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2

flex webinar

회사 리더의 의사결정을 돕는
HR 데이터 지표 32가지 해석과 활용 사례

플렉스팀 강정화 컨설턴트


10010101001010100101010101011010101010
10101010101010101010101010101001010101
Index 01010101010101010101010101010010101010
10101010101010101010101010100101010101
01010101010101010101010101001010101010
10101010101010101010101010010101010101
01010101010101010101010100101010101010
Part 1. 리더가 알아야 할 HR 지표 10101010101010101010101001010101010101
조직 및 구성원 01010101010101010101010010101010101010
기존 구성원
10101010101010101010100101010101010101
01010101010101010101001010101010101010
신규 구성원
10101010101010101010010101010101010101
Part 2. HR 지표 활용 실전 케이스 with flex 01010101010101010100101010101010101010
관리 리소스를 줄여주는 HR 지표 10101010101010101001010101010101010101
의사결정을 돕는 HR 지표 01010101010101010010101010101010101010
잠재적인 문제를 발견하는 HR 지표 10101010101010100101010101010101010101
01010101010101001010101010101010101010
10101010101010010101010101010101010101
Part 3. Q A
01010101010100101010101010101010101010
10101010101001010101010101010101010101
01010101010010101010101010101010101010
10101010100101010100101010010101001010
10101011010101010101010101010101010101
01010101001010101010101010101010101010
10101010010101010101010101010101010101
왜 HR 데이터가 중요한가요?
HR 데이터, 중요한 건 알겠는데…
어떻게 활용하지?
Part 1.
리더가 알아야 할 HR 지표
HR 지표 32가지
조직 및 구성원 기존 구성원 신규 구성원

재직자 수 여성 재직자 구성원 유지율 집까지 퇴사자 수 신규 수습 구성원


비율 평균 거리 입사자 수 평균 근무
조직 개수 평균 근속 입사 시기별 시간
평균 초과 코호트 신규 입사자
여성 조직장 일수 수습 구성원
근무 시간 퇴사 비율 평균 연봉
조직장 대비 비율 평균 연차 사
재직자 수 평균 연봉 평균 연차 용 시간
퇴사자 평균 수습 구성원수
사용률 근속 일수
평균 연령 연봉 중앙값 수습 완료율
평균 근무 평균 연차 수습 구성원
시간 사용 시간 유지율
15 29세 평균
재직자 비율 Compa Ratio
총 근무
시간 맞춤 근무별
30 49세
재직자 비율 근무 시간
계약 유형별 비율
재직자 비율 최종 학교별
재직자 비율
-
-
HR 지표 32가지
조직 및 구성원 기존 구성원 신규 구성원

구성원 유지율 집까지 퇴사자 수 신규 수습 구성원


재직자 수 여성 재직자
평균 거리 입사자 수 평균 근무
비율 시간
평균 근속 입사 시기별
조직 개수 평균 초과 신규 입사자
일수 코호트
여성 조직장 근무 시간 평균 연봉 수습 구성원
퇴사 비율
비율 평균 연차 사
조직장 대비
평균 연봉 평균 연차 용 시간
재직자 수 퇴사자 평균 수습 구성원수
사용률 근속 일수
평균 연령 연봉 중앙값 수습 완료율
평균 근무 평균 연차 수습 구성원
시간 사용 시간 유지율
15 29세 평균
Compa Ratio
재직자 비율
총 근무
시간 맞춤 근무별
30 49세
재직자 비율 근무 시간
계약 유형별 비율
재직자 비율 최종 학교별
재직자 비율
-
-
HR 지표 32가지
조직 및 구성원

재직자 수 여성 재직자
우리 조직의 다양성과 전반적인 헬스 체크에 중요한 지표
비율
조직 개수 ● 인력 계획
여성 조직장 ○ 우리 조직에 인재가 더 필요하지 않을까?
조직장 대비 비율
○ 인력 배치, 우리 회사가 생각하는 적정한 팀 인원은?
재직자 수
● 연령, 성별에 따른 다양성 지표?
평균 연령
평균 근무 ○ 우리 회사는 다양성 지표를 중요하게 생각하는가?
시간 기업내 성별 다양성
15 29세
총 근무
재직자 비율 ○ 여성 친화 기업, ESG 경영
시간
30 49세
재직자 비율
계약 유형별
재직자 비율 최종 학교별
재직자 비율
-
-
조직 및 구성원

조직장 대비 재직자 수 평균 근무 시간

계약 유형별 재직자 비율
조직 및 구성원

조직장 대비 재직자 수
조직 및 구성원

조직장 대비 재직자 수

무엇을 알 수 있나요?
● 각 조직장들이 팀을 관리하는 데 무리가 없는지
● 각 조직장들이 관리 가능한 업무량을 보유하고 있는지
● 각 조직별로 업무량이 공정하고 효과적으로 배분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어요.

