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9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

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UCI]I804:11044-200000320088

석사학위 논문

5G Digital Twin 기반의 안전한


실시간 감시 시스템 설계

Design of secure real-time


surveillance system based on 5G
Digital Twin

2020년 6월

숭실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IT경영학과

김 태 헌
석사학위 논문

5G Digital Twin 기반의 안전한


실시간 감시 시스템 설계

Design of secure real-time


surveillance system based on 5G
Digital Twin

2020년 6월

숭실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IT경영학과

김 태 헌
석사학위 논문

5G Digital Twin 기반의 안전한


실시간 감시 시스템 설계

지도교수 박 재 표

이 논문을 석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2020년 6월

숭실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IT경영학과

김 태 헌
김 태 헌의 석사 학위 논문을 인준함

심 사 위 원 장 양 승 민 인

심 사 위 원 김 은 환 인

심 사 위 원 박 재 표 인

2020년 6월

숭실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감사의 글

2년 전 불혹(不惑)을 넘긴 나이에 대학원 진학을 결심하기도 어려웠지

만 더 늦으면 기회가 없을 것 같다는 위기감에 선뜻 원서를 제출하고 면

접을 보았던 기억이 선합니다. 거의 20여년만의 학업 생활을 다시 한다


는 두려움과 동기원우들과 교수님들과 같이 새로운 인적 네트워크를 넓

힌다는 기대감을 동시에 가지고 대학원생활을 시작 하였는데 어느덧 최

종 문턱인 논문을 작성 하고 있는 저의 모습을 뒤돌아보면서 뿌듯하기도


하고 주위의 감사드릴 분들의 얼굴이 떠오르는 건 졸업을 맞이한 모든

분들과 같은 심정 이라 생각 합니다. 특히 2년 반의 대학원생활을 함께

한 우리 60기동기들을 생각 하면 어떤 기수보다 적극적이고 활발하며 일


과 학업, 대학원 생활을 즐기며 할 수 있었던 원동력 이었습니다. 낮선

환경의 대학원생활에 하나하나 조언을 해주고 힘들고 여려움이 있을 때

늦은 시간 소주잔을 기울이며 함께 걱정을 해주던 선배님들이 있어 감사


했습니다. 5학기동안 배움이라는 것이 무엇이고 또 왜 배워야 하는지

다시금 깨닫게 해 주신 이원철 원장님 이하 모든 교수님들과 물심양면으

로 원우들의 대학원생활을 뒷바라지 해 주시고 주말도 없이 행사 준비에


노고가 많으셨던 조기현 교학팀장님 이하 교직원 여러분들께도 감사드립

니다. 특히 어렵고 대학원의 험난한 과정의 마무리인 논문을 위해 단어

하나하나 세세하게 검토 해 주시고 마무리까지 지도 해주신 박재표 교수


님께 무한안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 마지막으로 2년반 동안 대학원 생활

로 인해 날마다 늦은 시간에 귀가하고 주말도 자주 비운 탓에 자주 놀아

주지도 못한 쌍둥이 딸 나윤, 서윤이와 아내 양지정님께 미안함과 고마


움을 전하며 앞으로 더욱 가정에 충실한 남편이자 아빠로 거듭나겠습니

다.
목 차

국문초록 ·········································································································· ⅴ

영문초록 ··········································································································· vi

제 1 장 서론 ····························································································· 1
1.1 연구의 배경 ······························································································ 1

1.2 연구의 목적 ······························································································ 1

제 2 장 관련연구 ····················································································· 3
2.1 디지털 트윈 정의 ·················································································· 3

2.2 디지털 트윈 기술요소 ·········································································· 4


2.2.1 BIM ······································································································ 4

2.2.2 AR·VR·MR ························································································· 5

2.2.2.1 AR ··································································································· 5
2.2.2.2 VR ··································································································· 5

2.2.2.3 VR ··································································································· 5

2.2.3 IoT ········································································································ 6


2.2.4 클라우드 ····························································································· 7

2.2.5 빅데이터 분석 ··················································································· 7

2.2.6 5G ········································································································ 7
2.2 기술 개발 및 서비스 현황 ···································································· 8

2.2.1 국내 지식재산권 현황 ····································································· 8

2.2.2 국외 지식재산권 현황 ····································································· 9


2.2.3 국내 서비스 동향 ··········································································· 10

2.2.4 국외 서비스 동향 ··········································································· 12

- i -
2.3 법·제도 및 표준화 동향 ······································································· 14

2.3.1 제도 추진 동향 ··············································································· 15
2.3.2 표준화 동향 ····················································································· 15

2.4 현재 기술의 한계점 ················································································ 17

제 3 장 실시간 감시 시스템 설계 ·············································· 18


3.1 안전관리를 위한 실시간 감시 시스템 구성도 ································ 18

3.2 적용 대상 및 범위 설정 ······································································ 20
3.3 안전관리 시스템을 위한 IoT 부문 설계 ··········································· 21

3.4 통합 관제를 위한 디지털 트윈 부문 설계 ······································ 24

3.4.1 업무 분석 및 설계 ········································································· 25
3.4.2 프로그램 개발 ················································································· 26

3.4.3 서버 플랫폼 설계 ··········································································· 26

3.4.4 공간정보 구축 ················································································· 27


3.4.5 가동 ··································································································· 28

제 4 장 구현 및 평가 ·········································································· 29
4.1 실시간 감시 시스템 구성도 ································································ 29

4.2 실시간 감시 시스템 프로세스 ···························································· 30

4.3 감시 시스템의 영상정보 연동 ···························································· 31

제 5장 결론 ······························································································· 32

참고문헌 ············································································································ 33

- ii -
그 림 목 차

[그림 1-1] 디지털 트윈 시장 전망 분석 ······················································· 2

[그림 2-1] 2018 가트너 10대 기술 트렌드 ··················································· 3


[그림 2-2] City Hub 솔루션 구성 ································································· 11

[그림 2-3] Smart FMS 구성 ··········································································· 11

[그림 2-4] 싱가포르 버추얼 싱가포르 개요 및 기능 ······························· 13


[그림 3-1] 시스템 구성도 ··············································································· 18

[그림 3-2] 서비스 구성도 ··············································································· 19

[그림 3-3] 적용대상 및 범위 분석 ······························································· 20


[그림 3-4] 설치 환경 분석 ············································································· 21

