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

기계공학도를 위한 측정공학

제 2 장 버니어 캘리퍼스

기계 현장에서 공작물의 길이를 측정할 때 가장 먼저 접하는 길이 측정기로 버니어


캘리퍼스가 있다. 주로 일반 공작기계의 황삭, 중삭용 치수 측정에 주로 이용되고, 최
버니어 캘리퍼스는(Vernier Caliper) 소측정치는 버니어의 눈금에 따라 0.05mm와 0.02mm로 측정대상물에 접촉하여 직접
는 1542년 포르투갈(Portugal)의 승려 측정하는 측정기이다.
페드로 누네츠(Pedro Nunez)에 의해 불
제2장 버니어 캘리퍼스 완전한 모양으로 발명되었고, 오늘날 2. 1 구조와 명칭
사용하고 있는 모양은 1631년에 피터
워너(Peter Werner)에 의해 발명된 것
2. 1 구조와 명칭 버니어 캘리퍼스는 KS B 5203에 M1형, M2형, CB형, CM형의 4종류(그림 2-1, 2-2,
인데, 그 이론은 이미 1611년에 크리스
2-3, 2-4)가 있으며,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최대 측정 범위는 1000mm인
2. 2 버니어의 원리와 읽기 방법
트 크라비어스(Christ Clavius)에 의해
것도 있다.
2. 3 버니어 캘리퍼스 측정실습 세워졌었다. 그리고 노기스란 말은 독
일어의 nonius의 변형으로 아들자를 의
미한다.

그림 2-1 M1형 버니어캘리퍼스


M1형 버니어 캘퍼스의 측정 종류
① 단차측정, ② 외경측정, ③ 내경측정, ④ 깊이측정

24 제 2 장 버니어 캘리퍼스
기계공학도를 위한 측정공학 기계공학도를 위한 측정공학

그림 2-2 M2형 버니어캘리퍼스


그림 2-3 CB형 버니어캘리퍼스
M형 버니어캘리퍼스는 외경측정에 턱으로 내경 측정에 주둥이를 이용한다. 그리고
깊이자(depth bar)로 깊이를, 머리 부분으로 단차의 측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M2형은
M1형과 비교하여 그 차이는 미동 이동장치를 가지고 있다.
그림 2-3과 같은 CB형은 브라운 샤프형 또는 스타렛트형이라고도 불린다. 아들자가
상자 형태로 되어 있고 턱의 내측과 외측의 양방향이 측정면으로 되어 있다. 내측 측
정의 경우 5mm 이내의 내경 등은 잴 수 없다. 더구나 깊이를 재는 깊이자는 없지만
M2형과 마찬가지로 미동 이송장치가 있다. 어미자의 앞면에 외측 눈금, 뒷면에 내측
눈금이 붙어 있다.
그림 2-4와 같은 CM형은 독일형 또는 모젤형이라고 한다. 슬라이더는 M형과 마찬가
지로 홈형이며 측정면은 CB형과 같이 턱의 내․외 양측이다. 버니어가 어미자의 상하에
붙어 있고 상측이 내측 측정용 눈금, 하측이 외측 측정용 눈금으로 되어 있다.
실제로 측정할 경우 버니어와 이송정지나사를 느슨하게 하고 피측정물을 물리는 위
치까지 아들자의 턱을 전진한다. 그리고 그의 위치에서 이송정지나사를 조이고 이송바
퀴 및 이송나사에 의해 미조정하면서 눈금을 읽는다. 이것은 미동 조정장치에 붙어 있
는 M2형, CB형과도 같다.
그림 2-4 CM형 버니어캘리퍼스

제 2 장 버니어 캘리퍼스 25 26 제 2 장 버니어 캘리퍼스


기계공학도를 위한 측정공학 기계공학도를 위한 측정공학

그 밖에 그림 2-5와 같이 인사이드 버니어캘리퍼스가 있으며 이것은 깊은 구멍 내의 조합하여 넣고 또한 측정치는 액정 표시판에 수치(디지털)로 표시하여 측정의 결과를
단 부분 측정에 적합하다. 또한 그림 2-6은 둥근 구멍 피치 버니어캘리퍼스로는 동일 쉽게 읽을 수 있도록 한 디지털 버니어켈리퍼스 등도 사용되고 있다.
지름 구멍의 사이각이나 단면으로부터 구멍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그림 2-7은 기어
용 버니어캘리퍼스로 기어의 이 높이와 이 두께를 측정한다. 각각 별도의 눈금이 있다.
그림 2-8은 깊이형 버니어캘리퍼스이며 심공 또는 두 평면 높이차 등을 측정할 때 사
용한다.

