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4

2023.11.

탄소중립,
순환경제를 위한
환경기술개발(R&D)
추진 방향

2023.11.8
1
Contents

탄소중립, 순환경제를 위한 환경기술개발(R&D) 추진방향

Ⅰ 기후변화 중심의 경제질서 재편


1. 글로벌 탄소중립 동향 Ⅱ 환경 R&D 추진방향
2. 세부동향 1 : 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도입
1. 추진 배경 및 경과
3. 세부동향 2 : 기후공시 의무화
2. 환경부R&D 투자 현황
4. 세부동향 3 : 공급망 실사법 시행 가시화
3. 미래 주요 환경 이슈
5. 세부동향 4 : Scope 3 배출량 공개 의무화
4. 환경기술개발 추진전략(2021~2030)
6. 세부동향 5 : 에코디자인 규제 강화
5. 제5차 환경기술·산업 ·인력 육성계획(2023~2027)
7. 시사점
6. 2023년 환경R&D 추진 현황

2
01
기후변화 중심의 경제질서 재편

[세부내용]

1. 글로벌 탄소중립 동향
2. 세부동향 1 : 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도입
3. 세부동향 2 : 기후공시 의무화
4. 세부동향 3 : 공급망 실사법 시행 가시화
5. 세부동향 4 : Scope 3 배출량 공개 의무화
6. 세부동향 5 : 에코디자인 규제 강화
7. 시사점

3
★★★

글로벌 탄소중립 동향
1
글로벌 뉴-노멀이 된 탄소중립 탄소배출의‘외주화’ 방지
• 향후 10년간가장 심각한 위험 1~4위가 기후위기 Risk ( `23.1, 다보스포럼)
•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전 세계 GDP의 90%가 넘는 130여개국이탄소중립 선언
EU 탄소국경조정제도 도입 ( `26년 본격시행),
美 IRA*와 유사한 탄소중립산업법 추진공식화
* 총투자규모4,370억$, 그 중 에너지안보 및 기후위기대응에 3,690억$ 투

EU 공급망 실사법 의회안(6月) 통과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포함
* 2024년말, 늦어도2025년초에는발효예상

美 SEC, EU ESRS, ISSB S2


기후공시 기준에 공급망(Scope 3) 배출량 포함

4
★★★

글로벌 탄소중립 동향
1
탄소중립의 핵심 수단, 순환경제 그린워싱 방지를 위한 기준설정
•탄소배출량 저감과 자원확보를 위해 EU는 배터리법 등 과감한 규제 도입
• 구속력을 갖춘 플라스틱 오염 국제협약 내년 말 도출 예정
IFRS, 기후관련 공시기준 최종안 발표(`23.6)
공시내용은 투자, 평가의 기초자료로 활용
* 국내에서도 관련 공시기준 도입 로드맵 발표 예정(금융위, `23.下)

EU 의회, 그린워싱 방지를 위한


‘녹색주장(Green Claim)에 대한 지침안’ 승인(23.5)
*녹색주장은 검증되어야 하며, 그 수단으로
EU 제품환경발자국(PEF) 방법론이 사용될 수 있음을 명시

영국 경쟁시장국(CMA), 녹색 주장 기준(Green Claim Code) 발


표(`20)
* 친환경 주장의 진실성, 명확성, 분명성 등 요구

5
★★★

글로벌 탄소중립 동향
2
EU發 제품단위 탄소규제 강화

2000년대 초 2020년대~

전기전자, 자동차 등 대상제품 확대


유해화학물질 사용제한, 재활용 책임 전과정 관리, 지속가능성(수리권, 내구성 등) 강화

6
★★★

세부동향 ① : 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도입


2
목적
주요 내용
• 수입 제품에 대해 탄소비용을 부과,
EU 역내‧외 기업간 공정한 경쟁 보장 및 탄소누출 방지
구분 주요내용

철강, 시멘트, 알루미늄, 비료, 전력, 수소 +


적용대상 품목
나사,볼트 등 일부 제품군 포함

직접배출만 포함(Scope1) +
배출량 산정
일부 품목의 생산공정에 대해 간접배출량(Scope2) 포함

전환기간 : `23.10~`25.12
도입시기
본격시행 : `26년~

EU ETS
`26년 이후 `34년까지 점진적 폐지
무상할당폐지

EU ETS 감축목표 `30년까지 `05년 대비 62% 감축

감면조건 EU 수준의 엄격한 조건에 상응하는 탄소가격을 가진 국가

7
★★★

세부동향 ① : 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도입


2
EU 집행위, CBAM 이행법률 발표(6.13)
구분 내용

적용시기 CBAM 전환기간 (’23.10~‘25.12)

