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00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PART 1

교과 및 창체활동(고1, 2, 3)
15
Ⅰ 나의 이해
1 나의 유형 파악하기 14
2 나의 강점 파악하기 25
3 나의 성격 파악하기 34
CONTENTS

4 나의 의사소통 유형 파악하기 43
5 [프로젝트] 나 만들기  51

59
Ⅱ 직업 탐색
6 산업의 변화와 직업 60
7 직업 정보의 탐색 72
8 직업 경로의 탐색 86
9 출근합니다! 93
10 ‌[프로젝트] 창업가정신의 이해와
창업 활동 103

113
Ⅲ 학과 탐색
11 계열(학과) 분류 114
12 나의 희망전공학과  118
13 전공학과의 변화  123
14 나만의 학과 만들기 126
15 전공학과 선택 기준  130
16 [프로젝트] 독서 연계 진로 수업 132
135
Ⅳ 진로와 과목선택
17 관심학과와 과목선택 136
18 ‌과목별 평가 방식과 수능선택과목 142
19 나의 과목 선택 설계 148
20 선택과목 내용요소 알아보기 152
21 교과연계 진로탐구 주제 정하기 163
22 [프로젝트] 교과 연계 진로탐구 167

173 265
Ⅴ 대입 설계 Ⅶ 대학 생활 및 커리어 설계
23 대학 입학 전형의 이해 174 33 대학 입학 전 준비 266
24 학교활동 계획 세우기 187 34 대학 생활 톺아보기 270
25 진로에 맞는 대입 설계 193 35 ‌[프로젝트]
26 특성화고등학교의 대학 진학 준비 197 나의 대학 생활 로드맵 276
27 [프로젝트] 내가 지원할 대학 찾아보기 212 36 슬기로운 직장 생활 284
37 커리어 회복탄력성 291
38 ‌[프로젝트]
지속가능한 커리어 설계 294
219
Ⅵ 취업 전략
28 취업계획 세우기 220
29 직무·기업 분석하기  224
30 취업서류 준비하기 232
31 면접 대비하기 252
32 [프로젝트] 취업 전략 로드맵 258
프로그램 주제별 활용 권장 시기

활용 권장 시기
주제
1-1 1-2 2-1 2-2 3-1 3-2
1 나의 유형 파악하기 ◦ ◦
2 나의 강점 파악하기 ◦ ◦
3 나의 성격 파악하기 ◦ ◦
4 나의 의사소통 유형 파악하기 ◦ ◦ ◦ ◦ ◦ ◦
5 [프로젝트] 나 만들기 ◦ ◦ ◦ ◦ ◦ ◦
6 산업의 변화와 직업 ◦ ◦ ◦ ◦
7 직업 정보의 탐색 ◦ ◦ ◦ ◦ ◦
8 직업 경로의 탐색 ◦ ◦ ◦ ◦ ◦
9 출근합니다! ◦ ◦ ◦
10 [프로젝트] 창업가정신의 이해와 창업 활동 ◦ ◦ ◦
11 계열(학과) 분류 ◦
12 나의 희망전공학과 ◦ ◦
13 전공학과의 변화 ◦ ◦
14 나만의 학과 만들기 ◦ ◦ ◦ ◦
15 전공학과 선택 기준 ◦ ◦ ◦ ◦
16 [프로젝트] 독서 연계 진로수업 ◦ ◦ ◦ ◦ ◦ ◦
17 관심학과와 과목선택 ◦ ◦ ◦
18 과목별 평가 방식과 수능선택과목 ◦ ◦ ◦
19 나의 과목 선택 설계 ◦ ◦ ◦
20 선택과목 내용요소 알아보기 ◦ ◦ ◦ ◦
21 교과연계 진로탐구 주제 정하기 ◦ ◦ ◦ ◦ ◦
22 [프로젝트] 교과 연계 진로탐구 ◦ ◦ ◦ ◦ ◦
23 대학 입학 전형의 이해 ◦ ◦ ◦ ◦
24 학교활동 계획 세우기 ◦ ◦
25 진로에 맞는 대입 설계 ◦ ◦ ◦ ◦
26 특성화고등학교의 대학 진학 준비 ◦ ◦ ◦ ◦ ◦ ◦
27 [프로젝트] 내가 지원할 대학 찾아보기 ◦ ◦ ◦ ◦
28 취업계획 세우기 ◦ ◦ ◦
29 직무·기업 분석하기 ◦ ◦ ◦
30 취업서류 준비하기 ◦ ◦ ◦
31 면접 대비하기 ◦ ◦ ◦ ◦
32 [프로젝트] 취업 전략 로드맵 ◦ ◦ ◦
33 대학 입학 전 준비 ◦
34 대학 생활 톺아보기 ◦
35 [프로젝트] 나의 대학 생활 로드맵 ◦
36 슬기로운 직장 생활 ◦ ◦
37 커리어 회복탄력성 ◦ ◦
38 [프로젝트] 지속가능한 커리어 설계 ◦ ◦

4 서울특별시교육청

나의 이해
주제명 활동 목표 활동지

•‌나의 인생 태도를 점검하면서 •‌ 활동지 1-1 나의 인생 태도 점검하기


1
내 인생의 방향성과 유형을 확인할 수 있다. • 활동지 1-2 100문, 100답
나의 유형
•‌100문, 100답을 완성하면서 나도 몰랐던
파악하기
내 삶의 유형을 확인할 수 있다.

•‌나의 장점과 친구들의 장점을 확인하며 •‌ 활동지 2-1 잘


‌ 하는, 해야 하는, 하고 싶은 것들
2
서로의 장점을 격려할 수 있다. • 활동지 2-2 나의 가장 큰 강점과 미덕 찾기
나의 강점
•‌자신의 강점을 찾아 친구들에게
파악하기
자랑스럽게 말할 수 있다.

•‌자신만의 사회적 반응과 행동 성향을 • 활동지 3-1 DISC 유형 검사


3
알아보고 조별 활동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나의 성격
파악하기

4
•‌나의 대인관계 유형을 파악하고 유형별 •‌ 활동지 4-1 Kiesler 대인관계 유형 파악하기
나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 활동지 4-2 댐 위, 아래 사람들
의사소통 •‌주어진 동일한 상황에서 서로 상충되는
유형 의견의 합을 도출하는 과정을 통해
파악하기 의사소통 능력을 확인할 수 있다.

•‌조건에 맞게 가상의 인물을 만들어 보면서 •‌ 활동지 5-1 나 만들기


5 앞으로 자신의 인생을 조망해본다.
[프로젝트] •‌가상인물을 구상하는 과정에서 걸었던
나 만들기 기대와 희망이 결국 학생 자신에게
더 필요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5



직업 탐색
주제명 활동 목표 활동지

•‌미래 직업세계 변화에 대해 이해하고 자신의 •‌ 활동지 6-1 사물과 관련된 직업 찾기
6 진로와 관련성을 찾을 수 있다. •‌활동지 6-2 산업의 변화에 따른 직업
산업의 •‌산업의 변화에 따른 직업의 변화를 이해한다. •‌활동지 6-3 ‌새로 생기는 직업과
변화와 •‌새로 생기는 직업들에 대해 알 수 있다. 직업역량
직업 •‌직업에 필요한 역량에 대해 이해하고
학교생활의 중요성을 인식한다.

•‌직업 정보 탐색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직업 정보 •‌ 활동지 7-1 직업의


‌ 의미와 직업 정보
탐색 방법을 안다. 탐색처 알아보기
7 •‌직업을 다양한 기준으로 탐색하고 분류별 기준 •‌활동지 7-2 ‌직업 분류별 직업 정보 탐색
직업 정보의 으로 찾을 수있다. •‌활동지 7-3 ‌상세 직업 정보 탐색
탐색 •‌직업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탐색하고 이해한다. •‌활동지 7-4 ‌희망 직업 결정하기
•‌직업에서 필요한 직무와 성격, 흥미, 적성 등을
이해하고 자신의 특성과 연결할 수 있다.

•‌직업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직업인을 통해 •‌ 활동지 8-1 직업인


‌ 인터뷰
알아본다. •‌활동지 8-2 ‌희망 직업 경로 찾기
•‌희망 직업에 도달하기 위한 학과, 전공 등의 •‌활동지 8-3 ‌희망 직업 관련 자격
8
경로를 설계할 수 있다. 정보 탐색
직업 경로의
•‌희망 직업에 필요한 자격에 대해 탐색하고
탐색
이해할 수 있다
•‌희망 직업에 도달하기 위하여 자기 관리능력을
기를 수 있다.

•‌4차 산업 분야의 채용 정보를 알아봄으로써 •‌ 활동지 9-1 ‌채용 정보 알아보기


산업의 변화와 새로 생기는 직업을 알 수 있다. •‌활동지 9-2 청소년 노동 권리 알아보기
9
•‌희망 진로의 채용 정보를 탐색할 수 있다. •‌활동지 9-3 근로계약서 작성하기
출근합니다!
•‌청소년 노동 권리와 관련 노동법을 이해하고
근로계약서를 작성할 수 있다.

•‌창업가정신 핵심역량을 스스로 진단해보며 •‌ 활동지 10-1 ‌‌창업가정신 핵심역량


10
창업가정신을 이해할 수 있다. 진단해보기
[프로젝트]
•‌주변의 문제 인식과 선정, 해결 방안 찾기 •‌ 활동지 10-2 ‌‌문제 선정과 해결 방안 찾기
창업가정신의
이해와 활동으로 창업의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 활동지 10-3 ‌‌내가 살고 싶은 미래사회
창업 활동 •‌창업 아이디어를 생각하고 계획할 수 있다. •‌ 활동지 10-4 ‌‌창업 아이디어 공모

6 서울특별시교육청

학과 탐색
주제명 활동 목표 활동지

•‌계열별로 전공학과를 정확히 분류할 수 있다. •


‌‌ 활동지 11-1 ‌‌계열(학과) 분류표 만들기
11 •‌분류한 전공학과 목록을 토대로 자신이 희망
계열(학과) 하는 전공학과의 진로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
분류

•‌자신의 희망 전공학과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


‌‌ 활동지 12-1 ‌희망 전공학과 정보 찾기
12 탐색할 수 있다. •
‌‌ 활동지 12-2 ‌‌희망 전공학과 안내
나의 희망 •‌탐색한 정보를 바탕으로 자신의 희망 전공학과 미니북 만들기
전공학과 를 올바르게 파악할 수 있다.

•‌최근 대학의 신설학과의 동향을 파악할 수 있다. •


‌‌ 활동지 13-1 ‌‌전공학과의 변화 추세
13 •‌신설된 학과의 특징을 통해 최근 사회 변화를 알아보기
전공학과의 유추하고 자신의 희망 전공학과의 전망을 예측
변화 할 수 있다.

•‌자유전공학과의 대학별 특징을 비교할 수 있다. •


‌‌ 활동지 14-1 ‌‌나의 자유전공학과 설계
14 •‌자유전공학과의 특징을 토대로 자신만의 학과를
나만의 학과 설계하고, 대학 진학 후 학업계획을 세울 수 있다.
만들기

•‌희망 전공학과 선택 기준을 합리적으로 설정할 •


‌‌ 활동지 15-1 ‌‌나의 희망 전공학과
15 수 있다. 선택 기준 점검하기
전공학과 •‌학과 선택 기준에 따라 자신의 희망 전공학과를
선택 기준 적절하게 선택했는지 점검할 수 있다.

•‌희망 전공학과와 관련하여 독서계획을 세우고 •


‌‌ 활동지 16-1 ‌‌희망 전공학과 연계
16 실천할 수 있다. 독서계획 세우기
[프로젝트] •‌희망 전공학과와 관련된 주제탐구를 계획할 수
독서 연계 있다.
진로수업 •‌주제탐구를 실행하고 결과물에 대한 발표할 수
있다.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7



진로와 과목선택
주제명 활동 목표 활동지

•‌관심 학과의 대학 교육과정을 조사할 수 있다. • 활동지 17-1 ‌‌관심 학과와 과목 선택


17 •‌관심 학과의 대학 교육과정에 관련된 고교과목
관심학과와 을 찾을 수 있다.
과목선택

•‌과목별 유형과 평가방식을 조사할 수 있다. • 활동지 18-1 ‌‌과목별 평가방식


18
•‌지원학과와 자신의 강점에 따른 수능선택과목 • 활동지 18-2 ‌‌수능 선택과목
과목별
을 조사할 수 있다.
평가 방식과
수능선택과목

•‌우리학교 교육과정 과목선택의 기준을 조사할 • 활동지 19-1 ‌‌나의 교육과정 선택과목
19
수 있다. 정리하기
나의
•‌자신의 진로, 관심학과, 내신평가 방식,
과목 선택
설계 수능선택과목을 토대로 과목을 선택할 수 있다.

•‌자신이 선택한 과목의 교육과정을 찾아 내용 • 활동지 20-1 ‌‌나의 관심과목 내용


20
요소를 조사할 수 있다. 조사하기
선택과목
•‌관심분야 진로에 관련된 개념과 용어를 찾아서
내용요소
알아보기 조사할 수 있다.

•‌자신의 관심 진로를 교과 수업 시간에 배운 • 활동지 21-1 ‌‌교과 연계 진로탐구


21
개념을 활용하여 탐구할 수 있다. 주제 정하기
교과연계
•‌교과개념을 자신의 일상과 주변에서 적용하여
진로탐구
주제 정하기 탐구 주제를 선정할 수 있다.

•‌교과 개념을 활용하여 책과 인터넷을 통해 • 활동지 22-1 ‌‌진로탐구 활동


22
심화된 자료를 찾을 수 있다.
[프로젝트]
•‌문헌과 설문 등 자료수집을 통해 진로에 연계된
교과 연계
진로탐구 창의적인 결과물을 산출할 수 있다.

8 서울특별시교육청

대입 설계
주제명 활동 목표 활동지

•‌수시모집, 정시모집, 전문대학 입시의 특징에 • 활동지 23-1 ‌‌수시모집 탐색하기


대해 이해할 수 있다. • 활동지 23-2 ‌‌정시모집 탐색하기
23 •‌자신의 진로와 연계해 가장 적절한 전형을 찾 • 활동지 23-3 ‌‌전문대학 입시 탐색하기
대학 입학 을 수 있다.
전형의 이해
•‌각 전형의 특징을 기록할 수 있다.

•‌다양한 진로활동 중 자신의 역량을 보여줄 수 • 활동지 24-1 ‌‌학교활동 계획 세우기


있는 활동을 찾을 수 있다. • 활동지 24-2 ‌‌멘토에게 편지 쓰기
24 •‌자신의 진로에 맞는 롤모델 멘토에게 편지를
학교활동 작성할 수 있다.
계획 세우기
•‌나만의 활동 계획을 세울 수 있다.

•‌기존 진로활동을 바탕으로 자신의 대입 설계를 • 활동지 25-1 ‌‌진로에 맞는 대입 설계


할 수 있다.
25 •‌전년도 입시 결과를 통해 현재 자신의 위치를
진로에 맞는 확인할 수 있다.
대입 설계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이 대학에 진학하는 • 활동지 26-1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자


26 다양한 경로를 이해할 수 있다. 특별전형
특성화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자 특별전형, • 활동지 26-2 ‌‌특성화고등학교 등을
고등학교의 특성화고등학교 등을 졸업한 재직자 특별전형, 졸업한 재직자 특별전형
대학 진학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등을 이해하고 자신에게 • 활동지 26-3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준비
알맞은 대입 전형을 설계할 수 있다.

•‌자신의 현재 진로와 성적 등을 고려하여 지원할 • 활동지 27-1 ‌‌내가 지원할 대학


대학을 찾아볼 수 있다. 찾아보기
27
[프로젝트]
내가 지원할
대학 찾아보기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9



취업 전략
주제명 활동 목표 활동지

28 •‌취업 계획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취업을 • 활동지 28-1 ‌‌취업계획서 작성하기


취업계획 위한 다양한 활동을 바탕으로 취업계획서를
세우기 작성할 수 있다.

•‌기업의 일반적인 직무를 이해하고 전공직무 • 활동지 29-1 ‌‌현직자 인터뷰를 통한


29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직무 분석하기
직무·기업 •‌관심기업의 인재상을 탐색하여 요구되는 • 활동지 29-2 ‌‌인재상을 통한
분석하기 인재 역량을 분석할 수 있다. 기업 분석하기

•‌이력서의 항목을 알아보고 원칙에 맞게 • 활동지 30-1 ‌‌이력서 작성하기


작성할 수 있다. • 활동지 30-2 ‌‌NCS 기반 입사지원서 작성하기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입사지원서를 • 활동지 30-3 ‌‌합격하는 자기소개서 작성하기
30 작성할 수 있다. • 활동지 30-4 ‌‌AI와 함께 자기소개서 완성하기
취업서류 •‌다양한 생성형 AI를 활용하여 자기소개서를 • 활동지 30-5 ‌‌역량 포트폴리오 제작하기
준비하기 완성할 수 있다.
•‌관심 분야와 지원직무에 필요한 역량을
보여줄 수 있는 포트폴리오를
제작할 수 있다.

31 •‌면접 예상 질문을 활용하여 모의 면접을 • 활동지 31-1 ‌‌모의 면접 해보기


면접 해보고 실전에 대비할 수 있다.
대비하기

32 •‌취업을 위한 준비와 전략의 필요성을 • 활동지 32-1 ‌‌취업 전략 로드맵 완성하기


[프로젝트] 이해할 수 있다.
취업 전략 •‌취업 전략을 위한 학년별 준비활동을
로드맵 정리하여 로드맵을 완성할 수 있다.

10 서울특별시교육청

대학 생활 및 커리어 설계
주제명 활동 목표 활동지

•‌대학 입학 전 준비 사항에 대해 이해한다. •‌ 활동지 33-1 고등학교 VS 대학교


33 •
‌‌고등학교 생활과 대학교 생활의 차이점을
대학 입학 전 알 수 있다.
준비


‌‌대학 생활을 위해 꼭 확인해 둘 주요 사항들 •
‌‌ 활동지 34-1 대학 생활 톺아보기
34 을 확인하고 준비할 수 있다.
대학 생활
톺아보기

•‌대학 생활의 구체적인 목표를 정할 수 있다. •


‌‌ 활동지 35-1 행복한
‌ 대학 생활을 위한
35 •
‌‌대학 생활의 구체적인 목표에 따라 학년별· wish list와
[프로젝트] 학기별, 장
·단기 계획을 세워 대학 생활 로드맵 성공적인 대학 생활을 위한
나의 대학
생활 로드맵 을 완성할 수 있다. to-do list
•‌ 활동지 35-2 나의 대학 생활 로드맵

•‌직장 생활에서 예절의 중요성을 설명할 수 •


‌‌ 활동지 36-1 슬기로운
‌ 직장 생활의 꿀팁
36 있다. 모아보기
슬기로운 •
‌‌신입사원의 바른 마음가짐으로 직장예절을 •
‌‌ 활동지 36-2 ‌신입사원에게 편지 쓰기
직장 생활 실천할 수 있다.

•‌커리어 회복탄력성의 의미와 구성요소를 •‌ 활동지 37-1 커리어


‌ 회복탄력성을 가진
37 파악할 수 있다. 인물 탐구하기
커리어 •‌훈련을 통하여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회복탄력성 있다.

•‌프로티언 커리어의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 •


‌‌ 활동지 38-1 지속가능한
‌ 커리어
38 •‌지속가능발전목표 중 관심분야의 커리어를 설계하기
[프로젝트] 설계할 수 있다.
지속가능한
커리어 설계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11



나의
이해

1
나의 유형 파악하기

2
나의 강점 파악하기

3
나의 성격 파악하기

4
나의 의사소통 유형 파악하기

5
[프로젝트] 나 만들기
1

나의 유형
파악하기

1/2
나의 인생 태도 점검하기
차시
1-1

활동목표
•‌나의 인생 태도를 점검하면서 내 인생의 방향성과 유형을 확인할 수 있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나의 인생 태도 점검하기 A형과 B형 검사지의 검사 방식을 정확하게 안내한다.
◦, ▵, ×의 표시에 따라 결과표가 나오는 것을 확실하게 이해시키고 다른 표시로 입력하는 것이 아님을 안내한다.

•‌검사지 순서와 결과지의 문항별 순서가 상이하여 검사 결과 입력 시 실수할 가능성을 안내하고 문항에 맞춰 입력
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동기 유발
도입 5'
본시 학습 목표를 확인하고 학습 방법 설명하기

나의 인생 태도 점검하기 A형 검사지 설명 후 검사를 진행한다. 15'

나의 인생 태도 점검하기 B형 검사지 설명 후 검사를 진행한다. 15'


전개
나의 인생 태도 점검하기 집계표를 완성하고 채점 결과를 확인한다. 5'

친구들과 서로의 유형을 나누면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확인한다. 5'

마무리 학습한 내용 정리하기 5'

14 서울특별시교육청
참고 읽기자료 1-1

나의 인생 태도 점검하기 결과 해석

Ⅰ 나의 이해
Y1
타 ➌ ➊
인 I am Not OK. I am OK.

You are OK You are OK

1

나의 유형 파악하기
Y2
➍ ➋

인 I am Not OK. I am OK.
부 You are Not OK You are Not OK

X2 자기 부정 X1 자기 긍정

➊ I am OK, You are OK 자기긍정, 타인긍정의 점수가 높은 경우

자신과 타인에 대해서 모두 긍정적인 인생 태도를 가진 사람으로, 대인관계를 원만하게 유지하며 가장 바람직한 인생
태도라고 볼 수 있다.

➋ I am OK, You are NOT OK 자기긍정, 타인부정의 점수가 높은 경우

자신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인생 태도를 가지고 있지만 타인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태도를 가진 사람으로, 어떤 일이
잘못되거나 문제가 발생하면 상대방의 탓으로 돌리는 경우가 많다.

➌ I am NOT OK, You are OK 자기부정, 타인긍정의 점수가 높은 경우

자신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인생 태도를 가지고 있지만, 타인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인생 태도를 가지고 있는 사람으로,
어떤 일이 잘못되거나 잘 풀리지 않을 경우 그 책임을 자기 자신에게 돌린다.

➍ I am NOT OK, You are NOT OK 자기부정, 타인부정의 점수가 높은 경우

자기 자신과 상대방에 대해서도 부정적이며 비관적인 인생 태도를 가지고 있는 사람으로, 매사에 불평불만이 많으며
대인관계에 어려움이 있다.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15


활동지 1-1 나의 인생 태도 점검하기

나의 인생 태도 점검하기•A형 질문지

해당된다 ◦ 해당되는 것 같기도 그렇지 않은 것 같기도 하다 ▵ 해당되지 않는다 ×

순번 항목 체크

1 나는 나 자신에게 성실한 편이다.

2 나는 다른 사람으로부터 상처받기 쉬운 편이다.

3 나는 나 자신에게 능력이 없다고 체념하는 경우가 자주 있다.

4 나는 나의 실패를 별로 마음에 두지 않는다.

5 나의 패션 감각을 좋아한다.

6 나는 ‘왜 이런 것을 하고 있을까?’ 하고 생각할 때가 종종 있다.

7 나는 내가 하고 싶은 일이라도 다른 사람이 싫어할 것 같으면 참는 편이다.

8 나는 나의 행동이나 말에 자신을 가지지 못한다.

9 나는 나에게 감추어진 재능이 있다고 생각한다.

10 나는 남에게 비판을 받으면 아무 말도 하지 못한다.

11 나는 좋아하는 사람에게는 내가 먼저 접근한다.

12 나는 대부분의 일을 '하면 된다'라고 생각한다.

13 나는 나 자신을 매력적이라고 생각한다.

14 나는 싫은 일이 있어도 금방 기분 전환을 할 수 있다.

15 나는 하고 싶은 일이나 즐거운 일이 많다.

16 나는 남에게 거리낌 없이 말하는 것이 별로 마음에 걸리지 않는다.

17 나는 나 자신을 스스럼없이 드러내 보이면 상대방이 나를 혐오스러워할 것 같은 느낌이 든다.

18 나는 내가 먼저 상대방에게 접근하는 일은 거의 없다.

19 나는 나의 생활 방식이 마음에 든다.

20 나는 상대방이 화제로 삼고 싶어 하지 않는 일에 대해서는 말을 잘하지 않는다.

21 나는 무엇을 해도 잘되지 않을 것 같은 느낌이 든다.

22 나는 상대방과 비교해서 자신이 쓸모없게 생각되는 일이 자주 있다.

23 나는 내가 느낀 것은 무엇이든 상대방에게 이야기 하는 편이다.

24 나는 나의 호의가 상대방에게 피해가 되는 것은 아닐까 걱정이 된다.

16 서울특별시교육청
활동지 1-1 나의 인생 태도 점검하기

나의 인생 태도 점검하기•B형 질문지

Ⅰ 나의 이해
해당된다 ◦ 해당되는 것 같기도 그렇지 않은 것 같기도 하다 ▵ 해당되지 않는다 ×

순번 항목 체크

1 나는 ‘이 사람이 있어서 다행이다.’라고 생각하는 일이 많다.

2 나는 남과 함께 일을 하면 잘 안 되는 경우가 많다.

1
나의 유형 파악하기
3 나는 나의 취미에 맞지 않는 사람과는 사귀고 싶지 않다.

4 나는 상대방이 여러 가지 일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것을 듣는 편이다.

5 나는 다른 사람이 나에게 친절해도 반갑지 않다고 느끼는 일이 있다.

6 나는 상대방이 좋은 점, 장점을 이야기할 때 잘 들어주는 편이다.

7 나는 상대방이 실패하거나 실수를 해도 그다지 초조해 하지 않는다.

8 나는 나와 다른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과도 친근해질 수 있다.

9 나는 다른 사람이 ‘연애란 이런 것이다.’라고 말할 때 반론을 편다.

10 나는 상대방의 결점이 하나라도 눈에 띄면 상대방의 모든 것이 싫어진다.

11 나는 상대방과 싸움을 해도 화해의 실마리를 스스로 만들 수 있는 사람이다.

12 나는 귀찮은 일에는 될 수 있는 대로 관여하고 싶지 않다.

13 나는 남에게 무엇인가 해 주거나 받는 것을 좋아한다.

14 나는 즐거워 보이는 사람을 보면 자신까지 유쾌해진다.

15 나는 무엇을 해도 잘해 내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고 생각한다.

16 나는 스스로 노력하고 있는데 상대방은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는 일이 자주 있다.

17 나는 무엇인가 분쟁이 생기면 남의 탓으로 돌려 버리는 일이 많다.

18 나는 상대방을 진심으로 좋아한다고 느끼는 일이 자주 있다.

19 나는 사적인 일은 거의 남에게 이야기하지 않는다.

20 나는 상대방의 무관심함에 화가 나는 일이 자주 있다.

21 나는 상대방의 싫은 면도 포함해서 교제해 나갈 수 있다.

22 나는 그보다 더 좋은 상대가 반드시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23 나는 사람들로부터 ‘함께 있으면 안심이 된다.’라는 소리를 자주 듣는다.

24 나는 남의 말을 곧이곧대로 잘 믿는 편이다.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17


활동지 1-1 나의 인생 태도 점검하기

나의 인생 태도 점검하기 질문 집계표

채점 ◦ = 2점 / ▵ = 1점 / × = 0점 으로 계산하여 아래 집계표에 기록하세요.

A형 질문 집계표

문항 1 4 5 9 11 12 13 14 15 16 19 23 합계 내용

점수 X1

문항 2 3 6 7 8 10 17 18 20 21 22 24 합계 내용

점수 X2

B형 질문 집계표

문항 1 4 5 9 11 12 13 14 15 16 19 23 합계 내용

점수 Y1

문항 2 3 6 7 8 10 17 18 20 21 22 24 합계 내용

점수 Y2

나의 인생 태도 점검하기 채점 결과

X1 자기 긍정의 점수
자신에 대해 얼마나 바람직하고 긍정적인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느냐에 대한 점수

X2 자기 부정의 점수
자기 자신에 대해 얼마나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느냐에 대한 점수

Y1 타인 긍정의 점수
내가 다른 사람에 대해서 얼마나 긍정적인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느냐에 대한 점수

Y2 타인 부정의 점수
내가 다른 사람에 대해서 얼마나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느냐에 대한 점수

18 서울특별시교육청
2/2
100문, 100답
차시
1-2

활동목표

Ⅰ 나의 이해
•‌100문, 100답을 완성하면서 나도 몰랐던 내 삶의 유형을 확인할 수 있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질문지를 최대한 진지하게 생각한 후 완성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1
나의 유형 파악하기
•‌1번부터 100번까지 순서에 맞춰 응답하지 않아도 무관함을 안내한다.

•‌질문에 구체적인 이유를 생각하고 답변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수업 시간 안에 완성하지 못할 경우 개인 시간을 내서 완성할 수 있도록 권유한다.

•‌100문 이외에 스스로에게 궁금한 점을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을 준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동기 유발

도입 5'

본시 학습 목표를 확인하고 학습 방법 설명하기

100문, 100답 검사지를 배부하고 질문지를 안내한다.

전개 최대한 진지하고 구체적으로 답변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40'

추가 설명이 필요한 부분이 있으면 질문을 유도한다.

마무리 학습한 내용 정리하기 5'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19


활동지 1-2 100문, 100답

100문, 100답

학년 반 번 이름

모든 질문에 이유를 생각해보면서 최대한 자세하게 응답하세요.

순번 질문과 답변

1 내 이름의 뜻은 무엇인가?

2 내 혈액형은 무엇인가?

3 나를 색으로 표현할 수 있다면?

4 나를 동물로 표현할 수 있다면?

5 나를 식물로 표현할 수 있다면?

6 다른 사람이 나를 뭐라고 부를 때 가장 좋은가?

7 내 인생에서 가장 부끄러웠던 경험은?

8 내 인생에서 가장 충격적인 경험은?

9 지금까지 살면서 가장 슬펐던 일은?

10 지금까지 살면서 가장 기뻤던 일은?

11 내가 가장 듣기 싫은 말은?

12 내가 가장 듣기 좋은 말은?

13 내가 가장 행복했던 나이는?

14 내가 생각하는 나의 단점은?

15 내가 생각하는 나의 장점은?

16 내가 좋아하는 숫자는?

17 내가 가지고 있는 물건 중에 가장 아끼는 것은?

18 내가 지금 가지고 싶은 물건은?

19 살아오면서 누군가에게 도움을 준 기억은?

20 살아오면서 누군가에게 도움 받은 기억은?

20 서울특별시교육청
활동지 1-2 100문, 100답

순번 질문과 답변

21 내가 결혼하고 싶은 나이는?

Ⅰ 나의 이해
22 신혼 여행으로 가고 싶은 곳은?

23 내게 가장 기억에 남는 책은?

24

1
내게 가장 인상 깊게 남은 영화는?

나의 유형 파악하기
25 요즘 자주 즐겨 듣는 음악은?

26 노래방에 가서 자주 부르는 노래는?

27 좋아하는 가수는?

28 좋아하는 계절은?

29 싫어하는 계절은?

30 좋아하는 음식은?

31 싫어하는 음식은?

32 좋아하는 운동은?

33 싫어하는 운동은?

34 좋아하는 친구의 유형은?

35 싫어하는 친구의 유형은?

36 자주 보는 방송 프로그램은?

37 자주 보는 유튜브 채널은?

38 기억에 남는 장소는?

39 다시 가보고 싶은 여행지는?

40 꼭 여행 하고 싶은 나라는?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21


활동지 1-2 100문, 100답

순번 질문과 답변

41 내가 할 수 있는 요리는?

42 나의 평균 수면 시간은?

43 나의 100m 달리기 기록은?

44 가장 오래 간직하고 있는 물건은?

45 무인도에 간다면 가지고 갈 물건 3가지는?

46 집에 불이 난다면 챙겨 나올 물건은?

47 내가 존경하는 역사적 인물은?

48 과거로 돌아갈 수 있다면 바꾸고 싶은 역사적 사건은?

49 지금 가장 보고 싶은 사람은?

50 나의 취미는?

51 내가 연주할 수 있는 악기가 있다면?

52 친구를 만날 때 가장 신경 쓰며 준비하는 것은?

53 지금 나를 가장 힘들게 하는 것은?

54 혼자만의 시간을 갖고 싶을 때는 언제인가?

55 현실에서 도피하고 싶을 때는 언제인가?

56 지금 가장 불안과 두려움을 느끼게 하는 것은?

57 요즘 하려고 마음 먹었는데 잘 안 되는 일이 있다면?

58 혼자 있을 때 주로 하는 일은?

59 내 인생에서 가장 고마운 사람은?

60 오늘 가장 고마운 사람은?

22 서울특별시교육청
활동지 1-2 100문, 100답

순번 질문과 답변

61 나에게만 하루가 더 생긴다면 하고 싶은 일은?

Ⅰ 나의 이해
62 나에게만 일 년이 더 생긴다면 하고 싶은 일은?

63 나를 돈으로 환산한다면 얼마일까?

64

1
나의 습관이나 버릇 중에 버리고 싶은 것은?

나의 유형 파악하기
65 나에게 없는 습관이나 버릇 중에 갖고 싶은 것은?

66 이번 달에 이루고 싶은 소망은?

67 올 해 이루고 싶은 소망은?

68 지금 내가 가장 간절히 바라는 일은?

69 지금 내가 가장 필요로 하는 것은?

70 가장 친한 친구에게 듣고 싶은 말은?

71 가장 친한 친구에게 하고 싶은 말은?

72 지니의 요술램프를 가지고 있다면 요청할 소원 3가지는?

73 하루 동안 투명인간이 될 수 있는 초능력이 생긴다면 가보고 싶은 곳은?

74 하루 동안 순간이동을 할 수 있는 초능력이 생긴다면 가보고 싶은 곳은?

75 하루 동안 과거로 갈 수 있는 초능력이 생긴다면 가보고 싶은 곳은?

76 죽지 않고 살 수 있는 초능력을 선택할 수 있다면 가질 것인가?

77 잠들기 전에 하는 습관은?

78 스마트폰 어플 중에 가장 자주 사용하는 어플은?

79 스마트폰 어플 중에 최근 한 달동안 한 번도 쓰지 않은 어플은?

80 스마트폰 어플 중에 최근 6개월 동안 한 번도 쓰지 않은 어플은?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23


활동지 1-2 100문, 100답

순번 질문과 답변

81 성형수술로 내 몸에서 한 군데를 고칠수 있다면 어느 부분?

82 초등학교 1학년으로 돌아갈 수 있다면 하고 싶은 것은?

83 초등학교 1학년으로 돌아갈 수 있다면 만나지 않을 친구는?

84 초등학교 1학년으로 돌아갈 수 있다면 만나고 싶은 친구는?

85 중학교 1학년으로 돌아갈 수 있다면 하고 싶은 것은?

86 중학교 1학년으로 돌아갈 수 있다면 만나지 않을 친구는?

87 중학교 1학년으로 돌아갈 수 있다면 만나고 싶은 친구는?

88 대학교에 입학하게 된다면 1학년 3월달에 하고 싶은 일은?

89 5년 후 나의 모습은?

90 10년 후 나의 모습은?

91 10년 이내 꼭 이루고 싶은 목표는?

92 10년 이내 꼭 따고 싶은 자격증은?

93 10년 이내 꼭 가고 싶은 장소는?

94 10년 이내 꼭 만나고 싶은 사람은?

95 내가 살 수 있는 나이를 정할 수 있다면 살고 싶은 나이는?

96 60살에 나는 무슨 일을 하며 살고 있을까?

97 내가 상상하는 나의 노후는?

내 생명의 일 년이 줄어들고 누군가에게 그 일 년을 줄 수 있다면


98
주고 싶은 사람은?

99 일주일 후에 죽는다면 하고 싶은 일은?

100 100문, 100답을 작성하며 드는 생각은?

24 서울특별시교육청
2

나의 강점

Ⅰ 나의 이해
파악하기

2
나의 강점 파악하기
1/2
잘 하는, 해야 하는, 하고 싶은 것들
차시
2-1

활동목표
•‌나의 장점과 친구들의 장점을 확인하며 서로의 장점을 격려할 수 있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A : 내가 ‘잘 하는 것’ / B : 내가 ‘해야 하는 것’ / C : 내가 ‘하고 싶은 것’
A, B, C의 벤다이어그램을 완성하는 것이 본 수업의 목표이다.

- STEP 1 A,B,C를 각자 완성하고


- STEP 2 A∩B, A∩C, B∩C를 완성한 후
- STEP 3 A∩B∩C를 완성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A∩B, A∩C, B∩C 나 A∩B∩C가 나오지 않을 수 있다. 만들어지지 않는다고 틀리거나 나쁜 것이 아님을 지도
하고 교집합이 나올 수 있도록 자신을 만드는 과정이 필요함을 안내한다.

•‌A∩B, A∩C, B∩C 에 들어온 단어나 짧은 문장이 A∩B∩C에 들어올 확률이 높은 것임을 안내하고 각 조합들에
집중하며 관찰하는 것이 중요함을 인식시킨다.

•‌경우에 따라 2-1-A, 2-1-B, 2-1-C 중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동기 유발
도입 5'
본시 학습 목표를 확인하고 학습 방법 설명하기

각각의 활동지를 완성 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관찰한다.


전개 40'
학생의 수준에 따라 2-1-B나 2-1-C중 하나를 생략할 수 있다.

마무리 학습한 내용 정리하기 5'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25


활동지 2-1-A 잘 하는, 해야 하는, 하고 싶은 것들 - A

내가 잘 하는 것과 해야 하는 것과 하고 싶은 것을 알아보자.

A
내가 잘 하는 것

B C
내가 해야 하는 것 내가 하고 싶은 것

26 서울특별시교육청
활동지 2-1-B 잘 하는, 해야 하는, 하고 싶은 것들 - B

A 내가 잘 하는 것

Ⅰ 나의 이해
2
나의 강점 파악하기
B 내가 해야 하는 것

C 내가 하고 싶은 것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27


활동지 2-1-C 잘 하는, 해야 하는, 하고 싶은 것들 - C

A∩B A∩C

B∩C A∩B∩C

28 서울특별시교육청
2/2
나의 가장 큰 강점과 미덕 찾기
차시
2-2

활동목표

Ⅰ 나의 이해
•‌자신의 강점을 찾아 친구들에게 자랑스럽게 말할 수 있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자신의 장점을 다른 친구에게 당당하고 자랑스럽게 말해 보면서 평소에 위축된 모습에서 벗어나 자신감을 가질

2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도록 한다.

나의 강점 파악하기
대표 미덕과 강점을 유의하여 활동지를 완성한다.

•‌장점 빙고는 최대한 긍정적이고 호의적인 내용으로 작성하도록 지도한다.


한 명에 한 칸씩 돌아가면서 채우게 지도한다. 욕설이나 부정적인 표현을 쓰지 않도록 유의하여 관찰한다.

•‌친구들에게 받은 응원과 긍정의 메시지를 읽어보는 것으로 마무리 활동을 넣어 진행할 수 있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동기 유발

도입 5'

본시 학습 목표를 확인하고 학습 방법 설명하기

긍정심리학 활동지(개별 활동지)를 작성한다.


‌나의 대표 미덕 / 나의 강점, 약점 / 나의 대표 강점을 알아보고 활동지를 20'
완성한다.

전개

장점 빙고(조별 활동지) 발문을 완성한다.


‌조별로 자신의 장점 빙고 활동지를 교환하며 친구들에게 응원과 긍정의 20'
메모를 남겨준다.

자신의 강점 찾기 활동 소감을 말하기

마무리 5'

학습한 내용 정리하기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29


활동지 2-2 나의 가장 큰 강점과 미덕 찾기 - 긍정심리학 개별 활동지

긍정심리학
일반적으로 행복은 삶에서 오는 평온감과 안락함을 뜻한다. 경제적 풍요, 지식, 권위, 좋은 날씨가 행복을 보장하지는
않으며, 오히려 행복은 사랑하는 사람과의 결혼, 가족의 유대, 우정, 정신적 활동, 자존감, 희망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긍정심리학자들은 행복을 느끼는 정도를 후천적으로 개발시킬 수 있다고 강조한다. 생각을 밝게 하도록 훈련
하는 것이 중요하다. 매사를 긍정적으로 보면 사고의 폭이 넓어지고 부정적인 생각이 사라진다. 유머를 즐기면 사고를
긍정적으로 발전시키는 데 도움이 되며, 매일 아침 거울을 보면서 웃는 표정을 연습하는 등 억지로라도 웃으면 사고의
색깔이 밝은색으로 바뀐다.
- 출처 긍정심리학 / M.Seligman / 2006

긍정심리학에서는 6개의 미덕과 24개의 강점이 있다고 이야기 합니다.


내가 가지고 있는 강점과 미덕이 무엇인지 확인해봅시다.
문항을 읽고 답변에 해당하는 칸에 ◦표를 하세요.

전혀
매우 그렇지
강점 영역과 의미 그렇다 보통 그렇지 소계 평균
그렇다 않다
않다

1 언제나 세상에 대한 호기심이 많다. 5 4 3 2 1


호기심 쉽게 싫증을 낸다. 1 2 3 4 5

2 새로운 것을 배울 때 전율을 느낀다. 5 4 3 2 1


학구열 박물관 같은 교육적 장소에 한 번도 가 본 적이 없다. 1 2 3 4 5

3 판단력이 필요한 경우에는 아주 이성적으로 사고한다. 5 4 3 2 1


판단력 성급하게 판단하는 경향이 있다. 1 2 3 4 5

4 어떤 일을 할 때 필요한 새로운 방법을 찾는 걸 좋아한다. 5 4 3 2 1


창의성 내 친구들은 대부분 나보다 상상력이 뛰어나다. 1 2 3 4 5

5 어떤 성격의 단체에 가도 잘 적응할 수 있다. 5 4 3 2 1


사회성 다른 사람들의 감정에 아주 둔하다. 1 2 3 4 5

6 항상 꼼꼼히 생각하고 더 큰 것을 볼 줄 안다. 5 4 3 2 1


예견력 내게 조언을 구하러 오는 사람은 거의 없다. 1 2 3 4 5

7 강력한 반대도 무릅쓰고 내 주장을 고수할 때가 많다. 5 4 3 2 1


호연지기 고통과 좌절 때문에 내 의지를 굽힐 때가 많다. 1 2 3 4 5

8 한번 시작한 일을 끝까지 해낸다. 5 4 3 2 1


끈기 일을 할 때면 딴전을 피운다. 1 2 3 4 5

9 약속을 반드시 지킨다. 5 4 3 2 1


지조 친구들은 내게 솔직하게 말하는 법이 없다. 1 2 3 4 5

30 서울특별시교육청
활동지 2-2 나의 가장 큰 강점과 미덕 찾기 - 긍정심리학 개별 활동지

전혀
매우 그렇지
강점 영역과 의미 그렇다 보통 그렇지 소계 평균
그렇다 않다
않다

Ⅰ 나의 이해
10 자발적으로 이웃을 도와준다. 5 4 3 2 1
친절 다른 사람들의 행운을 내 일처럼 좋아한 적이 거의 없다. 1 2 3 4 5
본인의 기분과 행복 못지 않게 내 기분과 행복에
11 5 4 3 2 1
관심을 기울이는 사람이 있다.
사랑
다른 사람들이 베푸는 사랑을 제대로 받아들이지 못한다. 1 2 3 4 5

2
나의 강점 파악하기
12 어떤 단체에 가입하면 최선을 다한다. 5 4 3 2 1
시민정신 소속 집단의 이익을 위해 내 개인적인 이익을 희생시킬 생각은 없다. 1 2 3 4 5

13 어떤 사람에게든 똑같이 대한다. 5 4 3 2 1


공정성 내가 싫어하는 사람을 공정하게 대하기가 힘들다. 1 2 3 4 5

14 일일이 참견하지 않고도 사람들이 단합해 일하도록 이끌어 준다. 5 4 3 2 1


지도력 단체 활동을 조직하는 데는 소질이 없다. 1 2 3 4 5
15 내 정서를 다스릴 줄 안다. 5 4 3 2 1
자기
통제력 다이어트를 오래 하지 못한다. 1 2 3 4 5

16 다칠 위험이 있는 일은 하지 않는다. 5 4 3 2 1
신중성 나쁜 친구를 사귀거나 나쁜 사람들을 만나는 경우가 있다. 1 2 3 4 5

17 다른 사람들이 나를 칭찬할 때면 슬그머니 화제를 돌린다. 5 4 3 2 1


겸손 스스로 한 일을 추켜세우는 편이다. 1 2 3 4 5
음악, 미술, 연극, 영화, 스포츠, 과학, 수학의 아름다움과
18 5 4 3 2 1
경이로움을 보고 전율한 적이 있다.
감상력
평소에 아름다움과는 전혀 무관하게 지낸다. 1 2 3 4 5

19 아무리 하찮은 일이라도 항상 고맙다고 말한다. 5 4 3 2 1


감사 내가 받은 은혜에 대해 거의 생각하지 않는다. 1 2 3 4 5

20 항상 긍정적인 면만 본다. 5 4 3 2 1
낙관주의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하기 위해 철저하게 계획한 적이 거의 없다. 1 2 3 4 5

21 나는 나의 삶의 목적이 뚜렷하다. 5 4 3 2 1
영성 나는 나의 사명감이 없다. 1 2 3 4 5

22 과거의 것을 문제 삼지 않는다. 5 4 3 2 1
용서 기어코 복수하려 애쓴다. 1 2 3 4 5

23 되도록 일과 놀이를 잘 배합한다. 5 4 3 2 1


유머감각 우스갯소리를 거의 할 줄 모른다. 1 2 3 4 5

24 무슨 일을 하든 전력투구 한다. 5 4 3 2 1
열정 의기 소침할 때가 많다. 1 2 3 4 5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31


활동지 2-2 나의 가장 큰 강점과 미덕 찾기 - 긍정심리학 개별 활동지

채점방법(각 항목별 평균점수는 반올림 하여 작성한다.)

‌각 문항에 본인과 일치 하다고 생각하여 표시한 숫자를 더하여 소계란에 적는다.

( 1~ 6 까지 소계) ÷ 6 = 지혜와 학식의 미덕 (12~14 까지 소계) ÷ 3 = 정의감의 미덕

( 7~ 9 까지 소계) ÷ 3 = 용기의 미덕 (15~17 까지 소계) ÷ 3 = 절제력의 미덕

(10~11 까지 소계) ÷ 2 = 사랑과 인간애의 미덕 (18~24 까지 소계) ÷ 7 = 초월성의 미덕

나의 대표 미덕

나의 강점들(9~10점을 받은 영역)

나의 약점들(4~6점을 받은 영역)

나의 대표강점(가장 높은 상위3~5개)

32 서울특별시교육청
활동지 2-2 나의 가장 큰 강점과 미덕 찾기 - 장점 빙고 조별 활동지

‌장점 빙고의 발문을 완성하고, 친구들과 활동지를 교환하여 서로 응원과 긍정의 메모를 적어보자.

는 이다.

Ⅰ 나의 이해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는

나는 30년 후 을/를 하면 잘 할 것이다.

2
나의 강점 파악하기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33


3

나의
성격 파악하기

1/1
DISC 유형 검사
차시
3-1

활동목표
•‌자신만의 사회적 반응과 행동 성향을 알아보고 조별 활동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간이검사의 한계점(정확성과 예측력의 한계)을 명확히 제시한다.
•‌DISC 유형의 한계점(모든 사람을 4가지 유형으로 제단)도 안내한다.
•경우에 따라 개별활동지를 생략할 수 있다.
•‌좋아하는, 싫어하는 친구의 이름을 적는 것이 아닌 유형을 적도록 안내한다.
•‌같은 유형의 인원이 많이 나오더라도 한 조를 4~6명 기준으로 조를 더 만든다.
(일반적으로 D와 C 유형은 매우 적게(10%미만) 나오고 I와 S유형은 많이 나온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동기 유발
도입 5'
본시 학습 목표를 확인하고 학습 방법 설명하기

DISC 행동유형 간이검사를 진행한다.


15'
검사가 끝나면 개별 활동지를 완성한다.
전개
간이검사결과를 바탕으로 동일한 유형별(4~6명) 조를 편성한다.
20'
같은 유형별로 조별 활동지를 완성한다.

마무리 조별 발표 후 DISC 유형별 특징을 간략하게 안내한다. 10'

34 서울특별시교육청
지도시 유의사항 3-1

DISC 유형 검사 방법

Ⅰ 나의 이해

‌ 24개의 문항이 있습니다. 각 문항별로 제시된 A, B, C, D 4개의 단어 중 "나를 가장 잘 표현해 줄 수 있는 것"을
골라 하나만 체크함.

A B C D

3
1 절제하는 강력한 꼼꼼한 표현력 있는

나의 성격 파악하기
2 개척적인 정확한 흥미진진한 만족스러운

3 기꺼이 하는 활기 있는 대담한 정교한

4 논쟁을 좋아하는 회의적인 주저하는 예측할 수 없는


24 포용력 있는 전통적인 사람을 부추기는 이끌어가는

검사 종료 후 결과표에서 A, B, C, D를 찾아 세로로 더하면 각 유형의 점수가 나오게 됨.


가장 높은 점수가 본인의 유형이고 동점이 나올 경우 하나를 선택하셔야 하면 됨.

D I S C D I S C

1 B D A C 13 B A D C

2 A C D B 14 C D B A

3 C B A D 15 D A C B

4 A D C B 16 A B C D

… 중간 생략 …

12 D C A B 24 D C A B

소계 5 3 3 0 소계 1 4 6 2

D= 6 I= 7 S=9 C=2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35


지도시 유의사항 3-1

DISC 유형 검사란?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태어나서 성장하여 현재에 이르기까지 자기 나름대로의 독특한 동기요인에 의해 선택적으로 일정한
방식으로 행동을 취하게 된다. 그것은 하나의 경향성을 이루게 되어 자신이 일하고 있거나 생활하고 있는 환경에서 아주
편안한 상태로 자연스럽게 그러한 행동을 하게 된다.

우리는 그것을 행동 패턴(Behavior Pattern) 또는 행동 스타일(Behavior Style)이라고 한다.


이러한 인식을 축으로 한 인간의 행동을 Marston박사는 각각 주도형, 사교형, 안정형, 신중형, 즉 DiSC 행동유형으로 부르고
있다.

DiSC는 인간의 행동유형(성격)을 구성하는 핵심 4개요소인


Dominance, Influence, Steadiness, Conscientiousness 의 약자입니다.

D I S C
주도형 사교형 안정형 신중형

교실에 불이 난 상황을 예를 들면

D 얘들아, 저 문으로 나가자 신고는 내가 할게. 어서 움직여


I 와, 불 났어 불불 진짜 불났어. 나 불난 거 처음 봐. 우와~~ 야야, 모여봐 사진찍게, 찰칵
S (불을 끄면 불 나기 전 안정적인 상태로 돌아갈 수 있어) S끼리 모여서 불을 끈다.
C 아니야 저 문보다 이쪽 문이 램프랑 더 가까워 이리로 나가자~

DISC 행동유형은 자신이 어떤 유형인가 보다 구성원과의 People Puzzle 에 중점을 두어 내가 가진 약점을 상대방의 강점
으로 도움을 받거나 나의 강점으로 상대방의 약점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들을 찾아 구성원 서로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선생님들도 자신의 유형을 파악해 보고 교실에서 아이들에게 적용할 점을 찾아보자.


예를 들면, S형이나 C형은 ‘이 달의 청소당번’ 을 교실에 게시해 운영하면 매우 좋아할 수 있고, I형은 어렵거나 힘든 일도
‘재미’로 잘 포장하면 기분 좋게 잘 마무리 할 수 있을 것이다.

36 서울특별시교육청
참고 읽기자료 3-1

DISC 유형별 특징

Ⅰ 나의 이해
•직접적으로, 간략하게 요점만 말하라
•‘무엇’ WHAT 을 질문하라
•D형이 원하는 일, 결과에 초점을 두어라
D •결과를 얻고, 문제를 해결하며, 책임을 질 사항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라
주도형
•특징적 아이디어나 접근방법의 이점을 논리적으로 강조하라

3
나의 성격 파악하기
•어떤 것에 동의할때는 사람보다는 사실, 아이디어에 동의하라
•시간이 요구되는 것이라면 최종결과나 목표와 관련지어 시간을 이야기하라

장점 ‌‌
즉시 성과를 올린다. / 신속한 결정을 한다. / 포기하지 않는다. / 책임감, 자신감이 있다. / 열심히 일한다. / 도전을 받아 들인다.
문제를 피하지 않고 해결하려 한다.

단점 ‌‌‌
조급하다. / 다른 사람에 대해 무관심 하다. / 위험부담과 경고를 간과한다. / 융통성이 없고 고집이 세다.
지나치게 많은 일을 떠맡는다. / 세부 사항을 무시한다. / 제한받는 것을 참지 못한다. / 타인에게 너무 많은 것을 요구한다.

•사회적 인정,인기,이야기할사람,통제나 세부적인 것들로부터의 자유


•우호적 작업조건, 능력에대한 인정, 소속감을 중요시한다
•우호적이고 다정한 환경을 제공
•아이디어, 사람, 직관에 관해 이야기할 기회 주기
I •말을 행동으로 옮기게 할 아이디어 제공
사교형
•아이디어에 관한 다른사람들의 평 제공
•자극적이고, 사회적 활동을 할 시간 주기
•세세한 것은 글로 적어주어라
•과업에 대한 보상을 주어라

장점 ‌‌
낙관적이고 표현력이 좋다. / 즐거운 분위기를 만든다. / 좋은 인상을 준다. / 인간적이다. / 설득을 잘한다.
외향적이고 사람들을 잘 사귄다. / 열정적이다.

단점 ‌‌‌
일의 끝마무리가 부족하다. / 말을 너무 많이 한다. / 능력에 대해 과하게 평가한다. / 충동적으로 행동하고 급하게 결론을 내린다.
무리하게 약속을 한다. / 교묘한 말로 설득한다. / 결과에 지나치게 낙관적이다.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37


참고 읽기자료 3-1

•개인적 자율성, 계획된 변화, 개인적 관심사, 정확한 직무기술이 우수


•통제된 환경, 정확한 예측을 원한다.
•미리 준비할 시간을 준다
•직접적 아이디어의 장단점을 제공한다
S •정확한 데이터를 가지고 아이디어를 제시한다
안정형
•갑작스런 변화가 없다는 확신을 주어라
•부분이 전체와 어떻게 관련되는가를 설명하는 정확한 직무내용을 제공하라
•체계적이고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설명하라
•동의한다면 구체적으로, 동의하지 않는다면 사람이 아니라 사실에 대해 그렇게 하라

장점 ‌‌
협조적이다. / 충성스럽다. / 남을 잘 섬긴다. / 꾸준하고 작업 수행이 안정되어 있다. / 대인관계가 원만하다.
다른 사람의 의견을 잘 들어준다.

단점 ‌‌‌
급격한 변화를 꺼린다. / 지나치게 관대하다. / 일을 미룬다. / 우유부단하다. / 갈등을 회피한다. / 감정을 잘 표현하지 않는다.
정해진 기간에 일을 마치기 어렵다.

