산 결과가 1보다


쑥쑥
큰 것은 ;6%;+;3@;입니다.
실력 1 204~205쪽

1   ;4@2%; 19 10 19 29
5 1;4!;+2;8#;=;4%;+= + = =3;8%;이
2
8 8 8 8
므로 ㉠=10, ㉡=29입니다.

3 ;4@5*;컵 4( ◯ )( ) 6 분수를 통분할 때는 분모와 분자에 각각 0이 아닌


같은 수를 곱하여 통분해야 합니다.
5 ㉠=10, ㉡=29
25 100 163 7 2;1™1;+3;2£2;=2;2¢2;+3;2£2;
6 2;9&;+1;4#;= +;4&;= +;3^6#;=
9 36 36
7 2;1™1;+3;2£2;=(2+3)+{;2¢2;+;2£2;}
6 2;9&;+5;4#;=4;3!6(;
7< 8㉠ 7 2;1™1;+3;2£2;=5+;2¶2;=5;2¶2;
9  1;9&;+2;2!;=1;1!8$;+2;1ª8; 이므로 2;1™1;+3;2£2; < 6입니다.

9  1;9&;+2;2!;=(1+2)+{;1!8$;+;1ª8;}=3+;1@8#;
8 ㉠ 2;5$;+1;3!;=2;1!5@;+1;1∞5;
9  1;9&;+2;2!;=3+1;1∞8;=4;1∞8;
㉠ 2;5$;+1;3!;=(2+1)+{;1!5@;+;1∞5;}
9  ‌이므로 안에 들어갈 수 있는 자연수는 1,
2, 3, 4입니다. 따라서 안에 들어갈 수 ㉠ 2;5$;+1;3!;=3+;1!5&;=3+1;1™5;=4;1™5;
있는 가장 큰 자연수는 4입니다. / 4 ⇨ 가장 큰 것은 ㉠입니다.

정답과 풀이 41
정답과 풀이 본책

9 채점 기준 한번 더
한번 더 척척 211쪽
덧셈식을 계산하고 답을 바르게 구함. 상
덧셈식을 계산했으나 가장 큰 자연수를 구 1   ⑴ ;4!; ⑵ 1;1¡2;

하는 과정에서 실수하여 답이 틀림.
덧셈식을 계산하지 못하여 답을 구하지 못
하 1 ⑴ 1;2!;-1;4!;=1;4@;-1;4!;
함.
⑴ 1;2!;-1;4!;=(1-1)+{;4@;-;4!;}=;4!;
10 채점 기준
수빈이네 반 학생들이 오전과 오후에 마신 ⑵ 2;6%;-1;4#;=2;1!2);-1;1ª2;
물은 모두 몇 L인지 구하는 식을 세우고 답 상
을 바르게 구함. ⑵ 2;6%;-1;4#;=(2-1)+{;1!2);-;1ª2;}
수빈이네 반 학생들이 오전과 오후에 마신
물은 모두 몇 L인지 구하는 식을 세웠으나 중
⑵ 2;6%;-1;4#;=1+;1¡2;=1;1¡2;
계산 과정에서 실수하여 답이 틀림.
수빈이네 반 학생들이 오전과 오후에 마신 한번 더
한번 더 익힘 212~213쪽
물은 모두 몇 L인지 구하는 식을 세우지 못 하
하여 답을 구하지 못함.
1     ,2

한번 더
한번 더 척척 207쪽
1       /

1   ⑴ ;2™1; ⑵ ;3!0(;


2 , 2, 1

1 ⑴ ;3@;-;7$;=;2!1$;-;2!1@;=;2™1;
3 18, 5, 18, 5, 1, 13 4 1;8%;
⑵ ;6%;-;5!;=;3@0%;-;3§0;=;3!0(;
3 2;5#;-1;6!;=2;3!0*;-1;3∞0;=(2-1)+{;3!0*;-;3∞0;}

2;6%;-1;5!;=1;3!0#;
한번 더
한번 더 익힘 208~209쪽
4 2;8&;-1;4!;=2;8&;-1;8@;=(2-1)+{;8&;-;8@;}
1     , 10 / ,9
4 2;8&;-1;4!;=1+;8%;=1;8%;

한번 더
한번 더 척척 215쪽
2 , 10, 9, 1

1   ⑴ 1;2@8#; ⑵ 1;8&;


3 4 ;1£4; kg
1 ⑴ 3;4!;-1;7#;=3;2¶8;-1;2!8@;=2;2#8%;-1;2!8@;
8
3 ;8#;-;5!;=;4!0%;- =;4¶0; ⑴ 3;4!;-1;7#;=(2-1)+{;2#8%;-;2!8@;}=1+;2@8#;
40
;7$;-;3!;=;2!1@;-;2¶1;=;2∞1; ⑴ 3;4!;-1;7#;=1;2@8#;
12
4 ;7%;-;2!;=;1!4);-;1¶4;=;1£4;이므로 빈 상자의 무게는 ⑵ 3;2!;-1;8%;=3;8$;-1;8%;=2 -1;8%;
8
12
;1£4; kg입니다. ⑵ 2;6%;-1;4#;=(2-1)+{ -;8%;}=1+;8&;=1;8&;
8

42 수학 5-1 자습서
정답 과 풀이
5_2 1_9
한번 더
한번 더 익힘 216~217쪽 3 ;9%;-;2!;= - =;1!8;) -;1ª8;=;1¡8;
9_2 2_9
2 1;4@2%;
1
1   9, 11, 27, 22, 5 2/
4 ⑴ ;6%;-;2!;=;6%;-;6#;= =;3!;
6/
3 3;1!5!; 4 3;9*; L 3

⑵ ;7#;-;4!;=;2!8@;-;2¶8;=;2∞8;
11
1 2;4!;-1;6%;=;4(;- =;1@2&;-;1@2@;=;1∞2; 12
6 5 4;1¶0;-2;5@;=;1$0&;- =;1$0&;-;1@0$;=;1@0#;=2;1£0;
5
2 3;6!;-1;7$;=3;4¶2;-1;4@2$;=2;4$2(;-1;4@2$; 6 자연수는 자연수끼리, 분수는 분수끼리 빼서 계산
2 3;6!;-1;7$;=(2-1)+{;4$2(;-;4@2$;}=1+;4@2%;
합니다.

7 2;4#;-1;6%;=2;1ª2;-1;1!2);=1;1@2!;-1;1!2);
2 3;6!;-1;7$;=1;4@2%;
3;4#;-1;6%;=(1-1)+{;1@2!;-;1!2);}=;1!2!;
3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대분수는 5;3!;, 가장 작은 대
11
분수는 1;5#;이므로 두 수의 차는 8 ⑴ 5;8#;-1;4#;=5;8#;-1;8^;=4 -1;8^;
8
11
5;3!;-1;5#;=5;1∞5;-1;1ª5;=4;1@5);-1;1ª5; ⑴ 5;8#;-1;4#;=(4-1)+{ -;8^;}=3+;8%;=3;8%;
8
10
5;3!;-1;5#;=(4-1)+{;1@5;) -;1ª5;}=3+;1!5;! =3;1!5;! ⑵ 2;3@;-1;6%;=2;6$;-1;6%;=1 -1;6%;
6
10
입니다. ⑵ 2;3@;-1;6%;=(1-1)+{ -;6%;}=;6%;
6
14
4 6;9%;-2;3@;=6;9%;-2;9^;=5 -2;9^;
9
14
6;9%;-2;3@;=(5-2)+{ -;9^;}=3+;9*;=3;9*; 실력 쑥쑥 2 220~221쪽
9
이므로 남은 우유의 양은 3;9*; L입니다. 1   ㉡ 2

기초 탄탄 2 218~219쪽 3 ;3!0!;

4  ‌;9%;-;3!;=;9%;-;9#;=;9@;이므로 딸기와 블루베


1    ,8/ ,3
리 무게의 차는 ;9@; kg입니다. / ;9@; kg

5㉠ 6>
2 , 8, 3, 5 7 ㉠=91, ㉡=40 8( )( ◯ )
93
3 2, 9, 10, 9, 1 4 ‌⑴ ;3!; ⑵ ;2∞8; 10  2;8!;-1;4!;=2;8!;-1;8@;=1;8(;-1;8@;=;8&;이
5 47, 12, 47, 24, 23, 2, 3 10  ‌므로 신현이가 예린이보다 리본을 ;8&; m 더
6 2;5$;-1;3@;=2;1!5@;-1;1!5);
사용했습니다. / ;8&; m
6 2;5$;-1;3@;=(2-1)+{;1!5@;-;1!5);}=1+;1™5;
1 ㉠ ;8&;-;7@;=;5$6(;-;5!6^;=;5#6#;
6 2;5$;-1;3@;=1;1™5;
㉡ ;2!;-;8#;=;8$;-;8#;=;8!;
7 21, 10, 21, 10, 11 8 ⑴ 3;8%; ⑵ ;6%;
⇨ 바르게 계산한 것은 ㉡입니다.

정답과 풀이 43
정답과 풀이 본책

2 ;4!;-;8!;=;8@;-;8!;=;8!; 9 6;3!;-2;6%;=6;6@;-2;6%;=5;6*;-2;6%;
1
;5#;-;7@;=;3@5!;-;3!5);=;3!5!; 3/
6;3!;-2;6%;=(5-2)+{;6*;-;6%;}=3 =3;2!;
6/
8
;4!;-;9@;=;3ª6;- =;3¡6;
2
36 이므로 안에 들어갈 수 있는 자연수는 1, 2, 3
입니다. 따라서 안에 들어갈 수 있는 가장 큰
3 ;2!;-;1™5;=;3!0%;-;3¢0;=;3!0!; 자연수는 3입니다.

4 10 채점 기준
채점 기준
신현이가 예린이보다 리본을 몇 m 더 사용
딸기와 블루베리 무게의 차는 몇 kg인지
상 했는지 구하는 식을 세우고 답을 바르게 구 상
구하는 식을 세우고 답을 바르게 구함.
함.
딸기와 블루베리 무게의 차는 몇 kg인지
신현이가 예린이보다 리본을 몇 m 더 사용
구하는 식을 세웠으나 계산 과정에서 실수 중
했는지 구하는 식을 세웠으나 계산 과정에 중
하여 답이 틀림.
서 실수하여 답이 틀림.
딸기와 블루베리 무게의 차는 몇 kg인지
신현이가 예린이보다 리본을 몇 m 더 사용
구하는 식을 세우지 못하여 답을 구하지 못 하
했는지 구하는 식을 세우지 못하여 답을 구 하
함.
하지 못함.

5 ㉠ 3;5$;-2;3!;=3;1!5@;-2;1∞5;

㉠ 2;5$;+1;3!;=(3-2)+{;1!5@;-;1∞5;}

㉠ 2;5$;+1;3!;=1+;1¶2;=1;1¶2;=1;6#0%;
단원 평가 230~232쪽
8
㉡ 1;1™5;=1
60 01 ;3@; 02 ;2!; kg
⇨ 더 큰 것은 ㉠입니다.
3_5 3_4
03 ;4#;+;5#;= + =;2!0%;+;2!0@;=;2@0&;
4_5 5_4
6 4;1£1;-2;2£2;=4;2§2;-2;2£2;
;4#;+;5#;=1;2¶0;
6 4;1£1;-2;2£2;=(4-2)+{;2§2;-;2£2;} 04 4 05 ( ◯ ) ( )
8
6 4;1£1;-2;2£2;=2+;2£2;=2;2£2; 06 2;4!2(; 07 7 km
35
이므로 4;1£1;-2;2£2; > 2입니다. 08 4;6%; 09 7;2¡0;
10 (왼쪽 위부터) 7, 7, 8, 8, 35, 24, 11
13 17
7 4;3!;-2;7#;=- =;2(1!;-;2%1!;=;2$1);=1;2!1(; 11 ( ◯ ) ( ) 12
3 7
이므로 ㉠=91, ㉡=40입니다.
13 < 14 3;2∞1; L
8 2;6!;-1;3!;=2;6!;-1;6@;=1;6&;-1;6@;
15 4;3¶0; cm 16 2;5@;
2;6%;-1;3@;=(1-1)+{;6&;-;6@;}=;6%;
17 5;1ª0; 18 ;7^2!;
2;2!;-1;6!;=2;6#;-1;6!;=(2-1)+{;6#;-;6!;}
1
19 2;1!5$; 20 2;6%;
2/
2;6%;-1;3@;=1+ =1;3!;
6/ 2
3
8/
01 ;1∞2;+;4!;=;1∞2;+;1£2;= =;3@;
이므로 계산 결과가 1보다 큰 것은 2;2!;-1;6!;입니다. 12?
3

44 수학 5-1 자습서
정답 과 풀이
1
5/
02 ;1£0;+;5!;=;1£0;+;1™0;= =;2!;이므로 사과와 참 12 ;6%;+;9*;=;1!8%;+;1!8^;=;1#8!;=1;1!8#;
10?
2
14 14 11
1;9%;-;3!;= -;3!;= -;9#;= =1;9@;
외의 무게의 합은 ;2!; kg입니다. 9 9 9

03 분수를 통분할 때는 분모와 분자에 각각 0이 아닌


같은 수를 곱하여 통분해야 합니다. 13 3;6%;-2;7$;=3;4#2%;-2;4@2$;=1;4!2!;,

;6%;+;7^;=;4#2%;+;4#2^;=;4&2!;=1;4@2(;이므로
04 ;7#;+;1!4!;=;1§4;+;1!4!;=;1!4&;=1;1£4;이므로 ㉠=1,
㉡=3입니다. 따라서 ㉠+㉡=1+3=4입니다. 3;6%;-2;7$; < ;6%;+;7^;입니다.

05 ;8&;+;1¶6;=;1!6$;+;1¶6;=;1@6!;=1;1∞6;,
14 4;3@;-1;7#;=4;2!1$;-1;2ª1;=3;2∞1;이므로 사과주스
;3!;+;4!;=;1¢2;+;1£2;=;1¶2;이므로 계산 결과가 1보
가 오렌지주스보다 3;2∞1; L 더 많습니다.
다 큰 것은 ;8&;+;1¶6;입니다.