그림 2-9 액만상사의 JOCAL 그림 2-10 일본 측정공구의 MAXCAL

그림 2-5 인사이드 버니어캘리퍼스 그림 2-6 둥근 구멍피치 버니어캘리퍼스 랙과 피니언식 버니어 캘리퍼스 본체에 접촉식 로타리 엔코더를 넣은 것도 있다. 그
리고 버니어캘리퍼스 어미자에도 슬라이더(간극 0.1mm) 반대면을 전극화하고 정전 용
량식 검출기로 한 타입도 있다. 이렇게 전자화 된 버니어캘리퍼스는 전원으로 수은전
지를 사용한다. 액정표시는 보통 5자리이고, 정도는 ±0.02mm가 일반적이다.

2. 2 버니어의 원리와 읽기 방법

2. 2. 1 버니어란
버니어캘리퍼스는 스케일에 버니어(아들자)을 붙인 것으로 거친 눈금과 세세한 눈금
을 조합하여 그의 눈금 차에 의해 작은 값을 읽어 내는 것이다.
그림 2-7 기어용 버니어캘리퍼스 그림 2-8 깊이형 버니어캘리퍼스 예를 들어 그림 2-11과 같이 스케일의 9눈금, 결국 9mm를 10등분한 것으로 하면 1
눈금은 0.9mm이다. 1mm 스케일을 어미자라 부르며 9mm를 10등분한 것을 버니어라
버니어 캘리퍼스는 간편한 측정기인 반면에 사용방법에 따라 접촉오차나 시차에 의
한다.
한 측정오차가 생기기 쉽다. 또한 측정압을 일정하게 하기위한 정압장치가 없으므로
연한 물체의 측정 시 과다한 측정압에 의한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버니어에 의해 읽어 얻는 것을 확실하고 더 신속히 측정결과를 얻는 방법은 개량되
어진 다이알식 버니어 캘리퍼스가 있다. 이것은 일반 버니어 캘리퍼스 본척에 연해서
랙이 끊어져 있어 그것에 맞물리는 작은 기어로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며, 원형 눈금 위
를 지침이 회전한다. 측정치는 직접 다이얼 위에서 읽을 수 있다.
최근 측정기 경향은 뭐니 해도 디지털화이다. 그림 2-9, 2-10과 같이 엔코더나 LSI을
그림 2-11 버니어 눈금 원리

제 2 장 버니어 캘리퍼스 27 28 제 2 장 버니어 캘리퍼스


기계공학도를 위한 측정공학 기계공학도를 위한 측정공학

그림 2-11에서 알 수 있듯이 어미자의 1눈금과 아들자의 1눈금 사이에는 0.1mm씩


어긋나고 있다.
처음은 어미자와 아들자의 0눈금이 맞았다고 하자. 이제 오른 쪽으로 조금씩 움직여
버니어켈리퍼스의 눈금차(최소 측정단위)의 증명
서 어미자의 1mm의 선과 아들자의 첫 번째의 선이 일치했다고 하면 아들자 쪽이
A를 본척의 한 눈금, B를 버니어의 한 눈금,
0.1mm 작기 때문에 0.1mm의 틈이 생긴다.
C를 본척과 버니어의 한 눈금차 (최소 측정단위)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림 2-12 버니어 눈금 원리    
 

그림 2-12와 같이 어미자의 4mm 선과 아들자의 5번째 선이 만나면 어긋남은 0.4mm 즉, 눈금차 C는 본척의 한 눈금을 버니어의 눈금수로 나눈 값이다.
가 된다. 이와 같이 어미자보다 작은 값으로 눈금이 나뉜 아들자를 이용하여 그 차에
의해 작은 치수를 읽으면 이것이 버니어의 원리이다. 이것은 9mm를 10등분한 것이기
때문에 0.1mm까지 읽을 수 있지만 19눈금(19mm)을 20등분한다면 1눈금이 19/20=0.95 2. 2. 2 버니어 눈금의 읽기 방법
가 된다. 즉, 아들자의 1눈금은 0.95mm라는 것이다. 1mm-0.95mm=0.05mm, 결국 5/100 어미자 눈금에 어미자 눈금과 버니어 눈금이 합치한 곳의 버니어 눈금을 플러스하여

