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54

3 -

1 , 4-1 , 4 -
2
,

51.5-2 ,
6-1 ,

7-1 ,
8-2 9-2
, ,

11-1 , 121,122
131 132,1¢ ㅓ
3-1. 해방 후 사회와 10월 항쟁
한국현대사의 이해 / 신유진
공지 사항
과제 I (20%) - 제출 기한: 10월 31일 밤 12시까지
주제: 좌우갈등의 원인

• 분량: 2쪽 (표지 x, 제목 작성, 글자 10pt, 줄간격 160%)


• 참고문헌 및 각주 작성
• eTL 게시판에 제출
해방 정국...
폭력 암살
테러

WHY?
강의 개요
ㄱ. 해방 이후 사회적 측면 ㄴ. 좌익 동향과 신전술
(1) 귀환민 문제 ㄷ. 9월 총파업
(2) 식량정책 ㄹ. 10월 항쟁
(3) 농지개혁
(4) 일본인 재산 처리
(5) 전력문제
Q. 왜 9월총파업, 10월 항쟁이 발생했나?
ㄱ. 해방 이후 사회적 측면
• 무역 단절, 이동 통제, 일본의 자본 기술 인력의 철수
• 생산 감소, 소비재 부족, 물가 상승, 실업률 증가

“기숙사는 지옥 같고, 호박죽은 썩었으며, 최근에 영양 부족과 피로로 30명이 죽었고, 약 40%가 폐
결핵 환자다. 여공들은 외출할 자유도 없고, 먼 곳에서 온 부모조차 면회할 수 없는 처지였다.”
-경성방직 노동자 수기-

1944.5 1656만

( 해외 한인 100만
1946.8 1936만
유입 . . .

)
역사상 단기간의 최고 수준 인구 이동
300만명 유입 .
ㄱ. 해방 이후 사회적 측면_(2) 식량정책

• 한반도 진주 전, 1945년도
일본인들이 돈 찍어 내고
풍작을 예상 들고 튕
- -
-

f .

• 일제의 통화 남발, 생산시


설 파괴, 기술자들의 귀환,
전시물자 방출
• 무역 단절, 생산력 급감, 물
자 부족, 귀환민 증가, 물가
폭등
ㄱ. 해방 이후 사회적 측면_(2) 식량정책

1945.10.5 ‘미곡의 자유시장에 관한 일반고시 제


해방 이후에는
1호’ 발표 = 자유시장 정책 도입!
mnnnnnnnnnnnn.nu
배급제였음 .

• 행정력 부족으로 미흡하게 통제하기보다


시장에 맡기는 것이 식량난과 물품난에
효율적이라 판단

• 건준의 식량 관리 및 영향력 무력화

• 중농이상층과 소, 빈농층으로 분화

• 모리배들의 매점매석으로 쌀 자취를 감춤.


ㄱ. 해방 이후 사회적 측면_(2) 식량정책
• 대도시 쌀부족 현상 심각
• 1945.12.19 겨울에 대비할 쌀 필요성 언급: “쌀을 소유한 모든 한국인들은 본인 가족들에게 필요한
양 이상의 쌀을 군정에 파는 것이 애국적인 행동이다”
• 쌀 최고가격제 공표 ->! 쌀 거래 암시장화
때문에 암시장 UP !

• 1946.1.25 미곡수집령 발표 쌀을 빼앗아 가겠다 !


ü 수집 목표량은 총수확 예상고의 30%, But 실적은 12.4%
ü 원인: 일제시기 통제정책에 대한 반감, 시장가보다 낮은 공출대급, 보상 물자의 결핍
ü 정책 부작용으로 3월부터 미가 급상승
ü 배급량 1일 2.5홉, 한 달에 3/4 말, 실제 소비량은 두 배
(1홉 0.2kg / 5홉 = 반 되 = 1kg / 10홉 = 2kg / 소말 = 다섯되 = 10kg / 대말 = 10되 = 20kg)
ㄱ. 해방 이후 사회적 측면_(2) 식량정책
ㄱ. 해방 이후 사회적 측면_(2) 식량정책
ㄱ. 해방 이후 사회적 측면_(2) 식량정책

“Rice, however, is more important than gold. Without it the farmer has
nothing to sell, and the artist has nothing to eat. If the farmer does not sell
his rice, the artist cannot paint his pictures, and the workmen can not
manufacture all the things that the farmer needs to make life livable. All
men exist for, and are dependent upon each other. … So it is most
important that rice, the hub of Korean economy, be marketed to that it will
be available to all Koreans at a price that insures the farmers’ livelihood,
and is within reach of all workman.”
ㄱ. 해방 이후 사회적 측면_(2) 식량정책
수집하는 곡식
H 여름에
.

1946.5 ‘중앙식량규칙 1호 하곡수집령’


Nerve
공포
• 경제안정과 물가 폭등 방지 위해 공출 필요
:
생산물을
• 각 시도의 행정기관을 총동원, 공출 시도 의무적으로
정부에게
• 식량사찰본부 통해 가택 수색 불응하는 중 . . .

이에게 벌금, 체형
• 협박, 회유, 강제 공출
• 미국산 과자나 물품 배급으로 회유
• 1946년도 공출 82.9% / 1947년도 97.1% 수집
술 과자 만들기 금지시킴 .TT
,
.
ㄱ. 해방 이후 사회적 측면_(3) 농지개혁

남 - 3.1제
북 - 3.7제
(f) 일제시제엔 지주에게 70%
거의
• 10.5 ‘최고소작료 결정의 건’
• 지주3 소작인 7로 소확물 분배
• 소작료 최고 1/3로 제한
• 농민들의 대환영
• 지주 토지소유권 보장
• 이남에서도 3.7제 요구 시위 ⇒ 한민당 .

• 농민 급진화 방지
ㄱ. 해방 이후 사회적 측면_(3) 농지개혁
N지주 참여 불가!
• 전농(전국농민조합총연맹, 1945.12.8) - 무상몰수 무상분배 요구 / 10월 항쟁 이후 세력 약화
• 1946.2 신한공사
-
설립(이전 동양척식회사) - 최대 토지 소유
• 1947.2 미군정 경제고문들과 신한공사 관리들, 농지개혁 법안 착수
• 1947.12 유상몰수·유상분배 개혁안 제출, 한민당 반대로 실패
• 1948.3 귀속농지 불하사업 착수, 8월 말 86% 분배 완료
• 총 분배 농지 = 전체 경지면적의 11.6%, 소작지의 16.7%에 불과
• 의의:
(1) 정부수립 후 농지개혁 실시가 불가피하게 됨 '
정부수립 후에도 농지개혁 필요성 쌩
(2) 입법의원에서 한국인에 의해 제시되었던 유상몰수 유상분배가 귀속농지 원칙으로 확정됨
(3) 농민들의 토지 소유욕을 충족시켜 단독선거에 유리하게 됨.
ㄱ. 해방 이후 사회적 측면_(4) 일본인 재산 처리

• 1945.9.25 일본 소유 국공유재산 all 동결

• 1945.12.6 법령 33호, 적산 미군정에 귀속 (자주관리운동과 그를 주도하는 좌파세력 무력화 목적)

• 귀속재산 처분 문제 - 국가적 주권 문제와도 연관

• 귀속기업체에 관리인 파견, 주로 일제 시기 상공인들

• 귀속재산 처리 연기, 미군정의 책임 회피

• 2차 미소공위 결렬 후, 1947.7~1948.4 귀속재산 불하 시작

• 목적: 자본주의 질서를 위한 기반 마련하기 위해 & 남한 지역에 사적 자본가 계급 창출하기 위해

• 나머지 귀속재산, 한국전쟁 발발 때까지 불하


ㄱ. 해방 이후 사회적 측면_(5) 전력 문제
ㄴ. 좌익 동향과 신전술 by 좌익 .

• 해방 이후, 미군정 협조 노선 유지
→ 미소공위에 기대를 걸며 임시정부를 향해 1946.7.27 ‘신전술’ 채택
활동 이유 : 공산당 고립 방지
.

• 1차 미소공위 결렬 + 미군정의 좌익
neuron
탄압
↳ 우의 탓이라 생각하고 . 미소공위 다시 열오라 운동
“지금까지 우리가 미군정에 협력하여 왔으며
이유명부를 수립하려면수세에서 적극적 공세로 전환
미군정을 비판함에 있어서는 미군정을 직접 미국의 힘이 필요하단
치지 않고 …. 간접적으로 미군정을 비판하 걸 알아서 정당방위의 역공세 .

였으나 앞으로는 우리가 이런 태도를 버리고


대중투쟁 요구 반미투쟁의 시작
미군정을 노골적으로 치자 …. 지금까지 맞
고만 있었으나 지금부터는 맞고만 있을 것이
인민위원회로의 정권이양 투쟁
아니라 정당방위의 역공세로 나가자. 테러는
테러로, 피는 피로써 갚자.” 북한과 같은 민주개혁 실시 요구
ㄷ. 9월 총파업
우 목표 '
• 9.1 경성철도국, 협의 없이 봉급
대한노총(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 - 전평 파괴 지급을 월급제에서 일급제로 변경
& 운수부 노동자 25% 감원 통고
VS 찬탁에 • 노동자들의 취소 요구, 13일부터
CO
좌 가세하면서도
정치적 움직임을
태업 시작
전평(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 - • 9.23 철도파업 시작
보임 기본적으로
.

노동자들의 대표체 7년에 협조


.

• 요구 조건: 식량 배급, 월급제, 임


그런데 노동자
• 최저임금제, 8시간 노동제, 노동 3권의 보장, 탄압 싱하1 .
금 인상, 감원 반대

노동자 경영참가, 조선인민공화국 지지 • 전국으로 확대, 전평 산하 노동조


퍼훱윊
합 참여, 총 30만 정도
• 미군정 협조노선 따라, 산업건설운동
ㄷ. 9월 총파업_변화 및 종결
‘점심 지급, 임금 인상(물가수당 월 2천원,
가족수당 1인당 월 9백원)’
대한노총
‘일급제 폐지와 월급제 실시’, ‘식량 배급(쌀 세력 확대 전평 약화
을 노동자 4홉, 가족 3홉씩 배급)’
‘해고 감원 절대반대’
전평이 좌익세력
정치성 가미
non
• 미군정, 좌파의 정치적 도전으로 간주, 3천명으로
무차별 진압
‘정치범 석방’, ‘테러 행위 배격’, • 전평 대신 대한노총과 파업문제 교섭 = 종결
‘식민지 교육 반대’
ㄹ. 10월 항쟁_발생/전개
• 대구폭동, 10.1폭동, 영남폭동, 영남소요, 10.1소요
• 미군정은 ‘소요’, 우익은 ‘폭동’, 좌익은 ‘항쟁’
• 식량 시위가 총파업에 가세
• 10.1 대구 시민들의 식량요구시위,
경찰 발포로 노동자 1명 사망
• 경찰과 시민간의 폭력 충돌로 발전,
전민항쟁으로 확대
• ‘친일파 반대’, ‘미군정 반대’, ‘인민정권
인민위원회에 의한 치안행정’, ‘좌파 인사의 석방’
ㄹ. 10월 항쟁_발전 및 의의
• 자연발생적인 사건(주도세력 = 군단위 농민조합+인민위원회)
거의
• 좌파 지도부는 3당 합당 문제로 분열 좌익 지도부의 지원은
• 미군정, 경찰 투입과 유혈사태로 사태 더욱 확대 없었음 .

• 계엄령 공포, 군부대 투입으로, 10월 중순 소강 상태 진입


• 수백 명 사망자, 수천 명 부상자 발생

“좌익 지도부의 주도와 계획 하에 전개된 사건이 아니라,


대중들의 불만과 요구의 폭발로 발생한 자연발생적 저항
But 미군정은 좌익의 공작으로 보아 폭력으로 제압”
ㄹ. 10월 항쟁_이후

• 전반적 조사 진행, 미군정 핵심인물들 직접

• 권장 조치: 미곡수집계획과 배급체계의 재검토, 경찰에 대한 미군의 감독과 지


원 증가, 경찰 순환 근무, 경상도 입법의원선거의 연기

• 우익 - 극렬분자들의 선동이다!

• 좌익 - “소요의 근본원인은 일부에서 말하는 정치적 선동으로 일어난 것이 아니


고 생활난에 빠진 민중의 불평불만이 일시에 폭발한 것”
ㄹ. 10월 항쟁_조미공동회담

• 1946.10.23~12.10 프로잡(Pro-Job), 프로잽(Pro-Jap) 논쟁


• 조병옥 왈 “일본 제국주의에 복무한 경찰은 ‘친일의 프
• 좌우합작위 공동의장 여운형, 김규식과 군
로잽’이 아니라 ‘전문 직업인으로서의 프로잡’”
정장관 러취, 미소공위 미국 측 대표 브라운,
번스 미군정 경제고문 참여 • 직분에 충실했을 뿐...?

• 경찰들, 이승만과 김구를 인들의 친일 경력을 은폐해 줄


• 중간파 문제 제기: 미군정의 경찰 행정, 식
수 있는 지도자, 유일한 동앗줄로 간주
량 행정 실패, 경찰 불법적 고문, 친일파 등
용, 통역정치의 폐해, 군정관리 부패 • 미군정기, 경찰서에 이승만, 김구 초상화가 걸려있는...

• 이후 제1공화국에서 이승만이 의지할 수 있는 물리력 =


• 군정관리 부정부패 일소 & 조병옥과 장택
경찰
상의 해임 건의, 하지의 반대
Q. 왜 9월총파업, 10월 항쟁이 발생했나?

A. 자연발생적
미군정의 잘못된 정책, 국내 지도부의 무능
(“임정의 대감들은 하계의 한국 인민의 생활을 모르는가.”)

↳ 좌파 우파 정치성을 가진
, .

세력이전에 - .

삶을 이어가야 하는 인간답게 살고자하는


시E랑잉을 잊었
다음 수업...

• 냉전, cold war


• 2차 미소공위
• 국내 정치세력 동향
• 유엔한국임시위원단
• 남북연석회의
감사합니다
4-1. 냉전의 시작과 통일로 가고자 하는 길목

한국현대사의 이해 / 신유진
강의 개요
ㄱ. 냉전

ㄴ. 2차 미소공위

ㄷ. 국내정치세력 대응

ㄹ. 유엔한위
Q. 어떤 과정을 거쳐
우리는 분단으로 나아갔는가?
ㄱ. 냉전_Cold War
• 사전적 의미: “직접적으로 무력을 사용하지 않고, 경제ㆍ외교ㆍ정보 따위를 수단으로 하는 국제적
대립”
• 50s ‘미소 간의 경제문화이념적 전쟁’
• George Orwell 『You and the Atomic Bomb』
:“핵무기의 등장으로 인해 두 국가 간의 영원한 냉전이 있을 것”
• 우리나라 신문 1947년 등장 ‘냉정한 전쟁(cold war)’

그렇다면 왜, “冷戰”일까?

무력을 사용하지 않은, 다른 형태의 전쟁


서구 중심적 인식(Western/Euro-Centrism) - ‘긴 평화 Long Peace’의 시대
↳ 서구에서는 이 차대전 이후 무기를 사용한 전쟁이 없었음
.

냉전의 형태는 지역마다 달랐음


.
ㄱ. 냉전 _ 상상의 전쟁? NOPE!

냉전의 시작도, 기원도, 형태도


각 지역마다 서로 다른 모습을 지님
냉전의 종식은 1989년 11월의 베를린 장벽 붕괴
그렇다면, 한반도는?
냉전, 중심부(서구)의 평화로운 역사 + 주변부의
비공식, 폭력으로 점철된 역사 = 무수한 충돌
ㄱ. 냉전_출범
• 전후 미국의 독보적 국력 자랑

• 1947_철강생산률_ 미국 54%, 소련 12%, 영국


12%

• 에너지 소비량_ 미국 49%, 소련 12%, 영국 9%

0
• 소련, 병력 2/3 감축에도, 175개 사단 유지, 미국의
3배 병력

• 미국과 소련의 협조관계 유지, 그러나 서로 견제


ㄱ. 냉전_“Two Hostile Camps” Speech_Stalin
미소는 이념적으로 대립할 수밖에 없었음 . 이들의 대립은 숨어있다가
스탈린 연설으로 표면에 들어 녕
1946.2.9 _ 마르크스-레닌주의 이론에 따라서 자본주의 국가들 간의 발전
불균형이 폭력 사태로 이어질 것, 결국 자본주의 세계가 곧 적대적인 두
진영으로 분열, 그 과정에 불가피한 전쟁이 수반될 것

The point is that the uneven development of capitalist countries usually leads, in the
course of time, to a sharp disturbance of the equilibrium within the world system of
capitalism, and that group of capitalist countries regards itself as being less securely
provides with raw materials and markets usually attempts to change the situation and to
redistribute “spheres of influence” in its own favor - by employing armed force.
As a result of this, the capitalist world is split into two hostile camps, and war breaks out
between them.
ㄱ. 냉전_“Iron Curtain(철의 장막)”_Churchill
• 1946.3 영국 수상 윈스턴 처칠의 연설(미국 순방 도중 Westminster univ.)
• 전면적으로 소련의 팽창주의를 비판, 평화로서 공산주의에 맞서야

“여러분께 유럽의 현 상황을 사실대로 밝히는 것이 나의 의무라 생각합니다. 발트 해의 슈테틴(슈데텐란트)에서 아드리아 해의


트리에스테까지 대륙을 가로질러 철의 장막이 드리워졌습니다.
그 선 뒤로는 바르샤바, 베를린, 프라하, 비엔나, 부다페스트, 베오그라드, 부쿠레슈티, 소피아 등 중부, 동부 유럽 옛 국가들의
모든 수도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들 유명한 도시와 그 곳 주민들은 소련의 세력 범위 안에 있기 때문에, 그들 모두는
어떤 식으로든 소련의 영향 아래 있을 뿐 아니라 아주 강력하고도 더욱 커져가고 있는 모스크바의 통제 장치에 묶일 수밖에
없습니다. … 러시아로부터 멀리 떨어진 수많은 국가에서도 공산주의 오열이 결성되어 조직적으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그들은 모스크바의 지시에 절대적인 복종을 하고 있습니다.
공산주의가 미약한 영국과 미국을 제외하고 공산당과 오열이 도전적으로 커져 기독교 문명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특히 극동 만주의 사태가 우려스럽습니다. 나도 한 몫을 한 얄타협정은 완전히 소련에게 유리했습니다. …
나는 소련이 전쟁을 원한다고 믿지는 않습니다. 그들이 원하는 것은 전쟁의 열매이며 자신의 세력과 이념을 무한히 확장시키는
것입니다.”
ㄱ. 냉전

• 종전 이후, 신생독립국가에 소련의 위성정권 수립, 소련의


지원
• 스탈린, 지중해로의 출구를 만들기 위해 터키와 그리스 공산
게릴라 지원
• 친서방 그리스 정부에 대한 공산주의자들의 반란
• 터키에서도 공산주의자들의 무장봉기 발생
• 영국의 그리스 내전(1946~49) 지원
• 재정적 한계에 다다른 영국의 지원 포기,-
미국에 도움 요청
소련의 팽창, 체제를
소련의 공산화에서 .ir
우리가
밧팟젝할
거야 !
비판하며 친미세력

ㄱ. 냉전_트루먼 독트린(Truman Doctrine)


,

지유주의 세력 도울것 .

www.nnn_nnnn
“최근 들어, 국민들이 원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일부 국가에
• 미국 대통령 해리 트루먼 전체주의 체제가 수립되었습니다. 미국 정부는 ... 항의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이것은 얄타 협정을 위반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Harry S. Truman)
…오늘날에는 전 세계의 거의 모든 나라가 자기 생활 방식 중 하나를
• 공산주의에 넘어갈 위기에 처한 선택해야 합니다. 그러나 이런 선택이 자유롭지 못한 경우가
나라를 미국이 지원하겠다! 너무나 많습니다. 첫 번째 생활 방식은 다수의 의지에 기초하며,
자유로운 제도와 대의제, 자유로운 선거, 개인의 자유 및 언론과
• 이유: 도미노 이론(domino theory) 종교의 자유, 정치적 압제로부터의 자유를 보장하고 있습니다.

• 영국이 도움 오청한 1947.2.21부터를 “15 다른 한 가지 생활 방식은 소수의 의지에 기초해 다수를


강제하는 방식입니다.
주(The Fifteen Weeks)”라고 부름 이 방식은 테러와 압제, 언론과 방송에 대한 통제, 선거 조작, 그리고
• 트루먼 독트린과 마샬 플랜으로 대표 개인에 대한 억압으로 점철되어 있습니다. 저는 무력으로 국민을
굴복시키려는 소수의 권력자들이나 외세의 압력에 저항하는
• 미소 협조관계 붕괴 시작, 냉전 시작 자유민을 지원하는 것이야말로 미국의 정책이어야 한다고 믿고
있습니다.”
미국은 중국 공산당
ㄱ. 냉전_역코스 정책(reverse course) (

을 지원했지만 . . .

더 이상 ‘중국’이 아니라, ‘일본’을 중심으로 국민은 공산당 지자 .

공산주의에 대한 방파제를 세우겠다!

국공내전에서, 국민당의 열세 명확 & 일본을 반공거점으로

“일본이 더 이상 전쟁을 못 일으키도록 하기 위하여 비무장화와 민주화를 추진한다는


정책에서, 봉쇄정책을 위해 재무장화와 경제 복구를 적극적으로 추진한다는 역코스
정책으로의 전환”

= 아시아에서 소련을 봉쇄하기 위한 조치


ㄱ. 냉전_조지 케넌(George Kennan)
• 긴 전문, Long Telegram: 미 국무부가 요청한 소련의 팽창주의에 대한 케난의 분석
• “long-term patient but firm and vigilant containment” 정책
• 공산주의 팽창을 막겠다는 의미로, ‘봉쇄’ 의미 재정립
• 소련이 내부적으로 허점 가지고 있으니, 경제적, 심리적인 봉쇄 정책을 펼쳐야, 그러면 스스로 무너질 것.

• 그리스, 터키에 대한 미국의 4억 달러 원조 요청


• 군사고문단 파견, 및 군사원조 제공
• 1949 그리스 내부 게릴라 제압 성공
• 소련의 대응 = 즈다노프 연설
: 세계를 사회주의와 제국주의 진영으로 구분해서
두 진영 간의 투쟁을 요구
ㄱ. 냉전_마셜 플랜(Marshall Plan)
• ERP(European Recovery Program):
유럽경제부흥계획
• 1947.6 황폐화된 유럽에 원조 제의
• 공산주의 번식 막기 위해 경제 복구와 부흥이 필요함.
• 거점중심 전략: 중요지역들이 부흥하면 세계적
미국 군사력이 엄청 좋지는 않아서
차원에서 공산주의 봉쇄 가능 중요 몇개국만 . . .

서부 -

영국

• 소련 휘하 동유럽 국가들, 원조 거부 중부 -
독일
아시아 -
일본
• 서유럽 16개국, 4년간 130억 달러 투입 *
동유럽
A련 압박
ㄱ. 냉전_코민포름(Cominform)
• 1947.9

• Communist Information Bureau

• 공산당 정보국

• 트루먼 독트린과 마셜 플랜에 대응

• 위성국들의 경제 정책을 지원

서방의 공산주의자 지원 .
독일 : 연합군 관할 지역 ,

ㄱ. 냉전_베를린 봉쇄(Berlin Blockade) 소련 관할 지역 .


ㄱ. 냉전_베를린 봉쇄(Berlin Blockade)
• 1948.6 3개국이 관할구역에서 단일 경제단위를
도입하자, 동독 평화에 위협이 된다고 주장,
서독에서 서베를린으로 이어지는 모든 길 차단
mm

D1 영 또
. .
소련

• Berlin Airlift
• 미영, 생필품, 기호식품들 공수
• 수송기 20만회 이상 출격
• 1만 3천톤 투하
• 1949.5.12 봉쇄 해제
ㄱ. 냉전_방위기구 조직
집단 방위 기구 .

회원국을 공격하면 자동으로


같이 공격 !
저지 ,
미국의 군사력으로 소련
독일 억제

-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 대ㅎ ㅎ
COMECON(동유럽 경제상호원조회의)
소련견제
ㄱ. 냉전_핵경쟁의 시대
1949.8 소련 핵실험 성공 / 미국의 핵독점 시대 종결
핵무기 = 핵전쟁 억제 수단
ㄱ. 냉전_핵경쟁의 시대
1952 영국
1953.12.8 “Atoms for Peace
(평화를 위한 원자력)” 연설
1954.2 “MAD(상호확증파괴전략)” 제기
1960 프랑스
1964 중국 & 미국 수소폭탄
ㄱ. 냉전_핵경쟁의 시대
57.8 소련 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 1957 IAEA 설립
10.4 스푸트니크 위성 발사 1968.7.1 NPT 핵확산금지조약 체결
ㄱ. 냉전_북핵문제
☆ 지역마다 모습 달라
폭력 모두 포함하는 개념
ㄱ. 냉전
☆ 평화
. .

냉전, 단순히 미소 간의 대립 x * 냉전이 군사적 경쟁으로


1세계 자본주의 , 2세계 공산주의 나타난 거 '

1955, 제3세계(The Third World) 등장 한국전쟁


비동맹운동
ㄴ. 2차 미소공위_배경
. 미소의 대립이 어느정도 보임 .