[그림 3-5] IoT 부문 설계 순서도 ································································· 22

[그림 3-6] 디지털 부문 설계 순서도 ··························································· 24


[그림 3-7] 서버 플랫폼 설계도 ····································································· 25

[그림 3-8] 공간정보 프로세스 ······································································· 26

[그림 4-1] 감시 시스템 관제 개요도 ··························································· 28


[그림 4-2] 맞춤별 상황판 구성 ····································································· 29

[그림 4-3] 감시 시스템 지능형 영상정보 연동 ········································· 30

- iii -
표 목 차

[표 2-1] BIM 적용 및 활용 사례 ···································································· 4

[표 2-2] IoT 활용 예시 및 성장률 ································································· 6


[표 2-3] 국내 디지털 트윈 특허출원 관련 지식재산권 ····························· 8

[표 2-4] 국외 디지털 트윈 특허출원 관련 지식재산권 ····························· 9

[표 2-5] 디지털 트윈 프레임워크 표준화 ··················································· 16


[표 3-1] 업무 분석 및 설계내용 ··································································· 24

[표 3-2] 프로그램 개발 내용 ········································································· 25

- iv -
국문초록

5G Digital Twin 기반의 안전한 실시간 감시


시스템 설계

김 태 헌
IT 경영학과
숭실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4차 산업의 발달로 인간과 사물 및 환경 등 모든 것이 기하급수적으로


연결되고 결합되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시대가 열렸으

며, 이에 따라 산업혁명에 버금가는 기술혁신이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

다. 특히 도시 운영, 시민의 삶의 질 제고뿐만이 아닌 산업 생태계 조성


을 하나의 목표로 설정한 스마트 시티의 개념이 대두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트윈의 기술요소인 3D스캔, AR·VR·MR, IoT,

클라우드,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안전한 실시간 감시 시스템의 설계에


대한 연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실시간 감시 시스템은 IT기술과 통신의 진화에 따른 스마트시티

의 수요 증가에 맞추어 현실의 IoT 센서에서 발생한 실시간 데이터를


활용해 SW신기술을 바탕으로 3D모델링을 통한 가상의 세계를 구축하여

실시간으로 안전관리를 할 수 있다.

향후 본 연구를 기초로 한 상시 재난 방지/예방 시스템 구축을 기대한


다.

- v -
ABSTRACT

Design of secure real-time surveillance


system based on 5G Digital Twin

KIM, TAE-HEON
Depart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Science
Soongsil University

With the development of the fourth industry, the Internet of Things

(IoT) era has come, in which everything, including humans, objects


and the environment, is connected exponentially, and accordingly,

technological innovation comparable to the industrial revolution

continues to take place. In particular, the concept of smart city, which


was set with the goal of creating an industrial ecosystem as well as

improving urban operation and quality of life for citizens, emerged.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propose a study on the design of


monitoring system for real-time safety management using 3D scan,

AR, VR, MR, IoT, cloud and big data analysis, which are the

technical elements of digital twin.


This real-time safety management system enables real-time safety

management in real time by building a virtual world through 3D

modeling based on new SW technology by utilizing real-time data


generated from real-world IoT sensors in line with the increasing

- vi -
demand for smart cities due to the evolution of IT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And look forward to establishing a permanent disaster prevention

system based on this study in the future.

- vii -
제 1 장 서 론

1.1 연구의 배경
IoT(Internet of Things) 기술이 발전하며, 도시 운영의 효율화, 도시민

의 삶의 질 제고뿐만 아니라 산업 생태계 조성을 또 하나의 목표로 설정


하고 있다. 이는 ‘스마트 시티’라는 개념으로 나타났으며, 도시 운영의 효

율화를 위해 기술 개발을 통한 인프라 고도화, 운영 및 지자체간 관리시

스템 통합 및 연계운영·관리를 추구하고 있다[13].


3D(Three Dimensions)기반 통합 관제 시스템인 디지털트윈의 역할은

3차원 공간정보일 뿐만 아니라 5G(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초저지연 기술을 기반으로 IoT센싱 기술과 함께 많은


양의 정보를 통합 구축하여 빅데이터·인공지능·IoT센싱·3D Modeling 등

의 소프트웨어 신기술을 바탕으로 축적된 정보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 하

도록 분석과 시뮬레이션 기능의 역할을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


털트윈의 필수 요소인 IoT 센싱과 전송기술, 3D 모델링을 통한 통합관

제 시스템 설계 및 구현을 주제로 연구하고자 한다.

1.2 연구의 목적
디지털트윈 시장은 [그림 1-1]과 같이 매년 37% 이상 성장해 2023년
에는 150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디지털 트윈은 자원을 추적

및 감시하고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최고의 기술이며, 현재 국내 외 다양

한 분야에서 현황 모니터링과 최적화를 위해 디지털 트윈이 적용 또는


개발 중에 있다[16].

- 1 -
[그림 1-1] 디지털 트윈 시장 전망 분석[4]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IoT 센싱 기술을 기반으로 각종 시설물에

대한 많은 양의 정보를 구축하고, 분석·시뮬레이션 기능을 하는 실시간


감시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이를 통해, 데이터 기반의 국민 안전관리, 산

업혁신. 5G기반의 신기술 고도화 확산으로 연결하여 보다 나은 국민 삶

의 질이 향상 될 것이다.

- 2 -
제 2 장 관련 연구

2.1 디지털 트윈 정의
디지털트윈은 물리적(Physical)세계와 동일한 가상(Virtual)의 세계의

디지털 쌍둥이(Twin)을 만들어 현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미리

예측하는 기술 혹은 플랫폼을 말한다[6]. 2014년 제너럴 일렉트릭(GE)이


주창하며 산업 환경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분야이다[10]. 이후 [그림

2-1]과 같이 2018년 글로벌 리서치 기관인 가트너의 10대기술 트렌드로

선정되었으며, 기대정점에 위치하고 있다.


소프트웨어 신기술을 기반으로 축적된 정보를 바탕으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 할 수 있도록 분석 및 시뮬레이션 할 수 있도록 예측하는 플랫폼이

며, 성공적인 디지털 트윈을 위해서는 대상에 대한 3D 모델링, 현실 데


이터의 수집, 수집된 데이터의 분석, 분석 결과에 기반한 현실적인 제어

방안이 필요하다[11].