보고자 EU 수입업자 또는 관세(통관) 대리인

수입된 6대 품목*에 대한
△제품 정보(생산량, 제품코드 등),△사업장 정보(기업명, 주소 등),
보고정보
△생산 정보(생산공정, 생산경로 등), △배출량(직‧간접, 전력소비량, 배출계수 등), △원산지 지불 탄소가격 등
* 철강(2차 가공제품 포함), 알루미늄(2차 가공제품 포함), 시멘트, 비료, 전기, 수소

생산자(우리기업)가 EU 수입업자에게 배출량을 포함한 보고서* 제출 → 수입업자는 CBAM 등록부에 전자적 방식으로 보고서 등록
보고절차 * 단, 전환기간 동안 보고서에 대한 제3자 검증 불필요 (’26년부터는 검증 필요)

EU-ETS 방식을 차용하여 생산공정별 배출량을 계산 후 제품 총생산량으로 나누어 제품 탄소 배출량을 산정


배출량 산정 다만, 전환기간 첫해(‘24)에는 제3국에서 적용하는 탄소가격 체계(예. 배출권거래제)에서의 방식으로 배출량을 산정하는 것을 허용

분기별로 보고, 보고서는 분기 종료 후 1개월 이내로 제출


보고주기 * 최초 보고 시점(’23.4분기 보고서) : ~‘24.1.31

△CBAM 보고서 제출에 대한 준수 규정을 따르지 않은 경우,


벌칙 △CBAM 보고서를 제대로 수정하지 않은 경우 벌금 부과(10~50유로/톤)

8
★★★

세부동향 ① : 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도입


2
미국 등의 동향 국내 대응현황
• 21년 무역정책 아젠다(Trade Policy Agenda, `21, USTR)를 통 • ‘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현황 및 대응방안’마련(‘22.12)
해 및
필요 時 탄소국경조정제도 도입 가능성을 언급 범부처 CBAM 대응 TF’ 구성‧운영 중(`23.2~)
현재 청정경쟁법(Clean Competition Act), 공정한 전환과 경쟁법 환경부 內 별도의 ‘전담대응반’ 구성하고 단기‧중장기 추진과제를 설정,
(Just Transition and Competition Act) 등 CBAM 유사 법안이 의회 계류중 기업의 CBAM 이행 지원중(`23.2~)

단기과제 중장기 과제

배출량 산정 배출량 MRV 등 상호인정


보고에 대한 기업지원 (IAF / EU)

지침서(가이드라인) 마련, 산업계 저탄소 전환


헬프데스크 운영 등
(융자 ,펀드 등)

9
★★★

세부동향 ② : 기후공시 의무화


3
IFRS 기후공시 최종안 발표 공시 Framework
• 기업이 노출된 기후 관련 재무정보에 대한 요구사항 제시
• 이해관계자에게 기후관련 위험과 기회 요인에 관한 정보제공
기후관련 위험 및 기회를 감독하기 위한 지배구조
목적
기후관련 사항이 기업에 미치는 재무적 영향에 초점
향후 생물다양성. 인권 등 추가 공시규정 마련 예정

