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1

A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통권 제 17호 | 2011 01 | Vol. 9 No. 1

음료 브랜드 페트병 형태적 측면에서 나타나는 포장의 왜곡 현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rink Brand and PET Form Design for a Distortion Phenomenon

주 저자
단국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Han, Baek Jin
교수 한 백 진
공동 저자
단국대학교 대학원 시각디자인학과
Nam, Zi A
남지아
이 연구는 2010년도 단국대학교 대학연구비의 지원으로 연구되었음.

접수일자 : 2010.12.25. 게재확정일자 : 2011.01.11.


심사일자 : 2010.12.29. Original Articles
음료 브랜드 페트병 형태적 측면에서 나타나는 포장의 왜곡 현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rink Brand and PET Form Design for a Distortion Phenomenon
■ 중심어 : 브랜드, 패키지 디자인, 형태적 왜곡현상
■ Keyword : Brand, Package Design, Distortions

목차 눌 수 있었다. 그 중 포장의 왜곡 현상이 나타나는 페트병 용


기 세부적으로 분석한다. 패키지 디자인에 있어서 용기의 형
1. 서론 태와 그래픽적인 디자인은 소비자들의 구매에 상승효과와 감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성적 구매 요소를 자극 시킬 수 있다. 또한, 패키지 디자인의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형태가 전달하는 메세지가 간접적으로 전달되며 동시에 감성
2. 이론적 배경 적 경쟁력을 가지며 친숙한 연상 이미지로 제품의 인지도를
2.1. 페트병의 역사 높이는 효과도 볼 수 있다. 패키지 디자인에 있어 이러한 적
2.2. 페트병의 제조방법과 생산 용은 상품의 가치를 상승시키며 소비자의 구매에 있어서 큰
3. 음료 브랜드 용기별 분류와 활용 현황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3.1. 국내 유통되는 음료의 시장 현황 분석 결과 첫째, 시각적 감성을 요구하는 소비사회에서 용
3.2. 페트병의 활용 기의 형태적 용기를 독창적으로 디자인하고, 그에 맞는 그래
4. 페트병 형태적 측면에 따른 왜곡 현상 픽 요소를 접목시켜 타 브랜드와의 차별성을 두어 디자인 한
4.1. 왜곡현상 분석 다.
4.2. 분석 결과 둘째, 용기의 굴곡이 있는 부분에는 타이포나 로고의 위치
5. 결론 를 피하고, 굴곡 현상에 크게 방해를 받지 않는 그래픽 적인
참고문헌 요소를 레이아웃 배치하여 적극 활용한다.
셋째, 페트병 허리가 잘록한 용기는 다이어트관련 음료의
초록 용기로 사용하고 형태가 곡선으로 이어진 용기는 몸에 순환
음료 및 식품용기의 대표적인 페트병은 환경호르몬의 유 을 돕는 잎차 관련 음료의 용기로 사용하는 것처럼 페트병 용
해성 논란으로부터 안전할 뿐만 아니라 재활용도 용이한 장 기의 본래 가지고 있는 형태를 차의 특정과 접목시켜 적극 활
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페트병은 국내 순수 생산을 통해 다 용한다.
방면으로의 활용이 가능한 우수한 재질의 용기로 쓰인다. 용
도에 따라서 차이는 있으나 다양한 형태 표현까지 가능하다 Abstract
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Beverage bottles and food containers representative of t
하지만, 페트병의 용기는 다량으로 생산되기 때문에 크키 he controversial safe from the harmful effects of environ
와 높이 등의 형태성의 제안으로 디자인의 범위가 매우 제한 mental hormones, as well as ease of recycling has the ad
적이나 음료용기의 화려한 그래픽 요소를 지녔다. 다양한 그 vantage. In addition, net domestic production of PET bott
래픽 효과와 특이하고 독창적인 모양으로 형태 표현이 가능 les in various fields through better utilization of available
하기 때문에 경쟁사의 용기와 차별화 요소를 지닐 수 있다. materials used in the container. Use various forms depen
본 논문은 페트병 음료를 중심으로 용기에서 나타나는 페 ding on the difference, but has advantage of being able
트병 형태적 측면에 따라 그래픽 적인 디자인의 적용되었을 to express. Use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differenc
e, but has advantage of being able to express.
때 나타나는 포장의 왜곡 현상에 관해 연구하였다. However, PET containers are produced in large quantiti
페트병의 이론적 배경과 역사, 제조방법을 살펴보고 음료 es because of the height and shape of keuki and scope of
브랜드의 용기의 다양한 형태를 일반형, 과장형, 왜곡형 등의 the proposed design is very limited, beverage containers
다양한 형태로 나누어지는 용기를 총 10개의 디자인으로 나 and to mention the gorgeous graphics elements. And vari
음료 브랜드 페트병 형태적 측면에서 나타나는 포장의 왜곡 현상에 관한 연구 285