[그림 2-1] 2018 가트너 10대 기술 트렌드[27]

- 3 -
2.2 디지털 트윈 기술요소
2.2.1 BIM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은 사물정보의 디지털화가 기본적

으로 3D스캔을 통해 선행되어야 한다. 사물을 각 단위별로 분할시켜 스


캔하고, 이 스캔 정보를 조합하여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로 완성하게 된

다. BIM데이터에는 단순한 3차원 형상 정보뿐만이 아니라 공간객체를

포함한 모든 구성 요소의 속성 정보가 상호 연관되어 존재한다[2]. 생성


된 디지털 이미지는 고유한 정보(구성내용, 위치, 인터페이스 등)를 포함

하고, 다른 생성된 디지털 이미지들과 융합해 범위를 넓힐 수 있다.

간단한 프로세스가 아니기 때문에 요구사항에 맞춰서 신속하고 효과적


으로 BIM을 적용하고 활용하는 7가지 사례를 [표 2-1]과 같이 나타내었

다.

[표 2-1] BIM 적용 및 활용 사례[1]

활용사례 효과
· 객체정보기반 3D 모델링, 시각화
BIM 모델 작성
· 모델과 도면의 일관성 향상
설계오류 및 · 설계 변경 및 시공오류 최소화
간섭검토 · 참여자간 의사소통 증진

물량산출 · 부위/공종/단계별 물량산출 및 견적정보 추출

· 모델과 도면의 연계
도면작성
· 모델에서 설계, 시공, 샵 드로잉 추출
· 객체 내 포함되어 있는 건물정보 추출 및 문서화
시각화 자료
· 이미지 컷, 동영상 작성을 통한 신속한 의사결정
· 공정간 간섭 및 공사일정 오류 검토
공정 시뮬레이션
· 일정계획 및 자원투입계획 조정
클라우드 ·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한 데이터의 활용 및 협업
서비스 활용 ·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제약이 없음

- 4 -
2.2.2 AR·VR·MR

디지털트윈은 디지털 정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시킬 장비가


추가로 필요함. 컴퓨터를 통해서도 확인이 가능하지만, 정확한 표현정보

가 필요할 시 AR·VR·MR 기술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

2.2.2.1 AR

AR(Augmented Reality, 증강현실)은 현실 공간에 3차원의 가상 이미

지를 중첩하는 기술로, 공간이 가진 물리적인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25]. 실제로 존재하는 환경에서 가상의 사물 또는 정보를 합성해 실제의

환경에 실존하는 사물과 같이 표현 해 사물의 세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 그래픽 기법이다. 실제 환경을 기반으로 하므로 현


실감 있는 디지털 경험을 할 수 있게 한다.

2.2.2.2 VR
VR(Virtual Reality, 가상현실)은 가상을 뜻하는 Virtual과 현실을 뜻하

는 Reality의 합성어로 컴퓨터 등을 사용한 인공적인 기술로 만들어낸

실제 환경과 유사한 환경·상황·기술을 의미한다[7]. 이용자는 인공적으로


실제 환경과 완벽히 차단되어 디지털 세계에서의 경험을 극대화 하고[5],

이를 위해 VR용으로 특별히 제작된 HMD(Head Mount Display)를 착용

해야 한다.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어 몰입감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8].

2.2.2.3 MR

MR(Mixed Reality, 혼합현실)은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의 단점을 보완


해 더욱 진화한 디지털 세계를 구현하는 기술이다. AR의 낮은 몰입도를

개선하고, VR이 주는 이질감을 완화해 생생한 현실 체험이 가능하다.

- 5 -
MR을 활용한 재난대응 기술은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강화하여 재난대

응에 있어 체감형 훈련, 현장 대응의 상호작용을 제공한다[19].

2.2.3 IoT

정보를 지속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실제 사물(센서 등)에 IoT 기술을


적용하여 해당 기기로부터 실시간 정보를 획득한다. 이 실시간 정보를

디지털 트윈에 적용해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시뮬레이션 하고, 향후

발생될 수 있는 문제를 예측할 수 있게 한다. IoT를 활용한 주요 기술


중 하나인 스마트시티의 경우 [표 2-2]와 같이 스마트그리드, 재난방지,

교통, 보안/치안, 편의/공공시설 등 다양한 도시 부분에 ICT 첨단 인프

라가 적용되어 유기적인 연결을 통해 지능형 서비스를 제공한다[20].


IoT 기반 스마트 시티의 보급 및 확대는 자동화된 빌딜관리와, 지능화

된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통해 인프라 효율화 및 새로운 부가 가치를 창

출한다.

[표 2-2] IoT 활용 예시 및 성장률[9]

2012-2020
분류 내용
CAGR

· 빌딩 에너지 조명 온도
빌딩 8.8%
· 관리, 유지보수 자동화

인프라 · 수도, 가스 관리 효율화 등 13.8%

안전보안 · 도시방범, 재난재해 경보 14.0%

스마트
· 전력 사용 효율화 19.6%
그리드

교통 · 대중교통 확인 및 우회로 안내 14.8%

헬스케어 · 원격 진료, 환자 지원 등 6.9%

- 6 -
2.2.4 클라우드

대량의 정보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되므로, 데이터를 클라우드에 저

장시키고 어디서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클라우드에 취합된


데이터들을 분석해 지속적으로 디지털 트윈을 변경·관리할 수 있고, 관

련된 서비스들도 함께 지원한다. 또한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대량의 데이

터 처리기술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게 될 것이다[15].

2.2.5 빅데이터 분석

각각의 사물에 부착된 센서에서 나오는 정보의 양은 점점 증가하므로,


이러한 데이터들을 효과적으로 분석해야 예측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빅

데이터 분석을 통해 현황을 파악할 수 있게 되고[17], 디지털 트윈 내에

서 기초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다. 축적된 데이터를 환경·조건 등의 변수


에 따라 데이터 분석을 하면 각각의 고유한 디지털 트윈으로 변화되어

맞춤형 서비스를 가능하게 한다.

2.2.6 5G

5G에서는 채널 대역폭을 가변적으로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수용

함과 동시에 주파수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는 가변적 채


널 대역폭 할당(Scalable Numerology)이라고 통칭하며, 15KHz로 고정된

OFDM 부반송파를 2n 비율로 확장하여 다양한 통신 속도를 필요로 하

는 서비스를 지원하도록 하고 있다[23].