.
1차결렬
이후 : 사회 반성 중간 파 : 좌우합작
,

이승만 ! 반점 .

• 1946년 가을부터 미소공위에 대한 기대감 증대


• 1947.4.8 마샬 미 국무장관이 소련 외상 몰로토프에게 미소공위 재개를 제안하는 서한 보냄
• 미소 정부, 재개 조건 교섭 및 합의_5월 20일 재개
• 양측 다 “서한에 나타난 문구를 회담석상에서 자기 측에 유리하게 전술적으로 이용하겠다는 계산”
입장 차이 ,

미국 소련
• 최종회담으로 간주 • 최종회담으로 간주
• 유엔이관 계획 • 협의대상 문제에서 ‘원칙을 고수하고
• 남한과도정부 설립을 기정사실화하고자 함 양보하지 않는’ 방침
• 5.7 미군정청을 ‘남조선과도정부’로 개칭 & • 합의에 이르지 못할 경우, 한국인들에게
미군정의 한국인화 완료 문제를 맡기고 군대 철수 방침
↳ 좌익 세력이 커서

에게 유다 .
ㄴ. 2차 미소공위_5.22 재개

미국
선거 통한 임시정부 수립
소련
남북 인구비를 2:1로 진행 vs 미소공위 협의대상 정당·사회단체
명단 북 45%, 남 55%
남측 단체는 좌우 비율 50 대 50
ㄴ. 2차 미소공위
공동성명 11호 발표(6.11)
• 남북 전체 총 463개 단체들이 협의대상 신청
미소공위 협의에 참여하고자 하는 각 정당 사회단체들에게
• 남 425개(58% 우익, 27% 좌익), 북 38개
‘(1) 모스크바 결정을 지지하고 조선임시정부 조직에 대한
• 미군정, 우익단체 최대 참여 위해 성향 조사,
미소공위 결의를 고수하며 신탁통치 (후견) 에 관한 제안
우익단체 급증
을 작성하는 데 협력한다는 내용의 [선언문]에 서명날인
• 유령단체 대거 신청
하고 그 선언문을 첨부한 청원서를 제출할 것
• 노골적인 반탁시위 통제
(2) 임시정부의 조직 및 원칙에 관한 자문서 및 임시정부 정
• 7월 초, 협의단체 명부 작성 문제 _ 미소
강에 대한 자문서에 답해 줄 것’을 요청함.
대립 _ 반탁단체 참여/배제
ㄴ. 2차 미소공위_결렬 조짐
• 7월 중반부터 결렬 준비, 이후 대비책 준비
• 직접적 계기 중 하나: 7월의 미국측 대표단의 평양 방문과 조만식과의 면담
ü 본래 의도: “북한에도 정치적 반대자가 광범하다는 것을 폭로함으로써 반탁단체의 협의
참여 문제나 미국이 좋아하던 ‘의사표현의 자유’ 원칙의 필요성을 강조하기 위한 것”
ü 오히려 신탁통치 수용 문제나 토지개혁 필요성 등의 언급으로, 미군정 스스로 취약성 인정
ü 이북 지역에서 인민위원회 정권 기반이 명확하게 확립되어 있음을 절감 →북한을 정치적으로 통제하는 것이
어려울 것임 .

• 미군정과 중간파 간의 갈등도 작용, 중간파 견인으로 우익블록 강화 정책 실패


ü 정당들의 공위 측에 제출한 답신서 분석: 중간좌파가 너무 공산화되어 있는
ü “서구식 민주주의에 대해 거의 전적인 이해가 부족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고, 이것은
미국이 한국에서 가르치려 했던 것이 실패했음을 의미”
10월까지 질질 끈 이유 :
ㄴ. 2차 미소공위_마지막 action 책임 회피 .

• 미국, 소련에게 ‘미영중소 4개국 회의’ 요구, 보통선거에 의한 남북 입법기관 설치를 제의 ― 소련


_
거부 → 이미 소련에겐 유리한 상황 .

• 남북의 인구비례에 의한 유엔감시 하의 총선거, 소련에게 제안 ― 인구 많은 남한 유리, 유엔 선거


관리는 소/북에 불리, 거부
• 미국 ― 한국문제 유엔으로의 이관 주장 & 소련 ― 미소양군의 동시 철수 제안(9.26)

∴ 10.18 2차 미소공위 결렬 = 모스크바 결정에 의한 한국문제 해결 방안 폐기


& 1947.11 유엔총회: 소련 철수안 부결, 미국 유엔이관안 수용

“남북한 인구비례 에 따른 자유선거 시행 결정”


ㄷ. 국내 정치세력 대응_ 이승만 ‘단정론’
우익세력은 중간파 공격
이승만 ‘단정론’
.

• 중간파에 위기의식
• 1946.4.15부터 지방 순회 나서 반탁운동 주도,
지방에서 조직적 기반 확대하고자 함
• 김규식 정치적 공격
• 여운형에게 폭탄 테러
• 단독정부 주장 여러 차례 반복
• 1947.7.19 몽양 여운형 암살
• 논쟁이 일자, 통일정부 수립 주장이라 변명
• 1주일 만에 급변, ‘정읍발언’ 夢陽 1886~1947
“이제 우리는 무기 휴회된 공위가 재개될 기색도
보이지 않으며 통일정부를 고대하나 여의케 되지 “때려눕히는 자는 힘이 세지만 일어서는 자는
않으니 우리는 남방만이라도 임시정부 혹은 위원회 더 세다는 말이 있지 않은가.
같흔 것을 조직하야 38 이북에서 소련이 그렇다, 억센 풀대는 거센 바람 앞에서 알아본다.”
철퇴하도록 세계 공론에 호소하여야 될 것이니
여러분도 결심하여야 될 것이다.”
이 미소공위 결렬되고 더더욱 단점론 주장 .
ㄷ. 국내 정치세력 대응 하지만 흐름은 자유선거 실시로
f
.
_
. .

• 1947년 후반, 임정계열과 이승만 계열 분열 • 단선 거부투쟁 돌입, 총파업 시작 = 2.7구국투쟁


김구가 그런 거
• 계기 = 1947.12.2 설산 장덕수 암살 아니냐고 의심 : • “단독정부 수립 반대, 조국분단 절대 반대,
→ 김구 불쾌 !! 미군은 즉시 물러가라”
• 이후, 단정안을 두고 단정세력과
통일세력으로 분립 • 시위, 집회, 동맹휴학, 삐라 살포, 봉화 투쟁, 등
• 147만 명 참가
• 57명 사망, 만 명 이상 검거
ㄹ. 유엔한국임시위원단
• 유엔 총회 결정에 따라, 유엔한국임시위원단(UN
Temporary Commission on Korea:UNTCOK) 조직
• 1948.1.8 서울 도착, 이북 지역은 소련의 입국 거부로
입성 x
• 선거 진행 위해 좌익과 접촉 시도, 남로당의
반대투쟁으로 접촉 x
• 이승만, 한민당, 남한만의 총선거 주장
• 위원단 대책 논의 - 유엔 개입 포기 or 단독선거 실시
• (1) 남한지역 선거와 정부수립 (2) 남한지역 선거와
협의대상이 될 대표 선출 (3) 남북 지도자 회담
(4) 위원단 철수 (3 )
• 여론 조사: 지지도 11.5, 5, 71, 12.5
의 대중은 분단 원치 않은
ㄹ. 유엔한위

1948.2.26

유엔소총회

‘남한만의 선거 추진과 유엔한국임시위원단의 선거 감시’

결의안 통과!
Q. 어떤 과정을 거쳐
우리는 분단으로 나아갔는가?

A. 냉전의 도래 / 미소공위 결렬
단정론 / 단선단정 반대 투쟁

남북협상, 마지막 시도
자신들의 이익 . . .

* 미국 한국 단독선거 북한의 좌익
. . .

이미
원한 이유는 조만식 Many . .
.
다음 수업...
ㄱ. 4.3
ㄴ. 여순항쟁
ㄷ. 남북연석회의
ㄹ. 5.10총선
감사합니다
4-2. 분단으로 가는 길

한국현대사의 이해 / 신유진
강의 개요
ㄱ. 4.3
ㄴ. 여순항쟁
ㄷ. 남북연석회의
ㄹ. 5.10총선
Q. 우리는 어떻게 단정/분단으로 나아갔는가?
반공 체제는 어떻게 확립되기 시작했는가?
ㄱ. 4.3_해방 전후 배경 / 3.1절 발포 사건
O 때부터, 제주도 군사기지 확대 =
• 중일전쟁 • 1947.3.1 남로당 주도의 3.1절 기념행사, 3만
renren.net.cn

‘최후 보루’ 제주도민은 가혹한 식민지


. .
.

_명 참여
• 연합국 상륙에 대비한 ‘옥쇄 지역’으로 • 가두시위에서 기마경찰 말발굽에 아이가
상정_‘최후까지 싸운다’ 채이고 그냥 지나가자, 항의
• 해방 당시 제주도에 일본군 Arena
6만 명 주둔 • 발포 명령으로 6명 사망, 6명 중상
• 해방 후, 건준 결성 ― 치안 유지, 행정 업무 • 항의 표시로 남로당 제주도당이 3.10
non

총괄, 학교 설립, 등 민관합동 총파업 돌입


한인 귀화
• 간부 구속 및 육지에서 경찰과 서북청년회
• 1년 만에 인구 22만 → 28만으로 급증
파견
• 교역 중단, 식량난, 생필품 부족 현상 발생
nennnnnnnnn.ee
• 1946.8.1 전라남도 제주군 → 제주도(道) 로
• 20일 즈음 사건 정리
nnnnn.mn
승격 행정기구 경찰 .

확대 .
• “원래 제주도는 주민의 90%가 좌익색채를
가지고 있다” (경무부) 200명 검거
말굽으로 아이를 치고 간 경찰에게
ㄱ. 4.3_3.1절 발포 사건 시위하는 시민들에게 발포 .




“4.3으로 가는 도화선”
ㄱ. 4.3_시작
• 새벽 2시, 봉화가 타오르며 신호탄, 무장대들이 경찰서와 우익단체들의 집 등을 공격
• 남로당 제주도당의 주도 하에 무장봉기 발생 단독선거 반대 .

• 경고문: “친애하는 경찰관이여! 탄압이면 항쟁이다. 제주도 유격대는 인민들을 수호하며 동시에 인민과 같이 서고
본인 . u

있다. 양심있는 경찰원들이여! 항쟁을 원치않거든 인민의 편에 서라, 양심적인 공무원들이여! 하루빨리 선을 타서
소여된 임무를 수행하고 직장을 지키며 끝까지 싸우라. … 조선사람이라면 우리 강토를 짓밟는 외적을 물리쳐야
한다. 나라와 인민을 팔아먹고 애국자들을 학살하는 매국 배족노들을 거꾸러뜨려야 한다. … 인민의 편에 서라,
반미구국투쟁에 호응 궐기하라!” 경찰 우익 탄압 저항 , 단선 단점 반대
'

• 5.10총선 무사 실행 위해 곧바로 개입 반미 투쟁 .

• 조병옥 경무부장 왈 “여러분은 민족을 소련에 팔아 노예로 만들려고 하는 공산분자의 흉악한 음모와
계략에 속은 것”
• 토벌대 vs 무장대: 토벌대의 과도한 폭력 진압이 도민들의 반발 불러옴, 사태 악화
경찰 4.3
ㄱ. 4.3_조기 종결의 기회_평화협상
• 4.28 국방경비대 제9연대장 김익렬 중령과 유격대 지도자
김달삼(본명 이승진) 간의 평화협상
mn

• “72시간 내에 전투중지 및 5일 이후 전투행위는 배신행위로


규정, 무장해제는 점차적으로 하되 약속위반하면 즉각 전투
재개, 무장해제와 하산이 이루어지면 주모자의 신병 보장”
결렬 좌익
• 계기: 510 총선위해 .

진압
1. 미군정의 조기 강경진압 .
결정vn
2. ‘오라리 방화 사건’ : 우익청년단체들이 좌파세력 집들을 방화
3. 5월 3일 경찰 발포: 평화협상에 따라 산에서 내려오는 자들을
경찰들이 총으로 사살한 것
= 평화 협상 결렬 & 사태 악화
ㄱ. 4.3
• 군경의 전면 토벌 작전
• 5.10총선 앞두고 무장대와 토벌대 간의
• 수세에 몰린 무장대는 투쟁보다는 식량 확보
무력충돌 발생
우선
• 선거 등록률: 전국 평균 91.7% / 제주도
• 정치투쟁 < 생존투쟁
64.9%
• 4월 중순부터 무장대, 선거사무소 습격 and
선거관리위원 피살

• 10.18 제주도 해안 봉쇄
• 11.17 계엄령 선포

• 5월 5일경부터 좌익 무장대가 단선 거부
명목으로 주민들 대거 입산
• 연기된 선거 1년 뒤인 1949.5.10에서야 실시
ㄱ. 4.3
1947.3.1 & 1948.4.3 ~ 그대 발 딛고 서 있는 땅 밑에서
분노로 일렁이는 항쟁의 핏줄기를 보았는가
1954.9.21 늘상 지나치는 바람길 속에서
목놓아 외쳐 부르던 항쟁의 노래를 들었는가
해방조국 통일조국의 한길에
자랑스레 떨쳐 일어섰다가
“4.3은 말한다. 역사의 진실은 이슬처러 스러져간 그리운 얼굴들을
그대는 기억하는가
가둔다고 가둬지는 것이 아님을, ...
피로 얼룩진 우리들의 사월이
역사는 미래를 위해 있는 것임을.” 끝내 내릴 수 없는 깃발임을
(허영선) 그대는 진실로 아는가

김수열, <그대는 진실로 아는가>


ㄴ. 여순 항쟁_‘여순반란, 전남반란사건’
보는 세력에 따라 다양한 이름 .

• 군대 내의 프락치들이 일으킨 반란이라고 이승만 • 일주일 만에 반군 점령지 탈환


정부가 왜곡 선전
• 반군 주축으로 지리산/백운산에서 유격투쟁
• 국방부, ‘남로당 세포들이 대한민국을 전복하기 본격화
위해 일으킨 군내의 쿠데타’
• 1948.11~1949.2 초토화 진압 작전 시행
• 4.3 진압 위해 전남 여수 주둔 제 14연대에게 • 군경들의 전과 올리기 위해 항쟁에 나선 이들의
제주도 파병 명령
같은 전남 가족들을 대신 죽이는 ‘대살’, 자수자를 죽이는
'
.
.

• 일부 하사관들의 반대 및 봉기 → 지방좌익과 ‘자수 사건’, ‘함정 토벌’ 등


주민들까지 가세, 대중운동으로 전환 • 혐의자 색출 과정, 곤봉과 총대의 협박 아래
• 김구의 배후설, 이는 이승만 정부의 조작 자백 강요
• 이승만 정부와 주한미군사고문단, 진압 작전 시작 • 억지 자백한 이들 바로 총살
• 여수+순천 = ‘고립된 섬’
ㄴ. 여순 항쟁
강압적 .
. .

“그러는 동안 그 광경을 여자들과 아이들이


가만히 보고 있었다. 그런데 괴로운 체험
가운데에서도 가장 두려웠던 것은, 방관자들의
침묵과 자신들을 잡아온 사람들 앞에 꿇어앉은
사람들의 너무나도 조심스러운 모습 - 그리고
총살되기 위해 끌려가면서 완전히 침묵하고
있었다는 사실이었다. 한 마디의 항변조차
없었고, 동정을 바라는 울부짖음도 없었고 신의
구원을 바라는 어떤 중얼거림도 없었다. ”
- by 칼 마이던스 외국인 사진기자
ㄴ. 여순 항쟁_민간인 학살
“그들은 처벌받은 뒤에 빨갱이가 되었다”

공산주의자 = 살인마 = 악마 = 적 = 악마 = 빨갱이 = 비국민

Ernst빨갱이 프레임 씌워 반공체제 확립시키고자 함

정부 반공 논리: 이 사건의 극복은 민족 정신을 드높이는 것뿐! 이미


반란자들은 동족이 아니고! 내 민족도 아니고! 원수이자 적일뿐!
ㄴ. 여순 항쟁
일체
치안유지법이랑
국가보안법 ii.
박정희 빨갱의 혐의
• 여순을 계기로 1948.12.1 국가보안법 공포
• 진압작전 마무리 단계, 반란군토벌전투사령부에
• 반공체제 확립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 수행
있던 박정희가 좌익
nnn
혐의로 체포됨
• 목적: 반국가 활동 규제 및 국가의 안전/보장
• 형 박상희를 따라 남로당 가입, 좌익 활동 경력
확보
있음
• 반공민족만이 민족으로 인정, 북은 괴뢰집단일
• 좌익 명단 제공하고

혐의 벗음
• 최단기간에 최대 인원을 범법자로 적발 및
처벌하는 법
• 1949, 검거자 11만 8,621명/ 전체 수형자의
79%
ㄴ. 여순 항쟁_평가 및 결말 NO 공산주의

f
“무엇보다 중요한 점은 역설적이게도 여순사건이
대한민국 정부가 안정적인 통치체제를 이루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는 사실이다.
여순사건이 발생한 뒤 대한민국 정부는 군대 내 공산주의자들을 색출하기 시작하였다.
그 과정에서 핵심 역할을 했던 박정희를 체포했다. 김창룡을 비롯한 군 특무대는 박정희의 자백을
바탕으로 군대 내 공산주의자들을 색출했다.”반공정책으로 안정적인
여순을
통치체제 정립 .

• 재선거 위해 non
‘섬멸 작전’ 시행
, 탄압하여 우리나라 정부의
• 선무작전 시행: 전시나 사변으로 군대가 출병하여 적국의 영토를 반공체제가 회전됨 .

점령하였을 때, 그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을 군에 협력하도록 하거나


제주도의 침묵
적어도 적대 행위를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행하는 선전ㆍ원조
따위의 활동. 지방이나 점령지 주민의 민심을 안정시키고, 국가의
정책을 이해시키기 위한 활동
ㄴ. 여순 항쟁_4.3 진상규명
• 독재정권 하, 진실을 내뱉으면
국가보안법으로 끌려감

• 1990년대 들어서 진상규명 요구


• 1999.12 ‘제주 4.3 특별법’ 통과
• ‘제주 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위원회’

• 희생자 2만 5천 ~3만 추정 (제주


총인구의 1/10)
ㄷ. 남북연석회의
김구 <삼천만 동포에게 읍고함>
• 김구, 김규식의 북한과의 대화 시도 우리를 싸고 움직이는 국내외 정세는 위기에 임하였다. 우리가 기다리던
• 1.26 김구 ‘미소양군 철퇴 → 남북요인회담 해방은 우리 국토를 양분하였으며, 앞으로는 그것을 영원히 양국의 영

→ 총선거 → 통일정부수립’ 노선 주장 토로 만들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 미군 주둔 연장을 자기네의


생명 연장으로 인식하는 무지몰각한 도배들은 국가 민족의 이익을 염
• 김구: 사회주의 vs 자본주의, 미 vs 소, 좌 두에 두지도 아니하고 통일 정부 수립을 두려워하는 것이다.
vs 우 → 강대국 vs 약대국 한국이 있고야 한국 사람이 있고, 한국 사람이 있고야 민주주의도 공산주
민족 문제를 우선시하는 입장으로 변화 의도 또 무슨 단체도 있을 수 있는 것이다. 마음속의 38도선이 무너지
고야 땅 위의 38도선도 철폐될 수 있다. ……
• 2.4 이북의 김일성 김두봉에게
나는 통일된 조국을 건설하려다가 38도선을 베고 쓰러질지언정 일신에 구
남북요인회담 제안 서신을 보냄
차한 안일을 취하여 단독 정부를 세우는 데는 협력하지 아니하겠다.
• 북의 답신, 연석회의 개최 제의 3천만 동포, 자매, 형제여! 건전한 조국을 위하여 한 번 더 깊이 생각하라.
ㄷ. 남북연석회의_배경 1948
• 남한 정당 및 사회단체 대표자 모임 개최 시도, 불가
• 미군정과의 협조 내에서 일 진행 희망 & 하지 왈 ‘지원도, 방해도 하지 않을 것’
• "양김씨는 표면적으로는 ‘통일 한국’을 부르짖지만, 남북연석회의를 제안하고 평양회담을 받아들인
실질적인 이유는 그들의 지지가 보잘것없으며 선거에 당선되는 것조차 불투명하자 경기가 시작되길
바라지 않기 때문이다.”
• 미군정 실제로는 저지하고자 함. 남한 선거에 달린 미국과 유엔의 권위에 심각한 손상을 주기에.
• 중간좌파와 좌익 정당 체포, 우파 민족주의자들 비난, 김구 김규식에서 선거 참여/ 정부수립을 종용
• 김구와 홍명희 참여 주장, 김규식은 조건을 걸고 참여 결정
• 김구 왈 “만일 내가 이번 북행에서 돌아오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하더라도 김구는 통일독립을 위하여
끝까지 투쟁했노라고 3천만 동포에게 전하여 주기 바란다”
ㅁ. 남북협상
• ‘7거두성명’: 3.12 김구, 김규식, 김창숙, 조소앙, 조성환, • 3월 말, 북의 답신_단선 반대 & 한국문제 해결
조완구, 홍명희, 등 7명이 모여서 단선단정 불참을 선언 위해 평양에서 4월에 회의를 열자고 제안
• ‘통일 없는 독립은 있을 수 없다’
• 문화인 108인, 남북회담 지지 성명 발표 • 이에 김구, 중간파는 지지 / 김규식은 유보
• 대중들, 단독선거 치루면 전쟁이 일어날 거라 우려 • 연석회의 개최를 위해 북으로 연락원 파견

• 미군정의 제재, 남북회담 포기하고 선거에


참여하라

• 김규식, 불참하겠다 그러나 반대도 하지 않겠다

• 김구, “남한만의 단선은 민주주의의 파산을


세계적으로 선고한 것이다!”
ㄷ. 남북연석회의_개최
• 4.1 평양 모란봉극장에서 개최
• 남북 46개의 단체 대표들 545명 참가
• 4.19 예비회담, 김일성 ‘4대 원칙’ 제시:
1.유엔임시위원단 몰아내고 유엔총회 및 소총회 결정의 무효화
2.국토를 양단하고 민족 분열시키는 단정단선 반대
3. 소미 양군의 즉시 동시 철퇴 실현시킬 것
4.양군 철퇴 후 조선인민의 자주성 우에서 일반적 평등적
직접적 비밀투표의 선거에 의하여 통일정부를 수립할 것.
• 4.19 김구 방북: “이번 길에 실패가 있다면 그것은
전민족의 실패일 것이오. 성공이 있다 하여도 그것은
전민족의 성공일 것이다.”
• 4.20 김규식 방북
ㄷ. 남북연석회의
• 21일, 본회담에 김구 김규식 불참 & 김구/김일성, 비공식 단독회담
• 김구, 북한의 대표자연석회의 통해 정권수립 기도 의심
• 22일, 김구는 축사만 하고 퇴장, 김규식은 병을 핑계로 불참
• 23일, <조선정치정세에 관한 결정서> 만장일치로 채택
: 미국과 남한 단정세력 규탄 / 남한 대표들 이의 제기
• 26일, 30일 ‘4김 회담’ & ‘남북지도자협의회(15인회의)’
: <남북조선제정당사회단체공동성명서> 발표
: (1)미소양군 철수 (2)북한의 남침에 대한 우려 불식
(3)전국총선에 의한 통일국가 수립 (4)남한의 단선 단정 반대
ㄷ. 남북연석회의
• 한계: 북한의 정권수립 기도에 이용된 측면 有 /
• 5.4 김구, 김규식 남하 & 성과 발표:
우파의 소극적 태도
“‘주의와 당파를 초월한 민족의 단결’과 남측의 준비 미흡 / 분산적 참여 / 참석 대표
이를 통한 ‘자주적 민주적 통일 조국의 선발 과정 불명확
건설’” 당대에도 부정적인 평가가 잇따름

김구 “모든 것이 첫술에 배부르랴” • 의의: 평화적 통일민족국가 수립 운동의 일환


외세에 의한 민족분단 반대, 민족자주성 구현
& 김규식 “생각했던 것 이상의 사상과 이념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민족적
성과가 있었다” 단결을 시도하고
분단 문제의 평화적 해결 모색
ㄹ. 5.10총선
• 미군정, 모든 매체 동원해서 선거 선전
• 경찰과 우익청년단, 협박으로 선거 참여
'

종용 선거 참여 안 하면 발정이야 .

• 유권자 70%이상 등록, 95.5% 투표율


• 전지역 300석 국회의원 예정, but 남한만
선거로 300석만 선출
ㄹ. 5.10총선_결과
• 이승만 지지세력 60~70석

E)
• 김구 김규식 노선 무소속 60~70석
• 한민당 29석 = 참패
사람들은
한민당을
이승만과
별개의
보았어
것이로
.