ous graphical effects and unique form of creative express 패키지 디자인을 통해 비슷한 제품 중 더 돋보이게
ion in the form, enabling the competitors can have the co 해주며 브랜드의 차별화를 도와주고 브랜드의 정체성
urage and the differentiating factor is the. 이 두드러지도록 해주어 소비자의 구매 동기를 형성한
This paper appears in PET bottles, PET bottles, bevera
ge containers in the center, depending on the morphologic 다. 브랜드의 동질성을 강화시켜주는 이 같은 전략은
al aspects of graphic design that appears when applied to 매출을 높여줄 뿐 만 아니라, 기존의 제품은 물론 앞으
the distortion of the package were discussed. 로 생산될 제품과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 충성도를 높여
Theoretical background and history of PET, to examine
how to manufacture various types of beverage containers
주게 된다.
of Standard Brands, gwajanghyeong, waegokhyeong divi 또 패키지 디자인은 상품의 얼굴인 동시에 기업의
ded into various forms such as containers with a total of 이미지를 전달하는 의사소통 도구이기도 하다. 같은 제
10 design could be divided 품군에서도 다양하고 수많은 비슷하거나 동일한 제품
The distortion of the packaging appears to detailed anal 들이 쏟아져나오는 이러한 상황에서 패키지 디자인을
ysis of PET containers. In package design and graphic de 통해 얼마나 소비자에게 구매에 있어서 지대한 영향을
sign, type of vessel in the consumers' purchasing synergi
es and emotional stimuli can buy the elements. Also, in 미치는 지 알 수 있다.
the form of a package designed to deliver a message is 본 연구는 음료의 패키지 디자인에 있어서 용기 형
passed indirectly, at the same time familiar emotional ass 태적 측면고 그래픽적인 디자인을 통해 소비자의 구매
ociations have competitive products to increase awarenes 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대한 것이 첫번째이며 이를
s of the image you can see the effect.
Firstly, the visual sensitivity of the vessel morphology 패키지 디자인에 적용하면 현실적인 문제점과 대안을
in a consumer society that demands courage and creative 찾는 것 이다.
design, graphic elements to suit apart from other brands
by combining a couple designs.
Second, the curved portion of the vessel's position to av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oid the tayipona logo, bending phenomenon largely unenc 본 연구는 음료 브랜드 중 용기를 페트병으로 사용
umbered by placing graphic elements, layout should take 하는 제품군의 형태적 측면에 대한 분류로 나눠 분석하
advantage. 였다.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조사 분석한
Third, the hourglass waist PET containers used as cont 다.
ainers of beverages and diet-related form of courage that
led to the curved body to help circulation and associated 첫째, 페트병의 역사, 제조방법과 생산적인 이론적
tea leaves used as beverage containers PET containers, 고찰을 살펴보고 페트병를 이해한다.
as inherent in certain types of cars combined with by lev 둘째, 음료 브랜드의 국내 음료 시장 현황과 페트병
eraging. 의 종류를 이해 분석한다. 또한, 음료 브랜드 페트병 음
료를 중심으로 패키지 디자인 있어 용기의 형태가 어떠
1. 서론
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다.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셋째, 왜곡된 용기들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특징들을
음료 브랜드의 패키지 디자인은 브랜드 로고, 컬러, 나열하여 분석한다. 음료 브랜드 패키지 디자인의 구성
레이아웃, 타이포그래피, 일러스트레이션, 용기 형태의 을 통해 용기의 왜곡 현상을 조사한 것을 토대로 결론
구성요소로 이뤄진다. 이는 바이어스 마켓1)에서 소비 을 내렸다.
자가 맛을 맛보지 않은 진열된 제품 중에서 기호에 맞 넷째, 효율성 있는 패키지 디자인 창출을 위한 방법
는 제품만 선택하여 구매하는 이유 중 큰 비중을 차지 을 제시하며 이에 따른 현실적인 문제점과 그 대안 방
하고 있는 부분이다. 향을 제시한다.

1) Buyer's Marker : 매주 시장.