5G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초저지연 및 URLLC(Ultra-Reliable

Low-Latency Communication, 고신뢰 특성)특성은 업무용 서비스와

실시간성이 필요한 요소들의 제어에 필수적이다.

- 7 -
2.2 기술 개발 및 서비스 현황
여러 최신기술이 발달하고 실질적이 물리 요소와 디지털 요소가 연결

된 것은 최근의 일이다. IoT, AI(Artificial Intelligence), 빅데이터 등의

기술이 발전하며 정보의 수집과 시각화가 고도화 되었고, 2014년


GE(General Electric)이 자사 디지털트윈 기술을 공개함으로써 주목받기

시작했다[3]. 디지털트윈의 실질적인 활용 목적이 최적화라는 점은 예측

을 하기 위한 시뮬레이션이 무엇보다 중요한데, 최근 머신러닝을 기반으


로 한 인공지능 기술 발달에 힘입어 디지털트윈이 가고자 하는 방향이

정립되고 있다.

2.2.1 국내 지식재산권 현황

국내 특허는 설계된 모델·알고리즘 자체에 학습된 데이터를 갱신하는

구성이 대부분이며, 현실의 건물과 디지털트윈으로 동기화 하는 구성은


많지 않다. 2014년 KAIST(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에서 디지털 트윈의 개념과 유사한 특허를 출원하였으며, 이

후 2017년도부터 스마트 센서, IoT, 빅데이터를 활용한 데이터 생성·분석


기술이 많이 출원되고 있다[22]. 사례를 보면 아직까지 국내 특허는 소수

의 대기업 플랜트 운영사를 중심으로 디지털트윈 적용 타당성을 검토해

설계된 모델을 최적화 및 업데이트 하는 기술이 대부분이고, 실물과 트


윈을 동기화 시키는 기술 출원은 미비하다. 최근 국내에서 출원된 디지

털트윈 관련 지식재산권 사례는 [표 2-3]과 같다.

[표 2-3] 국내 디지털 트윈 특허출원 관련 지식재산권

지식재산권 명 출원인
지능형 제어 알고리즘을 이용한 건물공조 제어 방법 현대건설
건물 에너지 모델의 보정을 이용한 에너지 관리 방법 현대건설

- 8 -
센서 데이터를 활용한 유한요소 모델 동기화 및
한국과학기술원
실시간 구조 건전성 평가
3차원 건물 정보 모델을 이용한 건물의 변위관리 방법 대우건설
스마트 센서로 획득된 데이터 분석을 통한 공장 제어
에코트로닉스
방법 및 시스템
플랜트 이상 감지 시스템 및 방법 두산중공업
디지털SOP 및 예측기반 빌딩통합운영시스템 및 방법 현대오토에버

2.2.2 국외 지식재산권 현황

2014 GE(General Electric)에서 최초로 디지털 트윈 특허를 출원하였

고, 이후 Siemens, PTC Incorporated 등에서 2016년부터 센서를 이용하


여 디지털트윈을 생성하고 동기화 하는 구성이 구체화 되어 특허출원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 해외 특허는 현실과 디지털트윈을 동기화 하는

기술, 디지털 트윈을 활용해 실물을 제어하는 기술 및 최적화 하는 기술


에 초점을 맞춰 출원을 활발히 하고 있다. 최근 국외에서 출원된 디지털

트윈 관련 지식재산권 사례는 [표 2-4]와 같다.

[표 2-4] 국외 디지털 트윈 특허출원 관련 지식재산권

지식재산권 명 출원인
System And Method For Wind Generation Arizona State
Forecasting University
Support Vector Machine Enhanced Models For Arizona State
Short-Term Wind Farm Generation Forecasting University
Network For Digital Emulation And Repository GE

Examining a Consistency Between Reference Data


Of a Production Object And Data Of a Digital Twin Siemens
Of The Production Object
Augmented Reality System PTC
Digital Twin System for a Cooling System GE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tiy For Industrial Rockwell Automation
Automation Technologies, Inc.

- 9 -
디지털 트윈기술 기반 가상화를 통해 운영 관련 모든 정보를 통

합 및 연계하여 다양한 문제 해결에 활용중에 있으며, 교통·환경·

에너지 등 관련 빅데이터를 활용해 다양한 분석 및 시뮬레이션 모

델 구현이 가능하다.

2.2.3 국내 서비스 동향

국토교통부는 2012년도부터 3차원 공간정보 오픈 플랫폼 ‘브이월

드’을 제공중이며, 국내에서 보유한 공간 정보와 활용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국민들이 공간 정보를 쉽게 활용할 뿐만 아니라 새

로운 공간정보 제공 서비스를 창출 가능하게 한다. 또한 국가가

구축한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개발이 가능하

도록 오픈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서비스를 제

공하고 있으며, 서비스 시작 이후 고해상도 항공사진 지원 등 수

번의 성능 개선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14].

엘지 씨엔에스는 [그림 2-2]와 같이 운영 플랫폼인 ‘Cityhub’를

제공 중이며, 빌딩, 공장 등 다양한 사업 영역에서 IT(Information

Technology)와 OT(Operation Technology)에 연관된 설비, 장비들

을 제어/모니터링하고, 연관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해 긴급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최적화된 운영환경을 지원한다. 향후

외부데이터 연계, 외부 시스템 연계, 공공 시스템 연계 등 통합 연

계/확장을 기대하고 있다.

- 10 -
[그림 2-2] City Hub 솔루션 구성[30]

포스코는 빌딩 관리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그림 2-3]과

같이 독자적인 솔루션인 ‘Smart FMS’(Facility Management Syste

m)를 개발하였다.

[그림 2-3] Smart FMS 구성[31]

- 11 -
운영 관리 체계와 시설관리 수준을 향상시키고 있으며, 스마트

빌딩 자산관리 시스템 도입을 위해 IoT, 빅데이터, 실시간 데이터

동기화 등을 포함한 첨단 기술이 적용된 시스템이다. 시설물과 설

비의 상태·현황·에너지 사용량 등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주요 설

비의 진동·온도 등 상황을 빅데이터로 분석·예측해 이상 상황을

감지하고, 설비를 미리 점검하거나 교체 시점을 알려준다.

