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한국추진공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pp.

35~38 2016 KSPE Fall Conference

한국형발사체 75톤급 엔진의 총조립 과정에 대한 소개


박순영*† ․ 문일윤* ․ 정은환*

Introduction on the Assembly Process of KSLV-II


75tonf-Thrust Level Engine
Soon-Young*† ․ Il-Yoon Moon** ․ Eun-hwan Jeong***

Abstract

In this study, the overall assembly process of KSLV-II 75tonf-thrust level engine was introduced.
High reliability was required for the engine which is assembled by a lot of components as well as
stable performance. To satisfy these requirement, we divided the overall assembly process as 9
major procedures and sub-procedures for each of them. For example, the leakage proofness test,
valve functional test and acceptance inspections were included to increase the assembly quality. As
a result, the first 75tonf-thrust level engine assembly model 1G(EDM1) and 2G(EDM2) were
successfully developed and delivered to the test facility. And we also conducted the systematic
process control for the assembly process such as man-power control and non-conformance issue.

초 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발사체 75톤급 엔진의 총조립 과정에 대하여 소개한다. 액체로켓 엔진의 경
우 수 많은 구성품의 조합체로 안정적인 성능과 함께 높은 신뢰도가 요구된다. 이에 따라 엔진 조립
공정은 엔진 구성품의 입고검사부터, 주요 구성품 조립, 기밀시험 수행, 밸브 등의 작동 기능시험 수
행, 조립 완료 후의 수락검사 등의 9개 주요 공정과 이하 세부 공정들로 구성된다. 특히, 엔진 조립
에 있어서 산화제 라인 등에 대해서는 유/수분 검사를 수행함으로써 신뢰도를 높이며, 체결류에 대
한 풀림 방지를 위한 장치를 별도 고안하여 적용하는 등의 신뢰도 확보 방안이 적용되었다. 그 결과
75톤급 엔진의 경우 초도기인 1G(EDM1)호기 및 2G(EDM2)호기가 성공적으로 조립되어 연소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짐벌링이 가능한 3G(EDM3)호기가 조립을 진행 중에 있다. 아울러 총조립 과정은 조
립일정 및 조립 투입 입력 등에 대한 자원관리가 필수적이며, 또한 조립 중 발생하는 각종 불일치나
품질 문제 등에 대한 이슈관리가 필요로 된다. 본 연구에서는 75톤급 엔진 1G(EDM1)의 조립 중 발
생한 해당 이슈들에 대한 분석을 포함하고 있다.

Key Words: KSLV-II(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 Liquid Rocket Engine(액체로켓엔진), Assembly


Process(조립과정)

1. 서 론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발사체엔진팀
†교신저자, E-mail: psy@kari.re.kr