브랜드디자인학회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통권 제17호 Vol.9 No.1


286 한백진․남지아

2. 이론적 배경 탄산음료와 같이 용기 내압이 걸리는 음료용기로 많이


쓰이고 있다. 간장용기와 음료용기로서 PET 병의 사용
2.1. 페트병의 역사 이 인정된 이래 그 사용량은 급증하였다. PET 병의 제
PET2)는 1941년 영국의 Calics Printers사에 의해 인 조방법에는 일반적으로 예비성형품(preform)이라고 부
조섬유용으로 처음 발명되었으며, Dupont과 Imperial 르는 파리손(Parison)을 성형하고 예비성형품을 연신
Industries사에게 특허권이 넘겨진 후 전 세계적으로 적성온도로 온도조절하여 연신로드와 가압 공기를 병
생상되기 시작하였다. PET BTL이 등장하기전 미국에 용하여 축연신 가압흡입성형에 의해 성형한다.
서 탄산음료용 대형 유리병의 파열사건이 발생하였는 성형법은 예비성형품을 다른 공정에서 미리 성형하
데 이를 계기로 1970년 US Commission of onsumer 여 놓고 재가열하는 cold 파리손법과 성형기 중에서 예
Product Safety가 대형 유리병을 위험용기로 지정하게 비성형품 성형공정과 연신 블로우 공정을 함께하는 고
되었다. 이에 음료 업계에서는 유리용기의 대체재로 주 온 파리손법의 두 방식이 대표적인 성형방법이다. PET
목받게 되었다. 병은 투명도가 높으며 벽면강도나 가스차단성이 높기
유럽에서는 미국의 이러한 움직임에 영향을 받아 스 때문에 여러 가지의 내용물 용도로 사용되는데 주로 탄
웨덴은 아크릴로나이트릴 BTL을 검토하던 중 1972년 산음료, 알코올음료, 과즙 음료 등의 음료와 간장, 소스
경부터 PET BTL로 관심을 옮아갔고 오란다 AKZO 등의 조미료나 액체세제 등에 사용되고 있다. 탄산음료
미 프랑스의 CTI (Coruand Total Interplastis)와 공동 용 용기는 내압력을 가지며 탄산가스 투과량이 적은 병
연구를 하였다. 1974년 최초로 이축연신 기술이 나온 이 쓰이고 있으며 용기의 자립성을 위한 구조와 알루미
후 미국의 PEP-SI가 Dupont에 의뢰하여 탄산음료용 늄제 캡으로 밀봉하여 사용한다. 과실음료나 다류와 같
으로 2리터 BTL을 테스트 판매하였으며 다음해인 은 음료는 가열충전법을 사용하므로 병의 내열성이 요
1975년 미국에서 폭팔적으로 PET BTL을 사용하게 되 구되기 위해서 연신블로우성형 후에 용기 본체를 열처
었다. 이후 세계적으로도 강한 반응을 일으켜 구미, 일 리하여 열고정을 한다. 또한 용기의 입구부분은 가열하
본등지에서 PET BTL의 도입을 검토하게 되었다. 여 결정화시켜 내열성을 향상시킨 병이 사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1979년 동양나일론에서 국내 최초로 식 PET 병의 사용량이 증가하여 그 재자원화가 중요한
품용 PET BTL을 생산하기 시작한 이래 1982년 FDA 문제가 되고 있다
승인을 얻었으며 코카콜라, 펩시콜라등 세계적인 음료 페트병을 통해 내용물이 새거나 포장이 밖으로 나가
업계로부터 사용승인을 취득하였다. 국내 PET BTL 지 않도록 보호하여 파손방지, 누출방지, 오염을 방지
업계는 시장상황이 비슷한 일본의 영향을 가장 강하게 한다. 또한, 밀봉의 기능 뿐만 아리나 운성 중 피해를
받고 있다. 차단하고, 습기, 가스, 냄새, 훼손을 차단하고 보호하는
기능이 있다. 또한, 페트병의 외관 디자인을 통하여 제
2.2. 페트병 제조방법과 생산 품을 설명하고 공지하여 판매로 촉진시킨다. 이는 제품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의 명시성의 기능으로 비용은 적당히 하고 환경에 미치
(PET)를 사용한 2축연신 성형법으로 성형된 병이다. 는 영향을 최소로 제작하는 것이 페트병의 목적이자 이
단, 열 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한 블로우성형 유이다.
용기를 포함하여 PET 병이라 부르기도 한다. PET 수
지가 가진 연신배향 특성을 살린 병이고, 병 성형 때 병
의 세로방향 및 주 방향의 2축방향에 연신을 함으로써
PET 수지의 인장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2) PET Bottle, 주 효성 중앙 연구소 1987, p.17.