어떻게 활용하나요?
● 인력 배치, 관리 구조, 인력 관리에 관련된 의사결정에 활용할 수 있어요.
● 현재 우리 조직의 관리 관행, 건전성, 효율성 등을 파악할 수 있어요.
● 향후 조직 개편의 근거로 활용할 수 있어요.
조직 및 구성원

평균 근무 시간
조직 및 구성원

평균 근무 시간

무엇을 알 수 있나요?
● 구성원들이 시간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있는지,
● 업무량이나 생산성에 문제가 없는지 알 수 있어요.

어떻게 활용하나요?
● 인력 배치, 일정 및 업무 분배와 관련된 의사 결정에 활용할 수 있어요.
● 구성원들이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어요.
● 팀스케일업 계획이나 인력 계획 수립 시 주로 활용됩니다.
조직 및 구성원

계약 유형별 재직자 비율
조직 및 구성원

계약 유형별 재직자 비율

무엇을 알 수 있나요?
● 조직이 인력 구성을 이해하고
● 조직 내 다양한 고용형태에 대한 직원 비율을 알 수 있습니다.
● 직원 유형에는 정규직, 파트타임, 임시직, 계약직, 계절직 또는 조직에서 인력을
분류하는 데 사용하는 기타 모든 분류가 포함 될 수 있습니다.

어떻게 활용하나요?
● 채용, 보상, 복리후생 및 인력 계획과 관련된 의사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을 줍니
다.
HR 지표 32가지
기존 구성원
구성원 유지율 집까지 퇴사자 수 기존 구성원의 리텐션과 개인의 헬스체크를 확인하는 지표
평균 거리
평균 근속 입사 시기별
평균 초과 코호트 ● HR 건강도
일수
근무 시간 퇴사 비율
○ 구성원 유지 전략 도출 및 업무 환경 개선
평균 연봉 평균 연차 퇴사자 평균 ● 노동법 준수 여부 파악
사용률 근속 일수
연봉 중앙값 ○ 법에 맞는 HR 운영
평균 연차
● 우리 회사 보상?
평균 사용 시간
Compa Ratio ○ 급여 형평성, 임금 형평성, 급여 관련 잠재적
인 문제 파악
맞춤 근무별
근무 시간
비율
기존 구성원
구성원 유지율 연봉 중앙값

퇴사자 평균 근속 일수
기존 구성원

구성원 유지율
기존 구성원

구성원 유지율

유지율이 높다면, 조직의 HR은 청신호


● 경쟁력 있는 보상, 복리후생 제공, 경력 개발 및 승진 기회 제공,
● 긍정적인 업무 환경 조성 등 조직이 효과적인 리텐션 전략을 적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어요.

유지율이 높다면, 조직의 HR은 적신호


● 낮은 보상, 경력 개발 기회 부족, 부정적인 업무 환경 등
● 조직의 리텐션 전략에 문제가 있음을 나타냅니다.
기존 구성원

구성원 유지율

어떻게 활용하나요?
● 조직의 리텐션 전략이 잘 되고 있는지 파악하고 개선할 수 있어요.
● 근거 기반으로 구성원의 커리어 개발 기회를 제공하거나, 업무 환경을 개선할 수
있어요.
● 궁극적으로 구성원의 이직율을 낮추고 HR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요.
기존 구성원

연봉유지율
구성원 중앙값
기존 구성원

연봉유지율
구성원 중앙값

무엇을 알 수 있나요?
● 연봉 중앙값 은 급여 집합의 중간값을 의미하며,
● 급여의 절반이 중간값 이상이고 절반이 중간값 이하인 경우를 말합니다.
● 평균 급여에 비해 이상값이나 극단값의 영향을 덜 받기 때문에
● 조직 내 특정 직무 또는 직책에 대한 일반적인 급여를 정확하게 표현하는 데 사
용됩니다.
기존 구성원

연봉유지율
구성원 중앙값

어떻게 활용하나요?
● 특정 직무 또는 직책에 대한 급여 형평성 또는 급여 압축과 관련된 잠재적 문제
를 식별할 수 있습니다.
● 중간 급여와 평균 급여 사이의 격차가 크면 나머지 직원보다 훨씬 더 많거나 적
은 급여를 받는 직원이 있다는 의미일 수 있으며, 이는 조직의 보상 정책을 검토
해야 할 필요성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기존 구성원