“목에 털을 두른 코트를 입은 부자와 친일파


정당이라는 인식이 강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국민들은 이승만과 한민당은 별개로 생각했다.
이승만은 독립운동가이며, 여전한 민족의
지도자였다.”
ㄹ. 5.10총선_한계 & 의의
• 한계 : 남한만의 단정 수립 / 좌익의 단선 반대 투쟁
중도파의 선거 불참

• 의의 : 만 21세 이상 모든 남녀에게 선거권 부여 /


보통, 평등, 비밀, 직접 선거의 4대 민주주의 선거 원칙에 입각
한국 역사상 최초로 이루어진 보통선거

“한국국민들은 지난 월요일 유엔 한국임시위원단의 감독 하에 처음으로 치러진 민주적


선거의 성공을 치하 받아 마땅하다. 선거를 막고 방해하려는 공산주의자들의 지배를 받는
소수의 불법행위에도 불구하고 약 90%의 등록 유권자들이 투표를 함으로써, 한국
국민들은 민주적 절차를 통해 자신들의 정부를 수립하려는 의지를 확실히 보여주었다.”
-미 국무부장관-
ㄹ. 5.10총선
그 자체로써 취약한 기반에 세워졌기에 .
. .

4.3과 여순으로 때려잢 .

5.30 제헌국회 수립 - 7.1 국호 대한민국 - 7.17 제헌헌법 공포 - 7.24 이승만 대통령 선출


Q. 우리는 어떻게 단정/분단으로 나아갔는가?
반공 체제는 어떻게 확립되기 시작했는가?

A. 남북협상 마지막 시도,


국가 폭력에 의해 진압된 4.3과 여순
폭력 세뇌
,
. . .
참고 자료
• 레드 헌트(Red-Hunt)
: https://www.youtube.com/watch?v=PSynIfc_L9Q

• 이제는 말할 수 있다 1회 ‘제주 4.3사건’


: https://www.youtube.com/watch?v=sOjvDMq_vxQ

• 『제주 4.3사건 진상조사보고서』


강의 개요
ㄱ. 정권 초기

ㄴ. 반민법

ㄷ. 6월 공세

ㄹ. 국민보도연맹

ㅁ. 5.30총선

ㅂ. 개혁 및 제도
감사합니다
5-1. 이승만 정권

한국현대사의 이해 / 신유진
강의 개요
ㄱ. 정권 초기

ㄴ. 반민법

ㄷ. 6월 공세

ㄹ. 국민보도연맹

ㅁ. 5.30총선

ㅂ. 개혁 및 제도
Q. 이승만 정권은
반공을 어떻게 뿌리내렸는가?
ㄱ. 정권 초기_정부 성격
• 대한민국임시정부 계승 : 대한민국 임시헌장(1919/4)과 임시헌법(1919/9) 계승

• 영토 규정 : 제헌헌법 4조, 대한민국의 영토는 한반도와 그 부속 도서로 한다




• 48.9.9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
• 북한 헌법 제 103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도는 서울이다.
ㄱ. 정권 초기_초기 갈등
• 취약한 기반 + 한계(단독정부) + 이승만 지지세력(친일파 주) f) 대통령제였기
때문에 .

• 1948년 말, 이승만 김구 김규식의 ‘3영수 합작설’이 대두, 현실적으로 불가


• 1948.12.12 유엔총회에서 ‘대한민국’이 승인됨
• 국무총리 인선을 두고, 이승만 vs 국회 간의 대립 / 결국 이범석 총리 임명(이승만의 한민당 견제 목적)
• 장관 임명, 2~4일 편차를 두고 발표 = “두부내각”
• 이승만의 장관 인선에서 한민당을 철저하게 배제 (이승만 vs 한민당)
∴ 다른 정치세력과의 연합이 아닌, 정적을 배제해 나가는 방식
• 국회 vs 행정부 대립, 한민당이 야당으로 돌아섬 = 개혁문제의 지연 / 정권 취약성의 가중
• 이승만, 친정체제 강화 & 반공드라이브 정책 실시
• 반공주의 = 정권안보이데올로기 & 체제이데올로기로서 작용
ㄴ. 반민법
• 1948.8.5 헌법 101조 의거, ‘반민족행위처벌법 기초특별위원회’의 구성에 대한 동의안 가결
• 헌법 101조 = “이 헌법을 제정한 국회는 서기 1945년 8월 15일 이전의 악질적인 반민족행위를
처벌하는 특별법을 제정할 수 있다”
• 1948.9.1 “반민족행위자처벌법” 통과 친일파 청산 . . .

• 9.22 공포 / 10.23 국회 내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정식 발족


• 1949.1.8 조사부 꾸려 본격 활동 시작
지지 반대
‘민족정기의 앙양’이 중요하니, 친일파 처단은
친일파들을 공산당의 주장이다!
하루빨리 엄단하라! ‘반공구국궐기대회’ 개최
ㄴ. 반민법_검거

화신그룹 박흥식(일제하 최고 거부, 체포 대상


1호), 관동군 촉탁 이종형(밀정 노릇, 독립운동가
체포), 일본군에 비행기를 헌납한 방의석('조선의
자동차왕‘), 친일 변호사 이승우, 최린, 친일 귀족
이풍한, 육당 최남선(기미독립선언서 작성), 춘원
이광수(민족개조 주장, 친일문학가로 전락), 등

체포된 경성방직 김연수와 최린


ㄴ. 반민법_정부 방해공작
• 이승만 정권 각료 중 30% 이상, 친일 경력 有
• 경찰, 군, 사법, 검찰기관 - 친일파 비율 상당히 놓음
• 이승만의 친일간부 석방 압박, “그들은 공로자다!”
(친일파) 경찰을 잡아갔기 때문 .

• 1949.2.15 이승만 특별담화:“반민특위 활동이 전국적으로 치안을 유지하는 데 지장을 초래하고 있으며,
신생국가의 국민통합에도 지장을 주고 있기 때문에 차후로 반민특위의 과도한 활동을 금지시킨다”
• 김병로 대법원장(반민특위 특별재판부장), ‘행정부 내의 친일파를 비호하려는 저의’라고 강력하게 규탄,
반민특위는 불법이 아니라고 적극 대응
• 이승만, 대통령의 직접 관여와 가능한 한 행정부 내의 반민특위 해당자들을 처단하지 못하도록 규정하는
법률개정안 상정 & 반민특위에 대한 반대 담화 5차례 발표
• 반민법 해당자들, 본인들을 ‘공산당과 싸운 애국지사’, ‘진정한 애국자’라고 주장
& 협박, 중상모략, 관제 데모, 테러, 감금 등의 폭력 행사
ㄷ. 6월 공세
6월 (대)공세 = 반민특위 습격 사건, 국회 프락치 사건, 김구 암살

= 反이승만 세력을 억누르기 위한 정치적 공세


좌익 .

1. 반민특위 습격사건(6.6사건) 반민특위 투서함

• 1949.6.4 특위 경찰대가 친일 경찰인 서울시경 사찰과장


최운하와 종로서 사찰주임 조응선 경위 전격 구속
• 정부 양해 아래, 경찰들이 반민특위 사무실 습격 6월 6일 .

• 특경대 강제 무장해제, 무기와 서류 통신기구 압수, 35명


( 직원 ) 연행 및 수감 이에 대한 반대의사를

표명하기 위해
위원장 사퇴 .
ㄷ. 6월 공세_1. 반민특위습격사건 연한 걸

pf
하는데 .
왜 들춰내냐 !

• “반민특위가 할 일은 과거의 죄상을 밝혀 응징하는 것인데 이에


대하여 “기왕에 범죄가 있는 것을 들춰내서”라고 질타하고
.

치안확보라는 미명으로 친일경찰의 위상을 확정한 것이다.”


• 국회, 반민특위 원상 복귀와 책임자 처벌 요구
• 6.9 이승만은 기자회견에서 본인이 지시했음을 밝힘
• 소장파 의원들의 보안법 위반으로 구속, 반민특위 추진세력 약화
• 반민법 반대세력에 의해 1949.8.31까지 반민법 공소시효를
단축하자는 결의안이 통과
• 이로써 조사 활동 지속이 불가능하게 되자, 위원장 김상덕 이하 전
위원 사퇴 표명
• 국회가 후임 선출, 일부 위원들이 또다시 사임
• 결국 공소시효 만료까지 조사업무를 마무리하는 선에서 작업 진행
= 반민특위 무력화
ㄷ. 6월 공세_2. 국회 프락치 사건
2. 국회 프락치 사건
• 1949.5~8 남로당 프락치 혐의로 소장파
국회의원들 구속
• 5.20 이문원, 이구수, 최태규 등이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구속
• 6월 20일부터 3차례에 걸쳐 반이승만 활동을 한
국회의원 15명이 남로당 간첩으로 구속됨
• 재판에서 실형이 선고됨. 피고인들이 항소 신청,
만t 한국전쟁 발발로 서대문형무소에 있던 피고인들은
월북, 남북됨.
ㄷ. 6월 공세_3. 김구 암살
• 1949년 6월 26일 낮 12시 36분, 백범이
경교장에서 포병 소위 안두희에 의해 네 발의
총탄을 맞고 피살됨.
• 이전부터 여러 차례 암살 경고를 받음.
• “3,4주 동안이나 소문이 떠돌았다. 몇몇 사람이 암살
대상으로 거론되었습니다. 나도 그중에 포함되었습니다.
소문은 이런 내용이었는데, 김구 김규식 안재홍과
아마도 조소앙이 모두 암살될 것이란 얘기였습니다.
나는 은신처로 피신하라는 얘길 들었습니다. 그러나
그들에게 말하기를 나는 몸을 피할 곳이, 커다란
트렁크조차도 없다고 답했습니다. ... 만약 내가
살해된다면 이는 하나님의 의지입니다. 나는 기꺼이 이를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김규식)
ㄷ. 6월 공세_3. 김구 암살
• 배후, 신성모 국방부 장관 / 이승만 대통령 관여
명확
• 안두희: 이북에서 부친이 토지개혁으로 땅을
몰수당한 뒤 월남하여 서북청년회 간부, 미군


방첩대(CIC) 요원으로 활동 / 현장 체포 / 군의
비호 아래 특별대우 받음
• 재판에서도, 재판장 검사들이 안두희의 편
• 단독범행으로 발표 / 이승만, ‘한독당의
집안싸움’으로 간주한다는 담화 발표
ㄷ. 6월 공세_3. 김구 암살
ㄷ. 6월 공세_3. 김구 암살
“오호 동지여! 동지의 최후를 슬퍼서도 울고, 우리 자신의 앞날을 위하여서도
울고, 또 여러 가지로 슬퍼하는 것을 아는가? 동지여!
... 다만 동지가 근 80평생을 일신의 명예와 사를 버리고, 오로지 조국 광복과
반일 투쟁에 심혈을 경주한 동지가 이 땅의 왜적이 물러간 오늘 동족의 손에
쓰러졌다는 것은 동족의 치욕일 뿐 아니라, 정녕코 우리 사회의 무질서를 증좌
하는 것이며, 왜적의 심장을 가진 조선인이 아니면 도저히 감행할 수 없는 만행
이라 아니할 수 없다.
... 동지는 졌다. 다시 돌아오시지 못할 길을 분명히 갔다. 민족적 염원인 완전
자주 민주평화통일에 광휘 있는 새로운 역사를 보지 못한 채 영원히 이 땅을
떠났다. 1992, 진상규명위원회 발족, 조사
... 고초에 허덕이고 신음하는 민족이 완전한 자유와 평화를 획득하도록 더욱 ‘이승만 자유당 정권의 비호 하에
계속 노력할 것을 동지의 영전에서 삼가 선언하노니 동지여 고이 잠드소서.”
이루어진 정권적 차원의 범죄’
ㄷ. 6월 공세_의미

1. 이승만 독주 (경찰의 정치도구화)

2. 민주주의의 위기
“60 명의 소장파 의원들을 공산당으로 만들어놓는 이 정부는 어떠한

정부이며 , 그들을 지지한 국민들은 모두 공산당이란 말이냐 ”

3. 친일 청산 좌절 - 반성&성찰의 기회 상실
ㄹ. 국민보도연맹사건
IETF부터
국민을 보호하고 올바른 길로 이끈다 .

• 국민보도연맹: 1949.4.21 좌익사상에 물든


이들을 전향시켜 보호·인도한다는 목적에서 만든
관변단체
• 보도 = “공산주의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고, 올바른
길로 이끈다”
• 보통 가입자들: 이미 좌익활동을 그만둔 이들이
대부분.
• 가입자 수를 늘리기 위해, 쌀 비료를 준다고 회유 /
주로 농민들 / 10대 중고교생들 또한 포함
• 1년 만에 보도연맹원 30만 명까지 증가
ㄹ. 국민보도연맹사건
반공교육P
• 강령: ‘대한민국 절대지지’, ‘북한정권
절대반대’, ‘공산주의 타도분쇄’
• 수시로 소집되어 기합과 체벌 받음. 혹독한
반공 교육 받음.
• 이후, 한국전쟁 발발 전후 남한 정부에 의해
이유 : 연맹원이 북한군에
수만 명의 보도연맹원 학살됨 붙을까봐

• 전쟁 초기 2개월 내 10~15만 명 학살
ㄹ. 국민보도연맹사건
ㅁ. 5.30총선 2대 총선 .

"

독도 !

• 이승만의 연기 시도, 미국의 압력으로 실패


• 전국 투표율 86% / 39개 정당 사회단체 참가
• 남북협상파 대거 출마 독제 배격 ,

r 내각 책인자

• 대한국민당 & 민주국민당(한민당 후신) 낙선


이승만 지지 , 직선제
• 무소속 126/210석 차지 - 반여당, 반이승만
세력
• 재선 국회의원 겨우 31명
• 국민들의 이승만 정부에 대한 비판을 보여줌
Du K .
6일 뒤 한국전쟁
ㅂ. 개혁 및 제도_농지개혁
이승만 지지층은 동지 소유자 즉 지주 .
.

叭一• 안정적인 권력 기반을 위해 정부가 먼저 제안


• 목표: 경작 농민이 직접 농지 소유하여 농지 집중의 폐해와 소작권 이동에 대한 불안 제거, 1농가
1기업체로서 농업을 경영할 수 있는 권한 부여
• 토지를 받는 대가로 농민이 지불할 상환액과 지주에게 지급될 보상률 문제 : 민주국민당 vs 소장파
• 1949.4 ‘농민은 연평균 생산액의 125%를 5년에 걸쳐 농지값을 상환하고 지주 보상률은 평년작의
一一

150%로 할 것’
• 정부의 개혁 실시 지연, 국회 프락치 사건 발생으로 소장파 거세
• 이후, 1950.3 농민 상환액과 지주 보상액을 150%로 한 개정 법률안 공포
• 3~4월에 걸쳐 농지 분배 시행, 분배 면적은 58만 4,638정보(1정보 = 3천평) / 86만 정보 누락
• 소작지 비율 64%, 순소작농 비율 48.9%(1945) → 소작지 비율 11.9%, 순소작농 비율 6.7%(1960)
ㅂ. 개혁 및 제도_농지개혁
= 반봉건적 토지소유 관계 점차 해체

“이승만 정권이 실시한 농지개혁은 농민에게 불합리하게 진행되었지만 반봉건적인


지주 토지소유제도를 기본적으로 해체했고, 자본주의 발전을 촉진시켰다. 또 지주를
거의 없애고 자작농을 창출했다. 그러나 정부의 저곡가 정책과 과중한 조세 수취는
자작농의 기반을 불안정하게 했고 소수 독점자본가를 성장시키는 밑거름이 되었다.
이러한 농민 희생 정책으로 농촌은 사실상 독점자본의 축적 도구가 되었다.”
ㅂ. 개혁 및 제도_귀속재산 불하
• 당시 귀속재산의 자산 가치 = 남한 총 자산의 80% 이상

• 미군정, 귀속재산을 ‘대한민국 정부 및 미국 정부 간의 재정 및 재산에 관한 최초협정’


제5조에 의거해 대한민국 정부에 이양

• 1949.12 ‘귀속재산처리법’ 제정

• 문제: 연고자 우선권 내용 / 대금 장기분할 상환 허용 - 물가 상승이 심했던 터라 대금


지불 연기할 수록 이득 / 사정가격보다 낮게 불하, 정치권력과 밀착된 이에게 거의
무상으로 불하

∴ 건전한 민족자본 형성이 아닌, 재벌 형성의 물질적 토대로서 작용


ㅂ. 개혁 및 제도_국민운동
국민반 실천 공지사항
• ‘국민회(이전의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중심으로
반공주의 의제 공론화
• 목표: 반공주의를 기초로 마을을 촘촘하게
조직해서 외부로부터의 침입 방지
• 국민반 구성, 월 1회 이상 반상회 개최

“국민회 사무국장 이활은 사적 조직이 국가의


.

행정계통을 수단이자 매개로 하여 권력화되어가는


이러한 형태를 ’반관반민’이라고 규정하였고, 정부
각부 장관, 공보처장, 내무차관, 국민회
최고의원으로 운영휘원회를 구성하였다. 이는
국민운동의 목적이 정치운동이며, ‘국민운동’의
주체가 국민이 아님을 여실히 드러낸 것이었다.”
ㅂ. 개혁 및 제도_유숙계 제도
• 1949.7 실시 : 유동인구 파악을 위해 외부사람이
거주자의 집에 묵으면 반원(세대주)이 소속
반장에게 신고하고 반장은 유숙인의 본적, 현주소, 유숙외박신고부

여행 목적, 관계를 파출소에 신고해야 함


• 목적: 불순분자 미연 탐지 & 공산분자 동향 파악
• 교화적 시행 위해 애국반 조직
• 상호연대 책임으로 10가구씩 개편, 반장이 책임
• 반공국민으로서의 역할을 요구한 것
※ 미국의 인식

• “국가 내부의 정치, 경제, 군사적 불안 요인에 편승한 북한으로부터의 간접침투,


내부전복 전술” 우려

• 대한정책 - 대내안보 강화정책 추구


• 소련 세계전략, 군사적 위협보다는 내부의 정치 경제적 불안정 이용할거라 파악
by 간접적인 공격(indirect aggression)과 내부전복(internal subversion)
Q. 이승만 정권은
반공을 어떻게 뿌리내렸는가?

세뇌
'
"

A. 반이승만 세력에 대한 철저한 억압


o
'
& ‘반공국민’으로서의 정체성 형성

폭력적 硼一 ,
.
다음주 수업...

― 한국전쟁(Korean War) ―
감사합니다
5-2. 한국 전쟁 I
미소간 냉전이 본격화 군사화되어 가는 것
, .
.

한국현대사의 이해 / 신유진
강의 개요
ㄱ. 대외적 상황

ㄴ. 대내적 상황

ㄷ. 전쟁 직전 상황

ㄹ. 전쟁의 방아쇠(중소북의 전쟁승인과정)

ㅁ. 발발

ㅂ. 미국의 참전 결정 과정
675 대의 소거 "
ㄱ. 대외적 상황 (
소련 ,
주 3 공산 s

"

(1) 소련 핵무기 개발 (2) 중국 공산화


宬岷
Never
Est
• 국공내전 - 공산당 승리, 국민당

퇴각

!
공산당 타이오땳
1949.10.1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 “두 개의 중국” 공산당 / 타이완 .

• 1950.2.14
중소우호동맹상호원조조약 체결
• 얄타 폐기를 의미
IEEE민당 조약 .

얄타에서 .

이거 펴네 ,

폐기후
소련 -
공산당 '
소련국민당nmn 소련 공산S
ㄱ. 대외적 상황
대해
(3) NSC 68
nnvi.fi
• 대소 강경정책으로의 전환
• 국무부와 국방부 합동으로 대외 정세의
급변에 대한 대응방안
조지 케넌
• NSC = National Security 폴 니츠
Council/국가안전보장회의 nnmnnn
정책기획국장 임명
"미국이 엄청난 재정적자를 기록하더라도
• NSC 역할 = 대외/안보정책과 관련하여 군사비의 증가가 절대적으로 필요함"
,

고위 관료들이 대통령에게 자문 "공산화의 위기가 있는 곳에는 미국이


즉각적으로 개입해야"
ㄱ. 대외적 상황 반대
!
공산당
앴츪品 .
r
(3) NSC 68 공산화 (4) 미국 매카시즘(McCarthyism) 대두

• 국내 재정 문제 심각 + 정부 지출 증대를 • 조셉 매카시(위스콘신주 상원의원), 국무부 내의


Ann Ann
우려 = NSC 68 승인 연기 공산당원 205명 명단 주장
• '내부의 공산주의자들(internal Communist
• 승인(50.9.30) 계기 = 한국전쟁
Nh
Threat)'에 대한 공포 증폭
• “냉전의
von 군사화를 알리는 신호탄”
• ‘빨갱이 광풍(Red Scare)’
• by 딘 애치슨(Dean Acheson) 국무장관:
• 배경: 공산주의에 대한 미국
“군사력 우위 없이 펼치는 봉쇄 정책은 그저
국민들의 공포, 공화당의
허풍에 불과할 뿐!”
과도한 정치 공세, 언론의
-
• 군사적 봉쇄주의 ― 1950.7 106억 달러 무책임한 보도
추가 국방예산 요청 60억 유럽
54년 민주당 당선 후
ㄱ. 대외적 상황 _ 매카시즘 쇠 亐了
매카시즘
ㄱ. 대외적 상황
(5) 애치슨 라인(Acheson Line)
• 1950.1.12 “아시아의 위기(Crisis in
Asia)” 연설 (at 내셔널프레스 클럽)
• ‘알류산 열도-일본-오키나와-필리핀’
• 한국, 대만 제외

미국이
버렸다는
한국을
에이미는
일본과 유엔으로
방이 가능할 것이라 생각 .
ㄴ. 대내적 상황
(1) 한반도 주둔 외군 철수(48.12/49.6)
• 모스크바 결정 폐기로, 미소 양측 군대 철수 준비 시작
• 미국, 대규모 경제 원조 진행, 외부 침략 대응 위해 경비대 증강
• 미군, 철수 계획: 1948.8.15 ~ 12.31
• 소련군 철수 계획: 1948.9~12 / 북한의 외국군 철수 요구 수용 형식
• 여순 항쟁으로 이승만이 주한미군의 철수 유보 요청. But, 유엔 총회에서 대한민국 수립과
4 소련군도 철수했기에
점령군 철수 결의 통과 주둔시킬
미군이 군대를
• 소련군: 10.19 철수 시작 / 12.25 완료 명분이 없었던 것 .

• 미군: 1.15 주한미군 24군단 해체, 1개 연대 전투단 외에 철수 ― 6.30 전부 철수


• 500여 명 군사고문단만 잔류
ㄴ. 대내적 상황
미군철수 .

(2) 38선 무력 충돌 '


기준이 없어서 차지하기
38선 위치
명확한 남북 유리한
,

l 心웅
위해
i

한국전쟁이
0
최쩐 성격만

-

49.4 있는
아님 .
ㄷ. 전쟁 직전 상황
(1) 북: 49년 중반부터 소련이 차관 형식으로 “이들 두(남북) 잠재적 군사력의 각각의 역량은
알려지지 않았다. 한쪽은 우익이고 한쪽은 좌익이었다고
무기 제공 / 군사고문단 통해 훈련
말하는 것으로 족하며, 만약 소련과 미국이 동시에
& 국공내전 종결로, 공산당에서 활동하던 철수한다면, 한국인들은 의문의 여지없이 내전에 돌입해
부대 3만 7천명 귀국 서로의 목을 조이게 될 것이다.”(주한미군 수석 군사관 해럴드
라슨)
(2) 남: 49년부터 북진통일 주장,

÷
“한국을 분단해놓은 미소 양국이 자기가 점령한 지역에
“국군은 대통령으로부터 명령을 기다리고 있으
각기 상반된 정권과 군대를 만들어놓고서 그대로
며 명령만 있으면 하루 안에 평양이나 원산을 나가는 것은 마치 남의 동리에 와서 싸움을 붙여 놓고
완전히 점령할 수 있다(신성모 국방장관)” 슬쩍 나가버리는 것 같은 것이다. 만약 내전이
“점심은 평양에서, 저녁은 신의주에서” 발생된다면 그 책임은 미소 양방에 다 같이 있는
것이다.” (김구)
ㄴ. 대내적 상황
Q. (1) 한국전쟁은 돌발적인 사건?
(2) 한국전쟁은 국제전? 아니면 내전?

것 생성
A. 우연히 발생한
"특정 시점에서 특정 세력에 의해 돌출적으로 창조되거나 결정된 산물이 아니라,
미소/남북/좌우의 대립과 길항과정에서 형성된 결과물"(정병준)
ㄴ. 대내적 상황
대항해
중국 - 미국에
조선이나
항미원조전쟁 일본 - 조선전쟁

썝힚譽.fi?tUt
.it 한국 전쟁

卜玳淺.ir
p
전쟁이 끝나기도
미국에게 잊혀징
전 .