기후관련 위험 및 기회가 가치사슬*에 미치는 영향


* 지리적영역, 자산의종류,, 유통채널등

기후관련 위험 및 기회에 대응하는 기업의 전략

기후관련 위험 및 기회의 식별, 평가, 관리를 위한 정보


* 온실가스배출량, 내부탄소가격, 경영진보상

10
★★★

세부동향 ② : 기후공시 의무화


3
기후변화 관련 공시지표

구분 내용
온실가스 배출량(Scope1~3) 기업
온실가스 배출량 * Scope3 는 업스트림/다운스트림 포함(1년 유예)
• 지주사 – 그룹사 데이터 플랫폼을 통해 공시가
기업이 배출원가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하는 온실가스 1톤당 가격 요구 하는 지표에 대한 측정, 관리체계 구축
내부탄소가격 투자 등 의사결정에 적용하기 위함
• 협력사 및 투자회사 대상 데이터 수집 ·관리방안
마련
전환위험 전환 위험에 취약한 자산 또는 사업활동의 금액 및 비율

물리적 위험 물리적 위험에 취약한 자산 또는 사업활동의 금액 및 비율


정부
자본배치 기후관련 위험 및 기회에 배치된 자본적 기출, 자금조달 또는 투자금액
•Scope 3, 기후위험 분석 등 공시 항목의 비교가
능성 확보를 위한 방법론 마련
기후관련 기회 기후관련 기회에 부합하는 자산 또는 사업활동의 금액 및 비율 • 정보 신뢰성 향상을 위한 중소기업 정보관리
체계 구축 지원 병행
보상 기후관련 사항과 연계되어 당기에 인식된 경영진 보상의 비율

11
★★★

세부동향 ② : 기후공시 의무화


3
미국 등의 동향 국내 현황
• 22.3월 증권거래위원회(SEC)는 기후공시 의무화 방안 초안 • 금융위, 25년부터 상장사 대상 ESG 공시 단계적 의무화 일정
발표 (최종안 미정) 발표
• 적용대상 기업, 공시 항목 등 세부내용은 하반기 공개 예정
상장기업 대상 증권신고서, 사업보고서에 기후변화 리스크, 온실가스배출량 등 ESG 민관협의체, 공개세미나 등을 통해 논의 진행중
공시 요구 기업 여건을 고려하여 단계적으로 대상 확대 예상

출처) 자본시장연구원

12
★★★

세부동향 ② : 기후공시 의무화


3
재무적 + 비재무적 정보 = 진정한 의미의 ESG 투자
• 비재무적 정보 공개 의무화와 표준화
• 전통적 재무제표가 기업의 가치를 모두 반영하는가?
→ 재무적 + 비재무적 정보가 결합된 새로운 기업가치 평가모델의 기
→ 시장가치(P)와 장부가치(B)간 차이엔 ESG 요소가작용할가능성


→ 감사 , 내부회계제도 등 재무관리와 동등한 수준의 관리체계로 확장
가능성 高

13
★★★

세부동향 ③: EU 공급망 실사법 시행 가시화


4
주요 내용 국내 수출기업도 영향 예상

구분 내용 구분 그룹① 그룹② 초우량기업

기업규모, 고위험군* 해당여부 등을 기준으로 구분


적용대상 * 섬유, 농림어업, 원자재 등 직원수 500명 초과 250명 초과 1,000명 초과

모기업, 자회사 및 직·간접 협력업체에 대해


의무 전세계 4천만 유
인권 및 환경 등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평가, 관리, 보고 역내
로↑
전세계 1.5억 유로
매출 (50%이상 고위험 전세계 3억 유로↑

실사 항목 인권, 환경오염, 기후변화 등에 대해 실사
군)

실효성 확 모기업의 공급망 실사 의무 미준수로 손해 발생 시


EU내 4천만 유로
보 모기업에 감독당국 제제, 민사책임 부여 가능

지침 발효 후 EU 각국 법제화하여 역외 매출 EU내 1.5억 유로↑ (50%이상 고위험 EU내 3억 유로↑
적용 시점 기업 규모에 따라 지침 발효 후 3~5년내 적용 예정 군)

14
★★★

세부동향 ③: EU 공급망 실사법 시행 가시화


4
실사로 발생하는 기업의 의
무구분 내용
구분 내용
실사의무 1년마다 부정적 영향 파악 ·예방·해소 프로세스 및 결과에 대한
실사 정책(행동강령, 이행절차)마련, 2년마다 업데이트
내재화 모니터링 평가
평가 결과에 따라 사내 실사정책 업데이트
그룹 1: 회사, 자회사, 직간적접 협력업체에서 발생하는
부정적 영 현실적·잠재적 부정적 영향
그룹 2 : 심각한 부정적 영향에 한해 파악 공개 1년마다 실사이무 이행에 대한 보고서 공시