브랜드디자인학회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통권 제17호 Vol.9 No.1


음료 브랜드 페트병 형태적 측면에서 나타나는 포장의 왜곡 현상에 관한 연구 287

고 있는 청량음료 ‘칠성사이다’를 소유한 롯데칠성음료


를 비롯하여 다양한 종류와 규모에 따라 분류된다. 롯
데칠성음료는 1950년에 출시하여 60년간 국민들의 사
랑을 받고 있으며 제품군으로는 탄산, 과채, 과즙, 두유,
커피, 스포츠, 다류, 니어워터, 워터, 기능성 음료, 전통
음료 등의 제품으로 출시하고 있다. 또한, 글로벌 브랜
드 1위인 코카콜라는 국내의 두산그룹 산하 두산음료
(주)를 시작으로 현재 LG 생활건강에서 인수하여 업계
2위를 차지하고 있다.

<표. 1> 페트병의 기본역활과 활용

음료를 보관하는데 가장 용이한 페트병의 재료가 되


는 폴리에스테르(PET, Polyethyleneterephthalate) 수
지를 사용하여 연신블로 우성형, 등으로 페트 용기를
만드는데, 연신성형 및 방습성, 산소차단성과 보향성이
우수한 소재이다. 이런 소재를 사용하여 만드는 페트병
은 가장 대중적인 음료용기다. 이전에 사용되어 온 유
리병이 세척과 파손 등 관리상의 문제와 함께 무겁고
<표. 2> 국내 음료 브랜드 시장 현황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었던 반면 PET병은 위생적이고
가볍다. 페트병은 전반적으로 차단특성이 우수하고 가 한국경제 10월 29일자 신문4)에 따르면 국내 음료시
공성, 경제성 등이 뛰어나며, 레저인구의 증가와 편리 장 (3조 6000억원)을 기준으로 1위는 롯데칠성의 시장
성을 추구하는 소비자의 욕구 등에 부합하여 식품, 음 점유율은 33.3% 이어 코카콜라가 16.8%의 점유율로 2
료포장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지만 한편으로 환경에는 위, 해태음료는 7.2%로 3위, 웅진식품 4.8%, 동아오츠
부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이는 주로 일부의 플 카 4.5%이다.
라스틱 소재들이 식품과 접촉 시 유해물질을 식품 내로
전이시킬 수 있는 위험성이 있으며, 재활률이 타 재료
에 비해 매우 낮고, 소각 시 유독가스 발생과 매립 시 음료 브랜드 시장현황 표
썩지 않는 점 등에 기인한다. 그러나 분해성 플라스틱 브랜드 대표 음료
등의 개발을 통해서 재활용률을 높이고 환경친화적인
재료로 점점 바뀌어가고 있다.3)
http://www.nongshim.com
3. 음료 브랜드 용기별 분류와 활용 현황

3.1. 국내 유통되는 음료의 시장 현황


국내 유통되는 음료 시장은 음료 업계 1위를 차지하
4) 한국경제, 음료시장, LG-롯데 `2强구도`로, 2010.10.29.
3) 김청, 신제품 개발과 환경 친화적 포장, 포장기술, 통권63호,
1993, pp.89-90.