당시 - 6.25사변, 동란 미국 - 잊혀진 전쟁

mmoEiiiiiiii.ly
지금 - 6.25, 한국전쟁 (Forgotten War)

한국전쟁에
吠坍史沁沅許話冶
ㄹ. 전쟁의 방아쇠(중소북의 전쟁승인과정)
1) 1949.3 2) 1950.3
• 김일성, 박헌영이 소련 방문 - ‘조소우호조약’ 체결 • 1950.3.30~4.25 김일성과 박헌영 소련 방문
목적 • 스탈린, 미국 불개입과 중국 지원을 조건으로 전쟁
• 김일성, 남한과의 무력 충돌 주장 & 스탈린의 반대 승인
• 소련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북의 남침 반대 • 승인 이유 (1) 주한 미군 철수 (2) 중국 공산주의
결의 채택: 이유 (1) 북이 주도하는 전쟁 발발이 혁명 성공 (3) 소련 원자탄 실험 성공
적들에게 공산주의를 공격할 수 있는 빌미가 되며, • 미국 - “Who Lost China” 논쟁
(2) 선제 공격이 무조건 성공하리라는 확신도 없고
(3) 남한 사람들이 북한을 지지한다는 보장이 없음
• 북한 지도부, 미국 참전 가능성 적다고 판단 &
공산주의자 20만의 봉기 예측, 전쟁은 3일 만에
끝날 것!
ㄹ. 전쟁의 방아쇠(중소북의 전쟁승인과정)
6월 25일 새벽 4시 40분경,
3) 1950.5
• 1950.5.13 북한 지도부 북경 방문
한국 전쟁 시작

• 마오쩌둥이 스탈린의 ‘조건부 승인’
재확인
• 미국의 참전시, 소련의 개입을

T-34 tank
약속받으면서 북한 지원 결정
• 개전시기?
남한이 먼저
min
평양 방송, “인민군은 자위조치로써 공격
'

반격을 가하여 정의의 전쟁을 시작했다”


ㅁ. 발발
* 병력 비교

한국군 상황:
• 소련제
rm
탱크를 막을 무기나 전투기
없음
• 일요일을 맞아, 많은 병사들이
휴가를 맞아 나가 있음
• ‘숙군’ : 군 내부의 좌파 색출 / 140,000

여순으로 본격 시작 1949.7까지
국군 병력 5%인 4,749명 숙청
= 우수 지휘관의 제거로 결속력
약화 & 전투력 크게 저하
ㅁ. 발발
이승만, 27일 새벽 2시 몰래 열차 타고 대전으로 피난 ―
“대통령과 정부는 평상시와 같이 중앙청에서 집무하고, 국군이
한강 인도교 폭파 (600~1,200명 수장)
의정부를 탈환하고 있으니 국민은 안심하고 생업에 종사하라”
드라마 [서울 1945](2006)
ㅁ. 발발
인민군 서울 진주 Q. 왜 북한은 3일이나 서울에서 머물렀는가?

A. 북한군이 황급하게 소련에게 추가적인


탄약/보급을 요청,
한국군 전력/방어 태세를 지나치게 경시하여 준비를
제대로 하지 않은 점, 작전 협조를 위한 지휘체계의
미흡, 춘천 공격한 보조공격 부대들이 계획보다
지연되어 수원 이남으로 진출하지 못해서 서울의
주력부대와 협조하지 못한 점,
남로당의 대규모 봉기를 실제로 기대한 점, 한강
도강을 위한 장비가 부족했던 점,
서울 점령 이후 자축 분위기에 젖어 있었던 점, 등
ㅂ. 미국의 참전 결정과정
• 주한미대사 존 무쵸(John J. Muccio)가 국무성에 전문으로 보고
• 전문, 워싱턴 도착 1950.6.24 토요일 저녁 9시 26분(현지 시각)
• 트루먼 회고, “히틀러, 무솔리니, 일본의 경우를 보아, 한국이
적화되게 되면 공산주의가 계속해서 더욱 팽창해 나갈 것”
• “미국이 한국의 적화를 막지 못하면 나중에는 계속되는 공산주의
의 팽창을 저지하려는 과정에서 인류는 제3차 세계대전을 경험하
게 될 것”
• 북한의 배후는 무조건 소련! 문제는 소련의 목적이나 의도!
• 세계를 무대로 하는 전면전을 위한 전초전 or 한반도에만
제한되는 국지전?
ㅂ. 미국의 참전 결정과정
• 25일, 트루먼 승인 하에 애치슨이 안보리에 결의안
제출/통과(“북한이 지금 평화를 파괴하고 있고, 적대
행위를 즉각 중지하며 38도선 이북으로 철수하라!”)
• 27일, 남한에 대한 군사지원결의안 통과
• 두 회의에 소련 대표 불참 (WHY?)
• 미국, 북한을 ‘침략국’으로 규정
& “오직 대한민국을 북한군의 남침 이전의 상태로
되돌리고 침략에 의해 파괴된 평화를 재건하기 위해”
한국을 지원할 것을 발표
• 주일미군 한반도로 투입 & 27일, 미 공군 활동 시작
ㅂ. 미국의 참전 결정과정
• 미 정부, 공산주의자들의 책동을 극동
전체로 파악, 타이완 보호를 위해 제
7함대 보내 타이완 해협 차단 지시

• 맥아더의 한국전쟁 직접 시찰, 심각한


상황에 지상군 투입 요청

• 한국전쟁 전면 개입 결정
ㅂ. 미국의 참전 결정과정
• 유엔군 투입, 유엔 깃발로 개입한 유일한
전쟁(16개 국가로 구성)

• 7.14 이승만이 미 극동군 사령관 /유엔군


사령관 맥아더에게 한국군 작전지휘권 이양

• 유엔군, 제대로 성과를 내지 못하고 연패


• 서구인의 오리엔탈리즘적 사고방식 작동
• 미군 중 12%가 흑인 / 지역구 사령관, 흑인 구성의
24연대 해산 제안 (‘깜둥이들의 전형적인 문제’)
다음주 수업...

―한국전쟁(War) II & 휴전협상―


6-1. 한국 전쟁 II

한국현대사의 이해 / 신유진
강의 개요
ㄱ. 전개과정

ㄴ. 휴전 회담

ㄷ. 휴전 회담 의제

ㄹ. 의의
ㄱ. 전개과정 ― (1) 북한군의 남침
남한군, 유엔군 연패하여 남하
*대전 전투: 첫 번째로 참전한 미 24사단이 북한군과 벌인 첫 전투 /
사단장 윌리엄 딘 소장 포획
“대전 전투는 나중에 얘기할 인천상륙작전과 함께 세계전쟁사에 남을 만
한 중요한 전투다. 대전 전투에서 북한군이 승리하고 미군 사단장이 포로
가 된 데는 두 가지 중요한 이유가 있었다. 하나는 급하게 투입된 미군이
당시 남한의 지형지물에 익숙하지 못했다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북한군 l

이 산을 타고 남하하면서 미군의 후방을 차단함으로써 포위 작전을 성공


시켰다는 점이다.”
ㄱ. 전개과정 ― (1) 북한군의 남침
• 8월 말, 부산 중심으로 영남지역에 최후방어선 만듦 =
낙동강 방어선(워커 라인(Walker Line))
장군 이름
爬惑
.

• 전선 고착화, 미군의 화력/병력 계속 투입 폭격

• 낙동강 전선 인민군 6사단에 폭격


• 인민군 시체 2천 여구 발견: ‘피로 범벅된
강물이 흘러내렸다’
• “내 일찍이 제2차 세계대전에 참가하여 유럽 "
격전지를 누볐지만 이런 비참한 광경은 미처 구분
보지 못했다” (미군 35연대장 피셔 피난민 i'

적 ,
i
대령(Henry G. Fisher)) '

민간인도
ㄱ. 전개과정 ― (1) 북한군의 남침
• 낙동강 전선, 점차 패색이 짙어지자, ‘공산주의적 관용’ 사라짐
• 징집한 의용군을 총알받이로 삼고 부상자도 인민군만 후송함
• 보급품 수송을 위한 다리 복구 과정에서 시민들 동원
• 인민군 감시병이 있어야 작업 진행, 없으면 부역자들이 인민군 부상병을 다리 밑으로 던져 버림
• 전쟁을 끝내기 위해 낙동강 전선에 병력 대부분 투입
• 훗날, 북한 지도부는 잘못된 전술이었다고 평가

“부산 교두보는 요새도 아니었다. 김일성은 마지막 단계에서 힘이 부족했다. 그는 공격에서 병력과 장비,
전차 등 많은 손실을 입었다. 나는 전차 1개 군단만 더 있었다면 방어선을 돌파해 충분히 전쟁을 끝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우리 고문관들은 계획 과정에서 제반 요인을 고려하지 못해 필요한 모든 지원을
제공하지 못했다. 이에 대해 스탈린은 비난받아야 한다”
(흐루쇼프)
ㄱ. 전개과정 ― (2) 국군/유엔군의 반격
* 인천상륙작전
• 상륙 후보지: 인천, 군산, 주문진
• 맥아더, 인천 주장 - 전략회의에서 많은 이들이 반대
• 이유: “인천은 우리가 꼽을 수 있는 자연적, 지리적 장애물은
모두 갖췄다”
• 인천 상륙은 유엔군이 취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전술방책지며
인천의 지리적 곤란성 때문에 적이 상륙지역으로 인천은 불가
능하다고 생각하고 있는데 바로 그 점으로 인해 기습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해군은 지금 그것을 해낼 것이다. 그것은 10만
명의 생명을 구할 것이다.” (맥아더)
ㄱ. 전개과정 ― (2) 국군/유엔군의 반격
9.15 WWII 이후 최대 규모 작전
9.28 서울 수복
ㄱ. 전개과정 ― (2) 국군/유엔군의 반격
*38선 북진 - rollback/ NSC 81
_

• 문제 - 38선을 넘을 것인가 말 것인가


• NSC 81(한국에 관련된 미국의 행동요강):
ü 목적은 북한 수복과 한반도 통일
ü 중공군/소련군 개입이 없을 경우, 북진한다는 ‘조건부’ 내용
ü 미국 정책, 롤백으로의 전환을 의미
• rollback = “특정 지역을 장악하고 있는 세력을 그 지역으로부터 여러 가지 수단들을 몰
아내거나 격퇴시키는 것”
ㄱ. 전개과정 ― (3) 중공군 개입
• 중국의 경고, “제국주의자들이 자신들의 이웃을 제멋대로 침략하는 것도 결코 용납할 수 없다” (주은래
총리)
• 미국, 무시하고 38선 넘어 북진
• 10.1 김일성이 마오에게 긴급 출병 요청
• 중국공산당 중앙서기국 확대회의에서 부정적 결론
• “조선을 도울 출병이 필요하다. 예컨대 큰 손해를 입더라도 국내 전쟁이 몇 년 더 길어진다고 생각하면
된다. 만약 압록강 남안을 제압당하게 되면 미국이 (대 중국) 침략 전쟁을 도발하려고 한다면 무슨 구실을
붙여서라도 할 수 있다.” (마오쩌둥)
• 10.8 김일성에게 참전 통보
• 10.13 ‘항미원조, 보가위국(抗美援朝 保家衛國)’ 구호로 참전 결정
: 미국에 대항해서 조선을 돕고, 그로써 집안을 지키는 동시에 나라를 보위한다
• “중국인민지원군” ― 정규군이 아닌, 의용군으로써 참전
ㄱ. 전개과정 ― (3) 중공군 개입 25분보다
• 미군, 크리스마스는 집에서 보낼 수 있을 것!
• 11.24 ‘크리스마스 대공세’ 계획 = 종전을 위한 총공세
그러나, 장진호 전투 발생: ‘미 해병대 역사상 최악의 전투, 세계 3대 동계 전투 중 하나’


ㄱ. 전개과정 ― (3) 중공군 개입

장진호 전투
: “역사상 유례가
없는 잔인하고 야
만스러운 전쟁”
ㄱ. 전개과정 ― (3) 중공군 개입

흥남철수작전
굳세어라 금순아
ㄱ. 전개과정 ― (3) 중공군 개입

• 중공군 개입 이후, 38선 밑으로 철수


• ‘전적으로 새로운 전쟁’
• 1.4후퇴 - 유엔군에게 ‘최저점의 순간’
• 미국, 남한 정부 망명 계획 수립 = 주요 인사를
비롯한 한국인 10만 명을 하와이 근처 섬으로
옮겨 망명정부를 세우는 것
1자 중공군의 병력 교체 .
ㄱ. 전개과정 ― 전선 고착
• 작전 성공으로 2월 중공군 기세 저하
• 3월, 서울 재탈환
• 4~5월, 중공군의 춘계공세
• 5월 말, 38선 이남 회복
= 전선 고착
ㄴ. 휴전회담 ― 논의 배경
• 케넌 왈, “승리의 가능성은 모두 사라졌으며, 앞으 “38도선에서 군사행동중지를 제의하고 동의한 주요 이유
로 전세가 호전될 수 있는 가능성 역시 희박한 상 는 현 우리의 군사역량이 적들을 북조선에서 축출할 수 있
황에서 한반도에서의 지구전과 소모전은 스스로를 을 뿐 적들을 남조선에서 축출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불리한 조건 속으로 빠져들게 하는 것” 전쟁이 길어지면 적들의 힘을 더욱 더 소모시킬 수 있지만,

• 유일한 해결책 = 정치적 해결 우리에게도 재정적으로 상당한 위기를 가져다줌으로써 국

• 중요한 목적 = “어떻게 피해 없이 명예롭게 전쟁을 방건설이 증대하기 힘들 것이다.


mm

끝낼 수 있는가” 전쟁이 연장되어 예를 들면 반년 혹은 8개월 더 전쟁을 계


속하여 적들을 남조선에서 완전히 몰아낼 수 있다면 우리
• 51년 중반, 미국 정부가 케넌을 통해 소련에 휴전
제의 는 이러한 위기의 대가를 지불하기를 원하지만 현 상황에
서 이러한 가능성은 보이지 않는다. ”
• 유엔주재 소련대표 야코프 말리크(Yakov A. V.
(마오쩌둥)
Malik)와 접촉
ㄴ. 휴전회담 ― 논의 배경
• 중국, 북한도 휴전에 동의
• 1951.6.3 케넌이 미소회담 중국 미국

X
개최 제의
Just
• 6.23 조중 연합군이 북한 남한 en

from
en
말리크를 통해 호응

1951.7.10 오전 10시
개성의 내봉장(來鳳莊)
ㄴ. 휴전회담 ― 논의 배경
• 이승만의 휴전반대 운동
• “이미 제거된 38선을 또다시 발생시키는 어떠한 정
전에도 반대하며, 만약 유엔군이 투지를 굽혀서 정
전협상을 개시하는 경우에는 실지(失地)를 회복할
때까지 한국은 단독행동을 취하겠다.” (1951.5.26)

• 6.5 국회에서 정전반대결의안 통과


• 6.11 38도선 정전반대 국민총궐기대회 개최
ㄷ. 휴전회담 - 의제
L 미국을 한반도
길어진 이유에
제1의제-회담 의제 선정 묶어 놔야
제2의제-군사분계선 협상 유럽에서
소련의 유리한
제3의제-휴전감시방법과 기구 협상
입지유지 가능 .

제4의제-포로송환 협상
제5의제-관계국 정부에 대한 건의사항
ㄷ. 휴전회담 ― 의제 1&2
• 1의제: 의제 선정, 13일 만에 종료
회담 장소, 판문점으로 변경
• 2의제: 군사분계선 두고 논쟁.
ü 화력에 자신있던 유엔군은 당시 전선을 새로운
분계선으로 제안
ü 공산군은 38도선 제안
ü 정전협정이 조인되는 순간의 대치하고 있는 선을
군사분계선으로!
ü 군사분계선 중심으로 약 2km의 비무장 지대
설정하여 전쟁 재발 방지
ㄷ. 휴전회담 ― 의제 3
• 감시기구 구성 문제 - 군사장비 증강 막기 위해 서로 5개 항구 감시
• 각 중립국 감시위원단은 북한 - 신의주, 신안주, 만포진, 함흥, 청진
/ 남한 - 부산, 인천, 강릉, 군산, 대구 감시

• 병력 교체만 허용, 새로운 장비 유입 금지


• 중립국 구성두고 갈등: 공산군은 소련 포함 주장& 미국의 반대
• 중립국 감시위원회 =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공산군) + 스웨덴 스위스(유엔군)
ㄷ. 휴전회담 ― 의제 4
• 포로 문제 - 49년 제네바 협정, “무조건 본국 송환 원칙”
• 포로 명부 교환: 공산군 포로 13만 명 / 유엔군 포로
11,000명
• 유엔군의 예상은 5~6만으로, 공산군이 포로 수
축소했다고 반발
• 포로들, 추위 굶주림 강제노역 폭격 등으로 사망 多
• 포로 성격: 투항, 생포, 귀순한 이들 / 민간인의 경우,
인민군 징집에 의해서 자의/타의로 복무한 사람들, 보급품
수송에 동원된 사람들, 미군창고 도둑, 간첩의심자 /
한국군이 인민군의 포로가 되었다가 인민군으로 복무, 이후
다시 유엔군 측에 전쟁포로로 잡히는 사례 有
ㄷ. 휴전회담 ― 의제 4
• 자유송환 문제: 남북이 서로의 영토를 통치하는
• 유엔군, 1대1 포로교환 제의
동안 이루어진 군인 모집
→ 공산군 측, 거절
• 1950.7.1 북의 ‘전시 동원령’ - 18~36세 청년
• ‘포로 자유의사에 의한 송환’을 제안 동원(서울 학생 절반 입대)
: 무조건 송환 원칙에 위배, 그러나 포로의 의사에 • 강제로 북한군이 된 이들을 북으로 돌려보내는 건
反해 불이익을 받아서는 안 된다는 규정 비인도적

→ 공산군 측, 절대 반대 • 북의 입장에서도 재교육 어려움


• 포로들 의사 조사: 17만 중 10만이 송환을 원함
미국 _ 전투에서 승리하지 못한다면,
• 공산군 측의 강력한 반대
명분에서라도 승리하자!
• 포로송환 원칙을 두고 대립, 전쟁 장기화
= A Substitute for Victory
↳ 공산당으로 돌아가는 걸거부하는 포로도 있을것 .
ㄷ. 휴전회담 - 고지전
“군사전략상 중요한 고지라는 이유만으로
이들은 기어 올라가라는 명령을 받았으며,
서로 빼앗고 빼앗기는 공방 속에서 생명을
잃었다.
1951년 9월 13일부터 한 달 동안 강원도
양구군에서 계속된 ‘단장의 능선’ 전투에는
탄약 70만 발, 항공기 출격 842회, 폭탄
250돈이 퍼부어졌다.
이 전투로 유엔군은 597명이 전사하고 3천
여 명이 부상했으며, 공산군은 1,500명이
전사하고 7천 여 명이 부상했다.”
ㄷ. 휴전회담 ― 협상 재개의 계기

(2) 1953.3.5 스탈린 사망


(1) 1952 아이젠하워 대통령 당선
소련, 대미정책 유화적으로
한국전쟁의 종전을 공약으로
ㄷ. 휴전회담 ― 의제 4
(1) 복귀를 희망하는 모든 포로는 60일 이내에 송환시키도록 하나,
• 1953.4.16 공산군의 요청으로 정전협상 그 기간에 송환을 선택하지 않은 포로의 신병은 스웨덴, 스위스,
재개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 인도로 구성되는 중립국 송환위원회로
인계한다.
• 4일만에 부상포로 교환 성립
(2) 그 후 90일 동안 포로의 소속국 대표들은 중립국 송환위원회의
• 6.8 본국 송환 거부하는 포로 문제 합의 관리 하에 포로들에 대하여 고국으로 복귀할 권리와 그 이후의

• 포로교환협정 완성 대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3) 90일의 설명기간이 지나도록 복귀를 희망하지 않는 포로들의
처리문제는 휴전협정 초안 제60조에 규정된 정치회담으로 넘겨 30일
이내에 이를 해결하도록 한다.
(4) 그 이후에도 여전히 송환을 거부하는 포로들은 민간인 신분으로
된다.
(5) 만약 그들이 중립국을 송환선으로 선택하면 중립국
송환위원회는 이에 협조한다.
ㄷ. 휴전회담 ― 의제 4
* 이승만 포로 석방 사건: 1953.6.18 유엔군과 공산군이 정전협정에 조인하기로 합의한 날,
이승만이 2만 7천 여명의 반공포로들을 석방한 사건

• 이승만의 휴전 반대 데모의 일환 (미국으로부터 한국 방위 보장 받아내려고)

• 이에 공산군 측은 총사령관 팽덕회의 지휘 하에 ‘7.13공세’ 펼침


= 보복으로서, 휴전 회담 이후 가장 강력했던 공격전

• 이로써 휴전 회담은 가장 큰 위기 직면

• 작전지휘권이 유엔군사령부에 있기에 합법적 석방 x

• 아이젠하워, “미국은 우방을 잃은 대신 적을 하나 더 얻었다”고 개탄


ㄷ. 휴전회담
• 공산군 측이 회담 중단 요청, 유엔군의
한국군 협정 준수 보장하겠다고 하여 회담
재개
• 협상의 마무리를 위해, 국무부차관보를
남한으로 보내 한미상호방위조야 체결과
군사원조 제공을 약속으로 휴전회담에
동의하도록 설득
• 7.22 군사분계선 확정
• 비송환 포로들, 비무장 지대의 인도군
관할 지역으로 인계
ㄷ. 휴전회담
7.27 오전 10시 정전협정 조인
ㄷ. 휴전회담
• 휴전(armistice): 정치적인 목적을 둔 당사자 간의 협정에 의한 적대
행위의 중지
• 정전(truce): 군사적인 목적에서만 적대행위를 중지하는 것
• 종전: 전쟁의 완전한 종식
• 3개월 내의 정치회담 개최, 현안 논의하기로 결정 (평화 체제로의 전환)
• 1953.10.26 정치회담 예비회담 개최 - 불발
• 1954.4.26 제네바 회담 개최 - 성과 x
ㄹ. 의의

한국전쟁, “누구도 승리하지 못한 전쟁에서 누구도 패배하지 않았다고 주장”


이데올로기 전쟁 & 심리전

냉전의 군사화, 미소 간의 냉전체제를 심화시킨 전환점


미국, 영구 전쟁 국가로 전환 & 상비군 체제와 해외 상시 주둔 시작

분단체제 고착화 & 남북 간의 적대심 악화


언제든지 전쟁이 발발할 수 있는 곳, 한반도
다음주 수업...

―민간인 학살과 부산정치파동―


감사합니다
7-1. 전후 체제

한국현대사의 이해 / 신유진
강의 개요
ㄱ. 샌프란시스코 체제

ㄴ. 아이젠하워 대외정책

ㄷ. 한미상호방위조약

ㄹ. 5.20총선 & 사사오입개헌

ㅁ. 이승만정권 후기체제
ㄱ. 샌프란시스코 체제
• 미국 중심의 반공조약이자 대일우호적인 조약
1951.9.8 소련, 체코슬로바키아, 폴란드를 제외하고
• 미일안보조약으로, 미국의 일본에서의 군사력
48개국과 ‘대일평화조약(Treaty of Peace with
Japan)’ 체결 허용 & 일본의 재무장 지지

= 2차 대전 종결 & 샌프란시스코 체제 • 관대한 조약으로 인해, 전쟁 책임에 대해


• 동아시아에서 일본을 위주로 한 자유진영 연대 국가적/국민적 자각 불가
이유 : 일본을 중심으로
정착을 추구 .

(경제력 )
• 대일 점령 종결과 일본의 배상책임 완화
0
자유주의

Emnnnnenn
체제
• 연합국과 일본 간의 적대 관계 청산 & 일본의
구축하려고!
주권
int외복
• 영토 할양 등의 징벌 전부 배제 & 배상문제
이후에 각 국가들이 별도 협상
nnmnn
• 미일안보조약(1951)과 미일행정협정(1952) 체결
+ ) 하뗻 미르m
ㄱ. 샌프란시스코 체제
.

• 한국, 샌프란 평화조약 참가를 주장 & 미국도 1949년까지 한국을 포함시킬 생각.
nnrttneenrennnre
귀속재산 외에는 일본에게 배상요구를 하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동시에 한국의
반공국가로서의 국제적인 위상을 높일수도 있을 것이라 예상.

(
• 일본의 반대: 한국은 평화조약의 발효로 독립을 회복하게 되는 국가, 일본과 교전
상태에 있지 않기 때문에 연합국으로 간주 불가 명분: 한국은 일본과
전쟁 상태에
1 )
• 영국, 임시정부의 자격이 승인되지 않았기에 한국의 참석 반대 있지 1실질적이유 :
한국이
• 미국의 동아시아 정책이 ‘일본 중심’임이 명확 않았다 .

/ 서명해되면
평화조약
• 한국, 중국 등의 일본 제국주의의 피해국들이 조약에서 배제됨 연합국이
4한계 아니었다 .
배산보상은제
문제점 .