06 2;7@;+;6!;=2;4!2@;+;4¶2;=2;4!2(; 15 8;6%;-4;5#;=8;3@0%;-4;3!0*;=(8-4)+{;3@0%;-;3!0*;}

07 3;5$;+3;7#;=3;3@5*;+3;3!5%;=(3+3)+{;3@5*;+;3!5%;} 14 8;6%;-4;5#;=4+;3¶0;=4;3¶0;

8
3;5$;+3;7#;=6+;3$5#;=6+1
=7
8 이므로 가로가 세로보다 4;3¶0; cm 더 깁니다.
35 35
이므로 학교에서 서점을 지나 샛별이네 집까지 가
8
는 전체 거리는 7
35
km입니다. 16 어떤 수를 라고 하면 +1;2!;=3;1ª0;이므로

3;1ª0;-1;2!;=
08 2;3!;=2;6@;, 2;3@;=2;6$;이므로 가장 큰 수는 2;3@;, 가
입니다.
2
장 작은 수는 2;6!;입니다. 두 수의 합은 4/
3;1ª0;-1;2!;=3;1ª0;-1;1∞0;=2 =2;5@;이므로
10?
5
2;3@;+2;6!;=2;6$;+2;6!;=(2+2)+{;6$;+;6!;}
=2;5@;입니다.
2;3@;+2;6!;=4+;6%;=4;6%;
입니다. 17 샛별이가 설명하는 수는

09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대분수는 5;4!;, 가장 작은 대 5;2!;-2;5@;=5;1∞0;-2;1¢0;=3;1¡0;이므로 태양이가


8
분수는 1;5$;이므로 두 수의 합은 설명하는 수는 3;1¡0;+2;5$;=3;1¡0;+2 =5;1ª0;
10
5;4!;+1;5$;=5;2∞0;+1;2!0^;=(5+1)+{;2∞0;+;2!0^;}
입니다.

5;4!;+1;5$;=6+;2@0!;=6+1;2¡0;=7;2¡0;
18 5;9@;-4;8#;=5;7!2^;-4;7@2&;=4;7*2*;-4;7@2&;
입니다.
5;9@;-4;8#;=(4-4)+{;7*2*;-;7@2&;}=;7^2!;
5_7 3_8
10 ;8%;-;7#;= - =;5#6%;-;5@6$;=;5!6!;
8_7 7_8

11 ;4!;+;8!;=;8@;+;8!;=;8#;, ;4#;-;2!;=;4#;-;4@;=;4!;=;8@; 19 =4;3!;-1;5@;=4;1∞5;-1;1§5;

이므로 계산 결과가 더 큰 것은 ;4!;+;8!;입니다. =3;1@5);-1;1§5;=2;1!5$;

정답과 풀이 45
정답과 풀이 본책

20 1;3@;+ =4;2!;을 뺄셈식으로 바꾸어 나타내면 1 채점 기준


민수와 지호가 먹은 케이크는 전체의 얼마
4;2!;-1;3@;=

입니다. 인지 구하는 식을 세우고 답을 바르게 구함.
민수와 지호가 먹은 케이크는 전체의 얼마
4;2!;-1;3@;=4;6#;-1;6$;=3;6(;-1;6$;=2;6%;이므로 인지 구하는 식을 세웠으나 계산 과정에서 중
실수하여 답이 틀림.
=2;6%;입니다. 민수와 지호가 먹은 케이크는 전체의 얼마
인지 구하는 식을 세우지 못하여 답을 구하 하
지 못함.

2 채점 기준
덧셈식을 계산하고 답을 바르게 구함. 상
덧셈식을 계산하였으나 안에 들어갈 수
있는 가장 큰 자연수를 구하는 과정에서 실 중
수하여 답이 틀림.
서술형 논술형 쓱 쓱 233쪽 덧셈식을 계산하지 못하여 답을 구하지 못

함.
1  ‌;5!;+;1¡0;=;1™0;+;1¡0;=;1£0;이므로 민수와 지
3 채점 기준
호가 먹은 케이크는 전체의 ;1£0;입니다. / ;1£0; 하늘이와 은하가 딴 딸기는 모두 몇 kg인

11 지 구하는 식을 세우고 답을 바르게 구함.
2  ‌3;4#;+2;8%;=3;8^;+2;8%;=5+ 8 =6;8#;이므 하늘이와 은하가 딴 딸기는 모두 몇 kg인
로 안에 들어갈 수 있는 자연수는 1, 2입 지 구하는 식을 세웠으나 계산 과정에서 실 중
수하여 답이 틀림.
니다. 따라서 안에 들어갈 수 있는 가장
하늘이와 은하가 딴 딸기는 모두 몇 kg인
큰 자연수는 2입니다. / 2
지 구하는 식을 세우지 못하여 답을 구하지 하
3  ‌4;1∞2;+6;6%;=4;1∞2;+6;1!2);=10+;1!2%; 못함.
1
3/ 4
3  ‌4;1∞2;+6;6%;=11 12? =11;4!;
채점 기준

4 어떤 수를 구하고 답을 바르게 구함. 상

3  ‌이므로 하늘이와 은하가 딴 딸기는 모두 어떤 수를 구했으나 계산 과정에서 실수하



여 답이 틀림.
11;4!; kg입니다. / 11;4!; kg 어떤 수를 구하지 못하여 답을 구하지 못

+;7#2&;=2;9*;,
함.
4  어떤 수를 라고 하면

4  2;9*;-;7#2&;= 입니다.
3
27?
4  2;9*;-;7#2&;=2;7^2$;-;7#2&;=2 72? =2;8#;이므로
8

4 =2;8#;입니다. 바르게 계산하면

4  2;8#;-;7#2&;=2;7@2&;-;7#2&;=1;7(2(;-;7#2&;
31
62?
4  2;8#;-;7#2&;=1 72? =1;3#6!;
36

4  입니다. / 1;3#6!;

46 수학 5-1 자습서
정답 과 풀이
2 한 변의 길이가 12 cm, 이웃한 변의 길이가 9 cm
6 다각형의 둘레와 넓이 인 평행사변형의 둘레는 (12+9)_2=42 (cm)입
니다.
한번 더
한번 더 익힘 236~237쪽 3 정오각형의 둘레가 35 cm이므로
_5=35, =7입니다.
1   정다각형 2㉡
3 4 한 변의 길이가 cm인 정사각형의 둘레가
20 cm라고 하면 _4=20, =5입니다.
따라서 한 변의 길이가 5 cm인 정사각형을 그립니
다.

44

1 변의 길이가 모두 같고, 각의 크기가 모두 같은 다 한번 더


한번 더 척척 245쪽
각형을 정다각형이라고 합니다.
1   cm€ 2 4 cm€
2 평행선에 수직인 선분의 길이를 평행선 사이의 거
리라고 합니다. 1 한 변의 길이가 1 cm인 정사각형의 넓이를 1 cm€
라 쓰고, 1 제곱센티미터라고 읽습니다.
3 마주 보는 두 쌍의 변이 서로 평행한 사각형을 완성
합니다. 2 도형의 넓이는 1`cm@ 4개의 넓이와 같으므로 4 cm€입
니다.
4 평행사변형은 마주 보는 두 변의 길이가 같습니다.

한번 더 한번 더
한번 더 익힘 246~247쪽
한번 더 척척 241쪽

1   4, 24 2 15 cm 1   10 cm€


2 1`cm@
1 한 변의 길이가 6 cm인 마름모의 둘레는
6_4=24 (cm)입니다.
2 한 변의 길이가 5 cm인 정삼각형의 둘레는
5_3=15 (cm)입니다. 3 4 cm€ 4마

1 도형의 넓이는 1`cm@ 10개의 넓이와 같으므로


한번 더 10 cm€입니다.
한번 더 익힘 242~243쪽
2 첫 번째 도형의 넓이는 1`cm@ 8개의 넓이와 같으므로
1   5, 2, 16 2 42 cm
8 cm€입니다.
37
두 번째 도형의 넓이는 1`cm@ 6개의 넓이와 같으므로
4 1`cm
1`cm 6 cm€입니다.
세 번째 도형의 넓이는 1`cm@ 7개의 넓이와 같으므로
7 cm€입니다.
3 의 개수를 세어 도형의 넓이를 각각 구하면 다음
1`cm@

과 같습니다.
가: 8 cm€ 나: 12 cm€
1 가로가 3 cm, 세로가 5 cm인 직사각형의 둘레는 따라서 나의 넓이는 가의 넓이보다 12-8=4 (cm€)
(3+5)_2=16 (cm)입니다. 만큼 더 큽니다.

정답과 풀이 47
정답과 풀이 본책

4 의 개수를 세어 도형의 넓이를 각각 구하면 다음


1`cm@ 한번 더
한번 더 익힘 256~257쪽
과 같습니다.
가: 6 cm€ 나: 6 cm€ 다: 6 cm€
1   ⑴ 110000 ⑵ 13 2 32
라: 6 cm€ 마: 7 cm€
3㉠
따라서 넓이가 다른 도형은 마입니다.
4 ⑴ m€에 ◯표 ⑵ cm€에 ◯표

1 ⑴ ‌1 m€=10000 cm€이므로


한번 더
한번 더 척척 249쪽
11 m€=110000 cm€입니다.
1   5, 50 2 36 cm€ ⑵ ‌1000000 m€=1 km€이므로
13000000 m€=13 km€입니다.
1 가로가 10 cm, 세로가 5 cm인 직사각형의 넓이는
2 120000 cm€=12 m€이므로 ㉠=12입니다.
10_5=50 (cm€)입니다.
20 km€=20000000 m€이므로 ㉡=20입니다.
2 한 변의 길이가 6 cm인 정사각형의 넓이는 따라서 ㉠+㉡=32입니다.
6_6=36 (cm€)입니다.
3 ㉠ 2 km€=2000000 m€
㉡ 6000000 cm€=600 m€
한번 더
한번 더 익힘 250~251쪽 ㉢ 90000 m€
1   72 cm€ 2 49 cm€ 따라서 넓이가 가장 큰 것은 ㉠입니다.
3 ‌한 변의 길이가 5 cm인 정사각형의 넓이를 구 4 ⑴ 윤주의 방의 넓이는 14 m€입니다.
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5_5=25 (cm€) ⑵ 윤주의 공책의 넓이는 560 cm€입니다.
4 15 cm€

1 가로가 6 cm, 세로가 12 cm인 직사각형의 넓이는


6_12=72 (cm€)입니다.
한번 더
한번 더 척척 261쪽
2 한 변의 길이가 7 cm인 정사각형의 넓이는
7_7=49 (cm€)입니다. 1   3, 12 2 20 cm€

3 정사각형의 넓이는 한 변의 길이를 2번 곱하여 구 1 밑변의 길이가 4 cm, 높이가 3 cm인 평행사변형의
합니다. 넓이는 4_3=12 (cm€)입니다.
따라서 한 변의 길이가 5 cm인 정사각형의 넓이는
5_5=25 (cm€)입니다. 2 평행사변형에는 1`cm@ 가 모두 16개 있고, 이 모두

4 직사각형의 둘레가 16 cm이므로 3+(세로)=8입 4개 있으므로 평행사변형의 넓이는 20 cm€입니다.


니다.
따라서 세로가 5 cm이므로 직사각형의 넓이는
3_5=15 (cm€)입니다.
한번 더
한번 더 익힘 262~263쪽
한번 더
한번 더 척척 255쪽
1    2 63 cm€
1   ⑴ 5 ⑵ 7000000 2<

1 ⑴ ‌10000 cm€=1 m€이므로 50000 cm€=5 m€ 3 8 cm 4다


입니다.
⑵ ‌1 km€=1000000 m€이므로 1 평행사변형에서 평행한 두 밑변 사이의 거리를 표
7 km€=7000000 m€입니다. 시합니다.

2 20000000 m€=20 km€이므로 20 km€가 4 km€ 2 밑변의 길이가 9 cm, 높이가 7 cm인 평행사변형
보다 더 큽니다. 의 넓이는 9_7=63 (cm€)입니다.

48 수학 5-1 자습서
정답 과 풀이
3 평행사변형의 높이를 cm라고 하면 실력 쑥쑥 1 266~267쪽
9_ =72, =8입니다.
따라서 평행사변형의 높이는 8 cm입니다. 1   6 cm 2 18 cm
3 48 cm
4 평행사변형의 높이가 모두 같으므로 밑변의 길이가
4  ‌가의 넓이는 1`cm@ 11 개의 넓이와 같으므로
다르면 넓이도 다릅니다.
11 cm€, 나의 넓이는 1`cm@ 7개의 넓이와 같
따라서 넓이가 다른 평행사변형은 다입니다.
으므로 7 cm€입니다.
따라서 가의 넓이가 나의 넓이보다
11-7=4 (cm€) 더 큽니다. / 가, 4 cm€
기초 탄탄 1 264~265쪽 5 ㉡, ㉢, ㉠ 6 6 m€
1   36 cm 2 ⑴ 36 cm ⑵ 48 cm 7 ‌직사각형의 세로를 km라고 하면
3( )( )( ◯ ) 12_ =60, =5입니다.
4 135 cm€ 5 100, 100 / 10000 따라서 직사각형의 세로는 5 km이므로 m로 나
6 ⑴ 0.5 ⑵ 900000 ⑶ 60 ⑷ 700000 타내면 5000 m입니다. / 5000 m
7 36 m€ 8 15 cm€ 8 ‌선분 ㅁㅂ 9 49 cm€
10 1`cm@
‌ 
1 사다리꼴의 둘레는 8+13+4+11=36 (cm)입니
다.

2 ⑴ ‌정사각형의 둘레는 9_4=36 (cm)입니다.


⑵ ‌정육각형의 둘레는 8_6=48 (cm)입니다.
1 직사각형의 세로를 cm라고 하면
3 첫 번째 도형의 넓이는 1`cm@ 7개의 넓이와 같으므로
(10+ )_2=32, 10+ =16, =6입니다.
7 cm€입니다. 따라서 직사각형의 세로는 6 cm입니다.
두 번째 도형의 넓이는 1`cm@ 7개의 넓이와 같으므로
2 주어진 정육각형의 둘레는 15_6=90 (cm)입니다.
7 cm€입니다. 정오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cm라고 하면
세 번째 도형의 넓이는 1`cm@ 8개의 넓이와 같으므로 _5=90, =18입니다.
8 cm€입니다. 따라서 정오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18 cm입니다.

4 직사각형의 넓이는 15_9=135 (cm€)입니다. 3 잘린 색종이 1개의 세로는 가로의 2배이므로 가로


를 cm라고 하면 _6=36, =6입니다.
5 1 m=100 cm이므로 1 m€=10000 cm€입니다.
따라서 자르기 전의 색종이의 한 변의 길이는
6 ⑴ ‌10000 cm€=1 m€이므로 5000 cm€=0.5 m€ 6_2=12 (cm)이므로 둘레는 12_4=48 (cm)
입니다. 입니다.
⑵ ‌1 m€=10000 cm€이므로
90 m€=900000 cm€입니다. 4 채점 기준

⑶ ‌1000000 m€=1 km€이므로 가와 나의 넓이를 구하고 두 도형의 넓이를



바르게 비교함.
60000000 m€=60 km€입니다.
가와 나의 넓이를 구했으나 두 도형의 넓이
⑷ ‌1 km€=1000000 m€이므로 중
를 비교하는 과정에서 실수하여 답이 틀림.
0.7 km€=700000 m€입니다.
가와 나의 넓이를 구하지 못하여 답을 구하

7 직사각형의 넓이는 900_400=360000 (cm€)입 지 못함.
니다.
따라서 m€로 나타내면 36 m€입니다.
5 ㉠ 16_9=144 (cm€) ㉡ 13_13=169 (cm€)
㉢ 14_12=168 (cm€)
8 평행사변형에는 1`cm@ 가 모두 12개 있고, 이 모두 따라서 넓이가 큰 것부터 차례대로 기호를 쓰면
6개 있으므로 평행사변형의 넓이는 15 cm€입니다. ㉡, ㉢, ㉠입니다.