=1/20=0.05mm까지 읽을 수 있다는 것이다. 아들자에 1/20mm로 눈금이 나뉜 것은 측정치를 읽는다. 예를 들어 설명하자. 그림 2-13과 같이 ● 표시한 곳의 눈금이 합치

0.05mm까지 읽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어미자의 49mm를 50등분한 버니어 눈금을 붙 하고 있다. 어미자의 눈금선과 버니어의 눈금선이 반드시 합치하면 좋지만 어떤 눈금

이면 1/50=0.02mm가 되어 2/100까지 읽을 수 있는 버니어캘리퍼스가 된다. 또한 49mm 선과도 합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대신에 24.5mm를 50등분하면 0.5/50=1/100mm를 읽어 낼 수 있다. 1/20mm 읽기로 어미자 눈금선의 사이에 버니어 눈금선이 2개 들어 있고 예를 들어

이와 같이 어미자의 길이를 바꾸고 버니어의 눈금을 여러 가지로 바꾸므로 최소 읽 70.50mm와 70.55mm 사이의 값으로 판정할 수 있는 경우는 70.52mm 또는 70.53mm로

기 길이를 바꿀 수 있다. 표 2-1은 버니어 눈금의 종류를 나타낸 것이다. 읽는다. 또한 1/50mm 읽기로 어미자 눈금선 사이에 예를 들어 0.04mm의 2개의 버니
어 눈금선이 들어 있을 때는 0.05mm로 읽는다.

표 2-1 버니어 눈금의 종류 종래 버니어캘리퍼스로 치수를 측정하는 목적은 기계가공 도중에 대략적으로 그 치
수를 알고 그 후에 어느 정도 가공을 계속하면 좋은 가의 어림으로 하고자 할 때든지
본척의 최소 눈금(mm) 버니어의 눈금 등분방식 최소측정단위(mm)
마이크로미터 등으로 한 단계 높은 정도 측정을 하고 싶은 경우에 어떤 마이크로미터
12 mm를 25등분
0.5 를 사용해야 하는 가의 선택을 위해 혹은 0.05㎜의 읽기 오차 방지의 전 단계 중 어느
24.5mm를 25등분 1/50=0.02
49 mm를 50등분 것일 것이다.
1 19 mm를 20등분
1/20=0.05
39 mm를 20등분

제 2 장 버니어 캘리퍼스 29 30 제 2 장 버니어 캘리퍼스


기계공학도를 위한 측정공학 기계공학도를 위한 측정공학

2. 3 버니어 캘리퍼스 측정실습

1) 실습 목표
(1) 버니어 캘리퍼스의 구조와 사용 방법을 배운다.
(2) 버니어 캘리퍼스를 사용하여 내측, 외측, 깊이 및 단차측정의 오차를 최소
측정단위 범위 내에서 측정할 수 있다.

2) 사용 측정기기 및 공구
(1) 버니어 캘리퍼스 (3) 면걸레(300×300)
(2) 측정 시편 (4) 방청유(WD-40)

그림 2-13 눈금의 읽기 방법 1 3) 안전 및 유의사항


(1) 버니어 캘리퍼스를 사용하기 전에 측정면, 아들자면, 눈금면 등을 깨끗이 닦
아내고, 각부에 손상이 없는지를 점검한다.

(2) 버니어 캘리퍼스의 측정면에 먼지가 있으면 2 5(μm)의 오차가 발생한다.
(3) 아베의 원리에 따른 구조가 아니므로 그림 2-14와 같이 되도록 어미자에 가
까운 조의 안쪽을 택하여 측정하도록 한다.
(4) 내측 측정 조, 외측 측정 조, 깊이 바의 측정면은 그림 2-14와 같이 측정할
요소에 정확히 맞닿도록 한다.