•상황의 안정성, 변화에 적응할 시간, 그룹과의 일체감, 일상적인 업무, 전문 분야 원함


•진실하며, 사적이고, 신뢰의 환경을 제공하라
•한 개인으로서의 진실한 관심을 보여라
C •‘어떻게’ HOW에 대답하는데에 초점을 두라
신중형
•변화를 원할경우, 비위협적인 방식으로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적응할 시간을 주어라
•목표, 역할, 절차, 장소 등을 명확히 제시하라
•그들의 행동이 어떻게 위험을 최소화 하면서 현재 업무를 촉진시키게 되는기를 강조하라

장점 ‌‌
정리정돈을 잘한다. / 유능하다. / 자기 훈련을 잘한다. / 정확하다. / 철저하다. / 외교적 수완이 있다. / 분석적이다.
높은 기준을 가지고 있다.

단점 ‌‌‌
지나치게 조심스럽다. / 세부적인 일에 얽매인다. / 일하는 방법에 융통성이 없다. / 자발성이 약하다. / 의심이 많다.
비판에 예민하게 반응한다. / 비관적이다.

38 서울특별시교육청
활동지 3-1 DISC 유형 검사 – 검사지

DISC 유형 검사 - 검사지

Ⅰ 나의 이해
A B C D

1 절제하는 강력한 꼼꼼한 표현력 있는

2 개척적인 정확한 흥미진진한 만족스러운

3
3 기꺼이 하는 활기 있는 대담한 정교한

나의 성격 파악하기
4 논쟁을 좋아하는 회의적인 주저하는 예측할 수 없는

5 공손한 사교적인 참을성이 있는 무서움을 모르는

6 설득력 있는 독립심이 강한 논리적인 온화한

7 신중한 차분한 과단성 있는 파티를 좋아하는

8 인기있는 고집이 있는 완벽주의자 인심좋은

9 변화가 많은 수줍음을 타는 느긋한 완고한

10 체계적인 낙관적인 의지가 강한 배려 하는

11 엄격한 겸손한 상냥한 말주변이 좋은

12 호의적인 빈틈없는 놀기 좋아하는 의지가 강한

13 참신한 모험적인 절제된 신중한

14 참는 성실한 공격적인 매력 있는

15 열정적인 분석적인 동정심이 많은 단호한

16 지도력 있는 충동적인 느린 비판적인

17 일관성 있는 영향력 있는 생기 있는 느긋한

18 유력한 친절한 독립적인 정돈된

19 이상주의적인 평판이 좋은 쾌활한 솔직한

20 참을성 있는 진지한 미루는 감성적인

21 경쟁심이 있는 자발적인 충성스러운 사려 깊은

22 희생적인 이해심 많은 설득력 있는 용기 있는

23 의존적인 변덕스러운 절제력 있는 밀어붙이는

24 포용력 있는 전통적인 사람을 부추기는 이끌어가는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39


활동지 3-1 DISC 유형 검사 – 결과지

DISC 유형 검사 - 결과지

D I S C D I S C

1 B D A C 13 B A D C

2 A C D B 14 C D B A

3 C B A D 15 D A C B

4 A D C B 16 A B C D

5 D B C A 17 B C D A

6 B A D C 18 C A B D

7 C D B A 19 D B C A

8 B A D C 20 A D C B

9 D A C B 21 A B C D

10 C B D A 22 D C B A

11 A D C B 23 D B A C

12 D C A B 24 D C A B

소계 소계

D= I= S= C=

40 서울특별시교육청
활동지 3-1 DISC 유형 검사 – 개별 활동지

DISC 유형 검사 - 개별 활동지

Ⅰ 나의 이해
주말을
보내는 방법

3
나의 성격 파악하기
좋아하는
친구의 유형

싫어하는
친구의 유형

정기 고사를
준비하는 방법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41


활동지 3-1 DISC 유형 검사 – 조별 활동지

DISC 유형 검사 - 조별 활동지
‌DISC 유형 검사 결과 동일한 유형별로 모여 조별 활동지를 완성해 보자.

주말을 보내는 방법

좋아하는/싫어하는 친구의 유형

정기 고사를 준비하는 방법

42 서울특별시교육청
4

나의

Ⅰ 나의 이해
의사소통 유형 파악하기

4
나의 의사소통 유형 파악하기
1/3
Kiesler 대인관계 유형 파악하기
차시
4-1

활동목표
•‌나의 대인관계 유형을 파악하고 유형별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간이검사의 한계점(정확성과 예측력의 한계)을 명확히 제시한다.

•‌키슬러 관계 유형 검사의 한계점(문화 및 환경 요인 고려 부족)도 안내한다.

•‌학생들의 상황에 따라 검사지에 제시된 몇 몇의 단어들은 설명이 필요하다.

•‌검사를 종료하면 키슬러 대인관계 유형별 특징에 대해 안내한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동기 유발

도입 5'

본시 학습 목표를 확인하고 학습 방법 설명하기

키슬러 관계 유형 간이검사를 진행한다. 25'

전개

검사가 끝나면 검사 결과지와 결과표를 완성한다. 10'

마무리 조별 발표 후 Kiesler 대인 관계 유형별 특징을 간략하게 안내한다. 10'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43


참고 읽기자료 4-1

Kiesler 대인관계 유형별 특징

•자신감이 있고 자기주장이 강하며 지도력 있음


지배형 •논쟁적, 독단이 강하여 대인갈등을 겪을 수 있음
•타인의 의견을 경청하고 수용하는 자세가 필요함

•이해관계에 예민하고 성취지향적임


실리형 •경쟁적, 자기중심적, 타인에 대한 관심과 배려가 부족함
•타인의 입장을 배려하고 관심을 갖는 자세가 필요함

•이성적인 의지력이 강함
냉담형 •타인의 감정에 무관심, 거리감, 피상적 대인관계
•타인의 감정상태에 관심을 가지고 긍정적 감정을 부드럽게 표현하는 기술이 필요함

•혼자 있거나 혼자 일하는 것을 선호함


고립형 •사회적 상황을 회피, 자신의 감정을 지나치게 억제함
•대인관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타인에 대한 비현실적인 두려움의 근원에 대해 깊이 성찰해 봄

•타인의 의견을 잘 듣고 따름
복종형 •수동적, 의존적, 자신감이 없고 자기주장성이 떨어짐
•적극적인 자기표현과 자기주장이 필요함

•단순, 솔직, 너그럽고 겸손한 경향임


순박형 •자기 주관이 부족함
•타인의 의도를 헤아려보고 행동하는 신중함, 자기를 주장하는 노력이 필요함

•따뜻하고 인정이 많고 자기 희생적임


친화형 •타인의 요구를 거절하지 못함, 타인을 즐겁게 하려고 지나치게 노력함
•타인과의 정서적 거리를 유지하려는 노력이 필요함

•외향적이고 쾌활하며 대화하기를 선호함


•인정하는 욕구가 강함
사교형
•타인에 대한 관심이 많아서 간섭하는 경향이 있고 흥분을 잘하고 충동적임
•심리적으로 지나친 인정욕구가 있고 그 근원에 대한 통찰이 필요함

44 서울특별시교육청
참고 읽기자료 4-1

성격 특성 긍정적 표현 부정적 표현

1 독립적인 소신있는, 자립심이 강한 독불장군식인, 자기중심적인

Ⅰ 나의 이해
2 재치있는 센스있는, 창의적인 약삭빠른, 간사한

3 이성적인 이치에 맞는, 논리적인 따지는, 냉정한

4 공격적인 적극적인, 의욕적인 비난을 잘하는, 투쟁적인

4
5 말을 많이하는 말솜씨가 좋은, 표현을 잘하는 수다스러운, 참견을 잘하는

나의 의사소통 유형 파악하기
6
신사적인 예의가 바른, 깔끔한 거만한, 정이 없는

목표지향적인 목표가 분명한 일밖에 모르는, 욕심이 많은


7
지지적인 협조적인, 남을 잘 돕는 줏대가 없는 , 아부하는
8
신앙적인 신념있는, 믿음이 있는 비현실적인, 공상적인
9
깨끗한 깔끔한, 순수한 유난스러운. 잘난체하는
10
활동적인 의욕적인, 적극적인 설치는, 나서는
11
창의적인 머리가 좋은, 융통성이 있는 제멋대로인, 다루기 힘든
12
논리적인 이성적인, 객관적인 따지는, 깐깐한
13
감수성이 높은 감정이 풍부한, 다정다감한 변덕이 심한, 신경질적인
14
경쟁적인 의욕적인, 적극적인 설치는, 지는 것을 못 참는
15
불안정한 감정에 민감한, 예민한 소심한, 불안한
16
세속적인 적응을 잘 하는, 현실감 있는 속물적인
17
감정적인 느낌이 많은, 감정이 풍부한 다혈질적인, 변덕스러운
18
야망있는 꿈이 많은, 패기 있는 허황된 욕심이 많은, 수단을 안 가리는
19
주관적인 생각이 분명한, 의견이 뚜렷한 독선적인, 남의 얘기를 안 듣는
20
맡은 일을 잘하는 능력있는, 책임감 있는 일밖에 모르는, 융통성이 없는
21 의존적인 남의 이야기를 잘 듣는 줏대가 없는, 복종적인
22 의사결정이 빠른 효율적인, 결단력이 있는 성급한, 경솔한

23 자신감이 있는 소신 있는, 자신만만한 잘난척하는, 자만하는

24 수동적인 다른 사람을 존중하는 복종적인, 비굴한

25 지도력이 있는 리더쉽이 있는 잘난체하는 , 나서기 좋아하는

26 정이 많은 마음이 따뜻한, 다정다감한 우유부단한, 사람만 좋은 체하는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45


활동지 4-1 Kiesler 대인관계 유형 파악하기

Kiesler 대인관계 유형 파악하기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 약간 그렇다 2점 / 그렇다 3점 / 매우 그렇다 4점

문항 1 2 3 4 문항 1 2 3 4

1 자신감이 있다. 21 온순하다.

2 꾀가 많다. 22 단순하다.

3 강인하다. 23 관대하다.

4 쾌활하지 않다. 24 열성적이다.

5 마음이 약하다. 25 지배적이다.

6 다툼을 피한다. 26 치밀하다.

7 인정이 많다. 27 무뚝뚝하다.

8 명랑하다. 28 고립되어 있다.

9 추진력이 있다. 29 조심성이 많다.

10 자기 자랑을 잘한다. 30 겸손하다.

11 냉철하다. 31 부드럽다.

12 붙임성이 없다. 32 사교적이다.

13 수줍음이 있다. 33 자기주장이 강하다.

14 고분고분 하다. 34 계산적이다.

15 다정다감 하다. 35 따뜻함이 부족하다.

16 붙임성이 있다. 36 재치가 부족하다.

17 고집이 세다. 37 추진력이 부족하다.

18 자존심이 강하다. 38 솔직하다.

19 독하다. 39 친절하다.

20 비사교적이다. 40 활달하다.

46 서울특별시교육청
활동지 4-1 Kiesler 대인관계 유형 파악하기

구분 문항 합산 구분 문항 합산
1 9 17 25 33 2 10 18 26 34

Ⅰ 나의 이해
지배형 실리형

3 11 19 27 35 4 12 20 28 36
냉담형 고립형

4
나의 의사소통 유형 파악하기
5 13 21 29 37 6 14 22 30 38
복종형 순박형

7 15 23 31 39 8 16 24 32 40
친화형 사교형

지배형

20

실리형 사교형
15

10

5
20 15 10 5
냉담형 친화형
5 10 15 20
5

10

15

고립형 순박형

20

복종형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47


3/3
댐 위, 아래 사람들
차시
4-2

활동목표
주어진 동일한 상황에서 서로 상충되는 의견의 합을 도출하는 과정을 통해 의사소통 능력을 확인할 수 있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본 활동은 메콩강을 기점으로 물부족으로 인한 중국과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외교문제를 바탕으로 진행하는
활동으로 상황극 이전이나 이후에 사회교과 연계 활동을 구상해 진행 가능하다.

•‌상황극의 배경을 최대한 진지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협상가들의 역할이 매우 중요함을 안내한다.

•캐릭터 카드는 반드시 무작위로 선택하고 조원들끼리 교환하지 않도록 한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상황극의 진행방식과 여러 가지 갈등 상황을 제시하기 5'

도입

위쪽, 아래쪽 조를 나누고 조별로 캐릭터 카드를 무작위로 선택하기 5'

상대방에게 협상카드를 건내 줄 전달자를 선발한다.


최적의 협상안을 만들기 위한 조별 활동을 전개한다.
20'
일정 시간 후 양쪽의 전달자가 만나 협상카드를 교환한다.
만일, 어느 한쪽이 협상카드를 제시하지 않을 경우 협상은 결렬된다.
전개

협상카드를 서로 교환할 경우 5분간 의견교환의 시간을 갖는다.


10'
협상은 성공할 수도 있고 실패할 수도 있다.

상황극이 끝나고 상황극에 참여한 참가자들의 의견을 서로 공유하기

마무리 10'

학습한 내용 정리하기

48 서울특별시교육청
참고 읽기자료 4-2

가. 댐의 위쪽 사람들

•38세 - 3살, 8살 아이를 키우는 엄마

Ⅰ 나의 이해
•42세 – 신문사 기자
•54세 - 가구 회사에 합판을 납품하는 제철소 사장
•39세 - 중견 건설사 팀장
•20세 - 재수생
•74세 - 비폭력주의자

4
나의 의사소통 유형 파악하기
•52세 - 지역구 국회의원
•41세 - 댐 아래에 위치한 학교로 출근하는 교사
•31세 - 공무원
•51세 – 1,200평 농경지 지주
•28세 - 직업군인
•29세 – 댐 아래에 직장을 둔 주말 부부
•38세 – 편의점 3개를 운영하는 자영업자
•58세 – 종합병원 원장(원장의 외아들은 댐 아래에 살고 있음)
•25세 – 정치 입문을 꿈꾸는 정치외교학과 대학원생

나. 댐의 아래쪽 사람들

•51세 – 1,200평 농경지 지주


•52세 – 가구 회사 사장(댐 위쪽 사람 중 합판을 납품해주는 업체 사장이 있음)
•38세 - 3살, 8살 아이를 키우는 엄마
•42세 – 신문사 기자
•20세 - 재수생
•74세 - 진보주의적 성향을 가진 비폭력주의자
•52세 - 지역구 국회의원
•41세 - 댐 위에 위치한 학교로 출근하는 교사
•31세 - 공무원
•28세 - 직업군인
•29세 – 댐 위에 직장을 둔 주말 부부
•25세 – 정치 입문을 꿈꾸는 정치외교학과 대학원생
•31세 – 댐 위에 있는 종합병원 원장의 아들
•17세 – 자퇴한 학교 밖 청소년
•25세 – 연기자를 꿈꾸는 아르바이트생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49


활동지 4-2 댐 위, 아래 사람들

댐 위, 아래 사람들

지구 온난화로 인해 우기는 줄어들고 가뭄이 지속되어 물 부족 상태가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매 년 마다 이 문제해결을 위해
댐 위쪽 사람들과 댐 아래쪽 사람들은 협상을 진행합니다.
어느 날, 댐 위쪽 사람들 중 몇 몇 사람들이
“댐을 막아서 물을 흘려보내지 말고 우리들이 더 사용할 수 있게 하자”고
주장하였고 사람들이 동요하기 시작했습니다.
자, 25분 뒤 마지막이 될지도 모를 협상을 시작합니다.

자신의 상황에서 조원들과 함께 최고의 협상안을 만들어 보세요.

댐 사람

나의
캐릭터

나의
협상 조건

협상 결렬시
대안

상황극 종료후
생각, 감정

50 서울특별시교육청
5

[프로젝트]

Ⅰ 나의 이해
나 만들기

5
[프로젝트] 나 만들기
1/1
나 만들기
차시
5-1

활동목표
•‌조건에 맞게 가상의 인물을 만들어 보면서 앞으로 자신의 인생을 조망해본다.
•‌가상인물을 구상하는 과정에서 걸었던 기대와 희망이 결국 학생 자신에게 더 필요한 것임을 알 수 있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가상의 캐릭터를 만들어 주는 9개의 카드는 반드시 무작위로 뽑아야 한다.
•‌직업카드를 이용해 2~3개의 직업군을 뽑도록 안내한다.
•‌뽑은 직업군은 되도록 활용하도록 안내한다.
•‌직업카드가 없을 경우 조별로 몇 개의 직업군을 제시한다.
•‌가상의 캐릭터 인생을 구상할 때 비교육적이지 않도록 안내한다.(예-범죄의 정당성, 폭력, 사기 등)
•‌존재하지 않는 제3의 인물을 가상으로 만들어 보면서 들었던 생각들을 공유해본다.
•‌자기 자신에게 기대와 희망을 걸어 볼 수 있도록 안내한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동기 유발
도입 5'
본시 학습 목표를 확인하고 학습 방법 설명하기

조(4~5명)를 편성한다.

조별로 캐릭터를 완성할 수 있는 활동지 카드를 무작위로 뽑는다. 10'


전개
활동지에 캐릭터 세부사항을 옮겨 적어 완성한다.

조원들의 의견을 모아 가상의 캐릭터의 인생을 구상한다. 25'

마무리 조별 발표 하기 10'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51


참고 읽기자료 5-1

부모 조건

학력 직업카드

연봉

사망

주택 직업카드

Good Card 하나의


캐릭터
Lucky Card
탄생
Bad Card 직업카드
Hidden Card

제시된 카드에서 무작위로 하나씩 + 직업카드 2~3장 무작위로 뽑으면


아래처럼 캐릭터 하나가 만들어진다.

부모 조건 한쪽은 무직, 한쪽은 운송기사

학력 국내 대학교 졸업 승무원

연봉 8,400만원(상여금 100% 연 2회)

사망 묻지마 범죄로 5년간 뇌사상태에서 안락사



주택 26평 전세(전세가 4억 8천)
디자이너
Good Card 특허등록으로 현금 3억 입금

Lucky Card 출근길에 심폐소생술로 백만장자의 목숨을 살려 보상금 5억 받음


자동차
Bad Card 가족 중 한 분이 3년간 암투병으로 자연사
정비공
Hidden Card 상대방 과실 자동차 사고로 피해자 사망

이 정보를 바탕으로 조원들의 의견을 모아 이름도 지어주고 학창 시절부터 결혼, 가정을 이루고 죽음까지
한 사람의 출생에서 죽음까지 인생 전체를 만들어 본다.

서로 만들어 놓은 인생이 때론 극적이기도 때론 아름답기도 또 때로는 드라마틱한 굴곡에서 우뚝 일어서기도 한다.


각 조원들을 관찰하면 실존하지도 않는 캐릭터 하나의 인생에 많은 기대와 희망으로 잘 살게 하려고 노력한다.

“글자로만 만들어진 가상의 캐릭터의 인생은 많은 기대와 희망을 담아 정성을 다해 마음으로 설계하면서
왜 자기 자신 스스로에게는 이런 기대와 희망을 걸어보지 않는 것일까”

52 서울특별시교육청
참고 읽기자료 5-1

가. 부모조건

•부모중 한명만 한국인으로 구성된 다문화 가정 •출생전 사고사로 인한 한부모 가정

Ⅰ 나의 이해
•한쪽은 의사 한쪽은 무직 •한쪽은 무직 한쪽은 운송기사
•한쪽은 마트직원(초혼) 한쪽은 시인(재혼) •타국적인으로 한국 부모에게 입양되어 한국 국적 취득
•부모 모두 영어학원 강사(한국에 이민으로 정착한 영어권 국가의 외국인 부부)
•탈북인과 결혼한 한국인

5
[프로젝트] 나 만들기
나. 학력

•인문계 고등학교 졸업 •특성화 고등학교 졸업 •고등 검정고시


•전문대학 졸업 •국내 대학교 졸업 •해외 대학교 졸업
•대학원 졸업(석사) •대학원 졸업(박사)

다. 연봉

•10,800만원 (상여금 100% 연1회) •8,400만원 (상여금 100% 연 2회)


•7,200만원 (상여금 100% 연 2회) •4,800만원 (상여금 100% 연 1회)
•3,600만원 (상여금 100% 연 1회) •2,400만원 (상여금 200% 연 2회)
•1,800만원 (상여금 300% 연 2회) •1,800만원 (상여금 200% 연 4회)

라. 사망

•비행기에서 심장마비로 사망 •3년간 암투병으로 자연사


•부모재산의 재판과정 준비로 인한 과로사 •교통사고로 즉사
•해외여행 중 희귀질병의 감염으로 병사 •묻지마 범죄로 5년간 뇌사상태에서 안락사
•의료사고로 2년간 투병 후 사고사 •취미활동 중 사고사

마. 주택

•26평 전세 (전세가 4억 8천만원) •26평 월세 (보증금 8천만원 월 120만원)


•26평 자가 (매매가 7억 2천만원) •34평 전세 (전세가 5억 1천만원)
•34평 월세 (보증금 1억 3천만원 월 90만원) •34평 자가 (매매가 9억 8천만원)
•원룸 월세 (보증금 5백만원 월 65만원) •원룸 전세 (전세가 1억 8천만원)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53


참고 읽기자료 5-1

바. Good Card
•스크래치 복권 3억 당첨 •숨겨져 있던 부모명의의 4억 상당의 부동산을 상속
•친구와 함께 투자한 사업성공으로 현금 15억 입금 •특허등록으로 현금 3억 입금
•숨겨져 있던 부모명의의 3억 상당의 부동산을 상속 •친구와 함께 투자한 주식투자로 현금 4억 입금
•반도체 기술유출 범죄자 검거를 도와 기업으로부터 포상금 3억원
•특허등록으로 현금 1억 입금

사. Lucky Card

•여행 중 비행기 사고를 막아 표창장과 함께 항공사에 입사를 추천받음


•다수에 모범시민 표창을 받아 명예경찰로 임명되어 경찰공무원직 수행
•여행 에세이 당첨으로 희망국가 1년 무료 항공,숙박권을 제공 받음
•출근길에 심폐소생술로 백만장자의 목숨을 살려 보상금 5억 받음
•여행중 고속도로 터널안 사고를 막아 표창장과 함께 명예 경찰로 근무함
•웹툰 공모전에 출품한 작품이 영화로 제작되어 3억원의 수입이 생김
•화재가 난 아파트에서 시민들을 구출해 명예 소방관으로 임명됨
•특허청에 등록한 특허권의 사용료 5억원 상당의 보상금을 받음

아. Bad Card

•가족 중 한 분이 비행기 사고로 사망 •가족 중 한 분이 3년간 암투병으로 자연사


•가족 중 한 분이 부모재산의 재판과정 준비로 인한 과로사 •가족 중 한 분이 술자리에서 주먹다짐으로 즉사
•가족 중 한 분이 묻지마 범죄로 5년간 뇌사상태에서 존엄사 •가족 중 한 분이 돌연사
•가족 중 한 분이 해외여행 중 희귀질병의 감염으로 병사 •가족 중 한 분이 취미활동 중 사고사

자. Hidden Card

•화재로 재산(집,차) 잃음
•취미활동 중 사고로 한쪽 다리를 잃음
•친구와 함께 투자한 사업실패로 일억원 정도의 빚이 생김
•아이 출산 후 집으로 가는 길에 교통사고로 배우자의 죽음
•형제 또는 자매의 죽음
•상대방 과실 자동차 사고로 피해자 사망
•34세에 보이스 피싱 사기로 전재산을 잃고 남은 전 재산은 3,100만원
•친부모인줄 알았는데 입양된 아이임.

54 서울특별시교육청
활동지 5-1 나 만들기

나 만들기

Ⅰ 나의 이해
이름 성별

부모 조건

5
[프로젝트] 나 만들기
학력

직업

연봉

사망

주택

Good Card

Lucky Card

Bad Card

Hidden Card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55


활동지 5-1 나 만들기

의 인생 만들기

56 서울특별시교육청
Ⅰ 나의 이해
5
[프로젝트] 나 만들기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57



직업
탐색

6
산업의 변화와 직업

7
직업 정보의 탐색

8
직업 경로의 탐색

9
출근합니다!

10
[프로젝트] 창업가정신의 이해와 창업 활동
6

산업의
변화와 직업
1/3
사물과 관련된 직업 찾기
차시
6-1

활동목표
•‌우리 주변의 사물과 직업이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이해하고 발표할 수 있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직업은 우리 주변의 사물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고 우리의 필요에 따라 직업이 탄생하고, 소멸하고 있음을 이해
할 수 있도록 한다.
•‌사물과 관련된 직업 찾기에서 그 직업이 필요한 이유를 하는 일과 함께 적도록 한다.
•‌사물들에서 공통으로 나타난 직업을 찾아보고, 특정 사물에만 나타난 직업이 무엇인지 찾아보게 한다.
•‌개인별로 활동할 때 1개 정도의 사물을 선택할 수 있으며 조별로 활동하면 1개~3개의 사물을 선택하여 충분한
자료 조사 활동을 통해 발표한다.
•‌사물과 관련된 직업을 찾아보면서 자신이 어떤 일에 흥미를 느끼는지 생각하도록 한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동기 유발 : 내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물 말하기
본시 학습 목표를 확인하고 활동 방법을 설명하기
도입 5'
사물 관련하여 폭넓게 생각하도록 하고 워크넷, 커리어넷 등의 직업 관련
홈페이지 주소를 안내한다.
‌관련된 사물을 개인별로 1개, 조별 활동 시는 1개~3개를 선택한다.
20'
전개 사물 관련 직업과 그 직업이 하는 일을 조사하여 기록한다.
선택한 사물과 관련된 직업과 하는 일이 무엇인지 발표한다. 20'
사물에 관련된 직업을 찾는 활동을 하면서 느낀 소감 말하기
마무리 활동 내용 정리하기(각 사물에 공통으로 들어 있는 직업 등) 5'
차시 예고

평가
•‌사물과 관련 있는 직업의 범위를 10개 이상 찾을 수 있고 직업의 하는 일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할 수 있는가?
•‌관련 직업 중에서 자신이 흥미를 느끼는 직업이 어떤 분야인지 함께 찾아볼 수 있고 직업의 소중한 가치에 대해
서도 말할 수 있는가?

60 서울특별시교육청
참고 읽기자료 6-1

가. 활동예시

•사물 : 새우깡

Ⅱ 직업 탐색
나. 활동 방법

•새우깡이 우리 손에 들어오기까지의 과정을 생각해 보고 관련 인터넷 자료를 찾아본다.


•‌대표적인 사물을 생산하는 기업의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직무소개 또는 채용 정보 등을 통해 관련 직업을 찾을 수

6
산업의 변화와 직업
있다.
•직업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관련 키워드로 직업을 검색할 수 있다.

- 워크넷 https://www.work.go.kr
- 커리어넷 https://www.career.go.kr 제조회사 홈페이지, 직업 관련 인터넷 자료 탐색

다. 관련 직업인

•‌생산 품질관리자 : 새우깡을


‌ 제조하는 공장의 생산관리와 품질을 관리하는 일을 한다. 원자재를 검사하고 위생적인
품질 시스템을 유지하도록 하고 공장의 원가와 생산 계획을 관리한다.
•‌기계 설비 개발자 : 새우깡을
‌ 제조하는 기계 설비를 개발하고 관리하는 일을 한다. 첨단설비를 운영하고 제조 공정
을 개선하며 설비 가동을 원활하게 한다.
•‌식품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 ‌새우깡을 제품을 개발하고 연구한다. 신제품을 개발하고 영양을 연구하며 식문화와
조리를 연구한다. 새우깡의 기술을 보유한다.
•‌기획 관리 : 경영성과 관리 및 수익 평가, 연간 경영 계획 수립, 대내외 이슈에 대한 대응
•‌인사 노무 관리직 : 인력의 채용과 운영, 평가한다.
•‌국제 영업관리직 : 해외의 영업 업무를 수행한다.
•‌물류 관리 : 새우깡 제품 및 원료의 이동을 위한 차량, 장비 등의 관리와 배송을 관리한다.
•‌마케팅 : ‌신상품기획과 개발, 새우깡의 상품 마케팅을 담당하여 판매를 증가시켜 마케팅 목표를 달성한다. 각종 마
케팅활동과 판매전략을 수립한다.
•‌포장디자인 : ‌새우깡을 안전하게 보전하기 위한 연구와 포장지의 재질과 디자인을 개발한다. 포장의 신기술을 개발
한다.
•‌재무 회계 관리직 : 자금
‌ 업무와 회계 업무를 수행한다. 자금의 집행 현황을 관리하고 각종 세금 지급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새우양식업자 : 중요한 원재료인 새우를 양식하여 납품하는 일을 한다.
•‌대형화물 운송자 : 원재료 및 제품의 이동을 담당하는 운송업자
•‌생산설비 담당직 : 새우깡 제품의 공정 관리자
•‌수질 환경연구원 : 제품을 만들어내는 공장의 오염수를 측정하고 배출 관리한다.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61


활동지 6-1 사물과 관련된 직업 찾기

사물과 관련된 직업 찾기

우리의 생활을 풍요롭고 안락하게 해주는 수많은 사물이 있고 이 사물을 사용하기까지는 다양한 분야에서 일하는
직업인의 노력이 있다. 우리 생활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거나 좋아하는 사물을 선택한 후 그 사물과 관련된 직업은 어떤
것이 있고 하는 일은 무엇인지 넓은 범위까지 찾아보고 적어보자. 또한 활동하면서 어떤 분야에 관심이 가는지 자신을
들여다보는 것도 잊지 말자. 여유가 있다면 앞으로 자신이 선택한 사물은 어떻게 변화할지 상상해 보자.

사물의 예시 : 건물(아파트, 학교), 휴대전화, 여행, 라면, 자동차, 영화, 게임(모바일, PC), 자신이 좋아하는 것

선택한 사물

사물을 선택한 이유는 무엇인가?

사물과 관련된 직업인과 하는 일

사물 관련하여 찾은 직업 중 관심 있는 직업이 있는지 적어보자.

활동 소감
생활 주변의 사물들과 관련된 직업 찾기 활동하면서 느낀 소감을 적어보자.

62 서울특별시교육청
2/3
산업의 변화에 따른 직업
차시
6-2

활동목표

Ⅱ 직업 탐색
•‌산업에 따른 직업의 변화를 살펴보면서 산업과 직업의 관계에 대해 이해한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사회 과목에서 배웠던 산업의 분류를 활용해 보도록 한다.

6
•‌경제 관련 지표의 여러 척도에 대해서도 사회 교과에서 배웠던 것을 기억하며 활용하고 더 찾아볼 수 있도록

산업의 변화와 직업
안내한다.
•‌직업은 산업의 변화에 따라 생겨나기도 하고 사라지기도 한다는 점을 이해하고 미래 산업의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함을 인지하도록 한다.
•‌단, 미래 산업 관련 유망직업이라도 자신의 특성과 무관하게 선택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을 안내한다.
•‌자신의 이해를 바탕으로 산업의 변화에 자신의 특성을 적용하고 개발시켜야 하는 점이 중요하다는 것을 지도한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넷 누리집이나 자료를 사용하도록 한다.
•‌GDP 외의 다른 경제지표도 찾아볼 것을 격려하고, 경제 분야에 관심을 가진 학생은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고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동기 유발
도입 5'
본시 학습 목표를 확인하고 활동 방법을 설명하기

‌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과 백과사전 등을 활용한다.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의 자료는 학생들이 어려워 할 수 있으므로 20'
참고자료를 안내하여 찾도록 한다.

전개 ‌
산업의 발달 과정에서 발달 단계마다 그 산업에서 가장 유망했던 직업을
찾아보고 활동지를 작성한다.
20'
‌
산업에 따른 직업을 발표하면서 왜 그 직업이 산업과 관련되었는지도 함께
발표하도록 한다.

활동에서 느낀 소감 말하기

마무리 활동 정리하기 5'

차시 예고

평가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찾는 과정이 적절하고 정확한 정보를 찾을 수 있는가?
•산업을 이해하고 각 산업발달 과정과 관련된 직업을 5개 이상 적을 수 있는가?
•산업과 직업의 변화에 대해 이해하고 있는가?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63


참고 읽기자료 6-2

산업의 발달과정과 경제지표 찾아보기

- 참조 초 6, 중학교 사회 교과, 고1 통합사회

가. 산업

인간의 생활을 경제적으로 풍요롭게 하기 위하여 재화나 서비스를 생산하는 모든 활동


•1차산업 : 농업, 어업, 임업
•2차산업 : 공업(=제조업)
경공업-옷, 신발, 가발같이 비교적 가벼운 제품을 만드는 공업으로 노동력을 많이 필요로 함.
중화학공업-중공업(철강, 배, 자동차 등)과 석유 화학 공업으로 기술과 자본을 많이 필요로 함
•3차산업 : 서비스업(의료, 교육, 문화예술 등)
•연도별 우리나라 공업의 발달 과정

연도 발달 산업
1960년대 이전 농업, 어업, 임업 1980년대 자동차, 정밀 기계
1960년대 섬유(옷), 시멘트, 비료, 정유(기름) 산업 1990년대 컴퓨터, 반도체, 정보통신
1970년대 석유화학, 조선(배), 전자(TV, 오디오), 제철(철강) 2000년대 서비스업, 첨단 산업(생명, 우주)

나.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활용하여 경제지표 찾아보기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https://ecos.bok.or.kr

통계검색 2.국민계정 2.1 국민소득통계 2.1.1.주요지표

2.1.1.1. 주요지표(연간지표) 국내총생산(명목, 달러 표시)

64 서울특별시교육청
참고 읽기자료 6-2

Ⅱ 직업 탐색
6
산업의 변화와 직업
① 전체 선택 해제
② 찾고자 하는 항목만 선택(국내총생산 달러 표시)
③ 화면 아래의 목록에 추가 버튼으로 찾는 항목을 추가
④ 선택한 목록이 표시되면 선택 후
⑤ 선택한 목록 조회 버튼 클릭

⑥ 찾고자 하는 지표의 범위(연도)를 지정함


⑦ 자료의 형태를 표, 차트, 피벗으로 선택할 것인지 선택
⑧ 자료 받기를 선택하여 희망하는 자료의 형태로 찾고자 하는 정보를 확인함. 차트의 경우 화면으로 바로 확인할 수 있음

경제 분야에 관심 있는 학생의 경우 다른 경제지표들을 통해 알고 싶은 정보를 검색한다.


(예) 활동지의 그래프에는 GDP를 표시하였으나 국민 소득수준을 나타내는 연도별 GNP를 찾아 그래프에 표시해 볼
수 있다.

다. 산업에 따른 직업 찾기

•워크넷, 커리어넷의 직업 정보를 활용하여 산업별 직업을 검색할 수 있다.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65


활동지 6-2 산업의 변화에 따른 직업

산업의 변화에 따른 직업

우리나라 산업의 발달과정의 그래프를 보면서 해당 산업의 대표적인 직업을 찾아서 적어보고 그 직업이 해당 산업에서
중요한 이유는 무엇이었을지 조사한 후 발표해보자.

•산업 : 인간의 생활을 경제적으로 풍요롭게 하도록 재화나 서비스를 생산하는 모든 활동


•‌국내총생산(GDP) : ‌외국인이든 우리나라 사람이든 국적을 불문하고 우리나라 국경 내에서 이루어진 생산활동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대부분 국가의 생활 수준이나 경제성장률을 분석할 때 사용되는 지표

1차산업 2차산업 3차산업 4차산업

- 자료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 [통계검색] > [국내총생산(연간지표)]

활동 소감
산업에 따른 직업을 찾아보고 느낀 소감을 적어보자.

66 서울특별시교육청
3/3
새로 생기는 직업과 직업역량
차시
6-3

활동목표

Ⅱ 직업 탐색
•‌산업의 변화에 따라 새로 생기는 직업과 직업역량에 대해 이해하고, 나의 학교생활에서 직업역량을 기르기 위한
계획을 세울 수 있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6
•‌미래의 유망직업이 무엇인지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산업의 변화에 따라 직업이 변화하고 이에 따라 자신의

산업의 변화와 직업
역량을 어떻게 키워가야 할 것인가에 중점을 둔다.
•‌유망기술과 직업에 대응하기 위하여 현재 학교생활에서 노력할 부분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현재 학교에서의 성실한 수업 경험과 다양한 진로 경험이 쌓여서 직업역량이 길러짐을 안내한다.
•‌유망하다는 이유로 특정 직업, 특정 기술에 집중하지 않는다.
•‌더 해보기는 활동을 마치고 시간적인 여유가 되는 학생에게 하도록 안내한다.
•‌활동 분량이 많으므로 활동에서 느낀 소감을 중심으로 발표하도록 한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동기 유발
도입 5'
본시 학습 목표를 확인하고 활동 방법을 설명하기

‌미래 직업 찾아보기 활동 15'

전개 ‌직업 기초 능력 찾아보기 활동 15'

‌활동 소감 발표하기 10'

활동 정리하기
마무리 5'
차시 예고

평가
•‌신직업에 대한 설명을 찾아 연결하여 미래 직업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가?
•‌직업 기초 능력을 알아보고 어떤 내용이 담겨 있는지 찾아서 적을 수 있는가?
•‌미래 직업역량과 현재 자신의 학교생활과 연관을 지어 함양할 태도와 계획을 생각해 볼 수 있는가?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67


참고 읽기자료 6-3

미래 직업의 변화

가. 신직업 또는 미래 직업 찾기

•워크넷(https://www.work.go,kr/) - 직업 정보 – 신직업·미래 직업 참고

나. 2023 세계 경제 포럼 미래 직업 보고서 : 미래 직업의 변화

•‌미래 직업의 변화: 세계경제포럼(WEF)이 전 세계 45개국에서 803개 기업(총 1,130만 명 이상의 근로자 고용)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발간한 보고서에서 예측한 변화
•‌2023 세계 경제 포럼 미래 직업 보고서에 따르면 2023~2027년 향후 5년간 전 세계에서 전체의 2% 정도가 되는
1,400만 개의 일자리가 사라진다고 한다. 인공지능(AI)과 같은 기술의 적용이 늘어나면서 글로벌 고용시장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AI의 영향과 기업의 친환경 정책 등으로 일자리의 변화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했다. 데이터 분석가 및 과학자,
머신 러닝(기계학습) 전문가, 사이버 보안 전문가, 에너지 지속 가능 전문가, 환경 보호 전문가 등의 일자리가 증가
할 것으로 전망했으며 기술의 영향으로 은행 직원, 계산원, 티켓 판매원, 자료입력 사무원 등의 사무직 및 비서직의
일자리가 빠르게 감소할 것으로 내다보았다.
•‌기업에서 채택률이 높을 것으로 예측한 기술과 필요로 하는 기술 및 능력은 아래 그래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나타
났다.

미래 기업의 채택률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기술

- 단위 %
2023~2027 기술 채택(%)

디지털 플랫폼 및 앱 86.4


교육 및 인력 개발 기술 80.9
빅데이터 기술 80
사물 인터넷 및 연결된 장치 76.8
클라우드 컴퓨팅 76.6
암호화 및 사이버 보안 75.6
전자 상거래 및 디지털 무역 75.3
인공지능 74.9
환경 관리 기술 64.5
기후 변화 완화 기술 62.8
텍스트, 이미지, 음성처리 61.8
증강 및 가상 현실 59.1
전력 저장 및 발전 52.1
자율주행차 51.5
휴머노이드가 아닌 로봇 51.3

68 서울특별시교육청
참고 읽기자료 6-3

기업에서 요구하는 미래 기술 능력

- 단위 %

Ⅱ 직업 탐색
창의적 사고 73.2
분석적 사고 71.6
기술적 소양 67.7
호기심과 평생학습 66.8

6
시스템 사고 59.9

산업의 변화와 직업
AI와 빅데이터 59.5
동기 부여 및 자기 인식 58.9
인재관리 56.4
서비스 오리엔테이션 및 고객 서비스 54.8
리더십과 사회적 영향력 53.1
공감과 적극적인 경청 52.3

다. 우리나라의 국가 직무능력 표준에서 제시한 직업 기초 능력

•직업 기초 능력 : 직종이나 직위에 상관없이 모든 직업인에게 공통으로 요구되는 기본적인 능력 및 자질


•자료 : 국가직무능력표준 https://ncs.go.kr

의사소통 능력 자원관리 능력 문제해결 능력 정보 능력 조직 이해 능력

•문서이해능력 •시간관리 능력 •사고력 •컴퓨터 활용능력 •국제감각


•문서작성능력 •예산관리 능력 •문제처리 능력 •정보처리 능력 •조직 체제 이해 능력
•경청능력 •물적자원관리 능력 •경영 이해 능력
•의사표현능력 •인적자원관리 능력 •업무 이해 능력
•기초외국어능력

수리 능력 자기개발 능력 대인관계 능력 기술 능력 직업 윤리

•기초연산 능력 •자아인식 능력 •팀워크 능력 •기술이해 능력 •근로 윤리


•기초통계 능력 •자기관리 능력 •리더십 능력 •기술선택 능력 •공동체 윤리
•도표분석 능력 •경력개발 능력 •갈등관리 능력 •기술적용 능력
•도표작성 능력 •협상 능력
•고객서비스 능력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69


활동지 6-3 새로 생기는 직업과 직업역량

새로 생기는 직업과 직업역량

직업
‌ 선택 시 아래와 같은 다양한 요인이 작용한다. 아래의 직업들과 직업에 대한 설명을 연결하면서 사회와
과학 기술의 변화로 생겨나는 직업들의 이해를 높여보자.

•자기 이해 : 자신의 흥미, 적성, 가치관, 신체 환경 등 다양한 개인적 특성


•직업 자체의 요인 : 보수, 안정성, 근무 여건, 사회적 인정, 발전 가능성 등
•사회의 변화 : ‌저출산, 고령화, 세계화, 자원경쟁, 기상이변, 소비 동향의 변화, 경제의 양극화, 일과 삶의 균형 등
•과학 기술의 변화 : 인공지능의 발달, 지능형 로봇, 빅데이터의 발달, 바이오 과학의 발달 등

인공지능전문가 프로그램이나 시각화 도구 등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가공하고 분석하여 시각화한다.

게임, 비행, 관광, 훈련 및 교육 등 다양한 분야의 가상현실 콘텐츠를 기획하고 개발


상품 공간 스토리텔러 한다.

크라우드 펀딩, P2P, Lending, 금융 결제, 자산관리 등 금융의 수요자와 공급자를


연결하여 금융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IT 플랫폼을 구축하는 일을 한다.
데이터 시각화 디자이너
인공의 뇌 구조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컴퓨터나 로봇 등이 인간과 같이 사고하고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도록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개발하거나 프로그램으로 구현하는
가상현실전문가 기술을 개발한다.

상품의 판매를 촉진하기 위해 스토리텔링 기법을 적용한다.


핀테크 전문가
페이스북, 트위터 등 SNS에 기업 페이지를 개설해서 기업의 마케팅을 실행하고
관리한다.
소셜미디어 전문가
NFT 아트 시장에서 활약할 수 있는 재능있는 창작자를 발굴하여 NFT 시장 진출을
지원하고, 작가와 작품의 큐레이팅 및 구매작품을 판매 또는 전시한다.
빌딩정보모델링디자이너
BIM은 가상공간, 즉 컴퓨터상에 시설물의 모든 정보를 3차원적으로 구현하면서
실무에 필요한 산출물을 만들어가는 과정을 뜻하며, 건축의 설계, 시공, 유지관리
단계에서 BIM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더 안전하고 친환경적이며 경제적인 시설물을
NFT 아트 에이전트
구현한다.

건물이나 주택의 에너지 효율성을 평가하고 에너지 효율성을 어떻게 높일 수 있는지


녹색 건축전문가 조언하며, 건축주가 제시한 각종 서류를 검토하여 그린빌딩인증 기준에 부합하는지
평가한다.

분쟁조정사 분쟁이 발생했을 때 재판 전에 이를 중재·조정·알선하여 분쟁당사자들이 스스로 해


결책을 찾아 분쟁을 해결하도록 돕는다.

위의 직업 중 관심 있는 직업이 있다면 적어보자.

70 서울특별시교육청
활동지 6-3 새로 생기는 직업과 직업역량

국가직무능력표준
‌ https://ncs.go.kr 에서 제시한 직업기초능력을 찾아 빈칸에 적어보고 자신이 생각했던
것과 다른 점은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Ⅱ 직업 탐색
•직업 기초 능력 : 직종이나 직위에 상관없이 모든 직업인에게 공통으로 요구되는 기본적인 능력 및 자질

능력 자원관리 능력 능력 능력 조직 이해 능력

•문서이해능력 •시간관리 능력 •사고력 •컴퓨터 활용능력 •국제감각


•문서작성능력 •예산관리 능력 •문제처리 능력 •정보처리 능력 •조직 체제 이해 능력

6
산업의 변화와 직업
• •물적자원관리 능력 •경영 이해 능력
•의사표현능력 •인적자원관리 능력 •업무 이해 능력
•기초외국어능력

능력 능력 능력 기술 능력 직업 윤리

•기초연산 능력 •자아인식 능력 • •기술이해 능력 •근로 윤리


•기초통계 능력 • •리더십 능력 •기술선택 능력 •공동체 윤리
•도표분석 능력 •경력개발 능력 •갈등관리 능력 •기술적용 능력
•도표작성 능력 •협상 능력
•고객서비스 능력

‌더 해보기
‌“2023 세계 경제 포럼 미래 직업 보고서”를 인터넷에서 찾아보거나 참고자료를 보면서 미래의 직업은 어떻게 변하게

될지 생각해보고, 미래 사회에서 필요한 역량 또는 기술 능력 3개를 찾아서 적어보자.

활동 소감
오늘의 활동을 통해 직업역량을 기르기 위해 현재 나의 고등학교 생활에서 가져야 할 태도와
계획은 무엇인지 적어보고 발표하여 보자.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71


7

직업 정보의
탐색
1/4
직업의 의미와 직업 정보 탐색처 알아보기
차시
7-1

활동목표
•‌직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관을 알아보고 원하는 직업 정보를 찾을 수 있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직업에 대한 의미를 생각하도록 한다.
•‌직업 정보에 대한 탐색의 중요성을 안내한다.
•‌직업 생활을 유지하지 못하고 그만두는 주요 요인을 직업 정보의 부재와 연결시켜 안내한다.
•‌희망 직업에 대한 정보만 찾지 않도록 하고 희망 직업과 관련된 직업, 또는 관련이 없다고 생각하는 다양한
직업에 대한 정보를 찾아볼 수 있도록 한다.
•‌직업 정보를 탐색한 후 자신의 특성과 연결 지어 생각해 볼 수 있도록 안내한다.
•‌직업 정보를 제공하는 다양한 기관(누리집)을 방문하도록 한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동기 유발 : 직업 정보가 부족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 생각하기


도입 5'
본시 학습 목표를 확인하고 활동 방법을 설명하기
‌직업을 가져야 하는 이유를 적으면서 직업의 의미에 대해 생각한다.
20'
알고 싶은 직업 정보 적어보기
전개 ‌
직업 정보처를 활용하여 기념일에 해당하는 직업을 찾으며 직업에 대한
이해도 넓히기 20'
직업을 가져야 하는 이유와 기념일과 관련된 직업 발표하기
활동 정리
마무리 5'
차시 예고

평가
•‌직업의 의미를 5개 이상 생각하여 적을 수 있다.
•‌직업 정보를 제공하는 기관을 다양하고 충분하게 잘 활용하고 있다.
•‌원하는 직업 정보를 찾아낼 수 있다.

72 서울특별시교육청
참고 읽기자료 7-1

직업 정보 탐색

Ⅱ 직업 탐색
가. 직업

개인이 경제적으로 독립적인 삶을 살아가며, 사회 속에서 관계를 맺고 사회를 발전시키며 자신의 성취감을 충족
시키는데 필요한 지속적인 사회 활동으로 경제성, 지속성, 윤리성을 조건으로 한다.

7
직업 정보의 탐색
나. 직업 정보 탐색의 필요성

특정 분야의 직업에 대해 알고자 하는 경우 이 분야에 대해 자신이 왜 관심을 가지게 되었는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직업을 선택할 때 TV 프로그램을 보고 호기심이 생겨서, 그냥 멋있어 보여서, 부모님이 희망하셔서, 돈을 많이
버는 것 같아서 등의 다양한 이유가 있을 것이다. 직업을 선택할 때는 자신에게 잘 맞는지, 자신이 원하는 것들을
충족할 수 있는지, 과학 기술의 변화와 사회의 변화를 고려하면서 직업 선택의 이유 등을 점검해 보아야 하는데, 이때
필요한 것이 구체적인 직업 정보이다. 아래와 같은 직업 정보를 찾아보고 이해하는 것은 자신이 직업을 선택하고
준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산업 분류에 따라 직업을 찾아보고 이해한다.


•가치관, 적성, 능력, 성격, 흥미, 직업 전망 등의 기준을 생각하며 직업 정보를 찾아본다.
•전문적인 직업 분야를 희망하는 경우 전문가와의 인터뷰로 관련 정보를 탐색하고 최신 정보를 확인한다.
•해당 직업을 갖기 위해 준비해야 할 구체적이고 상세한 정보를 찾아본다.
•‌돈을 많이 버는 직업 등의 막연한 조건이 아니라 임금수준, 근무환경 등의 직업 외적 요인과 적성, 흥미 등 내적
요인에 대해 알아본다.
•‌선택한 직업의 전망과 해당 직업의 현황에 대해 구체적 통계치로 확인한다.

다. 직업 정보 탐색 방법

•직접 탐색 : ‌직업 현장의 견학, 현장 실습, 인턴십을 통하여 직업을 체험하거나 직업 체험 기관에서 직접 직업
체험 활동을 하면서 탐색할 수 있다.
•간접 탐색 : ‌인터넷, 신문, 책 등의 자료를 검색하거나 직업 정보를 체계적으로 제공하는 누리집과 직업인 초청
강연, 직업인 인터뷰 영상 등을 통하여 탐색할 수 있다.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73


참고 읽기자료 7-1

직업 정보 안내 기관

기관명(누리집 URL) QR 주요 메뉴

워크넷 채용 정보, 직업·진로


https://www.work.go.kr 고용복지정책, 훈련정보, 인재 정보 등

커리어넷 진로심리검사, 진로상담, 직업 정보,


https://www.career.go.kr 학과정보, 진로 동영상, 진로 교육자료 등

진로 정보·직업 정보, 진로 검사, 대학 진학 정보,


서울 진로 진학 정보 센터
고교진학 정보, 상담 신청, 진학설명회영상,
https://www.jinhak.or.kr
진학 상담프로그램 등

메이저맵
학과검색, 학교검색, 직업검색
https://www.majormap.net

대학어디가 진로 정보, 대학/학과/전형, 성적분석,


https://www.adiga.kr 대입 상담, 대입 정보센터 등

전문대학 포털 전문대학 소식, 진로 정보, 입학 정보


https://www.procollege.kr 평생 교육정보, 진학 지원

교육 방송
https://home.ebs.co.kr/ 직업 탐구 별일입니다.
starlikejobs/main

큐넷 국가자격시험, 전문자격시험, 자격증/확인서


https://www.q-net.or.kr ※자격에 대한 상세 자격정보 제공

74 서울특별시교육청
활동지 7-1 직업의 의미와 직업 정보 탐색처 알아보기

직업의 의미와 직업 정보 탐색처 알아보기

Ⅱ 직업 탐색
‌내가 생각하는 직업의 의미를 적어보고 직업 정보를 탐색할 수 있는 기관을 방문하여 직업을 찾아보자.

‌내가 직업을 가져야 하는 이유를 구체적으로 5개 이상 우선순위대로 적어보자.



(희망 직업이 결정되지 않았어도 직업을 가져야 할 이유에 대해 적어 보자.)

7
예 부모님께 용돈을 드리고 싶다.

직업 정보의 탐색
➊

‌직업을 선택할 때 어떤 정보가 필요한지 생각해 보고 적어보자.


예 직업과 관련된 학과는 무엇일까? 임금은 얼마인가?

‌참고 자료의 직업 정보 안내 기관을 활용하여 아래의 기념일과 관련 있는 직업을 찾아보면서 직업의 이해를 넓혀보자.

보건의 날 (4. 7.)

정보통신의 날 (4. 22.)

법의 날 (4. 25.)

환경의 날 (6. 5.)

철도의 날 (6. 28.)

- 자료 행정안전부(https://www.mois.go.kr)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75


2/4
직업 분류별 직업 정보 탐색
차시
7-2

활동목표
•‌직업을 분류별로 찾아볼 수 있고 직업 정보에 대한 구체적 내용을 찾을 수 있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직업 정보에 대한 탐색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직업을 분류별로 찾는 이유를 안내한다. 전직할 수 있는 직업을 찾는데 좋은 기준이 될 수 있으며 희망하는 분야의
직업이 어느 정도인지 파악할 수 있다.
•‌희망 직업에 대한 정보만 찾지 않도록 하고 희망 직업과 관련된 직업 또는 관련이 없다고 생각하는 다양한 직업에
대한 정보를 찾아볼 수 있도록 한다.
•‌참고 자료를 활용하여 찾아야 할 정보를 안내한다.
•‌직업 정보를 탐색한 후 자신의 특성과 연결 지어 생각하도록 한다.
•‌직업 정보를 찾을 때 현재 성적을 기준으로 제한하지 않도록 한다.
•‌직업 정보를 찾을 때 선택한 이유를 생각해 보게 한다.
•‌학생들이 선택한 직업에 대해 서로 부정적, 비판적인 말을(네가? 어떻게, 등) 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동기 유발
도입 5'
본시 학습 목표를 확인하고 활동 방법을 설명하기

‌직업 분류별 기준 직업 찾기 10'

전개 ‌관심 있는 직업에 대한 구체적 정보 탐색하기 20'

‌자신이 관심 있어 하는 직업에 대해 발표하기 10'

활동 소감 발표하기

마무리 활동 정리 5'

차시 예고

평가
•‌직업을 한국 직업 정보에서 제공하는 분류 기준에 따라 검색할 수 있다.
•관심 있는 직업에 대해 검색하여 구체적 정보를 발표할 수 있다.
•자신의 특성과 연관을 지어 희망 직업의 범위를 좁힐 수 있다.

76 서울특별시교육청
참고 읽기자료 7-2

직업 정보 찾기

Ⅱ 직업 탐색
가. 워크넷(https://www.wokr.go.kr)의 한국 직업 정보 분류를 통하여 직업 찾기

•[직업·진로] - [한국직업정보] - [직업 분류 1차 선택] - [직업 분류 2차 선택] - [관심 직업 3개 선택]

7
직업 정보의 탐색
관심 분야 선택

나. 선택한 직업 정보 찾기

관련 학과와
관련 자격을 알 수 있음 선택한 직업명

직업의 직무개요와 임금과 일자리 전망(전문가가 직업과 관련된 성격/흥미/가치관을


수행업무를 알 수 있음 분석한 일자리 전망)을 알아봄 찾아봄(직업 간 비교로 찾아봄)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77


활동지 7-2 직업 분류별 직업 정보 탐색

직업 분류별 직업 정보 탐색

‌워크넷의 한국 직업 정보를 활용하여 직업 분류별로 직업 정보를 탐색해 보자.