그 외 세종시의 도시데이터를 기반으로 시민의 안전과 복지, 환

경, 교통 등 다양한 분야의 디지털트윈 적용이 2022년까지 예상되

고 있으며, 수원시 5G 모바일 디지털 트윈 기술로 구도심을 혁신

도시로 재구조화 하는 챌린지 사업 등이 진행 중이다[18].

2.2.4 국외 서비스 동향

GE는 통합 및 효율적 운영을 실현하는 ‘디지털 파워플랜트 솔루

션’을 서비스 중이다[28]. 데이터를 분석해 발전 시설을 최적화 하

고 스마트폰으로 시설을 모니터링하고 제어 및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미리 예측해 대처가 가능하다. 시스템이 분석할 수 있는 데

이터는 압력, 온도, 진동, 환경변수 등이며, 데이터를 활용해 최대

전력 생산 발전 설비 및 단계 설계, 라이프사이클 동안 생산된 전

력의 최적화, 미리 이상징후를 발견하여 유지보수의 효율을 높이

고, 전력 소비량을 예측 및 소비 성향 분석을 통한 에너지 소비의

최적화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데이터가 증가한다면 앞으로 발전

량을 지금보다 더욱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IBM은 AI-IoT 기반의 스마트 빌딩 및 산업 분야별 맞춤 솔루션

- 12 -
구축으로 보유한 기반 기술을 바탕으로 디지털 플랫폼과 데이터

프로세스 관리 플랫폼을 구축하였으며, 건설, 제조업, 전기 등 각

산업별로 서비스 중에 있다. Watson IoT 플랫폼과 IoT 빌딩 솔루

션을 기반으로 자산 및 시설물 유지관리에 활용하고 있으며, 구축

하거나 수집된 정보를 BIM 형태로 가시화 서비스를 제공한다[29].

싱가포르는 버추얼 싱가포르 프로젝트를 통해 자연지형, 건물,

도로 등과 같은 인공지형, 기후, 인구통계 등 다양한 정보와 도시

운영 관련 정보를 통합하여 [그림 2-4]와 같이 도시를 3차원으로

묘사해 가상플랫폼을 구축하였다. 사용자 중심 도시설계 플랫폼인

3D Experience City를 활용해 동적 3차원 디지털 모델을 생성하며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3D모델링, 인공지능을 적용해 다양한 공간

분석 및 시뮬레이션을 구현하였고, 이 프로젝트를 통해 설계되고

구축된 가상 도시 모델을 기업과 국민 및 연구기관이 모두 활용하

도록 할 예정이며, 개방형 혁신이 연쇄적으로 발생할 것으로 예상

된다[21].

- 13 -
[그림 2-4] 싱가포르 버추얼 싱가포르 개요 및 기능[24]

2.3 법·제도 및 표준화 동향


국내는 디지털 트윈 구축을 위한 초기 적용 단계로써, 선도 국가

및 기관들이 구축한 기술 환경을 기반으로 국내에 적합한 디지털

트윈 플랫폼의 개념 수준을 제시하고 있다. 현재까지는 대기업을

필두로 주로 제조업 분야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타

분야로의 확산을 위해서는 기술 개발과 함께 제도, 인프라 등 여

러 환경이 제반되어야 하나, 디지털트윈의 핵심 요소인 방대한 데

이터의 효율적 사용을 위한 5G 통신업체도 고려해야 한다.

개인정보, 개인 식별 등 민감정보에 대해 안전·재난·재해 예방,

재난발생시 인명구조 등의 용도 사용 시 안전재난에 관한 표준화

법규 및 규제완화 또한 고려해야 한다.

데이터 수집을 위해서는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문제가 먼저 해결

되어야 하며, 데이터가 연결되기 위해서는 상호 활용 가능한 표준

- 14 -
이 있어야 하고,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시장 및 신기술에

대한 지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2.3.1 제도 추진 동향

제조업에서 디지털 트윈의 가치를 높게 평가중이며, 기술발전을

위한 국가단위의 로드맵을 제시하였다.[12] 제조업의 고부가가치화,

생산 시스템의 혁신, 산업 구조 고도화 등을 위한 기술 개발에서

디지털 트윈을 특히 강조하고 있으며, 기계장비 제어, 제조 시스템

의 수직적 통합, 가치사슬간 수평적 통합, 지능 제조를 위한 디지

털 트윈 기반의 스마트 생산 장비 토탈 솔루션을 목표로 로드맵

구성 관련 기술을 상세히 제시하였다.

또한 도로 기술개발 전략안에 따르면 2021년부터 2030년까지

IoT 센서를 이용해 가상의 도로에 도로 상태 표현 기술을 개발하

여 실제현장의 점검 없이 관제실 에서 도로를 24시간 모니터링 하

는 실제와 동일한 가상 도로망을 구현할 계획에 있다.

2.3.2 표준화 동향

4차 산업 혁명과 함께 제조업이 화두로 떠오르면서, 이를 구현하

기 위한 핵심 기술 중 하나로서 디지털 트윈을 제조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 및 기술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ISO TC 184/SC

4는 산업데이터를 위한 표준화 위원회로서, 제조업, 조선 해양,플

랜트, 원자력 플랜트 등에 대한 산업 데이터 표준을 개발하고 있

으며, 국내외 산업체, 연구소, 대학교에서 이를 활용하여 제품 설

- 15 -
계 정보를 교환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ISO TC 184/SC 4/WG 15는 디지털 제조에 관한 표준화를 위해

TC 184/SC 4 내에 2017년 설립된 표준화 기구로서 매년 2회 SC

4 총회 기간에 대면회의를 진행하고, 필요한 경우 온라인 회의를

병행하고 있다. WG 15에서는 한국의 디지털 트윈제조 프레임워크

표준(ISO 23247: Digital Twin manufacturing framework) 4건이

New Proposal로 제안되어 2018년 1월 승인되어 표준 개발이 진행

되고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표준연구본부에서는 디지털트윈 제조 관련

산업계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표준화를 수행하고 있으며, 이는

산업기술 분야의 국제 표준화 기구인 ISO에서 국제표준으로 승인

받아 관련 산업분야에 적용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26].

국내에서는 세계 최초의 5G 상용화의 이점과 더불어 학계와 연

구기관이 주축이 되어 디지털 트윈 표준화 노력이 진행 중에 있

다. 한국전자통신원(ETRI)는 아래 [표 2-3]과 같이 2017년 11월

SC 4총회에 디지털 트윈 표준에 관한 프로젝트 4건을 제출하였고,

2019년 9월 Committee Draft에 통과하였다.