퇴사자 평균 근속 일수
기존 구성원

퇴사자 평균 근속 일수

무엇을 알 수 있나요?
● 조직을 떠난 직원 즉, 이직 직원 이 퇴사하기 전에 회사에서 근무한 평균 기간을
알 수 있어요

어떻게 활용하나요?
● 직원이 조직을 떠나는 이유에 대한 인사이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직원 이직률의 패턴과 추세를 파악하고 유지율을 개선하기 위한 타겟 전략을 개
발할 수 있습니다
HR 지표 32가지
신규 구성원 조직 신규 구성원 지표를 통해 건강한 조직 성장을 확인하는 지표
신규 수습 구성원
입사자 수 평균 근무 ● 채용
시간
신규 입사자 ○ 채용 전략, 우리 채용 프로세스는 문제없이 진행되고 있을까?
평균 연봉 수습 구성원 ○ 경쟁력 있는 보상 패키지 전략 수립
평균 연차 사
용 시간 ○ 인력 계획
수습 구성원수
● On boarding
수습 완료율
수습 구성원 ○ 수습제도의 프로그램 정합성, 성공 여부 판단
유지율 ○ On boarding 효과성 여부를 판단
○ 지원자를 대상으로 우리 회사의 EVP Employee value
proposition 이 매력적인지 판단
신규 구성원
신규 입사자 평균 연봉

수습 직원 유지율
신규 구성원

신규 입사자 평균 연봉
신규 구성원

신규 입사자 평균 연봉

무엇을 알 수 있나요?
● 신입 사원에게 제공되는 보상 패키지를 분석하고
● 시장 표준에 비해 경쟁력이 있는지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신규 구성원

신규 입사자 평균 연봉

어떻게 활용하나요?
● 경쟁력 있는 보상 패키지를 제공하려는 조직의 노력을 반영하며,
이를 통해 우수한 후보자를 유치하고 이직률을 낮출 수 있습니다.
● 당월이나 당해년도의 거시적인 인건비 계획의 정합성에 판단할 수 있습니다.
● 신입사원에게 제공되는 보상 패키지의 추세를 파악하고 시장 표준과 비교하여
데이터에 기반한 보상 전략 수립할 수 있습니다.
● 동일 임금 및 차별과 관련된 노동법 및 규정을 준수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신규 구성원

수습 직원 유지율

무엇을 알 수 있나요?
● 조직에서 정규직으로 고용 예정인 신입 직원의 비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조직의 채용 프로세스의 효과성과 신입 사원의 직무 적합성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신규 구성원

수습 직원 유지율

유지율이 높다면, 채용 HR은 청신호


● 조직이 직무에 적합한 후보자를 유치하고 선발하고 있으며 수습 기간이 직원의
성과와 적합성을 평가하는 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나타냅니다

유지율이 낮다면, 채용 HR은 적신호


● 직무나 조직에 적합하지 않은 지원자를 유치하는 등 채용 프로세스에 문제가
있음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 부적절한 교육이나 불명확한 기대치 등 수습 기간에 문제가 있음을
나타낼 수도 있습니다.
신규 구성원

수습 직원 유지율

어떻게 활용하나요?

● 채용 전략을 개선하고, 신입 사원에게 더 나은 교육과 지원을 제공하며, 수습 기


간이 직원의 성과와 적합성을 평가하는 데 효과적인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실무적으로는 수습기간 이내 입사자 유지율 을 채용계획을 세우기 전의
거시적 인력계획 차원에서 많이 활용되며,
● 수습기간 이내 입사자 유지율은 채용형 수습제도를 운영하는 과정에서의
프로그램 정합성,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지표로 활용이 가능합니다.
Part 2.
HR 지표 활용 실전 케이스 with flex
관리 리소스를 줄여주는 HR 지표

출입 기록 보정 업무, 생산적인
HR 업무를 방해합니다
관리 리소스를 줄여주는 HR 지표

구성원 정보, 아직도 엑셀로 관리


하시나요?
의사 결정을 도와주는 데이터 HR 제도

유연근무제도
집까지 총 근무
평균 거리 시간
의사 결정을 도와주는 데이터 HR 제도

포괄임금 통상임금
평균 초과
근무 시간
의사 결정을 도와주는 데이터 HR 제도

무제한 연차
평균 연차 평균 연차
사용률 사용 시간
의사 결정을 도와주는 데이터 (HR 제도)

복리 후생
집까지 평 여성 재직자 15 - 29세 30 - 49세
균 거리 비율 재직자 비율 재직자 비율
잠재적인 문제 발견 데이터 헬스 체크

조직장 대비 구성원 수
잠재적인 문제 발견 데이터 헬스 체크

실시간 퇴사율
잠재적인 문제 발견 데이터 헬스 체크

초과근무, 연차사용률
HR, 이제
감이 아닌 데이터로.
미팅 신청 하기

글로벌 컨설팅 펌, 유니콘 기업 리쿠르터,


창업가 등 HR 전문가들이 회사에 맞는
인사이트 활용법을 알려드릴게요!
Part 3.
Q A
flex webinar

Q.
flex를 활용한 인사관리 Best Practices
flex webinar

Q.
hr데이터 수집방식 및 객관성을 유지하는 법
flex webinar

Q.
구성원의 리텐션 높이는 제도를 만들고 싶습니다.
flex webinar

Q.
100인 이하 규모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는?
flex webinar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