에서 한국
7. .
1요구사항
ㄱ. 샌프란시스코 체제
1952.4.28 조약 발효로, 일본 주권 회복
미국
샌프란 조약 = 우방국에게는 평화를 약속 & 공산 적대세력에게는 전쟁을 선포
태평양 국가들이 두려워하는 일본 제국주의 부활을 막는 동시에,
미국의 ↳ 샌프란시스코 조약 印羽
목표 .
일본이 태평양을 기반으로 경제적 성장을 하도록 보장하는 것
목적2 ↳ 일본이 또다시
= 모순 내포! 일으킬 수 있잖아 .

mm 전쟁
& 일본 군국주의 피해자들의 조약 배제= '분리된 평화(separate peace)'
미국에게 필요한 국가만 평화의 선 안에
미국,동아시아 지역 안보 구축과 일본의 대소 군사기지로서의 활용 추구(“미국이 원하는 -

만큼의 군대를, 원하는 장소에, 원하는 기간만큼 주둔시킬 권리를 어떻게 확보하는가”의 문제)
↳ 미국이 원하는 것 .
ㄴ. 아이젠하워 대외정책 - 뉴룩 정책
• New Look
• 공산주의 팽창 봉쇄 + 미국 자본주의
경제 파산 방지
• 소련의 팽창을 막는데 국방비의 과다
지출이 경제를 붕괴시켜서는 안 됨.
• 국방비 증가로 군산복합체의 과도한
성장을 우려함.
값싸게! 공산주의 봉쇄하는 것!
• "
ㄴ. 아이젠하워 대외정책 - 뉴룩 정책
(1) 핵전략 (2) CIA를 통한 neuron
은밀한 작전(Covert
• 공산주의 위협에 대응하는 Operations) → 제3 세계에서 소련무네다 .

대량보복전략(massive retaliation : 주로 3세계 국가들의 친소 정부 전복이나


strategy) 친미적 정권 지원하는 등 정치적 개입.

• 목표: 우월한o핵무기와 o공군력을 이용해 납치, 암살, 등의 범죄_


행위 포함.
군사예산
von 축소시키고, 소련 영향권 하의
국가들을 해방시키는 것
• 비용이 적게 드는 핵탄두 개발에 집중
• 봉쇄전략으로는 중소의 팽창을 막을 수
없다고 판단
ㄴ. 아이젠하워 대외정책 - 아이젠하워 독트린(1957)
• 배경:
ü 반둥회의(1955) & 아시아-
아프리카 회의(AA 회의)
ü 총 29개국 참가
ü 제3세계(The Third World) 등장
ü 미소 제국주의 패권에 반대하는
‘비동맹운동(Non-Alignment
Movement)’
ㄴ. 아이젠하워 대외정책 - 아이젠하워 독트린(1957)

폴란드 사태(1956.6) 헝가리 혁명(1956.10)


↳ 스탈린이 죽고.

노동자 불만 터져
.
.

.
스탈린체제에-T감명.2TV
반대하는 시위
부다페트에서 일어남
소련 진입으로
.

진압됨 .
ㄴ. 아이젠하워 대외정책 - 아이젠하워 독트린(1957)
수에즈 운하 위기(1956.10) 영국 , 프랑스 이집트
,

nnnr
가 이스라엘을

끌어들여
이집트 공격


미국이 중지
t몌
ㄴ. 아이젠하워 대외정책 - 아이젠하워 독트린(1957)
ü ‘제3세계 진영’ 등장과 신생국들에서 *소련 - 스푸트니크 호 인공위성 최초 발사(1957)
민족주의적인 운동 발생 소련 지원 .
. .

(1) 소련이 우주에서 미국을 공격할 수 있는 가능성


ü 미국의 안보상 중동의 전략적 가치 ↑ (2) 대륙간 탄도탄 개발 가능
ü 대외문제 적극 개입 천명
ü 중동에 병력 적극 파견 ☆ 군사비 감축
!
취소 !
ㄷ. 한미상호방위조약
• Mutual Defense Treaty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 1953.10.1 체결 / 11.17 정식 발효
• 자동개입조항 불포함 - ‘연루’ 방지

T
• 한국군 통제권이 유엔군 하에 놓임

t 미국이 .
.
.

한국은게
이제 거야 !
그만 개입할
ㄹ. 5.20총선&사사오입개헌
• 1952년, 부산정치파동으로 발췌개헌안 통과
• 당시 헌법, 대통령 중임은 1회에 한하여 가능
• 1954.4.6 친일파 중용 담화 발표 “일제 때 무슨 일을 했던지 간에, 지금 와서 탕척받을 만한 일을 했으면 애국자다!”
• 정당공천제에 따라, 당원들이 이승만 당총재에 절대 복종하고 개헌을 지지한다는 서약서를 쓰고 공천을
받음 ( 자유당 의원이 )
• 이승만 정적 세력(조봉암, 신익희) 방해 및 탄압공작
• 김성주 사건 발생: 조봉암의 선거사무차장 김성주가 헌병총사령부로 끌려가 고문으로 살해당함
• 조봉암의 후보 등록 서류 전부 중간에 빼앗기고, 서류 미비로 출마 불가
• '곤봉 선거', '몽둥이 선거' = 자유당 압승, 114/203석 차지
• ‘법에 없는 짓을 수의 힘으로 강행하려는 다수당의 횡포와 이를 막기 위한 야당의 헛된 노력’
ㄹ. 5.20총선&사사오입개헌
*뉴델리 밀회설
ü 한국전쟁 때 납북당한 조소앙을 신익희가 인도 뉴델리에서
몰래 만나 불순한 책동을 일으키려 한다고 주장
ü 민국당 내 국우 세력이 신익희 당수를 모함하기 위해 일으킨
사건
ü 허위 주장이라는 것이 밝혀짐
ü 자유당이 개헌 반대 세력을 억압하는데 이 사건을 이용함
ü 남북협상과 중립화 통일 배격안을 결의함
ㄹ. 5.20총선&사사오입개헌
• 11.20 개헌안 상정
• 표결 결과 = 재적 203명 중 가 135표로
부결 (개헌선 136표)
• 이승만 왈 “아니, 이 사람들아 부결이라니 ...
135표면 통과된 것 아닌가”
• 203의 2/3인 135.33에서 사사오입하면,
135로 개헌안 통과 주장
• 11.29 개헌안 (부결)번복가결동의안 통과
선포
ㄹ. 5.20총선&사사오입개헌

• 개헌안:
초대 대통령에 한해 중임 제한 철폐, 국무총리제와
국무원연대책임제 폐지,Error
대통령중심제 강화, 국가
안위와 관련된 중대 문제는 국민투표 실시

= 1954년, 이승만 정권 후기체제 구축


ㄹ. 5.20총선&사사오입개헌
• 여당 내부 소장파 의원들이 사사오입에 반발해 탈당
• 야당과 힘을 합쳐 ‘호헌동지회’라는 원내교섭단체 구성, 야권통합운동 추진
• 조봉암 세력 포함 여부를 두고, 민주당 창당 과정에서 두 파로 갈림
• 조봉암의 참여를 반대한 자유민주파 VS 찬성한 민주대동파
“조봉암과 한민-민국당은 오랫동안 개와 고양이 사이같은 악연이 있었고, 정치 감각이 뛰어나고
대중의 지지를 받는 조봉암이 당권을 차지할지도 모른다는 우려 등이 작용해 조병옥 등이 한사코
반대한 것이다.”
• 1955.9.19 보수야당 ‘민주당’ 창당
“민주당 창당은 한국 정치가 극단적인 반공 이데올로기를 공유하는 양대 보수 정당이 경쟁하는
보수 양당제 구도로 가는 서막이었다.”
신파 구파갈등
,
.
ㄹ. 5.20총선&사사오입개헌

이승만의 장기집권 체제 확립
형식적 민주주의 폐기
&
반이승만 세력의 집결(4.19 도화선)
ㅁ. 이승만정권 후기체제
(1) 북진통일운동 + 반일운동
ü 사람들의 msn.
반일감정 적절하게
vn
활용

ü ex. 북송반대시위
제일 동포든 북한으로 . .

(2) 친일파 적극 견인
ü 5.20총선으로 친일파들이 자유당 핵심 간부 자리를 차지함
ü ‘이승만-이기붕 체제’ 지지
다음주 수업...
ㄱ. 진보당 창당

ㄴ. 5.15 3대 정부통령 선거(1956)

ㄷ. 진보당 사건

ㄹ. 5.2총선(4대 국회의원 선거)

ㅁ. 원조경제
감사합니다
8-2. 제2공화국과 5.16쿠데타

한국현대사의 이해 / 신유진
강의 개요
ㄱ. 장면 내각

: 경제상황 / 부정선거 처리 / 부정축재자 처벌 / 경찰 숙청 / 2대 악법 /


통일 논의 / 4.19 1주년

ㄴ. 5.16쿠데타
ㄱ. 장면 내각 +
12월
지방자치 .

자유로운 활동이 . . . ( 어느정도 ) 가능해짐 .


양현제
상원
하원
516으로
-

끝 .

• 8.23 장면 내각 출범 • 국정 최우선 목표 = 경제 제일주의!


reference

• 이승만 정권 시의 고급 관리 5천 명 해직, • 국토개발 추진 / 중소기업 육성


민주당 인사들로 대체 • 국토건설사업:
↳ 혁신적 개혁 아니고 자기네들끼리 싸움 .

• 신파 중심으로 내각 구성, 구파가 신파랑 ü 대규모 공공사업계획


결별(민주당 내분) ü 댐, 발전소, 도로 건설을 목표로 연
'

l' 1 1

예산 400억환 규모의 프로젝트 진행


• 10.18 구파 신민당 결성
E
• 보수정당 분열로, 정쟁 격화 & 정국 불안
(당시 쌀 한 가마에 1만 4천환)
ü 그로 인해 고용 증대와 산업 활성화를
• 동시에, 기득권 유지하려는 조치이기도 기대
했음 어쨋든 혁신정당이 존재했으나 . . ü 요원 2천명 가까이 공채로 뽑힘
in
혁신정당 영향력 확대 . 막으려 . .
.

공무원 1.7
ㄱ. 장면 내각_경제 상황 전후 경제는 항상 위험했네 .

• 당시 총수출액 연간 2만 달러 정도 • 1961.4 경제개발 5개년계획 완성 = 미국


• 면직물 원료인 원면 수입액이 연간 3천6백만 원조에 기대면서, 10만의 국군을 감축하여
Ann

달러 경제 발전을 위한 재원을 마련하자


소련 인공위성 획기적 I.
발사
짱하면서 .

“말하자면 우리 자체 힘으로 양복은 고사하고 면작 But, 미국 정부가 안보 위기로 인해,


업복도 입을 수 없는 형편인데 모직물 원료인 양모 해외미군기지와 현지 병력 유지로 대외 전략
수입에만 600만 불을 쓰고 있었다.
전환. (더이상 군사비 감축 추구하기란 어렵게
이 모두를 미국 원조에 의존하고 있으니 나라의 자
됨)
존심을 위해서도 우리 자체의 힘으로 수입할 수 있
So, 미국과의 합의로 3만 정도의 감축 합의
을 때까지는 면작업복으로 참아야 하고 국민에게
& 외국 자본 = from 일본(한일회담 전개
지도자들이 솔선수범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cnn.INT 한일회담때
& 입장 차로 합의 지연)
살펴봐도
ㄱ. 장면 내각_부정선거 처리
민주당 친일파 많았음 .

• 10.8 판결, 부정선거 사범으로 사형이 구형된 9명


중 1명에게만 사형 선고, 나머지 피고인들에게는
무죄를 선고. 아주 경미한 처벌
• 신문, "법관만의 만족을 위한 재판인가?" “우리는
범죄자의 처벌을 위해서 신속한 입법을 다시
촉구한다”
• 부상당한 학생들의 의사당 난입, “하루빨리
혁명입법을 완성하라! 너희들은 다 나가라! “당시 부상 학생의 위세가 당당하여 마치 부상 학생들의 천하와 같은
우리가 정치를 하겠다! 정쟁 국회는 해산하라!" 감이 들었고 아무도 감히 이를 제지하지 못했다. …. ‘정권을 우리가
주었는데’ 하는 생각은 ‘부상 학생 천하제일’이라는 생각 때문이었다. …
0입건자 6명중 31명 기소 , 185명 도주 국회에 경호권을 발동하여 한번 크게 호령을 해줄 생각도 없지 않았으나
61년
4월 그들의 항의 방법이 너무도 졸렬하여 그만 자신을 잃어 버렸다.”
* 부정축재자 처벌 .

내각 법 .
사형선고를 (민의원 의장 회고록)
장면
. .

X 받았지만 . . .

처 1일 거의 5.16E로
제대로 처리X
ㄱ. 장면 내각_경찰 숙청
• 집권 3개월 만에 자유당 정권에 협조했거나 문제가 있는 경찰 4,500명 숙청 & 전체
경찰 중 80%를 다른 곳으로 보내버림
• 대규모의 인사이동과 해직으로 정보기능 / 공공질서 유지/ 수사 측면에 큰 타격

“만일 장면 정부가 경찰을 포함한 이승만 정권의 관리들을 보호하려는 성의와 능력을 보일
수 있었더라면 그들은 쉽사리 새 정부에 충성을 기울였는지도 모른다.
이 점에서 장 정부는 실패했기 때문에 사기가 저하되고 직무에 열의가 없었다. 심지어 경찰서
건물이 파괴되고 상관이 공격을 받을 때조차 경찰관들이 시위대원들과 직접적인 충돌을 회피
하는 경우도 많아졌다.”
ㄱ. 장면 내각_2대 악법
• 1961.3 반공임시특별법과 데모규제법 제정 발표
nerve
“반공법을 만들려는 것은 의식적으로 국민들에게
다반공세무근T지고..22
• 혁신정당과 학생세력, 보수 지식인들 항의 집회에 나섬 공포분위기를 조성시키려는 것이다. 반국가란
용어가 결과에 있어서 반정부적인 것을
• 장면 계열의 신문인 <경향신문>도 반발하고 나섬
탄압하려는 것으로 본다. 즉 건전한 정당운동과
야당 활동을 방해하고 민주주의의 기본 원칙인
정부 비판의 자유를 억압할 우려가 많다. 장
정권이 선정할 생각은 않고 국민의 기본권을
억압하려는 악의에 찬 짓을 하고 있으므로
국민의 지탄을 받을 것이다.”(신민당_김영삼)
ㄱ. 장면 내각_2대 악법
• 민주당 왈, 언론과 혁신계열 탄압하려는 목적 아니다!
• 반대투쟁은 정치세력과 학생세력의 연합으로 발전

우익세력의 찬성 시위
혁신계의 반대 궐기대회
“반공 진영이 일어날 때가 왔다. 공산분자들

=
“피로써 찾은 민권 악법으로 뺏을 쏘냐”
이 날뛰는 이 땅은 누구의 땅인가? 지금은
“반공이란 이름 밑에 생사람 잡지 마라”
위기의 순간이다. 모두 뭉쳐서 공산주의자들
“4월의 피는 통곡한다” 을 파멸시키자. 혁신계로 가장한 용공분자들
non

을 때려잡자.” 급진개혁 인사들을 공산주의자로


매도하려고 항
ㄱ. 장면 내각_통일 논의
• 1961.5 초 학생들의 남북학생회담
• 시국토론회에서 통일문제 논의 ‘이 땅이 뉘 땅인데 오도 가도 못 하느냐”
• 민족통일연맹(민통련), '남북 학생 판문점에서 만나자'
민족자주통일협의회(민자통) 등 결성 • 여론과 보수 정치세력, 서신 교환 등의 제한적인
• 혁신계열과 학생세력들이 활발해지면서 교류에 지지를 표명함
통일운동 또한 활발해짐 • 장면 정권, 국제적십자사를 통한 서신교류 검토
• 민주당, 북진통일론의 폐기와 유엔감시 하 남북 • 보수정치인과 언론의 용공성
근데 너무 빨리 반공으로 나아가야 해

총선거안 주장 이루어지니까
보수정치인 불안
• 실현 불가능과 극우세력의 불만으로, ‘선건설 L

언론의 용공성
후통일론’ 주장 시위가 일어나게 된.

• 여론, 그 주장은 통일을 유보하자는 거라고 비난


반공 보수 세력이 또다시 정권을

ㄱ. 장면 내각_4.19 1주년 잡아 본질적인 해결 "


.

• 쿠데타의 음모로, 장면 정부가 무너질 거라는 4.19 혁명의 정신은 어디로 간 것인가?
3, 4월 위기설

• 쿠데타 세력에게 명분 빌미를 주지 않기 위해 “우리는 그 싸움으로써 특권과 단독 정부


nnnnnnn.eu
침묵시위를 펼침 사욕 위에 세워진 이승만 체제가
무너지라고 육박했다.
그러나 안팎으로 뿌리 깊게 박혀진
이승만적 반민족적 체제는 모습을 달리했을
뿐 본질에 있어서는 그대로 지속되고 또는
더욱더 나빠지기만 할 뿐이다.”
ㄱ. 장면 내각_4.19 1주년
“민주당 정권은 내부 분열로 날을 보내고, 처음으로 자유를 맛본 각계 대중은 조급한
개혁을 요구하여 밤낮으로 데모를 벌였다. 막강한 독재정권을 쓰러뜨린 데모의 힘을
알게 된 학생들과 각 이익집단은 모든 문제를 직접 국회의사당으로 들고 갔다. 개인
연간 평균소득 93달러(9만 3천 환), 한 달 평균 7천 700환, 그나마 극심한 소득
편중으로 실제 소득은 그보다 훨씬 적었다. 대중의 생활은 말이 아니었다. 정치혁명과
함께 경제적 개혁을 기대했던 대중은 배신감에 사로잡혔다. 대중의 생활은 문자
그대로 ‘도탄’이었으니 그 심정은 이해하고도 남음이 있다.”
ㄴ. 5.16쿠데타
ii.
靭能
ㄴ. 5.16쿠데타_배경 f
물러나렝

• 육사 8기생 중심으로 정군운동(整軍運動)


(1) 한국군 내부 승진 적체와 불만세력 결집
전쟁이 끝나면서 .

실시:부정부패를 일삼고 청산해야 할 과거가


• 이전 기수들과 다르게, 육사 5기생 밑으로
있는 장교들에게 물러나라고 요구하는 운동
승진 정체(육사 전신 군사영어학교
• 승진 적체와 부정 부패로 인한 군부의 불만을
장성승진비율 71%, 5기생 15%)
해소하려는 목적

renren.name
• 육사 8기, 전쟁 당시라 1335명 최다 입교
• 5월 초, 박정희가 송요찬 육군참모총장에게
(2/3 전쟁 때 희생)
부정선거에 대한 책임으로 자진 퇴임하라고
• 5.16때까지 8기생들 승진 정체, 불만 축적
서한 보냄
• 육사 1~7기생과 8기생 사이에는 나이 차이
• 이어, 백선엽 대장과 다른 장성들 사표
거의 없음
• 더 이어지지 못하고, 정군운동이 일단락됨
결의 8기생이 쿠데타 일으킨
9월10일 8기생 쿠데타 (

ㄴ. 5.16쿠데타_배경
이유를 장면이 맘에

. .

안 들어서가 함
8월23일장면 출범
.

안다
'

근데 말이
.

)
18일
Only
. .
.

(2) 민주당 정권에 대한 기대와 실망


• 매일 평균 7.3건의 데모
• “데모로 해가 뜨고 데모로 해가 진다”
nnrnnnnnnn.vn

“자유? 그렇다. 이 땅에 자유가 범람하고 있다.


그러나 그 자유는 국민들이 기대하였던 어떤 질서 내에서의 자유가 아니다.
오늘날 이 땅에서 횡행하는 자유는 ‘배고픈 자유’, ‘실업의 자유’, ‘생명과 재산에 대한 위
협을 받는 자유’, 그리고 ‘데모하는 자유’이다. 이러한 자유는 국민들이 기대했던 자유가
정권은 국민의 요구를 받아줄
아니다.”
당이 없었어 t .
ㄴ. 5.16쿠데타_발발 첫째, 반공을 국시의 제일의로 삼고 지금까지 형식적으로 구호에만
그친 반공체제를 재정비 강화할 것입니다.
• 16일 0시 1분경, 박정희 소장이 지휘소로 정한
둘째, 유엔헌장을 준수하고 국제협약을 충실히 이행할 것이며
서울 제6관구 사령부에 도착하면서 쿠데타 시작 미국을 위시한 자유 우방과의 유대를 더욱 공고히 할 것입니다.
• 쿠데타 세력 = 한국군 5% 미만의 3,400명 정도 셋째, 이 나라 사회의 모든 부패와 구악을 일소하고 퇴폐한 국민
도의와 민족정기를 다시 바로잡기 위하여 청신한 기풍을 진작할
• 서울 시내의 중앙청과 육군본부, 방송국 장악
것입니다.
• ‘군사혁명위원회’ - 의장 장도영, 부의장 박정희 넷째, 절망과 기아 선상에서 허덕이는 민생고를 시급히 해결하고
• 새벽 5시, ‘군사혁명위원회’ 명의로 라디오로 국가 자주경제 재건에 총력을 경주할 것입니다.
쿠데타 방송 다섯째, 민족적 숙원인 국토 통일을 위하여 공산주의와 대결할 수
양심적인 정권
있는 실력의 배양에 전력을 집중할 것입니다.참신하고
" 내려
없으면 놓지 않을 것
.

여섯째, 이와 같은 우리의 과업이 성취되면 참신하고도 양심적인


정치인들에게 언제든지 정권을 이양하고 우리들 본연의 임무에
복귀할 준비를 갖추겠습니다.
언제 쿠데타가 발생해도

ㄴ. 5.16쿠데타
이상하지 않을 상황 .
. .

How? Why?
• 전국에 계엄령 선포 & 집회 금지 및 언론출판보도 • 장면 총리는 수녀원으로 피신, 정부 각료들도 숨음
사전검열 실시 입법 사법 행정 • 윤보선 대통령은 ‘올 것이 왔다’면서 진압 회피
장악

orerenrstnneree.be
• 5.19 군사혁명위원회 → ‘국가재건최고회의’ • 장면, 유엔군사령관(미8군사령관) 매그루더에게
• 내각 명단, 모두 군인으로 구성(장관들 30대~40 연락해 사태 처리 부탁
대 초반)
• 매그루더 장군과 그린 주한 미국 대리대사, 성명
• 박정희 소장 44세, 장도영 38세, 김종필 35세,
정보 장교 김형욱 36세, 차지철 대위 27세 발표= 쿠데타를 불법으로 규정하고 헌법에 따라
수립된 민주당 정부를 지지한다
• 워싱턴, 진압 의사 x, 박정희와의 면담으로 반공 확인
& 승인 좌익색채 있는지 없는지
확인

(
• 경제개혁 추진과 반공 적극 추진, 최대한 빠른
민정이양 촉구 t 한일회담
의장
ㄴ. 5.16쿠데타
mniTEFEETEi.nl
대로 이뤄지지 않았

• 대학교 학생회, 긍정적으로 쿠데타 평가 -


성명서 발표
• 장준하, “부패와 무능과 무질서와 공산주의의
책동을 타파하고 국가의 진로를 바로 잡으려는
5. 1601 4 19 정신 계승해서
민족주의적 군사혁명” (기대
renren.mn
표명) 제대로 해결해 주길 바랑
nrrn

• 비판적 시선도 有. 일부 지식인, "5.16쿠데타가


1950년대 중반에 있었던 이집트의 나세르에 의
한 쿠데타나 인도의 네루가 표방한 정치노선에

)
서 나타나는 것과 같은 민족주의적이며 비동맹
주의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는 군인들에 의해 일 군정 시작
어난 것으로 생각”
다음주 수업...

- 군정 -
9-2. 제3공화국_경제개발과 한일회담

한국현대사의 이해 / 신유진
강의 개요
ㄱ. 미국의 정책 변화

ㄴ. 경제개발 5개년 계획 (1차)


변화를 알아야
ㄷ. 한일 회담 미국 정책

D.
있을
한일 회담 알 수

ㄹ. 6.3시위

ㅁ. 1차 인혁당 사건
ㄱ. 미국의 정책 변화 시험에 안 나와 !

1960, 존 F. 케네디 대통령 취임 1963, 린든 존슨 대통령 취임


ㄱ. 미국의 정책 변화 시험X '

(1) 군사원조-경제개발원조로 전환 (2) 다른 선진국들의 원조 참여를 미국이


원해
.

ü 1950년대는 미국 대외정책은 군사원조 중심 ü 1950년대 미국이 거의 홀로 원조 진행


ü 공산주의 팽창을 막기 위한 방법으로
ü 더 규모가 큰 경제개발원조는 다른
비효율적이라 판단
선진국들이 필요
ü 경제개발 원조를 중점적으로 실행하여
ü 전후복구와 부흥에 성공한 일본과 유럽을
공산주의 봉쇄를 더 효과적으로
끌어들이려 함
ü 경제원조로 후진국이 경제발전에 성공하면,
자본주의 체제의 자신감이 올라가고, 미국에 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를 중심으로
대한 이미지 긍정적이 될 것 후진국 원조를 실행
ü 제3세계의 경제개발계획의 수립 및 실행을 ü 아시아에서는 일본의 역할을 중시함
적극 지원
ㄱ. 미국의 정책 변화
도미노 .

"
(3) 제3세계 적극 개입
ü 도미노 이론을 근거로 후진적인 3세계 국가들이
공산주의 세력으로 넘어갈 위험이 많다고 판단
ü 미국이 적극 개입하여 공산주의 확산을 막아야
ü 베트남전쟁 개입 또한 마찬가지
ü 한국 경제개발계획 적극 지원, 그 부담의 일부를
일본에게 넘기려 함
ü 미국이 Norton
한일 간의 국교정상화를 위해 양국가
압박함 minor
한미일 삼각동맹 - 지역통합전략
수직적인 분업
ㄴ.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 1962.1 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1962~1966) 발표
장면 정부 .