파악 인권, 환경 등에 대해 실사 기후변화 그룹 1에 대해, 파리협정에 부합하는 사업계획서 수립
대응 - 온실가스 감축목표, 기후변화 리스크 내용 포함
예방조치계획 수립 이행
예방 및 완 이해관계자와의 협의 원청기업의 공급망 실사 의무 미준수로 손해 발생 시
필요한 투자 실시
제제수단 원청기업에 감독당국 제제, 민사책임 부여 가능

계약상의 보증
심각성에 비례하여 부정적 영향을 해소 지침 발효 후 EU 각국 법제화하여
공개 기업 규모에 따라 지침 발효 후 3~5년내 적용 예정
해소 시정조치계획 마련
사업관계 중단 혹은 종료

15
★★★

세부동향 ③: 공급망 실사법 시행 가시화


4
환경관련 실사항목
구분 내용
생물다양성협약
생물다양성 멸종위기 야생생물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 • 생물다양성법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습지보전법 등
람사르협약
수은에 관한 미나마타 협약
잔류성 유기오염물질에 관한 스톡홀름 협약 • 잔류성오염물질관리법, 화학물질관리법, 화학물질 등록 및 평가에 관
환경보건 특정유해화학물질 및 농약의 국제교역 사전통보승인에 관한 로테 한법등
르담 협약

• 오존층 보호 등을 위한 특정물질의 관리에 관한 법률


대기 오존층 보호에 관한 비엔나 협약

• 폐기물의 국가 간 이동 및 그 처리에 관한 법률
폐기물 유해폐기물 이동에 관한 바젤협약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
기후변화 유엔기후변화협약, 파리협정

16
★★★

세부동향 ④ : Scope 3 배출량 공개 의무화


5
도입배경 탄소 배출량의 구분

• EU, IFRS 등 글로벌 ESG 공시 의무화로 구분 정의 대상


“Scope 3 배출량” 정보 공개 요구 증대

** EU 기업 지속가능성 보고 지침(CSRD)('23.1월 발효), 기업이 소유·통제하는 발생원에서 보일러, 화로, 터빈,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기후 정보 공시 초안 발표 Scope 1
발생한 탄소 배출 운송수단, 소각로 등
국제회계기준재단(IFRS)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최종안
발표('23.6)

글로벌 공시기준의 Scope 1, 2, 3 공시요구 현황


기업이 구입·소비한 전기 및 스팀의 외부에서 구입한
Scope 2
구분 IFRS재단 EU CSRD 미국 SEC 생산에 따른 탄소 배출 전기, 스팀 등

Scope 1과 2 공시 공시 공시
필 필 필
수 수 수 임대자산, 프랜차이즈, 판매
기업 활동의 결과이나

Scope 3 기업이 소유‧통제하지 않는
생산 및 서비스의 이용,
Scope 3 공시 공시 조건부 요구 범위에서 발생한 배출
필 필 소규모 기업 면 폐기물 처분 등
수 수 제

17
★★★

세부동향 ④ : Scope 3 배출량 공개 의무화


5
해외 동향 [참고] 美 Apple 社 탄소중립 실천사례

규제당국 Scope 3 측정에 따른 기업부담을 완화, 제도안착 지



2030년까지 Apple 공급망 전반의 탄소중립
IFRS 달성 목표 제시, 협력업체까지 탄소배출 감축 참여 독려
기업의 부담 완화를 위해 Scope 3 공시 의무를 1년 면제 (`26년부
터 공개)
미국
‘23.4월 기준 Apple 협력업체는 13GW 이상의 재생에너지
이용
기후공시 의견수렴 기간에 제출된 의견(1,5000여건)을 최종안에 (`19년 比 5배 이상 확대)
반영 예정

총 250개 이상의 협력업체가 2030년까지 모든 Apple 제품


생산공정에 재생에너지 사용 약속(중국 협력업체 70개 포
기업 경영전략 수립 시 Scope 3를 포함하고, 함) 설립하여 협력업체를
* China Clean Energy Fund를
협력업체 대상 탄소관리·감축 추진 재생에너지 프로젝트에 연결, 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 지원