브랜드디자인학회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통권 제17호 Vol.9 No.1


288 한백진․남지아

기계에서 완료되는 One-stage 방식과 이 두 공정이 각


각의 기계에서 이루어지는 Two-stsge 방식으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http://www.donga-otsuka.co.kr
1) 고상증합
고유점도가 0.6정도인 Raw chip을 BTL을 연신하기
좋도록 점도를 0.8-0.82 정도로 강화한 레즌을 만드는
과정을 말한다.
http://company.lottechilsung.c
o.kr 2) 사출과정
병을 블로윙하기 좋도록 시험관과 같은 형태 즉 프
리폼을 사출성형을 통하여 제작하는 과정을 말한다,
3) 연신과정
사출성형으로 만들어진 프리폼을 열을 가하여 Mold
http://company.wjfood.co.kr 안에서 고압의 공기(약30-35Bar)를 불어넣어 병의 형
태를 완성하는 공정이다.
페트병의 종류와 특징
종류 특징
http://www.ilhwa.co.kr 무과즙 탄산음료는 5도 정도의 저온에서 충전, 밀봉되며,
충전전의 병은 세척하는 정도이고, 충전공정에서 받는 열의
일반 탄산 정도는 약하다.
음료병 이런 종유의 제품은 상온 유통되기 때문에
유통과정에서 탄산가스에 의한 내압이 발생한다. 병은
이 내압에 견디며, creep 변형을 억제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탄산가스가 포함된 청량음료 용기로, 일반적으로 4Volume의
http://www.yakult.co.kr 내압병 Co2부피가
가 음료수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외부온도의 상승에 따른
팽창되면 병의 원형이 변하기 쉬워 병의 모양이
유선형으로 이루어져있다. 탄산음료를 담는데 사용한다.
음료를 담아 살균하기 위하여 고온(85~91℃)에도 병의 변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몸체에 Pannel이 있다. 내용품 충전후의
내열병 냉각에 의해 병 내부에 부압이 생기기 때문에, 내열병은 이
부압에 의한 변형을 흡수하도록 디자인되어 있다. 과실음료,
이온음료등을 담는데 사용된다.
http://www.htb.co.kr
저탄산 음료를 담는 용기로 내압과 내열성능을 동시에
<표. 3> 국내 음료 브랜드 현황 가져야하는 높은 가능성이 요구되어 용기를 말한다. 과즙이
내열압병 들어간 탄산음료 등을 담는데 사용되며 이런 종류의 내용품은
5℃ 도 정도의 저온에서 충전․밀봉된다.

3.2. 페트병의 활용 <표. 4> 페트병의 종류와 특징


PET BTL을 완성하기 위하여 병을 만들기 위한 고
점(0.8-0.82)의 레즌을 생산하는 고상증합 과정과 BTL 4. 페트병 형태적 측면에 왜곡 현상
을 연신하기 좋은 형태 즉 프리폼을 생산하는 사출과
정, 병을 연신하여 최종 형태를 완성하는 연신과정을 4.1. 왜곡현상 분석
거치게 되는데 이들의 사출과정과 연신과정이 하나의 음료 브랜드 용기 형태와 패키지 디자인은 소비자에

브랜드디자인학회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통권 제17호 Vol.9 No.1


음료 브랜드 페트병 형태적 측면에서 나타나는 포장의 왜곡 현상에 관한 연구 289

게 구매시점에서 또 다른 브랜드 이미지로 인식되어 구 B TYPE


매시 제품을 결정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용기의 형태 형태 B를 활용한 용기 브랜드
구조는 우선 상품을 운반, 보관하기 편해야하고, 소비
자가 개 폐시 사용이 편리해야하며 위생적인 형태 구조
를 가져야 한다. 용기
분석하려는 용기의 형태는 크게 <표. 5> 다음과 같
이 10가지의 형태로 분류하고 음료 브랜드 페트병의 형
태적 측면에서 나타나는 포장의 왜곡 현상이 뚜렷한 형 사례 1 사례 2
태적 특징을 분석하고자 한다.
음료 브랜드 페트병 형태적 분류 표
적용

가로 (뚜껑) 2.8cm I 세로 (용기) 16cm I 용량 340ml


특징 상단부 형태는 원형구로 이루어져 있고 용기의 중앙부는 용기의
형태 변형이 없게 완충해주는 공간으로 주로 라벨을 감을 수 있다.
<표. 6> B TYPE 용기 패키지 디자인 분석
페트에 <표. 6>의 사례1은 농심음료 ‘물처럼 마시
는 홍삼수’이다. 홍삼을 나타내는 캐릭터와 컬러도 붉
은 색으로 처리해서 용기의 넓은 디자인공간을 적극 활
용한 좋은 예이다.
<표. 6>의 사례2는 일화음료의 ‘비타민 워터’로 스타
일과 건강을 생각하는 여성들을 위한 트렌드한 음료가
컨셉이다. 여성들이 관심있는 비타민과 레몬을 상징하
는 노란 컬러를 활용해서 한눈에 봐도 비타민 음료임을
잘 표현했다. 비타민 워터의 V라는 타이포를 중앙에 적
극 활용한 의도는 좋았지만 용기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굴곡에 타이포의 윗부분이 굴곡되어 V라는 글짜가 찌
그려저 보인다. 좀더 하단에 레이아웃하여 이러한 작은
용기의 디자인 측면 왜곡 현상까지 체크해야한다.
H TYPE
형태 형태 H를 활용한 용기 브랜드
<표. 5> 음료 브랜드 페트병 형태적 분류 표
용기 ‘B’는 음료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본 디자
인의 형태이다. 용기의 특징은 안정적인 디자인으로 하 용기
단부의 디자인 공간이 넓어 제품을 설명할 수 있는 부
분을 적극 활용하기 좋다.