ü 민주당 정부의 경제계획안을 토대로 수정 및 완성


renren.net

ü 특징: (1) 지도받는 자본주의 체제 (2) 국내 자본을 동원해 중공업


건설 추진 = 자립경제 구축
ü 미국 원조에만 의존하던 경제구조를 비판, 내포적 공업화 전략 추구
수입대체 .

.tn
.

ü 군인들의 과도한 목표 상정

E.to
외화획득이나 수출이 은 Main 아녓어 .

ü 내자 중심 전략이 극심한 인플레와 경제 악화로 내자 동원 실패


ü 화폐개혁 단행, 국내자본 만들려고 은행에서 인출 막자 혼란 발생
일본의 역할
미국의 반발 (미국은 수출지향적 공업화
ü nerve 전략를 원함)늘리기 위해 .

*60년대 중반부터는
= 실질적으로 경제개발 5개년계획 실패
수출 공업화 전략으로 . .
ㄷ. 한일회담_이전
• 이전 한일 관계: • 이승만 정권기 한일회담
ü 해방 이후, 정식적인 한일 외교 관계 단절 ü 대일배상청구위원회 조직, 일본에게 요구할 배상
내용 조사 시작
ü 1948년 정부 수립 이후, 한국 외교대표부가
미국이 필요한 물통을
ü 금, 은, 보석, 미술품, 서적, 골동품, 선박 등의
일본에 설치됨 일본에서 구
rf
1개

반일감정 현물배상/채권, 증권, 예금 등 / 인적·물적 손해 등


ü 일본, 전쟁 특수로 경제호황
,

폭발 ' 확인
= 일본이 전쟁물자와 미군의 중간기착지 역할 ü 현물 반환 제외하고 총액 314억 엔(24억 달러)
& 미국이 전쟁 물자 대부분을 일본산을 구매 ü *한일
문제는 샌프란시스코 조약에 참여하지 못해

ü 한국에서 반일감정 증대 간의 개별적인 교섭을 통해 국교정상화를 이루어야



ㄷ. 한일회담_이승만 정권기
* 평화선 / 이승만 라인(1952.1.18)

ü ‘인접해양에 대한 주권선언’으로 한일 간의 분쟁 방지와 어업자원 보호

ü 보통 국가들 영해 3해리 (5.5km). 그 20배인 60해리를 수역으로 조치

ü 미영중이 항의했으나, 이승만이 무시.

ü 넘어오는 일본어선들 불법으로 규정하고 체포

• 이승만 정권기 한일회담 (4차례)


ü 최대 쟁점 = 일본의 한국 합병이 합법인가, 불법인가
ü 일본은 처음부터 식민지배를 합법이라 주장
ü 서로 입장 차이로 개최와 결렬 거듭 반복함
ㄷ. 한일회담_이승만 정권기
• 3차 한일 회담, 구보타 간이치로(일본측
대표) 발언 문제 * 북송

“일본측도 보상을 요구할 권리가 있다. 왜냐하면 ü 1958년부터 재일조선인들의 북송 문제 비화


일본은 36년간 벌거숭이산을 푸르게 바꾸었다던 ü 재일조선인들이 집단 귀국 원하면서 ‘귀국결의’ 확산
가, 철도를 건설한 것, 수전이 상당히 늘어난 것 등 ü 북한, 경제개발에서 인력 부족으로 귀국 환영
많은 이익을 한국인에게 주었다.”
ü 일본 내에서 귀국협력운동 벌어지고, 본격적 귀국
“일본이 진출하지 않았더라면 한국은 중국이나 러 실행 일본에 있던 한국인들이 북한으로
f
.

시아에게 점령되어 더욱 비참한 상태에 놓였을 가는 21 반대 !


ü 한국에서 북송 반대 시위 벌어짐
것” 근데 이건 Just 정권유지차원
ü 1959, 1차 북송으로 재일조선인 9만 명 정도 귀국
= ‘역청구권’ 주장 & 3차 회담 결렬
ü 북송문제로 한일관계 악화로 회담 결렬
ㄷ. 한일회담 I햟보부장
• 1962 ‘김종필-오히라 메모’ - 비밀 합의
• 장면 정권, 한일회담에 대한 낙관적 기대 상승 ↳ 일본 외상

• “무상 3억 달러, 유상 2억 달러, 외에 수출입은


• 5.16으로 5차 회담 결렬
Rest
4H 상공 ?
행 차관 1억 달러 도합 6억 달러”
0
• 박정희, 한일회담을 적극 추진함 (국내 자본이 독립축하금
부족한 상황에서 경제발전을 위해 끌어들일
t 미국의 지지를 얻기 위해
수 있는 것이 일본 자본) 일본 회담에 적극적으로 . . .

• 박정희 왈 “일본인은 과거를 사죄하고 보다


많은 성의로 회담에 임해야 한다고 말하는
것은 지금 시대에는 통용되지 않는다. 옛 일은
흘려보내고 국교정상화를 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생각한다.”
ㄷ. 한일회담
ㄷ. 한일회담
• 1964.5 한일회담 일정 논의
• 박정희 정부, “3월 타결, 4월 조인, 5월 이후
4.19
,
최대 규모
f
비준” 방침 세움
.

→ 3.24시위: 서울대, 연고대를 포함한 4


천 여명의 학생들이 김종필의 즉시 귀국을
요구하며 한일회담 반대시위를 벌임
• 박정희, “나와 정부는 학생에 못지않게
국가와 민족만을 위해 털끝만큼의 사심도
없이 회담에 임하고 있음을 나와 정권의
생명을 걸고 역사 앞에 맹세한다.”
ㄷ. 한일회담
• 5.20 서울대 문리대 한일굴욕외교반대학생총연합회
명의로 ‘민족적 민주주의 장례식’ 치룸

* 민족적 민주주의 ← 박정희가 내세운 것 .

ü 5.16세력의 정치철학
ü 한국 실정에 맞는 군부에 의한 ‘교도 민주주의’가
불가피하다! FE쳐서 이끈다 .

ü 교도 민주주의 = 인도네시아의 수카르노 대통령의


‘교도 민주주의’
ü 박정희가 ‘주체적’인 혁명을 내세웠지만, 실제로는
반민족적이고 비민족적이라는 허구성 폭로됨
ü 그를 비판하기 위한 장례식
ㄷ. 한일회담 절망과 기아선상에서 허덕이는 민생고를 시급히
해결하겠다던 공약 밑에
너는 그러나 맨 먼저 민족적 양심세력에 대한 무자비한
<시체여 _ 김지하> 타압을 시작하였다.
시체여! 그 때 이미 우리는 알았다
너는 오래 전에 이미 죽었다. 죽어서 썩어가고 있었다. 우리는 들었다
그리고 우리는 맛보았다.
넋없는 시체여!
극한의 절망과 뼈를 깎는 기아의 서러움을.
반민족적, 비민주적, 민족적 민주주여! ... 박의장의 이른바 민족적 민주주의여!
썩고 있던 네 주검의 악취는 '사쿠라'의 향기가 되어, 너의 본질은 곧 안개다!
일본 -

마침내는 우리들 학원의 잔잔한 후각이 가꾸고 사랑하는 시체여! 고향으로 돌아가라!
늘 푸른 수풀 속에 너는 이미 돌아갔어야 했다.
죽어서라도 돌아가라, 시체여!
너와 일본의 2대 잡종, 이른바 사쿠라를 심어놓았다.
종잡을 길 없는 막연한 정치이념,
... 어둡고 괴로웠던 3년 전 안개낀 어느 봄 날 새벽,
끝없는 혼란과 무질서와 굴욕적인 사대근성,
네가 3천만 온 겨레에게 외치던 귀에도 쟁쟁한 방향감각과 주체의식과 지도력의 상실,
그 역사적인 절규를 너는 벌써 잊었는가? 이것이 곧 너의 전부다.
ㄷ. 한일회담
• ‘민족적 민주주의 장례식’에서 학생과 시민들이 박정희 전면 반대를 내세움
• 선언문: "5월 군부 쿠데타는 4월의 민족 민주 이념에 대한 전면적인 도전이었으며,
노골적인 대중 탄압의 시작이었다. 민족적 긍지를 배반하고 일본 예속화를
추진하는 굴욕적 한일회담의 즉시 중단을 엄숙히 요구한다."
• 이 날 시위로, 100명이 넘는 학생들이 부상당하고 체포당함
• 사람들의 반일감정 + 굴욕적인 한일회담 내용 + 비밀리에 타협을 고위급들끼리
진행한 점 + 굴욕적 회담 이후 일본자본의 경제침략을 우려(한국경제의 종속)
• 박정희 정권, ‘체제 전복 기도’라고 주장 국교정상화를
반대한 건 아님
ㄹ. 6.3 시위
• 일본 반성 촉구, 한국의 일본인상사 철수,
한일회담 즉각 중지 등을 주장
• 서울대 문리대생들의 단식투쟁
• 6월 2일, 대학생 6천 명이 박정희 하야와
공포정치 지양 요구
• 3일, 시민들까지 5만 명 모여 행진
• “민족분열 일삼는 독재정권 물러가라, 미국은 가
면을 벗고 진정한 우호국임을 보여 달라, 몰수하
자, 매판자본”
• 저녁 8시, 비상계엄령 선포 & 1,200명 체포
• 주한미대사와 주한미사령관이 박정희와 긴급
회담
ㅁ. 1차 인혁당 사건
• 6.3시위와 유사한 사태가 재발하지 않도록
조작한 공안사건
• 1964.8.14 중앙정보부가 혁신계 인사와 교수,
학생들이 인민혁명당을 결성하여 정부를
전복하고자 했다고 발표
• 고문까지 당함
• 1심 공판, 2명만 유죄판결 & 나머지 무죄 강제 .

→ 5.29 항소심에서 원심 깨고 전부 유죄 판결
• 한일협정에 대한 반대 분위기가 꺾임
한일 협정
• 1965.2.20 한일기본조약 가조인 식민지를 이렇게
f
i. .

이동원 외무부 장관 “과거의 어느 기간에 양 국민에게 불행한 관계가 존재했다”


-

& 시나 일본 외상 “이러한 과거의 관계는 유감이며 깊이 반성하고 있다”

→ 조인 무효 및 비준 반대투쟁으로 반대운동 재점화

→ 박정희 정권, 위수령 발동(8.26), 학생들 구속, 교수 쫓아냄

• 1965.6.22 ‘대한민국과 일본국 간의 기본관계에 관한 조약’과 부속된 4개 협정 조인, 최종 타결


= 한일 간의 국교 정상화

• 청구권 자금: 무상 3억, 유상 2억, 민간차관 1억 달러로 타결 & 식민지배에 대한 사죄나 배상이 없었음
이유 박정희는 자신 정권의 정당성을 지키기 위해경제ITIT야 항
= 반민족적, 굴욕적인 외교 :

but 돈이 ✗ . → 한일협정으로 돈벌려고 and 미국 압박


청구권 논쟁
• 역사문제가 협정에서 배제되었기 때문
• 기본 조약 2조, “1910년 8월 22일 및 그 이전에 대한제국과 대일본제국간에 체
한국 불법이니까 무효
'

결된 모든 조약 및 협정이 이미 무효임을 확인한다.” (


일본 : 이제는 무효 .

• 양국 간의 해석 차이 존재 배상금 ? 독립축하금
'

X ㅜㅜ
• 기본적 입장 차이 = 일본의 식민지배가 합법 or 불법 배상 요구 .

• 청구권 협정 2조, ‘양국 간의 청구권 문제가 완전히 최종적으로 해결되었다’


renren.net

• 피해자 개개인의 청구권이 유효한 것인가의 문제 잔존


nnnnrnnnr
다음주 수업...

베트남 파병 And 특강
감사합니다
11-1. 장기 집권으로의 길

한국현대사의 이해 / 신유진
강의 개요
ㄱ. 6대 대통령 선거(67.5.3) & 6.8 부정선거
ㄴ. 동백림 사건
ㄷ. 68년 남북관계 긴장
ㄹ. 삼선개헌
ㅁ. 7대 대통령 선거
ㅂ. 괌 독트린 & 데탕트
ㅅ. 7.4남북공동성명
ㄱ. 6대 대통령 선거(67.5.3) & 6.8 부정선거
의1
이_전에는 야당 분화 . . .

1.1 ftp.T
• 야당 신민당 창당으로 후보 단일화
• 박정희의 경제개발 업적만 부각
(연평균 7.1% 성장 목표, 7.9%로 초과 달성)
• 무난하게 박정희가 승리 (568만 vs 452만)
t
영당 '

i 울산 .

1963(남북현상)
부산만
1967 (동서현상)

경제갯반
배불러야함 ! 민주주의
ㄱ. 6대 대통령 선거(67.5.3) & 6.8 부정선거 non

*7대 국회의원 선거 (6.8 부정선거)


하겠다
• 11개 정당 난립 지방 유세 안

(
얘기해농고 . .
.

• 민주공화당이 관권 총동원하여 무더기표, 매표, 위협투표 등 자행


박정희 공약 남발
• 3.15를 제외한 최악의 부정선거
• 결과 = 공화당 129석 / 신민당 45석
'

박정희 t 휴교령 .

? 행위를
Q. WHY? 이렇게까지 부정했니
A. 개헌선
.

2/3 의석 확보
nnnrerenrvvu

→ 장기집권을 위해
ㄴ. 동백림 사건 동베를린
• 1967.7 중정이 유럽 유학 중인 교수, 유학생, 학자, 예술가, 광부 등이 북공작원에 포섭되어 거액을
받고 간첩 활동을 했다고 발표한 사건
• 해방 이후 최대 규모의 간첩단 사건
유명한 사람들 엘리트
. .

• 200여명을 서독과 프랑스 현지에서 체포


• 외교갈등 발생 & 국제적 관심사로 비화
• 서독 정부, 전원 석방과 귀환을 요청
• 1심 재판, 사형과 무기징역 선고
• 결국 70년 말에 전부 감형, ‘강제 출국’
• 북한의 대남공작에 대한 위기감으로
부정선거에 대한 규탄시위 ↓
ㄷ. 68년 남북관계 긴장
J6일성
.

• 1966 북에서 온건파 숙청, 강경파 득세


• 북한, 주체사상과 수령유일체제 구체화
• 북의 대남 무력공세 급증
• 67년 대남침투 10배 증가
• 68년, 한반도 긴장 ↑
ㄷ. 68년 남북관계 긴장 '


(1) 1.21사태: 북한이 파견한 특수부대원들
mm
31 (2) 푸에블로호 사건(Pueblo Incident):
명이 휴전선을 넘어와 청와대를 습격한 사건 동해안 원산 앞바다에서 첩보 활동하던 미국
박정희가 김일성을 첩보선 푸에블로호가 북에 의해 나포
죽이기 위해 만든 부대 " 북한을
위협하기 위해 무기같은거 .

: 684부대 → 실미도훈련
데탕트 . .
?

무기 배치 !
북한 -
미국

ㄷ. 68년 남북관계 긴장 卜恃 때 남한은 아무것도 x


-
.
- -

i.

박정희 베져
.

〓 1968.12.23 미국이 푸에블로호의 북한


영해 침범을 인정하고 첩보활동에 대해
사과하는 문서에 서명 & 선원 전원 석방
ㄷ. 68년 남북관계 긴장
(3) 울진 삼척 무장 게릴라 침투 사건 = (4) EC-121 격추 사건: 1969.4.15 북이 미군
11월 울진과 삼척 연안으로 북한 무장공비들 정찰 항공기 EC-121을 공격해 해상에
120명이 침투한 사건 (대간첩 작전으로 소탕) 추락시킨 사건 승무원 31 사망
ㄷ. 68년 남북관계 긴장
위기국면으로 인해 남한 내의 반공체제 강화
(국민을 통제 >

1968...
.

1) 향토예비군
"미군들이 한국 사람을 린치한 신문기사를
2 ) 주민등록증
놓고 술자리에서 미군들을 욕하다가
.

중앙정보부에 끌려가 빨갱이로 무수하게


두들겨 맞고, 택시에서 한두 마디 박정희
비난을 했다가 그대로 남산으로 실려가
빨갱이 앞잡이라고 매타작을 당했다는
소문이 떠돌고 있던 세상"
ㄹ. 삼선 개헌 김종필 Out ㅱ
김종필 세력을 제거하기 위해
• 대통령의 3기 연임을 허용하자는 개헌 추진
야당 인원 끄셔서 .
. .

• 1969.6 3선개헌 반대투쟁 본격화, 전국 확산


여당인 공화당 내부에서도
• 8월 제출 반대하는 세력 0 .

(1) 대통령의 세번 연임을 가능하게 함


(2) 야당 의원의 집단 사퇴로 인해 국회의원 수가
법정 최소인원 이하로 되는 사태를 미리 막기 위해
본회의장에선 야당의원들이 반대하고
국회 의결시 법정 최소인원 규정을 삭제함.
9.14 새벽, 날치기 통과 불법 있었음
.

mnnrm.mn
.

(3)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 발의를 의원 30인


이상에서 50인 이상으로 상향 조정함 기존, “대통령은 1차에 한하여 중임할 수 있다”
“대통령의 계속 재임은 3기에 한한다”
야당 쪽엔 문제가

ㅁ. 7대 대통령 선거 -
있었음 .

윤보선 넘 늙었어 .

= 여당이랑 타협하길
• 신민당 = ‘사쿠라 야당’ 좋아하는 야당의 대표
vnnn

• 1969.11 김영삼, 김대중, 이철승 등의 ‘40대 기수론’


• “과거 야당 후보들은 나이가 많으니 국민들에게
신선하고 활기있는 이미지 주기 위해 젊은 40대가
리더쉽을 형성해야 한다” 세대교체 !
• 김대중이 김영삼을 누르고 후보로 출마
-

• 빈부 격차 해결, 재벌 편중 경제의 시정, 주변 4대국에


의한 한반도 안보 보장, 남북 교류, 향토예비군 폐지를
renren.hr

제시& 박정희가 이기면, 영구집권의 ‘총통제’가 실시될


거라 경고
ㅁ. 7대 대통령 선거
• 박정희, “나에게 마지막이 될 이 선거에서 한번 더 신임
해준다면 후계인물을 육성하겠다” 600.700억
.
. .

선거 예산 . _
.

• 서울에서는 6:4로 김대중이 앞섬


VS 박정희가 영남에서 김대중보다 158만표 더 얻음
= 94만 표 차이로 당선
• 지역주의의 폐해
• 박정희, 공화당의 위기감
• 경제불황, 부정선거, 장기집권에 대한 염증
* 8대 총선: 신민당 89석, 공화당 113석 차지
iii.
ㅂ. 괌 독트린 & 데탕트 AnneN

1968, 리차드 닉슨 대통령 당선


반공 . .

1969.7.25 괌 독트린 발표
개선
중국과 관계
.
- .
.
-

1. 베트남전쟁과 같은 미국의 직접적 정치군사


개입 자제
2. 해외 주둔 미군이 단계적 철수
3. 강대국의 핵위협을 제외한 내란/침략에
대한 아시아의 협력 대처
4. 동맹국의 자주국방 노력 강화와 미국의
측면 지원
ㅂ. 괌 독트린 & 데탕트

1971, 중국 유엔 가입 1972, 닉슨의 중국 방문


Détente
냉전체제 긴장완화.mn
ㅅ. 7.4 남북공동성명 맞춰서
데탕트 분위기에
.
. .

• 1970 8.15선언으로 박정희가 대북정책 전환 선언

• 1971.8 최두선 적십자가 총재가 북 적십자사에


이산가족 찾기 운동을 제의하여 예비회담이 열림

• 이를 시작으로 남북 간의 고위급 접촉

• 1972 7.4 남북공동성명 발표 (3대 통일원칙)


= ‘통일은 ~
자주적으로 해결하고, 평화적 방법으로 실현하며,
~

사상과 이념 제도를 초월한 민족적 대단결을 도모할 것’


Arena

419 혁명 이후처럼 북한과 ,


교류
ㅅ. 7.4 남북공동성명
통일에 대한 기대감 상승

반공법과 보안법 폐지 요구 증대
1차 남북 적십자 회담 개최
남북공동 성명 = “남북이 최초로

평화적인 통일을 위한 대원칙에 합의했다“


민주화 요구 수용 권위주의 강화
nnnn

강경 책 .
.
.
다음주 수업...

유신(維新): 낡은 제도를 고쳐 새롭게 한다


감사합니다
12-1. 70년대 후반

한국현대사의 이해 / 신유진
강의 개요
ㄱ. 판문점 도끼만행사건

ㄴ. 대미관계 위기

ㄷ. 70년대 후반
ㄱ. 판문점 도끼만행사건
• 공동경비구역의 미루나무 가지치기 작업에서
시작
• 북한 경비단에 의해 미군장교 2명이 도끼에
맞아 사망
• 미국, 위기로 규정, 한반도 주변에 전투기와
전투항공모함을 배치 & 김일성에게 처벌과
사과, 배상을 요구
• 데프콘(Defense
나 단계 .
Readiness Condition,
DEFCON) 도끼만행사건으로 데프콘 4단계 유지
1 5
~
-

(휴전 )
-

3단계로 격상 F철 안 좋은 사건 .

• 가지치기 작업 시행 & 김일성 정부,


‘유감’이라고 발표 & 미국 수용 박정희 미친개에겐 약 !
반공안보 ! !
nn
?? 용동이가
ㄴ. 대미관계 위기 박동선

.

• 박동선로비사건: 1976, 박정희가 박동선을 통해서


미국의 의원들에게 거액의 자금을 제공한 사실이 드러난
로비사건(코리아케이트)
• 미국 의회에서 한국군 현대화와 주한미군 감축에 대한 '

보완책을 승인하는 과정에서 의원 매수 시도 승인에


타짜
'

• 한미간의 외교 갈등 & 미국 내 반박정희, 반한 감정 증대

1977, 지미 카터(Jimmy Carter) 대통령


취임 - 인권외교 r
r
l
ㄷ. 70년대 후반
*정계 이철승 ( 이전에는 박정희 정권과 세웠지만 이때부터 박 정권 협조 ) .

• 1976.5.15 신민당 대표 선출 전당대회 = 깡패를 동원하여 폭력이 난무하는 ‘각목대회’


• 1978.7.7 대통령 선거에서 99%로 박정희의 재선이 결정됨
• 제10대 총선(1978.12.12): 강권폭력통치의 종말 예견 & 신민당이 공화당을 1.1% 득표율 앞지르는
이변 발생 = 유신체제에 대한 국민들의 반감 표출

유신체제 2기 시작
ㄷ. 70년대 후반
*반유신운동 *경제

• 77년부터 다시 살아남 • 성장, 성과제일주의 속에 사람은 중요시되지


않고 정치, 문화가 피폐화됨
• 주로 현장 즉시 체포 감수하면서도
특공대식으로 싸우는 ‘가미가제’ 투쟁 • 물신숭배사상과 황금만능사상
↳ 자살공격과 • 지역이기주의 조장
• 대학 위주로 시위 확산 비슷
• 중화학 공업 중심 (선진국 - 고이윤
o

• 광화문 일대, 시민들과 학생들의 연합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이전)
시위 발생
• 3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73년부터 제철,
• 중정 폐지와 학원 병영화 반대 주장 비철금속, 전자, 기계, 조선, 화학 등 6개
• 70년대 후반 노동투쟁과 농민투쟁 확대 중화학 공업 분야에 집중 투자
25 분

ㄷ. 70년대 후반
.

*새마을운동 농촌을 보기 좋게 堡
non
• 3대 정신 = 농민의 근면, 자조, 협동 정신 강조
• 중동으로 건설업 진출, 70년대 중반에는 중동 건설붐으로 막대한
• 슬로건 = “깨끗한 환경에 건전한 정신이 깃든다”
외화를 벌어들임
• 1971~84, 총 7조 2천억 (연평균 5천 백억 정도)
• 73, 78년 두 차례의 오일 쇼크 - 전세계에 불황과 인플레
51%는 정부, 11%는 주민, 나머지는 민간단체들의
• 오일쇼크로 막대한 달러를 번 중동 국가들의 건설업 투자 →
기부
건설산업이 활로 찾아 전성기를 맞이
• 시멘트와 철근으로 마을 길 넓히기, 하수구 정비,
(75년 7억 달러, 80년 80억 달러)
공동 빨래터 설치, 초가지붕 개량, 마을회관 건립
• 문제: 중화학 공업에 대한 과잉중복투자
추진, 주택 개량, 농로 개설, 마을도로 확충, 전기화
→ 경제난 가중, 무역의존도 심화, 재벌 중심 경제 확립
사업 등
• 박정희, 86년까지 중공업을 세계10대강국까지 올려놓겠다고
선언하지만 2차 오일쇼크로 경제 타격 한국 해외 의존도사
→ 판매시장 찾기도 어려워져 중화학 공업 가동률 하락, 실업률
_
증가, 기업 연이어 도산, 투자조정 이후 경제성장률 급감(80년
마이너스 5.2% 기록)
여러 측면에서 불만이
쌓이고 있었어 .
ㄷ. 70년대 후반
• 10가지 사업 = 법질서의 준수, 건전소비풍토 조성, 도시 녹화, 뒷골목과 가로정비, 시민의식의 계발, 새마을청소,
생활오물 분리수거, 시장새마을운동 전개, 도시환경 개선, 낙후지역 개발

<새마을 노래>
“새벽종이 울렸네. 새 아침이 밝았네.
너도나도 일어나 새마을을 가꾸세”
!
ㄷ. 70년대 후반 겉만 좋아지면 워하니
농민들이 살기 좋은 것쌍이 보기좋다
.