1차 분류 2차 분류 직업 선택

10개의 분류 중 관심 있는 분야 선택한 1차 분류에 속한 2차 분류에는 2차 분류 중 관심 있는 분야 하나를 선택한


3개를 골라 적어보자. 어떤 것이 있는지 찾아서 후 제시하는 직업 중 관심 있는 직업 3개를
2개 이상 적어보자. 적어 보자.(제시한 직업이 적으면 1~2개)

➊

조건 검색을 통해 분류가 다르지만,


관심 있는 직업이 있다면 적어보자.

➊

‌위의 탐색 활동에서 가장 관심 있는 직업을 적어보고 이 직업에 대한 생각을 적어보자.

직업 선택 2차 분류 1차 분류

이 직업에 대한 생각( 예 희망직업과 동일해서 힘이 생김)

78 서울특별시교육청
활동지 7-2 직업 분류별 직업 정보 탐색

‌가장 관심 있다고 선택한 직업에 대한 구체적인 직업 정보를 찾아 적어보자.

Ⅱ 직업 탐색
직업명

하는 일

7
직업 정보의 탐색
관련 학과 관련 자격

임금 전망

이 직업이
관심 있었던
이유는 무엇인가?

이 직업에 대해
새롭게 알게 된
점은?
(실망스러운
부분도 좋음)

활동 소감
직업 정보를 찾아본 후 자신의 느낌과 소감을 적어보자.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79


3/4
상세 직업 정보 탐색
차시
7-3

활동목표
•‌희망 직업에 대한 상세 정보를 찾아보고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한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희망 직업이 정해지지 않았어도 싫어하지 않는 정도의 직업을 선택하여 찾아본다.
•‌희망 직업의 외적 조건과 달리 상세 직업 정보는 내적인 조건과 관련이 깊고 직업을 유지하는 중요한 기준이
될 수 있음을 안내한다.
•‌직업에 대한 상세한 정보인 성격, 흥미, 가치관, 능력, 지식 등의 문제는 학교 내에서 진로 역량을 키우는데 중요한
기준이 되고 상급학교 진학에도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안내한다.
•‌각 항목의 내용은 높은 순서대로 적을 수 있도록 한다.
•‌3개, 5개 등 정해진 조건 이외에도 충분히 살펴보고 적도록 한다.
•‌직업에 대한 상세한 정보는 직업을 선택하고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점을 안내한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동기 유발
도입 5'
본시 학습 목표를 확인하고 활동 방법을 설명하기

‌희망 직업에 대한 상세정보를 찾아서 적는다. 15'

‌상세정보에 대해 자신의 특성을 비교해보고 활동지를 기록한다. 15'


전개

‌
희망 직업에 대한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말하고 약점을 어떻게 극복할 수
10'
있을지 또는 강점을 어떻게 강화할지에 대해 발표한다.

활동 정리
마무리 5'
차시 예고

평가
•‌희망 직업에 대한 상세 내용을 찾아서 적을 수 있다.
•‌직업에 대한 상세 내용의 의미를 파악하고 자신의 특성과 비교할 수 있다.
•‌약점을 극복하고자 하는 태도, 강점을 강화하고자 하는 태도를 가질 수 있다.

80 서울특별시교육청
참고 읽기자료 7-3

상세 직업 정보 탐색(PC용)

Ⅱ 직업 탐색
7
직업 정보의 탐색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81


참고 읽기자료 7-3

상세 직업 정보 탐색(모바일용)

82 서울특별시교육청
활동지 7-3 상세 직업 정보 탐색

상세 직업 정보 탐색

Ⅱ 직업 탐색
참고 자료를 활용하여 희망 직업에 대한 업무 수행 능력, 지식, 성격, 흥미, 가치관, 관련 학과를 찾아서 작성해 보자.
각 항목은 높은 점수 순서대로 5개 이상 찾아서 기록하고, 작성한 후에는 자신이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는 항목에 ◦표시
해보자.(나의 이해 활동에서 나타난 적성, 흥미, 가치관, 성격을 참고하여도 좋음)

‌희망 직업명

7
직업 정보의 탐색
직업명

관련 학과 업무 수행 능력 지식

성격 흥미 가치관

•‌위의 조사에서 앞으로 자신이 길러야 할 역량이나 지식 또는 바꾸기를 희망하는 성격 등이 있다면 무엇인지 적어보자.

길러야 할 역량이나 지식

바꾸기를 희망하는 점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83


4/4
희망 직업 결정하기
차시
7-4

활동목표
•‌다양한 기준을 반영하여 합리적으로 희망 직업을 결정해 볼 수 있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직업을 결정하기 위한 다양한 조건들에 집중하고 자신이 결코 양보할 수 없는 조건이 무엇인지 알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희망 직업의 선택기준에 가장 싫어하는 기준을 추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직업의 선택기준 중 사람들과 부딪치는 근무 조건은 정말 견디기 힘들다면 사람들과 마주하지 않는다
는 부정적인 기준을 추가할 수 있음을 알려준다.
•‌모두 만족하는 직업, 모두 불만족스러운 직업은 없다. 이 활동을 통해 자신이 감수할 수 있는 기준과 감수할 수
없는 기준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도록 하는 것에 집중한다.
•‌희망 직업이 1개로 정해져 있어도 다른 직업과 비교해 볼 수 있는 기회이므로 3개의 직업을 모두 후보로 놓은 후
활동하도록 한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동기 유발
도입 5'
본시 학습 목표를 확인하고 활동 방법을 설명하기

‌
본인만의 직업 선택기준을 추가하고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기준에
가중치를 추가해 본다.
20'

전개 ‌활동지를 작성한다.

‌활동지 결과를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직업 선택기준과 가장 싫어하는 직업


20'
선택기준이 무엇인지를 중심으로 발표한다.

활동 내용 정리
마무리 5'
차시 예고

평가
•‌직업의 선택기준을 다양하게 말할 수 있다.
•‌직업의 선택기준의 중요도를 자신의 특성을 고려하여 정할 수 있다.
•‌합리적인 의사 결정 방법을 연습하고 활용할 수 있다.

84 서울특별시교육청
활동지 7-4 희망 직업 결정하기

희망 직업 결정하기

Ⅱ 직업 탐색
‌활동지 작성 방법

➊ ‌희망 직업 3개를 적고, 나의 직업 선택기준을 추가하여 적는다.


➋ ‌배점은 매우 그렇다 5점, 보통이다 3점, 그렇지 않다 1점으로 주고, 가장 중요한 기준에는 가중치를 준다. 가중치는 가장
중요 중요하게 여기는 항목 3개를 선택하고 각각 2점, 2점, 1점을 더하여 점수를 매긴다.
( 예 ‘재미있게 일할 수 있다’에 가중치 2점을 주면 만점은 7점이 됨)

7
직업 정보의 탐색
➌ ‌희망 직업의 점수를 세로로 합하여 평가해본다.

만점 가중치 희망 직업1 희망 직업2 희망 직업3


직업 선택기준
(95) (5)
흥미와 나의 능력이 잘 발휘될 수 있다. 5
적성 재미있게 일할 수 있다. 5
임금을 기대한 만큼 받을 수 있다. 5
보상
복리후생이 잘 되어 있다. 5
전문지식을 활용할 수 있다. 5

발전 경력이 쌓일수록 전문성이 향상된다. 5


가능성 승진 기회가 많다. 5
다른 직업으로 이직이 쉽다. 5

사회 사람을 도울 수 있다. 5
기여 사회적으로 인정받는다. 5

근무 육체적, 정신적으로 힘들지 않다. 5


여건 작업 환경이 좋다. 5
일자리가 증가한다. 5
일자리
인공지능으로 없어질 가능성이 작다. 5
전망
공부/취업하기가 어렵지 않다. 5
성별이나 나이에서 차별이 적다. 5
고용
여건 본인이 희망하면 계속 일을 할 수 있다
5
(고용 안정성)

본인 5
기준 5
총합계 100점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직업은 무엇이고 결과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적어보자.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85


8

직업 경로의
탐색
1/3
직업인 인터뷰
차시
8-1

활동목표
•‌직업인 인터뷰를 통하여 직업의 경로에 대해 이해한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직업인을 선택할 때 직업 정보기관의 직업인 인터뷰 영상을 활용한다.
•‌학생 주변인의 직업인을 선택하여 인터뷰 할 수도 있음을 안내한다.(수업 이외에 개별적 진행)
•‌직업인 인터뷰에서 직업인들이 선택의 갈림길에서 어떤 선택의 기준을 사용했는지 살펴보도록 안내한다.
•‌직업인들은 어려운 점을 어떻게 극복했는지 찾아보도록 한다.
•‌직업 선택 시 직업인들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무엇이었는지 찾아본다.
•‌직업인들이 느끼는 보람과 직업에 필요한 윤리가 무엇인지 생각해 본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동기 유발
도입 5'
본시 학습 목표를 확인하고 활동 방법을 설명하기

‌희망하는 직업인 영상을 선택한다.


20'
전개 인터뷰 영상을 보고 직업인에 관한 내용을 적는다.

인터뷰를 통해 직업인에 대해 생각한 점을 활동지에 적는다. 20'

활동 내용 정리

마무리 발표 5'

차시 예고

평가
•‌직업인 영상을 적절하게 찾을 수 있고 진지한 태도로 경청할 수 있다.
•‌직업인에 대해 알고자 하는 중요 내용을 확인하고 정리할 줄 알며 발표할 수 있다
•‌직업인 인터뷰를 통해 직업에 대한 가치를 찾아낼 수 있다.

86 서울특별시교육청
활동지 8-1 직업인 인터뷰

직업인 인터뷰

Ⅱ 직업 탐색
직업 정보 탐색을 통하여 희망 직업이 생겼다면 직업인이 되기 위한 경로를 다양하게 알아보는 것이 중요하다. 관련 학과,
필요한 자격, 교육 훈련 등을 알아봄으로써 희망 진로의 로드맵을 작성하여 실천해 갈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기 때문이다.
직업인 초청 강연, 직업인 인터뷰, 현장 직업 체험을 통해서 알아볼 수 있으며 희망직업의 직업인이 아니어도 진로 선택과
직업의 경험을 경청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8
•워크넷- [직업․진로]-[직업인 인터뷰]

직업 경로의 탐색
직업인 인터뷰를 볼 수 있는 곳
•커리어넷-[직업정보]-[직업인 인터뷰]
(다른 영상을 선택할 수 있음)
•ebs교육방송- 직업탐구 별일입니다.

내가 만난 직업과 직업인은 누구인가요?(직업명, 이름, 소속 등)

내가 이 직업인을 선택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이 직업인이 하는 일은 무엇인가요?

이 직업을 가지기까지 직업인은 어떤 과정을 거쳤나요?

이 직업에서 필요로 하는 능력, 흥미, 적성은 무엇인가요?

이 직업인에게 내가 배워야 할 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인터뷰를 통해 내가 새롭게 알게 된 점은 무엇인가요?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87


2/3
희망 직업 경로 찾기
차시
8-2

활동목표
•‌희망 직업에 도달하기까지의 경로를 설계할 수 있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직업인 인터뷰, 직업 정보 탐색을 통해 찾은 정보를 활용하여 희망 직업에 도달하는 경로를 찾아보도록 한다.
•‌희망 직업에 도달하는 경로를 이해하는 것은 진로방향을 설정하는데 큰 도움이 됨을 안내한다.
•‌희망 직업에 도달하는 다양한 경로를 찾고 자신에게 맞는 방법을 찾아보도록 한다.
•‌희망 직업에 도달하는 경로에서 부딪치는 어려움을 생각하고, 도전해 볼 수 있는 마음가짐을 가지도록 한다.
•‌직업 경로에 대한 편견이 걸림돌이 되는 경우가 있는지 점검해 볼 수 있도록 한다.(학력에 대한 편견, 성별에 대한
편견 등)
•‌희망 직업에 도달하는 경로를 활동지에 적어보고 자신의 직업 경로를 설계한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동기 유발
도입 5'
본시 학습 목표를 확인하고 활동 방법을 설명하기

‌직업인 인터뷰, 직업 정보 탐색 활동을 활용한다.


20'
전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자신의 희망 직업에 대한 경로를 찾아본다.

‌희망 직업 경로에 대해 적어보고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경로를 설계한다. 20'

활동 내용 정리

마무리 발표하기 5'

차시 예고

평가
•‌자신의 희망 직업에 도달하기 위한 경로를 찾아낼 수 있다.
•‌희망 직업을 위한 경로의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현재 자신이 해야 할 일을 준비하고 실천할 수 있다.
•‌희망 직업을 위한 다른 경로를 찾아낼 수 있다.

88 서울특별시교육청
활동지 8-2 희망 직업의 경로 찾기

희망 직업의 경로 찾기

Ⅱ 직업 탐색
자신의 희망 직업을 위한 경로를 찾아보자. 직업인 인터뷰, 직업 정보 탐색 등의 활동에서 탐색한 정보를 토대로 자신의
경로를 찾고 구체적 기관과 교육(훈련), 자격 등에 대해서 적어보자.

예 항공기 조종사
일반대학교
비행교육원교육
(항공운항과)

8
직업 경로의 탐색
특수대학교
일반고등학교 군조종사경력 항공사취업
(공군사관학교)
여객, 화물운송
항공사조종훈련생 항공기조작과 안전
외국교육기관
선발

나의 희망 직업

구분 고등학교 대학교 대학 이후 취직
예 일반고등학교 예 공군사관학교 예 공군 비행경력 예 A사 여객기 조종사

경로

예 기초과목(국어, 영어, 수학, 예 군사학, 국제학, 항공학 수강, 예 비행훈련시간, 예 민간항공사 전형


과학 중심) 학업역량, 진로 독서, 중국어 능력 군복무
동아리의 탐구활동, 신체능력
준비
내용

신체운동능력, 학업능력 전공 이수, 신체운동능력, 외국어 능력, 비행훈련 시간 취업 전형


군사학 이수 충족, 신체운동능력
필요
자격

일반대학교 항공운항과 비행교육원교육 헬기조종사로 취업

대안적
경로

- 대학교 일반대학교,
‌ 교육대학교, 산업대학교(청운대, 호원대), 특수대학교: 경찰대학교, 과학기술원, 한국종합예술대학교, 육·공·해군사관학교,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국군간호사관학교, 한국농수산대학교,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89


3/3
희망 직업 관련 자격 정보 탐색
차시
8-3

활동목표
•‌희망 직업 관련 자격 정보를 탐색하여 이해하고 준비할 수 있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국가기술자격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 생각해 보도록 한다.
•자격이 반드시 있어야 하는 직종도 있음을 안내한다.
•자격이 있을 때 어떤 점이 좋을지 이야기해보도록 한다.
•희망 직업과 관련된 자격증을 취득하였을 때 얻을 수 있는 장점이 무엇인지 발표한다.
•국가기술자격 외에도 어떤 자격들이 있는지 알아본다.(과정평가형 자격, 일학습병행 자격, 민간기술자격 등)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동기 유발
도입 5'
본시 학습 목표를 확인하고 활동 방법을 설명하기

‌한국산업인력공단의 국가자격시험 홈페이지에 접속한다.


[자격 정보] - [국가자격 종목별 상세정보]를 선택하여 자신이 희망하는
10'
분야의 자격증 종류를 탐색한다.
희망 분야뿐 아니라 다양한 영역들의 자격증에 대해서도 탐색해 본다.

전개
‌
희망 분야의 자격증을 선택한 후 취득 방법을 알아본다.
20'
(시행처, 관련학과, 시험과목, 검정 방법, 합격 기준)

‌자격증을 소지하였을 때의 우대 현황을 찾아보고 자격증이 어떻게


10'
활용되는지 찾아본다.

활동정리
마무리 5'
탐색한 자격 정보에 대해 발표한다.

평가
•‌필요한 자격에 관한 내용(시험정보, 자격 기본정보)을 정확하게 찾아낼 줄 안다.
•‌자격증과 학과, 직업의 관련성에 관해 설명할 수 있다.
•‌탐색한 자격증 정보에 대해 정확하게 설명하고 발표한다.

90 서울특별시교육청
참고 읽기자료 8-3

자격 정보 찾기

Ⅱ 직업 탐색
‌Q-net 누리집(https://www.q-net.or.kr)에서 관련 자격 정보 찾기

8
직업 경로의 탐색

찾는 내용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91


활동지 8-3 희망 직업 관련 자격 정보 탐색

희망 직업 관련 자격 정보 탐색

상세 희망 직업 정보 찾기, 직업 경로 찾기 등의 활동을 통해 희망 직업 관련 자격을 3개 이상 찾아서 적어보자.

희망직업 희망 직업 관련 자격

‌
큐넷(https://www.q-net.or.kr)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희망 직업 관련 자격에 대해 상세하게 찾아보고
기록해 보자.

자격명 예 사진기능사

사진분야는 광학기술의 눈부신 발전으로


기자재에 있어 양적, 질적인 발전을 보이고
자격 개요 있고 활용 분야가 확대됨에 따라 인상,
상업 사진을 중심으로 한 기능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자격임

특별히 없으나 고등학교 이상의 사진과 등


응시 자격
관련학과이면 응시에 도움이 됨

➊ ‌필기시험
사진일반, 사진재료 및 현상, 사진기계 및
촬영 전과목 혼함 60문항(60분)
시험 과목 ➋ ‌실기
디지털 사진 촬영 및 사진제작
카메라세팅작업-촬영작업-촬영데이터
PC저장 후보정-출력

기업체 홍보실, 언론 사진부서, 공공기관


관련 직업 보도실, 자료보존실, 패션업계, 특수사진
취급소 등에 일자리

공무원 임용시험, 직업능력개발 훈련교사 등


관련 시험 응시에 가점이 있으나 상세 내용은
우대 현황
큐넷과 법제처(www.law.go.kr) 홈페이지를
참조함

활동 소감
희망 직업 관련 자격 정보 탐색 활동의 소감을 적어보자.

92 서울특별시교육청
9

출근합니다!

Ⅱ 직업 탐색
1/3
채용 정보 알아보기
차시
9-1

9
출근합니다!
활동목표
•‌채용 정보를 찾을 수 있고, 자신이 갖추어야 하는 직무능력이 무엇인지 포트폴리오를 수립해 볼 수 있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대학, 학과를 선택하였다는 것보다 어떤 직무능력을 갖추었느냐가 채용의 중요한 기준이 됨을 이해한다.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직무 중심의 능력개발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도록 한다.
•‌직업과 학과의 선택 시 적성과 흥미가 직무와 깊이 관련되어 있음을 이해하고 적성과 흥미에 맞는 진학이 중요함을
이해하도록 한다.
•‌직무 중심의 직업 선택은 경력 개발의 중요한 기준임을 이해하고, 지속적인 경력 개발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이해시킨다.
•‌채용 정보를 찾아보면서 자신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직업 선택의 기준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도록 한다.
•‌4차 산업혁명의 주요 직무에 대해 알아보고 산업의 변화를 이해하도록 한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동기 유발 : 직업을 갖기 위한 과정은 무엇일까?


도입 5'
본시 학습 목표를 확인하고 활동 방법을 설명하기
‌
[워크넷]의 [채용 정보]메뉴를 활용하여 4차 산업 혁명의 채용 분야와 직무
20'
분야를 찾아 적어본다.
전개
‌자신이 희망하는 분야의 채용 정보를 찾아보면서 채용 직무들이 어떤 것이
20'
있는지 조사하고 적어본다.
활동 정리
‌희망하는 채용 기업의 채용 분야와 직무들을 발표하고 어떻게 포트폴리오를
마무리 5'
구성할지 발표한다.
차시 예고

평가
•‌희망하는 채용 분야와 직무에 대한 정보를 찾을 수 있다.
•‌직무 중심의 포트폴리오 구성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할 줄 알고 대략적인 계획을 세울 줄 안다.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93


참고 읽기자료 9-1

채용 정보 알아보기

‌워크넷(https://www.work.go.kr) - [채용 정보] - [4차 산업 혁명]

94 서울특별시교육청
활동지 9-1 채용 정보 알아보기

채용 정보 알아보기

Ⅱ 직업 탐색
‌
워크넷의 채용 정보를 활용하여 4차 산업 혁명 분야의 신직업 채용 정보를 예시와 같이 찾아보면서 4차 산업
분야의 직무에 대한 이해를 높여 보자.

4차 산업 혁명 분야의 채용 정보 알아보기
구분 예시 탐색한 채용 정보

9
출근합니다!
분야 빅데이터

채용하는
딥테크놀로지
회사명

지원 자격 대졸(2~3년)~대졸(4년)

•java 개발
직무 내용 •서버 관리
•자체 솔루션(MES, WMS, IoT 등) 개발

•정보처리기사
우대 사항 •전공 : ‌응용소프트웨어공학, 컴퓨터공학부,
전산학 컴퓨터 공학계열

‌
채용 정보를 통하여 희망하는 진로 관련 기업의 채용 정보를 찾아서 적어보면서 자격과 직무(업무)들은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자.

희망 관련 기업의 채용 정보

채용하는
회사명

모집
분야

자격요건 및
우대사항

업무
내용

전형
절차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95


활동지 9-1 채용 정보 알아보기

‌
내가 희망하는 직무(업무)를 갖기 위해서 대학에서 선택할 전공과 과목이 무엇인지 찾아보고 고등학교에서
가장 관련 깊은 과목이 무엇인지 간단하게 포트폴리오를 계획하여 보자.

의 포트폴리오

고등학교에서 선택한 과목 이수 대학의 관련 전공과목 이수

전공

관련 활동 및 자격 길러야 할 능력 (태도, 가치관, 성격, 지식 등)

활동 소감
직업, 학과, 고등학교 학습과의 관계를 생각하며 소감을 적어보자.

96 서울특별시교육청
2/3
청소년 노동 권리 알아보기
차시
9-2

활동목표

Ⅱ 직업 탐색
•‌청소년의 노동 권리에 대해 이해하고 건전한 노동 의식을 함양한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청소년들이 가장 많이 경험하는 아르바이트에서도 노동 권리가 적용됨을 설명하고 안내한다.

9
•‌청소년의 노동 권리에 대해 이해하는 것은 노동자와 사용자 모두에게 건전한 노동 의식을 갖게 하는 내용임을

출근합니다!
알도록 한다.
•노동을 제공하는 자와 고용하는 자의 올바른 계약과 이행이 직업 생활에 중요한 요인임을 알게 한다.
•동영상 자료

선생님도 청소년도 꼭 알아야 할 노동인권


https://youtu.be/8XSB4J2QNNA?si=YWtnH6Kru4QiqdA2
한국고용노동교육원

어서와 청소년 노동인권을 알려줄께


https://youtu.be/P1iHdCAk_vo?si=81VUHFuwDvNz6Cf0
광주시교육청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동기 유발 : 아르바이트 경험 있는 학생 이야기 듣기
도입 5'
본시 학습 목표를 확인하고 활동 방법을 설명하기
‌활동지의 문항을 보고 퀴즈를 풀어 본다. 왜 그렇게 생각하였는지
20'
이야기해본다.
전개
‌2023 청소년 노동 권리 안내서를 읽어보면서 옳은 답을 찾아본다.
20'
(모바일기기를 통해서 찾거나, 학급 전체 화면에서 함께 찾아본다.)
활동 정리
마무리 틀리게 생각하고 있던 부분을 확인하고 정정한다. 5'
차시 예고

평가
•‌청소년 노동 권리 안내서를 참고하여 청소년의 노동 권리를 이해할 수 있다.
•혼동하기 쉬운 청소년 노동 문제의 발생 시 안내서를 활용하여 올바른 판단을 할 수 있다.
•노동 권리에 대한 문제가 생겼을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곳을 알고 있다.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97


활동지 9-2 청소년 노동 권리 알아보기

청소년 노동 권리 알아보기

‌2023 청소년 노동 권리 안내서를 읽어보고 노동 권리에 대한 퀴즈를 풀어 보자.

2023 청소년 노동 권리 안내서


https://ebook.seoul.go.kr/Viewer/BMY5V15ZMA3E
검색창에 “2023 청소년 노동 권리 안내서”로 검색

문제 ◦,×
➊ 사장님이 아르바이트라고 근로계약서를 안 써도 된다고 한다.
➋ 근로계약서를 안 쓰면 나중에 월급을 못 받아도 청구하지 못한다.
➌ ‌며칠 후 식당 서빙 아르바이트를 그만두게 되는데 같이 일하는 친구와 이야기하다가
근로계약서를 쓰지 않으면 사장님만 벌금 나오는 것이 아니라 근로자인 저도 처벌될 수 있다고 한다.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았는데 나도 처벌받는가?
➍ ‌처음 일할 때 시간당 10,000원을 받기로 했다. 그런데 사장님이 가게가 어렵다는 이야기를 자꾸
꺼내더니 며칠 전 최저시급만 지급하겠다고 한다.
➎ ‌임금은 매월 1회 이상 정한 기일에 / 통화로 / 직접 / 근로자에게 지급해야 한다.
➏ ‌식당에서 일하던 종업원이 실수로 깬 접시 값을 월급에서 제하고 줘도 된다.
➐ ‌아르바이트생은 퇴직금을 받을 수 없게 되어 있다.
➑ ‌아르바이트하던 사업장이 큰 장마로 인하여 침수되어 휴업하였을 때 휴업수당을 받을 수 있다.
➒ ‌청소년(15세 이상 18세 미만)의 근로 시간은 하루 8시간 주 40시간으로 정해져 있다.
➓ ‌야간 근로 시간은 자정부터 아침 6시까지이다.
 ‌아르바이트하는 사업장이 바빠서 사장님 연장근로를 요구하였는데 나는 자격증 시험 준비 등으로 하
고 싶지 않다. 그러나 사업주가 요구하면 연장근로를 해야 한다고 한다.
 ‌음식점 아르바이트를 하는데 조리에 필요한 재료 준비와 뒷정리 시간도 근로 시간으로 계산해야 한다.
 ‌4시간 근로에 30분 이상, 8시간 근로에 1시간 이상의 휴식 시간을 주어야 한다.
 ‌주휴일은 7일 기간 내에서 적어도 1일의 주휴일을 주어야 한다는 것으로 일요일이어야 한다.
 ‌사업주는 해고하고자 할 때는 적어도 30일 전에 예고해야 하며, 예고를 하지 아니한 때에는
30일분 이상의 통상임금(해고 예고수당)을 지급해야 한다.

‌청소년 노동 관련 관계기관별 주요 기능 및 연락처

상담전화 : 1350 임금체불, 폭행, 최저임금, 산재은폐, 부당 노동행위 등


고용노동부
https://1350.moel.go.kr 각종 노동법 위반 진정, 고소를 하는 곳
고용센터 https://www.ei.go.kr 고용보험 문의 및 실업급여를 신청하는 곳
근로복지공단 1588-0075 일하다가 다쳤을 때 산재 신청을 하는 곳
중앙노동위원회 02-3237-0226 부당해고 부당노동행위 차별시정 등에 대해
노동위원회
http://www.nlrc.go.kr 구제 신청을 하는 곳
인권침해, 차별시정, 성희롱, 장애인 차별 등에 대해
국가인권위원회 02-2125-9700
https://www.humanrights.go.kr 진정 신고하는 곳

98 서울특별시교육청
3/3
근로계약서 작성하기
차시
9-3

활동목표

Ⅱ 직업 탐색
•‌근로계약서의 의미를 알고 근로계약서를 작성할 수 있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근로계약서는 사용자와 노동자의 권리를 모두 보호할 수 있는 것이라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노동자에게는

9
근로계약서를 근거로 근로조건이 사실과 다를 경우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으며 근로계약을 해제할 수 있음도

출근합니다!
알도록 한다.
•‌근로계약서에서 체결하는 내용은 근로기준법을 바탕으로 한다는 것을 알게 하여 사용자와 노동자와의 임의
계약체결로 모두 성립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도 주지시킨다. 즉, 근로기준법을 위반하는 근로계약이 되지 않도록
한다.
•‌단기간 근로라 하더라도 근로계약서의 작성이 중요하다는 것을 이해하고 올바른 근로 의식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동기 유발
도입 5'
본시 학습 목표를 확인하고 활동 방법을 설명하기

‌
활동지의 근로계약서 양식을 보고 번호 순서대로 함께 읽어본다.
20'
‌근로계약서에 반드시 기재해야 하는 내용을 연결해 본다.
전개
‌근로계약서 양식을 바탕으로 두 명씩 짝을 지어 사용자와 노동자의
20'
역할을 맡아 근로계약서를 작성한다.

활동 정리
마무리 5'
근로계약서를 작성해 본 소감을 발표하기

평가
•‌근로계약서의 필수 내용을 말할 수 있다.
•‌역할극에서 근로계약서를 작성해 볼 수 있다.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99


활동지 9-3 근로계약서 작성하기

근로계약서 작성하기

‌
아래 표준근로계약서 양식에서 근로계약서 작성에 필수 내용이 어디에 명시되어 있는지 예시와 같이 화살표로
찾아서 연결해 보자.

근로계약서 필수 기재 사항 (이하 ‘사업주’라 함)과(와) (이하 ‘근로자’라 함은


다음과 같이 근로계약을 체결한다.
임금과 그 구성항목,
1
계산방법, 지급방법 1. 근로개시일 : 년 월 일 부터
2. 근무장소 :
근로시간 3. 업무의 내용 :
2
(소정근로시간, 휴게시간)
4. 소정근로시간 : ‌ 시 분부터 시 분까지
(휴게시간 : 시 분~ 시 분)
3 휴일 5. 근무일/휴일 : 매주 일(또는 매일단위)근무, 주휴일 매주 요일
6. 임금
•월(일, 시간)급 : 원
4 연차유급휴가 •상여금 : 있음( 원), 없음( )
•기타급여(계수당 등) : 있음( ), 없음( ) 원, 원
•임금지급일 : 매월(매주 또는 매일) 일(휴일의 경우는 전일 지급)
취업의 장소와 •지급방법 : 근로자에게 직접지급( ), 근로자 명의 예금통장에 입금( )
5
종사해야 할 업무 등
7. 연차유급휴가
•연차유급휴가는 근로기준법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부여함
(기간제 근로자의 경우) 8. ‌사회보험 적용여부(해당란에 체크)
6
근로계약기간에 관한 사항 고용보험 산재보험 국민연금 건강보험
9. 근로계약서 교부
(단시간 근로자의 경우) •‌사업주는 근로계약을 체결함과 동시에 본 계약서를 사본하여 근로자의
7
근로일 및 근로일별 근로시간 교부요구와 관계없이 근로자에게 교부함(근로기준법 제 17조 이행)
10. 근로계약, 취업규칙 등의 성실한 이행의무
•‌사업주와 근로자는 각자가 근로계약, 취업규칙, 단체협악을 지키고 성실
하게 이행하여야 함.
11. 기타
•‌이 계약에 정함이 없는 사항은 근로기준법령에 의함

년 월 일
(사업주) 사업체명 : (전화 : )
주 소:
대표자 : (서명)
(근로자) 주 소:
연락처 :
성 명: (서명)

※ ‌기간제 근로자의 경우 ‘근로계약 기간’, 단시간 근로자의 경우 ‘근로일 및


근로일별 근로시간’ 추가 기재하여야 합니다.

100 서울특별시교육청
활동지 9-3 근로계약서 작성하기

‌아래의 상황을 읽어보고 역할을 담당하여 근로계약서를 작성해보자.


각 역할에 따라 속에 자신의 이름을 넣는다.

Ⅱ 직업 탐색
사용자

안녕하세요? 제출하신 지원서를 보고 연락드립니다.


10월 10일 화요일 11시 면접 가능하신지요? 노동자

9
출근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메시지로 안내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메시지 확인하고 약속한
시각에 방문하겠습니다.

우리 사업장의 근무 시간은 9시~18시까지이고


사업장은 송파지점입니다.
하실 일은 사업장 내에서의 물품 판매와
일일 재고정리와 본사 보고서 제출입니다.
휴게시간은 몇 시부터인가요?

휴게시간은 12시부터 13시까지이고 매월 하루 유급


연차휴가 있어요. 그리고 4대 보험 적용됩니다. 연봉은 가능하면 3,000만원 정도 생각하고 있고,
급여는 연봉 어느 정도까지 생각했나요? 점심값이 지원되면 2,800만원 까지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급량비는 별도로 없고 3,000만원 정도 가능합니다.


11월 1일부터 근무 가능하신지요? 예 가능합니다.
필요한 서류는 어떤 것을 준비해야 하나요?

주민등록등본, 통장 사본, 졸업증명서가 필요하고


추가 서류는 입사 후 알려드릴게요.
11월 1일 오셔서 근로계약서 작성하시면 좋겠습니다.

예, 아침 8시 30분까지 그곳으로 가겠습니다.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101


활동지 9-3 근로계약서 작성하기

근로계약서

(이하 “사업주”라 함)과(와) (이하 “근로자”라 함)은 다음과 같이 근로계약을 체결한다.

① 근로계약기간 년 월 일 부터 년 월 일 까지
② 근무장소
③ 업무의 내용
④ 소정근로시간 시 분 부터 시 분 까지 (휴게시간 : 시 분~ 시 분)
⑤ 근무일/휴일 매주 일(또는 매일 단위) 근무, 주휴일 매주 요일
⑥ 임금
•월(일, 시간)급 : 원
•상여금 : 있음 ( ) 원, 없음 ( )
•기타급여(제수당 등) : 있음 ( ), 없음 ( )
- 원, 원
- 원, 원
•임금지급일 : 매월(매주 또는 매일) 일(휴일의 경우는 전일 지급)
•지급방법 : 근로자에게 직접지급( ), 근로자 명의 예금통장에 입금( )
⑦ 연차유급휴가 - 연차유급휴가는 근로기준법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부여함
⑧ 사회보험 적용여부(해당란에 체크) 고용보험 산재보험 국민연금 건강보험
⑨ 근로계약서 교부
- ‌사업주는 근로계약을 체결함과 동시에 본 계약서를 사본하여 근로자의 교부요구와 관계없이 근로자에게 교부함(근로기
준법 제17조 이행)
⑩ 근로계약, 취업규칙 등의 성실한 이행의무
- 사업주와 근로자는 각자가 근로계약, 취업규칙, 단체협약을 지키고 성실하게 이행하여야 함
⑪ 기타 - 이 계약에 정함이 없는 사항은 근로기준법령에 의함

년 월 일

(사업주) 사업체명 : (전화 : )


주 소:
대표자: (서명)

(근로자) 주 소:
연 락처:
성 명: (서명)

102 서울특별시교육청
10

[프로젝트]

Ⅱ 직업 탐색
창업가정신의 이해와 창업 활동

10
[프로젝트] 창업가정신의 이해와 창업 활동
10-1 창업가정신 핵심역량 진단해보기
- 활동자료 및 그래프 자료 온라인 창업체험교육 플랫폼 YEEP 인용

창업가정신 핵심 역량

핵심 역량군 핵심역량

미래의 변화에서 새로운 기회를 적극적으로 탐색하고,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에 대해 관심을 갖고


관련 지식을 탐구하며, 창의적인 방식으로 가치있는 대안을 창출할 수 있음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에 대해 새롭고 창의적인 방식으로 접근해 가치있는


가치창출 혁신성
대안을 제시할 수 있음
역량군
사회적
사회적 문제 해결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관련 지식을 활용하여 가치를 창출할 수 있음
가치 지향

변화민첩성 외부적 변화에 대하여 기회를 발견하고 빠르게 대응할 수 있음

새로운 기회의 가치와 위험을 합리적으로 고려하고 관리할 수 있는 지식과 기술을 추구하며,
기회의 실현을 위해 적극적으로 도전할 수 있음

도전 성취지향성 최고 수준의 목표를 설정하고 반드시 달성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할 수 있음


역량군 새로운 기회가 제공하는 가치와 위험을 고려하여 일정 수준의 위험을 부담하고,
위험감수역량
적극적으로 도전할 수 있음

회복탄력성 실패에 좌절하지 않고 원래의 목표 달성을 위해 다시 시작할 수 있음

새로운 가치 창출을 위해 목표를 설정하고, 자기 스스로 계획을 세우며 통제하여 목표 달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수 있음
자기주도 자율성 스스로 목표와 원칙을 설정하고, 능동적으로 일하며 결과에 대해 책임을 질 수 있음
역량군
자기관리역량 정해진 원칙에 따라 자신의 행동을 통제하고 정서적 자기 조절 능력을 발휘할 수 있음

끈기 목표 달성을 위하여 쉽게 단념하지 않고 끈질기게 집중할 수 있음

공동 목표 달성을 위해 유연한 사고로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고, 타인의 지지와 도움을 이끌어 내며,
다양한 자원을 연계하여 집단의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음

집단창의 서로 다른 의견을 존중하고 상이한 의견의 장단점을 비교 분석하여 더 나은 방안을


공동의사결정
역량군 도출할 수 있음

자원연계역량 목표 달성에 필요한 인적, 물적, 기술, 정보 자원을 발굴하고 효율적으로 동원할 수 있음

협력성 새로운 가치 창출을 위해 타인과 목표를 공유하고, 서로 도우며 함께 일할 수 있음

- 자료 청소년 창업가정신 핵심역량 진단 도구 개발 보고서(교육부•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 2020)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103


활동지 10-1 창업가정신 핵심역량 진단해보기

창업가정신 핵심역량 진단해보기

‌
온라인 창업체험교육 플랫폼 YEEP을 통해 자신의 창업가정신 핵심역량을 진단하고 결과를 적어 보자.
온라인 창업체험교육 플랫폼(YEEP) - https://yeep.go.kr

의 창업가정신 핵심역량 진단결과

추천 창업가 명언을 적어보자.

나의 창업가정신 핵심역량 진단결과표를 보고 나의 수준을 그래프에 표시해보자.

혁신성
100
협력성 사회적가치지향

80

60

자원연계 변화민첩성
40

20

공동의사결정 성취지향성

20

40
끈기 위험감수역량
60

80

자기관리역량 회복탄력성
100

자율성

104 서울특별시교육청
활동지 10-2 문제 선정과 해결 방안 찾기

문제 선정과 해결 방안 찾기
- 자료 온라인 창업체험교육 플랫폼 YEEP

Ⅱ 직업 탐색
‌활동 주제 및 순서

우리가 해결하고 싶은 문제(창업아이템)를 선정한 후 구체적인 해결방안을 작성하고,


우리가 만들고 싶은 가치는 무엇인지 이야기하고 적어보자.
➊ 문제 찾아보기 : 조원들이 우리 주변의 문제를 포스트 잇에 적어 붙인다.

10
➋ 문제의 선정 : 문제를 선정하고 선정한 이유를 적는다.

[프로젝트] 창업가정신의 이해와 창업 활동


활동 ➌ 조원들이 문제에 대한 해결 방법을 각자 3가지 이상 적는다.
순서 ➍ 문제 해결 방법을 조원들과 공유하고 내용을 정리한다.
➎ 정리한 해결책을 바탕으로 창업아이템을 선정하고 이루고 싶은 가치에(이유) 대해 서로 이야기를 나눈다.
➏ 팀원 중에서 선정한 문제 - 해결 방법- 창업아이템 – 만들고 싶은 가치를 차례로 정리하여 발표한다.

‌예시

“일반 식판에 밥과 반찬을 가득 담으면 일반 성인들 2명이서 먹어도 남길 수 있는 양이 나온다”며


문제점 환경문제를 넘어 학생들 급식의 질과도 직결된 중요한 문제여서 학교 급식의 절반 이상이
‘잔반’으로 버려지는 문제 발생

음식쓰레기의 발생은 환경문제를 유발함. 식자재비의 상승은 학생들의 급식의 질에 영향을 줌.


선정한 이유
학생들의 과식과 적절한 음식의 양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함.

해결 방법 식판에 선을 그어 밥량을 적당하게 담을 수 있게 한다.

무지개 식판 - 이미지 자료 머니투데이)

창업아이템

•식자재 비용의 절감
문제 해결로
•환경 보전에 기여함
만들고 싶은
•잔반을 처리하는 비용 절감과 노동력 감소
가치
•급식의 질 개선, 학생의 건강 증진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105


활동지 10-2 문제 선정과 해결 방안 찾기

학년 반 이름 / 학년 반 이름

학년 반 이름 / 학년 반 이름

학년 반 이름 / 학년 반 이름

문제점

선정한 이유

해결 방법

창업아이템
(그림, 사진,
글 등으로 표현)

문제 해결로
만들고 싶은
가치

106 서울특별시교육청
활동지 10-3 내가 살고 싶은 미래사회

내가 살고 싶은 미래사회
- 자료 온라인 창업체험교육 플랫폼 YEEP

Ⅱ 직업 탐색
‌활동 주제 및 순서

지금 내가 살고 있는 사회와 앞으로 살고 싶은 사회(공동체)는 어떠한 곳인가요?


▶ 참고 영상

지식채널e-일자리의 미래

10
[프로젝트] 창업가정신의 이해와 창업 활동
https://youtu.be/P28DFNSwtwE

‘인공인간’까지 등장.일상을 바꾸는 ‘인류의 미래’ AI로봇


https://youtu.be/941xFg2g92M?si=XCIfFZ8opCUm_Fpn

활동 영화 휴먼스
순서 https://youtu.be/QBVFpZ27F-4?si=7m8zpQY0RllvcRLv

▶ 참고 도서 “인간은 필요 없다”

➊ ‌영상 시청
➋ ‌자신이 인지하고 있는 현재 사회를 그림으로 그리고, 미래 사회를 상상하여 그립니다. 설명을 추가하여도
좋습니다.
➌ ‌팀원들과 그림에 대하여 이야기를 나누어 봅니다.
➍ ‌미래의 신기술은 어떤 것이 있는지 찾아보고 우리 사회에 어떻게 적용될지 이야기를 나누어 봅니다.

‌예시

현재 사회 미래 사회

신기술 인공지능, 로봇, 챗봇, 딥러닝, 자율주행자동차, 빅데이터

예 ‌ 리적 규범이 적용된 인공지능의 사용, 위험 환경과 인간의 생명을 구하는 인공지능,



정보보호가 철저하게 지켜지는 사회 등
내가 바라는
미래의 모습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107


활동지 10-3 내가 살고 싶은 미래사회

소속

학년 반 이름

영상시청 소감

내가 생각하는 현재 사회 내가 상상하는 미래 사회

영상, 인터넷 등을
통해 찾아 본
신기술

내가 희망하는
미래 사회
(미래사회에
바라는 것)

108 서울특별시교육청
활동지 10-4 창업 아이디어 공모

창업 아이디어 공모

Ⅱ 직업 탐색
‌활동 주제 및 순서

창업 아이디어 공모
➊ ‌창업 조건을 보고 아이디어를 구상한다.

창업 분야 모든 분야(식자재 판매, 식음료, 패션, 무형서비스 등)

10
[프로젝트] 창업가정신의 이해와 창업 활동
자본금 1,000만원
활동 창업 가치 환경 보호에 도움이 되는 창업, 사회적인 공헌이 가능한 창업 등
순서 ➋ ‌창업 분야 선정
➌ 창업아이디어
➍ 홍보 전략(슬로건, 로고 등)
➎ 기대 수익

‌예시

창업 분야 신발 분야
자본금 1,000만 원
컨셉 내일을 위한 신발(Shoes for Tomorrow)
•‌탐스슈즈의 CEO인 블레이크 마이코스키(Blake Mycoskie)는 아르헨티나로 여행을 갔다가
문제점
신발이 없어 맨발로 뛰어다니는 아이들을 발견하게 됨
•이들을 돕기 위해 2006년 탐스슈즈를 설립하여 신발을 직접 만들기 시작함.
해결 방법 •‌탐스슈즈의 독특한 점은 판매 방식임. 신발 한 켤레가 팔릴 때마다 신발이 필요한 아르헨티나와
다른 빈곤국 아이들에게 한 켤레를 기부하는 운동을 펼침

예쁘고 편한 신발을 만드는


회사를 설립하여서
창업내용 한 켤레의 신발이 팔릴 때마다
(아이디어) 한 켤레의 신발을
가난하고 어려운 사람들에게 기부함

•탐스슈즈의 TOMS 브랜드 이름은 TOMorrow’s Shoes에서 따온 것 강조


홍보 •슬로건은 내일을 위한 신발이라는 뜻의 Shoes for Tomorrow라고 정함
•로고의 디자인과 색깔은 사업의 영감을 얻은 아르헨티나 국가 참고함
기대 수익 기업으로 성장함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109


활동지 10-4 창업 아이디어 공모

학년 반 이름 / 학년 반 이름

학년 반 이름 / 학년 반 이름

학년 반 이름 / 학년 반 이름

창업 분야

자본금 1,000만 원

컨셉

문제점

해결 방법

창업내용
(아이디어)

홍보

기대 수익

110 서울특별시교육청
m e m o

Ⅱ 직업 탐색
10
[프로젝트] 창업가정신의 이해와 창업 활동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111



학과
탐색

11
계열(학과) 분류

12
나의 희망전공학과

13
전공학과의 변화

14
나만의 학과 만들기

15
전공학과 선택 기준

16
[프로젝트] 독서 연계 진로수업
11

계열(학과) 분류
1/1
계열(학과) 분류표 만들기
차시
11-1

활동목표
•학과의 진로 특징을 파악하고 이를 계열별로 정확히 분류할 수 있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5~6명의 모둠을 구성하여 모둠활동으로 진행한다.
•‌활동을 개인-모둠-자료 탐색 순서로 단계별로 접근할 수 있도록 진행한다.
•‌개별 활동부터 시작함으로써 학생 스스로 자신이 얼마나 좁은 사고 안에서 진로고민을 하고 있는지 느낄 수
있도록 적절하게 이끌어간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본시 학습 및 활동 목표를 확인하고 활동 과정을 설명한다.
도입 10'
참고 자료의 출처를 토대로 제시된 계열 구분에 대한 기초 정보를 설명한다.
‌1단계 : ‌다른 사람의 도움이나 정보 탐색 없이 자신이 알고 있는 전공학과를
7'
계열별로 구분해서 아는 데까지 적게 한다.
‌2단계 : ‌모둠원들이 적은 내용을 순서대로 발표하게 하고 자신이 기록한
내용에 없는 학과는 구분하여 적게 한다. 발표 과정에서 잘못된 10'
전개
부분은 모둠원들과 함께 논의하여 수정해 나간다.
‌3단계 : ‌제시된 참고 자료 사이트나 커리어넷, 워크넷 등을 활용하여
모둠별로 학과를 검색하여 더 보충하게 한다. 13'
이렇게 탐색하여 보완된 학과는 1, 2단계와 구분하여 기록한다.
‌3단계로 진행된 활동 단계를 비교하여 자신이 알고 있던 내용을 스스로
평가하게 한다.
마무리 10'
‌스스로 평가한 내용을 바탕으로 소감을 발표한다.
다음 차시로 자신의 희망 전공학과에 대한 정보 탐색활동을 예고한다.

평가 - 학과를 계열별로 제대로 분류할 수 있는가?


•‌상 대학별로 다양한 학과명을 계열별로 정확히 구분할 수 있다.
•‌중 일반적인 학과명은 충분히 구분할 수 있으나, 융합학과 등 애매한 학과는 구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하 학과를 계열별로 분류하는 것에 아직도 어려움을 느낀다.

114 서울특별시교육청
참고 읽기자료 11-1

학과 구분 및 정의

Ⅲ 학과 탐색
가. 인문계열

•‌인문계열은 모든 학문의 근본이 되는 인문학을 교육하고 연구함을 목표로 한다. 인문학은 라틴어의 ‘후마니타스
(humanitas)’라는 말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인간과 인간의 문화에 관심을 갖거나 인간의 가치와 인간만이 지닌
자기표현능력을 바르게 이해하기 위한 과학적인 연구 방법에 관심을 갖는 학문 분야로서, 단순히 전문 지식을

11
연구하는 데 그치지 않고 ‘삶’과 ‘앎’ 그리고 ‘함’에 대한 보편적 진리와 가치를 함양하고 전수하는 기초학문에 속한다.

계열(학과) 분류
이러한 까닭에 인문대학은 인문학과 관련된 전문적인 교과 이외에도 교양 과목을 담당하고 있다.

나. 사회계열

•‌사회계열은 사회의 여러 현상을 과학적·체계적으로 연구하는 모든 경험과학에 그 바탕을 두며, 사회학, 정치학, 경
제학, 법학 등과 같이 인간생활의 다양한 측면과 관련된 기초학문을 교육 및 연구함으로써 인간사회의 문제를 진
단하고 처방하는 기본적 소양을 육성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개인 혹은 국가의 지속적인 발전은 과학기술의
개선뿐만 아니라 사회변화를 분석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는 사회과학의 진보가 뒷받침되어야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점으로 볼 때 역동적인 사회 환경에 대처할 수 있는 전문인 양성에 그 초점을 둔 사회계열은 현대 사회
발전에 중요한 의미를 두고 있는 학문계열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다. 자연계열

•‌자연계열은 자연현상의 기본적인 원리를 탐구하고 새로운 자연법칙을 개발하는 기초과학인 자연과학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자연과학은 우주와 물질의 기원으로부터 생명현상까지 다양한 물질세계의 원리를 과학적 방법으로
탐구하는 학문이라고 볼 수 있다. 자연과학은 크게 물리학·화학·생물학·천문학·지학 등으로 그 고유영역이
구분되고 있으며, 자연계열은 바로 자연과학의 이러한 고유영역을 교육, 연구함으로써 21세기 무한 지식경쟁 시대에
국가경쟁력의 원천이 되는 신지식 창출의 주도적 역할을 할 우수한 기초과학 연구 인력의 양성과 기초과학 발전의
중추적 기능을 수행하는데 그 목표를 두고 있다.

라. 공학계열

•‌공학계열은 공업생산기술을 자연과학적 방법과 성과에 따라서 개발 및 실천하는 응용과학계열로서, 자연과학이


자연 자체를 대상으로 자연의 법칙을 탐구하는 학문이라면 공학은 주로 기계·장치 또는 가공된 재료 등 인위적인
자연을 대상으로 하고, 역시 자연의 법칙을 탐구하지만 실제로 무엇인가를 생산하는 실천행동에 그 초점을 맞춘다.
공학계열은 공학의 기초이론과 함께 각 전문분야별 이론과 관련된 과학적 지식을 습득하고, 실험 및 실습의 병행을
통해 창의력, 응용력 등과 같은 고등정신능력을 길러 정확한 판단력과 실천력을 구비한 과학기술 분야의 지도적
인재육성과 고급 과학기술 두뇌의 양성에 목표를 두고 있다.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115


참고 읽기자료 11-1

마. 의약계열

•‌의약계열은 인체에 관한 연구와 질병의 예방 및 치료를 연구하는 의학과 사람 또는 동물의 질병을 예방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의약품에 관한 기초 및 응용과학을 다루는 학문으로 정의되는 약학 등을 포함한다.
의학과 약학은 질병의 예방과 치료라는 공통의 목표와 목적을 지니고 있는 만큼 상호 의존적인 관계에 있으며
확연하게 구분되기 힘든 관계를 지닌다고 할 수 있겠다. 즉 약의 본질 및 약물요법에 통달함이 없이 완전한 의료가
성립될 수 없고, 또 질병의 본질 및 병태(病態)에 대한 이해 없이 완전한 약학이 성립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의학계열에서는 국가와 사회에 봉사하는 기본 보건의료를 수행하는 의사, 의학교육자, 의학연구자 및 간호사와
인류 질병의 예방, 진단과 치료를 위한 의약품 및 그와 관련된 의약품의 연구 개발, 생산, 조제 및 임상적용에 이르는
각 단계별 이론과 응용능력을 습득한 약사를 양성함으로써 국민의료 향상 및 인류복지 증진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바. 교육계열

•‌교육은 앞선 역사에서 축적된 모든 지식과 문화를 후세에게 전달하는 일이며, 인간의 무한한 가능성을 계발하여
새로운 지식과 문화를 창출하는 숭고한 일로 국가와 민족의 미래의 운명을 결정하는 중대사이다. 교육계열은 이러한
중대사에 종사할 교사와 교육 지도자를 양성하고, 교육일반과 교과 교육원리의 교수 및 연구에 종사할 학자를
배출함을 목표로 하는 계열이다. 교육계열은 교육일반의 이론과 교육활동의 원리를 내용으로 하는 교직이론 영역,
각 교과의 지식과 원리를 내용으로 하는 교과교육영역, 그리고 각 교과의 내용과 구성에 관한 교과내용영역 등을
기초로 학과편제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사. 예체능계열

•‌예체능계열은 미적 작품을 형성시키는 인간의 창조활동인 예술과 건강한 신체와 운동능력의 육성을 목표로 하는
활동인 체육 등을 포함한다. 인류의 문화는 예술이라는 미의 창작과 표현수단을 통해 시공을 초월해서 전래되고
발전해 왔으며, 바로 이 점에 예술의 가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초기에는 예술의 소재가 음악과 미술 등에 국한
되었으나 점차 음악, 미술, 무용, 연극, 영화 및 영상, 가요 및 대중연예, 전통 민속놀이 등으로 그 범위가 확대 되었다.

•‌체육은 보통 학교체육과 사회체육 등의 두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학교체육은 교육과정으로 이루어지는 활동


으로서 심신의 정상적인 발달의 촉진을 중시하고, 사회체육은 그 밖의 신체활동에 자발적 참가, 또는 비영리적
동기에서 사회적으로 원조·촉진하는 활동으로서 체력·건강의 유지와 자유시간의 활용에 중점을 두고 있다.

•‌예체능계열은 하루가 다르게 첨단화, 전문화 되어가고 있는 예술 환경의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전문 예술인과
개인 건강의 유지와 증진뿐만 아니라 신체활동을 통한 만족감이나 집단 활동으로 인해 밝은 사회적 적응력을 키워
나가는데 이바지할 수 있는 건전한 체육인을 양성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 출처 https://kess.kedi.re.kr/index > 자료실 > 2022전공학과분류자료집, 한국교육개발원

116 서울특별시교육청
활동지 11-1 계열(학과) 분류표 만들기

계열(학과) 분류표 만들기

Ⅲ 학과 탐색
해당 학과

인문계열

11
계열(학과) 분류
해당 학과

사회계열

해당 학과

자연계열

해당 학과

공학계열

해당 학과

의약계열

해당 학과

교육계열

해당 학과

예체능계열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117


12

나의 희망 전공학과
1/2
희망 전공학과 정보 찾기
차시
12-1

활동목표
•자신의 희망 전공학과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탐색할 수 있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희망 전공이 명확하지 않은 학생의 경우 어떻게 활동해야 하는지 활동 요령을 알려 주어 모든 학생이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학생들이 정보 탐색활동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인터넷 환경 등 활동 여건을 최대한 마련해준다.
•‌활용할 사이트명만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사이트 내에서 어떤 정보에 주목해야 하는지 정확히 안내하여 시간
내에 활동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진행한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진로 결정 시 전공학과 정보를 정확히 알고 판단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도입 5'
본 차시의 활동 목표가 정확하고도 상세한 학과 정보를 탐색하는 데 있음을 강조한다.
‌자신의 희망 계열 및 학과를 적게 한다. 이 때 희망 학과가 정해져 있지 않는 경우
8'
활동 요령을 제시한다.
‌
희망학과의 개설 대학 중 진학하고 싶은 대학과 관련 유사학과를 찾아 정리하게 한다.
이 때 대입 정보포털 어디가 사이트의 활용 방법을 설명한다. 유사학과의 경우 좀 더
전개 10'
폭 넓게 진로를 고민해볼 수 있는 기회이며, 혹시 진로 변경 시나 희망 학과 진학이
어려울 경우 차선으로 선택할 수 있음을 안내한다.
‌1순위 진학 희망대학 및 학과의 상세 정보를 찾아 정리하게 한다.
20'
이 때 상세 정보를 찾을 수 있는 사이트를 구체적으로 짚어주어야 한다.
‌제시된 학과 정보를 찾아 빈 칸 없이 채워졌는지 스스로 점검한다.
‌
정보 찾기에서 어려움을 겪은 부분을 발표하고 학생들 간 노하우를 교환하거나
마무리 7'
교사의 피드백을 경청한다.
다음 차시로 자신의 희망 전공학과에 대한 정보 탐색활동을 예고한다.