정답과 풀이 49
정답과 풀이 본책

6 타일 1개의 넓이는 30_40=1200 (cm€)입니다. 3 첫 번째 삼각형의 넓이는 6_8/2=24 (cm€)입니다.


타일을 모두 5_10=50(개) 붙였으므로 타일을 붙 두 삼각형의 넓이가 같으므로
인 벽의 넓이는 1200_50=60000 (cm€)입니다. _4/2=24, _4=48, =12입니다.
따라서 m€로 나타내면 6 m€입니다.
4 삼각형의 높이가 모두 같으므로 밑변의 길이가 다
7 채점 기준 르면 넓이도 다릅니다.
직사각형의 세로가 몇 km인지 구하고 m 따라서 넓이가 다른 삼각형은 나입니다.

로 바르게 나타냄.
직사각형의 세로가 몇 km인지 구했으나
m로 나타내는 과정에서 실수하여 답이 틀 중 한번 더
한번 더 척척 275쪽
림.
직사각형의 세로가 몇 km인지 구하지 못 1   직사각형, 가로, 대각선

하여 답을 구하지 못함.
1 마름모의 넓이는 직사각형의 넓이를 2로 나눈 것과
8 평행사변형의 높이는 두 밑변 사이의 거리이므로 같습니다.
변 ㄱㄴ이 밑변일 때 높이는 선분 ㅁㅂ입니다.

9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평행사변형의 밑변의


한번 더
한번 더 익힘 276~277쪽
길이와 같으므로 7 cm입니다.
평행사변형의 넓이는 한 변의 길이가 7 cm인 정 1   216 cm€ 2 1000 cm€
사각형의 넓이와 같으므로 7_7=49 (cm€)입니 3 ‌14
다. 4 1`cm@

10 (밑변의 길이)_(높이)=12 (cm€)이고, 모양이 서


로 다른 평행사변형 2개를 그립니다.

1 마름모의 두 대각선의 길이가 각각 24 cm, 18 cm


한번 더
한번 더 척척 271쪽 이므로 마름모의 넓이는 24_18/2=216 (cm€)
1   2, 밑변, 2, 8, 2, 52 입니다.

2 두 대각선의 길이가 각각 40 cm, 50 cm인 마름모


1 삼각형의 넓이는 평행사변형의 넓이를 2로 나눈 것 의 넓이는 40_50/2=1000 (cm€)입니다.
과 같으므로 13_8/2=52 (cm€)입니다.
3 마름모의 넓이가 154 cm€이므로
22_ /2=154, 22_ =308, =14입니
다.

한번 더
한번 더 익힘 272~273쪽 4 주어진 마름모의 넓이는 4_6/2=12 (cm € )입
니다.
1    2 81 cm€ 따라서 넓이가 12 cm€이고, 모양이 다른 마름모 1
개를 그립니다.

3 ‌12 4나
한번 더
한번 더 척척 281쪽
1 삼각형에서 밑변과 마주 보는 꼭짓점에서 밑변에
1   2, 아랫변, 8, 5, 2, 30
수직으로 그은 선분의 길이를 표시합니다.

2 삼각형의 밑변의 길이가 18 cm, 높이가 9 cm이므 1 사다리꼴의 넓이는 평행사변형의 넓이를 2로 나눈
로 삼각형의 넓이는 18_9/2=81 (cm€)입니다. 것과 같으므로 (4+8)_5/2=30 (cm€)입니다.

50 수학 5-1 자습서
정답 과 풀이
한번 더
한번 더 익힘 282~283쪽 한번 더
한번 더 익힘 286~287쪽

1   36, 24, 60 2 138 cm€ 1   22 m, 22 m€ 2 38 cm, 60 cm€


3 ‌30 m€ 46 3 ‌475 cm€ 4 30 cm€

1 가의 넓이: 9_8/2=36 (cm€) 1 도형의 둘레는


나의 넓이: 6_8/2=24 (cm€) 3+1+2+1+2+2+7+4=22 (m)입니다.
따라서 사다리꼴의 넓이는 36+24=60 (cm€)입니 도형의 넓이는 1`m@ 22개의 넓이와 같으므로
다. 22 m€입니다.
2 윗변과 아랫변의 길이가 각각 9 cm, 14 cm이고 2 선분을 옮겨 도형의 둘레를 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높이가 12 cm인 사다리꼴의 넓이는
(9+14)_12/2=138 (cm€)입니다.
7`cm

3 윗변과 아랫변의 길이가 각각 8 m, 4 m이고 높이
가 5 m인 사다리꼴의 넓이는
12`cm
(8+4)_5/2=30 (m€)입니다.
둘레: (12+7)_2=38 (cm)
4 사다리꼴의 넓이가 60 cm€이므로 직사각형으로 나누어 도형의 넓이를 구하면 다음과
(14+6)_ /2=60, (14+6)_ =120, 같습니다.
20_ =120, =6입니다. 4`cm
4`cm
  4`cm
7`cm
5`cm
3`cm

넓이: 4_3+4_5+4_7=60 (cm€)

3 직사각형과 삼각형으로 나누어 도형의 넓이를 구하


한번 더
한번 더 척척 285쪽 면 다음과 같습니다.
넓이: 25_15+25_8/2=475 (cm€)
1   84 cm, 312 cm€
4 직사각형의 넓이에서 마름모의 넓이를 빼서 색칠한
1 선분을 옮겨 도형의 둘레를 구하면 다음과 같습니 부분의 넓이를 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다. 넓이: 10_6-10_6/2=30 (cm€)

기초 탄탄 2 288~289쪽
18`cm
1
1   6, 6, 9 2 45 cm€
24`cm 3 56 cm€ 4 104 m€
둘레: (24+18)_2=84 (cm)
5 24 cm€ 6 22 cm€
직사각형으로 나누어 도형의 넓이를 구하면 다음과
7 72, 182 8 68, 74
같습니다.
1 주어진 삼각형에는 1`cm@ 가 모두 6개 있고, 이모
10`cm 두 6개 있으므로 삼각형의 넓이는 9 cm€입니다.

1 12`cm 2 삼각형의 넓이는 10_9/2=45 (cm€)입니다.


8`cm
3 마름모를 대각선을 따라 잘랐을 때 생긴 삼각형은
24`cm 모양과 크기가 같으므로 마름모의 넓이는
넓이: 12_10+24_8=312 (cm€) 14_4=56 (cm€)입니다.

정답과 풀이 51
정답과 풀이 본책

4 마름모의 넓이는 16_13/2=104 (m€)입니다. 5 7 cm 6다


5 사다리꼴의 넓이는 (3+9)_4/2=24 (cm€)입니 7 60 cm 8 252 cm
다. 9 99 cm€
10  ‌색칠한 부분의 넓이는 밑변의 길이가
6 사다리꼴의 윗변과 아랫변의 길이가 각각 7 cm, 9 cm, 높이가 20 cm인 삼각형 2개의 넓이
7-3=4 (cm)이고 높이가 4 cm이므로 사다리꼴 의 합과 같습니다.
의 넓이는 (7+4)_4/2=22 (cm€)입니다. 따라서 색칠한 부분의 넓이는
7 선분의 길이를 모두 더하여 도형의 둘레를 구하면 9_20/2+9_20/2=180 (cm€)입니
다음과 같습니다. 다. / 180 cm€
3`cm 6`cm
1 500 cm=5 m이므로 첫 번째 도형의 넓이는
6`cm 6`cm
5_5=25 (m€)이고, 두 번째 도형의 넓이는
14`cm 7`cm 14`cm 11_6/2=33 (m€)입니다.
따라서 두 도형의 넓이의 합은 25+33=58 (m€)
입니다.
16`cm
둘레: 14+3+6+7+6+6+14+16=72 (cm) 2 삼각형의 밑변의 길이가 21 cm일 때 높이는
직사각형으로 나누어 도형의 넓이를 구하면 다음과 8 cm이므로 삼각형의 넓이는
같습니다. 21_8/2=84 (cm€)입니다.
3`cm 6`cm 삼각형의 밑변의 길이가 12 cm일 때 높이는
6`cm 6`cm cm이므로 12_ /2=84, 12_ =168,
=14입니다.
8`cm
3 ‌삼각형 ㄱㄴㄷ의 넓이는 14_12/2=84 (cm€)
16`cm 입니다.
선분 ㄹㅂ의 길이를 cm라 하면
넓이: 3_6+6_6+16_8=182 (cm€)
마름모 ㄹㅁㅂㅅ의 넓이가 84 cm€이므로
8 색칠한 부분의 둘레와 넓이를 구하면 다음과 같습 8_ /2=84, 8_ =168, =21입니다.
니다. 따라서 선분 ㄹㅂ의 길이는 21 cm입니다.
둘레: ‌(8+3)_2+(8+4)_2+(2+9)_2
=68 (cm) 4 채점 기준
넓이: 8_3+8_4+2_9=74 (cm€) 마름모의 대각선의 길이를 구하고 답을 바

르게 구함.
마름모의 대각선의 길이를 구했으나 답을 구

하는 과정에서 실수하여 답이 틀림.
마름모의 대각선의 길이를 구하지 못하여

답을 구하지 못함.
실력 쑥쑥 2 290~291쪽
5 사다리꼴의 높이를 cm라고 하면
1   58 m€ 2 14 (15+9)_ /2=84, (15+9)_ =168,
3 21 cm 24_ =168, =7입니다.
4  ‌원 안에 그릴 수 있는 가장 큰 마름모는 두 대 따라서 사다리꼴의 높이는 7 cm입니다.
각선의 길이가 모두 원의 지름과 같습니다.
원의 지름은 9_2=18 (cm)입니다. 6 사다리꼴의 높이가 모두 같으므로 윗변과 아랫변
따라서 마름모의 넓이는 의 길이의 합이 다르면 넓이도 다릅니다.
18_18/2=162 (cm€)입니다. / 162 cm€ 따라서 넓이가 다른 사다리꼴은 다입니다.

52 수학 5-1 자습서
정답 과 풀이
7 정사각형 12개를 붙여서 만든 도형의 넓이가 17 6 cm 18 9 m€
108 cm€이므로 정사각형 한 개의 넓이는 19 122 cm€ 20 21 cm€
108/12=9 (cm€)입니다. 3_3=9이므로 정사
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3 cm입니다. 01 정팔각형의 둘레는 9_8=72 (cm)입니다.
따라서 만든 도형의 둘레는 3_20=60 (cm)입니
02 ㉠ 10_3=30 (cm) ㉡ (7+9)_2=32 (cm)
다.
㉢ 6+10+9+8=33 (cm)
8 선분을 옮겨 색칠한 부분의 둘레를 구하면 다음과 따라서 둘레가 가장 긴 도형은 ㉢입니다.
같습니다.
03 도형의 넓이는 1`cm@ 22개의 넓이와 같으므로
22 cm€입니다.

66`cm 04 가로가 20 cm, 세로가 18 cm인 직사각형의 넓이


는 20_18=360 (cm€)입니다.

05 가: 7_3=21 (cm€) 나: 4_6=24 (cm€)


60`cm
다: 5_5=25 (cm€)
둘레: (60+66)_2=252 (cm) 따라서 넓이가 가장 큰 직사각형은 다입니다.
9 사다리꼴의 넓이에서 삼각형의 넓이를 빼서 색칠 06 30 km€=30000000 m€이므로 30 km€가
한 부분의 넓이를 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000 m€보다 큽니다.
넓이: ‌(15+9)_11/2-11_6/2
=99 (cm€)
07 ㉯ 50000 cm€=5 m€
따라서 두 텃밭의 넓이의 차는 40-5=35 (m€)
10 채점 기준 입니다.
색칠한 부분의 넓이를 구하는 방법을 알고
답을 바르게 구함.
상 08 300 cm=3 m, 500 cm=5 m이므로 첫 번째 도
형의 넓이는 6_3=18 (m€)이고, 두 번째 도형의
색칠한 부분의 넓이를 구하는 방법을 알았
으나 답을 구하는 과정에서 실수하여 답이 중 넓이는 5_4/2=10 (m€)입니다.
틀림. 따라서 두 도형의 넓이의 합은 18+10=28 (m€)
색칠한 부분의 넓이를 구하는 방법을 몰라 입니다.

답을 구하지 못함.
09 평행사변형의 밑변의 길이와 높이가 각각 같으면
모양이 달라져도 넓이는 모두 같습니다.

10 주어진 삼각형 2개로 평행사변형을 만듭니다.


단원 평가 300~302쪽 11 만든 평행사변형의 넓이는 3_4=12 (cm€)입니다.

01 72 cm 02 ㉢ 12 삼각형의 넓이는 평행사변형의 넓이를 2로 나눈


03 22 cm€ 04 360 cm€ 것과 같으므로 12/2=6 (cm€)입니다.
05 다 06 < 13 삼각형의 넓이가 75 cm€이므로
07 35 m€ 08 28 m€ _10/2=75, _10=150, =15입니다.
09 현지
14 원 안에 그릴 수 있는 가장 큰 마름모는 두 대각선
10  1`cm@
의 길이가 모두 원의 지름과 같습니다.
원의 지름은 12_2=24 (cm)입니다.
따라서 마름모의 넓이는 24_24/2=288 (cm€)
입니다.
11 4, 12 12 6 cm€ 15 가: (7+11)_4/2=36 (cm€)
13 15 14 288 cm€ 나: (4+8)_7/2=42 (cm€)
15 나 16 24 cm 따라서 나의 넓이가 더 큽니다.