• 농업 기계화, 신품종 개발 등도 진행
• 1971, ‘통일벼’ 육성되어 전국 보급
• 기존 품종보다 수확 20%이상 많은 품종, 그러나 일반미보다 밥맛
떨어지고, 면역성이 약해 병균이 돌면서 폐농사태
• 농촌 정책 실패로 이농현상과 도시화 현상 더욱 진전
뭰퇘 자금력이 부족해서

ㄷ. 70년대 후반 힘든 거야 !

농민들이 반발할 생각 못하게
도움 받아 농민운동하고
.

ref 고70년대에 카톨릭


있어서

.mn
*식생활 EE에 잡곡 . *농민운동
• 학생들의 혼분식 권장(쌀밥은 미개를, 밀가루는 문명을 • 함평고구마사건(1976): 농협이 고구마 사기로
상징하는 것처럼 선전) 약속했는데 안 지키면서, 이에 농민들이
• 70년대 중후반 쌀 자급이 가능해짐 항의하면서 3년 동안 투쟁을 벌임
• 78년 이후 수입자유화 조치로 인해 식량 자급도가
= 최초의 본격적인 농민운동
떨어짐
조사 과정에서 조사 비리가 드러나면서 농협
간부들 해임, 징계조치

• 후반 농민운동은 광범한 참여를 끌어내지 못 함


• 다른 부문과의 연계가 부족한 가운데, 가톨릭
농민회와 같은 일부 종교계 중심으로 전개됨
ㄷ. 70년대 후반
달동네
“방문 너머 휘영청 밝은 달이 ⇒
잘 보이는 산꼭대기 판자촌” • 1979, 오원춘 사건: 경북 안동 농민운동

E
지도자 오원춘이 농협에서 알선한 감자씨를
심었는데 싹이 안 나 농사를 망침, 이후
정부로부터 겨우 피해액을 겨우 보상받음
• 오원춘이 중정에 의해 납치되었는데,
중앙정부
폭로하여 정부가 이들을 긴급조치 9호
위반으로 구속 역햡 다 .

기본적인 '

생활권 보장
ㄷ. 70년대 후반
*노동운동 • 민주노조들은 지식인들, 종교인들과 결합해
• 70년대까지 미약함. 정부가 노조 통제 & 농촌에서 활발하게 활동
올라와 노동계급의식이 미약했고 산업예비군이
• 도시산업선교회와 가톨릭 노동청년회가 적극
과도하게 많았기 때문
지원
• 5.16 이후 정권에 의해 하향식으로 산업별 노조
• 크리스찬 아카데미: 노동 농민운동에 종사하는
재조직, 연맹체로서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
활동가들을 양성하는 기관
결성
• 어용노조에 반대하는 민주노조 결성 (청계피복, • 70년대 후반부터 생존권 투쟁으로서 치열해져감
동일방직, 삼원산업, 반도상사, 한국모방, YH 무역 • 중소규모 경공업 분야의 여성노동자들 중심으로
등 = 노동집약적 산업, 70년대 사양길을 걷게 됨) 전개됨
• 민주노조들은 더 나은 작업조건과 임금 확보를 위해 • 대표 사건: 동일방직 사건
노력함
ㄷ. 70년대 후반
• 동일방직사건:
ü 민주노조 vs 어용노조
ü 여공들의 알몸 농성 vs 정부의 경찰 투입,
곤봉으로 폭력 행사
ü 78년, 새 노조의 지부장 선출대회에서 여성이
뽑히자, 여성노동자들에게 똥물을 뿌린 사건
취업을 막아놔서
ü 124명 여성 노동자 강제 해고 어디에도 취업운항
ü 노동투쟁 이어감. “우리는 똥을 먹고 살 수 없
다!”, “노동3권 보장하라!”, “동일방직 사건을
해결하라”
ㄷ. 70년대 후반 잘 먹고 잘 살려면
공부뽜
*교육
• 60년대부터 교육열 과도
• 50년대부터 일류대학, 일류 고교, 일류 중학교 존재
• 과도한 입시경쟁을 막기 위해 69년부터 중학교
무시험 진학 제도 실시, 71년에 전국으로 확대
• 60년대 말부터 국가주의/전체주의 교육 강화 =
국민교육헌장(68.12.5)
: 개인이 국가에 종속된 국가주의를 포함, 유신체제를
예고 / 학생, 교사, 공무원, 군인들에게 의무적으로
암송하게 함
ㄷ. 70년대 후반
• 국가의례 부활 renren.no
이순신 성웅화 작업 & 이승복 어린이 동상
• 오후 6시 부동자세로 국기에 대한 경례 간첩이 이 아이의 집에

• 영화 상영 전 기립해서 애국가 제창 쳐 들어감.

• 반공교육: 공산군의 학살, 북의 남침, 김정일의


세습 등을 선전함
• ‘인간을 비인간적으로 만드는 병든 반공교육’

一一
• 72년부터 ‘국적있는 교육’, ‘주체적 민족사관
정립’을 명분으로 국사교육 강화 (한국사 교과서
국정으로 바뀜, 국사가 공무원시험 필수 과목이
됨.)
ㄷ. 70년대 후반
전화기 대중화 흑백 다
, .

*문화
• 통블생(통기타, 블루진, 생맥주) = 청년문화를
상징
• 60년대 후반, 미국에서는 흑인민권운동 진전 &
반전운동 베트남 전쟁 반대 .

• 프랑스, 베트남전쟁에 대한 반전운동에서 시작된


68혁명 발생, 독일, 일본 등 세계 각지로 확대
• 미국에서 히피 복장이 유행하고 록가수와 포크
가수들이 대항문화에 참여, 미국 중심으로
변형되어 로큰롤, 찢어진 청바지, 특이한
헤어스타일, 자유로운 성적 행동이 출현함
• 미니스커트와 장발 유행
• 73년부터 경범죄처벌로 본격적인 단속 시작
ㄷ. 70년대 후반
• 금지곡 선정해서 젊은이들의 사상문화적 자유
추구를 방지

• [새마을 노래], [나의 조국]과 같은 국민가요


적극 보급

• 마당극과 풍물, 판소리, 민요, 무가, 민속극이


대학가를 중심으로 민족문화와 저항문화로
각광받음
다음주 수업...

- 유신의 종말-
감사합니다
12-2. 유신의 종말

한국현대사의 이해 / 신유진
강의 개요
ㄱ. 전조

ㄴ. 10.26

ㄷ. 12.12쿠데타

ㄹ. 서울의 봄
ㄱ. 전조 가발 업체
*YH무역농성사건:
vw
회사의 대량 해고와 일방적 폐업에
여성 노동자들이 농성에 들어감
*정치
• 1979.5.30 친여당 인사인 이철승을 누르고,
이 사건으로
김영삼이 신민당 총재로 당선
박정희 .
신민당
• 김영삼, 유신 정권에 대한 강도높은 비판을
대립 격화
가하기 시작
ü 6.2 유신헌법 폐지 요구
"저희들은 모두 시골의 가난한 농부의 자식들로서 일찍이 고향과 부
ü 6.11 남북 통일 위해 김일성도 만날 수 모 곁을 떠나 냉대한 사회에 뛰어들어 산업의 역군들로서 열심히 일
있다고 발언(급진적 발언에 대해 공화당은 해왔습니다. 배우지 못했다고 사회에서 천대를 받고 멸시를 당하면
서도 못 배운 저희들만 원망하여 저희 동생들이 나같이는 되지 않게
반국가적 행위라고 규탄) 하기 위해서 조금의 월급이나마 용돈을 줄여가며 저축하면서 동생
들의 학비를 보태주고 또 부모님들의 생계와 약값에도 보탠다는 뿌
ü 카터 대통령의 방한 당시, 김영삼을 만나 듯한 기쁨으로 신념과 긍지를 가지고 일해 왔습니다. ... 동생들의
반유신운동 적극 지원 학비와 부모님들 약값은 어떻게 해야 된단 말입니까? 우리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저희들은 죽음의 길을 택할 수밖에 없습니다."
* 미국은 팔레비 정권이 독재
신인담배하고
총선에 > 정권이어m음에도 엄청나게

.am/tsl'
ㄱ. 전조
지우다 .


박정희 타퍼항쟁 .

사람들 : 반미감정
신민당 불안 그래서 이란 .

이후 팔레비 왕조가
미국혁명으로
T 우너짐 비슷하게 한국도 민중에
一一
의해
.

,
독재정권 무너질 것이라 경고
김영삼이 "제가 내려가기 전까지는 남민전이나
• 10.4 공화당이 국회에서 김영삼 의원
박정희랑 몰래 안나 학생이 주축이 된 데모일 거라고
제명을 변칙적으로 처리함 생각했는데 현지에서 보니까 그게
- 행보가 바뀌며 아닙니다. 160명을 연행했는데 16명이
• 이유: 김영삼이 <뉴욕타임스>와의 되었다
.

학생이고 나머지는 다 일반 시민입니다.


기자회견에서 국가의 기강을 문란케 하는 그리고 데모 양상을 보니까, 데모하는
N독재정 사람들도 하는 사람들이지만 그들에게
발언을 했다는 것(“미국은 이란에서 팔레비 권 주먹밥을 주고 또 사이다나 콜라를

一一
정권이 무너진 전철을 밟지 말라고 경고”) 갖다 주고 경찰에 밀리면 자기 집에
숨겨 주고 하는 것이 데모하는
• 이에 신민당 전체와 통일당 의원 3명이 사람들과 시민들이 완전히 의기투합한
사태입니다. 주로 그 사람들의 구호를
의원직 사퇴로서 항의를 표명함 보니까, 체제에 대한 반대, 조세에 대한
저항, 정부에 대한 불신 이런 것이
것은 4월 작용해서, 경찰서 11개를 불질러
P시민이 적극 가담한
혁명 이후
버리고, 경찰 차량을 10여 대 파괴하고
10.16 부마항쟁 발생 처음 . . .

불지르고, 이런 사태가 벌어졌습니다."


ltlth.name 김재규의 발언 .

부산대 학생 중심으로 .

박정희 정권 때 정치경제문화

모든 측면에서 사람들불만 폭발햾


유신 철폐 주장
.

G김영삼 재명으로 촉진) .


ㄴ. 10.26
10.26 중앙정보부 궁정동 안가, 저녁 만찬

VS

권력
김재규 2인자였는데 "
차지철
엄청
"
중앙정보부장 대통령 경호실장
부마항쟁이 생각보다 .
"
무력으로 제압합시다 .

심각하니 온건한 캄보디아 300만 죽이고 . _


.

"
"

정책 추구하자 .

전차로 죽이자 .

라고 보고하니 M
박정희 화엄청니 . - - 박정희 동조 .
ㄴ. 10.26

유신체제 붕괴
김재규 총 +

박정희 불만 이

넘쳐났음 . .

대한

이 권력은 박정희 살인사건

수사하던 L보안다려 ) 전두환에게


? . .
.
ㄷ. 12.12쿠데타
揷匕 사령관
• 전두환, 10.26사태를 조사하는 합동수사본부
• 하나회: 1963년 전두환과 노태우를 중심으로
um 책임자가 되어 군 실세로 떠오름
영남 출신의 육사 11기생들을 중심으로 조직된 ,

군부 내의 비밀사조직 • 하극상: 당시 육군참모총장/계엄군사령관


정승화를 10.26과의 연관성을 들어 대통령의
• 박정희 정권 하에, 군부 실세로서 자리함
닮고 참모총장
사전 재가 없이 연행

“박정희 정권 말기 군부에는 두 세력이 형성 … 10.26


벌어지자 양자는 헤게모니 싸움 … 정승화 등 상층부는
유신체제는 박정희에게만 맞는 의복이므로 바꾸려고 했
고, 전두환 등 군 내부 비밀 사조직인 ‘하나회’ 중심의 중
견층은 유신체제의 뼈대를 유지하려고 했다.”
ㄷ. 12.12쿠데타
• 12.12 쿠데타 = 1차 쿠데타 .

ü 전두환 소장과 노태우 소장이 불법으로 군병력을


동원해서 반대파 장성들을 제압한 사건

ü 헌법 개정과 민간정부 수립에 호의적이던 온건


군부세력을 제거함

ü 전두환이 군권을 완전 장악함

ü 전면에 나서지 않고, 뒷공작으로 쿠데타 준비

미국 : 망나니의 반란
이라 비난
.

하지만 미국의 비난은 일시적이었고 .

이후엔 전투한 이랑 잘 지네 .
10 26 사태 이후

ㄹ. 서울의 봄
. .
.
.

최규하 유신헌법 내가 좀 더
해먹을게 .

11.10 최규하의 특별 담화: 기존 유신 헌법에 따라 대통령



• 김재규, ‘내란목적살인 및 내란 미수’로 교수형
선거를 실시해 대통령직을 채우고, 빠른 시일 내에 새
• 27일,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 비상계엄령 선포
대통령이 헌법을 개정해 새로운 정부를 구성할 것
• 국무총리였던 최규하가 대통령 권한대행으로 임명됨 • 여론은 유신헌법의 폐기와 직접선거로 대통령 선출을 선호
兪외교갉 부족한 정치인
• 군부 장성들끼리 비공식적으로 유신헌법 폐기를 결정 • 12.7 긴급조치 9호 해제& 야당 지도자 김대중의 가택
연금 해제
• 최규하: 베테랑 외교가 / 5.16 이후 박정희 최고회의의장
• 최규하,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대통령으로 당선
고문 / 외무부 장관, 대통령 외교담당 특별보좌관 / 75년,
• 11.22 서울대 학생들, 유신 완전 철폐와 조기 개헌을 요구
박정희가 그의 과묵하면서도 정치 수완이 부족한 점을
• 11.24 400여 명의 민주인사들이 ‘통일주체 대의원에 의한
‘높이 평가’하여 국무총리로 발탁 유신체제가
대통령 선출 저지를 위한 국민선언’을 발표, 거국
붕괴되어서
중립내각과 조기 총선 요구
민주화 시위

폭발적으로
• 야당 세력은 본인들의 집권과 민주화를 기대함
발생 .
ㄹ. 서울의 봄
*‘3김’의 정치적 경쟁
군부가 쿠데타 • 3월부터 민주노조들 파업 시위, 임금 인상과


일 • 김영삼, 곧바로 신민당에 복귀해서 당을 재정비함
것 근로조건 개선 주장
걱정
• 김대중, 신민당 입당을 미룬 채 재야 세력들을
.

• 사북사태(4/21):
규합하면서 독자적 행보
ü 광부들, 서민들이 연료로 쓰는 석탄을 생산하면서
• 여권 인사 김종필은 공화당을 자신 중심으로 개편함
경제발전에 큰 기여를 함 / 하루 3교대로 8시간씩,
한 달 평균 28일 씩 중노동
ü 시위 기간 내내 지서를 점령하고 사북역과 철도가
점거되는 등 공권력이 마비됨
ü 권력이 노동문제를 억압 일변도로 대처하려 할 때
얼마나 무서운 일이 일어나는지를 보여주는
극단적인 케이스
ㄹ. 서울의 봄
• 공권력 투입으로, 사북사태 진압 P중화학공업
노동자 . .

• 일신제강, 인천제철, 부산파이프 등 규모 큰

一二
중화학 공업 공장에서 노동자들의 생존권
투쟁 계속해서 전개됨
• 비조직적이고 경제적인 투쟁 위주, 정치적
투쟁으로까지는 발전하지 못 함
• 정치권에 위기감을 줌
• 5.17 쿠데타 때 비상계엄령 확대 조치로

tyee
민주노조 간부들이 체포되는 등 극심한
탄압을 받음
전두환의 두 번째 쿠데타 .
넉생 통치하려
ㄹ. 서울의 봄 군사정권이

rest
만든 것 .

• 3월 학교 개강 이후 대학생들의 움직임 시작
• 학도호 국단(군사정권의 유산) 철폐
서울역 .

• 선거를 통해 자율적인 학생회 부활시킴


• 학생시위, 계엄령 철폐와 민주화 조치를 요규함
• 군이 개입할 빌미를 주지 않기 위해 교외 시위를
자제함 쿠데타

• 학내에서 어용교수 퇴진 및 사립학교 재단 비리


규탄 운동 벌임
• 민주화 일정이 늦어지고 전두환의 쿠데타 음모에
5월 들어 정치 문제 쟁점화
ㄹ. 서울의 봄

시위 확산

IEEE견이
개입할 빌미를

주지 말자 !

학교로 돌아가 관망

= 5.16 서울역 회군
5.17쿠데타
mm
다음주 수업...

- 광주 -
감사합니다
13-1. 광주

한국현대사의 이해 / 신유진
공지 사항
˅ 2차 서평 과제 : 12월 14일 자정까지

˅ 기말 시험: 12월 9일 목요일 오후 3시 반

방식: zoom

문제: 약술 + 서술형 (개수 미정)

범위: 따로 공지
강의 개요
ㄱ. 5.17쿠데타

ㄴ. 광주
민주인사만
ㄱ. 5.17쿠데타
'
"

전두환을 墮誓
K 공작 '

잡아가기엔
' 눈치보여섯

)
King
.
.

• 4월, 전두환이 중앙정보부 서리에 취임, 국무회의에 • 김종필과 이후락 등을 부정축재 혐의로,
-

참여 권한 획득 전두환이 중요한 자리에 오르니 미국이


김대중과 문익환 등을 소요 조종 혐의로
= 신군부 세력의 실체 및 권력 장악 기도가 표면화
항의 ,
Nh 나중에 김대중
연행
응오 사건 만드려고
"

내란
5.17쿠데타 양김세력은
제 세력 돼느라
• 신경 x
• 계엄포고 10호 발표: 정치활동 금지, 언론
ü 서울 근교 부대 및 공수부대원들은 시위 진압
훈련을 시켜놓고 대도시 근교로 병력을 출판 방송의 사전 검열, 휴교령← 권력 집단
통제 .

이동시켜 놓음
• 학생운동 지도부 세력 검거
ü 17일 24시를 기점으로 비상계엄을 전국으로
확대 최규하의 특별성명 .
• 민주화운동세력의 기세를 꺾기 위해 초기의
ü 계엄 전국 확대, 비상기구 설치, 국회 해산을 강경 진압으로 저항의지 자체를 분쇄한다는
결의 방침을 세워 놓음
정도 살아있는 사람이 광주학살 침묵

ㅂ. 광주 < 다시는 반복되지 않도록 . .


기억
전두환 ,
사과도

없이 죽 .
.
.
5.17쿠데타로 계엄령이 전국에 선포되었는데
ㅂ. 광주
.

광주만 들고 일어남
.
신군부는 어떠한 반발이든 강하게 조치할 것 .

5.18

• 휴교령에 전남대생들의 시위, 200여


명이 군인들과 실랑이

• 전두환 쿠데타 규탄 & 계엄 철폐와


김대중 석방 요구

• 오후 4시, 공수부대원들 등장, 학생들


-

무차별 구타, 탈의시켜 트럭으로 이동


G이 학생들이 어떻게 되었는지
알 수 없음 .
아마 학살 .
ㅂ. 광주
"저럴 수가 있단 말이냐. 나는 일제 때에도
무서운 순사들도 많이 보고, 6.25 때 공산
• "유신의 잔당과 전두환 놈의 사주를 받은
당도 겪었지만 저렇게 잔인하게 죽이는 놈
부대가 죄없는 학생들을 무차별적으로
들은 처음 보았다. 학생들이 무슨 죄가 있
살인하고 있다" 유인물로 광주 시민들에게 길래 저러는가 ... 저놈들은 국군이 아니라
소식 전함 사람의 탈을 쓴 악귀들이야"
5.19
• 과도한 진압에 분노한 시민들이 시위에 가세
"공수부대의 폭력의 잔인성은 잠재된 민중들의 투쟁의 역량
• 금남로 일대에서 5천 여 명의 시민과
을 폭력적인 방향으로 대응, 분출시키게 하는 자극적인 기폭
학생들이 각목으로 무장해 계엄군의 폭력에 제로 작용하게 만들었고, 공포가 사라지고 치열한 연대감과
대응하고자 함 증오만이 남게 되었다. 민중은 자신의 심연에 들어 있는 생
• 오후 3시, 2만의 군중 ↔ 군인들의 무차별 존에 대한 가치,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신뢰에 의하여 등장
하게 되는 자신들의 근원적 폭력성을 발휘하기 시작하면서
공격으로 유혈사태 발생

햷명.52제방어
싸움은 곧 공세적 국면으로 접어들게 된 것이다." .

수준이었음
소설가 ㅎ
.
ㅂ. 광주
5.20
• 10만 이상 집결
• 200여대의 택시운전사들이 계엄군에 대항 (차량시위)
• 헤드라이트 키고 공수부대의 방비선 뚫음
ㅂ. 광주
ㅂ. 광주 재진입 위해 계엄로 재배치 .

>
5.21 광주의거 滅器
'

. 국가폭력으로부터 이라 부름.
.

• 오후 3시 공수부대의 집단 사격으로 금남로 일대가 피바다가 됨 & 시민들, 나주/목포의 무기고 습격해
무장하기 시작 지도부가 없던 국민들이 스로를 지키기 위한
• 저녁, 공수부대가 외곽으로 철수, 도청 접수 마지막
.
ㅂ. 광주 질서정연t
ㅂ. 광주
5.22~27 해방광주

• 21일부터 전국에서 ‘광주사태’ 왜곡 보도

÷
• 광주 사태는 불순분자들의 폭동으로서 규정,
ne

광주는 무법천지

• 광주 = ‘사태’, ‘소요’, ‘난동’ 매우 부정적 . . .

• 진실을 전하지 않는 언론에 대해 분노 .

→ MBC, KBS 방송국 방화


ㅂ. 광주
5.22
• 유력 인사들이 시민수습대책위원회
renren.com
구성
• 과잉 진압에 대해 정부의 인정을 요구
사람이 죽어 나가지 생각없는
• 무장해제하고 협상하자는 ‘투항파’ 않게 T 폭동이
vs 반대하는 ‘투쟁파’ 우리를 살려줄 리가 없다 . 다녔음 ?

• 계엄사령부, ‘김대중 내란음모사건’ 중간


광주폭동의 배후에 김대중이 “자유와 평등이 공존함으로써 인간이 존엄성이 회복되는 민주국가 건설을 위
수사결과 발표
있다 .

하여 분연히 쓰러져 간 수많은 민주영령께 삼가 조의를 표합니다. 친애하는


• 한미연합사령관, 20사단의 광주 이동 승인 국민여러분! 역사 속에서 인간의 존엄성이 몇몇 독재자의 권력욕, 물욕 충족
미국은 5.18을 폭동이라 생각 .
을 위해 갖가지 탄압에 의해 짓밟혀 왔습니다. … 이 하늘이 주신 천재일우의
5.23 기회를 놓치면 다시는 이 땅에 민주정치 실현이 어려워질 것이며 또다시 군부
1-7 미국의 -
! 인종차별 독재정치가 판을 치게 될 것입니다. 진정한 민주사회가 되기를 열망하는 국민
• 매일 궐기대회 황인종무시 여러분! 역사의 심판이 내려질 그날까지 우리 모두 이 민주의 성전에 다같이
동참합시다. 민주국민이여! 다시는 독재의 구렁텅이로 빠지지 않고 이 땅에
but .
광주 시민은 미국을 믿었지만 찬란한 민주의 꽃을 피울 그날까지 우리 모두 총궐기합시다!”
미국은 광주 진입 허용 .
신군부의
ㅂ. 광주 음모가 있었음 .

5.27

5.24 • 계엄군의 진격 소식을 듣고 일부 시민군만 도청에


잔류
• 전남대 교수들 “대한민국 모든 지성인에게
고함” 발표 사랑하는 광주 시민 여러분,

5.25 지금 계엄군이 쳐들어 오고 있습니다.


사랑하는 우리의 형제 자매들이 계엄군의 총칼에
• 투쟁파 중심으로 수습위원회 구성, 정부의 죽어가고 있습니다.
잘못 시인을 포함한 4개항 요구
우리 모두 계엄군과 끝까지 싸웁시다.
• 최규하는 담화문만 발표하고, 서울로 돌아감 우리는 끝까지 광주를 사수할 것입니다.
5.26 여러분 우리를 잊지 말아주십시오.
우리는 최후까지 싸울 것입니다.
• 5차 민주수호범시민궐기대회에서 최후까지
<마지막 시민군의 방송 - 박영순>
싸울 것을 결의함
새벽 4시 .
도청에 200명만

ㅂ. 광주 남음 .