평가 - 학과 정보를 찾아 빈 칸 없이 제대로 채웠는가?


•‌상 제시된 학과 정보 탐색 내용을 빈칸 없이 찾아 정리한 경우
•‌중 제시된 학과 정보 탐색 내용에서 빈칸이 3개 이하 발견된 경우
•하 제시된 학과 정보 탐색 내용에서 빈칸이 3개를 초과한 경우

118 서울특별시교육청
활동지 12-1 희망 전공학과 정보 찾기

희망 전공학과 정보탐색하기

Ⅲ 학과 탐색
‌내가 희망하는 계열과 학과를 적어보자.

순위 계열 학과
1순위
2순위

12
3순위

나의 희망 전공학과
•아직 명확하게 희망 학과가 정해져 있지 않는 경우 활동 요령
① 이전의 진로심리검사에서 추천된 학과 중에서 고른다.
② 이전 활동 중 관심 직업 정보 찾기 활동에서 자신의 관심 직업과 관련된 학과를 고른다.
③ 전공학과 분류표 활동 내용을 토대로 정보를 탐색해보고 싶은 관심이 가는 학과를 고른다.

‌위의 1순위 희망 학과의 개설대학 중 진학하고 싶은 대학 3개와 관련 유사학과도 찾아 정리해 보자.

개설대학 학과명 유사학과


1순위
2순위
3순위

‌참고자료 : 개설대학 및 유사학과 정보 찾기


•대입정보포털 어디가 사이트에서 학과 정보 찾기

•대입정보포털 어디가 사이트에서 유사학과 정보 찾기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119


활동지 12-1 희망 전공학과 정보 찾기

‌1순위 진학 희망 대학 및 학과의 상세 정보를 찾아 정리해 보자.

대학 및 학과 대학교 과

교육목표 및
인재상

학년별 교육과정
(전공필수 및
희망 수강과목)

복수전공, 부전공,
연계전공
가능여부 및 조건

졸업생
주요 취업 분야

취업률

‌참고자료 : 대학 및 학과의 상세 정보 찾기
•대학 혹은 대학 학과 홈페이지 검색 후 관련 정보 탐색

◦◦대학교 or ◦◦대학교 ◦◦◦학과

•졸업생 취업 현황 관련 정보 검색 – 대학 알리미 사이트 활용

학과별 취업률

120 서울특별시교육청
2/2
희망 전공학과 안내 미니북 만들기
차시
12-2

활동목표

Ⅲ 학과 탐색
•탐색한 희망 전공학과 정보를 바탕으로 학과 안내서를 제작할 수 있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접어서 충분한 크기가 될 수 있도록 A3 용지를 사용하여 미니북을 만들도록 한다.

12
•‌미니북이 제대로 사이즈에 맞춰 만들어지도록 제작 시 접는 선을 정확히 맞춰 접도록 안내한다.

나의 희망 전공학과
•‌큰 글씨체로 내용을 허술하게 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미니북 내용의 글자 크기를 대략적으로 11~12포인트
정도로 맞출 수 있도록 안내한다.
•‌활동의 핵심 포인트는 내용을 충실하게 하는 것이며 외적으로 멋있게 꾸미는데 있는 것이 아님을 주지시킨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미니북 제작의 목적이 전공학과 정보를 상세하고 정확하게 알고


자신의 지식으로 내면화 시키는데 있음을 주지시킨다.
도입 5'

워크넷 –학과정보-전공진로 가이드 활용에 대해 안내한다.

‌A3 용지를 접어 미니북을 제작한 후 표지 제목을 적게 한다. 7'

‌각 쪽의 구성 내용에 맞게 내용을 찾아 정리하게 한다. 이 때 이전 차시에서


본인이 찾아 정리한 전공학과 정보를 활용하거나 워크넷 사이트의 전공진로
전개 가이드 책자를 내려 받아 활용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30'
‌학생 간 작업의 편차가 분명히 발생하기 때문에 진도가 빠른 학생의 경우
책자처럼 꾸밀 수 있도록 색연필이나 색상 싸인펜을 미리 안내하고
제공하는 것도 필요하다.

모둠별로 돌아가며 발표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한다.


마무리 8'
다음 차시로 최근 전공학과의 변화를 알아보는 활동을 안내한다.

평가 - 미니북에 담아야할 제시된 내용을 충실히 채웠는가?


•‌상 제시된 각 영역별 내용을 빠짐없이 채운 경우
•‌중 제시된 각 영역별 내용에서 빈 항목이 3개 이하 발견된 경우
•하 제시된 각 영역별 내용에서 빈 항목이 3개를 초과한 경우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121


활동지 12-2 희망 전공학과 안내 미니북 만들기

희망 전공학과 안내 미니북 만들기

‌A3용지를 접어 미니북을 만들어 보자.

접는선

자르는 선

‌미니북에 희망 전공학과 안내 정보를 채워보자.

쪽 제목 혹은 구성 내용 핵심 내용 및 예시

◦◦학과 진로 가이드,
표지 표지 제목과 작성자 학번을 기재하세요.
나의 희망 전공 ◦◦학과 안내서 등

◦◦학과는 어떤 학과일까요? 학과 개요
1쪽
관련 유사학과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관련 유사 학과

2쪽 ◦◦학과에서는 무엇을 배울까요? 전공교과, 교육과정 등

3쪽 ◦◦학과에는 어떤 특성이 어울릴까요? 흥미, 적성, 성격, 가치관 등

4쪽 ◦◦학과는 어떤 분야로 진출할까요? 주요 분야, 융합 분야

5쪽 나는 ◦◦학과 졸업 후 어떤 분야로 진출하고 싶은가요? 1지망 진출희망 분야 소개 및 하고 싶은 일

6쪽 나는 ◦◦학과 졸업 후 어떤 분야로 진출하고 싶은가요? 2지망 진출희망 분야 소개 및 하고 싶은 일

‌참고자료 : 워크넷 > 학과정보 > 전공진로 가이드 활용

※ PDF 책자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활동에 활용하세요.

122 서울특별시교육청
13

전공학과의 변화

Ⅲ 학과 탐색
1/1
전공학과의 변화 추세 알아보기
차시
13-1

13
전공학과의 변화
활동목표
•최근 대학의 신설학과 개설 현황을 통해 희망학과의 미래 전망을 예측할 수 있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최근 신설학과의 개설 현황을 통해 사회적 변화를 알아보는 활동이지 자신의 희망학과를 찾는 활동이 아님을
주지시킨다.
•‌희망 학과가 뚜렷하게 결정된 경우 활동의 목적이 희망학과의 미래 전망을 예측해보는 데 있음을 명확히 전달한다.
•‌희망 학과가 아직 미정인 학생의 경우 이런 사회적 변화 추세도 진로결정에 참고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활동 목표를 제시하고 오늘의 활동 방향을 안내한다.
도입 ‌
전체 학생들에게 최근 수도권 대학의 신설학과 현황표를 인쇄물로 나눠주고 핵심 7'
키워드 5가지를 학생들의 답변을 통해 추출한다.
‌핵심 키워드를 중심으로 5개의 모둠을 편성하고 학생들에게 모둠의 선택권을
8'
우선적으로 부여하되 적절하게 인원을 조정한다.
‌
모둠별로 정보 검색과 토론을 통해 핵심 키워드에 해당하는 학과의 특징을 정리하게
10'
전개 한다.
‌탐색한 정보를 해석하여 모둠별로 핵심 키워드에 해당하는 학과들이 많이 신설된
10'
이유를 논의하여 정리하게 한다.
‌모둠별로 정리한 내용을 토대로 발표한다. 7'
‌개별 활동으로 위에 신설학과의 상황을 토대로 자신의 희망학과의 미래 전망을
예측하여 적게 한다.
마무리 ‌
진로가 뚜렷한 학생과 진로 미결정 학생들에게 각각 오늘 활동이 지닌 의미를 전체적 8'
으로 정리하여 주지시킨다.
다음 차시로 ‘나만의 자유전공학과 만들기’를 안내한다.

평가 - 신설 학과의 특징과 개설 이유를 제대로 찾고 논의하여 정리했는가?


•‌상 각각 3개 이상 찾아 내용을 구분하여 명확히 정리한 경우
•‌중 각각 2개 이내로 찾아 정리한 경우
•하 각각 1개 이내로 찾아 정리한 경우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123


참고 읽기자료 13-1

최근 수도권 대학의 신설학과 현황

대학 학과
가천대 빅데이터경영전공(2024), 클라우드공학(2024), 바이오로직스(2024)
가톨릭대 바이오메디컬소프트웨어학과(2023)
경기대 AI컴퓨터공학부 SW안전보안전공(2023)
빅데이터응용학과(2022), 인공지능학과(2022), 스마트팜과학과(2022),
경희대
반도체공학과(2024)
고려대 차세대통신학과(2023), 스마트모빌리티학과(2023)
광운대 반도체시스템공학부(2024), 로봇학부 AI로봇학전공(2024)
AI빅데이터융합경영학과(2022), 인공지능학부(2022), 미래모빌리티학과(2022),
국민대
AI디자인학과(2022)
단국대 죽전캠퍼스 : 융합반도체공학전공(2023)
덕성여대 가상현실융합학과(2024), 데이터사이언스학과(2024)
동국대 AI융합학부(2022),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2023)
명지대 반도체공학과(2023), 미래융합대학 회계세무학과(2024)
삼육대 빅데이터클라우드공학과(2024)
서강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2023), 인공지능학과(2023), 게페르트국제학부(2024)
서울과학기술대 지능형반도체공학과(2022), 미래에너지융합학과(2022)
서울대 첨단융합학부(2024)
서울여대 바이오헬스융합학과(2023) 메타버스융합콘텐츠전공(2024)
성균관대 지능형소프트웨어학과(2024), 반도체융합공학과(2024)
반도체시스템공학과(2023), AI로봇학과(2024), 인공지능데이터사이언스학과(2024),
세종대
우주드론항공공학부 지능형드론융합전공(2024),
숙명여대 인공지능공학부(2023), 지능형전자시스템전공(2023)
숭실대 정보보호학과(2024)
아주대 AI모빌리티공학과(2023), 지능형반도체공학과(2023)
연세대 인공지능학과(2022), 디스플레이융합공학과(2023)
이화여대 인공지능전공(2022), 데이터사이언스학과(2023), 지능형반도체공학전공(2024)
인천대 데이터과학과(2024)
인하대 자유전공학부(2023), 반도체시스템공학과(2024)
서울캠퍼스 : Language & 데이터융합(2024), Social Science & AI 융합학부(2024)

한국외국어대 글로벌캠퍼스 : 디지털콘텐츠학부(2024), 투어리즘 & 웰니스학부(2024),


AI데이터융합학부(2024), Finance & AI융합학부(2024), 기후변화융합학부(2024)
반도체공학(2024),
한성대 미래모빌리티학과(2024)
한양대 반도체공학과(2023)
※ 정확한 내용은 반드시 대학별 모집요강을 확인할 것.

124 서울특별시교육청
활동지 13-1 전공학과의 변화 추세 알아보기

전공학과의 변화 추세 알아보기

Ⅲ 학과 탐색
‌신설 학과 이름에서 핵심 키워드 5가지를 추출해보자.

13
전공학과의 변화
‌모둠별로 하나의 키워드를 정해서 아래 정보를 찾고 함께 토론하여 정리해 보자.

➊ 우리 모둠의 키워드는?

➋ 이 키워드를 지닌 학과들의 특징은?

➌ 이 분야의 학과들이 많이 신설된 이유는?

‌신설학과의 상황을 토대로 나의 희망 학과의 미래 전망을 예측하여 적어보자.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125


14

나만의 학과 만들기
1/1
나의 자유전공학과 설계
차시
14-1

활동목표
•희망 전공학과를 중심으로 다른 학과를 융합하여 자유전공학과를 설계할 수 있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이전의 학과 분류표를 활용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최근 등장하는 융복합적 특징을 지닌 대학의 유사학과나 신설학과를 참고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인문 계열과 자연 계열의 경계 안에 머무르지 않도록 참고자료의 두 대학의 사례를 비교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소 엉뚱하더라도 학생들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최대한 수용하고 존중하는 자세로 수업을 이끌어간다.
•‌자유전공학과의 커리큘럼은 반드시 융합하려는 학과의 교육과정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적게 한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자유전공학과 뿐만 아니라 복수전공, 연계전공, 다전공 등 최근 대학의 유연한 교육


과정 운영의 추세를 간단히 안내한다.
도입 7'
‌
학습 목표가 학생 자신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대학 진학 후 학습 설계를 하는데
있음을 주지시킨다.

‌
참고자료의 두 대학 사례를 학생들에게 인쇄물로 배포하거나 PPT로 설명하고
10'
차이점을 추출하여 발표하게 한다.

전개 ‌자신의 희망학과를 중심으로 자신만의 자유전공학과를 설계하게 한다. 15'

‌설계한 자유전공학과로 학습을 통해 어떤 자신의 진로목표를 실현하고 싶은지


10'
구체적으로 고민하여 적게 한다.

‌설계한 자유전공학과에 대해 발표한다.


마무리 8'
다음 차시로 ‘희망 전공학과의 합리적 선택 기준’을 안내한다.

평가 - 자유전공학과를 활동지 내용대로 제대로 설계했는가?


•‌상 활동지에 제시된 학과의 교육목적, 학과의 커리큘럼, 학과 수업을 통한 계획 3가지 항목을 구체적으로 설계한 경우
•‌중 내용은 채웠으나 설계 내용의 흐름이 합리적이지 못한 경우
•하 설계 내용이 부실하여 전체적인 짜임새가 없는 경우

126 서울특별시교육청
참고 읽기자료 14-1

대학 자유전공학과 사례 비교

Ⅲ 학과 탐색
가. 고려대학교 자유전공학부

•‌자유전공(Interdisciplinary Studies)의 개념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현대사회에서는 복잡하고 다양한 사회현상에 부합하는 학문적 소양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습니다. 자유전공은 이러한 사회적 수요에 대응하여 학문분야의 교과목을 선별하여 자유로이 설계한 전공, 즉,

14
융합전공(Multidisciplinary Studies)을 뜻합니다.

나만의 학과 만들기
자유전공학부는 특히 공적 리더가 되려는 학생들이 각자의 적성이나 진로에 맞추어 전공을 설계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지도하며, 졸업 시까지 공적 리더가 되기 위한 필수적 요구사항인 법률적 기초소양을 기본적으로 갖추게
됩니다.

자유전공 = 전공의 자유로운 설계

A 전공 B 전공 C 전공
교과 교과 교과

융합전공 = 자유전공
Interdisciplinary Studies

공적 리더의 양성

설계전공
[법학기초 + 선택전공 융합전공
(법학+행정학 (제1전공) (자유전공)
+경제학)]

•‌교육목적
자유전공학부는 공적 영역의 리더를 양성하는 기능을 담당하기 위하여 각 분야에서 요구되는 품성과 소양, 전문
지식의 함양을 독려하고 공직으로 진출 하거나 로스쿨 진학을 목표로 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2009년
개설되었으며, 법률적 기초소양 및 복합적 전문성을 갖춘 국가·사회의 선도적 지도자의 양성을 교육 목적으로
합니다.
- 출처 고려대학교 자유전공학부 홈페이지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127


참고 읽기자료 14-1

나. 서울대학교 자유전공학부

•‌자유전공학부의 비전

인류 공동체에 기여하는 실천적 인재 양성

자기주도적
탄탄한 자율성과 글로벌
학습
기초소양 창의성 리더십
(Active Learning)

•‌교육헌장 Mission Statement


“경계를 넘어 미래로!” Crossing Boundaries, Embracing the Future!
서울대학교 자유전공학부는 2009년 새로운 학부교육을 실현하기 위해서 설립되었습니다. 21세기 급격한 변화의
시대에 미래를 선도하고 인류 공동체에 기여할 수 있는 인재는 스스로 자유롭게 자신의 전공과 진로를 찾아가고,
학문적 지리적 경계를 넘어서는 종합적 사고와 거시적 안목을 갖추어서, 창의적이고 융합적으로 당면한 문제를 해
결할 수 있어야 한다는 신념에서 출발했습니다.
이를 위해서 서울대학교 자유전공학부는 인문·사회·자연·공학 등을 넘나드는 교과과정을 구축하여 학생이 지적 및
학문적 역량을 키우며 능동적으로 자신의 전공과 진로를 선택하고 설계할 수 있도록 합니다. 또 학문과 생활이 함
께하는 공동체를 추구하며, 지역사회와 세계에 공헌하는 다양한 비교과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학생이 정서적 및
사회문화적 성장을 이루고 민주 시민이자 글로벌 리더로 설 수 있도록 합니다.

•‌자유전공학부의 특성 Features
- 자유로운 전공선택
전공영역의 입학정원 및 성적제한 없이 선택 가능(의치대, 간호대, 약대, 수의대, 사범대 등 국가자격증 학위 제외)
선택한 모든 전공은 주전공으로 인정(복수전공이 아니라)
- 학생설계전공을 주전공으로 선택 가능
학생이 자기주도적으로 2개 학문 이상을 융합하는 전공 교과 과정을 설계(지도교수 섭외)
2022년 3월부터 서울대학교 전체 복수전공으로 확대 실시
- 출처 서울대학교 자유전공학부 홈페이지

128 서울특별시교육청
활동지 14-1 나의 자유전공학과 만들기

나의 자유전공학과 만들기

Ⅲ 학과 탐색
‌나의 희망 전공학과를 중심으로 나만의 자유전공학과를 만들어보자

학과명

14
‌어떤 학과들을 융합하려 하는지 적어보자.

나만의 학과 만들기
‌이 학과의 교육목적과 커리큘럼을 설계해 보자.
•학과의 교육목적

•학과의 커리큘럼

전공영역 커리큘럼

‌이 자유전공학과에서 어떤 학습을 통해 나의 진로 목표 실현을 준비해 나가고 싶은지 구체적으로 적어보자.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129


15

전공학과 선택 기준
1/1
나의 희망 전공학과 선택 기준 점검하기
차시
15-1

활동목표
•전공학과의 선택기준을 바탕으로 자신의 희망 전공학과를 합리적으로 선택했는지 점검할 수 있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학과 선택의 기준이 매우 다양하고 사람에 따라 각기 다를 수 있음을 주지시킨다.
•‌다른 외적 조건의 영향보다 스스로 자신만의 상황과 조건에 따라 적절한 기준을 설정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최종적으로 자신이 지금껏 마음에 품고 있었던 희망 전공학과가 스스로 중요하게 여기는 선택 기준에 따라
제대로 따져본 후 결정된 선택인지 생각해보도록 유도한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이번 차시 활동 목표와 활동 시 유의사항을 전달한다.
도입 8'
‌희망 전공학과를 이미 결정한 학생을 중심으로 전공 선택의 이유를 묻고 답하게 한다.
‌먼저 활동지에 제시된 여러 가지 기준을 설명한 후 그 중에서 학생들 자신이 중요하게
10'
여기는 전공학과 선택의 기준을 중요도에 따라 5가지로 압축하게 한다.
‌5가지의 선택 기준을 중요하게 여기는 이유를 적는다. 10'
전개
‌희망 대학 및 전공학과를 선택한 후 평가항목별로 중요도에 따라 평가 점수를 부여한다. 5'
‌평가 점수 부여 이유를 적고, 이를 토대로 자신이 합리적인 선택을 한 것인지 스스로
10'
점검하여 자신의 생각을 정리해본다.
‌
세번째 문항의 기록 내용을 중심으로 발표한다.
•‌자신의 희망 대학과 전공이 합리적 선택인지 평가항목에 부여한 점수와 이유를 중심
마무리 으로 발표한다. 7'
‌점검 결과 합리적 선택이 아닌 것처럼 느껴진 학생들을 다시 전공학과 선택을 신중히
고민하도록 안내한다.

평가 - 희망 전공 선택 기준을 적절하게 정립하고 있는가?


•‌상 전공학과 선택 기준(활동지 첫번째 문항)을 5가지로 선택, 이유까지 적절하게 정리한 경우
•‌중 선택 기준은 제시했으나 선택 이유가 다소 적절하지 않은 경우
•하 선택 기준과 선택 이유가 적절하게 연결되지 못한 경우

130 서울특별시교육청
활동지 15-1 나의 희망 전공학과 선택 기준 점검하기

나의 희망 전공학과 선택 기준 점검하기

Ⅲ 학과 탐색
‌자신은 희망 전공학과 선택에서 어떤 항목을 중시하는지 보기에서 순서대로 5가지를 골라 적어보자.

보기 : 성격,
‌ 적성, 흥미, 가치관, 고교 성적, 고교 교과 이수 현황, 학과의 교육과정, 자격증 취득, 취업률, 취업 분야,
대학 평판(학과보다 대학)

15
순위 선택 항목 선택 이유

전공학과 선택 기준
1

‌위의 선택 항목을 기준으로 나의 희망 대학 및 전공학과를 적절하게 선택했는지 점검해보자.

나의 희망 전공학과 : 대학교 과

•나의 희망 대학 및 전공학과 선택 상황 점검하기

순위 평가 항목(=선택항목) 부합 여부 평가 점수(5점 만점)


1 ① ② ③ ④ ⑤
2 ① ② ③ ④ ⑤
3 ① ② ③ ④ ⑤
4 ① ② ③ ④ ⑤
5 ① ② ③ ④ ⑤

‌
위의 내용처럼 평가 점수를 부여한 이유를 적고, 이를 토대로 자신의 희망 대학 및 전공학과 선택이 합리적이라고
생각되는지 적어보자.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131


16

[프로젝트] 독서연계 진로 수업
1/1
희망 전공학과 연계 독서계획 세우기
차시
16-1

활동목표
•자신의 희망 전공학과와 관련된 책을 찾고 한 학기 동안 책을 읽은 후 독서록을 작성할 수 있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1차시로 진행되는 수업이 아니라 학기 단위 프로젝트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 학기 진행되는 동안 학생들이 계획대로 실천하고 있는지 적절한 시기를 정해 중간 점검을 실시한다.
•마지막 차시는 기말고사 후 시간 여유가 있는 시기를 활용하여 정리된 활동지 기록을 토대로 발표 기회를 부여한다.
•1차시 수업은 아래 내용으로 독서활동을 상세히 안내하도록 진행한다.
•학생들의 독서 역량에 따라 몇 권의 책을 학생별로 더 진행하는 것도 권장할 수 있다.
•‌1차시 수업은 프로젝트 진행을 위한 소개의 목적도 있지만 1학년 학생들의 경우 학교 도서관 이용에 대한 안내의
의미도 있으니 이 부분도 더불어 강조하는 것도 좋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이번 차시 활동 목표와 활동 시 유의사항을 전달한다.

도입 ‌이 활동의 의도와 향후 진행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5'

‌학교 도서관 활용에 대한 안내를 해준다.

‌
학생들을 학교 도서관으로 이동하여 자신의 희망 전공학과와 관련된 책을 이것저것
15'
다양한 분야에서 찾게 한다.

‌
찾은 도서의 목록을 작성하게 하고 서문이나 다른 인터넷 검색 자료를 통해 도서에
전개 10'
대한 간단한 정보를 정리하게 한다.

‌정리된 목록을 토대로 이번 학기에 읽을 책을 한 권 선정하게 한다. 5'

‌책을 선정한 이유를 활동지에 간단히 적게 한다. 10'

‌향후 스스로 독서활동을 해 나갈 수 있도록 다시 전체적인 진행 과정을 재차 강조한다.

‌1차 중간 점검 시기를 지정하여 알려준다.


마무리 5'
‌
학생들이 자신의 역량에 따라 자신이 이번 차시에 찾은 몇 권의 책을 더 진행할 수 있
음을 공지한다.

132 서울특별시교육청
활동지 16-1 희망 전공학과 연계 독서계획 세우기

희망 전공학과 연계 독서계획 세우기

Ⅲ 학과 탐색
‌학교 도서관을 이용하여 자신의 희망 진로와 관련된 도서를 찾아 아래 목록을 작성해 보자.

도서명 및 저자 책 소개

도서 :
저자 :

16
[프로젝트] 독서연계 진로 수업
도서 :
저자 :

도서 :
저자 :

도서 :
저자 :

‌
위에 찾은 책 중에 이번 학기에 읽을 책을 골라보고 이 책을 선정한 이유를 적어보자.
그리고 책을 읽은 후 자신이 읽은 책에 대해 다음의 내용을 채워 보자.

도서명 및 저자

이 책을 선정한 이유

책에 대한 나의 평가

이 책이 나에게 준 영향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133



진로와
과목선택

17
관심학과와 과목선택

18
과목별 평가 방식과 수능선택과목

19
나의 과목 선택 설계

20
선택과목 내용요소 알아보기

21
교과 연계 진로탐구 주제 정하기

22
[프로젝트] 교과 연계 진로탐구
17

관심 학과와 과목선택
1/1
관심 학과와 과목선택
차시
17-1

활동목표
•‌관심 학과의 대학 교육과정을 조사할 수 있다.
•‌관심 학과의 대학 교육과정에 관련된 고교과목을 찾을 수 있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자신이 관심 있는 대학 학과의 교육과정을 알아보고, 고등학교 때 어떤 과목을 준비하여야 하는지 조사해 보고자
한다. 대학 학과의 교육과정은 커리어넷 학과정보, 대학 입학처 학과 소개를 통해 조사하고, 관련 고교 과목은
커리어넷 학과 정보, 입학처 자료와 서울시교육청 과목선택 안내자료를 참고한다. 학생들이 직접 조사하고 정리한
후 발표하도록 하여 보다 많은 전공 관련 고교 과목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진로에 걸맞는 고교 과목선택의 중요성 환기


도입 5'
‌사례를 통한 관심 전공의 관련 고교과목의 중요성

‌
관심 전공의 정보 찾기 안내
•‌커리어넷 학과 안내 15'
•관심 대학 입학처에서 학과 소개 찾기
전개 ‌
관련 고교 과목 핵심과목과 권장과목 조사하기
•‌커리어넷 학과 안내
15'
•서울시교육청 과목선택 안내자료
•대학 자료

‌
발표와 피드백
마무리 15'
•‌우수자 발표와 학생부 기록

평가 - 희망학과의 대학교육과정을 조사하고 고교과목을 선택할 수 있는가?


•‌상 전공학과
‌ 교육과정에서 적절하게 과목을 찾고, 우리 학교 과목 중 관련되어 있는 과목을 3개 이상 선정할 수
있는 경우
•‌중 전공학과 교육과정을 찾지 못했으나 우리 학교 과목 중 적절한 과목을 찾은 경우
•‌하 전공학과 교육과정과 우리 학교 과목을 찾지 못한 경우

136 서울특별시교육청
참고 읽기자료 17-1

자료1. 동영상

Ⅴ 진로와 과목선택
2023 고1, 2 교육과정의 이해와 진로 연계 과목 선택
https://www.youtube.com/watch?v=Iur0_5CzYDQ&t=129s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

자료2. 과목 소개 자료

17
관심 학과와 과목선택
커리어넷 학과 정보 – 대학 주요 교과목, 관련 고교 교과목
https://www.career.go.kr/cnet/front/base/base/newMajorMain.do
커리어넷 학과 정보에서 학과명을 검색하면 학과에 대한 소개와 일반적인 대학에서의 학과 교육과정을 찾아볼 수 있다.

서울시교육청 진로진학정보센터 – 고교 교육과정


https://www.jinhak.or.kr/subList/20000000271
고교 과목의 특징과 내용을 상세하게 안내하고, 전공별 관련 고교 과목을 소개

자료3. 5개 대학 공동 연구 자료 – 대학 전공과 고교 교육과정


•‌경희대, 고려대, 성균관대, 연세대, 중앙대 5개 대학은 자연계열 전공 학문 분야의 교과 이수 권장과목을 안내하는
자료를 제작  https://iphak.khu.ac.kr/submenu.do?menuurl=7o6CZK4SE%2FZm%2Fkm5uoXMkQ%3D%3D&

학문 학문
모집단위 핵심과목 권장과목 모집단위 핵심과목 권장과목
분야 분야

[경희대] 수학과, 응용수학과 [경희대] 산업경영공학과


‌
수학I
[고려대] 수학과, 수학교육과 수학I [고려대] 산업경영공학부
‌
수학II
[성균관대] ‌수학과, 수학교육과, 수학II 확률과 [성균관대] 시스템경영공학과
‌
수학 - 산업 미적분 - - -
통계학과 미적분 통계 [연세대] 산업공학과
‌
확률과
[연세대] 수학과,응용통계학과 기하
통계
[중앙대] 수학과

[경희대] 소프트웨어융합학과,
‌ [경희대] 물리학과,
‌
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학과, 응용물리학과 수학I
컴퓨터공학부 컴퓨터공학과 [고려대] 물리학과
‌ 수학II 물리학I 확률과
[고려대] 데이터과학과,
‌ 사이버국방학과, 물리 [성균관대] 물리학과
‌ 화학I
미적분 물리학II 통계
스마트보안학부, 컴퓨터학과 [연세대] 물리학과
‌ 기하
[성균관대] ‌소프트웨어학과, [중앙대] 물리학과
‌
컴퓨터교육과
[연세대] IT융합공학과,
‌ 인공지능학과,
컴퓨터과학과
확률과 [경희대] 기계공학과
‌
[중앙대] AI학과,
‌ 산업보안학과, 수학I
통계 [고려대] 기계공학부
‌
소프트웨어학부, 예술공학부 수학II
컴퓨터 인공지능 [성균관대] 기계공합부
‌
[경희대] 소프트웨어융합학과,
‌ 미적분
수학 [연세대] 기계공학부
‌
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학과, 기하
[중앙대] 기계공학부
‌
컴퓨터공학부 컴퓨터공학과 수학I
[고려대] 데이터과학과,
‌ 사이버국방학과, 물리학I
수학II 확률과
스마트보안학부, 컴퓨터학과 기계 물리학II 화학II
미적분 통계
[성균관대] ‌소프트웨어학과, 화학I
기하
컴퓨터교육과
[연세대] IT융합공학과,
‌ 인공지능학과,
컴퓨터과학과
[중앙대] AI학과,
‌ 산업보안학과,
소프트웨어학부,예술공학부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137


참고 읽기자료 17-1

학문 학문
모집단위 핵심과목 권장과목 모집단위 핵심과목 권장과목
분야 분야

[경희대] 생체의공학과,
‌ [경희대] 원자력공학과,
‌
전자공학과, 정보전자신소재공학과,
정보디스플레이학과 화학공학과
[고려대] 반도체공학과,
‌ [고려대] 신소재공학부,
‌
전기전자공학부 융합에너지공학과,
[성균관대] 반도체시스템공학과,
‌ 화공생명공학과
전자전기공합부 [성균관대] 나노공학과,
‌
[연세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
‌ 신소재공학부,
전기전자공학부 화학공학,
[중앙대] 전자전기공학부
‌ 수학I 재료 고분자공학부
물리학I 수학I 물리학II 확률과
전기 수학II 확률과 화공 [연세대] 디스플레이융합공학과,
‌
물리학II 수학II 화학I 통계 물리학II
전자 미적분 통계 고분자 신소재공학부,
화학I 미적분 화학II 기하
기하 에너지 화공생명공학부
[중앙대] 에너지시스템공학부,
‌
융합공학부,
첨단소재공학과,
화학공학과

[경희대] 건축공학과,
‌ 건축학과, [경희대] 생물학과,
‌
사회기반시스템공학과 스마트팜과학과,
[고려대] 건축사회환경공학부,
‌ 식물환경신소재공학과,
건축학과 식품생명공학과,
[성균관대] 건설환경공학부,
‌ 식품영양학과,
건축학과 유전생명공학과,
[연세대] 건축공학과,
‌ 도시공학과, 수학I 확률과 한방생명공학과,
건설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환경학 및환경공학과
수학II - 통계 물리학I
건축 [중앙대]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
‌ [고려대] 가정교육과,
‌ 생명공학부,
미적분 기하
건설환경플랜트공학, 생명 생명과학부, 식품공학부,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 과학 생명과학부, 식품공학과,
도시시스템공학, 환경 환경생태공학부 화학I
건축학부 [성균관대] 글로벌바이오메디컬
‌ 미적분
수학I 생명과학I
공학과, 바이오메카 확률과 화학II
생활 수학II 생명과학II
트로닉스학과, 통계
과학
생명과학과,
농림 식품생명공학과,
융합생명공학과
[경희대] 응용화학과,
‌ 화학과 [연세대] 생명공학과,
‌ 생화학과,
[고려대] 화학과
‌ 시스템생물학과
수학I [중앙대] 생명과학과,
‌
[성균관대] 화학과
‌ 물리학I
수학II 동물생명공학,
[연세대] 화학과
‌ 화학I 물리학II
화학 미적분 기하 식물생명공학,
[중앙대] 화학과
‌ 화학II 생명
확률과 식품공학, 식품영양
과학I
통계

[경희대] 우주과학과,
‌ 지리학과 [경희대] 약과학과,
‌ 약학과,
[고려대] 지구환경과학과
‌ 한약학과
[연세대] 대기과학과,
‌ 물리학I [성균관대] 약학과
‌ 화학I
수학I 확률과 수학I 확률과
천문 지구시스템과학과, 화학I [연세대] 약학과
‌ 화학II
수학II 통계 물리학II 약학 수학II 통계 물리학I
지구 천문우주학과 지구과학I [중앙대] 약학부
‌ 생명과학I
미적분 기하 미적분 기하
지구과학II 생명과학II

[경희대] 간호학과
‌ [경희대] 의예과,
‌ 한의예과,
[고려대] 간호학과,
‌ 치의예과
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 [고려대] 의학과
‌
바이오의공학부 [성균관대] 의예과
‌
[연세대] 간호학과
‌ 수학I [연세대] 의예과,
‌ 치의예과 수학I 화학I
간호 [중앙대] 간호학과
‌ 수학II 생명과학I 화학I [중앙대] 의학부
‌ 확률과 물리학I
미적분 의학 수학II 생명과학I
보건 확률과 생명과학II 화학II 통계 화학II
미적분 생명과학II
통계

138 서울특별시교육청
참고 읽기자료 17-1

교육과정 편성표(예시)

Ⅴ 진로와 과목선택
총 1학년 2학년 3학년 필수
과목 기준
구분 교과 과목 이수 이수
유형 학점 1학기 2학기 1학기 2학기 1학기 2학기
학점 학점
공통 국어 8 8 4 4
국어 문학 5 6 3 3 10
일반
독서 5 6 3 3
공통 수학 8 8 4 4
수학I 5 4 4
수학 10
일반 수학II 5 4 4
확률과 통계 5 6 3 3
공통 영어 8 8 4 4
영어I 5 4 4
영어 10
일반 영어II 5 4 4

학교 영어독해와 작문 5 6 3 3
지정 한국사 공통 한국사 6 6 3 3 6
사회 공통 통합사회 8 8 4 4 10
통합과학 8 8 4 4
과학 공통 12
과학탐구실험 2 2 1 1
체육 5 4 2 2
일반
체육 운동과건강 5 4 2 2 10
진로 스포츠생활 5 2 1 1
일반 음악 5 3 1 2
예술 10
일반 미술 5 3 2 1

일반 정보 5 6 3 3
교양 16
일반 진로와 직업 5 2 1 1

심화국어, 기하, 영어권문화, 여행지리,


국어 일반 고전과 윤리, 세계사, 세계지리, 10 10
영어 5 20
진로 정치와 법, 윤리와 사상, 물리학I, 화학I, (택5) (택5)
2학년 수학 생명과학I, 지구과학I, 음악연주, 미술창작
선택 사회
과학
예술 3 3
일반 일본어 I, 중국어 I 5 6
(택1) (택1)

국어 언어와 매체, 화법과 작문, 미적분,


영어 수학과제탐구, 영미문학읽기,
수학 사회문제 탐구, 한국지리, 사회문화,
일반 15 15
사회 생활과 윤리, 동아시아사, 경제, 5 30
진로 (택5) (택5)
3학년 과학 물리학II, 화학II, 생명과학II, 지구과학II,
선택 예술 생활과과학, 육상운동, 음악감상과 비평,
체육 미술감상과 비평

2 2
교양 진로 일본어II, 중국어II, 인공지능기초 5 4
(택1) (택1)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139


활동지 17-1 교육과정 편성표

교육과정 편성표

여기에 우리학교 교육과정 표를 붙여봅시다.

140 서울특별시교육청
활동지 17-1 관심 학과와 과목 선택

관심 학과와 과목 선택

Ⅴ 진로와 과목선택
‌커리어넷 학과 정보를 활용하여 관심학과의 특성을 적어봅시다.
https://www.career.go.kr/cnet/front/base/base/newMajorMain.do

관심학과 학과특성

17
관심 학과와 과목선택
‌대학 입학처를 활용하여 관심 전공의 대학 교과목을 적어봅시다.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우리 학교 교육과정 과목 중에서 관심 전공의 대학 교과목과 관련된 과목을 적어봅시다.

1학년 2학년 3학년

활동 소감
관심학과 대학 교과목을 찾아본 후 자신의 느낌과 소감을 적어보자.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141


18

과목별 평가방식과 수능선택과목


1,2/2
과목별 평가방식과 수능선택과목
차시
18-1, 18-2

활동목표
•‌과목별 유형과 평가방식을 조사할 수 있다.
•‌지원학과와 자신의 강점에 따른 수능선택과목을 조사할 수 있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교사는 사전에 참고자료를 통해 과목별 유형과 평가방식을 숙지한다. 일반선택, 진로선택과목 뿐 아니라 체육
예술, 교양과목의 경우도 평가방식이 다른 점을 주의깊게 파악하고 학생들의 조사활동을 돕는다.
내신성적 부담을 완화하고자 진로선택과목 위주로 선택하려는 학생에게 자신의 진로에 꼭 필요한 일반선택과목은
대학 진학 후 학업에도 필요하니 적극적으로 선택하도록 안내한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도입 ‌학교 내신 과목별 평가방식의 차이 5'

‌
상대평가와 절대평가의 비교
•‌일반선택과목과 진로선택과목, 체육예술, 교양과목의 평가
15'
‌
우리학교 교육과정 중 탐구과목에서 일반선택과 진로선택과목 찾기
전개
•‌활동지에 옮겨적기

‌
수능과목 미리 장바구니에 담아보기
15'
•‌활동지에 옮겨적기

‌
발표와 피드백
마무리 15'
•‌우수자 발표와 학생부 기록

평가 - 선택과목의 내신, 수능 평가 방식을 이해하고, 자신의 선택기준에 걸맞게 적절하게 선택하는가?


•‌상 내신과
‌ 수능 선택과목의 평가방식을 적절하게 이해하고, 자신의 과목선택의 이유를 합리적으로 정리한 경우
•‌중 선택 과목을 제시했으나 선택 이유가 다소 적절하지 않은 경우
•‌하 선택 과목과 선택 이유가 적절하게 연결되지 못한 경우

142 서울특별시교육청
참고 읽기자료 18-1

과목별 유형

Ⅴ 진로와 과목선택
필수 선택과목
교과영 교과
이수 공통과목
역 (군) 일반선택 진로선택
학점

화법과 작문, 독서,


국어 10 국어 실용 국어, 심화 국어, 고전 읽기
언어와 매체, 문학

18
과목별 평가방식과 수능선택과목
수학I, 수학II, 기본 수학, 실용 수학, 인공지능 수학,
수학 10 수학
미적분, 확률과 통계 기하, 경제수학, 수학과제 탐구
기초
영어회화, 영어I, 영어II 기본 영어, 실용 영어, 영어권 문화,
영어 10 영어
영어 독해와 작문 진로 영어, 영미 문학 읽기

한국사 6 한국사

사회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
(역사/ 세계사, 동아시아사,
10 통합사회 사회문제 탐구,
도덕 경제, 정치와법, 사회·문화,
고전과 윤리
포함) 생활과윤리, 윤리와사상
탐구
통합과학,
물리학I, 화학I, 물리학II, 화학II, 생명과학II, 지구과학II,
과학 12 과학탐구
생명과학I, 지구과학I 과학사, 생활과 과학, 융합과학
실험

체육 10 체육, 운동과 건강 스포츠 생활, 체육 탐구


체육
예술 음악 연주, 음악 감상과 비평
예술 10 음악, 미술, 연극
미술 창작, 미술 감상과 비평

농업 생명 과학, 공학 일반, 창의 경영,


기술
기술·가정, 정보 해양문화와 기술, 가정과학,
가정
지식 재산 일반, 인공지능 기초

독일어I, 프랑스어I,
제2 스페인어I, 중국어I, 일본어I, 독일어II, 프랑스어II, 스페인어II, 중국어II,
외국어 러시아어I, 아랍어I, 일본어II, 러시아어II, 아랍어II, 베트남어II
생활
16 베트남어I
교양
한문 한문I 한문II

철학, 논리학, 심리학,


교육학, 종교학,
교양
진로와 직업, 보건,
환경, 실용 경제, 논술

※ 이외에 전문 교과 I, II를 일반고에서 편성할 경우 진로 선택과목 평가방식을 따름.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143


참고 읽기자료 18-1

과목별 평가방식

원점수/과목평균 성취도
(표준편차) (수강자수) 석차
구분 비고
과목 표준 수강자 등급
원점수 성취도
평균 편차 수

•‌과학탐구실험은 석차등급
공통과목 ◦ ◦ ◦ 5단계 ◦ ◦
미산출, 성취도 3단계

기초/탐구/
◦ ◦ ◦ 5단계 ◦ ◦ •‌교양교과(군) 제외
일반 생활교양
선택
과목
체육예술 - - - 3단계 - - •‌수강자수 입력하지 않음
보통
교과

•‌진로 선택으로 편성된


진로선택과목
‘전문교과I, II’포함
(기초/탐구/
◦ ◦ - 3단계 ◦ - •‌교양교과(군) 제외
생활교양/
•‌석차등급 및 표준편차 삭제,
체육예술)
성취도별 분포비율 입력

교양 교과(군) - - - P - P

•‌보통 교과 공통 과목
보통 교과 및 교과(군) ‘•’ 과학탐구실험, 진로 선택과목
전문 교과I 중 별 3단계 또는 (진로 선택으로 편성된 전문
◦ ◦ ◦ ◦
수강자수 또는 ‘◦’ 교과 포함), 체육 예술 교과
13명 이하인 과목 5단계 등급 (군)의 일반 선택과목,
교양 교과(군)의 과목 제외

•‌보통 교과 진로 선택과목
교과(군)
(진로 선택으로 편성된 전문
학교 간 통합 선택 교과 별 3단계
◦ ◦ ◦ ◦ - 교과 포함), 체육 예술 교과
(공동교육과정)과목 또는
(군)의 일반 선택과목,
5단계
교양 교과(군)의 과목 제외

144 서울특별시교육청
활동지 18-1 과목별 평가방식

이 과목은 평가방식이 어떤가요?

Ⅴ 진로와 과목선택
‌참고자료를 활용하여 다음 과목의 유형에 따른 평가방식의 사례를 바르게 연결해보세요.

기하, 일반선택과목 원점수, 평균, 수강자수,


여행지리 (체육,예술 제외) 성취도 3단계

18
과목별 평가방식과 수능선택과목
원점수, 평균, 표준편차, 수강자수,
운동과 건강, 미술 진로선택과목
성취도 5단계, 석차등급

진로와 직업,
체육 예술 P로 이수여부 기재
철학

미적분,
교양교과(군) 성취도 3단계
생활과윤리

‌우리 학교 교육과정 과목 중에서 탐구과목의 일반선택과목과 진로선택과목을 찾아서 적어봅시다.

사회 과학

일반 진로 일반 진로

2학년

3학년

활동 소감
과목별 평가방식을 조사하고 자신의 느낌과 소감을 적어보자.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145


참고 읽기자료 18-2

수능 과목 선택 현황

자료1. 2023학년도 수능 과목 선택 현황
국어 수학
구분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계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계
인원(명) 289,565 156,478 446,043 206,863 194,798 27,305 428,966
비율(%) 64.9 35.1 100.0 48.2 45.4 6.4 100.0

과목명 인원(명) 과목명 인원(명)


생활과 윤리 142,541 물리학Ⅰ 62,309
윤리와 사상 34,226 화학Ⅰ 70,745
한국지리 34,489 생명과학Ⅰ 140,978
세계지리 25,980 지구과학Ⅰ 146,060
동아시아사 20,413 물리학Ⅱ 2,628
세계사 16,457 화학Ⅱ 2,841
경제 4,927 생명과학Ⅱ 4,939
정치와 법 25,682 지구과학Ⅱ 2,758
사회·문화 127,189

자료2. 2025학년도 정시 자연계열 수학, 탐구 응시과목 및 가산점 부여 현황


자연계열 수능 응시과목
대학 가산점 적용 방법
수학 탐구
건국대 확/미/기 사/과
경희대 확/미/기 사/과 과탐 변환표준점수에 과목당 4점 가산
고려대 확/미/기 과
동국대 확/미/기 사/과 모집단위에 따라 수학(미/기), 과탐 3% 가산
서강대 확/미/기 사/과 과탐 II 최대 1과목 변환표준점수 0.5점 가산
서울대 미/기 과 과탐 II 가산(1과목: 3점, 2과목: 5점)
서울시립대 미/기(일부 제외) 사/과 과탐 2과목 모두 선택시 변환표준점수 7% 가산
성균관대 확/미/기 사/과 과탐 선택자에게 가산점 부여할 수 있음
숙명여대 확/미/기(일부 제외) 과 1과목 필수 신소재물리전공: 물리 선택시 5% 가산
연세대 확/미/기 사/과 과탐 변환표준점수에 과목당 3% 가산
이화여대 확/미/기 사/과 과탐 변환표준점수에 과목당 6% 가산
중앙대 확/미/기 사/과 과탐 가산점 부여
한양대 확/미/기 사/과 과목별 난이도를 고려하여 변환표준점수에 가산
홍익대 미/기 과

자료3. 2025학년도 정시 인문계열 가산점 부여 현황


대학명 적용 모집단위(학과) 가산점 적용 방법
경희대 인문계열 사탐 변환표준점수에 과목당 4점 가산
동국대 AI소프트웨어 융합학부(인문) 사탐 변환표준점수에 과목당 3% 가산
서울시립대 인문계열 사탐 2과목 모두 선택시 변환표준점수 3% 가산
연세대 인문계열 사탐 변환표준점수에 과목당 3% 가산
중앙대 인문대, 사범대 사탐 가산점 부여

146 서울특별시교육청
활동지 18-2 수능 선택과목

수능에서는 어떤 과목을 선택하나요?

Ⅴ 진로와 과목선택
[ 수능 과목 ]

교과 공통과목 선택과목 평가방식


국어 독서, 문학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중 1과목 선택 상대평가
수학 수학I, 수학 II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중 1과목 선택 상대평가

18
영어 영어 I, 영어 II 절대평가

과목별 평가방식과 수능선택과목


한국사 한국사 절대평가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사회 문화, 경제, 정치와 법,
한국 지리, 세계 지리, 세계사, 동아시아사,
탐구 - 상대평가
물리 I, 화학 I, 생명과학 I, 지구과학 I, 물리 II, 화학 II, 생명과학 II,
지구과학 II 중 2과목 선택
한문, 중국어, 일본어, 프랑스어, 독일어, 베트남어, 아랍어,
제2외국어 - 절대평가
러시아어, 스페인어 중 1과목 선택

‌참고자료를 활용하여 나의 수능 선택과목과 선택이유를 정리해 보자

구분 선택과목 이유

국어

수학

탐구

(제2외국어)

활동 소감
수능 선택과목을 조사하고 자신의 느낌과 소감을 적어보자.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147


19

나의 과목선택 설계
1/1
나의 과목선택 설계
차시
19-1

활동목표
•‌우리학교 교육과정 과목선택의 기준을 조사할 수 있다.
•자신의 진로, 관심학과, 내신평가 방식, 수능선택과목을 토대로 과목을 선택할 수 있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수업을 담당한 교사는 사전에 교육과정 편성 책임 부장에게 우리 학교 교육과정 편성표와 과목 선택 기준을 전달
받는다. 과목군별 선택의 범위와 개수를 파악하고, 선택시 주의할 점을 충분히 숙지한다. 학생들이 선택한 과목의
총 이수 학점을 계산해보고, 교과별 필수이수 학점을 채웠는지, 국영수 기초과목이 50%이상 초과되지는 않았
는지 점검한다.
•‌우리 학교에 개설되지 않은 과목을 수강하고자 한다면 콜라캠퍼스 사이트에서 공동교육과정을 신청 할 수 있음을
안내한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도입 ‌학교 교육과정 속에서 자신의 진로를 그리기 5'

‌
학교지정 과목 기록하기
5'
•‌학교 교육과정 표를 보고 학교 지정과목을 찾아서 활동지에 기재

‌
선택과목 기록하기
전개 15'
•‌자신의 진로와 내신평가방식, 수능선택과목을 고려하여 선택과목 기록

‌
과목선택 점검하기
10'
•‌학기별 29학점, 교과별 필수이수학점, 기초과목 50% 초과 제한 등

‌
발표와 피드백
마무리 15'
•‌우수자 발표와 학생부 기록

평가 - 자신의 진로, 내신과 수능의 평가방식을 이해하고, 3년간의 과목을 짜임새 있게 선택했는가?
•‌상 학교
‌ 교육과정 이수조건과 자신의 진로에 걸맞게 과목을 선택한 경우
•‌중 진로에 맞게 과목을 선택했으나 학교 교육과정 조건에 다소 적절하지 않은 경우
•‌하 과목선택이 진로와 학교교육과정 조건에 적절하지 않은 경우

148 서울특별시교육청
참고 읽기자료 19-1

교육과정(예시)

Ⅴ 진로와 과목선택
자료1. 통상전문가를 희망하는 학생의 교육과정(예시)

2학년
영역 교과 1학년 3학년 1,2학기
1학기 2학기
국어 국어 문학 독서 화법과 작문

19
나의 과목선택 설계
수학 수학 수학I 수학II 확률과 통계, 미적분

영어I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 영어 영어II
학교 영어권 문화 진로영어, 영미문학읽기
교육 과정
한국사, 통합사회, 사회문제탐구, 사회문화,
사회 세계지리 세계사
통합과학, 생활과 윤리,
과학 경제 정치와 법
과학탐구실험 생활과 과학

생활교양 중국어 중국문화

공동
국제경제
교육 과정

자료2. 로봇공학자를 희망하는 학생의 교육과정(예시)

2학년
영역 교과 1학년 3학년 1,2학기
1학기 2학기

국어 국어 문학 독서 화법과 작문

수학I 수학II 확률과 통계,


수학 수학
기하 인공지능 수학 미적분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 영어 영어I 영어II
학교 진로영어, 영미문학읽기
교육 과정
한국사,
물리학II, 화학II,
사회 통합사회, 물리학I, 화학I,
생명과학II,
과학 통합과학, 생명과학I 지구과학I
과학과제연구
과학탐구실험

생활교양 정보 공학일반

공동
프로그래밍 고급물리학
교육 과정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149


참고 읽기자료 19-1

공동 교육과정 현황

자료3. 학교간 협력 교육과정(공동교육과정)

•‌학교간 협력 교육과정이란 단위 학교에서 개설하기 어려운 과목을 학교와 학교가 서로 협력하여 교육과정을 공유
하는 형태로 공유캠퍼스와 거점형이 있다.
인터넷 주소창에 콜라캠퍼스를 검색하여 구체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다.(https://collacampus.sen.go.kr)

공유형 인근 학교를 권역화하여 학교간 다양한 교육과정을 공동 운영하며 공유하는 것으로


(공유 캠퍼스) 해당 학교군 학생들만 신청 가능

거점학교에서 운영하는 교육과정을 서울 전 지역의 희망학생이 선택하여 개별 참여하는


거점형
교육과정

자료4. 2023학년도 2학기 거점형 공동교육과정 운영현황

150 서울특별시교육청
활동지 19-1 나의 과목선택 설계

나의 교육과정 선택과목 정리하기

Ⅴ 진로와 과목선택
1단계 학교 지정 과목 2단계 학교 선택 과목 3단계 공동교육과정 과목

학교 지정 과목은 학교 선택과목은 학교에서 개설되지 않았지만


모든 학생이 이수해야 하는 진로를 고려하여 희망하는 더 배우고 싶은 과목은
과목으로 먼저 기록 계열의 과목을 선택 공동교육과정에서 선택

19
나의 과목선택 설계
‌참고자료를 활용하여 나의 과목선택 카드를 작성해보자.

1학년 2학년 3학년


교과
1학기 2학기 1학기 2학기 1학기 2학기
(군)
과목 학점 과목 학점 과목 학점 과목 학점 과목 학점 과목 학점
국어
수학
영어
한국사
사회
과학
체육
예술
기술가정
한문
교양
학기별
이수단위
합계
공동교육
과정

활동 소감
나의 교육과정 과목선택을 정리하고 자신의 느낌과 소감을 적어보자.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151


20

선택과목 내용요소 알아보기


1/1
선택과목 내용요소 알아보기
차시
20-1

활동목표
•‌내가 선택한 과목의 교육과정을 찾아 내용요소를 조사할 수 있다. .
•‌관심분야 진로에 관련된 개념과 용어를 찾아서 조사할 수 있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선택과목의 내용체계를 탐색하면서 단원과 핵심개념, 내용요소를 알아보자. 참고자료를 활용하여 교과에서 과목의
위계와 특성이 어떠한지, 단원(영역)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파악하여 정리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시간부터 교과 연계 진로탐구를 진행할 때 이번 시간에 선정한 과목의 교과개념을 활용할 수 있도록 관심이
가는 과목의 개념어와 용어를 탐색하도록 한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도입 ‌이 과목은 어떤 내용을 배울까? 5'

‌
과목의 구체적인 정보를 찾는 방법 소개
15'
•‌선택과목 안내서
전개

‌활동지에 자신이 선택한 과목 중 2개의 과목을 골라 주요 정보를 정리 15'

‌
발표와 피드백
마무리 15'
•‌우수자 발표와 학생부 기록

평가 - 선택과목 안내서에서 선택과목의 핵심개념과 내용요소를 찾아 주요내용을 적절하게 정리하는가?