* 애플外 브리티시페트롤리엄(BP), 에니(ENI), 셸(shell) 등


글로벌 정유업체도 Scope 3 포함한 2050 탄소중립 목표를 선언
우리나라도 LG 이노텍, SK하이닉스가
국내에서는 SK이노베이션이 Scope 3 배출량(탄소집약도 Apple 제품 생산에 재생에너지를 사용하는 중
기준)을
2019년 대비 2050년까지 90%이상 감축목표 설정(‘22)

18
★★★

세부동향 ④ : Scope 3 배출량 공개 의무화


5
해외 동향

산출방법
측정현황 일부 국내·외 기업이 Scope 3 배출량을 산정·공개 중 론
과거 작성된 글로벌 산정지침은 있으나 구체성이 부
이나, 족, 일부 산업부문(투자 등)에서는 업계 주도로 세부
* 국내배출량의
시총 200대 정확성 및 비교가능성은
기업 중 70개사(35%)가 낮은 상황
Scope 3 배출량 산정‧공개(’21년 지침을 마련중
말 기준)
Scope 3 산정을 위한 금융배출량
기술가이드 Financed Emissions
│GHG 프로토콜, 2011 │PCAF, 2022, 2nd Edition
데이터입

Scope 3의 신뢰성은 기업 가치사슬 내 협력사의 온
실가스 측정·관리역량에 의존

데이터공

대부분 기업이 자체 기준에 따라 조직경계를 설정하
고,
사용 데이터의 유형 및 원천 미기재

19
★★★

세부동향 ⑤ : 에코디자인 규제 강화
6
EU 에코디자인 지침 → 규정으로 강화

‘에너지 관련 제품’ → EU시장 내 제품 대부분으로


대상 확대 확대
* 제품별 규칙 제정 예정이며,
* EU의회 환경위에서는 우선 품목으로 철강, 알루
미늄, 섬유, 세제, 페인트, 윤활유 및 화학물질
등 제안

성능 기준 : 내구성, 수리가능성, 업그레이드 가능성, 재사


용성,
성능 및 재활용 가능성, 환경(탄소)발자국, 재활용 원료 함유, 폐기
정보 요구 물 발생량

정보 요구 : 디지털 제품 여권을 통해 성능 기준의 정


보 제공

출처) KEI, 순환경제를 위한 ‘지속가능한 제품 설계’활성화 연구


향후 EU 입법기간관 협상 예정
`입법동향 지속적 파악 필요`

20
★★★

시사점
7
01 탄소배출의 무역장벽화 강화, 탄소감축이 기업 경쟁력에
직결
•CBAM, RE100, ESG 강화 등 탄소중립으로 국제 경제질서 급변
•주요국, 글로벌 기업은 후발주자와의 차별화를 위해 탄소배출을 무역장벽
으로 활용
│ 우리 기업들에게 탄소감축은 비용이 아닌 생존을 위한 필수조건

02 사업장 → 제품단위, 기업 경계 內 → 공급망 전반으로 탄소관리의 축이 이동


• CBAM 도입에 따라 제품단위 탄소배출량 관리‧산정체계 구축 필요성 대두
│ LCA 측면의 탄소 배출량 산정의 중요성 증가, 대상범위 확대(ex. Scope 3) 가능성 대비 필요
• 국내기업의 Scope 3 산정·관리에 따른 어려움을 덜어주기 위한 지원 필요
• 탄소관리가 공급망까지 확장되면서 순환경제(폐기·재활용), 물류 등 연관산업의 투자·발전 예상

21
02
환경R&D 추진 방향

[세부내용]

1. 추진 배경 및 경과
2. 환경부R&D 투자 현황
3. 미래 주요 환경 이슈
4. 환경기술개발 추진전략(2021~2030)
5. 제5차 환경기술·산업 ·인력 육성계획(2023~2027)
6. 2023년 환경R&D 추진 현황