정답과 풀이 53
정답과 풀이 본책

16 선분을 옮겨 도형의 둘레를 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따라서 두 사람이 사용한 포장지의 넓이의
합은 150+64=214 (cm€)입니다.
/ 214 cm€
5`cm
3  ‌사다리꼴의 윗변의 길이와 아랫변의 길이는
각각 4 cm, 4_2=8 (cm)이고 높이는
7`cm 3 cm입니다.
둘레: (7+5)_2=24 (cm) 따라서 사다리꼴의 넓이는
(4+8)_3/2=18 (cm€)입니다. / 18 cm€
17 두 번째 직사각형의 세로가 2 cm이고, 넓이가
4 cm€이므로 가로는 2 cm입니다. 4  ‌20_20=400이므로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20 cm입니다. 따라서 만든 도형의
가로는 변하지 않으므로 여섯 번째 직사각형의 가
둘레는 가로가 20+6=26 (cm),
로도 2 cm입니다.
세로가 20+15=35 (cm)인 직사각형의 둘
여섯 번째 직사각형의 넓이는
레와 같으므로 (26+35)_2=122 (cm)입
2+2+2+2+2+2=12 (cm€)이므로
니다. / 122 cm
2_(세로)=12입니다.
따라서 여섯 번째 직사각형의 세로는 6 cm입니다.
1 채점 기준
18 타일 1개의 넓이는 15_10=150 (cm€)입니다.
가와 나의 넓이를 구하고 답을 바르게 구함. 상
타일을 모두 20_30=600(개) 붙였으므로 타일
가와 나의 넓이를 구했으나 답을 구하는 과
을 붙인 벽의 넓이는 150_600=90000 (cm€)입 중
정에서 실수하여 답이 틀림.
니다.
가와 나의 넓이를 구하지 못하여 답을 구하
따라서 m€로 나타내면 9 m€입니다. 지 못함.

19 마름모의 넓이는 13_8/2=52 (cm€)이고,


사다리꼴의 넓이는 (8+12)_7/2=70 (cm€)입 2 채점 기준
니다. 하준이와 은주가 사용한 포장지의 넓이를

따라서 도형의 넓이는 52+70=122 (cm€)입니 구하고 답을 바르게 구함.
다. 하준이와 은주가 사용한 포장지의 넓이를
구했으나 답을 구하는 과정에서 실수하여 중
20 큰 삼각형에서 작은 삼각형을 빼서 색칠한 부분의 답이 틀림.
넓이를 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하준이와 은주가 사용한 포장지의 넓이를
넓이: 7_10/2-7_4/2=21 (cm€) 구하지 못하여 답을 구하지 못함.

3 채점 기준
사다리꼴의 넓이를 구하는 방법을 알고 답

을 바르게 구함.
사다리꼴의 넓이를 구하는 방법을 알았으나

답을 구하는 과정에서 실수하여 답이 틀림.
서술형 논술형 쓱 쓱 303쪽 사다리꼴의 넓이를 구하는 방법을 알지 못

하여 답을 구하지 못함.
1  ‌가의 넓이는 5_8=40 (cm€)입니다.
나의 넓이는 10_7/2=35 (cm€)입니다. 4 채점 기준
따라서 가의 넓이는 나의 넓이보다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구하고 답을
40-35=5 (cm€)만큼 더 큽니다. / 5 cm€ 상
바르게 구함.
2  ‌하준이가 사용한 포장지의 넓이는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구했으나 답을

10_15=150 (cm€)입니다. 구하는 과정에서 실수하여 답이 틀림.
은주가 사용한 포장지의 넓이는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구하지 못하여

16_8/2=64 (cm€)입니다. 답을 구하지 못함.

54 수학 5-1 자습서
정답과 풀이 부록

정답 과 풀이
1
03 곱셈과 나눗셈이 섞여 있는 식은 앞에서부터 차례
자연수의 혼합 계산 대로 계산하고, ( )가 있으면 ( ) 안을 먼저
계산합니다.
① 72_8/4 ② 72/8/4
단원 평가 1회 2~4쪽 ① ①
② ②
01 40 02 ㉡, ㉠, ㉢
③ 72/(8/4) ④ (72_8)/4
03 ③ 04 136
① ①
05 22 ② ②
06 55, 1 / 다릅니다에 ◯표 ⑤ (72/8)/4
07  ‌한 명이 받게 되는 쿠키의 수는 ①
16_5/8=80/8=10(개)입니다. ②

/ 10개 따라서 8/4를 가장 먼저 계산해야 하는 식은 ③


08 ②, ④ 09 5 입니다.
10 +
식 507-126+212=593 답 593명
04 37+8_15-21=37+120-21
11
37+8_15-21=157-21=136
12 ㉡ 13 10
14  ‌남은 딸기 케이크의 수는 05 160/(2_4)+2=160/8+2=20+2=22
62-(7+8)_4
=62-15_4 06 상현: 59-31+27=28+27=55
=62-60=2(개)입니다. / 2개 석진: 59-(31+27)=59-58=1
15 ⇨ 두 식의 계산 결과는 다릅니다.

07 채점 기준
16 식12_6/8=9 9모둠 답 한 명이 받게 되는 쿠키의 수를 하나의 식

17 식 17+16-11=22 답 22명 으로 나타내어 답을 바르게 구함.
18 26+(23-8)/3=31 한 명이 받게 되는 쿠키의 수를 하나의 식
으로 나타내었으나 계산 과정에서 실수하 중
19 식 ‌180+2000/8_2
여 답이 틀림.
+135_2+2000/8_3=1700
한 명이 받게 되는 쿠키의 수를 하나의 식
답 1700 kcal 하
으로 나타내지 못하여 답이 틀림.
20  문 제 ‌기백이는 구슬을 56개 가지고 있었
습니다. 구슬치기를 하여 어제는 37
08 덧셈, 곱셈, 나눗셈이 섞여 있는 식에서 ( )가
개를 잃었고, 오늘은 26개를 땄습니
있으면 ( ) 안을 가장 먼저 계산합니다.
다. 기백이가 지금 가지고 있는 구슬
⇨ ‌계산 결과는
은 모두 몇 개일까요?
120/(6_5)+7=120/30+7=4+7=11
 ‌풀 이 ‌기백이가 지금 가지고 있는 구슬의
입니다.
수는
56-37+26=19+2=45(개)입니 09 7_(25+ )=210에서 25+ =210/7,
다. 25+ =30, =30-25, =5입니다.

01 35/7_8=5_8=40 10 ㉠ 52-(45-23)=52-22=30
① ㉡ ‌52-45 + 23=7+23=30

52-45 - 23=7-23
따라서 안에 알맞은 기호는 +입니다.
02 덧셈, 뺄셈, 곱셈이 섞여 있는 식은 곱셈을 먼저
계산합니다. 11 지금 기차에 타고 있는 사람 수는
따라서 계산 순서는 ㉡, ㉠, ㉢입니다. 507-126+212=381+212=593(명)입니다.

정답과 풀이 55
정답과 풀이 부록

12 덧셈, 뺄셈, 곱셈이 섞여 있는 식에서 ( )가 있 20 채점 기준


으면 ( ) 안을 가장 먼저 계산하고, 곱셈과 뺄셈 식에 알맞은 문제를 만들고 잘 해결함. 상
이 섞여 있으면 곱셈을 먼저 계산합니다. 식에 알맞은 문제를 만들었으나 미흡함. 중
따라서 잘못 계산한 곳은 ㉡입니다. 식에 알맞은 문제를 만들지 못함. 하

13 40/ _5+22=42에서
40/ _5=42-22, 40/ _5=20,
40/ =20/5, 40/ =4, =40/4
=10입니다. 단원 평가 2회 5~7쪽

14 채점 기준 01 31, 6, 37 02 ②
남은 딸기 케이크의 수를 하나의 식으로 나 03 04 3

타내어 답을 바르게 구함. 05 ㉡
남은 딸기 케이크의 수를 하나의 식으로 나 06 ㉡
타내었으나 계산 과정에서 실수하여 답이 중 07  ‌축구를 좋아하지 않는 학생 수는
틀림.
13+15-11=28-11=17(명)입니다.
남은 딸기 케이크의 수를 하나의 식으로 나
하 / 17명
타내지 못하여 답이 틀림.
08 23-4×4=7 09 -
10 55 11 575
15 •13+14-16=27-16=11 식 (20_2+2_3)_7=322 답 322마리
12
•3_15/5=45/5=9
13  ‌곱셈과 나눗셈이 섞여 있는 식에서 ( )
•120/(2_5)=120/10=12
가 없으면 앞에서부터 차례대로 계산하고,
( )가 있으면 ( ) 안을 먼저 계산해야
16 만들 수 있는 모둠의 수는
12_6/8=72/8=9(모둠)입니다. 합니다.
14
17 안경을 쓰지 않은 학생 수는
17+16-11=33-11=22(명)입니다.
15 식 (12+7)_3-9=48 답 48살
16 9
18 26에 23과 8의 차를 3으로 나눈 몫을 더한 수
26 (23-8) /3 + 17  ‌208 cm를 4등분 한 것 중 한 도막의 길이
⇨ 26+(23-8)/3=26+15/3=26+5=31 는 (208/4) cm이고, 186 cm를 6등분 한
것 중 한 도막의 길이는 (186/6) cm입니
19 경식이가 점심에 먹은 음식의 열량은 다.
(180+2000/8_2) kcal이고, 저녁에 먹은 음 (이어 붙인 셀로판 테이프의 전체 길이)
식의 열량은 =(한 도막의 길이의 합)-(겹쳐진 길이)
(135_2+2000/8_3) kcal입니다. =208/4+186/6-18
(경식이가 점심과 저녁에 먹은 음식의 열량) =52+186/6-18=52+31-18
=(점심에 먹은 음식의 열량) =83-18=65 (cm)입니다. / 65 cm
=+(저녁에 먹은 음식의 열량) 18 식 (13+12)_4-14=86 답 86장
=180+2000/8_2+135_2+2000/8_3 19 식 11_4+22-132/11_4=18
=180+250_2+135_2+2000/8_3 답 18송이
=180+500+135_2+2000/8_3 20 식 182/7-225/9=1 답 수지, 1쪽
=180+500+270+2000/8_3
=180+500+270+250_3 01 덧셈과 나눗셈이 섞여 있는 식은 나눗셈을 먼저
=180+500+270+750=680+270+750 계산합니다.
=950+750=1700 (kcal)입니다. ⇨ 31+48/8=31+6=37

56 수학 5-1 자습서
정답 과 풀이
02 ② ‌곱셈과 나눗셈이 섞여 있는 식은 앞에서부터 13 채점 기준
차례대로 계산합니다. 두 식의 계산 결과가 다른 까닭을 바르게 씀. 상
두 식의 계산 결과가 다른 까닭을 썼으나
03 •48/6_4=8_4=32 중
미흡함.
•48/(6_4)=48/24=2
두 식의 계산 결과가 다른 까닭을 쓰지 못함. 하
04 87/(55-26)=87/29=3
14 84/(7+5)_2=84/12_2=7_2=14
05 ㉠ 120-106+39=14+39=53 15 진수 아버지의 나이는
㉡ 30-7+27-23‌=23+27-23 (12+7)_3-9
=50-23=27 =19_3-9
㉢ 72-(8+9)+4=72-17+4=55+4=59 =57-9=48(살)입니다.
06 종이학을 만드는 데 걸리는 시간을 하나의 식으로 16 어떤 수를 라고 하면
나타내면 120/(6_5)입니다. (87- )/6=13, 87- =13_6,
87- =78, =87-78, =9입니다.
07 채점 기준
축구를 좋아하지 않는 학생 수를 하나의 식 17 채점 기준
상 이어 붙인 셀로판 테이프의 전체 길이를 하
으로 나타내어 답을 바르게 구함. 상
축구를 좋아하지 않는 학생 수를 하나의 식 나의 식으로 나타내어 답을 바르게 구함.
으로 나타내었으나 계산 과정에서 실수하 중 이어 붙인 셀로판 테이프의 전체 길이를 하
여 답이 틀림. 나의 식으로 나타내었으나 계산 과정에서 중
축구를 좋아하지 않는 학생 수를 하나의 식 실수하여 답이 틀림.
하 이어 붙인 셀로판 테이프의 전체 길이를 하
으로 나타내지 못하여 답이 틀림. 하
나의 식으로 나타내지 못하여 답이 틀림.
08 두 식에 16이 공통으로 들어 있으므로
18 선영이가 가지고 있는 색종이의 수는
23-16=7에서 16 대신에 4_4를 넣습니다.
(13+12)_4-14
⇨ 23-4_4=7
=25_4-14
09 ㉠ 180-(25+4)=180-29=151 =100-14=86(장)입니다.
㉡ ‌180-25 + 4=155+4=169 19 어제 판 꽃의 수는 (11_4+22)송이이고, 오늘
180-25 - 4=155-4=151 판 꽃의 수는 (132/11_4)송이입니다.
따라서 안에 알맞은 기호는 -입니다. 어제 판 꽃과 오늘 판 꽃의 수의 차는
11_4+22-132/11_4
10 70-3_9+36/3=70-27+36/3
=44+22-132/11_4
=70-27+12
=44+22-12_4
=43+12=55
=44+22-48=66-48=18(송이)입니다.
11 (115-19)_6=96_6=576, 따라서 어제 판 꽃은 오늘 판 꽃보다 18송이 더 많
115-(19_6)=115-114=1 습니다.
따라서 두 식의 계산 결과의 차는 576-1=575
20 수지가 하루 동안 읽은 책의 쪽수는 (182/7)쪽
입니다.
이고, 유담이가 하루 동안 읽은 책의 쪽수는
12 하루에 오징어는 2축씩, 고등어는 3손씩 팔았으므 (225/9)쪽입니다.
로 하루에 파는 해산물의 수는 (20_2+2_3)마 하루 동안 읽은 책의 쪽수의 차는
리입니다. 7일 동안 판매한 해산물의 수는 182/7-225/9
(20_2+2_3)_7 =26-225/9=26-25=1(쪽)입니다.
=(40+2_3)_7=(40+6)_7 따라서 하루 동안 읽은 책의 쪽수는 수지가 1쪽 더
=46_7=322(마리)입니다. 많습니다.