[표 2-5] 디지털 트윈 프레임워크 표준화[3]

표준(안) 명 내용
ISO/CD 23247-1,
Digital Twin framework for 디지털 트윈 제조에 대한 개요와 디지털
manufacturing 트윈 제조 프레임워크 개발에 필요한
Part 1: Overview and general 가이드를 제공하기 위한 일반 원칙 정의
principles

- 16 -
정보 모델링, 인루프 시뮬레이션, 정보
ISO/CD 23247-2,
교환 및 정보 객체의 인식 관점에서
Digital Twin framework for
디지털 트윈 제조 실현을 위한
manufacturing
요구사항과 용어 정의를 포함하는 참조
Part 2: Reference architecture
구조 정의
ISO/CD 23247-3,
Digital Twin framework for
제품, 공정 및 자원 정의를 포함한 외부
manufacturing
정의된 제조 요소를 해당 특성과
Part 3: Digital representation
매핑하여 트윈을 위한 디지털 표현 제공
of physical manufacturing
elements
ISO/CD 23247-4, 디지털 방식으로 표현된 트윈의 정보
Digital Twin framework for 동기화, 정보 교환 및 정보 관리를 위한
manufacturing 네트워크 프로토콜, API, 기술 언어 등을
Part 4: information exchange 정의

ISO 10303 공업 자동화 시스템_제품 데이터 표현/교환 표준화

과정의 제정중에 있으며 이는 설계의 형상 데이터 뿐만 아니라,

수치 제어 데이터 및 재료표, 부품종류 등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

를 대상으로 초기설계에서 상세 설계, 시험, 생산, 지원에 이르는

제품 라이프사이클 전반에 걸쳐 필요한 전체 데이터를 표현하고

교환하기 위한 규격이다.

ISO 23704 디지털 트윈 기술을 적용한 물리 제어 기반의 스마트

공작기계에 대한 표준이 제정되었다.

2.4 현재 기술의 한계점


현재 디지털 트윈 시스템은 글로벌 기업이 주도하며, 국내기업은

시작 단계이다. 국내 기업은 기술적으로 초기단계이기 때문에 개

별 시스템별 관리부서, 유지보수 등 효율적 관리체계가 미비하다.

- 17 -
기존 설비 및 시설물의 노후화로 인한 호환성 및 비용문제 또한

존재하며 이 때문에 일부 대기업을 중심으로 도입중이다.

국내 공급 기업마다 디지털 트윈에 대한 정의와 구축 방법이 각

자 상이해 디지털 트윈에 대한 합의가 부족하며, 복합적 기술과

데이터가 필요하기 때문에 특화된 부분만을 강조하며 공급하고 있

다. 또한 디지털 트윈은 운영중인 시스템에 다양한 감지센서와 네

트워크가 결함됨에 따라 관리해야할 요소들의 증가와 함께 오작동

가능성이 증가 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 플랫폼을 신중히 결정하여

야 한다.

제 3 장 실시간 감시 시스템 설계

3.1 안전관리를 위한 실시간 감시 시스템 구성도


재난 상황에 대한 신속한 식별 및 대응이 가능한 지능화된 실시
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IoT 센서 데이터 기반

의 재난의 상황별 분류와 수집된 데이터의 딥러닝 처리가 가능한

IoT 융합 플랫폼, 처리된 데이터의 상황 및 재난 예측을 3D 디지

털화 시켜 종합관제실의 효율적인 인력·설비·재난상황 관리 방안

을 제안한다.

- 18 -
[그림 3-1] 시스템 구성도

[그림 3-1]은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5G와 디지털 트윈을 기반으

로 한 실시간 감시 시스템 구성도이다. 상황정보 수집을 위하여

온/습도·진동·미세먼지/공기질·열감지·수위 센서가 내장된 지능형

CCTV로 데이터를 상황별로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안전관리용 IoT 플랫폼을 구축한 후 딥러닝하여 상황에 대한 정보

를 추론한다. 재난상황 이벤트 값이 발생하면 구축된 안전관리 플

랫폼을 통하여 탐지된 상황을 3D기반 디지털트윈 플랫폼에 상황

을 인식한 후 알리며, 발생한 상황 이벤트 값의 정보를 추가해 안

전관리 감시 시스템의 지식베이스가 확장되도록 한다.

- 19 -
[그림 3-2] 서비스 구성도

[그림 3-2]는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실시간 감시 시스템의 서비스

구성도이다. 다양한 이벤트 상황을 고려한 상황판 서비스 제공을

위해 서비스는 각각 對시민 서비스와 관리자 서비스로 분류하였

고, 각 서비스는 안전, 기능, 성능의 3가지 측면으로 구분된다.

3.2 적용 대상 및 범위 설정
건물 및 시설물은 여러 가지의 단위 시스템 (HVAC, 엘리베이

터, 전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스템의 연동시 전체적인 시

스템관제가 가능하다. 시작 단계로 센서를 통한 건물 보조 지표를

관리하고, 향후 건물 시스템과의 AI, 빅데이터 연동을 통한 완벽한

건물 데이터 수집/관리/개선 그리고 자동화된 디지털 트윈 기반

건물 제어가 가능하다.

- 20 -
[그림 3-3] 적용대상 및 범위 분석

[그림 3-3]과 같이 건물 내 지능형 센서 (진동, 화재, 전기, 온/습

도, 미세먼지, 출입통제 등)를 통한 실시간 건물 보조 지표 작성

및 데이터 수집 분석 및 추후 타 시스템/센서 연동도 가능도 가능

하다.

3.3 안전관리 시스템을 위한 IoT 부문 설계


건물 및 시설물 안전관리용 IoT 장비를 설치하기 위해 [그림

3-4]와 같이 상습 침수지역, 노후 시설물, 화재 취약지역, 인원 밀

집지역 등의 현행 환경 분석을 우선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사전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집중 감시할 사항 및 이에 대한 환경 인터

페이스를 정의한다.

- 21 -
[그림 3-4] 설치 환경 분석

요구사항 및 인터페이스가 정의되면 센서 및 플랫폼을 설계하고

설계 내용을 기반으로 개발을 실시하게 되며, 설계 순서도는 [그림

3-5]와 같다.