•‌상 선택과목의
‌ 세부영역, 핵심개념, 내용요소를 찾고, 자신의 진로 관심사에 적절히 연결한 경우
•‌중 선택과목의 세부영역, 핵심개념, 내용요소를 찾았으나 자신의 진로 관심사에 다소 적절하게 연결되지 못한 경우
•‌하 선택과목의 내용을 찾지 못하고, 자신의 진로에 적절하게 연결되지 못한 경우

152 서울특별시교육청
참고 읽기자료 20-1

교육과정 알아보기

Ⅴ 진로와 과목선택
자료1. 2015 개정교육과정 선택과목 안내서 https://www.jinhak.or.kr/subList/20000000271

20
선택과목 내용요소 알아보기
자료2. 국가교육과정 정보센터(NCIS) http://ncic.re.kr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내용요소의 구체적인 내용을 알아볼 수 있음.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153


참고 읽기자료 20-1

자료3. 과목별 소개 자료

•‌국어교과(군)

공통

국어 일반선택 진로선택

화법과 작문, 독서, 심화 국어,


진로선택 언어와 매체, 문학 고전 읽기

실용국어

일반선택

화법과 작문
국어의 듣기, 말하기 영역과 쓰기 영역을 심화 확장한 과목, 다양한 주제와 유형의 담화와 글을 바탕으로 의미를
구성하고 공유

언어와 매체
국어의 문법 영역과 매체 관련 내용을 심화 확장한 과목, 음성 언어, 문자 언어, 매체 언어 등 실제 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언어의 본질 이해

진로선택

심화 국어
폭넓은 사고력, 언어적 사고력, 이해 및 표현 능력 등 심화된 국어 사용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과목

고전 읽기
다양한 고전을 읽으며 보다 수준 높은 교양을 갖추고 다양한 분야의 진로에 필요한 지혜와 소양을 함양하기
위한 과목

실용 국어
일상 생활 및 직업 생활에서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실용적 국어 능력을 기르기 위한 과목

154 서울특별시교육청
참고 읽기자료 20-1

•‌수학교과(군)

Ⅴ 진로와 과목선택
공통

수학 일반선택 진로선택

수학 I, 수학 II 기하, 경제 수학, 수학과제 탐구,


진로선택 미적분, 확률과 통계 인공지능 수학

20
기본 수학, 실용 수학

선택과목 내용요소 알아보기


세부 위계 구조

수학 수학 I 경제수학
수학 수학 I, 수학 II 미적분

일반선택

미적분
자연과학, 공학, 의학 뿐만 아니라 경제, 경영학을 포함한 사회과학 분야를 학습하는데 기초가 되는 과목, 수열의
극한, 미분법, 적분법의 3개 핵심 개념영역으로 구성

확률과 통계
자연과학, 공학, 의학 뿐만 아니라 경제, 경영학을 포함한 사회과학, 인문학, 예술 및 체육 분야를 학습하는데
기초가 되는 과목. 경우의 수, 확률, 통계의 3개 핵심 개념 영역으로 구성

진로선택

기하
기하적 관점에서 심화된 수학 지식을 이해하고 기능을 습득하기 위한 과목

경제 수학
수학의 지식과 기능을 활용하여 경제 및 금융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과목

수학과제 탐구
수학과제 탐구 방법을 익히고 자신의 관심과 흥미에 맞는 수학과제를 선정하여 탐구하는 과목

인공지능 수학
인공지능 분야에서 수학이 어떻게 활용되는지 알고자 하는 학생들이 선택할 수 있는 과목

실용 수학
생활 주변에서 접하는 여러 가지 실생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기르는데 기초가 되는 과목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155


참고 읽기자료 20-1

•‌영어교과(군)

공통

영어 일반선택 진로선택

영어 회화, 영어I, 영어II, 영어권 문화, 진로 영어,


진로선택 영어 독해와 작문 영미 문학 읽기

기본 영어, 실용 영어

일반선택

영어 회화
영어나 일반 선택 과목군의 교과목에서 배운 내용을 활용하여 실생활이나 학업과 관련된 맥락에서 사용하는
영어를 듣고 이해,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도록 하는 과목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나 일반 선택 과목군의 교과목에서 배운 내용을 활용하여 학습자들의 다양한 진로와 전공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읽기 능력과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과목

진로선택

영어권 문화
영어권 문화에 대한 다양한 정보와 폭넓은 체험을 통해 의사소통을 위한 문화적 소양을 함양하기 위한 과목

진로 영어
다양한 직업 및 진로 분야에서 필요한 실용적인 의사 소통 능력과 실무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과목

영미 문학 읽기
영미에서 출판된 대표적인 소설, 시, 희곡 등 영미 문학 작품의 독서와 감상을 통해 영어 독서 능력을 향상시키는
과목

실용 영어
실생활에 필요한 의사 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고 학습자의 진로 분야와 관련된 영어 이해 능력과 표현 능력의
기초를 다지는 과목

156 서울특별시교육청
참고 읽기자료 20-1

•‌사회교과(군)

Ⅴ 진로와 과목선택
공통 일반선택 진로선택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
세계사, 동아시아사,
통합사회 사회문제 탐구,
경제, 정치와 법, 사회·문화,
고전과 윤리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20
선택과목 내용요소 알아보기
일반선택

한국지리
우리 국토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이해를 바탕으로 세계화, 지역화에 필요한 지리적 안목을 기르며, 국토의 의미와
소중함을 느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과목

세계지리
세계 여러 국가와 지역들에서 볼 수 있는 공간적 상호 의존과 갈등의 본질 파악, 세계 공존과 번영의 길을 모색할
수 있는 안목을 키우는 과목

세계사
선사 시대부터 오늘날의 세계화 시대에 이르기까지 인류가 걸어온 삶의 변화를 탐구함으로써 현재 인류가 직면한
문제들에 대해 역사적으로 사고할 수 있도록 하는 과목

동아시아사
동아시아 지역에서 전개된 인간 활동과 그 결과로 남겨진 문화유산을 역사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지역에 대한
이해 증진, 공동 발전과 평화를 추구하는 안목과 자세를 기르는 과목

경제
현재 경제 생활에서 요구되는 사고력과 문제 해결력을 함양, 체계적인 경제 지식과 사고력 및 가치관을 토대로
개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경제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민주 시민 양성

정치와 법
현대 민주 법치 국가의 공동체 구성원에게 요구되는 시민의식, 정치적, 법적 사고력, 가치 판단 및 문제해결능력
함양, 정치와 법 생활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민주시민 양성

사회·문화
사회·문화 현상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탐구 방법의 습득을 통하여 합리적 의사결정 능력을 함양함으로써 다양한
사회·문화 현상에 능동적으로 대응

생활과 윤리
현대 생활의 모든 영역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윤리 문제들을 주도적으로 탐구하고 성찰함으로써 윤리적 동기를
내면화하여 공동체 안에서 윤리적 삶을 실천할 수 있는 덕성과 역량 함양

윤리와 사상
한국 및 동서양의 윤리사상과 사회사상의 학습을 통해 윤리적 앎을 심화, 자신의 삶과 사회에 대한 올바른 윤리관을
정립하고 실천하는 능력을 기르기 위한 과목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157


참고 읽기자료 20-1

진로선택

여행지리
지리 교과의 여행이라는 주제를 빌려 우리나라와 세계의 자연환경 및 인문환경 특성을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과목

사회문제 탐구
여러 사회문제에 대한 탐구를 통해 사회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해결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능력 함양

고전과 윤리
생활 세계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동서양의 고전들과 직접 마주하고 삶의 의미에 대해 도덕적으로 탐구하고
성찰하는 과목

전문 과목
과목명 과목 정보
[정치와 법을 학습한 후 선택] 현대 국제 정치의 주요 주제와 역사적 이슈 등에 대해
국제 정치
심화하여 학습하는 과목

[경제를 학습한 후 선택] 국제 경제의 핵심적인 개념과 이를 적용한 국제 경제 현상의


국제 경제
분석에 대해 심화하여 학습하는 과목

[정치와 법을 학습한 후 선택] 국제법의 체계와 내용, 국제 사회 주체들의


국제법
다양한 갈등 사례에 대한 법적 분석 및 해결에 대해 심화하여 학습하는 과목

[세계 지리를 학습한 후 선택] 지역 연구의 다양한 방법, 여러 지리적 규모에 따라


지역 이해
나타나는 다양한 현상들에 대한 융합적 고찰에 대해 심화하여 학습하는 과목

[사회문화를 학습한 후 선택] 현대 한국의 정치와 경제, 사회 변동, 문화적 특성에 대해


한국 사회의 이해
심화하여 학습하는 과목

[세계 지리, 사회문화를 학습한 후 선택] 비교 문화적 연구 방법 및 국제 사회의


비교 문화
다양한 문화에 대해 심화하여 학습하는 과목

[세계지리, 사회문화, 세계사를 학습한 후 선택] 국제 사회의 특성, 전 지구적 성격의


세계 문제와 미래사회
세계 문제에 대한 종합적 이해 및 해결에 대해 심화하여 학습하는 과목

[정치와 법을 학습한 후 선택] 국제 관계의 구조와 질서, 국제기구의 역할에 대해


국제관계와 국제기구
심화하여 학습하는 과목

[세계사를 학습한 후 선택] 시대사적 관점을 배경으로 한 현대 사회의 특성 및


현대 세계의 변화
문제 해결에 대해 심화하여 학습하는 과목

[통합사회 및 국제 계열 전문교과 과목에서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선택] 인간과


사회 탐구 방법
사회 현상에 대한 과학적 탐구 방법을 심화하여 학습하는 과목

[사회 탐구 방법을 학습한 후 선택] 국제 계열 전문 교과 과목에서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사회과제 연구
연구 문제를 선정하여 소규모 연구를 실제 수행하는 과목

158 서울특별시교육청
참고 읽기자료 20-1

•‌과학교과(군)

Ⅴ 진로와 과목선택
공통 일반선택 진로선택

물리학II, 화학II,
통합과학 물리학I, 화학I,
생명과학II, 지구과학II
과학탐구실험 생명과학I, 지구과학I
과학사, 생활과 과학, 융합과학

20
세부 위계 구조

선택과목 내용요소 알아보기


공통 일반선택 진로선택

통합과학 물리학I, 화학I, 물리학II, 화학II,


과학탐구실험 생명과학I, 지구과학I 생명과학II, 지구과학II

일반선택

물리학I
첨단 과학기술과 실생활 관련 주제를 중심으로 물리학의 기본 개념들을 이해하고, 과학적 사고력, 탐구능력,
문제 해결력 등의 과학과 핵심 역량 함양

화학I
자연 현상 또는 일상의 경험과 관련 있는 상황을 통해 화학 개념과 탐구 개념과 탐구방법을 학습하고 현대 지식
기반 사회의 민주 시민으로 화학에 대한 기초 소양을 갖추기 위한 과목

생명과학I
사람의 몸을 중심으로 나타나는 생명현상에 대한 이해를 통해 생활 속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의문점들을 창의적
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생명과학의 기초 소양을 기르는 과목

지구과학I
지구와 우주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현대 지식 기반 사회의 시민이 갖추어야 할 지구과학에 대한
기초 소양 함양

진로선택

물리학II
물리학I 에서 학습한 개념을 기초로 심화된 물리 개념과 다양한 탐구방법 학습

화학II
화학I에서 다루는 개념을 기초로 심화된 화학 개념과 다양한 탐구방법 학습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159


참고 읽기자료 20-1

진로선택

생명과학II
생명과학의 핵심개념의 이해를 바탕으로 학문적 호기심과 흥미 제고

지구과학II
지구와 우주에 관한 지구과학의 핵심 개념 이해 및 탐구 능력 함양

과학사
서양 과학 및 동양 과학의 과학사를 학습함으로써 과학의 본성 및 특성 이해

생활과 과학
과학적 원리를 실생활에 적용하는 능력 및 합리적으로 선택하는 능력 함양

융합과학
자연을 총체적으로 바라보고 여러 자연 현상들을 연결해주는 기본원리 이해 및 적용

전문 과목
과목명 과목 정보
[물리학I, 물리학II 를 학습한 후 선택] 물리학에 흥미와 관심이 있는 학생들이 심화된 수준으로
고급 물리학
물리학의 학문적 체계 및 내용을 학습하기 위한 과목
[화학I, 화학II를 학습한 후 선택] 심화된 화학 개념과 탐구 원리를 통해 물질의 구조, 성질,
고급 화학
그리고 변화에 대한 체계적 이해를 도모하는 과목
[생명과학I, 생명과학II 를 학습한 후 선택] 최신의 생명과학을 접하고, 보다 전문적인 생명과학 개념을
고급 생명과학 분자적 수준에서 통합적으로 이해하며, 관심 있는 생명과학의 주제에 대해 과학적으로 탐구하는
능력을 기르는 과목
[지구과학I, 지구과학II를 학습한 후 선택] 주변 현상과 시공간적으로 밀접하게 관련된 지구와 우주에 관한
고급 지구과학
현상에 대한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관심 있는 주제에 대하여 과학적 탐구를 직간접적으로 체험하는 과목
[물리학I, 물리학II 를 학습한 후 선택] 심화된 수준으로 물리학 실험 탐구를 해봄으로써 이공계로
물리학 실험
진학하였을 때 필요한 실험 및 탐구 역량을 기르기 위한 과목
[화학I, 화학II를 학습한 후 선택] 심화된 화학 실험의 원리와 기능을 익혀 물질 현상을 체계적으로
화학 실험
탐구함으로써 화학 개념의 심도 있는 이해를 도모하는 과목
[생명과학I, 생명과학II 를 학습한 후 선택] 각 주제별(생물의 구조와 기능, 물질대사, 자극과 반응,
생명과학 실험 생식과 발생, 유전과 진화, 생물과 환경, 생명공학)로 몇가지 핵심적인 실험으로 구성되며
필요한 기초적인 실험 기기 사용법과 조작법을 익힐 수 있는 과목
[지구과학I, 지구과학II를 학습한 후 선택] 고체 지구, 대기와 해양, 우주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며
지구과학 실험
다양한 활동을 통하여 탐구 능력 및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기르는 과목
토론과 조사를 거쳐 융합과학 소재의 과제를 선정하여 실험 실습을 수행하고 결론을 도출하여
융합과학 탐구 보고서를 작성하는 일련의 연구과정을 체험하여 과학자 혹은 일반 시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창의성과 문제해결능력을 기르기 위한 과목
토론과 조사를 거쳐 특정 과학 과제를 선정하여 실험 실습을 수행하고 결론을 도출하여 보고서를
과학과제 연구
작성하는 일련의 연구 과정을 체험하여 과학자가 갖추어야 할 연구 수행 능력을 기르기 위한 과목
생태와 환경에 관심이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미래의 과학 인재들의 생태와 환경에 대한 과학적
생태와 환경
소양을 함양하여 개인적인 실천 뿐만 아니라 진로를 결정하는데 필요한 지식을 제공

160 서울특별시교육청
참고 읽기자료 20-1

•‌체육·예술교과(군)

Ⅴ 진로와 과목선택
일반선택 진로선택

체육, 운동과 건강, 스포츠 생활, 체육 탐구, 음악 연주,


음악, 미술, 연극 음악 감상과 비평, 미술 창작, 미술 감상과 비평

전문교과 I

20
과목명 과목 정보

선택과목 내용요소 알아보기


스포츠 개론, 체육과 진로탐구, 체육 지도법, 육상 운동, 체조 운동, 수상 운동,
체육 개인 대인 운동, 단체 운동, 체육 전공 실기 기초, 체육 전공 실기 심화,
체육 전공 실기 응용, 스포츠 경기 체력, 스포츠 경기 실습, 스포츠 경기 분석

음악 이론, 음악사, 시창 청음, 음악 전공 실기, 합창, 합주, 공연 실습, 미술이론, 미술사,


예술
드로잉, 평면 조형, 입체 조형, 매체 미술, 미술 전공 실기 등

•‌생활 교양 교과 영역

일반선택 진로선택

농업 생명 과학, 공학 일반, 창의 경영,


기술·가정, 정보
해양 문화와 기술, 가정 과학, 지식재산일반

독일어I, 프랑스어I, 스페인어I, 중국어I, 독일어II, 프랑스어II, 스페인어II, 중국어II, 일본어II,


일본어I, 러시아어I, 아랍어I, 베트남어I 러시아어II, 아랍어II, 베트남어II

한문I 한문 II

철학, 논리학, 심리학, 교육학, 종교학, 진로와 직업,


보건, 환경, 실용경제, 논술

전문교과 I
과목명 정보과학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161


활동지 20-1 선택과목 내용요소 알아보기

나의 관심과목 내용 조사하기

‌내년에 배울 과목 중에서 진로와 가장 연계성이 높은 두 과목을 선택해 보자.

‌선택과목 안내서를 참고하여 영역(단원명)과 핵심개념, 내용요소를 찾아서 정리해 보자.

과목명

영역(단원명) 핵심개념 내용 요소

과목명

영역(단원명) 핵심개념 내용 요소

‌위의 단원과 내용요소 중에서 가장 관심이 가는 키워드를 3개 이상 적어보자.

162 서울특별시교육청
21

교과 연계 진로탐구 주제 정하기

Ⅴ 진로와 과목선택
1/1
교과 연계 진로탐구 주제 정하기
차시
21-1

21
교과 연계 진로탐구 주제 정하기
활동목표
•‌자신의 관심 진로를 교과 수업 시간에 배운 개념을 활용하여 탐구할 수 있다.
•‌교과개념을 자신의 일상과 주변에서 적용하여 탐구 주제를 선정할 수 있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개인 활동으로 할 수도 있지만, 비슷한 진로를 가진 친구들을 모둠으로 함께 진행하는 것을 권장한다. 모둠활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교실환경을 구성하고, 협업을 위한 디지털환경이 구축될 수 있도록 한다. 구글 클래스룸,
구글 슬라이드, 구글 잼보드 등을 모둠별로 할당하여 구성원에게 수정 권한을 주면 좋다.
•‌탐구 주제는 진로+교과+일상+주변을 연결하되 가능하면 문헌연구로 끝나지 않고 직접 설문, 관찰, 인터뷰, 실험,
자료개발, 모형제작 등의 구체적인 결과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안내한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도입 ‌모둠 구성, 소개 5'

‌지난 시간 선정한 관심 키워드 공유 5'

전개
‌
관심 주제 브레인스토밍과 탐구주제 정리하기
25'
•‌구글 잼보드를 이용한 메모장 기록과 분류

‌
발표와 피드백
마무리 15'
•‌우수자 발표와 학생부 기록

평가
•‌선정된 프로젝트 주제를 이후 진로시간을 이용하여 계속 탐구하여 탐구보고서를 발표하거나, 교과 수업시간에
탐구할 수 있도록 안내. 탐구 주제의 문제의식과 진로연계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피드백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163


참고 읽기자료 21-1

교과 연계 진로탐구 주제 정하기

자료1. 탐구주제 정하기

➊ 좋
‌ 은 주제의 조건
•조원 모두의 관심사를 포함
•주변의 일상과 연결(교실, 지역사회, 청소년, 등)
•교과 개념을 활용
•주어진 시간 안에 결론을 만들 수 있는 주제

➋ 주
‌ 제의 종류
•원인과 결과( ~요인 분석, ~의 영향)
•실태조사, 정책제안
•실천사례
•최신 동향 보고서
•자료 개발
•모형 제작

➌ 주
‌ 제 사례
•마늘의 천연항생물질과 항생 효능 실험
•mRNA와 바이러스 벡터 방식 백신의 비교
•우리 학교 학생들의 주요 질환 조사 및 생활습관 개선방안
•기후변화로 인한 식량생산변화 수리모델링
•인공지능을 활용한 우리 마을 범죄 예방 프로그램
•지진 강도 7단계의 지진대비를 위한 우리 학교 내진설계 비용 계산

➍ U
‌ N이 정한 지속가능한 발전 과제
•https://www.undp.org/sustainable-development-goals

자료2. 구글 잼보드 활용 주제 정하기 브레인스토밍

➊ 선
‌ 택한 주제에 관련된 문제상황을 찾아봅시다
➋ 누
‌ 가 어려움을 겪고 있나요?
➌ 사
‌ 례는?
➍ 왜
‌ 이런 문제가 생긴 것인가요?
➎ 우
‌ 리 모둠의 연구대상은?

164 서울특별시교육청
참고 읽기자료 21-1

•예시 1

Ⅴ 진로와 과목선택
‌선택한 주제에 관련된 문제상황(고통, 어려움, 불편함)을 찾아보자.

21
교과 연계 진로탐구 주제 정하기
•예시 2

‌선택한 주제에 관련된 문제상황(고통, 어려움, 불편함)을 찾아보자.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165


활동지 21-1 교과 연계 진로탐구 주제 정하기

교과 연계 진로탐구 주제 정하기

‌관심 키워드

‌연구 대상

‌연구 방법

‌연구 주제명

활동 소감
진로탐구 주제를 정리하고 자신의 느낌과 소감을 적어보자.

166 서울특별시교육청
22

[프로젝트] 교과 연계 진로탐구

Ⅴ 진로와 과목선택
1/1
진로탐구 활동
차시
22-1

22
[프로젝트] 교과 연계 진로탐구
활동목표
•‌교과 개념을 활용하여 책과 인터넷을 통해 심화된 자료를 찾을 수 있다.
•‌문헌과 설문 등 자료수집을 통해 진로에 연계된 창의적인 결과물을 산출할 수 있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진로에 관련된 주제를 정하고, 문헌조사, 설문, 인터뷰, 실험, 관찰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학생 스스로 주도적인
탐구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학생들이 탐구하고자 하는 주제에 관련한 공공데이터 활용과 학술자료, 책을 찾아보는 방법을 안내하고, 정리
하도록 한다. 찾은 자료를 토대로 우리 학교, 교실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실천사례나 활용방안을 마련하도록 하여
탐구의 결과물을 산출하도록 한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
주도적인 문제해결역량의 중요성과 사례
도입 1차시
•‌선배, 또는 타학교 프로젝트 사례

‌
탐구 수행 과정 안내
•‌탐구보고서 목차 정하기 > 자료수집방법과 역할분담하기 > 자료수집하기 2차시
자료분석 및 시각화 하기 > 결론도출과 발표준비하기
전개
‌
모둠별 진행상황 조언
•‌학교에서 지원 가능한 자원을 연계하고 안내 3~5차시
•‌탐구 진행시 안전과 학생으로서의 품위 유지 안내

‌
발표와 피드백
마무리 6~7차시
•‌우수자 발표와 학생부 기록

평가
•‌탐구 문제 선정과정과 자료수집의 적절성, 최종 보고서의 완성도를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학생부 진로활동 특기
사항에 기록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167


참고 읽기자료 22-1

참고 자료

자료1. 공공데이터

‌ 공데이터 포털 https://www.data.go.kr
➊ 공
‌ 가통계 포털 https://kosis.kr
➋ 국
‌ 병관리청 건강통계 https://www.kdca.go.kr/contents.es?mid=a20601030600
➌ 질

자료2. 학술자료 검색

‌ Bpia https://www.dbpia.co.kr
➊ D
‌ iss http://www.riss.kr
➋ R
‌ 글 스칼라 https://scholar.google.com
➌ 구

자료3. 인공지능 활용 자료

‌ pen AI https://chat.openai.com
➊ O
‌ 랩 https://colab.research.google.com
➋ 코
‌ 쳐블머신 https://teachablemachine.withgoogle.com
➌ 티
‌ all-e https://openai.com/dall-e-2
➍ D
‌ 드저니 https://www.midjourney.com
➎ 미
‌ 바실험실 https://javalab.org
➏ 자

168 서울특별시교육청
활동지 22-1 진로 탐구 활동

진로탐구 활동 보고서

Ⅴ 진로와 과목선택
‌탐구 목적

22
[프로젝트] 교과 연계 진로탐구
탐구 대상

‌탐구 방법

‌역할분담과 진행일정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169


활동지 22-1 진로 탐구 활동

‌주요 용어와 개념

문헌 및 통계 자료

170 서울특별시교육청
활동지 22-1 진로 탐구 활동

‌자료수집(사례)과 분석

Ⅴ 진로와 과목선택
22
[프로젝트] 교과 연계 진로탐구
‌결론도출

‌탐구의 의의와 더 탐구하고 싶은 것

활동 소감
진로탐구 활동을 정리하고 자신의 느낌과 소감을 적어보자.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171



대입
설계

23
대학 입학 전형의 이해

24
학교활동 계획 세우기

25
진로에 맞는 대입 설계

26
특성화고등학교의 대학 진학 준비

27
[프로젝트] 내가 지원할 대학 찾아보기
23

대학 입학 전형의 이해
1/3
수시모집 탐색하기
차시
23-1

활동목표
•‌수시모집의 특징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자신의 진로 및 현재 상황과 연계해서 가장 적절한 전형을 찾을 수 있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수시모집은 전형별로 어떤 특징이 있는지 안내하고, 자신의 현재 상황에서 어떤 전형에 비중을 둬야 할지 생각해
볼 수 있도록 한다.
•‌자신이 희망하는 대학(학과)에 대해 충분히 조사할 수 있도록 한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대학을 진학하는 다양한 방법을 알아볼 수 있도록 한다.


도입 5'
‌수시모집의 장점에 대해 안내한다.

‌대표적인 수시모집 전형에 대해 알아본다.


20'
‌학생부교과전형, 학생부종합전형, 논술전형에 대해 안내한다.
전개
‌3개 전형이 모두 있는 대학을 선정하여 전형별 차이를 확인한다.
20'
‌각 전형의 차이점을 명확히 알 수 있도록 내용을 기록한다.

‌전형조사 결과를 발표한다.


마무리 5'
‌다음 차시에서는 정시모집에 대해 알아본다.

평가
•전형별 특징을 3개 이상 적을 수 있다.
•활동지 기록에서 전형별 특징이 나타날 수 있도록 기록한다.

174 서울특별시교육청
참고 읽기자료 23-1

수시모집
가. 2025 대입 수시 모집 일정

Ⅴ 대입설계
➊ 원
‌ 서접수 : 2024. 09. 09. ~ 09. 13. 중 3일 이상
➋ 합격자 발표 : 2024. 12. 13.
➌ 합격자 등록 : 2024. 12. 16. ~ 12. 18.(3일)

23
나. 학생부교과전형

대학 입학 전형의 이해
•‌학생부(교과성적)를 가장 중요한 전형 요소로 활용하는 전형이다.(교과 성적을 50% 이상 정량적으로 반영)
•대학별로 반영방법(교과 및 학년별 반영 비율 등)이 다르기 때문에 정확히 확인해야 한다.
•내신이 우수한 학생들이 주로 지원하기 때문에 중복합격 및 충원율이 높은 전형이다.
•‌학생부 교과 영역 이외에 다른 전형 요소(비교과, 면접, 수능최저학력기준)를 반영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정확한
전형요소를 꼭 확인해야 한다.
•수능최저학력 기준을 맞춰야 하는 대학이 많다.
대입 수능최저학력기준(2025 대입)
대학 수능최저학력 기준
인문, 자연 : 국수영탐(2) 3개 영역 등급합 7, 한국사 4
고려대
의예 : 국수(미/기)영과(2) 4개영역 등급합 5, 한국사 4(과탐 동일Ⅰ+Ⅱ 불허)
국민대 인문 : 국수영탐(1) 2개 영역 등급합 5 / 자연 : 국수영과(1) 2개 영역 등급합 6
상명대 국수영탐(1) 2개 영역 등급합 7
서강대 국수영탐(1) 3개 영역 각 3등급 이내, 한국사 4
이화여대 없음
※ 정확한 내용은 2025 대입 대학별 모집요강 참조

•학교장추천전형은 학생부교과전형으로 실시되는 경우가 많다.


학교장추천전형(지역균형전형) 추천기준(2025 대입)
대학 추천기준 대학 추천기준
경희대 5% 고려대 12명
덕성여대 제한없음 동국대 8명
상명대 10명 성균관대 15명
이화여대 20명 한국외대 10명
한양대 11% 홍익대 10명
※ 정확한 내용은 2025 대입 대학별 모집요강 참조

•학생부 교과전형은 전형요소를 어떻게 반영하는가에 따라 다양한 특징을 갖는다.


전형요소 반영 방법에 따른 특징
반영방법 특징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여 선발하는 대학이 많다.
교과 100
·수능최저학력기준이 없는 경우 합격선이 높을 수 있다.
교과 + 비교과(출결, 봉사 등) ·출결, 봉사활동 시간을 정량적으로 반영하지만 실질적인 영향력은 높지 않다.
·단계별 전형으로 1,2단계로 나누어 선발한다.(1단계 학생부, 2단계 면접)
학생부 + 면접
·대학, 학과의 특성에 따라 면접 형태가 다양하다.(제출서류기반면접, 제시문기반면접)
학생부 + 서류 ·정량화된 교과성적과 정성평가인 서류평가 성적이 반영된다.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175


참고 읽기자료 23-1

다. 학생부종합전형

•‌학생부를 중심으로 학생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전형이다.


•‌1,2학년 때부터 학생부 교과 및 비교과 활동을 잘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면접 없이 서류만 평가하는 경우도 있다. 면접의 유형(제시문 기반면접, 제출서류 기반면접)이 어떻게 되는지 꼭
확인해야 한다.
•‌학교생활에서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도전하는 자세를 가지고 열정적으로 활동하는 모습이 중요하다.
•‌진로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가지고 있는 학생이 준비하기 좋은 전형이다.
•‌자신이 지원하려고 하는 학과에 대한 탐색을 통해 진로역량을 보여줄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수능최저학력기준을 반영하지 않는 대학이 많지만 반영하는 대학도 있으니 꼼꼼히 전형기준을 봐야 한다.
•‌대학마다 평가요소가 조금씩 다르니 입학처에 들어가 모집요강을 꼭 확인해야 한다.
•‌평가요소 및 평가 항목(건국대·경희대·연세대·중앙대·한국외대 공동연구)
평가 요소 학업 역량 진로 역량 공동체 역량
•학업 성취도 •전공(계열) 교과 이수 노력 •협업과 소통능력
•학업 태도 •전공(계열) 관련 교과 성취도 •나눔과 배려
평가 항목
•탐구력 •진로 탐색 활동과 경험 •성실성과 규칙준수
•리더십

•‌서류 평가요소(2024 대입)


대학 전형명 학업역량 진로역량 공동체역량
건국대 KU자기추천 30 40 30
경희대 네오르네상스 30 50 20
고려대 계열적합형 40 40 자기계발역량 20
고려대 학업우수형 50 30 자기계발역량 20
서강대 일반 50 30 성장가능성 20
서울교대 교직인성우수자 100 교직인성, 교직적성
서울대 일반전형 100 학업능력, 학업태도, 학업 외 소양
서울시립대 면접형 35 40 잠재역량 25 사회역량
계열모집 15 전공적합성 10 자기주도성
성균관대 50
학과모집 15 활동다양성 10 발전가능성
연세대 활동우수형 70 30
중앙대 CAU 융합형인재 50 30 20
※ 정확한 내용은 2024 대입 대학별 모집요강 참조
•‌면접 평가요소(2024 대입)
대학 전형명 학업역량 진로역량 공동체역량
건국대 KU자기추천 30 40 30
경희대 네오르네상스 50 전공적합성 50 인성
고려대 계열적합형 제시문 기반면접
고려대 학업우수형 제시문 기반면접
서강대 일반 면접 없음
서울교대 교직인성우수자 100 교직인성, 교직적성, 교직교양
서울대 일반전형 제시문 기반면접
서울시립대 면접형 35 40 잠재역량 25 사회역량
연세대 활동우수형 제시문 기반면접(인문·통합-국어, 사회), (자연-수학, 과학)
중앙대 CAU 융합형인재 40 학업준비도 40 학교생활충실도 20 인성, 의사소통능력
※ 정확한 내용은 2024 대입 대학별 모집요강 참조

176 서울특별시교육청
참고 읽기자료 23-1

라. 논술전형

•‌대학 자체에서 실시한 논술이 고사 성적에 많은 비중을 두고 선발하는 전형이다.

Ⅴ 대입설계
•‌인문계열은 배경지식을 바탕으로 논리적·비판적 사고능력이 중요하고, 자연계열은 수학, 과학 교과의 기본 개념요
소의 이해를 바탕으로 논리적인 문제해결력이 중요하다.
•‌전형요소별 반영비율이 대학마다 다르기 때문에 정확히 확인해야 한다.
•‌수능최저학력기준이 없는 대학도 있다. 하지만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충족시킬 수 있는 대학과 학과를 지원하면
상대적으로 실질 경쟁률을 낮출 수 있다.

23
대학 입학 전형의 이해
•‌논술고사가 수능 전인지 후인지 확인해야 한다. 또 논술 날짜가 겹치는 대학이 많으니 꼭 고사 일정을 확인해야 한다.
•‌다른 전형에 비해 경쟁률이 높고, 합격률은 낮다.
•‌논술 유형

계열 논술 유형
•언어논술
•언어논술 + 도표·그래프 분석
인문계 •언어논술 + 수리 논술
•영어 제시문
•교과논술 / 약술형 논술
•수리 논술
자연계 •수리 + 언어 논술
•수리 + 과학(과학 선택 / 과학 지정)

서울진로진학정보센터 – 1,2학년 진학지도 자료집


https://www.jinhak.or.kr/subList/20000000244

서울진로진학정보센터 – 대학별 분석/전략


https://www.jinhak.or.kr/subList/20000000252

서울진로진학정보센터 – 모집요강
https://www.jinhak.or.kr/subList/20000000250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177


활동지 23-1 수시모집 탐색하기

수시모집 탐색하기

‌수시모집 각 전형의 특징을 적어보자.

학생부교과전형 논술전형

학생부종합전형

‌모집요강을 보고 지원하고자 하는 학과의 전형을 조사해 보자.


(학생부교과전형, 학생부종합전형, 논술전형이 모두 있는 대학에서 조사)

대학 학과
전형명
모집 학교생활기록부 수능최저 면접
전형별 반영 요소 및 비율
인원 반영 방법 학력기준 실기

학생부
교과

학생부
종합

논술

178 서울특별시교육청
2/3
정시모집 탐색하기
차시
23-2

활동목표

Ⅴ 대입설계
•‌정시모집의 특징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자신의 진로 및 현재 상황을 고려하여 대학과 학과를 선택할 수 있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23
•‌정시모집에서 학생들이 꼭 알아야 할 내용 위주로 안내한다.

대학 입학 전형의 이해
•‌많이 사용하는 대입 용어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지원을 희망하는 대학과 학과의 경우 충분히 전형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도입 정시모집의 특징을 알아볼 수 있도록 한다. 5'

‌정시모집의 특징에 대해 설명한다.

20'

‌특정 대학을 선정하여 모집요강을 같이 살펴본다.

전개
‌자신이 원하는 대학의 모집요강을 찾아 기록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20'
‌
활동 중 학생들의 질문에 답해주어 학생들의 정시모집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조사 결과를 발표한다.

마무리 5'

다음 차시 전문대학 입시에 대해 간략히 소개한다.

평가
•‌지원하고자 하는 대학과 학과에 대한 조사를 빈 항목 없이 3개 작성한다.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179


참고 읽기자료 23-2

정시모집

가. 2025 대입 정시 모집 일정

➊ 원
‌ 서접수 : 2024. 12. 31. ~ 2025. 01. 03. 중 3일 이상
➋ 합격자 발표 : 2025. 02. 07.까지
➌ 합격자 등록 : 2025. 02. 10. ~ 02. 12.(3일)

나. 입시 용어

입시 용어 내용
가산점 특정 평가요소, 과목 등에 추가점수를 부여하는 것을 말한다.
가중치 특정 학년, 교과, 영역에 비중을 두어 전형총점을 계산하는 것이다.
대학에서 학생을 모집하는 단위로,
모집단위
주로 학과 단위로 모집을 하며, 학부나 계열별로 통합하여 모집하는 경우도 있다.
각 과목의 난이도와 표준편차를 고려해 산출되는 점수로
변환표준점수
대학에서 주로 탐구영역의 성적을 반영할 때 사용한다.
학생을 선발하기 위해 고려되는 요소다. 예를 들어 학생부 교과, 비교과, 서류평가성적,
전형요소
면접평가성적, 수능성적, 논술고사성적, 외국어능력, 실기능력 등이 있다.
환산점수 대학 자체의 반영 방식을 통해 산출한 전형 총점을 말한다.

다. 수능활용지표

활용지표 활용지표 이해
•‌정답을 맞춘 문항에 부여된 점수를 모두 합한 점수다.
원점수 •‌국어, 수학, 영어영역은 100점 만점, 탐구, 제2외국어/한문, 한국사는 50점 만점이다.
•‌수능성적표엔 표기되지 않는다.
•‌원점수에 해당하는 점수를 상대적인 서열로 나타내는 점수다.
표준점수 •‌응시영역/과목별 응시자 중 수험생의 상대적 위치, 성취 수준을 나타내기 위해 산출한 성적지표로
표준점수를 활용한다.
•‌영역/과목 내에서 개인의 상대적 서열을 나타내는 수치다.
•‌응시 학생 전체에 대해 그 학생보다 낮은 점수를 받은 학생 집단의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내는
백분위
수치를 의미한다.
•‌백분위를 활용하면 해당영역에서 수험생의 성취수준을 파악할 수 있다.
•‌수능 영역별 표준점수의 분포를 9개 구간으로 나누어 비율로 해당 값을 부여한다.
등급 1 2 3 4 5 6 7 8 9
등급 비율 4 7 12 17 20 17 12 7 4
누적비율 4 11 23 40 60 77 89 96 100
•‌영어, 한국사, 제2외국어/한문은 절대평가로 원점수를 기준으로 등급을 부여한다.

180 서울특별시교육청
참고 읽기자료 23-2

•‌수능 성적 중에서 표준점수, 백분위, 표준점수+백분위, 표준점수+변환표준점수 등을 활용한다.


•‌많은 대학에서 수능 100%로 학생을 선발한다. 하지만 일부 대학이나 학과에서는 학생부, 면접, 실기를 반영한다.
•‌수시모집 대학의 합격자(최초 합격자 및 충원 합격자)는 수험생의 등록 의사와 관계없이 정시모집에 지원할 수 없다.

Ⅴ 대입설계
•‌한 학생 당 최대 3개 대학 지원이 가능하다.(가군, 나군, 다군 유형에서 각 1회씩 3회 지원 가능)
•‌대학마다 모집하는 군이 다르니 자신이 지원할 대학과 학과가 어느 군에 속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대학별 모집군 예시(2025 대입)
분할 모집 군 대학명
가 고려대, 한국교원대, 한국체육대 등

23
나 경인교대, 서강대, 서울교대, 서울대 등

대학 입학 전형의 이해
다 가야대, 한경국립대, 한국성서대, 한동대 등
가/나 경북대, 덕성여대, 상명대, 세종대, 숙명여대, 이화여대 등
가/다 인천대, 한국해양대, 한신대 등
나/다 성공회대, 수원대, 안양대, 차의과학대 등
가/나/다 가천대, 가톨릭대, 건국대, 국민대, 서울시립대, 성균관대 등
※ 정확한 내용은 대학별 모집요강 참조
•‌수능 접수인원 변화
구분 재학생 졸업생 검정고시 등
2024 326,646(64.7%) 159,742(31.7%) 18,200(3.6%)
2023 350,239(68.9%) 142,303(28.0%) 15,488(3.1%)
2022 360,710(70.8%) 134,834(26.4%) 14,277(2.8%)
2021 346,673(70.3%) 133,070(27.0%) 12,439(2.3%)

•‌성적분석을 통해 지원할 대학을 고려한다.

•수능 영역별 반영 비율, 반영 지표, 점수 조합 •수능 수학 및 탐구영역 반영


•수능 변환표준점수 확인(과학, 사회) •영어영역 반영 방법
•표준점수/백분위/등급 등 성적 파악 •반영 지표상의 유불리 분석

•‌지원 전략을 수립한다.

•군별 상향/소신/안정권 지원 대학을 고려한다.


•‌군별 모집인원 분포 및 반영 요소별 유불리, 경쟁률, 이월 인원, 충원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군별 지원대학을 선정한다.

•‌전년도 입시결과를 분석 한 후 모집군별 대학 및 모집단위를 최종 결정해야 한다.


•‌전년도 입시결과 확인 : 서울진로진학정보센터(정시
‌ 대학별 분석/전략)나 어디가(대학별 전형 평가기준 및 전년도 결과
공개 안내)를 참고한다.

서울진로진학정보센터 – 정시 대학별 분석/전략


https://www.jinhak.or.kr/subList/20000000258

어디가 – 대학별 입시정보 – 전형평가기준 및 전년도 결과공개


https://www.adiga.kr/kcue/ast/eip/eis/inf/stdptselctn/eipStdGenSlcIemCmprGnrl2.do?p_menu_id=PG-EIP-16001&chkUnivList=0000063&sch_year=2024#con10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181


활동지 23-2 정시모집 탐색하기

정시모집 탐색하기

‌정시모집의 특징을 적어보자.

정시모집

‌지원하고자 하는 대학의 학과에 대해 조사해 보자.

대학 과

모집인원 전형 요소별 반영 비율

수능 반영 방법 영어 반영 방법 :
한국사 반영 방법 :
학생부 반영 방법
전년도 입시결과 2024년 2023년

대학 과

모집인원 전형 요소별 반영 비율

수능 반영 방법 영어 반영 방법 :
한국사 반영 방법 :
학생부 반영 방법
전년도 입시결과 2024년 2023년

대학 과

모집인원 전형 요소별 반영 비율

수능 반영 방법 영어 반영 방법 :
한국사 반영 방법 :
학생부 반영 방법
전년도 입시결과 2024년 2023년

182 서울특별시교육청
3/3
전문대학 입시 탐색하기
차시
23-3

활동목표

Ⅴ 대입설계
•‌전문대학 입시의 특징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자신의 진로 및 현재 상황과 연계해서 가장 적절한 전형을 찾을 수 있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23
•‌학생들이 진로와 연계하여 대학과 학과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대학 입학 전형의 이해
•‌4년제 대학과 다른 전문대학 입시의 특징을 이해하고, 학생들이 정확히 모르는 대학의 위치와 교통편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전문대학 입시에 관심이 없더라도 다양한 학과 탐색을 통해 진로에 대한 역량을 높일 수 있도록 지도한다.
•‌전년도 전문대학 입시의 합격권 성적을 확인하여 현재 자신의 성적에서 대략적인 지원 가능 대학을 찾아볼 수 있게 한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전문대학의 장점이 무엇이 있는지 간략히 설명한다.

도입 5'

활동 내용에 대해 안내한다.

‌전문대학 입시의 특징에 대해 설명한다.

20''

‌관련 사이트를 안내하고 자료를 어떻게 찾는지 설명한다.

전개

‌관심있는 분야의 대학과 학과에 대해 조사한다.

20'

‌학생이 조사한 내용을 발표한다.

마무리 학생 발표에 대해 피드백을 주고, 전문대학 관련 사항을 정리한다. 5'

평가
•‌전문대학 입시의 특징에 대해 기술할 수 있다.
•‌조사한 학과에 대해 발표할 수 있다.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183


참고 읽기자료 23-3

전문대학 입시
가. 2025 대입 전문대학 모집 일정

➊ 모
‌ 집 일정이 4년제 대학과 다르다.
➋ 전
‌ 문대학 수시모집 일정 : 수시 1차 모집(2024. 09. 09. ~ 10. 02.), 수시 2차 모집(2024. 11. 08. ~ 11. 22.)
➌ 전
‌ 문대학 정시모집 일정 : 2024. 12. 31. ~ 2025. 01. 14.

나. 전문대학 입시

➊ 복
‌ 수지원 허용 여부
•‌전문대학은 지원횟수에 제한 없이 지원이 가능하고, 전문대학 간 또는 전문대학과 대학 간 복수지원도 가능하다.

➋ 수
‌ 시 학생부 반영 방법
•‌우수한 1개 학기, 우수한 2개 학기, 우수한 3개 학기 등 대학·학과별로 다르다.(2025 대입)

경기과학기술대학교(3학년 1학기 제외), 김포대학교, 동원대학교,


우수한
두원공과대학교(간호학과 제외), 신안산대학교, 여주대학교, 오산대학교,
1개 학기
청강문화산업대학교, 한국관광대학교, 인하공업전문대학교 등

우수한 동양미래대학교, 배화여자대학교, 서일대학교, 숭의여자대학교, 인덕대학교, 한양여자대학교,


2개 학기 대림대학교, 부천대학교, 수원여자대학교, 연성대학교 등

명지전문대학(1, 2학년 우수학기 각30 + 3학년 1학기 40),


기타
서울여자간호대학교(우수한 3개 학기)

※ 정확한 내용은 2025 대입 대학별 모집요강 참조

➌ 정
‌ 시 성적 반영 방법
•‌수능 성적을 많이 반영하지만 교과, 면접, 실기 등 대학·학과에 따라 반영방법이 다양하다.

➍ 전
‌ 년도 입시 결과 파악
•‌전년도 모집요강과 올해 모집요강의 변경된 점이 없는지 확인하고, 전년도 입시결과를 참고한다.

프로칼리지 – 입학정보 - 전년도 입시결과


https://procollege.kr/web/entrance/webEntrancePreResult.do

➎ 대
‌ 학 위치 파악
•‌관심있는 대학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프로칼리지 – 전문대학소식 – 전문대학?! - 지역별 전문대학


https://procollege.kr/web/college/webCollegeDefineMap.do?region=all

184 서울특별시교육청
참고 읽기자료 23-3

① 동양미래대학교 구로구 경인로 445


② 명지전문대학 서대문구 가좌로 134

Ⅴ 대입설계
8
③ 배화여자대학교 종로구 팔운대로 1길 34
5 4 6
④ 삼육보건대학교 동대문구 망우로 82
2 3
9 ⑤ 서울여자간호대학교 서대문구 간호대로 38
7
1 ⑥ 서일대학교 중랑구 용마산로 90길 28
⑦ 숭의여자대학교 중구 소파로 2길 10
⑧ 인덕대학교 노원구 초안산로 12

23
<서울지역 전문대학교>

대학 입학 전형의 이해
⑨ 한양여자대학교 성동구 살곶이길 200

➏ 전
‌ 문대학 진로탐색
•‌학과별 전문대학 검색 : 지원하고자 하는 학과가 어느 대학에 있는지 검색을 통해 확인한다.

어디가 – 대학/학과/전형 – 학과정보 - 전문대학


https://www.adiga.kr/PageLinkAll.do?link=/kcue/ast/eip/eis/inf/sjinfjncll/eipSjinfJncll.do&p_menu_id=
PG-EIP-05301

➐ 전
‌ 공정보 : 프로칼리지에서 학과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프로칼리지 – 진로정보 – 대학 및 전공정보


https://procollege.kr/web/college/webCollegeSearchMajor.do

➑ 입
‌ 학지원방법 위반 사항
•‌수시모집 기간 중 1개 이상 대학에 합격한 학생은 수시모집 등록 기간 중 반드시 1개 대학에만 등록해야 한다.
•‌수시모집 대학에 지원하여 합격한 학생(충원합격 포함)은 등록 여부와 관계없이 정시모집, 추가모집에 지원할 수
없다.

➒ 기
‌ 타 유의 사항
•‌전문대학은 교육과정을 2년제, 3년제, 4년제 과정으로 운영하고 있다. 동일 모집단위라 할지라도 2·3·4년제 과정
으로도 운영하고 있으니, 지원하고자 하는 대학 및 모집단위의 교육과정을 반드시 확인 후 지원해야 한다.

➓ 전
‌ 문대학 관련 온라인 상담

프로칼리지 – 진학지원 – 온라인 상담


https://procollege.kr/web/consult/consult_entrance.do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185


활동지 23-3 전문대학 입시 탐색하기

전문대학 입시 탐색하기

‌전문대학 입시의 특징을 적어보자.

전문대학 입시 특징

‌지원하고자 하는 학과에 대해 조사해 보자.

전공명 세부 항목 내용

전공소개

취업 분야

취득 자격증

기타

‌지원 희망 대학 및 학과의 전년도 입시 결과를 적어보자.

희망 대학 및 학과 수시 성적 정시 성적

‌지원 희망 대학의 위치와 교통편을 적어보자.

희망 대학 대학 주소 교통편

186 서울특별시교육청
24

학교활동 계획 세우기

Ⅴ 대입설계
1/2
학교활동 계획 세우기
차시
24-1

24
학교활동 계획 세우기
활동목표
•‌학과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다양한 학교활동 중 자신의 관심과 역량이 가장 잘 드러날 수 있는 활동을 찾을 수 있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대학 입학처 등 다양한 사이트에 나와 있는 학과 관련 진로역량을 파악하고,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활동을 찾을
수 있도록 지도한다.
•‌학업역량, 진로역량, 공동체역량이 잘 드러나는 활동이 무엇인지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인 학교활동 내용을 모르는 학생들을 위해 사전에 학교 활동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숙지한다.
•‌학교 연간계획서나 예정된 진로활동 계획표를 만들어 학생들이 활동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한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진로와 관련된 다양한 경험을 환기시킨다.


도입 5'
‌학교 연간계획서나 진로활동 계획표를 배부한다.

‌
자신이 지원할 학과에 대해 파악한다.(대학교 입학처 전공안내, 워크넷 등
20'
다양한 사이트에 접속하여 그 학과에서 중요시하는 역량을 파악한다.)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활동 중, 자신이 참여할만한 활동을 체크해 본다.


전개

‌활동지에 활동 내용을 기록하고, 그 활동과 연계된 구체적 내용을 기록한다. 20'

‌완성한 내용을 간략히 발표한다.

마무리 ‌발표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한다. 5'

평가
•자신이 참여할 학교 활동을 3개 이상 기록할 수 있다.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187


참고 읽기자료 24-1

학교활동 계획

가. 학과의 이해를 통한 학교활동 계획

•‌진로역량을 키우기 위해서 먼저 학생이 전공하고자 하는 학과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야 한다. 아래 제시된 사이트나
그 외 대학 입학처에 들어가면 학과에 대한 안내가 나와 있으니 그 내용을 참고로 하여 전공 탐색을 해야 한다.
전공에 대한 이해도를 높인 후에 자신이 참가할 활동을 찾아본다면 효율적인 활동이 가능할 것이다.

•‌학교별로 제작된 학사 일정 및 연간 계획서, 진로활동 계획표를 보고, 자신이 참가할 활동을 체크하고, 그 활동에서
구체적으로 자신이 할 활동 내용을 기록한다.

서울진로진학정보센터 – 대학/학과정보 - 대학별 전공 안내


https://www.jinhak.or.kr/subList/20000000243

워크넷 – 직업·진로 – 학과정보 – 학과검색


https://www.work.go.kr/consltJobCarpa/srch/schdpt/schdptSrch.do

•‌학교별로 제작된 학사 일정 및 연간 계획서, 진로활동 계획표를 보고, 자신이 참가할 활동을 체크하고, 그 활동에서
구체적으로 자신이 할 활동 내용을 기록한다.

[ 연간 계획서 ] [ 2024년 ◦◦고 진로활동 계획표 ]


日 3月 4月 5月 활동명 시기 내용

1 수 삼일절 토 월 재량휴일 책으로 만나는 독서를 통한


4월
멘토이야기 멘토 탐색
시업식(비급식)
2 목 일 화 존경하는 멘토분께
입학식 멘토에게 편지 쓰기 5월
편지 쓰기
독도교육주간 자율
3 금 월 수
(~4.7) 전공박람회 7월 1:1 전공멘토링

4 토 화 목 중간고사
진로융합캠프 8월 심화진로탐색
5 일 수 봉사교육(1학기) 금 어린이날
대학생과 함께하는
대학전공설명회 9월
6 월 목 토 전공설명회

7 화 금 일 진로진학캠프 10월 진로+진학 탐색

진로(적성검사) 리더십캠프 중간고사


8 수 토 월
진로(3) 멘토와의 만남 상시 멘토 초청 강연

9 목 일 화 중간고사
드림보드 제작 11월 진로 계획 하기
10 금 월 수 중간고사

고교대학연계활동 상시 세부 전공 활동
11 토 화 목 중간고사

188 서울특별시교육청
활동지 24-1 학교활동 계획 세우기

학교활동 계획 세우기

Ⅴ 대입설계
‌관심 있는 전공에 대한 세부 사항을 적어보자.

전공명 세부 항목 내용

인성

24
전공 수업

학교활동 계획 세우기
전공 전망

추천 도서

기타

‌학교활동 중 관심있는 활동을 적어보자.

시기 학교 활동명

1학기

2학기

‌참가할 활동을 적고, 선택 이유와 활동을 위해 자신이 준비할 내용을 써보자.

활동명 선택 이유 준비해야 할 내용

‌가장 관심이 있는 활동을 적고, 관련하여 추가적으로 진행할 심화활동 계획을 적어보자.

활동명 추가적인 심화활동 계획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189


2/2
멘토에게 편지 쓰기
차시
24-2

활동목표
•‌자신의 진로 멘토를 선정하여 편지를 쓸 수 있다.
•‌편지 보내는 활동을 통해 진로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메일보다는 가급적 손편지를 작성하도록 한다.
•‌편지를 쓰기 전에 멘토에 대해 탐색하게 한다.
•‌주소를 찾기 어려운 경우에는 직장 주소를 찾기 쉬운 분 위주로 찾을 수 있도록 안내한다.(대학교수, 직장이 명확한
분 위주로 탐색)
•‌장난으로 작성하지 않도록 한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자신의 꿈을 먼저 이룬 분을 조사해 볼 수 있도록 한다.

도입 5'

사전에 멘토를 정해 왔는지 확인한다.

‌멘토에 대한 자료를 찾아보도록 한다.

20''

‌활동지에 맞게 활동 내용을 정리한다.

전개

‌활동지에 조사한 내용을 바탕으로 편지를 작성한다.

20'

‌편지 내용에 대해 간략히 발표한다.

마무리 자신의 멘토처럼 열심히 노력하면 꿈을 이룰 수 있다는 자신감을 심어준다. 5'

평가
•‌활동지의 각 항목 내용이 충실히 기록되어 있다.
•‌편지를 작성할 수 있다.

190 서울특별시교육청
참고 읽기자료 24-2

멘토에게 편지 쓰기

Ⅴ 대입설계
활동명 예 멘토에게 편지 쓰기

멘토 이름 김◦◦ 분야 교사

24
편지 보낼 주소 서울시 은평구 ◦◦로 ◦◦◦

학교활동 계획 세우기
학생 소개 많은 제자들의 존경을 받는 선생님을 꿈꾸는 학생

지금까지 만나본 선생님 중 가장 학생들을 사랑하고, 아껴주는 분이라고 생각함.

멘토 선정 이유 수업을 재밌게 하심.

중학교 3학년 담임을 오래하심.


멘토의
저서 및 활동

◦◦대학교 ◦◦학과 졸업
멘토 약력 ◦◦고등학교 국어교사
◦◦중학교 국어교사

교사의 길을 걷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가장 기억에 남는 제자는 누구인가요?
졸업한 후 지금까지 연락하는 제자들은 얼마나 있나요?
수업시간에 재밌는 이야기를 많이 해주시는데 그런 이야기들은 미리 계획하고 하시는 건가요?
멘토에게 국어를 가르치시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묻고 싶은 내용 학생들과 함께 하면서 즐거웠던 점과 안타까운 기억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교사 된 것을 후회하신 적은 없나요?
훌륭한 교사가 되기 위해서 고등학생인 제가 만들어가야 할 자질은 무엇이 있을까요?

공부가 안될 때는 무엇을 하셨나요?