정답과 풀이 57
정답과 풀이 부록

‌ 수의 공약수는 최대공약수 32의 약수이므


2 약수와 배수

로 1, 2, 4, 8, 16, 32입니다.
‌따라서 물고기를 담은 어항의 수는 10보다 크
고 20보다 작으므로 16개입니다. / 16개
단원 평가 1회 8~10쪽 20 42, 63
01 ㉠ 약수 ㉡ 1, 2, 5, 10
01 •어떤 수를 나누어떨어지게 하는 수를 그 수의 약
02 2, 9 / 3, 6 / 6, 3 / 9, 2 / 1, 2, 3, 6, 9, 18
수라고 합니다.
03 6의 배수: 6, 12, 18, 24, 30
•10의 약수를 모두 쓰면 1, 2, 5, 10입니다.
17의 배수: 17, 34, 51, 68, 85
04 3 / 1, 3, 7, 9, 21, 63
02 18을 나누어떨어지게 하는 나눗셈식은
05 ( ◯ ) ( × ) 06 ②
18/1=18, 18/2=9, 18/3=6, 18/6=3,
( ◯ ) ( × )
18/9=2, 18/18=1입니다.
07  ‌12시부터 8분마다 종이 울리면 8의 배수마
따라서 18의 약수는 1, 2, 3, 6, 9, 18입니다.
다 종이 울립니다. 1시간은 60분이므로 8
의 배수 중 60보다 작거나 같은 수는 8 ,
03 •‌6의 배수는 6, 12, 18, 24, 30, ...입니다.
16, 24, 32, 40, 48, 56의 7개입니다.
•‌17의 배수는 17, 34, 51, 68, 85, ...입니다.
따라서 점심시간 동안 종은 7번 울립니다.
/ 7번
04 63=3_3_7이고, 63의 약수는 1, 3, 7,
08 15의 약수: 1, 3, 5, 15
3_3=9, 3_7=21, 3_3_7=63입니다.
35의 약수: 1, 5, 7, 35 / 1, 5에 ◯표
09 ④
05 (5, 20): ‌20은 5로 나누어떨어지므로 20은 5의 배
10  ‌30과 42를 곱셈식으로 나타내면
수이고 5는 20의 약수입니다.
30=2_3_5, 42=2_3_7입니다.
(16, 7): ‌16은 7로 나누어떨어지지 않으므로 16
두 곱셈식에서 공통으로 들어 있는 곱셈식
과 7은 약수와 배수 관계가 아닙니다.
은 2_3이므로 30과 42의 최대공약수는 6
(24, 6): ‌24는 6으로 나누어떨어지므로 24는 6의
입니다. / 6
배수이고 6은 24의 약수입니다.
11 ㉡, ㉢, ㉠
(86, 8): ‌86은 8로 나누어떨어지지 않으므로 86
12 1, 2, 4, 7, 8, 14, 28, 56
과 8은 약수와 배수 관계가 아닙니다.
13 ⑴ 4 ⑵ 8
14 5의 배수: ‌5, 10, 15, 20, 25, 30, 35, 40,
06 90의 약수는 1, 2, 3, 5, 6, 9, 10, 15, 18, 30,
45, 50
45, 90이고, 90의 약수 중 10의 배수인 것은 10,
7의 배수: ‌7, 14, 21, 28, 35, 42, 49, 56,
30, 90입니다.
63, 70
10의 약수의 합: 1+2+5+10=18
/ 35
30의 약수의 합:
15 16 9개
1+2+3+5+6+10+15+30=72
17 ⑴ 385 ⑵ 162
이므로 조건을 만족하는 수는 30입니다.
18 ♥
Ϸ
19  ‌어항에 구피는 32 64 2
œ∑ 07 채점 기준
35-3=32(마리), 니모 16 32 2
œ∑ 분과 시의 관계와 배수를 활용하여 답을 바
8 16 2
는 66-2=64(마리) 담 œ∑ 르게 구함.

4 8 2
았으므로 32와 64의 최 œ∑
2 4 2 분과 시의 관계와 배수를 활용하였으나 답을

대공약수를 구합니다.
1 2 잘못 구함.
       ⇨ ‌최대공약수: 분과 시의 관계와 배수를 활용하지 못해 문

 2_2_2_2_2=32 제를 풀지 못함.

58 수학 5-1 자습서
정답 과 풀이
08 •15의 약수는 1, 3, 5, 15입니다. 15 •(5, 10): ‌5=1_5, 10=2_5이므로 최소공배
•35의 약수는 1, 5, 7, 35입니다. 수는 2_5=10입니다.
⇨ 15와 35의 공약수는 1, 5입니다. •(14, 6): ‌14=2_7, 6=2_3이므로 최소공배
수는 2_3_7=42입니다.
09 ① 18의 약수는 1, 2, 3, 6, 9, 18의 6개입니다.
•(12, 9): ‌12=2_2_3, 9=3_3이므로 최소
② ‌21의 약수는 1, 3, 7, 21이며 두 번째로 큰 수
공배수는 2_2_3_3=36입니다.
는 7입니다.
③ ‌18과 21의 공약수는 1, 3이며 가장 작은 수는 16 6의 배수인 버튼을 누른 뒤 9의 배수인 버튼을 누
1입니다. 르면 6과 9의 공배수인 버튼은 꺼져 있습니다.
④ ‌18과 21의 공약수는 1, 3이며 가장 큰 수는 3 6의 배수는 6, 12, 18, 24, 30, 36, 42, 48이고,
입니다. 9
 의 배수는 9, 18, 27, 36, 45이므로 6과 9의 공
⑤ 18과 21의 공약수는 1, 3의 2개입니다. 배수인 18, 36이 적혀 있는 버튼은 꺼져 있습니다.
따라서 켜져 있는 버튼은 6, 9, 12, 24, 27, 30,
10 채점 기준
42, 45, 48의 9개입니다.
Ϸ Ϸ
두 수를 곱셈식으로 나타내 답을 바르게 구

17 ⑴ 5 35 55 ⑵ 3 81 54
Ϸ
함.
37 11 3 27 18
두 수를 곱셈식으로 나타내었으나 답을 잘
중 œ∑
못 구함. 3 39 36
두 수를 곱셈식으로 나타내지 못해 문제를 33 32

풀지 못함. ⇨ ‌최소공배수: ⇨ ‌최소공배수:
5_7_11=385 3_3_3_3_2
11 6의 약수: 1, 2, 3, 6 =162
7의 약수: 1, 7
8의 약수: 1, 2, 4, 8 18 •42♡14는 42와 14의 최대공약수입니다.
Ϸ
28의 약수: 1, 2, 4, 7, 14, 28 2 42 14
Ϸ
㉠ (6, 28)의 최대공약수: 2 •7 21 37
㉡ (7, 28)의 최대공약수: 7 33 31 ⇨ ‌최대공약수: 2_7=14
㉢ (8, 28)의 최대공약수: 4 •12♥28은 12와 28의 최소공배수입니다.
Ϸ
따라서 최대공약수가 큰 것부터 차례대로 기호를 2 12 28
Ϸ
쓰면 ㉡, ㉢, ㉠입니다. 2 36 14

33 37 ⇨ ‌최소공배수:
12 어떤 두 수의 최대공약수가 56이면 두 수의 공약 ⇨ 2_2_3_7=84
수는 최대공약수 56의 약수입니다.
14=2_7, 84=2_2_3_7이므로 두 수의 최
따라서 56의 약수는 1, 2, 4, 7, 8, 14, 28, 56입
대공약수는 14, 최소공배수는 84입니다.
니다.
따라서 안에 알맞은 기호는 ♥입니다.
Ϸ Ϸ
13 ⑴ 2 44 16 ⑵ 2 80 72
œ∑ œ∑ 19 채점 기준
2 22 38 2 40 36
Ϸ
11 34 2 20 18 공약수를 활용하여 답을 바르게 구함. 상
10 39 공약수를 활용하였으나 답을 잘못 구함. 중
⇨ ‌최대공약수: ⇨ ‌최대공약수: 공약수를 활용하지 못해 문제를 풀지 못함. 하
2_2=4 2_2_2=8
20 두 수의 최대공약수가 21이므로 두 수를 21_㉠,
14 •5의 배수는 5, 10, 15, 20, 25, 30, 35, 40, 21_㉡이라고 하면 21_㉠+21_㉡=105입니
45, 50, ...입니다. 다. (단, ㉠과 ㉡의 공약수는 1입니다.)
•7의 배수는 7, 14, 21, 28, 35, 42, 49, 56, 21_㉠+21_㉡=105에서 ㉠+㉡=5입니다.
63, 70, ...입니다. 또, 최소공배수가 126이므로 21_㉠_㉡=126
⇨ ‌5와 7의 최소공배수는 35입니다. 에서 ㉠_㉡=6입니다.

정답과 풀이 59
정답과 풀이 부록

6의 약수는 1, 2, 3, 6이므로 더해서 5가 되는 두 15 ⑤ 16 1170


수는 2, 3입니다. œ∑
17  ‌80 과 60 의 최소 2 80 60
Ϸ
따라서 두 수는 21_2=42, 21_3=63입니다. 공배수를 구합니 2 40 30
Ϸ
다. 5 20 15
80 과 60 의 최소 34 33
공배수는 240 이 ⇨ ‌최소공배수:
므로 다음으로 2_2_3_4_5
3 D 영화와 인형 =240
공연이 동시에 시
작하는 시각은 4
시간 후인 오후 6
시입니다. / 오후 6시
18 ⑴ (위부터) 42, 21, 3 / 126
⑵ (위부터) 10, 50, 2, 2 / 50
19 0 20 35 cm, 35개
단원 평가 2회 11~13쪽
01 •어떤 수를 1배, 2배, 3배, ... 한 수를 그 수의 배
01 ㉠ 배수 ㉡ 12 02 91 수라고 합니다.
03 20의 약수: 1, 2, 4, 5, 10, 20 •12, 24, 36, ...은 12를 1배, 2배, 3배, ... 한
28의 약수: 1, 2, 4, 7, 14, 28 수이므로 12의 배수입니다.
04 ‌한별
05 ⑴ 1, 3, 5, 15 ⑵ 1, 3, 5, 15 02 13의 배수는 13, 26, 39, 52, 65, 78, 91, 104,
06 ...입니다.
따라서 13의 배수 중 100보다 작으면서 가장 큰
수는 91입니다.
07 2, 5, 5 / 3, 5, 5 / 5, 5, 25
08 1, 2, 3, 6 09 ③ 03 •20의 약수는 1, 2, 4, 5, 10, 20입니다.
10 < •28의 약수는 1, 2, 4, 7, 14, 28입니다.
11  ‌45의 약수는 1, 3, 5, 9, 15, 45이고, 45의
약수 중 3의 배수는 3, 9, 15, 45입니다. 04 한별: 13의 약수는 1, 13의 2개입니다.
3의 약수: 1, 3 ⇨ 2개, 규민: ‌31의 배수는 31, 62, 93, ...이므로 세 번째
9의 약수: 1, 3, 9 ⇨ 3개, 로 작은 수는 93입니다.
15의 약수: 1, 3, 5, 15 ⇨ 4개, 따라서 잘못 말한 친구는 한별이입니다.
45의 약수: 1, 3, 5, 9, 15, 45 ⇨ 6개
05 ⑴ ‌15는 1, 3, 5, 15의 배수입니다.
따라서 지영이네 강아지 나이는 15살입니
⑵ ‌1, 3, 5, 15는 15의 약수입니다.
다. / 15살
Ϸ
12  ‌84 와 60 의 최대공약 2 84 60
œ∑ 06 •11은 55의 약수이고 55는 11의 배수입니다.
수를 구합니다. 84와 2 42 30
œ∑ •3은 9의 약수이고 9는 3의 배수입니다.
6 0 의 최대공약수는 3 21 15 •6은 24의 약수이고 24는 6의 배수입니다.
37 35
12이므로 야구공은
84/12=7(개), ⇨ ‌최대공약수:
07 50과 75를 곱셈식으로 나타내면
2_2_3=12
탁구공은 50=2_5_5, 75=3_5_5입니다.
60/12=5(개)씩 담아야 합니다. 두 곱셈식에서 공통으로 들어 있는 수 중 5_5가
/ 야구공: 7개, 탁구공: 5개 가장 큰 수이므로 50과 75의 최대공약수는
13 ‌( )( ◯ ) 14 12 5_5=25입니다.

60 수학 5-1 자습서
정답 과 풀이
08 42의 약수는 1, 2, 3, 6, 7, 14, 21, 42이고, 48 16 18=2_3_3, 30=2_3_5이므로 18과 30의
의 약수는 1, 2, 3, 4, 6, 8, 12, 16, 24, 48입니다. 최소공배수는 2_3_3_5=90입니다.
따라서 두 수의 공약수는 1, 2, 3, 6입니다. 90의 배수는 90, 180, 270, 360, 450, 540,
630, 720, ...입니다.
09 24의 약수는 1, 2, 3, 4, 6, 8, 12, 24이고, 40의 따라서 90의 배수 중 작은 수부터 5번째 수와 8번
약수는 1, 2, 4, 5, 8, 10, 20, 40입니다. 째 수의 합은 450+720=1170입니다.
따라서 두 수의 공약수는 1, 2, 4, 8이므로 가장
17 채점 기준
큰 수와 가장 작은 수의 차는 8-1=7입니다.
최소공배수를 활용하여 답을 바르게 구함. 상

10 •‌8의 약수는 1, 2, 4, 8이고 18의 약수는 1, 2, 3, 최소공배수를 활용하였으나 답을 잘못 구함. 중


6, 9, 18입니다. 8과 18의 공약수는 1, 2이고 최소공배수를 활용하지 못해 문제를 풀지

못함.
최대공약수는 2입니다.
•‌7의 약수는 1, 7이고 21의 약수는 1, 3, 7, 21 œ∑ œ∑
18 ⑴ 3 42 63 ⑵ 5 10 50
입니다. 7과 21의 공약수는 1, 7이고 최대공약 œ∑ œ∑
7 14 21 2 32 10
수는 7입니다. 32 33 31 35
⇨ (8, 18) < (7, 21) ⇨ ‌최소공배수: ⇨ ‌최소공배수:
2_3_3_7 2_5_5=50
11 채점 기준 =126
배수와 약수의 관계를 활용하여 답을 바르

게 구함. 19 2와 10의 공약수는 1, 2 ⇨ {2, 10}=2
배수와 약수의 관계를 활용하였으나 답을 잘 12와 25의 공약수는 1 ⇨ {12, 25}=1

못 구함. 32와 8의 공약수는 1, 2, 4, 8 ⇨ {32, 8}=4
배수와 약수의 관계를 활용하지 못해 문제 24와 36의 공약수는 1, 2, 3, 4, 6, 12

를 풀지 못함. ⇨ {24, 36}=6
따라서
12 채점 기준 {2, 10}+{12, 25}_{32, 8}-{24, 36}
최대공약수를 활용하여 답을 바르게 구함. 상 =2+1_4-6=0입니다.
최대공약수를 활용하였으나 답을 잘못 구 20 7과 5의 최소공배수를 구합니다.

함.
7과 5의 최소공배수는 7_5=35이므로 정사각형
최대공약수를 활용하지 못해 문제를 풀지
하 의 한 변의 길이는 35 cm입니다.
못함.
가장 작은 정사각형을 만들기 위해서는 가로는
œ∑ 35/7=5(개), 세로는 35/5=7(개)씩 이어 붙
13 2 28 36
œ∑ 어야 하므로 사용한 명함은 5_7=35(개)입니다.
2 14 18
37 39 ⇨ ‌최대공약수: 2_2=4

14 24의 약수는 1, 2, 3, 4, 6, 8, 12, 24이고, 24의


약수 중 4의 배수는 4, 8, 12, 24입니다.
4의 약수의 합: 1+2+4=7
8의 약수의 합: 1+2+4+8=15
12의 약수의 합: 1+2+3+4+6+12=28
이므로 조건을 만족하는 수는 12입니다.

15 ⑤ ‌12와 15의 최소공배수는 60이므로 60의 배수


는 60, 90, 180, ...입니다.
따라서 세 번째로 작은 수는 180입니다.

