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오존(O₃)의 생산과 특성

발표자: 1411 여은수

목차(目次)

-오존이란? ································①

-오존의 생산 과정·······················②

-오존의 활용·······························③

-자료 출처··································④

──────────────────────────────────────────

본문(本文)

안녕하세요. 저는 1411 여은수입니다. 제가 발표할 주제는 “오존의 생산과 특성”입니다. 여러분들도 잘

알고 계시다시피, 오존은 산소 원자 3 개가 결합되어 굽은형의 O₃ 분자 구조를 가지는 물질입니다.

상온에서 가스 형태로 존재하며, 약간 비릿한 냄새가 납니다. 오존은 대기 중 성층권에서 가장 높은 농도로

존재하며, 태양의 강력한 자외선을 흡수해주기도 합니다.

오존은 산소보다도 강력한 산화제로서, 냄새를 제거하거나 정수 과정에 활용하는 등 산업적 용도로 자주

이용되곤 합니다. 산업적 용도로 이용되는 오존은 어떻게 생산할 수 있을까요?

무성방전1, 전기분해, 자외선 조사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저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인 무성방전

생산 방법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무성방전 생성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무성방전: 소리가 나지 않는 방전. 코로나 방전이 이에 속하고, 두 전극에 교류전압을 걸면 발생한다.


(그림 칠판에 그리기)

오존 생성기는 그림과 같이 구성됩니다. 두 전극 사이에 주로 유리와 같은 유전체를 삽입하고, 전극간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전자가 튀어나오는 무성방전을 발생시킵니다. 단순히 전극만 있을 경우 방전 상태를

발생시키기 힘들기 때문에 전자를 풍부하게 가지고 있으면서 전기적 특성이 좋은 유전체를 사용하여

방전의 진전을 제어합니다. 두 전극 사이에 순수 산소 가스나 산소가 포함된 기체를 통과시키면 오존이

생성되게 됩니다. 구체적인 반응식을 적겠습니다.

−¿¿
−¿→ O+O +e ¿
O2 +e ······························㉠

O+O2 + M → O3 + M (∆ H 〈 0) ·······㉡

(칠판에 반응식 판서)

여기서 M 은 주변에 있는 제 3 물체인 산소 원자, 산소 분자, 오존 중 하나입니다. M 은 순수 산소가 아닌

다른 혼합 기체를 주입했을 때 질소와 같은 다른 물질로 바뀔 수 있습니다.

식 ㉠에서 산소 분자는 전극에서 튀어나온 전자와 충돌하여 해리되고, 산소 원자가 생성됩니다. ㉡에서

산소 원자는 주변의 산소 분자에 충돌하고, 생성된 오존은 전자가 들뜬상태가 됩니다. 이때 M 이 에너지를

흡수하여 생성된 오존 분자를 바닥상태로 만들고 안정화시킵니다. ㉡은 발열 반응이고, 오존은 온도가

높은 환경에서 자연적으로 분해되기 때문에 적절한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효율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오존은 매우 강력한 산화제인 덕에 1900 년대 초 최초로 식수용 물 살균에 이용된 이후 현재는 하수 살균,

악취 제거, 농약 분해, 중금속 제거, 유해 물질 분해, 세균 사멸 등 여러 분야에서 두루 쓰이고 있습니다.

또한 오존은 최종적으로 산소로 되돌아가므로 이차 공해를 일으키지 않습니다. 다만 오존은 불안정한

분자이기 때문에 보존 시간이 길지 않다는 것이 단점입니다.

이상으로 오존의 생산과 활용에 대한 발표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④ 참고 자료 출처

조국희, 김영배, 이형호. (2000). 친환경적인 무성방전형 오존발생기 개발.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562-564.

-권영학. (2016). "유전체장벽방전형 오존발생기에서 내부전극 형태가 오존생성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국내박사학위논문. 17-23.

-정재우, 이현돈, 이용환, 전기일, 김형갑, 조무현. (2004). 무성 방전 공정의 오존 발생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환경공학회지, 26(3), 305-312.

-Jae-Woo Chung, Hyun-Hyo Suh, Hyun-Geoun Park. (2003). Effect of Gas Composition on Ozone

Generation in Silent Discharge Process. 한국대기환경학회지(영문), 19(E4), 169-175.

-김종일, 전병훈, 이석준. (2017). 고전압플라즈마공학. 진샘미디어. 413-414

-文在德, 金滄守. (1987). 펄스電壓을 인가한 円톱날形 오존發生器의 特性硏究. 전기학회논문지,


36(11), 38-44.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