그림 2-13 눈금의 읽기 방법 2 그림 2-14 선반작업에서의 내경측정 그림 2-15 내경측정의 접촉오차

제 2 장 버니어 캘리퍼스 31 32 제 2 장 버니어 캘리퍼스


기계공학도를 위한 측정공학 기계공학도를 위한 측정공학

(5) 안지름 측정에는 최대값, 홈의 간격 측정에는 최소값을 택해야 한다.


(6) 버니어 캘리퍼스로 금긋기를 하거나 망치로 사용해서는 안된다.
(7) 다른 공구 등에 부딪혀서 측정면, 조의 선단 등이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8) 눈금을 읽을 때는 시차에 주의해야 한다.

4) 측정 작업 순서
(1) 버니어 캘리퍼스를 점검한다.
① 고정 나사를 푼다. 그림 2-17 Abbe의 오차
② 측정면, 조의 슬라이드면, 눈금면 등을 깨끗이 닦아서 먼지나 기름을 제
거하고 상처가 있는지 확인한다. 그렇지 않으면 안내면의 불진직에 의한 Abbe's error(f)가 발생된다.
③ 조를 닫은 상태에서 버니어 눈금이 0점에 일치되었는지 확인한다. 또한
광선에 비춰 틈새 유무를 확인한다. 광선이 약간 보일 정도면 3 ~5(㎛) 
     

정도의 틈이 생긴 것이다.
④ 작은 측정물은 왼손에 잡고, 큰 공작물의 경우는 왼손에 어미자의 조를
잡고 오른손 버니어 캘리퍼스의 슬라이더를 조작한다.

(3) 버니어 캘리퍼스의 눈금을 읽는다.


① 측정물을 끼운 상태 그대로 눈금선의 정면에서 바라보고 눈금의 일치점
을 찾는다.
② 올바른 눈의 위치에서 눈금을 읽을 수 없는 곳의 측정은 슬라이더를 고

그림 2-16 틈새 검사 정 나사 고정한 후, 공작물에서 조심스럽게 버니어 캘리퍼스를 빼내어 눈


금을 읽는다.
(2) 버니어 캘리퍼스로 공작물을 측정한다. ③ 아들자 눈금의 0점 선에서 어미자 눈금의 (mm)단위를 읽고 난 다음에,
① 측정물을 안정된 상태로 놓는다. 어미자 눈금과 아들자 눈금이 일직선으로 일치되어 있는 아들자의 눈금
② 슬라이더를 이동하여 양 측정면의 사이를 공작물보다 크게 벌린다. 으로 부터 1(mm) 이하의 치수를 읽는다.
③ 버니어 캘리퍼스는 그림 2-17과 같이“표준자와 피측정물은 측정방향(측 ④ 위와 같은 방법으로 반복 측정하여 평균 측정값을 측정 기록표에 기재한다.
정축)에 있어서 같은 직선상에 있을 것”이라는 아베의 원리(Abbe’s
principle)에 맞는 구조가 아니므로, 어미자의 측정면을 측정면에 접촉시 (4) 측정물 및 공구를 정리 정돈한다.
키고 오른손 엄지로 슬라이더의 측정면을 서서히 밀어 가능하면 깊게 ① 측정 공구를 정리한다.
물린다. ② 버니어 캘리퍼스를 깨끗이 닦고 점검한 후 방청유를 발라 보관한다.

제 2 장 버니어 캘리퍼스 33 34 제 2 장 버니어 캘리퍼스


기계공학도를 위한 측정공학 기계공학도를 위한 측정공학

5) 결과 및 고찰
(1) 아들자의 눈금 기입 방법과 최소 눈금값에 대하여 알아보자. 과제 : 버니어 캘리퍼스로 길이 측정하기
(2) 측정면과의 접촉 상태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고찰하여 보자.

제 2 장 버니어 캘리퍼스 35 36 제 2 장 버니어 캘리퍼스


기계공학도를 위한 측정공학

측 정 기 록 표
피측정물 번호 (a) : , (b) :

측정 부위 공 차 1 회 2 회 회
3 4 회 5회 평균값
a-A ±0.05

B ±0.05

C ±0.05

D ±0.05

E ±0.05

F ±0.05

G ±0.05

b-H ±0.02

I ±0.02

J ±0.02

K ±0.02

L ±0.02

M ±0.02

제 2 장 버니어 캘리퍼스 37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