그외
다시 태어나신다면 무엇을 하고 싶으신가요?
편지에 적을 내용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191


활동지 24-2 멘토에게 편지 쓰기

멘토에게 편지 쓰기

활동명 멘토에게 편지 쓰기

멘토 이름 분야

편지 보낼 주소

학생 소개

멘토 선정 이유

멘토의
저서 및 활동

멘토 약력

멘토에게
묻고 싶은 내용

그외
편지에 적을 내용

192 서울특별시교육청
25

진로에 맞는 대입 설계

Ⅴ 대입설계
1/1
진로에 맞는 대입 설계
차시
25-1

25
진로에 맞는 대입 설계
활동목표
•‌기존의 진로 수업 활동 내용을 정리할 수 있다.
•‌자신의 진로와 연계해서 가장 적절한 전형을 찾을 수 있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기존 진로 수업시간에 했던 활동을 숙지할 수 있도록 미리 안내한다.
•‌대학교 입학처와 [어디가]에서 전년도 입시결과를 볼 때 ‘특목고 지원’, ‘교차지원’ 등 다양한 변수가 존재함을
설명한다.
•‌각 전형별로 어떤 특징이 있는지 안내하고, 자신의 현재 상황에서 어떤 전형에 집중해야 할지 생각해 볼 수 있도록
한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도입 ‌기존에 활동했던 내용을 잘 정리해 왔는지 확인한다. 5'

‌[어디가]에서 학과 탐색 방법을 배우고 자신의 학과를 탐색한다. 5'

‌대학교 입학처와 [어디가]에서 전년도 입시 결과를 확인하는 방법을 안내한다. 20'


전개
‌현재 관심있는 대학과 학과의 입시 결과를 검색한다.
15'
‌활동지의 내용을 기록하며 자신이 생각하는 전형의 지원이 적절한지 확인한다.

마무리 ‌학생의 활동지 기록을 보며 적절한 선택을 하고 있는지 점검한다. 5'

평가
•‌수시·정시 지원과 ‘강점과 장점’, ‘희망 직업’, ‘지원 학과’, ‘과목 선택’의 연계성을 파악하여 진로에 맞는 대입
설계를 할 수 있다.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193


참고 읽기자료 25-1

진로에 맞는 대입 설계

•‌기존에 수업했던 자료를 바탕으로 자신의 지원 대학 및 학과를 적어본다. 진로에 맞는 대입 설계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어디가] - 대학입학정보 포털에 들어가 자신이 지원하는 학과가 어느 대학에 있는지 먼저 확인하고, 그 대학의 각
전형에 대해 탐색한다. ‘학과상세’를 통해, 대학의 범위를 좁힐 수 있다.

•‌[어디가] 대학·학과·전형
학과 검색

•‌[어디가]에 들어가 전년도 입시 결과를 확인한다.


어디가 검색창

•‌각 대학교 입학처에서도 전년도 입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경희대 수시 결과

194 서울특별시교육청
활동지 25-1 진로에 맞는 대입 설계

진로에 맞는 대입 설계

Ⅴ 대입설계
‌자신의 강점과 장점을 써보자.

나의 강점 나의 장점

25
진로에 맞는 대입 설계
‌자신의 희망 직업에 대해 써보자.

희망 직업 희망 직업 내용

‌지원하고자 하는 학과를 찾아보고, 그 학과에 필요한 역량을 정리해 보자.

대학명 학과명 필요한 역량

‌학교 교육과정에서 자신이 선택한 과목을 써보자.

국어 수학 영어 사탐 과탐 기타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195


활동지 25-1 진로에 맞는 대입 설계

‌모집요강을 보고, 수시 및 정시 지원 대학과 학과에 대한 내용을 써보자.

<수시> 대학 학과
전형명 모집 인원
수능최저학력기준
전형 요소 및 비율
교과성적반영방법
서류평가방법 면접(실기)평가방법
전년도 입시 결과 합격자 성적 경쟁율 충원율

<수시> 대학 학과
전형명 모집 인원
수능최저학력기준
전형 요소 및 비율
교과성적반영방법
서류평가방법 면접(실기)평가방법
전년도 입시 결과 합격자 성적 경쟁율 충원율

<수시> 대학 학과
전형명 모집 인원
수능최저학력기준
전형 요소 및 비율
교과성적반영방법
서류평가방법 면접(실기)평가방법
전년도 입시 결과 합격자 성적 경쟁율 충원율

<정시> 대학 학과
전형명 모집 인원
전형 요소 및 비율 영어 반영방법
대학수학능력시험 반영방법 한국사 반영방법
학교생활기록부 반영방법 면접(실기)평가방법
전년도 입시 결과 합격자 성적 경쟁율 충원율

‌자신의 지원 대학(학과)과 앞서 작성한 내용의 연계성을 파악하고 체크해 보자.(○표시)

나의 강점과 장점 희망 직업 지원 학과 선택 과목

낮음 보통 높음 낮음 보통 높음 낮음 보통 높음 낮음 보통 높음

196 서울특별시교육청
26

특성화고등학교의 대학 진학 준비

Ⅴ 대입설계
1/3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자 특별전형
차시
26-1

26
특성화고등학교의 대학 진학 준비
활동목표
•‌수시와 정시에서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자 특별전형의 특징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자신의 진로 및 전형의 유형에 따라 자신에게 적합한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자 특별전형을 찾을 수 있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특성화고 학생들의 진학 방법의 다양함을 이해하고 각각의 경로에서 어떤 준비를 해야 할지 이해하고 생각할 수
있도록 한다.
•‌자신이 희망하는 대학(학과)에 대해 충분히 조사할 수 있도록 한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특성화고 학생들이 대학을 진학하는 다양한 경로를 알아볼 수 있도록 한다.

도입 ‌
다양한 특성화고 학생들의 진학 방법이 있음을 안내한다.(특성화고등학교 졸업자 5'
특별전형, 특성화고등학교 등을 졸업한 재직자 특별전형,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전형,
기타 일반전형 등)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자 특별전형의 개념을 안내한다. 5'

‌여러 대학의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자 특별전형의 현황을 안내한다. 15'

전개 ‌
동일계열 기준학과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고 자신의 학과의 기준학과를 찾아보고,
10'
관련된 대학의 학과가 어떤 것이 있는지 조사하게 한다.

‌
여러 대학의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자 특별전형의 전형 방법을 찾아보고,
10'
자신에게 맞는 대학과 학과를 탐색하고 활동지 기록을 한다.

‌자신이 기록한 활동지 내용을 발표한다.


마무리 5'
‌다음 차시에서는 특성화고등학교 등을 졸업한 재직자 특별전형에 대해 알아본다.

평가
•‌기준학과를 이해하고 관련 내용을 정리하여 기록할 수 있다.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자 특별전형의 내용을 이해하여 자신에게 적합한 대학과 학과에 대한 활동지 기록을 3개
이상 할 수 있다.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197


참고 읽기자료 26-1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자 특별전형 자료

가.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자 특별전형

•‌특성화고교 또는 특성화고와 같은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학과가 있는 종합고를 졸업(예정)하고 지원 대학의 모집


단위와 동일한 계열의 기준학과를 졸업한 경우(동일계열이 아닌 경우 동일계열 전문교과 30단위 이상 이수한
자는 ‘동일계열확인서’를 제출하면 자격이 부여되는 대학이 많으므로 요강을 참조) 자격이 부여되어 일반적으로
정원외로 선발하는 전형으로 특성화고 학생들의 대학 진학에 보편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나 모집정원 인원이 적어
수도권 대학 진학에 있어서는 많은 학생에게 기회가 주어지지 않음.
하지만 최근 이 전형이 수시에서 정시로 많이 이동하며 수능준비가 잘 되있는 학생일 경우 일반고 학생들의 정시
성적에 비해 합격점이 낮아 좋은 기회를 얻을 수 있음. 최근에는 수시전형에서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자 특별전형을
폐지하고 기회균형의 여러 자격기준 중 하나의 자격으로 부여하여 선발하는 경우도 많아 각 대학별 모집 요강을 잘
살펴볼 필요가 있음.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자 특별전형 모집인원 현황(전국)


구분 수시 모집(명) 정시 모집(명) 합계(명)
2025학년도(2023년 고2) 2,629 586 3,215
2024학년도(2023년 고3) 2,637 627 3,264
2023학년도 2,,444 580 3,024
2022학년도 2,577 479 3,056

※ 2025 대입전형시행계획 미발표 일부 대학 제외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자 특별전형 모집인원 현황(수도권)


구분 수시 모집(명) 정시 모집(명) 합계(명)
2025학년도(2023년 고2) 541 586 1,127
2024학년도(2023년 고3) 560 607 1,167
2023학년도 573 556 1,129
2022학년도 677 446 1,123

※ 2025 대입전형시행계획 미발표 일부 대학 제외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자 특별전형 동일계열 확인을 위해 해당 대학에서 제시한 기준학과 확인이 필요함.
(특성화고등학교 학교별 기준학과 예시)
특성화고등학교명 학과 기준학과
호텔항공과 관광·레저과, 경영·사무과
OO국제관광고등학교 관광콘텐츠과 관광·레저과, 문화콘텐츠과
간호과 보건간호과, 사회복지과

198 서울특별시교육청
참고 읽기자료 26-1

(◦◦대학교가 제시한 기준학과표 예시)


모집단위 동일계열 기준학과

Ⅴ 대입설계
경영·사무과, 경영정보과, 관광·레저과, 관광경영과, 관광과, 금융과, 금융정보과, 농산물유통정보과, 동물자원과,
멀티미디어과, 무역정보과, 보육과, 복지서비스과, 사회복지과, 산림자원과, 상업디자인과, 생물공학과, 수산양식과,
경영학부 식물자원과, 식품가공과, 실내디자인과, 유통경영과, 유통과, 유통정보과, 응용디자인과, 자영수산과, 재무·회계과,
전자상거래과, 정보처리과, 콘텐츠개발과, 판매과, 항만물류과, 해양레저과, 해양레저산업과, 해양생산과, 해양정보과,
회계정보과
경영·사무과, 경영정보과, 관광경영과, 관광과, 금융과, 금융정보과, 디자인과, 만화·애니메이션과, 만화애니메이션과, 멀티
미디어
미디어과, 무역정보과, 문화콘텐츠과, 보육과, 복지서비스과, 사회복지과, 상업디자인과, 실내디자인과, 영상제작과, 유통
커뮤니케이션
경영과, 유통과, 유통정보과, 응용디자인과, 재무·회계과, 전자상거래과, 정보처리과, 콘텐츠개발과, 판매과,
학과
회계정보과

26
특성화고등학교의 대학 진학 준비
경영·사무과, 경영정보과, 관광·레저과, 관광경영과, 관광과, 금융과, 금융정보과, 농산물유통정보과, 동물자원과,
멀티미디어과, 무역정보과, 보육과, 복지서비스과, 사회복지과, 산림자원과, 상업디자인과, 생물공학과, 식물자원과,
관광경영학과
식품가공과, 실내디자인과, 유통경영과, 유통과, 유통정보과, 응용디자인과, 재무·회계과, 전자상거래과, 정보처리과,
조리과, 콘텐츠개발과, 판매과, 항만물류과, 해양레저과, 해양레저산업과, 환경·관광농업과, 회계정보과
간호학과 간호과, 보건간호과

•‌2024대입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자 특별전형 수도권 대학 모집인원 및 전형 방법 (단위 : 명)

수시
대학 지역 모집 인원 전형 대학 지역 모집인원 전형
가천대(글로벌) 경기 56 종합 성균관대 서울 23 종합
가톨릭대 서울 25 종합 수원대 경기 31 교과
강남대 경기 22 교과 숙명여대 서울 26 종합
건국대 서울 22 종합 신한대 경기 13 교과
경기대 경기 9 실기 안양대 경기 16 교과
광운대 서울 25 종합 용인대 경기 16 교과
대진대 경기 21 교과 을지대 경기 7 종합
덕성여대 서울 13 종합 평택대 경기 9 교과
명지대 서울/경기 39 교과 한경국립대 경기 10 교과
삼육대 서울 10 교과/실기 한성대 서울 21 종합/실기
서경대 서울 19 교과 한세대 경기 5 교과
성결대 경기 45 교과 한신대 경기 17 교과
성공회대 서울 13 교과 협성대 경기 15 교과

정시
대학 지역 군 모집 인원 전형 대학 지역 군 모집인원 전형
경기대 서울/경기 가/나 70 수능 이화여대 서울 가/나 25 수능/실기
경희대 서울 가 25 수능 인천대 인천 가/다 37 수능
고려대 서울 가/나 20 수능 인하대 인천 가/나/다 51 수능
동국대 서울 나/다 20 수능 중앙대 서울 가/나/다 30 수능
동덕여대 서울 나 19 수능 추계예술대 서울 나/다 3 수능/실기
상명대 서울 나 9 수능 한국공학대 경기 가/나/다 20 수능
서강대 서울 가/나 25 수능 한국항공대 경기 가/나/다 12 수능
서울시립대 서울 가/나/다 30 수능 한세대 경기 가 3 수능/실기
성신여대 서울 가/나 25 수능 한양대 서울 가/나 36 수능
세종대 서울 가/나/다 28 수능 한양대(ERICA) 경기 가/나 27 수능
숭실대 서울 다 25 수능 홍익대 서울 나/다 14 수능/실기
아주대 경기 13 13 교과

※ 파란색 대학은 서울 소재 대학교 ※ 정확한 내용은 대학별 모집요강 참조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199


참고 읽기자료 26-1

•‌2024대입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자 특별전형 정시 대학별 모집시기(수도권)


모집시기 대 학 명(모집인원)

경희대, 고려대(서울), 동국대, 서울시립대, 성신여대, 세종대, 숭실대, 연세대,


정시(가) 이화여대(인문/자연/조형), 인천대, 인하대, 중앙대, 한국공학대, 한국항공대, 한세대,
한양대(서울/ERICA)

경희대, 동국대, 동덕여대, 상명대, 서강대, 서울시립대, 성신여대, 세종대, 숭실대,


정시(나) 이화여대(인문/자연/조형), 인하대, 중앙대,추계예술대(융합예술학부, 미술창작학부),
한국공학대, 한국항공대, 한양대(서울/ERICA), 홍익대(미술계열1단계)

경기대, 동덕여대, 성신여대,숭실대, 아주대, 인천대, 인하대,


정시(다)
중앙대, 추계예술대(융합예술학부,미술창작학부), 한국공학대, 한국항공대, 홍익대

※ 정확한 내용은 대학별 모집요강 참조

서울진로진학정보센터 – 1,2학년 진학지도 자료집


https://www.jinhak.or.kr/subList/20000000244

서울진로진학정보센터 – 모집요강
https://www.jinhak.or.kr/subList/20000000250

서울진로진학정보센터 – 특성화고 특별전형 대학별 분석/전략


https://www.jinhak.or.kr/subList/20000000254

200 서울특별시교육청
활동지 26-1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자 특별전형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자 특별전형

Ⅴ 대입설계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자 특별전형의 동일계열 확인을 위해 우리학교 각 학과의 기준학과를 찾아 적어보자.

특성화고등학교명 재학중인 학과 기준학과


호텔항공과 관광·레저과, 경영·사무과

26
특성화고등학교의 대학 진학 준비
‌
학생이 진학하고자 희망하는 대학교의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자 특별전형을 위한 동일계열 기준학과표를 찾아
살펴보고, 내가 재학중인 학과의 기준학과와 일치하는 대학교 학과를 정리해 보자.

대학교명 나의 기준학과 내가 재학중인 학과와 기준학과가 일치하는 대학교의 학과


◦◦대학교 관광·레저과 경영학부, 관광경영학과
경영학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관광경영학과, 경제학과,
◦◦대학교 경영·사무과
의료산업경영학과, 행정학과

‌
진학을 희망하는 대학교의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자 특별전형 모집요강을 찾아 지원하고자 하는 학과의 전형을
조사하여 정리해 보자.

모집 전형방법 모집 전형요소별 반영비율 수능최저 전년도


대학명 학과
시기 (교과, 종합, 실기) 인원 (교과, 서류, 면접, 실기, 수능 등) 학력기준 경쟁률
2합7
OO대학교 경영학과 수시 교과 2 교과70% + 면접30% 14:1
(직탐인정)

활동 소감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자 특별전형을 이해하며 새롭게 알게 된 점이나 소감을 적어보자.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201


2/3
특성화고등학교 등을 졸업한 재직자 특별전형
차시
26-2

활동목표
•‌특성화고등학교 등을 졸업한 재직자 특별전형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자신의 진로 및 전형의 유형에 따라 자신에게 적합한 특성화고등학교 등을 졸업한 재직자 특별전형을 찾을 수 있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특성화고 학생들의 다양한 진학 방법 중 선취업을 통해 진학을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음을 인지하고 합리적인
대학 진학 방법을 찾을 수 있도록 한다.
•‌자신이 희망하는 대학(학과)에 대해 충분히 조사할 수 있도록 한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지난 차시에서 학습한 특성화고 학생들이 대학을 진학하는 다양한 경로를


확인하고, 그 중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자 특별전형에 대해 상기한다.
도입 5'
‌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선취업 후학습에 대해 설명하며
오늘 학습의 목표를 설명한다.

‌특성화고등학교 등을 졸업한 재직자 특별전형의 개념을 안내한다. 5''

‌특성화고등학교 등을 졸업한 재직자 특별전형의 세부 지원 자격과 산업체


10'
적용 범의 및 재직 기간 등을 안내한다.
전개
‌여러 대학의 특성화고등학교 등을 졸업한 재직자 특별전형의 현황을 안내한다. 10'

‌
여러 대학의 특성화고등학교 등을 졸업한 재직자 특별전형의 전형 방법을
10'
찾아보고, 자신에게 맞는 대학과 학과를 탐색하고 활동지 기록을 한다.

자신이 기록한 활동지 내용을 발표한다.


마무리 10'
다음 차시에서는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전형에 대해 알아본다.

평가
•‌특성화고등학교 등을 졸업한 재직자 특별전형을 이해하고 관련 내용을 정리하여 기록할 수 있다.
•‌특성화고등학교 등을 졸업한 재직자 특별전형의 내용을 이해하여 자신에게 적합한 대학과 학과에 대한 활동지
기록을 3개이상 할 수 있다.

202 서울특별시교육청
참고 읽기자료 26-2

특성화고등학교 등을 졸업한 재직자 특별전형 자료

Ⅴ 대입설계
가. 특성화고등학교 등을 졸업한 재직자 특별전형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를 졸업 후 산업체 근무 경력이 3년 이상인 재직자에게 자격을 주어 주로 정원외로 선발을


하는 전형으로 수도권을 포함한 전국 대부분 대학에서 모집을 하고 있음. 특정 몇 개 대학을 제외하고는 경쟁률이
높지 않고 전형 방법이 복잡하지 않아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학생들의 선취업 후진학의 방법으로 합리적으로

26
활용될 수 있는 전형임. 특히, 남학생의 경우 군복무가 산업체 근무 경력에 포함되어 약간의 산업체 경력을 포함

특성화고등학교의 대학 진학 준비
하면 좀 더 쉽게 대학 진학에 접근할 수 있는 전형임.

졸업 취업 진학

•‌특성화고 •‌현장실무 경력 3년 •‌수능없이


마이스터고 졸업 (36개월) 우수 대학교 진학

나. 특성화고등학교 등을 졸업한 재직자 특별전형 세부 지원 자격(중앙대학교 사례)

•‌지원자격은 대학마다 유사하나 내용이 다소 상이할 수 있으므로 지원 전 반드시 대학별 모집요강을 통해 지원자격
을 확인해야 함.

•‌다음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로 산업체 근무경력이 3년 이상인 재직자(단, 개강일 기준 재직 중이어야 함.)
① ‌특성화고등학교 등을 졸업한 자
※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제91조 제1항에 따른 특성화고등학교 중 자연현장실습 등 체험 위주의 교육을 전문
으로 실시하는 고등학교 제외
②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제76조의3 제1호에 따른 일반고등학교에 설치된 학과 중 특성화고등학교에서 제공
하는 것과 같은 교육과정으로 운영되는 학과를 졸업한 자
③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제76조의3 제1호에 따른 일반고등학교에 재학하는 동안 시·도 교육감이 직업교육
훈련 촉진법에 따른 직업교육훈련기관 중 직업교육훈련 위탁기관으로 선정한 국방부 직할부대 및 기관에서 1년
이상의 직업교육훈련과정을 이수하고 해당 일반고등학교를 졸업한 자
④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제90조 제1항 제10호에 따른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마이스터고)를 졸업한 자
⑤ ‌「평생교육법」 제31조 제2항에 따른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중 특성화고등학교 등에서 제공하는 것과 같은 교육
과정을 운영하는 평생교육시설에서 해당 교육과정을 이수한 자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203


참고 읽기자료 26-2

다. 산업체 적용 범위 및 재직 기간(중앙대학교 사례)

지원자격은 대학마다 일반적으로 유사하나 대학별 내용이 다소 상이할 수 있으므로 지원 전 반드시 대학별 모집요강을
통해 지원 자격을 확인해야 함.

구분 세부사항

•‌아래의 기준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해야 함(4대 보험 지역 가입자는 지원자격에 해당하지 않음)


산업체 •‌국가·지방자치단체 및 공공단체(소속 직원의 경우)
적용 범위 •‌근로기준법 제11조에 의거 상시근로자 5인(사업주 포함) 이상 사업체
•‌4대 보험 한 개 이상 가입 사업체(창업 및 자영업자 포함)

•‌고등교육법 시행령 제29조 제2항 제14호 다목에 의거하여 총 재직기간이 학기 개시일 기준 3년


이상(예정)인 자
- ‌재직(영업)기간은 4대 보험 중 하나 이상에 가입된 기간으로 산정하며,
개강일까지 기간으로 산정함
- ‌2개 이상 산업체에서 재직한 경우, 재직기간을 합산하여 산정함
재직 기간 (단, 중복된 기간이 있는 경우, 제외하고 산정)
산정 - ‌군 의무복무, 직업군인 등의 군경력도 재직기간으로 포함하여 산정함
- ‌지원자격에 해당하는 학교의 재학 중 재직기간
해당 학교의 졸업(또는 평생교육시설의 교육과정을 이수) 직전 학기(예: 고교 3학년 2학기)부터
재직한 기간 산정 가능
※ ‌고교 졸업(또는 이수) 직전 학기 시작 기준일은 매년도 9월 1일을 기준으로 산정하되, 직전
학기 개시일이 9월 1일이 아닌 경우 별도의 사유서 및 증빙서류 제출이 가능함

라. 특성화고등학교 등을 졸업한 재직자 특별전형 모집인원 현황

수시 정시 합계
년도
대학수 모집인원 대학수 모집인원 대학수 모집인원
2016학년도 67 4,440 53 247 68 4,687

2017학년도 70 4,375 58 254 71 4,629

2018학년도 68 4,377 59 214 65 4,591

2019학년도 67 4,787 61 318 69 5,105

2020학년도 64 4,811 59 233 65 5,044

2021학년도 67 4,947 60 223 68 5,170

2022학년도 67 5,298 60 240 68 5,538

2023학년도 67 5,288 60 209 68 5,497

2024학년도
5,954 106 6,060
(2023년 고3)

204 서울특별시교육청
참고 읽기자료 26-2

마. 특성화고등학교 등을 졸업한 재직자 특별전형 모집 현황(수도권)

대학명 지역 학과

Ⅴ 대입설계
건국대학교 서울 신산업융합학과, K뷰티산업융합학과
경희대학교 서울 국제통상·금융투자학부, 문화관광산업학과, 조리산업학과
생명과학부, 생명공학부, 식품공학과, 환경생태공학부, 화공생명공학과,
신소재공학부, 건축사회환경공학부, 건축학과, 기계공학부, 산업경영공학부,
고려대학교 서울
전기전자공학부, 융합에너지공학과, 컴퓨터학과, 데이터과학과,
바이오의공학부, 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 보건환경융합과학부, 스마트보안학부

26
정보콘텐츠학과(야), 자산관리학과(야), 금융부동산법무학과, 게임콘텐츠학과,

특성화고등학교의 대학 진학 준비
광운대학교 서울
스마트전기전자학과, 스포츠상담재활학과
국민대학교 서울 기업융합법학과(야), 기업경영학부(야)
동국대학교 서울 융합보안학과, 사회복지상담학과, 글로벌무역학과
동덕여자대학교 서울 세무회계학과(야), 금융유합경영학과(야)
창의융합인재학부, 사회복지학과, 부동산학과, 법무행정학과, 심리치료학과,
명지대학교 서울
미래융합경영과, 회계세무학과, 멀티디자인학과
상명대학교 서울 융합경영학과
서경대학교 서울 경영학부, 헤어디자인학과, 광공홍보영상학과
융합기계공학과, 건설환경융합공학과, 정보통신융합공학과, 헬스피트니스학과, 문화예술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서울
학과, 영어과, 벤처경영학과
성균관대학교 서울 응용AI융합학부
성신여자대학교 서울 경영학부(경영학전공)
세종대학교 서울 호텔외식관광프랜차이즈경영학과, 글로벌조리학과
숙명여자대학교 서울 문헌정보학과, 소비자경제학과, 경영학부, 앙트러프러너십전공
숭실대학교 서울 금융경제학과, 국제무역학과, 미디어경영학과
중앙대학교 서울 지식경영학부
융합행정학과(야), 호텔외식경영학과(야), 뷰티디자인학과(야),
한성대학교 서울
비즈니스컨설팅학과(야), ICT융합디자인학과(야), 미래인재학부(야)
한양대학교 서울 산업융합학부
홍익대학교 서울 디자인 예술경영학부
메카트로닉스공학과, 소프트웨어융합공학과, 산업경영학과, 금융투자학과,
인하대학교 인천
반도체산업융합학과
가천대학교 경기 경영학부, 컴퓨터공학전공
가톨릭대학교 경기 글로벌미래경영학과, 세무회계금융학과, IT파이낸스학과
단국대학교 경기 산업경영학과(야-죽전캠퍼스), 공공정책학과(야)
대진대학교 경기 휴먼케이평생교육학과(야), 실버복지상담학과(야), 스포츠융합경영학과(야)
아주대학교 경기 융합시스템공학과, 글로벌경영학과
글로벌경영학과(야), 행정학과(야), 통계데이터사이언스학과(야),
안양대학교 경기
정보전기전자공학과(야), 도시정보공학과,(야)
토목공학전공(야), 식품생명공학전공(야), 융합레포츠전공(야),
한경대학교 경기
레저스포츠매니지먼트전공(야), 행정관리전공(야), 노동복지전공(야)
한국공학대학교 경기 산업융합공학과,(야), 디지털경영학과(야)
한양대학교 (ERICA) 경기 융합공학과, 회계세무학과
※ 정확한 내용은 대학별 모집요강 참조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205


활동지 26-2 특성화고등학교 등을 졸업한 재직자 특별전형

특성화고등학교 등을 졸업한 재직자 특별전형

‌
특성화고등학교 등을 졸업한 재직자 특별전형이 있는 대학 3개를 선정하여 아래 내용을 비교 정리하고, 자신
에게 알맞은 대학과 학과를 선택해 보자.

대학명 1. 대학교 2. 대학교 3. 대학교

지역

입학처 전화번호

전형명

관심학과

모집인원

전년도 경쟁률

전형시기(수시/정시)

전형방법
(종합/교과/실기)
반영요소 비율
(예 : 교과100 / 서류100 / 면접100/
교과40+서류60 등)
면접일시
(면접있을 경우)

산업체 적용 범위

재직 의무

특이사항

활동 소감
특성화고등학교 등을 졸업한 재직자 특별전형을 이해하며 새롭게 알게 된 점이나 소감을 적어보자.

206 서울특별시교육청
3/3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차시
26-3

활동목표

Ⅴ 대입설계
•‌조기취업형 계약학과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자신의 진로 및 전형의 유형에 따라 자신에게 적합한 조기취업형 계약학과를 찾을 수 있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26
•‌선취업 후학습의 일환으로 앞서 알게 된 특성화고등학교 등을 졸업한 재직자 특별전형과 달리 고등학교 졸업과

특성화고등학교의 대학 진학 준비
동시에 일과 학습을 함께할 수 있는 조기취업형 계약학과를 인지하고, 특성화고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 선택을
보다 주도적이고 다양하게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선진학, 선취업후진학, 일학습병행 등 자신이 학업을 이어갈 수 있는 방법이 다양함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자신에게 적합한 경로를 찾을 수 있도록 한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
지난 차시에서 학습한 특성화고등학교 등을 졸업한 재직자 특별전형에 대해
상기한다.
도입 5'
‌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이 선취업 후학습뿐 아니라 일과 학습을
함께 할 수 있는 것에 대해 설명하며 오늘 학습의 목표를 설명한다.

‌조기취업형 계약학과의 개념을 안내한다. 5''

‌조기취업형 계약학과의 운영방식을 안내한다. 10'

전개
‌조기취업형 계약학과의 장점과 참여기업에 대해 안내한다. 10'

‌여러 대학의 조기취업형 계약학과의 현황을 안내하고,


10'
자신에게 적합한 대학과 학과를 탐색하고 활동지 기록을 한다.

자신이 기록한 활동지 내용을 발표한다.

마무리 10'
‌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상급학교 진학에 대해 정리하고, 취업과 진학의
경로를 함께 생각하여 진로를 결정할 수 있도록 마무리 설명한다.

평가
•‌조기취업형 계약학과에 대해 이해하고 관련 내용을 정리하여 기록할 수 있다.
•‌조기취업형 계약학과의 내용을 이해하여 자신에게 적합한 대학과 학과에 대한 활동지 기록을 3개이상 할 수 있다.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207


참고 읽기자료 26-3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자료

가.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기업에서 필요로하는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교육비 일부를 부담하고, 대학은 기업의 수요에 적합한 인력양성 교육
과정을 운영하여 기업이 원하는 인재를 공급하기 위해 산학간에 계약을 통해 만들어진 학과를 조기취업형 계약
학과라 함. 2018년에 시작하여 현재 16개 대학(일반대학 8개교, 전문대학 8개교) 65개 학과가 참여하고 있음.
특성화고 뿐 아니라 모든 고등학교 졸업자 및 졸업예정자에게 기회가 주어지며, 일반 대학 입시에 맞추어 신입생을
선발함. 대학에 지원하는 과정에서 학과뿐 아니라 그 학과와 계약이 맺어진 기업까지 선택하여 지원하여 입학과
동시에 취업이 확정됨. 일반 4년제 대학의 경우 1학년 때 전일제 수업을 통해 학점을 이수하고, 2학년부터 직장인
으로써 일과 학업을 병행하여 3학년을 마치면서 4년제 학사학위를 취득하게 됨. 4학년은 의무 근무를 하도록 되어
있어 기업 역시 인재 유출에 대한 고민을 덜 수 있어 인력 확보에 도움이 되어 향후 기업과 대학의 발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됨.
전문대의 경우 1학년 전일제 수업 후, 2학년1학기 직장 생활을 병행하여 3학기만에 전문학사학위를 취득하게 됨.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뿐 아니라 일반고 학생들 중 고등학교 졸업 후 진학을 함과 동시에 취업의 진로를 찾고자
하는 경우 매우 적합한 전형임.

나. 조기취업형 계약학과의 운영방식

•‌일반학사(3년, 6학기)

3학년
1학년(60학점) (60학점)
입학 - 입사 - 학위취득
= 대학에서 일·학습 병행
취업 이론·실무교육 직무관련
확정 심화교육

•‌전문학사(1년 6개월, 3학기)

1년 6개월
1학년(60학점) (10학점)
입학 - 입사 - 학위취득
= 대학에서 일·학습 병행
취업 이론·실무교육 직무관련
확정 심화교육

208 서울특별시교육청
참고 읽기자료 26-3

다. 조기취업형 계약학과의 특장점

Ⅴ 대입설계
학생 기업

•입학과 동시 취업 확정 •조기인재 확보

26
•4년제를 3년만에 졸업 •기업맞춤형 인재양성

특성화고등학교의 대학 진학 준비
•학비지원 •교육과정 개발 등 참여
•현장실무형 수업 •저렴한 교육비 부담

➊ 모
‌ 입학과 동시 취업 100% 보장
: 조기취업형 계약학과는 대학과 기업이 계약을 통해 현장 실무역량을 갖춘 인력을 양성
➋ 장
‌ 학금과 기업지원
: 기업에서
‌ 필요로 하는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비의 일부를 부담하고 대학은 기업 수요에 맞추어 교육과정을 개발
및 운영하여 기업에 인재를 공급
➌ 기
‌ 업 맞춤형 R&D 전문 인력으로 성장
: 조기취업형
‌ 계약학과는 입학과 동시에 취업이 확정되어 2학년 때부터는 직장인으로 일과 학업을 병행하며, 학사
학위를 3년 만에 취득
➍ 4
‌ 차 산업혁명에 최적화된 학과
: 참여대학별 ICT융합, 미래자동차 등 4차 산업혁명 관련된 다양한 학과가 개설되어 미래인재를 양성

라.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참여기업 자격 요건

인원기준 신용등급 및 정부 인증 우수기업 인증

•‌상시근로자 20인 •‌한국신용평가 신용등급 •‌상시근로자 20인 미만인


또는 동일 업종 BBB- 등급 이상에 기업 중 월드클래스 300,
복수 기업과 컨소시엄을 해당하는 기업 중소벤처 Best HRD 기업, 경영 및
구성할 경우 5인 이상 기업부 및 산업자원통상부 기술혁신 기업 인증,
등이 인정한 건실기업 대외적으로 기술력 및
발전 가능성,
HRD 우수성을
인정받은 기업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209


참고 읽기자료 26-3

마.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참여대학 현황

대학명 학제 지역 학과
바이오의료기기학과, 게임·영상학과, 반도체·디스플레이전공,
가천대학교 일반 경기
미래자동차학과

스마트팩토리융합학과, 스마트전력인프라학과, 스마트푸드테크학과,


경일대학교 일반 경북
스마트경영공학과

첨단운송기계시스템학과, 스마트에너지시스템학과, 소프트웨어학과,


국립목포대학교 일반 전남
스마트비즈니스학과

동의대학교 일반 부산 스마트호스피탈리티학과, 미래형자동차학과, 소프트웨어융합학과

순천향대학교 일반 충남 스마트팩토리공학과, 스마트모빌리티공학과, 융합바이오화학공학과

전남대학교 일반 광주 기계IT융합공학, 스마트융합공정공학, 스마트전기제어공학

스마트전자공학과, IT융합디자인공학과, 스마트그린소재공학과,


한국공학대학교 일반 경기
AI소프트웨어학과

소재부품융합전공, 로봇융합전공, 스마트ICT융합전공,


한양대학교(ERICA) 일반 경기
건축IT융합전공, 지속가능건축융합전공

AI융복합과, 첨단전자계측과, 컴퓨터기계융합과, 영상콘텐츠과,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전문 경기
미래모빌리티설계과(기계/자동차/진단평가)

스마트팩토리과, 게임콘텐츠스쿨, AI의료뷰티맞춤화장품과,


구미대학교 전문 경북
헤어뷰티디자인과

동강대학교 전문 광주 미래모빌리티과, 스마트전기과, 호텔조리관광과

스마트뷰티케어과, 스마트웰니스의료뷰티과,
동의과학대학교 전문 부산
스마트푸드조리과

스마트건설공학과, ICT융합공학과, 디지털콘텐츠융합과,


명지전문대학교 전문 서울
헤어·메이크업과, 스파·메디컬스킨케어과, 뮤직콘텐츠기획과

백석문화대학교 전문 충남 웹툰콘텐츠과, 베이커리카페과, 스마트SW공학과, 뷰티디자인과

영상그래픽과, GQE과, 영상그래픽과, AI컴퓨터과,


부산과학기술대학교 전문 부산
스마트장례마케팅전공

한식조리과, 서양식조리과, 일식조리과, 중식조리과,


혜전대학교 전문 충남
베이커리카페과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홈페이지


https://www.earlyuniv.kr

210 서울특별시교육청
활동지 26-3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Ⅴ 대입설계
‌
조기취업형 계약학과가 있는 대학 3개를 선정하여 아래 내용을 비교 정리하고, 자신에게 알맞은 대학과 학과를
선택해 보자.

대학명 1. 대학교 2. 대학교 3. 대학교

26
지역

특성화고등학교의 대학 진학 준비
입학처 전화번호

관심학과

모집인원

주요 학과 소개 내용

졸업후 진출 분야

참여기업

관심기업

전형시기(수시/정시)

전형방법
(종합/교과/실기)
반영요소 비율
(예 : 교과100 / 서류100 / 면접100/
교과40+서류60 등)
면접일시
(면접있을 경우)

특이사항

활동 소감
조기취업형 계약학과를 이해하며 새롭게 알게 된 점이나 소감을 적어보자.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211


27

[프로젝트]
내가 지원할 대학 찾아보기

1/1
내가 지원할 대학 찾아보기
차시
27-1

활동목표
•‌지원할 대학과 학과의 모집 요강과 정보를 찾을 수 있다.
•‌자신의 진로와 성적을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전형을 찾을 수 있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기존에 배운 수시(교과, 종합, 논술)와 정시 그리고 자신의 진로에 따른 대입설계를 통해 익힌 내용을 정리한다는
생각으로 자신이 지원할 대학을 찾아보도록 한다.
•‌모의고사 성적은 현재 학년의 내용만 기록하도록 한다.
•‌학생이 지원하려고 하는 전형 위주로 기록하도록 한다.
•‌활동지에 더 많은 대학(학과)을 기록할 경우를 대비해 활동지를 충분히 준비하여 지원 예정 대학에 대한 조사를
충분히 할 수 있도록 한다.
•‌지원하고자 하는 대학과 학과의 전형을 꼼꼼히 기록하여 자신의 입시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한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각 전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진행한다.


도입 5'
‌활동에 필요한 자료를 가져왔는지 확인한다.

‌학생이 가져온 자료를 바탕으로 활동지 내용을 기록한다.


20'
전개 ‌학생이 기록할 때 잘 모르는 입시 용어나 내용을 설명한다.

‌자신이 지원할 대학(학과)의 입시전형에 대해 기록하게 한다. 20'

마무리 ‌목표의식을 갖고 준비할 수 있게 긍정적인 입시 성공 이야기를 해준다. 5'

평가
•‌자신의 생기부 기록, 선택 과목, 내신성적, 모의고사 성적을 빠짐없이 기록할 수 있다.
•‌지원하고자 하는 대학(학과)의 수시, 정시 전형을 2개 이상 작성할 수 있다.

212 서울특별시교육청
참고 읽기자료 27-1

내가 지원할 대학 찾아보기

Ⅴ 대입설계
•‌자신의 생활기록부 기록, 선택과목, 내신성적, 모의고사 성적을 바탕으로 지원 가능한 수시와 정시전형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한다.
•‌활동지 내용을 기록하면서 자신의 내신성적, 수능최저학력기준 충족여부 등 현실적으로 지원이 가능한지에 대한 정확한
진단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자료를 찾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경우 정리되어 있는 자료를 참고하여 기록한다.

27
[프로젝트] 내가 지원할 대학 찾아보기
서울진로진학정보센터 – 고3 수시자료 - 대학별 분석/전략
https://www.jinhak.or.kr/subList/20000000252

서울진로진학정보센터 – 고3 정시자료 - 대학별 분석/전략


https://www.jinhak.or.kr/subList/20000000258

가. 내신 성적과 모의고사 성적을 고려한 진학지도

성적 비교 학생부 준비도 추천 전형 진학 코멘트


•교과로 안정권 지원
내신 > 수능 기록 (상) 학생부교과, 학생부종합
•종합으로 상향지원
•내신 관리 끝까지
내신 > 수능 기록 (하) 학생부교과, 논술
•수능 준비도 철저히
•‌정시로 상위권 대학 지원 가능
내신 < 수능 기록 (상) 학생부종합, 정시
(동기부여)
•‌정시로 상위권 대학 지원 가능
내신 < 수능 기록 (하) 논술, 정시
(동기부여)

•‌내신성적이 수능보다 경쟁력이 있다면 학생부교과전형과 학생부종합전형을 위주로, 수능이 내신성적보다 경쟁력이
있다면 수능최저가 높은 학생부교과전형이나 역시 수능최저가 높은 학생부종합전형, 정시 위주로 자신에게 적합한
전형을 찾도록 지도한다.
•‌학교생활기록부 준비도 : 학교생활기록부 서류의 경쟁력을 판단해 본다.(정성평가 시 유불리 판단 및 교육과정
선택과목, 진로선택과목,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기록 등)
•‌자신의 모의고사 성적을 고려하여 충족 가능한 수능최저학력기준에 대해 생각한다.
•‌전년도 입시결과를 통해 자신의 목표 내신성적이나 수능성적을 생각해 볼 수 있도록 한다.
•‌1학년 학생들인 경우 너무 확정적으로 대입전형을 정하지 않도록 하고, 자신에게 적합한 수시 및 정시전형에 대해
생각해 보고, 그 전형에 대해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에 대해 고민하는 시간이 될 수 있도록 한다.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213


활동지 27-1 내가 지원할 대학 찾아보기

내가 지원할 대학 찾아보기

학번 이름
희망 대학 희망 계열
희망 학과 희망 직업
학생부교과전형 학생부종합전형 논술전형
희망 전형
실기/특기자전형 정시

자율활동
동아리활동
학생부
봉사활동
기록
진로활동
교과세특

국어
수학
선택 영어
과목 사회탐구
과학탐구
기타과목

반영과목 1-1 1-2 2-1 2-2 3-1 전체


내 전교과
신 국영수사과
성 국영수사/
적 국영수과
국영수

국어 수학 영어 탐구1 탐구2
학년 월
등급 백분위 등급 백분위 등급 등급 백분위 등급 백분위
3월
모 1학년 9월
의 11월
고 3월
사 2학년 9월
성 11월
적 3월
4월
3학년
6월
7월

214 서울특별시교육청
활동지 27-1 내가 지원할 대학 찾아보기

‌수시모집

대학 학과

Ⅴ 대입설계
원서접수 기간 면접

전형 일정 1단계 합격자발표 논술

최종합격자발표 실기

전형명 모집 인원

27
[프로젝트] 내가 지원할 대학 찾아보기
수능최저학력기준
전형 요소 및 비율
교과성적반영방법

서류평가방법 면접(실기)평가방법

전년도 입시 결과 합격자 성적 경쟁율 충원율

대학 학과

원서접수 기간 면접

전형 일정 1단계 합격자발표 논술

최종합격자발표 실기

전형명 모집 인원

수능최저학력기준
전형 요소 및 비율
교과성적반영방법

서류평가방법 면접(실기)평가방법

전년도 입시 결과 합격자 성적 경쟁율 충원율

대학 학과

원서접수 기간 면접

전형 일정 1단계 합격자발표 논술

최종합격자발표 실기

전형명 모집 인원

수능최저학력기준
전형 요소 및 비율
교과성적반영방법

서류평가방법 면접(실기)평가방법

전년도 입시 결과 합격자 성적 경쟁율 충원율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215


활동지 27-1 내가 지원할 대학 찾아보기

‌정시모집

대학 학과

원서접수 기간
면접
전형 일정 최초 합격자발표
실기
충원 합격자발표

전형명 모집 인원

전형 요소별 대학수학능력시험
반영 비율 반영방법

학교생활기록부 영어 반영방법
반영방법 한국사 반영방법

전년도 입시 결과 합격자 성적 경쟁율 충원율

대학 학과

원서접수 기간
면접
전형 일정 최초 합격자발표
실기
충원 합격자발표

전형명 모집 인원

전형 요소별 대학수학능력시험
반영 비율 반영방법

학교생활기록부 영어 반영방법
반영방법 한국사 반영방법

전년도 입시 결과 합격자 성적 경쟁율 충원율

대학 학과

원서접수 기간
면접
전형 일정 최초 합격자발표
실기
충원 합격자발표

전형명 모집 인원

전형 요소별 대학수학능력시험
반영 비율 반영방법

학교생활기록부 영어 반영방법
반영방법 한국사 반영방법

전년도 입시 결과 합격자 성적 경쟁율 충원율

216 서울특별시교육청
m e m o

Ⅴ 대입설계
27
[프로젝트] 내가 지원할 대학 찾아보기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217



취업
전략

28
취업계획 세우기

29
직무·기업 분석하기

30
취업서류 준비하기

31
면접 대비하기

32
[프로젝트] 취업 전략 로드맵
28

취업계획
세우기
1/1
취업계획서 작성하기
차시
28-1

활동목표
•‌취업 계획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취업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바탕으로 취업계획서를 작성할 수 있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취업이 자신의 진로 및 삶에서 어떤 의미가 있는지 긍정적인 측면을 생각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취업계획은 왜 필요한지를 스스로 생각해 보도록 한다. 자신의 취업준비 상황을 점검하고 발표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한다.
•교내·외 활동에서 취업역량을 높이기 위한 활동을 선별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취업계획이 계획에만 머무르지 않고 직접 행동으로 실천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동기유발
도입 •취업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킨다. 5'
•취업에 성공한 선배의 사례를 이야기 한다.
‌고교졸업 후 취업을 하게 된다면 좋은 점은 무엇인지 알아본다. 5'
‌
학교생활에서 자신이 준비하고 있는 것과 앞으로 준비해야 할 점은 무엇인지
전개 10'
나열해 보고 취업 준비 상황을 점검한다.
‌미니 만다라트를 활용하여 취업계획서를 작성한다. 20'
‌완성한 취업계획서 만다라트를 발표한다. 5'
마무리 ‌활동정리 및 발표 내용에 대한 피드백
5'
‌차시예고

평가
•‌상 취업의 긍정적인 면을 발표할 수 있다.
•‌중 자신의 현 상황을 항목별로 점검하여 적을 수 있다
•‌하 취업계획서를 구체적으로 작성할 수 있다.

220 서울특별시교육청
참고 읽기자료 28-1

취업계획서 작성

Ⅵ 취업 전략
가. 취업계획서 작성하기

•‌취업성공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 할까?


목표를 달성해서 원하는 바를 이룬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의 차이는 계획과 실천에 있다. 성공한 사람들은 보통
사람보다 더 철저하게 계획을 세우고 실천한다.

28
성공취업을 위해 첫 번째는 취업을 하고자 하는 의지와 열정이 있어야 한다. 그 다음은 종합적인 자기이해를 바탕

취업계획서 작성하기
으로 하고 싶은 일과 취업을 희망하는 기업을 결정하고 준비해야할 활동을 계획하고 실천해 나가야 한다.

•‌취업을 준비하는 고교생에게는 무엇보다도 자격증, 교내활동, 교외활동을 무작정하기보다는 자신이 지원하고자
하는 분야와 취업을 희망하는 기업에 적합한 직무역량을 기르기 위한 계획을 세워 하나하나씩 준비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취업계획세우기

취업의지와 하고 싶은 일 관심기업 활동 계획과


자기이해
열정 (관심직무) 선정 실천

•‌여러분의 성공적인 취업을 위해 취업계획서 작성법을 알아보자.

취업계획서 작성법

➊ 희망 직무 및 취업을 희망하는 기업을 탐색한다.


•‌종합적인 자기분석을 마치고 고등학교 생활에서 활동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지원하고자 하는 직무분야와
취업을 희망하는 기업을 선정한다.

➋ 희망 직무와 기업을 분석한다.


•‌자신이 선정한 직무와 기업에서 가장 요구되는 역량과 이를 증명할 수 있는 자격증이나 스펙은 무엇인지
리스트를 정리한다.
•‌특정 기업을 지원하는 경우에는 그 기업의 인재상, 기업문화 등을 분석한다. 적합한 인재라는 것을 증명
하기 위해서 어떤 활동을 보완해야 할지 생각해 본다.

➌ 일정 및 구체적인 계획을 세운다.


•‌직무와 기업 분석을 통해 강점 발전활동과 보완활동을 탐색하고 교내·외 활동을 결정한다.
•‌활동별 목표를 정하고 목표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일정과 계획을 세워서 기록해 둔다.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221


활동지 28-1 취업계획서 작성하기

취업계획서 작성하기

‌고교 졸업 후 취업을 하면 좋은 점은 무엇일까?


개인 또는 사회적인 입장에서 취업의 긍정적인 면을 생각해 보고 빈 칸에 적어보자.

‌나의 취업 준비 상황을 점검해 보자.


아무런 계획 없이 무작정 취업에 대해 고민하기 보다는 자신의 현 상황을 꼼꼼히 점검하여 보완해야 할 부분은 미리
계획을 세워 준비하는 태도를 가지는 것이 좋다.

학업성적 교육사항 교내활동

출결 연수사항 취득 자격증

공모전 봉사활동 기타

222 서울특별시교육청
활동지 28-1 취업계획서 작성하기

‌미니 만다라트를 활용하여 취업계획서를 완성해 보자

•‌누구나 취업을 꿈꾸는 기업이 있을 것이다. 취업계획서를 작성하면서 그 꿈을 이룰 수 있는 길에 다가갈 수 있는

Ⅵ 취업 전략
방법을 찾아보자.
- 졸업 후 내가 하고 싶은 일은 어떤 일인지?
- 자신이 취업을 희망하는 관심 기업 3곳은 어디인지?
- 취업준비를 위해서 앞으로 계획하고 있는 교내 활동은 어떤 것이 있는지?
- 교외 활동으로 계획하고 있는 활동은 무엇인지?

28
취업계획서 작성하기
취업계획서

하고 관심
싶은 일 기업

교내활동 교외활동

활동 소감
취업계획서를 작성한 후 새롭게 알게 된 점이나 소감을 적어보자.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223


29

직무·기업
분석하기
1/2
현직자 인터뷰를 통한 직무 분석하기
차시
29-1

활동목표
•‌기업의 일반적인 직무를 이해하고 전공직무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자신이 좋아하는, 잘 할 수 있는, 흥미와 적성에 맞는 직무에 대해서 생각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취업준비 시 자신의 적성과 관심분야에 적합한 직무를 선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을 인지시킨다.
따라서 회사의 직무내용을 꼼꼼히 확인하고 본인의 인성 및 적성, 능력과 가치관 등을 고려하여 직무를 선택하는
것이 올바른 선택 방법임을 강조한다.
•‌직무소개 브이로그 등 직무관련 영상을 참고하여 흥미를 유발한다.
•‌현직자 인터뷰를 탐색하여 직무에 대해서 자세히 파악하고 직무역량을 분석하여 발표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동기유발
도입 •취업했을 때 회사에서 어떤 일을 하고 싶은지 발문한다. 5'
•주변에 다양한 일을 하고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해본다.

‌직무의 의미와 직무의 종류를 알아본다. 10'

‌희망하는 직무에 종사하기 위해 어떤 준비를 해야 하는지 직무의 종류별 직무 역량을


전개 10'
분석해본다.

‌현직자의 직무 이야기를 인터뷰 형식으로 정리해서 완성한 인터뷰를 발표한다. 20'

‌활동정리 발표 내용에 대한 피드백


마무리 5'
‌차시예고

평가
•‌직무의 의미와 종류를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희망 직무관련 현직자의 인터뷰를 통하여 직무역량을 분석할 수 있다.

224 서울특별시교육청
참고 읽기자료 29-1

직무·기업 분석하기

Ⅵ 취업 전략
가. 직무의 의미

직무(職務)는 회사에서 어떤 일을 하는가? 즉, 직책이나 직업상에서 책임을 지고 담당하여 맡은 임무를 말한다. 직무


는 통일되게 약속된 표준이 없어서 회사에는 직급, 직책이라는 단어도 함께 사용하고 있다.

29
•직무 = 직장의 업무 : 영업, 기획, 마케팅, R&D, HR, 재무 등

직무·기업 분석하기
•직급 = 직책의 급수 : 사원, 대리, 과장, 차장, 부장 등(기업의 수직적인 서열)
•직책 = 직무상 책임 : 영업본부장, 마케팅 팀장, 총무과장, 인사과장 등

나. 직무의 종류

직무는 업종, 산업에 따라 다르다. 동일 직무라 하더라도 기업이 속한 산업이나 사업 영역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대분류 중분류 대분류 중분류


마케팅·광고·분석 생산관리·공정관리·품질관리
마케팅·광고·홍보 홍보·PR 생산·제조·설비·조립
생산·제조
전시·컨벤션 포장·가공
유치원·보육교사 섬유·의류·패션
초중고·특수학교 건축·설계·인테리어
대학교수·강사·행정직 시공·현장·감리·공무
보습학원·입시학원 토목·조경·도시·측량
건설
교육 학원상담·관리·운영 전기·소방·통신·안전
학습지·과외·방문교사 환경·플랜트
외국어교육 부동산·중개·분양·경매
자격증·기술·전문교육 감독·연출·PD
교재기획·교수설계 영상·사진·촬영
의사·치과·한의사 광고제작·카피·CF
약사·한약사·약무보조 아나운서·리포터·성우
간호사 기자
간호조무사 미디어 작가·시나리오
의료
의료기사 연예·엔터테인먼트
사무·원무·코디 인쇄·출판·편집
수의사·수의간호사 영화·배급
의료직기타 음악·음향
경영분석·컨설턴트 공연·전시·무대·스텝
채권·심사·보험·보상 리서치·통계·설문
전문·특수직 회계·세무·CPA 법률·특허·상표
전문·특수직
노무·헤드헌터 외국어·번역·통역
직업상담 보안·경호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225


참고 읽기자료 29-1

•‌마케팅 직무 소개

마케팅 직무는 브랜드관리업무와 브랜드는 제품과 소비자의 끈끈한 관계를 끊임없이 신제품을 개발하고
신상품 기획 업무로 나눌수 있어요 나태나는 성징이죠. 따라서 브랜드 관리는 이를 상품화하는 과정으로 소비자가 느끼는
정통성과 새로움의 균형을 유지하는 작업이예요 감정을 공감하는 태도가 중요하다고 해요

브랜드 신상품 정통성 새로움


관리 기획
업무 업무

브랜드관리

- 출처 http://recruit.nongshim.com/personnel/duties/index

다. 직무역량

직무역량은 일(직무)을 잘 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직무의 종류별 직무역량은 다음과 같다.

경영/기획직무 인사/노무직무
•‌회사 실적과 자금 흐름에 대한 이해력, 보고서 작성 및 •‌자신이 속한 조직의 경영과 체제업무를 이해하는
자료 정리요약 조직이해능력
•‌트렌드와 시장 변화에 대한 파악능력 •‌업무수행 시 원만한 대인관계능력, 의사소통능력,
기획력, 문제해결능력
회계/경리직무 마케팅직무
•‌재무, 회계, 세무, 법률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하는 •‌시장 및 경쟁사 분석력, 브랜딩 기획능력, 돌발 상황에
꼼꼼함과 세심함 대한 유연한 태도
•‌계산능력, 숫자 감각, 더존, ERP 프로그램 사용 및 •‌고객을 설득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만들어 내는
데이터 분석능력 창의력과 실행력
물류관리직무 구매/자재직무
•‌분석력, 원가의식, 서비스 마인드 •‌시장상황 분석능력, 수리력, 판단력, 커뮤니케이션능력,
•‌개선의식, 판단력 등의 역량 대외협상 설득력
•‌외국물품구매의 경우 외국어 능력

라. 직무 분석 방법

직무 분석은 일을 잘하기 위해서 직무에 대해 보다 상세한 내용을 파악하는 것으로 다음과 방법으로 그 직무가 무슨
일을 하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말한다.