22
★★★

추진 배경 및 경과
1
추진 배경

• 산업화 등으로 오염된 환경을 복원하거나 관리하기 위한 과학기술적 해결방안 도출 필요성


대두

추진 경과

23
★★★

환경부R&D 투자 현황
2
투자 규모

2011년~2023년 환경부R&D 지원 현황

24
★★★

미래 주요 환경 이슈
3

25
★★★

환경기술개발 추진 전략(2021~2030)
4
VISION

3대
탄소중립 이행기반 마
추진 녹색인프라 강화 환경 안전사회 구축
전략 련

기후변화 예측 고도화 통합물관리를 위한 물순환 환경성 질환


및 수생태계 보전 및 환경유해인자
8대 스마트 관리
온실가스 감축으로
중점 수자원 및 수재해 대응
기후변화 완화
영역
국민 체감 청정공기
자원순환성 제고를 통한 국토환경 생태계 서비스
및 실내공기질 관리
순환경제 활성화 가치 향상

기반
마련 정책∙제도적 기반 마련 R&D 추진체계 개선

26
★★★

환경기술개발 추진 전략(2021~2030)
4

27
★★★

환경기술개발 추진 전략(2021~2030)
4

28
★★★

환경기술개발 추진 전략(2021~2030)
4

29
★★★

제5차 환경기술·산업·인력 육성계획(2023~2027)


5

30
★★★

2023년 환경R&D 추진 현황
6
투자 규모
* 2024년 46개 사업(8개 신규사업 포함), 4,326억 원(’23년 대비 6.4% 증액) 요구, 기재부 예산 심의 중

31
★★★

2023년 환경R&D 추진 현황
6
탄소중립 이행기반 마련

32
★★★

2023년 환경R&D 추진 현황
6
녹색인프라 강화

33
★★★

2023년 환경R&D 추진 현황
6
환경안전 사회 구축

34
★★★

2023년 환경R&D 추진 현황
6
기후·대기 분야 R&D 로드맵

35
★★★

2023년 환경R&D 추진 현황
6
기후·대기 분야 `23년 기술개발 추진방향

§ 기술개발 § 기술개발
- (신기후 체제대응) 신기후 체 - (대기환경 관리) 운행 자동차 배
제 이행지원을 위한 완화·적응 출가스 저감 기술 및 대기환경측 § 기술개발
부문의 글로벌 수준의 정책지 정 실증모니터링, 수소충전소 실
- (대기 국산화) 해외의존도가
원형 의사결정 시스템 개발 증설비 설계〮구축 및 소규모사업
높 은
- (비이산화탄소 저감) CH4, N2O 장 스마트 대기관리용 통합시스
4개 핵심품목 대상으로 과제
등 비이산화탄소 온실가스 감 템 현장실증 구축 모니터링
선 정
축 기술개발 - (사업장 미세먼지) 사업장의 배 및 국산화 요소기술 설계 진
- (온실가스 공간정보 구축) 위성 출 특 행
등 관측과 모델링 활용 시공간 성과 수요처의 요구사항을 고려
- (유망녹색기업) 사업화 전문
상세화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 한

축 및 플랫폼 기술개발 미세먼지 저감 기술의 설계 및
자문을 통한 현장실증 모니
개발
터 링
36
및 사업화 성과 창출 촉진
★★★

2023년 환경R&D 추진 현황
6
자원순환 분야 R&D 로드맵

37
★★★

2023년 환경R&D 추진 현황
6
자원순환 분야 `23년 기술개발 추진방향

38
★★★

2023년 환경R&D 추진 현황
6
물 분야 R&D 로드맵

39
★★★

2023년 환경R&D 추진 현황
6
물 분야 `23년 기술개발 추진방향

40
★★★

2023년 환경R&D 추진 현황
6
생태보전 및 토양지하수 분야 R&D 로드맵

41
★★★

2023년 환경R&D 추진 현황
6
생태보전 및 토양지하수 분야 `23년 기술개발 추진
방향

42
★★★

2023년 환경R&D 추진 현황
6
환경보건 분야 R&D 로드맵

43
★★★

2023년 환경R&D 추진 현황
6
환경보건 분야 `23년 기술개발 추진방향

44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