5.27
오전 1시 ‘상무충정작전’ 개시
윤상원, 최후 항전의 다짐
4시경, 항복 권유 방송 나옴
"여러분, 우리는 저들에 맞서 끝까지 싸워야 합니다.
5시부터 교전, 10분경 군이 도청 장악= 광주항쟁 종결
그냥 도청을 비워주게 되면 우리가 싸워온 그동안의
투쟁은 헛수고가 되고, 수없이 죽어간 영령들과
역사 앞에 죄인이 됩니다. 죽음을 두려워하지 말고
투쟁에 임합시다. 우리가 비록 저들의 총탄에
죽는다고 할지라도 그것이 우리가 영원히 사는
길입니다. 이 나라의 민주주의를 위해 끝까지 뭉쳐
싸워야 합니다. 그리하여 우리 모두가 불의에
대항해 끝까지 싸웠다는 자랑스러운 기록을
남깁시다. 이 새벽을 넘기면 기필코 아침이 옵니다."
ㅂ. 광주

“유신체제의 몰락은 민중 세력이


치열하게 싸워서 직접 얻은 성과가 아니었기 때문에
지배층과 민중 사이의 대립은
1980년 광주민중항쟁으로 터져나왔다."
이게 이어졌으면 민중의 힘으로 70년때부터 많은 시위가 있었지만
정권이 무너졌겠지만 .
.
그게 아니다
쫴규 ㅋ
방정회 ) 이렇거I 끝나서 . .
.
ㅂ. 광주 - 의의 • 1955.12 '5.18 민주화 운동 등에 관한 특별법' 통과

• 민주화운동의 크나큰 전환점이자 분수령 • 전두환과 노태우, 내란죄로 기소되어 1997년
E
80년대 민주화운동과 87년의 6월 항쟁의 무기징역과 17년형 선고받음

토대
ne
• 12월, 대통령 사면령으로 석방
2김대중 사면:

• 갑오농민전쟁, 3.1운동, 4월 혁명의 역사적


전통을 이어받은 의의깊은 항쟁
• 80년대 반미운동의 시작
미국이 근대 이동 승인 .

: 부산미문화원 방화사건, 서울미문화원


점거사건, 등
ㅂ. 광주

"5.18광주민주항쟁은 전두환과 신군부 세력의 정권 장악을 위해 내려진 계엄령 확대 조치와


민주인사 구속에 항의하는 시민의 저항이었다.
… 1980년대 한국의 민주화운동은 광주를 기억하려는 세력과 이를 은폐, 매장하려는 세력
사이의 갈등이었다고 이야기되기도 한다.
그리고 이러한 기억을 둘러싼 갈등과 투쟁은 현재에도 계속되고 있다."
감사합니다
13-2. 제 5공화국

한국현대사의 이해 / 신유진
강의 개요
ㄱ. ‘개혁’

ㄴ. 5공 시절
ㄱ. ‘개혁’
말 안 들을 것
• ‘정의 사회 구현’ & 개혁이라는 명목
• 1980.5.31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와 같은 애들• 6.18 박정희 정권의 핵심인물 김종필, 이후락,
잘라 버려
(박종규) 등 총 9명을 권력형 부정축재자로 발표
.

상임위원회 설치
• 상임위원회: 30명 중 신군부 인물 18명 포함 • 7월 고급 공무원 5천 명 숙청 (부패 처벌)
↳ 모든건 전투한 아래
• 언론인 해직과 언론통폐합
.

• 국보위: ↳ 언론이 권력의 신하

– 대통령을 보좌하고 국가를 보위하기 위한 • 정기간행물 172종 등록 취소


국책사항 심의기구
– 신군부세력의 권력 장악의 발판
– 민주주의 제도를 유린한 군사평의회
• 국정 4대 목표: 정치 안정, 경제 안정,
안보 태세 강화, 사회악 일소
→ 살아남긴해
ㄱ. ‘개혁’
• 삼청교육대:
- 계엄포고령 13호에 따라 불량배 일제
검거
– 10월, 사회악 사범 6만 7천 명 검거
– 그 중 4만을 삼청교육대에서 순화교육
– 민주노조 노동운동가들, 계 활동을

i
하는 여성들 연행
– 가혹행위 난무
– 정식 재판도 없이 사람 구금해서 교육
– 50명 가까이 사망자 발생
ㄱ. ‘개혁’
• 교육 정상화를 목적으로, 대학입시 본고사
폐지, 과외 금지, 졸업정원제 발표
E성들이 시위에 참여하지 사회정화사업이란?
못하도록 . .
.

“정권의 정당성을 세우기 위한 정권의


사회질서 기제이자,

국민 감시체제의 일환”
ㄱ. ‘개혁’
• 8.16 최규하 대통령직 사임 • 유신헌법 지속하기에는 무리 있다고 판단 .

미국도 전두환 어느정도


• 10.22 새로운 헌법안 확정
• 8.27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전두환이 지지 .

t 김대중 죽이지 – 대통령 임기 7년


11대 대통령에 당선
말라. – 5천명 이상으로 구성된 선거인단에서 선출
민주화 .
.
– 비상조치권과 국회해산권 보유 & 사법부와
헌법위원회 통제
– 국회의원 1/3은 전국구로 배정, 나머지는 1당이
차지
= 기본권을 제약한 “변형된 유신헌법”

• 국가보위입법회의 창설 (통일주체국민회의 해산)


4악법 만들어 냉
ㄱ. ‘개혁’
1981.1.24 계엄령 해제
& 1981.3.3 전두환 대통령 취임
전두환은 지진에게 반발할 가능성을

애초에 .
. .
봉소H .

• 야당으로서 민주한국당(민한당) 결성 • 땡전뉴스 전두환 일과 보고 .


독재정치 .

• 정치활동 금지, 그저 명목상으로만 존재 – 5공 시절에 유행한 은어


• 형식적인 의회에 참석하는 것 정도만 허용 – ‘땡’ 소리와 함께 ‘전두환’이
• 정당체제에 충성스러운 반대세력으로서만 유지 나온다는 것을 비꼼
ㄴ. 5공 시절
• 경제
– 1980년 최초 마이너스 성장
– 중복 투자한 기업들 조정 통합 조치 실행
– 생존한 기업들은 정부의 세제/금융상 특폐 받아 경쟁업체 흡수, 독점 강화 & 정경유착 심화
– 5.18특별법 제정으로 전두환 노태우 재판 당시, 전두환 대통령이 기업으로부터 받은 비자금
총액이 9,500억 원으로 추정
– 재벌, 문어발식 사업 확장 - 무분별한 확장으로 외국에서 빌려온 차관이 쌓여 국가적 차원의
외채 문제 발생 -
– 총외채: 79년 말 203억 달러 → 1985년 말, 486억 달러
– 86~88년의 3저 호황(저달러, 저유가, 저금리)으로 경제 호황
계속 억압적이다가

ㄴ. 5공 시절 '
83년부터 유화 조차
두발 교육 자유화
'

.
야간 통행 금지 해제
컬러 방송
'

• 문화
– 대중들의 소비유흥문화 번성
– 1980.12 컬러 방송 시작
– 3s 정책 = Screen & Sports & Sex
(우민화
nnnns
정책)
– 유흥업소 증대
– 중산층들 확산 및 자동차 보유
– 대중문화 장려를 통해 사람들을
탈정치화하려는 의도
유흥문화를 번성하게 하여 광주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을 줄임 .
ㄴ. 5공 시절
• 1982 프로야구 시작 -
• 국풍 81 행사: 1981.5 여의도 광장에서 프로스포츠 시대 개막
문화행사 개최
• 1986 아시안 게임, 88올림픽
ㄴ. 5공 시절 신냉전 도래 - 미소관계 냉각
미일의 반응
• 80년대 반미감정 ↑, 광주를 안보
위협하는 사태로 인식
• 한미연합사령관 존 위컴, 광주사태를
두고 한국인들이 전두환 정권을 인정, 이란혁명 니카라과 혁명
수용할 거 같냐는 틀린말은 아님 사람들이 .

질문에 “한국인들은 전두환 정책을 지지하여

광주 외면함 .

들쥐(lemmings)와 같아서 강력한 소련의


지도자가 나타나면 뒤에 줄은 아프가니스탄
침공(1979.12
선다”라고 대답
~ 89.2)
ㄴ. 5공 시절
• 1981.1 로널드 레이건 미국 대통령 취임 - 초 강경파 인사
– 소련을 ‘악의 제국’으로 규정
– “제3세계의 어떤 독재라도 반미 내지 공산독재보다 낫다”

• 일본, 나카소네 수상 - 보수 반공인사


분위기
.

미국 일본 보수 반공 정부 ⇒전두환 지지
신니I 국제적
,
⇒ 삼국 동맹 .

• 미일, 아시아 반공군사동맹 강화 추구 - 전두환 정권 지지 광주 잊혀짐 .

• 미국, 주한미군 감축과 철군계획 백지화 선언


& 한국에 전술핵무기 배치, 팀스피리트 훈련 강행

• 일본, 안보경제협력이라는 명목으로 한국에 40억 달러 차관 제공


ㄴ. 5공 시절
• 학생운동 – 비밀 소그룹으로 맞서고자 함

– 공안기관 활용해서 감시망 구축, 억압적 – 민중세력과의 연대 강조 & 급진 이념에 관심


분위기 조성 – 느슨한 연계망 확립

– 사복 경찰들이 학교에 상주하면서 학생들 – 83년 말, 탄압 일변도 정책 → 유화 조치


동태 감시, 소규모 시위 진압 – 학교의 경찰 병력 철수, 제적된 학생들 일부
복학
– 군복무제도 이용해서 민주화운동 학생들
강제로 징집 – 학생운동 강화: 학도호국단 폐지 &
자치학생회 결성
– 특별정훈교육이라는 명목으로 사상교육,
– 80년대 중반, 가두시위를 펼치면서
특별휴가로 정보수집 강요
대중화되어가는 양상을 보임
– 의문사당하는 학생들 속출
ㄴ. 5공 시절 – 노학연대 등장: 노동자와 학생 간의 연대 투쟁

• 노동운동 – 광주 이후, 학생운동의 급진화 & 민중세력과의


연대를 모색하면서 학생들이 노동계로 진출
– 민주노조 전부 해산, 해고된 노조
– 공장에 위장취업 & 야학 활동
간부들과 노동운동가들이 블랙리스트에
– 가리봉 투쟁
올라 취업이 어렵게 됨

– 해고자 복직투쟁 전개
– 70년대 민주노조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함 (70년대에는 민주노조가 사업장
단위로 분산되어 연계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았음)
ㄴ. 5공 시절
1985.7 구로지역 노동자연대 파업 발생
– 대우어패럴 노조위원장이 구속되자
인근 지역 공장노동자들이 파업 전개
– 전환점: 노동운동이 사업장 단위의
고립 분산성을 벗어나 연대를 모색하고
사회정치적 투쟁을 전개했다는 점

‘역사상 보기 드문 희생적이고 헌신적인 열정 시대’


다음주 수업...

- 6월 항쟁 -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14-1. 6월 항쟁

한국현대사의 이해 / 신유진
강의 개요
ㄱ. 2.12총선

ㄴ. 직선제 개헌 운동

ㄷ. 6월 항쟁

ㄹ. 그 이후
ㄱ. 2.12 총선
• 12대 국회의원 선거(1985)
• 결과: 민정당 148석, 신민당(신한민주당) 67석, 민한당 35
석, 국민당 30석, 신민주당 1석, 신사당 1석, 무소속 4석
– 민주정의당은 5공의 집권당 여당 민정당 참패 .

이후에 신민당이
– 신민당은 창당된 지 1달도 안 되어, 김영삼과 김대중을

T
민한당을 야당 T
-
.

흡수함으로써 내세워 승리 t
,

제 1 야당 으로
가택
-
-

굳히게 됨 .
– 민한당, 관제야당으로서 대거 탈락
= 신군부 세력의 통치에 대해서 유권자들이 내린 준엄한 심판
• 이후, 신민당은 민한당 흡수해서 ‘선명야당’으로서 신군부
세력에 맞섬
ㄷ. 2.12 총선_이후 민주화운동
• 일반 학생들, 군사독재정권 타도 등의 정치민주화 문제가 쟁점
• 운동 지도부 세력, 급진화 경향 강화: 더 근본적인 변혁을 추구
stt2222isonecut

– ‘전국학생총연합(전학련)’을 중심으로 투쟁 전개
– 삼민이념 추구: 민족통일, 민주쟁취, 민중해방 전학련의 산하조직 ,

/ Thompson
– 민족통일민주쟁취민중해방삼민투쟁위원회(삼민투위)
neuron
등장
– 1985.5.23 서울미문화원 농성사건 T배후 .

• 재야민주화세력, 70년대에 학생운동을 하고 사회에 진출한 이들을 중심으로 민주화운동 전개



광주에서 민주화운동의 저력을
• 1983, 민주화운동청년연합(민청련)을 결성해서 학생운동 / 민중운동과 연대 추구
nerve
보았기 때문 .

• 1986, 재야민주화운동 단체를 결집한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민통련)’을 결성


– 외세에 의한 종속을 타파하는 저항적 민족주의, 독재정권 타도하는 민주주의, 소외된 계층 권익
옹호하는 민중주의 결합 추구 권O형성 → 운동권 형성 .
야당이랑 민주화 운동 세력이랑

ㄴ. 직선제 개헌운동 연합

• 변형된 유신 헌법(대통령 단임제 7년, 간접선거)에


대한 개정을 요구
.mn
• 1986.2 신민당 주도의 천만인 서명운동
• 1986.3 개헌추진위원회 결성하여 대중 동원
-

• 2.12총선 이후 신민당을 중심으로 대통령 직선제


개헌 요구
• 12월, ‘민주화추진협의회(민추협)’ 결성

But, 1986.1.16 전두환 왈


“대통령 선거 방법의 변경에 관한 문제는 평화적 정권
교체의 선례와 서울 올림픽 개최라는 긴급한 국가적
과제가 성취되고 난 89년에 가서 논의하는 것이 순서”
말이 안 되지
ㄴ. 직선제 개헌운동
다른점 !
야당 너무 급진적인 것은 민주화운동 세력
원치 않아.
직선제를 넘어서서
직선제 개헌
msn.net
근본적인 사회개혁
세력에서
민주화운동
눈을 빼고
,
& 민중운동, 반외세
살조작
민족자주운동과 연결
집권세력과의 타협 2)
협상 시작 → 헌법개정특별위원회 창설 & 여야, 개헌 논의 시작
= 야당은 직선제, 여당은 내각책임제를 주장 → 9월, 신민당 불참 선언
6월 헌법 개정 논의

YS, DJ 등 신민당 탈당, 통일민주당 결성(87.5) &.ve


. -
. .

개헌 노력 실패
정치권 내에서 .
O 6월 항쟁
/ 6월 이한열
'

ㄷ. 6월 항쟁_박종철 고문치사사건 이전에도 . .

민주화 시위
아시안게임에서 2위 . .it 전투한 신나 →

초강경 고문당해서
• 1987.1.14 서울대 언어학과 3학년 박종철 군 남영동에서
.

사랑은
진압 . .

죽은
10시간의 물고문으로 사망 많았는데
하필 박종브D다
수배중인 학교 . . .
선배 거취 . - -
ㅋ"
울어
• 17일, “책상을 탁하고 치니 억하고 죽었다”고 발표

3.3 박종철군의 49재와 ‘고문추방 국민대행진’ justioi_enrioutlfir.im


자식도
될수
"

저기에
있Mm구나
ㄷ. 6월 항쟁_4.13호헌조치
87년, 차기 대통령 선출하는 해

법을 지킨다 .

개헌 호헌
사람들 폭발 ?

4.13 내각책임제로의 개헌을


포기하고, 현행 헌법으로
대통령을 선출해서 정부를
이양하겠다는 특별 담화
reference
ㄷ. 6월 항쟁_박종철 고문치사사건
• 5.18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의 김승훈 신부가 박종철 사망 사건을 경찰 간부들이
은폐 및 축소조작했다고 추가 폭로

• 전국적으로 추모집회 개최
• 사태의 심각성 깨닫고, 당시
국무총리, 내무부 장관, 검찰
총장, 안기부장 전부 문책
아버지 .
ㄷ. 6월 항쟁
• 5.27 운동권, 종교인, 야당이 모여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국본)’ 결성-
군사독재정권 타도와 민주화 추구, 직선제
추구하는 세력 망라
• 6.1 50개 대학교수 1527명, 전현직 국회의원,
문인, 신부, 목사, 변호사, 영화, 연극인, 가수,
미술인, 의사, 약사, 한의사 악사, 음악인, 간호사,
교사, 대학원생 등 reference
각계각층에서 호헌조치에
대한 반대성명서 발표 모든
renren.tl 사람 .

• 기도회나 단식투쟁이 이어짐


ㄷ. 6월 항쟁_이한열 최루탄 피격사건
"이런 모습의 사진은 언론검열을 받는 상황 하에서는
상상도 못하는 것이었다. 편집국 내에서도 데모를
mn 부추길 수 있는 사진이라 곤란하다는 일부 의견들이
있었으나 당시 이창성 사진부장이 모든 책임을 진다는
약속(보안사에 끌려가 고문을 당할 준비가 되어
있다는 말) 하에 실리게 되었다.
바로 이 찬 장의 사진이 신문에 보도된 다음날부터
대학에는 대형 걸개 그림이 걸렸고, 시위학생들은 이
사진을 손수건·스카프 등으로 제작하여 국민들에게
배포하기 시작했다. 결국 이 사진은 군사독재정권의
집권에 종지부를 찍는 촉매제 역할을 한 결정적인
사진이 되었다." (중앙일보 기자)
ㄴ. 6월 항쟁_6월 10일
국본 결정에 따라 전국 22개 도시에서
잠실체육관에서 민정당 대표 노태우가
‘박종철군 고문살인 은폐 규탄 및 호헌철폐
대통령 후보로 지명
국민대회’ 동시 개최
VS
ㄴ. 6월 항쟁
• 서울집회에 참가했던 시민, 학생 600여 명이
명동성당으로 들어가 농성(10~15일)

• 오후 6시, 국민대회가 열린 대한성공회에서


애국가가 흘러나오고 성당 종이 42번을 울리는
것을 신호로, 성당 구내의 차들이 경적을 울림

• 이에 호응하기 위해 도로 위의 차들도 경적을


울림
ㄴ. 6월 항쟁 (긱타이 부대 .
ㄴ. 6월 항쟁
• 전두환과 민정당은 사태를 심각하게 여기지 않음 광주대는 무력사용 승인해
놓고 왜 반대 ?
• 미국, 명동성당 농성에 무력 사용을 자제해 줄 것을 전두환 측에 전달
• 미국 본토에서 연이어 6월 항쟁에 대해 보도 세계적으로 유명해지게
t 된 이유 o

Why? ‘중산층의 반란’


"미국은 전례 없는 엄청난 시위 규모와 대담성 및 지속성에 놀랐다. 특히 미국은 한국 중산층의 변화에 놀랐다.
지금까지 시위의 구호가 극렬화하고 폭력화하여 시위에 비판적이던 중산층들이 시위를 동조·지원하기 시작한
것이다. 학생시위를 격려하기 위해 운전자들이 자동차 클랙슨을 울리고 거리의 시민들이 시위학생들을
격려했다. 명동성당을 점거중인 학생을 지원하기 위해 지나가는 행인들이 한푼 두푼 성당 안으로 던진 돈만 2
만 5천 달러가 넘었다는 보도가 워싱턴에 전달되었다. 한국 정부는 이 학생들을 강제로 연행하려 할 참이었다.
이 시점에 미국의 개입이 시작되었다. 릴리 대사는 6월 13일 최광수 외무장관을 방문하여 폭력의 사용을
억제하여 줄 것과 경찰이 명동성당에 진입하지 말 것을 강력하게 호소했다."
ㄴ. 6월 항쟁
6.18 최루탄 추방대회 (16개 도시, 150만 명 이상 참가)
어느 부모의 자식이

iii.

•n
-
군대를 보내려 했는데
ㄴ. 6월 항쟁_평화대행진
. .
.

미국/ 내부적 반 는

• 6.26 ‘민주헌법쟁취 국민평화대행진’ (33개 도시,


180만 이상 참가)
.

• 서울, 대전, 대구, 부산 등에서 최루탄과 투석,


화염병 투척으로 시가전 수준의 공방전이 벌어짐
• 중소도시에서는 경찰이 다수의 시위대에 의해
무력화됨
• ‘넥타이 부대’들의 참가
• 총 3,467명 연행, 29개 파출소, 경찰 차량 20대,
시청 등 관공서 4개소, 4개 민정당사 불에 타거나,
파손됨
ㄴ. 6월 항쟁_6.29선언
야당은 .
- -
원하는 걸
다 이룬거 .

• 노태우가 전두환에게 건의하는 방식으로 제안됨


ATE자 .

• 내용: 여야 합의에 의한 대통령 직선제 개헌,


김대중 사면 복권 및 시국 관련 사범 석방, 인권
침해 시정, 언론 창달, 지방자치 실시, 대학
자율화와 교육자치 실시 등

• 이후, 항쟁의 열기가 식음 직선제


ㄴ. 6월 항쟁_의의 및 한계
• 민주대연합이 이루어졌기에, 6월 투쟁이
"이러한 타협안의 제시는 물론 민주화를 요구한 국민적 공세에
민주대항쟁으로 발전함 r
,
어느정도 완화된 < _ .

밀려 나온 것이었다. 그러나 여기에는 제한된 민주화를 통해


• 시위 주도하던 학생 세력이 급진적인 주장을 집권 세력의 지배를 지속할 수 있다는 계산이 깔려 있었다.
하지 않았기 때문에, 시민, 야당, 재야민주 민주주의의 절차를 보장함으로써 국민적 저항을 약화시키고,
세력등 광범위한 이들이 공감하고 참여할 수 저항 세력의 내부 분열을 일으킴으로써 집권당의 권력을 유지할
& 수 있다는 계산이었다.
있었음
특히 이는 김대중과 김영삼의 뿌리깊은 경쟁과 정부·여당의
• 방송금지곡 500곡 해금 & 판금도서 431종
막강한 조직, 자금으로 대통령 직선 경쟁에서도 승리할 수
해금
있다는 계산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 어느 면에서는 노태우
• 민주적인 국민과 민주화된 조국 서사가 강조됨 자신이 표현한 대로 국민에 대한 항복이라고 말할 수 있겠으나,
• 전 국민이 대동단결해서 이뤄낸 성과이자, 다른 면에서는 항복을 가장한 권력 연장의 합리적이고 계산된
성숙한 한국인의 모습과 민주화의 쾌거. 행동이었다."
ㄹ. 그 이후
야당 통합 Xo
대통령 직선제와 5년 단임제로 개헌
노동자 대투쟁
• 민주화 흐름에 발맞추어, 노동운동 폭발
• 요구사항: 진정한 자율성을 가지고 노동자
대중의 이해관계를 대변하는 민주노조를
결성하고, 군사정권 하에서 억압받았던
노동자의 권리를 되찾는 것
• 7월 초, 중화학 공업지구인 울산 현대그룹
계열 사업장에서 민주노조가 결성되면서 시작
• 8월 중순, 남동해안 지역으로부터 전국으로
확산됨
ㄹ. 그 이후

야당 분열
신군부의 시나리오
ㄹ. 그 이후
단일화 . . .

12.16 대통령 선거: Annie


노태우 36.6%, 김영삼 28%, 김대중 27.1%
ㄹ. 그 이후 訓玭

醮拗
• 노태우의 ‘홀로서기’ (5.5공화국이라는 비아냥)
t
• 12.16 대선, 특정 지역 후보가 그 지역에서 90%
• 5공 비리 청산 & 청문회가 열림 민주화 위원회
넘는 표를 얻을 정도로 지독한 지역분할을 보여줌
– 의제: 광주사태 진상규명, 군부 책임자 처벌, 생중계 .

민정당 - 대구 경북 강원도 / 김대중 평화민주당 -


전두환 대통령 친인척 비리척결, 정경유착 규명
전라도 / 김영삼 통일민주당 - 경남 부산 / 김종필 150억 .


신민주공화당 - 충청 – 전두환, 139억
.mn
헌납, 사과 성명서 발표,
부인해
. .

백담사로 은둔 현대유보 -

• 강권통치의 기반이었던 박정희 정권/전두환 신군부의


지역분할 통치와 박정희식 근대화 지상주의가
결합한 극단적 지역이기주의가 표면화함
• 여소야대 국회 형성 = 민주화 촉진의 계기가 마련됨
nnnieeg
(이전의 금권/관권 선거 약화)
차지하긴 햇지만 0
0 0
ㄹ. 노태우 정권

권력 핵심 실세들이 군장교집단으로 채워진다는 점에서 군사정권의 연장이었고


전두환 정권기의 권력 집단들이 그대로 유지되었고,
민주화운동을 탄압하던 국가안전기획부, 보안사령부, 경찰 등의 공안기관들이
건재했던 시절
제한적인 oo .

6월 항쟁 이후로 단기적으로 . .
ㅂ. 현대사
( 한반도 )

정전 체제, 분단 체제, 그리고 냉전 체제

평화체제innm.P
지금의 일 이회Ftz
a
처 1저17n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
사회를 바라보는 기준 .

스스로의 기준 .
수고 많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