정답과 풀이 61
정답과 풀이 부록

3
02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다음과 같이 식으로 나
규칙과 대응 타낼 수 있습니다.
+1=, -1=, -=1

단원 평가 1회 14~16쪽 03 02번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 식 +1=에서


가 11일 때 는 10입니다.
01 2, 3, 4, 5 02  +1=
따라서 철봉 대는 10개입니다,
03 10개 04 ( )( ◯ )( ◯ )
05 ⑴ 1800, 2700, 3600 ⑵  ◎_900= 04 △가 1씩 늘어날 때마다 는 6개씩 늘어나는 대
06  24-= 07 10시간 응 관계입니다.
08 2, 4, 6, 8, 10 / 3, 6, 9, 12, 15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다음과 같이 식으로 나
09  _2=△ 10  _3= 타낼 수 있습니다.
11 16개 12 ③, ④ △_6=, /6=△, /△=6
13 16대 05 ⑴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
14  ‌민희가 말한 수를 , 태영이가 답한 수를 과 같습니다.
△라고 할 때,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다
음과 같이 식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마카롱의 수(개) 1 2 3 4 å
_7=△, △/7=, △/=7  마카롱의
_7=△에서 △가 84일 때 는 12입니 900 1800 2700 3600 å
가격(원)
다. 따라서 민희가 말한 수는 12입니다.
/ 12 ⑵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다음과 같이 식으로
13, 14, 15 나타낼 수 있습니다.
15 16 ②, ④
 ‌☆+♡=100입니다. 16번의 대응 관계를 ◎_900=, /900=◎, /◎=900
17
나타낸 식 ♡-4=☆에서 06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다음과 같이 뺄셈식으
♡-4+♡=100이므로 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24-=, 24-=
2_♡-4=100, 2_♡=104, ♡=52입
07 06번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 식 24-=에서
니다. 따라서 은정이의 나이는 52 살입니
가 14일 때 는 10입니다.
다. / 52살
따라서 밤의 길이는 10시간입니다.
18  ‌△+4= 19 오후 6시
20  ‌1분 동안 두 개의 수도꼭지를 동시에 틀었 08 세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을 때 나오는 물의 양은 7+18=25 (L)입 같습니다.
니다.
사각형의 수 1 2 3 4 5 å
물을 튼 시간을 , 물의 양을 라고 할
때,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다음과 같이  삼각형의 수 2 4 6 8 10 å
식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원의 수 3 6 9 12 15 å
_25=, /25=, /=25
_25=에서 가 300일 때 는 12 09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다음과 같이 식으로 나타
입니다. 따라서 물을 튼 시간은 12분입니 낼 수 있습니다.
다. / 12분 _2=△, △/2=, △/=2

10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다음과 같이 식으로 나타


01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낼 수 있습니다.
같습니다. _3=, /3=, /=3

철봉 대의 수(개) 1 2 3 4 å 11 삼각형의 수와 원의 수의 합이 80이므로


 △+=80 입니다. 09번~10번의 대응 관계를
철봉 기둥의 수(개) 2 3 4 5 å
나타낸 식 _2=△, _3=에서

62 수학 5-1 자습서
정답 과 풀이
_2+_3=80이므로 _5=80, =16 20 채점 기준
입니다. 물을 튼 시간과 물의 양 사이의 대응 관계

따라서 사각형의 수는 16개입니다. 를 이용하여 답을 바르게 구함.
물을 튼 시간과 물의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12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다음과 같이 식으로 나 이용하였으나 실수하여 답이 틀림.
타낼 수 있습니다. 물을 튼 시간과 물의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_7=♡, ♡/7=, ♡/=7 이용하지 못하여 답을 구하지 못함.

13 12번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 식 _7=♡에서 ♡


가 112일 때 는 16입니다.
따라서 케이블카는 16대입니다.
단원 평가 2회 17~19쪽
14 채점 기준
3, 6, 9, 12, 15
01 02  ‌♡_3=
민희가 말한 수와 태영이가 답한 수에 대한
상 03 33번째 04 11개
대응 관계를 이용하여 답을 바르게 구함.
05  ‌△+1=♡ 06 69곳
민희가 말한 수와 태영이가 답한 수에 대한
대응 관계를 이용하였으나 실수하여 답이 중
07  ‌05번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 식
틀림. △+1=♡에서 ♡가 50일 때 △는 49입니
민희가 말한 수와 태영이가 답한 수에 대한 다. 가로수 사이의 간격이 15 m이므로 처
대응 관계를 이용하지 못하여 답을 구하지 하 음 가로수부터 마지막 가로수까지의 거리
못함. 는 49_15=735 (m)입니다. / 735 m
08 1, 4, 9, 16, 25 09  _=△
15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10  ‌09번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 식
같습니다. _=△에서 △가 144일 때
12_12=144이므로 =12입니다.
은정이의 나이(살) 16 17 18 19 å
 따라서 한 변에 놓인 타일은 12개입니다.
동생의 나이(살) 12 13 14 15 å / 12개
11 16 / 2025, 2026 12 ③, ⑤
16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다음과 같이 식으로 나 13  ‌12번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 식
타낼 수 있습니다. ♡+2008=☆에서 ♡가 1일 때 ☆는
☆+4=♡, ♡-4=☆, ♡-☆=4 2009입니다. 따라서 조카가 태어난 연도는
2009년입니다. / 2009년
17 채점 기준 14 ( )( ) ( ◯ )
은정이의 나이와 동생의 나이에 대한 대응 15  ‌_4= 16  ‌+2=△

관계를 이용하여 답을 바르게 구함. 17 17 18  ‌△+6=
은정이의 나이와 동생의 나이에 대한 대응
중 19 오후 10시 20 ①, ⑤
관계를 이용하였으나 실수하여 답이 틀림.
은정이의 나이와 동생의 나이에 대한 대응 01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관계를 이용하지 못하여 답을 구하지 못함. 같습니다.

18 ‌서울의 시각과 말레의 시각 사이의 대응 관계를 배열 순서 1 2 3 4 5 å


다음과 같이 식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사각형
3 6 9 12 15 å
△+4=, -4=△, -△=4 타일의 수(개)

19 18번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 식 △+4=에서  02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다음과 같이 식으로 나


가 10일 때 △는 6입니다. 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말레의 시각은 오후 6시입니다. ♡_3=, /3=♡, /♡=3

정답과 풀이 63
정답과 풀이 부록

03 02번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 식 ♡_3=에서 11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가 99일 때 ♡는 33입니다. 같습니다.
따라서 배열 순서는 33번째입니다.
조카의
14 15 16 17 18 å
04 ‌자른 횟수를 ♡, 나무 도막의 수를 라고 할 때,  나이(살)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다음과 같이 식으로 나
연도(년) 2022 2023 2024 2025 2026 å
타낼 수 있습니다.
♡+1=, -1=♡, -♡=1
12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다음과 같이 식으로 나
♡+1=에서 ♡가 10일 때 는 11입니다.
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나무 도막은 11개입니다.
♡+2008=☆, ☆-2008=♡, ☆-♡=2008
05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다음과 같이 식으로 나 13 채점 기준
타낼 수 있습니다.
조카의 나이와 연도 사이의 대응 관계를 이
△+1=♡, ♡-1=△, ♡-△=1 용하여 답을 바르게 구함.

06 05번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 식 △+1=♡에서 조카의 나이와 연도 사이의 대응 관계를 이



♡가 70일 때 △는 69입니다. 용하였으나 실수하여 답이 틀림.
따라서 가로수를 심는 간격의 수는 69곳입니다. 조카의 나이와 연도 사이의 대응 관계를 이

용하지 못하여 답을 구하지 못함.
07 채점 기준
가로수를 심는 간격의 수와 가로수의 수 사이 14 △가 1씩 늘어날 때마다 는 △보다 3씩 커지는
상 대응 관계입니다.
의 대응 관계를 이용하여 답을 바르게 구함.
가로수를 심는 간격의 수와 가로수의 수 사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다음과 같이 식으로 나
이의 대응 관계를 이용하였으나 실수하여 중 타낼 수 있습니다.
답이 틀림. △+3=, -3=△, -△=3
가로수를 심는 간격의 수와 가로수의 수 사
15 와  사이의 대응 관계를 다음과 같이 식으로
이의 대응 관계를 이용하지 못하여 답을 구 하
하지 못함.
나타낼 수 있습니다.
_4=, /4=, /=4
08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16 와 △ 사이의 대응 관계를 다음과 같이 식으로
같습니다.
나타낼 수 있습니다.
한 변에 놓인 +2=△, △-2=, △-=2
1 2 3 4 5 å
타일의 수(개)
 17 +△=87이고 16번~17 번의 대응 관계를 나타
전체 타일의 수(개) 1 4 9 16 25 å 낸 식 _4=, +2=△에서
_4++2=87이므로 _5+2=87,
09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다음과 같이 식으로 나 _5=85, =17입니다.
타낼 수 있습니다. _=△, △/= 18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를 다음과 같이 식으로 나
10 채점 기준
타낼 수 있습니다.
한 변에 놓인 타일의 수와 전체 타일의 수 △+6=, -6=△, -△=6
사이의 대응 관계를 이용하여 답을 바르게 상 19 ‌18번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 식 -6=△에서 △
구함.
가 4일 때 는 10입니다.
한 변에 놓인 타일의 수와 전체 타일의 수
따라서 서울의 시각은 오후 10시입니다.
사이의 대응 관계를 이용하였으나 실수하 중
여 답이 틀림. 20 ① ‌도하의 시각은 서울의 시각보다 6시간 전이므로
한 변에 놓인 타일의 수와 전체 타일의 수 도하의 시각이 서울의 시각보다 6시간 느립니다.
사이의 대응 관계를 이용하지 못하여 답을 하 ⑤ ‌도하의 시각이 오후 7시이면 서울의 시각은 다
구하지 못함. 음날 오전 1시입니다.

64 수학 5-1 자습서
정답 과 풀이
01 ;4#;과 크기가 같도록 색칠하고, 분수로 나타내면 ;8^;
4 약분과 통분
입니다.

02 분모와 분자를 각각 0이 아닌 같은 수로 나누면 크


단원 평가 1회 20~22쪽 기가 같은 분수가 됩니다.

1_2 1_3
, ;8^; 03 =;4@;, =;6#;
01  02 ㉣ 2_2 2_3
3/3 3_2
04 ;1£2;= =;4!;, ;1£2;= =;2§4;
03 2, 2 / 3, 3 04 ;4!;, ;2§4;에 ◯표 12/3 12_2
13_2 13_3
05 ;3@6^; 06 ;6$3(; 05 =;3@6^;, =;5#4(;
18_2 18_3
07  분모가 10인 진분수는 ;1¡0;, ;1™0;, ;1£0;, ;1¢0;, 따라서 ;1!8#;과 크기가 같은 분수 중에서 분모가 20
8
 ;1∞0;, ;1§0;, ;1¶0;, , ;1ª0;이고, 이 중 기약분 보다 크고 50보다 작은 분수는 ;3@6^;입니다.
10
 수는 ;1¡0;, ;1£0;, ;1¶0;, ;1ª0;의 4개입니다. 7_3 7_4 7_5
06 =;2@7!;, =;3@6*;, =;4#5%;,
9_3 9_4 9_5
 / 4개
7_6 7_7
=;5$4@;, =;6$3(;
08 7, ;7@;, 2, 2 09 40, 20, 6, 5 9_6 9_7
따라서 주어진 수 카드 2장으로 만들 수 있는 분수
10 ;4#; 11 ;2!5%;에 ◯표
는 ;6$3(;입니다.
12 ;6@0*;, ;6@0&;
07 채점 기준
13 (위부터) 5, 5, 5 / 3, 9, 3 / < 진분수와 기약분수의 의미를 알고 답을 바
14  ‌통분하여 크기를 비교하면 상
르게 구함.
10_2 9_3
 {;2!1);, ;1ª4;} ⇨ { , } 진분수와 기약분수의 의미를 알았으나 실
21_2 14_3 중
수하여 답이 틀림.
 ⇨ {;4@2);, ;4@2&;} ⇨ ;2!1);<;1ª4;입니다. 진분수와 기약분수의 의미를 알지 못하여

답이 틀림.
 / ;1ª4;
2
15 (위부터) 7, 6 / > 16 >, <, < / ;3@; 14/7
08 ;4!9$;= =;7@; ⇨ 14? =;7@;
49/7 49?
7
17 (위부터) ;4#;, 0.7, 0.7 48/2 48/4 48/8
09 =;4@0$;, =;2!0@;, =;1§0;,
18 ㉡, ㉢, ㉠ 19 ㉡, ㉣ 80/2 80/4 80/8
48/16
20  ‌1;5@;=1
2_2
=1;1¢0;=1.4, =;5#;
5_2 80/16
9_5
 1;2ª0;=1 =1;1¢0∞0;=1.45 10 지윤이가 얻은 표는 전체의 ;2!4*;이고, 이것을 기약
20_5
 ‌이므로 1;5@;, 1.43, 1;2ª0; 중 가장 작은 수는 분수로 나타내면 ;2!4*;=
18/6
=;4#;입니다.
24/6
1;5@;입니다. 3_2 3_4 3_6
11 ;7#;= =;1§4;, =;2!8@;, =;4!2*;,
따라서 학교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사는 친구 7_2 7_4 7_6
15/5
는 샛별이입니다. / 샛별 ;2!5%;= =;5#;
25/5
따라서 크기가 다른 분수는 ;2!5%;입니다.

정답과 풀이 65
정답과 풀이 부록

12 {;1¶5;, ;2ª0;} ⇨ {
7_4
,
9_3
} ⇨ {;6@0*;, ;6@0&;} 19 ;8#;과 ;1¶2;의 분모인 8과 12의 공배수를 공통분모
15_4 20_3
로 하여 통분할 수 있습니다.
1_5 3_3 따라서 8과 12의 최소공배수는 24이므로 공통분
13 ;3!;= =;1∞5;, ;5#;= =;1ª5; 모가 될 수 있는 수는 24의 공배수인 24, 48, 72,
3_5 5_3
96, 120, ...입니다.
⇨ ;3!; < ;5#;
20 채점 기준
분수와 소수의 크기를 비교하여 답을 바르
14 채점 기준
게 구함.

통분하여 분수의 크기를 비교하여 답을 바
상 분수와 소수의 크기를 비교하였으나 실수
르게 구함. 중
하여 답이 틀림.
통분하여 분수의 크기를 비교하였으나 실
중 분수와 소수의 크기를 비교하지 못하여 답
수하여 답이 틀림. 하
이 틀림.
통분하여 분수의 크기를 비교하지 못하여

답이 틀림.

