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2

2주차 2교시

약 용량 결정
시간에 따른 약 농도의 변화
• 혈액 속 약의 농도는 시간에 따라 변한다.

• 약의 농도가 치료에 적합한 범위에 머무르도


록 적절한 시간에 적절한 용량을 투여하여야
된다.
한 번 투여하였을 때 약 농도의 변화

농도

0 1 2 3
시간
반복 투여하였을 때 약 농도의 변화

농도

0
시간
적합한 약 용량

• 반복 투여하였을 때 머무르는 약 농도가 치료


에 필요한 농도에 있도록 용량을 정함
– 한번에 투여하는 용량을 늘이면 농도가 증가한다.
– 투여 간격을 좁히면 농도가 증가한다.
– 따라서 1회 투여 용량이나 투여 간격을 환자가 임의로 바꾸면
치료 효과를 얻지 못하거나 독성이 나타날 수 있다.
초기 부하 용량과 유지 용량

• 원하는 혈중 농도에 머무르도록 반복 투여하는 약


의 1회 용량을 유지 용량이라고 한다.

• 원하는 농도에 빨리 도달하도록 맨 처음에 많이


투여하는 용량을 초기 부하 용량이라고 한다.
초기부하용량

약 농도

0
시간
용량 조절
• 약의 투여량은 “평균 환자”를 기준으로 정한다.

• 환자에게 맞춘 용량이 아니라 환자의 특성이 무


시된 용량이므로, 약을 투여한 후 환자를 잘 관찰
하고 필요에 따라 용량을 증감한다.
약 용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

• 나이
• 성별
• 체격의 크기
• 대사 속도
• 질병
• 다른 약물과의 상호작용
• 거주 지역의 고도
약의 최대 효과와 안전역
• 약의 양을 증가시키면 점
차 효과가 커지지만 최대
효과
독성 효과에 도달하면 더 이상
커지지 않는다.

• 약의 양을 증가하면 독성
도 따라서 커진다.
0 1 10 100
약 농도
• 약효를 충분히 얻는 양과 독성
이 나타내는 양 사이의 간격
약 효과 또는 독성

효과
(안전역)이 넓을 수록 약을 안

독성 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 실제로 임상에서 사용되는 약
의 양은 이러한 중간 영역에
0 1 10 100
약 농도 해당되는 양이다.
2교시를 마쳤습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