브랜드디자인학회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통권 제17호 Vol.9 No.1


290 한백진․남지아

사례 1 사례 2 디자인을 할 때 이러한 점을 고려해서 <그림. 1>을


살펴보면 옥수수 수염차처럼 디자인과 용기가 접목되
었을 때 이러한 왜곡 현상을 줄이기 타이포는 네모 박
적용 스안에 넣는 레이아웃을 피하는 게 좋다. 네모 박스안
에 넣었을 경우 네모의 모양은 용기의 굴곡이 있는 한
원래의 의도한 디자인으로 활용되지 않기 때문이다. 타
가로 (뚜껑) 2.8cm I 세로 (용기) 17.5cm I 용량 340ml 이포는 옥수수 수염차처럼 딱 떨어지는 정체보다는 봄
특징 전체적으로 용기의 굴곡이 많고 원형으로 곡선처리가 되어있는 녹차나 순백차처럼 캘리그라피를 이용하여 용기의 굴
용기임으로 디자인을 할 때 용기의 특징을 잘 파악해야 한다.. 곡이 생겼을 때도 크게 지장을 받지않는 글씨체가 좋
<표. 7> H TYPE 용기 패키지 디자인 분석 다. 또한, 비너스처럼 사람의 얼굴이나 캐릭터의 얼굴
은 굴곡이 없는 부분에 배치하여 용기와 디자인이 접목
용기 ‘H’는 음료에서 흔하게 많이 볼 수 있는 형태이 되었을 때 왜곡 현상이 두드러지지 않도록 디자인해야
다. 용기의 특징은 여인의 아름다운 바디라인이 연상되 한다.
고 손에 잡기 용기한 것이 장점인 디자인이다.
페트에 <표. 7>의 사례1은 롯데칠성음료의 ‘오늘의 J TYPE
차’로 10대 후반 ~ 20대 중반 여성층을 집중 공략하는 형태 형태 J를 활용한 용기 브랜드
마케팅을 전략으로 내세웠다. 여성들이 관심이 많은 다
이어트에 좋은 현미차, 옥수수 수염차 등의 차를 우려
용기
낸 곡물 음료를 판매하고 있다. 용기는 손에 잡기 편하
게 들어가 있는데 이 부분을 적극 활용해서 쏙이라는
타이포를 넣어 용기의 특징과 음료의 특성을 접목시켜
잘 활용된 예이다. 사례 1 사례 2
<표. 7>의 사례2는 롯데칠성음료 ‘옥수수수염차’이
다. 예술 작품을 활용한 독특한 컨셉의 디자인에 고급
적용
스러우면서도 손에 잡기 쉬운 신용기를 도입해 기존 제
품들과 차별시켰다. 또한, 옥수수 수염차를 마신 여인
이 미의 여신 '비너스'로 재탄생한다는 컨셉이다. 그래
픽 소스로 이용한 보티첼리의 '비너스의 탄생'을 디자 가로 (뚜껑) 2.8cm I 세로 (용기) 19.5cm I 용량 350ml
인에 도입해 제품의 친숙함을 높였으나 용기의 굴곡으 특징 용기에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은 잡기 편하고 굴곡이 있는 부분은
로고타입보다는 그래픽적인 이미지를 사용하면 좋다.
로 인해 비너스의 얼굴은 일그러진 모습으로 보이고,
특히 옥수수 수염차라는 타이포는 네모 박스 안에 넣어 <표. 8> J TYPE 용기 패키지 디자인 분석
디자인했는데 굴곡에 따라 왜곡이 나타난다.
용기 ‘J’는 최근 리뉴얼된 음료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형태이다. 용기의 특징은 수려한 곡선의 투명 어셉틱
용기로 상체는 도톰하고 허리가 잘록하고 자연스럽게
아래로 흐르면서 기존의 용기와는 차별화를 두었다.
페트에 <표. 7>의 사례1은 롯데칠성음료의 ‘이프로
부족할 때’이다. 기존의 제품의 브랜드 인지도가 높은
<그림. 1> H TYPE 용기 패키지 디자인을 적용한 음료 브랜드 편이였지만 별로 기억에 남지 않은 평범한 디자인에서