취업포털 검색 워크넷, 커리어넷 기업 홈페이지


기업 운영 블로그 인턴십과 현장실습의 경험 현직자의 직무 인터뷰 또는 직무 멘토링
채용공고의 직무내용 NCS의 직무기술서 관련 도서

226 서울특별시교육청
활동지 29-1 현직자 인터뷰를 통한 직무 분석하기

현직자 인터뷰를 통한 직무 분석하기

Ⅵ 취업 전략
‌[직무분석표]를 참고하여 관심을 가지고 있는 직무를 선택하고, 예시를 참고하여 직무를 소개해 보자.
다음은 ◦◦그룹 홈페이지의 직무에 대한 소개 예시이다.

[ 영업 ] [ ]
이건 새로 나온

29
제품인가요?

직무·기업 분석하기
영업은 고객과
가장 가까운 곳에서
관계하고
판매하는
가장 중요한 직무라
할 수 있어요.

‌관심 분야에 근무하고 있는 현직자의 인터뷰를 탐색하여 정리해 보고 해당 직무의 역량을 분석해 보자.

자신에 대해
소개해 주세요.

근무하는 회사와
부서, 담당업무를
설명해 주세요

담당업무 수행에
필요한 역량은
무엇인가요?

같은 직무에 관심있는
학생들에게 취업성공을
위한 조언을 해주세요.

활동 소감
직무분석을 해야 하는 이유를 생각해 보고 소감을 적어보자.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227


2/2
인재상을 통한 기업 분석하기
차시
29-2

활동목표
•‌관심 기업의 인재상을 탐색하며 요구되는 인재 역량을 분석할 수 있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기업의 경영철학에 따라 기업별 인재상이 다를 수 있음을 알려준다.
•‌채용과정에서 인재상과 부합되는 인재를 선발하게 된다는 점을 인식시킨다.
•‌시대가 변하면 인재상도 변하며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인재상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취업 시 희망 기업의 인재상을 꼼꼼히 파악하고 본인의 강점을 중심으로 취업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한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동기유발
도입 5'
•‌관심있는 기업에 대해 알고싶은 점

‌
관심 기업 목록 만들기
10'
•‌업종별 유망 기업 안내

전개 ‌관심 기업의 인재상을 조사하여 활동지를 완성한다.


15'
•‌기업홈페이지, 기업 블로그, 기업관련 뉴스 등

‌발표 및 발표 활동 피드백 15'

학습한 내용 정리하기

마무리 5'

‌차시예고

평가

‌‌지원하고자 하는 기업은 어떤 사업을 주로 하는지 알아보고. 채용 시 중점을 두는 인재상을 탐색할 수 있다.

‌‌기업의 인재상과 부합된 자신의 취업 역량을 기를 수 있다.

228 서울특별시교육청
참고 읽기자료 29-2

기업 분석

Ⅵ 취업 전략
가. 기업 분석

기업 분석은 자신이 취업하고 싶은 기업에 대해 알고 싶은 정보를 수집하고 정리하는 것을 말한다. 기업의 세부적인
분석을 통해 해당 기업에서 자신의 역량을 잘 발휘할 수 있는지, 기업의 비전과 본인의 비전이 일치하는지 등을 파악
할 수 있다.

29
직무·기업 분석하기
나. 기업 분석이 필요한 이유

지피지기면 백전백승이다. 상대를 알아야 이길 수 있는 것처럼 취업계획에서도 지원하는 기업의 특징을 알아야 취업에
성공할 수 있다. 해당 기업에 대한 정보를 미리 파악해두고 수시로 관련 자료를 모아 정리할 필요가 있다.
꼼꼼한 기업 분석은 합격의 지름길이다.

다. 기업 분석 방법

•‌기업 홈페이지 방문은 가장 기초적이고, 필수적인 방법이다.


1단계
•‌기업의 경영철학, 연혁, 인재상, 기업 활동 및 뉴스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빠르고
기업 홈페이지
쉽게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기업 홈페이지에서 대표이사의 이름을 확인하고 포털사이트에 이름을 검색해서


2단계
해당년도의 신년사와 인터뷰를 읽어 본다.
기업 대표자
•‌기업대표가 하는 신년사와 인터뷰는 핵심 사업의 방향성과 관심사를 파악할 수
관련 기사
있기 때문에 유용한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기업에 대한 정보가 담긴 사이트를 잘 활용한다면 보다 자세한 기업 분석이 가능하다.


3단계
기업 금융감독원 산업통상자원부 뉴스 및
기업 분석 사이트
블로그 전자공시 시스템 ISTANS 기업가이드북

•‌기업을 검색할 때 ‘기업명+키워드’ 검색한다. 예를 들어, 경쟁사를 알고 싶다면


‘기업명 vs’, ‘핵심사업’을 검색하는 방법도 있다.
4단계
•‌기업명+영업전략, 차별화, 시장점유율 등 다양한 키워드를 활용하면 다양한 정보를
기업검색
얻을 수 있다.
•‌‘기업명.pdf’ , ‘기업명.ppt’ 를 검색하여 자료를 얻는 것이다.

•‌졸업생 현직자는 가장 좋은 정보원이며, 채용 과정, 내부 정보, 기업 문화 등의


5단계
정보를 제공해 준다.
현직자
•‌채용설명회, 블로그, 인스타그램 등을 활용할 수 있다.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229


참고 읽기자료 29-2

라. 인재상은 신입사원이 갖추어야 할 역량이다.

인재상은 우리가 취업을 할 때 신입사원들이 가져야할 핵심역량이며, 기업 내부 구성원들이 반드시 지녀야 할 역량


이라고 할 수 있다. 기업에서는 취업 준비의 출발점은 관심 기업의 인재상을 확인하는 것이다. 특히 자신이 희망하는
기업이 다른 기업과 다른 독특한 인재상이나, 선호하는 인재상이 존재한다면 그것에 맞춰 취업 전략을 세워야 할 것
이다.
•‌대한상공회의소 – 100대 기업 인재상 보고서(2023)

순위 2008년 2013년 2018년 2023년


1 창의성 도전정신 소통, 협력 책임의식
2 전문성 책임의식 전문성 도전정신
3 도전정신 전문성 원칙, 신뢰 소통, 협력
4 원칙, 신뢰 창의성 도전정신 창의성
5 소통, 협력 원칙, 신뢰 책임의식 원칙, 신뢰
6 글로벌역량 열정 창의성 전문성
7 열정 소통, 협력 열정 열정
8 책임의식 글로벌역량 글로벌역량 글로벌역량
9 실행력 실행력 실행력 실행력
10 - - - 사회공헌

마. 인재상과 부합되는 경험을 장점으로 증명한다.

기업에서 요구하는 모든 인재상을 만족시키기는 어렵다. 그래서 자신의 관련된 경험을 찾아 장점으로 연결시키는
것이 좋은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즉, 희망기업에 취업성공을 위해서는 다양한 폭넓은 경험을 중심으로 인재상을
증명해 나가야 한다. 실제로 인재상을 완벽하게 갖춘 인재를 선발하는 것은 어려운 점이 있기 때문에 가능성이 있는
인재를 선발하여 인재상을 만족시키기 위한 다양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 경력개발 로드맵을 제시하고 있다.

바. 시대가 바뀌면 인재상도 변한다.

인재상은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계속해서 변화를 거듭하며 완성되는 것이다. 즉, 기업의 인재상은 과거나 현재가
같은 모습이 아니라 기업내부와 외부환경의 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희망기업의 인재상을 자세히
살펴보면 그 기업의 인재운영 전략을 알 수 있다. 기업의 인재상 트렌드를 분석하고 이를 취업준비과정에 잘 활용
한다면 취업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230 서울특별시교육청
활동지 29-2 인재상을 통한 기업 분석하기

인재상을 통한 기업 분석하기

Ⅵ 취업 전략
다음은 ◦◦그룹 홈페이지에 소개한 인재상 예시이다.

○○은 성실하고 변화에 유연하며 스스로 성장하는 자질을 갖춘 인재를 기다립니다.

성실 유연 성장

29
직무·기업 분석하기
公과 私를 명확히 구분하고, 열린 마음으로 소통하고 현재에 머무르지 않고,
회사와 일에 스스로 몰입하는 변화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배우는 것을 즐기며 스스로
성실한 人材 유연한 人材 성장하는 人材

‌위의 예시를 참고하여 취업을 희망하는 관심기업(4개 회사)의 인재상을 찾아서 적어보자.

‌기업의 인재상이 자신과 부합되는 점은 무엇인지, 앞으로 자신이 보완해야 할 점은 무엇인지 적어보자.

나와
부합되는 점

보완해야
할점

활동 소감
기업의 인재상이 중요하게 고려되는 이유를 생각해 보고 소감을 적어보자.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231


30

취업서류
준비하기
1/5
이력서 작성하기
차시
30-1

활동목표
•‌이력서의 항목을 알아보고 원칙에 맞게 작성할 수 있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이력서는 지원자의 능력과 경험을 정리한 서류로서 한 눈에 알아볼 수 있게 전체적으로 간결하고 일관성있게
작성하도록 안내한다.
•‌지원자와 채용 담당자가 서로 처음 대하는 서류이므로 체계적으로 정성을 다해 작성하도록 지도한다.
•‌이력서 작성항목에 대한 상세한 안내를 바탕으로 사실의 내용을 작성하도록 손쉽게 디자인을 선택할 수 있는
사이트를 안내한다.
•‌제출하기 전에 띄어쓰기와 맞춤법을 검사하여 확인하도록 지도한다.
•이력서는 반드시 제출기한 내 제출할 수 있도록 기한 엄수를 강조한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동기유발
도입 •‌취업을 위해서 준비해야할 서류는 무엇이 있을까요? 5'
•‌학생들의 답변에 응대하며 서류 작성의 중요성을 언급한다.

‌이력서의 기재항목 및 기재요령 설명 15'

전개 ‌이력서 작성 가이드 라인 안내 5'

‌이력서 작성 및 완성한 이력서 피드백 20'

‌활동정리
마무리 5'
‌차시예고

평가
•‌이력서 항목별 세부사항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작성기준에 근거하여 이력서를 간결하게 완성할 수 있다.

232 서울특별시교육청
참고 읽기자료 30-1

이력서 작성하기

Ⅵ 취업 전략
기업이 필요로 하는 취업서류에는 이력서, 자기소개서, 입사지원서, 학교생활기록부(성적증명서), 자격증 사본, 포트폴리오
등이 있다. 기업에 따라 지정양식이 주어지는 경우도 있고, 지정양식이 없이 자유양식으로 작성하여 제출할 수도 있다.
입사 지원 시에는 필요한 서류를 꼼꼼히 체크하고 준비하여야 한다. 최근 이력서 작성에 도움이 되는 여러 사이트(미리
캔버스, 슬라이드고 등)의 도구를 활용하여 손쉽게 작성할 수 있다.

30
가. 이력서

취업서류 준비하기
이력서는 채용담당자에게 수많은 지원자 중 자신이 가장 적합한 지원자라는 것을 인식시키는 서류이다. 따라서 지원
하는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쌓아온 능력을 객관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작성해야 한다. 그동안 받은 교육과 자격증,
경험과 활동 등을 정리해보고 지원 분야에 대한 역량이 나타날 수 있도록 작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나. 이력서 작성 가이드

•사진 깔끔한 이미지, 호감가는 인상의 사진 사용


•인적사항 이름, 성별, 생년월일, 주소, 연락처 등은 주민등록 기준으로 기재
•학력사항 최종학력부터 기재
•자격사항 최근 취득한 순서로 업무와 관련 있는 자격증을 기재
•수상경력 일시, 수상내용, 수여기관도 함께 기재
•활동사항 자율, 동아리, 봉사, 진로활동 및 대외활동 등 직무와 관련이 높은 순으로 기재
•기타사항 정해진 양식이 없는 경우 직무역량 관련 교육이수 사항을 추가해서 기재

다. 이력서 작성 시 주의 사항
직무역량을 과장이나 자격증, 취득년도, 오탈자, 간결하고
중심으로 작성 거짓말 금지 교육이수 등 기재 맞춤법 확인 일관성 있는 기재

라. 이력서 체크리스트 사항

항목 점검 사항
지원분야 해당 기업의 지원분야가 상단에 기재 되어 있는가?
최근 촬영한 사진으로 준비 되었는가?
사진
단정한 차림과 용모로 촬영한 것인가?
인적사항 이름, 생년월일, 나이, 주소, 연락처 등이 정확하게 표시되어 있는가?
입학 및 졸업 날짜가 정확한가?
학력사항
학교명, 전공이 빠짐없이 기재되었는가?
지원 분야와 관련된 활동사항으로 기재 되었는가?
활동사항 활동의 세부 내역이 정확히 기술되었는가?
활동기관과 활동기간의 기재가 정확한가?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233


참고 읽기자료 30-1

이력서(예시)
이름 한국미 영문 Han kukmi 한문 韓國美
생년월일 2006.01.16 나이 18세
휴대폰 010-567-1234 전화번호 070-567-1234
E-mail han@gmail.com SNS kuk mi_777(인스타그램)
주소 서울특별시 성동구 뚝섬로 546

•학력사항
재학기간 학교명 및 전공 구분
202×.03.02.
○○정보고등학교 소프트웨어과 졸업예정
~ 202×.01.30.

•활동사항
기간 활동내용 활동구분 기관 및 장소
202×.03 경제 청소년 체험대회 대외활동 ○○경제 신문
202×.04 ○○대학교 디자인 공모전 공모전 ○○대학교
202×.05 청소년 체커톤 대회 공모전 대진미디어센터
202× ~ 202×. 독거노인 도시락 배달 봉사 활동 종로구 청소년 수련관
202×.05 ~ 202×.10 국제연합 IYK 동아리 활동 시청자미디어재단
202×.07 ~ 202×.08 NEWS 콘켄츠 기획 SHOW 동아리 활동 ○○정보고등학교
202×.11 ~ 202×.12 스위스 글로벌 인턴쉽 취업역량 ○○정보고등학교

•교육/ 연수
기간 과정명 기관
202×.08 ~ 202×.12 MTA 국제자격증(JAVA) 반 ○○정보고등학교
202×.04 ~ 202×.07 정보처리기능사 자격증 반 ○○정보고등학교
202×.11 ~ 202×.09 HTML5+CSS+JS 반 ○○정보고등학교
202×.03 ~ 202×.06 취업 면접/서류 준비반 ○○정보고등학교
202×.05 ~ 202×.08 영어 토익 반 ○○정보고등학교

•수상내용
기간 상세 내용 기관
202×.05. 2024 청소년 미디어 페스티벌 금상 수상 전국특성화고연합회
202×.09. 서울런 로고 공모전 동상 서울특별시
202×.04. 발명발견 경진대회 금상 한국발명가협회
202×.08. [교과우수상] 국어, 영어, 수학 ○○정보고등학교

•자격증
취득일 자격증/ 면허증 등급 발행처
202×.03.20 ITQ 엑셀 A 산업인력관리공단
202×.05.27 정보처리기능사 A 산업인력관리공단
202×.09.17 MOS자격증 A Microsoft

234 서울특별시교육청
활동지 30-1 이력서 작성하기

이력서
‌다음 양식에 맞춰 이력서를 작성해보자.

Ⅵ 취업 전략
이름 영문 한문
생년월일 나이
휴대폰 전화번호
E-mail
주소

30
취업서류 준비하기
•학력사항
재학기간 학교명 및 전공 구분

•활동사항
기간 활동내용 활동구분 기관 및 장소

•교육/ 연수
기간 과정명 기관

•수상내용
기간 상세 내용 기관

•자격증
취득일 자격증/ 면허증 등급 발행처

지원서 상의 모든 기재사항이 사실과 다름없음을 확인하며 입사지원에 관한 개인정보활용에 동의합니다.


작성일: 년 월 일
지원자: (서명)

활동 소감
이력서 작성시 가장 고려해야 할 점은 무엇인지 생각해 보고 소감을 적어보자.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235


2/5
NCS 기반 입사지원서 작성하기
차시
30-2

활동목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입사지원서를 작성할 수 있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직무수행능력과 직업교육의 훈련·자격이 연계되지 않아 인적자원개발이 비효율적이라는
비판을 해소하기 위한 NCS(국가직무능력표준)도입 배경을 이해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NCS 기반 입사지원 서류를 준비해야 하는 기업의 종류를 명확히 안내하고 학생들이 준비해 나갈 수 있도록 안내
한다.
•‌공기업을 중심으로 해당 직무에 맞는 스펙을 갖춘 NCS 기반 입사지원서의 형식을 알고 직접 작성할 수 있도록
한다.
•‌NCS 기반 입사지원서와 이력서 작성항목의 차이점을 구분하고 입사지원서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한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
동기유발
도입 •NCS(국가직무능력표준)이란 무엇일까? 5'
•학생들의 답변에 응대하며 NCS(국가직무능력표준)에 대해 언급한다.

‌NCS(국가직무능력표준)의 도입배경에 대해 안내한다. 10'

‌NCS(국가직무능력표준) 작성 가이드 라인을 설명한다. 5'


전개

‌
NCS 기반 입사지원서를 작성한다.
25'
작성한 NCS 기반 입사지원서에 대한 피드백과 수정보완

활동정리
마무리 5'
‌차시예고

평가
•‌취업서류인 이력서와 NCS 기반 입사지원서의 차이점을 파악할 수 있다
•‌NCS 기반 입사지원서를 직무중심으로 작성할 수 있다.

236 서울특별시교육청
참고 읽기자료 30-2

NCS(국가직무능력표준)

Ⅵ 취업 전략
가. NCS(국가직무능력표준,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전 산업 분야에서 직업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이 직무를 수행하는 데 요구되는 지식(K)·기술(S)·태도(A)를 국가에서 표


준화하여 제시한 것이다.

ncs NCS, 왜 필요한가요?

30
취업서류 준비하기
NCS로 청년들은 취업준비를, 기업은 채용을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음!

NCS로 평가하는 ‘직무능력’이란? 이전 NCS 도입 후


직무능력 = 직업기초능력 + 직무수행능력 청년 : 불필요한 청년 : 필요한 스팩만 쌓음
스팩을 쌓음 기업 : 실무능력을 갖춘
기업 : 채용 후 다시 인재를 뽑을 수 있음
직업기초능력 직무수행능력 교육해야 함

비효율적 효율적
직업인이라면 공통적으로 직업 분야에 따라 다르게
갖추어야 할 기본능력 필요한 실무 능력
(ex. 의사소통능력, (ex. 지식, 기술, 태도) NCS, 직무분야는 총 24가지!
문제해결능력 등) 현재 NCS는 다음과 같이 직무분야를 크게 24가지로
분류하고 있음(세분류는 총 1,022개로 더욱 다양!)

나. NCS 기반 입사지원서

직무에 적합한 인재를 선발하기 위해 직무 관련 항목으로 구성된 입사지원서를 말한다. 직무 특성상 필요한 능력을
확인하기 위해 자격증을 제시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개인의 신상에 관한 정보는 요구할 수 없다.
NCS를 채용 전형에 반영한 공공기관의 경우 입사지원서에 사진을 첨부하거나 직무와 무관한 스펙을 요구하는 것 등
이 금지되어 있다.

다. NCS 기반 입사지원서 구성항목

인적 사항 지원자를 식별, 관리하기 위한 최소한의 정보


교육 사항 직무수행에 필요한 능력을 갖추고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한 항목
직무관련 경험 혹은 경력 사항 직무와 관련된 일이나 경험 여부를 평가하기 위한 항목
지원자가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자격을 가지고 있는지 판단하며,
직무관련 자격 사항
반드시 해당 직무와 관련 있는 자격만을 기재

- 참고사이트 국가직무능력표준 https://www.ncs.go.kr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237


참고 읽기자료 30-2

라. NCS 기반 입사지원서(작성 예시)

지원분야 회계 사무

➊ 인적 사항
✽인적 사항은 필수 항목으로 반드시 모든 항목을 기입해 주십시오.
성 명 김 영채 생년월일 2005.02.25
현주소 서울 종로구 누하동 605
(본인휴대폰) 010-589-4567
연락처 전자우편 career@naver.com
(비상연락처) 010-589-4566

➋ 교육 사항
 학교교육 ✽제도화된 학교 내에서 이루어지는 고등교육과정
[회계 사무] 관련 학교교육 과목을 이수한 경험이 있습니까? 예( ◦ ) 아니오( )
✽‘예’라고 응답한 항목에 해당하는 내용을 아래에 기입해 주십시오
과목명 주요내용
기업회계 기업회계원칙에 의거하여 상거래의 분서과 장부기입, 기업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 이해

 직업교육(직무관련 교육훈련) *직업교육은 학교 이외의 기관에서 실업, 기능교육, 직업훈련 등


[회계 사무] 관련 직업교육 과목을 이수한 경험이 있습니까? 예( ◦ ) 아니오( )
✽‘예’라고 응답한 항목에 해당하는 내용을 아래에 기입해 주십시오
과정명 주요내용 교육기관 교육시간
기업회계실무 기업의 결산정리와 마감, 재무제표 작성 상공회의소 30

➌ 직무관련 경험 혹은 경력 사항
✽‌경력은 금전적 보수를 받고 일정기간 동안 일했던 이력을 의미하고 직무관련 경험은 직업 외적인(금전적 보수를 받지
않고 수행한) 활동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팀 프로젝트 활동, 연구회 활동, 동아리/동호회 활동,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 재능기부/봉사 활동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회계 사무] 관련 업무를 수행한 경험이 있습니까? 예( ◦ ) 아니오( )
✽‘예’라고 응답한 항목에 해당하는 사항을 우선 기입해 하고 기타 사항을 추가로 기입해 주십시오.
근무활동기간 기관명 직위/역할 담당업무
202×.03 ~ 202×.06 대한무역협회 교육생 장부기장

➌ 직무관련 자격 사항 ✽자격은 직무와 관련된 자격을 의미합니다. 해당 자격증을 정확히 기입해 주십시오.
자격증명 발급기관 취득일자
전산회계 운용사 대한상공회의소 202×.12
- NCS(국가직무능력표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238 서울특별시교육청
활동지 30-2 NCS 기반 입사지원서 작성하기

NCS 기반 입사지원서

Ⅵ 취업 전략
지원분야

➊ 인적 사항
✽인적 사항은 필수 항목으로 반드시 모든 항목을 기입해 주십시오.
성 명 생년월일
현주소

30
취업서류 준비하기
(본인휴대폰)
연락처 전자우편
(비상연락처)

➋ 교육 사항
 학교교육 ✽제도화된 학교 내에서 이루어지는 고등교육과정
[ ] 관련 학교교육 과목을 이수한 경험이 있습니까? 예( ) 아니오( )
✽‘예’라고 응답한 항목에 해당하는 내용을 아래에 기입해 주십시오
과목명 주요내용

 직업교육(직무관련 교육훈련) *직업교육은 학교 이외의 기관에서 실업, 기능교육, 직업훈련 등


[ ] 관련 직업교육 과목을 이수한 경험이 있습니까? 예( ) 아니오( )
✽‘예’라고 응답한 항목에 해당하는 내용을 아래에 기입해 주십시오
과정명 주요내용 교육기관 교육시간

➌ 직무관련 경험 혹은 경력 사항
✽‌경력은 금전적 보수를 받고 일정기간 동안 일했던 이력을 의미하고 직무관련 경험은 직업 외적인(금전적 보수를 받지
않고 수행한) 활동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팀 프로젝트 활동, 연구회 활동, 동아리/동호회 활동,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 재능기부/봉사 활동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 ] 관련 업무를 수행한 경험이 있습니까? 예( ) 아니오( )
✽‘예’라고 응답한 항목에 해당하는 사항을 우선 기입해 하고 기타 사항을 추가로 기입해 주십시오.
근무활동기간 기관명 직위/역할 담당업무

➌ 직무관련 자격 사항 ✽자격은 직무와 관련된 자격을 의미합니다. 해당 자격증을 정확히 기입해 주십시오.
자격증명 발급기관 취득일자

활동 소감
NCS 입사지원서 작성 시 유의할 점은 무엇인지 생각해 보고 소감을 적어보자.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239


3/5
합격하는 자기소개서 작성하기
차시
30-3

활동목표
•‌구체적 경험을 통한 나만의 스토리로 자기소개서를 작성할 수 있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고등학교 생활동안 자신이 활동한 경험을 정리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채용담당자에게 수많은 지원자들 중에서 자신이 가장 적합한 지원자라는 것을 인식시킬 필요가 있다는 점을
확인해준다.
•‌지원하는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쌓아온 능력을 객관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구체적으로 작성하도록 지도한다.
•‌성장과정, 학교생활, 성격의 강점, 활동 경험, 지원동기, 입사 후 포부 등이 일반적 항목이며, 각 항목별 내용은
두괄식으로 소제목을 정하여 작성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직무별 자기소개서 항목이 상이할 수 있다는 점을 인지시킨다.
•‌예시를 참고하여 지원하고자 하는 직무에 관련된 스토리를 펼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학생들이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갖고 차분하게 작성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다양한 디지털 도구를 활용하여 문서작성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
동기유발
도입 5'
•‌자기소개서 작성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일까?

‌
자기소개서 양식 알아보기
10'
•‌일반적인 자기소개서 양식과 툴을 이용한 이력서 양식을 선택할 수 있다.

전개
‌
자기소개서 활동지 완성하기
•‌기재 항목별 어필하고자 하는 자신의 역량을 파악하여 역량이 돋보이는 30'
경험활동을 선정하여 작성한다.

우수활동자 발표와 피드백

마무리 학습한 내용 정리 5'

‌차시예고

평가
•‌자기소개서 항목별로 키워드 혹은 서술형으로 소제목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기승전결(동기, 과정, 어려움, 노력, 결과)의 순서로 기술할 수 있다.

240 서울특별시교육청
참고 읽기자료 30-3

자기소개서

Ⅵ 취업 전략
가. 자기소개서
자기소개서는 자신을 소개한 글로 지원하는 회사와 직무에 적합한 역량과 확고한 입사 의지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야
한다. 따라서 직무에 관련된 경험을 통해 자신의 강점을 보여주고, 입사 후 성과를 낼 수 있는 인재가 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줄 수 있도록 작성해야 한다. 이력서에 포함되지 못한 전반적인 이야기를 부연하여 소개할 수 있는 서류로서
실제 자신이 경험한 일에서 구체성을 나타내어야 한다.

30
취업서류 준비하기
나. 자기소개서가 중요한 이유
자기소개서는 서류전형에서 합격 여부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면접과정에서 지원자에 대한 평가 자료로 활용된다.

다. 자기소개서 준비방법
➊ 정보 탐색 지원 직무의 필요 역량과 비전, 회사 상품 및 최근 뉴스 등 정보 수집
➋ 보유한 직무 역량 교육 및 자격증 취득, 직무 수행을 위한 노력과 성과 정리
➌ 직무 및 인성 경험 활동 기간, 활동 내용, 담당업무, 관련 역량 등을 시간 순서대로 정리
➍ 직무 비전 세우기 직무 비전과 입사 후 단계별 성장 목표 세우기

라. 자기소개서 기재 항목
자기소개서의 항목은 지원하는 기업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다.
학교생활 성격의 강점 활동 경험 지원동기 입사 후 포부

회사의 인재상과 부합하는 입사 후 기업에 잘 융화될 수 경험을 통해 직무역량을 회사와 지원 직무에 적합한
자신의 가치관과 특성을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보여줄 수 있는 소재를 인재라는 것을 어필하며,
중심으로 지원한 직무역량을 항목으로 강점의 근거사례를 선택하여 입사 후 어떻게 실현가능하고 구체적인
갖추기까지의 노력을 제시 구체적으로 제시 활용할 것인지를 제시 계획 제시

마. 자기소개서 작성의 중점 사항

명확한 지원동기 직무 경험 면접의 기초자료 핵심위주

입사의지 업무능력 궁금증 유발 간결함+구체성


사전조사와 이해를 통해 직무와 유사한 채용전형의 다음 단계를 두괄식으로
회사에 지원한 이유를 업무에서 성과를 낸 위한 과정으로 직접 만나고 핵심 위주의
설득력 있게 작성 경험 작성 싶다는 호기심 유발 내용 구성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241


참고 읽기자료 30-3

바. 자기소개서 작성(예시)

•‌학교생활

“도전과 성장 : 리더십과 추진력을 발전시키는 과정”

저는 ‘리더십’과 ‘추진력’있다는 평가를 받곤 합니다.


2년간 학급 부회장을 하면서 학급 회의를 열어 다양한 의견을 받아들이고 조율하며 문제를 해결해 나아갔습니다.
또한 학교생활에서 더욱 성장하고 자신감을 기르기 위해 한 번도 도전해본 적 없는 분야에 지원해보는 것을 목표로
세웠습니다. 2학년때 새로운 과목인 AI수업을 들었고, 그 수업을 바탕으로 팀을 만들어 AI 지니어스 아카데미에 도전
하였습니다. 대회기간 동안 팀원과 함께 주어진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정기적인 회의를 열었고, 회의 때 마다 서로의
피드백을 수용하며 개선할 수 있을지에 대해 알아갔습니다. 대회경험을 통해 리더십을 확고히 하며 목표를 향해
돌진하는 추진력을 배울 수 있었고, 지금은 저의 미래를 향해 나아갈 수 있는 발판이 되었습니다.

•‌성격의 강점

“소통과 리더십으로 이끄는 협력”

저의 강점은 경청과 소통 능력입니다. 2학년 때 JS 스터디 동아리에서 홍보 웹사이트 프로젝트를 진행하였습니다.


Git, Github 사용이 미숙한 부원으로 인해 코드가 날아가게 되어 다른 부원들의 불만이 생겼습니다.
부장으로써 낯선 툴을 다루어야 했던 부원에게는 블로그 글을 공유해 주며 협업 툴 사용법을 알려고, 자신이 열심히
작성한 작업물이 사라진 상심한 부원에게는 정서적으로 지지해 팀 프로젝트를 완성할 수 있었습니다. 그 경험 덕분에
효과적인 팀워크와 코드백업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는 좋은 경험이 되었습니다.

•‌활동경험

“자바 스크립트 프로젝트 : AI를 이용한 웹 게임 개발”

고등학교 3년 동안 다양한 프로젝트를 경험했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IT Show에 전시한 자바스


크립트 프로젝트 입니다. 저희팀은 모두 3명으로 AI를 이용한 웹 게임 개발을 진행하였습니다.
“떡집 알바 대작전”이라는 프로젝트는 티처블 머신의 포즈기능을 이용하여 플레이어가 카메라 앞에서 떡을 만들듯이
몸을 숙이고 일어나는 동작을 취하면 동작 1번당 1점식 카운트 되는 게임입니다. 주어진 시간동안 빠르게 몸을 움직여
최대한 많은 떡을 생산하는 것이 이 게임의 목적입니다.
자바스크립트의 audio 기능을 활용해 게임 배경음을 만들었고 티처블 머신의 기능을 자바스크립트로 가져와 카메라
조정 및 AI 포즈 기능을 추가 하였습니다. 그러나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프로그램끼리 충돌이 발생해 카메라 기능이
작동하지 않는 에러가 발생하였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능이 하나씩 추가될 때 마다 따로 파일들을 저장해두고
하나의 기능이 완전히 완성되기 전까지는 깃허브에 커밋을 금지하는 등의 규칙을 추가해 해결하였습니다.
자바스크립트와 HTML을 혼합하여 쓸 수 있는 EJS라는 템플릿에 대해 새로 알게 되었습니다.

•‌지원동기 입사 후 포부

“보안 분야에서의 역량과 비전”

중학교 3학년때 어머니께서는 공인인증서를 해킹당한 적이 있습니다.


그때 어머니께서 힘들어 하시는걸 보고 해킹피해로 고통받는 사람들을 도와 주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의 보안솔루션이라는 분야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누군가에게 도움을 주어 그들의 삶을 조금이나마
개선하는 것이 저에게는 큰 의미가 된다는 걸 깨달았습니다.
입사 후에는 새로운 기술과 지식을 습득하여 업무를 수행하겠습니다. ○○기업의 목표와 비전에 부합하며 회사의
발전에 기여하고, 능력을 인정받는 인재가 되고 싶습니다. 앞으로 ○○기업에서 회사와 함께 성장하고 발전해 나가
겠습니다.

242 서울특별시교육청
활동지 30-3 합격하는 자기소개서 작성하기

자기소개서

Ⅵ 취업 전략
‌자신의 역량을 잘 나타낼 수 있는 항목별 제목을 정하고 구체적인 경험으로 자기소개서를 작성해 보자.

•‌학교생활

30
취업서류 준비하기
•‌성격의 강점

•‌활동경험

•‌지원동기 입사 후 포부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243


4/5
AI와 함께 자기소개서 완성하기
차시
30-4

활동목표
•‌다양한 생성형 AI를 활용하여 자기소개서를 완성할 수 있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활동지 30-3]에서 자신이 직접 쓴 자기소개를 바탕으로 다양한 생성형 AI를 활용하여 수정, 보완하도록 한다.
•‌구체적인 경험에 대한 스토리를 전개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경험에 대한 이야기로 AI와 대화를 나누도록 한다.
•‌다양한 접근법으로 질문을 하며 조언을 받고 수정, 보완하여 자기소개서를 완성할 수 있음을 안내한다.
•‌AI활용 전 후의 자기소개서를 비교하여 AI활용의 장점과 단점을 파악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AI에게 역할을 부여하여 채용 담당자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대화를 진행한다.
•‌질문의 다양한 예시를 참고하여 AI의 조언을 받는다.
•‌AI활용의 유의점을 숙지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동기유발
도입 5'
•‌자기소개서 작성의 어려운 점은 무엇일까?

‌다양한 생성형 AI를 소개하기


•‌쳇GPT, 뤼튼, BING 등의 생성형 AI홈페이지 안내 및 10'
사용방법을 알아본다.
전개
‌AI와 함께 자기소개서 완성하기 안내
•‌자신을 가장 표현할 수 있는 어휘와 문구 및 문장의 흐름을 잘 선택하고 30'
수정한다.

발표와 피드백

마무리 활동정리 5'

‌차시예고

평가
•‌다양한 질문으로 AI와의 소통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AI와 함께 자기소개서를 완성할 수 있다.

244 서울특별시교육청
참고 읽기자료 30-4

생성형 AI 활용

Ⅵ 취업 전략
생성형 AI는 대화, 이야기, 이미지, 동영상, 음악 등 새로운 콘텐츠와 아이디어를 만들 수 있는 인공 지능이다.
인공지능과 함께 살아가는 시대인 오늘날 생성형 AI 기술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잘 활용해 보자.

가. 텍스트 위주의 주요 생성형 AI의 종류

30
GhatGPT GhatGPT

취업서류 준비하기
ChatGPT (openai.com) https://www.bing.com

구글 Bard wrtn(Chat)

https://bard.google.com https://wrtn.ai

나. 생성형 AI 활용의 유의사항

•‌생성형 AI의 기본적인 원리를 이해하고, 장/단점을 파악한다.


•‌생성형 AI를 활용하여 수준높은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다양하고 상세한 질문 방법을 숙지한다.
•‌급격히 발전하는 생성형 AI를 올바르고 정확하게 사용하기 위해 새로 업데이트 되는 내용과 최신 동향을 파악한다.
•‌거대규모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알려주지만 정확도가 높지 않고 허구의 정보가 생산되는 경우가 많다.
•‌생성형 AI가 도출한 결과물에 대해 반드시 신뢰할 만한 정보원을 통해 확인한다.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245


참고 읽기자료 30-4

생성형 AI를 활용한 자기소개서 완성하기

가. 뤼튼 AI

문서작업, 자기소개서, 블로그 포스팅, 쇼츠 대본 등 적절한 도구를 똑똑하게 추천해주기에 초보자도 사용하기 편리하다.

나. AI도구 활용 방법(뤼튼 AI 사용법)

➊ wrtn(뤼튼) AI 사이트 접속 ➋ TRY CHATGPT 버튼 클릭

검색창에 wrtn(뤼튼) 검색하기 – wrtn.ai/클릭 wrtn(뤼튼) 공식 사이트로 이동

➌ 로그인 또는 회원가입 ➍ wrtn(뤼튼) 시작

구글/네이버/카카오/이메일 중 하나를 선택해 로그인 및 회원가입 현재 자신에 해당되는 것을 선택한 후 퀴튼 시작하기 버튼을 클릭

➎ 새 채팅 시작 ➏ 뤼튼과 대화 시작

채팅 >새 채팅 시작하기를 클릭 한국어로 궁금한 내용을 질문

246 서울특별시교육청
활동지 30-4 AI와 함께 자기소개서 완성하기

AI와 함께 자기소개서 완성하기

Ⅵ 취업 전략
‌활동방법 및 예시

① 생성형 AI에게 역할을 부여 한다.

당신은 취업 자기소개서 작성의 네~ 취업 자기소개서 작성의 달인으로서 돕

30
취업서류 준비하기
달인으로서 자기소개서 작성을 도와줘 겠습니다.

② 자신이 작성한 자기소개서의 첫 번째 항목을 붙여넣고 조언을 구하는 대화를 한다.

저는 ‘리더십’과 ‘추진력’있다는 평가를 받곤 합니다. 2년간 학급 부회장을 하면서 학급 회의를 열어 다양한 의견을 받아
들이고 조율하며 문제를 해결해 나아갔습니다. 또한 학교생활에서 더욱 성장하고 자신감을 기르기 위해 한 번도 도전해본적
없는 분야에 지원해보는 것을 목표로 세웠습니다. 2학년때 새로운 과목인 AI수업을 들었고, 그 수업을 바탕으로 팀을 만들어
AI 지니어스 아카데미에 도전하였습니다. 대회기간 동안 팀원과 함께 주어진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정기적인 회의를 열었고,
회의 때 마다 서로의 피드백을 수용하며 개선할 수 있을지에 대해 알아갔습니다. 대회경험을 통해 리더십을 확고히 하며
목표를 향해 돌진하는 추진력을 배울 수 있었고, 지금은 저의 미래를 향해 나아갈 수 있는 발판이 되었습니다.

그러면, 위의 내가 쓴 자기소개서에 대해 조언을 해줘

전체적으로 잘 작성된 자기소개서라고 생각합니다, 리더십과 추진력을 발전시킨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멍하고 이를 통해
얻은 성과와 배움을 명확하게 제시하고 있습니다. 다만 몇가지 개선할 수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첫째., 학급 부회장 경험을 통해 리더십을 발전시킨 과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었으면 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어려움이 있었는지, 이를 어떻게 극복했는지, 그 결과 어떠한 성과를 얻었는지에 대해서 더 자세히 서술해
주세요.

③ 다른 항목들도 위의 예시를 참고하여 생성형 AI를 활용한다.


④ 여러 번의 대화를 통하여 자기소개서 내용을 조언받고 수정한다.

‌
생성형 AI(ChatGPT, Wrtn 등)의 특성상 사실과 다른 내용이 나올 수 있으니 AI의 조언을 참고하여 나만의
내용으로 자기소개서를 완성해 보자.

활동 소감
AI활용의 도움이 되었던 점은 무엇이었는지 생각해 보고 작성 소감을 적어보자.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247


5/5
역량 포트폴리오 제작하기
차시
30-5

활동목표
•‌포트폴리오 작성을 위한 구성요소를 탐색할 수 있다.
•‌지원하는 기업에 맞게 자신의 능력을 증명하는 포트폴리오를 제작할 수 있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이력서와 자기소개서에서 보여줄 수 없는 경험과 성과 등에 대한 시각적인 자료인 포트폴리오 필요성을 안내한다.
•‌기업의 인사담당자에게 자신을 어필할 수 있도록 개인의 성장 가능성과 직무 적합성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항
목을 구성한다.
•‌자신의 강점 및 특성을 잘 표현할 수 있는 짜임새있는 구성으로 포트폴리오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포트폴리오 제작과정을 통해 잠재적 능력을 파악하고 성공 취업이라는 목표 달성을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이며,
무엇을 해야 할지에 대해 스스로 판단하고 실행할 수 있게 지도한다.
•‌PPT 포트폴리오, 홈페이지형 웹 포트폴리오 등 다양한 유형으로 취업포트폴리오를 제작할 수 있다는 점을 안내
하고 자신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동기유발
도입 5'
•‌포트폴리오는 왜 필요할까요?

‌
포트폴리오 구성요소 파악
5'
•‌사소한 기록으로부터 자신의 활동내역을 목록으로 나열한다.

‌활동 목록 중 포트폴리오 작성을 위한 활동 선택


전개 5'
•‌직무와 연관된 취업에 도움이 되는 자료들을 구체적으로 정리한다.

‌
활동의 동기, 과정, 결과 등을 사진, 동영상 자료들과 함께 제작한다.
30'
‌발표와 피드백

학습한 내용을 정리하기


마무리 5'
‌차시예고

평가
•‌포트폴리오 구성 목차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할 수 있다.
•‌지원하려는 직무에서 자신의 역량이 잘 드러나도록 핵심 활동으로 제작할 수 있다.

248 서울특별시교육청
참고 읽기자료 30-5

포트폴리오 작성

Ⅵ 취업 전략
가. 포트폴리오
•‌포트폴리오는 시각디자이너들이 자신의 작품이나 좋아하는 작품들을 모아놓은 데에서 출발하였다. 취업 포트폴리오는
자기소개서에서 기재된 활동내용을 시각화한 자료로서 고등학교 생활동안 학생이 수행한 다양한 활동의 과정과
결과를 정리한 것을 말한다.

30
취업서류 준비하기
나. 포트폴리오가 중요한 이유
•‌지원 학생의 성장을 한눈에 볼 수 있으며, 기업에서 선발하고자 하는 직무에 부합되는 내용으로 구성된 포트폴리오는
지원자의 능력을 증명하는 구체적인 증거 자료가 된다.
포트폴리오는 취업을 위해 꼭 만들어야 하는 필수 서류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기업에서는 지원자의 역량을 평가
하고 기업 맞춤형 인재를 선발하기 위해 면접전형의 프레젠테이션용으로도 적극 활용하고 있다.

다. 포트폴리오의 구성 요소

구분 구성내용
학생회 활동, (전공)동아리활동, 수상내역, 방과후 교육활동, 교내 봉사활동,
교내활동
스터디 그룹, 각종 대회 활동내역 등
개인의 수행 능력을 나타내는 자료(과제보고서, 프로젝트 수업 보고서,
수행능력
졸업작품 제작보고서 등)
자격증 및 외국어 활용 기초직업역량과 관련된 자격증(컴퓨터 활용), 전공 및 기타 자격증 등
공모전 활동, 교외 봉사활동, 아르바이트 경험, 해외연수 활동, 현장 견학 자료,
교외활동
현장실습, 교외활동 수료증 등

라. 포트폴리오 준비
•‌채용담당자의 입장에서 지원자의 활동사항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 지원자는 해당 직무와 관련하여
어떤 작업을 해봤고 어느 정도 할 수 있는지를 잘 나타내어야 한다.
자료를 수집하고 조직한 후 핵심 증빙 자료를 선택한다. 자료들을 포트폴리오 목적에 맞게 보완 및 검토하고 재조
직하는 단계를 활용해서 제작할 수 있다.

마. 포트폴리오 작성 시 유의할 점
•‌모든 프로젝트를 단순하게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직무에 필요한 역량을 키워드나 문장으로 강조해야 한다.
지원하는 회사와 직무에 적합한 프로젝트를 선택하여 무엇보다도 시각적 요소를 위해 이미지, 동영상, 인포그래픽
등을 활용하도록 한다.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249


참고 읽기자료 30-5

바. 포트폴리오 작성(예시)

Puzzle Game
C++, Visual Studio

기능
더블 클릭시 애니메이션
효과와 함께 퍼즐이
이동됩니다.

개발 언어 및 환경
C++, Visual Studio

창의아이디어 경진대회 4X4 크기의 게임판 위에 무작위로 섞인 퍼즐들을 이동시켜


2021. 06. 모든 퍼즐을 원래의 순서대로 정렬하는 것이 목표인 게임
2021 특성화고 창의아이디어 경진대회 교내 예선 동상을 수 입니다
상하였습니다.

미니 멘토 수상 및 임명장
현업 개발자 선배님들이 주최하신 개발 멘토링 시간에 분야 1학년 과목별 우수상(영어, 수학)
확정 방법과 실무에서 하는 일을 알게 되었습니다. 또, 원하는 2학년 과목별 우수상(수학, 영어, 통합과학, 자료구조, 진로
분야에 대해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습니다. 영어)

Flying Fries
2022 Java Project
자바 프로젝트로 eclipse툴을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방향키를 사용하여 캐릭터를 움직이고 스페이스바를 사용하여 장애물을 제
거할 수 있다. 점수에 따라 다른 3가지의 엔딩을 구현하였다.

① 캐릭터와 장애물의 좌표값을 계산하여 부딪힘을 감지한다.


② 점수에 따라 다른 엔딩화면 3가지가 구성되어 있다.
③ 스페이스 바를 누를때마다 깃털을 날려 장애물을 제거한다.
④ 캐릭터와 장애물이 부딪히면 생명이 하나씩 감소
혼공단 8기 AQL
혼공학습단 8기 SQL로 매주 정해진 문제를 풀고 강의 내용 개발 기간 2022.09~2022.12
개발 언어 및 환경 Java, GUI / Eclipse
을 정리하여 벨로그에 올리는 활동을 하였다. 담당 업무 개발기획(플레이 화면 개발)
총 6주동안 미션을 수행하였습니다. 참여 인원 2명

250 서울특별시교육청
활동지 30-5 역량 포트폴리오 제작하기

역량 포트폴리오 제작하기

Ⅵ 취업 전략
취업을 준비하기 위해 고등학교 활동을 모아 포트폴리오를 제작해 보자.

‌교내/교외활동 목록표를 만들어 보자.

순번 활동주제 활동단체명 활동기간 활동 내용 및 나의 역할

30
취업서류 준비하기
2

‌교내/교외활동 목록표를 토대로 프레젠테이션용 포트폴리오를 제작해 보자.


(※ PPT, 미리캔버스, 생성형 AI등 다양한 도구를 활용)

‌프레젠테이션을 해보자.

활동 소감
친구들의 프레젠테이션을 보고 소감을 적어보자.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251


31

면접 대비하기
1/1
모의 면접 해보기
차시
31-1

활동목표
•‌면접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면접 유형을 파악할 수 있다.
•‌면접 예상질문을 연습하여 실전 면접에 대비할 수 있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취업에서 서류전형 다음 절차인 면접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다양한 면접유형에 철저한 준비가 필요함을 안내한다.
•‌지원하는 기업과 업종별 기출문제를 분석하고 자기소개서를 바탕으로 예상질문을 만들어 자신있는 태도로 면접에
임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면접은 사전에 철저한 준비와 연습으로 대비하여야 함을 안내한다.
•‌모의 면접을 통하여 자신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친구들과 모니터링을 통하여 공유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동기유발
도입 5'
•‌기업에서 인재를 선발할 때 면접을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
면접의 유형 파악학기
•‌다양한 면접유형을 알고 특징을 알아본다. 10'
•‌자신이 희망하는 기업의 면접유형을 찾아본다.

전개 ‌
면접 질문 찾아보기
10'
•‌자신의 자기소개서, 생성형 AI, 취업포털을 활용하여 면접 예상 질문을 구성해본다.

‌
모의 면접을 실시하고 면접 시 유의사항을 확인한다.
20'
AI 역량면접의 절차와 준비방법에 대해서 알아본다.

‌활동정리
마무리 5'
‌차시예고

평가
•‌면접이 중요한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면접의 유형을 파악하고 면접 준비 전략을 세울 수 있다.
•‌면접 예상 질문을 토대로 모의 면접에 참여하여 실전에 대비할 수 있다.

252 서울특별시교육청
참고 읽기자료 31-1

면접 대비

Ⅵ 취업 전략
가. 면접의 중요성 [ 면접 시 주요 평가 요소 ]
15.2 %
•기업에서 면접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
기타
•다양한 면접을 활용하여 지원자를 평가 13.3 %
•면접관 : 지원자의 역량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 업무에 대한 이해도 55.5 %

31
직무 관련 경험
•지원자 : 자신의 역량을 보여줄 수 있는 기회
16 %

면접 대비하기
인성, 예의 등 기본적 태도

나. 면접의 유형

구분 기준 면접유형
면접순차 1차 면접, 2차 면접, 3차 면접
면접관 실무면접, 임원면접
면접인원 단독면접(N:1), 그룹면접(N:N)
면접내용 인성면접, 전공면접, 세일즈면접, 압박면접, 직무역량면접 등
질의응답면접, 그룹토의면접, 그룹찬반토론면접, 프레젠테이션면접, 합숙면접, 심층면접,
면접방식
블라인드면접, 롤플레잉면접, 다차원면접, 비대면면접 등

다. 면접 복장 얼굴
•‌생기있고 밝은 표정 연출
헤어스타일 •‌자신의 피부 톤에 맞는 색상으로
자연스럽게 학생다운 메이크업
•‌첫인상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
•‌화려한 메이크업이나 네일은 피하기
•‌이마와 귀가 보이도록 단정하고
깔끔하게 정리

기타
복장
•‌액세서리류는 과도하거나
•‌학생의 경우 교복 착용이 눈에 띄지 않도록 주의하기
자연스러움
•‌자신의 몸에 잘 맞는 사이즈 선택
•‌다림질을 해서 깨끗하고
단정하게 준비 신발
•‌면접정장 무료대여 서비스 •‌복장과 어울리는 색계열을 선택
활용하기 : 서울취업날개 •‌디자인인 복잡하지 않는 심플한 구두
(https://job.seoul.go.kr) •‌깨끗하게 닦아서 준비

- 참고사이트 워크넷 www.work.go.kr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253


참고 읽기자료 31-1

라. 면접에 꼭 나오는 질문과 답변

Q 우리 회사에 지원한 동기는 무엇인가요?


Q ○○직무를 하고 싶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Q 경쟁사가 아닌 우리 회사를 선택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답변 지원 분야와 직무에서 필요한 역량과 경험을 단계적으로 준비했다는 것을 강조한다.

Q 최근에 직무관련 경험에서 성공한 사례를 말해 주세요.


Q 직무관련 경험에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무엇인가요?
Q 이 업무를 잘하기 위해 어떤 요건을 갖추고 있는지 말해주세요.

답변 직무에 따라 적합한 특성 중 자신과 부합하는 부분과 그것에 대한 근거사례와 함께준비한다. 

Q 직장상사가 불합리한 지시를 하면 어떻게 할 생각인가요?


Q 동료와 의견충돌을 어떻게 해결했나요?
Q 최근 자신의 문제해결능력을 발휘한 경험에 대해서 말해주세요.

답변 자신의 경험(교내외 활동, 아르바이트 등)에서 어려움을 극복했던 사례와 교훈을 활용해서 답변을 준비한다.

Q 앞으로 직무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계획을 말해주세요.


Q 10년 후 당신은 어떤 모습일거라고 생각하는지 말해주세요.
Q 목표를 세우고 달성했던 경험에 대해서 말해주세요.

답변 ‌과거의 성공경험을 활용하여 발전적인 모습으로 성장할 수 있음을 어필하며, 지원 분야에서 전문가로서의 
목표와 단계적인 계획을 세워본다. 

마. 성공적인 면접 전략

➊ 면접에서 첫인상은 단정한 헤어스타일과 복장으로 신뢰감을 주도록 한다.


➋ 자신감 있는 표정으로 자세를 바르게 유지하고 웃는 얼굴로 임한다.
➌ 질문이 시작된 후에는 면접관의 말을 경청하며, 면접관의 눈을 바라보며 답변한다.
➍ 진실하고 솔직하게 질문에 대답하며, 가능한 면접 질문의 핵심을 파악하고 대답한다.
➎ 직무에 대한 관련 경험을 포함하여 자신의 능력과 연관 지어 답변한다.
➏ 간결하고 핵심만 대답하되, 구체적 사례에 기반하여 장점을 어필한다.
➐ 지나치게 장황하고 길게 답변하지 않도록 한다.

254 서울특별시교육청
참고 읽기자료 31-1

AI 역량 면접 알아보기

Ⅵ 취업 전략
가. AI면접(AI역량검사)

AI면접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지원자의 다양한 역량을 평가하는 기술로 ‘AI역량검사’라고도 한다.

31
나. AI면접(AI역량검사) 시행기업

면접 대비하기
AI면접(AI역량검사)을 도입하는 기업은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기아자동차, 농심, 롯데그룹, LS
그룹, LH공사, LG유플러스, SK C&C, SK하이닉스, KT그룹, KB국민은행, 한국수력원자력, 한미약품, 현대엔지니어링,
호반건설 등)

다. AI면접(AI역량검사) 단계

STEP1 검사환경세팅 편한 시간, 편한 장소에서 웹캠이 구비된 노트북 준비


웹카메라, 스피커, 마이크, 마우스, 인터넷 연결 등의 상태를 점검한 후
STEP2 사용자 등록
얼굴 인식과 음성인식
공통 질문인 자기소개, 지원동기, 앞으로의 계획, 성격의 장단점 등
STEP3 기본 면접 질문
여러 질문을 하는 과정
STEP4 인성검사 지원자의 성향을 체크하는 객관식 문제
STEP5 상황대처질문 무작위로 특정 상황을 주면 실제 상황처럼 답변
STEP6 역량분석게임 역량과 직군 적합도 분석을 위해 뇌신경과학기반으로 설계된 게임
STEP7 심층질문 게임 결과를 토대로 개인별 맞춤 질문에 답변

라. AI면접(AI역량검사) 연습 사이트

•서울시 AI면접체험 : 서울시가 전액 무료로 지원


•잡다 : 실전과 유사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다양한 팁을 제공
•잡아바 : AI면접 결과지와 면접 동영상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음.

마. AI면접(AI역량검사) 답변 팁

답변의 일관성이 있어야 하며, 주로 어떤 사람인지에 대해 파악하며 그 모습이 기업의 인재상에 적합하다면 합격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목소리와 표정도 신경을 쓰도록 한다.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255


활동지 31-1 모의 면접 해보기

모의 면접 해보기

면접 예상 질문을 만들어 보자.

‌
자신이 작성한 자기소개서를 바탕으로 전공 실무 면접과 인성 면접을 대비한 예상 질문을 만들어보고 답변을
적어보자.
인성질문 :

전공질문 :

‌생성형 AI를 활용하여 작성한 자기소개서에서 면접 예상 질문을 탐색해서 적어보자.


인성질문 :

전공질문 :

‌자신이 희망하는 기업 및 지원분야의 공통 면접 질문을 조사하고 답변을 적어보자.


공통질문 1 :

공통질문 2 :

공통질문 3 :

256 서울특별시교육청
활동지 31-1 모의 면접 해보기

모의 면접을 진행하고 면접 영상을 촬영하여 친구들과 피드백을 공유해 보자.

‌위의 면접 질문에 답변하는 연습을 해보자.

Ⅵ 취업 전략
- 활동 안내 : 친구와 2인으로 면접자, 면접관의 역할을 맡아 모의 면접을 진행해 보자.