- 22 -
[그림 3-5] IoT 부문 설계 순서도

설계 후 개발된 시스템은 가동 후 설치된 IoT 장비의 센싱정보

를 통해 실시간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 23 -
3.4 통합 관제를 위한 디지털트윈 부문 설계
IoT센서에서 발생되는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성능확인·운영환

경 도출·반복 시뮬레이션·현실적인 가시화 기능을 표현하기 위해

본 절에서는 디지털트윈의 설계 과정을 나타내고자 한다.

공공건물에 존재하는 다양한 표준 운영절차인 화재예방 안전수

칙, 시설물 관리 지침, 보안관리 지침, 재난관리 및 대응지침 등과

관련해서 구축된 디지털 트윈 플랫폼과 연동해 업무절차를 디지털

화하여 플랫폼에 적용하고 실제 이벤트에 맞춰서 디지털화된 표출

이 가능하다.

또한 공공건물 표준운영절차인 SOP(Standard Operating

Procedures)를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와 연결해 업무

자동화를 통한 디지털 트윈 플랫폼과의 연동으로 AI 기반의 SOP

적용 및 능동적 디지털 표출이 가능하다. 설계 순서도는 [그림

3-6]과 같다.

- 24 -
[그림 3-6] 디지털 부문 설계 순서도

3.4.1 업무 분석 및 설계

착수 및 분석과정이 완료되면 디지털트윈의 인터페이스, 개발대

상, IoT융합 플랫폼을 설계해야 한다. 설계내용은 [표 3-1]과 같다.

[표 3-1] 업무 분석 및 설계내용

구분 설계 내용
1 IoT 융합 플랫폼과 연동 인터페이스
2 재난/화재 시뮬레이션 연동 인터페이스
3 CCTV 시스템 연동 인터페이스
4 클라우드 관제 플랫폼 인터페이스
5 IP Wall 인터페이스
6 타 시스템 연동 인터페이스
7 프로그램별 개발계획 수립

- 25 -
3.4.2 프로그램 개발

업무 분석 및 관련 인터페이스, 플랫폼의 설계 이후 디지털트윈

내부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한다. 개발 내용은 [표 3-2]와 같다.

[표 3-2] 프로그램 개발 내용

구분 개발 내용
1 디지털트윈 엔진(이벤트, 3D, DB, 통계 기능)
2 재난/화재 시뮬레이션
3 재난/화재 플랫폼
4 3D 관제 클아이언트
5 AI기반 SOP 기능(SOP 수집/분석, 룰 엔진)
6 IoT설치 환경 3D모델링 및 리소스 개발
7 오브젝트 변경
8 3D 모델 Optimization
9 3D리소스 개발 및 연동

3.4.3 서버 플랫폼 설계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한 서버 플랫폼 설계과정을 [그림3-7]과 같

이 나타내었다. 리눅스 기반의 OS에 Node JS, My SQL, Python,

R, AM chart를 활용하여 데이터들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플랫폼을 설계하였다.

[그림 3-7] 서버 플랫폼 설계도

- 26 -
3.4.4 공간정보 구축

시스템의 공간정보를 구축하고 3D 기반의 통합 감시 시스템을

위해 [그림 3-8]과 같이 총 3단계의 프로세스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림 3-8] 공간정보 프로세스

첫 번째로 도면 및 실사 기반의 3D 모델을 제작하여야 한다. 표

준화된 모델링을 통한 실사 기반의 3D 모델 제작을 하고, 다양한

3D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본 논문에서 구축할 내용에 맞는 객체


를 제작한다.

두 번째로 구역 설정 및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정

보를 입력하여야 한다. 도면 및 실사 기반으로 제작된 3D 모델을

배치시킨다. 시스템의 관제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관제 영역 및

작업 영역 등 공간 관리용 구역을 각각 배치하고 위치 정보 표현

을 위한 GIS 정보를 설정해준다. 추후 센서 및 카메라의 상태표출

을 위한 설정을 병행하여야 한다.

세 번째로 데이터 취합 및 3D 모델을 매핑하여야 한다. 세 번째

- 27 -
단계에서는 제작된 3D 모델링을 표출해주는 단계이며, 이는 5G,

블루투스 등과 같이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한 실시간 장비 위치를

관리해주고, 센서데이터를 이용한 실시간 건물 상태 확인 및 이벤

트 발생시 알람 기능이 포함된다.

3.4.5 가동

디지털 트윈 기반 감시 시스템의 개발 이후 원활하고 안정적인

가동을 위해 단위테스트를 실시해야 한다. 이후 테스트 상 문제점

을 보완하며, 관리자가 이해하기 편하도록 매뉴얼 작성을 병행토

록 한다. 모든 작업이 완료되면 가동을 실시한다.

- 28 -
제 4 장 구현 및 평가
4.1 실시간 감시 시스템 구성도
IoT와 디지털 트윈의 융합으로 모니터링 시스템을 가동하면 아

[그림 4-1]과 같은 화면이 표출된다.

[그림 4-1] 감시 시스템 관제 개요도

좌측의 기존 2차원 도면 기반 CCTV 시스템과 다르게, 통합 플

랫폼을 구축하여 건축물, 지리 정보, 재난정보 등을 포함하는 3차

원적인 관리가 가능하고, 재난에 대한 능동 대처가 가능하며, 정보

업데이트가 간편한 점이 특징이다.

기간 시설물을 표현하기 위하여 객체모델기술인 BIM 및 GIS 연

계 기술을 사용하였으며, 통신·센서·데이터를 경량화해 통합하여

플랫폼 구축을 연구하였다.

지능형 컴퓨터 모델로써의 통합 플랫폼은 현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재난·재해·위험 상황을 컴퓨터로 시뮬레이션 함으로써 결과

를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능동 대처가 가능하다.

- 29 -
4.2 실시간 감시 시스템 프로세스
설치된 기간 시설물 맵을 기반으로 다양한 재난 정보(침수, 화재,

시설물 정보) 등을 오버레이 형태로 각각 표출하여 시인성을 높혀

원하는 정보만 필터링 해서 열람하게 할 수 있다.

재난 발생 시 실시간으로 지도 전체 감시 맵에 표출해주며, 발생

된 데이터의 통계데이터를 지도에 함께 표출해 준다.