브랜드디자인학회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통권 제17호 Vol.9 No.1


음료 브랜드 페트병 형태적 측면에서 나타나는 포장의 왜곡 현상에 관한 연구 291

독특한 캘리그라피와 컬러를 이용한 디자인으로 새롭 4.2. 분석 결과


게 리뉴얼됬다. ‘~%’ 를 강조한 켈리그라피 등 최신 트 음료에 있어 브랜드 이미지를 형성 시키는 요인으로
렌드를 반영한 패키지 디자인을 적용하여 브랜드를 정 는 브랜드, 패키지 디자인, 품질과 맛, 가격 등으로 결정
확히 알리면서도 깔끔하게 정리돼 안정적인 완성도를 된다. 이 중 제품의 얼굴인 패키지 디자인을 통해 강력
보여 주고 있다. 용기의 굴곡된 부분은 자연스럽게 흘 한 이미지를 전달하기 위해 패키지 디자인 뿐 만 아니
려쓰인 캘리그라피 덕분에 크게 디자인을 지장 받지 않 라 음료의 형태적 측면에서 나타나는 포장의 왜곡현상
는 잘된 디자인 사례이다. 을 정확히 파악하고 제품을 디자인 해야한다. 왜곡된
<표. 7>의 사례2은 롯데칠성음료의 ‘실론티’이다. 제 현상들을 피하고 방지할 수 있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품명 실론티를 좀더 레이아웃을 상단에 배치했다면 용
기의굴곡된 부분을 피할 수 있다. 디자인을 할 때 타이
포의 위치는 용기의 굴곡된 부분에는 피해야 한다.

<그림. 3> 독특한 용기에 그래픽을 적절하게 활용한 브랜드


<그림. 2> J TYPE 용기 패키지 디자인을 적용한 음료 브랜드 분석 결과 첫째, 시각적 감성을 요구하는 소비사회에
서 용기의 형태적 용기를 독창적으로 디자인하고, 그에
주요 용기 페트병의 특징 맞는 그래픽 요소를 접목시켜 타 브랜드와의 차별성을
두어 디자인 한다. <그림. 3>의 제품은 유럽의 ‘에비앙’
형태 B는 기본 형태로 과 파나블루의 ‘슈어’로 두 용기는 기존의 스타일의 디
디자인을 적용할 시에
짧은 상단에 비해 자인로 다른 브랜드 이미지를 형성하여 시대의 흐름을
긴 하단 부분만 활용해서
용기의 굴곡된 부분을 파악하고 소비자의 가치관과 니즈를 파악하여 브랜드
피하는 것이 좋다.
이미지를 높였다.
특히, 슈어는 여자 피부에 좋은 미네랄이 일반 먹는
형태 H는 굴국이 여러번 샘물 제품 보다 10배 이상 함유되어 있는 여자를 위한
있어 디자인할 때
특히 더 신경써야하는
디자인이다. 하지만,
굴곡된 부분을 디자인에
물로 용기 디자인도 여성의 S 라인과 바다의 물결을 형
접목시키면 활용도가 놓 상화 한 아름다운 곡선이 물병 전체를 감싸고 있다. 또
다.
한, 독특한 슈어의 물결 무늬는 20~30대 여성 300명을
대상으로 실시 한 보틀 핸드프린팅 테스트(bottle hand
형태 J는 상단부가 짧고, printing test)5)의 결과로 여자 손에 가장 편안한 그립
하단부는 길어 제품명은
하단보다는 상단에 배치 감을 안겨줄 수 있게끔 디자인 된 것이다.
해서 주목성을 이끄는 것 또한 에비앙과 슈어는 기본 색상도 그동안 물의 신
이 좋다..
선도를 강조하는 생수 제품에 많이 사용되어 왔던 블루
<표. 9> 주요 용기 페트병의 특징 5) (주)베타뉴스, 이직,「여자들만 드세요 여성전용 식음료 제품들
눈길」, 2009-09-14

브랜드디자인학회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통권 제17호 Vol.9 No.1


292 한백진․남지아

(Blue)계열 대신 핑크 앤 퍼플(Pink & Purple)톤을 선 셋째, 페트병 허리가 잘록한 용기는 다이어트관련 음
택했다. 이는 생수의 주 타겟을 여성으로 잡았으며 상 료의 용기로 사용하고 형태가 곡선으로 이어진 용기는
품의 본질보다는 목표 고객이 선호하는 색으로 용기를 몸에 순환을 돕는 잎차 관련 음료의 용기로 사용하는
디자인함으로써 다른 브랜드와 더욱 차별화된 이미지 것처럼 페트병 용기의 본래 가지고 있는 형태를 차의
를 구축할 수 있다. 특성과 접목시켜 적극 활용한다.
<그림. 5>는 파워에이드, 미닛메이드 스타일, G2, 오
늘의차, 내몸에 흐를 류로 이온음료와 차 혼합음료이
다. 이 제품들의 특징은 몸에 이로움을 강조한 음료로
마시면 몸이 날씬해지거나 몸의 순환을 도와준다는 기
능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제품들의 용기는 허리가 잘
록하고, 용기의 굴곡이 많은 것이 특징으로 그래픽에서
도 제품의 특징을 정확하게 표현했다.