31
면접 대비하기
‌면접 영상 촬영을 해보자
- 활동 안내 : 친구의 모의 면접 활동을 스마트 도구 등으로 촬영한다.

‌면접 영상을 함께 보며 친구들의 피드백을 공유해 보자.


- 활동 안내 : 친구들의 의견을 정리한다.

활동 소감
면접에서 중요한 점은 무엇인지 생각해보고 모의 면접 활동의 소감을 적어보자.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257


32

[프로젝트] 취업 전략 로드맵
1/1
취업 전략 로드맵 완성하기
차시
32-1

활동목표
•‌취업을 위해서 나만의 전략이 필요함을 이해할 수 있다.
•‌성공취업을 위한 취업 전략 로드맵을 완성할 수 있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취업 준비를 위해 학년별로 필요한 활동을 학교교육계획과 개인별 활동으로 정리할 수 있도록 한다.
•‌자신의 전공학과에 대한 탐색과 학교 교육계획에 의해 진행되는 학교프로그램과 행사에 대한 개요를 파악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고등학교 입학 후 취업을 진로목표로 결정하였다면 1학년 때부터 성공 취업을 위한 학년별 계획을 수립하여 실천해
나갈 수 있음을 안내한다.
•‌취업진로가 명확하지 않은 학생들이라도 자신의 미래 설계를 해보는 기회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도록한다.
•‌취업 전략 로드맵을 통해 개인별 취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취업에 대한 의식을 고취시킬 수 있도록 한다.
•‌무엇보다도 취업 의지를 갖고 자기주도적으로 자신의 진로를 개척할 수 있는 방향과 환경을 지원한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동기유발
도입 •성공 취업을 위해 1, 2, 3학년에서 준비해야할 것은 무엇일까? 5'
‌학년별 취업 준비 전략을 세우기 위해서 무엇을 알아야 할까?
‌
전공학과 탐색
• ‌‌전공학과의 상세한 정보(학과특성, 교육과정, 관련직업, 졸업생 취업 현황 등)를 10'
탐색한다.
전개 ‌
학교 교육활동 엿보기
•‌학교 연간 교육활동과 연계가능한 활동들을 목록으로 나열해본다. 15'
•‌희망 직무와 관심 기업에서 요구되는 자격과 활동을 파악한다.
‌학년별 교육활동과 취업 준비활동 연계하기 15'
‌발표와 피드백
마무리 5'
‌차시예고

평가
•‌학교 교육활동과 연계한 취업 준비활동을 나열할 수 있다.
•‌취업 역량 강화를 위한 교내·외 개인활동과 모둠활동을 계획할 수 있다.
•‌자기주도적인 학년별 취업 전략 로드맵을 작성하고 실천할 수 있다.

258 서울특별시교육청
참고 읽기자료 32-1

취업 전략 로드맵

Ⅵ 취업 전략
학생들이 적성과 흥미를 고려하여 학과·학년별 교과 및 비교과 과정을 통합한 취업 전략 로드맵을 활용하여 1학년 때
부터 자신의 진로를 단계별로 준비하여 취업에 대비할 수 있다.
학교의 다양한 교과 및 교과외 활동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자신의 전공분야 또는 관심분야로의 취업에 대한 전략을
세우고 실천해 나간다.

32
[프로젝트] 취업 전략 로드맵
가. 학년별 취업 전략 로드맵

1학년 2학년 3학년


진로탐색 및 고교 생활 설계 취업 목표 설정 및 자기계발 취업 경쟁력 강화

•진로직업심리검사 •취업 진로목표 설정 •직무 설정 및 분석


•종합적 자기 이해 •전공직무 정보 수집 •직무별 채용정보 탐색
•자기분석 •기업 정보 탐색 •취업 희망 기업 분석
•흥미 및 적성 파악 •취업 희망 분야 이해 •기업별 채용정보 탐색
•다양한 진로탐색 활동 •전공별 맞춤형 취업정보 탐색 •단계별 실전 취업준비
•진로 포트폴리오 작성 •취업 계획 수립 및 실행 •현장실습

나. 학년별 취업 전략 로드맵(예시)
위의 학년별 필요사항들을 참고하여 실제 활동을 계획해 본다.

학교생활적응 자기이해 관계 형성하기


1학년
학업 및 교내외 활동계획 워크넷 진로심리검사(3종)및 또래, 선배, 교사
진로 및 전공탐색 해석·흥미, 적성, 가치관 파악
장단점·강·약점 확인
진로탐색
학교생활설계

대내외활동 자격증 진로방향설정


2학년
진로선택에 도움을 줄 수 전공관련 및 진로, 취업상담
있는 활동 컴퓨터 자격증 취업역량강화
자율, 진로, 봉사 동아리활동 프로그램참여
진로설정,
기초능력 함양

전공 역량강화 취업준비 및 전략 취업스킬 향상


3학년 전공프로젝트 직무와 취업희망 기업 분석 입시서류 및 자기소개서
대내외공모전참여 작성, 면접 준비
취업동아리 프로그램 활용
직무역량
취업역량 강화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259


참고 읽기자료 32-1

취업 전략 로드맵 작성을 위한 기초 자료 탐색 활동(예시)

가. 우리 전공학과
뉴미디어소프트웨어과는 소프트웨어 개발 및 IT분야의 핵심 기술인 스마트기기 앱, 웹서버 프로그래밍, 플리케이션,
DB, 빅데이터, IoT, VR,AI에 관한 특화된 교육과정

나. 교육내용
SW개발을 위한 프로그래밍 언어
•‌Java, C, C++, Spring, JSP, PHP, jQuery
•Android
•Data Structure&Algorithm OS, Linux
•Database 모델링, Database 설계 및 구축(Oracle, Mysql)

다. 교육과정
•‌소프트웨어 이론 자료구조알고리즘, 소프트웨어공학, 운영체제, 정보보안, 데이타베이스
•소프트웨어 개발 Java, C, C++, Oracle, MySQL, 리눅스
•App프로그래밍 swift, iOS, Android, SmartTV, IPTV
•Web프로그래밍 HTML, JavaScript, CSS, Ajax, jQuery, HTML5, Model2, Spring

라. 졸업 후 진출분야
IT회사 및 금융기관 등

마. 진출 직업
응용소프트웨어 개발자(백앤드 시스템 개발자, 프론트앤드 개발자, 풀스택 개발자, 데이터베이스개발자, 웹개발자,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자) 시스템운영자 등

바. 선배들이 취업한 기업
IBK 기업은행, 금융감독원, 신한은행, 유진증권, 신영증권, 카카오, 지그재그, 토스, 테크타카, 비즈테크아이, 람다256,
자란다, 근로복지공단, BGF리테일, 세븐일레븐 등

사. 학과 관련 자격증
정보처리기능사ㆍITQ, OCJPㆍMCPㆍCompTIA A+ 등 국제자격증 등

아. 교과외 활동
•‌학과 전공 동아리, 중앙대학교 학교 밖 인공지능 교육활동, 진로멘토링, 스터디그룹
•‌태국, 일본, 호주 글로벌 인턴십, 뉴미디어 IT쇼, 소프트웨어챌린지 대회, IT기업체 방문
•‌창의인성 한라산 원정, 취업특강, 미니멘토 특강, 공모전 출품 지원 등

260 서울특별시교육청
활동지 32-1 취업 전략 로드맵 완성하기

취업 전략 로드맵 완성하기

Ⅵ 취업 전략
‌취업 전략 로드맵 완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작성해 보자.

우리
전공학과

32
[프로젝트] 취업 전략 로드맵
교육내용

교육과정

졸업 후
진출분야

선배들이
취업한 기업

학과 관련
자격증

관련
직업

교과외 활동
(학교 행사,
프로그램 등)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261


활동지 32-1 취업 전략 로드맵 완성하기

‌성공취업을 위한 나의 학년별 취업 전략 로드맵을 자유롭게 적어보자.


- 학년별 내용은 구체적인 활동명으로 기재 ( 예 전공자격증 취득 : 정보처리기능사, ITQ한글 등)
- 학년별 로드맵의 활동은 5가지 이상을 생각해 보자.

1학년

2학년

3학년

활동 소감
취업 전략이 필요한 이유를 생각해 보고 활동 소감을 적어보자.

262 서울특별시교육청
m e m o

Ⅵ 취업 전략
32
[프로젝트] 취업 전략 로드맵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263



대학 생활

커리어
설계

33
대학 입학 전 준비

34
대학 생활 톺아보기

35
[프로젝트] 나의 대학 생활 로드맵

36
슬기로운 직장 생활

37
커리어 회복탄력성

38
[프로젝트] 지속가능한 커리어 설계
33

대학 입학 전
준비
1/1
고등학교 VS 대학교
차시
33-1

활동목표
•‌대학 입학 전 준비 사항에 대해 이해한다.
•‌고등학교 생활과 대학교 생활의 차이점을 알 수 있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대학 생활 정보 검색 시 성공적인 대학 생활을 위한 정보가 아니라 고교 생활과 달라지는 내용에 대해 조사 하도록
안내한다.
•‌인터넷 정보 탐색이 필요함을 미리 안내한다. 조별로 스마트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며, 스마트기기로 게임
이나 관계없는 SNS를 하지 않도록 지도 한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성공적인 대학 생활에 적응하기 위해 고등학교 생활과의 차이점을 알고 이해하는


것의 중요성을 환기
도입 5'

‌성인으로서 책임과 역할에 대해 안내

‌
대학 생활 용어 알아보기
10'
•‌OX 퀴즈 풀기

전개
‌고등학교와 대학교 생활 비교해 보기
•‌조별 탐색 20' 활동지
•‌차이점 정리하기

‌
발표와 피드백
•‌우수조 발표와 학생부 기록 안내
마무리 •‌활동 소감 작성 15'

‌프로젝트 수업 안내 및 차시 예고

266 서울특별시교육청
참고 읽기자료 33-1

대학 생활 용어(줄임말)

Ⅶ 대학 생활 및 커리어 설계
새터 새내기 배움터의 줄임말

개총 개강 총회의 줄임말(한 학기를 마무리하며 같이 모여 즐기는 자리)

과사 학과 사무실의 줄임말(학과 관련 모든 업무가 처리되는 곳)

과대 학과의 반장을 일컫는 말

33
대학 입학 전 준비
중도 중앙 도서관의 줄임말(주로 공부를 하는 장소)

과잠/학잠 학과잠바/학교잠바의 줄임말

과방 학과 사람들이 쉴 수 있는 방

OT Orientation(신입생들의 학교생활을 위한 다양한 예비 교육 시간)

MT Membership Training(단체 구성원끼리 친밀감, 협동심을 기르기 위해 다녀오는 짧은 여행)

연강 연속 강의의 줄임말, 수업이 연달아 있는 것

풀강 쉴 틈 없이 꽉 찬 시간표의 강의가 있는 것

싸강 사이버 강의의 줄임말

자휴 자체 휴강의 줄임말, 자체적으로 수업을 쉬는 것

휴강 교수님의 사정으로 수업을 쉬는 것

공강 강의와 강의 사이에 비는 시간

우주공강 강의와 강의 사이 비는 시간이 아주 긴 경우

재수강 수강한 과목 학점을 따지 못했거나,낮은 성적이 나올 경우 동일한 수업을 다시 수강

계절학기 정규 학기 외에 방학 중에 개설되는 강의

전필 전공 필수의 줄임말(전공 과목 중 필수로 들어야 하는 과목)

전선 전공 선택의 줄임말(전공 과목 중 선택하여 들을 수 있는 과목)

교양 전공 외의 과목을 의미

교필 교양 필수의 줄임말(졸업 시 꼭 이수해야 하는 필수 조건)

교선 교양 선택의 줄임말(졸업 시 각종 영역에서 선택하여 들을 수 있는 과목)

강의계획서 강의의 전반적인 개요와 시험/과제 정보가 담긴 계획서

올클 All-Clear수강 신청을 계획대로 성공했다는 뜻

드랍 수강신청 과목을 수강하다가 도중에 포기하는 것

네이비즘 서버 시간과 표준 시간을 알려주는 사이트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267


참고 읽기자료 33-1

대학 생활의 특징 안내

가. 수업
•‌학과 졸업요건 : ‌‌전공 필수·선택, 교양 필수·선택 등 일정 학점 이수하면 졸업(4년제의 경우 약 140학점 전후), 한 과목은 1~3학점
정도이며, 한 학기에 약 20학점 내외의 수업을 수강함.(조기졸업 가능)
•‌학생이 시간표 작성 및 수강 신청 : ‌‌‌각 학과 마다 어느 정도의 가이드 라인이 있으나 기본적으로 학생이 자신의 수업시간을 계획
하고 수강 신청을 함. 수강 신청 기간에 인기 높은 수업은 광(光)클릭이 요구됨.
•‌평가 4.5/4.3/4.0 만점 : 학교마다 만점이 다르며, 각 과목은 A, B, C, D, F 또한 Pass/Fail로 평가

나. 인간관계
•‌신입생 단과대학별 OT, 학과 OT, 각 수업, 교내 동아리 및 학회, 학과 모임 등 학교 내 전교생을 만날 수 있는 기회가 열려있음.
•‌교내 동아리의 경우, 각 대학 마다 동일한 동아리가 운영되기도 하며 연합동아리 모임이 주기적으로 있음. 타학교 학생들과 교류할
기회 많음.
•‌교수님이 고등학교 선생님처럼 모든 학생에게 관심을 가지고 지도해주지는 않지만, 적극적으로 찾아간다면 충분히 친밀한 관계가
형성되기도 함.

다. 방학 생활
•‌각 학기의 기말고사가 종료하는 동시에 방학이 시작됨. 보통 2개월 반 정도의 시간이 주어지며 방학을 보내는 방식은 자기계발,
여행, 아르바이트, 인턴 체험 등 다양함.

라. 교내활동(학과 동아리, 학교 동아리, 학회, 연구소 등)


•‌학과 내 모임 : ‌스터디 모임, 학술모임, 기타 다양한 관심사를 주제로 모임
•‌학교 동아리 : ‌학술, 독서, 봉사, 스포츠, 음악, 취업 및 창업, 방송국, 교내 신문, 여행, 맛집 투어 등 다양한 동아리가 활성화되어 있음.
‌학회 : 학과(학생) 주최, 교내 연구소 및 타 학과 학회 주최 등

마. 경제(등록금, 아르바이트)
•‌대학 등록금 : 6,783.3천원, 전문대 등록금: 5,956.7천원 수준(한 학기 기준, 2023년 전국평균)
•‌대학생 1개월 지출 금액 : 월평균 842,399원(생활비, 용돈)
•‌용돈 출처 : 부모님으로부터 지원 53%(이상 2021년 통계청 기준)

바. 진로(2021년, 잡코리아·알바몬, 대학생974명)


•‌선호직업 : ‌‌1위 공무원(18.3%), 2위 관리/사무직(14.9%), 3위 개발자 등 IT관련직(12.9%), 4위 변호사, 의사(11.4%), 5위 서비스업
종사자(11.2%)
✽초·중·고교생 희망 직업(2022년, 교육부·한국직업능력연구원, 22,702명)
- ‌1위 교사, 2위 간호사, 3위 군인, 4위 경찰관/수사관, 5위 컴퓨터공학자/소프트웨어개발자, 6위 뷰티디자이너, 7위 의사, 8위
경영자/CEO, 9위 생명과학자 및 연구원, 10위 요리사/조리사

사. 스펙 쌓기(2020년, 취업포털 사람인, 신입사원 채용 118개 기업의 신입사원 스펙 조사)


•‌평균 토익점수 758점, 토익스피킹은 평균 5.6레벨
•‌자격증 : 자격증 평균 보유 개수 2개
※ ‌당락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스펙 1위는 전공(36.4%)이었고 이외 보유 자격증(16.1%), 대외활동 경험(5.9%)등도 당락에 영향을
많이 미친 스펙이었다.

268 서울특별시교육청
활동지 33-1 고등학교 VS 대학교

고등학교 VS 대학교

Ⅶ 대학 생활 및 커리어 설계
고등학교 대학교

수업

33
대학 입학 전 준비
인간관계

교내활동

방학 생활

경제
(등록금/아르바이트)

진로 설계

스펙 쌓기

활동 소감
고등학교 생활과 대학교 생활의 다른점을 생각해 보고 활동 소감을 적어보자.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269


34

대학 생활
톺아보기
1/1
대학 생활 톺아보기
차시
34-1

활동목표
•‌대학 생활을 위해 꼭 확인해 둘 주요 사항들을 확인하고 준비할 수 있다.
•‌온라인 캠퍼스 투어를 통해 입학 예정 대학의 교육환경을 탐색한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대학 홈페이지를 활용하도록 안내하고, 포털사이트 및 유튜브를 통한 캠퍼스 안내도 찾아보도록 한다.
•‌인터넷 정보 탐색이 필요함을 미리 안내한다. 조별로 스마트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며, 스마트기기로 게임
이나 SNS 등을 하지 않도록 지도한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도입 ‌온라인 대학교 탐방의 목적을 이해한다. 5'

‌
대학 홈페이지를 통해 대학 생활 톺아 보기 할 항목 안내 및 중요성 환기
5'
•‌예로 대학 홈페이지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주며 찾아보도록 유도

전개

‌슬기로운 대학 생활을 위한 체크리스트 작성


25' 활동지
•‌개인 및 조별 탐색(같은 학교) 함께 운영

‌
발표와 피드백
•‌우수조(개인) 발표와 비교해 보기
•활동 소감 작성
마무리 15'

‌프로젝트수업 안내 및 차시 예고

270 서울특별시교육청
참고 읽기자료 34-1

대학 홈페이지 톺아보기

Ⅶ 대학 생활 및 커리어 설계
‌입학 예정 홈페이지 들어가기

34
대학 생활 톺아보기
‌각 메뉴에 들어가 보면서 원하는 정보 찾기
예 교육 > 학사정보(학사행정) > 교육과정/다전공과정/학적/졸업

3 2

예 교대학 생활 > 학사정보(학사행정) > 국제교류 > 교환·방문 학생 파견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271


참고 읽기자료 34-1

대학 생활을 위한 체크리스트(예시)

‌예 중앙대학교 경영학과 2023학번

확인 내용 준비·체크사항

•‌졸업기준(이수학점) •‌이수학점 132학점(교양-29,


•‌조기졸업(신청자격) 전공기초-10~15, 전공-66(45))
•‌졸업인정제(영어, 한자 능력) •‌신청자격(7학기전체 열람용
졸업 요건
성적평균평점 4.00이상)
•‌영어(TOEIC 700이상/
한자급수자격3급이상)

•‌4년간 전공 커리큘럼 •‌4년간 전공연계 기초 과목 확인


수업 커리큘럼
(신입생)

•‌수강신청/정정 기간 •‌4년간 전공연계 기초 과목 확인


•‌중간/기말고사 기간 (신입생)
학사 일정
•‌다전공/휴·복학 신청 기간
•‌유연 학기제(집중 이수제)

•‌신입생 장학금 •‌학생 지원팀(02-820-6047)


장학금 정책
•‌재학생 장학금

•‌장학법인(외부) 장학금 •‌지원 자격


외부 장학금

•‌국제교류 프로그램 •‌지원 절차(선발시기/선발기준/


교환 학생 정책 제출서류/선발방식)
•‌학점 인정 범위

•‌일반휴학 •‌각 휴학의 기준 및 기한 및


휴학/복학 •‌특별휴학(군입대, 창업, 유아, 횟수 제한 확인
유급, 학사경고)

•‌학과/단과대/중앙/연합
동아리

•‌다전공과정 •‌신청 자격
(복수전공/연계전공/융합전공/ •‌신청 방법
부전공/복수전공
자기설계전공/부전공) •‌신청 제한
정책
•‌학점 이수 기준
•‌이수 포기 방법

272 서울특별시교육청
활동지 34-1 대학 생활 톺아보기

대학 생활을 위한 체크리스트

Ⅶ 대학 생활 및 커리어 설계
확인 내용 준비·체크사항

졸업 요건

34
대학 생활 톺아보기
수업 커리큘럼

학사 일정

장학금 정책

외부 장학금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273


활동지 34-1 대학 생활 톺아보기

확인 내용 준비·체크사항

교환 학생 정책

휴학/복학

동아리

부전공/복수전공
정책

활동 소감
대학 생활을 위한 체크리스트를 작성해 보고 활동 소감을 적어보자.

274 서울특별시교육청
m e m o

Ⅶ 대학 생활 및 커리어 설계
34
대학 생활 톺아보기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275


35

[프로젝트]
나의 대학 생활 로드맵
1/2
행복한 대학 생활을 위한 whis list와
차시
35-1
성공적인 대학 생활을 위한 to-do list

활동목표
•‌대학 생활의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할 수 있다.
•‌대학 생활을 통해 하고 싶은 것과 해야 할 것들에 대해 생각해 본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전 차시 활동을 통해 확인했던 대학 생활에 필요한 체크리스트 목록을 활용하여 wish-list와 to-do list를 작성
하도록 지도한다.
•‌wish-list와 to-do list 작성 시 이유와 실천 우선순위, 시기 등도 함께 생각하고 작성하도록 지도한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도입 ‌대학 생활에 잘 적응하기 위해 대학 생활에 구체적인 목표 설정의 중요성을 환기 5'

‌행복한 대학 생활을 위한 wish list 작성하기


15' 활동지
•‌원하는 것을 나열하기보다는 선택의 이유를 생각하도록 유도

전개

‌성공적인 대학 생활을 위한 to-do list 작성하기


15' 활동지
•‌원하는 것을 나열하기보다는 선택의 이유를 생각하도록 유도

‌칭찬카드 나누기
•‌조별 대표와 희망 학생 발표 및 응원하기
마무리 15'

‌차시 예고

276 서울특별시교육청
참고 읽기자료 35-1

목표의 중요성

Ⅶ 대학 생활 및 커리어 설계
성공적인 삶의 기초는 명확한 목표를 설정하고 실천해 가는 것!

경영의 구루로 불리는 피터 드러커가 중학교를 졸업한 지 40년이 지나 동창회를 찾았다.


그런데 40년만에 만난 동창들 중 같은 반에서 공부한 상당수가 의사와 변호사 등 비교적 생활이 윤택한 전문 직종에 진
출해 안락한 삶을 살고 있었다. 같은 시기 다른 반에서 공부한 동창들보다 눈에 띄게 두드러진 결과였다. 그 원인은 멀지

35
않은 곳에 있었다. 당시 피터 드러커를 지도한 담임교사가 같은 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늘 목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그것

[프로젝트] 나의 대학 생활 로드맵
을 기록하도록 지도했기 때문이었다. 그 담임교사는 나이 40살이 되어서 무엇을 할 것인가를 늘 기록하도록 강조했다는
것이다. 결국 인생에서 성공하는 사람들은 미래(나이 40 무렵)에 대한 꿈과 희망을 잃지 않는 삶의 태도를 가진 사람들이
라는 것이다. 더 중요한 것은 그 꿈을 이루기 위해서는 구체적으로 명문화해서 남겨두어야 하며, 성공하는 사람들은 이를
기반으로 매일 실천하는 습관을 가지고 있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피터 드러커의 이런 경험은 미국의 명문 대학들이 수행한 연구 결과(Aging Well)에서도 그대로 드러난다.


미국의 예일대학은 1953년 졸업을 앞둔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목표 설정에 대한 질문을 했다. 응답자의 87%는 목표
설정을 아예 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10%는 대략적이나마 목표를 세우려는 노력을 약간 했다고 응답했다. 반면에 행동계
획과 목표 설정 기준을 직접 종이에 적어가며 생각해 보았다고 답한 사람은 불과 3%에 불과했다. 예일대학은 이들 학생
들이 20년 후 어떻게 살고 있는지 면밀하게 추적 조사했다. 결과는 놀라운 것이었다. 직업이나 재정상태 등 모든 측면에
서 앞서 목표를 설정한 3%의 학생들이 다른 97%의 학생들을 모두 합한 것보다 훨씬 더 놀라운 발전을 이룬 것을 확인한
것이다.

하버드 대학이 1979년에 하버드 경영대학원 졸업생들을 상대로 한 설문조사도 이와 비슷한 결과를 보여준다. 하버드는
세 가지 질문을 졸업생들에게 던졌는데 다음과 같은 것이었다.

Q 장래에 대한 명확한 목표를 설정했는가?


Q 그렇다면 그 목표를 기록해 두었는가?
Q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행동계획이 있는가?

특별한 목표가 없다는 A그룹은 84%, 목표는 있지만 그것을 종이에


적어두지는 않았다는 B그룹은 13%, 목표를 구체적으로 설정하고
기록해두었다는 C그룹은 3%에 불과했다. 예일대와 마찬가지로 하
버드의 연구진도 10년 후인 1989년, 그 졸업생들을 추적해 어떻게
살고 있는지 확인해보았다.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B그룹이 A그룹에 비해 소득이 평균 2배 이상 높았다. 또한 C그룹
은 B그룹에 비해 소득이 10배 이상 높았다.
(이하 생략)

- 황석연의 미래교육연구소 블로그 내용 중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277


활동지 35-1 행복한 대학 생활을 위한 wish list

행복한 대학 생활을 위한 wish list

하고 싶은 일(것) 이유 우선순위 비고

10

11

12

13

14

15

278 서울특별시교육청
활동지 35-1 성공적인 대학 생활을 위한 to-do list

성공적인 대학 생활을 위한 to-do list

Ⅶ 대학 생활 및 커리어 설계
해야 할 일(것) 이유 우선순위 비고

35
2

[프로젝트] 나의 대학 생활 로드맵
3

10

11

12

13

14

15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279


2/2
나의 대학 생활 로드맵
차시
35-2

활동목표
•‌대학 생활의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할 수 있다.
•‌대학 생활의 구체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단계별(학년별) 실천 사항을 작성한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로드맵 작성 전에 하고 싶은 것과 해야 할 것의 분류 및 우선순위를 정하고, 학년별, 학기별로 배치하도록 안내
한다.
•‌칭찬 카드 나누기 활동 시 한 명도 빠짐없이 활동에 참여하도록 지도한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대학 생활에 잘 적응하기 위해 대학 생활에 구체적인 목표 설정의


도입 5'
중요성을 환기

‌ 차시에 완성한 대학 생활에서 꼭 해보고 싶었던 것과 해야 할 것들에



5'
대해 다시 확인해 본다.

전개

‌대학 생활 로드맵 작성
• ‌‌학년, 학기별 목표와 그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자기 관리 방법과 실천 30' 활동지
방법 등도 간단히 기록한다.

‌칭찬카드 나누기
마무리 •‌우수조(개인) 발표와 비교해 보기 10'
•‌활동 소감 작성

280 서울특별시교육청
참고 읽기자료 35-2

대학 생활의 꽃, “대외 활동!”

Ⅶ 대학 생활 및 커리어 설계
가. 대외 활동이란?
학교 수업 외 이루어지는 모든 대학 내, 외 활동을 말하는데, 고등학교와 비교하면 비교과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나. 대외 활동의 종류

35
•‌동아리 : 대학 생활의 윤활유, 취미/교양/학술 등 다양한 주제의 교내/교외 동아리

[프로젝트] 나의 대학 생활 로드맵
① 과 동아리 ② 단과대학 동아리 ③ 중앙 동아리 ④ 연합 동아리
•‌학회 : 전공 공부 및 취업 준비 등의 핵심 해결사
① 학과 관련 ② 직무 관련(취업 준비) - 학회 활동의 포인트, 현직 멘토들과의 네트워크
•‌서포터즈 : ‌기업의 제품이나 서비스 등의 홍보를 목적으로 블로그 기사, 카드뉴스 등의 콘텐츠 기획
·제작하는 활동. 기업
의 이해도를 높이는 현장 실무 활동
•‌공모전 : 직무 및 다양한 역량을 입증하는 최고의 취업 스펙 활동
•‌봉사활동 : 대외 활동의 출발점

다. 대외 활동의 목적
•‌나의 대학 생활을 즐겁고, 풍요롭게 •넓은 세상으로의 교류와 소통의 장
•객관적인 나를 보는 새로운 창 •일머리 계발
•다양한 지원 혜택

라. 대외 활동 찾는 법
•‌추천사이트

올콘 링커리어
https//www.all-con.co.kr https://linkareer.com

캠퍼스픽 씽굿
https://www.campuspick.com https://www.thinkcontest.com

씽유 동아일보 청년드림
https://thinkyou.co.kr https://yd-donga.com

학교 취업경력 홈페이지 사이트(교내 활동)

•선배 활용 : 학교 동문 및 재학생 인터뷰 검색


•대외 활동 만들기 : ‌원하는 활동이 없을 경우, 작은 소모임으로 시작. 에브리타임, 캠퍼스픽, 스펙업(네이버 카페) 등
대학생들이 모여 있는 커뮤니티를 통해 본인이 의도하는 분야의 소모임을 결성하여 활동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281


활동지 35-2 나의 대학 생활 로드맵

나의 대학 생활 로드맵

학년

연도

학기/방학/휴학

학업
(전공, 자격증)

동아리
(과, 단대,
중앙, 연합)

대외 활동1
(기업홍보대사,
서포터즈, 기자단)

대외 활동2
(공모전, 봉사활동)

교환학생

경제활동
(아르바이트)

취업준비활동
(인턴, 창직, 창업)

282 서울특별시교육청
활동지 35-2 나의 대학 생활 로드맵

Ⅶ 대학 생활 및 커리어 설계
35
[프로젝트] 나의 대학 생활 로드맵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283


36

슬기로운
직장 생활
1/2
슬기로운 직장 생활의 꿀팁 모아보기
차시
36-1

활동목표
•‌직장 생활에서 예절의 중요성을 설명할 수 있다.
•‌다양한 직장예절을 실천할 수 있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직장 생활에서 예절이 중요한 이유를 학생들이 스스로 인지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기본적으로 상대방의 입장에서 배려하는 마음을 가져야 함을 지도한다.
•‌인사예절, 출퇴근예절, 근무예절 등을 익히도록 지도한다.
•‌직장예절 중 가장 기본인 인사예절의 실천을 위해 직접 시연해 봄으로서 직장 생활에서 인사하는 습관을 지닐 수
있도록 연습하도록 지도한다.
•‌모둠별 토론을 거쳐 활동지를 작성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동기유발
도입 5'
•‌친구사이에도 서로를 존중하는 예의를 지키지 않는다면 어떤 일이 생길까?

‌
직장 생활 예절의 중요성을 인식
10'
•‌직장 생활 예절(인사예절, 근무예절 등)을 설명한다.
전개
‌슬기로운 직장 생활의 꿀팁 활동지 작성
25'
•‌모둠별 토론을 통하여 자유롭게 다양한 의견을 모아본다.

‌
발표와 피드백
•‌모둠별 발표 및 활동 정리
마무리 •‌활동 소감 작성 10'

‌활동 정리 / 차시 예고

284 서울특별시교육청
참고 읽기자료 36-1

슬기로운 직장 생활 1편

Ⅶ 대학 생활 및 커리어 설계
가. 직장 생활을 위한 기본적인 예절
회사는 각기 다른 개성을 지닌 수많은 사람들이 만나 함께 일하는 곳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들 사이에 사소한 마찰도
자주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갈등을 원만하게 해결해 나가기 위해서는 서로를 존중하는 ‘직장 예절’이 기본이 되어야
한다.
직장예절을 지키면 동료들과의 협업이 가능하며 서로 존중과 예의를 갖추는 것은 원할한 업무 수행과 팀워크를 위해

36
슬기로운 직장 생활
중요한 요소이다. 예절이란 어려운 게 아니다. 가볍게 건넨 인사 한 마디로도 모두의 기분이 좋아질 수 있다.

사내 예절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다음 중 사내에서 가장 잘 안 지켜지는 에티켓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사내 예절을 잘 지켜야 하는 이유는 사내 예절이 잘 지켜지기 위해


무엇입니까?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요?

- 출처 LG케미토피아 https://blog.lgchem.com/2014/11/survey-talk-etiquette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285


참고 읽기자료 36-1

지켜야 할 직장예절

인사의 생활화 출근 예절

•‌인사는 내가 먼저, 상대방의 눈을 보고 •‌출근시간 10분전까지 도착한다.


미소 지으며, 밝은 표정과 명랑한 목소리로 한다.
•‌아침에는 활기찬 표정으로 “안녕하십니까?”라고
•‌상사, 선배, 동료를 만났을 때에는 인사를 할까 인사를 나눈다.
말까 망설이지 말고 먼저 적극적으로 인사한다.
•‌부득이한 사정으로 결근 또는 지각을 했을
경우에는 상사에게 솔직하게 사유를 보고한다.
(슬그머니 자리에 앉는 것은 좋지 않다)

근무 예절 자리를 비울 때 예절

•‌근무시간 중에는 개인적인 일을 하지 않는다. •‌공적이든 사적이든 외출할 때는 가능하면 미리


상사에게 말씀을 드린다.
•‌점심시간은 정해진 시간 이상으로 보내지 않는다.
•‌30분 이상 자리를 비울 때는 책상을 정리하고,
•‌매일 업무에 관련된 모든 문서의 정리, 분류,
옆 동료에게 외출의 이유와 행선지, 소요시간을
보관이 밀리지 않도록 한다.
분명히 알린다.

대화 예절 퇴근 예절

•‌정확한 발음, 적절한 속도, 바른 용어를 사용하여 •‌책상 위는 깨끗이 정돈하고 의자는 책상 밑으로
의사를 표현한다. 집어 넣는다.

•‌남의 이야기 중에 끼어 들지 않는다. •‌퇴근 시간이 되면 업무를 마무리하고 내일 할


일을 간단하게 기록해 둔다.
•‌의문이 있으면 상대방의 말이 끝난 다음 묻는다.
•‌상사나 남아계시는 분들께 “먼저 퇴근하겠습니다.
•‌부정적인 표현보다는 긍정적인 표현을, 명령형
먼저 나가겠습니다.”등 간단한 인사를 한다.
보다는 청유형을 사용한다.

- 참고자료 https://www.nise.go.kr/eduCnts/sub04/page1101.jsp

286 서울특별시교육청
활동지 36-1 슬기로운 직장 생활의 꿀팁 모아보기

슬기로운 직장 생활의 꿀팁 모아보기

Ⅶ 대학 생활 및 커리어 설계
‌회사 구성원들이 ‘함께 일하고 싶어 할’ 사원이 될 수 있게 하는 직장 생활의 꿀팁을 모아보자.

예 하루의 마음가짐
① 고맙습니다 - 감사의 마음
② 미안합니다 - 반성의 마음

36
③ 덕분입니다 - 겸허한 마음

슬기로운 직장 생활
④ 하겠습니다 - 봉사의 마음
⑤ 그렇습니다 - 긍정의 마음

활동 소감
직장 생활애서 예절이 중요한 이유를 생각해 보고 활동 소감을 적어보자.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287


2/2
신입사원에게 편지 쓰기
차시
36-2

활동목표
•‌신입사원이 가져야 할 기본적인 자세를 설명할 수 있다.
•‌신입사원의 바른 마음가짐으로 직장예절을 실천할 수 있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신입사원’ 시절은 회사에서 실수를 가장 많이 하는 때이며, 실수가 용납되는 시기이기 때문에 큰 문제없이 지나갈
수도 있는 시기라는 것을 알려준다.
•‌첫 직장에서 업무를 하면서 가장 두려운 점은 업무상 실수를 하지 않을까 하는 마음일 것이다. 이런 경우 혼자
알아서 수습하려 하지 말고 선배나 상사에게 보고하도록 하며, 한 번 실수를 했다고 능력이 없는 사원이라고
단정 짓지 않는다는 사실을 기억하고, 반드시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점을 인식시킨다.
•‌자신 또는 주변인이 신입사원이라고 가정하고 신입사원에게 응원과 지지, 또는 당부와 부탁의 내용 등 자유로운
형식으로 편지를 쓸 수 있도록 안내한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동기유발
도입 • ‌‌첫 출근! 사무실로 출근하는 자신을 떠올려 본다. 5'
• ‌‌만약 여러분이 실수를 저질렀다면?

‌
본시 학습목표를 확인한다.
5'
‌‌•
‌‌신입사원의 자세와 마음가짐을 설명한다.
전개

‌신입사원에게 편지 쓰기 활동지를 작성한다. 30'

‌발표와 피드백
•‌개인 발표 및 활동 정리
•‌활동 소감 작성
마무리 10'

‌차시 예고

288 서울특별시교육청
참고 읽기자료 36-2

슬기로운 직장 생활 2편

Ⅶ 대학 생활 및 커리어 설계
가. 신입사원의 자세와 마음가짐
고등학교 졸업 후 직장 생활을 시작하는 것은 새로운 도전과 변화의 순간이다. 그렇기 때문에 직장 생활의 첫 걸음부
터 슬기롭게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신입사원으로서 직장 생활은 조직의 문화, 개인의 상황,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학교에서 배운 지식과 기술을
업무에 적용하며, 자신의 경험과 역량을 키워나가야 한다.

36
슬기로운 직장 생활
직장 생활에서 실패와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어도 긍정적인 마음가짐으로 멋진 직장 생활을 시작해 보자.

➊ 적극적인 자세 ➋ 개방적인 마인드

•‌업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질문 하며, 자신의 •‌신입으로서는 경험이 부족하기 때문에 겸손한 자
의견을 표현한다. 세로 선배들의 조언을 듣는다.

•‌업무 효율성과 개선을 위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배우려는 마음가짐을 갖고 업무에 임해야 한다.
제시한다.
•‌다른 동료들의 조언과 피드백을 열렬히 받아들인다.
•‌새로운 일에 도전하며 신 기술과 지식을 습득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말아야 한다.

➌ 배려와 존중 ➍ 성실하고 열정적인 업무태도

•‌직장에서는 함께 일하는 동료에게 배려와 존중을 •‌업무에 성실하게 임하고, 일정을 지키며,
보여주도록 한다. 규칙을 준수한다.

•‌업무 내에서 동료들과 상사에게 예의를 갖추는 •‌정확한 출근시간을 지킨다.


것이 중요하다.
•‌업무에 대한 책임감과 열정을 갖는다.

➎ 지속적인 학습과 자기계발 ➏ 동료들과 협업하기

•‌업무능력 향상을 위한 배움과 성장에 주체적으로 •‌혼자서 모든 일을 처리하기 어렵거나 복잡한


참여한다. 프로젝트일수록 동료들과 협업하도록 한다.

•‌새로운 기술 및 지식 습득, 전문성 강화 등 자기계 •같은 목표 아래 서로의 강점/약점을 보완한다.


발 활동에 노력을 기울인다.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289


활동지 36-2 신입사원에게 편지 쓰기

신입사원에게 편지 쓰기

‌
다음은 ○○기업의 신입사원에게 보내는 환영편지의 일부분이다.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신입사원에게 환영
하는 내용의 편지를 써보자.


세상에는 그냥 하는 일과, 일생을 걸고 하는 일이 있습니다.

당신의 손길이 곳곳에 스며든, 절대로 타협할 수 없는,


그리고 어느 주말이라도 기꺼이 희생할 수 있는 그런 일이죠
○○에서는 그런 일을 할 수 있습니다.
사람들은 이곳에 그저 무난하게 근무하러 오는 것이 아닙니다,
그들은 여기에 끝장을 보기 위해 옵니다.
그들의 일이 어떤 의미를 지니길 원하니까요

어떤 거대한, ○○이 아닌 곳에서는 일어날 수조차 없는 그러한.

○○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신입사원에게 쓰는 환영 편지

활동 소감
자신이 신입사원이라고 생각하고 활동 소감을 적어보자.

290 서울특별시교육청
37

Ⅶ 대학 생활 및 커리어 설계
커리어
회복탄력성
1/1

37
커리어 회복탄력성을 가진 인물 탐구하기
차시

커리어 회복탄력성
37-1

활동목표
•‌커리어 회복탄력성의 의미와 구성요소를 파악할 수 있다.
•‌훈련을 통하여 커리어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자신의 커리어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며, 그러한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 포기하지
않는 마음의 근육이 필요함을 인지하도록 지도한다.
•‌실패와 좌절은 누구에게나 있으며, 성공한 사람들 중에서 실패의 경험이 없이 성공한 사람은 없다는 사실을 인식
시킨다. 중요한 것은 좌절감이나 실패감에서 멈추지 않는 것이다,
•‌커리어 회복탄력성은 훈련으로 기를 수 있으며, 반복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학생들에게 지도한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
동기유발
도입 5'
•‌어떤 일을 실패 했을 때 드는 생각은 무엇인지?

‌
커리어 회복탄력성에 대한 의미와 구성요소 이해
5'
‌커리어 회복탄력성의 향상 방법
전개
‌커리어 회복탄력성을 가진 인물에 대한 검색을 통한 탐구
25'
•‌모둠별 탐색 활동을 전개하고 활동지를 작성한다.

‌
발표와 활동정리
•‌모둠별 발표 및 활동 정리
마무리 •‌활동 소감 작성 15'

‌차시 예고 프로젝트 수업 안내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291


참고 읽기자료 37-1

커리어 회복탄력성

가. 회복탄력성
회복탄력성은 원래 제자리로 돌아오는 힘을 말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고무줄을 잡아 당기고 놓았을 때 원래 상태로
돌아오는 것을 말한다. 심리학에서는 주로 시련이나 고난을 이겨내는 긍정적인 힘을 의미한다.
즉, 회복탄력성은 크고 작은 다양한 역경, 시련, 실패를 오히려 발판으로 삼아 더 높이 튀어 오르는 마음의 근육을
의미한다. 회복탄력성의 정도는 사람마다 다를 수 있지만 얼마든지 긍정적인 사고훈련을 통해 키울 수 있다.

나. 커리어 회복탄력성
커리어 회복탄력성(career resilience)은 커리어와 관련된 어려움이 닥쳤을 때 긍정적인 태도로 극복하고 더욱 발전해
가는 힘을 말한다. 우리는 앞으로 변화하는 미래사회의 시대적 흐름에서 커리어와 관련된 역경과 위기를 수없이 겪
으며, 각자의 상황에서 커리어와 관련된 다양한 고민을 하게 될 것이다.

다. 커리어 회복탄력성 구성요소

자기이해 및 신뢰 종합적인 자기이해를 바탕으로 맡은 일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자신감을 갖는다.


성취 지향성 커리어 목표 달성을 위한 세부계획을 수립하고 성공을 위해 도전한다.
변화에 대한 적응력 변화하는 직업 환경에 적응하며, 커리어 분야에서의 동향과 다양한 변화를 인식한다.
커리어 개발 역량 자신의 관심분야에서 커리어 전문성을 발전시킨다.
친밀하고 안정적인 인간관계 커리어와 관련된 다양한 사람들과 관계를 형성한다.
긍정적인 삶의 태도 인생에서 감사해야 할 것이 매우 많다고 느낀다.

라. 커리어 회복탄력성 사례

<해리포터>의 작가 조앤 롤링은 어린 딸과 정부보조금으로 살아가는


싱글맘 이었다.

어린 딸과 함께 죽어버리고 싶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혹독한 가난과


우울증까지 겹쳐서 괴롭게만 살아갔다. 어린 딸에게 읽어줄 동화책 한
권 살 돈이 없었던 그녀는 동화를 직접 쓰기 시작했다. 그렇게 탄생한
소설이 바로 <해리포터>이다.

“나는 인생의 밑바닥까지 떨어졌기 때문에 그 때 진짜 자유로웠다.


인생의 밑바닥이 바로 나에게는 행운이었고 튀어오를 기반이었다.”

292 서울특별시교육청
활동지 37-1 커리어 회복탄력성을 가진 인물 탐구하기

커리어 회복탄력성을 가진 인물 탐구하기

Ⅶ 대학 생활 및 커리어 설계
‌실패와 좌절을 극복하고 자신의 커리어를 개발한 사례를 찾아보자.


어떤 시련이나 실패를 어떻게 인상 깊었던 점은
인물
겪었을까? 극복했을까? 무엇인가?

37
커리어 회복탄력성

활동 소감
커리어 회복탄력성을 기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생각해 보고 활동 소감을 적어보자.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293


38

[프로젝트]
지속가능한 커리어 설계
1/1
지속가능한 커리어 설계하기
차시
38-1

활동목표
•‌프로티언 커리어의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
•‌지속가능발전목표 중 관심분야의 커리어를 설계해 나갈 수 있다.

활동 지도 시 유의점
•‌직업세계에서 평생직장보다는 평생직업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높아지고 있는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보다 빠르게 변화하는 무한경쟁 시대에 살아남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는 사실을 인식시킨다.
•‌프로티언 커리어의 의미와 필요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UN의 지속가능발전목표 17가지를 이해하고 지속가능사회와 발맞춰 커리어분야를 설계해 나갈 수 있도록 지도한다.

교수·학습 활동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비고

‌
동기유발
도입 5'
•‌지속가능한 사회에서 나의 커리어 설계는 어떻게 해야 할까?

‌평생직장에서 평생직업의 개념 전환을 설명


•‌프로티언 커리어에 대해 이해한다. 5'
•‌지속가능발전목표 17가지를 확인한다.
전개
‌활동지를 작성한다.
• ‌‌모둠별 탐색 : 17가지
‌ 지속가능발전목표별 관심 분야를 탐색하여 25'
커리어 설계활동에 대한 의견을 모아 본다.

‌발표와 활동정리
•‌모둠별 발표
마무리 •‌활동 정리 15'

‌활동 소감 작성 / 차시 예고

294 서울특별시교육청
참고 읽기자료 38-1

평생직장과 평생직업

Ⅶ 대학 생활 및 커리어 설계
가. 평생직장과 평생직업
평생직장은 한 직장에서 안주하며 정년을 보장받는 개념으로 자발적인 이직이나 부도 등 불가피한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 한 오랫동안 근무하면서 승진도 할 수 있다.

평생직업은 비록 어느 한 회사에 계속 근무하지 못할지라도, 평생 동안 직업을 가지면서 생활하겠다는 개념이다.

38
[프로젝트] 지속가능한 커리어 설계
변화와 발전의 속도가 매우 빠른 지식 정보사회에서 개인의 능력 개발을 통해 경쟁력을 갖추고 자기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평생 직업'을 가져야 한다. 이제는 어느 회사 사원이 아닌 어떤 일을 하는 사람인가가 중요한 사회가 되었다.
가장 잘할 수 있는 일, 좋아하는 일을 전문분야로 삼아 그 분야의 최고가 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고등학교 대학교

연공서열에 의한 인력육성 전문역량을 갖춘 인력 채용

‘저 청소 일하는데요?’ 작가의 말
『저 청소 일하는데요?』 저자 김예지 작가는 이날 강연에서 “회사 다닐 때 ‘내가 과연 행복할 수 있을까’란 고민이
많았고 그래서 청소 일을 시작하기로 결심했다”며 “현재 월·수·금은 청소부로, 화·목·토·일은 프리랜서 작가로
일하는데 만족도가 크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직업을 갖는 무의식엔(남들에게) 인정받고 싶거나 나를 증명하
는 수단이 있는 게 사실”이라며 “중요한 건 현실 속에서 내가 원하는 일이나 삶을 위해 직업을 선택하는 것”이
라고 덧붙였다.
○○씨는 홍보회사에 2년째 다니고 있다. 적성에 맞아 입사한 게 아니다. 그는 3년 안에 디저트 가게를 내는 게
목표다 그래서 홍보 회사에 일하면서 디저트 가게 운영에 필요한 마케팅기법 등을 배울 수 있겠다는 생각으로
입사를 결정했다. 주중엔 클라이언트가 의뢰한 업무처리에 최대한 집중하고 주말엔 제과학원에 다니며 창업을
준비 중이다.
이렇듯 일자리 컨셉트가 많이 바뀌고 있으며, 특히 2030 청년세대는 평생직장 대신 평생 ‘업’을 찾는 경향이
두드러지는 양상이다.
- 출처 중앙일보 2022.11.25.

20대 청년들은 직업을 통한 고용안정, 경제적 가치보단 일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개인의 발전과 성장, 즉 다양한 경험
을 통한 커리어 개발에 주목하고 있다. 일과 삶을 이분법적으로 분리해서 바라보는 게 아닌 일자리와 가정·가족·사
회·웰빙 등 삶을 정의하는 다양한 영역에서 조화롭게 포용 되는 접점을 찾아야 한다.

전문가는 타고난 자질과 능력을 지닌 사람보다는 자신의 영역에서 많은 시간과 노력, 집중력을 발휘하여 남다른 성
과를 보인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평생 직업을 갖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언제든 변화할 수 있는 준비를 하는 것이다.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295


참고 읽기자료 38-1

프로티언 커리어

가. 프로티언 커리어
프로티언(protean)의 용어는 그리스 신화 ‘프로테우스(proteus)’에서 유래된 것으로, 프로테우스는 여러 형태로 몸을
바꿀 수 있는 변화무쌍한 능력을 가졌다.

프로티언 커리어
•변화무쌍하고 자유로운 경력
자신이 원하는 방향과 모습으로 스스로 끊임없이 배우고 환경과 시대 변화에 따라 커리어를 재조정할 수 있는 능력

유연성과 고용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자기주도적으로 이루어지는 전문성 향상을 커리어 목표로 하고 있네요.
역량 기반 경력을 말하는 거군요.

더 높은 개인의 자유와
성장을 추구하는 경향을
말하는 군요.

커리어 환경이 불확실해 지고, 변화의 정도가 예측 불가능함에 따라 개인은 자신의 생존과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조직집중 대신 직무집중을 높이게 되었다. 개인 주도적인 지속학습과 네트워크 관계를 통해 꾸준히 커리어를 개발
해야 한다.

진로탐색·경력개발부터 취업까지 한 번에 해결한다!


모든 국민이 자기주도적으로 직업·진로탐색 및 개인별 취업활동 계획 등을 수립할 수 있는 ‘대국민용 잡케어 서비스’
가 시작됐다.
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은 워크넷에서 전 생애에 걸친 경력단계에서 개인의 직업 선택과 취업 준비를 지원
하기 위해 개발한 인공지능(AI)·빅데이터 분석 기반 맞춤형 잡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96 서울특별시교육청
참고 읽기자료 38-1

지속가능한 커리어 설계

Ⅶ 대학 생활 및 커리어 설계
자기만의 차별화된 커리어를 갖기 원한다면 개인별 커리어 개발과 그에 따른 커리어 설계가 필요하다. 커리어 설계를
위해서는 당장 눈앞에 보이는 직업보다는 지속가능한 미래에 대처하고 준비할 수 있어야 한다.
커리어 설계의 방향성은 직업 및 평생학습에 의해 지속가능한 경제성장과 사회적 형평성 및 환경을 지키는데 기여해야
한다.
‘내일(Tomorrow)’을 위한 지속가능한 ‘내 일(My job)’을 설계함으로서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사회적으로 더욱

38
[프로젝트] 지속가능한 커리어 설계
가치있는 일을 함으로써 개인의 성장과 직업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아래는 지속가능발전목표와 각 분야별 직업 예시이다.

1 2 3 4 5

빈곤 감소와 식량안보 및 지속 건강하고 행복한 모두를 위한 성


사회 안전망 강화 가능한 농업강화 삶 보장 양질의 교육 평등보장
복지컨설턴트, 식량 안보 전문가, 방문간호사, 개인 맞춤형 인권 활동가,
경제 개발 전문가 식량 분배 조직원 보건교육자 교육 컨설턴트 성평등 정책 연구원

6 7 8 9

깨끗한 에너지의 친환경적 좋은 일자리 산업의 성장과


물과 위생 생산과 소비 확대와 경제 성장 혁신 및 사회기반
환경 공학자, 태양광/풍력 발전 경제학자/경제학 시설 구축
수질 관리기술자, 엔지니어, 연구원, 도시 계획사,
사회적 기업 활동가 에너지 정책 연구원 인재개발 담당자 건설 프로젝트 매니저

10 11 12 13
지속가능
불평등 지속 가능한 지속가능한 기후 변화
발전목표와
해소 도시와 주거지 조성 소비와 생산 대응
각 분야별
사회적 포용 컨설턴트, 도시 디자이너, 사회적 기업 창업가, 기후 정책 연구원,
직업 예시
사회복지 전문가 지속가능성 컨설턴트 친환경 제품 디자이너 에너지 효율 전문가, 탄소
배출 감소 전문가

14 15 16 17

해양생태계 육상 생태계 평화, 정의, 지구촌


보전 보전 포용강화 협력 강화
해양 생태학자, 자연 보호관리사, 국제 개발 협력 담당자, 개발 협력 전문가,
해양 보전 활동가, 생물 다양성 연구원, 사회 정의 조직 운영자 NGO/NPO 활동가
해양 자원 관리자 산림 관리자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297


활동지 38-1 지속가능한 커리어 설계하기

지속가능한 커리어 설계하기


➊ 지속가능발전목표 17개 중 모둠의 의견을 모아 관심있는 3가지 발전목표를 선택해 보자.
모둠이 선택한 지속가능발전목표

➋ 모둠에서 관심있는 발전목표를 선택한 이유를 3가지 써보자.


선택한 이유

➌ 1번에서 선택한 3가지 목표와 관련된 커리어 분야를 2가지 이상 적어보자.


지속가능발전목표별 커리어 분야(직업 또는 일)

➍ 3번에서
‌ 탐색한 커리어 분야에서 일하게 될 때 가져야 할 조건(역량과 준비사항 등)을 조사해 보자.
(선택 갯수는 모둠의 의견을 모은다)
커리어 분야(직업 또는 일)에서 갖추어야 할 역량과 준비사항

298 서울특별시교육청
활동지 38-1 지속가능한 커리어 설계하기

➍ 3번에서
‌ 탐색한 커리어 분야를 포함하여 가상 인물의 커리어 설계 스토리를 만들고 커리어 설계 경로를

Ⅶ 대학 생활 및 커리어 설계
완성해 보자.

국제개발
협력담당자

마케팅회사

38
환경
취업 NGO활동가 회사 창업 Esg경영

[프로젝트] 지속가능한 커리어 설계


고교졸업 사회학과
진학
환경작가

세무공무원
대학원 입학
사회정의조직
운영자

가상인물(이름, 특징 등)

커리어 설계 경로

커리어 설계 스토리

활동 소감
자신의 커리어 설계에 대해서 생각해보고 활동 소감을 적어보자.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 PART 1 299


만든 사람들

총괄
구자희(서울특별시교육청 평생진로교육국 국장)
박재식(서울특별시교육청 진로직업교육과 과장)

기획
박윤정(서울특별시교육청 진로직업교육과 장학관)
이범석(서울특별시교육청 진로직업교육과 장학사)
송찬경(서울특별시교육청 진로직업교육과 장학사)
윤태영(서울특별시교육청 진로직업교육과 장학사)
박태건(서울특별시교육청 진로직업교육과 주무관)

연구 및 집필
강동민(예일여자고등학교 교사)
김상범(선정국제관광고등학교 교사)
김진훈(숭의여자고등학교 교사)
이은미(오금고등학교 교사)
이정임(미림여자정보과학고등학교 교사)
임한욱(공항고등학교 교사)
장들림(명지고등학교 교사)
황인관(오류고등학교 교사)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연계교육 프로그램

발행일 2023년 10월


발행처 서울특별시교육청 진로직업교육과
(03178) 서울특별시 종로구 송월길 48(신문로 2가)
http://www.sen.go.kr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