1_7 3_2
15 ;2!;= =;1¶4;, ;7#;= =;1§4; ⇨ ;2!; > ;7#;
2_7 7_2

11_5 7_6
16 {;1!8!;, ;1¶5;} ⇨ { , } ⇨ {;9%0%;, ;9$0@;}
18_5 15_6
⇨ ;1!8!; > ;1¶5;

2_5
{;1¶5;, ;3@;} ⇨ {;1¶5;, } ⇨ {;1¶5;, ;1!5);}
3_5
단원 평가 2회 23~25쪽
⇨ ;1¶5; < ;3@;
01 
2_6 , ;3!;, ;9#;
{;1!8!;, ;3@;} ⇨ {;1!8!;, } ⇨ {;1!8!;, ;1!8@;}
3_6
02 2, 4 / 3, 6 03 2, 2 / 4, 1
⇨ ;1!8!; < ;;3@;
04 ;3@6);
따라서 ;1!8!;, ;1¶5;, ;3@; 중 가장 큰 수는 ;3@;입니다.
05 ㉠ 2, ㉡ 3, ㉢ 6 / 11
06 3, ;7%;, 5, 5
17 ;4#;=;1¶0∞0;=0.75이므로 ;4#;<0.8입니다. 4_2 8 4_3 4_4
07  ‌ = , =;2!7@;, =;3!6^;,
8 9_2 18 9_3 9_4
;5$;= =0.8이므로 0.7<;5$;입니다.
10 4_5
 =;4@5);
9_5
따라서 작은 수인 ;4# ; 과 0.7 의 크기를 비교하면  ‌따라서 주어진 수 카드 2장으로 만들 수 있
;4#;>0.7입니다.
는 분수는 ;2!7@;입니다. / ;2!7@;

08 ㉡, ㉢ 09 2개
19_5
18 ㉠ ;2!0(;= =;1ª0∞0;=0.95 10 은경 11 48, 72에 ◯표
20_5
㉢ 1 =1
8 8_4
=1;1£0™0;=1.32 12 2, 2, 3, 3, ;2!4);, ;2ª4;, >
25 25_4
따라서 큰 수부터 차례대로 기호를 쓰면 ㉡, ㉢, 13 ㉡ 14 11, 3
㉠입니다. 15 10, < 16 ( ◯ ) ( )

66 수학 5-1 자습서
정답 과 풀이
3_9 7_4
17  ‌{;4#;, ;9&;} ⇨ { }
,
07 채점 기준
4_9 9_4 통분하여 크기가 같은 분수를 만들어 답을

⇨ {;3@6&;, ;3@6*;} ⇨ ;4#;<;9&; 바르게 구함.
통분하여 크기가 같은 분수를 만들었으나
7_2 11 중
 ‌{;9&;, ;1!8!;} ⇨ { , } 실수하여 답이 틀림.
9_2 18
통분하여 크기가 같은 분수를 만들지 못하
⇨ {;1!8$;, ;1!8!;} ⇨ ;9&;>;1!8!; 여 답이 틀림.

3_9 11_2
 ‌{;4#;, ;1!8!;} ⇨ { , } 8 8_2
4_9 18_2 08 ㉡ = =;2!0^;
10 10_2
⇨ {;3@6&;, ;3@6@;} ⇨ ;4#;>;1!8!;
8 8/2
㉢ = =;5$;
10 10/2
 ‌따라서 ;4#;, ;9&;, ;1!8!;에서 가장 큰 수는 ;9&;이
9 8
므로 가장 먼 곳은 서점입니다. / 서점 09 ;6#;=;2!;, ;8$;=;2!;, =;3!;이므로 기약분수는
27 19
18 (위부터) ;1!3@;, ;1¶0;, ;1!3@; 과 ;2!4#;의 2개입니다.
19 ⑴ > ⑵ <
2_3
10 경숙: ;4@;= =;1§2;
3_2 6
20  ‌1;5#;=1 =1 =1.6이므로 4_3
5_2 10
3_3
1;5#;>1.4입니다. 영미: ;1£0;= =;3ª0;
10_3
1_3
20  ‌따라서 파란색 페인트보다 노란색 페인트 은경: ;8!;= =;2£4;
8_3
를 더 많이 섞었습니다. / 노란색 페인트
1_6
진실: ;6!;= =;3§6;
6_6
01 주어진 분수만큼 색칠하면 크기가 같은 분수는 ;3!;
11 ;8&;과 ;6%;의 분모인 8과 6의 공배수를 공통분모로
과 ;9#;입니다.
하여 통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8과 6의 최소공배수는 24이므로 공통분모
2_2 2_3 가 될 수 있는 수는 24의 공배수인 24, 48, 72,
02 ;5@;= =;1¢0;, ;5@;= =;1§5;
5_2 5_3 96, 120, ...입니다.

5_2 3_3
12 {;1∞2;, ;8#;} ⇨ { , } ⇨ {;2!4);, ;2ª4;}
4/2 4/4 12_2 8_3
03 =;4@;, =;2!;
8/2 8/4
⇨ ;1¶2; > ;8#;

5_4 13 ㉠ 두 분모 7과 4의 최소공배수는 28입니다.


04 ;9%;= =;3@6);
9_4 ㉡ 두 분모 4와 12의 최소공배수는 12입니다.
㉢ 두 분모 3과 24의 최소공배수는 24입니다.
㉣ 두 분모 3과 8의 최소공배수는 24입니다.
12/2 12/3 12/6
05 =;9^;, =;6$;, =;3@;
18/2 18/3 18/6 ⇨ 공통분모가 가장 작은 것은 ㉡입니다.
따라서 ㉠=2, ㉡=3, ㉢=6이므로
35/7 33/11
㉠+㉡+㉢=11입니다. 14 {;7#7%;, ;7#7#;} ⇨ { , } ⇨ {;1∞1;, ;7#;}
77/7 77/11

5_2
5 15 {;1ª4;, ;7%;} ⇨ {;1ª4;, } ⇨ {;1ª4;, ;1!4);}
15/3 7_2
06 ;2!1%;= =;7%; ⇨ 15? =;7%;
21/3 21?
7
⇨ ;1ª4; < ;7%;

정답과 풀이 67
정답과 풀이 부록

10_3
16 {;1!6);, ;4#8!;} ⇨ { , ;4#8!;} ⇨ {;4#8);, ;4#8!;}

⇨ ;1!6);<;4#8!;
16_3
5 분수의 덧셈과 뺄셈
8 8_3
{ , ;4@5@;} ⇨ { , ;4@5@;} ⇨ {;4@5$;, ;4@5@;} 단원 평가 1회 26~28쪽
15 15_3
8 01 (위부터) 5, 2 / 5, 2, 7
⇨ >;4@5@;
15
02 ;2!4#; 03 1;3!5#;
17 채점 기준
세 분수의 크기를 비교하여 답을 바르게 구 04 29, 29, 24, 53, 8 05 ;8#;

함.
06 샛별 07 >
세 분수의 크기를 비교하였으나 실수하여
09 4;1¡8; m

답이 틀림. 08
세 분수의 크기를 비교하지 못하여 답이 틀
림.
하 10 ④ 11 2 / 2, 7
12  ‌4;8#;-2;7@;=4;5@6!;-2;5!6^;=2;5∞6;이므로 대
18 ;1¶0;=0.7이므로 ;1¶0;>0.5입니다.
호가 뽑은 수 카드는 2;5∞6;입니다. / 2;5∞6;
5_13 12_6
{;6%;, ;1!3@;} ⇨ { , } ⇨ {;7^8%;, ;7&8@;}
6_13 13_6
13 2;3¶0;
⇨ ;6%;<;1!3@;입니다.
14 (왼쪽 위부터) 3, 3, 4, 4, 15, 8, 7
따라서 큰 수인 ;1¶0;과 ;1!3@;를 비교하면 15 6;9@;
7_13 12_10
{;1¶0;, ;1!3@;} ⇨ { , } 8
16  ㉠ 12;9$;-9;6!;=12 -9;1£8;=3;1∞8;
10_13 13_10 18
⇨ {;1ª3¡0;, ;1!3@0);} ⇨ ;1¶0;<;1!3@;입니다.  ㉡ 2;9@;+1;6!;=2;1¢8;+1;1£8;=3;1¶8;

17_5 85  따라서 계산 결과가 더 큰 것은 ㉡입니다.


19 ⑴ ;2!0&;= = =0.85 ⇨ ;2!0&; > 0.7
20_5 100 /㉡
3_25
⑵ 1;4#;=1 =1;1¶00∞ ;=1.75 ⇨ 1;4#; < 1.8 17 ㉠ 18 2;1¡5;
4_25
20 채점 기준 19  ‌3;7@;-1;3!;=3;2§1;-1;2¶1;=2;2@1&;-1;2¶1;
분수와 소수의 크기를 비교하여 답을 바르
게 구함.
상 3;7@;-1;3!;=1;2@1);

이므로 남은 우유의 양은 1;2@1); L입니다.


분수와 소수의 크기를 비교하였으나 실수

하여 답이 틀림.
분수와 소수의 크기를 비교하지 못하여 답

/ 1;2@1); L
이 틀림.
20 5;2™1; kg

01 ;2!;=;1∞0;, ;5!;=;1™0;이므로

;2!;+;5!;=;1∞0;+;1™0;=;1¶0;입니다.

02 ;8#;+;6!;=;2ª4;+;2¢4;=;2!4#;

03 ;7$;+;5$;=;3@5);+;3@5*;=;3$5*;=1;3!5#;

68 수학 5-1 자습서
정답 과 풀이
29 29 24 53
04 3;9@;+2;3@;= +;3*;= + = =5;9*; 16 채점 기준
9 9 9 9
분수의 덧셈과 뺄셈을 계산하여 답을 바르
3 상
게 구함.
5_4 1_8 8
05 ;8%;-;4!;= - =;3@2);- = 12? =;8#;
8_4 4_8 32 32? 분수의 덧셈과 뺄셈을 계산하는 과정에서

8 실수하여 답이 틀림.

06 태하: 2;5#;+;2!;=2;1§0;+;1∞0;=2;1!0!;=3;1¡0; 분수의 덧셈과 뺄셈을 계산하지 못하여 답



을 구하지 못함.
샛별: 2;5#;-;2!;=2;1§0;-;1∞0;=2;1¡0;
17 ㉠ 7;8!;-5;6!;=7;2£4;-5;2¢4;
따라서 잘못 계산한 친구는 샛별이입니다.
8 ㉠ 7;8!;-5;6!;=6;2@4&;-5;2¢4;=1;2@4#;
07 4;7%;-2;3!;=4;2!1%;-2;2¶1;=2
21
㉡ ;7$;-;3!;=;2!1@;-;2¶1;=;2∞1;
;7%;+;3!;=;2!1%;+;2¶1;=;2@1@;=1;2¡1;
㉢ 8;9%;-8;5!;=8;4@5%;-8;4ª5;=;4!5^;
⇨ 4;7%;-2;3!; > ;7%;+;3!;
따라서 계산 결과가 1보다 큰 것은 ㉠입니다.

08 •;1∞1;+;2£2;=;2!2);+;2£2;=;2!2#; 18 ;1¢5;+ =2;3!;을 뺄셈식으로 바꾸어 나타내면


•1;1∞1;-;2¶2;=1;2!2);-;2¶2;=1;2£2;
2;3!;-;1¢5;= 입니다.

09 1;9@;+2;6%;=1;1¢8;+2;1!8%;=3;1!8(;=4;1¡8;이므로 두 2;3!;-;1¢5;=2;1∞5;-;1¢5;=2;1¡5;이므로 =2;1¡5;

리본 끈을 붙인 전체 길이는 4;1¡8; m입니다. 입니다.

19 채점 기준
10 ;2ª0;-;4!;=;2ª0;-;2∞0;=;2¢0;=;5!; 남은 우유의 양을 구하는 식을 세우고 답을

바르게 구함.
11 ;1ª0;-;5!;=;1ª0;-;1™0;=;1¶0; 남은 우유의 양을 구하는 식을 세웠으나 계

산 과정에서 실수하여 답이 틀림.
12 채점 기준 남은 우유의 양을 구하는 식을 세우지 못하
대호가 뽑은 수 카드를 구하는 식을 세우고 하
상 여 답을 구하지 못함.
답을 바르게 구함.
대호가 뽑은 수 카드를 구하는 식을 세웠으
중 20 2;7#;+2;3@;=2;2ª1;+2;2!1$;=4;2@1#;=5;2™1;이므로 카
나 계산 과정에서 실수하여 답이 틀림.
대호가 뽑은 수 카드를 구하는 식을 세우지 레에 넣은 당근과 양파는 모두 5;2™1; kg입니다.

못하여 답을 구하지 못함.

13 3;5@;-1;6!;=3;3!0@;-1;3∞0;=2;3¶0;

5_3 2_4 8
14 ;1∞2;-;9@;= - =;3!6%;- =;3¶6;
12_3 9_4 36

15 -3;9%;=2;3@;를 덧셈식으로 바꾸어 나타내면 단원 평가 2회 29~31쪽

2;3@;+3;9%;= 입니다. 01 ;8&; 02 ④

2;3@;+3;9%;=2;9^;+3;9%;=5
11
=6;9@;이므로 03 5, 4, 9, 2;1ª0; 04 2;8%;
9
=6;9@;입니다. 05 ② 06 ;9@;

정답과 풀이 69
정답과 풀이 부록

07  ‌2;7#;+2;6%;=2;4!2*;+2;4#2%;=4;4%2#;=5;4!2!;이 06 ;9%;-;3!;=;9%;-;9#;=;9@;
므로 학교에서 문구점을 지나 집까지 가는
07
전체 거리는 5;4!2!; km입니다. / 5;4!2!; km
채점 기준
학교에서 문구점을 지나 집까지 가는 전체
08 09 3;4!; 거리를 구하는 식을 세우고 답을 바르게 구 상
함.

10 7;8&; 11 3;8%;
학교에서 문구점을 지나 집까지 가는 전체
거리를 구하는 식을 세웠으나 계산 과정에 중
12 > 서 실수하여 답이 틀림.
13 (왼쪽 위부터) 3, 3, 2, 2, 27, 2, 25, 12 학교에서 문구점을 지나 집까지 가는 전체 거
리를 구하는 식을 세우지 못하여 답을 구하지 하
14 ;7!2&; 15 < 못함.
16  ‌지영이가 말한 수는
 ‌4;2!;-2;4!;=4;4@;-2;4!;=2;4!;이므로 원우 08 •;1∞3;+;3!;=;3!9%;+;3!9#;=;3@9*;

가 말한 수는 2;4!;+;8!;=2;8@;+;8!;=2;8#;입 •1;1∞3;-;3!;=1;3!9%;-;3!9#;=1;3™9;

니다. / 2;8#;
09 =5;4#;-2;2!;=5;4#;-2;4@;=3;4!;
17 2;6%; 18 5;3!;
10 6;8#;+1;2!;=6;8#;+1;8$;=7;8&;
19  3;7@;-1;3!;‌=3;2§1;-1;2¶1;=2;2@1&;-1;2¶1;

=1;2@1); 11 5;4#;-2;8!;=5;8^;-2;8!;=3;8%;
 ‌이므로 사과주스는 오렌지주스보다
1;2@1); L 더 많습니다. / 1;2@1); L 12 5;6%;-2;3!;=5;6%;-2;6@;=3;6#;=3;2!;

20 2;3#5$; ⇨ 5;6%;-2;3!; > 3

9_3 1_2
13 ;2ª0;-;3¡0;= - =;6@0&;-;6™0;
01 ;8!;+;4#;=;8!;+;8^;=;8&; 20_3 30_2
;2ª0;-;3¡0;=;6@0%;=;1∞2;
02 ;2!;+;3!;=;6#;+;6@;=;6%;이므로 감자와 고구마의 무
14 ;3#6!;-;8%;=;7^2@;-;7$2%;=;7!2&;
게의 합은 ;6%; kg입니다.