<그림. 4> 용기의 굴곡이 있는 부분을 디자인으로 활용한 브랜드 5. 결론

둘째, 용기의 굴곡이 있는 부분에는 타이포나 로고의 음료 브랜드 페트병의 형태적 측면에서 나타나는 포
위치를 피하고, 굴곡 현상에 크게 방해를 받지 않는 그 장 디자인은 용기의 형태와 그래픽을 통해 여러 가지
래픽 적인 요소를 레이아웃 배치하여 활용한다. 의미를 표현할 수 있다. 음료의 질이 가장 우선되어야
<그림. 4>의 웅진의 ‘스파클링’, 롯데칠성음료 ‘마테 하지만 페트병 음료 제품군에서는 비슷한 맛을 가지고
차’, ‘하동녹차’, ‘이프로 부족할 때’이다. 스파클링 음료 있다면 패키지 디자인을 통해 소비자는 판단하고 선택
는 상단이 길고 하단이 짧은 용기고, 반대로 마테차, 하 할 것 이다.
동녹차, 이프로 부족할 때는 상단이 짧고 하단이 길 용 이에 따라 용기의 형태와 이미지를 통해 보는 사람
기이다. 스파클링은 길고 넓은 상단에 제품명을 정확하 들로 하여금 호감을 주고 정확한 전달로 연속적인 구매
게 레이아웃 배치하고 하단에 그래픽 적인 요소를 접못 가 이루어지도록 표현되어야 한다. 이때 보는 사람으로
시켜 용기의 굴곡이 있어도 크게 디자인에는 지장받지 하여금 용기의 굴곡이 두드러지면 잘못된 디자인으로
않도록 배치했다. 마테차, 하동녹차, 이프로 부족할 때 제품의 브랜드 이미지를 하향시킬 수 있다. 그렇기 때
는 상단이 짧아 제품명이 주목 받을 수 있다는 용기의 문에 음료 브랜드 페트병 형태적 측면에서 나타나는 포
장점을 적극 활용했으며 하단에는 그래픽적인 요소나 장의 왜곡 현상을 올바르게 활용하면 소비자의 흥미를
캘리그라피를 이용해서 제품의 특징을 잘 나타냈다. 유발할 수 있다.
제품이 패키지 디자인에 접목되었을 때 제품을 소유
하고 싶은 개성화된 패키지가 될 수 있으므로 향후 이
러한 특징을 잘 반영한 디자인의 많은 연구가 필요하겠
다.

<그림. 5> 용기의 특징을 음료의 특징과 접목한 브랜드

브랜드디자인학회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통권 제17호 Vol.9 No.1


음료 브랜드 페트병 형태적 측면에서 나타나는 포장의 왜곡 현상에 관한 연구 293

참고문헌

∙ 김무연, 패키지디자인에 있어서 도상적 메타포에 의한


소비자 구매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 김세하, 감성적 구매욕구 충족을 위한 패키지디자인 연
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김진향, 환경친화적인 플라스틱 용기 디자인에 관한 연
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 이영신, 포장디자인이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 이혜린, 우리나라 차음료 브랜드 패키지디자인의 진화에
관한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 장미경, 차 음료 패키지 디자인 개발을 위한 소비자 라이
프스타일 트렌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 조성미, 녹차 음료 브랜드 아이덴티티 비교연구, 홍익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 진영석, PET병의 재활용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양대
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4.
∙ 차승기, 재활용을 고려한 PET병 생수 용기 구조 디자인
에 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 채지연, 패키지 디자인 표현유형에 따른 소비자 인지반
응이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두산인터넷백과사전
∙ 위키백과
∙ (주)효성 중앙 연구소
∙ 농심, (http://www.nongshim.com)
∙ 동아오츠카, (http://www.donga-otsuka.co.kr)
∙ 롯데칠성음료, (http://company.lottechilsung.co.kr)
∙ 웅진식품, (http://company.wjfood.co.kr)
∙ 일화, (http://www.ilhwa.co.kr)
∙ 야쿠르트, (http://www.yakult.co.kr)
∙ 해태음료, (http://www.htb.co.kr)

브랜드디자인학회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통권 제17호 Vol.9 No.1

You might also like