[그림 4-2] 맞춤별 상황판 구성

- 30 -
4.3 감시 시스템의 영상정보 연동
설치한 건물을 대상으로 3D Map 구현 및 감시대상에 대한

CCTV 화면을 표출해 이벤트 및 장애시 자동으로 팝업창을 호출

하게 된다. 순찰 노선에 대한 공간 정보를 활용해 가상 순찰이 가

능하고, 건물 내 재난 발생 시 시나리오에 따른 반복 학습으로 대

응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3D Map 상 카메라 장비에 따른 PTZ

컨트롤 UI 제공 및 제어 연동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림 4-3] 감시 시스템 지능형 영상정보 연동

- 31 -
제 5 장 결론

본 논문에서는 5G 디지털 트윈을 기반으로 한 안전 관리용 실시

간 감시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방안을 제시하였다.

건물 3D 모델링을 통한 실시간 공공건물 3D 통합 건물관제를

구축하고, 다양한 건물기반 서비스인 쾌적 환경 서비스, 건물 관

리, 구조물 안전 서비스, 화재 안전 서비스를 위한 온습도, 미세먼

지, 상태 모니터링, 진동, 기울기, 화재 경종 울림 Detect 디바이스

의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표출 하며, 추가로 구축된 공공건물 3D

모델링에 맞게 화재/재난 시뮬레이션을 개발하여 재난 발생 시, 공

공건물의 대시민 안전 서비스를 구축하고 디지털 트윈 표출을 통

한 신속한 대피 시간/경로를 계산하고 표출하여 상시 재난 방지/

예방 서비스를 구축한다.

본 논문에서 설계한 시스템은 실시간 기반의 IoT 센서 데이터

연동 및 향후 건물 시스템 연동이 가능하도록 표준화된 인터페이

스와 용량을 통한 확장성을 확보하였고, 향후 4차 산업 기술이 도

래함에 따라 그에 따른 관련기술인 5G, AI, 빅데이터, IoT, AR/V

R등의 신기술이 발달됨에 따라 실제 우리생활에 접목되는 새로운

SW신기술이 창출될 것이며, 산업의 차세대 원동력이 될 것이다.

- 32 -
참고문헌
[1] 건축공사 현장의 BIM 활용성 분석 쌍용건설 기술연구소 2017.

(Vol.74) (2017-06) 김현중

[2] 권오철, 조주원. “인공지능을 활용한 BIM 건축공간설계의 정량적 비


교방안 - 결정트리와 전문가시스템 중심으로”, 한국CDE학회 논문집, pp.

34-44, 2020. 03

[3] 디지털 전환의 핵심, 디지털 트윈 -제조와 도시를 중심으로- 장예지


[4] 디지털 트윈 시장 성장 전망 Market Research Future, 2018. 6)

[5] 김익재. “가상 현실 기술 동향”, 방송과 미디어, pp. 51-60, 2016. 04

[6] 박윤미. “동기화 사회, 디지털 트윈”, 환경논총, pp. 15-25, 2020. 03
[7] 박준환, 박경진. “여성 게이머를 위한 가상현실 복합사용성 연구 -

HMD 착용감 개선을 중심으로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pp. 147-158,

2019. 06
[8] 박시은, 김주섭. “HMD 기반의 VR 전시 경험 향상을 위한 2.5-D 전

시 콘텐츠 재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pp.

653-661, 2020. 04
[9] 사물인터넷(IoT) 관련 유망산업 동향 및 시사점 – 박해영

[10] 서봉상, 지학송.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공간정보(Digital Twin)", 전

자공학회지, pp. 20-24, 2019. 03


[11] 스마트시티의 성공을 위한 디지털트윈 적용방안

[12] 스마트제조 R&D 로드맵 19. 03

[13] 신승엽, 장태수, 우운택. “증강현실 동향과 전망, 증강 도시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통신학회 한국통신학회지, pp. 29-34, 2018. 12

[14] 안길재, 고대식. “브이월드를 활용한 Photogrammetry 3차원 공간모

- 33 -
델 재구성과 도시 3D 콘텐츠로의 이용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콘텐츠

학회 논문지, pp. 119-126, 2019. 01


[15] 윤수원, 김병곤, 최종문, 권순욱.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BIM 서비

스를 위한 BIM 서버 기반의 뷰어 개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pp.

1719-1730, 2013. 07
[16] 전필성. “디지털트윈 기술 및 특허동향”,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

문집, pp. 969-984, 2019. 12

[17] 조영임. “빅데이터의 이해와 주요 이슈들”,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pp. 43-65, 2013. 09

[18] 조영태, 박신원, 이상훈, 오명택, 이진희. “LH 스마트시티 미래비전

및 추진전략”, LH 토지주택연구원, pp. 1-224, 2018. 10


[19] 최근경, 강진석, 노병희. “혼합현실(MR)-사물인터넷(IoT) 융합 재난

대응 인공지능 응용기술”, 한국통신학회지, pp. 31-38, 2019. 04

[20] 표철식, 강호용, 김내수, 방효찬. “IoT(M2M) 기술 동향 및 발전 전


망”, 한국통신학회지, pp. 3-10, 2013. 07

[21] 한국정보화진흥원. “AI·데이터가 만드는 도시 데이터 기반 스마트도

시-해외사례를_중심으로”, pp. 1-114, 2019. 08


[22] 홍창희, 김성식, 백남철, 김영록, 윤천주, 박승화, 정승현, 김지은.

“도시/건설분야 디지털트윈 기술 기획 연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p.

1-125, 2018. 12
[23] 5G 서비스 구현 기술의 이해- 김학용

[24] (160호)_과학기술_ICT_정책기술동향_1

[25] A.Armougum, E.Orriols, A.Gaston-Bellegarde, C. Joie-LaMarlea,


P.Piolino. “Virtual reality : A new m ethod to investigate cognitive

load during naviga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pp.

- 34 -
101-338, 2019. 08

[26] ETRI 표준화 소리 19. 05


[27] Gartner Hype Cycle for Emerging Technologies, 2018. 08

[28]GE. “The Digital Power Plant", pp. 1-6. 2017. 09

[29]IBM. “Watson IoT".


[30] LG CNS. “LG CNS 스마트시티”, pp. 1-9

[31] POSCO O&M. “POSCO O&M_brochure(kor)", pp. 1-97

- 35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