03 자연수는 자연수끼리, 분수는 분수끼리 계산합니다. 15 4;2¶0;+3;8%;=4;4!0$;+3;4@0%;=7;4#0(;


1;2!;+1;5@;=(1+1)+{;1∞0;+;1¢0;} ⇨ 4;2¶0;+3;8%; < 8

1;2!;+1;5@;=2+;1ª0;=2;1ª0;
16 채점 기준

04 ;4!;+2;8#;=;8@;+2;8#;=2;8%;
원우가 설명하는 수를 구하는 식을 세우고

답을 바르게 구함.
원우가 설명하는 수를 구하는 식을 세웠으
05 2;8#;+6;1ª6;=2;1§6;+6;1ª6;=8;1!6%;이므로 ㉠=8, 나 계산 과정에서 실수하여 답이 틀림.

㉡=15입니다. 원우가 설명하는 수를 구하는 식을 세우지



따라서 ㉠+㉡=8+15=23입니다. 못하여 답을 구하지 못함.

70 수학 5-1 자습서
정답 과 풀이
17 1;2!;+1;3!;=1;6#;+1;6@;=2;6%;
6 다각형의 둘레와 넓이
18 6;5$;-1;1¶5;=6;1!5@;-1;1¶5;=5;1∞5;=5;3!;
단원 평가 1회 32~34쪽
19 채점 기준
사과주스와 오렌지주스의 차를 구하는 식 01 58 cm 02 180 cm€

을 세우고 답을 바르게 구함. 03 ㉡ 04 10 km€
사과주스와 오렌지주스의 차를 구하는 식 05 18 06 ②
을 세웠으나 계산 과정에서 실수하여 답이 중 07 나 08 9 cm
틀림. 09 121 cm€ 10 12
사과주스와 오렌지주스의 차를 구하는 식
하 11 7 12 16
을 세우지 못하여 답을 구하지 못함.
13 66 cm€
14  ‌색칠한 부분의 넓이는 정사각형의 넓이의
20 ;7$;=;4@2$;, ;6%;=;4#2%;이므로 ;7$;<;6%;
;2!;과 같습니다.
따라서 세 수 ;7$;, ;6%;, 2;5@; 중 가장 큰 수는 2;5@;이
따라서 색칠한 부분의 넓이는
고, 가장 작은 수는 ;7$;이므로 두 수의 합은 14_14/2=98 (cm€)입니다. / 98 cm€
15 252 cm€ 16 20 m
2;5@;+;7$;=2;3!5$;+;3@5);=2;3#5$;입니다. 17  ‌ 방법 1 ‌(평행사변형의 넓이)
=5_12=60 (cm€)입니다.
 ‌ 방법 2 ‌(평행사변형의 넓이)
=15_4=60 (cm€)입니다.
 / 60 cm€
18  ‌(지웅이네 집 전체의 넓이)
=11_10=110 (m€)입니다.
부모님 방의 넓이는 4_6=24 (m€)입니다.
지웅이 방의 넓이는 5_4=20 (m€)입니다.
욕실의 넓이는 3_3=9 (m€)입니다.
따라서 주방 및 거실의 넓이는
110-24-20-9=57 (m€)입니다.
/ 57 m€
19 105 cm€ 20 12 cm

01 (직사각형의 둘레)
=(가로+세로)_2
=(20+9)_2=58 (cm)입니다.

02 (직사각형의 넓이)
=(가로)_(세로)
=20_9=180 (cm€)입니다.

03 •‌1000000 m€=1 km€이므로


16000000 m€=16 km€입니다.
•‌10000 cm€=1 m€이므로
800000 cm€=80 m€입니다.
⇨ ㉠=16, ㉡=80이므로 더 큰 수는 ㉡입니다.

정답과 풀이 71
정답과 풀이 부록

04 4 km=4000 m이므로 15 직사각형의 세로를 cm라고 하면 가로는


(평행사변형의 넓이) ( +4) cm입니다.
=(밑변의 길이)_(높이) 직사각형의 둘레가 64 cm이므로
=2500_4000=10000000 (m€)입니다. ( +4+ )_2=64, +4+ =32,
따라서 10000000 m€=10 km€입니다. + =28, =14입니다.
05 평행사변형의 둘레가 66 cm이므로 직사각형의 가로는 14+4=18 (cm), 세로는
(15+ )_2=66, 15+ =33, =18입니 14 cm입니다.
다. 따라서 직사각형의 넓이는 18_14=252 (cm€)입
니다.
06 ② 18 km€=18000000 m€입니다.
16 주차 구역 한 칸의 가로는 24/6=4 (m)이고,
07 도형 가는 정육각형이므로 한 변의 길이는
세로는 12/2=6 (m)입니다.
78/6=13 (cm)입니다.
따라서 주차 구역 한 칸의 둘레는
도형 나는 정오각형이므로 한 변의 길이는
(4+6)_2=20 (m)입니다.
70/5=14 (cm)입니다.
따라서 한 변의 길이가 더 긴 도형은 나입니다. 17 채점 기준

08 사다리꼴의 아랫변의 길이를 cm라고 하면 평행사변형의 넓이를 구하는 두 가지 방법



(3+ )_7/2=42, (3+ )_7=84, 을 알고 답을 바르게 구함.

3+ =12, =9입니다. 평행사변형의 넓이를 구하는 방법을 알았



으나 실수하여 답이 틀림.
따라서 사다리꼴의 아랫변의 길이는 9 cm입니다.
평행사변형의 넓이를 구하는 방법을 알지
09 민주가 만든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하
못하여 답을 구하지 못함.
44/4=11 (cm)입니다.
따라서 정사각형의 넓이는 11_11=121 (cm€) 18 채점 기준
입니다. 주방 및 거실의 넓이를 구하는 방법을 알고

답을 바르게 구함.
10 사다리꼴의 넓이가 45 cm€이므로
주방 및 거실의 넓이를 구하는 방법을 알았
(6+ )_5/2=45, (6+ )_5=90, 중
으나 계산 과정에서 실수하여 답이 틀림.
6+ =18, =12입니다.
주방 및 거실의 넓이를 구하는 방법을 알지

11 마름모의 넓이가 35 cm€이므로 못하여 답을 구하지 못함.
_10/2=35, _10=70, =7입니다.
19 7`cm
12 정팔각형의 둘레는 7_8=56 (cm)이므로 평행사 5`cm
4`cm
변형의 둘레도 56 cm입니다.
(㉠+12)_2=56에서 ㉠+12=28, ㉠=16입 5`cm
니다.
13`cm
13 직사각형 ㉮의 세로를 cm라고 하면
8_ =88, =11입니다. (도형의 넓이)
따라서 높이가 11 cm이므로 평행사변형 ㉯의 넓 =(㉮의 넓이)+(㉯의 넓이)
이는 6_11=66 (cm€)입니다. =(7+13)_4/2+13_5
=40+65=105 (cm€)입니다.
14 채점 기준
색칠한 부분의 넓이를 구하는 방법을 알고 20 삼각형 ㄱㄴㄷ의 넓이는 20_15/2=150 (cm€)

답을 바르게 구함. 입니다. 삼각형 ㄱㄴㄷ에서 변 ㄱㄴ을 밑변으로
색칠한 부분의 넓이를 구하는 방법을 알았 할 때 높이는 선분 ㄷㄹ입니다. 선분 ㄷㄹ의 길이

으나 계산 과정에서 실수하여 답이 틀림. 를 cm라고 하면 25_ /2=150,
색칠한 부분의 넓이를 구하는 방법을 알지 25_ =300, =12이므로 선분 ㄷㄹ의 길이

못하여 답을 구하지 못함. 는 12 cm입니다.

72 수학 5-1 자습서
정답 과 풀이
02 (평행사변형의 넓이)
단원 평가 2회 35~37쪽 =(밑변의 길이)_(높이)
=12_21=252 (cm€)입니다.
01 나 02 252 cm€
03 ㉢ 04 30 cm€ 03 공책과 손수건의 넓이의 단위는 cm€로 나타내기
05 12 06 40 cm 적절합니다.
07 2배 08 3 m€
09 6, 6 / 4, 4 / 12, 12, 12 04 삼각형의 둘레는 30 cm이므로 밑변의 길이는
10 ㉡, ㉢ 11 2800000 m€ 30-5-13=12 (cm)입니다.
12 15 cm 따라서 삼각형의 넓이는 12_5/2=30 (cm€)입
13  9`m 니다.

7`m 7`m 05 마름모의 넓이가 42 cm€이므로


15`m 15`m 7_ /2=42, 7_ =84, =12입니다.

06 직사각형의 세로는 9+2=11 (cm)입니다.


20`m 따라서 직사각형의 둘레는 (9+11)_2=40 (cm)
 ‌도형의 둘레는 가로가 20 m, 세로가 15 m 입니다.
인 직사각형의 둘레에 7 m를 2번 더한 것
과 같습니다. 07 (사다리꼴 ㉮의 넓이)‌=(21+7)_11/2
따라서 도형의 둘레는 =154 (cm€)입니다.
(20+15)_2+7+7=84 (m)입니다. (삼각형 ㉯의 넓이)‌=11_14/2=77 (cm€)입니다.
/ 84 m 따라서 사다리꼴의 넓이는 삼각형의 넓이의
14 30 cm€ 15 8 cm€ 154/77=2(배)입니다.
16 36 cm€
08 (시금치 밭의 넓이)
17  ‌5_5=25, 4_4=16이므로 큰 정사각형
=250_240/2=30000 (cm€)입니다.
의 한 변의 길이는 5 cm, 작은 정사각형의
따라서 30000 cm€=3 m€이므로 시금치 밭의 넓
한 변의 길이는 4 cm입니다.
이는 3 m€입니다.
따라서 색칠한 부분의 넓이는
25+16-4_(5+4)/2 09 사다리꼴 가, 나, 다의 높이는 모두 4 cm이고, 윗
=25+16-18=23 (cm€)입니다. 변의 길이와 아랫변의 길이의 합은 각각 다음과
/ 23 cm€ 같습니다.
18 108 cm€ 가: 2+4=6 (cm) 나: 1+5=6 (cm)
19  ‌사다리꼴의 높이는 8/2 =4 (cm)이므로 다: 4+2=6 (cm)
사다리꼴 한 개의 넓이는 따라서 사다리꼴의 넓이는 윗변의 길이와 아랫변
(4+10)_4/2=28 (cm€)입니다. 의 길이의 합과 높이가 모두 같으므로
따라서 육각형의 넓이는 6_4/2=12 (cm€)입니다.
28_2=56 (cm€)입니다. / 56 cm€
20 72 cm 10 사다리꼴 가, 나, 다의 윗변의 길이와 아랫변의 길
이의 합은 모두 같고, 높이도 모두 같습니다.
따라서 사다리꼴의 넓이도 모두 같습니다.

01 의 개수를 세어 도형의 넓이를 각각 구하면 다


1`cm@
11 5 km€=5000000 m€이므로 넓이가 가장 큰 것
음과 같습니다. 은 5000000 m€이고, 가장 작은 것은
가: 7 cm€ 나: 12 cm€ 다: 6 cm€ 2200000 m€입니다.
라: 9 cm€ 마: 7 cm€ 따라서 넓이의 차는
따라서 넓이가 가장 큰 도형은 나입니다. 5000000-2200000=2800000 (m€)입니다.

정답과 풀이 73
정답과 풀이 부록

12 사다리꼴의 높이를 cm라고 하면 18 직사각형의 각 변의 가운데를 이어 만든 마름모는


(24+4)_ /2=210, 28_ /2=210, 다음 그림과 같습니다.
28_ =420, =15입니다. 18`cm
따라서 사다리꼴의 높이는 15 cm입니다.
  
13 채점 기준 12`cm
도형의 둘레를 구하는 방법을 알고 답을 바

르게 구함.
도형의 둘레를 구하는 방법을 알았으나 실
(마름모의 넓이)
중 =18_12/2=108 (cm€)입니다.
수하여 답이 틀림.
도형의 둘레를 구하는 방법을 알지 못하여 [다른 풀이]

답을 구하지 못함. 마름모의 넓이는 직사각형의 넓이의 ;2!;과 같습니다.

14 (색칠한 부분의 넓이) 따라서 마름모의 넓이는


=(사다리꼴의 넓이)-(직사각형의 넓이) 18_12/2=108 (cm€)입니다.
=(7+13)_5/2-4_5 19 채점 기준
=50-20=30 (cm€)입니다. 사다리꼴의 높이를 구하고 사다리꼴의 넓

[다른 풀이] 이를 이용하여 답을 바르게 구함.
색칠한 부분을 이어 붙이면 윗변의 길이는 사다리꼴의 높이를 구하였으나 답을 구하

7-4=3 (cm), 아랫변의 길이는 는 과정에서 실수하여 답이 틀림.
13-4=9 (cm), 높이는 5 cm인 사다리꼴이 됩 사다리꼴의 높이를 구하지 못하여 답을 구하

니다. 지 못함.

3`cm 20 직사각형 ㄱㄴㄷㅁ의 넓이가 192 cm€이므로 직사


각형의 가로 ㄱㅁ의 길이는 192/12=16 (cm)
5`cm
입니다.
따라서 평행사변형 ㄱㄷㄹㅁ의 둘레는
9`cm
(16+20)_2=72 (cm)입니다.
따라서 색칠한 부분의 넓이는
(3+9)_5/2=30 (cm€)입니다.

15 한 개의 넓이는 4 cm€이고 그림에서

이 2 개이므로 으로 채워진 부분의

넓이는 모두 4_2=8 (cm€)입니다.

16 조각이 차지하는 부분의 전체 넓이는 1`cm@ 의 개수


를 세어 구합니다.
따라서 전체 넓이는 36 cm€입니다.

17 채점 기준
두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각각 구하고

답을 바르게 구함.
두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각각 구했으
나 답을 구하는 과정에서 실수하여 답이 틀 중
림.
두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구하지 못하

여 답을 구하지 못함.

74 수학 5-1 자습서
MEMO
MEMO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