- 35 -

www.dbpia.co.kr
액체로켓 엔진은 에너지 밀도가 매우 큰 기계
조합체로, 높은 작동 신뢰도를 요구받는다. 실제
로 해외 많은 발사체 사고 사례에 있어서 액체
로켓 엔진 등의 추진기관에 의하여 발생한 사례
가 다수 이며, 이러한 신뢰도를 확보하는 다양한
설계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이와 동시에 액체로
켓 엔진을 구성하는 여러 구성품에 대하여 신뢰
도를 높이며, 작동 요구조건을 충실히 충족할 수 Fig. 1 75톤 엔진의 조립 프로세스 개요
있는 조립 과정이 필요로 된다. 엔진의 조립 과
정은 시스템 종합(System Integration) 사이클에
서 엔진을 구성하는 구성품에 할당된 성능 요구 - 공정번호 300, 주요구성품 조립 : 엔진의 주요
조건 및 품질 요구조건에 대해서 조합체로서의 구성품의 조립과 기밀시험을 수행함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여러 구성품을 - 공정번호 400, 단열재 조립 : 극저온 부위 및
묶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엔진 조립 고온부위에 대한 단열재 설치를 진행
의 특성상 개별 구성품에 대한 품질검사 뿐만 - 공정번호 500, 튜브라인/터빈배기덕트 조립 :
아니라 조립체의 기능 시험 등 조합체 수준의 퍼지라인/공압라인 등의 튜브와 터빈배기덕트에
점검을 수행하게 된다[1]. 대한 조립 수행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KSLV-II) - 공정번호 600, 센서 조립 : 동압센서/진동센
의 75톤급 액체로켓 엔진 총조립 과정에 대한 서/정압센서/온도센서/변형률 센서 등의 센서를
개괄적인 소개를 통하여, 체계 공학으로서의 엔 장착함
진 조립이 가지는 의미를 조명하고자 한다. - 공정번호 700, 하네스 조립 : 제어밸브/솔밸
브/센서 등의 하네스 조립 및 고정작업 수행
- 공정번호 800, 수락검사 : 엔진 조립 완료 단
2. 본론 계의 최종 기밀시험, 밸브 기능시험, 무게
/Envelope 등의 측정 수행
2.1 조립 공정 - 공정번호 900, 엔진 납품/이송대기 : 포장/이
엔진 조립 공정은 편의를 위하여 크게 9개의 송 준비를 수행
주 공정으로 구분할 수 있다. Fig. 1은 이들 조
립 공정을 간략하게 소개한 그림이다.
각각의 공정에 대한 세부 공정 내역은 다음과 2.2 품질관리
같다. 엔진 조립체의 품질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Fig. 2에 제시하였다. 우선 엔진 구성품의 입고
- 공정번호 200, 예비조립 및 고압배관 맞춤 제 시 솔레노이드밸브 등에 대해서는 전기 기능검
작 : 연소기/추력트러스/짐벌마운트 및 터보펌 사 및 기밀검사를 수행하여 그 작동성을 미리
프의 조립 이후 고압배관의 맞춤 제작 공정 수 확인한다. 아울러 체크밸브 등에 대해서도 기밀
행 시험을 수행하여 역류가 발생하지 않는 제품에
대해서 조립에 투입한다. 물론, 모든 엔진 구성
품의 경우 납품문서를 통하여 이들 수락검사 등
이 확인된 상태로 납품되지만 이송 중 손상 발
생 등을 고려하여 엔진 조립 공정에서도 이들에
대한 검사를 수행한다. 튜브 및 배관 등에 대해

- 36 -

www.dbpia.co.kr
서는 해당 조립체를 조립 전에 유/수분 검사를 2.3 일정/자원관리 및 이슈관리
수행한다. 유수분 검사 기준은 Fig. 4와 같다. 엔진의 조립과정은 제한된 일정내에 수행되어
엔진의 조립이 완료되었을 때 수락검사를 수 야 하며, 이를 위한 자원 – 조립 공수 – 투입
행한다. Fig. 5는 엔진 수락검사의 종류와 세부 의 관리가 필요로 된다. Fig. 6~7은 75톤급 엔진
공정을 보여주고 있다. 수락검사 시에 공압부 오 의 조립 진척도와 조립에 투입된 공수를 보여주
리피스의 튜닝이나 진공화 특성 등에 대한 성능 고 있다. Fig. 7에 나타나 있듯이 투입된 조립공
시험을 수행하며, 아울러 밸브 구동시험, 제어밸 수 대비 조립 진척도의 분산이 크며, 이는 진척
브 구동시험 등도 수행하게 된다. 도 기준 선정의 문제뿐만 아니라 공정관리의 비
효율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향후 공정관리의
효율과 조립투입 공수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조정이 필요한 항목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투
입공수 대비 진척도가 0인 항목이 있으며 대부
분의 경우 이는 조립 중 발생한 불일치
(Non-Conformance, NC)가 있음을 의미한다. 이
러한 불일치의 경우 그 종류와 발생 주체 및 대
응 방안/일정 영향 등에 따라 경중을 나눌 수
있으며, 형상 수렴을 통해 이를 줄여나갈 필요가
있다.
Fig. 3 엔진 구성품 입고 검사 항목

Fig. 4 한국형발사체 청정도 규격 Fig. 6 엔진 조립 일정관리(EDM2 기준)

Fig. 7 엔진 투입공수 대비 진척도


Fig. 5 엔진 수락검사 항목

- 37 -

www.dbpia.co.kr
4. 결론 선진화와 체계화가 추가로 해결될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형발사체의 75톤급 엔진의
총조립 공정에 대한 개괄적인 소개를 하였다. 전
체 9개의 주요 공정으로 나누어져, 품질 확보를 참고문헌
위한 전반적인 검사/시험 등이 포함된 조립공정
이 구성되어 있으며, 공정관리와 형상관리의 하 1. 박순영 외, “한국형발사체 7톤 엔진의 조립
부 내역으로 불일치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였다. 과정에 대한 소개,” 한국추진공학회 2015년
향후 75톤급 엔진의 형상 수렴에 따른 공정의 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2015, pp.773-780

- 38 -

www.dbpia.co.kr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